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81240A - 모발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사용방법 - Google Patents

모발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사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81240A
KR20120081240A KR1020127014709A KR20127014709A KR20120081240A KR 20120081240 A KR20120081240 A KR 20120081240A KR 1020127014709 A KR1020127014709 A KR 1020127014709A KR 20127014709 A KR20127014709 A KR 20127014709A KR 20120081240 A KR20120081240 A KR 201200812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gent
hair
foaming
hair cosmetic
desal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47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98137B1 (ko
Inventor
요시히로 콘노
요스케 코바야시
Original Assignee
호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호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812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12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81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81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1Amines
    • A61K8/416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46Aerosols; Fo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2Peroxides; Oxygen; Oz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4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8Preparations for bleaching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10Preparations for permanently dyeing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25Ki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8Two- or multipart ki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8Two- or multipart kits
    • A61K2800/882Mixing prior to applic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모발의 염색, 탈색 또는 탈염에 이용되는 본 발명의 모발 화장료 조성물은, 분말상의 제(劑)와 액상의 제를 혼합하여 진탕에 의해 발포시킴으로써 얻어지는 거품상태의 제형으로 모발에 적용된다.

Description

모발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사용방법{COSMETIC PREPARATION FOR HAIR AND METHOD FOR APPLICATION THEREOF}
본 발명은, 염모제 또는 모발 탈색·탈염제로서 구성되며, 거품상태의 제형으로 모발에 적용되는 모발화장료 조성물 및 그 사용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자세하게는, 간편하게 혼합하여 발포시킬 수 있고, 또한 거품상태의 제형으로 모발에 양호하게 유지될 수 있는 모발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모발의 염색, 탈색 또는 탈염에 이용되는 모발화장료 조성물로서, 예컨대, 알칼리제를 함유하는 제 1제와, 산화제를 함유하는 제 2제로 구성되며, 사용시의 제형이 거품상태(폼(foam)상태)인 것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거품상태의 제형으로 사용되는 모발화장료 조성물은, 액상의 제형으로 사용되는 모발화장료 조성물에 비해, 흘러내릴 우려가 적고, 모발에 도포하기 쉬우며 사용감이 양호하다는 특징을 갖는다. 종래의 모발화장료 조성물은 예컨대 특허문헌 1∼3에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은, 분사제, 예컨대 LPG를 이용하며, 사용시에 거품상태의 제형으로 조제되는 에어로졸식 포말상(泡沫狀) 산화 염모제 조성물에 대하여 개시한 것이다. 특허문헌 2는, 가요성의 합성수지용기, 흡인용 딥튜브 및 발포 토출수단으로 이루어지는 스퀴즈 포머를 사용하여 사용시에 거품상태의 제형으로 조제되는 2제 타입의 염모용 또는 탈색용 조성물에 대해 개시한 것이다. 특허문헌 3에는, 제 1제와 제 2제를 포함하는 내용액이 든 스퀴즈식 거품토출용기를 흔듦으로써, 내용액에 공기를 혼합시켜 내용액을 발포시키고, 이것을 네트(net) 또는 다공질체로 이루어지는 거품 균질화 수단에 통과시켜 스퀴즈함으로써 거품상태의 제형의 모발화장료 조성물을 형성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일본 특허공개공보 H09-136818호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2008-291020호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2009-154884호
그러나, 특허문헌 1의 에어로졸식 포말상 산화 염모제 조성물의 경우, 주로 캔에 충전되기 때문에, 폐기 처리에 있어서 문제가 있다.
특허문헌 2의 2제 타입의 염모용 또는 탈색용 조성물의 경우에는, 2개의 제의 혼합물을 거품을 내어 토출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혼합에 불량이 발생되기 쉬워 토출조작을 신중히 수행할 필요가 있다. 이는, 분말상제와 액상제를 혼합할 경우에 특히 적합성, 조작성 저하의 원인이 된다.
특허문헌 3의 거품상태의 모발화장료 조성물의 경우에는, 진탕 직후의 큰 거품을 거품 균질화 수단에 통과시켜 밀어냄에 있어서 비교적 큰 힘으로 용기를 스퀴즈할 필요가 있어, 조작성의 문제가 있다. 이러한 밀어내기에 소요되는 힘을 작게 하기 위해서는 거품의 점도를 낮게 하는 방법이 고려되지만, 이 경우, 모발에 도포된 거품상태의 모발화장료 조성물이 금새 늘어져 떨어지기 쉬워, 모발에 양호하게 유지되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발명자들이 예의 연구한 결과, 분말상제와 액상제를 혼합하여 진탕에 의해 발포시킴으로써 얻어지는 거품상태의 모발화장료 조성물의 거품이 작다는 것의 발견에 근거하는 것이다. 작은 거품이면, 거품 균질화 수단의 사용이 불필요하게 되므로, 모발화장료 조성물의 혼합 및 발포를 간편하게 수행할 수가 있다. 또한, 이러한 거품상태의 모발화장료 조성물은 모발에 양호하게 유지됨을 알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간편하게 혼합하여 발포시킬 수 있으며, 또한 거품상태의 제형으로 모발에 양호하게 유지될 수 있는 모발화장료 조성물 및 그 사용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는, 복수의 제(劑)로 이루어지는 염모제 또는 모발 탈색·탈염제로서 구성되는 모발화장료 조성물로서, 분말상제와 액상제를 혼합하여 진탕(shaking)에 의해 발포시킴으로써 얻어지는 거품상태의 제형으로 모발에 적용되는 모발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양태의 모발화장료 조성물은, 양성(兩性) 계면활성제 또는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함유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양태의 모발화장료 조성물이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에 추가하여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더 함유할 경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와 양이온성 계면활성제가 사용시에 용매의 존재 하에서 접촉하도록 모발화장료 조성물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는, 탄소수 16 이상 22 이하의 알킬기를 갖는 암모늄형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와, 탄소수 10 이상 16 미만의 알킬기를 갖는 암모늄형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양태의 모발화장료 조성물이 비(非)이온성 폴리머를 함유할 경우, 비이온성 폴리머는, 상기 분말상제에 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양태의 모발화장료 조성물이 증점제를 함유할 경우, 증점제는, 상기 분말상제에 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양태의 모발화장료 조성물은, 알칼리제를 함유하는 분말상의 제 1제와, 산화제로서 과산화수소를 함유하는 액상의 제 2제로 구성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제 2제는, 양성 계면활성제 및 양이온성 폴리머를 더 함유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양태의 모발화장료 조성물은, 알칼리금속 무기염을 더 함유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제 2제는, 페녹시에탄올과, 안식향산 및 안식향산염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더 함유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알칼리제는 탄산염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양태의 모발화장료 조성물이 1∼5질량%의 킬레이트화제를 더 함유할 경우, 모발화장료 조성물 중의 킬레이트화제의 함유량에 대한 모발화장료 조성물 중의 탄산염의 함유량의 질량비는 0.02∼6.5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서는, 상기 양태의 모발화장료 조성물의 사용방법으로서, 모발화장료 조성물의 분말상제와 액상제를 혼합하여 진탕에 의해 발포시킴으로써 거품상태의 제형으로 모발화장료 조성물을 형성하는 공정과, 얻어진 거품상태의 제형의 모발화장료 조성물을 손으로 모발에 도포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간편하게 혼합하여 발포시킬 수 있으며, 또한 거품상태의 제형으로 모발에 양호하게 유지될 수 있는 모발화장료 조성물 및 그 사용방법이 제공된다.
도 1의 (a)∼(d)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2제 타입의 모발 탈색·탈염제를 포함하는 모발 화장용품의 사용방법을 나타내는 설명도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a)는, 사용 전의 모발 탈색·탈염제의 제 1제와 제 2제를 수용한 용기를 나타내는 도면, (b)는, 제 1제와 제 2제를 용기의 용기본체에 투입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c)는, 용기본체에 커버체를 장착하여 용기를 상하로 흔드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d)는, 용기본체 내의 거품상태의 모발 탈색·탈염제를 손으로 직접 꺼내어 모발에 도포하기 위해 용기본체로부터 커버체를 분리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용기의 단면도이다.
(제 1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에 관한 모발 화장료 조성물을 2제 타입의 모발 탈색·탈염제 및 3제 타입의 모발 탈색·탈염제로 구체화한 제 1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2제 타입의 모발 탈색·탈염제>
2제 타입의 모발 탈색·탈염제는, 예컨대, 적어도 알칼리제(이하, '성분(F)'라 함)를 함유하는 분말상의 제 1제와, 적어도 산화제를 함유하는 액상의 제 2제로 구성된다. 이러한 모발 탈색·탈염제는, 제 1제와 제 2제를 혼합하여 진탕에 의해 발포시킴으로써 거품상태의 제형으로 한 후, 모발의 탈색 또는 탈염을 위해 모발에 적용된다.
<2제 타입의 모발 탈색·탈염제의 제 1제>
제 1제는, 성분(F)의 알칼리제에 추가하여, 예컨대,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이하, '성분(C)'라고도 함), 비이온성 폴리머(이하, '성분(D)'라고도 함), 증점제(이하, '성분(E)'라고도 함) 및 킬레이트화제(이하, '성분(L)'이라고도 함)를 더 함유한다.
알칼리제는, 제 2제에 함유되는 산화제의 작용을 촉진함으로써, 모발의 탈색 또는 탈염 효과를 향상시키는 작용을 한다. 사용되는 알칼리제는, 25℃(상온)에서 고체상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알칼리제의 예로서는, 예컨대, 규산염, 탄산염(이하, '성분(f-1)'이라고도 함), 메타규산염, 황산염, 염화물 및 인산염을 들 수 있다.
규산염의 예로서는, 예컨대, 규산나트륨, 규산칼륨 및 규산마그네슘을 들 수 있다. 성분(f-1)의 탄산염에는 탄산수소염도 포함된다. 따라서, 탄산염의 예로서는, 예컨대, 탄산나트륨, 탄산마그네슘, 탄산암모늄, 탄산수소나트륨 및 탄산수소암모늄을 들 수 있다. 메타규산염의 예로서는, 예컨대, 메타규산나트륨 및 메타규산칼륨을 들 수 있다. 황산염의 예로서는, 예컨대, 황산암모늄을 들 수 있다. 염화물의 예로서는, 예컨대, 염화암모늄을 들 수 있다. 인산염의 예로서는, 예컨대, 인산 제 1암모늄 및 인산 제 2암모늄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알칼리제의 구체예 중에서, 특히 바람직한 것은 탄산염이다. 알칼리제로서 탄산염을 사용했을 경우에는, 모발 탈색·탈염제의 혼합 및 발포의 간편성이 향상되며, 또한 모발에 대한 거품상태의 모발 탈색·탈염제의 유지성이 향상된다. 나아가, 모발 탈색·탈염제의 사용시의 암모니아 냄새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탄산염은 물 등의 용매에 대한 용해시에 융해열을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모발 탈색·탈염제로 처리한 후의 모발에 명도의 편차가 생기는 것을 억제할 수도 있다.
알칼리제는, 제 1제와 제 2제의 혼합물, 즉 사용시의 모발 탈색·탈염제의 pH가 7∼12의 범위가 되는 양으로 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제와 제 2제의 혼합물의 pH가 7 이상이면, 제 2제에 포함되는 산화제가 과산화수소 (이하, '성분(G)'라고도 함)일 경우에, 그 과산화수소의 작용을 강하게 촉진할 수 있다. 제 1제와 제 2제의 혼합물의 pH가 12 이하이면, 모발 탈색·탈염제를 모발에 도포했을 때 모발이 손상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성분(C)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모발 탈색·탈염제의 혼합 및 발포의 간편성과 모발에 대한 거품상태의 모발 탈색·탈염제의 유지성을 향상시키는 작용을 갖는다. 이를 위해 제 1제는, 바람직하게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함유한다.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제 1제 및 제 2제 중 어느 한쪽에만 배합되어도 무방하며, 혹은 제 1제 및 제 2제의 양쪽에 배합되어도 무방하다.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예로서는, 예컨대, 알킬에테르황산염, 알킬황산염, 알케닐에테르황산염, 알케닐황산염, 올레핀술폰산염, 알칸술폰산염, 포화 또는 불포화지방산염, 알킬 또는 알케닐에테르카르복실산염, α-술폰지방산염, N-아실아미노산형 계면활성제, 인산 모노 또는 디에스테르형 계면활성제, 및 술포호박산에스테르를 들 수 있다. 이들 계면활성제의 음이온기의 쌍이온은, 예컨대, 나트륨 이온, 칼륨 이온 및 트리에탄올아민 중 어느 것이어도 무방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알킬황산염의 예로서는, 예컨대, 라우릴황산나트륨 및 세틸황산나트륨을 들 수 있다. 술포호박산에스테르의 예로서, 예컨대, 술포호박산라우릴 2나트륨을 들 수 있다. 사용되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1종류뿐이어도 되며, 혹은 2종류 이상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조합시켜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제 1제와 제 2제의 혼합물 내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0.1∼10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5∼5질량%이다.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함유량이 상기 중 어느 하나의 범위 내에 있을 경우에는, 모발 탈색·탈염제의 혼합 및 발포의 간편성과 모발에 대한 거품상태의 모발 탈색·탈염제의 유지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양호하게 얻을 수 있다. 또한, 모발 탈색·탈염제로 처리한 후의 모발에 푸석한 느낌이 생기는 것도 억제할 수 있다.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모발 탈색·탈염제의 사용시에 용매의 존재 하에서 성분(B)의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와 접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는, 예컨대,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제 1제와 제 2제 중 어느 하나에 배합하고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를 다른 하나에 배합하도록 하여도 무방하고, 혹은,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와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양자를 분말상의 제형을 갖는 제 1제에 배합하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이 경우, 모발 탈색·탈염제의 발포성이 향상되는 동시에, 발포에 의해 얻어지는 거품의 지속성이 양호해진다. 이는, 모발 탈색·탈염제의 혼합 및 발포의 간편성과 모발에 대한 거품상태의 모발 탈색·탈염제의 유지성을 보다 향상시키는 것이다. 나아가, 제 1제와 제 2제의 혼합시의 증점효과의 발현속도가 빨라지고, 또 모발 탈색·탈염제의 점도 안정성이 향상된다는 이점도 있다.
발포에 의해 얻어지는 거품의 지속성을 더욱 양호하게 하기 위해서는, 제 1제와 제 2제의 혼합물 중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함유량이, 0.1∼3.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0.5∼1.5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제 1제와 제 2제의 혼합물 중의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의 함유량은, 0.1∼5.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5∼4.5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5∼2.0질량%이다. 또한, 제 1제와 제 2제의 혼합물 중의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의 함유량에 대한 같은 혼합물 내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함유량의 질량비는, 0.25∼3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4∼3의 범위, 더욱 바람직하게는 0.8∼2의 범위이다.
제 1제와 제 2제의 혼합시의 증점효과의 발현속도를 더욱 빠르게 하고, 또 모발 탈색·탈염제의 점도 안정성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제 1제와 제 2제의 혼합물 중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함유량이, 0.01∼1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0.5∼5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제 1제와 제 2제의 혼합물 중의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의 함유량에 대한 같은 혼합물 중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함유량의 질량비는, 0.1∼20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5∼10, 더욱 바람직하게는 1∼7이다.
성분(D)의 비이온성 폴리머는, 모발 탈색·탈염제의 혼합 및 발포의 간편성과 모발에 대한 거품상태의 모발 탈색·탈염제의 유지성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거품상태의 모발 탈색·탈염제의 거품질, 예컨대 거품의 균질성이나 탄력성을 향상시키는 기능도 한다. 이를 위해, 제 1제는 바람직하게는 비이온성 폴리머를 함유한다. 비이온성 폴리머는, 제 1제 및 제 2제 중 어느 하나에만 배합되어도 되고, 혹은 제 1제 및 제 2제의 양자에 배합되어도 무방하다.
사용되는 비이온성 폴리머는, 천연고분자여도 되고, 혹은 반합성 또는 합성 고분자여도 무방하다. 모발 탈색·탈염제의 혼합 및 발포의 간편성과 모발에 대한 거품상태의 모발 탈색·탈염제의 유지성이 보다 향상되고, 또한 거품상태의 모발 탈색·탈염제의 거품의 균질성 및 탄력성이 보다 향상된다는 점에서, 천연 또는 반합성의 비이온성 당류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한, α-글루코오스나 α-글루코오스 유도체와 같은 α-글루코오스 화합물을 구성단위로 하는 올리고당 및 다당이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α-글루코오스 화합물을 구성단위로 하는 올리고당 및 다당의 예로서는, 예컨대, 전분, 가수분해 전분, 전분 유도체, 덱스트란,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을 들 수 있다. 그 밖의 비이온성 당류의 예로서는, 예컨대, 셀룰로오스, 한천을 들 수 있다. 또한, 천연 또는 반합성의 비이온성 당류와 같은 이유에서, 고(高)수용성의 비이온성 폴리머보다 저수용성이면서 분산성인 비이온성 폴리머(예컨대, 전분, 시클로덱스트린)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비이온성의 합성 고분자의 예로서는, 예컨대, 폴리비닐카프로락탐, PVP, (비닐피롤리돈/VA)코폴리머,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부티랄 및 고중합 폴리에틸렌글리콜을 들 수 있다.
2종류 이상의 비이온성 폴리머를 조합시켜 사용했을 경우에는, 모발 탈색·탈염제의 혼합 및 발포의 간편성과 모발에 대한 거품상태의 모발 탈색·탈염제의 유지성이 보다 향상되거나, 거품상태의 모발 탈색·탈염제의 거품의 균질성 및 탄력성이 보다 향상되거나 하는 경우가 있다. 특히, 2종류 이상의 분산성의 비이온성 폴리머를 조합시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합시켜 사용되는 분산성의 비이온성 폴리머 중 적어도 1종이 전분이면 더욱 바람직하다.
제 1제와 제 2제의 혼합물 중의 비이온성 폴리머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0.3∼15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10질량%이다. 비이온성 폴리머의 함유량이 상기의 어느 하나의 범위 내에 있을 경우에는, 모발 탈색·탈염제의 혼합 및 발포의 간편성과 모발에 대한 거품상태의 모발 탈색·탈염제의 유지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양호하게 얻을 수 있다. 또한, 거품상태의 모발 탈색·탈염제의 거품의 균질성 및 탄력성이 보다 향상된다.
비이온성 폴리머로서 전분을 분말상의 제형을 갖는 제 1제에 배합했을 경우에는, 제 1제와 제 2제의 혼합시의 증점효과의 발현속도가 빨라지고, 또 모발 탈색·탈염제의 점도 안정성이 향상된다. 전분의 예로서는, 예컨대, 곡류 전분, 괴경(塊莖)류 전분, 콩류 전분, 들풀류 전분, 간경(stem or trunk) 전분, 및 이들의 개질 전분(가공 전분)을 들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콘스타치(cornstarch), 타피오카(tapioca) 전분, 감자 전분, 고구마 전분, 사고(sago) 전분, 및 이들의 개질 전분을 사용할 수 있다. 개질 전분이란, 에테르화, 에스테르화, 그래프트화 등의 유도체화 처리, 배소(焙燒), 효소변성, 산화, 산처리 등의 분해 처리, α화, 조립(造粒) 처리, 다공질화 등의 가공을 전분에 대하여 실시함으로써, 전분 본래의 물성을 인위적으로 변화시킨 것을 말한다. 사용되는 전분은 1종류뿐이어도 무방하고, 혹은 2종류 이상의 전분을 조합시켜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제 1제와 제 2제의 혼합시의 증점효과의 발현속도를 더욱 빠르게 하고, 또한 모발 탈색·탈염제의 점도안정성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제 1제와 제 2제의 혼합물 중의 전분의 함유량이, 0.1∼2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10질량%이다.
성분(E)의 증점제는, 모발 탈색·탈염제의 혼합 및 발포의 간편성과 모발에 대한 거품상태의 모발 탈색·탈염제의 유지성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모발 탈색·탈염제에 적당한 점도를 부여하여, 모발 탈색·탈염제를 모발에 도포했을 때에 모발로부터 모발 탈색·탈염제가 늘어져 떨어지는 것을 억제하는 기능도 갖는다. 이를 위해 제 1제는, 바람직하게는 증점제를 함유한다. 증점제는, 제 1제 및 제 2제 중 어느 하나에만 배합되어도 무방하며, 혹은 제 1제 및 제 2제의 양자에 배합되어도 무방하다. 증점제의 구체예로서는, 예컨대, 천연고분자, 반합성 고분자, 합성 고분자 및 무기물계 고분자를 들 수 있다.
천연고분자의 예로서는, 예컨대, 구아 검, 로커스트 빈 검(locust bean gum), 퀸스 시드(quince seed), 카라기난(carrageenan), 갈락탄(galactan), 아라비아 검(gum arabic), 트래거캔스 검(tragacanth gum), 펙틴(pectin), 만난(mannan), 크산탄 검(xanthan gum), 숙시노글루칸(succinoglucan), 커들란(curdlan), 히알루론산, 젤라틴, 카제인, 알부민 및 콜라겐을 들 수 있다.
반합성 고분자의 예로서는, 예컨대, 메틸셀룰로오스, 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메틸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알긴산프로필렌글리콜에스테르 및 알긴산염을 들 수 있다.
합성 고분자의 예로서는, 예컨대,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비닐메틸에테르, 카르복시비닐중합체, 폴리아크릴산소다, 폴리아크릴아미드, 폴리에틸렌옥사이드, 에틸렌옥사이드·프로필렌옥사이드 블록 공중합체, 아크릴산/아크릴산 알킬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또한, 이타콘산과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의 반(半) 에스테르 또는 메타크릴산과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의 에스테르와,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및 이들의 알킬에스테르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단량체로 이루어지는 공중합체도 사용가능하다.
무기물계 고분자의 예로서는, 예컨대, 벤토나이트(bentonite), 규산알루미늄마그네슘, 라포나이트(laponite), 헥토라이트(hectorite) 및 무수규산을 들 수 있다.
사용되는 증점제는 1종류뿐이어도 되고, 혹은 2종류 이상의 증점제를 조합시켜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제 1제와 제 2제의 혼합물 중의 증점제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0.1∼20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5질량%이다. 증점제의 함유량이 상기 중 어느 하나의 범위 내에 있을 경우에는, 모발 탈색·탈염제의 혼합 및 발포의 간편성과 모발에 대한 거품상태의 모발 탈색·탈염제의 유지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양호하게 얻을 수 있다. 또한, 모발 탈색·탈염제 도포성이 저하하는 것을 억제할 수도 있다.
제 1제와 제 2제의 혼합시의 증점효과의 발현 속도를 빠르게 하고, 또 모발 탈색·탈염제의 점도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제 1제와 제 2제의 혼합물 중의 증점제의 함유량은, 0.05∼2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5∼4질량%이다. 또한, 제 1제와 제 2제의 혼합물 중의 증점제의 함유량에 대한 같은 혼합물 중의 전분의 함유량의 질량비는, 0.1∼20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7, 더욱 바람직하게는 1∼3이다. 이 질량비가 상기 중 어느 하나의 범위 내에 있을 경우에는, 제 1제와 제 2제의 혼합시의 증점효과의 발현속도가 보다 빨라지고, 또한 모발 탈색·탈염제의 점도안정성이 보다 향상된다.
성분(L)의 킬레이트화제는, 모발 탈색·탈염제의 혼합 및 발포의 간편성과 모발에 대한 거품상태의 모발 탈색·탈염제의 유지성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한다. 또한, 성분(F)의 알칼리제로서 탄산염을 사용했을 경우에 탄산염에 기인하여 일어날 수 있는, 모발 탈색·탈염제로 처리한 후의 모발에 있어서의 거칠한 느낌을 억제하여, 모발 탈색·탈염제로 처리한 후의 모발의 감촉, 즉 손가락으로 빗었을 때의 매끄러움을 향상시키는 기능도 한다. 이를 위해 제 1제는, 바람직하게는 킬레이트화제를 함유한다. 킬레이트화제는, 제 1제 및 제 2제의 중 어느 하나에만 배합되어도 무방하며, 혹은 제 1제 및 제 2제의 양자에 배합되어도 무방하다.
킬레이트화제의 예로서는, 예컨대, 에데트산(에틸렌디아민 4초산(EDTA)), 에틸렌디아민히드록시에틸 3초산, 디히드록시에틸에틸렌디아민 2초산, 1,3-프로판디아민 4초산, 디에틸렌트리아민 5초산, 트리에틸렌테트라민 6초산, 니트릴로 3초산, 히드록시에틸이미노 2초산, L-아스파라긴산-N,N-2초산, 아미노트리메틸렌포스폰산, 히드록시에탄디포스폰산, 이들의 염, 이들의 유도체, 및 이들의 유도체의 염을 들 수 있다. 사용되는 킬레이트화제는 1종류뿐이어도 되고, 혹은 2종류 이상의 킬레이트화제를 조합시켜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제 1제와 제 2제의 혼합물 중의 킬레이트화제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1∼5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3질량%이다. 킬레이트화제의 함유량이 상기 중 어느 하나의 범위 내에 있을 경우에는, 모발 탈색·탈염제의 혼합 및 발포의 간편성과 모발에 대한 거품상태의 모발 탈색·탈염제의 유지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양호하게 얻을 수 있다. 또한, 모발 탈색·탈염제로 처리한 후의 모발의 감촉을 보다 향상시킬 수가 있다.
성분(F)의 알칼리제로서 탄산염이 사용될 경우, 제 1제와 제 2제의 혼합물 중의 킬레이트화제의 함유량에 대한 같은 혼합물 중의 탄산염의 함유량의 질량비((f-1)/L)는, 바람직하게는 0.5∼4.5, 더욱 바람직하게는 0.9∼4.5이다. 이러한 질량비가 상기 중 어느 하나의 범위 내에 있을 경우에는, 모발 탈색·탈염제의 혼합 및 발포의 간편성과 모발에 대한 거품상태의 모발 탈색·탈염제의 유지성이 보다 크게 향상된다. 또한, 탄산염에 기인하여 일어날 수 있는, 모발 탈색·탈염제로 처리한 후의 모발의 감촉의 저하를 보다 강하게 억제할 수가 있다.
제 1제는 필요에 따라, 상술한 성분 이외의 성분, 예컨대, 유성성분, 다가 알코올, 상기한 계면활성제 이외의 추가의 계면활성제, 당, 방부제, 안정제, pH조정제, 식물추출물, 생약추출물, 비타민, 향료, 산화 방지제, 자외선흡수제, 산화 조제, 부형제(賦形劑) 및 첨가제 중 어느 하나를 더 함유하여도 무방하다.
유성성분은, 모발에 윤기를 주는 역할을 한다. 유성성분의 예로서는, 예컨대, 유지, 왁스, 고급 알코올, 탄화수소, 고급지방산, 알킬글리세릴에테르, 에스테르 및 실리콘을 들 수 있다.
유지의 예로서는, 예컨대, 라놀린, 올리브유, 동백유, 시어버터(shea butter), 아몬드유, 홍화유(safflower oil), 해바라기유, 대두유, 면실유, 참깨유, 옥수수유, 유채씨유, 미강유, 쌀 배아유, 포도종자유, 아보카도유, 마카다미아 너트유, 피마자유, 야자유 및 달맞이꽃유를 들 수 있다.
왁스(蠟)의 예로서는, 예컨대, 밀랍, 칸데릴라왁스(candelilla wax), 카나우바왁스(carnauba wax), 호호바유 및 라놀린(lanolin)을 들 수 있다.
고급 알코올의 예로서는, 예컨대, 세틸알코올(세탄올), 2-헥실데칸올, 스테아릴알코올, 이소스테아릴알코올, 세토스테아릴알코올, 올레일(oleyl)알코올, 아라킬(arachyl)알코올, 베헤닐(behenyl)알코올, 2-옥틸도데칸올, 라우릴알코올, 미리스틸(myristyl)알코올, 데실테트라데칸올 및 라놀린알코올을 들 수 있다.
탄화수소의 예로서는, 예컨대, 파라핀, 올레핀올리고머, 폴리이소부텐, 수첨(水添) 폴리이소부텐, 미네랄 오일(mineral oil), 스쿠알란, 폴리부텐, 폴리에틸렌,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microcrystalline wax) 및 바셀린을 들 수 있다.
고급지방산의 예로서는, 예컨대, 라우르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린산, 베헨산(behenic acid), 이소스테아린산, 12-히드록시스테아린산, 올레인산 및 라놀린 지방산을 들 수 있다.
알킬글리세릴에테르의 예로서는, 예컨대, 바틸(batyl)알코올, 키밀(chimyl)알코올, 세라킬(selachyl)알코올 및 이소스테아릴글리세릴에테르를 들 수 있다.
에스테르의 예로서는, 예컨대, 아디핀산디이소프로필, 미리스트산이소프로필, 옥탄산세틸, 이소노난산이소노닐, 미리스트산옥틸도데실, 팔미트산이소프로필, 스테아린산스테아릴, 미리스트산미리스틸, 미리스트산이소트리데실, 팔미트산 2-에틸헥실, 리시놀레산옥틸도데실(octyldodecyl ricinoleate), 10∼30의 탄소수를 갖는 지방산콜레스테릴/라노스테릴, 유산세틸, 초산라놀린, 디-2-에틸 헥산산에틸렌글리콜, 펜타에리트리톨지방산에스테르, 디펜타에리트리톨지방산에스테르, 카프린산세틸(cetyl caprate), 트리카프린산글리세릴(glyceryl tricaprylate), 사과산디이소스테아릴, 호박산디옥틸, 및 2-에틸헥산산세틸을 들 수 있다.
실리콘의 예로서는, 예컨대, 디메틸폴리실록산(디메티콘), 메틸페닐폴리실록산,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도데카메틸시클로헥사실록산, 말단수산기변성 디메틸폴리실록산, 650∼10000의 평균 중합도를 갖는 고중합 실리콘, 폴리 에테르 변성 실리콘(예컨대, (PEG/PPG/부틸렌/디메티콘)코폴리머), 아미노 변성 실리콘, 베타인 변성 실리콘, 알킬 변성 실리콘, 알콕시변성 실리콘, 메르캅토변성 실리콘(mercapto-modified silicone), 카르복시변성 실리콘, 및 불소변성 실리콘을 들 수 있다. 사용되는 실리콘은 1종류뿐이거나, 혹은 2종류 이상의 실리콘을 조합시켜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다가 알코올의 예로서는, 예컨대, 글리콜 화합물 및 글리세린 화합물을 들 수 있다. 글리콜 화합물의 예로서는, 예컨대,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트리 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이소프렌글리콜, 및 1,3-부틸렌글리콜을 들 수 있다. 글리세린 화합물의 예로서는 예컨대, 글리세린, 디글리세린 및 폴리글리세린을 들 수 있다.
추가의 계면활성제는, 유화제 또는 가용화제로서의 역할을 하며, 모발 탈색·탈염제의 점도의 조정 또는 점도안정성의 향상을 위해 사용된다. 또한, 모발 탈색·탈염제의 발포성을 향상시키는 기능, 거품상태의 모발 탈색·탈염제의 거품질, 예컨대 거품의 탄력성을 향상시키는 기능도 한다. 사용되는 계면활성제는,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성 계면활성제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중 어느 것이어도 무방하다.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제 1제에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를 배합하여도 무방하다.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예로서는, 예컨대, 염화라우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세틸트리메틸암모늄, 염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알킬트리메틸암모늄, 염화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 브롬화세틸트리메틸암모늄, 브롬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에틸황산라놀린지방산아미노프로필에틸디메틸암모늄, 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사카린, 세틸트리메틸암모늄사카린, 염화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트리메틸암모늄 및 메틸황산베헤닐트리메틸암모늄을 들 수 있다.
양성 계면활성제의 예로서는, 지방산아미도프로필디메틸아미노초산베타인(fatty acid amidopropyldimethylaminoacetic acid betaine), 알킬디메틸아미노초산베타인(alkyldimethylaminoacetic acid betaine), N-아실아미노에틸-N-2-히드록시에틸아미노카르복실산염, N-아실아미노에틸-N-카르복시메톡시에틸아미노카르복실산염 및 히드록시알킬(C12-14)히드록시에틸사르코신(hydroxyalkyl(C12-14)hydroxyethyl sarcosine)을 들 수 있다.
지방산아미도프로필디메틸아미노초산베타인의 예로서는, 예컨대, 야자유지방산아미도프로필디메틸아미노초산베타인(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cocamidopropyl betaine) 또는 야자유지방산아미도프로필베타인이라고도 불림), 팜유지방산아미도프로필디메틸아미노초산베타인, 라우르산아미도프로필디메틸아미노초산베타인(라우라미도프로필베타인(lauramidopropyl betaine) 또는 라우르산아미도프로필베타인이라고도 불림) 및 리시놀레산아미도프로필디메틸아미노초산베타인을 들 수 있다. 지방산아미도프로필디메틸아미노초산베타인은, 나트륨염, 칼륨염, 트리에탄올아민염 등의 염의 형태로 제 1제에 배합되어도 무방하다.
알킬디메틸아미노초산베타인의 예로서는, 예컨대, 데실디메틸아미노초산베타인, 라우릴디메틸아미노초산베타인, 미리스틸디메틸아미노초산베타인, 세틸디메틸아미노초산베타인, 스테아릴디메틸아미노초산베타인, 올레일디메틸아미노초산베타인, 베헤닐디메틸아미노초산베타인, 및 야자유알킬디메틸아미노초산베타인을 들 수 있다. 알킬디메틸아미노초산베타인은, 나트륨염, 칼륨염, 트리에탄올아민염 등의 염의 형태로 제 1제에 배합되어도 무방하다.
N-아실아미노에틸-N-2-히드록시에틸아미노카르복실산염의 예로서는, 예컨대, 코코암포아세트산나트륨(sodium cocoamphoacetate)(N-야자유지방산아실-N'-카르복시메틸-N'-히드록시에틸에틸렌디아민이며, 2-알킬-N-카르복시메틸-N-히드록시에틸이미다졸리늄베타인이라고도 불림), 코코암포프로피온산나트륨(sodium cocoamphopropionate)(N-야자유지방산아실-N'-카르복시에틸-N'-히드록시에틸에틸렌디아민), 라우로암포아세트산나트륨(sodium lauroamphoacetate)(N-라우로일-N'-카르복시메틸-N'-히드록시에틸에틸렌디아민), 올리브암포아세트산나트륨(sodium olive amphoacetate), 카카오버터암포아세트산나트륨(sodium cocoa butter amphoacetate), 참깨암포아세트산나트륨(sodium sesame amphoacetate), 스윗아몬드암포아세트산나트륨(sodium sweet almond amphoacetate), 스테아로암포아세트산염(stearoamphoacetate), 팜암포아세트산나트륨(sodium palm amphoacetate), 피넛암포아세트산나트륨(sodium peanut amphoacetate), 해바라기종자암포아세트산나트륨(sodium sunflower seed amphoacetate) 및 면실암포아세트산나트륨(sodium cottonseed amphoacetate)을 들 수 있다.
N-아실아미노에틸-N-카르복시메톡시에틸아미노카르복실산염의 예로서는, 예컨대, 코코암포디아세트산나트륨, 코코암포디프로피온산나트륨, 및 라우로암포디아세트산나트륨을 들 수 있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구체예로서는, 예컨대, 에테르형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에스테르형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들 수 있다.
에테르형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구체예로서는, 예컨대, 폴리옥시에틸렌(이하, 'POE'라고 함)세틸에테르(세테스(Ceteth)), POE스테아릴에테르(스테아레스(Steareth)), POE베헤닐에테르, POE올레일에테르(올레스(Oleth)), POE라우릴에테르(라우레스(Laureth)), POE옥틸도데실에테르, POE헥실데실에테르, POE이소스테아릴에테르, POE노닐페닐에테르, 및 POE옥틸페닐에테르를 들 수 있다.
에스테르형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구체예로서는, 예컨대, 모노올레인산POE소르비탄, 모노스테아린산POE소르비탄, 모노팔미트산POE소르비탄, 모노라우르산POE소르비탄, 트리올레인산POE소르비탄, 모노스테아린산POE글리세린, 모노미리스트산POE글리세린, 테트라올레인산POE소르비톨, 헥사스테아린산POE소르비톨, 모노라우르산POE소르비톨, POE소르비톨밀랍, 모노올레인산폴리에틸렌글리콜, 모노스테아린산폴리에틸렌글리콜, 모노라우르산폴리에틸렌글리콜, 친유형 모노올레인산글리세린, 친유형 모노스테아린산글리세린, 자기유화형 모노스테아린산글리세린, 모노올레인산소르비탄, 세스퀴올레인산소르비탄(sorbitan sesquioleate), 트리올레인산소르비탄, 모노스테아린산소르비탄, 모노팔미트산소르비탄, 모노라우르산소르비탄, 자당지방산에스테르(sucrose fatty acid ester), 모노라우르산데카글리세릴, 모노스테아린산데카글리세릴, 모노올레인산데카글리세릴 및 모노미리스트산데카글리세릴을 들 수 있다.
사용되는 추가의 계면활성제는 1종류뿐이어도 되고, 혹은 2종류 이상의 추가의 계면활성제를 조합시켜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거품상태의 모발 탈색·탈염제의 거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제 1제와 제 2제의 혼합물 중의 계면활성제의 함유량(사용시의 함유량)은, 1.5~1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8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3~5질량%이다.
당의 예로서는, 예컨대, 소르비톨(sorbitol) 및 말토오스(maltose)를 들 수 있다.
방부제의 예로서는, 예컨대, 파라벤을 들 수 있다.
안정제의 예로서는, 예컨대, 페나세틴(phenacetin), 8-히드록시퀴놀린, 아세트아닐리드(acetanilide), 피로인산나트륨, 바르비트르산(barbituric acid), 요산 및 탄닌산을 들 수 있다.
pH조정제의 예로서는, 예컨대, 구연산, 주석산, 유산, 사과산, 호박산, 푸마르산, 말레산, 피로인산(pyrophosphoric acid), 글루콘산, 글루쿠론산(glucuronic acid), 안식향산, 2-아미노-2-메틸-1,3-프로판디올 및 염기성 아미노산을 들 수 있다.
산화 방지제의 예로서는, 예컨대, 아스코르빈산 및 아황산염을 들 수 있다.
산화 조제의 예로서는, 예컨대, 과황산 암모늄, 과황산 칼륨, 과황산 나트륨 등의 과황산염을 들 수 있다. 산화 조제는, 모발 탈색·탈염제의 탈색 및 탈염 효과를 보다 향상시키기 위하여 사용된다.
부형제의 예로서는, 예컨대, 황산 나트륨을 들 수 있다.
첨가제의 예로서는, 예컨대, 분산제를 들 수 있다. 분산제의 예로서는, 예컨대, 스테아린산칼슘, 스테아린산마그네슘 등의 스테아린산금속염, 탈크(talc), 결정 셀룰로오스 및 저치환도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를 들 수 있다.
제 1제의 제형은 분말상(狀)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말하는 분말상이란, 입자상(狀)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2제 타입의 모발 탈색·탈염제의 제 2제>
제 2제는, 산화제에 추가하여, 예컨대, 양성 계면활성제(이하, '성분(A)'라고도 함),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이하, '성분(B)'라고도 함), 양이온성 폴리머(이하, '성분(H)'라고도 함), 알칼리금속 무기염(이하, '성분(I)'라고도 함), 페녹시에탄올(이하, '성분(J)'라고도 함), 안식향산 및 안식향산염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하, '성분(K)'라고도 함)을 더 함유한다.
성분(A)의 양성 계면활성제는, 모발 탈색·탈염제의 혼합 및 발포의 간편성과 모발에 대한 거품상태의 모발 탈색·탈염제의 유지성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제 2제를 유화하여 적당한 점도로 조정하거나 점도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기능, 제 1제와 제 2제의 혼합물의 발포에 의해 얻어지는 거품의 양 및 미세도를 높이는 기능, 논(non) 에어로졸에 의한 발포를 신속하게 개시시키는 기능, 모발 탈색·탈염제로 처리한 후의 모발의 감촉을 성분(H)의 양이온성 폴리머와 협동하여 향상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이를 위해, 제 2제는, 바람직하게는 양성 계면활성제를 함유한다. 양성 계면활성제는, 제 1제 및 제 2제 중 어느 하나에만 배합되어도 무방하며, 혹은 제 1제 및 제 2제의 양자에 배합되어도 무방하다. 제 2제에 함유되는 양성 계면활성제의 예로서는, 제 1제에 함유되는 양성 계면활성제의 구체예로서 먼저 설명한 것과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제 2제의 pH가 안정화된다는 점에서, 베타인계 양성 계면활성제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사용되는 양성 계면활성제는 1종류뿐이어도 되고, 혹은 2종류 이상의 양성 계면활성제를 조합시켜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알칼리금속 무기염이 함유되어 있는 시판의 양성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알칼리금속 무기염이 함유되어 있는 시판의 양성 계면활성제의 예로서는, 예컨대, 오바졸린(OBAZOLINE)CBA-30(야자유지방산아미도프로필베타인, 도호카가쿠고교사 제품), 소프타졸린(SOFTAZOLINE)CPB(야자유지방산아미도프로필베타인, 가와켄화인케미칼사 제품), 리카비온(RIKABION)B-200(야자유지방산아미도프로필베타인, 신닛폰리카사 제품), 오바졸린LB(라우릴디메틸아미노초산베타인, 도호카가쿠고교사 제품), 및 소프타졸린LPB(라우르산아미도프로필베타인, 가와켄화인케미칼사 제품)을 들 수 있다. 알칼리금속 무기염이 함유되지 않은 시판의 양성 계면활성제의 예로서는, 예컨대, 타이폴소프트(TAIPOL SOFT)AM-100N(야자유지방산아미도프로필베타인, 다이코유시(泰光油脂)카가쿠고교사 제품), 아모겐(AMOGEN)CB-H(야자유지방산아미도프로필베타인, 다이이치고교세이야쿠사 제품), 오바졸린LB-SF(라우릴디메틸아미노초산베타인, 도호카가쿠고교사 제품), 소프타졸린CPB-R(야자유지방산아미도프로필베타인, 가와켄화인케미칼사 제품), 및 소프타졸린LPB-R(라우르산아미도프로필베타인, 가와켄화인케미칼사 제품)을 들 수 있다.
제 1제와 제 2제의 혼합물 중의 양성 계면활성제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0.1~10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5~5질량%이다. 양성 계면활성제의 함유량이 상기 중 어느 하나의 범위 내에 있을 경우에는, 모발 탈색·탈염제의 혼합 및 발포의 간편성과 모발에 대한 거품상태의 모발 탈색·탈염제의 유지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양호하게 얻을 수 있다. 또한, 모발 탈색·탈염제로 처리한 후의 모발에 푸석한 느낌이 생기는 것을 억제할 수도 있다.
모발 탈색·탈염제의 발포성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제 1제와 제 2제의 혼합물 중의 양성 계면활성제의 함유량은, 0.5~10.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4.0질량%이다.
모발 탈색·탈염제로 처리한 후의 모발의 감촉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제 2제 중의 양성 계면활성제의 함유량은, 0.5~12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10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5~3.5질량%이다.
성분(B)의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는, 모발 탈색·탈염제의 혼합 및 발포의 간편성과 모발에 대한 거품상태의 모발 탈색·탈염제의 유지성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이를 위해, 제 2제는, 바람직하게는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함유한다.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 있어서 제 2제에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배합하여도 무방하다.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예로서는, 제 1제에 함유되는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의 구체예로서 먼저 설명한 것과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사용되는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는 1종류뿐이어도 되고, 혹은 2종류 이상의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조합시켜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는, 모발 탈색·탈염제의 혼합 및 발포의 간편성과 모발에 대한 거품상태의 모발 탈색·탈염제의 유지성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탄소수 16 이상 22 이하의 알킬기를 갖는 암모늄형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이하, '성분(b-1)'이라고도 함)와 탄소수 10 이상 16 미만의 알킬기를 갖는 암모늄형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이하, '성분(b-2)'라고도 함)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거품상태의 모발 탈색·탈염제의 거품질이 개선된다는 이점도 있다.
성분(b-1)의 암모늄형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예로서는, 예컨대, 디메틸암모늄형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트리메틸암모늄형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를 들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염화세틸트리메틸암모늄(세트리모늄클로라이드, C16), 염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스테아트리모늄클로라이드, C18), 염화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C18), 염화베헤닐트리메틸알루미늄(베헨트리모늄클로라이드, C22), 염화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디스테아릴디모늄클로라이드, C18), 브롬화세틸트리메틸암모늄(C16), 브롬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C18), 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사카린(C18), 세틸트리메틸암모늄사카린(C16), 및 메틸황산베헤닐트리메틸암모늄(C22)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탄소수 16 이상의 알킬기를 갖는 트리메틸암모늄형 계면활성제가 바람직하며, 세틸트리메틸암모늄 또는 그 염이 보다 바람직하다.
성분(b-2)의 암모늄형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예로서는, 예컨대, 디메틸암모늄형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트리메틸암모늄형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를 들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성분(b-1)의 암모늄형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의 구체예로서 앞서 설명한 것의 알킬기의 탄소수를 10 이상 16 미만으로 변경한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탄소수 10 이상 16 미만의 알킬기를 갖는 트리메틸암모늄형 양이온성 계면활성제가 바람직하고, 탄소수 10 이상 15 이하의 알킬기를 갖는 트리메틸암모늄형 양이온성 계면활성제가 보다 바람직하며, 탄소수 10 이상 14 이하의 알킬기를 갖는 트리메틸암모늄형 양이온성 계면활성제가 더욱 바람직하다. 탄소수 10 이상 14 이하의 알킬기를 갖는 트리메틸암모늄형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의 구체예로서는, 도데실트리메틸암모늄(C10), 라우릴트리메틸암모늄(C12), 미리스틸트리메틸암모늄(C14), 또는 그 염을 들 수 있고, 라우릴트리메틸암모늄(C12) 또는 그 염이 바람직하다. 한편, 암모늄형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의 탄소수는, 알킬기 주쇄의 탄소수를 말하며, 예컨대 2쇄형의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의 경우에는 가장 탄소수가 많은 알킬쇄의 탄소수를 말한다.
제 1제와 제 2제의 혼합물 중의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0.1~10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5~5질량%이다.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의 함유량이 상기 중 어느 하나의 범위 내에 있을 경우에는, 모발 탈색·탈염제의 혼합 및 발포의 간편성과 모발에 대한 거품상태의 모발 탈색·탈염제의 유지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양호하게 얻을 수 있다. 또한, 모발 탈색·탈염제로 처리한 후의 모발에 푸석한 느낌이 생기는 것을 억제할 수도 있다.
거품상태의 모발 탈색·탈염제의 거품질 및 모발 탈색·탈염제로 처리한 후의 모발의 감촉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제 1제와 제 2제의 혼합물 중의 성분(b-1)의 암모늄형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의 함유량은, 0.1~1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2~2질량%이다. 또한, 제 1제와 제 2제의 혼합물 중의 성분(b-2)의 암모늄형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의 함유량은, 0.1~1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4~4질량%이다. 또한, 제 1제와 제 2제의 혼합물 중의 성분(b-1)의 암모늄형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의 함유량에 대한 같은 혼합물 중의 성분(b-2)의 암모늄형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의 함유량의 질량비는, 0.4~5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성분(H)의 양이온성 폴리머는, 모발 탈색·탈염제의 혼합 및 발포의 간편성과 모발에 대한 거품상태의 모발 탈색·탈염제의 유지성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모발 탈색·탈염제로 처리한 후의 모발의 감촉을 성분(A)의 양성 계면활성제와 협동하여 향상시키는 기능도 한다. 이를 위해 제 2제는, 바람직하게는 양이온성 폴리머를 함유한다. 양이온성 폴리머는, 제 1제 및 제 2제의 중 어느 하나에만 배합되어도 무방하며, 혹은 제 1제 및 제 2제의 양자에 배합되어도 무방하다.
양이온성 폴리머는, 예컨대, 폴리머쇄에 아미노기 내지는 암모늄기를 포함하는 것이어도 무방하며, 혹은 디알릴 4급 암모늄염을 구성 단위로서 포함하는 것이어도 무방하다. 양이온성 폴리머의 예로서는, 예컨대, 양이온화 셀룰로오스 유도체, 양이온성 전분, 양이온화 구아검유도체, 디알릴4급 암모늄 염/아크릴아미드 공중합물 및 4급화 폴리비닐피롤리돈유도체를 들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염화디메틸디알릴암모늄·아크릴아미드 공중합체, 염화디메틸디알릴암모늄·아크릴산 공중합체, 폴리 염화디메틸메틸렌피페리듐,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디메틸디알릴암모늄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모발 탈색·탈염제로 처리한 후의 모발의 감촉이 보다 향상된다는 점에서, 25℃에서 액상인 양이온성 폴리머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25℃에서 액상인 양이온성 폴리머의 예로서는, 예컨대, MERQUAT550(염화디메틸디알릴암모늄·아크릴아미드 공중합체), MERQUAT280, 295(염화디메틸디알릴암모늄·아크릴산 공중합체) 및 MERQUAT100(폴리염화디메틸메틸렌피페리듐)을 들 수 있다. 이들 시판의 양이온성 폴리머는 용매에 용해되어 있기 때문에, 다른 성분과의 혼합성에서 뛰어나다.
양이온성 폴리머로서, 염화디메틸디알릴암모늄폴리머, 염화디메틸디알릴암모늄-아크릴아미드 공중합체, 또는 염화디메틸디알릴암모늄-아크릴산 공중합체를 사용했을 경우에도, 모발 탈색·탈염제로 처리한 후의 모발의 감촉이 보다 향상된다. 특히, 성분(L)의 킬레이트화제와 마찬가지로, 성분(F)의 알칼리제로서 탄산염을 사용했을 경우에 탄산염에 기인하여 일어날 수 있는, 모발 탈색·탈염제로 처리한 후의 모발에 있어서의 거칠거칠한 느낌을 억제할 수가 있다.
제 1제와 제 2제의 혼합물 중의 양이온성 폴리머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0.05~5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1~2질량%이다. 양이온성 폴리머의 함유량이 상기 중 어느 하나의 범위 내에 있을 경우에는, 모발 탈색·탈염제의 혼합 및 발포의 간편성과 모발에 대한 거품상태의 모발 탈색·탈염제의 유지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양호하게 얻을 수 있다. 또한, 모발 탈색·탈염제로 처리한 후의 모발에 끈적임이 생겨 감촉이 저하되는 것을 억제할 수도 있다.
모발 탈색·탈염제로 처리한 후의 모발의 감촉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제 2제 중의 양이온성 폴리머의 함유량은, 0.01~5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1~4질량%이다.
성분(I)의 알칼리금속 무기염은, 모발 탈색·탈염제의 혼합 및 발포의 간편성과 모발에 대한 거품상태의 모발 탈색·탈염제의 유지성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산화제로서 과산화수소가 사용되며, 또한 제 2제 내에 양성 계면활성제가 배합되어 있을 경우에 특히, 제 2제의 pH를 안정화하여 과산화수소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기능도 갖는다. 이를 위해 제 2제는, 바람직하게는 알칼리금속 무기염을 함유한다. 알칼리금속 무기염은, 제 1제 및 제 2제의 중 어느 하나에만 배합되어도 되고, 혹은 제 1제 및 제 2제의 양자에 배합되어도 무방하다.
알칼리금속 무기염의 예로서는, 예컨대, 알칼리금속의 염화물염, 황산염, 질산염(硝酸鹽) 및 인산염을 들 수 있다. 알칼리금속은, 예컨대, 나트륨, 칼륨 또는 리튬이어도 무방하다. 따라서, 알칼리금속 무기염은, 예컨대, 염화나트륨, 염화칼륨, 황산나트륨 또는 황산칼륨이어도 무방하다. pH안정성의 관점에서, 알칼리금속 무기염은 중성염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 1제와 제 2제의 혼합물 중의 알칼리금속 무기염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0.05~5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1~2질량%이다. 알칼리금속 무기염의 함유량이 상기 중 어느 하나의 범위 내에 있을 경우에는, 모발 탈색·탈염제의 혼합 및 발포의 간편성과 모발에 대한 거품상태의 모발 탈색·탈염제의 유지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양호하게 얻을 수 있다.
제 2제의 pH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제 2제 중의 알칼리금속 무기염의 함유량은, 0.01~5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1.5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25~1.25질량%이다.
마찬가지로 제 2제의 pH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제 2제 중의 알칼리금속 무기염의 함유량에 대한 제 2제 중의 양성 계면활성제의 함유량의 질량비(A/I)는, 1.5~50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25, 더욱 바람직하게는 2~10, 가장 바람직하게는 2.5~7.5이다.
과산화수소의 안정성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제 2제의 pH는, 2~6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5이다.
성분(J)의 페녹시에탄올과, 성분(K)의 안식향산 및 안식향산염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은, 모발 탈색·탈염제의 혼합 및 발포의 간편성과 모발에 대한 거품상태의 모발 탈색·탈염제의 유지성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산화제로서 과산화수소가 사용될 경우에 그 과산화수소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기능도 갖는다. 이를 위해 제 2제는, 바람직하게는 페녹시에탄올과, 안식향산 및 안식향산염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함유한다. 안식향산염의 예로서는, 예컨대, 안식향산 나트륨 및 안식향산 칼륨을 들 수 있다.
제 1제와 제 2제의 혼합물 중의 페녹시에탄올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0.05~1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15~1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15~0.8질량%이다. 페녹시에탄올의 함유량이 상기 중 어느 하나의 범위 내에 있을 경우에는, 모발 탈색·탈염제의 혼합 및 발포의 간편성과 모발에 대한 거품상태의 모발 탈색·탈염제의 유지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양호하게 얻을 수 있다. 또한, 산화제로서 과산화수소를 사용했을 경우의 과산화수소의 안정성이 보다 향상된다. 나아가, 페녹시에탄올에서 유래하는 악취의 발생을 억제할 수가 있다.
제 1제와 제 2제의 혼합물 중의 안식향산 및 안식향산염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 즉 성분(K)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0.01~1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1~1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15~1질량%이다. 성분(K)의 함유량이 상기 중 어느 하나의 범위 내에 있을 경우에는, 모발 탈색·탈염제의 혼합 및 발포의 간편성과 모발에 대한 거품상태의 모발 탈색·탈염제의 유지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양호하게 얻을 수 있다. 또한, 산화제로서 과산화수소를 사용했을 경우의 과산화수소의 안정성이 보다 향상된다. 나아가, 모발 탈색·탈염제를 모발에 적용했을 때의 두피 자극의 원인이 되는 모발 탈색·탈염제의 알칼리도(度)의 상승이나, 안식향산 및 안식향산염의 용해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도 있다.
제 2제가 과산화수소를 함유하고 있을 경우, 과산화수소의 분해를 억제하여 과산화수소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제 2제 중의 안식향산 및 안식향산염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함유량에 대한 제 2제 중의 페녹시에탄올의 함유량의 질량비(J/K)는, 0.2~2.5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2~1.0이다.
산화제는, 모발에 포함되는 멜라닌을 탈색하는 기능을 한다. 산화제의 예로서는, 예컨대, 과산화수소, 과산화요소, 과산화멜라민, 과탄산나트륨, 과탄산칼륨, 과붕산나트륨, 과붕산칼륨, 과황산암모늄, 과산화나트륨, 과산화칼륨, 과산화마그네슘, 과산화바륨, 과산화칼슘, 과산화스트론튬(strontium), 황산염의 과산화수소부가물, 인산염의 과산화수소부가물 및 피로인산염의 과산화수소부가물을 들 수 있다.
제 2제 중의 산화제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0.1~15.0질량%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0~9.0질량%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3.0~6.0질량%이다. 산화제의 함유량이 상기 중 어느 하나의 범위 내에 있을 경우에는, 모발 탈색·탈염제를 모발에 도포했을 때에 모발에 큰 손상을 주는 일 없이, 모발 속의 멜라닌을 양호하게 탈색할 수가 있다.
제 2제가 산화제로서 과산화수소를 함유하고 있을 경우, 제 2제는, 과산화수소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히드록시에탄디포스폰산 및 그 염 등의 안정화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히드록시에탄디포스폰산염의 예로서는, 예컨대, 히드록시에탄디포스폰산 4나트륨 및 히드록시에탄디포스폰산 2나트륨을 들 수 있다.
제 2제는, 상술한 제 2제의 각 성분의 작용을 저해하지 않는 한, 종래의 모발 탈색·탈염제에 일반적으로 포함되는 성분을 더 함유하여도 무방하다. 예컨대, 상술한 제 1제에 포함될 수 있는 알칼리제 이외의 성분을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적당히 배합하여도 무방하다.
제 2제의 제형은 액상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말하는 액상이란, 겔상태, 크림상태 및 유화액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제 2제의 각 성분을 용해하기 위한 용매로서는, 예컨대, 물, 에탄올, n-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메틸셀로솔브, 에틸셀로솔브, 메틸카르비톨, 에틸카르비톨, 벤질알코올, 페네틸알코올(phenethyl alcohol), γ-페닐프로필알코올, 계피알코올(cinnamic alcohol), 아니스(anise)알코올, p-메틸벤질알코올, α-디메틸페네틸알코올, α-페닐에탄올, 페녹시에탄올, 페녹시이소프로판올, 2-벤질옥시에탄올, N-알킬피롤리돈, 탄산알킬렌 및 알킬에테르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된다. 이들 중에서, 제 2제의 각 성분을 용해하는 능력이 우수하다는 점에서 물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용매로서 물이 이용되는 경우, 제 1제와 제 2제의 혼합물 중의 물의 함유량(사용시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50질량% 이상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60질량% 이상이다.
제 2제는, 제 2제의 각 성분을 혼합함으로써 조제된다. 제 2제의 각 성분의 혼합의 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알칼리금속 무기염의 작용으로 제 2제의 pH안정성을 향상시킴으로써 과산화수소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과산화수소와 양성 계면활성제를 혼합하기 전에, 우선 과산화수소 이외의 제 2제의 성분을 혼합하여 양성 계면활성제 함유 수용액을 조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러한 양성 계면활성제 함유 수용액에 과산화수소를 함유하는 수용액을 혼합함으로써, 과산화수소와 양성 계면활성제의 혼합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양성 계면활성제 함유 수용액은, 예컨대, 양성 계면활성제와 물을 만일 있다면 과산화수소 및 알칼리금속 무기염 이외의 그 밖의 성분의 전부와 혼합한 후, 알칼리금속 무기염과 더욱 혼합함으로써 조제된다. 상기 그 밖의 성분 전부는, 양성 계면활성제와 물을 알칼리금속 무기염과 혼합하여 얻어지는 혼합물에 혼합하여도 무방하다. 혹은, 양성 계면활성제와 물을 상기 그 밖의 성분의 일부와 혼합한 후, 알칼리금속 무기염, 상기 그 밖의 성분의 나머지와 같은 순으로 더욱 혼합하여도 무방하다.
혹은, 양성 계면활성제 함유 수용액은, 알칼리금속 무기염을 만일 있다면 과산화수소 및 양성 계면활성제 이외의 그 밖의 성분의 전부와 혼합한 후, 양성 계면활성제와 더욱 혼합함으로써 조제할 수도 있다. 상기 그 밖의 성분의 전부는, 알칼리금속 무기염을 양성 계면활성제와 혼합하여 얻어지는 혼합물에 혼합하여도 무방하다. 혹은, 알칼리금속 무기염을 상기 그 밖의 성분의 일부와 혼합한 후, 양성 계면활성제, 상기 그 밖의 성분의 나머지와 같은 순으로 더욱 혼합하여도 무방하다.
양성 계면활성제 함유 수용액 중의 양성 계면활성제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10~50질량%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0~40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30~40질량%이다. 양성 계면활성제의 함유량이 10질량% 이상이면, 과산화수소의 안정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양호하게 얻을 수 있다. 양성 계면활성제의 함유량이 50질량% 이하이면, 양성 계면활성제의 석출을 억제할 수 있다.
양성 계면활성제 함유 수용액 중의 알칼리금속 무기염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0.1~20질량%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5~15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2.5~12.5질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3~10질량%이다. 알칼리금속 무기염의 함유량이 상기 중 어느 하나의 범위 내에 있을 경우에는, 과산화수소의 안정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양호하게 얻을 수 있다.
양성 계면활성제 함유 수용액 중의 알칼리금속 무기염의 함유량에 대한 양성 계면활성제 함유 수용액 중의 양성 계면활성제의 함유량의 질량비(A/I)는, 바람직하게는 1.5~50, 보다 바람직하게는 2~25, 더욱 바람직하게는 2~10, 가장 바람직하게는 2.5~7.5이다. 이 질량비가 상기 중 어느 하나의 범위 내에 있을 경우에는, 과산화수소의 안정성이 보다 향상된다.
양성 계면활성제 함유 수용액의 조제시, 양성 계면활성제와 알칼리금속 무기염은, 각각 소정의 범위 내의 농도로 서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양성 계면활성제에 물을 혼합한 후에 알칼리금속 무기염을 첨가하는 경우라면, 1질량부의 양성 계면활성제에 대하여 첨가되는 물의 양은, 바람직하게는 0.5~4질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1~3질량부이다. 이러한 물의 첨가량이 0.5질량부 미만이면, 양성 계면활성제의 용해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이러한 물의 첨가량이 4질량부를 초과하면, 양성 계면활성제 함유 수용액 중의 양성 계면활성제의 농도가 저하되며 그 결과, 제 2제의 pH안정성이 저하되어 과산화수소의 안정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또, 예컨대, 알칼리금속 무기염에 물을 혼합한 후에 양성 계면활성제를 첨가하는 경우라면, 1질량부의 알칼리금속 무기염에 대하여 첨가되는 물의 양은, 바람직하게는 5~30질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10~20질량부이다. 이러한 물의 첨가량이 5질량부 미만이면, 알칼리금속 무기염의 용해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이러한 물의 첨가량이 30질량부를 초과하면, 양성 계면활성제 함유 수용액 중의 알칼리금속 무기염의 농도가 저하되며 그 결과, 제 2제의 pH안정성이 저하되어 과산화수소의 안정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제 2제의 조제시에 양성 계면활성제 함유 수용액과 혼합되는 과산화수소를 함유하는 수용액 중의 과산화수소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25~40질량%, 30~35질량%이다. 이러한 과산화수소의 함유량이 25질량% 미만이면, 제 2제 중에 있어서의 과산화수소의 안정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과산화수소의 함유량이 40질량%을 초과하면, 그러한 과산화수소함유 수용액을 시판품으로서 입수하기 곤란한 동시에, 보존시에 과산화수소의 분해 속도가 상승할 우려가 있다.
모발 탈색·탈염제는, 제 1제와 제 2제를 혼합하여 진탕에 의해 발포시킴으로써 거품상태의 제형으로 한 후, 필요한 양만큼 얇은 장갑을 낀 손이나, 빗 또는 솔로 모발에 도포된다.
<3제 타입의 모발 탈색·탈염제>
3제 타입의 모발 탈색·탈염제는, 예컨대, 알칼리제를 함유하는 제 1제와, 2제 타입의 모발 탈색·탈염제의 제 2제와 같은 조성을 갖는 제 2제와, 2제 타입의 모발 탈색·탈염제의 제 1제로부터 알칼리제를 제외한 조성을 갖는 제 3제로 구성된다. 이러한 모발 탈색·탈염제는, 제 1제와 제 2제와 제 3제를 모두 혼합하여 진탕에 의해 발포시킴으로써 거품상태의 제형으로 한 후, 모발의 탈색 또는 탈염을 위해 모발에 적용된다. 이렇게 하여 구성되는 3제 타입의 모발 탈색·탈염제는 양호한 보존 안정성을 갖는다.
다음으로, 거품상태의 제형을 갖는 모발 탈색·탈염제를 조제하는데 사용되는 모발화장용품에 대하여 도 1(a)~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발화장용품은, 모발 탈색·탈염제(10)와, 모발 탈색·탈염제(10)를 진탕하기 위한 발포용구로서의 액밀(液密) 폐쇄가 가능한 용기(20)를 포함하고 있다. 모발 탈색·탈염제(10)의 제 1제(11) 및 제 2제(12)는, 사용시까지 개별 포장된 상태로 용기(20) 내에 수용되어 보관된다. 제 1제(11) 및 제 2제(12)의 포장형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보틀(bottle) 포장, 필로우(pillow) 포장 및 튜브 포장 중 어느 것이어도 무방하다.
용기(20)는, 바닥이 있는 통형상의 용기 본체(21)와, 용기 본체(21)의 개구부를 폐쇄하는 반구형상의 커버체(22)를 구비하고 있다. 용기 본체(21)는, 바닥부보다 개구부가 직경이 확대된 형상을 갖는다. 또한, 용기 본체(21)의 내면은 곡면형상을 하고 있다.
커버체(22)의 둘레 가장자리에는 플랜지형상의 끼움결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끼움결합부는 용기 본체(21)의 개구부에 끼움결합되어 있다. 도 1(a)에 나타내는 용기(20)에서는, 커버체(22)의 끼움결합부를 용기 본체(21)의 개구부에 끼움결합하여 커버체(22)를 회전시킴으로써 용기 본체(21)에 대하여 커버체(22)가 액밀하게 장착된다.
용기(20)는, 개별 포장된 상태의 제 1제(11) 및 제 2제(12)를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도 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기(20)는, 모발 탈색·탈염제(10)의 사용시까지 제 1제(11) 및 제 2제(12)를 정리하여 보관하는 외장용기로서 사용된다. 용기(20) 내에는, 제 1제(11) 및 제 2제(12)뿐만 아니라, 모발의 탈색·탈염 처리시에 이용되는 장갑, 설명서 등의 부속품을 수용하여도 무방하다. 용기(20)는 경량화의 관점에서 수지 또는 내수성이 부여된 종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용기 본체(21)의 외면에는, 예컨대 수축 필름(shrink film)을 이용한 인쇄를 부여할 수도 있다.
사용시에는 우선, 용기 본체(21)로부터 커버체(22)를 떼어내고, 개별포장된 제 1제(11) 및 제 2제(12)를 용기 본체(21) 내부로부터 꺼낸다. 이어서, 제 1제(11) 및 제 2제(12)의 포장을 개봉하고, 도 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제(11) 및 제 2제(12)를 용기 본체(21)에 투입한다. 이로써, 용기 본체(21) 내에서 제 1제(11)와 제 2제(12)가 접촉하여 혼합물(13)이 얻어진다. 계속해서, 도 1(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기 본체(21)에 커버체(22)를 장착하고 용기(20)를 상하로 흔든다. 이때, 용기(20) 내에서는, 제 1제(11)와 제 2제(12)의 혼합이 진행되는 동시에, 진탕에 의해 혼합물(13)에 공기가 혼입된다. 이렇게 하여 혼합물(13)에 공기를 흔들어 섞음으로써, 혼합물(13)은 발포한다. 그리고, 용기(20)를 소정 회수 흔든 후, 흔드는 것을 멈춤으로써 발포가 완료된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거품상태의 모발 탈색·탈염제(14)는, 도 1(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기 본체(21)로부터 커버체(22)를 떼어낸 후, 용기 본체(21) 내부로부터 예컨대 손으로 직접 꺼내어 모발에 도포된다. 모발 탈색·탈염제는 거품상태이기 때문에, 흘러내리는 일없이 모발에 용이하게 섞일 수 있다. 모발에 모발 탈색·탈염제를 도포한 후, 방치하고 있는 동안에 모발의 탈색 또는 탈염이 진행된다. 소정 시간 경과 후, 물 또는 온수로 모발을 씻어 모발 상의 모발 탈색·탈염제를 제거하고 모발의 탈색 또는 탈염 처리가 완료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기 본체(21)는 바닥부보다 개구부가 직경이 확대되어 있는 바닥이 있는 통형상을 구비함에 따라, 용기 본체(21) 내의 거품상태의 모발 탈색·탈염제(14)를 예컨대 손으로 용이하게 꺼낼 수가 있다. 또한, 용기 본체(21)의 내면이 곡면형상을 하고 있어, 용기 본체(21) 내의 거품상태의 모발 탈색·탈염제(14)를 많이 남기지 않으면서 손으로도 용이하게 꺼낼 수가 있다.
모발 탈색·탈염제의 제 1제(11)와 제 2제(12)의 혼합물(13)의 질량(g)에 대한 용기(20)의 내용량 (mL)의 비율(mL/g)은, 2~15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비율이 2 이상인 경우, 혼합물(13)이 들어간 용기(20) 내에 빈 공간이 확보되기 쉬워지기 때문에, 진탕에 의한 혼합물(13)로의 공기의 혼입이 촉진된다. 그 결과, 혼합물(13)을 충분히 발포시킬 때까지 필요한 진탕 횟수를 삭감할 수가 있다. 단, 상기 비율이 15를 초과하면, 발포완료 후의 용기(20) 내에 잉여 공간이 늘어남에 따라, 용기(20) 내의 거품상태의 모발 탈색·탈염제(14)를 꺼내기 어려워질 우려가 있다.
용기(20)는, 직경방향의 치수보다 높이 방향의 치수가 크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용기(20)의 파지(把持)가 용이하다. 도 2에 있어서 h1로 나타내어지는 용기(20) 내의 수용부의 높이는, 10~25cm가 바람직하다. 이 높이(h1)가 10cm 이상인 경우, 용기(20)의 내용량을 충분히 확보하기 쉽다. 단, 높이(h1)가 25cm을 초과하면, 용기(20)가 지나치게 커짐에 따라 취급이 어려워질 우려가 있다.
도 2에 있어서 h2로 나타내어지는 발포 전의 모발 탈색·탈염제의 혼합물(13)의 용기(20) 내에서의 높이(cm)에 대한 용기(20) 내의 수용부의 높이(h1)(cm)의 비율(h1/h2)은, 2~15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비율이 2 이상일 경우, 혼합물(13)이 들어간 용기(20) 내에 빈 공간이 확보되기 쉬워지기 때문에, 진탕에 의한 혼합물(13)로의 공기의 혼입이 촉진된다. 그 결과, 혼합물(13)을 충분히 발포시킬 때까지 필요한 진탕 횟수를 삭감할 수가 있다. 단, h1/h2의 비율이 15를 초과하면, 발포완료 후의 용기 본체(21) 내에 잉여 공간이 늘어남에 따라, 용기 본체(21) 내의 거품상태의 모발 탈색·탈염제(14)를 꺼내기 어려워질 우려가 있다.
본 실시형태는 이하의 이점을 갖는다.
본 실시형태의 2제 타입의 모발 탈색·탈염제는, 분말상의 제 1제와 액상의 제 2제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제 1제와 제 2제를 혼합하여 진탕에 의해 발포시킴으로써 얻어지는 거품상태의 모발 탈색·탈염제는 거품이 작다. 이 경우, 특허문헌 3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은 거품 균질화 수단의 사용이 불필요하므로, 모발 탈색·탈염제를 간편하게 혼합하여 발포시킬 수 있다. 또한, 작은 거품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거품상태의 모발 탈색·탈염제는 모발에 양호하게 유지되게 된다.
모발 탈색·탈염제는, 복잡한 구조의 포머 용기나, 에어로졸과 같이 분사제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도 1(a)~도 2에 나타내어지는 단순한 구조의 용기(20)를 사용하여 용이하게 고도로 발포시킬 수가 있다. 또한, 상기 용기(20)를 사용했을 경우, 한 번의 조작으로 비교적 많은 양의 거품상태의 모발 탈색·탈염제를 용이하게 얻을 수가 있다. 나아가, 상기 용기(20)를 사용한 발포 조작은 용이하며 숙련을 요하지 않기 때문에, 즐겁게 실시할 수가 있다.
모발 탈색·탈염제가 양성 계면활성제를 함유할 경우에는, 모발 탈색·탈염제의 혼합 및 발포의 간편성이 향상되고, 모발에 대한 거품상태의 모발 탈색·탈염제의 유지성이 향상된다. 양성 계면활성제는 또한, 제 2제를 유화하여 적당한 점도로 조정하거나 점도안정성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모발 탈색·탈염제가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함유할 경우에는, 모발 탈색·탈염제의 혼합 및 발포의 간편성이 향상되고, 또 모발에 대한 거품상태의 모발 탈색·탈염제의 유지성이 향상된다.
모발 탈색·탈염제가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에 추가하여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더 함유할 경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와 양이온성 계면활성제가 모발 탈색·탈염제의 사용시에 용매의 존재 하에서 접촉하도록 모발 탈색·탈염제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모발 탈색·탈염제의 혼합 및 발포의 간편성이 더욱 향상되고, 모발에 대한 거품상태의 모발 탈색·탈염제의 유지성도 더욱 향상된다. 또한, 모발 탈색·탈염제의 발포성이 향상되는 동시에, 발포에 의해 얻어지는 거품의 지속성도 양호해진다.
양이온성 계면활성제가 탄소수 16 이상 22 이하의 알킬기를 갖는 암모늄형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와 탄소수 10 이상 16 미만의 알킬기를 갖는 암모늄형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함유할 경우에는, 모발 탈색·탈염제의 혼합 및 발포의 간편성이 더욱 향상되고, 모발에 대한 거품상태의 모발 탈색·탈염제의 유지성도 더욱 향상된다. 또한, 거품상태의 모발 탈색·탈염제의 거품질이 개선된다.
모발 탈색·탈염제가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또는 양성 계면활성제를 함유할 경우에는, 모발 탈색·탈염제의 발포성을 높이기가 용이해진다.
모발 탈색·탈염제의 제 1제가 비이온성 폴리머를 함유할 경우에도, 모발 탈색·탈염제의 혼합 및 발포의 간편성이 향상되고, 또 모발에 대한 거품상태의 모발 탈색·탈염제의 유지성이 향상된다. 또한, 거품상태의 모발 탈색·탈염제의 거품질, 예컨대 거품의 균질성이나 탄력성도 향상된다.
모발 탈색·탈염제의 제 1제가 증점제를 함유할 경우에도, 모발 탈색·탈염제의 혼합 및 발포의 간편성이 향상되고, 또 모발에 대한 거품상태의 모발 탈색·탈염제의 유지성이 향상된다. 또한, 증점제에 의해 모발 탈색·탈염제에 적당한 점도가 부여됨에 따라, 모발 탈색·탈염제를 모발에 도포했을 때에 모발로부터 모발 탈색·탈염제가 잘 늘어져 떨어지지 않게 된다.
모발 탈색·탈염제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전분 이외의 증점제 및 전분을 함유하여도 무방하다. 이때, 전분을 분말상의 제형을 갖는 제 1제에 배합하고, 또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와 양이온성 계면활성제가 모발 탈색·탈염제의 사용시에 용매의 존재 하에서 접촉하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이 경우, 제 1제와 제 2제의 혼합시에 증점효과를 신속하게 발현시킬 수 있다.
전분을 분말상의 제 1제 내에 배합했을 경우, 제 1제와 제 2제의 혼합시의 증점효과의 발현속도가 빨라지는 동시에 모발 탈색·탈염제의 점도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모발 탈색·탈염제의 제 2제가 양이온성 폴리머를 함유할 경우에도, 모발 탈색·탈염제의 혼합 및 발포의 간편성이 향상되고, 또 모발에 대한 거품상태의 모발 탈색·탈염제의 유지성이 향상된다. 또한, 모발 탈색·탈염제로 처리한 후의 모발의 감촉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양이온성 폴리머와 과산화수소를 모발 탈색·탈염제의 제 1제와 제 2제 중 어느 하나에 함께 배합했을 경우에는, 양이온성 폴리머에 의한 모발의 감촉향상의 작용을 높일 수가 있다.
모발 탈색·탈염제의 제 2제가 알칼리금속 무기염을 함유할 경우에도, 모발 탈색·탈염제의 혼합 및 발포의 간편성이 향상되고, 또 모발에 대한 거품상태의 모발 탈색·탈염제의 유지성이 향상된다. 또한, 산화제로서 과산화수소가 사용되며, 또한 제 2제 내에 양성 계면활성제가 배합되어 있을 경우에, 알칼리금속 무기염은 과산화수소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모발 탈색·탈염제의 제 2제가 페녹시에탄올과, 안식향산 및 안식향산염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함유하는 경우에도, 모발 탈색·탈염제의 혼합 및 발포의 간편성이 향상되고, 또 모발에 대한 거품상태의 모발 탈색·탈염제의 유지성이 향상된다. 또한, 산화제로서 과산화수소가 사용될 경우에, 페녹시에탄올, 안식향산 및 안식향산염은, 과산화수소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산화제로서 과산화수소가 사용될 경우, 계면활성제와, 페녹시에탄올과, 안식향산 및 안식향산염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병용함으로써, 과산화수소의 안정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가 있다.
알칼리제는 탄산염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1제와 제 2제의 혼합물 내의 킬레이트화제의 함유량이 1~5질량%일 경우, 제 1제와 제 2제의 혼합물 중의 킬레이트화제의 함유량에 대한 같은 혼합물 내의 탄산염의 함유량의 질량비는 0.02~6.5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에도, 모발 탈색·탈염제의 혼합 및 발포의 간편성이 향상되고, 또 모발에 대한 거품상태의 모발 탈색·탈염제의 유지성이 향상된다. 또한, 모발 탈색·탈염제로 처리한 후의 모발의 감촉이, 탄산염의 사용에 기인하여 저하되는 것을 억제할 수가 있다.
(제 2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모발화장료 조성물을 2제 타입의 염모제로 구체화한 제 2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염모제는, 예컨대, 분말상의 제 1제와, 적어도 산화제를 함유하는 액상의 제 2제로 구성된다. 본 염모제는, 제 1제와 제 2제를 혼합하여 진탕에 의해 발포시킴으로써 거품상태의 제형으로 한 후, 모발의 염색을 위해 모발에 적용된다.
제 1제는, 성분(F)의 알칼리제에 추가하여, 예컨대, 성분(C)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성분(D)의 비이온성 폴리머, 성분(E)의 증점제, 성분(L)의 킬레이트화제, 및 산화 염료를 더 함유한다.
산화 염료는, 염모제의 제 2제에 함유되는 산화제에 의한 산화 중합에 기인하여 발색가능하며, 적어도 염료중간체를 포함하고 있다. 산화 염료는, 염료중간체에 추가하여 커플러를 포함하여도 무방하다.
염료중간체의 예로서는, 예컨대, p-페닐렌디아민, 톨루엔-2,5-디아민(파라톨루일렌디아민), N-페닐-p-페닐렌디아민, 4,4'-디아미노디페닐아민, p-아미노페놀, o-아미노페놀, p-메틸아미노페놀, N, N-비스(2-히드록시에틸)-p-페닐렌디아민, 2-히드록시에틸-p-페닐렌디아민, o-클로로-p-페닐렌디아민, 4-아미노-m-크레졸, 2-아미노-4-히드록시에틸아미노아니솔, 2,4-디아미노페놀, 및 이들의 염을 들 수 있다. 사용되는 염료중간체는 1종류뿐이어도 되고, 혹은 2종류 이상의 염료중간체를 조합시켜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커플러는, 염료중간체와 결합함으로써 발색된다. 커플러의 예로서는, 예컨대, 레조르신(resorcin), 5-아미노-o-크레졸, m-아미노페놀, α-나프톨, 5-(2-히드록시에틸아미노)-2-메틸페놀, m-페닐렌디아민, 2,4-디아미노페녹시에탄올, 톨루엔-3,4-디아민, 2,6-디아미노피리딘, 디페닐아민, N, N-디에틸-m-아미노페놀, 페닐메틸피라졸론(phenyl methyl pyrazolone), 및 이들의 염을 들 수 있다. 사용되는 커플러는 1종류뿐이어도 되고, 혹은 2종류 이상의 커플러를 조합시켜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염료중간체와 커플러의 양자를 포함한 산화 염료는, 모발의 색조를 바라는대로 변화시키기가 용이하기 때문에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염모제의 제 1제는, 예컨대 「의약부외품 원료규격」(2006년 6월 발행, 약사일보사)에 수록되어 있는 산화 염료, 및 직접 염료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더욱 적당히 함유하여도 무방하다.
염모제의 제 2제는, 예컨대, 제 1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모발 탈색·탈염제의 제 2제와 같은 조성을 갖는다.
염모제의 제 1제의 제형은 분말상이다. 제 2제의 제형은 액상이다. 염모제는, 제 1제와 제 2제를 혼합하여 진탕에 의해 발포시킴으로써 거품상태의 제형으로 한 후, 필요한 양만큼 얇은 장갑을 낀 손, 빗 또는 솔에 의해 모발에 도포된다. 거품상태의 제형을 갖는 염모제의 조제는,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모발 탈색·탈염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도 1(a)~도 2에 나타내어지는 용기(20)를 사용하여 수행하여도 무방하다.
제 2 실시형태는, 제 1 실시형태의 이점에 추가하여 이하의 이점을 갖는다.
(12) 제 2 실시형태의 염모제는, 분말상의 제 1제와 액상의 제 2제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 1제와 제 2제를 혼합하여 진탕에 의해 발포시킴으로써 얻어지는 거품상태의 염모제는 거품이 작다. 따라서, 제 1 실시형태의 모발 탈색·탈염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염모제를 간편하게 혼합하여 발포시킬 수 있다. 또한, 거품상태의 염모제는 모발에 양호하게 유지된다.
상기 제 1 및 제 2 실시형태는 이하와 같이 변경되어도 무방하다.
·제 1 및 제 2 실시형태의 모발화장료 조성물에서는, 제 1제를 분말상으로 하고 제 2제를 액상으로 하였으나, 제 1제를 액상으로 하고 제 2제를 분말상으로 하여도 무방하다. 이러한 경우에도, 모발화장료 조성물의 혼합 및 발포의 간편성과 모발에 대한 거품상태의 모발화장료 조성물의 유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제 1제의 제형이 액상일 경우, 알칼리제는, 25℃에서 액상인 암모니아나 알카놀아민을 이용하여도 무방하다.
·제 2 실시형태의 2제 타입의 염모제를, 적어도 분말상제와 액상제를 포함한 3제 타입, 혹은 4개 이상의 제로 이루어지는 다제(多劑)식으로 변경하여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제 1 및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 거품상태의 모발화장료 조성물을 얻기 위하여 수행되는 발포 조작을 다음과 같이 변경하여도 무방하다. 즉, 발포 전의 모발화장료 조성물에 진동을 가하여 공기를 혼입시킴으로써, 모발화장료 조성물을 거품상태로 하여도 무방하다. 혹은, 발포 전의 모발화장료 조성물에 회전을 가하여 공기를 혼입시킴으로써, 모발화장료 조성물을 거품상태로 하여도 무방하다. 즉, 모발화장료 조성물의 진탕에 의한 발포란, 모발화장료 조성물에 공기를 흔들어 섞는 것, 모발화장료 조성물에 진동을 가하는 것, 그리고 모발화장료 조성물에 회전을 가하는 것 중 어느 하나에 의해 모발화장료 조성물을 거품상태로 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발포 조작의 종류에 따라서, 모발화장료 조성물을 발포시키는데 사용되는 발포 용구를 변경할 수 있다. 예컨대, 주로 모발화장료 조성물에 진동을 가하여 발포시킬 경우에는, 발포 용구로서는 예컨대 가진기(加振機), 및 수동식 거품발생기가 적합하다. 또한, 주로 모발화장료 조성물에 회전을 가하여 발포시킬 경우에는, 발포 용구로서는 예컨대 교반 막대, 교반자 및 전동식 거품발생기가 적합하다. 이러한 발포 용구를 이용한 모발화장료 조성물의 발포는, 예컨대 상단에 개구를 갖는 용기에 모발화장료 조성물을 투입하고, 그 용기 내에서 수행된다. 이들 중 어느 경우에든, 모발화장료 조성물을 용이하고도 양호하게 발포시킬 수가 있다.
·도 1(a)~도 2에 나타내는 용기(20)의 용기 본체(21)는, 바닥이 있는 원통형상의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바닥이 있는 각진 통형상이어도 무방하다. 또한, 커버체(22)의 형상을, 예컨대 용기 본체(21)의 형상에 따라서 적당히 변경하여도 무방하다.
·사용 전의 개별 포장된 상태의 제 1제 및 제 2제는, 도 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기(20)에 수용하여 보존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즉, 제 1제와 제 2제 중 적어도 하나를 용기(20) 외부에서 보존하여도 무방하다.
·모발화장료 조성물에 공기를 흔들어 섞어 발포시킬 때, 도 1(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기(20)를 상하로 흔드는 것이 아니고, 예컨대 용기(20)를 파지하고 있는 손의 손목을 비틀듯이 하여 용기(20)를 흔들어도 무방하다.
[실시예]
다음으로,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시험 1
실시예 1-1~1-12 및 비교예 1-1~1-8의 모발 탈색제를 조제하였다. 실시예 1-1~1-12의 모발 탈색제는, 분말상(狀)의 제 1제 및 유액상의 제 2제로 이루어지는 2제 타입이며, 이들 실시예의 모발 탈색제의 제 1제 및 제 2제는 표 1에 나타내는 조성을 갖는다. 비교예 1-1~1-8의 모발 탈색제는, 액상의 제 1제 및 제 2제로 이루어지는 2제 타입이며, 이들 비교예의 모발 탈색제의 제 1제 및 제 2제는 표 2에 나타내는 조성을 갖는다. 표 1 및 표 2에 있어서 모발 탈색제의 각 성분의 함유량을 나타내고 있는 수치의 단위는 질량%이다. 실시예의 모발 탈색제의 제 1제와 제 2제는 1 : 5의 질량비로 혼합하였다. 비교예의 모발 탈색제의 제 1제와 제 2제는 1 : 1.5의 질량비로 혼합하였다.
실시예 1-1~1-11 및 비교예 1-3, 1-7에 있어서는, 도 1(a)~도 2에 나타낸 용기(20)와 같은 용기로 이루어지는 쉐이커(shaker)를 이용하여 제 1제와 제 2제의 혼합을 수행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 1제와 제 2제를 그 용기에 투입한 후, 용기를 20회 진탕함으로써 거품상태의 모발 탈색제를 얻었다. 실시예 1-12에 있어서는, 거품발생기(헤어컬러제용 머들러(muddler))를 이용하여 거품상태의 모발 탈색제를 얻었다. 비교예 1-1,1-5에서는, 스퀴즈 포머 용기(1)(프리티아(카오사 제품)의 부속용기)를 이용하여, 제 1제 및 제 2제를 거품을 내지 않고 혼합한 후 용기로부터 토출시킴으로써, 거품상태의 모발 탈색제를 얻었다. 비교예 1-2,1-6에 있어서는, 펌프토출용기(F5L타입의 포머 용기, 다이와세이칸사 제조)를 이용하여, 제 1제 및 제 2제를 거품를 내지 않고 혼합한 후 용기로부터 토출시킴으로써, 거품상태의 모발 탈색제를 얻었다. 비교예 1-4,1-8에 있어서는, 스퀴즈 포머 용기(2)(프리티아(카오사 제품)의 부속용기로부터 흡인용 딥튜브를 분리한 것)를 이용하여, 제 1제 및 제 2제를 진탕에 의해 혼합한 후 토출함으로써, 거품상태의 모발 탈색제를 얻었다. 각 예의 모발 탈색제에 대하여, 혼합 및 발포의 간편성과 모발에 대한 유지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표 1 및 표 2에 나타낸다.
표 1의 "탄산염의 질량비(f-1)/L"란에는, 사용시의 모발 탈색제 내의 킬레이트화제의 함유량에 대한 같은 모발 탈색제 내의 탄산염의 함유량의 질량비를 나타낸다.
<혼합 및 발포의 간편성>
각 예의 모발 탈색제의 제 1제와 제 2제를 혼합하여 발포시키는 것이 간편한지의 여부를 이하의 5단계로 평가하였다.
5 : 매우 간편함.
4 : 꽤 간편함.
3 : 다소 간편함.
2 : 그다지 간편하지 않음.
1 : 전혀 간편하지 않음.
<모발에 대한 유지성>
30cm 길이의 모발 다발을 늘어뜨리고, 그 모발 다발의 상부에 각 예의 거품상태의 모발 탈색제를 부착하였다. 그 후, 부착시킨 거품의 움직임을 30분간 방치하고 관찰하여 이하의 5단계로 평가하였다.
5 : 거품이 전혀 움직이지 않음.
4 : 거품이 거의 움직이지 않음.
3 : 거품이 그다지 움직이지 않음.
2 : 거품이 꽤 움직임.
1 : 거품이 매우 움직임.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제가 분말상이고 제 2제가 액상이며 쉐이커(shaker)를 이용하여 진탕함으로써 거품상태의 모발 탈색제를 조제한 실시예에서는, 혼합 및 발포의 간편성에 관한 평가와 모발에 대한 유지성에 관한 평가 모두 양호하였다.
표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퀴즈 포머 용기(1)를 이용하여, 제 1제 및 제 2제를 거품을 내지 않고 혼합한 후 용기로부터 토출시킴으로써, 거품상태의 모발 탈색제를 조제한 비교예 1-1, 1-5에 있어서는, 실시예와 비교하여 혼합 및 발포의 간편성에 관한 평가와 모발에 대한 유지성에 관한 평가 모두 낮은 결과가 얻어졌다.
펌프 토출용기를 이용하여, 제 1제 및 제 2제를 거품을 내지 않고 혼합한 후 용기로부터 토출시킴으로써, 거품상태의 모발 탈색제를 조제한 비교예 1-2, 1-6에 있어서는, 실시예와 비교하여 혼합 및 발포의 간편성에 관한 평가와 모발에 대한 유지성에 관한 평가 모두 낮은 결과가 얻어졌다.
제 1제와 제 2제가 모두 액상이며 쉐이커를 이용하여 진탕함으로써 거품상태의 모발 탈색제를 조제한 비교예 1-3, 1-7에서는, 실시예와 비교하여 모발에 대한 유지성에 관한 평가 결과가 낮았다.
스퀴즈 포머 용기(2)를 이용하여, 제 1제 및 제 2제를 진탕에 의해 혼합한 후 용기로부터 토출시킴으로써, 거품상태의 모발 탈색제를 조제한 비교예 1-4, 1-8에 있어서는, 실시예와 비교하여 모발에 대한 유지성에 관한 평가의 결과가 낮았다.
시험 2
(실시예 2-1~2-9)
실시예 2-1~2-9의 산화 염모제를 조제하였다. 이들 산화 염모제는, 분말상의 제 1제 및 액상의 제 2제로 이루어지는 2제 타입이며, 제 1제와 제 2제의 조성은 표 3에 나타내는 바와 같다. 표 3에 있어서 산화 염모제의 각 성분의 함유량을 나타내고 있는 수치의 단위는 질량%이다. 한편, 제 1제의 제형은 반드시 분말상이 아니어도 무방하며, 제 2제의 제형은 반드시 액상이 아니어도 무방하다.
다음으로, 도 1(a)~도 2에서 나타낸 용기(20)와 같은 폐쇄가능용기(A1) 또는 산화 염모제 조제용의 거품발생기(B)를 이용하여, 각 예의 산화 염모제를 발포시켰다. 한편, 사용한 폐쇄가능용기의 용량은 770mL이고, 높이는 17cm, 내경은 7~8cm이다. 상기 용기 내에 제 1제와 제 2제의 혼합물 150g을 투입하고, 용기를 상하로 20회 흔들었다. 이렇게 하여 제 1제와 제 2제의 혼합물에 공기를 흔들어 섞음으로써, 거품상태의 제형의 산화 염모제를 얻었다. 혹은, 용량 600mL의 컵에 제 1제와 제 2제의 혼합물 150g을 투입한 후, 거품발생기를 소정 횟수만큼 회전시켜 혼합물을 교반함으로써, 거품상태의 제형의 산화 염모제를 얻었다.
(참고예 2-1)
실시예 2-1의 산화 염모제와 같은 조성의 2제 타입의 산화 염모제를, 스퀴즈식의 포머 용기(C)를 이용하여 통상법에 따라 발포시켰다.
(참고예 2-2)
실시예 2-1의 산화 염모제와 같은 조성의 2제 타입의 산화 염모제를, 펌프식의 포머 용기(D)를 이용하여 통상법에 따라 발포시켰다.
(참고예 2-3 및 2-4)
실시예 2-1의 산화 염모제의 조성으로부터 양성 계면활성제를 생략한 조성의 2제 타입의 산화 염모제를, 실시예 2-1과 같이 하여 발포시켰다.
<발포량>
각 예의 산화 염모제에 대하여, 전문 패널리스트가 발포 후의 상태를 눈으로 보고 관찰하였다. 그 결과, 발포량이 매우 뛰어난 것을 평가 5로 하고, 발포량이 뛰어난 것을 평가 4로, 거품 발생이 양호한 것을 평가 3으로 하고, 발포량이 다소 불량한 것을 평가 2로, 발포량이 불량한 것을 평가 1로 하는 판정 기준에 따라 판정하였다. 판정 결과의 수치를 표 3의 "발포량의 평가"란에 나타낸다.
<거품의 미세도>
각 예의 산화 염모제에 대하여, 전문 패널리스트가 발포 후의 상태를 눈으로 보고 관찰하였다. 그 결과, 거품의 미세도가 매우 양호한 것을 평가 5로 하고, 거품의 미세도가 양호한 것을 평가 4로, 거품의 미세도가 양호한 것을 평가 3으로 하고, 거품이 다소 조대(粗大)한 것을 평가 2로, 거품이 매우 조대한 것을 평가 1로 하는 판정 기준에 따라 판정하였다. 판정 결과의 수치를 표 3의 "거품의 미세도의 평가"란에 나타낸다.
<발포 후의 취급성>
각 예의 산화 염모제에 대하여, 전문 패널리스트가 발포 후에 폴리에틸렌제의 장갑을 낀 손에 집어들고 모발에 가져 갈 때의 손에서 유지되는 상태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손에 대한 유지성이 매우 양호한 것을 평가 5로 하고, 유지성이 우수한 것을 평가 4로, 유지성이 양호한 것을 평가 3으로 하고, 유지성이 다소 떨어지는 것을 평가 2로 하고, 유지성이 떨어지는 것을 평가 1로 하는 판정 기준에 따라 판정하였다. 판정 결과의 수치를 표 3의 "발포 후의 취급성의 평가"란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3
표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2-1~2-9에서는, 발포량, 거품의 미세도 및 발포조작 후의 취급성의 결과 모두 평가 3 이상이었다. 특히, 실시예 2-1~2-3, 2-5~2-7 및 2-9에서는, 발포량, 거품의 미세도 및 발포조작 후의 취급성의 결과가 모두 평가 4 이상이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산화 염모제 내(혼합물 내)에 있어서의 양성 계면활성제의 함유량은, 1.5~4.0질량%의 범위가 바람직함을 알 수 있다.
이에 대하여, 참고예 2-1 및 2-2에서는, 발포용구로서, 각각 스퀴즈식의 포머 용기 및 펌프식의 포머 용기를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발포량의 결과는 평가 1이었다. 참고예 2-3에서는, 실시예 2-1의 경우와 같은 폐쇄가능용기를 이용하고 있지만, 양성(兩性) 계면활성제 대신에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산화 염모제가 함유하기 때문에, 발포량의 결과는 평가 1이었다. 참고예 2-4에서는, 양성 계면활성제 대신에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산화 염모제가 함유하기 때문에, 거품의 미세도의 결과는 평가 1이었다. 한편, 참고예 2-1~2-3에 있어서, 표 3의 "발포 후의 취급성의 평가"란에 나타낸 "x"는, 거품이 일지 않아 평가가 불가능했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실시예 2-1a)
상하 진탕 횟수를 10회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1과 같이 하여, 거품상태의 제형의 산화 염모제를 얻었다.
(실시예 2-1b 및 2-1c)
용량이 다른 폐쇄가능용기(A2,A3)를 이용하고, 상하 진탕 횟수를 10회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1과 같이 하여, 거품상태의 제형의 산화 염모제를 얻었다.
(실시예 2-1d~2-1f)
폐쇄가능용기(A1)에 투입하는 산화 염모제의 양을 변경하는 동시에, 폐쇄가능용기(A1)를 상하로 흔드는 회수에 대하여 10회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1과 같이 하여, 거품상태의 제형의 산화 염모제를 얻었다.
(평가)
실시예 2-1a~2-1f에 대하여, 상기의 <발포량> 및 <거품의 미세도>를 평가하였다. 판정 결과의 수치는 표 4의 "발포량의 평가"란 및 "거품의 미세도의 평가"란에 나타내어져 있다.
Figure pct00004
표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2-1a, 2-1c 및 2-1e에서는, 발포량의 평가 및 거품 미세도의 평가의 결과는 평가 4 또는 5로서, 실시예 2-1b, 2-1d보다 뛰어나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산화 염모제(혼합물)의 질량(단위g)에 대한 폐쇄가능용기의 내용량(단위mL)의 비율(mL/g)은 2~15의 범위가 바람직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시험 3
(실시예 3-1~3-8 및 참고예 3-1~3-4)
실시예 3-1~3-8 및 참고예 3-1~3-4의 산화 염모제를 조제하였다. 이들 산화 염모제는, 분말상의 제 1제 및 액상의 제 2제로 이루어지는 2제 타입이며, 제 1제와 제 2제의 조성은 표 5 및 표 6에 나타내는 바와 같다. 표 5 및 표 6 그리고 그 후의 표 7 및 표 8에 있어서 산화 염모제의 각 성분의 함유량을 나타내고 있는 수치의 단위는 질량%이다. 한편, 제 1제의 제형은 반드시 분말상이 아니어도 무방하고, 제 2제의 제형은 반드시 액상이 아니어도 무방하다. 표 5~표 8 중의 혼합비는, 질량비를 나타낸다.
다음으로, 도 1 (a)~도 2에 나타낸 용기(20)와 같은 폐쇄가능용기를 이용하여, 각 예의 산화 염모제를 발포시켰다. 한편, 사용한 폐쇄가능용기의 용량은 770mL이고 높이는 17cm, 내경은 7~8cm이다. 이 용기 내에 제 1제와 제 2제의 혼합물 150g을 투입하고, 용기를 상하로 20회 흔들었다. 이렇게 하여 제 1제와 제 2제의 혼합물에 공기를 흔들어 섞음으로써, 거품상태의 제형의 산화 염모제를 얻었다.
(실시예 3-9~3-24)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중 적어도 한 쪽의 함유량에 관하여 실시예 3-1의 산화 염모제와 다른 조성의 2제 타입의 산화 염모제로부터, 실시예 3-1과 같이 하여, 거품상태의 제형의 산화 염모제를 얻었다.
<발포성>
각 예의 산화 염모제에 대하여, 전문 패널리스트가 발포 후의 상태를 눈으로 보고 관찰하였다. 그 결과에 대하여, 이하의 판정 기준에 의해 판정하였다.
평가 5 : 거품 발생량이 매우 뛰어남.
평가 4 : 거품 발생량이 뛰어남.
평가 3 : 거품 발생량이 양호함.
평가 2 : 거품 발생량이 다소 떨어짐.
평가 1 : 거품 발생량이 떨어짐.
판정 결과의 수치가 표 5~표 8의 "발포성의 평가"란에 나타내어져 있다.
<제형 유지력의 평가>
각 예의 산화 염모제에 대하여, 전문 패널리스트가 발포 후의 상태의 경시 변화를 눈으로 보고 관찰하였다. 그 결과, 발포 직후로부터 10분 경과 후에 있어서 소포(消泡)(파포(破泡))가 거의 확인되지 않는 것을 평가 5로 하고, 상기 10분 경과 후에 있어서 1할 정도의 소포(파포)가 확인되는 것을 평가 4로, 상기 10분 경과 후에 있어서 2할 정도의 소포(파포)가 확인되는 것을 평가 3으로 하고, 상기 10분 경과 후에 있어서 3할 정도의 소포(파포)가 확인되는 것을 평가 2로, 상기 10분 경과 후에 있어서 4할 정도의 소포(파포)가 확인되는 것을 평가 1로 하였다. 판정 결과의 수치를 표 5~표 8의 "제형의 유지력의 평가"란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5
Figure pct00006
Figure pct00007
Figure pct00008
표 5에 나타낸 각 실시예에서는, 발포성에 관한 평가 및 제형의 유지력, 즉 거품의 지속성에 관한 평가 모두, 평가 4 이상의 결과가 얻어졌다. 표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참고예 3-1~3-4에서는, 제형의 유지력에 대하여 평가 1의 결과가 얻어졌다.
참고예 3-1~3-3에서는, 제 1제에 음이온성 계면활성제가 함유되어 있으나, 제 2제에 양이온성 계면활성제가 함유되어 있지 않다. 참고예 3-1에서는, 실시예 3-1의 제 2제에 함유되는 양이온성 계면활성제가,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로 변경되어 있다. 참고예 3-2는, 실시예 3-1의 제 2제에 함유되는 양이온성 계면활성제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인 POE(5.5) 세틸에테르로 변경되어 있다. 참고예 3-3에서는, 실시예 3-1의 제 2제에 함유되는 양이온성 계면활성제가, 양이온성 폴리머인 염화디메틸디알릴암모늄·아크릴산 공중합체로 변경되어 있다. 참고예 3-4에서는, 실시예 3-1의 제 1제에 함유되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인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로 변경되어 있다.
이러한 각 예의 결과로부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사용시까지 별개로 사용할 때 접촉되도록 구성하는 것의 우위성이 나타나 있다.
표 7 및 표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에 대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질량비를, 0.25~3의 범위로 함으로써, 각 참고예보다 뛰어난 결과를 얻기가 용이해진다.
시험 4
표 9 및 10에 나타내는 각 성분을 함유하는 분말상의 제 1제 및 액상의 제 2제로 이루어지는 실시예 4-1~4-12 및 참고예 4-1, 4-2의 염모제를 조제하였다. 표 9 및 10에 있어서 염모제의 각 성분의 함유량을 나타내고 있는 수치의 단위는 질량%이다.
우선, 각 예의 염모제인 제 1제와 제 2제를, 도 1(a)~도 2에 나타낸 용기(20)와 같은 폐쇄가능용기 내에 투입하고, 이 용기를 밀폐하여 20~30회 정도 흔들어, 용기 내의 제 1제와 제 2제의 혼합물을 진탕함으로써, 거품상태의 염모제를 얻었다. 얻어진 거품상태의 염모제를, 장갑을 착용한 손에 들고, 흑발인 인모다발에 도포한 후, 실온(25℃)에서 30분간 방치하였다. 그리고, 모발 다발에 부착된 염모제를 물로 씻어 내고, 모발 다발에 샴푸를 2회, 린스를 1회 실시하였다. 계속해서, 모발 다발을 온풍으로 건조시킨 후 1일간 방치함으로써, 염색 처리된 모발 다발을 얻었다.
실시예 4-1~4-12 및 참고예 4-1,4-2의 염모제를 발포시켜 얻어진 거품상태의 염모제에 대하여, 거품의 균질성, 거품의 탄력성 및 혼합성에 대하여 하기에 나타내는 방법에 따라 평가하였다. 또한, 염모제의 헹굼시에 있어서의 모발 다발의 감촉, 및 얻어진 모발 다발의 균염성에 대하여 하기에 나타내는 방법에 따라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9 및 10에 나타낸다.
<거품의 균질성>
얻어진 거품상태의 염모제를 폐쇄가능용기 내에서 10분간 방치하고, 폐쇄가능용기의 상부 및 하부에 위치하는 거품의 거품질에 대하여, 전문 패널리스트가 손으로 만져 관찰함으로써 평가하였다. 표 9 및 10의 「거품의 균질성」란에 있어서, "5"는 「거품의 질에 차이가 전혀 없음」을 나타내고, "4"는 「거품의 질에 차이가 거의 없음」을 나타내며, "3"은 「거품의 질에 차이가 별로 없음」을 나타내고, "2"는 「거품의 질에 차이가 있음」을 나타내며, "1"은 「거품의 질에 차이가 있으며, 그 차이가 큼」을 나타낸다.
<거품의 탄력성>
얻어진 거품상태의 염모제의 탄력성에 대하여, 전문 패널리스트가 손으로 만져 관찰함으로써 평가하였다. 표 9 및 10의 「거품의 탄력성」란에 있어서, "5"는 「손으로 집었을 때의 거품붕괴가 전혀 없음(거품을 눌렀을 때의 되미는 성질이 있음)」을 나타내고, "4"는 「손으로 집었을 때의 거품붕괴가 거의 없음」을 나타내며, "3"은 「손으로 집었을 때의 거품붕괴가 별로 없음」을 나타내고, "2"는 「손으로 집었을 때의 거품붕괴가 있음」을 나타내며, "1"은 「손으로 집었을 때의 거품붕괴가 상당히 있음(거품을 눌렀을 때의 되미는 성질이 전혀 없음)」을 나타낸다.
<혼합성>
얻어진 거품상태의 염모제에 대하여, 전문 패널리스트가 눈으로 보고 분말상의 덩어리의 유무를 관찰함으로써, 분말상의 제 1제와 액상의 제 2제의 혼합성을 평가하였다. 표 9 및 10의 「거품의 혼합성」란에 있어서, "5"는 「분말상의 덩어리가 전혀 없음(충분히 혼합되어 있음)」을 나타내고, "4"는「분말상의 덩어리가 거의 없음」을 나타내며, "3"은「분말상의 덩어리가 별로 없음」을 나타내고, "2"는 「분말상의 덩어리가 눈에 띔」을 나타내며, "1"은 「분말상의 덩어리가 상당히 눈에 띔(혼합되어 있지 않음)」을 나타낸다.
<감촉(끈적임)>
염모제의 헹굼시에 있어서의 모발 다발(모발)의 감촉에 대하여, 전문 패널리스트가 손으로 만져 관찰함으로써 평가하였다. 표 9 및 10의 「감촉 (끈적임)」 란에 있어서, "5"는 「끈적임이 전혀 없음」을 나타내고, "4"는 「끈적임이 거의 없음」을 나타내며, "3"은 「끈적임이 별로 없음」을 나타내고, "2"는 「끈적임이 느껴짐」을 나타내며, "1"은 「끈적임이 강하게 느껴짐」을 나타낸다.
<균염성>
염모처리가 실시된 모발 다발의 균염성에 대하여, 전문 패널리스트가 표준 광원 하에서 눈으로 보고 관찰함으로써 평가하였다. 표 9 및 10의 「균염성」란에 있어서, "5"는 「염색 편차가 전혀 없음」을 나타내고, "4"는 「염색편차가 거의 없음」을 나타내며, "3"은 「염색편차가 별로 없음」을 나타내고, "2"는 「염색편차가 눈에 띔」을 나타내며, "1"은 「염색편차가 매우 눈에 띔」을 나타낸다.
Figure pct00009
Figure pct00010
표 9 및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이온성 폴리머를 함유하는 각 실시예에서는, 각 평가 항목에 있어서 양호한 평가가 얻어졌다. 특히, 비이온성 폴리머로서, α-글루코오스 화합물을 구성 단위로 하는 올리고당 및 다당인, 전분 또는 시클로덱스트린을 함유하는 실시예 4-1 및 4-2는, 다른 비이온성 폴리머를 함유하는 실시예 4-3과 비교하여, 「거품의 균질성」, 「거품의 탄력성」, 「혼합성」 및 「균염성」에서의 평가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2종류의 비이온성 폴리머를 함유하는 실시예 4-4 및 4-5는, 동량(同量)의 1종류의 비이온성 폴리머를 함유하는 실시예 4-1 및 4-2와 비교하여, 「거품의 균질성」 및 「균염성」에서의 평가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한편, 비이온성 폴리머를 대신하여 음이온성 폴리머를 함유하는 참고예 4-1은, 각 실시예와 비교하여, 「거품의 균질성」, 「혼합성」 및 「균염성」에서의 평가가 낮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비이온성 폴리머 대신에 양이온성 폴리머를 함유하는 참고예 4-2는, 각 실시예와 비교하여 「거품의 균질성」, 「거품의 탄력성」, 「혼합성」 및 「균염성」에서의 평가가 낮음을 알 수 있었다.
시험 5
(실시예 5-1~5-5 및 참고예 5-1~5-3)
실시예 5-1~5-5 및 참고예 5-1~5-3의 산화 염모제를 조제하였다. 이들 산화 염모제는, 분말상의 제 1제 및 액상의 제 2제로 이루어지는 2제 타입이며, 제 1제와 제 2제의 조성은 표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다. 표 11과 그 후의 표 12 및 표 13에 있어서 산화 염모제의 각 성분의 함유량을 나타내고 있는 수치의 단위는 질량%이다.
다음으로, 도 1(a)~도 2에 나타낸 용기(20)와 같은 폐쇄가능용기를 이용하여, 각 예의 산화 염모제를 발포시켰다. 한편, 사용한 폐쇄가능용기의 용량은 770mL이고 높이는 17cm, 내경은 7~8cm이다. 이 용기 내에 제 1제와 제 2제의 혼합물 150g을 투입하고, 용기를 상하로 20회 흔들었다. 이렇게 하여 제 1제와 제 2제의 혼합물에 공기를 흔들어 섞음으로써, 거품상태의 제형의 산화 염모제를 얻었다.
(실시예 5-6~5-17)
성분(b-1)의 탄소수 16 이상 22 이하의 알킬기를 갖는 암모늄형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성분(b-2)의 탄소수 10 이상 16 미만의 알킬기를 갖는 암모늄형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중 적어도 한 쪽의 함유량에 관하여 실시예 5-1의 산화 염모제와 다른 조성의 산화 염모제로부터, 실시예 5-1과 같이 하여, 거품상태의 제형의 산화 염모제를 얻었다.
<조작성의 평가>
각 예의 산화 염모제에 대하여, 전문 패널리스트가 손 위에 올려놓은 후, 그 산화 염모제를 부분적으로 들어 올리는 조작을 하여, 실처럼 늘어지는 상태 및 거품이 끊어지는 상태를 눈으로 보고 관찰하였다. 그 결과에 대하여, 이하의 판정 기준에 의해 판정하였다.
평가 5 : 실처럼 늘어지는 상태는 발생하지 않았으며, 거품의 끊어짐이 매우 뛰어남.
평가 4 : 실처럼 늘어지는 상태가 거의 발생하지 않았고, 거품의 끊어짐이 뛰어남.
평가 3 : 실처럼 늘어지는 상태가 약간 발생하였지만, 거품의 끊어짐이 양호함.
평가 2 : 실처럼 늘어지는 상태가 발생하고, 거품의 끊어짐이 다소 떨어짐.
평가 1 : 실처럼 늘어지는 상태가 심해져 거품의 끊어짐이 떨어짐.
판정 결과의 수치를 표 11~표 13의 "취급성의 평가"란에 나타낸다.
<도포성의 평가>
각 예의 산화 염모제에 대하여, 전문 패널리스트가 모발에 도포하고, 그 때의 상황에 대하여 이하의 판정 기준에 의해 판정하였다.
평가 5 : 모발상에 있어서의 펴발림성 및 모발에 대한 부착성이 매우 뛰어남.
평가 4 : 모발상에 있어서의 펴발림성 및 모발에 대한 부착성이 뛰어남.
평가 3 : 모발상에 있어서의 펴발림성 및 모발에 대한 부착성이 양호함.
평가 2 : 모발상에 있어서의 펴발림성이 다소 떨어지거나, 또는 모발에 대한 부착성이 다소 떨어짐.
평가 1 : 모발상에 있어서의 펴발림성이 떨어지거나, 또는 모발에 대한 부착성이 떨어짐.
판정 결과의 수치를 표 11~표 13의 "도포성의 평가"란에 나타낸다.
<모발의 감촉의 평가>
각 예의 산화 염모제를 모발 다발에 도포하여 소정 시간 방치하고, 그 모발 다발을 온수로 씻어냄으로써 염모단계를 실시하였다. 온수로 씻어냈을 때(헹굼시)의 모발 다발의 감촉 및 그 모발 다발을 드라이어로 건조한 후(마무리 후)의 모발 다발의 감촉에 대하여, 전문 패널리스트가 이하의 판정 기준으로 관능 평가하였다.
평가 5 : 헹굼시 및 마무리 후에 끈적임이 느껴지지 않음.
평가 4 : 헹굼시 및 마무리 후에 끈적임이 거의 느껴지지 않음.
평가 3 : 헹굼시 또는 마무리 후에 끈적임이 약간 느껴짐.
평가 2 : 헹굼시 또는 마무리 후에 끈적임이 느껴짐.
평가 1: 헹굼시 및 마무리 후에 끈적임이 느껴짐.
판정 결과의 수치를 표 11~표 13의 "모발의 감촉의 평가"란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11
Figure pct00012
Figure pct00013
표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5-1~5-5에서는, 조작성, 도포성 및 모발의 감촉에 대하여 평가 4 이상의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참고예 5-1~5-3에서는, 조작성 및 도포성 중 어느 하나에 대하여, 평가 1의 결과가 얻어졌다.
참고예 5-1에서는, (b-1)탄소수 16 이상 22 이하의 알킬기를 갖는 암모늄형 양이온성 계면활성제가 함유되어 있지 않다. 참고예 5-2에서는, (b-2)탄소수 10 이상 16 미만의 알킬기를 갖는 암모늄형 양이온성 계면활성제가 함유되어 있지 않다. 참고예 5-3에서는, (b-1)탄소수 16 이상 22 이하의 알킬기를 갖는 암모늄형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중, 알킬쇄의 탄소수가 다른 2종을 포함하고 있으나, 도포성에 대하여 각 실시예보다 떨어지는 결과였다.
표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b-1)탄소수 16 이상 22 이하의 알킬기를 갖는 암모늄형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에 대한 (b-2)탄소수 10 이상 16 미만의 알킬기를 갖는 암모늄형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질량비를 소정의 범위로 함으로써, 조작성 및 도포성의 효과 모두 높이기가 더욱 용이해짐을 알 수가 있다. 표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b-1)탄소수 16 이상 22 이하의 알킬기를 갖는 암모늄형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b-2)탄소수 10 이상 16 미만의 알킬기를 갖는 암모늄형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의 함유량을 조정함으로써, 조작성, 도포성 및 모발의 감촉의 효과를 높이기가 더욱 용이해짐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시예 5-1~5-4 및 5-6~5-17의 제 1제 및 제 2제에서는, 발포 단계에 있어서의 발포성이 양호하여, 발포 후에 있어서도 즉시 소포(파포)가 개시되는 일없이 소정 시간 거품상태의 제형이 유지되었다. 이 때문에, 염모단계에서 거품상태의 제형이 충분히 유지되는 것이었다.
시험 6-1
표 14, 15에 나타내는 각 성분을 함유하는 분말상의 제 1제 및 유액상의 제 2제로 이루어지는 실시예 6-1~6-24 및 참고예 6-1~6-4의 모발 탈색제를 조제하였다. 표 14, 15에 있어서 모발 탈색제의 각 성분의 함유량을 나타내고 있는 수치의 단위는 질량%이다. 그리고, 제 1제와 제 2제를 1 : 4의 질량비로 혼합하고, 교반 막대로 교반함으로써 모발 탈색제를 조제하였다. 얻어진 모발 탈색제에 대하여, 증점효과의 발현속도 및 점도안정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표 14, 15에 나타낸다.
표 14, 15 의 「전분의 질량비」는, 사용시의 증점제의 함유량에 대한 전분의 함유량의 질량비를 나타낸다.
표 14, 15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질량비」는, 사용시에 있어서의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성분(B))의 함유량에 대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성분(C))의 함유량의 질량비를 나타낸다.
<증점효과의 발현속도의 측정 및 평가>
혼합하여 얻어진 모발 탈색제의 점도에 대하여, 제 1제 및 제 2제의 혼합시부터 1분마다 B형 점도계에 의해 로터 No.4, 회전수 12rpm, 25℃, 1분간의 조건으로 측정하였다.
표 14, 15의 「증점효과의 발현속도」란에 있어서, "5"는 제 1제 및 제 2제의 혼합으로부터 3분 후까지의 점도상승율이, 1000mPa·s/분 이상임을 나타내고, "4"는 850mPa·s/분 이상 1000mPa·s/분 미만임을 나타내며, "3"은 650mPa·s/분 이상 850mPa·s/분 미만임을 나타내고, "2"는 500mPa·s/분 이상 650mPa·s/분 미만임을 나타내며, "1"은 500mPa·s/분 미만임을 나타낸다.
<점도안정성>
제 1제 및 제 2제를 혼합하여 5분 후의 점도, 및 제 1제 및 제 2제를 혼합하고 25분 후의 점도로부터 점도비율(= 5분 후의 점도/25분 후의 점도)을 산출하였다.
상기 점도비율이 0.80 이상 1.20 미만(매우 뛰어남 : 5), 점도비율이 0.60 이상 0.80 미만 또는 1.2 이상 2.0 미만(뛰어남 : 4), 점도비율이 0.40 이상 0.60 미만 또는 2.0 이상 4.0 미만(양호 : 3), 점도비율이 0.20 이상 0.40 미만 또는 4.0 이상 6.0 미만(다소 불량함 : 2), 및 점도비율이 0.20 미만 또는 6.0 이상(불량함 : 1)의 5단계로 평가하였다.
Figure pct00014
Figure pct00015
표 14,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제 내에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증점제 및 전분을 배합하고, 제 2제 내에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를 배합함으로써 구성한 각 실시예의 모발 탈색제는, 「증점효과의 발현속도」 및 「점도안정성」의 각 항목에 있어서 양호한 결과가 얻어졌다.
표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제 내에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대신에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참고예 6-1, 그리고 제 2제 내에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대신에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참고예 6-2는, 각 실시예와 비교하여 「증점효과의 발현속도」의 항목에 있어서 평가가 낮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참고예 6-1, 6-2는 「점도안정성」의 항목에 있어서, 경시적으로 점도가 서서히 계속해서 오르기 때문에, 각 실시예와 비교하여 평가 결과가 낮았다.
제 1제 내에 증점제를 함유하지 않는 참고예 6-3은, 「증점효과의 발현 속도」의 항목에 있어서, 혼합물의 최종적인 점도가 낮기 때문에, 각 실시예와 비교하여 낮은 평가 결과가 얻어졌다. 제 1제 내에 전분을 함유하지 않는 참고예 6-4는 「증점효과의 발현속도」의 항목에 있어서, 혼합물의 최종적인 점도가 낮기 때문에, 각 실시예와 비교하여 낮은 평가 결과가 얻어졌다. 또한, 참고예 6-4는 「점도안정성」의 항목에 있어서, 경시적으로 점도가 서서히 계속해서 저하되기 때문에, 각 실시예와 비교하여 낮은 평가 결과가 얻어졌다.
시험 6-2
표 16에 나타내는 각 성분을 함유하는 분말상의 제 1제 및 유액상의 제 2제로 이루어지는 실시예 6-25 및 참고예 6-5~6-7의 모발 탈색제를 조제하였다. 표 16에 있어서 모발 탈색제의 각 성분의 함유량을 나타내고 있는 수치의 단위는 질량%이다. 그리고, 제 1제와 제 2제를 1 : 4의 질량비로 도 1(a)~도 2에 나타낸 용기(20)와 같은 폐쇄가능한 용기 내에 투입하고, 이 용기를 밀폐하여 20~30회 정도 흔듦으로써, 거품상태의 모발 탈색제를 얻었다. 얻어진 모발 탈색제에 대하여, 이하에 나타내는 방법에 의해 증점효과의 발현속도 및 점도안정성을 평가하였다.
<증점효과의 발현속도의 측정 및 평가>
얻어진 거품상태의 모발 탈색제의 점도에 대하여, 제 1제 및 제 2제의 혼합으로부터 3분 후에 들어올렸을 때의 늘어져 떨어지는 정도를 5인의 전문 패널리스트에 의해 평가하였다. 표 16의 「증점효과의 발현속도」란에 있어서, "5"는 제 1제 및 제 2제의 혼합으로부터 3분 후일 때의 늘어져 떨어짐이 전혀 없어 증점의 발현이 매우 뛰어남을 나타내고, "4"는 거의 늘어져 떨어지지 않아 우수함을 나타내며, "3"은 별로 늘어져 떨어지지 않아 양호함을 나타내고, "2"는 늘어져 떨어져 다소 불량함을 나타내며, "1"은 늘어져 떨어짐이 많아 불량함을 나타낸다.
<점도안정성>
제 1제 및 제 2제를 혼합하여 5분 후에 거품을 손으로 들어 올렸을 때의 늘어져 떨어지는 정도와, 제 1제 및 제 2제를 혼합하고 25분 후에 거품을 손으로 들어올렸을 때의 늘어져 떨어지는 정도의 차이를 5인의 전문 패널리스트에 의해 평가하였다.
표 16의 「점도안정성」란에 있어서, "5"는 제 1제 및 제 2제의 혼합으로부터 5분 후와 25분 후일 때의 늘어져 떨어짐에 있어서 차이가 없어 매우 뛰어남을 나타내고, "4"는 늘어져 떨어짐에 있어서 차이가 거의 없어 우수함을 나타내며, "3"은 늘어져 떨어짐에 있어서 차이가 별로 없어 양호함을 나타내고, "2"는 늘어져 떨어짐에 있어서 차이가 있어 다소 불량함을 나타내며, "1"은 늘어져 떨어짐에 있어서 차이가 분명히 있어 불량함을 나타낸다.
Figure pct00016
표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제 내에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증점제 및 전분을 배합하고, 제 2제 내에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를 배합함으로써 구성한 실시예 6-25의 모발 탈색제는, 「증점효과의 발현속도」 및 「점도안정성」의 각 항목에 있어서 양호한 결과가 얻어져다. 즉, 사용시의 제형이 거품상태인 경우에도 「증점효과의 발현속도」 및 「점도안정성」이 뛰어남을 알 수 있었다.
표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제 내에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대신에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참고예 6-5는, 각 실시예와 비교하여 「증점효과의 발현속도」의 항목에서 평가가 낮음을 알 수 있었다. 참고예 6-5는 「점도안정성」의 항목에 있어서, 경시적으로 거품이 단단해지기 때문에, 각 실시예와 비교하여 평가 결과가 낮았다.
제 1제 내에 증점제를 함유하지 않는 참고예 6-6은, 「증점효과의 발현속도」의 항목에 있어서, 혼합물의 최종적인 점도도 낮기 때문에, 각 실시예와 비교하여 평가 결과가 낮았다.
제 1제 내에 전분을 함유하지 않는 참고예 6-7은, 「점도안정성」의 항목에 있어서, 경시적으로 점도가 서서히 계속해서 저하되어, 액의 늘어져 떨어짐이 증가됨에 따라, 각 실시예와 비교하여 평가 결과가 낮았다.
시험 7
표 17에 나타내는 각 성분을 함유하는 분말상의 제 1제와, 표 18~20에 나타내는 각 성분을 함유하는 액상의 제 2제로 이루어지는 실시예 7-1~7-13 및 참고예 7-1~7-5의 염모제를 조제하였다. 표 17~20에 있어서 염모제의 각 성분의 함유량을 나타내고 있는 수치의 단위는 질량%이다. 본 시험에서는, 염화디메틸디알릴암모늄·아크릴아미드 공중합체로서 MERQUAT 550(온데오·나르코사 제품)을, 염화디메틸디알릴암모늄·아크릴산 공중합체로서 MERQUAT 295(온데오·나르코사 제품)을, 폴리염화디메틸메틸렌피페리듐으로서 MERQUAT 100(온데오·나르코사 제품)을 이용하였다. 표 17~20에 있어서 각 성분의 함유량을 나타내고 있는 수치는, 해당 성분의 순분(純分)을 나타낸다.
Figure pct00017
각 예의 염모제의 제 1제 및 제 2제를 45℃에서 30일간 보존하고, 이들을 계속되는 시험에 이용하였다. 제 1제 및 제 2제를, 도 1(a)~도 2에 나타낸 용기(20)와 같은 폐쇄가능용기 내에 투입하고, 이 용기를 밀폐하여 20~30회 정도 흔들어, 용기 내의 제 1제와 제 2제의 혼합물을 진탕함으로써, 거품상태의 염모제를 얻었다. 얻어진 거품상태의 염모제를, 장갑을 착용한 손에 들고, 흑발의 인모 다발에 도포한 후, 실온(25℃)에서 30분간 방치하였다. 그리고, 모발 다발에 부착된 염모제를 물로 씻어내고, 모발 다발에 샴푸를 2회, 린스를 1회 실시하였다. 계속해서, 모발 다발을 온풍으로 건조한 후, 1일간 방치함으로써, 염색 처리된 모발 다발을 얻었다. 실시예 및 참고예의 염모제의 발포성, 및 염모제의 헹굼시에 있어서의 모발 다발의 감촉에 대하여 하기에 나타내는 방법에 따라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18~20에 나타낸다.
<발포성>
전문 패널리스트가 발포 후의 염모제의 상태를 눈으로 보고 관찰하였다. 표 18~20의 「발포성」란에 있어서, "5"는 「거품 발생이 매우 뛰어남」을 나타내고, "4"는 「거품 발생이 뛰어남」을 나타내며, "3"은 「거품 발생이 양호함」을 나타내고, "2"는 「거품 발생이 다소 불충분함」을 나타내며, "1"은 「거품 발생이 불충분하거나, 또는 지나치게 거품이 생겨 점성이 낮으며 가볍고 큰 거품으로 되어 있음」을 나타낸다.
<감촉(손가락 빗질성)>
염모제의 헹굼시에 있어서의 모발 다발(모발)의 감촉에 대하여, 전문 패널리스트가 손으로 만져 관찰함으로써 평가하였다. 표 18~20의 「감촉(손가락 빗질성)」란에 있어서, "5"는 「손가락 빗질성이 매우 뛰어남」을 나타내고, "4"는 「손가락 빗질성이 뛰어남」을 나타내며, "3"은 「손가락 빗질성이 양호함」을 나타내고, "2"는 「손가락 빗질성이 불량하여 걸리는 느낌이 듬」을 나타내고, "1"은 「손가락 빗질성이 매우 불량하여, 손가락이 쉽게 걸림」을 나타낸다.
Figure pct00018
Figure pct00019
표 18,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제 내에 과산화수소, 양성 계면활성제 및 양이온성 폴리머를 함유하는 각 실시예에서는, 「감촉(손가락 빗질성)」 및 「발포성」의 각 항목에 있어서 양호한 평가가 얻어졌다. 특히, 양이온성 폴리머로서, 25℃에서 액상으로 조제된 제품을 함유하는 실시예 7-1~7-3은, 25℃에서 고체상태인 양이온성 폴리머를 함유하는 실시예 7-4와 비교하여 「감촉(손가락 빗질성)」의 평가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제 2제 내에 있어서의 양성 계면활성제의 함유량이 1.5~3.5질량%의 범위 내인 실시예 7-8 및 7-9은, 「감촉(손가락 빗질성)」 및 「발포성」의 평가가 모두 높았다.
Figure pct00020
표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제 내에 양성 계면활성제를 함유하지 않고, 제 2제 내에 있어서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또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함유량을 높인 참고예 7-1~7-4는, 각 실시예와 비교하여 「감촉(손가락 빗질성)」 및 「발포성」의 평가가 모두 낮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제 2제 내에 양이온성 폴리머를 함유하지 않는 참고예 7-5에서는, 「발포성」의 평가는 높지만, 「감촉(손가락 빗질성)」의 평가가 낮음을 알 수 있었다.
시험 8
(과산화수소함유 조성물의 조제)
표 21, 22에 기재된 각 성분을 배합함으로써, 참고예 8-1-1~8-1-19, 8-2-1~8-2-5의 과산화수소 함유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조제한 과산화수소 함유 조성물에 대하여, 하기의 방법에 따라 과산화수소의 안정성 및 악취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한편, 표 21, 22에 있어서 과산화수소 함유 조성물의 각 성분의 함유량을 나타내고 있는 수치의 단위는 질량%이다.
(과산화수소의 안정성)
조제한 과산화수소 함유 조성물을 45℃의 항온조에서 1개월간 보존한 후, 잔존하는 과산화수소의 양을 산화 환원 적정법에 의해 정량하여, 과산화수소의 잔존율을 산출하였다. 평가 기준은 아래와 같다. 평가 결과는 표 21, 22에 나타내었다.
평가 5 : 과산화수소의 잔존율이 99% 이상
평가 4 : 과산화수소의 잔존율이 98% 이상 99% 미만
평가 3 : 과산화수소의 잔존율이 97% 이상 98% 미만
평가 2 : 과산화수소의 잔존율이 96% 이상 97% 미만
평가 1 : 과산화수소의 잔존율이 96% 미만
(악취에 대하여)
조제한 과산화수소함유 조성물의 악취를 평가하였다. 평가 기준은 아래와 같다. 평가 결과는 표 21, 22에 나타내었다.
평가 3 : 페녹시에탄올의 원료냄새가 전혀 없다.
평가 2 : 페녹시에탄올의 원료냄새가 거의 없다.
평가 1 : 페녹시에탄올의 원료냄새가 눈에 띈다.
Figure pct00021
Figure pct00022
표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참고예 8-2-1~8-2-5의 과산화수소 함유 조성물은,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계에 있어서, 페녹시에탄올 및 안식향산(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있지 않다. 참고예 8-2-1~8-2-5에 대하여, 보존시에 있어서의 과산화수소의 안정성을 보면, 안정성이 떨어짐을 알 수 있다. 이 중, 참고예 8-2-1,8-2-2,8-2-4,8-2-5의 과산화수소함유 조성물은, 계면활성제로서 양성의 계면활성제를 포함하고 있다. 이들은 특히, 보존시에 있어서의 과산화수소의 안정성이 떨어진다.
이에 대하여, 참고예 8-1-1~8-1-19의 과산화수소함유 조성물은,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계에 있어서, 페녹시에탄올 및 안식향산(염)을 모두 포함하고 있어, 보존시에 있어서의 과산화수소의 안정성이 뛰어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참고예 8-1-1,8-1-2와 참고예 8-2-1,8-2-2를 비교하면, 참고예 8-1-1,8-1-2는 과산화수소의 안정성이 향상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참고예 8-1-5와 참고예 8-2-4를 비교하면, 참고예 8-1-5는 과산화수소의 안정성이 향상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더욱이, 참고예 8-1-8과 참고예 8-2-4,8-2-5를 비교하면, 참고예 8-1-8은 과산화수소의 안정성이 향상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계면활성제로서 양성의 계면활성제를 포함하고 있을 경우(참고예 8-1-1,8-2-1,8-2-2 등)에서 비교하면, 양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고 있을 경우에 특히 과산화수소의 안정성의 향상 효과가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참고예 8-1-1~8-1-19의 사이에서 비교를 실시함으로써 다음의 사항을 알 수가 있다. 즉, 참고예 8-1-9, 8-1-13과 그 이외를 비교하면, 성분(K)에 대한 성분(J)의 질량비(J/K비)가 0.2~2.5의 범위 내이면, 과산화수소의 안정성이 더욱 우수함을 알 수가 있다. 또한, 참고예 8-1-9,8-1-10과 그 이외를 비교하면, 성분(K)의 양이 0.1질량% 이상이면, 과산화수소의 안정성이 더욱 뛰어나며, 성분(K)의 양이 0.15질량% 이상이면, 특히, 과산화수소의 안정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참고예 8-1-13, 8-1-14와 그 이외를 비교하면, 성분(J)의 양이 0.1질량% 이상이면, 과산화수소의 안정성이 더욱 뛰어나고, 성분(J)의 양이 0.15질량% 이상이면, 특히, 과산화수소의 안정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한편, 참고예 8-1-19와 그 이외를 비교하면, 성분(J)의 배합량을 0.15~0.8질량%의 범위로 하면, 페녹시에탄올의 악취를 억제하면서, 과산화수소의 안정성을 도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시험 9
(모발염색용 조성물의 조제)
표 23, 24에 기재된 각 성분을 배합함으로써, 실시예 9-1~9-5,9-7~9-14 및 참고예 9-1~9-4,9-6의 모발염색용 조성물의 제 1제 및 제 2제를 조제하였다. 이어서, 얻어진 제 1제와 제 2제를 표 23, 24에 기재된 혼합비(질량비)로 혼합함으로써, 모발염색용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표 23, 24에 있어서 최종 제형이 「거품」이라 기재된 것은, 제 1제와 제 2제를 밀폐용기 내에 넣고, 이것을 진탕함으로써, 거품상태의 모발염색용 조성물을 얻었다. 한편, 최종 제형이 「크림」이라 기재된 것은, 제 1제와 제 2제를 개방용기 내에 넣고, 용기 내에서 거품을 내지 않고 조심스럽게 혼합시켰다. 한편, 표 23, 24에 있어서 모발염색용 조성물의 각 성분의 함유량을 나타내고 있는 수치의 단위는 질량%이다.
(염색 처리)
조제된 각 모발염색용 조성물을, 얇은 수지제의 장갑을 낀 손으로, 흑발의 인모 다발에 도포한 후, 그 모발 다발을 항온조(30℃)에서 30분간 방치하였다. 다음으로, 그 모발 다발을 수돗물로 세정하고, 그 후, 모발 다발을 샴푸 및 린스((컨디셔너)로 각각 1회씩 처리하였다. 이어서, 그 모발 다발을 건조시켰다. 그 후, 1일간 상온에서 방치하였다. 이상과 같이 하여, 모발 다발의 염색 처리를 수행하였다.
(마무리 후의 감촉(매끄러움)에 대하여)
염색 처리 후의 모발 다발을 손가락으로 빗었을 때의 감촉과, 염색 처리되지 않은 모발 다발을 손가락으로 빗었을 때의 감촉을 비교하여, 모발 다발에 거칠거칠한 느낌이 없고, 손가락으로 빗었을 때의 매끄러움이 양호한가의 관점에서, 염색 처리 후의 모발 다발의 감촉을 평가하였다. 평가 기준은 아래와 같다. 평가 결과는 표 23, 24에 나타내었다.
평가 5 : 매끄러움이 매우 양호하였다.
평가 4 : 매끄러움이 양호하였다.
평가 3 : 매끄러움이 비교적 양호하였다.
평가 2 : 매끄러움이 다소 불량하였다.
평가 1 : 매끄러움이 매우 불량하였다.
(마무리 후의 감촉(걸림, 휘감김, 뻣뻣함)에 대하여)
염색 처리 후의 모발 다발을 손가락으로 빗었을 때의 감촉과, 염색 처리되지 않은 모발 다발을 손가락으로 빗었을 때의 감촉을 비교하여, 모발 다발에 걸림, 휘감김, 뻣뻣함이 있어 손가락으로 빗질하기가 곤란한가의 관점에서, 염색 처리 후의 모발 다발의 감촉을 평가하였다. 평가 기준은 아래와 같다. 평가 결과는 표 23, 24에 나타내었다.
평가 5 : 손가락 빗질성이 매우 양호하였다.
평가 4 : 손가락 빗질성이 양호하였다.
평가 3 : 손가락 빗질성이 비교적 양호하였다.
평가 2 : 손가락 빗질성이 다소 불량하였다.
평가 1 : 손가락 빗질성이 매우 불량하였다.
(마무리 후의 명도에 대하여)
염색 처리 후의 모발 다발을 눈으로 보고 관찰함으로써, 마무리 후의 명도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평가 기준은 아래와 같다. 평가 결과는 표 23, 24에 나타내었다.
평가 5 : 명도가 매우 양호하였다.
평가 4 : 명도가 양호하였다.
평가 3 : 명도가 비교적 양호하였다.
평가 2 : 명도가 다소 불량하였다.
평가 1 : 명도가 매우 불량하였다.
Figure pct00023
Figure pct00024
표 23, 24로부터, 참고예 9-1의 모발염색용 조성물에서는, 성분(L)의 배합량이 1질량% 미만이기 때문에, 마무리 후의 감촉(매끄러움)이 다소 불량하다. 또한, 참고예 9-2의 모발염색용 조성물에서는, 성분(L)을 배합하지 않았기 때문에, 마무리 후의 감촉(매끄러움)이 매우 불랑하다.
이에 대하여, 실시예의 모발염색용 조성물에 따르면, 마무리 후의 감촉(매끄러움)이 양호하며, 마무리 후의 명도도 양호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실시예들을 비교할 때, 실시예 9-5에서는, 특정 양이온성 폴리머가 배합되어 있지 않다. 이 때문에, 다른 실시예와 비교하여 마무리 후의 감촉(매끄러움)이 다소 떨어진다. 또한, 참고예 9-6에서는, 최종 제형이 크림상태로 되어 있다. 각 실시예는, 최종 제형이 거품상태이며, 참고예 9-6과 비교할 때, 마무리 후의 감촉이 더욱 양호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 실시예 9-7은, 성분(L)에 대한 성분(f-1)의 질량비가 4.5를 초과하고 있다. 이에 대하여, 실시예 9-7 이외의 실시예는, 상기 질량비가 0.02~4.5의 범위 내에 들어 있어, 실시예 9-7에 비해 마무리 후의 감촉(매끄러움)이 더욱 양호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참고예 9-3,9-4는 성분(f-1) 대신에 메타 규산 나트륨을 이용한 것이다. 참고예 9-4에 대하여 참고예 9-3은, 마무리 후의 모발 다발이 단단해져 걸림, 모발이 얽힘, 뻣뻣함 등의 감촉이 억제됨에 따른 마무리 후의 감촉의 개선은 보이지만, 마무리 후의 거칠거칠한 느낌을 억제함으로써 마무리 후의 매끄러움을 개선하는 효과는 볼 수 없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각종 개변(改變)이 가능하다.
시험 10-1
표 25에 나타내는 각 성분을 함유하는 분말상의 제 1제와, 표 26, 27에 나타내는 유액상의 제 2제로 이루어지는 염모제를 조제하였다. 제 2제는, 우선 양성 계면활성제 함유 수용액을 조제하고, 이어서 그 양성 계면활성제 함유 수용액과 그 밖의 성분, 예컨대 과산화수소 등을 혼합함으로써 조제하였다. 표 25~27에 있어서 염모제의 각 성분의 함유량을 나타내고 있는 수치의 단위는 질량%이다. 그리고, 제 1제와 제 2제를 1 : 5의 질량비로 혼합하고, 교반 막대로 교반함으로써 거품상태의 염모제를 조제하였다. 얻어진 염모제에 대하여, 발포성을 평가하였다. 또한, 얻어진 제 2제에 대하여 pH변화 및 pH안정성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26, 27에 나타낸다.
표 26, 27의 「양성 계면활성제의 질량비」란의 수치는, 양성 계면활성제 함유 수용액 중의 알칼리금속 무기염의 함유량에 대한 양성 계면활성제의 함유량의 질량비(A/I)를 나타낸다.
표 26, 27의 야자유 지방산아미도 프로필베타인은, 아모겐CB-H(야자유 지방산아미도 프로필베타인 30질량%(탈염), 다이이치 고교 세이야쿠사 제품)을 사용하였다. 한편, 실시예 10-8,10-9의 야자유 지방산아미도 프로필베타인은, 30질량% 농도의 상기 제품을 80℃의 열을 가해 물을 증발시켜 사용하였다. 표 26, 27의 라우릴디메틸아미노초산 베타인은, 오바졸린LB-SF(라우릴디메틸아미노초산 베타인 35질량%(탈염), 도호카가쿠 고교사 제품)을 사용하였다. 표 26, 27의 라우르산아미도프로필베타인은, 소프타졸린 LPB-R(라우르산아미도프로필베타인 30질량%(탈염), 가와켄화인케미칼사 제품)을 사용하였다. 표 26, 27에 있어서 각 성분의 함유량을 나타내고 있는 수치는, 해당 성분의 순분(純分)을 나타낸다.
<제 2제의 pH변화 및 pH안정성>
각 예의 염모제의 제 2제를 45℃의 항온조에서 1개월간 보존한 후, 제 2제의 pH를 측정하였다. 그 값으로부터 제 2제의 조제시 pH4로부터의 pH변화의 값을 구하였다.
또, 표 26, 27의 "제 2제의 pH안정성"란에 있어서, "5"는 pH변화의 값이 0.10 미만인 것을 나타내고, "4"는 pH변화의 값이 0.10 이상 0.15 미만인 것을 나타내며, "3"은 pH변화의 값이 0.15 이상 0.20 미만인 것을 나타내고, "2"는 pH변화의 값이 0.20 이상 0.25 미만인 것을 나타내며, "1"은 pH변화의 값이 0.25 이상인 것을 나타낸다.
<발포성>
전문 패널리스트가 발포 후의 염모제의 상태를 눈으로 보고 관찰하였다. 표 26, 27의 「발포성」란에 있어서, "5"는 「거품 발생이 매우 뛰어남」을 나타내고, "4"는 「거품 발생이 뛰어남」을 나타내며, "3"은 「거품 발생이 양호함」을 나타내고, "2"는 「거품 발생이 다소 불충분함」을 나타내며, "1"은 「거품 발생이 불충분하거나, 또는 지나치게 거품이 일어 점성이 낮으며 가볍고 큰 거품으로 되어 있음」을 나타낸다.
Figure pct00025
Figure pct00026
Figure pct00027
표 26, 2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제 내에 (B)양성 계면활성제, (C)알칼리금속 무기염을 배합함으로써 구성한 각 실시예의 염모제는, 「pH안정성」의 항목에 있어서 양호한 결과가 얻어졌다.
또한, 제 2제 내에 알칼리금속의 무기염을 함유하지 않는 참고예 10-1,10-2는, 각 실시예와 비교하여 「pH안정성」의 항목에 있어서 평가가 낮음을 알 수 있었다.
제 2제 내에 양성 계면활성제를 함유하지 않는 참고예 10-3은, 「발포성」의 항목에 있어서, 각 실시예와 비교하여 평가 결과가 낮았다. 양성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양호한 거품상태의 염모제를 얻기가 어렵다.
제 2제 중에 알칼리금속의 무기염 대신에 구연산 나트륨을 함유하는 참고예 10-4는, 「pH의 안정성」의 항목에 있어서, 각 실시예와 비교하여 평가 결과가 낮았다.
(시험 10-2)
표 28~34에 나타내는 각 성분을 함유하는 유액상의 제 2제를 조제하였다. 제 2제는, 우선 각 표에 기재되는 성분을 표의 위부터 순서대로 혼합함으로써 양성 계면활성제 함유 수용액을 조제하였다. 다음으로, 그 양성 계면활성제 함유 수용액에 그 밖의 성분을 표의 위부터 순서대로 배합함으로써 제 2제를 조제하였다. 표 28~34에 있어서의 각 성분을 나타내는 란의 수치는, 표에서 지시가 없는 한 해당 란에 기재된 성분의 함유량을 나타내며, 그 단위는 질량%이다. 양성 계면활성제 함유 수용액의 란에 나타낸 각 성분의 수치는 제 2제 중에 있어서의 해당 성분의 함유량을 나타낸다. 그리고, 표 25에 나타내는 제 1제와 표 28~34에 나타내는 제 2제를 1 : 5의 질량비로 혼합하고, 교반 막대로 교반함으로써 거품상태의 염모제를 조제하였다. 얻어진 염모제에 대하여, 발포성을 평가하였다. 또한, 얻어진 제 2제에 대하여 pH 변화 및 pH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표 28~34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28
Figure pct00029
Figure pct00030
Figure pct00031
Figure pct00032
Figure pct00033
Figure pct00034
표 28~3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양성 계면활성제 함유 수용액의 조제시에, 1질량부의 양성 계면활성제에 대하여 약 2.3질량부의 물을 배합한 후에 염화나트륨을 첨가한 실시예 10-19,10-21,10-22는, 1질량부의 양성 계면활성제에 대하여 약 3.8질량부의 물을 배합한 후에 염화나트륨을 첨가한 실시예 10-20에 대하여, pH안정성이 뛰어남을 알 수 있었다.
표 32~3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양성 계면활성제 함유 수용액의 조제시에, 1질량부의 염화나트륨에 대하여 약 14질량부의 물을 배합한 후에 양성 계면활성제를 첨가한 실시예 10-23은, 1질량부의 염화나트륨에 대하여 약 20질량부 이상의 물을 배합한 후에 양성 계면활성제를 첨가한 실시예 10-24,10-25에 대하여, pH 안정성이 양호함을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 상기 실시형태 및 별례로부터 파악할 수 있는 기술적 사상에 대하여, 이하에 추기한다.
분말상의 제와 액상의 제를 혼합하여 진탕에 의해 발포시킴으로써 얻어지는 거품상태의 제형으로 모발에 적용되는 모발화장료 조성물과,
분말상의 제와 액상의 제를 혼합하여 진탕에 의해 발포시키기 위한 발포 용구를 구비하는 모발화장용품.
이 경우, 거품상태의 모발화장료 조성물을 간편하게 조제할 수 있다.
10 : 모발 탈색·탈염제
11 : 제 1제
12 : 제 2제
13 : 혼합물
14 : 거품상태의 모발 탈색·탈염제
20 : 용기
21 : 용기본체
22 : 커버체

Claims (13)

  1. 복수의 제(劑)로 이루어지는 염모제 또는 모발 탈색·탈염제로서 구성되는 모발화장료 조성물로서,
    분말상의 제와 액상의 제를 혼합하여 진탕(shaking)에 의해 발포시킴으로써 얻어지는 거품상태의 제형으로 모발에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화장료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양성(兩性)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화장료 조성물.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화장료 조성물.
  4. 제 3항에 있어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더 함유하고, 사용시에 그 음이온성 계면활성제가 용매의 존재 하에서 상기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와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화장료 조성물.
  5.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는, 탄소수 16 이상 22 이하의 알킬기를 갖는 암모늄형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와, 탄소수 10 이상 16 미만의 알킬기를 갖는 암모늄형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화장료 조성물.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비(非)이온성 폴리머를 함유하며, 그 비이온성 폴리머가 상기 분말상의 제에 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화장료 조성물.
  7. 제 6항에 있어서,
    증점제를 함유하고, 그 증점제가 상기 분말상의 제에 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화장료 조성물.
  8.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알칼리제를 함유하는 분말상의 제 1제와, 산화제로서 과산화수소를 함유하는 액상의 제 2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화장료 조성물.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제는, 양성 계면활성제 및 양이온성 폴리머를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화장료 조성물.
  10. 제 2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알칼리금속 무기염을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화장료 조성물.
  11. 제 8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제는, 페녹시에탄올과, 안식향산 및 안식향산염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화장료 조성물.
  12. 제 8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알칼리제는 탄산염이며,
    모발화장료 조성물은 1~5질량%의 킬레이트화제를 더 함유하고,
    모발화장료 조성물 중의 킬레이트화제의 함유량에 대한 모발화장료 조성물 중의 탄산염의 함유량의 질량비가 0.02~6.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화장료 조성물.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모발화장료 조성물의 사용방법으로서,
    모발화장료 조성물의 분말상의 제와 액상의 제를 혼합하여 진탕에 의해 발포시킴으로써 거품상태의 제형으로 모발화장료 조성물을 형성하는 공정과,
    얻어진 거품상태의 제형의 모발화장료 조성물을 손으로 모발에 도포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127014709A 2009-11-13 2010-11-11 모발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사용방법 KR1016981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260490A JP2011105620A (ja) 2009-11-13 2009-11-13 毛髪化粧料組成物及びその使用方法
JPJP-P-2009-260490 2009-11-13
PCT/JP2010/070112 WO2011059027A1 (ja) 2009-11-13 2010-11-11 毛髪化粧料組成物及びその使用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1240A true KR20120081240A (ko) 2012-07-18
KR101698137B1 KR101698137B1 (ko) 2017-01-19

Family

ID=439916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4709A KR101698137B1 (ko) 2009-11-13 2010-11-11 모발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사용방법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9114088B2 (ko)
EP (1) EP2500010B1 (ko)
JP (1) JP2011105620A (ko)
KR (1) KR101698137B1 (ko)
CN (1) CN102665649B (ko)
BR (1) BR112012000882A2 (ko)
CA (1) CA2773265A1 (ko)
CO (1) CO6481009A2 (ko)
HK (1) HK1170946A1 (ko)
MX (1) MX2012005561A (ko)
MY (1) MY159839A (ko)
SG (1) SG179563A1 (ko)
TW (1) TWI515012B (ko)
WO (1) WO2011059027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8008B1 (ko) * 2012-09-24 2014-05-30 소망화장품주식회사 안정적인 거품 형태를 유지하는 염모제 조성물
KR101709091B1 (ko) * 2016-02-11 2017-02-23 주식회사 에스티아이 동물 안락사용 거품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80056830A (ko) * 2016-11-21 2018-05-30 김숙희 천연재료를 포함하는 염모제 조성물
KR20200070713A (ko) * 2018-12-10 2020-06-18 (주)아모레퍼시픽 자연 유래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염모제 조성물
KR20210063691A (ko) 2019-11-25 2021-06-02 (주)아모레퍼시픽 모발 탈염용 키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20119B2 (ja) * 2010-02-10 2018-11-07 花王株式会社 染色又は脱色キット
JP2011184428A (ja) * 2010-02-10 2011-09-22 Kao Corp 染色又は脱色キット
JP2011184345A (ja) * 2010-03-08 2011-09-22 Daizo:Kk 毛髪処理剤および該毛髪処理剤の発泡方法
JP5612955B2 (ja) * 2010-07-30 2014-10-22 ホーユー株式会社 毛髪化粧料組成物
DE102011084725A1 (de) 2011-10-18 2013-04-18 Henkel Ag & Co. Kgaa Färbeverfahren für keratinische Fasern
JP5919041B2 (ja) * 2012-03-12 2016-05-18 株式会社マンダム 毛髪処理剤キット、及び毛髪の処理方法
JP5919039B2 (ja) * 2012-03-12 2016-05-18 株式会社マンダム 毛髪処理剤キット及び毛髪の処理方法
JP5919042B2 (ja) * 2012-03-12 2016-05-18 株式会社マンダム 毛髪処理剤キット、及び毛髪の処理方法
JP5919040B2 (ja) * 2012-03-12 2016-05-18 株式会社マンダム 毛髪の処理方法
JP5919043B2 (ja) * 2012-03-12 2016-05-18 株式会社マンダム 毛髪処理剤キット及び毛髪の処理方法
JP5919044B2 (ja) * 2012-03-12 2016-05-18 株式会社マンダム 毛髪処理剤キット、及び毛髪の処理方法
WO2013136491A1 (ja) * 2012-03-15 2013-09-19 ホーユー株式会社 毛髪化粧料用セット
US10238588B2 (en) * 2012-12-20 2019-03-26 Kao Germany Gmbh Aqueous oxidizing composition for hair
JP6293796B2 (ja) * 2013-02-28 2018-03-14 花王株式会社 半永久的直毛化のための組成物及びプロセス
JP2015013854A (ja) * 2013-06-05 2015-01-22 花王株式会社 脱色又は染毛剤組成物
JP2015013855A (ja) * 2013-06-05 2015-01-22 花王株式会社 毛髪化粧料
EP3006017B1 (en) * 2013-06-05 2017-08-16 Kao Corporation Hair cosmetic
JP6347955B2 (ja) * 2013-06-17 2018-06-27 ホーユー株式会社 毛髪化粧料及び毛髪化粧料用品
WO2015036053A1 (en) * 2013-09-16 2015-03-19 Kao Corporation Hair treatment process
JP6543454B2 (ja) * 2013-10-29 2019-07-10 株式会社ダリヤ 毛髪化粧料組成物および毛髪処理方法
FR3015232B1 (fr) 2013-12-23 2016-01-08 Oreal Article de conditionnement comportant un enveloppe une composition colorante anhydre comprenant un colorant d'oxydation, utilisation et procede pour colorer les fibres keratiniques
FR3016288B1 (fr) 2013-12-23 2016-09-09 Oreal Article de conditionnement comportant une enveloppe et une composition anhydre comprenant un agent oxydant
FR3015231B1 (fr) 2013-12-23 2017-02-24 Oreal Article de conditionnement comportant un enveloppe une composition colorante anhydre comprenant un colorant direct, utilisation et procede pour colorer les fibres keratiniques
TWI716352B (zh) * 2014-06-06 2021-01-21 日商花王股份有限公司 染毛劑組合物
JP6538314B2 (ja) * 2014-06-25 2019-07-03 ホーユー株式会社 多剤式の毛髪化粧料組成物
FR3037795B1 (fr) 2015-06-25 2018-08-17 L'oreal Article de conditionnement comportant une enveloppe et une composition colorante, decolorante ou oxydante anhydre comprenant une argile fibreuse, et un compose choisi parmi un agent colorant et/ou un agent oxydant ; utilisation et procede pour colorer et/ou decolorer les fibres keratiniques
WO2017021511A1 (en) * 2015-08-04 2017-02-09 L'oreal Kit for dyeing and/or bleaching keratin fibers comprising an alkaline agent, an oxidizing agent, and an openable and closable airtight container
JP6442394B2 (ja) * 2015-10-28 2018-12-19 ホーユー株式会社 毛髪化粧料組成物
SG11201804039SA (en) * 2015-12-28 2018-07-30 Kao Corp Aerosol cosmetic
WO2017159670A1 (ja) * 2016-03-15 2017-09-21 花王株式会社 染毛用又は毛髪脱色用化粧品
US10159854B2 (en) 2016-03-18 2018-12-25 L'oreal Composition for altering the color of keratin fibers
JP6915826B2 (ja) 2016-06-15 2021-08-04 ホーユー株式会社 粉末染毛剤組成物
MX2019002119A (es) * 2016-08-24 2019-09-18 Q Tran Dat Formulaciones para solución de burbujas comestible.
US10166175B1 (en) * 2017-08-28 2019-01-01 Louisiana Tech Research Corporation Coating of clay micro-tubes on surfaces of hair and natural fibers
IT201800004333A1 (it) 2018-04-09 2019-10-09 Procedimento per il trattamento dei capelli
US11090249B2 (en) 2018-10-31 2021-08-17 L'oreal Hair treatment compositions, methods, and kits for treating hair
DE102019214516A1 (de) * 2018-12-28 2020-07-02 Henkel Ag & Co. Kgaa Einsatz von Natriumchlorid in Bleichmitteln auf Percarbonat-Basis für die Anwendung auf Humanhaar
US11419809B2 (en) 2019-06-27 2022-08-23 L'oreal Hair treatment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hair
US11826451B2 (en) 2019-12-31 2023-11-28 L'oreal Compositions for treating hair
US20210338541A1 (en) * 2020-04-22 2021-11-04 Johnson & Johnson Consumer Inc. Method of using in situ complexation of surfactants for foam control and conditioning
FR3111553A1 (fr) * 2020-06-22 2021-12-24 L'oreal Procédé de coloration des fibres kératiniques mettant en œuvre un colorant direct et un sel de saccharinate et composition les comprenant
FR3124500B1 (fr) * 2021-06-29 2023-12-29 L’Oreal Ensemble de conditionnement et de préparation d’un produit cosmétique
CN117940112A (zh) * 2021-08-13 2024-04-26 埃斯普投资有限公司 包含羧甲基纤维素(cmc)的水性个人护理组合物、其制备方法及其用途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57343A (ja) * 1994-12-08 1996-06-18 Shiseido Co Ltd 泡沫状酸性染毛用組成物
JPH09136818A (ja) 1995-11-13 1997-05-27 Hoyu Co Ltd エアゾール式泡沫状酸化染毛剤組成物
JP2007503409A (ja) * 2003-08-26 2007-02-22 ヘンケル・コマンディットゲゼルシャフト・アウフ・アクチエン 過酸化水素含有系にアルカリ化剤を溶解する間の過酸化水素の安定化
JP2008208120A (ja) * 2007-02-02 2008-09-11 Hayashibara Biochem Lab Inc 毛髪処理剤用の酸化剤含有組成物
JP2008291020A (ja) 2007-04-27 2008-12-04 Kao Corp 毛髪の染毛又は脱色方法
JP2008291024A (ja) * 2007-04-27 2008-12-04 Kao Corp 二剤式染毛用又は脱色用毛髪化粧品
JP2009154884A (ja) 2007-12-25 2009-07-16 Kao Corp スクイズ式泡吐出容器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LU86368A1 (fr) * 1986-03-24 1987-11-11 Oreal Procede pour preparer et distribuer un produit comprenant au moins deux composants,et dispositif pour sa mise en oeuvre
JPH0759490B2 (ja) * 1987-01-12 1995-06-28 サンスタ−株式会社 染毛剤
DE3916917A1 (de) 1989-05-24 1990-11-29 Wella Ag Schaumfoermiges haarbehandlungsmittel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JP2899055B2 (ja) * 1990-04-03 1999-06-02 ホーユー株式会社 染毛剤及び2剤式染毛剤キット
US5769901A (en) * 1996-04-01 1998-06-23 Fishman; Yoram Powdered hair dye composition and method of application
WO1999060993A1 (en) * 1998-05-29 1999-12-02 Carson Products Company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removing the color from permanently dyed keratin fibers
GB0212516D0 (en) * 2002-05-31 2002-07-10 Procter & Gamble Compositions for treating hair comprising a phosphate ester compound and an oxidising agent
JP3669504B2 (ja) * 2002-09-03 2005-07-06 第一工業製薬株式会社 粉末型染毛剤用カルボキシメチルセルロースナトリウム塩およびそれを含有する粉末型染毛剤
JP2004115410A (ja) * 2002-09-25 2004-04-15 Ichimaru Pharcos Co Ltd 起泡剤又は化粧料組成物
JP2004189717A (ja) * 2002-11-27 2004-07-08 Shiseido Co Ltd 染毛用組成物
US8153108B2 (en) * 2003-04-25 2012-04-10 Kao Corporation Hair cosmetic product
JP2006342125A (ja) * 2005-06-10 2006-12-21 Mandom Corp 毛髪脱色剤
JP5190984B2 (ja) * 2008-01-09 2013-04-24 株式会社ミルボン 染毛用第2剤組成物および酸化型染毛剤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57343A (ja) * 1994-12-08 1996-06-18 Shiseido Co Ltd 泡沫状酸性染毛用組成物
JPH09136818A (ja) 1995-11-13 1997-05-27 Hoyu Co Ltd エアゾール式泡沫状酸化染毛剤組成物
JP2007503409A (ja) * 2003-08-26 2007-02-22 ヘンケル・コマンディットゲゼルシャフト・アウフ・アクチエン 過酸化水素含有系にアルカリ化剤を溶解する間の過酸化水素の安定化
JP2008208120A (ja) * 2007-02-02 2008-09-11 Hayashibara Biochem Lab Inc 毛髪処理剤用の酸化剤含有組成物
JP2008291020A (ja) 2007-04-27 2008-12-04 Kao Corp 毛髪の染毛又は脱色方法
JP2008291024A (ja) * 2007-04-27 2008-12-04 Kao Corp 二剤式染毛用又は脱色用毛髪化粧品
JP2009154884A (ja) 2007-12-25 2009-07-16 Kao Corp スクイズ式泡吐出容器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8008B1 (ko) * 2012-09-24 2014-05-30 소망화장품주식회사 안정적인 거품 형태를 유지하는 염모제 조성물
KR101709091B1 (ko) * 2016-02-11 2017-02-23 주식회사 에스티아이 동물 안락사용 거품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80056830A (ko) * 2016-11-21 2018-05-30 김숙희 천연재료를 포함하는 염모제 조성물
KR20200070713A (ko) * 2018-12-10 2020-06-18 (주)아모레퍼시픽 자연 유래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염모제 조성물
KR20210063691A (ko) 2019-11-25 2021-06-02 (주)아모레퍼시픽 모발 탈염용 키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515012B (zh) 2016-01-01
MX2012005561A (es) 2012-06-19
CO6481009A2 (es) 2012-07-16
CN102665649A (zh) 2012-09-12
CA2773265A1 (en) 2011-05-19
JP2011105620A (ja) 2011-06-02
KR101698137B1 (ko) 2017-01-19
TW201121575A (en) 2011-07-01
CN102665649B (zh) 2016-08-03
EP2500010A4 (en) 2015-12-09
HK1170946A1 (zh) 2013-03-15
SG179563A1 (en) 2012-06-28
WO2011059027A1 (ja) 2011-05-19
US20120207689A1 (en) 2012-08-16
EP2500010B1 (en) 2020-01-22
EP2500010A1 (en) 2012-09-19
US9114088B2 (en) 2015-08-25
MY159839A (en) 2017-02-15
BR112012000882A2 (pt) 2014-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81240A (ko) 모발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사용방법
JP5524570B2 (ja) 毛髪化粧料組成物
JP2010280611A (ja) 毛髪化粧料組成物
JP7262724B2 (ja) 毛髪化粧料用組成物及びその使用方法
JP2017154987A (ja) 酸化剤含有組成物、毛髪処理剤、毛髪処理剤の使用方法
JP5822590B2 (ja) 毛髪化粧料組成物
WO2012015034A1 (ja) 毛髪化粧料組成物
JP2019011292A (ja) 酸化剤含有組成物及びその使用方法
JP5506328B2 (ja) 毛髪化粧料組成物、及び毛髪化粧用品
WO2019003957A1 (ja) 酸化剤含有組成物及びその使用方法
JP5698933B2 (ja) 毛髪化粧料組成物
JP6067955B2 (ja) 過酸化水素含有組成物
JP5689261B2 (ja) 毛髪化粧料組成物
JP6689740B2 (ja) 毛髪化粧料用組成物及びその使用方法
CN107432837B (zh) 毛发化妆品组合物
JP6538314B2 (ja) 多剤式の毛髪化粧料組成物
JP6018244B2 (ja) 染毛用品、及び毛髪の染毛方法
JP6813881B2 (ja) 多剤式毛髪処理剤組成物及びその使用方法
CN110693761A (zh) 毛发化妆品组合物
JP6067956B2 (ja) 過酸化水素含有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WO2022163228A1 (ja) 毛髪脱色・脱染用又は染毛用組成物
JP5517493B2 (ja) 毛髪化粧料組成物
BR112012000882B1 (pt) Capillary cosmetic preparation and method for application.
JP2018104325A (ja) 多剤式毛髪処理剤組成物及びその使用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5101002219;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50422

Effective date: 20161110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