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4110B1 - 자수 미싱 - Google Patents

자수 미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4110B1
KR100804110B1 KR1020067019981A KR20067019981A KR100804110B1 KR 100804110 B1 KR100804110 B1 KR 100804110B1 KR 1020067019981 A KR1020067019981 A KR 1020067019981A KR 20067019981 A KR20067019981 A KR 20067019981A KR 100804110 B1 KR100804110 B1 KR 1008041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ing
head
needle
embroidery
hea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99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24499A (ko
Inventor
이쿠오 다지마
Original Assignee
도카이 고교 미싱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카이 고교 미싱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카이 고교 미싱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244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44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41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41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CEMBROIDERING; TUFTING
    • D05C11/00Devices for guiding, feeding, handling, or treating the threads in embroidering machines; Machine needles; Operating or control mechanisms therefor
    • D05C11/16Arrangements for repeating thread patterns or for changing thread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CEMBROIDERING; TUFTING
    • D05C11/00Devices for guiding, feeding, handling, or treating the threads in embroidering machines; Machine needles; Operating or control mechanisms therefor
    • D05C11/02Machine needles
    • D05C11/06Needle-driving or control mechanis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통 모양의 피자수물이 세트되는 하나의 자수틀의 자수 범위에 대해서 각각 자수 꿰맴이 행해지도록 접근하여 배치된 둘 이상의 미싱 헤드(3, 4)로 이루어지는 헤드 군에 있어서, 그 중 적어도 하나의 미싱 헤드는 다침 미싱 헤드(3)이다. 다침 미싱 헤드에 있어서 임의의 바늘을 소정의 작동 위치에 선택적으로 위치시키는 색 전환 기구(20)와, 1개의 헤드 군 중의 각 미싱 헤드에 공용되는 하나의 가마 베드(5)가 설치된다. 각 미싱 헤드 및 색 전환 기구를 가마 베드에 대해서 횡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하고, 이것들을 일체적으로 횡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1개의 헤드 군 중의 각 미싱 헤드 중 어느 하나를 이 가마 베드에 대응 위치시키는 횡이동 기구(30)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자수 미싱{EMBROIDERY MACHINE}
본 발명은, 스웨터나 T셔츠의 몸통 등과 같은 통 모양의 피자수물을 대상으로 한 자수 미싱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T셔츠의 몸통에 자수를 하는 데는, 자수틀에 세트(set)된 통 모양의 몸통 내측에 가마를 내장한 통형의 가마 베드(bed)를 위치시킬 필요가 있고, 그 구성에 대해서는 아래와 같이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다. 이 공보로부터도 명확한 바와 같이, 만일 앞쪽 몸통을 가마 베드의 상면에 위치시킨 상태로 셔츠를 자수틀에 세트하였을 때, 그 뒤쪽 몸통은 자수틀의 주위로부터 가마 베드의 하부에 걸쳐 아래로 늘어진 상태가 되어 있다. 한편, 최근에 있어서의 패션의 개성화는, 자수에 있어서도 이른바 콤비네이션(combination) 자수의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콤비네이션 자수의 일례로서는, 통상의 다색 자수와 테이프나 끈 등의 소재를 바느질 하는 장식물 자수와의 조합이 있고, 이와 같은 콤비네이션 자수는 다색 자수와 장식물 자수라고 하는 2종류의 미싱 헤드를 구비한 콤비네이션 자수 전용의 자수 미싱으로 행하고 있다.
[특허문헌 1] 실공평1-11751호
상기 콤비네이션 자수 전용 미싱으로 하면, 1대의 자수 미싱에 의해 콤비네 이션 자수를 행할 수 있지만, 콤비네이션 자수 전용 미싱에는 통 모양의 피자수물로의 자수를 행할 수 있는 미싱이 없었다. 이것은, 상기한 바와 같이 통 모양의 피자수물에 자수를 행하는 데는, 통 모양의 피자수물의 내측에 가마 베드를 위치시킬 필요가 있고, 2종류의 미싱 헤드에서 자수를 행하는 데는 쌍방의 미싱 헤드에 대응하는 2개의 가마 베드를 통 모양의 피봉제물의 내측에 위치시키지 않으면 안 된다. 이 때문에, 자수가 가능한 피자수물이 한정되어 버릴 뿐만이 아니라, 자수가 가능한 피자수물에 있어서도 아래쪽으로 늘어진 부분에 충분한 여유가 없으면 자수 범위를 확보할 수 없게 된다. 이것을 회피하기 위해서, 여기서부터 자수를 행하는 미싱 헤드에 대응하는 한쪽의 가마 베드만을 피자수물의 내측에 위치시키는 것도 고려되지만, 다른 한쪽의 미싱 헤드에서 자수를 행할 때는 피자수물의 내측에 위치시키는 가마 베드를 전환하기 위해, 자수 미싱을 정지시키고 자수틀을 탈착하지 않으면 안되어 수고와 시간이 걸리게 된다. 거기에 더해, 가마 베드의 아래쪽으로 늘어져 있는 피자수물의 일부가 근처의 가마 베드에 간섭하여 더러움이나 상처가 생겨 버릴 우려도 있다. 이러한 것에 의해, 통 모양의 피자수물에 대한 콤비네이션 자수를 1대의 자수 미싱으로 행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은 상술의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통 모양의 피자수물에 대한 복수 종류의 미싱 헤드에 의한 조합시킨 자수를 아무런 지장 없이 부드럽게 행할 수 있도록 한 자수 미싱을 제공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자수 미싱은, 통 모양의 피자수물을 대상으로 한 자수 미싱에 있어서, 상기 통 모양의 피자수물이 세트되는 하나의 자수틀의 자수 범위에 대해서 각각 자수 꿰맴이 행해지도록 접근하여 배치된 둘 이상의 미싱 헤드로 이루어지는 헤드 군(群)으로서, 그 중 적어도 하나의 미싱 헤드는 복수의 바늘을 구비한 다침 미싱 헤드인 것과, 상기 다침 미싱 헤드에 있어서 임의의 바늘을 소정의 작동 위치에 선택적으로 위치시키는 색 전환 기구와, 1개의 상기 헤드 군 중의 상기 각 미싱 헤드에 공용되고, 또한 1개의 상기 피자수물에 대응하는 하나의 가마 베드와, 상기 각 미싱 헤드 및 상기 색 전환 기구를 상기 가마 베드에 대해서 횡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하며, 이것들을 일체적으로 횡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1개의 상기 헤드 군 중의 상기 각 미싱 헤드 중 어느 하나를 이 가마 베드에 대응 위치시키는 횡이동 기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단일의 가마 베드에 대해서 1개의 헤드 군 내의 복수의 미싱 헤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대응하게 붙여서 위치시키도록 하는 것에 의해, 피자수물의 내측에 위치시키는 가마 베드는 단일에 있어서도, 각각의 미싱 헤드에 의한 다른 타입의 자수 또는 꿰맴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간소화된 구성으로 하면서, 통 모양의 피자수물에 대한 복수 종류의 미싱 헤드에 의한 조합 자수(콤비네이션 자수)를 1대의 자수 미싱에 의해 아무런 지장 없이 행할 수 있게 된다. 또, 다침 미싱 헤드의 색 전환 기구를, 헤드 군을 위한 횡이동 기구에 의해서 함께 이동시키도록 구성함으로써, 이동 기구 전체의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한 자수 미싱의 정면도.
도 2는 이 자수 미싱의 상부의 미싱 프레임과 미싱 헤드를 생략하여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도 1의 I-I선 단면에 따른 측면 단면도.
도 4(a)는 이 자수 미싱의 색 전환 기구 및 횡이동 기구의 부분을 확대해 나타내는 정면도, 도 4(b)는 그 평면도.
도 5는 1개의 다침 미싱 헤드를 확대해 나타내는 측면도.
도 6은 1개의 단침 미싱 헤드를 확대해 나타내는 측면도.
도 7(a)는 색 전환 기구의 구체적 구성예를 더욱 확대해 나타내는 정면도, 도 7(b)는 그 측단면도.
도 8(a)는 횡이동 기구의 구체적 구성예를 더욱 확대해 나타내는 정면도, 도 8(b)는 그 측단면도.
도 9는 미싱 정면의 좌측에 배치된 미싱 주축에 대한 주축 모터의 회전 운동의 전달 기구의 구체적 구성예를 확대해 나타내는 정면도(a) 및 측단면도(b).
도 10은 다침 미싱 헤드를 가마 베드에 대응 위치시킨 상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a) 및 평면도(b).
도 11은 도 10에 있어서 색 전환 기구에 의해 바늘(색실)의 선택 슬라이드 이동을 행한 상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a) 및 평면도(b).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형태>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한 자수 미싱의 정면도, 도 2는 이 자수 미싱의 상부의 미싱 프레임 1과 미싱 헤드 3 및 4를 생략하여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도 1의 I-I선 단면에 따른 측면 단면도이다. 1은 미싱 프레임, 2는 테이블이다. 테이블(2)은 승강 가능한 앞 테이블(2a)을 가지고 있다. 미싱 프레임(1)의 전면(前面)에는, 2 종류의 미싱 헤드 3 및 4를 페어(pair)로 구성한 헤드 쌍(헤드 군)이 6조(組) 설치하고 있다. 한쪽의 미싱 헤드(3)는 복수(예를 들면 9개)의 바늘을 구비한 다색 자수용의 박음질 다침 미싱 헤드이고, 다른 한쪽의 미싱 헤드(4)는 테이프등의 바느질을 할 수 있는 장식물 자수용의 박음질 단침 미싱 헤드이다. 각 헤드 쌍(헤드 군)의 아래쪽에는 1개의 가마(6)를 구비한 1개의 가마 베드(5)가 각각 배치 되어 있다. 테이블(2) 위에는 기본 섀시(sash) 틀(7)이 설치되어 있고, 기본 섀시 틀(7)은 틀 구동부 8 및 9에 의해서 X 및 Y방향으로 2차원적으로 이동된다. 기본 섀시 틀(7)에는 복수의 자수틀(10)이 각 가마 베드(5)에 대응하여 지지 암(11)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각 자수틀(10)에는 T셔츠의 몸통과 같은 통 모양의 피자수물의 세트가 가능하다.
도 4(a)는 색 전환 기구(20) 및 횡이동 기구(30)의 부분을 확대해 나타내는 정면도, (b)는 그 평면도이다. 도 4에서 명확한 바와 같이, 미싱 프레임(1)의 전면(前面)에는, 복수의 레일(13a)을 연결하여 구성한 상하 2개의 가이드 레일(13)을 설치하고 있다. 각 헤드 쌍의 미싱 헤드(3, 4)는 부착판(12)에 고정되어 있고, 부착판(12)은 2개의 가이드 레일(13)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슬라이더(14)에 고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각 헤드 쌍의 미싱 헤드(3, 4)는 미싱 프레임(1)에 대해서 슬라이드가 자유롭게 되어 있다. 도 5는 1개의 다침 미싱 헤드(3)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측면도, 도 6은 1개의 단침 미싱 헤드(4)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침 미싱 헤드(3)는 암(15)과 암(15)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된 바늘대 케이스(16)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바늘대 케이스(16)는 복수(예를 들면 9개)의 바늘(17)을 구비하고 있다. 바늘대 케이스(16)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색 전환 기구(20)에 의해서 횡방향으로 슬라이드 되어 임의의 하나의 바늘(17)이 소정의 작동 위치(선택 위치)에 선택적으로 위치하게 할 수 있다. 각 미싱 헤드(3, 4)에는 미싱 주축(18)이 관통하여 설치되어 있고, 미싱 주축(18)의 회전에 의해서 다침 미싱 헤드(3)에서는 이 작동 위치(선택 위치)에 위치된 바늘(17)이 상하 이동되어, 미싱 헤드(4)에서는 바늘(19)가 상하 이동된다.
미싱 프레임(1)의 전면에는 미싱 헤드(3)의 복수(9개)의 바늘(17)로부터 임의의 바늘(17)을 선택 위치에 위치시키는 색 전환 기구(20)를 설치하고 있다. 색 전환 기구(20)도 부착판(21)을 통하여 가이드 레일(13)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슬라이더(14)에 고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색 전환 기구(20)에 대해서도 미싱 프레임(1)에 대해서 슬라이드가 자유롭게 되어 있다. 도 7은 색 전환 기구(20)의 구체적 구성예를 더욱 확대해 나타내는 것으로, (a)는 정면도, (b)는 측단면도이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색 전환 기구(20)는 부착판(21)에 고정한 단면 コ자형의 프레임 부재(기초부)(22)와, 프레임 부재(22)에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된 볼 나사(23)와, 볼 나사(23)에 나사 맞춤된 너트 부재(24)에 장착되어 가이드 샤프트(25)에 따라서 슬라이드 되는 이동자(26)를 구비하고 있다. 프레임 부재(22)에는 구동 모터(27)가 고정되어 있고, 구동 모터(27)의 모터 축은 볼 나사(23)의 일단에 연결되어, 구동부를 구성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구동 모터(27)를 구동하면 볼 나사(23)이 회전되고, 너트 부재(24)와 함께 이동자(26)가 슬라이드 되게 된다. 이동자(26)에는 각 헤드 쌍의 미싱 헤드(3)의 바늘대 케이스(16)에 연결된 로드(rod)(28)의 일단이 고정되어, 슬라이드 구동 부재를 구성한다. 구동 모터(27)의 구동에 의해서 이동자(26)가 슬라이드 되면, 로드(28)를 통하여 바늘대 케이스(16)가 좌우로 슬라이드 되게 된다. 또한,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미싱 헤드(4)에는 로드(28)의 관통을 허락하는 놓침 구멍(29)을 설치하고 있다.
도 1 또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미싱 프레임(1)의 전면에는 각 헤드 쌍 및 색 전환 기구(20)를 일체적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기 위한 횡이동 기구(30)가 설치되어 있다. 도 8은 횡이동 기구(30)의 구체적 구성예를 더욱 확대하여 나타내는 것으로, (a)는 정면도, (b)는 측단면도이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횡이동 기구(30)는 색 전환 기구(20)와 같은 구성으로, 미싱 프레임(1)에 고정한 프레임 부재(31)와, 프레임 부재(31)에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된 볼 나사(32)와, 볼 나사(32)에 나사 맞춤된 너트 부재(33)에 장착되어 가이드 샤프트(34)에 따라서 슬라이드되는 이동자(35)를 구비하고 있다. 프레임 부재(31)에는 구동 모터(36)가 고정되어 있고, 구동 모터(36)의 모터 축은 볼 나사(32)의 일단에 연결되어 있다. 헤드 쌍이 고정된 각 부착판(12) 및 색 전환 기구(20)가 고정된 부착판(21)은 각각 연결 로드(37)에 의해서 연결되어 있음과 동시에, 부착판(21)은 연결 로드(37)에 의해서 횡이동 기구(30)의 이동자(35)와 연결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횡이동 기 구(30)의 구동 모터(36)를 구동하여 이동자(35)를 슬라이드시키면, 각 미싱 헤드(3, 4) 및 색 전환 기구(20)가 일체적으로 횡방향(왼쪽 또는 오른쪽으로) 슬라이드 되게 된다. 그리고, 미싱 헤드(3, 4)의 어느 것을 가마 베드(5)에 대응하여 위치시키고, 이렇게 하여 가마 베드(5)에 대응하여 위치시킨 미싱 헤드 3 또는 4에 의한 자수 꿰맴을 행한다. 이 때, 미싱 주축(18)도 미싱 헤드 3 및 4와 함께 슬라이드 이동된다. 또한, 도 4는 단침 미싱 헤드(4)를 가마 베드(5)에 대응 위치시킨 상태를 나타낸다. 또, 도 10 또는 도 11은 다침 미싱 헤드(3)를 가마 베드(5)에 대응 위치시킨 상태예를 나타낸다.
도 9는, 미싱 정면의 좌측으로 배치된 미싱 주축(18)에 대한 주축 모터(43)의 회전운동의 전달 기구의 구체적 구성예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것으로, (a)는 정면도, (b)는 측단면도이다. 도 9에서 명확한 바와 같이, 미싱 주축(18)의 좌단부에는 스플라인(spline) 축(38)이 연결되어 있다. 스플라인 축(38)에는, 스플라인 축(38)의 축선에 따라서 슬라이드 가능하고, 스플라인 축(38)과 함께 회전하는 스플라인 베어링(39)이 설치되어 있다. 스플라인 베어링(39)에는 주축 풀리(40) 및 종동 풀리(41)가 고정되어 있다. 주축 풀리(40)는 타이밍 벨트(42)를 통하여 미싱 프레임(1)의 배면에 고정된 주축 모터(43)와 연결되어 있다. 종동 풀리(41)는 타이밍 벨트(44)로 중간 풀리(45)를 통하여 가마 축 풀리(46)와 연결되어 있다. 가마 축 풀리(46)는 가마 축(47)의 단부에 고정되어 있다. 가마 축(47)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가마 베드(5)를 관통하여 설치되어 있고, 가마 축(47)의 회전에 의해서 각 가마 베드(5)의 가마(6)가 회전되도록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주축 모 터(43)의 구동에 의해서 미싱 주축(18) 및 가마 축(47)이 회전되고, 바늘 17 또는 19가 상하 이동됨과 동시에 가마(6)가 회전된다. 이 스플라인 축(38), 스플라인 베어링(39)에 의해서 미싱 주축(18)의 슬라이드가 허용되면서도, 주축 모터(43)의 구동이 전달되게 된다. 또한, 도 9에서는 미싱 헤드(4)를 가마 베드(5)에 대응 위치시켰을 때(도 4 상태)의 스플라인 축(38)의 위치가 실선으로 나타내고 있고, 미싱 헤드(3)를 가마 베드(5)에 대응 위치시켰을 때(도 10 상태)의 스플라인 축(38)의 위치가 상상선(想像線)으로 나타내고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콤비네이션 자수 꿰맴 동작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자수틀(10)에 통 모양의 피자수물을 세트하여, 기본 섀시 틀(7)에 부착한다. 여기서, 피자수물에 대한 테이프의 바느질 등과 같은 장식물 자수 꿰맴을 행할 때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횡이동 기구(30)에 의해서 각 헤드 쌍에 있어서의 단침 미싱 헤드(4)를 가마 베드(5)에 대응 위치시킨다. 그리고, 주축 모터(43)를 구동하여, 바늘(19)을 상하 이동시킴과 동시에 가마(6)를 회전시켜, 기본 섀시 틀(7)을 자수 데이터에 근거하여 이동시킨다. 이렇게 하여, 단침 미싱 헤드(4)에 의한 테이프의 바느질 등의 장식물 자수 꿰맴이 행해진다. 또한, 이 때, 가마 베드(5)에 대응 위치하고 있지 않은 다침 미싱 헤드(3)에 대해서는, 주지의 점프 제어에 의해서 바늘(17)의 상하 이동을 휴지한다.
다음으로, 다색 자수를 행할 때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횡이동 기구(30)에 의해서 각 헤드 쌍에 있어서의 다침 미싱 헤드(3)를 가마 베드(5)에 대응 위치시킨다. 이 상태로, 색 전환 기구(20)의 구동에 의해서 소망한 색실의 바늘(17)을 소정의 동작 위치(선택 위치)에 선택적으로 위치시킨다. 도 11은, 색 전환 기구(20)의 구동에 의해서 소망한 색실의 바늘(17)이 소정의 동작 위치(선택 위치)에 선택된 상태를 예시하고 있다. 그리고, 주축 모터(43)을 구동하여, 동작 위치(선택 위치)에 위치하는 바늘(17)을 상하 이동시킴과 동시에 가마(6)를 회전시키고, 한편, 기본 섀시 틀(7)을 자수 데이터에 근거하여 이동시킨다. 이렇게 하여, 다침 미싱 헤드(3)에 의한 소망한 색실에 의한 자수 꿰맴이 행해진다. 또한, 이 때, 가마 베드(5)에 대응 위치하고 있지 않은 단침 미싱 헤드(4)에 대해서는, 주지의 점프 제어에 의해서 바늘(19)의 상하 이동을 휴지한다.
이와 같이, 횡이동 기구(30)의 구동에 의해서 단일의 가마 베드(5)에 대하여 2 종류의 미싱 헤드(3, 4)의 한쪽을 선택적으로 대응 위치시키는 것에 의해서, 피자수물의 내측에 위치시키는 가마 베드(5)는 단일이면서 2 종류의 미싱 헤드(3, 4)에 의한 선택적인 자수 꿰맴 동작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통 모양의 피자수물에 대한 콤비네이션 자수 꿰맴을 1대의 자수 미싱에 의해 아무런 지장 없이 부드럽게 행할 수 있게 된다. 또, 색 전환 기구(20)를 미싱 헤드(3, 4)와 함께 일체적으로 슬라이드 시키도록 구성한 것에 의해서, 다침 미싱 헤드(3)에 있어서의 색 전환 동작을 통상의 구조 및 제어로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만약 색 전환 기구(20)를 슬라이드 시키지 않는 구조로 했을 경우에는, 색 전환 기구(20)에 대한 미싱 헤드(3)의 슬라이드 이동을 허용하는 구조나, 미싱 헤드(3)의 슬라이드 이동량을 계산하는 제어 등이 필요하여, 꽤 귀찮은 구성이 되어 버리지만, 본 발명에 의하면 그러한 귀찮음은 없이, 간편하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색 전환 기구(20)의 슬라이드 구동 구조 및 횡이동 기구(30)의 슬라이드 구동 구조를 볼 나사식의 회전 직선 변환 구조로 했지만,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캠(cam)식의 회전 직선 변환 구조나, 리니어 모터(linear motor)에 의한 직동(直動) 구조 등, 다른 적절한 구성을 이용하여도 좋다. 또, 1 헤드 쌍(1 헤드 군)을 이루는 2 종류의 미싱 헤드는, 다침 미싱 헤드와 단침 미싱 헤드의 조합에 한정하지 않고, 2개 모두 다침 미싱 헤드로 하여도 좋다. 그와 같이, 2개의 다침 미싱 헤드로 했을 경우는, 꿰맴 가능한 실색수를 늘릴 수 있다. 그 경우, 1개의 색 전환 기구(20)를 1 헤드 쌍를 이루는 2 종류의 다침 미싱 헤드를 위해서 공용할 수 있다. 또, 1 헤드 군은, 3 종류의 미싱 헤드로 이루어져 있어도 좋다. 또, 다두식 미싱에 한정하지 않고, 2 종류 또는 그 이상의 미싱 헤드로 이루어지는 1 헤드 쌍(1 헤드 군)만의 미싱에도 본 발명은 적용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스웨터나 T셔츠의 몸통과 같은 통 모양의 피자수물을 대상으로 한 자수 미싱에 이용 가능하다.

Claims (3)

  1. 통 모양의 피자수물을 대상으로 한 자수 미싱에 있어서,
    상기 통 모양의 피자수물이 세트되는 하나의 자수틀의 자수 범위에 대해서 각각 자수 꿰맴이 행해지도록 접근하여 배치된 둘 이상의 미싱 헤드로 이루어지는 헤드 군(群)으로서, 그 중 적어도 하나의 미싱 헤드는 복수의 바늘을 구비한 다침 미싱 헤드인 것과,
    상기 다침 미싱 헤드에 있어서 임의의 바늘을 소정의 작동 위치에 선택적으로 위치시키는 색 전환 기구와,
    1개의 상기 헤드 군 중의 상기 각 미싱 헤드에 공용되고, 또한 1개의 상기 피자수물에 대응하는 하나의 가마 베드와,
    상기 각 미싱 헤드 및 상기 색 전환 기구를 상기 가마 베드에 대해서 횡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하고, 이것들을 일체적으로 횡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1개의 상기 헤드 군 중의 상기 각 미싱 헤드 중 어느 하나를 이 가마 베드에 대응 위치시키는 횡이동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횡이동 기구는 상기 각 미싱 헤드와 상기 색 전환 기구를 일체적으로 이동시키는 연동 부재와, 이 연동부재를 횡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기구를 포함하며, 이 구동기구에 의해 이 연동부재를 횡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각 미싱 헤드와 색 전환 기구를 일체적으로 횡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수 미싱.
  2. 제 1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상기 헤드 군을 횡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배열하여 이루어지고, 복수 개의 상기 가마 베드를 이 복수 개의 상기 헤드 군의 각각에 대응하여 붙여 횡방향으로 소정간격으로 배열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횡이동 기구는, 복수 개의 상기 헤드 군 및 상기 색 전환 기구를 상기 가마 베드에 대해서 횡방향으로 일체적으로 이동시키는 자수 미싱.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각 헤드 군에 있어서의 상기 각 다침 미싱 헤드는, 복수의 바늘을 횡방향에 배열한 바늘대 케이스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포함하고,
    상기 색 전환 기구는, 상기 각 다침 미싱 헤드의 상기 바늘대 케이스에 연결된 슬라이드 구동 부재와, 이 슬라이드 구동 부재를 소정량 슬라이드 구동시키는 것으로 각 바늘대 케이스의 소망한 바늘을 소정의 작동 위치에 선택적으로 위치시키는 구동부와, 이 구동부를 고정한 기초부를 포함하며,
    상기 각 헤드 군에 있어서의 각 미싱 헤드는 부착 부재를 통하여 연결되고, 이 부착 부재가 미싱 프레임에 대해서 횡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됨으로써, 상기 각 미싱 헤드가 상기 미싱 프레임에 대해서 횡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상기 횡이동 기구의 상기 연동부재는, 상기 부착 부재를 통하여 연결된 각 미싱 헤드를 상기 색 전환 기구의 상기 기초부에 동시에 일체적으로 횡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수 미싱.
KR1020067019981A 2004-10-29 2005-10-28 자수 미싱 KR1008041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315990A JP2006122436A (ja) 2004-10-29 2004-10-29 刺繍ミシン
JPJP-P-2004-00315990 2004-10-29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6128U Division KR200435872Y1 (ko) 2004-10-29 2006-09-27 자수 미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4499A KR20070024499A (ko) 2007-03-02
KR100804110B1 true KR100804110B1 (ko) 2008-02-18

Family

ID=36227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9981A KR100804110B1 (ko) 2004-10-29 2005-10-28 자수 미싱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90173261A1 (ko)
EP (1) EP1806445A1 (ko)
JP (1) JP2006122436A (ko)
KR (1) KR100804110B1 (ko)
CN (1) CN101040078B (ko)
WO (1) WO200604670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230524B (zh) * 2008-02-01 2013-01-16 赵泽芳 一种毛巾绣装置
CN102482821B (zh) * 2009-09-17 2013-10-30 Nsd株式会社 缝纫机用缝制框驱动装置
CN102758318B (zh) * 2011-04-25 2014-03-19 南京通孚轻纺有限公司 多头绣花机针杆独立控制系统及独立控制方法
CN102191639B (zh) * 2011-05-16 2013-05-22 杭州经纬电子机械制造股份有限公司 用于刺绣机的换色机构
CN102660845A (zh) * 2012-05-10 2012-09-12 诸暨玛雅电器机械有限公司 电脑绣花机针位信号采集装置
CN102634942B (zh) * 2012-05-10 2014-09-17 诸暨玛雅电器机械有限公司 电脑绣花机换色装置
CN103541162B (zh) * 2012-07-13 2015-05-06 北京大豪科技股份有限公司 电脑刺绣机和电脑刺绣机的针位检测方法
CN102978852A (zh) * 2012-11-02 2013-03-20 中捷大宇机械有限公司 数字控制刺绣机针杆换色装置
CN103046256A (zh) * 2012-12-31 2013-04-17 浙江凯泽路亚绣花机有限责任公司 刺绣机换色机构
CN103361899B (zh) * 2013-07-12 2014-05-21 宁波舒普机电科技有限公司 用于缝纫机的多针杆模块
CN103835083B (zh) * 2014-03-10 2015-10-28 江苏大岛机械集团有限公司 多功能幅式绗绣一体机
CN104611855A (zh) * 2015-01-20 2015-05-13 江苏大岛机械集团有限公司 直角转换铝花键轴上下一体传动结构
CN104695153B (zh) * 2015-03-24 2017-06-23 东莞广森自动缝制设备有限公司 弹针刺布式绣花机机头
CN106192251A (zh) * 2016-08-26 2016-12-07 林俊仁 一种电脑刺绣增色的方法
CN107460660A (zh) * 2017-08-30 2017-12-12 贵州绣之魂民族服饰有限公司 一种可调节式刺绣装置
CN107687053B (zh) * 2017-09-30 2023-01-10 朱月眉 一种刺绣机的换色机构
CN109722814A (zh) * 2017-10-30 2019-05-07 天津科焱科技有限公司 一种换针地毯植绒机头装置
DE102022206251A1 (de) 2022-06-22 2023-12-28 Pfaff Industriesysteme Und Maschinen Gmbh Portal-Nähanlag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42065A (ja) * 1985-08-19 1987-02-24 Toshiba Corp 半導体流速検出器
JP2845063B2 (ja) * 1992-11-03 1999-01-13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多頭式刺繍機
JP3448317B2 (ja) * 1993-06-29 2003-09-22 株式会社バルダン 多針刺繍ミシン
JP2003338492A (ja) * 2002-05-21 2003-11-28 Tokyo Electron Ltd プラズマ処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56686A (ja) * 1984-08-27 1986-03-22 大薮 弘隆 ミシン
JPH0111751Y2 (ko) * 1985-09-02 1989-04-06
IT1230066B (it) * 1989-04-27 1991-09-27 Giannino Landoni Dispositivo per la disattivazione e la riattivazione di uno o piu' aghi in una macchina trapuntatrice, ricamatrice multiaghi o simili.
US5287820A (en) * 1991-05-02 1994-02-22 Nahmaschinenfabrik Emil Stutznacker Gmbh & Co., Kg Movable and relatively positionable sewing units for sewing stationary material
JP2592583Y2 (ja) * 1992-12-07 1999-03-24 東海工業ミシン株式会社 多針式刺繍ミシン
JP3338492B2 (ja) * 1992-12-14 2002-10-28 東海工業ミシン株式会社 刺繍ミシン
JP3609574B2 (ja) * 1997-03-11 2005-01-12 株式会社バルダン 多頭多針ミシン
IT1299819B1 (it) * 1998-01-23 2000-04-04 Resta Srl Macchina trapuntatrice con cucitrici movimentate da motori elettrici lineari.
JP2005224365A (ja) * 2004-02-12 2005-08-25 Tik:Kk 多針ミシン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42065A (ja) * 1985-08-19 1987-02-24 Toshiba Corp 半導体流速検出器
JP2845063B2 (ja) * 1992-11-03 1999-01-13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多頭式刺繍機
JP3448317B2 (ja) * 1993-06-29 2003-09-22 株式会社バルダン 多針刺繍ミシン
JP2003338492A (ja) * 2002-05-21 2003-11-28 Tokyo Electron Ltd プラズマ処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6122436A (ja) 2006-05-18
EP1806445A1 (en) 2007-07-11
KR20070024499A (ko) 2007-03-02
US20090173261A1 (en) 2009-07-09
WO2006046708A1 (ja) 2006-05-04
CN101040078B (zh) 2011-07-20
CN101040078A (zh) 2007-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4110B1 (ko) 자수 미싱
KR100860191B1 (ko) 다두 자수 미싱
WO2003076707A3 (en) Multiple horizontal needle quilting machine and method
KR200350914Y1 (ko) 자수기
CN101319441A (zh) 刺绣缝纫机及其控制方法
US5040476A (en) Switching device for normal and embroidery stitching in a sewing machine
KR100798581B1 (ko) 체인 스티치 미싱
US7252044B2 (en) Stepped embroidery machine
CN109972312A (zh) 一种轻便式结构单头平绣绣花机
KR200435872Y1 (ko) 자수 미싱
JP3338492B2 (ja) 刺繍ミシン
KR100358929B1 (ko) 독립 구동형 다두 자수기
JP3656172B2 (ja) ミシン
JP2004242972A (ja) 多針ミシン及びコンビネーションミシン
JP5008227B2 (ja) ミシン
JP2003020557A (ja) ミシン
JPH11262592A (ja) 糸端保持手段を備えた多針ミシン
JPS5929989Y2 (ja) スモツキングミシンにおけるスプレツダ駆動機構
JP3392631B2 (ja) ミシン
JPS61217196A (ja) 布団等の自動模様縫いミシン
JP3667420B2 (ja) ミシン
JPH11222762A (ja) 刺繍ミシン
JPS6253463A (ja) 多頭型刺しゅう縫ミシン
JPH0347875B2 (ko)
JP2005224365A (ja) 多針ミシ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