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63483A - 재봉틀용 봉제 프레임 구동 장치 - Google Patents

재봉틀용 봉제 프레임 구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3483A
KR20120063483A KR1020127006947A KR20127006947A KR20120063483A KR 20120063483 A KR20120063483 A KR 20120063483A KR 1020127006947 A KR1020127006947 A KR 1020127006947A KR 20127006947 A KR20127006947 A KR 20127006947A KR 20120063483 A KR20120063483 A KR 201200634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ing member
ball screw
timing belt
sewing
dr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69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70753B1 (ko
Inventor
미쯔히로 후지우라
데루오 나까니시
히로쯔구 우에니시
Original Assignee
엔에스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에스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엔에스디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634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34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07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07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9/00Workpiece carrier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69/00Driving-gear; Control devices
    • D05B69/02Mechanical driv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CEMBROIDERING; TUFTING
    • D05C9/00Appliances for holding or feeding the base fabric in embroidering machines
    • D05C9/02Appliances for holding or feeding the base fabric in embroidering machines in machines with vertical needles
    • D05C9/04Work holders, e.g. fram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CEMBROIDERING; TUFTING
    • D05C9/00Appliances for holding or feeding the base fabric in embroidering machines
    • D05C9/02Appliances for holding or feeding the base fabric in embroidering machines in machines with vertical needles
    • D05C9/04Work holders, e.g. frames
    • D05C9/06Feeding arrangements therefor, e.g. influenced by patterns, operated by pantograph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봉제 프레임의 변형을 방지하여 봉제 프레임을 고 정밀도로 위치 결정할 수 있는 재봉틀용 봉제 프레임 구동 장치를 제공한다. 봉제 프레임(50)을 전후 방향으로 구동하는 전후 방향 구동부(70)는, 볼 나사(86, 106)와, 모터(84, 104)와, 이동 부재(87, 107)를 갖고, 이동 부재(87)의 결합 롤러(92)가 봉제 프레임의 장변부(52)에 결합하고, 이동 부재(107)의 결합 롤러(112)가 장변부(54)에 결합한다. 전후 방향 구동부(71)의 이동 부재(87, 107)는, 봉제 프레임(50)의 단변부(56, 58)에 접속되어 있다. 전후 방향 구동부(70, 71)에 있어서, 볼 나사(86)와 볼 나사(106)는 연결 부재(124)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좌우 방향 구동부(130)의 이동 부재(137)는 전후 방향 구동부(71)를 지지하고 있다.

Description

재봉틀용 봉제 프레임 구동 장치 {DRIVE DEVICE FOR SEWING MACHINE SEWING FRAME}
본 발명은, 재봉틀(자수용 재봉틀)에 관한 것이며, 특히, 가공 천을 전장(展張) 유지하는 봉제 프레임을 X 방향(좌우 방향) 및 Y 방향(전후 방향)으로 구동하는 재봉틀의 봉제 프레임 구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재봉틀, 특히 자수용 재봉틀에서는, 가공 천을 전장하는 봉제 프레임을 X 방향 및 Y 방향으로 구동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이나 특허문헌 2에서의 봉제 프레임 구동 장치에서는, 봉제 프레임을 좌우 방향으로 구동하는 X 구동 기구가 봉제 프레임의 1변에 설치되는 동시에, 전후 방향으로 구동하는 Y 구동 기구가 봉제 프레임의 1변에 설치되고, X 구동 기구 및 Y 구동 기구는, 각각 1대의 모터와 복수 개의 볼 나사를 갖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3에서는, 봉제 프레임의 장변을 구동하는 볼 나사 구동 기구나 벨트 구동 기구를 설치하고, 볼 나사 구동 기구나 벨트 구동 기구에 구동되는 장변의 상대 장변에는, 슬라이드 가이드 기구가 설치되고, 상호 전후 연장 상에 대응하는 후방측의 볼 나사 구동 기구의 너트 또는 벨트 구동 기구의 슬라이더와, 전방측의 슬라이드 가이드 기구의 슬라이더가 연결 바로 서로 연결되어 있는 점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4에서는, 봉제 프레임의 장변을 구동하는 볼 나사 구동 기구를 설치하고, 볼 나사 구동 기구에 구동되는 장변의 상대 장변에는, 슬라이드 가이드 기구가 설치되고, 후방측의 볼 나사 구동 기구의 너트와 전방측의 슬라이드 가이드 기구의 슬라이더가 연결 바로 서로 연결되어 있는 점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공개 특허 제2005-65960호 공보 일본 공개 특허 제2005-65959호 공보 일본 공개 특허 제2003-336162호 공보 일본 공개 특허 제2002-102571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이나 특허문헌 2에서는, 봉제 프레임의 상대 변부의 한쪽에만 X 구동 기구와 Y 구동 기구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봉제 프레임이 변형되어 봉제 프레임을 고 정밀도로 위치 결정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즉, 봉제 프레임은, 통상 알루미늄 등의 강성이 약한 소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그 단면은 대략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봉제 프레임 자체가 변형되기 쉬워, 봉제 프레임의 상대 변부의 한쪽에만 X 구동 기구와 Y 구동 기구를 설치했을 경우에는, X 구동 기구나 Y 구동 기구를 설치하지 않은 변부는 변형되기 쉽다.
특히, 봉제 프레임은 보통 직사각 형상의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X 방향에 봉제 프레임의 장변이 설치되고, Y 방향에 봉제 프레임의 단변이 설치되는데, 가공 천에 대해 봉제를 행함에 따라서 가공 천이 내측으로 당겨지고, 이에 수반하여 봉제 프레임이 내측으로 당겨지며, 특히 자수용 재봉틀의 봉제 프레임의 경우에는, 봉제 밀도가 높기 때문에 그만큼 내측으로 당겨지는 힘이 강하다. 또한, 봉제 프레임은 직사각 형상이므로, 내측으로 당겨짐으로써 장변이 변형되기 쉽다.
또한, 특허문헌 3이나 특허문헌 4에서는, 봉제 프레임에서의 상대 장변에 있어서, 구동되는 장변에 상대하는 장변에는 슬라이드 기구부가 설치되어 있고, 연결 바가 설치되어 있는데, 슬라이드 기구부의 슬라이더는, 볼 나사 구동 기구나 벨트 구동 기구에서의 슬라이더가 구동됨으로써 연결 바를 통해 종동될 뿐이므로, 연결 바의 강성에 따라서는 봉제에 수반되는 인장력에 의해 연결 바가 휘어져, 봉제 프레임 자체도 변형된다는 우려가 있다.
또한, 특허문헌 1이나 특허문헌 2에서는, 봉제 프레임의 각 변을 따라 1대의 모터와 복수 개의 볼 나사가 설치되고, 볼 나사의 샤프트를 기어를 통해 전동축에 접속하여, 전동축을 모터의 출력축에 결합하고 있는데, 특히, 봉제 프레임의 장변에 있어서는, 전동축이 길어지기 때문에 전동축 자체가 비틀어져, 각 볼 나사의 구동의 동기를 정확하게 취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점은, 특허문헌 3에서도, Y 방향 구동 모터로부터 신장된 볼 나사 구동축이 비틀어짐으로써, 장변을 따른 볼 나사 구동 기구나 벨트 구동 기구의 구동의 동기를 정확하게 취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이, 봉제 프레임의 1개의 변부를 따른 구동 기구의 동기가 정확하지 않은 경우에는, 봉제 프레임의 변형을 발생시켜, 봉제 프레임을 고 정밀도로 위치 결정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점은, 봉제 프레임의 변형을 방지하여 봉제 프레임을 고 정밀도로 위치 결정할 수 있는 재봉틀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창작된 것이며, 첫째, 재봉틀에 있어서 봉제를 행하는 가공 천을 전장하기 위한 사각 프레임 형상의 봉제 프레임에서, 서로 평행하게 설치된 한 쌍의 장변부(52, 54)와, 장변부에 대하여 직각 방향으로 설치되고, 서로 평행하게 설치된 한 쌍의 단변부(56, 58)를 갖는 봉제 프레임(50)을 구동하는 재봉틀용 봉제 프레임 구동 장치이며, 상기 봉제 프레임을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구동하는 봉제 프레임 구동부에서, 봉제 프레임을 전후 방향으로 구동하는 제1 전후 방향 구동부(70, 70', 140, 140') 및 제2 전후 방향 구동부(71, 71', 141, 141')와, 봉제 프레임을 좌우 방향으로 구동하는 좌우 방향 구동부(130, 195)를 갖고, 제1 전후 방향 구동부가, 장변부의 한쪽에 결합하는 결합 부재(92, 168)를 갖고,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제1 이동 부재(87, 163)와, 장변부의 다른 쪽에 결합하는 결합 부재(112, 188)를 갖고,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제2 이동 부재(107, 183)와, 제1 이동 부재와 제2 이동 부재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구동부(84, 104, 158, 178)를 갖고, 제2 전후 방향 구동부가 한 쌍의 단변부에서의 각 단변부에 따라서 각각 설치되고, 봉제 프레임의 단변부 또는 봉제 프레임의 한쪽 장변부의 길이 방향의 단부에 접속 부재(49)를 통해 접속된 제3 이동 부재(87, 163)와, 봉제 프레임의 단변부 또는 봉제 프레임의 다른 쪽 장변부의 길이 방향의 단부에 접속 부재(49)를 통해 접속되고 제3 이동 부재와 간격을 두고 설치된 제4 이동 부재(107, 183)와, 제3 이동 부재와 제4 이동 부재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구동부(84, 104, 158, 178)와, 제2 구동부를 지지하는 동시에, 제3 이동 부재와 제4 이동 부재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71A, 71A', 141A, 141A')를 갖고, 좌우 방향 구동부는, 한 쌍의 단변부에서의 각 단변부에 따라서 각각 설치되고, 각 좌우 방향 구동부는,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2 전후 방향 구동부의 지지부를 지지하는 제5 이동 부재(137, 195-13)와, 제5 이동 부재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3 구동부(134, 195-8)를 갖는 봉제 프레임 구동부(60)와, 제1 이동 부재와 제2 이동 부재가 동일 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시에, 제3 이동 부재와 제4 이동 부재가 제1 이동 부재와 동일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제1 구동부와 제2 구동부를 동기해서 제어하고, 제5 이동 부재가 동일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단변부의 한쪽 측의 좌우 방향 구동부의 제3 구동부와 단변부의 다른 쪽 측의 좌우 방향 구동부의 제3 구동부를 동기해서 제어하는 제어 회로(200)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제1 구성의 재봉틀에서는, 봉제 프레임에 가공 천을 장설(張設)한 상태에서, 봉제 프레임을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가공 천을 봉제(특히, 자수 봉제)한다. 즉, 제어 회로의 제어에 따라서, 제1 전후 방향 구동부에서의 제1 구동부가 동작하면, 제1 이동 부재와 제2 이동 부재가 이동하고, 제2 전후 방향 구동부에서의 제2 구동부가 동작하면, 제3 이동 부재와 제4 이동 부재가 이동한다. 또한, 제어 회로의 제어에 따라서, 좌우 방향 구동부에서의 제3 구동부가 동작하면, 제5 이동 부재가 좌우 방향으로 이동한다.
제1 이동 부재와 제2 이동 부재의 결합 부재는, 봉제 프레임의 장변부에 결합하고, 또한, 제3 이동 부재와 제4 이동 부재는, 봉제 프레임의 단변부 또는 봉제 프레임의 장변부의 길이 방향의 단부에 접속 부재를 통해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제1 이동 부재 및 제2 이동 부재가 이동하고, 또한, 제3 이동 부재 및 제4 이동 부재가 이동함으로써 봉제 프레임은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고, 또한, 좌우 방향 구동부의 제5 이동 부재는, 제2 전후 방향 구동부의 지지부를 지지하고 있으므로, 제3 이동 부재가 이동함으로써 봉제 프레임은 좌우 방향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봉제 프레임에서의 한 쌍의 장변부와, 한 쌍의 단변부 또는 봉제 프레임의 장변부의 길이 방향의 단부에 대해서 이동 부재에 의해 지지하기 때문에, 봉제 프레임의 변형을 매우 작게 할 수 있어, 봉제 프레임을 고 정밀도로 위치 결정할 수 있다. 특히, 제2 전후 방향 구동부의 제3 이동 부재와 제4 이동 부재가 봉제 프레임에 접속 부재를 통해 접속되어, 제2 전후 방향 구동부가 좌우 방향 구동부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구동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봉제 프레임에서의 길이 방향의 단부 영역이 전후 방향으로 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둘째, 상기 제1 구성에서, 제1 전후 방향 구동부가, 제1 이동 부재와 제2 이동 부재 간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제1 간격 유지 수단(125, 86', 190)을 갖고, 제2 전후 방향 구동부가, 제3 이동 부재와 제4 이동 부재 간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제2 간격 유지 수단(125, 86, 190)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제2 구성에 따르면, 제1 간격 유지 수단에 의해 제1 이동 부재와 제2 이동 부재의 간격이 유지되므로, 봉제 프레임의 장변부가 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2 간격 유지 수단에 의해 제3 이동 부재와 제4 이동 부재의 간격이 유지되므로, 봉제 프레임에서의 길이 방향의 단부 영역이 전후 방향으로 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셋째, 상기 제2 구성에서, 제1 전후 방향 구동부(70, 70')가, 제1 간격 유지 수단으로서의 회전 가능하게 전후 방향에 설치된 제1 전후 방향 구동부용 볼 나사(125, 86')를 갖고, 제1 이동 부재와 제2 이동 부재가 상기 제1 전후 방향 구동부용 볼 나사에 나사 결합하여, 제1 구동부가 상기 제1 전후 방향 구동부용 볼 나사를 회전시킴으로써, 제1 이동 부재와 제2 이동 부재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제1 이동 부재와 제2 이동 부재가 볼 나사에 나사 결합함으로써, 제1 이동 부재와 제2 이동 부재 간의 간격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넷째, 상기 제3 구성에서, 제1 전후 방향 구동부(70)에 있어서, 제1 전후 방향 구동부용 볼 나사(125)가, 회전 가능하게 전후 방향에 설치된 제1 볼 나사(86)와, 회전 가능하게 전후 방향에 설치되고, 제1 볼 나사와 동축에 설치된 제2 볼 나사(106)와, 제1 볼 나사의 제2 볼 나사측의 단부와 제2 볼 나사의 제1 볼 나사측의 단부의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124)를 갖고, 제1 이동 부재는 제1 볼 나사에 나사 결합하는 동시에, 제2 이동 부재는 제2 볼 나사에 나사 결합하고, 제1 구동부는, 제1 볼 나사를 회전시키는 제1 모터(84)와, 제2 볼 나사의 제1 볼 나사측과는 반대측의 단부에 접속되어, 제2 볼 나사를 회전시키는 제2 모터(104)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제4 구성에 따르면, 제어 회로의 제어에 따라서, 제1 전후 방향 구동부에서의 제1 모터가 동작하면 제1 볼 나사가 회전하고, 제2 모터가 동작하면 제2 볼 나사가 회전한다. 제1 볼 나사의 회전에 수반하여 제1 이동 부재가 이동하고, 제2 볼 나사의 회전에 수반하여 제2 이동 부재가 이동한다. 제1 이동 부재와 제2 이동 부재의 결합 부재는, 봉제 프레임의 장변부에 결합하므로, 제1 이동 부재 및 제2 이동 부재가 이동함으로써, 봉제 프레임은 전후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상과 같이, 제1 모터와 제2 모터에 의해 봉제 프레임의 장변부를 능동적으로 위치 결정함으로써, 봉제에 의한 가공 천의 인장력에 의해 내측으로 당겨져도 봉제 프레임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볼 나사는 일반적으로 강성이 높으므로, 봉제에 의한 인장력에 의해서도, 제1 볼 나사와 제2 볼 나사와 연결 부재로 이루어지는 축 형상 부재가 휠 우려는 작다.
또한, 특히 봉제 프레임의 장변부를 지지하는 제1 전후 방향 구동부에서는, 제1 볼 나사와 제2 볼 나사가 연결 부재를 통해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봉제 프레임이 변형됨(특히, 내측으로 변형됨)으로써 모터의 힘에 저항해서 너트가 이동하려고 해도, 너트가 나사 결합하는 볼 나사는 다른 쪽의 볼 나사와 일체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모터의 힘에 저항해서 이동되는 경우가 없어, 봉제 프레임의 장변부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4 구성에서, 제1 볼 나사의 양단부가 제1 브래킷(82, 282)에 축지지되는 동시에, 제1 볼 나사의 제2 볼 나사측이 제1 브래킷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고, 제2 볼 나사의 양단부가 제2 브래킷(102, 302)에 축지지되는 동시에, 제2 볼 나사의 제1 볼 나사측이 제2 브래킷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또한, 다섯째, 상기 제2 내지 제4 중 어느 하나의 구성에서, 제2 전후 방향 구동부(71, 71')의 지지부(71A, 71A')가, 제2 간격 유지 수단으로서의 회전 가능하게 전후 방향에 설치된 제2 전후 방향 구동부용 볼 나사(125, 86)를 갖고, 제3 이동 부재와 제4 이동 부재가 상기 제2 전후 방향 구동부용 볼 나사에 나사 결합하여, 제2 구동부가 상기 제2 전후 방향 구동부용 볼 나사를 회전시킴으로써, 제3 이동 부재와 제4 이동 부재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제3 이동 부재와 제4 이동 부재가 볼 나사에 나사 결합함으로써, 제3 이동 부재와 제4 이동 부재 간의 간격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여섯째, 상기 제5 구성에서, 제2 전후 방향 구동부(71)에 있어서, 제2 전후 방향 구동부용 볼 나사(125)가, 회전 가능하게 전후 방향에 설치된 제3 볼 나사(86)와, 회전 가능하게 전후 방향에 설치되고, 제3 볼 나사와 동축에 설치된 제4 볼 나사(106)와, 제3 볼 나사의 제4 볼 나사측의 단부와 제4 볼 나사의 제2 볼 나사측의 단부의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124)를 갖고, 제3 이동 부재는 제3 볼 나사에 나사 결합하는 동시에, 제4 이동 부재는 제4 볼 나사에 나사 결합하고, 제2 구동부는, 제3 볼 나사를 회전시키는 제3 모터(84)와, 제4 볼 나사의 제3 볼 나사측과는 반대측의 단부에 접속되어, 제4 볼 나사를 회전시키는 제4 모터(104)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제6 구성에 따르면, 제어 회로의 제어에 따라서, 제2 전후 방향 구동부에서의 제3 모터가 동작하면 제3 볼 나사가 회전하고, 제4 모터가 동작하면 제4 볼 나사가 회전한다. 제3 볼 나사의 회전에 수반하여 제3 이동 부재가 이동하고, 제4 볼 나사의 회전에 수반하여 제4 이동 부재가 이동한다. 제3 이동 부재와 제4 이동 부재는, 봉제 프레임의 단변부 또는 봉제 프레임의 장변부의 길이 방향의 단부에 접속되어 있으므로, 제3 이동 부재 및 제4 이동 부재가 이동함으로써, 봉제 프레임은 전후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상과 같이, 봉제 프레임의 단변부의 소정 위치 또는 봉제 프레임의 장변부의 길이 방향의 단부 위치를 능동적으로 위치 결정함으로써, 봉제에 의한 가공 천의 인장력에 의해 내측으로 당겨져도 봉제 프레임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볼 나사는 일반적으로 강성이 높으므로, 봉제에 의한 인장력에 의해서도, 제3 볼 나사와 제4 볼 나사와 연결 부재로 이루어지는 축 형상 부재가 휠 우려는 작다.
또한, 특히 봉제 프레임의 단변부를 따라 봉제 프레임을 지지하는 제2 전후 방향 구동부에서는, 제3 볼 나사와 제4 볼 나사가 연결 부재를 통해 일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봉제 프레임이 변형됨(특히, 내측으로 변형됨)으로써 모터의 힘에 저항해서 너트가 이동하려고 해도, 너트가 나사 결합하는 볼 나사는 다른 쪽의 볼 나사와 일체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모터의 힘에 저항해서 이동하는 경우가 없어, 봉제 프레임에서의 길이 방향의 단부 영역이 전후 방향으로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일곱째, 상기 제1 내지 제6 중 어느 하나의 구성에서, 좌우 방향 구동부(130, 195)의 제5 이동 부재가, 제3 구동부에 의해 구동되는 볼 나사 기구 또는 타이밍 벨트 기구에 의해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봉제 프레임의 단변부를 능동적으로 위치 결정함으로써, 봉제에 의한 가공 천의 인장력에 의해 내측으로 당겨져도 봉제 프레임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여덟째, 상기 제1 내지 제7 중 어느 하나의 구성에서, 좌우 방향 구동부(130)는, 한쪽의 단변부와 다른 쪽의 단변부에 따라서 각각 설치되고, 한쪽의 단변부에 따라서 설치된 제1 좌우 방향 구동부는, 회전 가능하게 좌우 방향에 설치된 제5 볼 나사(136)를 갖고, 상기 제5 볼 나사는, 제1 좌우 방향 구동부에 설치된 제3 구동부로서의 제5 모터(134)에 의해 회전되고, 제1 좌우 방향 구동부에 설치된 제5 이동 부재는, 제5 볼 나사에 나사 결합해서 제5 볼 나사가 회전함으로써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고, 다른 쪽의 단변부에 따라서 설치된 제2 좌우 방향 구동부는, 회전 가능하게 좌우 방향에 설치된 제6 볼 나사(136)를 갖고, 상기 제6 볼 나사는, 제2 좌우 방향 구동부에 설치된 제3 구동부로서의 제6 모터(134)에 의해 회전되고, 제2 좌우 방향 구동부에 설치된 제5 이동 부재는, 제6 볼 나사에 나사 결합해서 제6 볼 나사가 회전함으로써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아홉째, 상기 제2 구성에서, 제1 전후 방향 구동부(140)가, 전후 방향에 주회(周回) 가능하게 설치된 제1 타이밍 벨트(162)와, 전후 방향에 주회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1 타이밍 벨트의 주회로의 연장선상에 그 주회로가 설치된 제2 타이밍 벨트(182)를 갖고, 제1 이동 부재가 제1 타이밍 벨트에 고정되는 동시에, 제2 이동 부재가 제2 타이밍 벨트에 고정되고, 제1 이동 부재와 제2 이동 부재 간에는, 제1 간격 유지 수단으로서의 막대 형상의 연결 부재(190)가 설치되고, 제1 구동부가, 제1 타이밍 벨트를 주회시키는 제1 모터와, 제2 타이밍 벨트를 주회시키는 제2 모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제9 구성에 따르면, 제어 회로의 제어에 따라서, 제1 전후 방향 구동부에서의 제1 모터가 동작하면 제1 타이밍 벨트가 주회하고, 제2 모터가 동작하면 제2 타이밍 벨트가 주회한다. 제1 타이밍 벨트의 주회에 수반하여 제1 이동 부재가 이동하고, 제2 타이밍 벨트의 주회에 수반하여 제2 이동 부재가 이동한다. 제1 이동 부재와 제2 이동 부재의 결합 부재는, 봉제 프레임의 장변부에 결합하기 때문에, 제1 이동 부재 및 제2 이동 부재가 이동함으로써, 봉제 프레임은 전후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상과 같이, 제1 이동 부재가 제1 타이밍 벨트에 고정되는 동시에, 제2 이동 부재가 제2 타이밍 벨트에 고정되고, 또한, 제1 이동 부재와 제2 이동 부재 간에는, 제1 간격 유지 수단으로서의 막대 형상의 연결 부재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제1 이동 부재와 제2 이동 부재 간의 간격을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모터와 제2 모터에 의해 봉제 프레임의 장변부를 능동적으로 위치 결정함으로써, 봉제에 의한 가공 천의 인장력에 의해 내측으로 당겨져도 봉제 프레임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특히 봉제 프레임의 장변부를 지지하는 제1 전후 방향 구동부에서는, 제1 이동 부재와 제2 이동 부재가 연결 부재를 통해 일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봉제 프레임이 변형됨(특히, 내측으로 변형됨)으로써 모터의 힘에 저항해서 이동 부재가 이동하려고 해도, 연결 부재에 의해 이동이 규제되어 모터의 힘에 저항해서 이동하는 경우가 없다. 즉, 가공 천에 봉제를 행함에 따라서 가공 천이 내측으로 당겨지면, 봉제 프레임에서의 장변부도 내측으로 당겨지고, 이동 부재는 모두 내측으로 당겨지지만, 이동 부재는 모두 연결 부재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내측으로 이동하지 않는다. 따라서, 봉제 프레임, 특히 그 장변부가 변형될 우려를 매우 작게 할 수 있어, 봉제 프레임을 고 정밀도로 위치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열번째, 상기 제2 구성에서, 제1 전후 방향 구동부(140')가, 전후 방향에 주회 가능하게 설치된 제1 전후 방향 구동부용 타이밍 벨트(162)를 갖고, 제1 이동 부재와 제2 이동 부재가 제1 전후 방향 구동부용 타이밍 벨트에 고정되고, 제1 이동 부재와 제2 이동 부재 간에는, 상기 제1 간격 유지 수단으로서의 막대 형상의 연결 부재(190)가 설치되어, 제1 구동부가, 제1 전후 방향 구동부용 타이밍 벨트를 주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제10 구성에 따르면, 제어 회로의 제어에 따라서, 제1 전후 방향 구동부에서의 제1 구동부가 구동하면 제1 전후 방향 구동부용 타이밍 벨트가 주회하여, 제1 이동 부재와 제2 이동 부재가 이동한다. 제1 이동 부재와 제2 이동 부재의 결합 부재는, 봉제 프레임의 장변부에 결합하므로, 제1 이동 부재 및 제2 이동 부재가 이동함으로써 봉제 프레임은 전후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상과 같이, 제1 이동 부재와 제2 이동 부재가 제1 전후 방향 구동부용 타이밍 벨트에 고정되고, 또한, 제1 이동 부재와 제2 이동 부재 간에는, 제1 간격 유지 수단으로서의 막대 형상의 연결 부재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제1 이동 부재와 제2 이동 부재 간의 간격을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구동부에 의해 봉제 프레임의 장변부를 능동적으로 위치 결정함으로써, 봉제에 의한 가공 천의 인장력에 의해 내측으로 당겨져도 봉제 프레임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특히 봉제 프레임의 장변부를 지지하는 제1 전후 방향 구동부에서는, 제1 이동 부재와 제2 이동 부재가 연결 부재를 통해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봉제 프레임이 변형됨(특히, 내측으로 변형됨)으로써 모터의 힘에 저항해서 이동 부재가 이동하려고 해도, 연결 부재에 의해 이동이 규제되어 모터의 힘에 저항해서 이동하는 경우가 없다. 즉, 가공 천에 봉제를 행함에 따라서 가공 천이 내측으로 당겨지면, 봉제 프레임에서의 장변부도 내측으로 당겨지고, 이동 부재는 모두 내측으로 당겨지지만, 이동 부재는 모두 연결 부재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내측으로 이동하지 않는다. 따라서, 봉제 프레임, 특히 그 장변부가 변형될 우려를 매우 작게 할 수 있어, 봉제 프레임을 고 정밀도로 위치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열 한번째, 상기 제2 또는 제9 또는 제10 구성에서, 제2 전후 방향 구동부(141)의 지지부(141A)가, 전후 방향에 주회 가능하게 설치된 제3 타이밍 벨트(162)와, 전후 방향에 주회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1 타이밍 벨트의 주회로의 연장선상에 그 주회로가 설치된 제4 타이밍 벨트(182)를 갖고, 제3 이동 부재가 제3 타이밍 벨트에 고정되는 동시에, 제4 이동 부재가 제4 타이밍 벨트에 고정되고, 제3 이동 부재와 제4 이동 부재 간에는, 제2 간격 유지 수단으로서의 막대 형상의 연결 부재(190)가 설치되고, 제2 구동부가, 제3 타이밍 벨트를 주회시키는 제3 모터와, 제4 타이밍 벨트를 주회시키는 제4 모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제11 구성에 따르면, 제어 회로의 제어에 따라서, 제2 전후 방향 구동부에서의 제3 모터가 동작하면 제3 타이밍 벨트가 주회하고, 제4 모터가 동작하면 제4 타이밍 벨트가 주회한다. 제3 타이밍 벨트의 주회에 수반하여 제3 이동 부재가 이동하고, 제4 타이밍 벨트의 주회에 수반하여 제4 이동 부재가 이동한다. 제3 이동 부재와 제4 이동 부재는 봉제 프레임의 단변부 또는 봉제 프레임의 장변부의 길이 방향의 단부에 접속되어 있으므로, 제3 이동 부재 및 제4 이동 부재가 이동함으로써, 봉제 프레임은 전후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상과 같이, 제3 이동 부재가 제3 타이밍 벨트에 고정되는 동시에, 제4 이동 부재가 제4 타이밍 벨트에 고정되고, 또한, 제3 이동 부재와 제4 이동 부재 간에는, 제2 간격 유지 수단으로서의 막대 형상의 연결 부재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제3 이동 부재와 제4 이동 부재 간의 간격을 유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봉제 프레임의 단변부의 소정 위치 또는 봉제 프레임의 장변부의 길이 방향의 단부 위치를 능동적으로 위치 결정함으로써, 봉제에 의한 가공 천의 인장력에 의해 내측으로 당겨져도 봉제 프레임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특히 봉제 프레임의 단변부를 따라 설치된 제2 전후 방향 구동부에서는, 제3 이동 부재와 제4 이동 부재가 연결 부재를 통해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봉제 프레임이 변형됨(특히, 내측으로 변형됨)으로써 모터의 힘에 저항해서 이동 부재가 이동하려고 해도, 연결 부재에 의해 이동이 규제되어 모터의 힘에 저항해서 이동하는 경우가 없다. 즉, 가공 천에 봉제를 행함에 따라서 가공 천이 내측으로 당겨지면, 봉제 프레임에서의 장변부도 내측으로 당겨지고, 이동 부재는 모두 내측으로 당겨지지만, 이동 부재는 모두 연결 부재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내측으로 이동하지 않는다. 따라서, 봉제 프레임, 특히 그 장변부가 변형될 우려를 매우 작게 할 수 있어, 봉제 프레임에서의 길이 방향의 단부 영역이 전후 방향으로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열 두번째, 상기 제2 또는 제9 또는 제10 구성에서, 제2 전후 방향 구동부(141')의 지지부(141A')가, 전후 방향에 주회 가능하게 설치된 제2 전후 방향 구동부용 타이밍 벨트를 갖고, 제3 이동 부재와 제4 이동 부재가 제2 전후 방향 구동부용 타이밍 벨트에 고정되고, 제3 이동 부재와 제4 이동 부재 간에는, 상기 제2 간격 유지 수단으로서의 막대 형상의 연결 부재가 설치되어, 제2 구동부가, 제2 전후 방향 구동부용 타이밍 벨트를 주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2 구성에 따르면, 제어 회로의 제어에 따라서, 제2 전후 방향 구동부에서의 제2 구동부가 동작하면 제2 전후 방향 구동부용 타이밍 벨트가 주회한다. 그러면, 제3 이동 부재와 제4 이동 부재가 이동한다. 제3 이동 부재와 제4 이동 부재는 봉제 프레임의 단변부 또는 봉제 프레임의 장변부의 길이 방향의 단부에 접속되어 있으므로, 제3 이동 부재 및 제4 이동 부재가 이동함으로써, 봉제 프레임은 전후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상과 같이, 제3 이동 부재와 제4 이동 부재가 제2 전후 방향 구동부용 타이밍 벨트에 고정되고, 또한, 제3 이동 부재와 제4 이동 부재 간에는, 제2 간격 유지 수단으로서의 막대 형상의 연결 부재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제3 이동 부재와 제4 이동 부재 간의 간격을 유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봉제 프레임의 단변부의 소정 위치 또는 봉제 프레임의 장변부의 길이 방향의 단부 위치를 능동적으로 위치 결정함으로써, 봉제에 의한 가공 천의 인장력에 의해 내측으로 당겨져도 봉제 프레임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특히 봉제 프레임의 단변부를 따라 설치된 제2 전후 방향 구동부에서는, 제3 이동 부재와 제4 이동 부재가 연결 부재를 통해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봉제 프레임이 변형됨(특히, 내측으로 변형됨)으로써 모터의 힘에 저항해서 이동 부재가 이동하려고 해도, 연결 부재에 의해 이동이 규제되어 모터의 힘에 저항해서 이동하지 않는다. 즉, 가공 천에 봉제를 행함에 따라서 가공 천이 내측으로 당겨지면, 봉제 프레임에서의 장변부도 내측으로 당겨지고, 이동 부재는 모두 내측으로 당겨지는데, 이동 부재는 모두 연결 부재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내측으로 이동하지 않는다. 따라서, 봉제 프레임, 특히 그 장변부가 변형될 우려를 매우 작게 할 수 있어, 봉제 프레임에서의 길이 방향의 단부 영역이 전후 방향으로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열 세번째, 상기 제9 내지 제12 중 어느 하나의 구성에서, 좌우 방향 구동부(130, 195)의 제5 이동 부재가, 제3 구동부에 의해 구동되는 볼 나사 기구 또는 타이밍 벨트 기구에 의해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봉제 프레임의 단변부를 능동적으로 위치 결정함으로써, 봉제에 의한 가공 천의 인장력에 의해 내측으로 당겨져도 봉제 프레임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열 네번째, 상기 제1 또는 제2 또는 제9 또는 제10 또는 제11 또는 제12 또는 제13 구성에서, 좌우 방향 구동부(195)는, 한쪽의 단변부와 다른 쪽의 단변부에 따라서 각각 설치되고, 한쪽의 단변부에 따라서 설치된 제1 좌우 방향 구동부는, 좌우 방향에 주회 가능하게 설치된 제5 타이밍 벨트(195-12)를 갖고, 상기 제5 타이밍 벨트는, 제1 좌우 방향 구동부에 설치된 제3 구동부로서의 제5 모터(195-8)에 의해 회전되고, 제1 좌우 방향 구동부에 설치된 제5 이동 부재는, 제5 타이밍 벨트에 고정되어 제5 타이밍 벨트가 주회함으로써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고, 다른 쪽의 단변부에 따라서 설치된 제2 좌우 방향 구동부는, 좌우 방향에 주회 가능하게 설치된 제6 타이밍 벨트(195-12)를 갖고, 상기 제6 타이밍 벨트는, 제2 좌우 방향 구동부에 설치된 제3 구동부로서의 제6 모터(195-8)에 의해 회전되고, 제2 좌우 방향 구동부에 설치된 제5 이동 부재는, 제6 타이밍 벨트에 고정되어 제6 타이밍 벨트가 주회함으로써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5 구성으로서, 이하의 구성으로 해도 좋다. 즉, "재봉틀에 있어서 봉제를 행하는 가공 천을 전장하기 위한 사각 프레임 형상의 봉제 프레임에서, 서로 평행하게 설치된 한 쌍의 장변부(52, 54)와, 장변부에 대하여 직각 방향으로 설치되고, 서로 평행하게 설치된 한 쌍의 단변부(56, 58)를 갖는 봉제 프레임(50)을 구동하는 재봉틀용 봉제 프레임 구동 장치이며, 상기 봉제 프레임을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구동하는 봉제 프레임 구동부에서, 봉제 프레임을 전후 방향으로 구동하는 제1 전후 방향 구동부(70) 및 제2 전후 방향 구동부(71)와, 봉제 프레임을 좌우 방향으로 구동하는 좌우 방향 구동부(130)를 갖고, 제1 전후 방향 구동부(70)가, 회전 가능하게 전후 방향에 설치된 제1 볼 나사(86)와, 제1 볼 나사의 제2 볼 나사측과는 반대측의 단부에 접속되어, 제1 볼 나사를 회전시키는 제1 모터(84)와, 제1 볼 나사에 나사 결합하여 제1 볼 나사가 회전함으로써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고, 장변부의 한쪽에 결합하는 결합 부재(92)를 갖는 제1 이동 부재(87)와, 회전 가능하게 전후 방향에 설치되고, 제1 볼 나사와 동축에 설치된 제2 볼 나사(106)와, 제2 볼 나사의 제1 볼 나사측과는 반대측의 단부에 접속되어, 제2 볼 나사를 회전시키는 제2 모터(104)와, 제2 볼 나사에 나사 결합하여 제2 볼 나사가 회전함으로써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고, 장변부의 다른 쪽에 결합하는 결합 부재(112)를 갖는 제2 이동 부재(107)와, 제1 볼 나사의 제2 볼 나사측의 단부와 제2 볼 나사의 제1 볼 나사측의 단부의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124)를 갖고, 제2 전후 방향 구동부(71)가, 회전 가능하게 전후 방향에 설치된 제3 볼 나사(86)와, 제3 볼 나사의 제4 볼 나사측과는 반대측의 단부에 접속되어, 제3 볼 나사를 회전시키는 제3 모터(84)와, 제3 볼 나사에 나사 결합하여 제3 볼 나사가 회전함으로써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고, 봉제 프레임의 단변부 또는 봉제 프레임의 장변부의 길이 방향의 단부에 접속 부재(49)를 통해 접속된 제3 이동 부재(87)와, 회전 가능하게 전후 방향에 설치되고, 제3 볼 나사와 동축에 설치된 제4 볼 나사(106)와, 제4 볼 나사의 제3 볼 나사측과는 반대측의 단부에 접속되어, 제4 볼 나사를 회전시키는 제4 모터(104)와, 제4 볼 나사에 나사 결합하여 제4 볼 나사가 회전함으로써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고, 봉제 프레임의 단변부 또는 봉제 프레임의 장변부의 길이 방향의 단부에 접속 부재(49)를 통해 접속된 제4 이동 부재(107)와, 제3 볼 나사의 제4 볼 나사측의 단부와 제4 볼 나사의 제3 볼 나사측의 단부의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124)와, 제3 볼 나사와 제3 모터와 제4 볼 나사와 제4 모터를 지지하는 지지부(72)를 갖고, 봉제 프레임의 단변부를 따라 설치되고, 좌우 방향 구동부(130)는, 한 쌍의 단변부를 따라 각각 설치되고, 각 좌우 방향 구동부는,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2 전후 방향 구동부(71)의 지지부(72)를 지지하는 제5 이동 부재(137)와, 제5 이동 부재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5 모터(134)를 갖고, 제5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볼 나사 기구 또는 타이밍 벨트 기구에 의해 제5 이동 부재가 이동되는 봉제 프레임 구동부(60)와, 각 모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회로에서, 제1 볼 나사와 제2 볼 나사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해서 제1 이동 부재와 제2 이동 부재가 동일 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시에, 제3 볼 나사와 제4 볼 나사가 제1 볼 나사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해서 제3 이동 부재와 제4 이동 부재가 제1 이동 부재와 동일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제1 모터와 제2 모터와 제3 모터와 제4 모터를 동기해서 제어하고, 제5 이동 부재가 동일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단변부의 한쪽 측의 좌우 방향 구동부의 제5 모터와 단변부의 다른 쪽 측의 좌우 방향 구동부의 제5 모터를 동기해서 제어하는 제어 회로(200)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용 봉제 프레임 구동 장치."로 해도 좋다.
또한, 제16 구성으로서, 이하의 구성으로 해도 좋다. 즉, "재봉틀에 있어서 봉제를 행하는 가공 천을 전장하기 위한 사각 프레임 형상의 봉제 프레임에서, 서로 평행하게 설치된 한 쌍의 장변부(52, 54)와, 장변부에 대하여 직각 방향으로 설치되고, 서로 평행하게 설치된 한 쌍의 단변부(56, 58)를 갖는 봉제 프레임(50)을 구동하는 재봉틀용 봉제 프레임 구동 장치이며, 상기 봉제 프레임을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구동하는 봉제 프레임 구동부에서, 봉제 프레임을 전후 방향으로 구동하는 제1 전후 방향 구동부(140) 및 제2 전후 방향 구동부(141)와, 봉제 프레임을 좌우 방향으로 구동하는 좌우 방향 구동부(195)를 갖고, 제1 전후 방향 구동부(140)가, 전후 방향에 주회 가능하게 설치된 제1 타이밍 벨트(162)와, 제1 타이밍 벨트를 주회시키는 제1 모터(158)와, 제1 타이밍 벨트에 고정되어 제1 타이밍 벨트가 주회함으로써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고, 한쪽의 장변부에 결합하는 결합 부재를 갖는 제1 이동 부재(163)와, 전후 방향에 주회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1 타이밍 벨트의 주회로의 연장선상에 그 주회로가 설치된 제2 타이밍 벨트(182)와, 제2 타이밍 벨트를 주회시키는 제2 모터(178)와, 제2 타이밍 벨트에 고정되어 제2 타이밍 벨트가 주회함으로써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고, 다른 쪽의 장변부에 결합하는 결합 부재를 갖는 제2 이동 부재(183)와, 제1 이동 부재와 제2 이동 부재 간에 설치된 막대 형상의 연결 부재(190)를 갖고, 제2 전후 방향 구동부(141)가, 전후 방향에 주회 가능하게 설치된 제3 타이밍 벨트(162)와, 제1 타이밍 벨트를 주회시키는 제3 모터(158)와, 제3 타이밍 벨트에 고정되어 제3 타이밍 벨트가 주회함으로써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고, 봉제 프레임의 단변부 또는 봉제 프레임의 장변부의 길이 방향의 단부에 접속 부재(49)를 통해 접속된 제3 이동 부재(163)와, 전후 방향에 주회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3 타이밍 벨트의 주회로의 연장선상에 그 주회로가 설치된 제4 타이밍 벨트(182)와, 제4 타이밍 벨트를 주회시키는 제4 모터(178)와, 제4 타이밍 벨트에 고정되어 제4 타이밍 벨트가 주회함으로써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고, 봉제 프레임의 단변부 또는 봉제 프레임의 장변부의 길이 방향의 단부에 접속 부재(49)를 통해 접속된 제4 이동 부재(183)와, 제3 이동 부재와 제4 이동 부재 간에 설치된 막대 형상의 연결 부재(190)와, 제3 모터와 제4 모터를 지지하는 동시에, 제3 타이밍 벨트와 제4 타이밍 벨트를 주회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151, 154, 156, 160, 174, 176, 180)를 갖고, 좌우 방향 구동부(195)는, 한 쌍의 단변부를 따라 각각 설치되고, 각 좌우 방향 구동부는,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2 전후 방향 구동부(141)의 지지부(151, 154, 156, 160, 174, 176, 180)를 지지하는 제5 이동 부재(195-13)와, 제5 이동 부재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5 모터(195-8)를 갖고, 제5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볼 나사 기구 또는 타이밍 벨트 기구에 의해 제5 이동 부재가 이동되는 봉제 프레임 구동부(60)와, 각 모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회로에서, 제1 타이밍 벨트와 제2 타이밍 벨트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해서 제1 이동 부재와 제2 이동 부재가 동일 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시에, 제3 타이밍 벨트와 제4 타이밍 벨트가 제1 타이밍 벨트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해서 제3 이동 부재와 제4 이동 부재가 제1 이동 부재와 동일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제1 모터와 제2 모터와 제3 모터와 제4 모터를 동기해서 제어하고, 제5 이동 부재가 동일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단변부의 한쪽 측의 좌우 방향 구동부의 제5 모터와 단변부의 다른 쪽 측의 좌우 방향 구동부의 제5 모터를 동기해서 제어하는 제어 회로(200)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용 봉제 프레임 구동 장치."로 해도 좋다.
본 발명에 기초하는 재봉틀용 봉제 프레임 구동 장치에 따르면, 봉제 프레임에서의 한 쌍의 장변부와, 한 쌍의 단변부 또는 봉제 프레임의 장변부의 길이 방향의 단부에 대해서 이동 부재에 의해 지지하므로, 봉제 프레임의 변형을 매우 작게 할 수 있어, 봉제 프레임을 고 정밀도로 위치 결정할 수 있다. 특히, 제2 전후 방향 구동부의 제3 이동 부재와 제4 이동 부재가 봉제 프레임에 접속 부재를 통해 접속되어, 제2 전후 방향 구동부가 좌우 방향 구동부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구동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봉제 프레임에서의 길이 방향의 단부 영역이 전후 방향으로 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간격 유지 수단이나 제2 간격 유지 수단이 설치되는 경우에는, 제1 간격 유지 수단에 의해 제1 이동 부재와 제2 이동 부재의 간격이 유지되므로, 봉제 프레임의 장변부가 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제2 간격 유지 수단에 의해 제3 이동 부재와 제4 이동 부재의 간격이 유지되므로, 봉제 프레임에서의 길이 방향의 단부 영역이 전후 방향으로 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기초하는 재봉틀의 주요부 평면도다.
도 2는 도 1에서의 P-P 단면도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기초하는 재봉틀의 주요부 분해 사시도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기초하는 재봉틀의 주요부 분해 사시도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기초하는 봉제 프레임 구동부의 주요부 사시도다.
도 6은 도 1에서의 U-U 단면도다.
도 7은 볼 나사 기구부의 단면도이며, 도 5에서의 Q-Q 단면도다.
도 8은 봉제 프레임의 단면도이며, 도 1에서의 R-R 단면도다.
도 9는 전후 방향 구동부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도이며, 특히, 2개 볼 나사의 연결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다.
도 10은 전후 방향 구동부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도이며, 특히, 2개 볼 나사의 연결 상태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기초하는 재봉틀의 주요부 분해 사시도다.
도 12는 봉제 프레임 구동부의 다른 예의 주요부 사시도다.
도 13은 봉제 프레임 구동부의 다른 예의 주요부 사시도이며, 타이밍 벨트 기구를 사용한 경우의 주요부 사시도다.
도 14는 봉제 프레임 구동부의 다른 예의 주요부 사시도이며, 타이밍 벨트 기구를 사용한 경우의 주요부 사시도다.
도 15는 타이밍 벨트 기구부의 분해 사시도다.
도 16은 봉제 프레임 구동부의 다른 예의 주요부 사시도이며, 타이밍 벨트 기구를 사용한 경우의 주요부 사시도다.
도 17은 봉제 프레임 구동부의 다른 예의 주요부 사시도다.
본 발명에서는, 봉제 프레임의 변형을 방지하여 봉제 프레임을 고 정밀도로 위치 결정할 수 있는 재봉틀을 제공하는 것이며, 특히 봉제 프레임의 장변의 변형을 방지하여 봉제 프레임을 고 정밀도로 위치 결정할 수 있는 재봉틀을 제공한다는 목적을 이하와 같이 해서 실현했다.
본 발명에 기초하는 실시예의 재봉틀(5)은 자수용의 재봉틀이며,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되고, 프레임부(10)와, 테이블(30)과, 봉제 프레임(50)과, 봉제 프레임 구동부(60)와, 제어 회로(200)를 갖고 있다. 또한, 도면에서, Y1-Y2 방향은, X1-X2 방향에 직각인 방향이며, Z1-Z2 방향은, X1-X2 방향 및 Y1-Y2 방향에 직각인 방향이다. 봉제 프레임 구동부(60)와 제어 회로(200)로, 재봉틀용 봉제 프레임 구동 장치가 구성된다.
여기서, 프레임부(10)는, 재봉틀(5)에서의 기체 프레임을 이루며, 전후 방향(Y1-Y2 방향)에 형성되고, 좌우 방향(X1-X2 방향)의 양측에 설치된 베이스부(11)와, 베이스부(11)에 세워 설치한 지주로서의 종 프레임부(12, 14)와, 한 쌍의 종 프레임부(12, 14) 사이에 횡 방향으로 설치된 횡 프레임부(16)와, 횡 프레임부(18)와, 다이부(20)를 갖고 있다. 횡 프레임부(16)는, 한 쌍의 종 프레임부(12, 14)에서의 높이 방향의 도중 위치에 수평으로 설치되고, 그 양측이 종 프레임부(12)와 종 프레임부(14)에 고정되어 설치되어 있다. 또한, 횡 프레임부(18)는, 횡 프레임부(16)보다 상방의 위치에 횡 프레임부(16)에 평행하게 설치되고, 그 양측이 종 프레임부(12)와 종 프레임부(14)에 고정되어 설치되어 있다. 다이부(20)는, 판 형상이고, 횡 프레임(16)의 상면에 수평으로 지지되어 있다. 이 다이부(20)는, 전후 방향 구동부(70)나 좌우 방향 구동부(130)를 설치하기 위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전후 방향 구동부(70)나 좌우 방향 구동부(130)의 하측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예를 들어, 전후 방향 구동부(70)에 대해서는, 전후 방향 구동부(70)를 설치할 수 있을 만큼의 폭의 판 형상 부재가 전후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좌우 방향 구동부(130)에 대해서는, 3개의 좌우 방향 구동부(130)가 다이부(20)의 상면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다이부(20)는, 평면에서 보아 개구부(40)의 영역에는 설치되지 않았다.
상기 횡 프레임부(18)의 정면측에는, 주지의 구성의 재봉틀 헤드(자수 헤드로 해도 좋다)(22)가 설치되고, 재봉틀 헤드(22)에는, 복수의 침봉(이 침봉에는, 재봉 바늘이 고정되어 있다)을 상하 이동 가능하게 지지한 침봉 케이스(도시하지 않음)와, 재봉 바늘에 삽입 관통되는 윗실을 끌어올리는 동시에 원래 상태로 되돌리는 동작을 반복해서 요동하는 실채기(도시하지 않음)와, 재봉틀 헤드(22)의 하단부 위치에는, 바느질 동작을 행할 때에 가공 천을 누르는 노루발(도시하지 않음)이 설치되고, 침봉의 상하 운동에 연동해서 노루발도 상하 이동된다. 이러한 재봉 바늘, 실채기, 노루발은, 회전 구동하는 북집(도시하지 않음)과의 협동에 의해 가공 천의 봉제(특히, 자수 봉제)를 행한다. 상기 북집은, 테이블(30)의 하방에 설치되는 동시에 다이부(20)에 지지되어 있다.
또한, 테이블(30)은, 대략 직사각 형상의 판 형상을 이루고, 한 쌍의 종 프레임부(12, 14) 사이에 수평으로 설치되어 있다. 즉, 횡 프레임(16)의 상면에 단면 대략 ㄷ자 형상의 복수의 프레임재(도시하지 않음)가 소정의 간격으로 전후 방향에 설치되어 있고, 테이블(30)은, 이 프레임 재의 상면에서, 다이부(20)의 상방에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테이블(30)은, 다이부(20)와 상하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또한, 테이블(30)의 좌우 양측에는, 종 프레임부(12, 14)를 배치시키기 위한 절결부(3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다이부(20)와 상기 프레임재는,모두 횡 프레임(16)의 상면에 설치되어 있지만, 서로 횡 프레임(16)의 상면의 다른 영역에 설치되어 있다.
테이블(30)에는, 봉제 프레임 구동부(60)를 구성하는 볼 나사 기구부(80, 100)의 돌출 부재(구체적으로는, 축부(90, 110))가 삽입 관통하여 횡방향(Y1-Y2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도록, 슬릿 형상의 절결부(34a, 34b)가 형성되고, 좌우 방향 구동부(130)의 돌출 부재(구체적으로는, 지지 부재(139))가 삽입 관통하여 횡방향(X1-X2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도록, 슬릿 형상의 개구부(36a, 36b)가 형성되어 있다. 즉, 한 쌍의 장변측의 변부에서는 전후 방향에 복수의 슬릿 형상의 절결부(34a, 34b)가 내측을 향해 Y1-Y2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전방측의 장변측의 변부에 형성된 절결부(34a)와 후방측의 장변측의 변부에 형성된 절결부(34b)는,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며(즉, 좌우 방향으로는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며), 절결부(34a)의 연장선상에 절결부(34b)가 형성되어 있다. 서로 대향하는 절결부(34a, 34b)에 의해 절결부 쌍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봉제 프레임 구동부(60)에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2개의 전후 방향 구동부(70)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테이블(30)의 장변측의 한쪽의 변부에서는 2개의 슬릿 형상의 절결부(34a)가 Y1-Y2 방향으로 형성되고, 다른 쪽의 변부에서는 2개의 슬릿 형상의 절결부(34b)가 Y1-Y2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절결부(34a)와 절결부(34b)는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고(좌우 방향으로는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어), 2개의 절결부(34a) 간의 거리는, 4개의 전후 방향 구동부(70, 71)에서의 인접하는 전후 방향 구동부 간의 거리가 거의 동일해지는 길이로 형성되어 있다. 즉, 도 1에서의 좌측의 전후 방향 구동부(71)와 2개의 전후 방향 구동부(70)에서의 좌측의 전후 방향 구동부(70) 간의 거리와, 2개의 전후 방향 구동부(70) 간의 거리와, 도 1에서의 우측의 전후 방향 구동부(71)와 2개의 전후 방향 구동부(70)에서의 우측의 전후 방향 구동부(70) 간의 거리가 거의 동일해지도록, 2개의 절결부(34a) 간의 거리가 설정되어 있다.
또한, 슬릿 형상의 개구부(36a, 36b)는, 테이블(30)의 좌우의 단부 영역에 좌우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좌측의 영역에는 개구부(36a)가 형성되고, 우측의 영역에는 개구부(36b)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부(36a)는, 복수의 절결부(34a, 34b) 중에서 가장 좌측에 있는 절결부(34a, 34b)보다 외측(좌측)에 형성되고, 또한, 개구부(36b)는, 복수의 절결부(34a, 34b) 중에서 가장 우측에 있는 절결부(34a, 34b)보다 외측(우측)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개구부(36a)와 개구부(36b)는,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며(즉, 전후 방향으로는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며), 개구부(36a)의 연장선상에 개구부(36b)가 형성되어 있다. 서로 대향하는 개구부(36a, 36b)에 의해 개구부 쌍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봉제 프레임 구동부(60)에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3개의 좌우 방향 구동부(130)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테이블(30)의 단변측의 한쪽의 단부 영역(좌측의 단부 영역)에는, 3개의 슬릿 형상의 개구부(36a)가 형성되고, 테이블(30)의 단변측의 다른 쪽의 단부 영역(우측의 단부 영역)에는, 3개의 슬릿 형상의 개구부(36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개구부(36a)는, 복수의 절결부(34a, 34b) 중에서 가장 좌측에 있는 절결부(34a, 34b)보다 외측(좌측)에 형성되고, 또한, 개구부(36b)는, 복수의 절결부(34a, 34b) 중에서 가장 우측에 있는 절결부(34a, 34b)보다 외측(우측)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개구부(36a)와 개구부(36b)는,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며(즉, 전후 방향으로는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며), 개구부(36a)의 연장선상에 개구부(36b)가 형성되고, 개구부(36a)와 상기 개구부(36a)에 대응하는 개구부(36b)에 의해 개구부 쌍이 형성된다. 3개의 개구부(36a)에서의 중앙의 개구부(36a)는, 전후 방향으로는, 절결부(34a)와 절결부(34b)의 대략 중간 위치에 형성되고, 다른 2개의 개구부(36a)는, 중앙의 개구부(36a)와 거의 등거리로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3개의 개구부(36b)에서의 중앙의 개구부(36b)는, 전후 방향으로는, 절결부(34a)와 절결부(34b)의 대략 중간 위치에 형성되고, 다른 2개의 개구부(36b)는, 중앙의 개구부(36b)와 거의 등거리로 형성되어 있다.
절결부(34a, 34b)의 방향과 개구부(36a, 36b)의 방향은 서로 직각을 이루고 있다. 또한, 절결부(34a)의 폭과 절결부(34b)의 폭은 동일 폭으로 형성되고, 개구부(36a)의 폭과 개구부(36b)의 폭은 동일 폭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테이블(30)의 상면측에서의 절결부(34a, 34b)와 개구부(36a, 36b)의 주위의 영역은, 테이블(30)의 상면에 대하여 오목한 오목 형상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오목 형상부에 슬릿을 갖는 판 형상 부재인 슬릿판(38)이 설치되어 있다. 이 슬릿판(38)은, 평면에서 보아 대략 ㄷ자 형상을 갖는 판 형상 부재이며, 그 상면은, 테이블(30)의 상면과 면일하게 되어 있다. 또한, 절결부(34a, 34b)에 설치되는 슬릿판(38)의 슬릿의 폭은, 절결부(34a, 34b)나 개구부(36a, 36b)의 폭보다 좁게 형성되어 있고, 또한, 개구부(36a, 36b)에 설치되는 슬릿판(38)의 슬릿의 폭은, 개구부(36a, 36b)의 폭 이하[또는, 개구부(36a, 36b)의 폭보다 작게]로 형성되는 동시에, 절결부(34a, 34b)에 설치되는 슬릿판(38)의 슬릿 폭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즉, 절결부(34a, 34b)에 설치되는 슬릿판(38)의 슬릿으로부터는, 축부(90, 110)가 돌출되는데 반해, 개구부(36a, 36b)에 설치되는 슬릿판(38)의 슬릿으로부터는, 한 쌍의 지지 부재(139)가 돌출되므로, 개구부(36a, 36b)의 슬릿판(38)의 슬릿 폭이 절결부(34a, 34b)의 슬릿판(38)의 슬릿 폭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 있다. 이에 수반하여, 개구부(36a, 36b)의 폭은, 절결부(34a, 34b)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테이블(30)의 전후 방향에서의 대략 중앙 위치에는, 좌우 방향에 소정 간격으로 개구부(40)가 형성되고, 이 개구부(40)의 위치에 북집(도시하지 않음)이 설치되는 동시에, 개구부(40)의 상방에 재봉 바늘(도시하지 않음)이 위치하게 되어 있다.
또한, 봉제 프레임(천 유지 프레임, 가동 프레임, 자수 프레임으로 해도 좋다)(50)은, 가공 천을 장설 유지하기 위한 프레임 형상 부재이며, 테이블(30)의 상방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봉제 프레임(50)은, 봉제 프레임 본체(51)와, 클립부(59)를 갖고 있다.
봉제 프레임 본체(51)는, 평면에서 보아 직사각 형상의 프레임 형상을 띠며, 전방측의 장변부(52)와 후방측의 장변부(54)와, 좌측의 단변부(56)와, 우측의 단변부(58)를 갖고, 장변부(52, 54)와 단변부(56, 58)는 모두, 평면에서 보아 가늘고 긴 띠 형상을 띠며, 그 횡단면 형상은 대략 ㄷ자 형상의 프레임 형상을 띠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변부(54)는, 수평의 판부(54a)와, 판부(54a)의 긴 변으로부터 연속 설치된 수직의 판부(54b, 54c)[판부(54b)와 판부(54c)는 서로 평행하게 되어 있다]와, 판부(54b)와 판부(54c) 사이에서 판부(54a)의 하면으로부터 하방을 향해 형성된 한 쌍의 판부(55)와, 판부(54b)의 하단부와 판부(54b)에 인접하는 판부(55)의 하단부와의 사이에 설치된 판부(54d)[이 판부(54d)는, 판부(54a)와 평행하고, 판부(54b)와 판부(55) 사이의 공간을 밀봉하고 있다]와, 판부(54c)의 하단부와 판부(54c)에 인접하는 판부(55)의 하단부와의 사이에 설치된 판부(54e)[이 판부(54e)는, 판부(54a)와 평행하고, 판부(54c)와 판부(55) 사이의 공간을 밀봉하고 있다]를 갖고 있다. 한 쌍의 판부(55) 사이의 홈부(M)는 결합 롤러 배치 공간이며, 봉제 프레임 구동부(60)에서의 결합 롤러(112)가 배치된다. 한 쌍의 판부(55)는 서로 평행하고, 판부(54b, 54c)와 평행하게 되어 있다. 장변부(54)의 단면 형상은 상기한 바와 같은데, 장변부(52), 단변부(56, 58)의 단면 형상도 마찬가지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장변부(52, 54)와 단변부(56, 58)의 경계 위치에서는, 수직 방향의 판부[예를 들어, 장변부(54)의 예에서는, 판부(54b, 54c, 55)]는 인접하는 변부에서의 대응하는 판부와 직각으로 접촉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하여, 봉제 프레임 본체(51)는, 전체적으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봉제 프레임 구동부(60)에서의 이동 부재(87, 107, 137)에 지지되어 있다.
또한, 클립부(59)는, 봉제 프레임 본체(51)의 내측에 형성되고, 봉제 프레임 본체(51)의 내측 하단부로부터 연속 설치된 프레임 형상의 판 형상부(59a)와, 판 형상부(59a)의 상면에 형성된 띠 형상의 돌기부(59b)와, 돌기부(59b)에 착탈 가능한 캡부(59c)를 갖고, 돌기부(59b)와 캡부(59c) 사이에 가공 천을 끼워서 장설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봉제 프레임(50)과 전후 방향 구동부(71)의 이동 부재(87, 107)를 접속하는 접속 부재(49)가, 봉제 프레임(50)에 설치되어 있다. 즉, 봉제 프레임(50)의 봉제 프레임 본체(51)에서의 장변부(52)와 장변부(54)의 길이 방향의 단부 영역의 상면[단변부(56, 58)의 길이 방향의 단부 영역의 상면이라고도 할 수 있음]에 접속 부재(49)가 설치되고[즉, 봉제 프레임(50)에는, 총 4개의 접속 부재(49)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접속 부재(49)가, 전후 방향 구동부(71)의 이동 부재(87, 107)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접속 부재(49)를 단변부(56, 58)의 상면[장변부(52, 54)에 가까운 측의 상면이 바람직하다]에 설치하도록 해도 좋다. 접속 부재(49)는, 가늘고 긴 사각 형상의 판 형상 부재를 L자 형상으로 절곡시킨 형상을 띠며, 수평 부재(49a)와 수직 부재(49b)에 의해 L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봉제 프레임 구동부(60)는, 봉제 프레임(50)을 좌우 방향 및 전후 방향으로 구동하는 것이며, 봉제 프레임(50)을 전후 방향으로 구동하는 전후 방향 구동부(70, 71)와, 봉제 프레임(50)을 좌우 방향으로 구동하는 좌우 방향 구동부(130)를 갖고 있다. 즉, 전후 방향 구동부(70)는, 테이블(30)에 설치된 절결부 쌍의 수에 따라서 설치되어 있으며, 2개의 전후 방향 구동부(7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2개의 전후 방향 구동부(71)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좌우 방향 구동부(130)는, 테이블(30)에 설치된 개구부 쌍의 수에 따라서 설치되어 있으며, 3쌍(총 6개)의 좌우 방향 구동부(130)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전후 방향 구동부(70)(제1 전후 방향 구동부)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볼 나사 기구부(80, 100)와, 커플링(120, 122)과, 연결 부재(124)를 갖고 있다.
볼 나사 기구부(80)는, 다이부(20)의 상면에 설치된 브래킷("지지 프레임"으로 해도 좋다. 기타 동일함)(82)과, 모터(84)(제1 모터)와, 브래킷(8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동시에, 모터(84)에 그 일단부가 결합되어 모터(84)에 의해 회전되는 볼 나사(86)(제1 볼 나사)와, 볼 나사(86)가 회전함으로써 나사 이동 가능하게 나사 결합한 이동 부재(87)(제1 이동 부재)를 갖고 있다.
여기서, 브래킷(82)은, 가늘고 긴 직사각 형상의 대략 판 형상으로 수평으로 설치된 수평 부재(82a)와, 수평 부재(82a)의 한쪽 단부(모터측의 단부)로부터 세워 설치한 판 형상의 입설부(82b)와, 수평 부재(82a)의 다른 쪽 단부로부터 세워 설치한 판 형상의 입설부(82c)를 갖고, 수평 부재(82a)는, 가늘고 긴 직사각 형상의 판 형상을 띠는 판 형상부(82a-1)와, 판 형상부(82a-1)의 상면에 길이 방향으로 볼 나사(86)와 평행하게 설치된 레일부(82a-2)를 갖고 있다. 또한, 입설부(82b, 82c)는 볼 나사(86)를 회전 가능하게 축 고정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입설부(82b, 82c)에는, 베어링(도시하지 않음)이 설치되고, 이 베어링에 볼 나사(86)가 축 고정되어 있다. 모터(84)는, 입설부(82b)의 외측에 고정되고, 그 출력축이 볼 나사(86)의 단부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볼 나사(86)는, 그 주위면에 이동 부재(87)에 나사 결합하기 위한 나사 홈이 형성되고, 모터(84)측과는 반대측 단부는, 입설부(82c)보다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즉, 볼 나사(86)는, 입설부(82c)의 모터측과는 반대측에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동 부재(87)는, 너트(88)와, 축부(90)와, 결합 롤러(결합 부재)(92)를 갖고, 너트(88)는, 볼 나사(86)에 나사 결합된 너트 본체(88a)와, 너트 본체(88a)의 하면에 고착되고, 레일부(82a-2)에 결합하는 홈부를 하면측에 가지며, 레일부(82a-2)를 따라 미끄럼 이동하는 슬라이더(88b)를 갖고 있다. 너트 본체(88a)에는, 볼 나사(86)가 나사 결합하기 위한 나사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볼 나사(86)가 회전함으로써, 너트(88)가 볼 나사(86)를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모터(84)가 우회전함으로써 이동 부재(87)는, 전방측으로 이동하고, 좌회전함으로써 후방측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그 반대이어도 좋다.
또한, 축부(90)는, 너트 본체(88a)의 상면에 고착되고, 테이블(30)의 절결부(34a)와 슬릿판(38)의 슬릿에 유통(遊通), 즉 여유가 있는 상태로 삽입 관통하여, 테이블(30)의 상면보다 돌출되어 설치된다. 즉, 축부(90)는, 절결부(34a)의 테두리부나 슬릿판(38)의 테두리부와 간격을 둔 상태에서 삽입 관통하고 있다. 또한, 결합 롤러(92)는, 축부(9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피봇되고, 테이블(30)의 상면보다 상방으로 돌출되어 설치되고, 축부(9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결합 롤러(92)는, 봉제 프레임(50)의 장변부(52)의 홈부에 결합한다.
또한, 볼 나사 기구부(100)는, 볼 나사 기구부(80)와 마찬가지의 구성이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즉, 볼 나사 기구부(100)는, 다이부(20)의 상면에 설치된 브래킷(102)과, 모터(104)(제2 모터)와, 브래킷(10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동시에, 모터(104)에 그 일단부가 결합되어 모터(104)에 의해 회전되는 볼 나사(106)(제2 볼 나사)와, 볼 나사(106)가 회전함으로써 나사 이동 가능하게 나사 결합한 이동 부재(107)(제2 이동 부재)를 갖고 있다. 브래킷(102)과, 모터(104)와, 볼 나사(106)는, 브래킷(82)과, 모터(84)와, 볼 나사(86)와 마찬가지의 구성이며, 브래킷(102)은, 판 형상부(102a-1)와 레일부(102a-2)를 갖는 수평 부재(102a)와, 입설부(102b, 102c)를 갖고 있다. 또한, 이동 부재(107)는, 이동 부재(87)와 마찬가지의 구성이며, 너트(108)와, 축부(110)와, 결합 롤러(결합 부재)(112)를 갖고, 너트(108)는, 볼 나사(106)에 나사 결합된 너트 본체(108a)와, 너트 본체(108a)의 하면에 고착되고, 레일부(102a-2)에 결합하는 홈부를 하면측에 가지며, 레일부(102a-2)를 따라 미끄럼 이동하는 슬라이더(108b)를 갖고, 이에 의해, 볼 나사(106)가 회전함으로써, 너트(108)가 볼 나사(106)를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모터(104)가 우회전함으로써 이동 부재(107)는 후방측으로 이동하고, 좌회전함으로써 전방측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그 반대이어도 좋다. 이동 부재(107)는, 이동 부재(87)와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전후 방향 구동부(70)의 축부(110)는, 테이블(30)의 절결부(34b)와 슬릿판(38)의 슬릿에 유통되어, 테이블(30)의 상면보다 돌출되어 설치되고, 축부(11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결합 롤러(112)는, 봉제 프레임(50)의 장변부(54)의 홈부에 결합한다.
또한, 1개의 전후 방향 구동부(70)에 있어서, 볼 나사 기구부(80)과 볼 나사 기구부(100)는 서로 대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즉, 볼 나사 기구부(80, 100) 모두, 모터(84, 104)가 설치되어 있는 측을 외측으로 해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전후 방향 구동부(70)에서의 모터(84)와 모터(104)에 의해 청구의 범위에서의 제1 구동부가 구성된다.
또한, 커플링(120, 122)은 축 커플링이며, 커플링(120)은, 볼 나사(86)와 연결 부재(124)를 동축 상에 연결하는 것이며, 커플링(122)은, 볼 나사(106)와 연결 부재(124)를 동축 상에 연결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볼 나사(86)의 선단에 돌출된 축부(86a)가 커플링(120)의 한쪽 구멍부에 끼워지고, 볼 나사(106)의 선단에 돌출된 축부(106a)가 커플링(122)의 한쪽 구멍부에 끼워져 있다. 또한, 연결 부재(124)는 축 형상 부재이며, 예를 들어, 원기둥 형상의 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연결 부재(124)는, 볼 나사(86)의 볼 나사(106)측의 단부와 볼 나사(106)의 볼 나사(86)측의 단부의 사이를 연결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 부재(124)의 한쪽 단부로부터 돌출된 축부(124a)가 커플링(120)의 다른 쪽 구멍부에 끼워지고, 연결 부재(124)의 다른 쪽 단부로부터 돌출된 축부(124b)가 커플링(122)의 다른 쪽 구멍부에 끼워져 있다.
또한, 연결 부재(124)와 커플링(120, 122)을 1개의 커플링(연결 부재)에 의해 구성해도 좋다. 즉,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볼 나사(86)의 선단에 돌출된 축부(86a)가, 커플링(123)의 한쪽 구멍부에 끼워지고, 볼 나사(106)의 선단에 돌출된 축부(106a)가, 커플링(123)의 다른 쪽 구멍부에 끼워진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상에 의해, 볼 나사(86)와, 연결 부재(124)와, 볼 나사(106)는 커플링(120, 122)에 의해 전체적으로 일체로 형성되어, 1개의 축 형상 부재(125)가 형성된다. 볼 나사(86)와 연결 부재(124)와 볼 나사(106)는, 그것들의 축선이 일치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전후 방향 구동부(70)에서의 상기 축 형상 부재(125)가, 청구의 범위에서의 "제1 전후 방향 구동부용 볼 나사", "제1 간격 유지 수단"에 해당한다. 또한, 전후 방향 구동부(70)에서의 모터(84, 104)와 이동 부재(87, 107) 이외의 구성이, 제1 구동부(모터(84, 104))를 지지하는 동시에, 제1 이동 부재(이동 부재(87))와 제2 이동 부재(이동 부재(107))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다. 또한, 볼 나사 기구부(80)에 있어서, 브래킷(82)과 볼 나사(86)가, 제1 구동부(모터(84))를 지지하는 동시에, 제1 이동 부재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이며, 볼 나사 기구부(100)에 있어서, 브래킷(102)과 볼 나사(106)가, 제1 구동부(모터(104))를 지지하는 동시에, 제2 이동 부재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다.
또한, 복수의 전후 방향 구동부(70)는 전후 방향에 서로 평행하게 설치되어, 복수의 전후 방향 구동부(70)에 있어서, 이동 부재(87, 107)가 서로 평행하게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복수의 전후 방향 구동부(70)에서의 각 전후 방향 구동부(70)는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전후 방향 구동부(70)에는, 모터(84)와 모터(104)의 2개의 모터가 설치되어 있는데, 모터(84)와 모터(104)의 구동시에는, 동기해서 구동되게 된다. 또한, 전후 방향 구동부(70)에서의 볼 나사 기구부(80)의 결합 롤러(92)는, 봉제 프레임(50)의 장변부(52)의 홈부(M)에 결합하고, 볼 나사 기구부(100)의 결합 롤러(112)는, 봉제 프레임(50)의 장변부(54)의 홈부(M)에 결합하고 있다.
또한, 전후 방향 구동부(71)(제2 전후 방향 구동부)는, 전후 방향 구동부(70)와 거의 마찬가지의 구성이지만,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래킷(72)을 구성하는 판 형상부(72a-1)가 일체로 구성되어 있는 점이 상이하다.
즉, 전후 방향 구동부(71)는, 브래킷(72)(지지부, 지지 프레임)과, 모터(84)(제3 모터)와, 볼 나사(86)(제3 볼 나사)와, 이동 부재(87)(제3 이동 부재)와, 모터(104)(제4 모터)와, 볼 나사(106)(제4 볼 나사)와, 이동 부재(107)(제4 이동 부재)와, 커플링(120, 122)과, 연결 부재(124)를 갖고 있다.
여기서, 브래킷(72)은, 가늘고 긴 직사각 형상의 대략 판 형상으로 수평으로 설치된 수평 부재(72a)와, 수평 부재(72a)의 한쪽 단부(모터(84)측의 단부)로부터 세워 설치한 판 형상의 입설부(72b)와, 수평 부재(72a)의 다른 쪽 단부(모터(104)측의 단부)로부터 세워 설치한 판 형상의 입설부(72e)와, 수평 부재(72a)의 상면의 입설부(72b)와 입설부(72e) 사이에 간격을 두고 설치된 판 형상의 입설부(72c, 72d)를 갖고 있다. 수평 부재(72a)는, 가늘고 긴 직사각 형상의 판 형상을 띠며 입설부(72b)로부터 입설부(72e)까지의 길이를 갖는 판 형상부(72a-1)와, 판 형상부(72a-1)의 상면의 입설부(72b)와 입설부(72c) 사이에 길이 방향으로 볼 나사(86)와 평행하게 설치된 레일부(72a-2)와, 판 형상부(72a-1)의 상면의 입설부(72d)와 입설부(72e) 사이에 길이 방향으로 볼 나사(106)와 평행하게 설치된 레일부(72a-3)를 갖고 있다.
입설부(72b, 72c)는 볼 나사(86)를 회전 가능하게 축 고정하고, 또한, 입설부(72d, 72e)는 볼 나사(106)를 회전 가능하게 축 고정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입설부(72b, 72c, 72d, 72e)에는, 베어링(도시하지 않음)이 설치되고, 이 베어링에 볼 나사(86, 106)가 축 고정되어 있다. 즉, 전후 방향 구동부(70)에서의 브래킷(82)과 브래킷(102)에 있어서, 판 형상부(82a-1)와 판 형상부(102a-1)를 연결하여 1개의 판 형상부(72a-1)에 의해 구성함으로써, 브래킷(82)과 브래킷(102)을 일체로 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브래킷(72)이, "제3 볼 나사와 제3 모터와 제4 볼 나사와 제4 모터를 지지하는 지지부"에 해당한다.
또한, 모터(84)와, 볼 나사(86)와, 모터(104)와, 볼 나사(106)와, 커플링(120, 122)은, 전후 방향 구동부(70)에서의 그것들의 구성과 마찬가지의 구성이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이동 부재(87)는, 전후 방향 구동부(70)에서의 너트(88)와 동일한 구성이며, 이동 부재(107)는, 전후 방향 구동부(70)에서의 너트(108)와 동일한 구성이다. 이동 부재(87)와 이동 부재(107)는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전후 방향 구동부(71)에서의 모터(84)와 모터(104)에 의해 청구의 범위에서의 제2 구동부가 구성된다.
또한, 전후 방향 구동부(71)에서는, 이동 부재(87, 107)의 상면에는, 전후 방향 구동부(70)의 이동 부재(87, 107)와 달리, 축부는 설치되지 않았다. 이동 부재(87, 107)의 봉제 프레임(50)측의 측면에는 접속 부재(49)가 설치되고, 이 접속 부재(49)를 통해 봉제 프레임(50)의 단변부(56, 58)에 고정되어 있다. 즉, 도 3,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 부재(87)와 단변부(56)의 접속 상태를 예로 들면, 이동 부재(87)의 봉제 프레임(50)측의 측면에는 판 형상 부재를 L자 형상으로 절곡시킨 형상의 접속 부재(49)에서의 판 형상의 수직 부재(49b)가 고정되고, 접속 부재(49)에서의 판 형상의 수평 부재(49a)가 봉제 프레임(50)의 단변부(56)에 고정됨으로써, 이동 부재(87)와 단변부(56)가 접속되어 고정된다. 이동 부재(107)와 단변부(56), 이동 부재(87)와 단변부(58), 이동 부재(107)와 단변부(58)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접속 부재(49)에 의해 접속되어 서로 고정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하여, 봉제 프레임(50)과 전후 방향 구동부(71)는 거의 동일한 높이에 설치되며, 구체적으로는, 봉제 프레임(50)의 하단부와 브래킷(72)의 하단부는 거의 동일한 높이에 설치된다. 즉, 전후 방향 구동부(71)의 브래킷(72)은, 테이블(30)의 상면보다 약간 상방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1 내지 도 4에서는, 접속 부재(49)는, 봉제 프레임(50)의 코너부(즉, 단변부와 장변부가 접하는 부분)에 접속되어 있는데, 상기 코너부의 부분이 단변부(56, 58)나 장변부(52, 54)에도 포함되는 것으로 생각하면, 접속 부재(49)는 장변부(52, 54)의 길이 방향의 단부에 설치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접속 부재(49)를 봉제 프레임(50)의 코너부 이외의 단변부(56, 58)에 설치해도 좋다. 또한, 장변부(52, 54)를 좌우 방향으로 단변부(56, 58)의 단부보다 길게 신장하고, 그 장변부(52, 54)의 길이 방향의 단부에 접속 부재(49)를 설치해도 좋다. 이상과 같이 하여, 한쪽의 전후 방향 구동부(71)는, 봉제 프레임(50)의 측방의 외측에 단변부(56)를 따라 설치되고, 상기 한쪽의 전후 방향 구동부(71)에서의 이동 부재(87, 107)는, 접속 부재(49)를 통해 봉제 프레임(50)에 접속되어 있으며, 또한, 다른 쪽의 전후 방향 구동부(71)는, 봉제 프레임(50)의 측방의 외측에 단변부(58)를 따라 설치되고, 다른 쪽의 전후 방향 구동부(71)에서의 이동 부재(87, 107)는, 접속 부재(49)를 통해 봉제 프레임(50)에 접속되어 있다.
전후 방향 구동부(71)에서도, 전후 방향 구동부(70)과 마찬가지로, 볼 나사(86)와, 연결 부재(124)와, 볼 나사(106)는 커플링(120, 122)에 의해 전체적으로 일체로 형성되어, 1개의 축 형상 부재(125)가 형성된다. 볼 나사(86)와 연결 부재(124)와 볼 나사(106)는, 그것들의 축선이 일치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이 전후 방향 구동부(71)에서의 상기 축 형상 부재(125)가 청구의 범위에서의 "제2 전후 방향 구동부용 볼 나사", "제2 간격 유지 수단"에 해당한다. 또한, 전후 방향 구동부(71)에서의 모터(84, 104)와 이동 부재(87, 107) 이외의 구성[즉, 브래킷(72)과, 볼 나사(86, 106)와, 커플링(120, 122)과, 연결 부재(124)]이, "제2 구동부(모터(84, 104))를 지지하는 동시에, 제3 이동 부재(이동 부재(87))와 제4 이동 부재(이동 부재(107))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71A)"를 구성한다.
2개의 전후 방향 구동부(70)와 2개의 전후 방향 구동부(71)는, 서로 평행하게 설치되어, 전후 방향 구동부(70)에서의 볼 나사(86, 106)와 전후 방향 구동부(71)에서의 볼 나사(86, 106)는 서로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다. 전후 방향 구동부(70, 71)에서의 이동 부재(87, 107)는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단변부(56)를 따라 설치된 전후 방향 구동부(71)는, 개구부(36a)에 대응해서 설치된 좌우 방향 구동부(130)의 이동 부재(137)(엄밀하게는, 지지 부재(139))에 지지되고, 또한, 단변부(58)를 따라 설치된 전후 방향 구동부(71)는, 개구부(36b)에 대응해서 설치된 좌우 방향 구동부(130)의 이동 부재(137)(엄밀하게는, 지지 부재(139))에 지지되어 있다.
또한, 좌우 방향 구동부(130)는, 볼 나사(136)가 입설부(132c)로부터 돌출되지 않는 점이나 이동 부재(137)의 구성이 이동 부재(87, 107)와 다른 점을 제외하고, 볼 나사 기구부(80, 100)와 마찬가지의 구성이다. 즉, 좌우 방향 구동부(130)는, 다이부(20)의 상면에 설치된 브래킷(132)과, 모터(134)(제3 구동부)와, 브래킷(13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동시에, 모터(134)에 그 일단부가 결합되어 모터(134)에 의해 회전되는 볼 나사(136)(제5 볼 나사)와, 볼 나사(136)가 회전함으로써 나사 이동 가능하게 나사 결합한 이동 부재(137)(제5 이동 부재)를 갖고 있다. 브래킷(132)과, 모터(134)는, 브래킷(82)과, 모터(84)와 마찬가지의 구성이며, 브래킷(132)은, 판 형상부(132a-1)와 레일부(132a-2)를 갖는 수평 부재(132a)와, 입설부(132b, 132c)를 갖고 있다. 또한, 볼 나사(136)는, 그 주위면에 이동 부재(137)에 나사 결합하기 위한 나사 홈이 형성되고, 모터(134)측과 반대측의 단부는, 입설부(132c)로부터 돌출되지 않았다. 즉, 이동 부재(137)(제5 이동 부재)는, 너트(138)와, 너트(138)의 양측에 고착된 한 쌍의 지지 부재(139)를 갖고, 너트(138)는, 볼 나사(136)에 나사 결합된 너트 본체(138a)와, 너트 본체(138a)의 하면에 고착되고, 레일부(132a-2)에 결합하는 홈부를 하면측에 가지며, 레일부(132a-2)를 따라 미끄럼 이동하는 슬라이더(138b)를 갖고, 이에 의해, 볼 나사(136)가 회전함으로써, 너트(138)가 볼 나사(136)를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모터(134)가 우회전함으로써 이동 부재(137)는 모터(134)측으로 이동하고, 좌회전함으로써 모터(134)측과는 반대측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그 반대이어도 좋다.
지지 부재(139)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늘고 긴 사각 형상의 판 형상 부재를 L자 형상으로 절곡시킨 형상을 띠며, 수직 방향으로 설치된 판 형상의 수직 부재(139a)와, 수직 부재(139a)의 상단부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설치된 판 형상의 수평 부재(139b)에 의해 대략 L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지지 부재(139)는, 수직 부재(139a)가 각각 너트(138)(특히, 너트 본체(138a))의 양측 측부[이동 부재(137)의 이동 방향과는 직각 방향인 측부]에 고착되고, 수평 부재(139b)는, 연속 설치한 수직 부재(139a)에 대하여 외측을 향해 설치되어 있다. 2개의 수평 부재(139b)는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고, 2개의 수평 부재(139b)의 상면은, 전후 방향 구동부(71)의 판 형상부(72a-1)의 하면에 고착되어 있다.
좌우 방향 구동부(130)는, 개구부(36a)와 개구부(36b)로 이루어지는 개구부 쌍마다 1쌍 설치되어, 3쌍(총 6개)의 좌우 방향 구동부(130)가 설치되어 있다. 1개의 개구부 쌍에 대응하는 한 쌍의 좌우 방향 구동부(130)는, 서로 대향하도록 설치되고(도 1,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좌우 방향 구동부(130)에서는, 모터는 각각 외측에 설치되어 있다), 서로 대향하는 좌우 방향 구동부(130)에서, 한쪽의 볼 나사(136)는 다른 쪽의 볼 나사(136)의 연장선상에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각 좌우 방향 구동부(130)는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개구부(36a)에 대응해서 설치된 3개의 좌우 방향 구동부(130)는, 서로 평행하게 설치되고, 3개의 좌우 방향 구동부(130)에서의 중앙의 좌우 방향 구동부(130)는, 전후 방향으로는, 전후 방향 구동부(70)의 전후 방향의 길이의 대략 중간 위치에 설치되고, 다른 2개의 좌우 방향 구동부(130)는, 중앙의 좌우 방향 구동부(130)와 거의 등거리에 설치되어 있다. 개구부(36a)에 대응해서 설치된 좌우 방향 구동부(130)[즉, 단변부(56)측의 좌우 방향 구동부(130)]에서의 볼 나사(136)가 제5 볼 나사에 해당한다. 마찬가지로, 개구부(36b)에 대응해서 설치된 3개의 좌우 방향 구동부(130)는, 서로 평행하게 설치되고, 3개의 좌우 방향 구동부(130)에서의 중앙의 좌우 방향 구동부(130)는, 전후 방향으로는, 전후 방향 구동부(70)의 전후 방향의 길이의 대략 중간 위치에 설치되고, 다른 2개의 좌우 방향 구동부(130)는, 중앙의 좌우 방향 구동부(130)와 거의 등거리에 설치되어 있다. 개구부(36b)에 대응해서 설치된 좌우 방향 구동부(130)[즉, 단변부(58)측의 좌우 방향 구동부(130)]에서의 볼 나사(136)가 제6 볼 나사에 해당한다. 개구부(36a)에 대응해서 설치된 좌우 방향 구동부(130)와, 개구부(36b)에 대응해서 설치된 좌우 방향 구동부(130)에서의 한쪽이 제1 좌우 방향 구동부가 되고, 다른 쪽이 제2 좌우 방향 구동부가 된다. 제1 좌우 방향 구동부에서의 모터(134)가 제5 모터가 되고, 제2 좌우 방향 구동부에서의 모터(134)가 제6 모터가 된다. 또한, 상기 제14 및 제15 구성에서는, 좌우 방향 구동부(130)에서의 모터(134)는 제5 모터가 된다.
이상과 같이, 전후 방향 구동부(71)는, 3개의 좌우 방향 구동부(130)의 이동 부재(137)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또한, 전후 방향 구동부(70, 71)에서의 볼 나사(86, 106)의 방향과, 좌우 방향 구동부(130)에서의 볼 나사(136)의 방향은, 평면에서 보아 서로 직각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봉제 프레임 구동부(60)를 구성하는 볼 나사(86, 106, 136)는, 모두 그 주위면에 형성된 나사 홈이 동일한 피치로 동일한 회전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어 회로(200)는, 봉제 프레임 구동부(60)에서의 모터(84, 104, 134)의 동작을 제어하는 회로이며, 봉제 프레임 구동부(60)에서의 모든 모터에 접속되어 각 모터의 동작을 제어한다. 즉, 전후 방향 구동부(70) 및 전후 방향 구동부(71)에서의 모터(84, 104)의 동작 제어에 관해서는, 제어 회로(200)는, 전후 방향 구동부(70, 71)에서의 모든 모터(84, 104)에 대해서 동기 제어를 행하고, 특히 1개의 전후 방향 구동부(70, 71)에서의 모터(84)와 모터(104)는, 볼 나사(86, 106)와 연결 부재(124)가 전체적으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동기 제어된다. 또한, 복수의 전후 방향 구동부(70) 및 전후 방향 구동부(71)에서의 각 모터(84)도 동기 제어되고, 복수의 전후 방향 구동부(70) 및 전후 방향 구동부(71)에서의 각 모터(104)도 동기 제어된다. 또한, 1개의 전후 방향 구동부(70, 71)에서의 모터(84)와 모터(104)는, 볼 나사(86)와 볼 나사(106)가 연결되어 있으므로, 회전 방향은 반대가 되도록 제어된다. 즉, 전후 방향 구동부(70)에서, 장변부(52)를 구동하는 볼 나사 기구부(80)의 모터(84)와 장변부(54)를 구동하는 볼 나사 기구부(100)의 모터(104)는 회전 방향이 서로 반대가 되도록 제어되고, 마찬가지로, 전후 방향 구동부(71)에서도, 모터(84)와 모터(104)는 회전 방향이 서로 반대가 되도록 제어된다. 이와 같이 하여, 복수의 전후 방향 구동부(70, 71)에서의 모든 전후 방향 구동부(70, 71)에 있어서, 전후 방향 구동부(70)의 이동 부재(87, 107)나 전후 방향 구동부(71)의 이동 부재(87, 107)의 이동 방향 및 이동량이 동일하게 되도록 모터(84, 104)의 동작이 제어된다.
또한, 좌우 방향 구동부(130)에서의 모터(134)의 동작 제어에 관해서도, 제어 회로(200)는, 좌우 방향 구동부(130)에서의 모든 모터에 대해서 동기 제어한다. 또한, 단변부(56)와 접속된 전후 방향 구동부(71)를 구동하는 좌우 방향 구동부(130)의 모터(134)와 단변부(58)와 접속된 전후 방향 구동부(71)를 구동하는 좌우 방향 구동부(130)의 모터(134)는 회전 방향이 서로 반대가 되도록 제어된다. 즉, 좌우 방향 구동부(130)에서의 이동 부재(137)의 이동 방향 및 이동량이 동일하게 되도록 모터(134)의 동작이 제어된다.
상기 제어 회로(200)는, 실제로는, 모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억한 기억 장치와, 상기 기억 장치에 기억된 프로그램에 따라서 모터를 제어하는 CPU 등을 갖고 있다.
상기 구성의 재봉틀(5)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봉제 프레임(50)에 가공 천을 장설한 상태에서, 봉제 프레임(50)을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재봉틀 헤드(22)에 설치되어 상하 왕복 이동하는 바늘과, 회전 구동하는 북집과의 협동에 의해 가공 천을 봉제(특히, 자수 봉제)한다.
봉제 프레임(50)에 가공 천을 장설하기 위해서는, 돌기부(59b)와 캡부(59c) 사이에 가공 천을 끼움으로써 행한다.
또한, 재봉틀(5)에서는, 제어 회로(200)에 의한 제어에 따라서, 봉제 프레임(50)이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이동한다. 즉, 제어 회로(200)의 제어에 따라서, 전후 방향 구동부(70, 71)에서의 모터(84, 104)가 동작하고, 모터(84, 104)가 동작함에 따라 볼 나사(86, 106)가 회전하고, 볼 나사(86, 106)가 회전함에 따라 이동 부재(87, 107)가 이동한다. 즉, 전후 방향 구동부(70)에서는, 이동 부재(87)가, 볼 나사(86) 및 레일부(82a-2)를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고, 이동 부재(107)가, 볼 나사(106) 및 레일부(102a-2)를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고, 전후 방향 구동부(71)에서는, 이동 부재(87)가, 볼 나사(86) 및 레일부(72a-2)를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고, 이동 부재(107)가, 볼 나사(106) 및 레일부(72a-3)를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한다. 또한, 제어 회로(200)의 제어에 따라서, 좌우 방향 구동부(130)에서의 모터(134)가 동작하고, 모터(134)가 동작함에 따라 볼 나사(136)가 회전하고, 볼 나사(136)가 회전함에 따라 이동 부재(137)가 좌우 방향으로 이동한다.
전후 방향 구동부(70)에서, 축부(90)를 통해 너트(88)에 지지된 결합 롤러(92)는, 봉제 프레임(50)의 장변부(52)에 결합하고, 축부(110)를 통해 너트(108)에 지지된 결합 롤러(112)는, 봉제 프레임(50)의 장변부(54)에 결합하고, 또한, 전후 방향 구동부(71)에서, 이동 부재(87, 107)가 봉제 프레임(50)에 접속 부재(49)를 통해 접속되어 있으므로, 이동 부재(87, 107)가 이동함으로써 봉제 프레임(50)은 전후 방향으로 이동한다. 또한, 좌우 방향 구동부(130)에서의 이동 부재(137)는 전후 방향 구동부(71)의 브래킷(72)에 고착되어 있으므로, 이동 부재(137)가 이동함으로써 봉제 프레임(50)은 좌우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때, 장변부(52)에 결합하고 있는 결합 롤러(92)는, 결합 롤러(92)가 결합하고 있는 장변부(52)의 홈부(M)를 따라 미끄럼 이동하고, 장변부(54)에 결합하고 있는 결합 롤러(112)는, 결합 롤러(112)가 결합하고 있는 장변부(54)의 홈부(M)를 따라 미끄럼 이동한다.
본 실시예의 재봉틀(5)에 따르면, 봉제 프레임(50)에서의 모든 4개의 변부에 대해서 이동 부재에 의해 지지함[즉, 한 쌍의 장변부(52, 54)에 대해서는, 전후 방향 구동부(70)의 이동 부재(87, 107)에 의해 지지하고, 한 쌍의 단변부(56, 58)에 대해서는, 전후 방향 구동부(71)의 이동 부재(87, 107)에 의해 지지하고 있음]으로써, 봉제 프레임(50)의 모든 변부에 구동 기구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봉제 프레임(50)의 변형을 매우 작게 할 수 있어, 봉제 프레임을 고 정밀도로 위치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봉제 프레임의 모든 변부에 구동 기구를 설치하고, 봉제 프레임의 모든 변부를 능동적으로 위치 결정함으로써, 봉제에 의한 가공 천의 인장력에 의해 내측으로 당겨져도 봉제 프레임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볼 나사는 일반적으로 강성이 높으므로, 봉제에 의한 인장력에 의해서도 볼 나사(86, 106)와 연결 부재(124)로 이루어지는 축 형상 부재는 강성을 높게 할 수 있어, 이 축 형상 부재가 휠 우려는 작다.
또한, 특히 봉제 프레임(50)의 장변부(52, 54)를 지지하는 전후 방향 구동부(70)나 단변부(56, 58)를 지지하는 전후 방향 구동부(71)에서는, 볼 나사(86)와 볼 나사(106)가 연결 부재(124)를 통해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봉제 프레임(50)이 변형됨(특히, 내측으로 변형됨)으로써 모터의 힘에 저항해서 너트[전후 방향 구동부(71)에서는, 이동 부재]가 이동하려고 해도, 너트(이동 부재)가 나사 결합하는 볼 나사는 다른 쪽의 볼 나사와 일체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모터의 힘에 저항해서 너트가 이동하는 경우가 없다. 즉, 가공 천에 봉제를 행함에 따라서 가공 천이 내측으로 당겨지면, 봉제 프레임(50)에서의 장변부(52, 54)도 내측으로 당겨지는데, 가령, 연결 부재(124)에 의해 볼 나사(86)와 볼 나사(106)가 일체로 구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너트(88, 108)[전후 방향 구동부(71)에서는, 이동 부재(87, 107)]가 모터의 힘에 저항해서 볼 나사(86, 106)를 회전시켜, 너트(88, 108)(이동 부재(87, 107))가 이동할 우려가 있지만,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장변부(52, 54)가 내측으로 당겨지면, 너트(88)와 너트(108)는 모두 내측으로 이동하려고 하는데, 너트(88)가 내측으로 이동하려고 하는 경우의 볼 나사(86)의 회전 방향과 너트(108)가 내측으로 이동하려고 하는 경우의 볼 나사(106)의 회전 방향은 역방향이므로, 너트(88)와 너트(108)가 내측으로 이동하지 않는다. 전후 방향 구동부(71)에서도, 장변부(52, 54)가 내측으로 당겨지면, 이동 부재(87)와 이동 부재(107)는 모두 내측으로 이동하려고 하는데, 이동 부재(107)가 내측으로 이동하려고 하는 경우의 볼 나사(86)의 회전 방향과 이동 부재(107)가 내측으로 이동하려고 하는 경우의 볼 나사(106)의 회전 방향은 역방향이므로, 이동 부재(87)와 이동 부재(107)가 내측으로 이동하지 않는다. 따라서, 봉제 프레임(50)의 장변부(52, 54)가 변형될 우려는 매우 작다.
또한, 전후 방향 구동부(70)에서는, 너트(88)(108)는, 볼 나사(86)(106)와 레일부(82a-2)(102a-2)에 의해 그 움직임이 규제될 뿐이므로, 너트(88, 108)의 이동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전후 방향 구동부(71)에서도, 이동 부재(87)(107)는, 볼 나사(86)(106)와 레일부(72a-2)(72a-3)에 의해 그 움직임이 규제될 뿐이므로, 이동 부재(87, 107)의 이동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즉, 특허문헌 3, 4와 같이 너트에 연결 바를 설치한 구성의 경우에는, 너트는, 연결 바에 의해서도 그 움직임이 규제되기 때문에, 연결 바의 방향이 볼 나사와 정확하게 평행을 이루지 않고 있는 경우에는, 너트가 원활하게 이동할 수 없는데,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너트에 연결 바가 설치되지 않았기 때문에, 연결 바에 그 움직임이 규제되지 않아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전후 방향 구동부(70)에서는, 볼 나사(86, 106)와 연결 부재(124)로 이루어지는 축 형상 부재는, 입설부(82b, 102b)뿐만 아니라 입설부(82c, 102c)에 의해서도 축 고정되고, 또한, 전후 방향 구동부(71)에서는, 볼 나사(86, 106)와 연결 부재(124)로 이루어지는 축 형상 부재는, 입설부(72b, 72e)뿐만 아니라 입설부(72c, 72d)에 의해서도 축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축 형상 부재가 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전후 방향 구동부(71)가 단변부(56, 58)에 접속되고, 전후 방향 구동부(71)가 좌우 방향 구동부(130)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구동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단변부(56, 58)가 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단변부(56, 58)가 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으로써 장변부(52, 54)가 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전후 방향 구동부(71)가 설치되지 않고, 좌우 방향 구동부(130)에서의 이동 부재(137)가 이동 부재(87)와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결합 롤러가 단변부(56, 58)에 결합하는 구성인 경우에는, 봉제 프레임(50)에서의 길이 방향의 단부 영역(즉, 단변부(56, 58)에 가까운 영역)은, 전후 방향 구동부(70)에 지지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가공 천에 봉제를 행함에 따라서 가공 천이 내측으로 당겨지면, 봉제 프레임(50)에서의 길이 방향의 단부 영역은 전후 방향으로 내측으로 휠 우려가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전후 방향 구동부(71)가 단변부(56, 58)에 접속되어 있어, 봉제 프레임(50)에서의 길이 방향의 단부 영역이 전후 방향 구동부에 의해 지지되어 있으므로, 봉제 프레임(50)에서의 길이 방향의 단부 영역이 전후 방향으로 휠 우려가 없다.
또한, 상기의 설명에서는, 전후 방향 구동부(70)나 전후 방향 구동부(71)에 있어서, 볼 나사(86)와 볼 나사(106)를 연결 부재(124)에 의해 연결하는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도 11,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체를 1개의 볼 나사에 의해 구성해도 좋다.
즉, 도 12에 도시하는 전후 방향 구동부(70')는, 다이부(20)의 상면에 설치된 브래킷(82')과, 브래킷(82')의 한쪽 단부에 설치된 모터(84)와, 브래킷(82')의 다른 쪽 단부에 설치된 모터(104)와, 브래킷(8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동시에, 모터(84)에 그 일단부가 결합되는 동시에 모터(104)에 타단부가 결합되어, 모터(84)와 모터(104)에 의해 회전되는 볼 나사(86')와, 볼 나사(86')가 회전함으로써 나사 이동 가능하게 나사 결합된 이동 부재(87, 107)를 갖는 것이며, 브래킷(82')은, 가늘고 긴 직사각 형상의 대략 판 형상으로 수평으로 설치된 수평 부재(82a')와, 수평 부재(82a')의 한쪽 단부로부터 세워 설치한 판 형상의 입설부(82b')와, 수평 부재(82a')의 다른 쪽 단부로부터 세워 설치한 판 형상의 입설부(82c')를 갖고, 수평 부재(82a')는, 가늘고 긴 직사각 형상의 판 형상을 띠는 판 형상부(82a-1')와, 판 형상부(82a-1')의 상면에 길이 방향으로 볼 나사(86')와 평행하게 설치된 레일부(82a-2')를 갖고 있다. 전후 방향 구동부를 도 12에 도시하는 전후 방향 구동부(70')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도, 도 5에 도시하는 전후 방향 구동부(70)와 마찬가지의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도 11에 도시하는 전후 방향 구동부(71')는, 브래킷(72)과, 브래킷(72)의 한쪽 단부(입설부(72b))에 설치된 모터(84)와, 브래킷(72)의 다른 쪽 단부(입설부(72e))에 설치된 모터(104)와, 브래킷(7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동시에, 모터(84)에 그 일단부가 결합되는 동시에 모터(104)에 타단부가 결합되어, 모터(84)와 모터(104)에 의해 회전되는 볼 나사(86)와, 볼 나사(86)가 회전함으로써 나사 이동 가능하게 나사 결합된 이동 부재(87, 107)를 갖는 것이며, 브래킷(72)은, 가늘고 긴 직사각 형상의 대략 판 형상으로 수평으로 설치된 수평 부재(72a)와, 수평 부재(72a)의 한쪽 단부로부터 세워 설치한 판 형상의 입설부(72b)와, 수평 부재(72a)의 다른 쪽 단부로부터 세워 설치한 판 형상의 입설부(72e)를 갖고, 수평 부재(72a)는, 가늘고 긴 직사각 형상의 판 형상을 띠는 판 형상부(72a-1)와, 판 형상부(72a-1)의 상면에 길이 방향으로 볼 나사(86)와 평행하게 설치된 레일부(72a-2)를 갖고 있다. 전후 방향 구동부를 도 11에 도시하는 전후 방향 구동부(71')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도, 도 4에 도시하는 전후 방향 구동부(71)와 마찬가지의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여기서, 전후 방향 구동부(70')에서의 모터(84, 104)와 이동 부재(87, 107) 이외의 구성이, 제1 구동부(모터(84, 104))를 지지하는 동시에, 제1 이동 부재와 제2 이동 부재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이며, 전후 방향 구동부(71')에서의 모터(84, 104)와 이동 부재(87, 107) 이외의 구성[브래킷(82')과 볼 나사(86')]이, "제2 구동부(모터(84, 104))를 지지하는 동시에, 제3 이동 부재(이동 부재(87))와 제4 이동 부재(이동 부재(107))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71A')"를 구성한다. 또한, 도 2, 도 5의 예에서는, 전후 방향 구동부(70)에 있어서 2개의 브래킷(82, 102)을 설치하는 것으로 했지만,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1개의 브래킷에 의해 구성해도 좋다.
또한, 상기의 구성에 있어서, 1개의 전후 방향 구동부(70, 71)에는, 모터(84)와 모터(104)의 2개의 모터가 설치되어 있지만, 어느 하나로 해도 좋고, 그 경우에도, 봉제 프레임(50)의 전후 방향으로의 구동은 가능하다. 단, 모터를 어느 한나로만 했을 경우에는, 축 형상 부재 또는 전체를 1개의 볼 나사로 구성한 경우의 볼 나사에 있어서, 모터 접속측의 단부에 회전력이 부여됨으로써, 축 형상 부재(또는 볼 나사)가 회전하는데, 모터가 접속된 측과 반대측은 종동하게 되므로, 축 형상 부재(또는 볼 나사)가 약간 비틀러짐으로써 모터 접속측과 반대측에 위치하는 이동 부재의 움직임의 응답성이 약간 지연될 가능성이 있으며, 그러한 의미에서는, 상기와 같이 1개의 전후 방향 구동부(70)의 양측에 모터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의 설명에서는, 전후 방향 구동부(70)가 2개 설치되고, 또한, 좌우 방향 구동부(130)가 좌우에 3개씩 설치되는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전후 방향 구동부(70)는, 1개 이상이면 좋고(3개 이상이어도 좋다), 또한, 좌우 방향 구동부(130)는, 2개 이상이면 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재봉틀(5)에서는, 봉제 프레임 구동부(60)를 구성하는 전후 방향 구동부와 좌우 방향 구동부는 볼 나사 기구를 사용하는 것으로 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고, 타이밍 벨트 기구를 사용해도 된다.
즉, 본 실시예의 재봉틀(5)에서의 봉제 프레임 구동부(60)에 있어서, 전후 방향 구동부(70) 대신에, 도 14, 도 15에 도시하는 전후 방향 구동부(140)(제1 전후 방향 구동부)를 사용하고, 전후 방향 구동부(71) 대신에, 도 13에 도시하는 전후 방향 구동부(141)(제2 전후 방향 구동부)를 사용하고, 또한, 좌우 방향 구동부(130) 대신에, 도 13에 도시하는 좌우 방향 구동부(195)를 사용하는 것이다.
여기서, 전후 방향 구동부(140)는,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타이밍 벨트 기구부(150, 170)와, 연결 부재(190)를 갖고 있다.
타이밍 벨트 기구부(150)는, 다이부(20)의 상면에 설치된 대략 통 형상의 프레임부(지지 프레임)(152)와, 프레임부(152)의 한쪽 단부에 설치된 지지부(154)와, 지지부(154)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 풀리(156)와, 프레임부(152)의 다른 쪽 단부의 측면에 설치된 모터(158)(제1 모터)와, 모터(158)의 출력 단부에 설치된 회전 풀리(160)와, 무단 형상의 타이밍 벨트(162)(제1 타이밍 벨트)와, 타이밍 벨트(162)에 고정되어 설치되는 동시에, 프레임부(152)의 레일부(152b)를 따라 슬라이드하는 이동 부재(163)(제1 이동 부재)를 갖고 있다.
여기서, 프레임부(152)는, 도 13,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각 통 형상을 띠며, 내부에 삽입 관통 구멍(153)을 갖는 프레임부 본체(152a)와, 프레임부 본체(152a)의 상면 중앙에 프레임부 본체(152a)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설치된 레일부(152b)를 갖고 있다. 상기 프레임부(152)는, 전후 방향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지지부(154)는 1대 설치되고, 프레임부 본체(152a)의 양측 측벽의 후단부 위치로부터 후방측(Y2측)에 각각 설치되고, 대략 L자 형상의 부재에 의해 형성되며, 회전 풀리(156)를 회전 가능하게 축 고정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회전 풀리(156)는, 지지부(154)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프레임부(152)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직각 방향(즉, 좌우 방향(X1-X2 방향))의 축선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모터(158)는, 프레임부 본체(152a)의 측면에 부착 가능한 플랜지를 가지며, 그 회전축의 방향은, 프레임부(152)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직각 방향으로 되어 있고, 모터(158)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 풀리(160)도 프레임부(152)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직각 방향(즉, 좌우 방향)의 축선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회전 풀리(156)와 회전 풀리(160)의 주위면에는, 타이밍 벨트(162)와 결합하기 위한 요철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타이밍 벨트(162)는, 그 양측이, 회전 풀리(156)와 회전 풀리(160)에 현가되고, 그 상측 부분은 프레임부(152)의 상측에 위치하고, 그 하측 부분은 프레임부(152)의 삽입 관통 구멍(153) 내에 위치하고 있다. 상기 타이밍 벨트(162)는, 실제로는 띠 형상의 벨트의 양단부를 접촉시켜서 무단 형상으로 한 것이며, 벨트를 삽입 관통 구멍(153)에 삽입 관통시키는 동시에, 벨트의 양단부를 접촉된 상태에서 벨트 끼움판(164b)과 고정구(164c)에 의해 끼워 고정함(그때, 벨트의 양단부의 접촉 부분은 벨트 끼움판(164b)과 고정구(164c)의 사이에 위치한다)으로써 구성된다. 타이밍 벨트(162)의 내측에는, 요철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동 부재(163)는, 이동 부재 본체(164)와, 축부(166)와, 결합 롤러(168)를 갖고, 이동 부재 본체(164)는, 레일부(152b)에 결합하는 홈부를 하면측에 갖고, 레일부(152b)를 따라 미끄럼 이동하는 대략 판 형상의 슬라이더(164a)와, 대략 판 형상을 띠고, 그 상면에 타이밍 벨트(162)의 내측 요철과 결합하는 요철이 형성된 벨트 끼움판(164b)과, 하면측에 타이밍 벨트(162)를 배치하기 위한 얕은 홈부를 갖고, 벨트 끼움판(164b)과 함께 타이밍 벨트(162)를 끼워 고정하는 고정구(164c)를 갖고, 고정구(164c)와 벨트 끼움판(164b)으로 타이밍 벨트(162)를 끼운 상태에서 벨트 끼움판(164b)을 슬라이더(164a)의 상면에 겹쳐서 일체로 나사(165)에 의해 나사 고정함으로써 이동 부재 본체(164)가 구성된다. 고정구(164c)의 네 모서리와 벨트 끼움판(164b)의 네 모서리에는 나사(165)를 삽입 관통하기 위한 구멍부가 형성되고, 슬라이더(114a)의 네 모서리에는 나사(165)가 나사 결합하기 위한 나사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축부(166)는, 고정구(164c)의 상면에 고착되고, 테이블(30)의 절결부(34a)와 슬릿판(38)의 슬릿에 유통, 즉, 여유가 있는 상태로 삽입 관통되어, 테이블(30)의 상면보다 돌출되어 설치된다. 또한, 결합 롤러(168)는, 축부(166)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피봇되어, 테이블(30)의 상면보다 상방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타이밍 벨트 기구부(170)는, 타이밍 벨트 기구부(150)와 마찬가지의 구성이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즉, 타이밍 벨트 기구부(170)는, 다이부(20)의 상면에 설치된 대략 통 형상의 프레임부(지지 프레임)(172)와, 프레임부(172)의 한쪽 단부에 설치된 지지부(174)와, 지지부(174)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 풀리(176)와, 프레임부(172)의 다른 쪽 단부의 측면에 설치된 모터(178)(제2 모터)와, 모터(178)의 출력 단부에 설치된 회전 풀리(180)와, 무단 형상의 타이밍 벨트(182)(제2 타이밍 벨트)와, 타이밍 벨트(182)에 고정되어 설치되는 동시에, 프레임부(172)의 레일부를 따라 슬라이드하는 이동 부재(183)(제2 이동 부재)를 갖고 있다.
여기서, 프레임부(172)와, 지지부(174)와, 회전 풀리(176)와, 모터(178)와, 회전 풀리(180)와, 타이밍 벨트(182)와, 이동 부재(183)의 구성은, 타이밍 벨트 기구부(150)에서의 각 부, 즉 프레임부(152)와, 지지부(154)와, 회전 풀리(156)와, 모터(158)와, 회전 풀리(160)와, 타이밍 벨트(162)와, 이동 부재(163)와 마찬가지의 구성이다.
즉, 이동 부재(183)는, 이동 부재 본체(184)와, 축부(186)와, 결합 롤러(188)를 갖고, 이동 부재 본체(184)는, 슬라이더(164a)와 마찬가지의 구성의 슬라이더(184a)와, 벨트 끼움판(164b)과 마찬가지의 구성의 벨트 끼움판(184b)과, 고정구(164c)와 마찬가지의 구성의 고정구(184c)를 갖고, 고정구(184c)와 벨트 끼움판(184b)으로 타이밍 벨트(182)를 끼운 상태에서 벨트 끼움판(184b)을 슬라이더(184a)의 상면에 겹쳐서 일체로 나사 고정함으로써 이동 부재 본체(184)가 구성된다. 축부(186)는, 축부(166)와 마찬가지의 구성이며, 결합 롤러(188)는, 결합 롤러(168)와 마찬가지의 구성이다. 이동 부재(183)는, 이동 부재(163)와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전후 방향 구동부(140)에서의 모터(158)와 모터(178)에 의해 청구의 범위에서의 제1 구동부가 구성된다.
또한, 연결 부재(190)는, 대략 막대 형상을 띠며, 이동 부재(163)와 이동 부재(183) 사이에 고정되어 설치되고, 한쪽 단부가 이동 부재(163)의 고정구(164c)에 고정되고, 다른 쪽 단부가 이동 부재(183)의 고정구(184c)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전후 방향 구동부(140)에서의 연결 부재(190)가, 청구의 범위에서의 "제1 간격 유지 수단"에 해당한다. 또한, 전후 방향 구동부(140)에서의 모터(158, 178)와 이동 부재(163, 183) 이외의 구성이, 제1 구동부(모터(158, 178))를 지지하는 동시에, 제1 이동 부재(이동 부재(163))와 제2 이동 부재(이동 부재(183))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다. 또한, 타이밍 벨트 기구부(150)에 있어서, 프레임부(152)와, 지지부(154)와, 회전 풀리(156, 160)가, 제1 구동부(모터(158))를 지지하는 동시에, 제1 이동 부재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이며, 타이밍 벨트 기구부(170)에 있어서, 프레임부(172)와, 지지부(174)와, 회전 풀리(176, 180)가, 제1 구동부(모터(178))를 지지하는 동시에, 제2 이동 부재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다.
전후 방향 구동부(140)에 있어서, 타이밍 벨트 기구부(150)의 타이밍 벨트(162)와 타이밍 벨트 기구부(170)의 타이밍 벨트(182)는 동일선상에 설치되는 동시에 전후 방향으로 설치되고, 타이밍 벨트(162)의 상측인 이동 부재(163)의 이동로의 연장선상에 타이밍 벨트(182)의 상측인 이동 부재(183)의 이동로가 존재한다. 또한, 연결 부재(190)는, 타이밍 벨트(162, 182)와 동일 방향(전후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복수의 전후 방향 구동부(140)는 전후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설치되어, 복수의 전후 방향 구동부(140)에 있어서, 이동 부재(163, 183)가 서로 평행하게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복수의 전후 방향 구동부(140)에서의 각 전후 방향 구동부(140)는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전후 방향 구동부(71) 대신에 사용하는 전후 방향 구동부(141)는, 도 14, 도 15에 도시하는 전후 방향 구동부(140)와 거의 마찬가지의 구성이지만,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부(152)와 프레임부(172)를 일체로 구성하는 동시에, 이동 부재(163)로부터 축부(166)와 결합 롤러(168)의 구성을 제외하는 동시에, 이동 부재(183)로부터 축부(186)와 결합 롤러(188)의 구성을 제외한 구성이다.
즉, 프레임부(152)에서의 사각 통 형상의 프레임부 본체(152a)의 저면을 구성하는 저면부(152a-1)(도 15 참조)와 프레임부(172)에서의 사각 통 형상의 프레임부 본체의 저면을 구성하는 저면부를 하나의 판 형상부에 의해 구성함으로써, 프레임부(152)와 프레임부(172)가 일체로 구성된다. 즉,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부(지지 프레임)(151)는, 가늘고 긴 직사각 형상의 판 형상부(151a)와, 상기 판 형상부(151a)의 전후 방향의 한쪽(Y1측) 영역에 설치한 단면 대략 ㄷ자 형상의 프레임 구성부(151b)[도 15에 도시하는 프레임부(152)로부터 저면부(152a-1)를 제외한 것과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와, 상기 판 형상부(151a)의 전후 방향의 다른 쪽(Y2측) 영역에 설치한 단면 대략 ㄷ자 형상의 프레임 구성부(151c)[프레임 구성부(151b)와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를 갖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판 형상부(151a)는, 프레임 구성부(151b)의 한쪽 단부로부터 프레임 구성부(151c)의 다른 쪽 단부까지의 길이를 갖고 있다.
또한, 전후 방향 구동부(141)에서의 이동 부재(163)는, 슬라이더(164a)와, 벨트 끼움판(164b)과, 고정구(164c)로 구성되며[즉, 이동 부재(163)는, 타이밍 벨트 기구부(150)에서의 이동 부재 본체(164)에 해당한다], 이동 부재(163)[특히, 이동 부재(163)에서의 고정구(164c)]의 봉제 프레임(50)측의 측면에는, 상기 접속 부재(49)가 설치되고, 이 접속 부재(49)를 통해 봉제 프레임(50)의 단변부(56, 58)에 고정된다. 즉, 접속 부재(49)의 수직 부재(49b)가 이동 부재(163)[특히, 이동 부재(163)에서의 고정구(164c)]에 고착되고, 또한, 수평 부재(49a)가 봉제 프레임(50)의 단변부(56, 58)에 고정됨으로써, 이동 부재(163)와 봉제 프레임(50)이 접속된다. 마찬가지로, 이동 부재(183)는, 슬라이더(184a)와, 벨트 끼움판(184b)과, 고정구(184c)로 구성되며[즉, 이동 부재(183)는, 타이밍 벨트 기구부(170)에서의 이동 부재 본체(184)에 해당함], 이동 부재(183)[특히, 이동 부재(183)에서의 고정구(184c)]의 봉제 프레임(50)측의 측면에는, 상기 접속 부재(49)가 설치되고, 이 접속 부재(49)를 통해 봉제 프레임(50)의 단변부(56, 58)에 고정된다. 즉, 접속 부재(49)의 수직 부재(49b)가 이동 부재(183)[특히, 이동 부재(183)에서의 고정구(184c)]에 고착되고, 또한, 수평 부재(49a)가 봉제 프레임(50)의 단변부(56, 58)에 고정됨으로써, 이동 부재(183)와 봉제 프레임(50)이 접속된다. 이상과 같이 하여, 전후 방향 구동부(141), 전후 방향 구동부(71)와 마찬가지로, 봉제 프레임(50)과 거의 동일한 높이에 설치된다. 또한, 도 13에서는, 접속 부재(49)는, 봉제 프레임(50)의 코너부(즉, 단변부와 장변부가 접하는 부분)에 접속되어 있지만, 상기 코너부의 부분이 단변부(56, 58)나 장변부(52, 54)에도 포함되는 것으로 생각하면, 접속 부재(49)는 장변부(52, 54)의 길이 방향의 단부에 설치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접속 부재(49)를 봉제 프레임(50)의 코너부 이외의 단변부(56, 58)에 설치해도 좋다. 또한, 장변부(52, 54)를 좌우 방향으로 단변부(56, 58)의 단부보다 길게 신장하고, 그 장변부(52, 54)의 길이 방향의 단부에 접속 부재(49)를 설치해도 좋다. 이상과 같이 하여, 한쪽의 전후 방향 구동부(141)는, 봉제 프레임(50)의 측방의 외측에 단변부(56)를 따라 설치되고, 상기 한쪽의 전후 방향 구동부(141)에서의 이동 부재(163, 183)는, 접속 부재(49)를 통해 봉제 프레임(50)에 접속되어 있고, 또한, 다른 쪽의 전후 방향 구동부(141)는, 봉제 프레임(50)의 측방의 외측에 단변부(58)를 따라 설치되고, 다른 쪽의 전후 방향 구동부(141)에서의 이동 부재(163, 183)는, 접속 부재(49)를 통해 봉제 프레임(50)에 접속되어 있다. 1개의 전후 방향 구동부(141)에 있어서, 이동 부재(163)와 이동 부재(183)는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전후 방향 구동부(140, 141)에 있어서, 이동 부재(163, 183)는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전후 방향 구동부(141)에서의 모터(158, 178)와 이동 부재(163, 183) 이외의 구성[프레임부(151)와 지지부(154, 174)와 회전 풀리(156, 160, 176, 180)와 타이밍 벨트(162, 182)와 연결 부재(190)]이, "제2 구동부(모터(158, 178))를 지지하는 동시에, 제3 이동 부재(이동 부재(163))와 제4 이동 부재(이동 부재(183))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141A)"를 구성한다. 또한, 전후 방향 구동부(141)에서의 타이밍 벨트(162)가 제3 타이밍 벨트에 해당하고, 전후 방향 구동부(141)에서의 타이밍 벨트(182)가 제4 타이밍 벨트에 해당한다. 또한, 전후 방향 구동부(141)에서의 모터(158)가 제3 모터에 해당하고, 전후 방향 구동부(141)에서의 모터(178)가 제4 모터에 해당한다. 또한, 전후 방향 구동부(141)에서의 이동 부재(163)가 제3 이동 부재에 해당하고, 전후 방향 구동부(141)에서의 이동 부재(183)가 제4 이동 부재에 해당한다. 또한, 프레임부(151)와, 지지부(154), 회전 풀리(156), 회전 풀리(160), 지지부(174), 회전 풀리(176), 회전 풀리(180)가, "제3 모터와 제4 모터를 지지하는 동시에, 제3 타이밍 벨트와 제4 타이밍 벨트를 주회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를 구성한다. 또한, 전후 방향 구동부(141)에서의 모터(158)와 모터(178)에 의해 청구의 범위에서의 제2 구동부가 구성된다. 이 전후 방향 구동부(141)에서의 연결 부재(190)가, 청구의 범위에서의 "제2 간격 유지 수단"에 해당한다.
또한, 좌우 방향 구동부(130) 대신에 사용하는 좌우 방향 구동부(195)는, 도 13에 도시하는 좌우 방향 구동부(150)와 거의 마찬가지의 구성이지만, 도 14에서의 이동 부재(163)로부터 축부와 결합 롤러의 구성을 제외하는 동시에, 도 4의 좌우 방향 구동부(130)의 이동 부재(137)에 설치된 지지 부재(139)를 설치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각 좌우 방향 구동부(195)는,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좌우 방향 구동부(195)는, 다이부(20)의 상면에 설치된 대략 통 형상의 프레임부(195-2)와, 프레임부(195-2)의 한쪽 단부에 설치된 지지부(195-4)와, 지지부(195-4)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 풀리(195-6)와, 프레임부(195-2)의 다른 쪽 단부의 측면에 설치된 모터(195-8)(제3 구동부)와, 모터(195-8)의 출력 단부에 설치된 회전 풀리(195-10)와, 무단 형상의 타이밍 벨트(195-12)(제3 타이밍 벨트)와, 타이밍 벨트(195-12)에 고정되어 설치되는 동시에, 프레임부(195-2)의 레일부를 따라 슬라이드하는 이동 부재(195-13)(제3 이동 부재)를 갖고 있다.
여기서, 프레임부(195-2)와, 지지부(195-4)와, 회전 풀리(195-6)와, 모터(195-8)와, 회전 풀리(195-10)와, 타이밍 벨트(195-12)의 구성은, 타이밍 벨트 기구부(150)에서의 각 부, 즉 프레임부(152)와, 지지부(154)와, 회전 풀리(156)와, 모터(158)와, 회전 풀리(160)와, 타이밍 벨트(162)와 마찬가지의 구성이다.
또한, 한 쌍의 개구부 쌍[개구부(36a)와 개구부(36b)로 이루어지는 개구부 쌍]에 대응하는 한 쌍의 좌우 방향 구동부(195)는, 서로 대향하도록 설치되고, 서로 대향하는 좌우 방향 구동부(195)에 있어서, 한쪽의 타이밍 벨트(195-12)는 다른 쪽의 타이밍 벨트(195-12)의 연장선상에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좌우 방향 구동부(195)는, 좌우에 3개씩 설치되고, 3개의 좌우 방향 구동부(195)는 서로 평행하게 설치되고, 3개의 좌우 방향 구동부(195)에 있어서, 이동 부재(195-13)는 서로 평행하게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동 부재(195-13)는, 이동 부재 본체(195-13a)와, 한 쌍의 지지 부재(139)로 구성되어 있다. 즉, 이동 부재 본체(195-13a)의 양측에 L자 형상의 판 형상의 지지 부재(139)에서의 수직 부재(139a)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이동 부재 본체(195-13a)는, 전후 방향 구동부(141)에서의 이동 부재(163)와 마찬가지의 구성이며, 지지 부재(139)의 수직 부재(139a)는, 이동 부재 본체(195-13a)의 양측[특히, 고정구(고정구(164c)과 마찬가지의 구성의 고정구)의 양측]에 설치되어 있다. 지지 부재(139)의 수평 부재(139b)는 전후 방향 구동부(141)의 판 형상부(151a)의 하면에 고착되어 있다.
또한, 좌우 방향 구동부(195)에서의 이동 부재(195-13)가 제5 이동 부재에 해당한다. 또한, 개구부(36a)에 대응해서 설치된 좌우 방향 구동부(195)[즉, 단변부(56)측의 좌우 방향 구동부(195)]에서의 타이밍 벨트(195-12)가 제5 타이밍 벨트에 해당하고, 또한, 개구부(36b)에 대응해서 설치된 좌우 방향 구동부(195)[즉, 단변부(58)측의 좌우 방향 구동부(195)]에서의 타이밍 벨트(195-12)가 제6 타이밍 벨트에 해당한다. 개구부(36a)에 대응해서 설치된 좌우 방향 구동부(195)와, 개구부(36b)에 대응해서 설치된 좌우 방향 구동부(195)에서의 한쪽이, 제1 좌우 방향 구동부가 되고, 다른 쪽이 제2 좌우 방향 구동부가 된다. 제1 좌우 방향 구동부에서의 모터(195-8)가 제5 모터가 되고, 제2 좌우 방향 구동부에서의 모터(195-8)가 제6 모터가 된다. 또한, 상기 제14 및 제15 구성에서는, 좌우 방향 구동부(195)에서의 모터(195-8)는 제5 모터가 된다.
또한, 전후 방향 구동부(140, 141)에서의 타이밍 벨트(162, 182)의 방향과, 좌우 방향 구동부(195)에서의 타이밍 벨트(195-12)의 방향은, 평면에서 보아 서로 직각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전후 방향 구동부(140)에서의 타이밍 벨트 기구부(150)의 결합 롤러(168)는, 봉제 프레임(50)의 장변부(52)의 홈부(M)에 결합하고, 타이밍 벨트 기구부(170)의 결합 롤러(188)는, 봉제 프레임(50)의 장변부(54)의 홈부(M)에 결합한다.
또한, 봉제 프레임 구동부(60)를 구성하는 타이밍 벨트(162, 182, 195-12)는, 모두 그 내측의 요철 피치가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타이밍 벨트 기구를 사용한 경우에도, 전후 방향 구동부(140)가 2개 설치되고, 또한, 좌우 방향 구동부(195)가 좌우에 3개씩 설치되어 있다. 봉제 프레임 구동부(60)를 구성하는 전후 방향 구동부와 좌우 방향 구동부를 도 13 내지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타이밍 벨트 기구에 의해 구성한 경우에는, 봉제 프레임 구동부(60)에서의 전후 방향 구동부와 좌우 방향 구동부의 구성이 상이한 것 외에는, 상기와 마찬가지의 구성이다.
또한, 제어 회로(200)는, 봉제 프레임 구동부(60)에서의 모터(158, 178, 195-8)의 동작을 제어하며, 봉제 프레임 구동부(60)에서의 모든 모터에 접속되어, 각 모터의 동작을 제어한다. 즉, 전후 방향 구동부(140) 및 전후 방향 구동부(141)에서의 모터(158, 178)의 동작 제어에 관해서는, 제어 회로(200)는, 전후 방향 구동부(140, 141)에서의 모든 모터(158, 178)에 대해서 동기 제어를 행하고, 특히, 1개의 전후 방향 구동부(140, 141)에서의 모터(158)와 모터(178)는, 이동 부재(163)와 이동 부재(183)가 연결 부재(190)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므로, 동기 제어된다. 또한, 복수의 전후 방향 구동부(140) 및 전후 방향 구동부(141)에서의 각 모터(158)도 동기 제어되고, 복수의 전후 방향 구동부(140) 및 전후 방향 구동부(141)에서의 각 모터(178)도 동기 제어된다. 또한, 1개의 전후 방향 구동부(140, 141)에서의 모터(158)와 모터(178)는, 이동 부재(163)와 이동 부재(183)가 연결 부재(190)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므로(도 14 참조), 회전 방향은 반대가 되도록 제어된다. 즉, 전후 방향 구동부(140)에 있어서, 장변부(52)를 구동하는 타이밍 벨트 기구부(150)의 모터(158)와 장변부(54)를 구동하는 타이밍 벨트 기구부(170)의 모터(178)는 회전 방향이 서로 반대가 되도록 제어되고, 마찬가지로, 전후 방향 구동부(141)에서도, 모터(158)와 모터(178)는 회전 방향이 서로 반대가 되도록 제어된다. 이와 같이 하여, 복수의 전후 방향 구동부(140, 141)에서의 모든 전후 방향 구동부(140, 141)에 있어서 이동 부재(163, 183)의 이동 방향 및 이동량이 동일하게 되도록 모터(158, 178)의 동작이 제어된다.
또한, 좌우 방향 구동부(195)에서의 모터(195-8)의 동작 제어에 관해서도, 제어 회로(200)는, 좌우 방향 구동부(195)에서의 모든 모터에 대해서 동기 제어한다. 또한, 단변부(56)와 접속된 전후 방향 구동부(141)를 구동하는 좌우 방향 구동부(195)의 모터(195-8)와 단변부(58)를 구동하는 좌우 방향 구동부(195)의 모터(195-8)는 회전 방향이 서로 반대가 되도록 제어된다. 즉, 좌우 방향 구동부(195)에서의 이동 부재(195-13)의 이동 방향 및 이동량이 동일하게 되도록 모터(195-8)의 동작이 제어된다.
상기 제어 회로(200)는, 실제로는, 모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억한 기억 장치와, 상기 기억 장치에 기억된 프로그램에 따라 모터를 제어하는 CPU 등을 갖고 있다.
봉제 프레임 구동부(60)를 구성하는 전후 방향 구동부와 좌우 방향 구동부를 도 13 내지 도 17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타이밍 벨트 기구에 의해 구성한 경우의 재봉틀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하면, 봉제 프레임(50)에 가공 천을 장설한 상태에서, 봉제 프레임(50)이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재봉틀 헤드(22)에 설치되어 상하 왕복 이동하는 바늘과, 회전 구동하는 북집의 협동에 의해 가공 천의 봉제가 행해진다. 봉제 프레임(50)에 가공 천을 장설하기 위해서는, 돌기부(59b)와 캡부(59c) 사이에 가공 천을 끼움으로써 행한다.
또한, 제어 회로(200)에 의한 제어에 따라서, 봉제 프레임(50)이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이동한다. 즉, 제어 회로(200)의 제어에 따라서, 전후 방향 구동부(140, 141)에서의 모터(158, 178)가 동작하고, 모터(158, 178)가 동작함에 따라 타이밍 벨트(162, 182)가 주회하고, 타이밍 벨트(162, 182)가 주회함에 따라 이동 부재(163, 183)가 이동한다. 즉, 이동 부재(163, 183)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한다. 또한, 제어 회로(200)의 제어에 따라서, 좌우 방향 구동부(195)에서의 모터(195-8)가 동작하고, 모터(195-8)가 동작함에 따라 타이밍 벨트(195-12)가 주회하여, 이동 부재(195-13)가 좌우 방향으로 이동한다.
전후 방향 구동부(140)에 있어서, 결합 롤러(168)는, 봉제 프레임(50)의 장변부(52)에 결합하고, 결합 롤러(188)는, 봉제 프레임(50)의 장변부(54)에 결합하고, 또한, 전후 방향 구동부(141)에 있어서, 이동 부재(163, 183)가 봉제 프레임(50)에 접속 부재(49)를 통해 접속되어 있으므로, 이동 부재(163, 183)가 이동 함으로써 봉제 프레임(50)은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고, 또한, 좌우 방향 구동부(195)에서의 이동 부재(195-13)는 전후 방향 구동부(141)의 프레임부(151)에 고착되어 있으므로, 이동 부재(195-13)가 이동함으로써 봉제 프레임(50)은 좌우 방향으로 이동한다.
봉제 프레임 구동부(60)를 구성하는 전후 방향 구동부와 좌우 방향 구동부를 도 13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타이밍 벨트 기구에 의해 구성한 경우에도, 봉제 프레임(50)에서의 모든 4개의 변부에 대해서 이동 부재에 의해 지지함[즉, 한 쌍의 장변부(52, 54)에 대해서는, 전후 방향 구동부(140)의 이동 부재(163, 183)에 의해 지지하고, 한 쌍의 단변부(56, 58)에 대해서는, 전후 방향 구동부(141)의 이동 부재(163, 183)에 의해 지지하고 있음]으로써, 봉제 프레임(50)의 모든 변부에 구동 기구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봉제 프레임(50)의 변형을 매우 작게 할 수 있어, 봉제 프레임을 고 정밀도로 위치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봉제 프레임의 모든 변부에 구동 기구를 설치하여, 봉제 프레임의 모든 변부를 능동적으로 위치 결정함으로써, 봉제에 의한 가공 천의 인장력에 의해 내측으로 당겨져도 봉제 프레임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특히 봉제 프레임(50)의 장변부(52, 54)를 지지하는 전후 방향 구동부(140)나 단변부(56, 58)를 지지하는 전후 방향 구동부(141)에서는, 이동 부재(163)와 이동 부재(183)가 연결 부재(190)를 통해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봉제 프레임(50)이 변형됨(특히, 내측으로 변형됨)으로써 모터의 힘에 저항해서 이동 부재가 이동하려고 해도, 연결 부재(190)에 의해 이동이 규제되어 모터의 힘에 저항해서 이동하는 경우가 없다. 즉, 가공 천에 봉제를 행함에 따라 가공 천이 내측으로 당겨지면, 봉제 프레임(50)에서의 장변부(52, 54)도 내측으로 당겨지고, 이동 부재(163, 183)는 모두 내측으로 당겨지지만, 이동 부재(163, 183)는 모두 연결 부재(190)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내측으로 이동하지 않는다. 따라서, 봉제 프레임(50)의 장변부(52, 54)가 변형될 우려가 매우 작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전후 방향 구동부(141)가 단변부(56, 58)에 접속되고, 전후 방향 구동부(141)가 좌우 방향 구동부(195)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구동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단변부(56, 58)가 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단변부(56, 58)가 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으로써 장변부(52, 54)가 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전후 방향 구동부(141)가 설치되어 있지 않고, 좌우 방향 구동부(195)에서의 이동 부재(195-13)가 전후 방향 구동부(140)의 이동 부재(163)와 마찬가지의 구성에서, 결합 롤러가 단변부(56, 58)에 결합하는 구성인 경우에는, 봉제 프레임(50)에서의 길이 방향의 단부 영역[즉, 단변부(56, 58)에 가까운 영역]은, 전후 방향 구동부(140)에 지지되어 있지 않으므로, 가공 천에 봉제를 행함에 따라 가공 천이 내측으로 당겨지면, 봉제 프레임(50)에서의 길이 방향의 단부 영역은 전후 방향으로 내측으로 휠 우려가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전후 방향 구동부(141)가 단변부(56, 58)에 접속되어 있고, 봉제 프레임(50)에서의 길이 방향의 단부 영역이 전후 방향 구동부에 의해 지지되어 있으므로, 봉제 프레임(50)에서의 길이 방향의 단부 영역이 전후 방향으로 휠 우려가 없다.
또한, 상기의 설명에 있어서, 전후 방향 구동부(140)나 전후 방향 구동부(141)는, 2개의 타이밍 벨트 기구부에 의해 구성된다고 했지만, 1개의 타이밍 벨트 기구부에 의해 구성하고, 1개의 타이밍 벨트(제2 전후 방향 구동부용 타이밍 벨트)에 2개의 이동 부재를 간격을 두고 고정하여, 상기 2개의 이동 부재 간에 연결 부재[연결 부재(190)와 마찬가지의 구성의 연결 부재]를 설치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에는, 타이밍 벨트를 구동하는 모터의 개수는 1개가 된다. 단, 타이밍 벨트의 양측에 모터를 설치하도록 해도 좋다.
예를 들어, 전후 방향 구동부(141)를 1개의 타이밍 벨트 기구부에 의해 구성한 경우에는,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된다. 즉, 전후 방향 구동부(141')는, 대략 통 형상의 프레임부(151)와, 프레임부(151)의 한쪽 단부에 설치된 지지부(154)와, 지지부(154)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 풀리(156)와, 프레임부(151)의 다른 쪽 단부의 측면에 설치된 모터(158)(제2 구동부)와, 모터(158)의 출력 단부에 설치된 회전 풀리(160)와, 무단 형상의 타이밍 벨트(162)(제2 전후 방향 구동부용 타이밍 벨트)와, 타이밍 벨트(162)에 고정되어 설치되는 동시에, 프레임부(152)의 레일부를 따라 슬라이드하는 이동 부재(163)(제3 이동 부재) 및 이동 부재(183)(제4 이동 부재)를 갖고 있다. 즉, 프레임(151)은, 전후 방향 구동부(141)에서의 프레임부(151) 전체의 길이와 거의 동일한 길이를 갖고, 전체를 통 형상으로 한 것이며, 전후 방향 구동부(141')에서는, 1개의 타이밍 벨트(162)가 설치되고, 이 타이밍 벨트(162)에 이동 부재(163)와 이동 부재(183)가 간격을 두고 타이밍 벨트(162)에 고정되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동 부재(163)와 이동 부재(183) 사이에는, 대략 막대 형상의 연결 부재(190)가 고정되어 설치되어 있다. 전후 방향 구동부(141')에서의 모터(158)와 이동 부재(163, 183) 이외의 구성[프레임부(151)와 지지부(154)와 회전 풀리(156, 160)와 타이밍 벨트(162)]이, "제2 구동부(모터(158))를 지지하는 동시에, 제3 이동 부재(이동 부재(163))와 제4 이동 부재(이동 부재(183))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141A')"를 구성한다.
또한, 예를 들어, 전후 방향 구동부(140)를 1개의 타이밍 벨트 기구부에 의해 구성한 경우에는,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된다. 즉, 전후 방향 구동부(140')는, 대략 통 형상의 프레임부(152)와, 프레임부(152)의 한쪽 단부에 설치된 지지부(154)와, 지지부(154)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 풀리(156)와, 프레임부(151)의 다른 쪽 단부의 측면에 설치된 모터(158)(제1 구동부)와, 모터(158)의 출력 단부에 설치된 회전 풀리(160)와, 무단 형상의 타이밍 벨트(162)(제1 전후 방향 구동부용 타이밍 벨트)와, 타이밍 벨트(162)에 고정되어 설치되는 동시에, 프레임부(152)의 레일부를 따라 슬라이드하는 이동 부재(163)(제1 이동 부재) 및 이동 부재(183)(제2 이동 부재)를 갖고 있다. 즉, 프레임(152)은, 전후 방향 구동부(141)에서의 프레임부(151) 전체의 길이와 거의 동일한 길이를 갖고, 전체를 통 형상으로 한 것이며, 전후 방향 구동부(140')에서는, 1개의 타이밍 벨트(162)가 설치되고, 이 타이밍 벨트(162)에 이동 부재(163)와 이동 부재(183)가 간격을 두고 타이밍 벨트(162)에 고정되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동 부재(163)와 이동 부재(183) 사이에는, 대략 막대 형상의 연결 부재(190)가 고정되어 설치되어 있다. 전후 방향 구동부(140')에서의 모터(158)와 이동 부재(163, 183) 이외의 구성이, 제1 구동부(모터(158))를 지지하는 동시에, 제1 이동 부재와 제2 이동 부재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다. 또한, 도 16의 전후 방향 구동부(141')나 도 17의 전후 방향 구동부(140')에서는, 모터(158)가 1개만 설치되어 있지만, 회전 풀리(156)의 측에도 모터를 설치해도 좋다.
또한, 상기의 설명에서는, 전후 방향 구동부(70)를 볼 나사 기구부(80, 100)에 의해 구성하고, 전후 방향 구동부(71)를 볼 나사(86, 106)에 의해 구성한 경우에, 좌우 방향 구동부(130)도 볼 나사(136)에 의해 구성한다고 했지만, 좌우 방향 구동부(130) 대신에 타이밍 벨트 기구에 의해 구성된 좌우 방향 구동부(195)에 의해 구성해도 좋다. 또한, 상기의 설명에서는, 전후 방향 구동부(140)를 타이밍 벨트 기구부(150, 170)에 의해 구성하고, 전후 방향 구동부(141)를 타이밍 벨트(162, 182)에 의해 구성한 경우에, 좌우 방향 구동부(195)도 195-12에 의해 구성한다고 했지만, 좌우 방향 구동부(195) 대신에 볼 나사 기구에 의해 구성된 좌우 방향 구동부(130)(도 4 참조)에 의해 구성해도 좋다.
또한, 상기의 설명에서, 볼 나사(86, 106, 136, 86', 286, 306, 336)는, 그 명칭을 "볼 나사 샤프트" 또는 "볼 나사 축"으로 해도 좋다.
또한, 상기의 설명에서는, 전후 방향 구동부(140)가 2개 설치되고, 또한, 좌우 방향 구동부(195)가 좌우에 3개씩 설치되는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전후 방향 구동부(140)는, 1개 이상이면 되며(3개 이상이어도 좋다), 또한, 좌우 방향 구동부(195)는, 2개 이상이면 된다.
5 : 재봉틀 10, 151, 152, 172, 195-2 : 프레임부
22 : 재봉틀 헤드 30 : 테이블
50 : 봉제 프레임 51 : 봉제 프레임 본체
52, 54 : 장변부 56, 58 : 단변부
59 : 클립부 60 : 봉제 프레임 구동부
70, 70', 71, 71', 140, 140', 141, 141' : 전후 방향 구동부
71A, 71A', 141A, 141A' : 지지부
80, 100 : 볼 나사 기구부 72, 82, 82', 102, 132 : 브래킷
84, 104, 134, 158, 178, 195-8 : 모터
86, 86', 106, 136 : 볼 나사
87, 107, 137, 163, 183, 195-13 : 이동 부재
88, 108, 138 : 너트 92, 112, 168, 188 : 결합 롤러
124, 190 : 연결 부재 130, 195 : 좌우 방향 구동부
139 : 지지 부재 150, 170 : 타이밍 벨트 기구부
164, 184, 195-13a : 이동 부재 본체
200 : 제어 회로

Claims (14)

  1. 재봉틀에 있어서 봉제를 행하는 가공 천을 전장(展張)하기 위한 사각 프레임 형상의 봉제 프레임에서, 서로 평행하게 설치된 한 쌍의 장변부(52, 54)와, 장변부에 대하여 직각 방향으로 설치되고, 서로 평행하게 설치된 한 쌍의 단변부(56, 58)를 갖는 봉제 프레임(50)을 구동하는 재봉틀용 봉제 프레임 구동 장치이며,
    상기 봉제 프레임을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구동하는 봉제 프레임 구동부에서, 봉제 프레임을 전후 방향으로 구동하는 제1 전후 방향 구동부(70, 70', 140, 140') 및 제2 전후 방향 구동부(71, 71', 141, 141')와, 봉제 프레임을 좌우 방향으로 구동하는 좌우 방향 구동부(130, 195)를 갖고,
    제1 전후 방향 구동부가, 장변부의 한쪽에 결합하는 결합 부재(92, 168)를 갖고,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제1 이동 부재(87, 163)와, 장변부의 다른 쪽에 결합하는 결합 부재(112, 188)를 갖고,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제2 이동 부재(107, 183)와, 제1 이동 부재와 제2 이동 부재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구동부(84, 104, 158, 178)를 갖고,
    제2 전후 방향 구동부가 한 쌍의 단변부에서의 각 단변부를 따라 각각 설치되고, 봉제 프레임의 단변부 또는 봉제 프레임의 한쪽 장변부의 길이 방향의 단부에 접속 부재(49)를 통해 접속된 제3 이동 부재(87, 163)와, 봉제 프레임의 단변부 또는 봉제 프레임의 다른 쪽 장변부의 길이 방향의 단부에 접속 부재(49)를 통해 접속되고 제3 이동 부재와 간격을 두고 설치된 제4 이동 부재(107, 183)와, 제3 이동 부재와 제4 이동 부재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구동부(84, 104, 158, 178)와, 제2 구동부를 지지하는 동시에, 제3 이동 부재와 제4 이동 부재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71A, 71A', 141A, 141A')를 갖고,
    좌우 방향 구동부는, 한 쌍의 단변부에서의 각 단변부에 따라서 각각 설치되고, 각 좌우 방향 구동부는,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2 전후 방향 구동부의 지지부를 지지하는 제5 이동 부재(137, 195-13)와, 제5 이동 부재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3 구동부(134, 195-8)를 갖는 봉제 프레임 구동부(60)와,
    제1 이동 부재와 제2 이동 부재가 동일 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시에, 제3 이동 부재와 제4 이동 부재가 제1 이동 부재와 동일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제1 구동부와 제2 구동부를 동기해서 제어하고, 제5 이동 부재가 동일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단변부의 한쪽 측의 좌우 방향 구동부의 제3 구동부와 단변부의 다른 쪽 측의 좌우 방향 구동부의 제3 구동부를 동기해서 제어하는 제어 회로(200)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용 봉제 프레임 구동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제1 전후 방향 구동부가, 제1 이동 부재와 제2 이동 부재 간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제1 간격 유지 수단(125, 86', 190)을 갖고, 제2 전후 방향 구동부가, 제3 이동 부재와 제4 이동 부재 간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제2 간격 유지 수단(125, 86, 190)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용 봉제 프레임 구동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제1 전후 방향 구동부(70, 70')가, 제1 간격 유지 수단으로서의 회전 가능하게 전후 방향에 설치된 제1 전후 방향 구동부용 볼 나사(125, 86')를 갖고, 제1 이동 부재와 제2 이동 부재가 상기 제1 전후 방향 구동부용 볼 나사에 나사 결합하여, 제1 구동부가 상기 제1 전후 방향 구동부용 볼 나사를 회전시킴으로써, 제1 이동 부재와 제2 이동 부재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용 봉제 프레임 구동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제1 전후 방향 구동부(70)에 있어서, 제1 전후 방향 구동부용 볼 나사(125)가, 회전 가능하게 전후 방향에 설치된 제1 볼 나사(86)와, 회전 가능하게 전후 방향에 설치되고, 제1 볼 나사와 동축에 설치된 제2 볼 나사(106)와, 제1 볼 나사의 제2 볼 나사측의 단부와 제2 볼 나사의 제1 볼 나사측의 단부의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124)를 갖고, 제1 이동 부재는 제1 볼 나사에 나사 결합하는 동시에, 제2 이동 부재는 제2 볼 나사에 나사 결합하고, 제1 구동부는, 제1 볼 나사를 회전시키는 제1 모터(84)와, 제2 볼 나사의 제1 볼 나사측과는 반대측의 단부에 접속되어, 제2 볼 나사를 회전시키는 제2 모터(104)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용 봉제 프레임 구동 장치.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전후 방향 구동부(71, 71')의 지지부(71A, 71A')가, 제2 간격 유지 수단으로서의 회전 가능하게 전후 방향에 설치된 제2 전후 방향 구동부용 볼 나사(125, 86)를 갖고, 제3 이동 부재와 제4 이동 부재가 상기 제2 전후 방향 구동부용 볼 나사에 나사 결합하여, 제2 구동부가 상기 제2 전후 방향 구동부용 볼 나사를 회전시킴으로써, 제3 이동 부재와 제4 이동 부재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용 봉제 프레임 구동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제2 전후 방향 구동부(71)에 있어서, 제2 전후 방향 구동부용 볼 나사(125)가, 회전 가능하게 전후 방향에 설치된 제3 볼 나사(86)와, 회전 가능하게 전후 방향에 설치되고, 제3 볼 나사와 동축에 설치된 제4 볼 나사(106)와, 제3 볼 나사의 제4 볼 나사측의 단부와 제4 볼 나사의 제2 볼 나사측의 단부의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124)를 갖고, 제3 이동 부재는 제3 볼 나사에 나사 결합하는 동시에, 제4 이동 부재는 제4 볼 나사에 나사 결합하고, 제2 구동부는, 제3 볼 나사를 회전시키는 제3 모터(84)와, 제4 볼 나사의 제3 볼 나사측과는 반대측의 단부에 접속되어, 제4 볼 나사를 회전시키는 제4 모터(104)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용 봉제 프레임 구동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좌우 방향 구동부(130, 195)의 제5 이동 부재가, 제3 구동부에 의해 구동되는 볼 나사 기구 또는 타이밍 벨트 기구에 의해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용 봉제 프레임 구동 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좌우 방향 구동부(130)는, 한쪽의 단변부와 다른 쪽의 단변부에 따라서 각각 설치되고,
    한쪽의 단변부에 따라서 설치된 제1 좌우 방향 구동부는, 회전 가능하게 좌우 방향에 설치된 제5 볼 나사(136)를 갖고, 상기 제5 볼 나사는, 제1 좌우 방향 구동부에 설치된 제3 구동부로서의 제5 모터(134)에 의해 회전되고, 제1 좌우 방향 구동부에 설치된 제5 이동 부재는, 제5 볼 나사에 나사 결합해서 제5 볼 나사가 회전함으로써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고,
    다른 쪽의 단변부에 따라서 설치된 제2 좌우 방향 구동부는, 회전 가능하게 좌우 방향에 설치된 제6 볼 나사(136)를 갖고, 상기 제6 볼 나사는, 제2 좌우 방향 구동부에 설치된 제3 구동부로서의 제6 모터(134)에 의해 회전되고, 제2 좌우 방향 구동부에 설치된 제5 이동 부재는, 제6 볼 나사에 나사 결합해서 제6 볼 나사가 회전함으로써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용 봉제 프레임 구동 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제1 전후 방향 구동부(140)가, 전후 방향에 주회(周回) 가능하게 설치된 제1 타이밍 벨트(162)와, 전후 방향에 주회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1 타이밍 벨트의 주회로의 연장선상에 그 주회로가 설치된 제2 타이밍 벨트(182)를 갖고, 제1 이동 부재가 제1 타이밍 벨트에 고정되는 동시에, 제2 이동 부재가 제2 타이밍 벨트에 고정되고, 제1 이동 부재와 제2 이동 부재 간에는, 제1 간격 유지 수단으로서의 막대 형상의 연결 부재(190)가 설치되고, 제1 구동부가, 제1 타이밍 벨트를 주회시키는 제1 모터와, 제2 타이밍 벨트를 주회시키는 제2 모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용 봉제 프레임 구동 장치.
  10. 제2항에 있어서, 제1 전후 방향 구동부(140')가, 전후 방향에 주회 가능하게 설치된 제1 전후 방향 구동부용 타이밍 벨트(162)를 갖고, 제1 이동 부재와 제2 이동 부재가 제1 전후 방향 구동부용 타이밍 벨트에 고정되고, 제1 이동 부재와 제2 이동 부재 간에는, 상기 제1 간격 유지 수단으로서의 막대 형상의 연결 부재(190)가 설치되어, 제1 구동부가, 제1 전후 방향 구동부용 타이밍 벨트를 주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용 봉제 프레임 구동 장치.
  11. 제2항, 제9항 또는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전후 방향 구동부(141)의 지지부(141A)가, 전후 방향에 주회 가능하게 설치된 제3 타이밍 벨트(162)와, 전후 방향에 주회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3 타이밍 벨트의 주회로의 연장선상에 그 주회로가 설치된 제4 타이밍 벨트(182)를 갖고, 제3 이동 부재가 제3 타이밍 벨트에 고정되는 동시에, 제4 이동 부재가 제4 타이밍 벨트에 고정되고, 제3 이동 부재와 제4 이동 부재 간에는, 제2 간격 유지 수단으로서의 막대 형상의 연결 부재(190)가 설치되고, 제2 구동부가, 제3 타이밍 벨트를 주회시키는 제3 모터와, 제4 타이밍 벨트를 주회시키는 제4 모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용 봉제 프레임 구동 장치.
  12. 제2항, 제9항 또는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전후 방향 구동부(141')의 지지부(141A')가, 전후 방향에 주회 가능하게 설치된 제2 전후 방향 구동부용 타이밍 벨트를 갖고, 제3 이동 부재와 제4 이동 부재가 제2 전후 방향 구동부용 타이밍 벨트에 고정되고, 제3 이동 부재와 제4 이동 부재 간에는, 상기 제2 간격 유지 수단으로서의 막대 형상의 연결 부재가 설치되어, 제2 구동부가, 제2 전후 방향 구동부용 타이밍 벨트를 주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용 봉제 프레임 구동 장치.
  13. 제9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좌우 방향 구동부(130, 195)의 제5 이동 부재가, 제3 구동부에 의해 구동되는 볼 나사 기구 또는 타이밍 벨트 기구에 의해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용 봉제 프레임 구동 장치.
  14. 제1항, 제2항, 제9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좌우 방향 구동부(195)는, 한쪽의 단변부와 다른 쪽의 단변부에 따라서 각각 설치되고,
    한쪽의 단변부에 따라서 설치된 제1 좌우 방향 구동부는, 좌우 방향에 주회 가능하게 설치된 제5 타이밍 벨트(195-12)를 갖고, 상기 제5 타이밍 벨트는, 제1 좌우 방향 구동부에 설치된 제3 구동부로서의 제5 모터(195-8)에 의해 회전되고, 제1 좌우 방향 구동부에 설치된 제5 이동 부재는, 제5 타이밍 벨트에 고정되어 제5 타이밍 벨트가 주회함으로써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고,
    다른 쪽의 단변부에 따라서 설치된 제2 좌우 방향 구동부는, 좌우 방향에 주회 가능하게 설치된 제6 타이밍 벨트(195-12)를 갖고, 상기 제6 타이밍 벨트는, 제2 좌우 방향 구동부에 설치된 제3 구동부로서의 제6 모터(195-8)에 의해 회전되고, 제2 좌우 방향 구동부에 설치된 제5 이동 부재는, 제6 타이밍 벨트에 고정되어 제6 타이밍 벨트가 주회함으로써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용 봉제 프레임 구동 장치.
KR1020127006947A 2009-09-17 2010-09-07 재봉틀용 봉제 프레임 구동 장치 KR1013707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215779 2009-09-17
JP2009215779 2009-09-17
PCT/JP2010/065330 WO2011033969A1 (ja) 2009-09-17 2010-09-07 ミシン用縫製枠駆動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3483A true KR20120063483A (ko) 2012-06-15
KR101370753B1 KR101370753B1 (ko) 2014-03-06

Family

ID=437585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6947A KR101370753B1 (ko) 2009-09-17 2010-09-07 재봉틀용 봉제 프레임 구동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826837B2 (ko)
EP (1) EP2479333B1 (ko)
JP (1) JP5628183B2 (ko)
KR (1) KR101370753B1 (ko)
CN (1) CN102482821B (ko)
WO (1) WO201103396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78567B2 (en) * 2011-01-28 2015-03-17 Orisol Asia Ltd. Sewing direction control apparatus for sewing machine
CH705553A1 (de) * 2011-09-21 2013-03-28 Laesser Ag Stickmaschine mit Stoffspannvorrichtung.
JPWO2014065195A1 (ja) * 2012-10-22 2016-09-08 東海工業ミシン株式会社 縫製用枠の枠辺規制装置
CN104260348A (zh) * 2014-09-10 2015-01-07 合肥斯科尔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多维运动工作台的三维打印机
CN104963129B (zh) * 2015-07-02 2017-06-13 诸暨市乐业机电有限公司 一种新型电脑绣花机悬浮绣框装置
CN105177873A (zh) * 2015-07-09 2015-12-23 湖州华众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提高电脑针车夹料稳定性的方法及夹料装置
CN105755702A (zh) * 2016-04-19 2016-07-13 句容市行香光明绣花厂 一种更稳定的量产绣花机
CN111989432B (zh) * 2018-04-13 2022-08-02 耐克创新有限合伙公司 用于纺织品制造的组件及相关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39679Y2 (ja) * 1979-09-11 1983-09-06 有限会社 丸岡ミシン商会 自動ミシン
US4627369A (en) * 1983-06-27 1986-12-09 Conrad Industries, Inc. System for improving embroidered articles
JP3151765B2 (ja) * 1992-07-14 2001-04-03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ミシンの縫い位置移動装置
JP2840030B2 (ja) * 1994-07-19 1998-12-24 ジューキ株式会社 ミシンの被縫製物移動装置
JPH09176957A (ja) * 1995-12-27 1997-07-08 Tokai Ind Sewing Mach Co Ltd ミシン
JP3170238B2 (ja) * 1997-03-24 2001-05-28 洋 古舘 縫製システム及び縫製方法
JP2001000768A (ja) * 1999-04-21 2001-01-09 Tokai Ind Sewing Mach Co Ltd ミシンの枠駆動装置
JP2002102571A (ja) * 2000-09-29 2002-04-09 Barudan Co Ltd ミシンの縫製枠駆動装置
JP3789371B2 (ja) * 2002-02-15 2006-06-21 株式会社バルダン 工業用刺繍ミシン
JP2003336162A (ja) * 2002-05-13 2003-11-28 Barudan Co Ltd ミシンの縫製枠駆動装置
JP2005065960A (ja) * 2003-08-22 2005-03-17 Barudan Co Ltd ミシンの縫製枠駆動装置
JP2005065959A (ja) * 2003-08-22 2005-03-17 Barudan Co Ltd ミシンの縫製枠駆動装置
JP2006122436A (ja) * 2004-10-29 2006-05-18 Tokai Ind Sewing Mach Co Ltd 刺繍ミシン
JP2006255037A (ja) * 2005-03-15 2006-09-28 Barudan Co Ltd ミシンの縫製枠駆動装置
KR101412983B1 (ko) * 2007-07-19 2014-06-27 주식회사 썬스타 재봉기의 수틀 이송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1033969A1 (ja) 2013-02-14
EP2479333A1 (en) 2012-07-25
EP2479333A4 (en) 2016-01-13
US8826837B2 (en) 2014-09-09
CN102482821B (zh) 2013-10-30
EP2479333B1 (en) 2017-04-12
CN102482821A (zh) 2012-05-30
US20120167810A1 (en) 2012-07-05
KR101370753B1 (ko) 2014-03-06
WO2011033969A1 (ja) 2011-03-24
JP5628183B2 (ja) 2014-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0753B1 (ko) 재봉틀용 봉제 프레임 구동 장치
TWI589749B (zh) 多頭刺繡機以及用於多頭刺繡機的下線單元
JP3489089B2 (ja) ルーパ糸繰り装置
US7503272B2 (en) Rack and pinion type power transmission and apparatus for driving embroidery frame of embroidery machine having the same
JP2007029433A (ja) 穴かがり縫いミシン
US7497178B2 (en) Apparatus for driving embroidery frame of embroidery machine
JP3448156B2 (ja) 縫製装置の布送り装置
JP5525204B2 (ja) ミシン
US7322304B2 (en) Multi-needle sewing machine
US9410274B2 (en) Sewing machine
JP2985164B2 (ja) ミシンの曲布張枠駆動装置
KR20090096333A (ko) 미싱의 피봉제물 이송 장치
EP1947228A2 (en) Apparatus for driving embroidery frame of embroidery machine
KR20080068502A (ko) 자수 미싱의 실채기 구동 기구
JP2002102567A (ja) ミシンの縫製枠駆動装置
JP2002129463A (ja) ミシンの縫製枠駆動装置
JPH09299640A (ja) 縫製装置の布送り装置
JP2003181179A (ja) ミシンの縫製枠駆動装置
JPH09302569A (ja) 多頭式縫製装置の布送り装置
JPS6242065B2 (ko)
JP2570668Y2 (ja) 刺繍機の送り装置
JP4711481B2 (ja) 刺しゅう縫い機能を有するミシン
JP2008302120A (ja) ミシン
JPH06238077A (ja) 多頭形刺繍ミシンの可動枠移動装置
JP2005318925A (ja) 刺繍ミシ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