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96333A - 미싱의 피봉제물 이송 장치 - Google Patents

미싱의 피봉제물 이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96333A
KR20090096333A KR1020090018573A KR20090018573A KR20090096333A KR 20090096333 A KR20090096333 A KR 20090096333A KR 1020090018573 A KR1020090018573 A KR 1020090018573A KR 20090018573 A KR20090018573 A KR 20090018573A KR 20090096333 A KR20090096333 A KR 200900963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ing
pair
slide
sealed
alo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85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쿠오 다지마
Original Assignee
도카이 고교 미싱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카이 고교 미싱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카이 고교 미싱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963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63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CEMBROIDERING; TUFTING
    • D05C9/00Appliances for holding or feeding the base fabric in embroidering machines
    • D05C9/02Appliances for holding or feeding the base fabric in embroidering machines in machines with vertical needles
    • D05C9/04Work holders, e.g. frames
    • D05C9/06Feeding arrangements therefor, e.g. influenced by patterns, operated by pantograph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27/00Work-feeding mea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27/00Work-feeding means
    • D05B27/10Work-feeding means with rotary circular feed member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27/00Work-feeding means
    • D05B27/10Work-feeding means with rotary circular feed members
    • D05B27/12Work-feeding means with rotary circular feed members rotating continuously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5/00Work-feeding or -handl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5B35/10Edge guid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CEMBROIDERING; TUFTING
    • D05C9/00Appliances for holding or feeding the base fabric in embroidering machines
    • D05C9/02Appliances for holding or feeding the base fabric in embroidering machines in machines with vertical nee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과제]
바느질 위치의 피봉제물에 느슨해짐이 발생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봉제의 모양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해결 수단]
피봉제물(H)의 가로 폭에 대응된 간격으로 서로 이격하여 배치되고, 각각 원 또는 원호 모양으로 만곡(彎曲)한 궤도를 따라서 이동하도록 구성된 한 쌍의 회전체(17)와, 상기 한 쌍의 회전체를 상기 만곡한 궤도를 따라서 동기(同期)하여 움직이게 하기 위한 구동 기구(30)와, 상기 피봉제물(H)의 가로 폭 방향의 각 단부를 상기 회전체의 각각을 따라서 유지하기 위한 한 쌍의 유지 부재(23, 24)를 구비한다. 유지 부재(23, 24)에 의해 피봉제물의 좌우 양 단부를 회전체의 만곡한 궤도를 따라서 만곡면 모양으로 전장(展張)한 상태에서 유지하고, 이 유지 부재에 의해서 유지된 피봉제물이 회전체의 이동에 동반하여 상기 만곡한 궤도를 따라서 이동하도록 하고 있다. 피봉제물은 그 표면이 소정의 만곡 상태를 유지하여 순조롭게 세로 방향(Y 방향)으로 이송되게 된다.
피봉제물, 회전체, 구동 기구, 유지 부재, 궤도, 단부, 만곡 상태

Description

미싱의 피봉제물 이송 장치{MATERIAL-TO-BE-SEWN FEEDING APPARATUS FOR SEWING MACHINE}
본 발명은 피봉제물을 전장(展張; 잡아당겨 팽팽하게 함)유지하여 이송하도록 한 미싱의 피봉제물 이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에는, 피봉제물을 복수의 롤러로 둘러싸서 대략 루프 모양으로 전장하여 이송하는 미싱의 피봉제물 이송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피봉제물 이송 장치는 가로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한 한 쌍의 지지체와, 이 한 쌍의 지지체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축 지지된 복수의 롤러를 구비하고 있다. 각 롤러의 양 단부에는 각각 풀리(pulley)가 설치되어 있으며, 각 풀리에는 각 롤러를 연동하여 회전시키기 위한 타이밍 벨트(timing belt)가 감겨 걸려져 있다. 양 타이밍 벨트 사이에는, 피봉제물의 옷감 길이 방향(세로 방향)의 양단 변을 유지하기 위한 한 쌍의 장착 부재가 가설(架設)되어 있다. 이들 한 쌍의 장착 부재에 의해서 복수의 롤러를 둘러싸도록 전장된 피봉제물을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전장 유지된 피봉제물은, 지지체의 슬라이드에 의해서 가로 방향(X 방향)으로 이송되는 동시에 롤러의 회전에 의해서 세로 방향(Y 방향)으로 이송된다.
종래의 피봉제물 이송 장치에서는, 상기와 같이 피봉제물의 유지를 옷감 길이 방향의 양 단변의 협지(挾持)로 행하고 있었다. 따라서, 옷감 폭 방향(가로 방향)의 양 단변은 유지하지 않거나, 혹은 유지하는 경우라도 타이밍 벨트에 점착성 물질로 점착 유지시키고 있었다. 그런데, 피봉제물의 옷감 폭 방향의 양 단변을 유지하지 않는 경우는 피봉제물의 전장이 불충분하기 때문에, 바느질 위치나 그 주변에 느슨해짐이 생기기 쉽고, 무늬 어긋남을 일으킬 우려가 있었다. 특히, 봉제의 진행에 따라서 피봉제물이 잡아 당겨지면, 이와 같은 결함이 일어나기 쉬워진다. 또, 피봉제물의 옷감 폭 방향의 양 단변을 점착 유지하는 경우에도, 봉제의 진행에 따라서 점착 유지 부분에 이탈이 발생함으로써 피봉제물이 느슨하게 될 우려가 있었다.
이러한 결함을 해소하기 위해서, 특허문헌 2의 피봉제물 이송 장치는, 피봉제물의 옷감 폭 방향의 양 단변을 유지하는 한 쌍의 유지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이 유지 부재는 타이밍 벨트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복수 개소에 설치되어 있다. 이 유지 부재에는 피봉제물을 유지하기 위한 오목부(凹部)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오목부에는 피봉제물을 걸기(係止) 위한 고정 부재가 끼워 맞춰지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유지 부재를 설치한 것으로 인하여, 봉제의 진행에 따라 피봉제물이 잡아 당겨진 경우에도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봉제의 무늬 어긋남을 막을 수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국 특개2002-102567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국 특개2005-80895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의 피봉제물 이송 장치는 모두 복수의 롤러를 둘러싸도록 피봉제물을 전장 유지하는 구성이다. 그렇지만, 이 구성에서는 피봉제물이 인접한 롤러 사이에 위치할 때는, 그 표면이 대략 평면 모양(직선 모양)으로 되며(곡률 0), 각 롤러에 둘러싸였을 때는, 그 표면이 롤러를 따라서 강하게 만곡(彎曲)된 상태(큰 곡률)가 된다. 이에 의해, 피봉제물은 봉제시의 전후 방향으로의 이송에 따라서 표면의 만곡도가 극단적으로 변화한다. 그 때문에, 특허문헌 2와 같이 피봉제물의 옷감 폭 방향의 양 단변을 유지했다 하더라도, 바느질 위치 및 그 주변에 느슨해짐이 생길 우려가 남게 되어 봉제의 무늬 어긋남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는 없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은 봉제의 진행에 따라서 바느질 위치의 피봉제물에 느슨해짐이 생기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 봉제의 무늬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는 미싱(sewing machine)의 피봉제물 이송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미싱의 피봉제물 이송 장치는 피봉제물의 가로 폭에 대응된 간격으로 서로 이격하여 배치되며, 각각 원 또는 원호 모양으로 만곡한 궤도를 따라서 이동하도록 구성된 한 쌍의 회전체와, 상기 한 쌍의 회전체를 상기 만곡한 궤도를 따라서 동기(同期)하여 움직이게 하기 위한 구 동 기구와, 상기 피봉제물의 가로 폭 방향의 각 단부를 상기 회전체의 각각을 따라서 유지하기 위한 한 쌍의 유지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유지 부재에 의해 상기 피봉제물을 상기 회전체의 상기 만곡한 궤도를 따라서 만곡면 모양으로 전장한 상태로 유지하며, 이 유지 부재에 의해서 유지된 상기 피봉제물이 상기 회전체의 이동에 따라서 상기 궤도를 따라서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피봉제물의 가로 폭 방향의 각 단부를 한 쌍의 회전체의 각각을 따라서 유지함으로써, 이 피봉제물을 회전체의 원 또는 원호 모양으로 만곡한 궤도를 따라서 만곡면 모양으로 전장한 상태로 유지하며, 이 유지된 피봉제물을 회전체의 회전에 따라서 원 또는 원호 모양으로 만곡한 궤도를 따라서 이송할 수 있다. 이 만곡한 궤도를 따르는 피봉제물의 이송은 피봉제물의 세로 방향(Y 방향)으로의 이송을 초래한다. 이에 의해, 피봉제물은 그 표면이 일정한 만곡 상태를 유지하여 순조롭게 세로 방향(Y 방향)으로 이송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봉제의 진행에 따라서 피봉제물이 Y 방향으로 이동되었을 때, 피봉제물의 표면의 만곡 상태가 변화하는 일이 없어지므로, 바느질 위치에서 전장 유지되고 있는 피봉제물이 느슨해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 봉제 완성품에 무늬 어긋남이 나오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일례로서, 상기 한 쌍의 회전체 사이에, 이 회전체를 따라서 만곡면 모양으로 전장 유지되어 있는 상기 피봉제물을 만곡면을 따라서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설치하도록 해도 된다. 이에 의하면, 유지 부재에 의해서 이동체에 대해 만곡면 모양으로 유지되고 있는 피봉제물을, 다시 이 만곡면을 따라서 아래로부터 지지할 수 있기 때문에 회전체에 의한 피봉제물의 이송을 보다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또, 피봉제물을 한 쌍의 회전체 사이에서 만곡면 모양으로 지지하기 때문에, 피봉제물이 한 쌍의 회전체 사이에서 잡아 당겨지는 경우에도, 바느질 위치의 피봉제물에 느슨해짐이 생기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지지 부재를 적어도 미싱의 셔틀 베이스(Shuttle Base) 주변에 설치하도록 하면, 바느질 위치의 피봉제물에 느슨해짐이 생기는 것을 한층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피봉제물 이송 장치는, 상기 구성에 덧붙여서, 상기 한 쌍의 회전체와, 미싱 헤드 및 그에 대응하는 셔틀 베이스를 상대적으로, 상기 피봉제물의 가로 폭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는 슬라이드 기구를 더 구비한다. 이 피봉제물의 가로 폭 방향으로의 상대적인 슬라이드는, 회전체에 유지된 피봉제물과 미싱 헤드를 상대적으로 가로 방향(X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것을 초래한다. 따라서, 바느질 패턴에 따라 피봉제물과 미싱 헤드를 상대적으로 가로 및 세로 방향(X 및 Y 방향)으로 이송할 수 있다.
일례로서, 상기 슬라이드 기구는, 상기 한 쌍의 회전체를 상기 원 또는 원호 모양으로 만곡한 궤도를 따르는 방향으로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하는 한편, 이 지지한 한 쌍의 회전체와 함께 상기 피봉제물의 가로 폭 방향으로 슬라이드하도록 구성된 지지 부재와, 상기 지지 부재를 상기 피봉제물의 가로 폭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는 슬라이드 구동부를 구비하며, 상기 지지 부재의 슬라이드에 따라서 상기 회전체와 함께 상기 유지 부재에 의해서 유지된 상기 피봉제물이 그 가로 폭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미싱 헤드 및 셔틀 베이스는 움직이지 않 고, 한 쌍의 회전체가 피봉제물의 가로 폭 방향으로 움직이므로 슬라이드 기구를 간단화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슬라이드 기구는, 상기 미싱 헤드 및 그에 대응된 셔틀 베이스를 미싱 프레임에 대해 상기 피봉제물의 가로 폭 방향으로 일체로 슬라이드하도록 연결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를 상기 피봉제물의 가로 폭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는 슬라이드 구동부를 구비하며, 상기 연결부의 슬라이드에 따라서 상기 미싱 헤드 및 그에 대응된 셔틀 베이스가 상기 피봉제물의 가로 폭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한 쌍의 회전체는 피봉제물의 가로 폭 방향으로는 움직이지 않고, 미싱 헤드 및 셔틀 베이스가 피봉제물의 가로 폭 방향으로 움직이므로 회전체의 기구를 간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미싱의 피봉제물 이송 장치에 의하면, 봉제의 진행에 따라서 피봉제물에 느슨해짐이 생기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 봉제의 무늬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내측이라고 할 때는, 후술할 미싱의 정면에서 본 중앙에 가까운 쪽을 가리킨다. 또, 좌, 우라고 할 때는, 이 미싱의 정면에서 본 좌측, 우측을 각각 가리키며, 세로 방향, 가로 방향이라고 할 때는, 이 미싱의 정면에서 본 전후 방향, 좌우 방향을 각각 가리키는 것으로 한다.
〔제1 실시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피봉제물 이송 장치를 구비한 다두(多頭) 자수 미싱(이하, 간단히 「미싱」이라고 한다)의 정면도이며, 도 2는 이 미싱의 측단면도(도 1의 I-I 단면도)이다. 이 미싱은 미싱 프레임(1), 복수(도면에서는 4개)의 미싱 헤드(2), 각 미싱 헤드(2)에 대응하는 셔틀(Shuttle, 북)(4)을 구비한 셔틀 베이스(베드)(3), 피봉제물 이송 장치(5)를 구비하고 있다. 피봉제물 이송 장치(5)는 미싱 프레임(1)에 대해 가로 방향(이하, 「X 방향」이라 한다)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된 한 쌍의 베이스 부재(基材)(6, 6)와, 이 한 쌍의 베이스 부재(6, 6)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한 쌍의 회전체(17, 17)를 가지고 있다. 회전체(17, 17)는 X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축 주위의 회전 방향(이하,「Y 방향」이라 한다)으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좌우 대칭으로 설치된 동일한 부호를 가지는 한 쌍의 부재에 대해서는, 좌우 어느 한쪽의 취지를 명시하여 설명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한쪽 부재를 들어서 하는 설명은 좌우 한 쌍의 부재를 가리키는 것으로 한다.
베이스 부재(6)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심으로부터 바깥쪽을 향하여 등간격의 세 방향으로 연장되는 암부(6a)를 가지는 대략 평판 모양의 부재이다. 각 암부(6a)의 선단에는 외주에 도시하지 않은 톱니가 형성된 타이밍 풀리(16)가 축 지지되어 있다. 베이스 부재(6)의 외주에는, 각 타이밍 풀리(16)에 의해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원형 고리 모양의 회전체(17)가 설치되어 있다. 양 베이스 부재(6,6)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X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가지고 배치되어 있 으며 복수의 연결 로드(杆, rod)(7)로 서로 연결되어 있다. 베이스 부재(6)의 중심 근방에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미싱 프레임(1)의 하부 프레임(1a)을 관통시키기 위한 배출 구멍(8)이 형성되어 있다. 배출 구멍(8)의 상단에는 토대(9)가 고정되어 있다.
도 3은 우측의 베이스 부재(6) 및 그 주변을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4는 좌측의 베이스 부재(6) 및 그 주변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또한 이들 도면에서는 베이스 부재(6)는 단면으로 나타내고 있다. 토대(9)는 슬라이드 구동 기구(1O)에 의해서 하부 프레임(1a)에 대해 X 방향으로 슬라이드가 자유롭게 결합하고 있다. 슬라이드 구동 기구(10)는, 하부 프레임(1a)의 상면에 고정된 레일(11)과, 토대(9)의 하면에 고정되며 레일(11)에 대해 슬라이드가 자유롭게 결합하고 있는 슬라이더(12)로 구성되어 있다. 또, 우측의 베이스 부재(6)에는 이동자(移動子)(14)가 고정되어 있고, 이 이동자(14)에는 나사 봉(13)이 나사 결합하고 있다. 나사 봉(13)은 축 방향이 X 방향으로 뻗어 있고, 오른쪽 단이 하부 프레임(1a)의 우측 근방의 상면에 고정된 X 구동 모터(15)의 모터 축에 연결되어 있다. 이들 베이스 부재(6)와 X 구동 모터(15) 등의 조합은, 상기 한 쌍의 회전체(17)를 미싱 헤드(2) 및 그에 대응된 셔틀 베이스(3)에 대해 피봉제물(H)의 가로 폭 방향으로 슬라이드하는 슬라이드 기구에 상당한다.
도 5는 회전체(17)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6은 회전체(17)의 단면도이다. 또한, 도 5에서는 설명을 위해서, 회전체(17) 및 후술할 유지 부재(23)의 일부를 잘라내어 그것들의 단면도 도시하고 있다. 회전체(17)는 일 정 폭으로 원형 고리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 회전체(17)의 내주에는, 내면에 각 타이밍 풀리(16)의 톱니와 맞물리는 톱니가 형성된 타이밍 벨트(18)가 부착되어 있다. 이에 의해, 회전체(17)는 타이밍 벨트(18)와 각 타이밍 풀리(16)가 맞물린 상태로 지지되어 있다. 한편, 도 2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 부재(6)의 아래 방향으로 연장되는 암부(6a)에는 Y 구동 모터(19)가 고정되어 있다. Y 구동 모터(19)의 모터 축에는 구동 풀리(20)가 고정되어 있다. 또, 아래 방향으로 연장되는 암부(6a)에 축 지지된 타이밍 풀리(16)의 회전축에는 종동 풀리(22)가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구동 풀리(20)와 종동 풀리(22) 사이에 타이밍 벨트(21)가 매달아져 있다. 이에 의해, Y 구동 모터(19)를 구동하면 타이밍 풀리(16)가 회전하고, 회전체(17)가 회전한다. 또한, 좌우의 Y 구동 모터(19, 19)는 서로의 회전축이 반대 방향이 되도록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서로 반대 방향으로 동일 양만큼 회전하도록 제어되며, 결과적으로 1 쌍의 회전체(17, 17)는 동일 방향으로 동기하여 회전 제어된다. 상기의 Y 구동 모터(19), 구동 풀리(20), 종동 풀리(22), 타이밍 벨트(21), 타이밍 풀리(16) 등으로 회전체(17)를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 기구(3O)가 구성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체(17)의 외주에는 유지 부재(23)가 고정되어 있다. 유지 부재(23)는 일정 폭의 원형 고리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내측의 단(端)변이 회전체(17)보다도 내측에 돌출하여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회전체(17)의 내측에 돌출하는 부분의 외면에는 단면이 대략 반원형인 오목부(23a)가 전 둘레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23a)에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봉제 물(H)을 걸기 위한 고정 부재(24)가 끼워 맞춰지도록 되어 있다. 고정 부재(24)는, 예를 들어 우레탄 고무 등의 탄성 부재로 이루어진 단면이 원형인 끈 모양 부재이다.
도 7은 도 2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며, 도 8은 피봉제물 이송 장치(5)의 구성 부품의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셔틀 베이스(3)의 주변에는 미싱 프레임(1)에 고정된 지지 부재(25)가 설치되어 있다. 지지 부재(25)는, 원호면 모양으로 형성된 대략 직사각형의 판 모양 부재로 이루어지며, 셔틀 베이스(3)의 주변에 있어서 한 쌍의 회전체(17, 17)에 의해서 유지된 피봉제물(H)의 하면을 따르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 셔틀 베이스(3)에 대응된 위치에는 셔틀 베이스(3)를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부(25a)가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지지 부재(25)는 바느질 위치 주변의 피봉제물(H)을 하면측으로부터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또, 지지 부재(25) 전후의 단변(25b)은 약간 아래쪽으로 절곡되어 있다. 이에 의해, 피봉제물(H)이 지지 부재(25)의 상면을 따라서 Y 방향으로 이동할 때, 단변(25b)에 걸리지 않게 되므로, 피봉제물(H)의 동일 방향으로의 이동이 원활하게 행해지게 된다.
또한, 지지 부재(25)의 구체적인 형상은 상기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이외의 임의의 형상이어도 되며, 예를 들어 X 방향 혹은 Y 방향으로 복수의 부재로 분할된 것이어도 된다. 또, 분할된 적어도 어느 한 부재를 이동 가능하게 함으로써 피봉제물(H)을 지지할 부분의 면적을 확장 및 축소할 수 있도록 구성해도 된다. 덧붙여 말하면, 지지 부재(25)는 불필요하면 그 설치를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구성의 피봉제물 이송 장치(5)에 있어서 피봉제물(H)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피봉제물(H)의 옷감 폭(가로 폭) 방향의 단변(단부)을 유지 부재(23)의 오목부(23a)상에 위치시키고,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위로부터 회전체(17)의 원주 방향을 따라서 순차적으로 고정 부재(24)를 오목부(23a)에 밀어 넣고 끼워 맞춘다. 이에 의해, 피봉제물(H)은 한 쌍의 유지 부재(23, 23)의 외주면을 따라서 그들 사이에서 원통면 모양(만곡면 모양)으로 전장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와 같이 해서 한 쌍의 회전체(17, 17)로 피봉제물(H)을 유지한 상태에서, X 구동 모터(15)를 구동하면, 나사 봉(13)에 의한 나사의 이송에 의해서 연결 로드(7)로 연결되어 있는 한 쌍의 베이스 부재(6, 6)가 일체로 X 방향으로 슬라이드함으로써, 베이스 부재(6)에 지지된 회전체(17) 및 유지 부재(23)가 X 방향으로 슬라이드하여 피봉제물(H)이 X 방향으로 이송된다. 한편, Y 구동 모터(19)를 구동하면, 회전체(17) 및 유지 부재(23)가 일체로 회전함으로써 피봉제물(H)이 Y 방향으로 이송된다. 전형적으로는, 피봉제물(H)에 대해 실시하고자 하는 바느질 패턴에 따라, 1 스티치의 X 폭 데이터에 따라서 X 구동 모터(15)가 구동되고, 1 스티치의 Y 폭 데이터에 따라서 Y 구동 모터(19, 19)가 구동된다.
이 피봉제물 이송 장치(5)에 의하면, 회전체(17)와 유지 부재(23)에 의해서, 회전체(17)의 회전 방향을 따르는 원통면(만곡면) 모양으로 피봉제물(H)을 전장 유지하고, 그 상태에서 피봉제물(H)을 이송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피봉제물(H)은 그 표면이 일정한 만곡도를 유지한 채로 X 방향 및 Y 방향으로 이송된다. 따라서, 종래의 복수의 롤러를 구비한 피봉제물 이송 장치와 같이, 피봉제물의 이송에 따라 서 바느질 위치 및 그 주변의 만곡도가 변화하지 않게 된다. 이에 의해, 바늘질 위치 및 그 주변의 피봉제물에 느슨해짐이 생기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봉제의 모양 어긋남이 일어나지 않게 된다.
또, 지지 부재(25)를 설치한 것으로 인하여, 회전체(17, 17)에 의해서 원통면 모양으로 유지되고 있는 피봉제물(H)을 이 원통면을 따라서 지지할 수 있기 때문에, 피봉제물(H)이 회전체(17, 17) 사이에서 잡아 당겨지는 경우에도, 바느질 위치나 그 주변의 피봉제물(H)에 느슨해짐이 생기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 회전체(17, 17)에 의한 피봉제물(H)의 이송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유지 부재(23, 23)에 의해서 피봉제물(H)의 옷감 폭 방향의 양 단변(양 단부)을 유지하고 있지만, 이에 덧붙여서, 피봉제물(H)의 옷감 길이 방향의 양 단변도 유지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도 8에는, 그 일례로서 한 쌍의 유지 로드(26, 26)를 설치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한 쌍의 유지 로드(26, 26)는 Y 방향으로 서로 소정 간격만큼 이격된 상태에서 X 방향으로 연장되며, 한 쌍의 유지 부재(23, 23) 사이에 걸쳐져 있다. 또, 각 유지 로드(26)에는 피봉제물(H)을 끼우기 위한 웹(web) 클립(27)이 부속되어 있다. 웹 클립(27)은 유지 로드(26)상에 위치하는 피봉제물(H)의 일부를 유지 로드(26)와의 사이에서 파지한다. 이들 한 쌍의 유지 로드(26, 26)와 웹 클립(27, 27)에 의해서 피봉제물(H)의 옷감 길이 방향의 양 단변을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한 쌍의 유지 로드(26, 26)의 상호의 이격 간격은, 그들 사이에 작업자가 손을 통과시킬 수 있을 정도의 폭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피봉제물(H)이 피봉제물 이송 장치(5)에 전 장 유지되어 있을 때에도, 유지 로드(26, 26)를 셔틀 베이스(3)의 전방에 위치시키면, 유지 로드(26, 26) 사이에 손을 끼워 넣음으로써 셔틀(4)에 세트된 북실(下絲, bobbin thread)의 교환이 가능해진다. 또한, 피봉제물(H)의 옷감 길이 방향의 양 단변을 유지할 필요가 없는 경우는, 유지 로드(26) 및 웹 클립(27)은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2 실시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피봉제물 이송 장치를 구비한 미싱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도면 및 그 설명에 있어서는, 제1 실시형태와 공통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부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 이하에서 설명하는 사항 이외의 사항에 대해서는 제1 실시형태와 같다.
도 9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미싱의 정면도이며, 도 10은 이 미싱의 측단면도(도 9의 II-II 단면도)이다. 상기 제1 실시형태의 미싱이 구비하는 미싱 헤드(2) 및 셔틀 베이스(3)는 미싱 프레임(1)에 대해 X 방향으로는 이동하지 않는 구성이었다. 이에 비해, 본 실시형태의 미싱이 구비하는 미싱 헤드(33) 및 셔틀 베이스(34)는, 미싱 프레임(상부 프레임(31) 및 하부 프레임(32))에 대해 X 방향으로 일체로 슬라이드 가능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실시형태의 미싱이 구비하는 각 미싱 헤드(33)는 2매의 장착판(36, 36)에 고정되어 있으며, 각 장착판(36)은 상부 프레임(31)의 앞면에 고정한 슬라이드 레일(37)을 따라서 X 방향으로 슬라이드가 자유 롭게 결합하고 있다. 이에 의해, 각 미싱 헤드(33)는 X 방향으로 일체로 슬라이드하게 되어 있다. 또,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 프레임(32)의 앞면에는, 전방을 향하여 수평으로 돌출하는 대략 평판 모양의 토대(38)가 고정되어 있으며, 이 토대(38)의 상면에는 스터드(39)를 통하여 레일 베이스4O)가 고정되어 있다. 한편, 각 셔틀 베이스(34)는 장착판(41)에 고정되어 있으며, 장착판(41)은 레일 베이스(40)에 고정한 슬라이드 레일(42)을 따라서 X 방향 슬라이드가 자유롭게 결합하고 있다. 이에 의해, 각 셔틀 베이스(34)도 X 방향으로 일체로 슬라이드 이동하게 되어 있다.
또한,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착판(36)과 장착판(41) 사이에는 이들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판(43)이 장착되어 있다. 연결판(43)은 가로 방향 대략 U자 모양으로 형성된 평판 모양의 부재이며, 장착판(36) 및 장착판(41)의 일단의 앞면에 고정되어 있다. 연결판(43)의 앞면에는, 미싱 헤드(33)의 바늘대(needlebar) 케이스를 이동시켜 봉침(縫針)을 선택한 위치에 배치하기 위한 색전환 기구(44)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색전환 기구(44)는 종래의 미싱이 구비하고 있는 주지의 구성이기 때문에,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 연결판(43)을 구동하기 위한 슬라이드 구동 기구(45)가 설치되어 있다. 슬라이드 구동 기구(45)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 프레임(31)과 하부 프레임(32) 사이에 설치된 플레이트(46)의 앞면에 장착되어 있으며,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레이트(46)에 고정한 프레임 부재(47)에 대해서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된 볼나사(48)와, 연결판(43)의 배면에 고정되어 볼나사(48)가 나사 결합하고 있 는 이동자(49)와, 볼나사(48)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 모터(50)를 구비하고 있다. 이에 의해, 구동 모터(50)를 구동하면, 볼나사(48)에 의한 나사의 이송에 의해서 연결판(43)을 통하여 장착판(36)과 장착판(41)이 X 방향으로 슬라이드함으로써, 미싱 헤드(33), 셔틀 베이스(34) 및 색전환 기구(44)가 X 방향으로 일체로 슬라이드하게 되어 있다. 이들 부재(36, 37, 41, 42, 43)는 미싱 헤드(33) 및 그에 대응된 셔틀 베이스(34)를 미싱 프레임(31, 32)에 대해 피봉제물(H)의 가로 폭 방향으로 일체로 슬라이드하도록 연결하는 연결부로서 기능한다. 또, 이들 부재(36, 37, 41, 42, 43)와 슬라이드 구동 기구(45) 등의 조합은, 미싱 헤드(33) 및 그에 대응된 셔틀 베이스(34)를 피봉제물(H)의 가로 폭 방향으로 슬라이드하는 슬라이드 기구에 상당한다.
도 11은, 피봉제물 이송 장치(51)의 우측의 단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제1 실시형태의 피봉제물 이송 장치(5)는 X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한 베이스 부재(6)를 구비하고 있으며, 회전체(17)는 회전 동작(Y 방향으로의 이동)에 덧붙여, 베이스 부재(6)에 의한 X 방향으로의 슬라이드가 가능하게 되어 있었다. 이에 비해, 제2 실시형태의 피봉제물 이송 장치(51)는 베이스 부재(6)를 생락한 것으로 인하여, 회전체(17)는 회전 동작(Y 방향으로의 이동)만이 가능해져 있고, X 방향으로는 슬라이드하지 않게 되어 있다.
그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피봉제물 이송 장치(51)가 구비하는 3개의 타이밍 풀리(16)는, 각각 하부 프레임(32)의 상면에 고정된 상부 브래킷(52)과, 하부 프레임(32)의 하면에 고정된 하부 브래킷(53)과, 하부 프레임(32)의 앞면에 지지 기둥(32a)을 통하여 고정된 모터 브래킷(54)에 축 지지되어 있다. 모터 브래킷(54)에는 Y 구동 모터(55)가 고정되어 있으며, 구동 모터(55)의 모터 축에는 구동 기어(56)가 고정되어 있다. 또한, 모터 브래킷(54)에 축 지지된 타이밍 풀리(16)의 회전축에는 구동 기어(56)와 맞물리는 종동 기어(57)가 고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Y 구동 모터(55)를 구동하면, 모터 브래킷(54)에 축 지지된 타이밍 풀리(16)가 회전하고, 회전체(17)가 회전한다. 상기 Y 구동 모터(55), 구동 기어(56), 종동 기어(57), 타이밍 풀리(16) 등으로, 회전체(17)를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 기구(70)가 구성되어 있다.
이 피봉제물 이송 장치(51)에서는, 회전체(17)로 피봉제물(H)을 유지하여 Y 구동 모터(55)를 구동하면, 회전체(17) 및 유지 부재(23)가 회전함으로써 피봉제물(H)이 회전하여 Y 방향으로 이송되게 되어 있다. 한편, 구동 모터(50)를 구동하면, 미싱 헤드(33), 셔틀 베이스(34) 및 색전환 기구(44)가 회전체(17)에 대해 X 방향으로 일체로 슬라이드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피봉제물(H)의 미싱 헤드(33) 및 셔틀 베이스(34)에 대한 Y 방향으로의 상대 이동은 회전체(17)의 회전에 의해서 행해지며, X 방향으로의 상대 이동은 미싱 헤드(33) 및 셔틀 베이스(34)의 슬라이드에 의해서 행해진다.
또, 피봉제물 이송 장치(51)는, 제1 실시형태의 지지 부재(25)와는 형상이 다른 지지 부재(58)를 구비하고 있다. 지지 부재(58)는 회전체(17)와 대략 동일 지름의 대략 원통 형상이며, 한 쌍의 회전체(17, 17) 사이에 배치되며 하부 프레임(32)에 고정되어 있다. 지지 부재(58)의 각 셔틀 베이스(34)에 대향하는 부분에 는, X 방향을 따라서 셔틀 베이스(34)와 대략 동일한 폭으로 직선 띠 모양으로 노치된 슬릿(58a)이 설치되어 있다. 또, 각 셔틀 베이스(34)의 전방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각 셔틀(35)에 세트된 북실(下絲)을 교환하기 위한 창(59)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형상의 지지 부재(58)에 의하면, 회전체(17, 17)에 의해서 원통면 모양으로 전장 유지되어 있는 피봉제물(H)을 내측으로부터 이 원통면을 따라서 지지할 수 있기 때문에, 회전체(17)의 회전에 의한 피봉제물(H)의 이송을 원활하게 실시할 수 있다. 특히, 지지 부재(58)는 대략 원통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피봉제물(H)을 원주 방향의 대략 전 둘레에 걸쳐서 지지할 수 있다. 또, 피봉제물(H)이 한 쌍의 회전체(17, 17) 사이에서 잡아 당겨지는 경우에도, 바느질 위치나 그 주변의 피봉제물(H)에 느슨해짐이 생기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도,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피봉제물(H)의 옷감 길이 방향의 양 단변을 유지하는 유지 로드(26, 26)를 설치해도 된다.
도 12 및 도 13은 다른 형상의 지지 부재(60)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2는 지지 부재(60)의 오른쪽 단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3은 지지 부재(60)에 있어서의 셔틀 베이스(34)의 주변을 확대하여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지지 부재(60)는 대략 원통 형상인 점은 지지 부재(58)와 동일하나, 셔틀 베이스(34)에 대향하는 부분에 마련한 슬릿(60a)의 폭이 지지 부재(58)의 슬릿(58a)의 폭보다 가늘어져 있다. 이에 의해, 슬릿(60a)은 바느질 위치에만 대향하고 있다. 그리고, 셔틀 베이스(34)의 상면에 고정된 침판(61)은 바느질 위치의 돌기부(62)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바느질 위치의 돌기부(62)만이 슬릿(60a)으로부터 노출하고 있고, 바늘질 위치를 제외한 셔틀 베이스(34)의 상부는 지지 부재(60)에 의해서 덮여져 있다. 이 지지 부재(60)에 의하면, 슬릿(60a)의 폭이 매우 작기 때문에, 피봉제물(H)이 슬릿(60a)상을 이송될 때에도 이 피봉제물(H)에 느슨해짐이 생길 우려가 없어진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로 한정되지 않고, 특허청구의 범위 및 명세서와 도면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 있어서 여러 가지의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형태의 피봉제물 이송 장치는, 원형 고리 모양의 회전체(17) 및 유지 부재(23)에 의해서 피봉제물(H)을 원통면 모양으로 전장하여 유지하는 경우를 나타내었으나, 본 발명에 따른 회전체 및 유지 부재는, 상기의 원통면 모양 이외에도 원통의 일부만을 이루는 원호면 모양으로 피봉제물(H)을 유지하는 것이어도 된다.
또, 피봉제물의 옷감 폭 방향의 양 단변을 유지하는 유지 부재는, 상기 실시형태에 나타낸 오목부(23a)와 이 오목부(23a)에 끼워 맞추는 고정 부재(24)를 구비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그 이외에도, 예를 들어 돌기와 이 돌기를 협지하는 클립을 구비하는 것 등이어도 된다.
또, Y구동 모터(19, 55)는 1개만 설치하고, 이 1개의 Y 구동 모터(19, 55)의 회전 운동을 1대의 회전체(17, 17)에 분배하는 것과 같은 구성이어도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르 피봉제물 이송 장치를 구비한 미싱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미싱의 측단면도(도 1의 I-I 단면도)이다.
도 3은 우측 베이스 부재 및 그 주변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는 좌측 베이스 부재 및 그 주변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5는 회전체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회전체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2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피봉제물 이송 장치의 구성 부품의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피봉제물 이송 장치를 구비한 미싱의 정면도이다.
도 10은 미싱의 측단면도(도 9의 II-II 단면도)이다.
도 11은 피봉제물 이송 장치의 우측 단부를 나타낸 사시도(일부 단면도)이다.
도12는 다른 형상의 지지 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13은 다른 형상의 지지 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부호의 설명]
1 미싱 프레임
2 미싱 헤드
3 셔틀 베이스(베드)
4 셔틀
5 피봉제물 이송 장치
6 베이스 부재
10 슬라이드 구동 기구
15 X 구동 모터
16 타이밍 풀리
17 회전체
19 Y 구동 모터
23 유지 부재
25 지지 부재
26 유지 로드
27 웹 클립
30 회전 구동 기구
31 상부 프레임(미싱 프레임)
32 하부 프레임(미싱 프레임)
33 미싱 헤드
34 셔틀 베이스(베드)
35 셔틀
45 슬라이드 구동 기구
50 구동 모터
51 피봉제물 이송 장치
55 Y 구동 모터
58 지지 부재
59 창
60 지지 부재
70 회전 구동 기구
H 피봉제물

Claims (6)

  1. 피봉제물의 가로 폭에 대응된 간격으로 서로 이격하여 배치되며, 각각 원 또는 원호 모양으로 만곡(彎曲)한 궤도를 따라서 이동하도록 구성된 한 쌍의 회전체와,
    상기 한 쌍의 회전체를 상기 만곡한 궤도를 따라서 동기(同期)하여 움직이게 하기 위한 구동 기구와,
    상기 피봉제물의 가로 폭 방향의 각 단부를 상기 회전체의 각각을 따라서 유지하기 위한 한 쌍의 유지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유지 부재에 의해 상기 피봉제물을 상기 회전체의 상기 만곡한 궤도를 따라서 만곡면 모양으로 전장(展張)한 상태로 유지하고, 이 유지 부재에 의해서 유지된 상기 피봉제물이 상기 회전체의 이동에 따라서 상기 만곡한 궤도를 따라서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싱(sewing machine)의 피봉제물 이송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회전체 사이에, 이 회전체를 따라서 만곡면 모양으로 전장(展張) 유지되어 있는 상기 피봉제물을 이 만곡면을 따라서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싱의 피봉제물 이송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적어도 미싱의 셔틀 베이스의 주변에 설치되어 있는 피봉제물 이송 장치.
  4.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회전체와, 미싱 헤드 및 그에 대응하는 셔틀 베이스를 상대적으로, 상기 피봉제물의 가로 폭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는 슬라이드 기구를 더 구비한 미싱의 피봉제물 이송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기구는,
    상기 한 쌍의 회전체를 상기 원 또는 원호 모양으로 만곡한 궤도를 따르는 방향으로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하는 한편, 이 지지한 한 쌍의 회전체와 함께 상기 피봉제물의 가로 폭 방향으로 슬라이드하도록 구성된 베이스 부재와,
    상기 베이스 부재를 상기 피봉제물의 가로 폭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는 슬라이드 구동부를 구비하며,
    상기 베이스 부재의 슬라이드에 따라서 상기 회전체와 함께 상기 유지 부재에 의해서 유지된 상기 피봉제물이 그 가로 폭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봉제물 이송 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기구는,
    상기 미싱 헤드 및 그에 대응된 셔틀 베이스를 미싱 프레임에 대해, 상기 피봉제물의 가로 폭 방향으로 일체로 슬라이드하도록 연결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를 상기 피봉제물의 가로 폭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는 슬라이드 구동부를 구비하며,
    상기 연결부의 슬라이드에 따라서 상기 미싱 헤드 및 그에 대응된 셔틀 베이스가 상기 피봉제물의 가로 폭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싱의 피봉제물 이송 방법.
KR1020090018573A 2008-03-07 2009-03-04 미싱의 피봉제물 이송 장치 KR2009009633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058562 2008-03-07
JP2008058562A JP2009213577A (ja) 2008-03-07 2008-03-07 ミシンの被縫製物移送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6333A true KR20090096333A (ko) 2009-09-10

Family

ID=409842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8573A KR20090096333A (ko) 2008-03-07 2009-03-04 미싱의 피봉제물 이송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09213577A (ko)
KR (1) KR20090096333A (ko)
CN (1) CN101532217A (ko)
DE (1) DE10200901145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9041177A1 (de) * 2009-09-11 2011-03-24 Rwth Aachen Verfahren zum Herstellen von dreidimensionalen Faserverbundbauteilen und Halterung hierfü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69497B (zh) * 2013-09-23 2015-04-08 苏州智立织锦文化科技有限公司 硬式肩章缝制装置
CN104593952B (zh) * 2014-12-09 2017-01-25 吴江市宏宇机械有限公司 三维送料缝纫机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29844B2 (ja) 2000-09-29 2011-02-09 株式会社バルダン ミシンの縫製枠駆動装置
JP2005080895A (ja) 2003-09-09 2005-03-31 Tokai Ind Sewing Mach Co Ltd ミシンの被縫製物移送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9041177A1 (de) * 2009-09-11 2011-03-24 Rwth Aachen Verfahren zum Herstellen von dreidimensionalen Faserverbundbauteilen und Halterung hierfü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532217A (zh) 2009-09-16
DE102009011456A1 (de) 2009-09-24
JP2009213577A (ja) 2009-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4874B1 (ko) 다침 자수 미싱
KR20110019738A (ko) 재봉틀
KR20090096333A (ko) 미싱의 피봉제물 이송 장치
KR20120063483A (ko) 재봉틀용 봉제 프레임 구동 장치
JP2010115359A (ja) ミシンの釜駆動機構
KR100544681B1 (ko) 미싱
JP3810422B2 (ja) ミシンの布張装置
KR20100018015A (ko) 벨트 구동방식을 이용한 미싱의 봉제틀 구동장치
US7503272B2 (en) Rack and pinion type power transmission and apparatus for driving embroidery frame of embroidery machine having the same
JP3190513B2 (ja) ミシン
JP3448156B2 (ja) 縫製装置の布送り装置
US7497178B2 (en) Apparatus for driving embroidery frame of embroidery machine
JP3700734B2 (ja) ミシンの布張装置
EP1947228A2 (en) Apparatus for driving embroidery frame of embroidery machine
US20030209176A1 (en) Sewing machine
KR200466197Y1 (ko) 패턴 재봉기의 x-y 이송 구동장치
KR200445722Y1 (ko) 자수기용 코드사 공급장치
JP3695555B2 (ja) ミシンの保持枠駆動装置
JP3287638B2 (ja) ミシンの布張装置及び縫製方法
JPH09302569A (ja) 多頭式縫製装置の布送り装置
CN1594704A (zh) 缝纫机的被缝制物移送装置
JP2003103077A (ja) ミシンの縫製枠駆動装置
JPH09299640A (ja) 縫製装置の布送り装置
JPH0681481U (ja) 2本針ミシン
JP2002102567A (ja) ミシンの縫製枠駆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