KR20120127436A - 스크린 신장 프레임 - Google Patents

스크린 신장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27436A
KR20120127436A KR1020127020410A KR20127020410A KR20120127436A KR 20120127436 A KR20120127436 A KR 20120127436A KR 1020127020410 A KR1020127020410 A KR 1020127020410A KR 20127020410 A KR20127020410 A KR 20127020410A KR 20120127436 A KR20120127436 A KR 201201274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creen
members
extension
screen ex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04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후레쯔 카스야
Original Assignee
후레쯔 카스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레쯔 카스야 filed Critical 후레쯔 카스야
Publication of KR201201274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74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5/00Screen printers
    • B41F15/14Details
    • B41F15/34Screens, Frames; Holders therefor
    • B41F15/36Screens, Frames; Holders therefor fla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1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 H05K3/12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using thick film techniques, e.g. printing techniques to apply the conductive material or similar techniques for applying conductive paste or ink patterns
    • H05K3/1216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using thick film techniques, e.g. printing techniques to apply the conductive material or similar techniques for applying conductive paste or ink patterns by screen printing or stencil printing
    • H05K3/1225Screens or stencils; Holders therefo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0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 H05K3/32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 H05K3/34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by soldering
    • H05K3/3457Solder materials or compositions; Methods of application thereof
    • H05K3/3485Applying solder paste, slurry or powd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creen Printers (AREA)
  • Electric Connection Of Electric Components To Printed Circuits (AREA)
  • Manufacturing Of Printed Wiring (AREA)
  • Overhead Projectors And Projection Screens (AREA)

Abstract

보관 또는 운반을 위해 스크린 신장 프레임으로부터 스크린 신장 지그를 제거해도 이 스크린 신장 프레임에 부착된 스크린이 왜곡되지 않는 스크린 신장 프레임이 제공된다. 4개의 프레임 부재를 용접 등에 의해 직사각형 형상으로 연결하는 것에 의해 스크린 신장 프레임의 결합부의 내부측으로부터 외부측으로 또는 외부측으로부터 내부측으로 또는 양 방향으로 절단 홈이 형성되고, 이 절단 홈은 결합부가 변형될 수 있게 한다. 스크린 신장 프레임을 구성하는 4개의 프레임 부재는 개별 몸체로서 코너 부재에 의해 결합되고, 연결 부분은 프레임 부재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있고 이에 의해 연결부에서 갭이 생성된다. 대안적으로, 스크린 신장 프레임을 구성하는 4개의 프레임 부재의 연결부에는 탄성 부재가 배치된다. 대안적으로, 연결 부분은 길이 방향에 수직으로 형성되고, 연결부에는 탄성 부재가 배치된다.

Description

스크린 신장 프레임{SCREEN STRETCH FRAME}
본 발명은 인쇄 회로 기판의 제조시에 시트 형상 또는 메쉬 형상으로 스크린 인쇄를 하기 위한 스크린이 신장되고 스크린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스크린 신장 지그에 부착되는 스크린 신장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전기/전자 장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서브트랙티브 공정(Subtractive process)의 인쇄 회로 기판은 절연 기판에 부착된 동박의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하여 전도성 패턴이 형성되고 이 전도성 패턴에 능동 소자 및 수동 소자가 납땜 등에 의해 고정되어 구성된다.
이 서브트랙티브 공정에서는 동박이 부착된 유리 에폭시 판과 같은 절연 기판에 홀이 만들어진 후, 동박의 불필요한 부분이 인쇄 및 에칭에 의해 제거되어 전도성 패턴이 형성된다. 납땜이 리플로우 방법에 의해 수행될 때, 필요한 부분에 솔더 크림이 더 인쇄된다.
스크린 인쇄에서, 금속이나 수지로 짠 메쉬 형상의 시트 또는 금속이나 수지로 만든 시트인 스크린 기판에 이미지 홀을 형성하고 프레임에 시트를 주름 없이 균일한 장력으로 신장시키는 것에 의해 사용된다.
인쇄 패턴에 대해 스테인리스 등으로 만들어진 금속 박판에 관통 홀이 형성된 금속 마스크는 스크린 신장 프레임에서 장력으로 신장되고, 스퀴지(squeegee)를 사용하여 관통 홀을 통해 절연 기판으로 잉크가 이동되어, 전도성 패턴이나 솔더 패턴이 이 위에 형성된다.
이 때 인쇄될 대상과 스크린 기판이 밀착되어 있지 않으면, 잉크는 갭으로부터 벗어나서 얼룩이 나타나 정확한 인쇄를 할 수 없다.
인쇄될 대상은 이상적으로는 평면이지만, 때로는 왜곡과 물결 모양이 있을 수 있으며, 인쇄된 대상과 스크린 기판을 밀착시키기 위해 스퀴지는 유연성이 있는 물질로 선택되고, 스크린의 신장 장력이 이완된다.
그러나, 스크린은 가급적 강하게 신장될 필요가 있기 때문에 강성이있는 견고한 스크린 프레임이 준비하고, 시트는 네 방향으로 강하게 당겨지고 시트 소재의 신축성을 이용하여 그리고 그 반발력을 이용하여 신장된다.
금속 메쉬를 사용하는 경우 이 메쉬는 높은 신축성을 가지는 것은 아니지만 약간의 신축성은 있기 때문에 금속 메쉬는 신장될 수 있다. 그러나 신축성이 없는 금속 시트를 사용하는 경우는, 중심 금속 시트의 외부 외주를 신축성 있는 수지 시트를 연결하는 것에 의해 시트가 신장될 수 있다.
스크린은 스크린 신장 프레임에 부착된 상태로 사용되지만, 느슨한 부분이 있으면 스크린이 스퀴지에 의해 긁힌 때 인쇄 패턴의 위치가 어긋나거나, 인쇄 패턴이 왜곡된다. 이러한 상황을 방지하기 위해 스크린 인쇄를 수행할 때 장력을 스크린에 부여하여 스크린에 항상 소정의 장력을 줄 필요가 있다.
스크린 신장 프레임에 대해 프레임 크기가 고정된 스크린의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장력이 고정된 프레임과 프레임의 크기가 가변적인 스크린의 장력을 변화시킬 수 있기 위하여 장력이 가변하는 프레임이 있지만, 어쨌든 이 스크린에 장력을 부여하는 프레임에는 강도가 요구되기 때문에 견고하고 큰 것이 될 수밖에 없다. 또한 프레임의 크기가 가변적인 장력이 가변하는 프레임은 가변 기구를 가지고 있어서 이에 프레임이 비싸다.
스크린은 스크린 인쇄 전후에 인쇄된 회로 기판에서 떨어져 있어야 하고, 스퀴지를 사용하여 인쇄할 경우에는 회로 기판에 밀착하고 있을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스크린은 신축성을 가질 필요가 있다. 그러나, 금속 마스크는 신축성을 가지지 않기 때문에, 이 금속 마스크는 일반적으로 폴리에스터 선(string) 또는 스테인레스 선 등으로 구성된 메쉬에 부착되어 스크린으로 사용된다. 한편, 금속 마스크를 그대로 사용하는 경우도 있을 수 있는데, 그 경우는 금속 마스크의 설치 부분 또는 스크린 신장 프레임에 임의의 신축 기구가 제공된다.
메쉬를 이용한 스크린이 스크린 신장 프레임에 접착제를 사용하여 부착되는 경우가 많아 스크린이 필요한 경우에 이 스크린은 스크린 신장 프레임에 부착된 상태에 있다. 따라서, 사용하지 않을 때는 무겁고 부피가 큰 스크린이 보관되거나 운반되어야 한다.
메쉬를 이용한 스크린의 가장자리를 감거나 또는 클램핑하는 등에 의해 프레임에 부착하는 구조의 스크린 신장 프레임이 있다. 이 스크린 신장 프레임의 경우에는 스크린을 사용하지 않을 때 보관 또는 운반을 위해 스크린 신장 프레임으로부터 스크린을 제거할 수 있지만, 스크린이 얇기 때문에 정밀하게 형성된 인쇄 패턴을 손상시키지 않고 스크린을 보관하거나 운반하는 것이 곤란하다.
이러한 상황을 감안하여, 본 발명자는 특허 출원 번호 2002-556010호(공개 번호 WO2002/055304호 참조)에서 스크린 신장 프레임을 장력 조절 기구를 가지는 스크린 신장 지그와 장력 조절 기구가 없는 단순한 구조의 스크린 신장 프레임으로 분리하고 이 지그와 프레임을 상호 연결시키는 맞물림 기구를 제공하여 스크린을 스크린 신장 프레임에 부착하는 스크린 인쇄 장치를 제안했었다.
도 1은 이 스크린 인쇄 장치를 설명한다.
도 1(A)에서 참조 부호 1은 스크린 신장 지그(screen extending jig)이며, 이 스크린 신장 지그(1)에는 맞물림 홈(4)이 있는 스크린 신장 프레임(2)이 장착된다. 스크린 신장 프레임(2)에는 스크린(3)이 부착되며 이 스크린(3)은 금속판 또는 수지 판인 시트에 전도성 패턴이 관통 홀에 의해 형성된 시트 또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전도성 패턴이 관통 홀에 의해 형성된 메쉬를 부착한 시트이다. 이 스크린 신장 지그(1)를 신축하는 것에 의해 스크린(3)에 적절한 장력이 부여된다.
스크린 신장 프레임(2)은 4개의 판형 또는 사각 관형 프레임 부재를 용접 등에 의하여 서로 결합하여 구성된다.
이후의 설명에서 스크린 신장 프레임을 구성하는 프레임 부재에서 각 프레임 부재의 길이 방향의 길이를 "길이", 외부측(바깥쪽)으로부터 내부측(안쪽)으로 향하는 길이를 "너비", 및 시트를 붙인 면과 시트를 붙이지 않은 면 사이의 길이를 "두께"라고 표현한다.
도 1(B) 및 도 1(C)는 스크린 신장 프레임(2)을 스크린 신장 지그(1)에 장착하는 구성을 예시한다. 도 1(B)는 스크린 신장 프레임(2)이 스크린 신장 지그(1)에 장착되기 전의 상태(C)를 나타내며, 도 1(C)는 스크린 신장 프레임(2)이 스크린 신장 지그(1)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다.
스크린 신장 프레임(2)의 장착 측면에는 스크린 신장 지그의 길이 방향에 따라 맞물림 홈(4)이 형성되어 있으며, 스크린 신장 지그(1)의 장착 측면에는 스크린 신장 지그의 길이 방향에 따라 맞물림 부재(5)가 형성되어 있다.
맞물림 홈(4)과 맞물림 부재(5)가 맞물린 상태에서 스크린 신장 지그(1)를 도면에서 화살표 방향으로 신축시키는 것에 의해 스크린(3)에 대한 장력이 조절된다.
이 스크린을 이용해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스퀴지를 사용하여 관통 홀을 통해 잉크를 이동시켜 전도성 패턴이 형성된다.
스크린을 사용하지 않을 때 보관될 때, 스크린 신장 프레임(2)을 스크린 신장 지그(1)에 장착된 상태로 보관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지만, 신축 기구를 가지는 스크린 신장 지그(1)는 값비쌀 뿐만 아니라, 부피 때문에 스크린 신장 지그(1)에 장착된 스크린에 부착된 채 스크린 신장 프레임(2)을 보관하거나 또는 운반하는 것은 비효율적이다.
스크린은 스크린 신장 프레임(2)에 접착제 등의 접합 수단에 의해 부착된 상태에서 스크린 신장 지그(1)에 장착되어, 스크린 신장 지그(1)에 의해 장력이 부여되지만, 스크린 신장 지그(1)에 장착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느슨함 등이 발생하여 스크린을 변형시킬 수 있으므로, 스크린은 스크린 신장 프레임(2)에 부착된 상태에서도 어느 정도의 장력을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크린이 스크린 신장 프레임에 부착되고 스크린 신장 프레임은 스크린 신장 지그에 장착되고 스크린 신장 지그의 사이즈를 가변시키는 것에 의해 스크린 장력을 조절하는 스크린 신장 프레임을 이용하는 스크린 인쇄 장치는 WO2002/055304호 공보 외에 본 발명자에 의한 일본 특허 공개 번호 2006-212955호, 특허 공개 2006-44180호 및 특허 공개 2008-1010호에 개시되어 있다. 또한 일본 특허 공개 2000-15777호는 스크린 신장 프레임을 사용하는 스크린 인쇄 장치를 개시한다.
도 2와 도 3은 일본 특허 공개 2006-212955호 및 일본 특허 공개 2008-1010호에 나타난 관련된 기술의 스크린 신장 프레임 구성을 도시한다.
이 도 2 및 도 3에서 (A)는 스크린 신장 프레임의 전체도이고, (B)는 (A)에서 점선 원 B로 나타낸 부분의 확대 전개도이며, (C)는 (B)에서 점선 C로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스크린 신장 프레임(10)은 평행하는 2개의 프레임 부재(11a, 11c)와, 이 프레임 부재와 직교 배치될 뿐만 아니라 서로 평행하는 2개의 프레임 부재(11b, 11d)와, 이 4개의 프레임 부재를 연결하는 4개의 코너 부재(13a, 13b, 13c, 13d)로 구성되어 있다.
4개의 프레임 부재(11a, 11b, 11c, 11d)에는 각각 스크린 신장 지그에 형성된 맞물림 부재가 맞물리는 맞물림 홈(12a, 12b, 12c, 12d)이 형성되어 있다.
4개의 프레임 부재(11a, 11b, 11c, 11d)는 동일한 단면 형상을 가지고 있고, 도 2(B)에 대표적인 예로서 도시된 프레임 부재(11a)는 그 내부에 삽입 홀(15a)이 형성되고, 하나의 면 위에 스크린 신장 지그의 맞물림 부재와 맞물리는 맞물림 홈(12a)이 형성되고 반대쪽 면에는 스크린을 접착하기 위해 평면으로 되어 있다. 또한 4개의 프레임 부재(11a, 11b, 11c, 11d)의 양쪽 단부는 길이 방향에 대하여 90°각도로 측면을 가지고 있다.
4개의 코너 부재(13a, 13b, 13c, 13d)의 단면은 동일한 단면 형상을 가지고 있고, 도 2(B)에 대표적인 예로서 도시된 코너 부재(13a)는 상면이 사각형인 메인 바디(14a)에 서로 수직하는 2개의 코너 판(17a 및 17b)을 구비한다. 코너 판(17a 및 17b)의 단면 형상은 코너 판이 프레임 부재(11a)의 삽입 홀(16a) 및 프레임 부재(11b)의 삽입 홀(16b)에 각각 결합되고 슬라이딩될 수 있는 단면 형상을 가지고 있다.
코너 판(16a)이 프레임 부재(11a)의 삽입 홀(15a)에 화살표 방향으로 삽입되고, 코너 판(16b)이 프레임 부재(11b)의 삽입 홀(15b)에 화살표 방향으로 삽입되어, 4개의 프레임 부재(11a, 11b, 11c, 11d)와 4개의 코너 부재(13a, 13b, 13c, 13d)가 서로 조립되어 스크린 신장 프레임(10)을 형성한다.
스크린 신장 프레임(10)에는 스크린이 부착되고, 신장 지그의 맞물림 부재는 맞물림 홈(12a, 12b, 12c, 12d)과 맞물리고, 신장 지그를 신축하면 삽입 홀에 삽입된 코너 판이 삽입 홀 내에서 슬라이딩하여, 스크린 신장 프레임(10)은 신축하게 되고, 스크린에 장력이 부여된다.
도 3에 도시된 스크린 신장 프레임(20)은 평행하는 2개의 프레임 부재(21a, 21c)와, 이 프레임 부재와 수직으로 배열될 뿐만 아니라 서로 평행한 2개의 프레임 부재(21b, 21d)와, 이 4개의 프레임 부재를 연결하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4개의 코너 부재(23a, 23b, 23c, 23d)로 구성되어 있다.
4개의 프레임 부재(21a, 21b, 21c, 21d)에는 각각 스크린 신장 지그에 형성된 맞물림 부재가 맞물리는 맞물림 홈(22a, 22b, 22c, 22d)이 형성되어 있다.
4개의 프레임 부재(21a, 21b, 21c, 21d)는 동일한 단면 형상을 가지고 있어, 도 3(B)에 대표적인 예로서 도시된 프레임 부재(21a)는 그 내부에 삽입 홀(25a)이 형성되고 하나의 면에는 스크린 신장 지그의 맞물림 부재와 맞물리는 맞물림 홈(22a)이 형성되고 그 타측에는 스크린을 부착하기 위해 평면으로 되어 있다.
또한, 4개의 프레임 부재(21a, 21b, 21c, 21d)의 양쪽 단부는 길이 방향에 대해 스크린 신장 프레임(20)의 내부측에 대해 경사져 있는 이 예에서 45°의 각도로 경사면을 가지고 있다.
4개의 코너 부재(23a, 23b, 23c, 23d)는 동일한 형태를 가지고 있고, 도 3(B)에 대표적인 예로서 도시된 코너 부재(23a)는 코너 판이 삽입 홀(25a 및 25b)에 각각 삽입되고 슬라이딩될 수 있는 단면 형상을 가지는 2개의 직교하는 코너 판(26a 및 26b)으로 구성되어 있다.
코너 판(26a)은 프레임 부재(21a)의 삽입 홀(25a)에 화살표 방향으로 삽입되고, 코너 판(26b)은 삽입 홀(25b)에 화살표 방향으로 삽입되어, 4개의 프레임 부재(21a, 21b, 21c, 21d)와 4개의 코너 부재(22a, 22b, 22c, 22d)는 서로 조립되어 스크린 신장 프레임(20)을 형성한다.
스크린 신장 프레임(20)에는 스크린이 부착되고, 스크린 신장 지그의 맞물림 부재는 맞물림 홈(22a, 22b, 22c, 22d)에 맞물리고, 스크린 신장 지그를 신축시키면 코너 판이 삽입 홀에 삽입되고 이 삽입 홀 내에서 슬라이딩하여, 스크린 신장 프레임(20)이 신축하며 스크린에 장력이 부여된다.
관련된 기술 문헌
특허 문헌
특허 문헌 1 : JP-A-2000-15777호
특허 문헌 2 : WO2002/055304호
특허 문헌 3 : JP-A-2006-212955호
특허 문헌 4 : JP-A-2006-44180호
특허 문헌 5 : JP-A-2008-1010호
이 선행 기술의 스크린 신장 프레임은 스크린이 부착된 때 스크린에 장력을 부여함으로써 어느 정도의 장력을 스크린에 부여해 둘 수 있지만, 프레임이 장력을 부여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충분한 장력을 부여할 수 없다. 따라서 고가의 스크린 신장 지그를 효과적으로 사용하여 보관과 운반시 공간을 절약하기 위해 부피가 있는 스크린 신장 지그로부터 스크린 신장 프레임을 제거하면 스크린에 느슨함이 생겨 스크린이 변형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출원에 따른 발명은 이러한 상황을 방지할 수 있는 스크린 신장 프레임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발명의 구성 개요는 다음과 같다.
본 출원에서 제공하는 발명에 따르면 스크린 신장 프레임을 구성하는 4개의 프레임 부재를 직각으로 연결하는 연결 부분의 내측 및/또는 외측에 절단 홈을 형성하여 연결 부분의 각도를 변할 수 있게 하고 프레임 부재를 내부쪽 또는 외부쪽으로 형상이 변할 수 있게 하여 스크린 신장 프레임의 사이즈를 조절할 수 있게 한다.
스크린 신장 지그와 같은 신축 기능이 있는 지그에 의해 탄성 부재가 장착된 스크린 신장 프레임을 축소하고, 그 상태에서 스크린을 스크린 신장 프레임에 연결하며, 접착 등과 같은 접합 작업이 완료되면 스크린 신장 지그의 신축 양을 최적으로 설정하여, 스크린 인쇄를 수행한다.
스크린 인쇄 장치에서 스크린 신장 프레임을 신장하는 기능을 설정하는 것에 의해 그 신장 기능을 통해 스크린 신장 프레임을 신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에서 제공하는 발명에 따르면 4개의 프레임 부재의 각 연결부에 있는 프레임 측의 일 단부에 신장력을 부여하기 위하여 각 프레임 부재의 접합부에 갭이 제공되거나 또는 탄성 부재가 제공되어 신장 프레임에 유연성을 부여한다.
제공되는 탄성 부재에 대해서는 천연 고무 또는 합성 고무와 같은 중실 탄성 부재 또는 판 스프링 또는 코일 스프링과 같은 비-중실 스프링이 사용 가능하며, 접합부에 있는 갭에 탄성 부재를 더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스크린 신장 지그와 같은 신축 기능이 있는 지그에 의해 탄성 부재가 장착된 스크린 신장 프레임이 축소되고, 그 상태에서 스크린이 스크린 신장 프레임에 부착되고, 접착 등과 같은 접합 작업이 완료되면, 스크린 신장 지그의 신축 양을 최적으로 설정하여, 스크린 인쇄를 수행한다.
스크린 인쇄 장치에서 스크린 신장 프레임을 축소시키는 기능을 설정하는 것에 의해 그 축소 기능을 통해 스크린 신장 프레임을 축소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구성은 다음 (1) 내지 (38)에서 설명된다.
(1) 단면이 사각형인 4개의 프레임 부재로 구성되고 하나의 면에 스크린이 부착되고 다른 면에는 신축 기능이 있는 스크린 신장 지그가 장착되어 사용되는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는 스크린 신장 프레임으로서, 상기 4개의 프레임 부재의 결합부는 유연성이 있고 탄력성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신장 프레임.
(2) 상기 4개의 프레임 부재는 상기 결합부에서 연결되고 상기 결합부는 유연성이 있고 탄력성이 있는 상기 (1)에 따른 스크린 신장 프레임.
(3) 상기 4개의 프레임 부재는 중실 몸체인 상기 (2)에 따른 스크린 신장 프레임.
(4) 상기 결합부의 폭 방향으로 절단 홈이 형성된 상기 (3)에 따른 스크린 신장 프레임.
(5) 상기 결합부의 외각부(outer angle)과 내각부(inner angle)를 연결하는 방향으로 절단 홈이 형성된 상기 (3)에 따른 스크린 신장 프레임.
(6) 상기 결합부의 양면에 두께 방향으로 홈이 형성된 상기 (3)에 따른 스크린 신장 프레임.
(7) 상기 두께 방향으로 홈이 상기 프레임 부재의 폭 방향으로 형성된 상기 (6)에 따른 스크린 신장 프레임.
(8) 상기 두께 방향으로 홈이 상기 결합부의 외각부와 내각부를 연결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상기 (6)에 따른 스크린 신장 프레임.
(9) 상기 결합부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 홀이 형성된 상기 (3)에 따른 스크린 신장 프레임.
(10) 상기 관통 홀이 상기 결합부의 외각부와 내각부를 연결하는 방향으로 배열된 상기 (9)에 따른 스크린 신장 프레임.
(11) 상기 관통 홀이 상기 프레임 부재의 폭 방향으로 배열된 상기 (9)에 따른 스크린 신장 프레임.
(12) 상기 4개의 프레임 부재는 중공 몸체인 상기 (1)에 따른 스크린 신장 프레임.
(13) 상기 결합부의 두께 방향으로 노치 부가 형성된 상기 (12)에 따른 스크린 신장 프레임.
(14) 상기 노치 부가 상기 프레임 부재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형성된 상기 (13)에 따른 스크린 신장 프레임.
(15) 상기 노치 부가 상기 결합부의 외각부와 내각부를 연결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상기 (13)에 따른 스크린 신장 프레임.
(16) 상기 노치 부가 상기 프레임 부재의 폭 방향으로 형성된 상기 (12)에 따른 스크린 신장 프레임.
(17) 상기 노치 부가 상기 결합부의 외각부와 내각부를 연결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상기 (16)에 따른 스크린 신장 프레임.
(18) 상기 결합부에 상기 프레임 부재의 두께 방향으로 향하는 관통 홀이 형성된 상기 (12)에 따른 스크린 신장 프레임.
(19) 상기 관통 홀이 상기 결합부의 외각부와 내각부를 연결하는 방향으로 배열된 상기 (18)에 따른 스크린 신장 프레임.
(20) 상기 관통 홀이 상기 프레임 부재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배열된 상기 (18)에 따른 스크린 신장 프레임.
(21) 상기 관통 홀이 상기 프레임 부재의 폭 방향으로 배열된 상기 (18)에 따른 스크린 신장 프레임.
(22) 상기 4개의 프레임 부재가 스크린이 부착된 평면을 가지는 중공 몸체와, 스크린이 부착되지 않은 평면을 가지는 중공 몸체를 포함하는 2층 중공 몸체인 상기 (1)에 따른 스크린 신장 프레임.
(23) 상기 스크린이 부착된 평면을 가지는 중공 몸체의 결합부의 두께 방향으로 노치 부가 형성된 상기 (22)에 따른 스크린 신장 프레임.
(24) 상기 노치 부가 상기 결합부의 폭 방향으로 형성된 상기 (23)에 따른 스크린 신장 프레임.
(25) 상기 2층 중공 몸체에서 상부 절반의 중공 몸체의 프레임 측의 두께 방향의 벽면에 노치 부가 형성된 상기 (22)에 따른 스크린 신장 프레임.
(26) 상기 2층 중공 몸체에서 상부 절반의 중공 몸체의 프레임 측의 두께 방향의 벽면에 관통 홀이 형성된 상기 (22)에 따른 스크린 신장 프레임.
(27) 상기 4개의 프레임 부재는 개별 유닛이고, 인접한 프레임 부재는 코너 부재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4개의 프레임 부재와 상기 4개의 코너 부재의 연결부는 유연성이 있고 탄력성이 있는 상기 (1)에 따른 스크린 신장 프레임.
(28) 상기 4개의 프레임 부재가 인접한 연결 부분의 단부면은 상기 4개의 프레임 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경사진 면이고, 상기 각각의 경사진 면들 사이에는 갭이 형성되어 있는 상기 (27)에 따른 스크린 신장 프레임.
(29) 상기 4개의 프레임 부재가 인접한 연결 부분의 단부면은 상기 4개의 프레임 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경사진 면이고, 상기 각각의 경사진 면들 사이에 탄성 부재가 삽입된 상기 (27)에 따른 스크린 신장 프레임.
(30) 상기 탄성 부재는 천연 고무 또는 합성 고무로 만들어진 상기 (29)에 따른 스크린 신장 프레임.
(31) 상기 탄성 부재는 코일 스프링인 상기 (29)에 따른 스크린 신장 프레임.
(32) 상기 탄성 부재는 판 스프링인 상기 (29)에 따른 스크린 신장 프레임.
(33) 상기 4개의 프레임 부재가 인접한 연결 부분의 단부면은 상기 4개의 프레임 부재의 길이 방향에 직각인 면이며, 상기 코너 부재는 직육면체 형상이며, 상기 프레임 부재의 직각 면과 상기 코너 부재 사이에 탄성 부재가 삽입된 상기 (27)에 따른 스크린 신장 프레임.
(34) 상기 탄성 부재는 천연 고무 또는 합성 고무로 만들어진 상기 (33)에 따른 스크린 신장 프레임.
(35) 상기 탄성 부재는 코일 스프링인 상기 (33)에 따른 스크린 신장 프레임.
(36) 상기 탄성 부재는 판 스프링인 상기 (33)에 따른 스크린 신장 프레임.
(37) 스크린 신장 프레임을 장착하는 기구 및 상기 장착된 스크린 신장 프레임을 신축하는 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인쇄 장치.
도 1은 관련된 기술의 스크린 신장 지그와 스크린 신장 프레임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관련된 기술의 스크린 신장 프레임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관련된 기술의 스크린 신장 프레임의 다른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실시예 1에 따른 스크린 신장 프레임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실시예 1에 따른 스크린 신장 프레임의 기능을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실시예 2에 따른 스크린 신장 프레임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실시예 2에 따른 스크린 신장 프레임의 기능을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실시예 3에 따른 스크린 신장 프레임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실시예 4에 따른 스크린 신장 프레임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실시예 5에 따른 스크린 신장 프레임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실시예 6에 따른 스크린 신장 프레임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12는 실시예 7에 따른 스크린 신장 프레임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13은 실시예 8에 따른 스크린 신장 프레임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14는 실시예 9의 스크린 신장 프레임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15는 실시예 10에 따른 스크린 신장 프레임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16은 실시예 11에 따른 스크린 신장 프레임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17은 실시예 12에 따른 스크린 신장 프레임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18은 실시예 13에 따른 스크린 신장 프레임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19는 실시예 14에 따른 스크린 신장 프레임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20은 실시예 15에 따른 스크린 신장 프레임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21은 실시예 16에 따른 스크린 신장 프레임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22는 실시예 17에 따른 스크린 신장 프레임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23은 실시예 18에 따른 스크린 신장 프레임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24는 실시예 19에 따른 스크린 신장 프레임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25는 실시예 20에 따른 스크린 신장 프레임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26은 실시예 21에 따른 스크린 신장 프레임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27은 실시예 21에 따른 스크린 신장 프레임 기능을 도시하는 도면.
도 28은 실시예 22에 따른 스크린 신장 프레임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29는 실시예 22에 따른 스크린 신장 프레임 기능을 도시하는 도면.
도 30은 실시예 23에 따른 스크린 신장 프레임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31은 실시예 23에 따른 스크린 신장 프레임 기능을 도시하는 도면.
이후, 본 출원에 따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예에 도시된 스크린 신장 프레임은 스크린이 부착된 상태에서 신축 기능이 있는 스크린 신장 지그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는 스크린 신장 프레임이다. 이 스크린 신장 프레임은 평행으로 배치되고 같은 길이를 가진 제 1 프레임 부재 및 제 3 프레임 부재와, 평행으로 배치되고 같은 길이를 가진 제 2 프레임 부재 및 제 4 프레임 부재로 구성되어, 제 1, 제 2, 제 3, 제 4 프레임 부재의 단면은 사각형이고, 제 1, 제 2, 제 3, 제 4 프레임 부재의 한 면은 스크린이 부착된 평면이다. 제 1 프레임 부재와 제 2 프레임 부재와, 제 2 프레임 부재와 제 3 프레임 부재와, 제 3 프레임 부재와 제 4 프레임 부재와, 제 4 프레임 부재와 제 1 프레임 부재를 연결하는 것에 의해 직사각형 스크린 신장 프레임이 형성되고, 스크린 신장 프레임의 코너는 유연성이 있고 탄력성이 있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4 내지 도 25에 도시된 실시예 1 내지 20의 스크린 신장 프레임을 각각 구성하는 4개의 프레임 부재는 단일 유닛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도 26 내지 도 31에 도시된 실시예 20 내지 22의 스크린 신장 프레임을 각각 구성하는 4개의 프레임 부재는 다른 유닛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4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된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12에서는 중실 스크린 신장 프레임의 결합부의 유연성은 프레임 부재의 결합부에 폭 방향으로 형성된 절단 홈을 통해 얻어진다.
실시예 1
도 4는 실시예 1의 구성을 도시하고, 도 5는 실시예 1의 기능을 설명한다.
도 4에서, (A)는 스크린 신장 프레임(30)의 전체도이고, (B)는 (A)에서 점선 원 B로 표시한 부분의 확대도이고, (C)는 (B)에서 점선 C로 표시한 부분의 단면도이다.
전체도의 도 4(A) 및 확대도의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 신장 프레임(30)은 4개의 프레임 부재(31a, 31b, 31c, 31d)가 사각형을 형성하도록 조립되고 용접 등에 의해 고정 결합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4개의 프레임 부재(31a, 31b, 31c, 31d)에는 각각 스크린 신장 지그에 형성된 맞물림 부재가 맞물리는 맞물림 홈(32a, 32b, 32c, 32d)이 형성되어 있다.
프레임 부재(31a)와 프레임 부재(31b)의 결합부의 내부측에는 내각부로부터 외각부로 절단 홈(33a)이 형성되고, 프레임 부재(31b)와 프레임 부재(31c)의 결합부의 내부측에는 내각부로부터 외각부로 절단 홈(33b)이 형성되고, 프레임 부재(31c)와 프레임 부재(31d)의 결합부의 내부측에는 내각부로부터 외각부로 절단 홈(33c)이 형성되고, 프레임 부재(31d)와 프레임 부재(31a)의 결합부의 내부측에는 내각부로부터 외각부로 절단 홈(33d)이 형성되어 있다.
4개의 프레임 부재(31a, 31b, 31c, 31d)는 모두 동일한 단면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도 4(C)에서 단면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 부재(31a)의 한 면에는 스크린 신장 지그의 맞물림 부재가 맞물리는 맞물림 홈(32a)이 형성되고, 대향하는 면은 스크린을 부착하기 위한 평면으로 설정되어 있다.
스크린 신장 프레임(30)에 스크린이 부착되고, 신장 지그의 맞물림 부재는 맞물림 홈(32a, 32b, 32c, 32d)에 맞물리고, 신장 지그를 신축시키면, 스크린 신장 프레임(30)이 신축되고 이에 따라 스크린에 대한 장력이 조절된다.
도 5를 참조하여 스크린 신장 프레임(30)의 기능이 설명된다.
4개의 프레임 부재(31a, 31b, 31c, 31d)를 결합하여 구성된 스크린 신장 프레임(30)은 이 도 5에는 도시되지 않은 스크린 신장 지그, 클램프, 바이스 등과 같은 도구를 사용하여 흑색 화살표 방향으로 압박된다. 따라서, 절단 홈(33a, 33b, 33c, 33d)의 개방 단부들이 축소됨에 따라, 프레임 부재(31a, 31b, 31c, 31d)는 내부쪽으로 굴곡되고, 스크린 신장 프레임(10)이 축소되고, 굴곡된 프레임 부재(31a', 31b', 31c', 31d')로 이루어진 축소된 스크린 신장 프레임(30')이 형성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스크린을 접착제 등에 의해 축소된 스크린 신장 프레임(30')에 고정한다.
스크린을 축소된 스크린 신장 프레임(30')에 고정하는 것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축소된 스크린 신장 프레임(30')에 스크린 신장 지그, 클램프, 바이스 등에 의해 가해지는 압박력이 해제된다.
축소된 스크린 신장 프레임(30')에의 압박력이 해제되면, 내부로 굴곡된 만곡된 프레임 부재(31a', 31b', 31c', 31d')는 모두 압축되지 않은 상태의 형상에 돌아가려고 하고, 절단 홈(33a', 33b', 33c', 33d')의 개방 단부들이 넓게 개방됨에 따라 축소된 스크린 신장 프레임(30')이 신장하며 이에 따라 이렇게 신장된 스크린 신장 프레임에 부착된 스크린에 장력이 부여된다.
이 장력은 신장 지그를 사용하지 않는 상태에서도 부여되어 있기 때문에 스크린이 단순히 스크린 신장 프레임에 고정된 상태에서도 스크린을 장력 상태로 두는 것이 가능하고, 이에 스크린이 처지는 일이 없다.
이 스크린 신장 프레임은 그 기능에 대한 상기 설명에서 명백하듯이, 신장 지그를 사용하지 않는 상태에서도 스크린에 장력을 부여할 수 있기 때문에 스크린 신장 지그를 사용하지 않고 스크린 신장 프레임만을 통해 스크린 인쇄를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절단 홈(33a, 33b, 33c, 33d)에 천연 고무 또는 합성 고무와 같은 중실 탄성 부재 또는 판 스프링 또는 코일 스프링과 같은 비중실 스프링을 삽입하면 개방 단부를 보호하며 탄성을 보충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예 2
실시예 1을 변형하여 얻어진 실시예 2는 도 6에 도시되고, 실시예 2의 기능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도 6에서, (A)는 스크린 신장 프레임(40)의 전체도이고, (B)는 (A)에서 점선 원 B으로 표시한 부분의 확대도이고, (C)는 (B)에서 점선 C로 표시한 부분의 단면도이다.
전체도의 도 5(A) 및 확대도의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 신장 프레임(40)은 4개의 프레임 부재(41a, 41b, 41c, 41d)가 사각형을 형성하도록 조립되고 용접 등에 의해 고정 결합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4개의 프레임 부재(41a, 41b, 41c, 41d)에는 각각 스크린 신장 지그에 형성된 맞물림 부재가 맞물리는 맞물림 홈(42a, 42b, 42c, 42d)이 형성되어 있다.
프레임 부재(41a)와 프레임 부재(41b)의 결합부의 내부측에는 내각부로부터 외각부로 경사진 절단 홈(43a)이 형성되고, 프레임 부재(41b)와 프레임 부재(41c)의 결합부의 내부측에는 내각부로부터 외각부로 좁은 경사진 절단 홈(43b)이 형성되고, 프레임 부재(41c)와 프레임 부재(41d)의 결합부의 내부측에는 내각부로부터 외각부로 좁은 경사진 절단 홈(43c)이 형성되고, 프레임 부재(41d)와 프레임 부재(41a)의 결합부의 내부측에는 내각부로부터 외각부로 좁은 경사진 절단 홈(43d)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프레임 부재(41a)에는 프레임 부재(41b)와의 결합부에서 외부측으로부터 내부측 쪽으로 수직하는 좁은 절단 홈(44ab) 및 프레임 부재(41d)와의 결합부에서 외부측으로부터 내부측 쪽으로 수직하는 좁은 절단 홈(44ad)이 형성되고, 프레임 부재(41b)에는 프레임 부재(41a)와의 결합부에서 외부측으로부터 내부측 쪽으로 수직하는 좁은 절단 홈(44ba) 및 프레임 부재(41c)와의 결합부에서 외부측으로부터 내부측 쪽으로 수직하는 좁은 절단 홈(44bc)이 형성되고, 프레임 부재(41c)에는 프레임 부재(41b)와의 결합부에서 외부측으로부터 내부측 쪽으로 수직하는 좁은 절단 홈(44cb) 및 프레임 부재(41d)와의 결합부에서 외부측으로부터 내부측 쪽으로 수직하는 좁은 절단 홈(44cd)이 형성되고, 프레임 부재(41d)에는 프레임 부재(41c)와의 결합부에서 외부측으로부터 내부측 쪽으로 수직하는 좁은 절단 홈(44dc) 및 프레임 부재(41a)와의 결합부에서 외부측으로부터 내부측 쪽으로 수직하는 좁은 절단 홈(44da)이 형성되어 있다.
4개의 프레임 부재(41a, 41b, 41c, 41d)는 모두 동일한 단면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도 6(C)에 단면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 부재(41a)의 한 면에는 스크린 신장 지그의 맞물림 부재가 맞물리는 맞물림 홈(42a)이 형성되어 있고, 그 대향하는 면은 스크린을 부착하기 위해 평면으로 설정되어 있다.
스크린 신장 프레임(40)에 스크린이 부착되고, 신장 지그의 맞물림 부재가 맞물림 홈(42a, 42b, 42c, 42d)에 맞물리고, 신장 지그를 신축시키면, 스크린 신장 프레임(40)이 신축하고 이에 스크린에 대한 장력이 조절된다.
도 7을 참조하여 스크린 신장 프레임(40)의 기능을 설명한다.
이 도 7에서 4개의 프레임 부재(41a, 41b, 41c, 41d)를 결합하여 구성된 스크린 신장 프레임(40)은 도 7에 도시되지 않은 스크린 신장 지그, 클램프, 바이스 등과 같은 도구를 사용하여 흑색 화살표 방향으로 압박된다. 따라서 절단 홈(43a, 43b, 43c, 43d)의 개방 단부들이 축소되어, 축소된 개방 단부들(43a', 43b', 43c', 43d', 43ab', 43ba', 43bc', 43cb', 43cd', 43dc', 43da', 43ad')이 생성되면, 프레임 부재(41a, 41b, 41c, 41d)는 내부쪽으로 이동하여 스크린 신장 프레임(40)이 축소되고, 이에 축소된 스크린 프레임 부재(41a', 41b', 41c', 41d')로 구성된 축소된 스크린 신장 프레임(40')이 생성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스크린을 접착제 등에 의해 스크린 신장 프레임(40')에 고정한다.
스크린이 축소된 스크린 신장 프레임(40')에 고정하는 것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축소된 스크린 신장 프레임(40')에 스크린 신장 지그, 클램프, 바이스 등에 의해 가해지는 압박력이 해제된다.
축소된 스크린 신장 프레임(40')에의 압박력이 해제되면 내부쪽으로 이동한 프레임 부재(41a', 41b', 41c', 41d')는 모두 압축되지 않은 상태의 형상으로 돌아가려고 하고, 절단 홈(43a', 43b', 43c', 43d', 43ab', 43ba', 43bc', 43cb', 43cd', 43dc', 43da', 43ad')의 개발 단부들이 널리 개방됨에 따라, 축소된 스크린 신장 프레임(40')이 신장되고, 이렇게 신장된 스크린 신장 프레임에 고정된 스크린에 장력이 부여된다.
이 장력은 신장 지그를 사용하지 않는 상태에서도 부여되어 있기 때문에 스크린을 단순히 스크린 신장 프레임에 고정한 상태에서도 스크린을 장력 상태에 있게 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에 스크린이 처지는 일이 없다.
이 스크린 신장 프레임은 그 기능에 대한 상기 설명에서 명백하듯이, 신장 지그를 사용하지 않는 상태에서도 스크린에 장력을 부여할 수 있기 때문에 스크린 신장 지그를 사용하지 않고 스크린 신장 프레임만을 통해 스크린 인쇄를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절단 홈(43a, 43b, 43c, 43d, 43ab, 43ba, 43bc, 43cb, 43cd, 43dc, 43da, 43ad)에 천연 고무 또는 합성 고무와 같은 중실 탄성 부재 또는 판 스프링 또는 코일 스프링과 같은 비중실 스프링을 삽입하면 개방 단부를 보호하고 탄성을 보충하는 것도 가능하다.
실시예 3
실시예 1을 변형하여 얻어진 다른 실시예인 실시예 3은 도 8에 도시된다.
이 도 8에서, (A)는 스크린 신장 프레임(50)의 전체도이고, (B)는 (A)에서 점선 원 B로 표시한 부분의 확대도이고, (C)는 (B)에서 점선 C로 표시한 부분의 단면도이다.
전체도의 도 8(A) 및 확대도의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 신장 프레임(50)은 4개의 프레임 부재(51a, 51b, 51c, 51d)가 사각형을 형성하도록 조립되고, 용접 등에 의해 고정 결합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4개의 프레임 부재(51a, 51b, 51c, 51d)에는 각각 스크린 신장 지그에 형성된 맞물림 부재가 맞물리는 맞물림 홈(52a, 52b, 52c, 52d)이 형성되어 있다.
프레임 부재(51a)와 프레임 부재(51b)의 결합부의 내부측에는 내각부로부터 외각부로 좁은 경사진 절단 홈(53a)이 형성되고, 프레임 부재(51b)와 프레임 부재(51c)의 결합부의 내부측에는 내각부로부터 외각부로 좁은 경사진 절단 홈(53b)이 형성되고, 프레임 부재(51c)와 프레임 부재(51d)의 결합부의 내부측에는 내각부로부터 외각부로 좁은 경사진 절단 홈(53c)이 형성되고, 프레임 부재(51d)와 프레임 부재(51a)의 결합부의 내부측에는 내각부로부터 외각부로 좁은 경사진 절단 홈(53d)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프레임 부재(51a)에는 프레임 부재(51b)와의 결합부의 내부측으로부터 외부측으로 수직하는 절단 홈(54ab) 및 프레임 부재(51d)와의 결합부의 내부측으로부터 외부측으로 수직하는 좁은 절단 홈(54ad)이 형성되고, 프레임 부재(51b)에는 프레임 부재(51a)와의 결합부의 내부측으로부터 외부측으로 수직하는 좁은 절단 홈(54ba) 및 프레임 부재(51c)와의 결합부의 내부측으로부터 외부측으로 수직하는 좁은 절단 홈(54bc)이 형성되고, 프레임 부재(51c)에는 프레임 부재(51b)와의 결합부의 내부측으로부터 외부측으로 수직하는 좁은 절단 홈(54cb) 및 프레임 부재(51d)와의 결합부의 내부측으로부터 외부측으로 수직하는 좁은 절단 홈(54cd)이 형성되고, 프레임 부재(51d)에는 프레임 부재(51c)와의 결합부의 내부측으로부터 외부측으로 수직하는 좁은 절단 홈(54dc) 및 프레임 부재(51a)와의 결합부의 내부측으로부터 외부측으로 수직하는 좁은 절단 홈(54da)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4개의 프레임 부재(51a, 51b, 51c, 51d)는 모두 동일한 단면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도 8(C)에서 단면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 부재(51a)의 한 면에는 스크린 신장 지그의 맞물림 부재가 맞물리는 맞물림 홈(52a)이 형성되어 있고 그 대향하는 면은 스크린을 부착하기 위해 평면으로 설정되어 있다.
스크린 신장 프레임(50)에 스크린이 부착되고, 신장 지그의 맞물림 부재가 맞물림 홈(52a, 52b, 52c, 52d)에 맞물리고, 신장 지그를 신축시키면, 스크린 신장 프레임(50)이 신축하고 이에 따라 스크린에 대한 장력이 조절된다.
4개의 프레임 부재(51a, 51b, 51c, 51d)를 결합하여 구성된 스크린 신장 프레임(50)이 스크린 신장 지그, 클램프, 바이스 등과 같은 도구를 이용하여 내부쪽 방향으로 압박되면, 내부측에 형성된 절단 홈(53a, 54ab, 54ba, 53b, 54bc, 54cb, 53c, 54cd, 54dc, 53d, 54da, 54ad)의 개방 단부들이 축소됨에 따라, 프레임 부재(51a, 51b, 51c, 51d)는 내부쪽으로 굴곡되고 이에 스크린 신장 프레임(50)이 축소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스크린을 접착제 등에 의해 축소된 스크린 신장 프레임에 고정한다.
스크린을 축소된 스크린 신장 프레임에 고정하는 것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축소된 스크린 신장 프레임에 스크린 신장 지그, 클램프, 바이스 등에 의해 가해지는 압박력이 해제된다.
축소된 스크린 신장 프레임에의 압박력이 해제되면, 내부쪽으로 굴곡된 프레임 부재는 모두 압축되지 않은 상태의 형상으로 돌아가려고 하고, 절단 홈(53a, 54ab, 54ba, 53b, 54bc, 54cb, 53c, 54cd, 54dc, 53d, 54da, 54ad)의 개방 단부들이 넓게 개방됨으로써, 프레임 부재(51a, 51b, 51c, 51d)는 외부쪽으로 신장되어, 스크린 신장 프레임(50)이 신장되게 하고, 이에 신장된 스크린 신장 프레임에 부착된 스크린에 장력이 부여된다.
이 장력은 신장 지그를 사용하지 않는 상태에서도 부여되어 있기 때문에 스크린을 단순히 스크린 신장 프레임에 고정한 상태에서도 스크린을 장력 상태에 두는 것이 가능하고, 스크린이 처지는 일이 없다.
절단 홈(53a, 53b, 53c, 53d, 54ab, 54ba, 54bc, 54cb, 54cd, 54dc, 54da, 54ad)에 천연 고무 또는 합성 고무와 같은 중실 탄성 부재 또는 판 스프링 또는 코일 스프링과 같은 비중실 스프링을 삽입하면 개방 단부를 보호하고 탄성을 보충하는 것도 가능하다.
실시예 4
실시예 1을 변형하여 얻어진 또 다른 실시예인 실시예 4는 도 9에 도시된다.
도 5 또는 도 7의 것에 대응하는 기능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9에서, (A)는 스크린 신장 프레임(60)의 전체도이고, (B)는 (A)에서 점선 원 B로 표시한 부분의 확대도이고, (C)는 (B)에서 점선 C로 표시한 부분의 단면도이다.
전체도의 도 9(A) 및 확대도의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 신장 프레임(60)은 4개의 프레임 부재(61a, 61b, 61c, 61d)가 사각형을 형성하도록 조립되어, 용접 등에 의해 고정 결합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4개의 프레임 부재(61a, 61b, 61c, 61d)에는 각각 스크린 신장 지그에 형성된 맞물림 부재가 맞물리는 맞물림 홈(62a, 62b, 62c, 62d)이 형성되어 있다.
프레임 부재(61a)와 프레임 부재(61b)의 결합부의 외부측에는 외각부로부터 내각부로 좁은 경사진 절단 홈(63a)이 형성되고, 프레임 부재(61b)와 프레임 부재(61c)의 결합부의 외부측에는 외각부로부터 내각부로 좁은 경사진 절단 홈(63b)이 형성되고, 프레임 부재(61c)와 프레임 부재(61d)의 결합부의 외부측에는 외각부로부터 내각부로 좁은 경사진 절단 홈(63c)이 형성되고, 프레임 부재(61d)와 프레임 부재(61a)의 결합부의 외부측에는 외각부로부터 내각부로 좁은 경사진 절단 홈(63d)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프레임 부재(61a)에는 프레임 부재(61b)와의 결합부의 외부측으로부터 내부측 쪽으로 좁은 경사진 절단 홈(64ab) 및 프레임 부재(61d)와의 결합부의 외부측으로부터 내부측 쪽으로 좁은 경사진 절단 홈(64ad)이 형성되고, 프레임 부재(61b)에는 프레임 부재(61a)와의 결합부의 외부측으로부터 내부측 쪽으로 좁은 경사진 절단 홈(64ba) 및 프레임 부재(61c)와의 결합부의 외부측으로부터 내부측 쪽으로 좁은 경사진 절단 홈(64bc)이 형성되고, 프레임 부재(61c)에는 프레임 부재(61b)와의 결합부의 외부측으로부터 내부측 쪽으로 좁은 경사진 절단 홈(64cb) 및 프레임 부재(61d)와의 결합부의 외부측으로부터 내부측 쪽으로 좁은 경사진 절단 홈(64cd)이 형성되고, 프레임 부재(61d)에는 프레임 부재(61c)와의 결합부의 외부측으로부터 내부측 쪽으로 좁은 경사진 절단 홈(64dc) 및 프레임 부재(61a)와의 결합부의 외부측으로부터 내부측으로 좁은 경사진 절단 홈(64da)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4개의 프레임 부재(61a, 61b, 61c, 61d)는 모두 동일한 단면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도 9(C)에서 단면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 부재(61a)의 한 면에는 스크린 신장 지그의 맞물림 부재가 맞물리는 맞물림 홈(62a)이 형성되어 있고, 그 대향하는 면은 스크린을 부착하기 위해 평면으로 설정되어 있다.
스크린 신장 프레임(60)에 스크린이 부착되고, 신장 지그의 맞물림 부재가 맞물림 홈(62a, 62b, 62c, 62d)에 맞물리고, 신장 지그를 신축시키면, 스크린 신장 프레임(60)은 신축하고 이에 스크린에 대한 장력이 조절된다.
4개의 프레임 부재(61a, 61b, 61c, 61d)를 결합하여 구성된 스크린 신장 프레임(60)이 스크린 신장 지그, 클램프, 바이스 등과 같은 도구를 이용하여 내부 방향으로 압박되면, 내부측에 형성된 절단 홈(63a, 63b, 63c, 63d)의 개방 단부들이 축소되고, 외부측에 형성된 절단 홈(64ab, 64ba, 64bc, 64cb, 64cd, 64dc, 64da, 64ad)의 개방 단부들이 넓게 개방됨으로써, 프레임 부재(61a, 61b, 61c, 61d)는 내부측으로 굴곡되고, 이에 스크린 신장 프레임(60)이 축소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스크린을 접착제 등에 의해 축소된 스크린 신장 프레임에 고정한다.
스크린을 축소된 스크린 신장 프레임에 고정하는 것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축소된 스크린 신장 프레임에 스크린 신장 지그, 클램프, 바이스 등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벽이 해제된다.
축소된 스크린 신장 프레임에의 압박력이 해제되면, 내부쪽으로 굴곡된 프레임 부재는 모두 압축되지 않은 상태의 형상으로 돌아가려고 하고, 내부측에 형성된 절단 홈(63a, 63b, 63c, 63d)의 개방 단부들이 넓게 개방되고 외부측에 형성된 절단 홈(44ab, 64ba, 64bc, 64cb, 64cd, 64dc, 64da, 64ad)의 개방 단부들이 축소됨에 따라, 프레임 부재(61a, 61b, 61c, 61d)는 외부쪽으로 신장되어, 스크린 신장 프레임(60)을 신장시키고 이에 신장된 스크린 신장 프레임에 부착된 스크린에 장력이 부여된다.
이 장력은 신장 지그를 사용하지 않는 상태에서도 부여되어 있기 때문에 스크린을 단순히 스크린 신장 프레임에 고정한 상태에서도 스크린을 장력 상태에 두는 것이 가능하고, 이에 스크린이 처지는 일이 없다.
절단 홈(63a, 63b, 63c, 63d, 64ab, 64ba, 64bc, 64cb, 64cd, 64dc, 64da, 64ad)에 천연 고무 또는 합성 고무와 같은 중실 탄성 부재 또는 판 스프링 또는 코일 스프링과 같은 비중실 스프링을 삽입하면 개방 단부를 보호하고 탄성을 보충하는 것도 가능하다.
실시예 5
실시예 1을 변형하여 얻어진 또 다른 실시예인 실시예 5는 도 10에 도시된다.
도 5 또는 도 7의 것에 대응하는 기능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0에서, (A)는 스크린 신장 프레임(70)의 전체도이고, (B)는 (A)에서 점선 원 B로 표시한 부분의 확대도이고, (C)는 (B)에서 점선 C로 표시한 부분의 단면도이다.
전체도의 도 10(A) 및 확대도의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 신장 프레임(70)은 4개의 프레임 부재(71a, 71b, 71c, 71d)가 사각형을 형성하도록 조립되고, 용접 등에 의해 고정 결합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4개의 프레임 부재(71a, 71b, 71c, 71d)에는 각각 스크린 신장 지그에 형성된 맞물림 부재가 맞물리는 맞물림 홈(72a, 72b, 72c, 72d)이 형성되어 있다.
프레임 부재(71a)와 프레임 부재(71b)의 결합부의 외부측에는 외각부로부터 내각부로 좁은 경사진 절단 홈(73a)이 형성되고, 프레임 부재(71b)와 프레임 부재(71c)의 결합부의 외부측에는 외각부로부터 내각부로 좁은 경사진 절단 홈(73b)이 형성되고, 프레임 부재(71c)와 프레임 부재(71d)의 결합부의 외부측에는 외각부로부터 내각부로 좁은 경사진 절단 홈(73c)이 형성되고, 프레임 부재(71d)와 프레임 부재(71a)의 결합부의 외부측에는 외각부로부터 내각부로 좁은 경사진 절단 홈(73d)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프레임 부재(71a)에는 프레임 부재(71b)와의 결합부의 내부측으로부터 외부측 쪽으로 좁은 경사진 절단 홈(74ab) 및 프레임 부재(71d)와의 결합부의 내부측으로부터 외부측 쪽으로 좁은 경사진 절단 홈(74ad)이 형성되고, 프레임 부재(71b)에는 프레임 부재(71a)와의 결합부의 내부측으로부터 외부측 쪽으로 좁은 경사진 절단 홈(74ba) 및 프레임 부재(71c)와의 결합부의 내부측으로부터 외부측 쪽으로 좁은 경사진 절단 홈(74bc)이 형성되고, 프레임 부재(71c)에는 프레임 부재(71b)와의 결합부의 내부측으로부터 외부측 쪽으로 좁은 경사진 절단 홈(74cb) 및 프레임 부재(71d)와의 결합부의 내부측으로부터 외부측 쪽으로 좁은 경사진 절단 홈(74cd)이 형성되고, 프레임 부재(71d)에는 프레임 부재(71c)와의 결합부의 내부측으로부터 외부측 쪽으로 좁은 경사진 절단 홈(74dc) 및 프레임 부재(71a)와의 결합부의 내부측으로부터 외부측 쪽으로 좁은 경사진 절단 홈(74da)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4개의 프레임 부재(71a, 71b, 71c, 71d)는 모두 동일한 단면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도 10(C)에서 단면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 부재(71a)의 한 면에는 스크린 신장 지그의 맞물림 부재가 맞물리는 맞물림 홈(72a)이 형성되어 있고, 그 대향하는 면은 스크린을 부착하기 위해 평면으로 설명되어 있다.
스크린 신장 프레임(70)에 스크린이 부착되고, 신장 지그의 맞물림 부재가 맞물림 홈(72a, 72b, 72c, 72d)에 맞물리고, 신장 지그를 신축시키면, 스크린 신장 프레임(70)이 신축하고 이에 따라 스크린에 대한 장력이 조절된다.
4개의 프레임 부재(71a, 71b, 71c, 71d)를 결합하여 구성된 스크린 신장 프레임(70)이 스크린 신장 지그, 클램프, 바이스 등과 같은 도구를 이용하여 내부 방향으로 압박되면, 절단 홈(73a, 73b, 73c, 73d, 74ab, 74ba, 74bc, 74cb, 74cd, 74dc, 74da, 74ad)의 개방 단부들이 축소됨에 따라, 프레임 부재(71a, 71b, 71c, 71d)는 내부쪽으로 굴곡되고, 이에 스크린 신장 프레임(70)이 축소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스크린을 접착제 등에 의해 축소된 스크린 신장 프레임에 고정한다.
스크린을 축소된 스크린 신장 프레임에 고정하는 것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축소된 스크린 신장 프레임에 스크린 신장 지그, 클램프, 바이스 등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벽이 해제된다.
축소된 스크린 신장 프레임에의 압박력이 해제되면, 내부쪽으로 굴곡된 프레임 부재는 모두 압축되지 않은 상태의 형상으로 돌아가려고 하고, 절단 홈(73a, 73b, 73c, 73d, 74ab, 74ba, 74bc, 74cb, 74cd, 74dc, 74da, 74ad)의 개방 단부들이 넓게 개방됨으로써, 프레임 부재(71a, 71b, 71c, 71d)는 외부측으로 신장되어 스크린 신장 프레임(70)을 신장시키고 이렇게 신장된 스크린 신장 프레임에 부착된 스크린에 장력이 부여된다.
이 장력은 신장 지그를 사용하지 않는 상태에서도 부여되어 있기 때문에 스크린을 단순히 스크린 신장 프레임에 고정한 상태에서도 스크린을 장력 상태에 두는 것이 가능하고, 이에 스크린이 처지는 일이 없다.
절단 홈(73a, 73b, 73c, 73d, 74ab, 74ba, 74bc, 74cb, 74cd, 74dc, 74da, 74ad)에 천연 고무 또는 합성 고무와 같은 중실 탄성 부재 또는 판 스프링 또는 코일 스프링과 같은 비중실 스프링을 삽입하면 개방 단부를 보호하고 탄성을 보충하는 것도 가능하다.
실시예 6
도 11에 실시예 6의 구성이 도시된다.
도 5 또는 도 7의 것에 대응하는 기능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1에서, (A)는 스크린 신장 프레임(80)의 전체도이고, (B)는 (A)에서 점선 원 B로 표시한 부분의 확대도이고, (C)는 (B)에서 점선 C로 표시한 부분의 단면도이다.
전체도의 도 11(A) 및 확대도의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 신장 프레임(80)은 4개의 프레임 부재(81a, 81b, 81c, 81d)가 사각형을 형성하도록 조립되고, 용접 등에 의해 고정 결합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4개의 프레임 부재(81a, 81b, 81c, 81d)에는 각각 스크린 신장 지그에 형성된 맞물림 부재가 맞물리는 맞물림 홈(82a, 82b, 82c, 82d)이 형성되어 있다.
프레임 부재(81a)와 프레임 부재(81b)의 결합부의 외부측에는 외각부로부터 내각부 쪽으로 좁은 절단 홈(83a)이 형성되고, 프레임 부재(81b)와 프레임 부재(81c)의 결합부의 외부측에는 외각부로부터 내각부 쪽으로 좁은 절단 홈(83b)이 형성되고, 프레임 부재(81c)와 프레임 부재(81d)의 결합부의 외부측에는 외각부로부터 내각부 쪽으로 좁은 절단 홈(83c)이 형성되고, 프레임 부재(81d)와 프레임 부재(81a)의 결합부의 외부측에는 외각부로부터 외각부 쪽으로 좁은 절단 홈(83d)이 형성되어 있다.
4개의 프레임 부재(81a, 81b, 81c, 81d)는 모두 동일한 단면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도 11(C)에서 단면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 부재(81a)의 한 면에는 스크린 신장 지그의 맞물림 부재가 맞물리는 맞물림 홈(82a)이 형성되고, 그 대향하는 면은 스크린을 부착하기 위해 평면으로 설정되어 있다.
스크린 신장 프레임(80)에 스크린이 부착되고, 신장 지그의 맞물림 부재가 맞물림 홈(82a, 82b, 82c, 82d)에 맞물리고, 신장 지그를 신축시키면, 스크린 신장 프레임(80)이 신축하고 이에 스크린에 대한 장력이 조절된다.
4개의 프레임 부재(81a, 81b, 81c, 81d)를 결합하여 구성된 스크린 신장 프레임(80)이 스크린 신장 지그, 클램프, 바이스 등과 같은 도구를 이용하여 내부쪽 방향으로 압박되면, 절단 홈(83a, 83b, 83c, 83d)의 개방 단부들이 축소됨에 따라, 프레임 부재(81a, 81b, 81c, 81d)는 내부쪽으로 굴곡되고, 이에 스크린 신장 프레임(80)이 축소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스크린을 접착제 등에 의해 축소된 스크린 신장 프레임에 고정한다.
스크린을 축소된 스크린 신장 프레임에 고정하는 것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축소된 스크린 신장 프레임에 스크린 신장 지그, 클램프, 바이스 등에 의해 가해지는 압박력이 해제된다.
축소된 스크린 신장 프레임에 압박력이 해제되면, 내부쪽으로 굴곡된 프레임 부재는 모두 압축되지 않은 상태의 형상으로 돌아가려고 하고, 절단 홈(83a, 83b, 83c, 83d)의 개방 단부들이 넓게 개방됨으로써, 프레임 부재(81a, 81b, 81c, 81d)는 외부측으로 신장되어 스크린 신장 프레임(80)을 신장시키고 이에 신장된 스크린 신장 프레임에 부착된 스크린에 장력이 부여된다.
이 장력은 신장 지그를 사용하지 않는 상태에서도 부여되어 있기 때문에 스크린을 단순히 스크린 신장 프레임에 고정한 상태에서도 스크린을 장력 상태에 두는 것이 가능하고, 이에 스크린이 처지는 일이 없다.
실시예 7
실시예 6을 변형하여 얻어진 실시예 7이 도 12에 도시된다.
도 5 또는 도 7의 것에 대응하는 기능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2에서, (A)는 스크린 신장 프레임(90)의 전체도이고, (B)는 (A)에서 점선 원 B로 표시한 부분의 확대도이고, (C)는 (B)에서 점선 C로 표시한 부분의 단면도이다.
전체도의 도 12(A) 및 확대도의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 신장 프레임(90)은 4개의 프레임 부재(91a, 91b, 91c, 91d)가 사각형을 형성하도록 조립되어, 용접 등에 의해 고정 결합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4개의 프레임 부재(91a, 91b, 91c, 91d)에는 각각 스크린 신장 지그에 형성된 맞물림 부재가 맞물리는 맞물림 홈(92a, 92b, 92c, 92d)이 형성되어 있다.
프레임 부재(91a)와 프레임 부재(91b)의 결합부의 외부측에는 외각부로부터 내각부 쪽으로 좁은 경사진 절단 홈(93a)이 형성되고, 프레임 부재(91b)와 프레임 부재(91c)의 결합부의 외부측에는 외각부로부터 내각부 쪽으로 좁은 경사진 절단 홈(93b)이 형성되고, 프레임 부재(91c)와 프레임 부재(91d)의 결합부의 외부측에는 외각부로부터 내각부 쪽으로 좁은 경사진 절단 홈(93c)이 형성되고, 프레임 부재(91d)와 프레임 부재(91a)의 결합부의 외부측에는 외각부로부터 내각부 쪽으로 좁은 경사진 절단 홈(93d)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프레임 부재(91a)에는 프레임 부재(91b)와의 결합부에서 내부측으로부터 외부측으로 수직하는 좁은 절단 홈(94ab) 및 프레임 부재(91d)와의 결합부에서 내부측으로부터 외부측으로 수직하는 좁은 절단 홈(94ad)이 형성되고, 프레임 부재(91b)에는 프레임 부재(91a)와의 결합부에서 내부측으로부터 외부측으로 수직하는 좁은 절단 홈(94ba) 및 프레임 부재(91c)와의 결합부에서 내부측으로부터 외부측으로 수직하는 향하는 좁은 절단 홈(94bc)이 형성되고, 프레임 부재(91c)에는 프레임 부재(91b)와의 결합부에서 내부측으로부터 외부측으로 수직하는 좁은 절단 홈(94cb) 및 프레임 부재(91d)와의 결합부에서 내부측으로부터 외부측으로 수직하는 좁은 절단 홈(94cd)이 형성되고, 프레임 부재(91d)에는 프레임 부재(91c)와의 결합부에서 내부측으로부터 외부측으로 수직하는 좁은 절단 홈(94dc) 및 프레임 부재(91a)와의 결합부에서 내부측으로부터 외부측으로 수직하는 좁은 절단 홈(94da)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4개의 프레임 부재(91a, 91b, 91c, 91d)는 모두 동일한 단면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도 12(C)에서 단면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 부재(91a)의 한 면에는 스크린 신장 지그의 맞물림 부재가 맞물리는 맞물림 홈(92a)이 형성되어 있고, 그 대향하는 면은 스크린을 부착하기 위해 평면으로 설정되어 있다.
스크린 신장 프레임(90)에 스크린이 부착되고, 신장 지그의 맞물림 부재가 맞물림 홈(92a, 92b, 92c, 92d)에 맞물리고, 신장 지그를 신축시키면, 스크린 신장 프레임(90)이 신축하고 이에 스크린에 대한 장력이 조절된다.
4개의 프레임 부재(91a, 91b, 91c, 91d)를 결합하여 구성된 스크린 신장 프레임(90)이 스크린 신장 지그, 클램프, 바이스 등과 같은 도구를 이용하여 내부쪽 방향으로 압박되면, 외부측에 형성된 절단 홈(93a, 93b, 93c, 93d)의 개방 단부들이 넓게 개방되고, 내부측에 형성된 절단 홈(94ab, 94ba, 94bc, 94cb, 94cd, 94dc, 94da, 94ad)의 개방 단부들이 축소됨에 따라, 프레임 부재(91a, 91b, 91c, 91d)는 내부쪽으로 굴곡되고, 이에 스크린 신장 프레임(10)이 축소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스크린을 접착제 등에 의해 축소된 스크린 신장 프레임에 고정한다.
스크린을 축소된 스크린 신장 프레임에 고정하는 것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축소된 스크린 신장 프레임에 스크린 신장 지그, 클램프, 바이스 등에 의해 가해지는 압박력이 해제된다.
축소된 스크린 신장 프레임에의 압박력이 해제되면, 내부쪽으로 굴곡된 프레임 부재는 모두 압축되지 않은 상태의 형상으로 돌아가려고 하고, 절단 홈(93a, 93b, 93c, 93d)의 개방 단부들이 축소되고, 절단 홈(94ab, 94ba, 94bc, 94cb, 94cd, 94dc, 94da, 94ad)의 개방 단부들이 넓게 개방됨으로써, 프레임 부재(91a, 91b, 91c, 91d)는 산장하여 스크린 신장 프레임(90)을 신장시키고 이에 신장된 스크린 신장 프레임에 부착된 스크린에 장력이 부여된다.
이 장력은 신장 지그를 사용하지 않는 상태에서도 부여되어 있기 때문에 스크린을 단순히 스크린 신장 프레임에 고정한 상태에서도 스크린을 장력 상태에 두는 것이 가능하고, 이에 스크린이 처지는 일이 없다.
절단 홈(93a, 93b, 93c, 93d, 94ab, 94ba, 94bc, 94cb, 94cd, 94dc, 94da, 94ad)에 천연 고무 또는 합성 고무와 같은 중실 탄성 부재 또는 판 스프링 또는 코일 스프링과 같은 비중실 스프링을 삽입하면 개방 단부를 보호하고 탄성을 보충하는 것도 가능하다.
실시예 8
실시예 6을 변형하여 얻어진 다른 실시예인 실시예 8이 도 13에 도시된다.
도 5 또는 도 7의 것에 대응하는 기능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3에서, (A)는 스크린 신장 프레임(100)의 전체도이고, (B)는 (A)에서 점선 원 B로 표시한 부분의 확대도이고, (C)는 (B)에서 점선 C로 표시한 부분의 단면도이다.
전체도의 도 13(A) 및 확대도의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 신장 프레임(100)은 4개의 프레임 부재(101a, 101b, 101c, 101d)가 사각형을 형성하도록 조립되어, 용접 등에 의해 고정 결합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4개의 프레임 부재(101a, 101b, 101c, 101d)에는 각각 스크린 신장 지그에 형성된 맞물림 부재가 맞물리는 맞물림 홈(102a, 102b, 102c, 102d)이 형성되어 있다.
프레임 부재(101a)와 프레임 부재(101b)의 결합부의 외부측에는 외각부로부터 내각부로 좁은 경사진 절단 홈(103a)이 형성되고, 프레임 부재(101b)와 프레임 부재(101c)의 결합부의 외부측에는 외각부로부터 내각부로 좁은 경사진 절단 홈(103b)이 형성되고, 프레임 부재(101c)와 프레임 부재(101d)의 결합부의 외부측에는 외각부로부터 내각부로 좁은 경사진 절단 홈(103c)이 형성되고, 프레임 부재(101d)와 프레임 부재(101a)의 결합부의 외부측에는 외각부로부터 내각부로 좁은 경사진 절단 홈(103d)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프레임 부재(101a)에는 프레임 부재(101b)와의 결합부에서 외부측으로부터 내부측으로 수직하는 절단 홈(104ab) 및 프레임 부재(101d)와의 결합부에서 외부측으로부터 내부측으로 수직하는 절단 홈(104ad)이 형성되고, 프레임 부재(101b)에는 프레임 부재(101a)와의 결합부에서 외부측으로부터 내부측으로 수직하는 절단 홈(104ba) 및 프레임 부재(101c)의 결합부에서 외부측으로부터 내부측으로 수직하는 절단 홈(104bc)이 형성되고, 프레임 부재(101c)에는 프레임 부재(101b)와의 결합부에서 외부측으로부터 내부측으로 수직하는 절단 홈(104cb) 및 프레임 부재(101d)와의 결합부에서 외부측으로부터 내부측으로 수직하는 절단 홈(104cd)이 형성되고, 프레임 부재(101d)에는 프레임 부재(101c)의 결합부에서 외부측으로부터 내부측으로 수직하는 절단 홈(104dc) 및 프레임 부재(101a)와의 결합부에서 외부측으로부터 내부측으로 수직하는 절단 홈(104da)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4개의 프레임 부재(101a, 101b, 101c, 101d)는 모두 동일한 단면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도 13(C)에서 단면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 부재(101a)의 한 면에는 스크린 신장 지그의 맞물림 부재가 맞물리는 맞물림 홈(102a)이 형성되어 있고, 그 대향하는 면은 스크린을 부착하기 위해 평면으로 설정되어 있다.
스크린 신장 프레임(100)에 스크린이 부착되고, 신장 지그의 맞물림 부재가 맞물림 홈(102a, 102b, 102c, 102d)에 맞물리고, 신장 지그를 신축시키면, 스크린 신장 프레임(100)이 신축하고 이에 스크린에 대한 장력이 조절된다.
4개의 프레임 부재(101a, 101b, 101c, 101d)를 결합하여 구성된 스크린 신장 프레임(100)이 스크린 신장 지그, 클램프, 바이스 등과 같은 도구를 이용하여 내부쪽 방향으로 압박되면, 절단 홈(103a, 103b, 103c, 103d)의 개방 단부들이 넓게 개방되고, 절단 홈(104ab, 104ba, 104bc, 104cb, 104cd, 104dc, 104da, 104ad)의 개방 단부들이 축소됨에 따라, 프레임 부재(101a, 101b, 101c, 101d)는 내부쪽으로 굴곡되고 이에 스크린 신장 프레임(100)이 축소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스크린을 접착제 등에 의해 축소된 스크린 신장 프레임에 고정한다.
스크린을 축소된 스크린 신장 프레임에 고정하는 것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축소된 스크린 신장 프레임에 스크린 신장 지그, 클램프, 바이스 등에 의해 가해지는 압박력이 해제된다.
축소된 스크린 신장 프레임에의 압박력이 해제되면, 내부쪽으로 굴곡된 프레임 부재는 모두 압축되지 않은 상태의 형상으로 돌아가려고 하고, 절단 홈(103a, 103b, 103c, 103d)의 개방 단부들이 축소되고, 절단 홈(104ab, 104ba, 104bc, 104cb, 104cd, 104dc, 104da, 104ad)의 개방 단부들이 축소됨에 따라, 프레임 부재(101a, 101b, 101c, 101d)는 외부쪽으로 신장되어 스크린 신장 프레임(100)을 신장시키고 이렇게 신장된 스크린 신장 프레임에 부착된 스크린에 장력이 부여된다.
이 장력은 신장 지그를 사용하지 않는 상태에서도 부여되어 있기 때문에 스크린을 단순히 스크린 신장 프레임에 고정한 상태에서도 스크린을 장력 상태에 두는 것이 가능하고, 이에 스크린이 처지는 일이 없다.
절단 홈(103a, 103b, 103c, 103d, 104ab, 104ba, 104bc, 104cb, 104cd, 104dc, 104da, 104ad)에 천연 고무 또는 합성 고무와 같은 중실 탄성 부재 또는 판 스프링 또는 코일 스프링과 같은 비중실 스프링을 삽입하면 개방 단부를 보호하고 탄성을 보충하는 것도 가능하다.
실시예 9
실시예 6을 변형하여 얻어진 다른 실시예인 실시예 9는 도 14에 도시된다.
도 5 또는 도 7의 것에 대응하는 기능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4에서, (A)는 스크린 신장 프레임(110)의 전체도이고, (B)는 (A)에서 점선 원 B로 표시한 부분의 확대도이고, (C)는 (B)에서 점선 C로 표시한 부분의 단면도이다.
전체도의 도 14(A) 및 확대도의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 신장 프레임(110)은 4개의 프레임 부재(111a, 111b, 111c, 111d)가 사각형을 형성하도록 조립되고, 용접 등에 의해 고정 결합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4개의 프레임 부재(111a, 111b, 111c, 111d)에는 각각 스크린 신장 지그에 형성된 맞물림 부재가 맞물리는 맞물림 홈(112a, 112b, 112c, 112d)이 형성되어 있다.
프레임 부재(111a)와 프레임 부재(111b)의 결합부의 외부측에는 외각부로부터 내각부로 좁은 경사진 절단 홈(113a)이 형성되고, 프레임 부재(111b)와 프레임 부재(111c)의 결합부의 외부측에는 외각부로부터 내각부로 좁은 경사진 절단 홈(113b)이 형성되고, 프레임 부재(111c)와 프레임 부재(111d)의 결합부의 외부측에는 외각부로부터 내각부로 좁은 경사진 절단 홈(113c)이 형성되고, 프레임 부재(111d)와 프레임 부재(111a)의 결합부의 외부측에는 외각부로부터 내각부로 좁은 경사진 절단 홈(113d)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프레임 부재(111a)에는 프레임 부재(111b)와의 결합부의 내부측으로부터 외부측으로 향하는 좁은 경사진 절단 홈(114ab) 및 프레임 부재(111d)와의 결합부의 내부측으로부터 외부측으로 향하는 좁은 경사진 절단 홈(114ad)이 형성되고, 프레임 부재(111b)에는 프레임 부재(111a)와의 결합부의 내부측으로부터 외부측으로 향하는 좁은 경사진 절단 홈(114ba) 및 프레임 부재(111c)와의 결합부의 내부측으로부터 외부측으로 향하는 좁은 경사진 절단 홈(114bc)이 형성되고, 프레임 부재(111c)에는 프레임 부재(111b)와의 결합부의 내부측으로부터 외부측으로 향하는 좁은 경사진 절단 홈(114cb) 및 프레임 부재(111d)와의 결합부의 내부측으로부터 외부측으로 향하는 좁은 경사진 절단 홈(114cd)이 형성되고, 프레임 부재(111d)에는 프레임 부재(111c)와의 결합부의 내부측으로부터 외부측으로 향하는 좁은 경사진 절단 홈(114dc) 및 프레임 부재(111a)와의 결합부의 내부측으로부터 외부측으로 향하는 좁은 경사진 절단 홈(114da)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4개의 프레임 부재(111a, 111b, 111c, 111d)는 모두 동일한 단면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도 14(C)에서 단면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 부재(111a)의 한 면에는 스크린 신장 지그의 맞물림 부재가 맞물리는 맞물림 홈(112a)이 형성되어 있고, 그 대향하는 면은 스크린을 부착하기 위해 평면으로 설정되어 있다.
스크린 신장 프레임(110)에 스크린이 부착되고, 신장 지그의 맞물림 부재가 맞물림 홈(112a, 112b, 112c, 112d)에 맞물리고, 신장 지그를 신축시키면, 스크린 신장 프레임(110)이 신축하고 이에 스크린에 대한 장력이 조절된다.
4개의 프레임 부재(111a, 111b, 111c, 111d)를 결합하여 구성된 스크린 신장 프레임(110)이 스크린 신장 지그, 클램프, 바이스 등과 같은 도구를 이용하여 내부쪽 방향으로 압박되면, 외부측에 형성된 절단 홈(113a, 113b, 113c, 113d)의 개방 단부들이 넓게 개방되고, 내부측에 형성된 절단 홈(114ab, 114ba, 114bc, 114cb, 114cd, 114dc, 114da, 114ad)의 개방 단부들이 축소됨에 따라, 프레임 부재(111a, 111b, 111c, 111d)는 내부쪽으로 굴곡되고, 이에 스크린 신장 프레임(110)이 축소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스크린을 접착제 등에 의해 축소된 스크린 신장 프레임에 고정한다.
스크린을 축소된 스크린 신장 프레임에 고정하는 것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축소된 스크린 신장 프레임에 스크린 신장 지그, 클램프, 바이스 등에 의해 가해지는 압박력이 해제된다.
축소된 스크린 신장 프레임에의 압박력이 해제되면, 내부쪽으로 굴곡된 프레임 부재는 모두 압축되지 않은 상태의 형상으로 돌아가려고 하고, 외부측에 형성된 절단 홈(113a, 113b, 113c, 113d)의 개방 단부들이 축소되고, 내부측에 형성된 절단 홈(114ab, 114ba, 114bc, 114cb, 114cd, 114dc, 114da, 114ad)의 개방 단부들이 넓게 개방됨으로써, 프레임 부재(111a, 111b, 111c, 111d)는 외부쪽으로 신장되어 스크린 신장 프레임(110)을 신장시키고 이에 신장된 스크린 신장 프레임에 부착된 스크린에 장력이 부여된다.
이 장력은 신장 지그를 사용하지 않는 상태에서도 부여되어 있기 때문에 스크린을 단순히 스크린 신장 프레임에 고정한 상태에서도 스크린을 장력 상태에 두는 것이 가능하고, 이에 스크린이 처지는 일이 없다.
절단 홈(113a, 113b, 113c, 113d, 114ab, 114ba, 114bc, 114cb, 114cd, 114dc, 114da, 114ad)에 천연 고무 또는 합성 고무와 같은 중실 탄성 부재 또는 판 스프링 또는 코일 스프링과 같은 비중실 스프링을 삽입하면 개방 단부를 보호하고 탄성을 보충하는 것도 가능하다.
실시예 10
실시예 6을 변형하여 얻어진 다른 실시예인 실시예 10은 도 15에 도시된다.
도 5 또는 도 7의 것에 대응하는 기능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5에서, (A)는 스크린 신장 프레임(120)의 전체도이고, (B)는 (A)에서 점선 원 B으로 표시한 부분의 확대도이고, (C)는 (B)에서 점선 C로 표시한 부분의 단면도이다.
전체도의 도 15(A) 및 확대도의 도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 신장 프레임(120)은 4개의 프레임 부재(121a, 121b, 121c, 121d)가 사각형을 형성하도록 조립되고, 용접 등에 의해 고정 결합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4개의 프레임 부재(121a, 121b, 121c, 121d)에는 각각 스크린 신장 지그에 형성된 맞물림 부재가 맞물리는 맞물림 홈(122a, 122b, 122c, 122d)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프레임 부재(121a)와 프레임 부재(121b)의 결합부의 외부측에는 외각부로부터 내각부로 향하는 좁은 경사진 절단 홈(123a)이 형성되고, 프레임 부재(121b)와 프레임 부재(121c)의 결합부의 외부측에는 외각부로부터 내각부로 향하는 좁은 경사진 절단 홈(123b)이 형성되고, 프레임 부재(121c)와 프레임 부재(121d)의 결합부의 외부측에는 외각부로부터 내각부로로 향하는 좁은 경사진 절단 홈(123c)이 형성되고, 프레임 부재(121d)와 프레임 부재(121a)의 결합부의 외부측에는 외각부로부터 내각부로 향하는 좁은 경사진 절단 홈(123d)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프레임 부재(121a)에는 프레임 부재(121b)와의 결합부에서 외부측으로부터 내부측으로 향하는 좁은 경사진 절단 홈(124ab) 및 프레임 부재(121d)와의 결합부에서 외부측으로부터 내부측으로 향하는 좁은 경사진 절단 홈(124ad)이 형성되고, 프레임 부재(121b)에는 프레임 부재(121a)와의 결합부에서 외부측으로부터 내부측으로 향하는 좁은 경사진 절단 홈(124ba) 및 프레임 부재(121c)와의 결합부에서 외부측으로부터 내부측으로 향하는 좁은 경사진 절단 홈(124bc)이 형성되고, 프레임 부재(121c)에는 프레임 부재(121b)와의 결합부에서 외부측으로부터 내부측으로 향하는 좁은 경사진 절단 홈(124cb) 및 프레임 부재(121d)와의 결합부에서 외부측으로부터 내부측으로 향하는 좁은 경사진 절단 홈(124cd)이 형성되고, 프레임 부재(121d)에는 프레임 부재(121c)와의 결합부에서 외부측으로부터 내부측으로 향하는 좁은 경사진 절단 홈(124dc) 및 프레임 부재(121a)와의 결합부에서 외부측으로부터 내부측으로 향하는 좁은 경사진 절단 홈(124da)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4개의 프레임 부재(121a, 121b, 121c, 121d)는 모두 동일한 단면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도 15(C)에서 단면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 부재(121a)의 한 면에는 스크린 신장 지그의 맞물림 부재가 맞물리는 맞물림 홈(122a)이 형성되어 있고, 그 대향하는 면은 스크린을 부착하기 위해 평면으로 설정되어 있다.
스크린 신장 프레임(120)에 스크린이 부착되고, 신장 지그의 맞물림 부재가 맞물림 홈(122a, 122b, 122c, 122d)에 맞물리고, 신장 지그를 신축시키면, 스크린 신장 프레임(120)이 신축하고 이에 스크린에 대한 장력이 조절된다.
4개의 프레임 부재(121a, 121b, 121c, 121d)를 결합하여 구성된 스크린 신장 프레임(120)이 스크린 신장 지그, 클램프, 바이스 등과 같은 도구를 이용하여 내부쪽 방향으로 압박되면, 절단 홈(123a, 123b, 123c, 123d, 124ab, 124ba, 124bc, 124cb, 124cd, 124dc, 124da, 124ad)의 개방 단부들이 넓게 개방됨으로써, 프레임 부재(121a, 121b, 121c, 121d)는 내부쪽으로 굴곡되고 이에 스크린 신장 프레임(120)이 축소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스크린을 접착제 등에 의해 축소된 스크린 신장 프레임에 고정한다.
스크린을 축소된 스크린 신장 프레임에 고정하는 것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축소된 스크린 신장 프레임에 스크린 신장 지그, 클램프, 바이스 등에 의해 가해지는 압박력이 해제된다.
축소된 스크린 신장 프레임에의 압박력이 해제되면, 내부쪽으로 굴곡된 프레임 부재는 모두 압축되지 않은 상태의 형상으로 돌아가려고 하고, 절단 홈(123a, 123b, 123c, 123d, 124ab, 124ba, 124bc, 124cb, 124cd, 124dc, 124da, 124ad)의 개방 단부들이 축소됨에 따라, 프레임 부재(121a, 121b, 121c, 121d)는 외부쪽으로 신장되어 스크린 신장 프레임(120)을 신장시키고 이에 신장된 스크린 신장 프레임에 부착된 스크린에 장력이 부여된다.
이 장력은 신장 지그를 사용하지 않는 상태에서도 부여되어 있기 때문에 스크린을 단순히 스크린 신장 프레임에 고정한 상태에서도 스크린을 장력 상태에 두는 것이 가능하고, 이에 스크린이 처지는 일이 없다.
절단 홈(123a, 123b, 123c, 123d, 124ab, 124ba, 124bc, 124cb, 124cd, 124dc, 124da, 124ad)에 천연 고무 또는 합성 고무와 같은 중실 탄성 부재 또는 판 스프링 또는 코일 스프링과 같은 비중실 스프링을 삽입하면 개방 단부를 보호하고 탄성을 보충하는 것도 가능하다.
실시예 11
실시예 11은 도 16에 도시된다.
도 5 또는 도 7의 것에 대응하는 기능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6에서, (A)는 스크린 신장 프레임(130)의 전체도이고, (B)는 (A)에서 점선 원 B로 표시한 부분의 확대도이고, (C)는 (B)에서 점선 C로 표시한 부분의 단면도이다.
전체도의 도 16(A) 및 확대도의 도 1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 신장 프레임(130)은 4개의 프레임 부재(131a, 131b, 131c, 131d)가 사각형을 형성하도록 조립되고, 용접 등에 의해 고정 결합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4개의 프레임 부재(131a, 131b, 131c, 131d)에는 각각 스크린 신장 지그에 형성된 맞물림 부재가 맞물리는 맞물림 홈(132a, 132b, 132c, 132d)이 형성되어 있다.
프레임 부재(131a)에는 프레임 부재(131b)와의 결합부에서 외부측으로부터 수직하게 내부측으로 향하는 좁은 절단 홈(134ab) 및 프레임 부재(131d)와의 결합부에서 외부측으로부터 수직하게 내부측으로 향하는 좁은 절단 홈(134ad)이 형성되고, 프레임 부재(131b)에는 프레임 부재(131a)와의 결합부에서 외부측으로부터 수직하게 내부측으로 향하는 좁은 절단 홈(134ba) 및 프레임 부재(131c)와의 결합부에서 외부측으로부터 수직하게 내부측으로 향하는 좁은 절단 홈(134bc)이 형성되고, 프레임 부재(131c)에는 프레임 부재(131b)와의 결합부에서 외부측으로부터 수직하게 내부측으로 향하는 좁은 절단 홈(134cb) 및 프레임 부재(131d)와의 결합부에서 외부측으로부터 수직하게 내부측으로 향하는 좁은 절단 홈(134cd)이 형성되고, 프레임 부재(131d)에는 프레임 부재(131c)와의 결합부에서 외부측으로부터 수직하게 내부측으로 향하는 좁은 절단 홈(134dc) 및 프레임 부재(131a)와의 결합부에서 외부측으로부터 수직하게 내부측으로 향하는 좁은 절단 홈(134da)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4개의 프레임 부재(131a, 131b, 131c, 131d)는 모두 동일한 단면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도 16(C)에서 단면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 부재(131a)의 한 면에는 스크린 신장 지그의 맞물림 부재가 맞물리는 맞물림 홈(132a)이 형성되어 있고, 그 대향하는 면은 스크린을 부착하기 위해 평면으로 설정되어 있다.
스크린 신장 프레임(130)에 스크린이 부착되고, 신장 지그의 맞물림 부재가 맞물림 홈(132a, 132b, 132c, 132d)에 맞물리고, 신장 지그를 신축시키면, 스크린 신장 프레임(130)이 신축하고 이에 스크린에 대한 장력이 조절된다.
4개의 프레임 부재(131a, 131b, 131c, 131d)를 결합하여 구성된 스크린 신장 프레임(130)이 스크린 신장 지그, 클램프, 바이스 등과 같은 도구를 이용하여 내부쪽 방향으로 압박되면, 외부측에 형성된 절단 홈(134ab, 134ba, 134bc, 134cb, 134cd, 134dc, 134da, 134ad)의 개방 단부들도 축소됨에 따라, 프레임 부재(131a, 131b, 131c, 131d)는 내부쪽으로 굴곡되고, 이에 스크린 신장 프레임(130)이 축소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스크린을 접착제 등에 의해 축소된 스크린 신장 프레임에 고정한다.
스크린을 축소된 스크린 신장 프레임에 고정하는 것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축소된 스크린 신장 프레임에 스크린 신장 지그, 클램프, 바이스 등에 의해 가해지는 압박력이 해제된다.
축소된 스크린 신장 프레임에의 압박력이 해제되면, 내부쪽으로 굴곡된 프레임 부재는 모두 압축되지 않은 상태의 형상으로 돌아가려고 하고, 외부측에 형성된 절단 홈(134ab, 134ba, 134bc, 134cb, 134cd, 134dc, 134da, 134ad)의 개방 단부들이 넓게 개방됨으로써, 프레임 부재(131a, 131b, 131c, 131d)는 외부쪽으로 신장되어, 스크린 신장 프레임(110)을 신장시키고 이에 신장된 스크린 신장 프레임에 부착된 스크린에 장력이 부여된다.
이 장력은 신장 지그를 사용하지 않는 상태에서도 부여되어 있기 때문에 스크린을 단순히 스크린 신장 프레임에 고정한 상태에서도 스크린을 장력 상태에 두는 것이 가능하고, 이에 스크린이 처지는 일이 없다.
절단 홈(134ab, 134ba, 134bc, 134cb, 134cd, 134dc, 134da, 134ad)에 천연 고무 또는 합성 고무와 같은 중실 탄성 부재 또는 판 스프링 또는 코일 스프링과 같은 비중실 스프링을 삽입하면 개방 단부를 보호하고 탄성을 보충하는 것도 가능하다.
실시예 12
실시예 12는 도 17에 도시된다.
도 5 또는 도 7의 것에 대응하는 기능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 도 17에서, (A)는 스크린 신장 프레임(140)의 전체도이고, (B)는 (A)에서 점선 원 B로 표시한 부분의 확대도이고, (C)는 (B)에서 점선 C로 표시한 부분의 단면도이다.
전체도의 도 17(A) 및 확대도의 도 1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 신장 프레임(140)은 4개의 프레임 부재(141a, 141b, 141c, 141d)가 사각형을 형성하도록 조립되고, 용접 등에 의해 고정 결합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4개의 프레임 부재(141a, 141b, 141c, 141d)에는 각각 스크린 신장 지그에 형성된 맞물림 부재가 맞물리는 맞물림 홈(142a, 142b, 142c, 142d)이 형성되어 있다.
프레임 부재(141a)에는 프레임 부재(141b)와의 결합부에서 내부측으로부터 수직하게 외부측으로 향하는 좁은 절단 홈(144ab) 및 프레임 부재(141d)와의 결합부에서 내부측으로부터 수직하게 외부측으로 향하는 좁은 절단 홈(144ad)이 형성되고, 프레임 부재(141b)에는 프레임 부재(141a)와의 결합부에서 내부측으로부터 수직하게 외부측으로 향하는 좁은 절단 홈(144ba) 및 프레임 부재(141c)와의 결합부에서 내부측으로부터 수직하게 외부측으로 향하는 좁은 절단 홈(144bc)이 형성되고, 프레임 부재(141c)에는 프레임 부재(141b)와의 결합부에서 내부측으로부터 수직하게 외부측으로 향하는 좁은 절단 홈(144cb) 및 프레임 부재(141d)와의 결합부에서 내부측으로부터 수직하게 외부측으로 향하는 좁은 절단 홈(144cd)이 형성되고, 프레임 부재(141d)에는 프레임 부재(141c)와의 결합부에서 내부측으로부터 수직하게 외부측으로 향하는 좁은 절단 홈(144dc) 및 프레임 부재(141a)와의 결합부에서 내부측으로부터 수직하게 외부측으로 향하는 좁은 절단 홈(144da)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4개의 프레임 부재(141a, 141b, 141c, 141d)는 모두 동일한 단면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도 17(C)에서 단면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 부재(141a)의 한 면에는 스크린 신장 지그의 맞물림 부재가 맞물리는 맞물림 홈(142a)이 형성되어 있고, 그 대향하는 면은 스크린을 부착하기 위해 평면으로 설정되어 있다.
스크린 신장 프레임(140)에 스크린이 부착되고, 신장 지그의 맞물림 부재가 맞물림 홈(142a, 142b, 142c, 142d)에 맞물리고, 신장 지그를 신축시키면, 스크린 신장 프레임(140)이 신축하고 이에 스크린에 대한 장력이 조절된다.
4개의 프레임 부재(141a, 141b, 141c, 141d)를 결합하여 구성된 스크린 신장 프레임(140)이 스크린 신장 지그, 클램프, 바이스 등과 같은 도구를 이용하여 내부쪽 방향으로 압박되면, 내부측에 형성된 절단 홈(143ab, 143ba, 143bc, 143cb, 143cd, 143dc, 143da, 143ad)의 개방 단부들이 축소됨에 따라, 프레임 부재(141a, 141b, 141c, 141d)는 내부쪽으로 굴곡되고, 이에 스크린 신장 프레임(140)이 축소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스크린을 접착제 등에 의해 축소된 스크린 신장 프레임에 고정한다.
스크린을 축소된 스크린 신장 프레임에 고정하는 것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축소된 스크린 신장 프레임에 스크린 신장 지그, 클램프, 바이스 등에 의해 가해지는 압박력이 해제된다.
축소된 스크린 신장 프레임에의 압박력이 해제되면, 내부쪽으로 굴곡된 프레임 부재는 모두 압축되지 않은 상태의 형상으로 돌아가려고 하고, 내부측에 형성된 절단 홈(144ab, 144ba, 144bc, 144cb, 144cd, 144dc, 144da, 144ad)의 개방 엔드들이 넓게 개방됨으로써, 프레임 부재(141a, 141b, 141c, 141d)는 외부쪽으로 신장되어 스크린 신장 프레임(140)을 신장시키고 이에 신장된 스크린 신장 프레임에 부착된 스크린에 장력이 부여된다.
이 장력은 신장 지그를 사용하지 않는 상태에서도 부여되어 있기 때문에 스크린을 단순히 스크린 신장 프레임에 고정한 상태에서도 스크린을 장력 상태에 두는 것이 가능하고, 이에 스크린이 처지는 일이 없다.
절단 홈(144ab, 144ba, 144bc, 144cb, 144cd, 144dc, 144da, 144ad)에 천연 고무 또는 합성 고무와 같은 중실 탄성 부재 또는 판 스프링 또는 코일 스프링과 같은 비중실 스프링을 삽입하면 개방 단부를 보호하고 탄성을 보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 내지 도 17을 이용하여 설명된 실시예 1 내지 12에서는 각각이 중실인 프레임 부재가 프레임 부재의 접합 영역에 폭 방향으로 절단 홈을 형성하는 것에 의해 유연성을 얻는다. 도 18 내지 도 25에 도시된 실시예 13 내지 20에서는 중실 스크린 신장 프레임은 프레임 부재의 결합 영역에서 프레임의 양측에 두께 방향으로 홈을 형성하는 것에 의해 유연성을 얻는다.
실시예 13
실시예 13에 대해 도 1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실인 프레임 부재의 결합부의 외각부와 내각부를 연결하는 방향으로 한 면에 2개의 홈과, 다른 면에 1개의 홈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홈으로 (b)에서 단면으로 도시된 형상으로 굴곡된 유연 부가 구성된다.
실시예 14
실시예 14에 대해 도 1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실인 프레임 부재의 결합부의 외각부와 내각부를 연결하는 방향으로 한 면에 2개의 홈과, 다른 면에 3개의 홈이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홈의 수를 늘림으로써 (b)에서 단면으로 도시된 유연성 부분은 더 큰 효과를 발휘한다.
실시예 15
도 20에 도시된 실시예 15에서 중실인 프레임 부재의 접합부 부근에서 폭 방향의 한 면에는 2개의 홈과, 다른 면에는 1개의 홈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홈으로 굴곡가능한 유연 부가 구성된다.
도 21과 도 22에 도시된 실시예 16 및 17에서 중실인 스크린 신장 프레임은 결합부에 형성된 관통 홀을 통해 결합부에서 유연성을 얻는다.
실시예 16
도 21에 도시된 실시예 16에서 중실인 프레임 부재의 결합부의 외각부와 내각부를 연결하는 방향을 따라 사각형 형상의 관통 홀이 형성된다.
실시예 17
도 22에 도시된 실시예 17에서 중실인 프레임 부재의 결합부의 외각부와 내각부를 연결하는 방향을 따라 사각형 형상의 관통 홀이 형성되고, 관통 홀의 형상은 배열 방향을 따라 길다랗다.
도 23 내지 도 25에 도시된 실시예 18 내지 20에서 중공 몸체인 스크린 신장 프레임은 결합부에 형성된 절단 홈을 통해 프레임 부재의 결합부에 유연성을 얻는다.
프레임에 응력을 제공하고 이 응력에 대항하는 반발력을 이용하여 스크린을 프레임에 부착하면, 프레임의 측면들이 굴곡하고 반발력이 발생한다.
프레임의 측면 중심에는 강한 반발력이 생성되고, 프레임의 접합부의 부근에 가까울수록 반발력이 작아진다.
이러한 상황은 다른 구성에서도 마찬가지이며, 대책이 없다면 코너 부근에 주름이 발생한다.
실시예 18
도 23에 도시된 실시예 18에서는 사각형 형상의 중공 프레임 부재의 접합부 부근에 폭 방향의 양면에 각각 1개의 노치가 형성되어 있다.
이 노치에 의해 굴곡가능한 유연 부가 구성된다.
실시예 19
도 24에 도시된 실시예 19에서 사각형 형상의 중공 프레임 부재의 접합부 부근에 폭 방향의 한쪽 면에는 2개의 노치가, 다른쪽 면에는 1개의 노치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홈으로 굴곡가능한 유연 부가 구성된다.
실시예 20
도 25에 도시된 실시예 20에서 프레임 부재가 스크린이 부착된 면이 있는 중공 몸체와, 스크린이 부착되지 않은 면이 있는 중공 몸체로 이루어진 2층 중공 몸체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 중공 몸체 중 단 하나의 중공 몸체에만 노치가 형성되어 있다.
이 프레임은 노치에 의해 상부 절반부가 다이아몬드 형상으로 변형되고, 결합부 주위에 원래대로 돌아가려고 하는 반발력이 발생하기 때문에 결합부 주위에 장력을 걸 수 있어서 스크린이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신장될 수 있다. 또한 하부 절반부에는 노치를 가지지 않기 때문에, 하부 절반부는 강도가 있는 프레임을 구성한다.
이 경우에, 2층 중공 몸체의 상부 절반부의 수직 부분의 두께를 얇게 하고, 2층 중공 몸체의 하부 절반 부분의 수직 부분의 두께를 두껍게 하면 매우 효과가 크다.
프레임 측의 강도를 저하시키고 변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두께 방향으로 중공 몸체의 상부 절반부에서 프레임 측의 두께 방향으로의 벽면에 노치 부 또는 관통 홀이 형성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상부 프레임 측의 두께 방향으로의 벽면의 강도를 저하시키는 것에 의해 변형이 용이하게 되므로, 결합부 주위에 장력을 걸 수 있어서,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신장이 가능하다.
프레임 측의 하부 절반부에는 노치 또는 관통 홀이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하부 절반부는 강도가 있는 프레임을 구성하여 이에 2층 중공 몸체의 상부 절반부의 수직 부분의 두께를 얇게 하고, 2층 중공 몸체의 하부 절반 부분의 수직 부분의 두께를 두껍게 한 것과 같은 효과를 가지고 있다.
도 26 및 도 27을 참조하여 설명된 실시예 20에서 스크린 신장 프레임의 단부 부분의 구조는 스크린 신장 프레임을 구성하는 프레임 부재 자체의 탄성을 이용하여 스크린 신장 프레임이 굴곡되게 한다.
실시예 21
도 26에 도시된 실시예 21은 도 2에 도시된 관련 기술에 본 출원의 발명을 적용한 것으로 얻어진다. 또한 도 27을 참조하여 이 실시예의 기능을 설명한다.
도 26에서, (A)는 스크린 신장 프레임(150)의 전체도이고, (B)는 (A)에서 점선 원 B로 표시한 부분의 확대도이고, (C)는 (B)에서 점선 C로 표시한 부분의 단면도이다.
스크린 신장 프레임(150)은 평행한 2개의 프레임 부재(151a, 151c)와, 이 프레임 부재와 직교하게 배치된 평행한 2개의 프레임 부재(151b, 151d)와, 이 4개의 프레임 부재를 결합하는 4개의 코너 부재(153a, 153b, 153c, 153d)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4개의 코너 부재 중 (153a)만이 도 26(B)에 도시된다.
4개의 프레임 부재(151a, 151b, 151c, 151d)의 예로서 도시된 프레임 부재(151a, 151b)의 양 단부는 길이 방향에 대해 스크린 신장 프레임(150)의 내부측 쪽으로 향하는 45°보다 약간 작은 각도 예를 들어 42°로 경사진 면(157a, 157b)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4개의 프레임 부재(151a, 151b, 151c, 151d)의 양 단부는 완전히 하나의 평면에서 서로 접하는 것이 아니라, 도 2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의 내부측에 4°의 갭(158a, 158b, 158c, 158d)이 존재한다.
또한 이 갭의 각도는 4°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4개의 프레임 부재(151a, 151b, 151c, 151d)는 도 26(C)에 대표적인 예로 도시된 단면 형상을 가지고 있고, 예를 들어 도시된 프레임 부재(151a)는 내부에 삽입 홀(155a)이 형성되어 있고 한 면에는 스크린 신장 지그의 맞물림 부재가 맞물리는 맞물림 홈(152a)이 형성되고, 그 대향하는 면은 스크린을 부착하기 위해 평면으로 설정되어 있다.
코너 부재(153a)는 L자 형상으로 서로 직교하는 2개의 코너 판(156a, 156b)으로 구성되고, 이 코너 판(156a, 156b)은 각 프레임 부재(151a)의 삽입 홀(156a)과 프레임 부재(151b)의 삽입 홀(156b)에 각각 여유를 가지고 삽입될 수 있고 슬라이딩될 수 있는 단면 형상을 가지고 있다.
코너 판(156a)이 삽입 홀(156b)에 백색 화살표 방향으로 삽입되고, 코너 판(156b)은 삽입 홀(156b)에 백색 화살표 방향으로 삽입되며, 이와 동일한 방식으로 4개의 프레임 부재(151a, 151b, 151c, 151d)와 4개의 코너 부재(153a, 153b, 153c, 153d)가 조립되고, 이후 갭(158a, 158b, 158c, 158d)이 있는 스크린 신장 프레임(150)이 구성된다.
스크린 신장 프레임(150)에 스크린이 부착되고, 신장 지그의 맞물림 부재가 맞물림 홈(152a, 152b, 152c, 152d)에 맞물리고, 신장 지그를 신축시키면 삽입 홀에 삽입된 코너 판이 삽입 홀 내에서 슬라이딩하여 이에 스크린 신장 프레임(150)이 신축하고 이에 의해 스크린에 장력이 부여된다.
도 27을 사용하여 도 25에 도시된 스크린 신장 프레임의 기능을 설명한다.
이 도 27에서 도 27(A)는 스크린을 부착하기 전의 스크린 신장 프레임의 상태를 도시하고, 도 27(B)는 스크린을 부착하기 직전의 스크린 신장 프레임의 상태를 도시한다.
도 27(A)에 도시된 스크린 신장 프레임(150)은 도 3에 기초하여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여기서 더 설명하지 않는다.
도 2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4개의 프레임 부재(151a, 151b, 151c, 151d)와 4개의 코너 부재(153a, 153b, 153c, 153d)를 조립하여 구성된 스크린 신장 프레임(150)은 도면에 도시하지 않은 스크린 신장 지그, 클램프, 바이스 등과 같은 도구를 사용하여 흑색 화살표 방향으로 압박된다.
그 결과 각 프레임 부재의 외부 단부가 변형되고, 프레임 부재(151a와 151b) 사이의 갭(158a), 프레임 부재(151b 및 151c) 사이의 갭(158b), 프레임 부재(151c와 151d) 사이의 갭(158c), 프레임 부재(151d와 151a) 사이의 갭(158d)이 축소되어 갭(158a', 158b', 158c'와 158d')를 형성하거나 소멸되고, 각 프레임 부재는 (151a', 151b', 151c', 151d')로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쪽으로 축소된다.
이렇게 각 갭이 축소되거나 소멸하면 그 결과 스크린 신장 프레임(150')의 형상이 내부쪽으로 굴곡된 상태에서 스크린을 접착제 등에 의해 스크린 신장 프레임(150')에 고정한다.
스크린을 스크린 신장 프레임(150')에 고정하는 것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스크린 신장 프레임(150')에 스크린 신장 지그, 클램프, 바이스 등에 의해 가해지는 압박력이 해제된다.
압박력에서 해방된 프레임 부재(151a', 151b', 151c', 151d')는 자신의 탄성에 의해 원래의 굴곡되지 않은 상태로 돌아가려고 한다.
그 결과, 고정된 스크린에 장력이 부여된다.
또한 갭(158a, 158b, 158c, 158d)에 도 6의 실시예 2에 도시된 천연 고무 또는 합성 고무 등 중실 탄성 부재 또는 판 스프링 또는 선형 스프링을 삽입하면 스크린에 장력 부여 능력을 더 향상시킬 수도 있다.
이 장력은 신장 지그를 사용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부여되어 있기 때문에 스크린을 단순히 스크린 신장 프레임에 고정한 상태에서도 스크린을 장력 상태에 두는 것이 가능하고, 스크린이 처지는 일이 없이 스크린 신장 지그를 사용하지 않고 인쇄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예 22
도 28에 도시된 실시예 22는 실시예 21과 마찬가지로 도 3에 도시된 관련 기술에 본 출원의 발명을 적용하여 얻어진다. 또한 도 29를 참조하여 그 기능을 설명한다.
이 도 28에서, (A)는 스크린 신장 프레임(160)의 전체도이고, (B)는 (A)에서 점선 원 B로 표시한 부분의 확대도이고, (C)는 (B)에서 점선 C로 표시한 부분의 단면도이다.
스크린 신장 프레임(160)은 평행하는 2개의 프레임 부재(161a, 161c)와, 이 프레임 부재와 직교하게 배치된 평행하는 2개의 프레임 부재(161b, 161d)와, 4개의 프레임 부재를 결합하는 4개의 코너 부재(163a, 163b, 163c, 163d)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4개의 코너 부재 중 (163a)만이 도 28(B)에 도시되어 있다.
4개의 프레임 부재(161a, 161b, 161c, 161d)에는 각각 스크린 신장 지그에 형성된 맞물림 부재가 맞물리는 맞물림 홈(162a, 162b, 162c, 162d)이 형성되어 있다.
4개의 프레임 부재(161a, 161b, 161c, 161d)는 모두 동일한 단면 형상을 가지고 있다. 도 28(B)에 대표적인 예로 도시된 프레임 부재(161a)에는 내부측에 삽입 홀(46a)이 형성되는 반면, 한 면에 스크린 신장 지그의 맞물림 부재가 맞물리는 맞물림 홈(162a)이 형성되고 그 반대쪽 면은 스크린을 부착하기 위해 평면으로 설정되어 있다.
4개의 프레임 부재(161a, 161b, 161c, 161d)의 양 단부는 길이 방향에 대해 스크린 신장 프레임(160)의 내부측으로 기울어진 각도, 예를 들면 45°로 경사진 면을 가지고 있다.
4개의 코너 부재(163a, 163b, 163c, 163d)는 모두 동일한 형태를 가지고 있고, 도 28(B)에서 대표적인 예로 도시된 163a는 L자 형상으로 서로 직교하는 2개의 코너 판(166a와 166b)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코너 판(166a와 166b)은 각 프레임 부재(161a)의 삽입 홀(165a)과 프레임 부재(161b)의 삽입 홀(165b)에 삽입될 수 있고 슬라이딩될 수 있는 단면 형상을 각각 가지고 있다.
코너 판(166a)이 프레임 부재(161a)의 삽입 홀(165b)에 화살표 방향으로 삽입되고, 코너 판(166b)이 프레임 부재(161b)의 삽입 홀(45b)에 화살표 방향으로 삽입되어, 4개의 프레임 부재(161a, 161b, 161c, 161d)와 4개의 코너 부재(163a, 163b, 163c, 163d)가 조립되는 방식으로 스크린 신장 프레임(160)이 구성된다.
스크린 신장 프레임(160)에 스크린이 부착되고, 신장 지그의 맞물림 부재가 맞물림 홈(162a, 162b, 162c, 162d)에 맞물리고, 신장 지그를 신축시키면, 삽입 홀에 삽입된 코너 판이 삽입 홀 내에서 슬라이딩하여, 스크린 신장 프레임(160)이 신축하여 이에 스크린에 장력이 부여된다.
도 2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너 부재(163a)의 코너 판(166a와 166b)이 서로 직교하여 접하는 위치에 탄성 부재(167a)가 장착되어 있다.
도 28(A)는 탄성 부재(167a)에 더하여 다른 탄성 부재(168b, 168c, 168d)도 도시한다.
탄성 부재는 고무와 같은 중실 탄성 부재, 또는 판 스프링 또는 코일 스프링과 같은 중공 탄성 부재가 사용될 수 있다.
또, 탄성 부재(167a)를 코너 판(166a)으로부터 제공된 것과 코너 판(166b)으로부터 제공된 것의 두 가지로 분리하여 제공하는 것이 용이하다.
도 29를 참조하여 스크린 신장 프레임(160)의 기능을 설명한다.
이 도 29에서, (A)는 스크린을 부착하기 전의 스크린 신장 프레임의 상태를 도시하고, (B)는 스크린을 부착하기 직전의 스크린 신장 프레임의 상태를 도시한다.
도 29(A)에 도시된 스크린 신장 프레임(160)은 도 3에 기초하여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여기서 더 설명하지 않는다.
도 2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프레임 부재(161a, 161b, 161c, 161d)와 4개의 코너 부재(163a, 163b, 163c, 163d)를 조립하여 구성된 스크린 신장 프레임(160)은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스크린 신장 지그, 클램프, 바이스 등과 같은 도구를 사용하여 흑색 화살표 방향으로 압박된다.
따라서 코너 부재(163a)에 제공된 탄성 부재(167a'), 코너 부재(163b)에 제공된 탄성 부재(167b'), 코너 부재(163c)에 제공된 탄성 부재(167c'), 및 코너 부재(163d)에 제공된 탄성 부재(167d')는 모두 압축된 상태에 놓여 있다.
그리하여 각 탄성 부재가 상기와 같이 압축된 결과, 스크린 신장 프레임(160)은 축소된 스크린 신장 프레임(160')이 된다. 이 상태에서 스크린을 접착제 등에 의해 스크린 신장 프레임(160')에 고정한다.
스크린을 축소된 스크린 신장 프레임(160')에 고정하는 것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축소된 스크린 신장 프레임(160')에 스크린 신장 지그, 클램프, 바이스 등에 의해 가해지는 압박력이 해제된다.
압박력에서 해방된 탄성 부재(167a'), 탄성 부재(167b'), 탄성 부재(167c'), 및 탄성 부재(167d')는 모두 압축되지 않은 상태의 형상으로 돌아가려고 하고, 이에 의해 스크린 신장 프레임(160')은 신장되어, 신장된 스크린 신장 프레임(160')에 부착된 스크린에 장력이 부여된다.
이 장력은 신장 지그를 사용하지 않는 상태에서도 부여되어 있기 때문에 스크린을 단순히 스크린 신장 프레임에 고정한 상태에서도 스크린을 장력 상태에 두는 것이 가능하고, 스크린이 처지는 일이 없이 스크린 신장 지그를 사용하지 않고 인쇄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예 23
도 30에 도시된 실시예 23은 도 3에 도시된 관련 기술에 본 출원의 발명을 적용하여 얻어진다. 또 도 31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기능을 설명한다.
이 도 30에서, (A)는 스크린 신장 프레임(170)의 전체도이고, (B)는 (A)에서 점선 원 B로 표시한 부분의 확대도이고, (C)는 (B)에서 점선 C로 표시한 부분의 단면도이다.
스크린 신장 프레임(170)은 평행하는 2개의 프레임 부재(171a, 171c)와, 이 프레임 부재와 직교하게 배치된 평행하는 2개의 프레임 부재(171b, 171d)와, 4개의 프레임 부재를 결합하는 4개의 코너 부재(173a, 173b, 173c, 173d)로 구성되어 있다.
4개의 프레임 부재(171a, 171b, 171c, 171d)에는 각각 스크린 신장 지그에 형성된 맞물림 부재가 맞물리는 맞물림 홈(172a, 172b, 172c, 172d)이 형성되어 있다.
4개의 프레임 부재(171a, 171b, 171c, 171d)는 모두 동일한 단면 형상을 가지고 있다. 도 30(B)에 대표적인 예로 도시된 프레임 부재(171a)에는 내부측에 삽입 홀(55a)이 형성되어 있고, 한 면에는 스크린 신장 지그의 맞물림 부재가 맞물리는 맞물림 홈(172a)이 형성되고, 그 대향하는 면은 스크린을 부착하기 위해 평면으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4개의 프레임 부재(171a, 171b, 171c, 171d)의 단부면은 길이 방향에 대하여 90°각도로 면을 가지고 있다.
4개의 코너 부재(173a, 173b, 173c, 173d)는 모두 동일한 형태를 가지고 있다. 도 30(B)에 대표적인 예로 도시된 코너 부재(173a)는 상부면에 사각형 형상을 가지는 본체(174a)를 구비하고, 2개의 코너 판(176a와 176b)이 서로 직교하게 제공된다. 코너 판(176a와 176b)은 각 프레임 부재(171a)의 삽입 홀(175a)과 프레임 부재(171b)의 삽입 홀(175b)에 각각 삽입될 수 있고 슬라이딩될 수 있는 단면 형상을 가지고 있다.
코너 판(176a)이 프레임 부재(171a)의 삽입 홀(175b)에 화살표 방향으로 삽입되고, 코너 판(176b)이 프레임 부재(171b)의 삽입 홀(175b)에 화살표 방향으로 삽입되어, 4개의 프레임 부재(171a, 171b, 171c, 171d)와 4개의 코너 부재(173a, 173b, 173c, 173d)가 조립되는 방식으로 스크린 신장 프레임(170)이 구성된다.
스크린 신장 프레임(170)에 스크린이 부착되고, 신장 지그의 맞물림 부재가 맞물림 홈(172a, 172b, 172c, 172d)에 맞물리고, 신장 지그를 신장시키면, 삽입 홀에 삽입된 코너 판이 삽입 홀 내에서 슬라이딩하여, 스크린 신장 프레임(170)이 신축하여 이에 스크린에 가해지는 장력이 조절된다.
도 30(A)와 도 3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너 부재(173a)가 프레임 부재(171a)와 만나는 위치의 코너 판(176a)에 탄성 부재(177a)가 제공되고, 코너 부재(173a)가 프레임 부재(171b)와 만나는 위치의 코너 판(176b)에 탄성 부재(177b)가 장착되어 있다.
동일한 방식으로, 코너 부재(173b)의 2개의 코너 판에는 각각 탄성 부재(178b 및 178c)가 제공되고, 코너 부재(173c)의 2개의 코너 판에는 각각 탄성 부재(177c 및 177d)가 제공되고, 코너 부재(173d)의 2개의 코너 판에는 각각 탄성 부재(178d와 178a)가 제공된다.
제공된 탄성 부재는 천연 고무 또는 합성 고무와 같은 중실 탄성 부재, 또는 판 스프링 또는 코일 스프링과 같은 중공 탄성 부재가 사용될 수 있다.
도 30을 참조하여 스크린 신장 프레임(170)의 기능을 설명한다.
이 도 30에서, (A)는 스크린이 부착되기 전의 스크린 신장 프레임의 상태를 도시하고, (B)는 스크린을 신장하기 직전의 스크린 신장 프레임의 상태를 도시한다.
도 31(A)에 도시된 스크린 신장 프레임(170)은 도 8에 기초하여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여기서 더 설명하지 않는다.
도 3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프레임 부재(171a, 171b, 171c, 171d)와 4개의 코너 부재(173a, 173b, 173c, 173d)를 조립하여 구성된 스크린 신장 프레임(170)은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스크린 신장 지그, 클램프, 바이스 등과 같은 도구를 사용하여 흑색 화살표 방향으로 압박된다.
따라서 탄성 부재(177a', 177b', 178b', 178c', 177c', 177d', 178d', 178a')는 모두 압축된 상태에 있고, 그 결과 스크린 신장 프레임(170)은 축소되어 굴곡된 프레임 부재(171a', 171b', 171c', 171d')로 구성된 축소된 스크린 신장 프레임(170')이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스크린을 접착제 등에 의해 축소된 스크린 신장 프레임(170')에 고정한다.
스크린을 축소된 스크린 신장 프레임(170')에 고정하는 것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축소된 스크린 신장 프레임(170')에 스크린 신장 지그, 클램프, 바이스 등에 의해 가해지는 압박력이 해제된다.
축소된 스크린 신장 프레임(170')에의 압박력이 해제되면, 탄성 부재(177a', 177b', 178b', 178c', 177c', 177d', 178d', 178a')는 모두 압축되지 않은 상태의 형상으로 돌아가려고 하고, 스크린 신장 프레임(170')은 신장되어 신장된 스크린 신장 프레임에 부착된 스크린에 장력이 부여된다.
이 장력은 신장 지그를 사용하지 않는 상태에서도 부여되어 있기 때문에 스크린을 단순히 스크린 신장 프레임에 고정한 상태에서도 스크린을 장력 상태에 두는 것이 가능하고, 스크린이 처지는 일이 없이 스크린 신장 지그를 사용하지 않고 인쇄하는 것이 가능하다.
산업상 이용 가능성
이상의 설명에서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 신장 프레임에 따르면, 부착된 스크린에 가해지는 장력은 신장 지그를 사용하지 않는 상태에서도 부여되어 있기 때문에 스크린을 간단하게 스크린 신장 프레임에 고정한 상태에서도 스크린을 장력 상태에 두는 것이 가능하고, 스크린이 처지는 일이 없이 스크린 신장 지그를 사용하지 않고도 스크린 인쇄를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보관이나 운반시 무겁고 부피가 크고 값비싼 스크린 신장 지그로부터 분리한 후에도 스크린을 안전하게 보관 또는 운반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스크린 인쇄에 사용되는 스크린의 관리에 유용하다.
또한, 스크린 인쇄 장치에 스크린 신장 프레임을 장착하는 기구 및 장착된 스크린 신장 프레임을 신축하는 기구를 설치하면 인쇄 장치 전체의 구성을 단순하게 할 수 있다.
1 : 스크린 신장 지그
2 : 스크린 신장 프레임
3 : 스크린
4, 12a 내지 12d, 22a 내지 22d, 32a 내지 32d, 42a 내지 42d, 52a 내지 52d, 62a 내지 62d, 72a 내지 72d, 82a 내지 82d, 92a 내지 92d, 102a 내지 102d, 112a 내지 112d, 122a 내지 122d, 132a 내지 132d : 맞물림 홈
5 : 맞물림 부재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110, 120, 130, 140, 150, 160, 170 : 스크린 신장 프레임
11a 내지 11d, 21a 내지 21d, 31a 내지 31d, 41a 내지 41d, 51a 내지 51d, 61a 내지 61d, 71a 내지 71d, 81a 내지 81d, 91a 내지 91d, 101a 내지 101d, 111a 내지 111d, 121a 내지 121d, 131a 내지 131d, 141a 내지 141d, 151a 내지 151d, 161a 내지 161d, 171a 내지 171d : 프레임 부재
13a, 23a 내지 23d, 163a, 173a 내지 173d, 43a : 코너 부재
167a 내지 167d, 177a 내지 177d, 178a 내지 178d : 탄성 부재
33a 내지 33d, 43a 내지 43d, 53a 내지 53d, 63a 내지 63d, 73a 내지 73d, 83a 내지 83d, 93a 내지 93d, 103a 내지 103d, 123a 내지 123d : 절단 홈

Claims (37)

  1. 직사각형 형상의 스크린 신장 프레임으로서,
    한 면에 스크린이 부착되고 다른 면은 신축 기능이 있는 스크린 신장 지그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직사각형 단면을 가지는 4개의 스크린 신장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4개의 프레임 부재의 접합부가 유연하고 탄력성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신장 프레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4개의 프레임 부재는 상기 접합부에서 연결되고 상기 결합부는 유연하고 탄력성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신장 프레임.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4개의 프레임 부재는 중실 몸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신장 프레임.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의 폭 방향으로 절단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신장 프레임.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의 외각부와 내각부를 각각 연결하는 방향으로 절단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신장 프레임.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의 양 면에 두께 방향의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신장 프레임.
  7.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두께 방향의 홈이 상기 프레임 부재의 폭 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신장 프레임.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두께 방향의 홈이 상기 결합부의 외각부와 내각부를 각각 연결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신장 프레임.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 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신장 프레임.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 홀은 상기 결합부의 외각부와 내각부를 각각 연결하는 방향으로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신장 프레임.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 홀은 상기 프레임 부재의 폭 방향으로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신장 프레임.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4개의 프레임 부재는 중공 몸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신장 프레임.
  13.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의 두께 방향으로 노치 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신장 프레임.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노치 부는 상기 프레임 부재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신장 프레임.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노치 부는 상기 결합부의 외각부와 내각부를 각각 연결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신장 프레임.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노치 부는 상기 프레임 부재의 폭 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신장 프레임.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노치 부는 상기 결합부의 외각부와 내각부를 각각 연결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신장 프레임.
  18.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에는 상기 프레임 부재의 두께 방향으로 향하는 관통 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신장 프레임.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 홀은 상기 결합부의 외각부와 내각부를 각각 연결하는 방향으로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신장 프레임.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 홀은 상기 프레임 부재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신장 프레임.
  21.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 홀은 상기 프레임 부재의 폭 방향으로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신장 프레임.
  2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4개의 프레임 부재는 상기 스크린이 부착된 면이 있는 중공 몸체와, 상기 스크린이 부착되지 않은 면이 있는 중공 몸체로 각각 구성된 2층의 중공 몸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신장 프레임.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이 부착된 면이 있는 각 중공 몸체의 결합부의 두께 방향으로 노치 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신장 프레임.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노치 부는 상기 결합부의 폭 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신장 프레임.
  25.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2층 중공 몸체의 상부 절반 중공 몸체의 상기 프레임 측의 두께 방향의 벽면에 노치 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신장 프레임.
  26.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2층 중공 몸체의 상부 절반 중공 몸체의 상기 프레임 측의 두께 방향의 벽면에는 관통 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신장 프레임.
  2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4개의 프레임 부재는 개별 유닛이며, 인접한 프레임 부재는 코너 부재에 의해 각각 결합되고, 상기 4개의 프레임 부재와 상기 4개의 코너 부재의 결합부는 유연하고 탄력성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신장 프레임.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4개의 프레임 부재가 인접한 연결 부분의 단부 면은 상기 4개의 프레임 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경사진 면이고, 각각의 경사진 면들 사이에는 갭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신장 프레임.
  29.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4개의 프레임 부재가 인접한 연결 부분의 단부 면은 상기 4개의 프레임 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경사진 면이고, 각각의 경사진 면들 사이에는 탄성 부재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신장 프레임.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천연 고무 또는 합성 고무로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신장 프레임.
  31.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코일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신장 프레임.
  32.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판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신장 프레임.
  33.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4개의 프레임 부재가 인접한 연결 부분의 단부 면은 상기 4개의 프레임 부재의 길이 방향에 직각인 면이며, 상기 코너 부재는 직육면체 형상이며, 상기 프레임 부재의 직각인 면과 상기 코너 부재 사이에는 탄성 부재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신장 프레임.
  34.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천연 고무 또는 합성 고무로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신장 프레임.
  35.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코일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신장 프레임.
  36.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판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신장 프레임.
  37. 스크린 인쇄 장치로서,
    스크린 신장 프레임을 장착하는 기구와,
    상기 장착된 스크린 신장 프레임을 신축시키는 기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인쇄 장치.
KR1020127020410A 2010-01-29 2011-01-28 스크린 신장 프레임 KR2012012743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018703 2010-01-29
JPJP-P-2010-018704 2010-01-29
JPJP-P-2010-018703 2010-01-29
JP2010018704 2010-01-29
PCT/JP2011/051722 WO2011093437A1 (ja) 2010-01-29 2011-01-28 スクリーン張設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7436A true KR20120127436A (ko) 2012-11-21

Family

ID=44319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0410A KR20120127436A (ko) 2010-01-29 2011-01-28 스크린 신장 프레임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3) US20120285637A1 (ko)
EP (1) EP2529931A4 (ko)
JP (2) JP5903274B2 (ko)
KR (1) KR20120127436A (ko)
CN (1) CN102762382A (ko)
SG (1) SG182775A1 (ko)
TW (1) TWI596012B (ko)
WO (1) WO2011093437A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9152A (ko) * 2014-05-08 2015-11-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라미네이트 장치
KR20200122079A (ko) * 2019-04-17 2020-10-27 유대희 장력 조절이 가능한 메쉬 결합형태의 의자 좌판
KR102180233B1 (ko) * 2019-05-13 2020-11-18 유대희 텐션유지바를 이용한 장력 조절이 가능한 메쉬 결합형태의 의자 좌판
KR102180232B1 (ko) * 2019-05-13 2020-11-18 유대희 텐션조절기구를 이용한 장력 조절이 가능한 메쉬 결합형태의 의자 좌판
KR20200130959A (ko) * 2019-05-13 2020-11-23 유대희 메쉬 결합형태로 이루어진 의자 좌판의 텐션유지바 결합 구조
KR102499051B1 (ko) * 2022-11-14 2023-02-13 안성용 인쇄회로기판용 지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03274B2 (ja) * 2010-01-29 2016-04-13 粕谷 普烈 スクリーン張設枠
CN103722870A (zh) * 2012-10-16 2014-04-16 吴德木 具有调整及增进固持功效的网版铝框
US9631417B2 (en) * 2012-12-21 2017-04-25 Milgard Manufacturing Incorporated Screen corner attachment
CN103237420B (zh) * 2013-05-08 2016-11-23 邓育德 波峰焊治具
CN103386810B (zh) * 2013-06-24 2016-04-13 赫日光电(苏州)有限公司 一种节约成本的大幅面复合网版
CN203774347U (zh) * 2013-12-27 2014-08-13 比亚迪股份有限公司 光伏电池组件
KR102268966B1 (ko) * 2014-04-02 2021-06-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ES2632575T3 (es) * 2014-06-06 2017-09-14 Alberto Cazzaniga Marco de soporte de una plancha de serigrafía
JP6373115B2 (ja) * 2014-08-05 2018-08-15 日本特殊陶業株式会社 配線基板
CN104228321B (zh) * 2014-10-14 2016-03-30 石狮市德采化工科技有限公司 一种丝网网版、双印花装置、双印花机及双印花工艺
CN104309281A (zh) * 2014-11-06 2015-01-28 赵宽学 平板丝印操作台
JP6612511B2 (ja) * 2015-03-23 2019-11-27 普烈 粕谷 メタルマスク張設治具及びメタルマスク
CN105093465B (zh) * 2015-09-24 2018-07-13 江苏卓远激光科技有限公司 一种激光器镜片固定座的按接式结构
CN108266674A (zh) * 2016-12-30 2018-07-10 通用电气照明解决方案有限公司 具有可调节框架的照明系统
US10961703B2 (en) 2019-08-19 2021-03-30 RAYVA International LLC Corner assembly for a modular wall overlay system
US11375621B2 (en) 2019-11-05 2022-06-28 Blue Ring Stencils, LLC Frame assembly for surface mount technology stencil
CN112144855A (zh) * 2020-09-25 2020-12-29 湖南润通高新技术有限公司 一种塔机附墙安装操作平台
CN112918083A (zh) * 2021-01-23 2021-06-08 吉安嘉之宏电子有限公司 一种新型精密钢网
CN113524885B (zh) * 2021-07-17 2022-07-08 江苏本川智能电路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厚铜板阻焊印刷设备及其印刷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3676A (en) * 1907-12-11 1908-07-21 David L Tschantz Concealed fastener and joint in woodwork.
US2808880A (en) * 1954-01-25 1957-10-08 Karl Reinhard Screen construction for door opening, or the like
US3053001A (en) * 1960-02-16 1962-09-11 Cecil G Allen Picture frame
US3255810A (en) * 1962-05-14 1966-06-14 Francis W Rowbottam Screen assembly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3465461A (en) * 1967-08-03 1969-09-09 Ass Elect Ind Adjustable picture frame
US3485165A (en) * 1968-01-08 1969-12-23 Richard G Hughes Silk-screening frame
US3552476A (en) * 1968-04-12 1971-01-05 Frank M Le Tarte Method of screening
US3606419A (en) * 1969-06-18 1971-09-20 Homeshield Ind Inc Molded plastic corner lock
US3625274A (en) * 1970-05-01 1971-12-07 Universal Molding Co Inc Adjustable frame for canvases
US3823499A (en) * 1970-06-16 1974-07-16 H Gilbert Adjustable frame
US3709533A (en) * 1970-11-06 1973-01-09 H Walters Combination corner lock and hanger
US3830278A (en) * 1973-10-01 1974-08-20 L Packer Canvas stretcher
JPS527212Y2 (ko) * 1973-10-03 1977-02-16
US3882616A (en) * 1974-07-31 1975-05-13 Eugene J Starzyk Stretcher frame for artist{3 s canvas
US3924343A (en) * 1974-11-07 1975-12-09 Metalogic Inc Expansible device for stretching material and method
US3949802A (en) * 1975-01-03 1976-04-13 Prosper Buratovich Tensioning devices
IT1031812B (it) * 1975-02-18 1979-05-10 Lucchetti Renato Cornioe con incastri registrabili per tendere una tela da dipingere
JPS527212A (en) * 1975-06-02 1977-01-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Magnetic tape device
US4116513A (en) * 1977-01-17 1978-09-26 Kessler Products Company Drawer construction
US4144660A (en) * 1977-08-09 1979-03-20 Art Products, Inc. Adjustable stretching frame
FR2439683A1 (fr) * 1978-10-24 1980-05-23 Vidal Jean Chassis pour le montage et la tension d'une toile, en particulier pour la peinture artistique
US4506478A (en) * 1979-06-21 1985-03-26 V. E. Anderson Mfg. Co. Window structure
US4377915A (en) * 1981-05-19 1983-03-29 Framelok Inc. Corner frame
US4413035A (en) * 1981-11-25 1983-11-01 Diioia Albert A Framing assembly
FR2521181B1 (fr) * 1982-02-05 1984-03-30 Sida Soc Decoration Applic Cadre a broder specialement adapte a une mise en place precise et rapide d'un article sur le plateau d'une machine a broder
US4432150A (en) * 1982-06-09 1984-02-21 Swonger Russell A Stretcher frame for an artist's canvas
US4452138A (en) * 1982-06-17 1984-06-05 American Screen Printing Equipment Co. Screen printing frame
US4502260A (en) * 1983-11-28 1985-03-05 Machler David C Corner fastener
US4570406A (en) * 1983-12-12 1986-02-18 Acorn Building Components, Inc. Screen frame corner connector key
JPS6422552A (en) * 1987-07-18 1989-01-25 Murata Manufacturing Co Screen printing plate
AU603696B2 (en) * 1987-08-19 1990-11-22 Neville Harry Martin Improvements in screen printing frames
US5138814A (en) * 1988-12-05 1992-08-18 Lippert Holding Company Wall partition units
US5136797A (en) * 1989-09-09 1992-08-11 Hildebrandt Greg A Frame having shiftable bars with flexible ends for securing fabric using adhesive
US5056247A (en) * 1990-06-06 1991-10-15 Loomie Leo S Fabric tensioning device having a collapsible support, elastic means, and fabric hooks
US5097886A (en) * 1990-08-01 1992-03-24 Moyet Ortiz Francisco Environmental barrier
US5113611A (en) * 1991-05-11 1992-05-19 Rosson Gene T Expandable screen tensioning frame with expansion devices
US5119872A (en) * 1991-07-30 1992-06-09 Jw Window Components, Inc. Arcuately adjustable roller and corner key for sliding screen door
US5390596A (en) * 1992-01-06 1995-02-21 Farr; Gregory C. Stretching system for flexible planar materials
US5271171A (en) * 1992-02-10 1993-12-21 Smith David C Compressible and expandable stretching frame with adjustable corner brackets
US5379691A (en) * 1992-09-14 1995-01-10 Hamu; Alan J. Screen printing frame assembly with screen anchors
US5297891A (en) * 1992-10-28 1994-03-29 Commonwealth Of Puerto Rico Corner clip for frame members of screen doors and the like
US5275224A (en) * 1992-12-11 1994-01-04 Morris Milton A Corner bracket for a fabric support track assembly
US5473853A (en) * 1993-09-16 1995-12-12 Bay Mills, Ltd. Corner assembly and frame comprising such assembly
JP3345731B2 (ja) * 1994-02-23 2002-11-18 ティーディーケイ株式会社 スクリーン印刷用マスク装置
IT1278407B1 (it) * 1994-11-17 1997-11-20 Walter Lucchetti Telai espandibili per pittori e molle per la formazione dei detti telai
JPH08290687A (ja) * 1995-04-25 1996-11-05 Tokyo Process Service Kk メタルマスクおよびメタル印刷版
US5819458A (en) * 1995-09-29 1998-10-13 Hadden; David M. Reinforced picture frame moulding
US5732760A (en) * 1996-10-04 1998-03-31 James J. Devine Weather- or insect-proofing cover
US5918392A (en) * 1997-05-06 1999-07-06 Bates; Richard I Fabric stretching system with corner braces
US6390173B1 (en) * 1997-11-26 2002-05-21 Paul J. Story, Jr. Method of making a screen frame
CA2228612C (en) * 1998-02-04 2000-08-15 Slim-Line Vinyl Windows Mfg. Inc. Vinyl window screen frame
JP3504173B2 (ja) 1998-04-27 2004-03-08 株式会社プロセス・ラボ・ミクロン マスク交換可能な印刷用コンビネーション・マスク版
BE1012394A3 (nl) * 1998-09-29 2000-10-03 Brochez Alain Hoekverbinding en werkwijze voor het vervaardigen van dergelijke hoekverbinding, alsmede insteekhoekstukken om zulke hoekverbinding te realiseren.
US6360659B1 (en) * 1999-10-07 2002-03-26 Don Newman Corner member for a screen printing roller frame
JP3639482B2 (ja) * 1999-12-01 2005-04-20 理想科学工業株式会社 スクリーン印刷装置及び孔版原紙組立体
JP3596755B2 (ja) * 2000-06-06 2004-12-02 東海商事株式会社 メタルマスクフレーム版及びその製作方法、製作用治具
US6341465B1 (en) * 2000-07-14 2002-01-29 Harry M. Riegelman Corner reinforcement for frame channel
DE10034648B4 (de) * 2000-07-14 2004-02-05 Cadilac Laser Gmbh Cad Industrial Lasercutting Druckschablone sowie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JP3596762B2 (ja) * 2001-01-12 2004-12-02 東海商事株式会社 スクリーン印刷用メタルマスク板
JPWO2002055304A1 (ja) * 2001-01-16 2004-05-13 粕谷 普烈 スクリーン印刷用スクリーン、スクリーン版、スクリーン枠、スクリーンの貼り合せ方法、スクリーンの張設方法、絵画用キャンバス、宣伝用シート及び平面鏡
GB2371519A (en) * 2001-01-25 2002-07-31 Dek Printing Machines Ltd Printing screen support and assembly jig
US6866081B1 (en) * 2001-03-09 2005-03-15 Larson Manufacturing Company Of South Dakota, Inc. Exterior door or window having extruded composite frame
US6588334B2 (en) * 2001-10-09 2003-07-08 Ronald Salisbury Screen printing frame assembly having hollow connectors with drain holes
US6691444B2 (en) * 2002-01-04 2004-02-17 Charles Ian Doone Versatile stretcher frame system
US20040112553A1 (en) * 2002-09-03 2004-06-17 Walter Minnich Compressible insert assembly
US7369310B1 (en) * 2004-08-31 2008-05-06 Draper, Inc. Tensioned projection screen
JP2004216785A (ja) * 2003-01-17 2004-08-05 Marujo Seisakusho:Kk スクリーン印刷枠とスクリーン印刷装置およびスクリーン印刷枠収納箱
JP2004262216A (ja) * 2003-03-04 2004-09-24 Daishin Seiki:Kk クリーム半田印刷用メタルマスクとメタルマスクのセット枠
US20060157208A1 (en) * 2003-07-09 2006-07-20 Alumaroll Specialty Co., Inc. Corner ke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screen assembly
JP2005186338A (ja) * 2003-12-24 2005-07-14 Aisin Seiki Co Ltd 対象物保持脱着装置
DE102004028448B4 (de) * 2004-06-14 2007-08-02 Lpkf Laser & Elektronika D.O.O. Schutzvorrichtung zum Halten einer Druckschablone und Schablonenspannrahmen
US7278459B2 (en) * 2004-06-24 2007-10-0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mmon carrier
JP4528569B2 (ja) * 2004-07-14 2010-08-18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メタルマスク、その取付け調整治具およびその取付け調整方法
JP4679853B2 (ja) * 2004-08-09 2011-05-11 普烈 粕谷 シート状素材の張設具
JP4503453B2 (ja) * 2005-02-04 2010-07-14 粕谷 普烈 型板を張設した枠体
US20070056701A1 (en) * 2005-09-14 2007-03-15 Brooker Steven F Weeping system for window screen corner keys
JP2009101514A (ja) * 2006-02-08 2009-05-14 Hirotake Kasuya シート状素材の張設具
US20070245650A1 (en) * 2006-04-04 2007-10-25 Milgard Manufactoring Incorporated Framing corner joint and method of manufacture
JP4880379B2 (ja) * 2006-06-23 2012-02-22 粕谷 普烈 型板の緊張度が調節自在な枠体
US7740048B2 (en) * 2007-06-06 2010-06-22 Wilson Eric P Screen frame and assembly
US7735541B2 (en) * 2007-08-29 2010-06-15 Lucius Hudson, Inc. Sheet material tensioning apparatus
CA2705831C (en) * 2007-11-13 2015-04-07 Artex Picture Frames Ltd. Canvas stretching system with corner clamps
JP5435997B2 (ja) * 2008-04-16 2014-03-0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防塵パネル
CN102574392A (zh) * 2009-08-27 2012-07-11 爱尔发加热有限公司 模版印刷框架
US8936065B1 (en) * 2009-12-30 2015-01-20 James B. Gillespie Reverse action corner embedment for stretched canvas
US8028489B1 (en) * 2010-01-07 2011-10-04 Lawrence Barry G Framed window screen and connector
JP5903274B2 (ja) * 2010-01-29 2016-04-13 粕谷 普烈 スクリーン張設枠
CN102348358B (zh) * 2010-08-04 2014-05-07 富泰华工业(深圳)有限公司 电子装置框体结构
CN102348359B (zh) * 2010-08-05 2014-12-10 富泰华工业(深圳)有限公司 框体结构
US20130283723A1 (en) * 2012-04-27 2013-10-31 Mark Engstrom Corner joint with capillary break and method of assembly
NL2009376C2 (nl) * 2012-08-28 2014-03-03 New Classic Internat Spanraam voor een opspanbare drager.
US9631417B2 (en) * 2012-12-21 2017-04-25 Milgard Manufacturing Incorporated Screen corner attachment
CN203774347U (zh) * 2013-12-27 2014-08-13 比亚迪股份有限公司 光伏电池组件
KR102268966B1 (ko) * 2014-04-02 2021-06-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JP6373115B2 (ja) * 2014-08-05 2018-08-15 日本特殊陶業株式会社 配線基板
US20160265268A1 (en) * 2015-03-13 2016-09-15 Gerard Therrien Corner for a screen frame
US9869122B2 (en) * 2016-01-29 2018-01-16 Quanex Corporation Cornerlock having a self configurable first body member
US10174544B2 (en) * 2017-06-05 2019-01-08 Amesbury Group, Inc. Corner key for extruded windows and doors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9152A (ko) * 2014-05-08 2015-11-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라미네이트 장치
KR20200122079A (ko) * 2019-04-17 2020-10-27 유대희 장력 조절이 가능한 메쉬 결합형태의 의자 좌판
KR102180233B1 (ko) * 2019-05-13 2020-11-18 유대희 텐션유지바를 이용한 장력 조절이 가능한 메쉬 결합형태의 의자 좌판
KR102180232B1 (ko) * 2019-05-13 2020-11-18 유대희 텐션조절기구를 이용한 장력 조절이 가능한 메쉬 결합형태의 의자 좌판
KR20200130959A (ko) * 2019-05-13 2020-11-23 유대희 메쉬 결합형태로 이루어진 의자 좌판의 텐션유지바 결합 구조
KR102499051B1 (ko) * 2022-11-14 2023-02-13 안성용 인쇄회로기판용 지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762382A (zh) 2012-10-31
TW201200356A (en) 2012-01-01
WO2011093437A1 (ja) 2011-08-04
JP2016020097A (ja) 2016-02-04
SG182775A1 (en) 2012-09-27
JPWO2011093437A1 (ja) 2013-06-06
EP2529931A4 (en) 2014-06-18
JP6318128B2 (ja) 2018-04-25
US20200236790A1 (en) 2020-07-23
US20180027662A1 (en) 2018-01-25
US20120285637A1 (en) 2012-11-15
JP5903274B2 (ja) 2016-04-13
TWI596012B (zh) 2017-08-21
EP2529931A1 (en) 2012-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127436A (ko) 스크린 신장 프레임
US9623650B2 (en) Printing screen unit having screen and frame with interface members
CN111316344B (zh) 柔性框架和具有柔性框架的柔性显示单元
JP4880379B2 (ja) 型板の緊張度が調節自在な枠体
JP2018071715A (ja) ヒンジ構造
JP2010247505A (ja) メタルマスク
GB2371520A (en) Printing screen support, method of mounting a printing screen and assembly jig
EP2807906B1 (en) Printing screen for surface mount devices
JP6974826B2 (ja) 枠体に張られたシート状物の製造法
JP4919824B2 (ja) 緩衝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テレビ装置
KR20220151683A (ko) 인장된 인쇄 스크린 프레임, 조립체 및 방법
KR20060042902A (ko) 램프의 곤포용 유지구
JP6029359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キャリッジの固定方法
WO2014162146A1 (en) Printing screen
CN101544095B (zh) 印刷丝网、其框架和印刷丝网装置
JP6612511B2 (ja) メタルマスク張設治具及びメタルマスク
JP5170583B2 (ja) シールドカバーおよび当該シールドカバーを有する基盤ユニット
JP6170734B2 (ja) 絵柄可変表示体及び絵柄可変表示体の製造方法
JP6170735B2 (ja) 絵柄可変表示冊子及び絵柄可変表示冊子の製造方法
JP2024006815A (ja) 簡易ベッド
JP2007308183A (ja) シート状電子部品の収納用ラック
JP2001047781A (ja) ペーパークリップおよびその装着器−2
JP2013052531A (ja) シートの固定装置
JPH0684069B2 (ja) 紗枠並びにその紗枠を使用したスクリーン印刷機
JP2006151436A (ja) 隙間用梱包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