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96462A - 점착제 및 점착 시트 - Google Patents
점착제 및 점착 시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096462A KR20120096462A KR1020127003050A KR20127003050A KR20120096462A KR 20120096462 A KR20120096462 A KR 20120096462A KR 1020127003050 A KR1020127003050 A KR 1020127003050A KR 20127003050 A KR20127003050 A KR 20127003050A KR 20120096462 A KR20120096462 A KR 2012009646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crylate
- meth
- mass
- adhesive
- adhesive shee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1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halogen, nitrogen, sulfur or oxygen atoms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2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mides or imid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6—Non-macromolecular additives organic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J133/062—Copolymers with monomers not covered by C09J133/06
- C09J133/066—Copolymers with monomers not covered by C09J133/06 containing -OH groups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J1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1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without carrie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C09J7/381—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385—Acrylic polyme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33/00—Presence of (meth)acrylic polymer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8—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having an adhesive outermost layer
- Y10T428/2839—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having an adhesive outermost layer with release or antistick coat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Adhesive Tapes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점착제는 알킬기의 탄소수가 5?20인 알킬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유래의 구성 단위(a1) 30~77질량%, 지환식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모노머 유래의 구성 단위(a2) 20?60질량%, (메트)아크릴산에서 유도되는 제3급 아미노기 함유 모노머 유래의 구성 단위(a3) 0.01?5질량%, 및 관능기(제3급 아미노기를 제외함) 함유 모노머 유래의 구성 단위(a4) 0.1?10질량%를 함유하는 아크릴계 공중합체(A) 및 가교결합제(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표면 극성의 높낮이에 상관없이, 피착체에 대해서 충분한 점착력을 가지는 것은 물론이고, 가교결합제와의 가교결합 반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며, 환경에 대한 악영향이 우려되는 중금속을 사용하지 않고 점착제의 안정화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점착제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점착제 및 점착 시트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2009년 9월 29일 자로 일본에 출원된 특허원 제2009-224039호, 2009년 12월 10일 자로 일본에 출원된 특허원 제2009-280671호, 및 2010년 4월 27일 자로 일본에 출원된 특허원 제2010-102153호에 기초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의 내용을 원용한다.
최근 들어 휴대 전화나 태블릿형 컴퓨터 등의 휴대 단말기기는 다기능화에 수반하여 조작의 간편성이 추구되고, 터치 패널(이하에서는 TP라 함)이 보급되어 왔다. TP, 액정 디스플레이나 광기록 매체의 표면이나 내부에서는 부재 표면 또는 계면에 미묘한 요철형태의 표면 결함이 있으면, 그 부분에서 빛이 산란, 굴절하여 반사되고, 흐림이 발생하기 때문에, 시인성(視認性))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 때문에, 기기 표면을 보호하기 위해서 하드 코팅(이하에서는 HC라 함) 필름이 부착된다. HC필름의 표면에 도포된 HC용 조성물에는 표면이 평활해지도록 실리콘이나 불소계 수지 등의 레벨링제가 배합된다. 레벨링제는 HC용 조성물의 표면 장력을 저하시켜서 도막의 레벨링성을 향상시키기 때문에, 기재에 코팅된 HC층의 표면은 평활해지는 반면, 저극성이 된다.
휴대 단말기기의 구성 부재로는 상기 저극성 표면을 갖는 재료 등이나 유리,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또는 아크릴 수지 등의 극성 표면을 갖는 재료를 예로 들 수 있다. 따라서, 이들 부재를 적층하기 위해서는 저(低)극성 표면과 고(高)극성 표면의 어느 표면에 대해서도 높은 점착력을 갖는 점착제가 필요해지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통상 사용되는 강력 점착형의 점착제는 고극성이 많다. 그 때문에, 저극성 면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점착력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휴대 단말기기는 예를 들어, 여름철 자동차 안과 같은 고온 환경 하에 노출되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이들 부재를 적층하기 위해서는 상온뿐만 아니라, 고온 환경 하에서도 높은 점착력을 갖는 점착제가 필요한 경우도 있다.
또한, 부착 대상이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나 아크릴 수지와 같은 수지판인 경우에는 고온 환경 하에서 수지판과 점착제층과의 계면에 발포에 의한 결함이 나타나는 문제도 있기 때문에, 발포를 억제하는 점착제가 필요해지는 경우가 있다.
휴대 단말기기의 구성 부재로서 상기 저극성 표면을 갖는 재료 등이나 투명한 폴리머 기재나 유리 상에 주석을 첨가한 산화 인듐 등의 전도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투명전도막을 형성한 적층체, 유리,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또는 아크릴 수지 등의 재료 등이 열거된다. 따라서, 휴대 단말기기 고정용 점착제에는 피착체 극성의 높낮이에 관계없이, 고도의 점착력을 갖는 성능이 필요하거나, 투명 전도막에 직접 접촉할 경우에는 투명전도막의 전기저항값을 변화시키지 않는 성능이 필요해지는 경우가 있다.
또한, 시인성을 저하시키지 않기 위해, 내구 시험 후에 헤이즈값이나 전체 광선 투과율 등의 광학 특성이 변화되지 않는 성능이 필요해지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극성이 낮은 피착체에 대해서도 높은 점착력을 갖는 저극성 재료용 점착제가 제안되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에서는 지환식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모노머 또는 방향족환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모노머의 공중합에 의해, 저극성 재료에 대한 밀착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유리 기판에 부착시킨 후에 고온 환경 하에 방치하여도 발포, 벗겨짐이 발생하지 않는 점착제가 제안되었다. 구체적으로는, (A)적어도 하기 성분 (a1), (a2), 및 (a3)를 공중합한, 질량 평균 분자량이 100만?200만 범위인 고분자량 폴리머, 및 (B)가교결합제를 포함하는 저극성 필름용 점착제가 개시되어 있다:
(a1) (메트)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 30?90질량%
(a2) 지환식 모노머 또는 방향족환 함유 모노머 9?50질량%
(a3) 관능기 함유 모노머 0.5?10질량%.
그러나, 입체 장애에 기인하는 탓인지,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하이드록실기와 가교결합제와의 가교결합 반응 속도가 느려진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통상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하이드록실기와 가교결합제와의 가교 결합 촉진 효과를 목적으로, 아크릴산이나 카복실기 함유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제1급 아미노기 함유 모노머(아크릴아미드 등)를 아크릴계 공중합체에 도입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아크릴산 및 카복실기 함유 아크릴레이트 모노머를 도입하면, 금속 부식 및 투명전도막 부식의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에, 점착제의 용도가 한정된다. 또한, 제1급 아미노기 함유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또는 아크릴아미드를 도입하면, 저극성 피착체에 대한 점착력이 저하된다는 사실이, 본 발명자에 의해 확인된 바 있다.
또한, 아크릴아미드는 극물(劇物)로 지정되어 있다. 또한, 가교결합 반응을 촉진시키는 반응 촉진제로서, 주석계나 코발트계 금속염이 알려져 있지만, 이들은 중금속이기 때문에 환경에 대한 악영향이 우려된다.
또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점착제에서는 유리 기판에 부착한 경우에 문제가 되지 않으나, 수지판에 부착한 경우에는 80℃의 고온 환경 하에서 250시간 정도로 발포가 일어나는 것을 알았다.
또한, 특허문헌 2에서는 플라스틱에 대해 우수한 점착성과 내발포성을 갖는 점착제가 제안되었다. 특허문헌 2에는 구체적으로 알킬기의 탄소수가 1?12인 (메트)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를 주성분으로 하며, 이에 카복실기를 함유하고 공중합가능한 불포화 모노머 0.5?10질량%를 공중합시켜 얻은 질량 평균 분자량 80만 이상의 수지 조성물(1)과, 알킬기의 탄소수가 1?20인 메타크릴산 알킬 에스테르 또는 메타크릴산 사이클로알킬 에스테르, 메타크릴산 벤질 또는 스티렌 중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모노머를 주성분으로 하고, 이에 아미노기를 함유하며, 공중합가능한 불포화 모노머 0.5?10질량%를 공중합시켜 얻은, 유리 전이 온도(Tg)가 40℃ 이상으로 질량 평균 분자량 10만 이하의 수지 조성물(2)를 포함하며, 수지 조성물(1) 100질량부에 대하여 수지 조성물(2) 1?40질량%를 첨가한 점착제 조성물이 개시되었다.
그러나, 특허문헌 2에 개시된 점착제는 극성이 높은 카복실기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을 필수 성분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저극성 표면에 대해서 충분한 점착력을 얻을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투명전도막을 부식시키는 문제가 있다.
또한, 금속층의 부식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점착제가 제안되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3 참조).
특허문헌 3에는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를 주요 모노머 성분으로 하고, 카복실기 함유 모노머를 1질량% 이상 3질량% 미만의 양으로 공중합시켜 이루어지며, 또한 실질적으로 하이드록실기 함유 모노머가 공중합되지 않은 아크릴계 공중합체(A) 100질량부에 대하여, 벤조트리아졸 및/또는 그의 유도체(B) 1?10질량부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과,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A) 중의 카복실기 X와 반응할 수 있는 관능기 Z를 갖는 에폭시 가교결합제(C)를,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A) 중의 카복실기 X에 대한 상기 에폭시 가교결합제(C) 중의 관능기 Z의 당량비(X:Z)가 1:0.01?1:0.4가 되도록 하는 양으로 사용하여 가교 결합시킴으로써 수득되는 점착제층이, 지지체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점착용 점착 시트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3에 기재된 점착제 조성물은 금속 부식 방지 효과를 목적으로 하여 벤조트리아졸이나 그의 유도체를 점착제 조성물의 필수성분으로 배합하지만, 벤조트리아졸 및 그의 유도체의 블리드 아웃으로 인해 점착력이 변동하는 문제 또는 상기 성분의 시간의 경과에 따른 변화로 인해 변색의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한 목적은 표면 극성의 높낮이에 관계없이, 피착제에 대해서 충분한 점착력을 가짐은 물론, 가교결합제와의 가교 반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며, 환경에 대한 악영향이 우려되는 중금속을 사용함이 없이, 점착제의 안정화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점착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표면 극성의 높낮이에 관계없이, 피착체에 대해서 충분한 점착력을 가짐은 물론, 고온 환경 하에서도 충분한 점착력을 유지할 수 있으며, 또한 수지판에 부착한 경우에 점착제와의 계면에서 생기는 발포를 억제할 수 있는 점착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표면 극성의 높낮이에 관계없이, 피착체에 대해서 충분한 점착력을 가짐은 물론, 고온 환경 하에서도 충분한 점착력을 유지할 수 있으며, 또한 내구 시험 후에 광학 특성의 변화를 억제할 수 있는 점착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이하의 측면을 갖는다.
(1) 알킬기의 탄소수가 5?20인 알킬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유래의 구성 단위(a1) 30~77질량%, 지환식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모노머 유래의 구성 단위(a2) 20?60질량%, (메트)아크릴산에서 유도되는 제3급 아미노기 함유 모노머 유래의 구성 단위(a3) 0.01?5질량%, 및 관능기(제3급 아미노기를 제외함) 함유 모노머 유래의 구성 단위(a4) 0.1?10질량%를 함유하는 아크릴계 공중합체(A) 및 가교결합제(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제.
(2) 상기 알킬 아크릴레이트 모노머가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 아크릴레이트, 및 n-헥실 아크릴레이트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인 상기 (1)에 기술된 점착제
(3) 상기 지환식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모노머가 사이클로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 디사이클로펜타닐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이소보르닐 (메트)아크릴레이트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인, 상기 (1) 또는 (2)에 기술된 점착제.
(4) 상기 (메트)아크릴산에서 유도되는 제3급 아미노기 함유 모노머가 디메틸아미노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디메틸아미노프로필 (메트)아크릴아미드, 및 디에틸아미노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인, 상기 (1)?(3) 중 어느 한 항에 기술된 점착제.
(5) 상기 관능기(제3급 아미노기를 제외함) 함유 모노머가 하이드록실기 함유 모노머인, 상기 (1)?(4) 중 어느 한 항에 기술된 점착제.
(6) 상기 (1)?(5)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점착제로 이루어지는 점착제층의 양면에 박리 시트가 적층된 점착 시트.
(7) 상기 (1)?(5)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점착제로 이루어지는 점착제층을 기재의 적어도 한쪽 면에 함유하는 점착 시트.
(8) 25℃에서의 물에 대한 접촉각이 72°내지 120°인 하드 코팅 필름의 저극성 표면 및 극성을 갖는 재료 표면의 양면에 접착 가능한, 상기 (6) 또는 (7)에 기술된 점착 시트.
(9) 상기 극성을 갖는 재료가 유리,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또는 아크릴 수지인, 상기 (8)에 기술된 점착 시트.
(10) 휴대 정보 단말기기 내부 고정용에 사용되는, 상기 (6) 또는 (9)에 기술된 점착 시트.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 범위에 있어서, 용어 '구성 단위'란 수지 성분(중합체, 공중합체)을 구성하는 모노머 단위(단량체 단위)를 의미한다.
용어 '(메트)아크릴레이트'란 α위치에 수소 원자가 결합된 아크릴레이트와, α위치에 메틸기가 결합된 메타크릴레이트의 하나 또는 둘 다를 의미한다.
용어 '(메트)아크릴산'이란 α위치에 수소 원자가 결합된 아크릴산과, α위치에 메틸기가 결합된 메타크릴산의 하나 또는 둘 다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점착제에 관한 일실시 형태에 따르면, (1) 표면 극성의 높낮이에 관계없이, 피착체에 대해서 충분한 점착력을 가짐은 물론, 가교결합제와의 가교결합 반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환경에 대한 악영향이 우려되는 중금속의 사용 없이 점착제의 안정화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점착제에 관한 일실시 형태에 따르면, (2) 표면 극성의 높낮이에 관계없이, 피착체에 대해서 충분한 점착력을 가짐은 물론, 고온 환경 하에서도 충분한 점착력을 유지할 수 있으며, 또한 수지판에 부착한 경우에 점착제와의 계면에서 생기는 발포를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점착제에 관한 일실시 형태에 따르면, (3) 표면 극성의 높낮이에 관계없이, 피착체에 대해서 충분한 점착력을 가짐은 물론, 고온 환경 하에서도 충분한 점착력을 유지할 수 있으며, 또한 내구 시험 후에 광학 특성의 변화를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점착 시트에 관한 일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기 점착제로 이루어진 점착층을 가지므로, 피착체의 표면 극성의 높낮이에 상관없이 충분한 점착력이 얻어지는 점에서, 이 점착 시트는 다양한 재질의 피착제용 점착 시트로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점착 시트에 관한 일실시 형태에 따르면, 내구 시험 후의 광학 특성 변화가 적어지고, 가혹한 환경 하에서도 변색이나 흐림이 잘 생기지 않고, 휴대 정보 단말기기 등에 사용했을 때, 상기 기기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점착제로 이루어진 점착제층의 양면에 박리 시트가 적층된 무(無)기재 양면 점착 시트의 일실시 형태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점착제로 이루어진 점착제층을 기재의 일면에 형성하고, 상기 점착제층 위에 박리 시트가 적층된 기재 함유 편면 점착 시트의 일실시 형태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점착제로 이루어진 점착제층을 기재의 양면에 형성하고, 상기 점착제층 위에 박리 시트가 적층된 기재 함유 양면 점착 시트의 일실시 형태의 단면도이다.
도 4는 전기저항값 측정시험에 사용되는 저항값 측정 샘플의 단면도이다.
도 5는 전기저항값 측정시험의 설명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점착제로 이루어진 점착제층을 기재의 일면에 형성하고, 상기 점착제층 위에 박리 시트가 적층된 기재 함유 편면 점착 시트의 일실시 형태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점착제로 이루어진 점착제층을 기재의 양면에 형성하고, 상기 점착제층 위에 박리 시트가 적층된 기재 함유 양면 점착 시트의 일실시 형태의 단면도이다.
도 4는 전기저항값 측정시험에 사용되는 저항값 측정 샘플의 단면도이다.
도 5는 전기저항값 측정시험의 설명도이다.
본 발명의 점착제는 알킬기의 탄소수가 5?20인 알킬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유래의 구성 단위(a1) 30~77질량%, 지환식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모노머 유래의 구성 단위(a2) 20?60질량%, (메트)아크릴산에서 유도되는 제3급 아미노기 함유 모노머 유래의 구성 단위(a3) 0.01?5질량%, 및 관능기(제3급 아미노기를 제외함) 함유 모노머 유래의 구성 단위(a4) 0.1?10질량%를 함유하는 아크릴계 공중합체(A) 및 가교결합제(B)를 포함한다.
아크릴계 공중합체(A) 중의 구성 단위(a1)는 알킬기의 탄소수가 5?20인 알킬 아크릴레이트 모노머이다. 알킬기의 탄소수가 6?14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탄소수가 8?12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알킬 아크릴레이트 모노머로서는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 아크릴레이트, n-헥실 아크릴레이트, 라우릴 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 아크릴레이트 등이 바람직하며,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 아크릴레이트, 및 n-헥실 아크릴레이트가 저극성 표면에 대해서 충분한 점착력을 나타내므로 보다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입수가 용이한 점에서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가 특히 바람직하다.
구성 단위(a1)의 함량은 아크릴계 공중합체(A)를 구성하는 모노머 전체 질량에 대해서, 30?77질량%인 것이 필수 요건이다. 구성 단위(a2)의 함량을 유지하면서 저극성 표면에 대한 충분한 점착력을 나타내는 관점에서, 35?75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며, 35?70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며, 40?70질량%가 특히 바람직하다.
아크릴계 공중합체(A) 중의 구성 단위(a2)는 지환식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모노머이다.
지환식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모노머의 '지환식기'란 환상의 지방족기(사이클로알킬기)로서 방향족성을 갖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지환식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모노머는 단환식 화합물일 수도 있고, 다환식 화합물일 수도 있다. 지환식기의 탄소수는 5?20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6?10이다. 지환식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모노머로서는 사이클로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 디사이클로펜타닐 (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보르닐 (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사이클로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 디사이클로펜타닐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이소보르닐 (메트)아크릴레이트이다. 그중에서도, 저극성 표면에 대한 충분한 점착력을 얻을 수 있는 점, 및 플라스틱 패널과의 계면에 발생하는 발포를 억제하는 점에서, 사이클로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가 특히 바람직하다.
구성 단위(a2)의 함량은 아크릴계 공중합체(A)를 구성하는 모노머 전체 질량에 대해서, 20?60질량%가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5?55질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30?50질량%이다. 지환식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모노머의 함량이 20%이상인 경우, 저극성 재료에 대해서 충분한 점착력을 얻을 수 있다.
아크릴계 공중합체(A) 중의 구성 단위(a3)는 (메트)아크릴산에서 유도되는 제3급 아미노기 함유 모노머이다.
(메트)아크릴산에서 유도되는 제3급 아미노기 함유 모노머로는 제3급 아미노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모노머, 및 제3급 아미노기 함유 N-치환된 (메트)아크릴아미드 모노머를 예로 들 수 있다.
제3급 아미노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모노머로서는 다른 모노머와의 공중합성이 좋아지는 디알킬아미노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가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3급 아미노기 함유 모노머가 알킬기를 갖는 경우, 알킬기는 각각 같거나 다를 수 있으며, 직쇄상, 분지상, 또는 환상 알킬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알킬기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가 1?10이며, 탄소수 1?5가 바람직하다. 제3급 아미노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모노머의 구체예로서는 디메틸아미노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디메틸아미노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디메틸아미노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디에틸아미노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디에틸아미노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디에틸아미노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디부틸아미노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피롤리딘-1-일)메틸 (메트)아크릴레이트, (피롤리딘-1-일)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피롤리딘-1-일)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피롤리딘-1-일)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제3급 아미노기 함유 N-치환된 (메트)아크릴아미드 모노머'란 아미드기를 형성하는 질소 원자 상에 제3급 아미노기를 함유하는 치환기가 결합된 것을 말한다. 제3급 아미노기 함유 N-치환된 (메트)아크릴아미드 모노머로서는 디알킬아미노알킬 (메트)아크릴아미드가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3급 아미노기 함유 N-치환된 (메트)아크릴아미드 모노머에서 질소 원자 상의 치환기로서는 직쇄상, 분지상 또는 환상 알킬기를 예로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알킬기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가 1?10이고, 바람직하게는 1?5이다. 디알킬아미노알킬 (메트)아크릴아미드의 구체예로서는 디메틸아미노에틸 (메트)아크릴아미드, 디메틸아미노프로필 (메트)아크릴아미드, 디에틸아미노에틸 (메트)아크릴아미드, 디에틸아미노프로필 (메트)아크릴아미드 등을 들 수 있다.
(메트)아크릴산에서 유도되는 제3급 아미노기 함유 모노머 중에서도, 디메틸아미노에틸 아크릴레이트, 디메틸아미노프로필 아크릴아미드, 및 디에틸아미노에틸 메타크릴레이트가 바람직하며, 디메틸아미노에틸 아크릴레이트가 보다 바람직하다.
구성 단위(a3)의 함량은 아크릴계 공중합체(A)를 구성하는 모노머의 전체 질량에 대해서 0.01?5질량%가 바람직하며, 0.05?1질량%가 보다 바람직하고, 특히 0.1?0.5질량%가 바람직하다. 0.01질량% 이상의 경우, 구성 단위(a4)의 관능기와 가교결합제와의 가교 결합 촉진 효과가 충분히 얻어지며, 유기 주석 등의 중금속계 가교결합 촉진제를 사용하는 일 없이 점착력을 단시간 내에 안정 영역으로 이끌 수 있다. 또한, 5 질량% 이하인 경우, 점착제 용액 상태에서의 안정성이 좋다.
아크릴계 공중합체(A) 중의 구성 단위(a4)는 관능기(제3급 아미노기를 제외함) 함유 모노머이다.
관능기(제3급 아미노기를 제외함) 함유 모노머의 '관능기'란, 제3급 아미노기를 제외한, 하이드록실기, 카복실기 등의, 가교결합제(B)와 반응하여 결합가능한 반응성 관능기를 의미한다. 관능기(제3급 아미노기를 제외함) 함유 모노머로서는 하이드록실기 함유 모노머 및 카복실기 함유 모노머를 들 수 있다.
하이드록실기 함유 모노머의 예로는 2-하이드록시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3-하이드록시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3-하이드록시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4-하이드록시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하이드록시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이 있다.
카복실기 함유 모노머의 예로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크로톤산, 푸마르산, 이타콘산, 말레산, 2-카복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등이 있다. 저극성 표면에 대해서 충분한 점착력을 가지며, 또한 투명전도막의 전기저항값 변화를 억제하기 위해서는 비교적 극성이 낮은 하이드록실기 함유 모노머가 바람직하며, 충분한 점착력을 나나타내는 2-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가 특히 바람직하다.
구성 단위(a4)의 함량은 아크릴계 공중합체(A)를 구성하는 모노머의 전체 질량에 대해서 0.1?10질량%가 바람직하며, 0.15?7질량%가 보다 바람직하고, 0.2?5질량%가 특히 바람직하다. 0.1질량% 이상인 경우, 응집력이 저하되지 않으며, 10 질량% 이하인 경우, 점착제의 극성이 커지지 않고, 저극성 표면에 대한 충분한 점착력을 얻을 수 있다. 또한, 고온 고습의 환경 하에 보관하는 경우는 구성 단위(a4)의 함량은 헤이즈값 억제라는 관점에서, 1질량% 보다 많고, 10질량% 이하인 경우가 바람직하며, 2?8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다. 구성 단위(a4)의 함량을 1 질량% 보다도 많고 10질량% 이하의 범위 내로 함으로써, 얻어지는 점착제는 응집력이 저하되지 않고, 또한 내구 시험 후에 헤이즈의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아크릴계 공중합체(A) 중의 구성 단위로서, 점착력 제어나 응집력 제어를 목적으로 (a1)?(a4)의 함량을 만족시키는 범위에서, (a1)?(a4) 이외의 다른 모노머를 임의로 포함할 수 있다. 그 밖의 다른 모노머로서 전술한 아크릴계 모노머와 공중합가능한 모노머 중에서 선택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알킬기의 탄소수가 1?7인 알킬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알킬기의 탄소수가 1?18인 알킬 메타크릴레이트 모노머, 비닐계 모노머 등을 들 수 있다.
알킬기의 탄소수가 1?7인 알킬 아크릴레이트 모노서로서 예를 들면, 메틸 아크릴레이트, 에틸 아크릴레이트, 프로필 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 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 아크릴레이트, n-헥실 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알킬기의 탄소수가 1?18인 알킬 메타크릴레이트 모노서로서,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에틸 메타크릴레이트, 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 n-부틸 메타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 부틸 메타크릴레이트, 헥실 메타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메타크릴레이트, 라우릴 메타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비닐계 모노서로서 스티렌, α-메틸스티렌, 비닐 톨루엔, 비닐 포르메이트, 비닐 아세테이트, 아크릴로니트릴, 글리시딜 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아크릴계 공중합체(A)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20만 이상이 바람직하며, 40만 이상?200만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50만 이상?150만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중량 평균 분자량이 20만 이상인 경우, 점착제로서 응집력이 뛰어나며, 200만 이하인 경우, 폴리머 합성 시의 중합이 용이해진다.
가교결합제(B)는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A)를 가교 결합시키는 것이며, 예를 들면, 유기 다가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유기 다가 에폭시 화합물, 유기 다가 이민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 입수의 용이성 등의 관점에서 유기 다가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유기 다가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로서는 2,4-톨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2,6-톨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1,3-크실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1,4-크실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메탄-4,4'-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메탄-2,4'-디이소시아네이트, 3-메틸 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디사이클로헥실메탄-4,4'-디이소시아네이트, 디사이클로헥실메탄-
2,4'-디이소시아네이트, 리진 이소시아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다가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3량체, 및 이들 다가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폴리올 화합물을 반응시켜서 얻어지는 말단 이소시아네이트 우레탄 프레폴리머 등도 사용할 수 있다.
유기 다가 에폭시 화합물로는 비스페놀 A형 에폭시 화합물, 비스페놀 F형 에폭시 화합물, 1,3-비스(N,N-디글리시딜 아미노메틸)톨루엔, N,N,N',N'-테트라글리시딜-4,4-디아미노디페닐 메탄 등이 있다.
유기 다가 이민 화합물로는 N,N'-디페닐메탄-4,4'-비스(1-아질리딘 카복시아미드), 트리메틸올 프로판-트리-β-아질리디닐 프로피오네이트, 테트라메틸올 메탄-트리-β-아질리디닐 프로피오네이트, N,N'-톨루엔-2,4-비스(1-아질리딘 카복시아미드)트리에틸렌 멜라민 등을 들 수 있다.
가교결합제(B)의 첨가량으로는 아크릴계 공중합체(A) 100중량부에 대해서 0.01?10질량부 정도가 바람직하며, 0.03?7질량부 정도가 보다 바람직하고, 0.05?5질량부 정도가 특히 바람직하다. 가교결합제(B)의 첨가량이 0.01질량부 이상인 경우, 전단 방향의 응력에 대하여 형상을 유지하기에 충분한 점착제의 응집력이 얻어지며, 10질량부 이하인 경우, 충분한 점착력이 얻어진다.
가교결합제(B)의 첨가량이 아크릴계 공중합체(A) 고형분 100중량부에 대하여 0.01질량부 이상 10질량부 이하인 경우, 표면 극성의 높낮이에 상관없이, 피착체에 대해 충분한 점착력을 갖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가교결합제(B)의 첨가량이 아크릴계 공중합체(A) 고형분 100중량부에 대하여 0.375질량부를 넘어 10질량부 이하인 경우, 표면 극성의 높낮이에 상관없이, 피착체에 대해 충분한 점착력을 가짐은 물론, 고온 환경 하에서도 충분한 점착력을 유지할 수 있으며, 또한, 수지판에 부착한 경우에 점착제와의 계면에서 생기는 발포를 억제할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점착제에는 필요에 따라서 다른 첨가제를 함유시킬 수 있다. 첨가제로서는 자외선 흡수제, 점착 부여제, 연화제(가소화제), 충전제, 산화 방지제, 녹 방지제, 안료, 염료 등이 있다.
자외선 흡수제로는 벤조트리아졸계, 벤조페논계, 트리아진계 화합물 등, 종래부터 점착제에 사용되고 있는 것을 들 수 있다.
점착 부여제로는 로진 및 그의 유도체, 폴리테르펜, 테르펜 페놀 수지, 쿠마론-인덴 수지, 석유계 수지, 스티렌 수지, 크실렌 수지 등, 종래부터 점착제에 사용되고 있는 것을 들 수 있다.
연화제로는 액상 폴리 에테르, 글리콜 에스테르, 액상 폴리테르펜, 액상 폴리 아크릴레이트, 푸탈산 에스테르, 트리멜리트산 에스테르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구성 단위(a1), (a2), (a3), (a4) 및 임의의 다른 모노머를 함유하는 아크릴계 공중합체(A) 및 가교결합제(B)에, 필요에 따라, 각종 첨가제를 첨가함으로써 본 발명의 조성물을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점착제의 겔 분율은 5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65%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75% 이상이다.
겔 분율이 50% 미만이면, 수지판에 부착했을 때에 발포가 생기는 경우가 있다. 이 겔 분율은 아크릴계 공중합체(A)의 구성 단위의 하나인 관능기(제3급 아미노기를 제외함) 함유 모노머에서 유래하는 구성 단위(a4)의 종류와 함량, 아크릴계 공중합체(A)의 중량 평균 분자량, 가교결합제(B)의 종류와 함량에 따라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점착제의 80℃에서의 저장 탄성률은 20000Pa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5000Pa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30000Pa 이상이다.
80℃에서의 저장 탄성률이 20000Pa 이상인 경우, 보다 효과적으로 발포를 억제할 수 있으며, 고온 고습도 등의 어려운 환경 하에서의 내구성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점착제의 80℃에서의 저장 탄성률은 50000Pa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000Pa 이하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점착제에는 도포하기 쉽도록 유기 용매를 첨가할 수 있다. 유기 용매로는 메틸 에틸 케톤, 아세톤, 에틸 아세테이트,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디옥산, 사이클로헥산, n-헥산, 톨루엔, 크실렌, n-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유기 용매는 아크릴계 공중합체(A) 및 가교결합제(B)의 조제 시에 사용된 유기 용매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는 외에, 점착제층을 균일하게 코팅할 수 있도록, 조제 시에 사용된 유기 용매 외의 1종 이상의 유기 용매를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점착제는 저극성 표면의 하드 코팅층에도, 고극성 폴리카보네이트에도 강한 점착성을 나타내므로, 단층으로만 이루어진 점착 시트로 할 수 있다. 점착제가 단층인 점착 시트로는 기재가 없는 양면 점착 시트의 형태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점착 시트에 사용되는 박리 시트로는 각종 박리 시트를 사용할 수 있지만, 대표적으로 박리성을 표면에 갖는 박리 시트용 기재로 구성된다. 박리 시트용 기재로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부텐, 폴리부타디엔, 폴리메틸펜텐, 폴리 비닐 클로라이드, 비닐 클로라이드 공중합체,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우레탄,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아이오노머 수지, 에틸렌 (메트)아크릴산 공중합체, 폴리스티렌, 폴리카보네이트, 불소 수지, 저밀도 폴리에틸렌,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트리아세틸 셀룰로즈 등의 수지 필름이나, 고급지, 코팅지, 그라신지(glassines), 라미네이팅지 등을 들 수 있다.
박리 시트용 기재의 표면에 박리성을 부여하는 데는 그의 표면에 불소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장쇄 알킬기 함유 카바메이트 등의 박리제를 도포에 의해 부착시킨다.
박리 시트용 기재의 두께는 5?300㎛가 바람직하며, 10?200㎛가 보다 바람직하다. 박리 시트용 기재로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계 필름을 사용하는 경우, 10?100㎛가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점착제를 박리 시트에 도포하는 방법으로는 그라비아 코팅법, 바 코팅법, 스프레이 코팅법, 스핀 코팅법, 롤 코팅법, 다이 코팅법, 나이프 코팅법, 에어나이프 코팅법, 커튼 코팅법 등의 종래부터 알려진 방법을 사용하여 점착제 함유 조성물을 도포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점착제 함유 조성물을 도포한 후, 용제나 저비점 성분의 잔류를 방지하기 위해서, 80℃?150℃ 정도의 온도에서 30초?5분 정도 가열함으로써 점착성이 발현된다.
도포 장치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공지의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건조 후의 도포량은 1?200g/m2 범위가 바람직하며, 3?150g/m2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며, 5?100g/m2 범위가 더욱 바람직하며, 10?60g/m2 범위가 특히 바람직하다. 1g/m2 이상으로 함으로써 충분한 점착성능을 얻을 수 있으며, 200g/m2 이하로 함으로써 점착제층이 돌출하는 것을 방지한다.
건조 후의 점착제층의 두께는 1?200㎛ 범위가 바람직하며, 5?100㎛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며, 10?60㎛ 범위가 특히 바람직하다. 1㎛ 이상으로 함으로써 충분한 점착 성능이 얻을 수 있고, 200㎛ 이하로 함으로써 점착제층이 돌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기재가 없는 양면 점착 시트의 형태로 할 경우에는 2장의 박리 시트가 필요하다. 박리 시트에 코팅된 점착제층에 또 한 장의 박리 시트를 합착시켜 적층체를 얻는다. 이때, 각각의 박리 시트의 박리력에 차이를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박리력에 차이를 두면, 박리 시트 측만을 벗겨낼 때, 점착제층이 중(重)박리 시트 측에서 들뜰 염려나 양쪽 박리 시트에서 박리되지 않고 점착제층이 인신되어 변형될 염려가 없다. 달리, 양면에 박리제를 도포한 박리 시트의 한쪽 면에 점착제층을 코팅한 후, 그것을 롤 형태로 감을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재와 상기 점착제로 이루어지는 기재 함유 점착 시트의 형태일 수도 있다. 기재 함유 점착 시트로는 점착제층이 기재의 양면에 코팅된 기재 함유 양면 점착 시트일 수도 있고, 한쪽 면에 코팅된 기재 함유 편면 점착 시트일 수도 있다.
기재 함유 양면 점착 시트로 한 경우, 양면 모두에 본 발명의 점착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재질이 다른 2종류의 점착제를 기재에 적층하는 것일 수도 있다. 이 경우는 한쪽 점착제에 본 발명의 점착제를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양면 점착 시트에 어느 정도의 두께가 필요한 경우에, 양면 점착 시트의 전체 두께를 기재의 두께로 조절할 수 있다.
기재 함유 편면 점착 시트로 한 경우, 피착체의 재질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적용가능한 라벨로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재 함유 양면 점착 시트 또는 기재 함유 편면 점착 시트에 사용되는 기재로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폴리이미드, 폴리에테르 이미드, 폴리아라미드, 폴리에테르 케톤, 폴리에테르 에테르 케톤, 폴리페닐렌 술피드, 폴리(4-메틸펜텐-1)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부텐, 폴리부타디엔, 폴리메틸펜텐,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비닐 클로라이드 공중합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우레탄,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아이오노머 수지, 에틸렌 (메트)아크릴산 공중합체, 폴리스티렌, 폴리카보네이트, 불소 수지, 저밀도 폴리에틸렌,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트리아세틸 셀룰로즈 등과 같은 수지 필름 등의 수지제 시트나 필름 또는 그의 적층체, 발포체, 고급지, 코팅지, 그라신지, 라미네이팅지 등의 종이 기재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재 함유 양면 점착 시트 또는 기재 함유 편면 점착 시트의 실시형태에 사용되는 기재의 두께는 사용하는 재료에 따라서 다소 다르지만, 5?300㎛가 바람직하며, 10?100㎛가 보다 바람직하다.
기재 함유 양면 점착 시트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한쪽의 박리 시트를 박리한 2장의 기재 없는 양면 점착 시트를, 기재 양면에 합착시켜 기재 함유 양면 점착 시트로 한다. 또는, 기재 양면에 점착제 함유 조성물을 직접 도포하고, 박리 시트를 합착시켜 기재 함유 양면 점착 시트로 한다. 또는, 기재의 한쪽 면에 기재 없는 양면 점착 시트를 합착시키고, 다른 한 면에 점착제 함유 조성물을 직접 도포하여 기재 함유 양면 점착 시트로 한다.
기재 함유 편면 점착 시트의 제조 방법으로는 기재의 한쪽 면에 양면 점착 시트를 합착하여 기재 함유 편면 점착 시트로 한다. 또는 기재의 한쪽 면에 점착제 함유 조성물을 직접 도포하고 박리 시트를 합착하여 기재 함유 편면 점착 시트로 한다.
기재 양면 또는 일면에 점착제 함유 조성물을 직접 도포하는 방법으로는 점착제를 박리 시트에 도포하는 방법과 마찬가지로 종래의 공지된 방법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점착 시트의 피착 대상으로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나, 휴대 단말기기 등의 구성 부재를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TP용 디스플레이 등에 사용되는 HC필름이나 각종 디스플레이 보호용 HC필름과 같은 저극성 표면을 갖는 재료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저극성 표면을 갖는 재료와 더불어, 휴대 단말기기의 구성 부재인 유리,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또는 아크릴 수지 등의 극성 표면을 갖는 재료에 대해서도 높은 점착력을 갖는다.
본 발명의 점착제 또는 점착 시트는 또한, 투명전도막에 직접 접촉하는 경우라도 투명전도막의 전기저항값을 변화시키지 않는 성능을 갖는다.
본 발명의 점착제 또는 점착 시트는 유리,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또는 아크릴 수지 등의 극성 표면뿐 아니라, HC필름의 저극성 표면에도 접착이 가능하고, HC필름의 저극성 표면에 대해서 7N 이상, 바람직하게는, 10N 이상의 점착력을 갖는다. 저극성 표면이란, 25℃에서의 물에 대한 접촉각이 72°내지 120°인 표면이라 정의된다. 또한, 각종 플라스틱 재료의 상기 접촉각은 다음과 같다[가부시키가이샤 씨 엠 씨 출판사(CMC Publishing Co., Ltd.), 호시노 요시노리 저자의 "색재용 폴리머 응용 기술, 색재용 폴리머의 설계와 응용(2002)"].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108?113° 폴리프로필렌: 95?98° 폴리에틸렌: 92?96° 폴리트리플루오로에틸렌: 92° 폴리트리플루오로클로로에틸렌: 90° 폴리스티렌: 83?87°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83?87° 폴리비닐리덴 클로라이드: 80°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71?81°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67?74° 나일론(폴리아미드): 63?70°
이러한 HC필름은 예를 들면, 내찰과성이나 방현성을 부여하기 위해, 두께 30?200㎛ 정도의 기재 필름에 두께 0.5?30㎛ 정도의 HC층을 코팅한 필름이다.
HC층이 코팅된 기재 필름으로는 각종 플라스틱 시트,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기재 필름의 구체 예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등의 폴리올레핀 수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수지,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등의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수지, 폴리스티렌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이미드 수지, 불소계 수지 등의 각종 합성수지의 필름을 들 수 있다.
HC층의 조성물로는 전리방사선 경화형 화합물을 함유하는 경화성 조성물, 및 그의 경화물, 열가소성 수지, 열경화성 수지 용액, 열경화성 수지를 함유하는 경화성 조성물의 경화물 등을 들 수 있지만, 전리방사선 경화형 화합물을 함유하는 경화성 조성물이 바람직하다.
조사되는 전리방사선은 각종 전리방사선 발생장치에서 발생하는 전리방사선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자외선은 통상 자외선 램프에서 복사되는 자외선을 사용할 수 있다. 그 자외선 램프로는 통상 파장 300?400nm의 영역에 스펙트럼 분포를 갖는 자외선을 발광하는 고압 수은 램프, 휴젼 H 램프, 크세논 램프 등의 자외선 램프가 사용되며, 조사량은 통상 50?3000mJ/cm2가 바람직하다.
전리방사선 경화형 화합물로는 불포화 모노머, 올리고머, 수지 또는 이들을 함유하는 조성물 등이 바람직하지만, 그의 구체예로는 다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 우레탄 (메트)아크릴레이트나 폴리에스테르 (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2관능기 이상을 갖는 다관능 전리방사선 경화형 아크릴계 화합물이 보다 바람직하며, 다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나 우레탄 (메트)아크릴레이트가 특히 바람직하다.
다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로는 에틸렌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 부틸렌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 헥산디올 디(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에탄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 트리 (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 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 펜타(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 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 글리세롤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알릴 (메트)아크릴레이트, 비스페놀 A 에틸렌 옥사이드 변성 디(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우레탄 (메트)아크릴레이트로는 예를 들면, 폴리에테르 폴리올이나 폴리에스테르 폴리올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반응에 의해 수득되는 폴리우레탄 올리고머의 하이드록실기와 (메트)아크릴산과의 반응에서 에스테르화함으로써 얻어진다.
폴리에스테르 (메트)아크릴레이트는 예를 들면, 다가 카본산과 다가 알콜의 축합에 의해 얻어지는 양 말단에 하이드록실기를 갖는 폴리에스테르 올리고머의 하이드록실기를 (메트)아크릴산으로 에스테르화함으로써, 또는 다가 카본산에 알킬렌 옥사이드를 부가하여 얻어지는 올리고머의 말단 하이드록실기를 (메트)아크릴산으로 에스테르화함으로써 수득된다.
전리방사선 경화형 화합물은 1종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경화성 조성물에는 실리카(콜로이드상 실리카를 포함), 실리콘 파우더, 마이카, 유리비즈, 아크릴계 미분말, 중공 입자 등의 필러를 함유할 수도 있다.
또한, 경화성 조성물에는 광안정제, 자외선 흡수제, 촉매, 착색제, 대전방지제, 활제, 레벨링제, 소포제, 중합촉진제, 산화방지제, 난연제, 적외선흡수제, 계면활성제, 표면개질제 등의 첨가 성분을 임의로 함유시킬 수도 있다.
상기 HC필름은 상기 저극성 표면을 가지며, 본 발명의 점착 시트의 피착 대상이 된다.
본 발명의 점착 시트는 고온 환경 하에서도 충분한 점착력을 유지할 수 있고, 또한, 수지판에 부착한 경우에 점착제와 수지판과의 계면에서 생기는 발포를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고온 환경 하에서의 사용에 적합하다.
본 발명의 점착 시트는 표면 극성의 높낮이에 상관없이, 피착체에 대해서 충분한 점착력을 가짐은 물론, 고온 환경 하에서도 충분한 점착력을 유지할 수 있고, 내구 시험 후의 광학 특성 변화를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점착 시트는 고온 고습도 환경 하에서 꺼낸 바로 다음부터 3시간 경과할 때까지의 헤이즈값이 고온 고습도 환경 하에 보관하기 전의 헤이즈값(초기값)과 0?1.5% 차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0?1.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 즉 초기값과 같은 값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점착 시트는 ITO(Indium Tin Oxide)막 등의 투명전도막에 부착하여 사용한 경우라도, 고온 고습도 환경 하에서도 부착 대상인 투명전도막의 전기저항율을 증가시키지 않는 점에서 터치패널의 부재로서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본 발명의 점착 시트는 실시예에 기재된 고온 고습도 환경 하의 조건으로 보관한 후의 저항값 변화율의 측정 결과가 0?30%인 것이 바람직하며, 0?2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0?10%가 특히 바람직하다.
터치 패널에는 저항막 방식, 표면 탄성파 방식, 적외선 방식, 전자유도 방식, 정전 용량 방식 등이 있지만, 정전 용량 방식은 화면 등에 터치했을 때의 전기 용량 변화를 감지함으로써 디바이스를 작동시키는 방식이고, 투명전도막의 네 모퉁이에 흐르는 미약한 전류 변화를 표시 장치가 계산 처리하여 접촉 위치를 검출한다.
이러한 원리에서 정전 용량 방식 터치 패널은 투명전도막의 아주 적은 전기저항률의 변화가 정도(精度) 저하로 이어지고, 결과로서 고장 원인이 된다. 본 발명의 점착 시트는 고온 고습도 환경 하에서도 부착 대상인 투명전도막의 전기저항률을 증가시키지 않는 점에서 특히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 부재로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은 표면형과 투영형이 있으나, 본 발명의 점착 시트는 양쪽 모두에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에서는 실시예 및 비교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2EHA), 사이클로헥실 아크릴레이트(CHA), 2-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HEA), 및 디메틸아미노에틸 아크릴레이트(DMAEA)로 이루어지는 아크릴계 공중합체(2EHA/CHA/HEA/DMAEA=59.5/40/0.3/0.2, 중량 평균 분자량 60만) 100질량부에, 가교결합제(니폰 폴리우레탄 코교 가부시키가이샤(NIPPON POLYURETHAN INDUSTRY CO., LTD) 제, 톨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결합제 제품명 "콜로네이트 L" 고형분 75%) 0.5질량부(아크릴계 공중합체 고형분 100질량부에 대해서 고형분 0.375질량부)를 혼합하고, 메틸 에틸 케톤으로 희석하여 불휘발성분 농도 30%의 점착제 도포액을 만들었다.
나이프 코터로 그 점착제 도포액을 중(重)박리 필름(린테크 가부시키가이샤 (Lintec Corporation) 제, 제품명 "SP-PET381031H", 막두께 38㎛)의 박리 처리면에, 건조 후의 두께가 25㎛가 되도록 도포하고, 90℃에서 약 1분간 건조시켜 점착제층을 형성했다.
이 점착제층에 경(輕)박리 시트(린테크 가부시키가이샤(Lintec Corporation) 제, 상품명 "SP-PET381031", 막두께 38㎛)의 박리 처리면을 라미네이팅하고, 점착제층이 2장의 박리 필름 사이에 끼워진 기재 없는 양면 점착 시트를 제작했다.
또한, 기재로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토요보 가부시키가이샤
(TOYOBO CO.,LTD)제, 제품명 "코스모샤인 A4100", 두께 100㎛)을, 기재 없는 양면 점착 시트에서 경박리 필름을 박리하여 노출된 점착제면에 부착시켜 기재 함유 편면 점착 시트로 했다.
(실시예 2)
2EHA/CHA/HEA/DMAEA=44.5/55/0.3/0.2, 중량 평균 분자량 80만의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실시하여 기재 없는 양면 점착 시트 및 기재 함유 편면 점착 시트를 제작했다.
(실시예 3)
2EHA/CHA/HEA/DMAEA=69.5/30/0.3/0.2, 중량 평균 분자량 80만의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실시하여 기재 없는 양면 점착 시트 및 기재 함유 편면 점착 시트를 제작했다.
(실시예 4)
2EHA/CHA/HEA/DMAEA=58.7/40/1/0.2, 중량 평균 분자량 80만의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실시하여 기재 없는 양면 점착 시트 및 기재 함유 편면 점착 시트를 제작했다.
(비교 실시예 1)
2EHA/CHA/HEA=59.7/40/0.3, 중량 평균 분자량 80만의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실시하여 기재 없는 양면 점착 시트 및 기재 함유 편면 점착 시트를 제작했다.
(비교 실시예 2)
2EHA/CHA/HEA/AAm = 59.2/40/0.3/0.5, 중량 평균 분자량 80만의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실시하여 기재 없는 양면 점착 시트 및 기재 함유 편면 점착 시트를 제작했다.
AAm = 아크릴아미드
(비교 실시예 3)
2EHA/CHA/HEA/DMAEA=83.8/15/1/0.2, 중량 평균 분자량 80만의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실시하여 기재 없는 양면 점착 시트 및 기재 함유 편면 점착 시트를 제작했다.
(비교 실시예 4)
BA/CHA/HEA/DMAEA=73.8/25/1/0.2, 중량 평균 분자량 80만의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실시하여 기재 없는 양면 점착 시트 및 기재 함유 편면 점착 시트를 제작했다.
BA = 부틸 아크릴레이트
(실시예 5)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2EHA), 사이클로헥실 아크릴레이트(CHA), 2-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HEA), 및 디메틸아미노에틸 아크릴레이트(DMAEA)로 이루어지는 아크릴계 공중합체 (2EHA/CHA/HEA/DMAEA=44.5/55/0.3/0.2, 중량 평균 분자량 80만) 100질량부에, 가교결합제(니폰 폴리우레탄 코교 가부시키가이샤(NIPPON POLYURETHAN INDUSTRY CO., LTD) 제, 톨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결합제 제품명 "콜로네이트 L" 고형분 75%) 0.6질량부(아크릴계 공중합체 고형분 100질량부에 대해서 고형분 0.45질량부)를 혼합하고, 메틸 에틸 케톤으로 희석하여 불휘발성분 농도 30%의 점착제 도포액을 만들었다.
나이프 코터로 그 점착제 도포액을 중(重)박리 필름(린테크 가부시키가이샤 (Lintec Corporation) 제, 제품명 "SP-PET382050", 막두께 38㎛)의 박리 처리면에, 건조 후의 두께가 25㎛가 되도록 도포하고, 90℃에서 약 1분간 건조시켜 점착제층을 형성했다.
이 점착제층에 경(輕)박리 시트(린테크 가부시키가이샤(Lintec Corporation) 제, 제품명 "SP-PET381031", 막두께 38㎛)의 박리 처리면을 라미네이팅하고, 점착제층이 2장의 박리 필름 사이에 끼워진 기재 없는 양면 점착 시트를 제작했다.
또한, 기재로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토요보 가부시키가이샤 (TOYOBO CO.,LTD) 제, 제품명 "코스모샤인 A4100", 두께 100㎛)의 접착이 쉬운 처리면을 기재 없는 양면 점착 시트에서 경박리 필름을 박리하여 노출된 점착제면에 부착시켜 기재 함유 편면 점착 시트로 했다.
(실시예 6)
2EHA/CHA/HEA/DMAEA=59.5/40/0.3/0.2, 중량 평균 분자량 80만의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5와 마찬가지로 실시하여 기재 없는 양면 점착 시트 및 기재 함유 편면 점착 시트를 제작했다.
(실시예 7)
2EHA/CHA/HEA/DMAEA=59.5/40/0.3/0.2, 중량 평균 분자량 100만의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5와 마찬가지로 실시하여 기재 없는 양면 점착 시트 및 기재 함유 편면 점착 시트를 제작했다.
(실시예 8)
2EHA/CHA/HEA/DMAEA=59.5/40/0.3/0.2, 중량 평균 분자량 50만의 아크릴계 공중합체 100질량부에, 가교결합제(니폰 폴리우레탄 코교 가부시키가이샤(NIPPON POLYURETHAN INDUSTRY CO., LTD) 제, 톨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결합제 제품명 "콜로네이트 L" 고형분 75%)를 고형분 0.13질량부(아크릴계 공중합체 고형분 100질량부에 대해서 고형분 0.098질량부)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5와 마찬가지로 실시하여 기재 없는 양면 점착 시트 및 기재 함유 편면 점착 시트를 제작했다.
(실시예 9)
2EHA/CHA/HEA/DMAEA=59.5/40/0.3/0.2, 중량 평균 분자량 80만의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8과 마찬가지로 실시하여 기재 없는 양면 점착 시트 및 기재 함유 편면 점착 시트를 제작했다.
(비교 실시예 5)
부틸 아크릴레이트(BA), 메틸 아크릴레이트(MA), 및 아크릴산(AAc)으로 이루어진 아크릴계 공중합체(BA/MA/AAc = 77/20/3, 중량 평균 분자량 80만)를 톨루엔으로 희석하여 얻은 불휘발성분 농도 28%의 아크릴계 공중합체 용액 100질량부에, 가교결합제(니폰 폴리우레탄 코교 가부시키가이샤(NIPPON POLYURETHAN INDUSTRY CO., LTD) 제, 톨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결합제 제품명 "콜로네이트 L" 고형분 75%) 0.9질량부(아크릴계 공중합체 고형분 100질량부에 대해서 고형분 2.41질량부)와, 알루미 킬레이트계 가교결합제(소켄 카가쿠 가부시키가이샤(Soken Chemical & Engineering Co., Ltd) 제, 알루미 킬레이트계 가교결합제 제품명 "M-5A" 고형분 4.95%) 1.8질량부(아크릴계 공중합체 고형분 100질량부에 대해서 고형분 0.32질량부)를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5와 마찬가지로 실시하여 기재 없는 양면 점착 시트 및 기재 함유 편면 점착 시트를 제작했다.
(비교 실시예 6)
BA/AAc = 95/5, 중량 평균 분자량 100만의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톨루엔으로 희석하여 얻은 불휘발성분 농도 20%의 아크릴계 공중합체 용액 100질량부에, 메틸 메타크릴레이트(MMA) 및 디메틸아미노에틸 메타크릴레이트(DMAEMA)로 이루어진 아크릴계 공중합체(MMA/DMAEMA = 95/5, 중량 평균 분자량 2만)를 톨루엔으로 희석하여 얻은 불휘발성분 농도 45%의 아크릴계 공중합체 용액 10질량부와, 알루미 킬레이트계 가교결합제(소켄 카가쿠 가부시키가이샤(Soken Chemical & Engineering Co., Ltd) 제, 알루미 킬레이트계 가교결합제 제품명 "M-5A" 고형분 4.95%) 4질량부(아크릴계 공중합체 고형분 100질량부에 대해서 고형분 0.99질량부)를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5와 마찬가지로 실시하여 기재 없는 양면 점착 시트 및 기재 함유 편면 점착 시트를 제작했다.
(비교 실시예 7)
BA/MMA/AAc = 95/3/2, 중량 평균 분자량 50만의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톨루엔으로 희석하여 얻은 불휘발성분 농도 30%의 아크릴계 공중합체 용액 100질량부에, 점착부여제(아라카와 카가쿠 코교 가부시키가이샤(ARAKAWA CHEMICAL INDUSTRIES, LTD) 제, 제품명 "파인크리스탈 KE-359") 30질량부와, 가교결합제(니폰 폴리우레탄 코교 가부시키가이샤(NIPPON POLYURETHAN INDUSTRY CO., LTD) 제, 톨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결합제 제품명 "콜로네이트 L" 고형분 75%) 0.5질량부(아크릴계 공중합체 고형분 100질량부에 대해서 고형분 0.013질량부)를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5와 마찬가지로 실시하여 기재 없는 양면 점착 시트 및 기재 함유 편면 점착 시트를 제작했다.
(실시예 10)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2EHA), 사이클로헥실 아크릴레이트(CHA), 2-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HEA), 및 디메틸아미노에틸 아크릴레이트(DMAEA)로 이루어지는 아크릴계 공중합체 (2EHA/CHA/HEA/DMAEA=56.8/40/3/0.2(질량%), 질량 평균 분자량 80만, 고형분 40질량%) 100질량부에, 톨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결합제(토요 잉키 가부시키가이샤(TOYO INK CO., LTD) 제, 상품명 "올리바인BHS8515" 고형분 37.5질량%) 0.5질량부(아크릴계 공중합체 고형분 100질량부에 대해서 고형분 0.47질량부)를 혼합하여 점착제 도포액을 만들었다.
나이프 코터로 그 점착제 도포액을 중(重)박리 시트(린테크 가부시키가이샤 (Lintec Corporation) 제, 제품명 "SP-PET382050", 막두께 38㎛)의 박리 처리면에, 건조 후의 두께가 25㎛가 되도록 도포하고, 90℃에서 약 1분간 건조시켜 점착제층을 형성했다. 이 점착제층에 경(輕)박리 시트(린테크 가부시키가이샤(Lintec Corporation) 제, 상품명 "SP-PET381031", 막두께 38㎛)의 박리 처리면을 라미네이팅하고, 점착제층이 2장의 박리 필름 사이에 끼워진 기재 없는 양면 점착 시트를 제작했다.
또한, 기재로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토요보 가부시키가이샤
(TOYOBO CO.,LTD) 제, 제품명 "코스모샤인 A4100", 두께 100㎛)의 접착이 쉬운 처리면을 기재 없는 양면 점착 시트에서 경박리 필름을 박리하여 노출된 점착제면에 부착시켜 기재 함유 편면 점착 시트를 제작했다.
(실시예 11)
2EHA/CHA/HEA/DMAEA=54.8/40/5/0.2(질량%), 질량 평균 분자량 80만, 고형분 40%의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0과 마찬가지로 실시하여 기재 없는 양면 점착 시트 및 기재 함유 편면 점착 시트를 제작했다.
(실시예 12)
2EHA/CHA/HEA/DMAEA=51.8/40/8/0.2(질량%), 질량 평균 분자량 80만, 고형분 40%의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0과 마찬가지로 실시하여 기재 없는 양면 점착 시트 및 기재 함유 편면 점착 시트를 제작했다.
(실시예 13)
2EHA/CHA/HEA/DMAEA=59.5/40/0.3/0.2(질량%), 질량 평균 분자량 80만, 고형분 40%의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0과 마찬가지로 실시하여 기재 없는 양면 점착 시트 및 기재 함유 편면 점착 시트를 제작했다.
(비교 실시예 8)
2EHA/CHA/HEA/DMAEA=79.5/20/0.3/0.2(질량%), 질량 평균 분자량 80만, 고형분 40%의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0과 마찬가지로 실시하여 기재 없는 양면 점착 시트 및 기재 함유 편면 점착 시트를 제작했다.
(비교 실시예 9)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2EHA), 사이클로헥실 아크릴레이트(CHA), 및 아크릴산(AAc)으로 이루어진 아크릴계 공중합체(2EHA/CHA/AAc=57/40/3(질량%), 질량 평균 분자량 80만, 고형분 40질량%의 아크릴계 공중합체) 100질량부에, 알루미 킬레이트계 가교결합제(소켄 카가쿠 가부시키가이샤(Soken Chemical & Engineering Co., Ltd) 제, 상품명 "M-5A" 고형분 4.95%) 3.3질량부(아크릴계 공중합체 고형분 100질량부에 대해서 고형분 0.41질량부)를 혼합한 아크릴계 공중합체 용액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0과 마찬가지로 실시하여 기재 없는 양면 점착 시트 및 기재 함유 편면 점착 시트를 제작했다.
(비교 실시예 10)
부틸 아크릴레이트(BA), 메틸 아크릴레이트(MA), 및 아크릴산(AAc)으로 이루어진 아크릴계 공중합체(BA/MA/AAc = 77/20/3(질량%), 질량 평균 분자량 80만, 고형분 40질량%의 아크릴계 공중합체) 100질량부에, 톨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결합제(니폰 폴리우레탄 코교 가부시키가이샤(NIPPON POLYURETHAN INDUSTRY CO., LTD) 제, 제품명 "콜로네이트 L" 고형분 75%) 0.9질량부(아크릴계 공중합체 고형분 100질량부에 대해서 고형분 1.69질량부)와, 알루미 킬레이트계 가교결합제(소켄 카가쿠 가부시키가이샤 (Soken Chemical & Engineering Co., Ltd) 제, 상품명 "M-5A" 고형분 4.95%) 1.8질량부(아크릴계 공중합체 고형분 100질량부에 대해서 고형분 0.22질량부)를 혼합한 아크릴계 공중합체 용액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0과 마찬가지로 실시하여 기재 없는 양면 점착 시트 및 기재 함유 편면 점착 시트를 제작했다.
(비교 실시예 11)
2EHA/CHA/HEA/DMAEA=44.8/40/12/0.2, 질량 평균 분자량 80만, 고형분 40%의 아크릴계 공중합체 100질량부에, 톨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결합제(토요 잉키 가부시키가이샤(TOYO INK CO., LTD) 제, 상품명 "올리바인BHS8515" 고형분 37.5질량%) 0.5질량부(아크릴계 공중합체 고형분 100질량부에 대해서 고형분 0.47질량부)를 혼합하여 점착제 도포액을 만들었다.
(실시예 14)
이소옥틸 아크릴레이트(i-OA), 사이클로헥실 아크릴레이트(CHA), 2-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HEA), 및 디메틸아미노에틸 아크릴레이트(DMAEA)로 이루어지는 아크릴계 공중합체 (i-OA/CHA/HEA/DMAEA=59.5/40/0.3/0.2, 중량 평균 분자량 80만의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5와 마찬가지로 실시하여 기재 없는 양면 점착 시트 및 기재 함유 편면 점착 시트를 제작했다.
(실시예 15)
n-헥실 아크릴레이트(n-HexA), 사이클로헥실 아크릴레이트(CHA), 2-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HEA), 및 디메틸아미노에틸 아크릴레이트(DMAEA)로 이루어지는 아크릴계 공중합체(n-HexA/CHA/HEA/DMAEA=59.5/40/0.3/0.2, 중량 평균 분자량 80만의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5와 마찬가지로 실시하여 기재 없는 양면 점착 시트 및 기재 함유 편면 점착 시트를 제작했다.
(실시예 16)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2EHA), 사이클로헥실 아크릴레이트(CHA), 2-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HEA), 및 디메틸아미노프로필 아크릴아미드(DMAPAA)로 이루어지는 아크릴계 공중합체 (2EHA/CHA/HEA/DMAPAA=59.5/40/0.3/0.2, 중량 평균 분자량 80만의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5와 마찬가지로 실시하여 기재 없는 양면 점착 시트 및 기재 함유 편면 점착 시트를 제작했다.
(실시예 17)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2EHA), 사이클로헥실 아크릴레이트(CHA), 2-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HEA), 및 디에틸아미노에틸 메타크릴레이트(DMAEMA)로 이루어지는 아크릴계 공중합체 (2EHA/CHA/HEA/DEAEMA=59.5/40/0.3/0.2, 중량 평균 분자량 80만의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5와 마찬가지로 실시하여 기재 없는 양면 점착 시트 및 기재 함유 편면 점착 시트를 제작했다.
(실시예 18)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2EHA), 디사이클로펜타닐 아크릴레이트(DCPA), 2-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HEA), 및 디메틸아미노에틸 아크릴레이트(DMAEA)로 이루어지는 아크릴계 공중합체 (2EHA/DCPA/HEA/DMAEA=75/24.5/0.3/0.2, 중량 평균 분자량 80만의 아크릴계 공중합체)100질량부에, 가교결합제(니폰 폴리우레탄 코교 가부시키가이샤(NIPPON POLYURETHAN INDUSTRY CO., LTD) 제, 톨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결합제 제품명 "콜로네이트 L" 고형분 75%) 0.13질량부(아크릴계 공중합체 고형분 100질량부에 대해서 0.0975질량부)를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5와 마찬가지로 실시하여 기재 없는 양면 점착 시트 및 기재 함유 편면 점착 시트를 제작했다.
(실시예 19)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2EHA),이소보르닐 아크릴레이트(IBXA), 2-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HEA), 및 디메틸아미노에틸 아크릴레이트(DMAEA)로 이루어지는 아크릴계 공중합체(2EHA/IBXA/HEA/DMAEA=73.5/26/0.3/0.2, 중량 평균 분자량 80만의 아크릴계 공중합체)100질량부에, 가교결합제(니폰 폴리우레탄 코교 가부시키가이샤(NIPPON POLYURETHAN INDUSTRY CO., LTD) 제, 톨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결합제 제품명 "콜로네이트 L" 고형분 75%) 0.13질량부(아크릴계 공중합체 고형분 100질량부에 대해서 고형분 0.0975질량부)를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5와 마찬가지로 실시하여 기재 없는 양면 점착 시트 및 기재 함유 편면 점착 시트를 제작했다.
(실시예 20)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2EHA), 사이클로헥실 아크릴레이트(CHA), 2-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HEA), 및 디메틸아미노에틸 아크릴레이트(DMAEA)로 이루어지는 아크릴계 공중합체 (2EHA/CHA/HEA/DMAEA=59.65/40/0.3/0.05, 중량 평균 분자량 80만의 아크릴계 공중합체) 100질량부에, 가교결합제(니폰 폴리우레탄 코교 가부시키가이샤(NIPPON POLYURETHAN INDUSTRY CO., LTD) 제, 톨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결합제 제품명 "콜로네이트 L" 고형분 75%) 0.5질량부(아크릴계 공중합체 고형분 100질량부에 대해서 고형분 0.375질량부)를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5와 마찬가지로 실시하여 기재 없는 양면 점착 시트 및 기재 함유 편면 점착 시트를 제작했다.
각 실시예 및 각 비교 실시예에서 얻은 점착 시트의 성상을 하기의 시험 방법으로 측정하여 그 결과를 표 1에 기재하였다.
(1)겔분율
상기 각 실시예 및 비교 실시예에서 수득된 기재 없는 양면 점착 시트를 23℃, 상대 습도 50%의 조건 하에서 코팅 직후부터 1주간 방치한 것, 및 40℃의 조건 하에서 코팅 직후부터 1주간 방치한 것을 박리 시트에서 점착제층만을 박리하여, 점착제의 질량을 측정하고, 계속해서 속실렛(Soxhlet) 추출기를 사용하여 에틸 아세테이트로 약 16시간 환류시켜 추출했다.
용해되지 않은 성분을 바람에 건조시킨 후, 100℃에서 10시간 건조시키고, 23℃, 상대습도 50%의 조건 하에서 3시간 방치하여 습도 조절을 한 후, 그의 질량을 측정하여 다음 식에 따라 겔분율을 계산했다.
[수학식 1]
겔분율(질량%) = (건조, 습도 조절 후의 미용해 성분 질량/추출 전의 점착제 질량) x 100
(2) 80℃ 저장 탄성율
상기 각 실시예 및 비교 실시예에서 수득된 기재 없는 양면 점착 시트의 박리 시트를 떼어내어 여러 장을 겹쳐서, 두께 3.0mm의 시트 샘플을 형성했다.
형성한 시트 샘플에서 직경 8mm X 두께 3mm의 원주형태 점착체층으로 이루어지는 시험편을 작성하고, 점탄성 측정장치(레오메트릭, 사이언티픽 에프 이 가부시키가이샤 제, 제품명 "DYNAMIC ANALYZER RDAII")를 사용하고, 비틀림 전단법에 의해 측정주파수 1Hz으로 80℃에서의 저장 탄성율을 측정했다.
(3) 23℃ 점착력
HC필름(린텍크 가부시키가이샤 제, 제품명"CHC-PET188N1E1", HC층을 양면(E1 면 및 N1 면으로 표시)에 갖는 HC필름, E1 면의 물에 대한 접촉각 80°), 및 유리판(엔 에스 지 프레시젼 가부시키가이샤(NSG PRECISION CO., LTD.) 제, 제품명 "코닝글래스 이글 XG", 물에 대한 접촉각 30°)을 피착체로서 준비했다.
상기 각 실시예 및 비교 실시예에서 수득된 기재 함유 편면 점착 시트를 25mm x 250mm로 재단하고, 23℃, 상대 습도 50%의 환경 하에서 박리 시트를 박리하여 드러난 점착제층의 면을, 상기 피착체에 각기 부착(HC필름은 E1면에 부착)했다.
그후, HC필름에 부착한 기재 함유 편면 점착 시트를 23℃, 상대 습도 50%의 환경에서 24시간 방치한 후, 동일 환경 하에서 인장 시험기(오리엔테크(ORIENTEC) 가부시키가이샤 제, 제품명 "텐실론")를 사용하여 JIS Z 0237에 따라 박리속도 300mm/분, 박리 각도 180°의 조건에서 측정한 값(N/25mm)을 23℃ 점착력이라 했다.
(4) 60℃ 점착력
상기 23℃ 점착력 측정에서 사용한 25mm x 250mm로 재단한 기재 함유 편면 점착 시트를 23℃, 상대 습도 50%의 환경 하에서 박리 시트를 박리하여 드러난 점착층 면을 전술한 바와 같이 HC필름의 E1 면에 부착했다.
그 후, HC필름에 부착한 기재 함유 편면 점착 시트를 23℃, 상대 습도 50%의 환경 하에서 24시간 방치한 후, 60℃ 환경 하에서 1시간 방치하고, 같은 환경 하에서 인장 시험기(오리엔테크 가부시키가이샤 제, 제품명 "텐실론")를 사용하여 JIS Z 0237에 따라 박리 속도 300mm/분, 박리 각도 180°의 조건에서 측정한 값(N/25mm)을 60℃ 점착력이라 했다.
(5) 내구성(발포 유무)
상기 각 실시예 및 비교 실시예에서 수득된 기재 없는 양면 점착 시트의 경박리 시트를 박리하여 상기 HC필름에 부착했다.
이어서, 중박리 시트를 박리하여 드러난 점착제층 면을 폴리카보네이트 수지판(미쓰비시 가스 카가쿠 가부시키가이샤(MITSUBISHI GAS CHEMICAL COMPANY, INC.) 제, 제품명 "유필론 시트 NF-2000")에 부착하여 80℃ 환경 하에서 250시간 보관한 후, 발포의 유무를 확인하여 다음 기준으로 평가했다.
○ : 발포 개소를 확인할 수 없음
△ : 0.1 이상 1mm 미만의 발포 개소가 확인됨
× : 1mm 이상의 발포 개소가 확인됨
? : 평가 안됨
이상과 같은 평가에 대해 각 실시예 및 비교 실시예에서의 시험 결과를 정리하여 표 1에 나타내었다.
(6) 저항값변화율
도 4를 사용하여 전기저항값 측정시험에 사용되는 저항값 측정 샘플을 설명한다.
스퍼터에 의해 ITO막 12를 표면 상에 형성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 13을 준비하고,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 13의 ITO막 12가 형성되지 않은 측과 유리판 15를 접합 테이프 14(린테크 가부시키가이샤 제, 상품명 "택크라이너 TL-70")를 개재하여 접합했다. 다음에 ITO막 12의 면 상에 은을 함유한 전도성 수지 재료(후지쿠라 카세이 가부시키가이샤(HUJIKURA KASEI CO., LTD.) 제, 상품명 "FA-301CA" 도타이트(DOTITE) 터치 패널 회로 타입)를 도포하고, 80℃에서 20분간 가열 건조시켜 저항값의 측정점이 되는 전극 11을 2점 제작했다. 그때, 2점 간의 거리는 2cm가 되도록 그 위치를 조정했다. 그리고, 실시예 및 비교 실시예에서 수득된 기재 없는 양면 점착 시트의 경박리 시트를 박리하고, 기재 10으로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토요보 가부시키가이샤 제, 상품명 "코스모샤인 A4100", 두께 50㎛)을 부착하여 본 발명에서의 기재 필름 함유 편면 점착 시트를 제작했다.
수득된 기재 필름 함유 편면 점착 시트를 20mm x 250mm의 크기로 재단하고, 기재 필름 함유 편면 점착 시트의 중박리 시트를 박리하여 점착제층 7이 전극 11의 2점 사이를 따라(거의 접하도록) ITO막 12의 스퍼터 면에 부착하고 도4의 저항값 측정용 샘플을 제작했다.
다음에,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지털 하이테스터(히오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HIOKI E.E.CORPORATION)제, "3802-50")를 사용하여 전극 11들 간의 초기 저항값 R0를 측정했다. 저항값 측정 샘플을 온도 80℃, 습도 90%의 환경 하에 각각 240 시간 방치한 후, 습열 촉진 후 저항값 R을 측정했다. 저항값 변화율은 하기 식에 의해 구하였다.
[수학식 2]
저항값 변화율 (%) = {(R-R0/R0)} x 100
(7) 헤이즈값
실시예 및 비교 실시예에서 수득된 기재 없는 양면 점착 시트의 경박리 시트를 박리하여, HC필름(린텍크 가부시키가이샤 제, 상품명 "CHC-PET188N1E1", E1 면의 물에 대한 접촉각 80°)을 부착했다.
이어서, 중박리 시트를 박리하여 드러난 점착제층면을 유리판(가부시키가이샤 유코 쇼카이 제, 상품명 "플로트(float)판유리")에 부착하여 초기 헤이즈값을 JIS K7136에 따라 헤이즈 미터(니폰 덴쇼쿠 코교 가부시키가이샤(NIPPON DENSHOKU INDUSTRIES CO., LTD.) 제, 상품명 "NDH-2000")를 사용하여 측정했다.
그 후, 그것을 80℃, 상대 습도 90%의 환경 하에서 240 시간 보관하고, 계속해서 23℃, 상대 습도 50%의 환경 하에 꺼내고, 꺼낸 직후부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헤이즈값을 측정했다. 저항값 변화율 및 헤이즈값의 결과를 정리하여 표 2에 나타내었다.
|
Mw |
점착제 특성 | 성능 평가 | |||||
겔분율 (%) |
겔분율 40℃건조 7일후 |
80℃ 저장탄성율 (Pa) |
23℃점착력 (N/25mm) |
60℃점착력 (N/25mm) |
내구성 |
|||
대(對) HC |
대(對) 유리 |
대(對) HC |
||||||
실시예1 | 60만 | 71 | 73 | - | 15 | 20 | - | ○ |
실시예2 | 80만 | 70 | 72 | - | 13 | 19 | - | ○ |
실시예3 | 80만 | 72 | 75 | - | 10 | 12 | - | - |
실시예4 | 80만 | 74 | 76 | - | 14 | 21 | - | ○ |
실시예5 | 80만 | 82 | 83 | 50000 | 16.5 | 20.0 | 12.5 | ○ |
실시예6 | 80만 | 80 | 81 | 40000 | 12.5 | 20.0 | 9.0 | ○ |
실시예7 | 100만 | 82 | 81 | 42000 | 12.0 | 16.0 | 9.0 | ○ |
실시예8 | 50만 | 39 | 42 | 14000 | 16.3 | 21.3 | 10.8 | × |
실시예9 | 80만 | 47 | 49 | 19000 | 15.2 | 20.5 | 10.0 | × |
실시예10 | 80만 | 89 | 90 | - | 16.5 | 20.0 | - | ○ |
실시예11 | 80만 | 89 | 90 | - | 18.0 | 24.0 | - | ○ |
실시예12 | 80만 | - | - | - | 10.5 | 18.0 | - | ○ |
실시예13 | 80만 | 80 | 81 | - | 12.5 | 20.0 | - | ○ |
실시예14 | 80만 | 73 | 71 | 23000 | 17.6 | 14.4 | 7.0 | ○ |
실시예15 | 80만 | 75 | 76 | 24500 | 12.6 | 15.0 | 7.0 | ○ |
실시예16 | 80만 | 82 | 83 | 30550 | 16.0 | 18.3 | 9.0 | ○ |
실시예17 | 80만 | 77 | 79 | 27800 | 16.5 | 18.0 | 8.5 | ○ |
실시예18 | 80만 | 61 | 64 | - | 13.3 | 11.0 | 10.0 | ○ |
실시예19 | 80만 | 61 | 64 | 9200 | 14.0 | 10.4 | 9.5 | ○ |
실시예20 | 80만 | 70 | 73 | - | 14.5 | 19.5 | - | ○ |
비교 실시예1 |
80만 |
10 |
50 |
- |
15 |
30 Cf |
- |
- |
비교 실시예2 |
80만 |
72 |
72 |
- |
6 |
22 |
- |
- |
비교 실시예3 |
80만 |
71 |
72 |
- |
4 |
4 |
- |
× |
비교 실시예4 |
80만 |
70 |
72 |
- |
6 |
7 |
- |
× |
비교 실시예5 |
80만 |
83 |
84 |
102000 |
2.2 |
20.2 |
0.8 |
× |
비교 실시예6 |
80만 |
74 |
77 |
95800 |
1.4 |
13.5 |
3.5 |
△ |
비교 실시예7 |
50만 |
33 |
31 |
15000 |
8.2 |
19.8 |
4.0 |
× |
비교 실시예8 |
80만 |
79 |
79 |
- |
4.5 |
3.5 |
- |
× |
비교 실시예9 |
80만 |
70 |
70 |
- |
15.0 |
23.5 |
- |
○ |
비교 실시예10 |
80만 |
83 |
84 |
102000 |
2.0 |
24.0 |
0.8 |
× |
비교 실시예11 |
80만 |
- |
- |
- |
- |
- |
- |
- |
Cf: 응집파괴
|
저항값변화율(%) | 헤이즈값(%)80℃90%RH240시간후 | ||||||
80℃건조 | 80℃ 90%RH |
초기값 | 직후 | 1시간후 | 3시간후 | 10시간후 | 24시간후 | |
실시예10 | 6.1 | 17.3 | 0.9 | 1.6 | 1.5 | 1.2 | 1.0 | 0.9 |
실시예11 | 10.6 | 19.0 | 0.9 | 1.3 | 1.2 | 1.0 | 1.0 | 1.0 |
실시예12 | 11.2 | 12.8 | 1.0 | 1.9 | 1.8 | 1.8 | 1.2 | 1.1 |
실시예13 | 4.7 | 10.0 | 0.9 | 6.3 | 5.0 | 3.1 | 1.0 | 1.0 |
비교 실시예8 |
3.4 |
11.0 |
1.0 |
3.1 |
2.9 |
2.7 |
1.1 |
1.1 |
비교 실시예9 |
106.9 |
49.6 |
1.0 |
1.2 |
1.2 |
1.0 |
1.0 |
1.0 |
비교 실시예10 |
29.0 |
52.1 |
0.9 |
1.7 |
1.3 |
1.2 |
1.0 |
1.0 |
비교 실시예11 |
- |
- |
- |
- |
- |
- |
- |
- |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에서 얻은 점착제를 사용한 점착 시트, 특히 실시예 1?20에서 수득된 점착 시트는 표면 극성의 높낮이에 상관없이, 피착체에 대해 충분한 점착력을 가짐은 물론, 가교결합제와의 가교 결합 반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환경에 대한 악영향이 염려되는 중금속을 사용함이 없이 점착제의 안정화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수득된 점착제를 사용한 점착 시트, 특히 실시예 5?9 및 14?19에서 수득된 점착 시트는 고온 환경 하에서도 충분한 점착력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또한 수지판에 부착한 경우에 점착제와의 계면에서 생기는 발포를 억제할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 10?12의 점착 시트는 ITO막에 부착한 경우에도 ITO막의 저항값 변화가 20%이하이며, ITO막을 열화시키는 일이 적다.
또한, 실시예 10?12의 점착 시트는 고온 고습도 환경 하에서의 내구 시험 후, 꺼낸 직후, 1시간 후, 및 3시간 후의 헤이즈값이 각각, 초기값과의 차가 1.5 미만이고, 헤이즈값의 증가가 작아서 내구 시험 후의 광학 특성의 열화가 적다.
한편, 비교 실시예 8의 점착 시트는 고온 고습도 환경 하에서의 내구 시험 후의 헤이즈값의 증가가 커서, 고온 고습도 환경 하에서 꺼낸 후에 헤이즈값이 초기값과 동등하게 돌아오기까지 3시간 이상이나 필요했다.
또한, 비교 실시예 8과 10은 HC필름에 대해서 충분한 점착력을 얻지 못하였고, 비교 실시예 9와 10은 ITO막에 부착한 경우에 ITO막의 저항값 변화가 20% 이상이 되었고, ITO막의 열화가 확인되었다.
또한, 비교 실시예 11은 점착제 도포액을 제조했을 때, 겔화되어서 코팅할 수 없었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에 따르면, (1) 표면 극성의 높낮이에 상관없이, 피착체에 대해 충분한 점착력을 가짐은 물론, 가교결합제와의 가교 결합 반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며, 환경에 대한 악영향이 우려되는 중금속을 사용하지 않고 시즈닝 기간이 단축된 점착제 및 점착 시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2) 표면 극성의 높낮이에 상관없이, 피착체에 대해 충분한 점착력을 가짐은 물론, 고온 환경 하에서도 충분한 점착력을 유지할 수 있으며, 또한 수지판에 부착한 경우에 점착제와의 계면에서 생기는 발포를 억제한 점착제 및 점착 시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3) 표면 극성의 높낮이에 상관없이, 피착체에 대해 충분한 점착력을 가짐은 물론, 고온 환경 하에서도 충분한 점착력을 유지할 수 있으며, 또한 내구 시험 후에 광학 특성의 변화를 억제한 점착제 및 점착 시트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점착제 및 점착 시트는 휴대 정보 단말기기 내부 고정용 점착 시트 등의 용도에 바람직하다.
7 점착제층
8 박리 시트
10 기재
11 전극
12 ITO막
13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
14 접합 테이프
15 유리판
8 박리 시트
10 기재
11 전극
12 ITO막
13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
14 접합 테이프
15 유리판
Claims (10)
- 알킬기의 탄소수가 5?20인 알킬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유래의 구성 단위(a1) 30~77질량%, 지환식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모노머 유래의 구성 단위(a2) 20?60질량%,(메트)아크릴산에서 유도되는 제3급 아미노기 함유 모노머 유래의 구성 단위(a3) 0.01?5질량%, 및 관능기(제3급 아미노기를 제외함) 함유 모노머 유래의 구성 단위(a4) 0.1?10질량%를 함유하는 아크릴계 공중합체(A), 및 가교결합제(B)를 포함하는 점착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알킬 아크릴레이트 모노머가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 아크릴레이트, 및 n-헥실 아크릴레이트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인 점착제.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환식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모노머가 사이클로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 디사이클로펜타닐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이소보르닐 (메트)아크릴레이트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인 점착제.
-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트)아크릴산에서 유도되는 제3급 아미노기 함유 모노머가 디메틸아미노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디메틸아미노프로필 (메트)아크릴아미드 및 디에틸아미노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인 점착제.
-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능기(제3급 아미노기를 제외함) 함유 모노머가 하이드록실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모노머인 점착제.
-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점착제로 이루어지는 점착제층의 양면에 박리 시트가 적층된 점착 시트.
-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점착제로 이루어지는 점착제층을 기재의 적어도 한쪽 면에 함유하는 점착 시트.
- 제 6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25℃에서의 물에 대한 접촉각이 72°내지 120°인 하드 코팅 필름의 저극성 표면 및 극성을 갖는 재료 표면의 양면에 접착 가능한 점착 시트.
-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극성을 갖는 재료가 유리,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또는 아크릴 수지인 점착 시트.
- 제 6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휴대 정보 단말기기 내부 고정용으로 사용되는 점착 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09224039 | 2009-09-29 | ||
JPJP-P-2009-224039 | 2009-09-29 | ||
JPJP-P-2009-280671 | 2009-12-10 | ||
JP2009280671 | 2009-12-10 | ||
JPJP-P-2010-102153 | 2010-04-27 | ||
JP2010102153 | 2010-04-27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96462A true KR20120096462A (ko) | 2012-08-30 |
KR101656757B1 KR101656757B1 (ko) | 2016-09-12 |
Family
ID=43826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7003050A KR101656757B1 (ko) | 2009-09-29 | 2010-09-29 | 점착제 및 점착 시트 |
Country Status (8)
Country | Link |
---|---|
US (1) | US20120183769A1 (ko) |
EP (1) | EP2484738A4 (ko) |
JP (1) | JP5531022B2 (ko) |
KR (1) | KR101656757B1 (ko) |
CN (2) | CN103992757A (ko) |
IN (1) | IN2012DN02720A (ko) |
TW (1) | TWI486415B (ko) |
WO (1) | WO2011040422A1 (ko)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40106395A (ko) * | 2013-02-25 | 2014-09-03 |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 점착성 조성물, 점착제 및 점착시트 |
KR20140109265A (ko) * | 2013-03-04 | 2014-09-15 |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 점착성 조성물, 점착제 및 점착시트 |
KR20160082543A (ko) * | 2013-11-05 | 2016-07-08 |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 휴대 전자기기 부재 고정용 양면 점착 시트 및 휴대 전자기기의 제조 방법 |
KR20160130251A (ko) * | 2014-03-06 | 2016-11-10 |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 점착성 조성물, 점착제 및 점착 시트 |
KR20190056584A (ko) * | 2017-11-17 | 2019-05-27 | 주식회사 엘지화학 | 편광자 보호필름용 광경화성 조성물 및 이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편광자 보호필름을 포함하는 편광필름 |
WO2019078656A3 (ko) * | 2017-10-20 | 2019-06-06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점착 조성물 및 이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점착 필름 |
KR20210022015A (ko) * | 2013-02-12 | 2021-03-02 |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 투명도전막 첩부용 점착시트 |
KR20220113548A (ko) * | 2016-04-28 | 2022-08-12 |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 보호막 형성용 필름 및 보호막 형성용 복합 시트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614328B2 (ja) * | 2011-02-25 | 2014-10-29 | 藤倉化成株式会社 | 粘着剤組成物、粘着フィルム、および光学部品 |
JP5469194B2 (ja) | 2011-05-02 | 2014-04-09 | 日東電工株式会社 | 粘着剤、粘着剤層、および粘着シート |
JP5932857B2 (ja) * | 2011-05-02 | 2016-06-08 | 日東電工株式会社 | 粘着剤、粘着剤層、および粘着シート |
JP5841536B2 (ja) * | 2011-06-17 | 2016-01-13 |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 透明粘着テープ、金属薄膜付フィルム積層体、カバーパネル−タッチパネルモジュール積層体、カバーパネル−ディスプレイパネルモジュール積層体、タッチパネルモジュール−ディスプレイパネルモジュール積層体、及び、画像表示装置 |
JP2013032500A (ja) * | 2011-06-30 | 2013-02-14 | Nitto Denko Corp | 粘着剤組成物、粘着剤層、および粘着シート |
KR101595146B1 (ko) * | 2011-07-19 | 2016-02-17 | 주식회사 엘지화학 | 터치 패널 |
JP6067964B2 (ja) * | 2011-08-12 | 2017-01-25 |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 放射線硬化性粘着シート |
JP5764435B2 (ja) * | 2011-08-29 | 2015-08-19 | 綜研化学株式会社 | 粘着剤組成物、粘着シートおよびタッチパネル用積層体 |
TWI611933B (zh) * | 2011-09-15 | 2018-01-21 | Nitto Denko Corp | 具有接著劑層之影像顯示裝置用單元及使用該單元的影像顯示裝置 |
JP5758767B2 (ja) * | 2011-10-04 | 2015-08-05 | 大日本印刷株式会社 | 透明バリア積層体及び画像表示装置 |
JP5937864B2 (ja) * | 2012-03-28 | 2016-06-22 | 大王製紙株式会社 | 粘着シート及び粘着シートが備わる電子端末用画像表示部材 |
JP6057600B2 (ja) * | 2012-08-09 | 2017-01-11 | 日東電工株式会社 | 粘着剤、粘着剤層、および粘着シート |
JP6111789B2 (ja) * | 2013-03-28 | 2017-04-12 | Dic株式会社 | 両面粘着テープ |
JP6357474B2 (ja) * | 2013-07-09 | 2018-07-11 | 日東電工株式会社 | 粘着シートおよびその利用 |
WO2015005387A1 (ja) * | 2013-07-09 | 2015-01-15 | 日東電工株式会社 | 粘着剤組成物 |
JP5421493B1 (ja) | 2013-07-17 | 2014-02-19 |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 タッチパネル用積層体、タッチパネル |
WO2015132888A1 (ja) * | 2014-03-04 | 2015-09-11 | リンテック株式会社 | 粘着剤および粘着シート |
JP6378501B2 (ja) * | 2014-03-05 | 2018-08-22 | 日東電工株式会社 | 粘着シート |
KR101906637B1 (ko) * | 2014-09-17 | 2018-10-11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점착제 조성물, 광학용 점착 필름 및 터치 스크린 패널 |
US11649382B2 (en) | 2014-09-26 | 2023-05-16 | Ahlstrom Oyj | Biodegradable cellulose fiber-based substrate, its manufacturing process, and use in an adhesive tape |
FR3026345B1 (fr) * | 2014-09-26 | 2016-09-30 | Ahlstroem Oy | Support a base de fibres cellulosiques, son procede de fabrication et son utilisation en tant que ruban de masquage |
JP2016071104A (ja) * | 2014-09-30 | 2016-05-09 | 大日本印刷株式会社 | 光学部材 |
KR101822698B1 (ko) | 2014-11-28 | 2018-01-30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편광판용 점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
WO2016136759A1 (ja) * | 2015-02-24 | 2016-09-01 | リンテック株式会社 | 剥離剤組成物、剥離シート、片面粘着シートおよび両面粘着シート |
JP6325484B2 (ja) * | 2015-05-07 | 2018-05-16 | 藤森工業株式会社 | 粘着剤層及び粘着フィルム |
CN107636067A (zh) * | 2015-05-11 | 2018-01-26 | 3M创新有限公司 | 高性能(甲基)丙烯酸酯粘合剂组合物 |
CN113402999A (zh) * | 2015-05-29 | 2021-09-17 | 琳得科株式会社 | 粘着片 |
JP6019180B1 (ja) * | 2015-06-18 | 2016-11-02 |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 (メタ)アクリル系粘着剤及び粘着テープ |
KR101987441B1 (ko) * | 2015-06-22 | 2019-06-11 | 주식회사 엘지화학 | 광학용 점착 시트 |
JP6523098B2 (ja) * | 2015-08-10 | 2019-05-29 | リンテック株式会社 | 粘着性組成物、粘着剤、粘着シートおよび表示体 |
US10353496B2 (en) * | 2016-02-18 | 2019-07-16 |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 Touch panel |
JP7066331B2 (ja) * | 2016-05-17 | 2022-05-13 | ニットウ デンコウ マテリアルズ (マレーシア) スンディリアン ブルハド | 両面感圧粘着テープ |
JP6325633B2 (ja) * | 2016-11-04 | 2018-05-16 | リンテック株式会社 | 透明導電膜貼付用粘着剤および粘着シート |
JP6227744B2 (ja) * | 2016-11-04 | 2017-11-08 | リンテック株式会社 | 透明導電膜貼付用粘着剤および粘着シート |
JP6938974B2 (ja) * | 2017-03-09 | 2021-09-22 | 東洋インキSc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 粘着剤および粘着シート |
JP6368410B2 (ja) * | 2017-08-24 | 2018-08-01 | リンテック株式会社 | タッチパネル |
JP6756757B2 (ja) * | 2018-03-09 | 2020-09-16 | リンテック株式会社 | 積層体の製造方法 |
WO2019230575A1 (ja) * | 2018-05-28 | 2019-12-05 | デンカ株式会社 | 粘着テープ及びそれを用いた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
US20210189184A1 (en) * | 2018-06-15 | 2021-06-24 | Dic Corporation | Adhesive compositions |
WO2020162439A1 (ja) * | 2019-02-06 | 2020-08-13 | バンドー化学株式会社 | 光学透明粘着シート、積層シート及び貼り合わせ構造物 |
CN110951426B (zh) * | 2019-08-07 | 2022-03-29 | 东洋油墨Sc控股株式会社 | 粘接用组合物、粘接用组合物的应用、粘接用组合物的制造方法和施工方法 |
CN114555746B (zh) * | 2019-10-15 | 2023-09-26 | 综研化学株式会社 | 粘合剂组合物及粘合片 |
KR102112238B1 (ko) * | 2019-10-22 | 2020-05-18 | 이승현 | 일체형 베이스 필름을 통한 재점착 라벨 구조 |
KR20220017371A (ko) * | 2020-08-04 | 2022-02-11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점착 필름, 이를 포함하는 광학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
CN116887866A (zh) | 2020-12-03 | 2023-10-13 | 巴特尔纪念研究院 | 聚合物纳米颗粒和dna纳米结构组合物及用于非病毒递送的方法 |
CN112940631B (zh) * | 2021-01-30 | 2022-11-25 | 昊佰电子科技(上海)有限公司 | 一种防炸开的包裹线材用海绵胶及裹绵线材的制作方法 |
WO2022216977A1 (en) | 2021-04-07 | 2022-10-13 | Batelle Memorial Institute | Rapid design, build, test, and learn technologies for identifying and using non-viral carriers |
CN115717040A (zh) * | 2022-11-18 | 2023-02-28 | 江西塔益莱高分子材料有限公司 | 一种偏光片用耐湿耐高温无酸压敏胶及其制备方法与应用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310754A (ja) | 1997-05-13 | 1998-11-24 | Soken Chem & Eng Co Ltd | 粘着剤組成物 |
JP2005053976A (ja) | 2003-08-06 | 2005-03-03 | Soken Chem & Eng Co Ltd | 低極性フィルム用粘着剤 |
JP2005187513A (ja) * | 2003-12-24 | 2005-07-14 | Dainippon Ink & Chem Inc | 両面粘着シート |
JP2006045315A (ja) | 2004-08-03 | 2006-02-16 | Soken Chem & Eng Co Ltd | 粘着シート、金属蒸着フィルムラベル、タッチパネル用部材およびタッチパネル |
JP2008239872A (ja) * | 2007-03-28 | 2008-10-09 | Dic Corp | 水分散型アクリル系粘着剤組成物及び両面粘着テープ |
Family Cites Families (2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357684A (ja) * | 1986-08-29 | 1988-03-12 | Hiroshi Fukumoto | ポリオレフイン用接着剤 |
JPH0425589A (ja) * | 1990-05-21 | 1992-01-29 | Hitachi Chem Co Ltd | 粘着剤用樹脂組成物及び粘着剤 |
JPH04145183A (ja) * | 1990-10-05 | 1992-05-19 | Japan Synthetic Rubber Co Ltd | 粘着剤用組成物 |
JPH06108025A (ja) * | 1992-09-28 | 1994-04-19 | Nippon Synthetic Chem Ind Co Ltd:The | 偏光板用粘着剤 |
JP2001279208A (ja) * | 2000-01-26 | 2001-10-10 | Sekisui Chem Co Ltd | アクリル系粘着剤組成物及びアクリル系粘着テープもしくはシート |
JP3989245B2 (ja) * | 2001-12-26 | 2007-10-10 | 日東電工株式会社 | 感圧性接着剤組成物、感圧性接着シート及び光学フィルム |
DE10256511A1 (de) * | 2002-12-04 | 2004-06-24 | Tesa Ag | Haftklebemasse |
DE102004002279A1 (de) * | 2004-01-16 | 2005-08-04 | Tesa Ag | Orientierte Acrylathaftklebemassen,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
DE102004013699A1 (de) * | 2004-03-18 | 2005-10-06 | Tesa Ag | Haftklebeband für medizinische Diagnosestreifen |
CN101120070B (zh) * | 2005-02-16 | 2010-12-01 | 日本合成化学工业株式会社 | 光学部件用粘合剂、光学部件用粘合剂的制造方法 |
JP4875357B2 (ja) * | 2005-12-19 | 2012-02-15 | リンテック株式会社 | 両面粘着テープ |
DE102006044718A1 (de) * | 2006-09-20 | 2008-04-03 | Tesa Ag | Klebemasse |
JP4805240B2 (ja) * | 2006-12-15 | 2011-11-02 | 日東電工株式会社 | 粘着型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
JP5461764B2 (ja) * | 2007-03-27 | 2014-04-02 |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 両面粘着テープ |
JP5141074B2 (ja) * | 2007-03-30 | 2013-02-13 | Jsr株式会社 | 耐衝撃粘着層、耐衝撃粘着積層体、及び表示装置 |
EP2033998B1 (en) * | 2007-09-06 | 2010-11-10 | Nitto Denko Corporation | Pressure 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product using the same, and display using the product |
JP2009155523A (ja) * | 2007-12-27 | 2009-07-16 | Jsr Corp | 樹脂組成物及び接着剤 |
JP5221174B2 (ja) | 2008-03-13 | 2013-06-26 | 株式会社小糸製作所 | 車両用前照灯 |
JP5379410B2 (ja) * | 2008-03-14 | 2013-12-25 | 日東電工株式会社 | 光学フィルム用粘着剤組成物、粘着型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
JP2009280671A (ja) | 2008-05-21 | 2009-12-03 | Konica Minolta Holdings Inc | インクジェットインク、及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 |
JP2010102153A (ja) | 2008-10-24 | 2010-05-06 | Kyocera Mita Corp | 画像処理装置 |
CN101481437B (zh) * | 2009-01-23 | 2011-04-27 | 华南理工大学 | 一种高封闭性聚丙烯酸酯分散体的制备方法 |
-
2010
- 2010-09-29 IN IN2720DEN2012 patent/IN2012DN02720A/en unknown
- 2010-09-29 JP JP2011534258A patent/JP5531022B2/ja active Active
- 2010-09-29 CN CN201410203146.6A patent/CN103992757A/zh active Pending
- 2010-09-29 KR KR1020127003050A patent/KR101656757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0-09-29 US US13/498,290 patent/US20120183769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0-09-29 CN CN201080036471.8A patent/CN102482546B/zh active Active
- 2010-09-29 TW TW099133145A patent/TWI486415B/zh active
- 2010-09-29 EP EP10820537.8A patent/EP2484738A4/en not_active Withdrawn
- 2010-09-29 WO PCT/JP2010/066875 patent/WO2011040422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310754A (ja) | 1997-05-13 | 1998-11-24 | Soken Chem & Eng Co Ltd | 粘着剤組成物 |
JP2005053976A (ja) | 2003-08-06 | 2005-03-03 | Soken Chem & Eng Co Ltd | 低極性フィルム用粘着剤 |
JP2005187513A (ja) * | 2003-12-24 | 2005-07-14 | Dainippon Ink & Chem Inc | 両面粘着シート |
JP2006045315A (ja) | 2004-08-03 | 2006-02-16 | Soken Chem & Eng Co Ltd | 粘着シート、金属蒸着フィルムラベル、タッチパネル用部材およびタッチパネル |
JP2008239872A (ja) * | 2007-03-28 | 2008-10-09 | Dic Corp | 水分散型アクリル系粘着剤組成物及び両面粘着テープ |
Cited B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22015A (ko) * | 2013-02-12 | 2021-03-02 |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 투명도전막 첩부용 점착시트 |
KR20140106395A (ko) * | 2013-02-25 | 2014-09-03 |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 점착성 조성물, 점착제 및 점착시트 |
KR20140109265A (ko) * | 2013-03-04 | 2014-09-15 |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 점착성 조성물, 점착제 및 점착시트 |
KR20160082543A (ko) * | 2013-11-05 | 2016-07-08 |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 휴대 전자기기 부재 고정용 양면 점착 시트 및 휴대 전자기기의 제조 방법 |
KR20160130251A (ko) * | 2014-03-06 | 2016-11-10 |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 점착성 조성물, 점착제 및 점착 시트 |
KR20220113548A (ko) * | 2016-04-28 | 2022-08-12 |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 보호막 형성용 필름 및 보호막 형성용 복합 시트 |
WO2019078656A3 (ko) * | 2017-10-20 | 2019-06-06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점착 조성물 및 이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점착 필름 |
US11873425B2 (en) | 2017-10-20 | 2024-01-16 | Lg Chem, Ltd. | Adhesive composition and adhesive film including cured product thereof |
KR20190056584A (ko) * | 2017-11-17 | 2019-05-27 | 주식회사 엘지화학 | 편광자 보호필름용 광경화성 조성물 및 이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편광자 보호필름을 포함하는 편광필름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TWI486415B (zh) | 2015-06-01 |
KR101656757B1 (ko) | 2016-09-12 |
JP5531022B2 (ja) | 2014-06-25 |
JPWO2011040422A1 (ja) | 2013-02-28 |
CN102482546A (zh) | 2012-05-30 |
EP2484738A1 (en) | 2012-08-08 |
EP2484738A4 (en) | 2014-06-18 |
CN103992757A (zh) | 2014-08-20 |
IN2012DN02720A (ko) | 2015-09-11 |
WO2011040422A1 (ja) | 2011-04-07 |
US20120183769A1 (en) | 2012-07-19 |
CN102482546B (zh) | 2015-11-25 |
TW201113342A (en) | 2011-04-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56757B1 (ko) | 점착제 및 점착 시트 | |
JP6456686B2 (ja) | 粘着剤層付偏光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 |
US10310333B2 (en) | Double-sided pressure-sensitive-adhesive-layer-attached polarizing film, and image display device | |
WO2019244499A1 (ja) | フレキシブル画像表示装置用粘着剤層、フレキシブル画像表示装置用積層体、及び、フレキシブル画像表示装置 | |
JP5607565B2 (ja) | 粘着剤、及び粘着シート | |
JP5968587B2 (ja) | 光学用粘着シート、光学フィルムおよび表示装置 | |
KR101824852B1 (ko) | 점착 시트 | |
TWI565775B (zh) | 黏著劑及黏著片 | |
KR20190124797A (ko) | 양면 점착 시트, 화상 표시 장치 구성용 부재를 가지는 적층체, 적층체 형성 키트 및 양면 점착 시트의 사용 | |
CN109313299B (zh) | 双面带粘合剂层的偏振膜和图像显示装置 | |
JP2016224307A (ja) | 両面粘着剤層付偏光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 |
JP5845591B2 (ja) | 剛体貼り合わせ用両面粘着テープ | |
JP2016136238A (ja) | 両面粘着剤層付偏光フィルム、その製造方法および画像表示装置 | |
JP5856463B2 (ja) | 携帯電子機器部材固定用両面粘着シート | |
JP7149975B2 (ja) | 両面粘着剤層付偏光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 |
JP7212755B2 (ja) | アクリル系粘着剤組成物及び粘着テープ、並びにその粘着テープにより固定された光学シートを有する光学装置 | |
JP2018172571A (ja) | 光学用粘着剤組成物、光学用粘着シート及び光学積層体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