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4874B1 - 다침 자수 미싱 - Google Patents

다침 자수 미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4874B1
KR100794874B1 KR20077004880A KR20077004880A KR100794874B1 KR 100794874 B1 KR100794874 B1 KR 100794874B1 KR 20077004880 A KR20077004880 A KR 20077004880A KR 20077004880 A KR20077004880 A KR 20077004880A KR 100794874 B1 KR100794874 B1 KR 1007948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sewing machine
sewing
kiln
dis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770048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49649A (ko
Inventor
이쿠오 다지마
가츠하루 요시카와
Original Assignee
도카이 고교 미싱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카이 고교 미싱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카이 고교 미싱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496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96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48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48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CEMBROIDERING; TUFTING
    • D05C3/00General types of embroidering machines
    • D05C3/02General types of embroidering machines with vertical needl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CEMBROIDERING; TUFTING
    • D05C11/00Devices for guiding, feeding, handling, or treating the threads in embroidering machines; Machine needles; Operating or control mechanisms therefor
    • D05C11/16Arrangements for repeating thread patterns or for changing thre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다침 미싱 헤드(3)와, 가마 토대(5)와, 이 다침 미싱 헤드의 바늘 위치를 선택하는 색 전환 기구(23)를 미싱 프레임에 대해서 횡 방향(X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하고, 이것들을 일체적으로 횡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횡 이동 기구(22, 31)를 설치한다. 횡 방향으로 연장한 전후 한 쌍의 이송 롤러(52a, 52b) 위에 있어서 길이가 긴 원반(N)의 자수 영역을 펴서 팽팽히 하고, 이 이송 롤러(52a, 52b)의 회전에 의해 이 펴서 팽팽하게 된 원반을 옷감 길이 방향(Y 방향)으로 이송하며, 이 이송 롤러(52a, 52b) 위에 펴서 팽팽하게 된 원반은 X 방향으로 움직이지 않고, 다침 미싱 헤드(3), 가마 토대(5), 색 전환 기구(23)를 일체적으로 X 방향으로 작동시킴으로써, 2차원적 바느질 패턴을 실현한다. 이것에 의해, 1대의 이송 롤러 사이에 펴서 팽팽하게 된 원반 부분에 대해서 자수 바느질을 실시하는 경우, 원반의 사행이나 펴서 팽팽하게 하는 것의 느슨함이 일어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다침 자수 미싱{MULTI-NEEDLE EMBROIDERY MACHINE}
본 발명은, 재봉실의 색 전환 기구를 구비하는 다침 자수 미싱에 관한 것이고, 특히, 길이가 긴 원반(原反 : original fabric)에 자수 바느질을 실시하는 다침 자수 미싱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길이가 긴 원반을 한 쌍의 이송 롤러 사이에 펴서 팽팽히 하여, 이 이송 롤러를 회전시켜 원반을 한 방향으로 보내는 기구를 구비한 다침 자수 미싱에 관한 것이다.
하기(下記)한 특허문헌 1에는, 길이가 긴 원반을 한 쌍의 이송 롤러 사이에 펴서 팽팽히 하고, 이 이송 롤러를 회전시켜 원반을 한 방향(전후 방향 즉 Y 방향)으로 보내는 롤러 트레버스(traverse) 기구를 구비한 자수 미싱이 나타내어져 있다. 이 특허문헌 1에 나타낸 자수 미싱에서는, 횡 방향(X 방향)으로의 옷감 이송을 위해서, 이 한 쌍의 이송 롤러 그 자체를 축 방향(X 방향) 이동하도록 하고 있다.
특허문헌 1 : 특개소58-197364호
상기 특허문헌 1에 나타낸 자수 미싱에 있어서는, 이송 롤러가 회전과 함께 축 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원반의 이송에 수반하여 원반이 사행(蛇行)하거나, 원반의 폭 방향의 펴서 팽팽하게 하는 것이 느슨해져 무늬가 어긋나는 일이 있다. 이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원반의 사행을 방지하는 기구나 원반을 폭 방향으로 옷감 을 늘리는 기구를 구비한 자수 미싱도 존재하지만, 이송 롤러를 축 방향으로 이동 제어하는 기구에 더하여, 사행 방지 기구 및 옷감 늘림 기구도 더 구비하지 않으면 안 되기 때문에, 자수 미싱의 구조가 복잡하게 된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은 상술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재봉실의 색 전환 기구를 구비하는 다침 자수 미싱에 있어서, 종래의 롤러 트레버스 기구가 가지는 결점을 제거할 수 있는, 개선된 구성을 제공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복수의 바늘을 구비한 다침 미싱 헤드와, 상기 다침 미싱 헤드의 아래쪽에 배열된 가마를 구비한 가마 토대(土臺)와, 상기 다침 미싱 헤드에 있어서 임의의 바늘을 소정의 작동 위치에 선택적으로 위치시키는 색 전환 기구를 구비한 다침 자수 미싱에 있어서, 상기 다침 미싱 헤드, 가마 토대, 색 전환 기구를 미싱 프레임에 대해서 횡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하고, 이것들을 일체적으로 횡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횡 이동 기구와, 길이가 긴 원반의 자수 영역을 펴서 팽팽히 하며, 또한 이 펴서 팽팽하게 된 원반을 옷감 길이 방향으로 이송하기 위해서, 횡 방향으로 연장한 전후 한 쌍의 이송 롤러를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이송 롤러에 펴서 팽팽하게 된 원반의 자수 영역을 옷감 길이 방향으로 전후로 움직이며, 또한, 상기 횡 이동 기구에 의해 상기 다침 미싱 헤드, 가마 토대, 색 전환 기구를 일체적으로 횡 방향으로 좌우로 움직임으로써, 소망하는 2차원적 바느질 패턴을 실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침 미싱 헤드, 가마 토대, 색 전환 기구를 미싱 프레임에 대해서 횡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하고, 이것들을 일체적으로 횡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횡 이동 기구를, 한 쌍의 이송 롤러와는 별개로 설치하고 있으므로, 소망하는 2차원적 바느질 패턴을 실현하기 위한 횡 방향(X 방향)의 옷감 이송은, 원반은 움직이지 않고, 횡 이동 기구에 의해 다침 미싱 헤드, 가마 토대, 색 전환 기구를 일체적으로 움직이는 것에 의해, 실현된다. 한편, 소망하는 2차원적 바느질 패턴을 실현하기 위한 전후 방향(Y 방향)의 옷감 이송은, 한 쌍의 이송 롤러로 길이가 긴 원반을 옷감 길이 방향(Y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것에 의해서 실현된다. 이와 같이 한 쌍의 이송 롤러는, 그 축 방향으로 작동되지 않고, 회전할 뿐이기 때문에, 이 롤러에 펴서 팽팽하게 된 원반도 폭 방향(횡 방향)으로는 작동되지 않고 옷감 길이 방향(전후 방향)으로만 이송되는 것으로 이루어지므로, 자수 바느질의 진행에 수반하여 원반이 사행하거나, 원반의 폭 방향의 펴서 팽팽하게 되는 것이 느슨해져, 마무리의 자수 무늬가 어긋나는 일이 일어나지 않는다. 이것에 의해서, 원반의 사행을 방지하는 기구나 원반을 폭 방향으로 옷감을 늘리는 기구를 설치할 필요가 없고, 자수 미싱의 구조가 간소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한 다침 자수 미싱의 정면도.
도 2는 이 다침 자수 미싱의 상부 프레임과 미싱 헤드를 생략하여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도 1의 Ⅰ-Ⅰ선 단면에 따르는 측면 단면도.
도 4는 도 1의 Ⅱ-Ⅱ선 단면에 따르는 측면 단면도.
도 5는 동일한 실시예의 미싱의 배면도.
도 6은 1개의 미싱 헤드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측면도.
도 7은 색 전환 기구의 구성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정면도.
도 8은 이 색 전환 기구의 측단면도.
도 9는 미싱 주축(主軸)과 하부 축에로 대한 주축 모터의 회전 운동을 스플라인(spline) 결합에 의해 전달하는 기구의 일례를 나타내는 확대 정면도.
도 10은 도 9에 있어서의 Ⅲ-Ⅲ선에 따르는 측면 단면 확대도.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형태>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한 다침 자수 미싱의 정면도, 도 2는 이 다침 자수 미싱의 상부 프레임(1)과 미싱 헤드(3)를 생략하여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도 1의 Ⅰ-Ⅰ선 단면에 따르는 측면 단면도, 도 4는 도 1의 Ⅱ-Ⅱ선 단면에 따르는 측면 단면도, 도 5는 동일한 미싱의 배면도이다. 미싱 프레임은, 상부 프레임(1)과 하부 프레임(2)으로 이루어진다. 이 실시예는 다두식 다침 자수 미싱의 예를 나타내고, 상부 프레임(1)의 전면(前面)에는, 부착판(11)을 통하여, 1 헤드에 대하여 복수(예를 들면 3개)의 바늘을 구비한 미싱 헤드(3)가, 미싱의 횡(길이) 방향으로 복수 개 배열되어 있다. 각 미싱 헤드(3)의 아래쪽에는 가마(4)를 구비한 가마 토대(5)가 각각 배치된다.
도 6은, 1개의 미싱 헤드(3)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미싱 헤드(3)는, 암(6)과, 이 암(6)에 횡 방향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된 바늘대 케이스(7)를 포함하고 있고, 바늘대 케이스(7)는 복수(예를 들면 3개)의 바늘(8)을 구비하고 있다. 바늘대 케이스(7)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색 전환 기구(23)에 의해서 횡 방향으로 슬라이드되어 임의의 하나의 바늘(8)이 소정의 작동 위치(선택 위치)에 선택적으로 위치하게 할 수 있다. 각 미싱 헤드(3)에는 미싱 주축(9)이 관통하여 설치하고 있고, 이 작동 위치(선택 위치)에 위치된 바늘(8)이 미싱 주축(9)의 회전에 의해서 상하 이동되도록 되어 있다. 각 가마 토대(5)에는 하부 축(10)이 관통하여 설치하고 있고, 하부 축(10)의 회전에 의해서 가마(4)가 회전되도록 되어 있다. 이 바늘(8)의 상하 이동과 가마(4)의 회전에 의해서 주지(周知)의 바느질 동작을 실시한다.
미싱 헤드(3)의 암(6)은, 2매의 부착판(11)에 고정되어 있고, 이 부착판(11)은 상부 프레임(1)의 전면(前面)에 고정된 2개의 가이드 레일(12)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복수의 슬라이더(13)에 고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각 미싱 헤드(3)는, 상부 프레임(1)에 대해서, 부착판(11)의 슬라이더(13)를 통하여, 그 배열 방향 즉 횡 방향(X 방향)으로 일체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하부 프레임(2)의 전면에는 토대(14)가 고정되어 있고, 토대(14)의 위쪽에는 스터드(stud)(15)를 통하여 레일 토대(16)가 고정되어 있다. 가마 토대(5)는 X 방향으로 길이가 긴 부착판(17)에 고정되어 있고, 이 부착판(17)에는, 레일 토대(16) 의 상면에 고정된 가이드 레일(18)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복수의 슬라이더(19)( 각 가마 토대(5)마다 어느 정도의 길이로 설치되어 있다)가 고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각 가마 토대(5)도, 하부 프레임(2)에 대해서, 부착판(17)의 슬라이더(19)를 통하여, 미싱 헤드(3)의 배열 방향 즉 횡 방향(X 방향)으로 일체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가마 토대(5)에는, 브래킷(20)을 통하여 한 쌍의 지지 롤러(21)가 설치되어 있다. 이 양(兩) 지지 롤러(21)에서 레일 토대(16)를 끼워 지지하고 있고, 가마 토대(5)의 이동을 가이드함과 동시에 미싱 운전시에 발생할 우려가 있는 가마 토대(5)의 진동을 억제하고 있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미싱 헤드(3)의 2매의 부착판(11) 및, 가마 토대(5)의 부착판(17)의 오른쪽 단 부근에는 연동판(22)이 고정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도 6에 나타낸 부착판 11과 부착판 17을 연결하고 있다. 연동판(22)의 전면에는, 각 헤드(3)의 바늘대 케이스(7)를 슬라이드시켜 임의의 바늘(8)을 소정의 작동 위치(선택 위치)에 선택적으로 위치시키기 위한 색 전환 기구(23)가 고정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연동판(22)의 횡 방향(X 방향)의 움직임에 수반하여, 미싱 헤드(3), 가마 토대(5), 및 색 전환 기구(23)가, 횡 방향(X 방향)으로 일체적으로 이동되게 된다.
도 7은 색 전환 기구(23)의 구성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8은 이 색 전환 기구(23)의 측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색 전환 기구(23)는, 연동판(22)에 고정되는 단면 コ자 모양의 프레임 부재(24)와, 프레임 부재(24)에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한 볼 나사(25)와, 볼 나사(25)에 나사 맞춤 된 너트 부재(26)와, 이 너트 부재(26)에 장착된 이동자(28)와, 이 이동자(28)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샤프트(27)를 구비하고 있다. 프레임 부재(24)에는 구동 모터(29)가 고정되어 있고, 구동 모터(29)의 모터 축은 볼 나사(25)의 일단에 연결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구동 모터(29)를 구동하면 볼 나사(25)가 회전되고, 너트 부재(26)와 함께 이동자(28)가 슬라이드되게 된다. 이동자(28)에는 로드(rod)(슬라이드 구동 부재)(30)의 일단이 고정되어 있고, 이 로드(30)는 각 미싱 헤드(3)의 바늘대 케이스(7)에 연결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재봉실의 색 전환을 위해서, 구동 모터(29)가 적당량 구동되면, 이 구동 모터(29)의 구동에 의해서 이동자(28)가 슬라이드되고, 이것에 수반하여, 로드(30)를 통하여 각 미싱 헤드(3)의 바늘대 케이스(7)이 좌우로 슬라이드되게 된다. 이렇게 하여, 바늘대 케이스(7)에 있어서의 복수의 바늘(8) 가운데, 임의의 바늘(8)이 소정의 작동 위치(선택 위치)에 선택적으로 위치하게 할 수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동판(22)은 구동 기구(31)에 연결되어 횡 이동 기구를 구성하고 있다. 구동 기구(31)는, 상부 프레임(1)과 하부 프레임(2)의 사이에 고정된 플레이트(32)(도 3 참조)에 고정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 기구(31)는, 플레이트(32)에 고정한 프레임 부재(33)와, 프레임 부재(33)에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된 볼 나사(34)와, 볼 나사(34)의 회전에 의해서 슬라이드되는 이동자(35)와, 볼 나사(34)를 회전 구동하기 위한 구동 모터(36)를 구비하고 있고, 연동판(22)은 이동자(35)의 전면에 고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구동 모터(36)를 정(正) 또는 역(逆)으로 구동시키면, 연동판(22), 부착판 11, 부착 판 17이 미싱 헤드(3)의 배열 방향 즉 횡 방향(X 방향)으로 왼쪽 또는 오른쪽으로 이동되고, 색 전환 기구(23), 미싱 헤드(3), 가마 토대(5)가 횡 방향(X 방향)으로 왼쪽 또는 오른쪽으로 일체적으로 이동되게 된다. 또한, 미싱 헤드(3) 및 가마 토대(5)가 횡 방향(X 방향)으로 이동될 때는 미싱 주축(9) 및 하부 축(10)도 함께 같은 방향으로 이동된다. 전형적으로는, 구동 모터(36)는, 자수 바느질 패턴에 따른 바느질 폭 데이터의 X 방향 성분에 따라서 구동된다.
도 9는, 미싱 주축(9)과 하부 축(10)에 대한 주축 모터(41)의 회전 운동을 스플라인 결합에 의해 전달하는 기구의 일례를 나타내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 관한 자수 미싱의 정면 좌측의 부분의 확대 정면도이다. 도 10은, 도 9에 있어서의 Ⅲ-Ⅲ선에 따르는 측면 단면 확대도이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미싱 주축(9)의 왼쪽 단부에는 스플라인 축(37)이 연결되어 있다. 스플라인 축(37)에는, 스플라인 축(37)의 축선에 따라서 슬라이드 가능하고, 스플라인 축(37)과 함께 회전하는 스플라인 베어링(38)이 설치되어 있다. 스플라인 베어링(38)에는 주축 풀리(39)가 고정되어 있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축 풀리(39)는 타이밍 벨트(40)를 통하여 상부 프레임(1)의 배면에 고정한 주축 모터(41)와 연결되어 있다. 스플라인 축(37)의 왼쪽 단부에는 풀리 축(42)이 연결되어 있다. 풀리 축(42)은 전달 박스(43)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풀리 축(42)에는 전달 박스(43) 내에 위치 하는 종동 풀리(44)가 고정되어 있다. 전달 박스(43)의 아래쪽에는 하부 축(10)에 고정한 하부 축 풀리(45)가 위치하고 있고, 종동 풀리(44)와 하부 축 풀리(45)는 타이밍 벨트(46)로 연결되어 있다. 전달 박스(43)에는, 종동 풀리(44)와 하부 축 풀리(45)의 중간 위치에 텐션 풀리(47)가 설치되어 있고, 타이밍 벨트(46)의 텐션을 조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주축 모터(41)를 구동시키면 미싱 주축(9)과 하부 축(10)이 회전되고, 바늘(8)이 상하 이동됨과 동시에 가마(4)가 회전된다. 그리고, 스플라인 축(37), 스플라인 베어링(38)에 의해서 미싱 주축(9)과 하부 축(10)의 축 방향 슬라이드가 허용되면서도, 주축 모터(41)의 구동이 미싱 주축(9)과 하부 축(10)에 전달되게 된다.
전달 박스(43)는, 그 배면이 상부 프레임(1)의 전면(前面)에 고정된 가이드 레일(48)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슬라이더(49)에 고정되어 있음과 동시에, 그 바닥면은 하부 프레임(2)의 토대(14)에 스터드(15)를 통하여 고정된 가이드 레일(50)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슬라이더(51)에 고정되어 있다. 전달 박스(43) 내의 종동 풀리(44), 하부 축 풀리(45)는, 그 위치를 규제하여 설치되어 있고, 미싱 헤드(3) 및 가마 토대(5)와 함께 미싱 주축(9), 하부 축(10)이 X 방향(미싱 헤드(3)의 배열 방향)으로 이동되면, 종동 풀리(44), 하부 축 풀리(45)를 통하여 전달 박스(43)가 마찬가지로 이동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 9에서는 전달 박스(43)가 가장 우측으로 이동한 상태가 실선으로 나타내어져 있고, 가장 좌측으로 이동한 상태가 상상선 43'로 나타내어져 있다.
도 2 ~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마 토대(5)의 전후 위치에는 한 쌍의 이송 롤러(52a, 52b)가 배치되어 있다. 각 이송 롤러(52a, 52b)는 양단부를 롤러 지지대 53a, 53b 및 54에 의해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우측의 롤러 지지대(53a, 53b)는 연동판(22)과의 간섭을 막기 위해서 전후로 분할되어 있다. 좌측의 롤러 지지대(54)에는 이송 롤러(52a, 52b)를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 모터(55)가 고정되어 있다. 구동 모터(55)는, 각 이송 롤러(52a, 52b)마다 개별적으로 설치되면 좋지만, 1개만 설치하여 양롤러(52a, 52b)에 동일한 양 동일한 방향의 회전 운동을 전달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각 이송 롤러(52a, 52b)는, 길이가 길기 때문에, 양단에서 축 받음만 하면, 중앙부가 휠 우려가 있는 것을 감안하여, 각각 중간부에서 좌우로 2분할하여, 그 중간부를 베어링(56)으로 지지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롤러 지지대(53a, 53b, 54)에는, 각 이송 롤러(52)에 각각 맞닿음 가능한 텐션 롤러(57)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텐션 롤러(57)는, 그 양단부를 각 지지 부재(58)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각 지지 부재(58)는 롤러 지지대(53a, 53b, 54)에 전후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롤러 지지대(53a, 53b, 54)에는 각 지지 부재(58)를 각각 독립적으로 전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모터(59)가 개별적으로 설치되어 있고, 각 구동 모터(59)의 구동에 의해서, 각 텐션 롤러(57)의 위치가, 이 텐션 롤러(57)가 각 이송 롤러(52)와 맞닿는 위치 또는 이송 롤러(52)로부터 멀어지는 위치의 어딘가로 변환된다.
각 지지 부재(58)에는 각 텐션 롤러(57)를 각각 회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모터(60)가 각각 고정되어 있고, 이송 롤러(52)에 세트한 원반(原反)(N)을 펴서 팽팽하게 하기 위해서, 원반(N)을 펴서 팽팽하게 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힘을 부여하도록 되어 있다. 즉, 앞 부분의 이송 롤러(52a)를 앞쪽(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향을 부여하고, 뒷 부분의 이송 롤러(52b)를 뒤쪽(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향을 부여한다. 이 펴서 팽팽하게 하기 위한 회전력은 각 이송 롤러(52a, 52b)에 가해지는 옷감 전송용의 회전력보다는 약하게 설정해 두고, 원반(N)을 보내기 위해서 구동 모터(55)에 의해 각 이송 롤러(52a, 52b)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면, 각 텐션 롤러(57)도 추종(追從)하여 회전되게 된다. 각 텐션 롤러(57)의 위쪽에는 각각 가이드 바(61)가 설치되어 있고, 각 가이드 바(61)의 양단부는 각 롤러 지지대(53a, 53b, 54)에 고정되어 있다.
도 3 ~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자수 미싱의 배면 측에는 길이가 긴 원반을 공급하는 공급부(S1, S2)가 설치되어 있다. 위쪽의 공급부(S1)는 폭이 넓은 원반의 롤(N1)이 1개 세트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아래쪽의 공급부(S2)는 폭이 좁은 원반의 롤(N2, N3)이 횡 방향으로 2개 세트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 5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양 공급부(S1, S2)의 쌍방에 원반의 롤을 세트한 상태가 도시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목적에 따라, 어느 한쪽에 원반 롤을 세트하는 것으로 한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위쪽의 공급부(S1)에는 폭이 넓은 원반의 롤(N1)을 지지하는 지지부(62)와, 롤(N1)을 회전시키는 도시하지 않는 구동원과, 상하 이동이 자유로운 텐션 바(63)와, 4개의 안내 롤러(64, 65, 66, 67)가 설치되어 있다. 아래쪽의 공급부(S2)에는 폭이 좁은 원반 롤(N2, N3)을 지지하는 지지부(68, 69)와, 롤(N2, N3)을 각각 회전시키는 도시하지 않는 구동원과, 상하 이동이 자유로운 텐션 바(70)와, 3개의 안내 롤러(71, 72, 73)가 설치되어 있다. 폭이 넓은 원반(N)으로의 자수를 실시할 때는, 위쪽의 공급부(S1)의 지지부(62)에 롤(N1)을 세트하고, 롤(N1)로부터 계속 내보낸 원반(N)을 안내 롤러 64, 텐션 바(63), 안내 롤러 65, 안내 롤러 66을 통하여 이송 롤러(52)로 유도한다. 한편, 폭이 좁은 원반(N)으로의 자수를 실시할 때는, 아래쪽의 공급부(S2)의 지지부(68, 69)에 롤(N2, N3)을 세트하고, 양 롤(N2, N3)로부터 계속 내보낸 원반(N)을 안내 롤러 71, 텐션 바(70), 안내 롤러 72, 안내 롤러 73, 위쪽의 공급부(S1)의 안내 롤러 67, 안내 롤러 66을 통하여 이송 롤러(52)로 유도한다.
공급부 S1 또는 S2로부터 계속 내보낸 원반(N)은, 뒤쪽의 가이드 바(61)를 통하여 뒤쪽의 텐션 롤러(57)에 감아 걸고, 한 쌍의 이송 롤러(52)에 걸어 걸친 후에 앞쪽의 텐션 롤러(57)에 감아 걸어 앞쪽의 가이드 바(61)를 통하여 자수 미싱의 전방(前方)에 배치한 도시하지 않는 회수 스탠드로 유도한다.
또한, 원반(N)을 세트할 경우에는 상기 구동 모터(59)에 의해서 각 지지 부재(58)를 전후로 구동시키고, 각 텐션 롤러(57)를 각 이송 롤러(52)로부터 떼어 놓도록 되어 있다.
또, 양 공급부(S1, S2)만으로는 원반을 겹쳐서 자수를 실시할 때 복수의 롤을 세트할 수 없으므로, 퀼팅(quilting)을 실시할 때 등에는 자수 미싱의 후방에 그것을 위한 공급 스탠드를 배치 하지만, 그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자수 바느질을 실시할 때는, 상기한 바와 같이 원반(N)을 롤로부터 계속 내보내 회수 스탠드로 유도한 후, 주축 모터(41)를 구동하여, 바늘(8)을 상하 이동시킴과 동시에 가마(4)를 회전시킨다. 바느질해야 할 자수 무늬 데이터의 Y 방향의 바느질 폭 성분에 따라 이송 롤러(52a, 52b)를 정 또는 역으로 적당량 회전하여 원반(N)을 전후 방향(Y 방향)으로 적당량 이동시킴과 동시에, 이 자수 무늬 데이터의 X 방향의 바느질 폭 성분에 따라 상기 구동 모터(36)를 적당량 회전하여 상기 연동판(22)을 통하여 미싱 헤드(3), 가마 토대(5), 색 전환 기구(23)를 미싱 헤드(3)의 배열 방향 즉 횡 방향(X 방향)으로 좌우로 움직인다. 이 때, 각 텐션 롤러(57)에는 한 쌍의 이송 롤러(52a, 52b)에 걸어 걸친 원반(N)의 자수 영역을 펴서 팽팽하게 하는 방향으로의 회전력을 걸 수 있으므로, 이것에 의해서, 양 이송 롤러(52a, 52b) 사이의 원반(N)은 적정하게 펴서 팽팽하게 된다. 원반(N)이 이송되면, 공급부(S1, S2)의 텐션 바(63, 70)가 원반(N)으로 인장되어 상승된다. 텐션 바(63, 70)가 있는 위치까지 상승되면, 원반의 롤(N1, N2, N3)을 회전 구동하여 원반(N)을 계속 내보내도록 되어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원반(N)에 대한 이송 동작은 한 방향(Y 방향)만으로 했기 때문에, 자수 바느질의 진행에 수반하여 원반(N)이 사행하거나, 원반(N)의 폭 방향(X 방향)의 펴서 팽팽하게 하는 것이 느슨해져 마무리 무늬가 비뚤어진다, 라고 하는 일이 일어나지 않는다. 이것에 의해서, 원반의 사행을 방지하는 기구나 원반을 폭 방향으로 폭을 넓히는 기구를 설치할 필요가 없으며, 자수 미싱의 구조가 간소하게 된다. 또, 색 전환 기구(23)를 미싱 헤드(3)와 함께 슬라이드시키는 것에 의해서, 미싱 헤드(3)에 있어서의 색 전환을 통상의 구조 및 제어로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게 된다. 만일 색 전환 기구(23)를 슬라이드시키지 않는 구조로 했을 경우는, 색 전환 기구(23)에 대한 미싱 헤드(3)의 슬라이드를 허용하는 구조나, 미싱 헤드(3)의 슬라이드만큼을 계산하여 색 전환 선택 제어를 실시하는 처리 등이 필요하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색 전환 기구(23)의 슬라이드 구동 구조 및 구동 기구(31)의 슬라이드 구동 구조를 볼 나사식의 회전 직선 변환 구조로 하였으나,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캠식의 회전 직선 변환 구조나, 리니어 모터에 의한 직동 구조 등, 다른 적당한 구성을 이용하여도 좋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각 이송 롤러(52a, 52b)를 각각 좌우에 2분할하고, 그 중간부를 베어링(56)에서 지지하는 구조로 하였으나, 반드시 그 중간부를 지지하지 않아도 되다. 또, 다두식 미싱으로 한정하지 않고, 1헤드의 다침 미싱에도 본 발명은 적용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재봉실의 색 전환 기구를 구비하는 다침 자수 미싱에 관한 것이고, 특히, 길이가 긴 원반에 자수 바느질을 실시하는 다침 자수 미싱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길이가 긴 원반을 한 쌍의 이송 롤러 사이에 펴서 팽팽히 하여, 이 이송 롤러를 회전시켜 원반을 한 방향으로 보내는 기구를 구비한 다침 자수 미싱에 이용 가능하다.

Claims (3)

  1. 복수의 바늘을 구비한 다침 미싱 헤드와,
    상기 다침 미싱 헤드의 아래쪽에 배열된 가마를 구비한 가마 토대와,
    상기 다침 미싱 헤드에 있어서 임의의 바늘을 소정의 작동 위치에 선택적으로 위치시키는 색 전환 기구
    를 구비한 다침 자수 미싱으로서,
    상기 다침 미싱 헤드, 가마 토대, 색 전환 기구를 미싱 프레임에 대하여 횡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하고, 이것들을 일체적으로 횡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횡 이동 기구와,
    길이가 긴 원반의 자수 영역을 펴서 팽팽히 하고, 한편 이 펴서 팽팽하게 된 원반을 옷감 길이 방향으로 이송하기 위해서, 횡 방향으로 늘어난 전후 한 쌍의 이송 롤러
    를 구비하며, 상기 한 쌍의 이송 롤러에 펴서 팽팽하게 된 원반의 자수 영역을 옷감 길이 방향으로 전후로 움직이고, 한편, 상기 횡 이동 기구에 의해 상기 다침 미싱 헤드, 가마 토대, 색 전환 기구를 일체적으로 횡 방향으로 좌우로 움직임으로써, 소망하는 2차원적 바느질 패턴을 실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침 자수 미싱.
  2. 제 1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상기 다침 미싱 헤드를 횡 방향에 소정 간격으로 배열하여 이루어지고, 복수 개의 상기 가마 토대 및 상기 색 전환 기구를 이 복수 개의 다침 미싱 헤드의 각각에 대응하게 하여 횡 방향에 소정 간격으로 배열하여 이루어며, 상기 횡 이동 기구는, 이것들 복수 개의 상기 다침 미싱 헤드, 가마 토대, 색 전환 기구를 미싱 프레임에 대해서 횡 방향에 일체적으로 이동시키는 다침 자수 미싱.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각 다침 미싱 헤드는, 복수의 바늘을 횡 방향에 배열한 바늘대 케이스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포함하고,
    상기 색 전환 기구는, 상기 각 다침 미싱 헤드의 상기 바늘대 케이스에 연결된 슬라이드 구동 부재와, 이 슬라이드 구동 부재를 소정량 슬라이드 구동시킴으로써 각 바늘대 케이스의 소망하는 바늘을 소정의 작동 위치에 선택적으로 위치시키는 구동부와, 이 구동부를 고정한 기초부를 포함하며,
    상기 각 다침 미싱 헤드는 제 1 부착 부재를 통하여 서로 연결되어, 이 제 1 부착 부재가 상기 미싱 프레임에 대해서 횡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됨으로써, 상기 각 다침 미싱 헤드가 상기 제 1 부착 부재를 통하여 상기 미싱 프레임에 대해서 횡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상기 각 가마 토대는 제 2 부착 부재를 통하여 서로 연결되어, 이 제 2 부착 부재가 상기 미싱 프레임에 대해서 횡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됨으로써, 상기 각 가마 토대가 상기 제 2 부착 부재를 통하여 상기 미싱 프레임에 대해서 횡 방향 으로 이동 가능하며,
    상기 횡 이동 기구는, 상기 제 1 및 제 2 부착 부재와 상기 색 전환 기구의 상기 기초부를 연결하는 연동 부재와, 이 연동 부재를 횡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 기구를 포함하고, 이 구동 기구에 의해 이 연동 부재를 횡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각 다침 미싱 헤드, 각 가마 토대, 색 전환 기구를 일체적으로 횡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침 자수 미싱.
KR20077004880A 2004-09-28 2005-09-28 다침 자수 미싱 KR1007948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281716A JP2006094918A (ja) 2004-09-28 2004-09-28 多針刺繍ミシン
JPJP-P-2004-00281716 2004-09-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9649A KR20070049649A (ko) 2007-05-11
KR100794874B1 true KR100794874B1 (ko) 2008-01-14

Family

ID=36118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77004880A KR100794874B1 (ko) 2004-09-28 2005-09-28 다침 자수 미싱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2006094918A (ko)
KR (1) KR100794874B1 (ko)
CN (1) CN101027444A (ko)
TR (1) TR200701916T1 (ko)
WO (1) WO200603580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904173B (zh) * 2006-08-11 2011-06-22 江苏大岛机械集团有限公司 多头双排绗绣一体机
KR101124413B1 (ko) * 2010-07-05 2012-03-20 동진침장 주식회사 표면에 요철주름 무늬가 형성되는 자연섬유 줄누비직포의 제조방법
CN102191639B (zh) * 2011-05-16 2013-05-22 杭州经纬电子机械制造股份有限公司 用于刺绣机的换色机构
CN102634942B (zh) * 2012-05-10 2014-09-17 诸暨玛雅电器机械有限公司 电脑绣花机换色装置
CN102660845A (zh) * 2012-05-10 2012-09-12 诸暨玛雅电器机械有限公司 电脑绣花机针位信号采集装置
CN103541162B (zh) * 2012-07-13 2015-05-06 北京大豪科技股份有限公司 电脑刺绣机和电脑刺绣机的针位检测方法
CN103046256A (zh) * 2012-12-31 2013-04-17 浙江凯泽路亚绣花机有限责任公司 刺绣机换色机构
CN105220379B (zh) * 2015-11-02 2017-06-06 浙江乐佳机电有限公司 一种超高速双侧多头绣花机
CN105624944B (zh) * 2016-03-28 2018-11-27 天津市鹏丰地毯有限公司 一种全自动电脑提花机换色机构
CN105821599A (zh) * 2016-05-18 2016-08-03 张素平 一种纺织平绣机的刺绣机头
CN106012322B (zh) * 2016-07-28 2018-12-07 徐善会 一种用于千层布鞋底机的导布装置
CN110106643B (zh) * 2019-05-16 2024-03-26 南京千卫瑞网络科技有限公司 绣花机用绕线梭升降换色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43577B2 (ja) * 1982-05-12 1984-10-23 孝治 飯田 多頭式刺繍機の刺繍生地支持台
JPS6156686A (ja) * 1984-08-27 1986-03-22 大薮 弘隆 ミシン
JPH01107793A (ja) * 1987-10-21 1989-04-25 Takatori Hightech:Kk ミシン
JP2845063B2 (ja) * 1992-11-03 1999-01-13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多頭式刺繍機
JP2592583Y2 (ja) * 1992-12-07 1999-03-24 東海工業ミシン株式会社 多針式刺繍ミシン
JP3448317B2 (ja) * 1993-06-29 2003-09-22 株式会社バルダン 多針刺繍ミシン
JP2005224365A (ja) * 2004-02-12 2005-08-25 Tik:Kk 多針ミシン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일본특허공보 제2845063호
일본특허공보 제3448317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027444A (zh) 2007-08-29
KR20070049649A (ko) 2007-05-11
TR200701916T1 (tr) 2007-05-21
JP2006094918A (ja) 2006-04-13
WO2006035809A1 (ja) 2006-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4874B1 (ko) 다침 자수 미싱
KR100860191B1 (ko) 다두 자수 미싱
KR100804110B1 (ko) 자수 미싱
JP2010207566A (ja) 縫製機械の本体前後移動装置
US5617802A (en) Multi-needle border machine having folders
KR20110070821A (ko) 다중-헤드 자수기
JP2008212383A (ja) ミシン
WO2006057411A1 (ja) 環縫いミシン
US7503272B2 (en) Rack and pinion type power transmission and apparatus for driving embroidery frame of embroidery machine having the same
TR201807133T4 (tr) Yatay çok-iğneli kapitone makinesi ve usulü.
JP3448156B2 (ja) 縫製装置の布送り装置
US7497178B2 (en) Apparatus for driving embroidery frame of embroidery machine
KR200170241Y1 (ko) 자수 및 누비 복합기의 원단 미끄럼방지장치
JP2002028388A (ja) 縫製装置
JPH0646676U (ja) 多針式刺繍ミシン
JP3656172B2 (ja) ミシン
JP2879271B2 (ja) 複合ミシンのアタチメント駆動装置
JP2002102567A (ja) ミシンの縫製枠駆動装置
KR200435872Y1 (ko) 자수 미싱
JPH10285A (ja) 多針式ミシン
KR101856902B1 (ko) 줄누비기
JPH0754258A (ja) 多頭刺繍ミシン
JPS639074B2 (ko)
KR200297053Y1 (ko) 자수기의 원단 공급용 틀체
KR100589562B1 (ko) 원단 이송장치의 원단 장력 생성 및 유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