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88698A - 난연성 수지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절연 전선, 플랫 케이블, 성형품 - Google Patents

난연성 수지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절연 전선, 플랫 케이블, 성형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88698A
KR20120088698A KR1020127008804A KR20127008804A KR20120088698A KR 20120088698 A KR20120088698 A KR 20120088698A KR 1020127008804 A KR1020127008804 A KR 1020127008804A KR 20127008804 A KR20127008804 A KR 20127008804A KR 20120088698 A KR20120088698 A KR 201200886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me
resin composition
thermoplastic
retardant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88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기요아키 모리우치
히로시 하야미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886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8698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17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ernal factors, e.g. sheaths or armouring
    • H01B7/29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remes of temperature or by flame
    • H01B7/295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remes of temperature or by flame using material resistant to flam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9/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atoms other than silicon, sulfur, nitrogen, oxygen, and carbon with or without the latter elements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9/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atoms other than silicon, sulfur, nitrogen, oxygen, and carbon with or without the latter elements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phosphoru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66Flame-proofing or flame-retardin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49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85/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containing atoms other than silicon, sulfur, nitrogen, oxygen and carbo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85/02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containing atoms other than silicon, sulfur, nitrogen, oxygen and carbo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containing phosphoru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18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 H01B3/28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natural or synthetic rub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18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 H01B3/3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 H01B3/42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polyesters; polyethers; polyacet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18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 H01B3/3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 H01B3/42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polyesters; polyethers; polyacetals
    • H01B3/427Polyeth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18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 H01B3/3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 H01B3/44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vinyl resins; acrylic resins
    • H01B3/442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vinyl resins; acrylic resins from aromatic vinyl compoun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8Flat or ribbon cabl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Insulated Conductor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Organic Insulating Materials (AREA)

Abstract

기계적 특성과 난연성을 양립시킬 수 있고, 추가로 도체부 내열성 등의 엄격한 내열 요구 특성을 만족시킬 수 있는 난연성 수지 조성물, 및 그것을 이용한 절연 전선, 플랫 케이블, 성형품을 제공한다. 열가소성 수지, 다작용성 모노머, 유기 인계 난연제를 함유하는 난연성 수지 조성물로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는, 탄소-탄소 불포화 결합을 갖는 수지 또는 카보닐기를 갖는 수지를 열가소성 수지 전체에 대하여 5질량% 이상 함유하고, 상기 유기 인계 난연제는, 포스핀산 금속염, 인산멜라민 화합물, 인산암모늄 화합물, 및 사이클로포스파젠을 개환 중합하여 얻어지는 폴리포스파젠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이며, 상기 유기 인계 난연제의 함유량이 상기 열가소성 수지 100질량부에 대하여 5 내지 100질량부이고, 상기 다작용성 모노머의 함유량이 상기 열가소성 수지 100질량부에 대하여 1 내지 20질량부인 난연성 수지 조성물.

Description

난연성 수지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절연 전선, 플랫 케이블, 성형품{FLAME-RETARDANT RESIN COMPOSITION, AND INSULATED ELECTRIC WIRE, FLAT CABLE, AND MOLDED ARTICLE, WHICH ARE MADE USING SAME}
본 발명은, 무할로젠계의 난연성 재료로 구성되고, 우수한 난연성 및 기계적 특성을 갖는 난연성 수지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절연 전선, 플랫 케이블 및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전자 기기나 자동차 분야에서 사용되는 절연 전선의 절연 피복층이나 플랫 케이블의 절연층에는 우수한 기계적 특성이 요구된다. 예컨대, 전자 기기 분야에서 폭넓게 사용되고 있는 미국 UL 규격에서는, 폴리에틸렌 등의 플라스틱을 절연체로 하는 절연 전선이나 플랫 케이블에 대하여, 초기의 최대 인장 강도를 10.4MPa 이상으로 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절연 전선, 플랫 케이블에는 고도의 난연성이 요구되는 용도가 있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분야에서는 수평 난연성 시험 및 경사 연소 시험, 전자 기기 분야에서는 미국 UL 규격의 수직 연소 시험(VW-1 시험) 같은 난연성이 규정되어 있다. 종래, 난연성 및 기계적 특성을 만족시키는 재료로서, 연질 폴리염화바이닐 조성물, 또는 폴리에틸렌, 에틸렌-에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아세트산바이닐 공중합체 등의 폴리올레핀 수지에 브롬계 난연제, 염소계 난연제 등의 할로젠계 난연제를 혼합한 난연성 수지 조성물이 사용되고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할로젠 원소를 포함하는 난연성 재료는 소각시에 할로젠화 수소 가스 등의 인체에 유해한 연소 가스를 발생하기 때문에, 환경면에서 바람직하지 못하다.
이러한 사정으로부터, 폴리에틸렌, 에틸렌-에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아세트산바이닐 공중합체 등의 폴리올레핀 수지에 수산화알루미늄이나 수산화마그네슘 등의 금속 수산화물계 난연제를 배합한 재료가 실용화되어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 그러나, 금속 수산화물계 난연제에서는 UL 규격의 수직 연소 시험 VW-1에 합격할 만큼의 난연성을 얻기 위해서는 대량의 금속 수산화물계 난연제를 첨가할 필요가 있고, 그 결과 기계적 특성이 저하되기 때문에 난연성과 기계적 특성의 양립을 도모하기 어려웠다.
난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금속 수산화물과 적린(赤燐)을 병용한 재료도 알려져 있다. 예컨대, 특허문헌 2에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에 금속 수산화물 및 적린을 배합한 무할로젠 난연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피복재로서 이용한 절연 전선이 기재되어 있다.
일본 특허공개 평7-145288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제2003-160709호 공보
특허문헌 2에서는, 적린을 병용하는 것으로 금속 수산화물의 첨가량을 저감할 수 있고, 난연성과 기계적 특성의 양립이 가능해진다. 그러나, 적린은 연소시에 유독한 포스핀이 발생하기 때문에 환경면에서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적린에 의해서 절연층이 착색된다고 하는 문제도 있다.
인계 난연제로서 인산에스터 등의 유기 인계 난연제도 알려져 있지만, 그 난연 효과는 충분하지 않아, 대량으로 첨가하지 않으면 만족할 수 있는 난연성이 얻어지지 않는다. 인산에스터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와의 상용성이 낮기 때문에, 대량으로 첨가하면 수지 조성물의 표면에 인산에스터가 떠올라 나오는, 이른바 블리드 아웃(bleed out)이 일어나버린다.
SABIC 이노베이티브플라스틱재팬합동회사(구 니폰GE플라스틱)에 의해 판매되고 있는 유연 노릴은, 베이스 폴리머로서 폴리페닐렌에터와 스타이렌계 수지 또는 열가소성 스타이렌계 엘라스토머의 혼화물을 이용하여, 유기 인계 난연제(인산에스터)를 혼합하고 있다. 폴리페닐렌에터는 폴리올레핀계 수지보다도 난연성이 높기 때문에 유기 인계 난연제의 첨가량을 감소시킬 수 있고, 일부 등급에서는 전선 피복재료로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유연 노릴은 조사 가교를 할 수 없기 때문에, 내열성이나 내열 변형성이 불충분하다.
본 발명자들은, 베이스 폴리머로서 폴리페닐렌에터, 열가소성 스타이렌계 엘라스토머, 올레핀계 수지를 혼합한 것을 이용하여, 유기 인계 난연제, 질소계 난연제, 및 다작용성 모노머를 첨가한 난연성 수지 조성물, 및 이것을 이용한 절연 전선을 개발하고, 일본 특허출원 제2008-100975호로서 출원했다. 이 절연 전선은 난연성 및 기계적 특성을 양립할 수 있고, 추가로 수지를 가교하는 것으로 내열성, 내열 변형성이 우수한 것이다.
절연 전선에 요구되는 내열성은 여러가지이며, 시험 항목의 하나로서 도체부(導體付) 내열성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절연층과 도체(금속)를 접촉시킨 상태로 고온에서 장시간 방치한 후, 절연층의 유연성을 평가한다. 상기의 난연성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절연 전선에서는, 시험 조건을 엄격하게 하면 요구 특성을 만족시키지 못하는 경우가 있음을 알았다. 그 이유는 정해진 것은 아니지만, 난연성 수지 조성물 중에 포함되는 인산에스터와 금속이 상호 작용하여 특성이 저하되는 것, 질소계 난연제를 포함하는 것으로 난연성 수지 조성물의 유연성이 저하되는 것 등이 그 원인으로 추측된다.
그래서 본 발명은, 기계적 특성과 난연성을 양립할 수 있고, 추가로 도체부 내열성 등의 엄격한 내열 요구 특성을 만족시킬 수 있는 난연성 수지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절연 전선, 플랫 케이블, 성형품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열가소성 수지, 다작용성 모노머, 유기 인계 난연제를 함유하는 난연성 수지 조성물로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는, 탄소-탄소 불포화 결합을 갖는 수지 또는 카보닐기를 갖는 수지를 열가소성 수지 전체에 대하여 5질량% 이상 함유하고, 상기 유기 인계 난연제는, 포스핀산 금속염, 인산멜라민 화합물, 인산암모늄 화합물, 및 사이클로포스파젠을 개환 중합하여 얻어지는 폴리포스파젠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이며, 상기 유기 인계 난연제의 함유량이 상기 열가소성 수지 100질량부에 대하여 5 내지 100질량부이고, 상기 다작용성 모노머의 함유량이 상기 열가소성 수지 100질량부에 대하여 1 내지 20질량부인 난연성 수지 조성물이다.
유기 인계 난연제 중에서도 특히, 포스핀산 금속염, 인산멜라민 화합물, 인산암모늄 화합물, 및 사이클로포스파젠을 개환 중합하여 얻어지는 폴리포스파젠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이용하는 것으로 난연성 및 도체부 내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열가소성 수지로서는 임의의 것을 선택할 수 있지만,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난연성이 낮은 수지만이면 난연성이 불충분해지기 때문에, 난연성이 높은 탄소-탄소 불포화 결합을 갖는 수지 또는 카보닐기를 갖는 수지를 열가소성 수지 전체의 5질량% 이상 함유할 필요가 있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는 폴리페닐렌에터계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뷰틸렌테레프탈레이트, 열가소성 폴리에스터 엘라스토머,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 스타이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폴리스타이렌계 수지, 나일론, 열가소성 폴리아마이드 엘라스토머, 탄소-탄소 불포화 결합을 갖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카보닐기를 갖는 폴리올레핀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5질량% 이상 함유하면 바람직하다(청구항 2). 이들의 수지는 비교적 난연성이 높기 때문에, 난연성 수지 조성물의 난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는 폴리페닐렌에터계 수지 또는 폴리스타이렌계 수지 5 내지 80질량%, 스타이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20 내지 95질량%, 폴리올레핀계 수지 0 내지 70질량%로 이루어지면 바람직하다(청구항 3). 폴리페닐렌에터계 수지, 폴리스타이렌계 수지는 특히 난연성이 우수하다. 스타이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는 유연성, 압출 가공성이 우수함과 함께 폴리페닐렌에터계 수지와의 상용성이 좋기 때문에, 기계적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유연성이 우수하고, 기계적 특성 및 압출 가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들의 수지를 균형좋게 혼합하는 것으로, 기계적 특성과 난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는 카보닐기를 갖는 에틸렌-α 올레핀 공중합체를 50 내지 100질량% 함유하고, 상기 카보닐기를 갖는 에틸렌-α 올레핀 공중합체는, 코모노머 함유량이 9 내지 46질량%임과 함께 용융 유량이 0.3 내지 25g/10분이면 바람직하다(청구항 4). 카보닐기를 갖는 에틸렌-α 올레핀 공중합체는 난연성이 우수하고, 단독으로 사용한 경우에도 특성의 균형을 취할 수 있기 때문에, 수지 조성물의 혼합이 용이해진다. 또, 용융 유량(MFR)은 ASTM D 1238에 준거하여, 190℃ 및 하중 2.16kg의 조건으로 측정한 값이다.
난연제로서, 추가로 질소계 난연제를 상기 열가소성 수지 100질량부에 대하여 3 내지 100질량부 함유하면 바람직하다(청구항 5). 상기의 유기 인계 난연제와 질소계 난연제를 병용함으로써 추가로 난연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질소계 난연제로서는 멜라민사이아누레이트가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청구항 6).
상기 유기 인계 난연제로서, 추가로 인산에스터를 함유하면 바람직하다(청구항 7). 포스핀산 금속염 등의 난연성이 우수한 유기 인계 난연제와 인산에스터를 병용함으로써 추가로 난연성 수지 조성물의 난연성이 향상된다.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중 어느 것에 기재된 난연성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피복층을 갖는 절연 전선이다. 청구항 9에 기재된 발명은, 절연 피복층 내에 복수 개의 도체를 간격을 두고 병렬로 배치한 플랫 케이블로서, 상기 절연 피복층이 상기 중 어느 것에 기재된 난연성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플랫 케이블이다. 또한, 청구항 10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중 어느 것에 기재된 난연성 수지 조성물을 사출 성형한 성형품이다.
청구항 11에 기재된 발명은 수직 연소 시험(VW-1)에 합격하는, 청구항 8에 기재된 절연 전선이다. 또한, 청구항 12에 기재된 발명은 수직 연소 시험(VW-1)에 합격하는, 청구항 9에 기재된 플랫 케이블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계적 특성과 난연성을 양립할 수 있고, 특히 내열성이 우수한 난연성 수지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절연 전선, 플랫 케이블, 성형품을 얻을 수 있다.
(인계 난연제)
본 발명의 난연성 수지 조성물을 구성하는 각종 재료에 대하여 설명한다. 유기 인계 난연제로서는 포스핀산 금속염, 인산멜라민 화합물, 인산암모늄 화합물, 및 사이클로포스파젠을 개환 중합하여 얻어지는 폴리포스파젠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필수 성분으로 한다. 그 중에서도 특히 포스핀산 금속염이 난연성이 우수하여 바람직하다.
포스핀산 금속염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이다. 한편, 하기 화학식 중 R1, R2는 각각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12 이하의 아릴기이며, M은 칼슘, 알루미늄 또는 아연이며, M=알루미늄인 경우는 m=3, 그 이외의 경우는 m=2이다.
Figure pct00001
포스핀산 금속염으로서는, 클라리언트(주)제의 EXOLIT OP1230, EXOLIT OP1240, EXOLIT OP930, EXOLIT OP935 등의 유기 포스핀산의 알루미늄염, 또는 EXOLIT OP1312 등의 유기 포스핀산의 알루미늄염과 폴리인산멜라민의 블렌드물을 사용할 수 있다.
인산멜라민 화합물로서는, 치바스페셜티(주)제의 MELAPUR200 등의 폴리인산멜라민, 또는 폴리인산멜라민, 인산멜라민, 오쏘인산멜라민, 피로인산멜라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인산암모늄 화합물로서는, 폴리인산암모늄, 폴리인산아마이드, 폴리인산아마이드암모늄, 폴리인산카바민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사이클로포스파젠을 개환 중합하여 얻어지는 폴리포스파젠 화합물로서는, 오츠카화학(주)제의 SPR-100, SA-100, SR-100, SRS-100, SPB-100L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의 유기 인계 난연제는 단독으로 이용해도 좋고, 복수를 조합시켜 이용해도 좋다.
또한, 상기의 유기 인계 난연제와 병용하여 인산에스터를 사용하면, 난연성을 추가로 향상시킬 수 있다. 인산에스터로서는, 트라이메틸포스페이트, 트라이에틸포스페이트, 트라이페닐포스페이트, 트라이크레실포스페이트, 트라이자일레닐포스페이트, 크레실페닐포스페이트, 크레실2,6-자일레닐포스페이트, 2-에틸헥실다이페닐포스페이트, 1,3페닐렌비스(다이페닐포스페이트), 1,3페닐렌비스(다이2,6자일레닐포스페이트), 비스페놀A 비스(다이페닐포스페이트), 레조시놀비스다이페닐포스페이트, 옥틸다이페닐포스페이트, 다이에틸렌에틸에스터포스페이트, 다이하이드록시프로필렌뷰틸에스터포스페이트, 에틸렌다이나트륨에스터포스페이트, t-뷰틸페닐다이페닐포스페이트, 비스-(t-뷰틸페닐)페닐포스페이트, 트리스-(t-뷰틸페닐)포스페이트, 아이소프로필페닐다이페닐포스페이트, 비스-(아이소프로필페닐)다이페닐포스페이트, 트리스-(아이소프로필페닐)포스페이트, 트리스(2-에틸헥실)포스페이트, 트리스(뷰톡시에틸)포스페이트, 트리스아이소뷰틸포스페이트, 메틸포스폰산, 메틸포스폰산다이메틸, 메틸포스폰산다이에틸, 에틸포스폰산, 프로필포스폰산, 뷰틸포스폰산, 2-메틸-프로필포스폰산, t-뷰틸포스폰산, 2,3-다이메틸뷰틸포스폰산, 옥틸포스폰산, 페닐포스폰산, 다이에틸포스핀산, 메틸에틸포스핀산, 메틸프로필포스핀산, 다이옥틸포스핀산, 페닐포스핀산, 다이에틸페닐포스핀산, 다이페닐포스핀산, 알킬인산에스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유기 인계 난연제의 함유량은, 열가소성 수지 100질량부에 대하여 5 내지 100질량부로 한다. 5질량부보다도 적은 경우는 난연성이 불충분하며, 100질량부를 초과하면 기계적 특성이 저하된다. 유기 인계 난연제는, 표면을 멜라민, 멜라민사이아누레이트, 지방산, 실레인 커플링제로 처리하여 사용하여도 좋다. 또한, 미리 표면 처리하지 않고, 열가소성 수지와 혼합할 때에 표면 처리제를 첨가하는 인테그럴 블렌드(integral blend)를 행하여도 좋다.
열가소성 수지로서는 임의의 수지를 사용할 수 있지만, 폴리페닐렌에터계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뷰틸렌테레프탈레이트, 열가소성 폴리에스터 엘라스토머,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 스타이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폴리스타이렌계 수지, 나일론, 열가소성 폴리아마이드 엘라스토머, 탄소-탄소 불포화 결합을 갖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카보닐기를 갖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등의 탄소-탄소 불포화 결합을 갖는 수지, 카보닐기를 갖는 수지를 열가소성 수지 전체에 대하여 5질량% 이상 함유해야 한다.
폴리페닐렌에터는, 메탄올과 페놀을 원료로서 합성되는 2,6-자일레놀을 산화 중합시켜 얻어지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이다. 또한, 폴리페닐렌에터의 성형 가공성을 향상시키기 때문에, 폴리페닐렌에터에 폴리스타이렌, HIPS, 스타이렌뷰타다이엔 고무, 또는 이들의 수소 첨가물을 용융 블렌드한 재료가 변성 폴리페닐렌에터 수지로서 각종 시판되고 있다. 본 발명에 이용하는 폴리페닐렌에터계 수지로서는, 상기의 폴리페닐렌에터 수지 단체(單體), 및 폴리스타이렌, HIPS, 스타이렌뷰타다이엔 고무, 또는 이들의 수소 첨가물을 용융 블렌드한 폴리페닐렌에터 수지 중 어느것이나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무수 말레산 등의 카복실산을 도입한 것을 적절히 블렌드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폴리스타이렌계 수지는 스타이렌을 중합한 폴리스타이렌이나 고무를 분산시킨 HIPS 등을 들 수 있고, 무수 말레산이나 에폭시기, 옥사졸린을 도입한 것을 적절히 블렌드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스타이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는, 폴리스타이렌 블록과 고무 성분 블록의 블록 공중합체이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스타이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란, 스타이렌?에틸렌뷰틸렌?스타이렌 공중합체, 스타이렌?에틸렌뷰틸렌 공중합체, 스타이렌?에틸렌뷰틸렌?올레핀 공중합체, 스타이렌?아이소프렌 공중합체, 스타이렌?에틸렌?아이소프렌 공중합체, 스타이렌?아이소프렌?스타이렌 공중합체, 스타이렌?에틸렌?아이소프렌?스타이렌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의 수소 첨가 폴리머나, 부분 수소 첨가 폴리머, 추가로, 이들을 무수 말레인 변성품 또는 에폭시 변성품 등의 화학 변성 폴리머를 예시할 수 있고, 스타이렌뷰타다이엔 고무로서는 스타이렌 함량이 30 내지 60질량%의 스타이렌과 뷰타다이엔의 공중합체나 이의 수소 첨가 폴리머, 부분 수소 첨가 폴리머 등을 예시할 수 있고, 이들의 무수 말레인 변성품 또는 에폭시 변성품을 예시할 수 있고, 이들을 단독으로 이용하는 것 외에, 복수종을 조합시켜 이용할 수 있다.
폴리올레핀계 수지로서는, 폴리프로필렌(호모 폴리머, 블록 폴리머, 랜덤 폴리머), 폴리프로필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리액터형 폴리프로필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동적 가교형 폴리프로필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폴리에틸렌(고밀도 폴리에틸렌,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저밀도 폴리에틸렌, 초저밀도 폴리에틸렌), 에틸렌-아세트산바이닐 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메틸 공중합체, 에틸렌-메타크릴산메틸 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에틸 공중합체, 에틸렌-메타크릴산에틸 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프로필 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뷰틸 공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에틸렌아크릴 고무, 에틸렌-글라이시딜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나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의 분자 사이를 나트륨이나 아연 등의 금속 이온으로 분자간 결합한 아이오노머 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들의 수지를 무수 말레산 등으로 변성한 것이나, 에폭시기, 아미노기, 이미드기를 갖는 것도 사용할 수 있다.
올레핀계 수지 중에서도, 코모노머 함유량이 9 내지 46질량%임과 함께 용융 유량이 0.3 내지 25g/10분인 카보닐기를 갖는 에틸렌-α 올레핀 공중합체는 특히 난연성이 우수하고, 연소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코모노머 함유량이 많아질수록 난연성이 향상되지만, 코모노머 함유량이 많아지면 수지의 가격이 높아지기 때문에 난연성, 비용의 균형을 고려하면 코모노머 함유량은 9 내지 46질량%가 바람직하다.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는, 톨릴렌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등의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와 폴리에틸렌글라이콜 등의 단쇄 다이올의 축합 중합체에 의해 구성되는 폴리우레탄을 하드 세그먼트(hard segment)로 하고, 2작용성 폴리올 등으로 이루어지는 소프트 세그먼트(soft segment)가 블록 공중합된 폴리머이다. 소프트 세그먼트의 2작용성 폴리올의 종류에 의해, 폴리테트라메틸렌글라이콜(PTMG) 등을 이용한 폴리에터계나 아디페이트 타입, 카프로락톤 타입, 폴리카보네이트 타입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 경도가 JIS A에서 95 이하인 것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가소성 폴리아마이드 엘라스토머로서는, 6-나일론, 6,6-나일론, 11-나일론, 12-나일론 등의 결정성 하드 세그먼트와 폴리테트라메틸렌에터글라이콜 등의 폴리옥시메틸렌글라이콜로부터 구성되는 비결정성 소프트 세그먼트를 블록 공중합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다작용성 모노머로서는, 모노아크릴레이트계, 다이아크릴레이트계, 트라이아크릴레이트계, 모노메타크릴레이트계, 다이메타크릴레이트계, 트라이메타크릴레이트계, 트라이알릴아이소사이아누레이트계, 트라이알릴사이아누레이트계 등의, 분자 내에 복수의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가지는 모노머를 사용할 수 있다. 다작용성 모노머의 함유량은 열가소성 수지 100질량부에 대하여 1 내지 20질량부로 한다. 1질량부 미만에서는 가교 효과가 얻어지지 않고, 내열 변형성이나 내열성이 저하된다. 한편, 20질량부를 초과하면 미반응 모노머가 잔존하기 때문에 난연성이 나빠진다.
난연성, 내열 변형성, 기계적 특성을 손상하지 않는 범위에서, 산화 방지제, 윤활제, 가공 안정 조제, 착색제, 발포제, 보강제, 충전제, 과립제, 금속 불활성제, 실레인 커플링제 등을 첨가하여도 좋다. 수산화알루미늄, 수산화마그네슘, 수산화칼슘 등의 금속 수산화물, 또는 멜라민, 멜라민사이아누레이트 등의 질소계 난연제 등을 첨가하여도 좋다.
특히 멜라민, 멜라민사이아누레이트 등의 질소계 난연제를 병용하면 난연성이 추가로 향상되어, 바람직하다. 질소계 난연제의 함유량은 열가소성 수지 100질량부에 대하여 3 내지 100질량부로 한다. 3질량부보다 적으면 난연성 향상 효과가 적다. 또한, 100질량부를 초과하면 기계적 특성이 저하된다. 포스핀산 금속염, 인산멜라민 화합물, 인산암모늄 화합물, 및 사이클로포스파젠을 개환 중합하여 얻어지는 폴리포스파젠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유기 인계 난연제는 가소화 효과가 있기 때문에, 질소계 난연제를 병용한 경우에서도 유연성이 저하되지 않는다.
이상의 성분을 소정량씩 혼합하여, 단축 압출형 혼합기, 오픈 롤 믹서, 가압형 니더, 반바리 믹서, 2축 혼합기 등, 이미 알려진 혼합기를 이용하여 혼합하여 난연성 수지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이 중에서도 2축 혼합기는 혼련성, 생산성의 점에서 바람직하다.
절연 전선은, 상기의 난연성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피복층을 갖는 것이고, 도체상에 피복층이 직접 또는 다른 층을 통해서 형성된다. 절연 피복층의 형성에는 용융 압출기 등 이미 알려진 압출 성형기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절연층에 전리 방사선을 조사하여 가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체로서는, 도전성이 우수한 구리선, 알루미늄선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도체의 직경은 사용 용도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지만, 좁은 공간에의 배선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2mm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취급의 용이함을 고려하면 0.1mm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체는 단선이더라도 좋고, 복수의 소선을 꼬은 것이어도 좋다.
피복층의 두께는, 도체 직경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절연성, 난연성을 고려하면, 두께를 0.1mm 내지 2mm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피복층의 두께는 얇은 쪽이 유연성이 우수하지만, 지나치게 얇으면 난연성을 확보할 수 없다. 본 발명의 절연 전선은, 절연층 전체의 두께를 얇게 하더라도 VW-1 난연성 시험에 합격하는 난연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점에서 우수하다.
피복층이 전리 방사선의 조사에 의해 가교되어 있으면, 기계적 강도가 향상된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전리 방사선원으로서는, 가속 전자선이나 감마선, X선, α선, 자외선 등을 예시할 수 있고, 선원 이용의 간편함이나 전리 방사선의 투과 두께, 가교 처리의 속도 등 공업적 이용의 관점에서 가속 전자선을 가장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플랫 케이블는, 상기의 난연성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절연 피복층 내에 복수의 도체를 간격을 두고 병렬로 배치한 것이다. 도체로서는, 구리, 주석 도금 연동(軟銅), 니켈 도금 연동 등의 도전성 금속을 사용할 수 있다. 도체는 평각 형상이 바람직하고, 그 두께는 사용하는 전류량에 대응되지만, 플랫 케이블의 유연성을 고려하면 15㎛ 내지 200㎛가 바람직하다.
플랫 케이블은, 난연성 수지 조성물을, 병렬 배치한 도체에 압출 성형함으로써 형성하더라도 좋고, 미리 난연성 수지 조성물의 필름을 성형하여, 2장의 필름으로 병렬 배치한 도체를 협지한 후, 필름끼리를 열압착하여 작성해도 좋다. 또한, 이 난연성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절연층의 외측에 폴리에스터, 폴리이미드 등의 고분자 필름을 피복하여도 좋다. 절연 전선과 같이, 절연 피복층이 전리 방사선의 조사에 의해 가교되어 있으면 바람직하다.
성형품은, 상기의 난연성 수지 조성물을 사출 성형하여 얻어진다. 절연 전선, 플랫 케이블과 같이, 사출 성형한 성형품에 전리 방사선을 조사하여 가교시키면 내열성이 향상되어 바람직하다.
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을 실시예에 기초하여 추가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한편, 표 중 「부」라는 것은 양해가 없는 한 「질량부」를 의미한다.
먼저, 이하의 실시예에서 행한 측정 평가의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기계적 특성)
절연 전선, 플랫 케이블의 피복층에 대하여, 인장 시험(인장 속도=500mm/분, 표선간 거리=20mm)을 행하고, 인장 강도(MPa)와 인장 파단 신도(%)를 각 3점의 시료로 측정하고, 그들의 평균값을 구했다. 인장 강도가 10.4MPa 이상이면서 또한 인장 파단 신도 150%를 합격 수준으로 했다.
(내열성)
절연 전선, 플랫 케이블을 158℃로 설정한 기어 오븐 내에서 168시간(7일간) 방치한 후, 기계적 특성 평가와 마찬가지로 인장 시험을 행하여, 가열 처리 전의 인장 강도, 파단 신도와 비교를 행했다. 가열 처리 전의 인장 강도, 파단 신도에 대한 잔율 75% 이상을 합격 수준으로 했다.
(난연성)
UL 규격 1581,1080항에 기재된 VW-1 수직 연소 시험을 5점의 시료로 행했다. 각 시료에 15초 착화를 5회 반복한 경우에, 60초 이내에 소화하고, 하부에 깐 탈지면이 연소 낙하물에 의해서 연소하지 않고, 또한 시료의 상부에 부착한 크래프트 지가 불타거나 그을리거나 하지 않는 것을 합격으로 했다. 5점의 시료 중 1점에서도 합격 수준이 되지 않은 경우에는 불합격으로 했다. 또한, 일부의 시료에 관해서는 연소 시간(착화 종료로부터 소화까지의 시간)을 측정했다.
(내(耐)가열 변형성)
JIS C 3005에 준하여 실시했다. 절연 전선 또는 플랫 케이블을 140℃로 설정한 항온조에 넣어 1시간 예열했다. 그 후, 절연 전선 또는 플랫 케이블에 직경 9.5mm의 지그를 꽉 눌러 500g의 하중을 실었다. 하중을 건 상태로 140℃의 항온조 내에서 1시간 방치한 후의 절연층의 두께를 측정하여, 변형 전의 두께에 대한 잔율을 산출했다. 잔율 50% 이상이면 합격 수준이다.
(도체부 내열성)
절연 전선의 경우는 외경과 동일 직경인 금속 막대에 둘러 감은 샘플을, 플랫 케이블의 경우는 Z자 구부림(2개소를 180도로 구부림)한 샘플을 158℃로 설정한 기어 오븐 내에서 168시간(7일간) 방치한 후, 절연층의 외관을 관찰했다. 크랙이나 균열 등이 발생한 것을 불합격, 외관상 특별히 변화가 없는 것을 합격으로 했다.
(실시예 1 내지 19, 비교예 1 내지 10)
표 1 내지 표 3에 나타내는 비율로 각 재료를 배합하고, 추가로 베이스 폴리머 100부에 대하여 올레산아마이드 0.5부,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키스[3-(3,5-다이-t-뷰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3질량부를 가하여 다이스 온도 280℃로 설정한 2축 혼합기로 혼련했다. 수득된 혼련물의 스트랜드를 펠렛타이저로 펠렛 형상으로한 후, 용융 압출기(45mmΦ, L/D 비=24, 압축비 2.5, 풀 플라이트(full flight) 타입)를 사용하여 도체(0.16mmΦ의 주석 도금 연동선을 17개 꼬은 것) 상에 두께가 0.4mm가 되도록 압출 피복하여, 가속 전압 2MeV의 전자선을 250kGy 조사하여 절연 전선을 작성했다. 또, 실시예 8 및 실시예 9에서는, 도체는 0.16mmΦ의 주석 도금 연동선을 7개 꼬은 것을 사용하고, 피복 두께(두께)를 0.27mm로 했다. 작성한 절연 전선에 대하여, 기계적 특성, 내열성, 난연성, 가열 변형성, 도체부 내열성을 평가했다. 또, 기계적 특성 및 내열성은, 작성한 절연 전선으로부터 도체를 제거하여 피복층만으로 한 것을 사용하여 평가했다.
(실시예 20 내지 22, 비교예 11 내지 18)
표 4, 표 5에 나타내는 난연성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여, 도체(두께 0.15mm×폭 1.2mm의 평각 도체)를 0.8mm 간격(피치 2.0mm)으로 8개 병렬로 배치한 도체의 양면에, 피복 두께가 0.2mm가 되도록 압출 피복한 후, 가속 전압 2MeV의 전자선을 250kGy 조사하여 플랫 케이블을 작성하여, 일련의 평가를 행했다.
(실시예 23 내지 25, 비교예 19 내지 21)
표 6, 표 7에 나타내는 난연성 수지 조성물을 T 다이 압출법으로 2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두께 12㎛) 상에, 두께가 30㎛가 되도록 압출하여, 폴리에스테르 필름 첩합(貼合)하여 테이프를 작성했다. 도체(두께 0.05mm×폭 0.1mm의 평각 도체)를 0.2mm 간격(피치 0.3mm)으로 27개 병렬로 배치한 도체의 양면에 폴리에스테르 필름 첩합하여 테이프를 2장,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외면이 되도록 배치하고, 열 적층기를 이용하여 첩합하여 플랫 케이블를 작성한 후, 일련의 평가를 행했다. 또, 기계적 특성 및 내열성은, 폴리에스테르 필름과 첩합하지 않는 난연성 수지 조성물 단독의 필름을 제작하여 평가했다.
표 8에 나타내는 난연성 수지 조성물을 (스미토모중기제 SE18D/최대 형체결력 176N)를 이용하여 사출 성형하여, 두께 0.5mm의 JIS-3호 덤벨 성형품을 제작한 후, 일련의 평가를 행했다. 한편,「구리박 감음 내열성」은 JIS-3호 덤벨의 중앙의 평행 부분에 구리박을 3회 둘러 감아 158℃로 설정한 기어 오븐 중에서 168시간(7일간) 노화시킨 후, 구리박을 제거하고, 구리박을 감고 있었던 부분에서 180도 구부림을 행하여, 크랙이나 균열이 발생하는 것을 불합격으로 했다.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3
Figure pct00004
(*1) 아사히화성케미컬(주)제 자일론 WH100
(*2) 아사히화성케미컬(주)제 자일론 X9102
(*3) PS재팬(주)제 HH102
(*4) 스타이렌-에틸렌뷰틸렌-스타이렌 공중합체: 아사히화성케미컬(주)제 터프테크 H1041(스타이렌량 30wt%)
(*5) 스타이렌?에틸렌?뷰틸렌?올레핀 결정 블록 폴리머: JSR주식회사제 다이날론 4600P(스타이렌량 20wt%)
(*6) 에틸렌-에틸아크릴레이트: 니폰폴리에틸렌(주)제 렉스펄 A1150(15% EA)
(*7) 초저밀도 폴리에틸렌: 다우케미컬니폰(주)제 인게이지 8150(MFR=0.5@190℃*2.16kg, 밀도=0.868g/cm3)
(*8) 포스핀산 금속염: 클라리언트(주)제 Exolit OP930
(*9) 폴리인산멜라민: 치바스페셜티제 Melapur 200
(*10) 폴리포스파젠: 오츠카화학(주)제 SPS-100
(*11) 축합 인산에스터: 다이하치화학공업(주)제 PX-200(인 9.0%)
(*12) 트라이메틸올프로페인트라이메타크릴레이트: 신나카무라화학공업(주)제 NK 에스터 TMPT
(*13) 랜덤 공중합 열가소성 폴리에스터 엘라스토머: EMS 케미제 GriltexD 1652E GF(융점 85℃)
(*14)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 레자민 PL201(에터계)
(*15) 열가소성 폴리아마이드 엘라스토머: 알케마제 Pebax2533(융점 134℃)
(*16) 에틸렌-메틸아크릴레이트: Dupont제 엘발로이 AC1125(25% MA, MFR=0.5@190℃*2.16kg, 코모노머 함유량 25질량%)
(*17) 초저밀도 폴리에틸렌: 다우케미컬니폰제 인게이지 8150(MFR=0.5@190℃*2.16kg, 밀도=0.868g/cm3)
(*18) 포스핀산 금속염: 클라리언트(주)사 제품 Exolit OP935(OP930의 미립타입)
(*19) 폴리포스파젠: 오츠카화학제 SPB-100L
(*20) 초저밀도 폴리에틸렌: 다우케미컬니폰(주)제 인게이지8411(MFR=18@ 190℃×2.16kg, 밀도 0.880g?cm3)
(*21) 산코(주)제 환상유기 인계 난연제 HCA-HQ-HS
(*22) 치바스페셜티(주)제 Melapur MC15
(*23) 축합 인산에스터: 다이하치화학공업(주)제 PX-110(인 7.8%)
(*24) 일산화학(주)제 MC6000
Figure pct00005
Figure pct00006
Figure pct00007
Figure pct00008
Figure pct00009
실시예 1 내지 19의 절연 전선, 실시예 20 내지 25의 플랫 케이블, 실시예 26 내지 28의 사출 성형품은, 기계적 특성, 난연성, 내열성, 가열 변형성, 및 도체부 내열성의 모든 항목에 있어서 요구 특성을 만족시키고 있었다.
특히, 열가소성 수지로서 폴리페닐렌에터, 스타이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카보닐기를 갖는 에틸렌-α 올레핀 공중합체(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사용한 실시예 1은 연소 시간이 20초로 짧고, 특히 난연성이 우수했다. 또한 카보닐기를 갖는 에틸렌-α 올레핀 공중합체를 50질량부 이상 함유하는 실시예 1, 10, 14 내지 18은 어느 것이나 연소 시간이 30초 이내이며 난연성이 우수했다. 특히 실시예 17의 배합은 1종류의 수지만으로 특성의 균형를 취하는 것이 가능했다. 혼합하는 수지의 종류가 많은 경우는 수지끼리의 상용성을 높이기 위해서 혼합시에 전단 응력을 걸 필요가 있어 혼합의 비용이 상승하지만, 1종류의 수지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혼합이 용이하고 비용이 내려간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비교예 1의 절연 전선 및 동일한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비교예 11의 플랫 케이블은, 유기 인계 난연제(포스핀산 금속염)의 함유량이, 열가소성 수지 100질량부에 대하여 105질량부로 많았기 때문에, 내열성, 가열 변형성, 도체부 내열성이 뒤떨어지는 결과가 되었다. 비교예 2, 3, 4, 9, 10의 절연 전선 및 비교예 12, 13, 14의 플랫 케이블은, 반대로 유기 인계 난연제의 함유량이 적어, 난연성이 불합격이었다.
비교예 5의 절연 전선 및 비교예 15의 플랫 케이블은, 난연성은 통과했었지만, 도체부 내열성으로 균열이 발생하여 불합격되었다. 비교예 6의 절연 전선 및 비교예 16의 플랫 케이블은, 열가소성 수지 중의 탄소-탄소 불포화 결합을 갖는 수지 또는 카보닐기를 갖는 수지의 함유량이 5질량% 미만보다 적어, 난연성이 불합격이었다.
비교예 7의 절연 전선 및 비교예 17의 플랫 케이블은, 다작용성 모노머의 함유량이 열가소성 수지 100질량부에 대하여 22질량부로, 20질량부보다도 많기 때문에 신도가 낮고, 또한 난연성도 불합격이었다. 비교예 8의 절연 전선 및 비교예 18의 플랫 케이블는 다작용성 모노머를 함유하지 않고 있기 때문에, 내열성, 도체부 내열성, 가열 변형성이 뒤떨어지는 결과가 되었다. 비교예 10의 절연 전선 및 비교예 19, 20의 플랫 케이블은, 난연성이 높은 유기 인계 난연제인 포스핀산 금속염, 인산멜라민 화합물, 인산암모늄 화합물, 및 사이클로포스파젠을 개환 중합하여 얻어지는 폴리포스파젠 화합물을 포함하고 있지 않고, 인산에스터만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도체부 내열성이 불합격이었다. 비교예 21은 도체부 내열성은 합격 수준이지만, 포화 폴리머의 양이 많기 때문에 난연성이 불합격이었다.
(실시예 29 내지 35)
표 9에 나타내는 비율로 각 재료를 배합하고, 추가로 베이스 폴리머 100부에 대하여 올레산아마이드 0.5부,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키스[3-(3,5-다이-t-뷰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3질량부를 가하여 다이스 온도 280℃로 설정한 2축 혼합기로 혼련했다. 수득된 혼련물의 스트랜드를 펠렛타이저로 펠렛 형상으로 한 후, 용융 압출기(45mmΦ, L/D 비=24, 압축비 2.5, 풀 플라이트 타입)를 사용하여 도체(0.16mmΦ의 주석 도금 연동선을 17개 꼬은 것) 상에 두께가 0.4mm가 되도록 압출 피복하여, 가속 전압 2MeV의 전자선을 조사하여 절연 전선을 작성했다. 작성한 절연 전선에 대하여, 기계적 특성, 내열성, 난연성, 가열 변형성, 도체부 내열성을 평가했다. 또, 기계적 특성 및 내열성은, 작성한 절연 전선으로부터 도체를 제거하여 피복층만으로 한 것을 사용하여 평가했다.
Figure pct00010
실시예 29 내지 35의 절연 전선은, 기계적 특성, 난연성, 내열성, 가열 변형성, 및 도체부 내열성의 모든 항목에서 요구 특성을 만족시키고 있었다. 또한, 유기 인계 난연제와 질소계 난연제를 병용한 실시예 33 내지 35는 연소 시간이 30초 이하로 짧고, 난연성이 우수했다.
(실시예 36 내지 38)
표 10에 나타내는 난연성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여, 도체(두께 0.15mm×폭 1.2mm의 평각 도체)를 0.8mm 간격(피치 2.0mm)으로 8개 병렬로 배치한 도체의 양면에, 피복 두께가 0.2mm가 되도록 압출 피복한 후, 가속 전압 2MeV의 전자선을 250kGy 조사하여 플랫 케이블을 작성하고, 일련의 평가를 했다.
Figure pct00011
비교를 위해, 유기 인계 난연제만을 사용한 실시예 23의 결과를 표 10에 나타낸다. 유기 인계 난연제와 질소계 난연제를 병용한 실시예 32 및 실시예 33의 난연성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실시예 37, 38은 연소 시간이 30초 이하로 짧고, 난연성이 우수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연소시의 할로젠화 수소 가스의 발생의 문제가 없고, 기계적 강도(신도, 인장 강도), 내가열 변형성, 내열성이 우수한 난연성 수지 조성물, 절연 전선, 플랫 케이블 및 성형품을 얻을 수 있고, 전자 기기, OA 기기, 오디오, 비디오, DVD, 블루레이 등의 민생용 전자 기기류, 차량, 선박 등의 내부 배선이나 부품으로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12)

  1. 열가소성 수지, 다작용성 모노머, 유기 인계 난연제를 함유하는 난연성 수지 조성물로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는, 탄소-탄소 불포화 결합을 갖는 수지 또는 카보닐기를 갖는 수지를 열가소성 수지 전체에 대하여 5질량% 이상 함유하고,
    상기 유기 인계 난연제는, 포스핀산 금속염, 인산멜라민 화합물, 인산암모늄 화합물, 및 사이클로포스파젠을 개환 중합하여 얻어지는 폴리포스파젠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이며,
    상기 유기 인계 난연제의 함유량이 상기 열가소성 수지 100질량부에 대하여 5 내지 100질량부이고, 상기 다작용성 모노머의 함유량이 상기 열가소성 수지 100질량부에 대하여 1 내지 20질량부인 난연성 수지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는, 폴리페닐렌에터계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뷰틸렌테레프탈레이트, 열가소성 폴리에스터 엘라스토머,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 스타이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폴리스타이렌계 수지, 나일론, 열가소성 폴리아마이드 엘라스토머, 탄소-탄소 불포화 결합을 갖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카보닐기를 갖는 폴리올레핀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5질량% 이상 함유하는 난연성 수지 조성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는, 폴리페닐렌에터계 수지 또는 폴리스타이렌계 수지 5 내지 80질량%, 스타이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20 내지 95질량%, 폴리올레핀계 수지 0 내지 70질량%로 이루어지는 난연성 수지 조성물.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는 카보닐기를 갖는 에틸렌-α 올레핀 공중합체를 50 내지 100질량% 함유하고, 상기 카보닐기를 갖는 에틸렌-α 올레핀 공중합체는, 코모노머 함유량이 9 내지 46질량%임과 함께 용융 유량이 0.3 내지 25g/10분인 난연성 수지 조성물.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추가로, 상기 열가소성 수지 100질량부에 대하여, 질소계 난연제를 3 내지 100질량부 함유하는 난연성 수지 조성물.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질소계 난연제가 멜라민사이아누레이트인 난연성 수지 조성물.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인계 난연제로서 추가로 인산에스터를 함유하는 난연성 수지 조성물.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난연성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피복층을 갖는 절연 전선.
  9. 절연 피복층 내에 복수 개의 도체를 간격을 두고 병렬로 배치한 플랫 케이블로서, 상기 절연 피복층이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난연성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플랫 케이블.
  10.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난연성 수지 조성물을 사출 성형한 성형품.
  11. 제 8 항에 있어서,
    UL 규격으로 규정되는 수직 연소 시험(VW-1)에 합격하는 절연 전선.
  12. 제 9 항에 있어서,
    UL 규격으로 규정되는 수직 연소 시험(VW-1)에 합격하는 플랫 케이블.
KR1020127008804A 2009-10-06 2010-10-01 난연성 수지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절연 전선, 플랫 케이블, 성형품 KR2012008869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232278 2009-10-06
JPJP-P-2009-232278 2009-10-06
JPJP-P-2010-003479 2010-01-11
JP2010003479A JP5556183B2 (ja) 2009-10-06 2010-01-11 難燃性樹脂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絶縁電線、フラットケーブル、成形品
PCT/JP2010/067234 WO2011043259A1 (ja) 2009-10-06 2010-10-01 難燃性樹脂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絶縁電線、フラットケーブル、成形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8698A true KR20120088698A (ko) 2012-08-08

Family

ID=438567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8804A KR20120088698A (ko) 2009-10-06 2010-10-01 난연성 수지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절연 전선, 플랫 케이블, 성형품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120205136A1 (ko)
EP (1) EP2471871A4 (ko)
JP (1) JP5556183B2 (ko)
KR (1) KR20120088698A (ko)
CN (1) CN102575106A (ko)
MY (1) MY160886A (ko)
SG (1) SG179145A1 (ko)
TW (1) TWI485199B (ko)
WO (1) WO2011043259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09558A (ko) * 2013-03-04 2014-09-16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고내화 전력 케이블
KR20140110139A (ko) * 2013-03-04 2014-09-17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내한성 및 내유성을 갖는 전력 케이블
KR20160127081A (ko) * 2014-02-26 2016-11-02 바스프 에스이 난연성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KR20190110973A (ko) * 2019-09-20 2019-10-01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내한성 및 내유성을 갖는 쉬스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99314B2 (ja) * 2010-08-23 2015-04-08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フラットケーブル用被覆材およびそれを使用したフラットケーブル
US9234088B2 (en) 2011-03-17 2016-01-12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Ltd. Non-halogen flame-retardant resin composition, and insulated electric wire and tube using the same
JP5644716B2 (ja) * 2011-08-17 2014-12-24 日立金属株式会社 接着フィルム及びフラットケーブル
US8853304B2 (en) * 2011-11-29 2014-10-07 Sabic Innovative Plastics Ip B.V. Polyester compositions and insert-molded articles made therefrom
JP5843151B2 (ja) * 2011-12-21 2016-01-13 日立金属株式会社 架橋樹脂組成物を用いた電線およびケーブル
CN102532828B (zh) * 2011-12-29 2013-11-06 宁波长阳科技有限公司 一种pet/聚膦腈微纳米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JP5891844B2 (ja) * 2012-02-24 2016-03-23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絶縁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フラットケーブル
CN102816427A (zh) * 2012-09-06 2012-12-12 北京化工大学 一种高阻燃高耐热无卤阻燃热塑性聚氨酯弹性体电缆料及其制备方法
JP6023529B2 (ja) * 2012-09-20 2016-11-09 矢崎エナジーシステム株式会社 ノンハロゲン難燃性樹脂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電線・ケーブル
JP6345406B2 (ja) * 2012-10-23 2018-06-20 三井化学株式会社 難燃性組成物
JP6180153B2 (ja) * 2013-03-29 2017-08-16 旭化成株式会社 ポリフェニレンエーテル組成物
JP6180154B2 (ja) * 2013-03-29 2017-08-16 旭化成株式会社 ポリフェニレンエーテル樹脂組成物
JP2015046258A (ja) * 2013-08-27 2015-03-12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ハロゲンフリー難燃絶縁電線
JP6319870B2 (ja) * 2013-09-06 2018-05-09 Dic株式会社 光ファイバコードまたは光ファイバケーブルおよびそれらに用いられる非ハロゲン系難燃性樹脂組成物
JP2015060733A (ja) 2013-09-19 2015-03-30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ハロゲンフリー難燃絶縁電線および難燃絶縁チューブ
US9346922B2 (en) 2013-11-26 2016-05-2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Flame retardant block copolymers from renewable feeds
WO2015088170A1 (ko) * 2013-12-10 2015-06-18 (주) 엘지화학 폴리올레핀 난연수지 조성물 및 성형품
JP2015042730A (ja) * 2014-04-25 2015-03-05 株式会社Adeka 難燃性熱可塑性ポリウレタンエラストマー組成物
JP6276145B2 (ja) * 2014-09-03 2018-02-07 旭化成株式会社 樹脂組成物及び成形体
JP6344201B2 (ja) * 2014-11-04 2018-06-20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難燃性樹脂組成物及び難燃性絶縁電線・ケーブル
JP6624065B2 (ja) 2014-11-18 2019-12-25 日立化成株式会社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可撓性樹脂層形成用樹脂組成物
US20170369673A1 (en) * 2014-12-23 2017-12-28 Polyone Corporation Flame retardant polybutylene succinate compound
US9928937B2 (en) 2015-09-30 2018-03-27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Ltd. Core electric wire for multi-core cable and multi-core cable
CN109065226B (zh) * 2015-09-30 2020-01-21 住友电气工业株式会社 多芯电缆用芯电线和多芯电缆
US11114215B2 (en) 2015-09-30 2021-09-07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Ltd. Core electric wire for multi-core cable and multi-core cable
JP2017066345A (ja) * 2015-10-02 2017-04-06 矢崎エナジーシステム株式会社 ノンハロゲン難燃性樹脂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絶縁電線・ケーブル
JP6418137B2 (ja) * 2015-11-25 2018-11-07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難燃性樹脂組成物及び難燃性ケーブル
JP6418138B2 (ja) * 2015-11-25 2018-11-07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難燃性樹脂組成物および難燃性ケーブル
JP6860071B2 (ja) * 2017-06-19 2021-04-14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絶縁電線およびワイヤーハーネス
US10515740B2 (en) * 2017-07-11 2019-12-24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Flame-retardant flat electrical cable
CN107880252B (zh) * 2017-11-30 2020-04-17 西北师范大学 一种功能化无机基质固化剂的制备方法
JP6854416B2 (ja) * 2018-01-24 2021-04-07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多芯ケーブル用コア電線及び多芯ケーブル
WO2019171644A1 (ja) 2018-03-05 2019-09-12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多芯ケーブル用コア電線及び多芯ケーブル
JP6369652B2 (ja) * 2018-05-16 2018-08-08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多芯ケーブル用コア電線及び多芯ケーブル
JP6369651B2 (ja) * 2018-05-16 2018-08-08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多芯ケーブル用コア電線及び多芯ケーブル
JPWO2020196217A1 (ko) * 2019-03-25 2020-10-01
US11636958B2 (en) * 2019-09-04 2023-04-25 Yazaki Corporation Communication cable and wire harness
CN114316413B (zh) * 2022-01-22 2022-10-28 中东线缆制造有限责任公司 一种低烟无卤热塑性弹性体耐火线缆及生产工艺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75139A (ja) * 1986-05-22 1987-11-30 Mitsubishi Cable Ind Ltd 耐摩耗性難燃性の組成物
JP3175355B2 (ja) * 1992-11-04 2001-06-11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樹脂組成物からの熱収縮性チューブ
JPH07145288A (ja) 1993-11-22 1995-06-06 Sumitomo Electric Ind Ltd 樹脂組成物及びそれからの熱収縮チューブ
JP3439352B2 (ja) * 1998-09-24 2003-08-25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熱可塑性ポリエステル樹脂、それからの絶縁電線、電気絶縁ケーブル及び熱収縮チューブ
JP2003160709A (ja) 2001-11-26 2003-06-06 Fujikura Ltd ノンハロゲン難燃性樹脂組成物
JP2004352889A (ja) * 2003-05-29 2004-12-16 Sumitomo Electric Ind Ltd 熱可塑性ポリエステル樹脂及び樹脂組成物並びにこれを用いた絶縁電線、ケーブル及びチューブ並びに絶縁電線及びケーブルの製造方法
WO2005097900A1 (en) * 2004-04-01 2005-10-20 General Electric Company Flame retardant composition
US7332677B2 (en) * 2004-12-17 2008-02-19 General Electric Company Multiconductor cable assemblies and methods of making multiconductor cable assemblies
CN101107317B (zh) * 2005-03-28 2013-04-24 沙伯基础创新塑料知识产权有限公司 阻燃热塑性组合物及包含它的制品
JP4828240B2 (ja) * 2006-01-23 2011-11-30 リケンテクノス株式会社 難燃性熱可塑性樹脂組成物及びその成形体
US7423080B2 (en) * 2006-03-03 2008-09-09 Sabic Innovative Plastics Ip B.V. Radiation crosslinking of halogen-free flame retardant polymer
US8138245B2 (en) * 2006-04-04 2012-03-20 Dsm Ip Assets B.V. Halogen free flame retardant polyester composition
KR101223790B1 (ko) * 2006-08-03 2013-01-17 아사히 가세이 케미칼즈 가부시키가이샤 난연성 수지 성형성 개량제
JP4881134B2 (ja) 2006-10-20 2012-02-22 株式会社日本ナチュラルプロダクツ 油性固形化粧料
WO2009041054A1 (ja) * 2007-09-27 2009-04-02 Unitika Ltd. 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を成形した成形体
KR20110003435A (ko) * 2008-04-09 2011-01-12 스미토모덴키고교가부시키가이샤 난연성 튜브 및 이것을 이용한 열수축 튜브
JP5105242B2 (ja) * 2008-04-09 2012-12-26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難燃性樹脂組成物並びにこれを用いた絶縁電線及びフラットケーブル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09558A (ko) * 2013-03-04 2014-09-16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고내화 전력 케이블
KR20140110139A (ko) * 2013-03-04 2014-09-17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내한성 및 내유성을 갖는 전력 케이블
KR20160127081A (ko) * 2014-02-26 2016-11-02 바스프 에스이 난연성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KR20190110973A (ko) * 2019-09-20 2019-10-01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내한성 및 내유성을 갖는 쉬스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SG179145A1 (en) 2012-04-27
TW201120138A (en) 2011-06-16
EP2471871A4 (en) 2014-09-17
JP2011099084A (ja) 2011-05-19
TWI485199B (zh) 2015-05-21
EP2471871A1 (en) 2012-07-04
WO2011043259A1 (ja) 2011-04-14
JP5556183B2 (ja) 2014-07-23
CN102575106A (zh) 2012-07-11
MY160886A (en) 2017-03-31
US20120205136A1 (en) 2012-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88698A (ko) 난연성 수지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절연 전선, 플랫 케이블, 성형품
CN102858873B (zh) 无卤素阻燃树脂组合物和使用该组合物的电线或电缆
JP5529551B2 (ja) 絶縁チューブ及び熱収縮チューブ
JP5569363B2 (ja) 絶縁電線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2575521B1 (ko)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및 성형품
KR20140122998A (ko) 무-할로젠 난연 절연 전선
KR20140009373A (ko) 논할로젠 난연성 수지 조성물 및 이것을 이용한 절연 전선 및 튜브
KR20110003435A (ko) 난연성 튜브 및 이것을 이용한 열수축 튜브
JP5105242B2 (ja) 難燃性樹脂組成物並びにこれを用いた絶縁電線及びフラットケーブル
KR20100038701A (ko) 난연성이 우수한 전선피복용 친환경 난연 열가소성 코폴리에테르에스테르 엘라스토머 복합수지 조성물
EP3051541A1 (en) Halogen-free flame-retardant insulated wire
JP2007197619A (ja) ノンハロゲン難燃性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線・ケーブル
KR101990407B1 (ko) 비할로겐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케이블
US7868253B2 (en) Wire covering material composition, an insulated wire and a wiring harness
KR101749384B1 (ko) 난연성이 우수한 친환경 비할로겐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 피복된 전선
TW201504339A (zh) 無鹵素阻燃絕緣電線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