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4834A - 안내 장치를 갖는 궤조식 차량 - Google Patents

안내 장치를 갖는 궤조식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4834A
KR20120024834A KR1020117030785A KR20117030785A KR20120024834A KR 20120024834 A KR20120024834 A KR 20120024834A KR 1020117030785 A KR1020117030785 A KR 1020117030785A KR 20117030785 A KR20117030785 A KR 20117030785A KR 20120024834 A KR20120024834 A KR 201200248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link
shaft
guide wheel
shock absorb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307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27576B1 (ko
Inventor
히로유키 마에야마
히로유키 고노
고우스케 가타히라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248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48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75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75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3/00Other railway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17/00Wheels characterised by rail-engag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19/00Whe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having characteristics specified in one of the subgroups of this grou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FRAIL VEHICLE SUSPENSIONS, e.g. UNDERFRAMES, BOGIES OR ARRANGEMENTS OF WHEEL AXLES; RAIL VEHICLES FOR USE ON TRACKS OF DIFFERENT WIDTH; PREVENTING DERAILING OF RAIL VEHICLES; WHEEL GUARDS, OBSTRUCTION REMOVERS OR THE LIKE FOR RAIL VEHICLES
    • B61F9/00Rail vehicl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preventing derailing, e.g. by use of guide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24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not vehicle-mounted
    • B62D1/26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not vehicle-mounted mechanical, e.g. by a non-load-bearing guide
    • B62D1/265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not vehicle-mounted mechanical, e.g. by a non-load-bearing guide especially adapted for guiding road vehicles carrying loads or passengers, e.g. in urban networks for public transportation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안내 장치를 갖는 궤조식 차량에 있어서, 안내륜(5)은, 주 안내 레일(31)에 접하여 전동하는 주 안내륜(51)과, 분기 안내 레일(32)에 접하여 전동하는 분기 안내륜(52)으로 구성되고, 안내 프레임(4)은, 차폭방향으로 연장되는 안내 아암(10)과 안내 링크(12)를 구비하고, 안내 아암(10)과 안내 링크(12)는, 제 1 회동축(13)을 거쳐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안내 링크(12)는 양단에 주 안내륜(51)과 분기 안내륜(52)이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제 2 회동축(16)을 구비하고, 안내 아암(10)과 안내 링크(12) 사이에는, 완충 기구(19)가 마련되며, 안내륜(5)이 안내 레일(3)에 접촉하여 안내 링크(12)가 제 1 회동축(13)을 중심으로 회동할 때에, 완충 기구(19)가 안내 링크(12)의 회동을 억제하게 되어 있다.

Description

안내 장치를 갖는 궤조식 차량{RAIL VEHICLE COMPRISING A GUIDE DEVICE}
본 발명은 미리 정해진 궤도상을 주행하는 궤조식 차량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안내륜을 주행 궤도의 안내 레일에 접촉시키는 것에 의해, 차량을 주행 궤도를 따라서 안내하면서 주행시키는 안내 장치를 갖는 궤조식 차량에 관한 것이다.
최근, 궤도상이나 노면 등의 설정된 경로를 주행하는 궤조식 차량이 제안되고 있다. 이와 같은 궤조식 차량은 예를 들면, 안내륜을 마련한 안내 장치에 의해 궤도상의 안내 레일을 따라서 주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및 특허 문헌 2).
도 17은, 종래의 궤조식 차량의 안내 장치의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궤조식 차량의 대차(臺車)(도시하지 않음)는, 차폭방향으로 연장되는 횡 비임(71)을 구비하고, 이 횡 비임(71)의 선단부에는, L형 안내 아암(72)이 핀(73)을 거쳐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 L형 안내 아암(72)은 차폭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링크(72a)와 차량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링크(72b)로 구성되어 있다. 제 1 링크(72a)의 단부에는, 차량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안내 베어링(74)이 마련되어 있고, 이 안내 베어링(74)에는, 주 안내륜(75)과 분기 안내륜(76)이 베어링을 거쳐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또한, L형 안내 아암(72)의 제 2 링크(72b)는, 가이드축(77)을 거쳐서 횡 비임(71)에 연결되어 있다.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2 링크(72b)와 횡 비임(71) 사이에는, 통형상의 완충 고무(78)가 배치되어 있다. 이 통형상의 완충 고무(78)는, 고무 시트(79) 사이에 두어져 배치되어 있다. 예를 들면, 주 안내륜(75)이 안내 레일(도시하지 않음)로부터 화살표(F)의 힘을 받으면, L형 안내 아암(72)이 핀(73)의 주위를 화살표 X방향으로 회전하려고 한다. 이 때, 가이드축(77)이 화살표 Y방향으로 이동하여, 완충 고무(78)가 압축되도록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주 안내륜(75)이 안내 레일에 접할 때, 횡 비임(71)에 가해지는 하중이 흡수되게 되어 있다.
도 18은, 종래의 궤조식 차량의 안내 장치의 다른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안내 아암(81)의 차폭방향의 단부(81a)에는, 차폭방향 외측으로 연장하는 진퇴봉(82)이 안내통(83)을 거쳐서 장착되어 있다. 이 진퇴봉(82)의 선단부(82a)에는, 안내륜 브래킷(84)이 장착되어 있고, 안내륜 브래킷(84)에는 안내륜(85)이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또한,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안내 아암(81)의 선단부(81a)에는, 안내 아암(81)의 주위에 가이드부(86)가 마련되어 있다. 이 가이드부(86)의 내부에는, 안내륜 브래킷(84)에 연결된 가이드봉(87)이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가이드봉(87)의 주위에는 완충 스프링(88)이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안내륜(85)이 안내 레일(도시하지 않음)에 접촉하면, 안내륜 브래킷(84)과 함께 진퇴봉(82)이 차폭방향 내측을 향하여 슬라이드 한다. 이 때, 가이드봉(87)의 주위에 배치된 완충 스프링(88)이 압축되어, 안내 아암(81)에 가해지는 하중이 흡수되게 되어 있다.
도 19는, 종래의 궤조식 차량의 안내 장치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궤조식 차량의 대차(도시하지 않음)는, 직사각형의 안내 프레임(91)을 구비하고 있고, 이 안내 프레임(91)은, 차폭방향으로 연장되는 안내 횡 비임(92)을 구비하고 있다. 안내 횡 비임(92)의 차폭방향 양단부에는, 안내륜(93)이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이 종래예에 있어서는, 안내 횡 비임(92)과 안내 프레임(91)이 완충 로드(94)를 거쳐서 2개의 링크로 연결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안내륜(93)이 안내 레일(95)에 접촉할 때, 안내 횡 비임(92)로부터 안내 프레임(91)에 전달되는 하중이 완충 로드(94)에 의해 흡수되게 되어 있다.
일본 특허 제 3688461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 1986-163054 호 공보
상술의 도 17의 종래예에 있어서는, 주 안내륜(75)이 안내 레일에 접촉할 때에, 완충 고무(78)의 압축에 의해 가이드축(77)에 전달되는 하중이 흡수되게 되어 있다. 그렇지만, 완충 고무(78)의 압축 방향으로 하중을 흡수하려고 하면, 고무 강성이 단단해지는 방향이 되므로, 가이드축(77)에 전달되는 하중을 충분히 흡수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게다가, 도 17의 종래예에 있어서는, 안내 베어링(74)을 L형 안내 아암(72)과 일체로 구성한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안내 베어링(74)에 가해지는 하중이 완화되는 일 없이, 그대로 L형 안내 아암(72)에 전달되게 된다. 즉, 도 17의 종래예에서는, 안내 베어링(74)과 L형 안내 아암(72) 사이에 하중을 흡수하는 구조로는 되어 있지 않다고 하는 문제도 있었다.
또한, 상술의 도 18의 종래예에 있어서는, 진퇴봉(82)이나 가이드봉(87)을 외팔보로 보지하는 구성이 되어 있으므로, 진퇴봉(82)이나 가이드봉(87) 등의 치수를 크게 하여 그 강성을 올리지 않으면 기능을 수행할 수 없게 되어 버린다. 따라서, 차량측의 안내 장치가 무거워져 버린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술의 도 19의 종래예에 있어서는, 안내륜(93)으로부터의 하중이 전달되는 안내 횡 비임(92) 자체의 질량이 무겁고, 중량에 의한 관성도 크기 때문에, 안내 프레임(91)에 가해지는 하중을 완충하는 완충 로드(94) 자체도 커야 한다. 이것에 의해, 차량측의 안내 장치가 무거워져 버린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차량측의 안내 장치의 중량을 경감하면서, 종래에 비해 안내륜으로부터 받는 하중을 보다 더 흡수하는 것이 가능한 궤조식 차량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종래 기술이 갖는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주행 궤도의 양측에 설치되는 안내 레일과, 차량측의 안내 프레임에 장착되는 안내륜을 구비하고, 해당 안내륜이 상기 안내 레일에 접하여 전동하는 것에 의해 상기 차량을 안내하는 안내 장치를 갖는 궤조식 차량에 있어서, 상기 안내륜은, 상기 안내 레일 중 주행 궤도를 따라서 설치되는 주 안내 레일에 접하여 전동하는 주 안내륜과, 상기 안내 레일 중 상기 주행 궤도의 분기 개소에 설치되는 분기 안내 레일에 접하여 전동하는 분기 안내륜으로 구성되고, 상기 안내 프레임은 차폭방향으로 연장되는 안내 아암과 해당 안내 아암의 차폭방향 양측에 장착되는 안내 링크를 구비하고, 상기 안내 아암과 상기 안내 링크는, 제 1 회동축을 거쳐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안내 링크는 양단에 상기 주 안내륜과 상기 분기 안내륜이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제 2 회동축을 구비하며, 상기 안내 아암과 상기 안내 링크 사이에는, 완충 기구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안내륜이 상기 안내 레일에 접촉하여 상기 안내 링크가 상기 제 1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할 때에, 상기 완충 기구가 상기 안내 링크의 회동을 억제하게 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완충 기구는, 상기 제 1 회동축을 사이에 두고 상기 안내륜에 대하여 반대측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완충 기구는 탄성 부재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제 1 회동축과 평행하게 되도록 배치되는 동시에 그 양단이 상기 안내 아암과 상기 안내 링크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안내 아암이 상기 제 1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할 때에 가해지는 하중을 전단방향으로 받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완충 기구는, 상기 제 1 회동축을 사이에 두고 상기 안내륜에 대하여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완충 기구는, 상기 안내 아암과 상기 안내 링크 사이에서 상기 제 1 회동축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된 축 부재와, 해당 축 부재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배치된 원통형상 받이 부재와, 상기 축 부재와 상기 원통형상 받이 부재 사이에 배치된 원통형상 탄성 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원통형상 탄성 부재에는, 상기 안내륜에 가해지는 하중 방향과 평면적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복수의 슬릿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슬릿이 상기 축 부재를 사이에 두고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안내 아암은, 차폭방향의 외측 단부에 안내륜 받이를 구비하고, 상기 안내 링크는, 상기 안내륜 받이에 상기 제 1 회동축을 거쳐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완충 기구는, 상기 제 1 회동축을 사이에 두고 상기 안내륜에 대하여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완충 기구는, 상기 안내 링크에 있어서의 제 1 회동축측의 단부와 상기 안내 프레임을 연결하는 완충 스프링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안내 링크와 상기 완충 스프링은, 탄성 부시 또는 구면(球面) 부시를 거쳐서 축결합되고 상기 안내 아암과 상기 완충 스프링은, 탄성 부시 또는 구면 부시를 거쳐서 축결합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완충 기구는, 상기 안내륜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 1 회동축에 대하여 반대측의 상기 안내 링크의 단부와 상기 안내 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 부재와, 해당 연결 부재와 상기 안내 프레임 사이에 배치된 탄성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제 1 회동축과 평행하게 되도록 배치되는 동시에 그 양단이 상기 연결 부재와 상기 안내 프레임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안내 아암이 상기 제 1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할 때에 가해지는 하중을 전단방향을 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완충 기구는 상기 안내륜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 1 회동축에 대하여 반대측의 상기 안내 링크의 단부와 상기 안내 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 부재와, 해당 연결 부재와 상기 안내 아암 사이에서 상기 제 1 회동축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된 축 부재와, 해당 축 부재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배치된 원통형상 받이 부재와, 상기 축 부재와 상기 원통형상 받이 부재 사이에 배치된 원통형상 탄성 부재로 구성되고, 해당 원통형상 탄성 부재에는, 상기 안내륜에 가해지는 하중방향과 평면적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복수의 슬릿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슬릿이 상기 축 부재를 사이에 두고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안내 링크의 연결 부재측 단부의 외측 표면에는,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홈이 차폭방향으로 복수 병렬하여 형성되고, 상기 연결 부재의 안내 링크측 단부의 외측 표면에는,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홈받이부가 차폭방향으로 복수 병렬하여 형성되며, 상기 안내 링크와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홈과 상기 홈받이부가 결합함으로써 서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완충 기구는, 상기 안내륜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 1 회동축에 대하여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완충 기구는, 상기 안내 링크의 제 1 회동축측의 단부에 대하여 반대측의 단부와 상기 안내 프레임을 연결하는 판형상 탄성 부재이며, 해당 판형상 탄성 부재는, 상기 안내 링크로부터 상기 안내 프레임을 향하여 크랭크형상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그 폭방향이 수직방향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안내 링크의 탄성 부재측 단부의 외측 표면에는,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홈이 차폭방향으로 복수 병렬하여 형성되고, 상기 판형상 탄성 부재의 안내 링크측 단부의 외측 표면에는,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홈받이부가 차폭방향으로 복수 병렬하여 형성되며, 상기 안내 링크와 상기 판형상 탄성 부재는, 상기 홈과 상기 홈받이부가 결합함으로써 서로 연결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안내 장치를 갖는 궤조식 차량에 의하면, 주행 궤도의 양측에 설치되는 안내 레일과, 차량측의 안내 프레임에 장착되는 안내륜을 구비하고, 해당 안내륜이 상기 안내 레일에 접하여 전동하는 것에 의해서 상기 차량을 안내하는 안내 장치를 갖는 궤조식 차량에 있어서, 상기 안내륜은, 상기 안내 레일 중 주행 궤도를 따라서 설치되는 주 안내 레일에 접하여 전동하는 주 안내륜과, 상기 안내 레일 중 상기 주행 궤도의 분기 개소에 설치되는 분기 안내 레일에 접하여 전동하는 분기 안내륜으로 구성되고, 상기 안내 프레임은, 차폭방향으로 연장되는 안내 아암과 해당 안내 아암의 차폭방향 양측에 장착되는 안내 링크를 구비하며, 상기 안내 아암과 상기 안내 링크는, 제 1 회동축을 거쳐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안내 링크는, 양단에 상기 주 안내륜이 상기 분기 안내륜이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제 2 회동축을 구비하며, 상기 안내 아암과 상기 안내 링크 사이에는, 완충 기구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안내륜이 상기 안내 레일에 접촉하여 상기 안내 링크가 상기 제 1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할 때에, 상기 완충 기구가 상기 안내 링크의 회동을 억제하게 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종래와 달리, 안내 아암과 안내 링크를 분할한 다음, 안내 아암과 안내 링크 사이에 완충 기구를 마련하는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안내 아암과 안내 링크 사이에 안내륜으로부터 받는 하중을 흡수할 수 있어, 안내 프레임에 전달되는 하중이나 진동 등을 보다 더 경감할 수 있다. 그 결과, 종래에 비해 차량의 승객의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게다가, 차량의 대차에의 하중이나 진동 등이 경감됨으로써, 대차의 각 부품의 마모나 손상이 감소하고, 차량의 보수의 노력이 보다 경감된다.
또한, 안내 아암과 안내 링크를 분할하여, 이들 사이에 완충 기구를 마련하는 간단하고 쉬운 구조이기 때문에, 차량측의 안내 장치의 중량을 경감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차량측의 안내 장치에 중량에 의한 관성의 악영향이 나오기 어려워, 안내 장치의 각 부품의 회전 등의 동작이 스무드하게 되어, 완충 기구에서의 하중의 흡수 효과를 보다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안내 장치를 갖는 궤조식 차량에 의하면, 상기 완충 기구는, 상기 제 1 회동축을 사이에 두고 상기 안내륜에 대하여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완충 기구는, 탄성 부재이므로, 안내륜이 안내 레일에 접촉하고 안내 링크가 제 1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할 때에, 탄성 부재가 탄성 변형 함으로써 안내 링크의 회동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안내 아암과 안내 링크 사이에 탄성 부재를 마련하는 간단하고 쉬운 구조이므로, 차량측의 안내 장치의 중량을 보다 더 경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안내 장치를 갖는 궤조식 차량에 의하면,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제 1 회동축과 평행하게 되도록 배치되는 동시에 그 양단이 상기 안내 아암과 상기 안내 링크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안내 아암이 상기 제 1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할 때에 가해지는 하중을 전단방향으로 받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안내륜이 안내 레일에 접촉하여 안내 링크가 제 1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할 때에, 탄성 부재가 전단 변형함으로써 안내 링크의 회동을 억제할 수 있다. 특히, 종래에는, 탄성 부재의 압축방향으로 하중을 흡수하고 있었지만, 이 구성에 의하면, 탄성 부재가 보다 유연하게 변형하는 전단방향으로 하중을 받게 되어 있으므로, 종래에 비해 안내륜으로부터 받는 하중을 보다 흡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안내 장치를 갖는 궤조식 차량에 의하면, 상기 완충 기구는, 상기 제 1 회동축을 사이에 두고 상기 안내륜에 대하여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완충 기구는, 상기 안내 아암과 상기 안내 링크 사이에서 상기 제 1 회동축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된 축 부재와, 해당 축 부재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배치된 원통형상 받이 부재와, 상기 축 부재와 상기 원통형상 받이 부재 사이에 배치된 원통형상 탄성 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원통형상 탄성 부재에는, 상기 안내륜에 가해지는 하중방향과 평면적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복수의 슬릿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슬릿이 상기 축 부재를 사이에 두고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안내륜이 안내 레일에 접촉하여 안내 링크가 제 1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할 때에, 축 부재가 슬릿의 방향으로 변위함으로써 원통형상 탄성 부재가 전단 변형하게 된다. 종래에는, 탄성 부재의 압축방향으로 하중을 흡수하고 있었지만, 본 발명에 의하면, 탄성 부재가 보다 유연하게 변형하는 전단방향으로 하중을 받게 되어 있으므로, 종래에 비하여 안내륜으로부터 받는 하중을 보다 흡수할 수 있다.
또한, 축 부재가 원통형상 받이 부재내에서 변위했을 때에, 슬릿이 압궤된 단계에서 원통형상 탄성 부재의 강성이 올라, 축 부재의 변위가 제한되게 된다. 따라서, 이 구성에 의하면, 별개로 스토퍼를 마련하는 일 없이, 안내 링크의 과잉 회동을 제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안내 장치를 갖는 궤조식 차량에 의하면, 상기 안내 아암은, 차폭방향의 외측 단부에 안내륜 받이를 구비하고, 상기 안내 링크는, 상기 안내륜 받이에 상기 제 1 회동축을 거쳐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완충 기구는, 상기 제 1 회동축을 사이에 두고 상기 안내륜에 대하여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완충 기구는, 상기 안내 링크에 있어서의 제 1 회동축측의 단부와 상기 안내 프레임을 연결하는 완충 스프링이므로, 안내륜이 안내 레일에 접촉하여 안내 링크가 제 1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할 때에, 완충 스프링의 압축 또는 인장 방향의 탄성력에 의해 안내 링크의 회동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안내 장치를 갖는 궤조식 차량에 의하면, 상기 안내 링크와 상기 완충 스프링은, 탄성 부시를 거쳐서 축결합되고, 상기 안내 아암과 상기 완충 스프링은, 탄성 부시를 거쳐서 축결합되어 있으므로, 완충 스프링의 양단에서도 하중을 흡수하여, 안내륜으로부터 받는 하중을 보다 흡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안내 장치를 갖는 궤조식 차량에 의하면, 상기 완충 기구는, 상기 안내륜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 1 회동축에 대하여 반대측의 상기 안내 링크의 단부와 상기 안내 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 부재와, 해당 연결 부재와 상기 안내 프레임 사이에 배치된 탄성 부재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안내륜이 안내 레일에 접촉하여 안내 링크가 제 1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할 때에, 탄성 부재가 탄성 변형함으로써 안내 링크의 회동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안내륜이 안내 아암과 연결 부재에 의해서 양팔보로 지지되는 구조가 되므로, 안내륜이 안내 레일에 접촉하여 안내 링크가 제 1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할 때에, 제 1 회동축 주위에 하중이 집중하는 것이 없어져, 제 1 회동축을 지지하는 부시 등의 편마모 등을 보다 더 경감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차량의 보수의 노력이 보다 경감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안내 장치를 갖는 궤조식 차량에 의하면,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제 1 회동축과 평행하게 되도록 배치되는 동시에 그 양단이 상기 연결 부재와 상기 안내 프레임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안내 아암이 상기 제 1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할 때에 가해지는 하중을 전단방향을 향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안내륜이 안내 레일에 접촉하여 안내 링크가 제 1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할 때에, 탄성 부재가 전단 변형함으로써 안내 링크의 회동을 억제할 수 있다. 특히, 종래에는, 탄성 부재의 압축방향으로 하중을 흡수하고 있었지만, 이 구성에 의하면, 탄성 부재가 보다 유연하게 변형하는 전단방향으로 하중을 받게 되어 있으므로, 종래에 비해 안내륜으로부터 받는 하중을 보다 흡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안내 장치를 갖는 궤조식 차량에 의하면, 상기 완충 기구는, 상기 안내륜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 1 회동축에 대하여 반대측의 상기 안내 링크의 단부와 상기 안내 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 부재와, 해당 연결 부재와 상기 안내 아암 사이에서 상기 제 1 회동축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된 축 부재와 해당 축 부재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배치된 원통형상 받이 부재와, 상기 축 부재와 상기 원통형상 받이 부재 사이에 배치된 원통형상 탄성 부재로 구성되고, 해당 원통형상 탄성 부재에는, 상기 안내륜에 가해지는 하중방향과 평면적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복수의 슬릿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슬릿이 상기 축 부재를 사이에 두고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안내륜이 안내 레일에 접촉하여 안내 링크가 제 1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할 때에, 축 부재가 슬릿의 방향으로 변위함으로써 원통형상 탄성 부재가 전단 변형하게 된다. 종래에는, 탄성 부재의 압축방향으로 하중을 흡수하고 있었지만, 본 발명에 의하면, 탄성 부재가 보다 유연하게 변형하는 전단방향으로 하중을 받게 되어 있으므로, 종래에 비해 안내륜으로부터 받는 하중을 보다 흡수할 수 있다. 또한, 축 부재가 원통형상 받이 부재내에서 변위 했을 때에, 슬릿이 압궤된 단계에서 원통형상 탄성 부재의 강성이 올라, 축 부재의 변위가 제한되게 된다. 따라서, 이 구성에 의하면, 별개에 스토퍼를 마련하는 일 없이, 안내 링크의 과잉 회동을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안내륜이 안내 아암과 연결 부재에 의해서 양팔보로 지지되는 구조가 되므로, 안내륜이 안내 레일에 접촉하여 안내 링크가 제 1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할 때에, 제 1 회동축 주위에 하중이 집중하는 것이 없어져, 제 1 회동축을 지지하는 부시 등의 편마모 등을 보다 더 경감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차량의 보수의 노력이 보다 경감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안내 장치를 갖는 궤조식 차량에 의하면, 상기 안내 링크의 연결 부재측 단부의 외측 표면에는,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홈이 차폭방향으로 복수 병렬하여 형성되고, 상기 연결 부재의 안내 링크측 단부의 외측 표면에는,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홈받이부가 차폭방향으로 복수 병렬하여 형성되며 상기 안내 링크와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홈과 상기 홈받이부가 결합함으로써 서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홈과 홈 받이부의 결합 개소를 차폭방향으로 조정할 수 있어, 이것에 의해, 안내륜의 외폭 치수를 조정할 수 있다. 게다가, 안내륜의 외폭 치수를 조정할 때, 홈과 홈 받이부의 결합 개소를 1개씩 이동시키는 것만으로도 괜찮기 때문에, 안내륜의 외폭 치수를 세세한 폭으로 조정할 수 있으며, 게다가 조정 작업이 용이하다.
또한, 안내륜의 외폭 치수가 조정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안내 장치의 각 부의 가공 정밀도를 낮게 할 수 있어, 그 결과, 차량 제조시의 가격을 저감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안내 장치를 갖는 궤조식 차량에 의하면, 상기 완충 기구는, 상기 안내륜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 1 회동축에 대하여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완충 기구는, 상기 안내 링크의 제 1 회동축측의 단부에 대하여 반대측의 단부와 상기 안내 프레임을 연결하는 판형상 탄성 부재이며, 해당 판형상 탄성 부재는, 상기 안내 링크로부터 상기 안내 프레임을 향하여 크랭크형상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그 폭방향이 수직방향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으므로, 안내륜이 안내 레일에 접촉하여 안내 링크가 제 1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할 때에, 판형상 탄성 부재의 휨성에 의해 안내 링크의 회동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안내륜이 안내 아암과 판형상 탄성 부재에 의해서 양팔보로 지지 되는 구조가 되므로, 안내륜이 안내 레일에 접촉하여 안내 링크가 제 1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할 때에, 제 1 회동축 주위에 하중이 집중하는 것이 없어져, 제 1 회동축을 지지하는 부시 등의 편마모 등을 보다 더 경감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차량의 보수의 노력이 보다 경감된다.
또한, 판형상 탄성 부재는, 마모 할 일 없이 경년 변화도 없는 부재이기 때문에, 다른 마모가 생기는 부품에 비해 교환 회수가 줄어, 차량의 보수의 노력이 보다 경감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안내 장치를 갖는 궤조식 차량에 의하면, 상기 안내 링크의 탄성 부재측 단부의 외측 표면에는,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홈이 차폭방향으로 복수 병렬하여 형성되고, 상기 판형상 탄성 부재의 안내 링크측 단부의 외측 표면에는,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홈받이부가 차폭방향으로 복수 병렬하여 형성되며, 상기 안내 링크와 상기 판형상 탄성 부재는, 상기 홈과 상기 홈받이부가 결합함으로써 서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홈과 홈받이부의 결합 개소를 차폭방향으로 조정할 수 있어, 이것에 의해, 안내륜의 외폭 치수를 조정할 수 있다. 게다가, 안내륜의 외폭 치수를 조정할 때, 홈과 홈받이부의 결합 개소를 1개씩 이동시키는 것만으로도 괜찮기 때문에, 안내륜의 외폭 치수를 세세한 폭으로 조정할 수 있으며, 게다가 조정 작업이 용이하다.
또한, 안내륜의 외폭 치수가 조정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안내 장치의 각부의 가공 정밀도를 낮게 할 수 있어, 그 결과, 차량 제조시의 가격을 저감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궤조식 차량의 대차의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궤조식 차량의 안내 장치의 평면도,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궤조식 차량의 안내 장치의 평면도,
도 5는 도 4의 A-A선 단면도,
도 6은 도 4의 B-B선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궤조식 차량의 안내 장치의 평면도,
도 8은 도 7의 A-A선 단면도,
도 9는 도 7의 B-B선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따른 궤조식 차량의 안내 장치의 평면도,
도 11은 도 10의 A-A선 단면도,
도 12는 도 10의 B-B선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따른 궤조식 차량의 안내 장치의 평면도,
도 14는 도 13의 A-A선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형태에 따른 궤조식 차량의 안내 장치의 평면도,
도 16은 도 15의 판형상 탄성 부재를 측방에서 본 도면,
도 17은 종래의 궤조식 차량의 안내 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18은 종래의 궤조식 차량의 안내 장치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9는 종래의 궤조식 차량의 안내 장치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
(제 1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궤조식 차량을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궤조식 차량의 대차의 평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궤조식 차량의 안내 장치의 평면도이다. 또한,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궤조식 차량은, 차량 전후방향에 있어서의 전후 부분(후방 부분은 도시하지 않음)에 각각 대차(1)를 구비하고 있으며, 미리 정해진 주행 궤도(2)상을 주행하는 것이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궤조식 차량의 안내 장치는, 차량의 경로가 되는 주행 궤도(2)를 따라서 그 좌우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안내 레일(3)과, 대차(1)의 안내 프레임(4)에 장착되는 안내륜(5)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궤조식 차량은, 안내 장치를 구성하는 안내륜(5)이 안내 레일(3)에 접하여 전동함으로써, 주행 궤도(2)를 따라서 안내되면서 주행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안내 레일(3)은, 주행 궤도(2)에 있어서, 관련되어 설치되는 2종류의 주 안내 레일(31)과 분기 안내 레일(32)로 구성되어 있다. 주 안내 레일(31)은, 예를 들면, 강성을 갖는 H형 강재 등을 이용하여 형성되며, 주행 궤도(2)의 궤도면상의 좌우 양측에 마련되어 있다. 또한, 분기 안내 레일(32)은, 주행 궤도(2)의 도중에 위치하여 다른 주행 궤도에 인도하기 위한 분기 개소에 설치되고, 주 안내 레일(31)의 하측내측의 궤도면에 입설되어 있다.
또한, 안내륜(5)은, 주 안내륜(51)과 분기 안내륜(52)으로 구성되어 있다. 궤조식 차량이 주행 궤도(2)상을 주행할 때, 주 안내륜(51)은, 주 안내 레일(31)에 접하고, 분기 안내륜(52)은, 분기 안내 레일(32)에 접하게 되어 있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궤조식 차량의 대차(1)는, 차폭방향으로 연장되는 차축(6)을 구비하고 있고, 이 차축(6)의 차폭방향에서의 양단부에는, 한쌍의 주행륜(7)이 조타(操舵)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또한, 대차(1)의 안내 프레임(4)은, 차량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종 비임(8)과 이들 종 비임(8)의 차량 전후방향에서의 양단부를 연결하는 2개의 횡 비임(9)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횡 비임(9)의 차폭방향 양단부에는, 차폭방향으로 연장되는 안내 아암(10)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안내 아암(10)의 차폭방향 외측의 단부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안내륜 받이(11)를 구비하고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안내륜 받이(11)에는, 차량 전후방향을 따라서 연장하는 안내 링크(12)가 장착되어 있다. 안내 링크(12)의 일단(12a)과 안내륜 받이(11)는, 이들 사이에 회동축(13)의 플랜지(14)를 사이에 두고 제 1 회동축(13)을 거쳐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회동축(13)은, 부시(12c)를 거쳐서 안내 링크(12)를 지지하고 있다. 제 1 회동축(13)은, 볼트 등의 체결 부재(15)에 의해 와셔를 거쳐서 안내륜 받이(11)에 장착되어 있다. 한편, 안내 링크(12)의 타단(12b)에는, 제 2 회동축(16)이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며, 제 2 회동축(16)의 상하 양단부에는, 주 안내륜(51)과 분기 안내륜(52)이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안내륜 받이(11)에는, 제 1 회동축(13)을 사이에 두고 안내륜(5)에 대하여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지지부(17)가 마련되어 있다. 한편, 안내 링크(12)에도, 제 1 지지부(17)와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지지부(18)가 마련되어 있다. 이들 안내륜 받이(11)의 제 1 지지부(17)와 안내 링크(12)의 제 2 지지부(18)는, 서로 평행하게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안내륜 받이(11)의 제 1 지지부(17)와 안내 링크(12)의 제 2 지지부(18) 사이에는, 완충 기구(19)가 마련되어 있다. 완충 기구(19)는, 상하에 좌판(20)을 거쳐서 제 1 지지부(17)와 제 2 지지부(18) 사이에 배치되고, 제 1 회동축(13)에 대하여 평행하게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완충 기구(19)는, 복수의 직사각형의 완충 고무(21)와 복수의 직사각형의 금속판(22)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완충 고무(21)와 금속판(22)의 각각은, 평면 부분을 수평으로 한 상태에서 교대로 적층되어 있다. 또한, 완충 고무(21)와 금속판(22)은, 서로 접착제에 의해 고착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부터, 완충 기구(19)의 완충 고무(21)는, 안내 링크(12)가 제 1 회동축(13)을 중심으로 회동할 때에 제 1 지지부(17)와 제 2 지지부(18) 사이에 가해지는 하중을 전단방향으로 받게 되어 있다.
또한, 도 2 및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안내륜 받이(11)에는, 제 1 지지부(17)와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하는 스토퍼(23)가 마련되어 있다. 한편, 안내 링크(12)의 제 2 지지부(18)측의 좌판(20)상에는, 스토퍼(23)에 대하여 차폭방향으로 간극를 두고 배치된 한쌍의 스토퍼 받이(24)가 마련되어 있다.
다음에 완충 기구(19)의 치수 규격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도면 중의 상방을 향하여 주행 노선(2)이 커브하고 있는 개소이다. 도 2의 주 안내 레일(31)은, 커브의 외측에 입설된 것을 평행 이동시켜 표시하고 있고, 한편, 분기 안내 레일(32)에 대해서는, 커브의 내측에 입설된 것을 평행 이동시켜 표시하고 있다. 이들 주 안내 레일(31)과 분기 안내 레일(32)은, 완충 기구(19)의 치수 규격을 위해 표시되어 있으며,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완충 기구(19)가 커브와 접촉하지 않도록, 주 안내 레일(31)과 분기 안내 레일(32) 사이에 들어가도록 치수 규격을 실행할 필요가 있다.
이상의 구성으로부터, 이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주 안내륜(51)이 주 안내 레일(31)에 접촉하여 차폭방향 외측으로부터 힘을 받으면, 안내 링크(12)가 제 1 회동축(13)을 중심으로 화살표 X방향으로 회동한다. 이 때, 완충 기구(19)의 완충 고무(21)가 전단 변형함으로써 안내 링크(12)의 회동이 억제되게 되어 있다.
한편, 분기 안내륜(52)이 분기 안내 레일(32)에 접촉하여 차폭방향 내측으로부터 힘을 받으면, 안내 링크(12)가 제 1 회동축(13)을 중심으로 화살표 Y방향으로 회동한다. 이 때도 마찬가지로 완충 기구(19)의 완충 고무(21)가 전단 변형함으로써 안내 링크(12)의 회동이 억제되게 되어 있다.
또한, 이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안내 링크(12)가 제 1 회동축(13)을 중심으로 화살표 X, Y방향으로 회동하면, 안내륜 받이(11)의 스토퍼(23)가 스토퍼 받이(24)에 접촉하게 되어 있어, 안내 링크(12)의 회동 범위가 제한되게 되어 있다.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궤조식 차량에 의하면, 주행 궤도의 양측에 설치된 안내 레일(3)과 차량의 대차(1)측의 안내 프레임(4)에 장착되는 안내륜(5)을 구비하고 안내륜(5)이 안내 레일(3)에 접하여 전동함으로써 차량을 안내하는 안내 장치를 갖는 궤조식 차량에 있어서, 안내륜(5)은, 안내 레일 중 주행 궤도(2)를 따라서 설치되는 주 안내 레일(31)에 접하여 전동하는 주 안내륜(51)과, 안내 레일(3) 중 주행 궤도(2)의 분기 개소에 설치되는 분기 안내 레일(32)에 접하여 전동하는 분기 안내륜(52)으로 구성되며, 안내 프레임(4)은, 차폭방향으로 연장되는 안내 아암(10)과 안내 아암(10)의 차폭방향 양측의 안내륜 받이(11)에 안내 링크(12)를 구비하고, 안내륜 받이(11)와 안내 링크(12)는, 제 1 회동축(13)을 거쳐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안내 링크(12)는, 양단에 주 안내륜(51)과 분기 안내륜(52)이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제 2 회동축(16)을 구비하고, 안내륜 받이(11)와 안내 링크(12) 사이에는, 완충 기구(19)가 마련되어 있으며, 안내륜(5)이 안내 레일(3)에 접촉하여 안내 링크(12)가 제 1 회동축(13)을 중심으로 회동할 때에, 완충 기구(19)가 안내 링크(12)의 회동을 억제하게 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종래와 달리, 안내 아암(10)과 안내 링크(12)를 분할한 다음, 안내 아암(10)과 안내 링크(12) 사이에 완충 기구(19)를 마련하는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안내 아암(10)과 안내 링크(12) 사이에 안내륜(5)으로부터 받는 하중을 흡수할 수 있어, 안내 프레임(4)에 전달되는 하중이나 진동 등을 보다 더 경감할 수 있다. 그 결과, 종래에 비하여 차량의 승객의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게다가, 차량의 대차(1)에의 하중이나 진동 등이 경감됨으로써, 대차(1)의 각 부품의 마모나 손상이 감소하여, 차량의 보수의 노력이 보다 경감된다.
또한, 안내 아암(10)과 안내 링크(12)를 분할하여, 이들 사이에 완충 기구(19)를 마련하는 간단하고 쉬운 구조이기 때문에, 차량측의 안내 장치의 중량을 경감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차량측의 안내 장치에 중량에 의한 관성의 악영향이 생기기 어려워, 안내 장치의 각 부품의 회전 등의 동작이 스무드 되어, 완충 기구(19)에서의 하중의 흡수 효과를 보다 높일 수 있다.
또한,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궤조식 차량에 의하면, 완충 기구(19)는, 복수의 직사각형의 완충 고무(21)와 복수의 직사각형의 금속판(22)으로 구성되고, 완충 기구(19)의 완충 고무(21)는, 안내 링크(12)가 제 1 회동축(13)을 중심으로 회동할 때에 제 1 지지부(17)와 제 2 지지부(18) 사이에 가해지는 하중을 전단방향으로 받도록 되어 있으므로, 안내륜(5)이 안내 레일(3)에 접촉하여 안내 링크(12)가 제 1 회동축(13)을 중심으로 회동할 때에, 완충 고무(21)가 전단 변형함으로써 안내 링크(12)의 회동을 억제할 수 있다. 특히, 종래에는, 탄성 부재의 압축방향으로 하중을 흡수하고 있었지만, 이 구성에 의하면, 완충 고무(21)가 보다 유연하게 변형하는 전단방향으로 하중을 받게 되어 있으므로, 종래에 비해 안내륜(5)으로부터 받는 하중을 보다 흡수할 수 있다.
또한,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궤조식 차량에 의하면, 안내륜 받이(11)에는, 제 1 지지부(17)와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하는 스토퍼(23)가 마련되고, 안내 링크(12)의 제 2 지지부(18)측의 좌판(20)상에는, 스토퍼(23)에 대하여 차폭방향으로 간극을 두고 배치된 한쌍의 스토퍼 받이(24)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안내 링크(12)가 제 1 회동축(13)을 중심으로 화살표 X, Y방향으로 회동하면, 안내륜 받이(11)의 스토퍼(23)가 스토퍼 받이(24)에 접촉하여, 안내 링크(12)의 회동 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궤조식 차량을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궤조식 차량의 안내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4의 B-B선 단면도이다.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중복하는 설명은 생략한다.
이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4 및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완충 기구(19)가 안내륜 받이(11)의 제 1 지지부(17)와 안내 링크(12)의 제 2 지지부(18) 사이에서 제 1 회동축(13)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된 축 부재(25)와 축 부재(25)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배치된 원통형상 받이 부재(26)와, 축 부재(25)와 원통형상 받이 부재(26) 사이에 배치된 원통형상 완충 고무(27)로 구성되어 있다.
도 5 및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축 부재(25)는, 안내 링크(12)의 제 2 지지부(18)에 볼트 등의 체결 부재(28)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한편, 원통형상 받이 부재(26)는, 안내륜 받이(11)의 제 1 지지부(17)에 장착되어 있고, 원통형상 완충 고무(27)는, 안내륜 받이(11)의 제 1 지지부(17)에서 축 부재(25)와 원통형상 받이 부재(26)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통형상 완충 고무(27)에는, 안내륜(5)에 가해지는 하중방향과 평면적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복수의 슬릿(29)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복수의 슬릿(29)은, 축 부재(25)를 사이에 두고 대칭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완충 기구(19)의 원통형상 완충 고무(27)는, 슬릿(29)을 마련하는 것에 의해 원통형상 받이 부재(26)내에서 탄성 변형이 생기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부터, 완충 기구(19)의 원통형상 완충 고무(27)는, 안내 링크(12)가 제 1 회동축(13)을 중심으로 회동할 때에 축 부재(25)에 가해지는 하중을 탄성 변형에 의해 흡수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주 안내륜(51)이 주 안내 레일(31)에 접촉하여 차폭방향 외측으로부터 힘을 받으면, 안내 링크(12)가 제 1 회동축(13)을 중심으로 화살표 X방향으로 회동한다. 이 때, 완충 기구(19)의 원통형상 완충 고무(27)가 전단 변형함으로써 안내 링크(12)의 회동이 억제되게 되어 있다.
한편, 분기 안내륜(52)이 분기 안내 레일(32)에 접촉하여 차폭방향 내측으로부터 힘을 받으면, 안내 링크(12)가 제 1 회동축(13)을 중심으로 화살표 Y방향으로 회동한다. 이 때도 마찬가지로 완충 기구(19)의 원통형상 완충 고무(27)가 전단 변형함으로써 안내 링크(12)의 회동이 억제되게 되어 있다.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궤조식 차량에 의하면, 완충 기구(19)는, 안내륜 받이(11)의 제 1 지지부(17)와 안내 링크(12)의 제 2 지지부(18) 사이에서 제 1 회동축(13)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된 축 부재(25)와, 축 부재(25)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배치된 원통형상 받이 부재(26)와, 축 부재(25)와 원통형상 받이 부재(26) 사이에 배치된 원통형상 완충 고무(27)로 구성되고, 원통형상 완충 고무(27)에는 안내륜(5)에 가해지는 하중방향과 평면적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복수의 슬릿(29)이 형성되어 있고, 복수의 슬릿(29)이 축 부재(25)를 사이에 두고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안내륜(5)이 안내 레일(3)에 접촉하여 안내 링크(12)가 제 1 회동축(13)을 중심으로 회동할 때에, 축 부재(15)가 슬릿(29)의 방향으로 변위함으로써 원통형상 완충 고무(27)가 전단 변형하게 된다. 종래에는, 탄성 부재의 압축방향으로 하중을 흡수하고 있었지만, 본 발명에 의하면, 탄성 부재가 보다 유연하게 변형하는 전단방향으로 하중을 받게 되어 있으므로, 종래에 비해 안내륜(5)로부터 받는 하중을 보다 흡수할 수 있다.
또한, 축 부재(25)가 원통형상 받이 부재(26)내에서 변위했을 때에, 슬릿(29)이 압궤된 단계에서 원통형상 완충 고무(27)의 강성이 올라, 축 부재(25)의 변위가 제한되게 된다. 따라서, 이 구성에 의하면, 별개에 스토퍼를 마련하는 일 없이, 안내 링크(12)의 과잉 회동을 제한할 수 있다.
(제 3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궤조식 차량을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궤조식 차량의 안내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9는 도 7의 B-B선 단면도이다.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교부하고 중복하는 설명은 생략한다.
이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완충 기구(19)는, 제 1 회동축(13)을 사이에 두고 안내륜(5)에 대하여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다.
도 7 및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횡 비임(9)에는, 안내 링크(12)의 제 2 지지부(18)와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완충 기구 받이부(30)가 마련되어 있다. 완충 기구 받이부(30)는, 상측 판형상 부재(33)와 하측 판형상 부재(34)로 구성되고, 이들 상측 및 하측 판형상 부재(33, 34)는, 간격을 두고 서로 평행하게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 8 및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안내 링크(12)의 제 2 지지부(18)에는 연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축형상 부재(35)가 지지 부재(36)를 거쳐서 장착되어 있다. 이 지지 부재(36)는, 볼트 등의 체결 부재(37)에 의해 제 2 지지 부재(18)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완충 기구 받이부(30)는, 일단이 상측 판형상 부재(33)에 지지되고 또한 타단이 하측 판형상 부재(34)에 지지된 제 2 축형상 부재(38)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제 2 지지부(18)의 제 1 축형상 부재(35)와 완충 기구 받이부(30)의 제 2 축형상 부재(38)는, 완충 로드(완충 스프링)(39)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완충 로드는, 스프링 등의 탄성 부재를 포함함으로써 스프링 및 댐퍼 기능을 갖고 있다.
또한, 이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8 및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2 지지부(18)의 제 1 축형상 부재(35)와 완충 로드(39)는, 고무 부시 등의 제 1 탄성 부시(또는 구면 부시)(40)를 거쳐서 서로 축 결합 되어 있다. 또한, 완충 기구 받이부(30)의 제 2 축형상 부재(38)와 완충 로드(39)는, 고무 부시 등의 제 2 탄성 부시(또는 구면 부시)(41)를 거쳐서 서로 축 결합 되어 있다. 또한, 완충 로드(39)와 각 축형상 부재(35, 38)의 결합부에는, 턴 버클(도시하지 않음)이 마련되어 있어 완충 로드(39)의 차폭방향의 길이가 조절 가능해져 있다.
따라서, 이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주 안내륜(51)이 주 안내 레일(31)에 접촉하여 차폭방향 외측으로부터 힘을 받으면, 안내 링크(12)가 제 1 회동축(13)을 중심으로 화살표 X방향으로 회동한다. 이 때, 완충 로드(39)의 압축 방향의 탄성력에 의해 안내 링크(12)의 회동이 억제되게 되어 있다.
한편, 분기 안내륜(52)이 분기 안내 레일(32)에 접촉하여 차폭방향 내측으로부터 힘을 받으면, 안내 링크(12)가 제 1 회동축(13)을 중심으로 화살표 Y방향으로 회동한다. 이 때, 완충 로드(39)의 인장방향의 탄성력에 의해 안내 링크(12)의 회동이 억제되게 되어 있다.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궤조식 차량에 의하면, 완충 기구(19)는, 제 1 회동축(13)을 사이에 두고 안내륜(5)에 대하여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고, 완충 기구(19)는, 안내 링크(12)의 제 2 지지부(18)와 횡 비임(9)의 완충 기구 받이부(30)를 연결하는 완충 로드(39)이므로, 안내륜(5)이 안내 레일(3)에 접촉하여 안내 링크(12)가 제 1 회동축(13)을 중심으로 회동할 때에, 완충 로드(39)의 압축 또는 인장방향의 탄성력에 의해 안내 링크(12)의 회동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궤조식 차량에 의하면, 제 2 지지부(18)의 제 1 축형상 부재(35)와 완충 로드(39)는, 제 1 탄성 부시(40)를 거쳐서 서로 축 결합되고, 완충 기구 받이부(30)의 제 2 축형상 부재(38)와 완충 로드(39)는, 제 2 탄성 부시(41)를 거쳐서 서로 축 결합 되어 있으므로, 완충 로드(39)의 양단에서도 하중을 흡수하여, 안내륜(5)으로부터 받는 하중을 보다 흡수할 수 있다.
또한, 완충 로드(39)와 각 축형상 부재(35, 38)의 결합부에는, 턴 버클이 마련되어 있으므로, 안내륜(5)의 외폭 치수의 조정을 실행할 수 있다. 게다가, 안내륜(5)의 외폭 치수가 조정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안내 장치의 각 부의 가공 정밀도를 낮게 할 수 있어, 그 결과, 차량 제조시의 가격을 저감 할 수 있다.
또한,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궤조식 차량에 의하면, 완충 로드(39)를 이용하는 로드 방식으로 하중을 흡수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차량 중량이나 차량 성능에 맞추어 완충 특성(탄성 계수 등)만 변경하면서, 로드 본체 자체는 차량 전체로 공통화 할 수 있다. 따라서, 차량 제조시의 가격을 저감 할 수 있다.
(제 4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따른 궤조식 차량을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따른 궤조식 차량의 안내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12는 도 10의 B-B선 단면도이다.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중복하는 설명은 생략한다.
이 제 4 실시형태는, 상술한 실시형태와 달리, 완충 기구(19)가 안내륜(5)을 사이에 두고 제 1 회동축(13)에 대하여 반대측에 배치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제 4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안내 링크(12)가, 안내륜 받이(11)로부터 안내륜(5)을 넘는 위치까지 차량 전후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안내 링크(12)에 있어서의 제 1 회동축(13)에 대하여 반대측의 단부(12b)에는, 연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완충 기구 지지부(42)가 마련되어 있다.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완충 기구(19)는, 차폭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 부재(43)와 연결 부재(43)와 횡 비임(9) 사이에 배치된 탄성 부재(44)로 구성되어 있다. 도 10 및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결 부재(43)는, 완충 기구 지지부(42)로부터 횡 비임(9)의 위치까지 차폭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그 폭방향이 수직방향으로 배치된 제 1 판형상부(45)와 제 1 판형상부(45)로부터 횡 비임(9)을 향하여 수평으로 연장되며 또한 그 폭방향이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제 2 판형상부(46)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횡 비임(9)은, 안내 링크(12)와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판형상의 제 3 지지부(47)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 연결 부재(43)의 제 2 판형상부(46)와 횡 비임(9)의 제 3 지지부(47)는 서로 평행하게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제 4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결 부재(43)의 제 2 판형상부(46)와 횡 비임(9)의 제 3 지지부(47) 사이에는, 상하에 좌판(48)을 거쳐서 탄성 부재(44)가 배치되어 있다. 탄성 부재(44)는, 복수의 직사각형의 완충 고무(49)와 복수의 직사각형의 금속판(50)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완충 고무(49)와 금속판(50)은, 평면 부분을 수평으로 한 상태에서 교대로 적층되어 있다. 또한, 완충 고무(49)와 금속판(50)은, 서로 접착제에 의해 고착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부터, 탄성 부재(44)의 완충 고무(49)는, 안내 링크(12)가 제 1 회동축(13)을 중심으로 회동할 때에 연결 부재(43)의 제 2 판형상부(46)와 횡 비임(9)의 제 3 지지부(47) 사이에 가해지는 하중을 전단방향으로 받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제 4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횡 비임(9)의 제 3 지지부(47)에는, 연결 부재(43)의 제 2 판형상부(46)를 향하여 상방으로 돌출하는 스토퍼(53)가 마련되어 있다. 한편, 연결 부재(43)의 제 2 판형상부(46)에는, 제 3 지지부(47)를 향하여 하방으로 돌출하는 한쌍의 스토퍼 받이(54)가 마련되어 있다. 이 한쌍의 스토퍼 받이(54)는, 스토퍼(53)에 대하여 차폭방향으로 간극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10 및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완충 기구 지지부(42)의 외측 표면에는,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홈(55)이 차폭방향으로 복수 병렬하여 형성되어 있다. 한편, 연결 부재(43)의 제 1 판형상부(45)에 있어서의 완충 기구 지지부(42)에 대응하는 표면에는,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홈 받이부(56)가 차폭방향으로 복수 병렬하여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판형상부(45)의 홈 받이부(56)가 마련된 개소에는, 차폭방향으로 연장되는 긴 구멍(57)이 복수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부터, 안내 링크(12)의 완충 기구 지지부(42)와 연결 부재(43)의 제 1 판형상부(45)는, 홈(55)과 홈 받이부(56)가 결합하는 것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동시에, 긴 구멍(57)에 볼트 등의 체결 부재(도시하지 않음)를 삽입함으로써 서로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이 제 4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주 안내륜(51)이 주 안내 레일(31)에 접촉하여 차폭방향 외측으로부터 힘을 받으면, 안내 링크(12)가 제 1 회동축(13)을 중심으로 화살표 X방향으로 회동한다. 이 때, 탄성 부재(44)의 완충 고무(49)가 전단 변형함으로써 안내 링크(12)의 회동이 억제되게 되어 있다.
한편, 분기 안내륜(52)이 분기 안내 레일(32)에 접촉하여 차폭방향 내측으로부터 힘을 받으면, 안내 링크(12)가 제 1 회동축(13)을 중심으로 화살표 Y방향으로 회동한다. 이 때도 마찬가지로 탄성 부재(44)의 완충 고무(49)가 전단 변형함으로써 안내 링크(12)의 회동이 억제되게 되어 있다.
제 4 실시형태에 따른 궤조식 차량에 의하면, 완충 기구(19)는, 안내륜(5)을 사이에 두고 제 1 회동축(13)에 대하여 반대측의 안내 링크(12)의 단부(12b)와 횡 비임(9)을 연결하는 연결 부재(43)와, 연결 부재(43)와 횡 비임(9) 사이에 배치된 탄성 부재(44)로 구성되고, 탄성 부재(44)는, 복수의 직사각형의 완충 고무(49)와 복수의 직사각형의 금속판(50)으로 구성되며 탄성 부재(44)의 완충 고무(49)는, 안내 링크(12)가 제 1 회동축(13)을 중심으로 회동할 때에 연결 부재(43)의 제 2 판형상부(46)와 횡 비임(9)의 제 3 지지부(47) 사이에 가해지는 하중을 전단방향으로 받도록 되어 있으므로, 안내륜(5)이 안내 레일(3)에 접촉하여 안내 링크(12)가 제 1 회동축(13)을 중심으로 회동할 때에, 완충 고무(49)가 전단 변형함으로써 안내 링크(12)의 회동을 억제할 수 있다. 특히, 종래에는, 탄성 부재의 압축 방향으로 하중을 흡수하고 있었지만, 이 구성에 의하면, 완충 고무(49)가 보다 유연하게 변형하는 전단방향으로 하중을 받게 되어 있으므로, 종래에 비하여 안내륜(5)으로부터 받는 하중을 보다 흡수할 수 있다.
또한, 제 4 실시형태에 따른 궤조식 차량에 의하면, 안내륜(5)이 안내륜 받이(11)와 연결 부재(43)에 의해서 양팔보로 지지되는 구조가 되므로, 주 안내륜(51)이 주 안내 레일(31)에 접촉하여 안내 링크(12)가 제 1 회동축(13)을 중심으로 회동할 때에, 제 1 회동축(13)의 주위에 하중이 집중하는 것이 없어져, 제 1 회동축(13)을 지지하는 부시 등의 편마모 등을 보다 더 경감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차량의 보수의 노력이 보다 경감된다.
또한, 제 4 실시형태에 따른 궤조식 차량에 의하면, 완충 기구 지지부(42)의 외측 표면에는,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홈(55)이 차폭방향으로 복수 병렬하여 형성되고, 연결 부재(43)의 제 1 판형상부(45)에 있어서의 완충 기구 지지부(42)에 대응하는 표면에는,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홈 받이부(56)가 차폭방향으로 복수 병렬하여 형성되고, 안내 링크(12)의 완충 기구 지지부(42)로 연결 부재(43)의 제 1 판형상부(45)는, 홈(55)과 홈 받이부(56)가 결합함으로써 서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홈(55)과 홈 받이부(56)의 결합 개소를 차폭방향으로 조정할 수 있어, 이것에 의해, 안내륜(5)의 외폭 치수를 조정할 수 있다. 게다가, 안내륜(5)의 외폭 치수를 조정할 때, 홈(55)과 홈 받이부(56)의 결합 개소를 1개씩 이동시키는 것만으로도 괜찮기 때문에, 안내륜(5)의 외폭 치수를 세세한 폭으로 조정할 수 있으며, 게다가 조정 작업이 용이하다.
또한, 안내륜(5)의 외폭 치수가 조정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안내 장치의 각 부의 가공 정밀도를 낮게 할 수 있고, 그 결과, 차량 제조시의 가격을 저감 할 수 있다.
(제 5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따른 궤조식 차량을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따른 궤조식 차량의 안내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A-A선 단면도이다.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중복하는 설명은 생략한다.
이 제 5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13 및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완충 기구(19)가 연결 부재(43)와 횡 비임(9)의 제 3 지지부(47) 사이에서 제 1 회동축(13)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된 축 부재(58)와 축 부재(58)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배치된 원통형상 받이 부재(59)와, 축 부재(58)와, 원통형상 받이 부재(59) 사이에 배치된 원통형상 완충 고무(60)로 구성되어 있다.
이 제 5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13 및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축 부재(58)는, 횡 비임(9)의 제 3 지지부(47)에 고정되어 있다. 한편, 연결 부재(43)는, 횡 비임(9)의 제 3 지지부(47)에 대응하는 위치에 원통부(61)를 구비하고 있다. 원통형상 받이 부재(59)는, 연결 부재(43)의 원통부(61)내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13 및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통형상 완충 고무(60)에는, 안내륜(5)에 가해지는 하중방향과 평면적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복수의 슬릿(62)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복수의 슬릿(62)은, 축 부재(58)를 사이에 두고 대칭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완충 기구(19)의 원통형상 완충 고무(60)는 슬릿(62)을 마련하는 것에 의해 원통형상 받이 부재(59)내에서 탄성 변형이 생기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부터, 원통형상 완충 고무(60)는, 안내 링크(12)가 제 1 회동축(13)을 중심으로 회동할 때에 축 부재(58)에 가해지는 하중을 탄성 변형에 의해 흡수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이 제 5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주 안내륜(51)이 주 안내 레일(31)에 접촉하여 차폭방향 외측으로부터 힘을 받으면, 안내 링크(12)가 제 1 회동축(13)을 중심으로 화살표 X방향으로 회동한다. 이 때, 완충 기구(19)의 원통형상 완충 고무(60)가 전단 변형함으로써 안내 링크(12)의 회동이 억제되게 되어 있다.
한편, 분기 안내륜(52)이 분기 안내 레일(32)에 접촉하여 차폭방향 내측으로부터 힘을 받으면, 안내 링크(12)가 제 1 회동축(13)을 중심으로 화살표 Y방향으로 회동한다. 이 때도 마찬가지로 완충 기구(19)의 원통형상 완충 고무(60)가 전단 변형함으로써 안내 링크(12)의 회동이 억제되게 되어 있다.
제 5 실시형태에 따른 궤조식 차량에 의하면, 완충 기구(19)가 연결 부재(43)와 횡 비임(9)의 제 3 지지부(47) 사이에서 제 1 회동축(13)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된 축 부재(58)와 축 부재(58)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배치된 원통형상 받이 부재(59)와, 축 부재(58)와 원통형상 받이 부재(59) 사이에 배치된 원통형상 완충 고무(60)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안내륜(5)이 안내 레일(3)에 접촉하여 안내 링크(12)가 제 1 회동축(13)을 중심으로 회동할 때에, 축 부재(58)가 슬릿(62)의 방향으로 변위함으로써 원통형상 완충 고무(60)가 전단 변형하게 된다. 종래에는, 탄성 부재의 압축방향으로 하중을 흡수하고 있었지만, 본 발명에 의하면, 탄성 부재가 보다 유연하게 변형하는 전단방향으로 하중을 받게 되어 있으므로, 종래에 비하여 안내륜(5)으로부터 받는 하중을 보다 흡수할 수 있다.
또한, 축 부재(58)가 원통형상 받이 부재(59)내에서 변위했을 때에, 슬릿(62)이 압궤된 단계에서 원통형상 완충 고무(60)의 강성이 올라, 축 부재(58)의 변위가 제한되게 된다. 따라서, 이 구성에 의하면, 별개에 스토퍼를 마련하는 일 없이, 안내 링크(12)의 과잉 회동을 제한할 수 있다.
(제 6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 6 실시형태에 따른 궤조식 차량을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형태에 따른 궤조식 차량의 안내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판형상 탄성 부재를 측면에서 본 도면이다.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중복하는 설명은 생략한다.
이 제 6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15 및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완충 기구(19)는, 완충 기구 지지부(42)와 횡 비임(9)을 연결하는 판형상 탄성 부재(63)로 구성되어 있다. 이 판형상 탄성 부재(63)는, 완충 기구 지지부(42)로부터 횡 비임(9)을 향하여 크랭크형상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그 폭방향이 수직방향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 15 및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완충 기구 지지부(42)의 외측 표면에는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홈(64)이 차폭방향으로 복수 병렬하여 형성되어 있다. 한편, 판형상 탄성 부재(63)에 있어서의 완충 기구 지지부(42)에 대응하는 단부(63a)의 표면에는,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홈 받이부(65)가 차폭방향으로 복수 병렬하여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판형상 탄성 부재(63)의 홈 받이부(65)가 설치된 개소에는, 차폭방향으로 연장되는 긴 구멍(66)이 복수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부터, 안내 링크(12)의 완충 기구 지지부(42)와 판형상 탄성 부재(63)는, 홈(64)과 홈 받이부(65)가 결합하는 것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동시에, 긴 구멍(66)에 볼트 등의 체결 부재(도시하지 않음)를 삽입함으로써 서로 고정되어 있다.
또한,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판형상 탄성 부재(63)의 횡 비임(9)측의 단부(63b)에는, 둥근 구멍(67)이 복수 마련되어 있다. 판형상 탄성 부재(63)와 횡 비임(9)은, 둥근 구멍(67)에 볼트 등의 체결 부재(도시하지 않음)를 삽입함으로써 서로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이 제 6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주 안내륜(51)이 주 안내 레일(31)에 접촉하여 차폭방향 외측으로부터 힘을 받으면, 안내 링크(12)가 제 1 회동축(13)을 중심으로 화살표 X방향으로 회동한다. 이 때, 판형상 탄성 부재(63)의 휨성에 의해 안내 링크(12)의 회동이 억제되게 되어 있다.
한편, 분기 안내륜(52)이 분기 안내 레일(32)에 접촉하여 차폭방향 내측으로부터 힘을 받으면, 안내 링크(12)가 제 1 회동축(13)을 중심으로 화살표 Y방향으로 회동한다. 이 때도 마찬가지로 판형상 탄성 부재(63)의 휨성에 의해 안내 링크(12)의 회동이 억제되게 되어 있다.
제 6 실시형태에 따른 궤조식 차량에 의하면, 완충 기구(19)는, 안내륜(5)을 사이에 두고 제 1 회동축(13)에 대하여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고, 완충 기구(19)는, 안내 링크(12)의 제 1 회동축(13)측의 단부에 대하여 반대측에 있는 완충 기구 지지부(42)와 횡 비임(9)을 연결하는 판형상 탄성 부재(63)이며, 판형상 탄성 부재(63)는, 완충 기구 지지부(42)로부터 횡 비임(9)을 향하여 크랭크형상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그 폭방향이 수직방향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으므로, 안내륜(5)이 안내 레일(3)에 접촉하여 안내 링크(12)가 제 1 회동축(13)을 중심으로 회동할 때에, 판형상 탄성 부재(63)의 휨성에 의해 안내 링크(12)의 회동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 6 실시형태에 따른 궤조식 차량에 의하면, 판형상 탄성 부재(63)는, 마모할 일도 없고 경년 변화도 없는 부재이기 때문에, 그 외의 마모가 생기는 부품에 비하여 교환 회수가 줄어 들어, 차량의 보수의 노력이 보다 경감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기술의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근거하여 각종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상술의 제 1 및 제 4 실시형태에서는, 완충 고무(21, 49)의 전단 변형에 의해 안내륜(5)으로부터 받는 하중을 흡수하고 있지만, 전단 변형 뿐만이 아니라, 압축ㆍ인장방향의 탄성력에 따라서 하중을 흡수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상술의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축 부재(25)는, 안내 링크(12)의 제 2 지지부(18)에 볼트 등의 체결 부재(28)에 의해 고정되고, 한편, 원통형상 받이 부재(26)는, 안내륜 받이(11)의 제 1 지지부(17)에 장착되어 있다. 이것의 다른 형태로서 축 부재(25)를 안내륜 받이(11)의 제 1 지지부(17)에 장착하여, 원통형상 받이 부재(26)를 안내 링크(12)의 제 2 지지부(18)에 장착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상술의 제 3 실시형태에서는, 완충 로드(39)에 댐퍼 기능을 가지고 있지만, 필요 성능에 따라서는, 로드부는 턴 버클만으로 하고, 양단을 탄성 부시에 의해서 축 결합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상술의 제 5 실시형태에서는, 축 부재(58)는 횡 비임(9)의 제 3 지지부(47)에 고정되고, 한편, 연결 부재(43)는 원통부(61)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것의 다른 형태로서 축 부재(58)를 연결 부재(43)에 마련하고, 원통부(61)를 횡 비임(9)의 제 3 지지부(47)에 마련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1 : 대차 2 :주행 궤도
3 : 안내 레일 31 : 주 안내 레일
32 : 분기 안내 레일 4 : 안내 프레임
5 : 안내륜 51 : 주 안내륜
52 : 분기 안내륜 6 : 차축
7 : 주행륜 8 : 종 비임
9 : 횡 비임 10 : 안내 아암
11 : 안내륜 받이 12 : 안내 링크
13 : 제 1 회동축 14 : 제 1 회동축의 플랜지
15 : 체결 부재 16 : 제 2 회동축
17 : 제 1 지지부 18 : 제 2 지지부
19 : 완충 기구 20 : 좌판
21, 49 : 완충 고무 22, 50 : 금속판
23, 53 : 스토퍼 24, 54 : 스토퍼 받이
25, 58 : 축 부재 26, 59 : 원통형상 받이 부재
27, 60 : 원통형상 완충 고무 28 : 체결 부재
29, 62 : 슬릿 30 : 완충 기구 받이부
33, 34 : 판형상 부재 35 : 제 1 축형상 부재
36 : 지지 부재 37 : 체결 부재
38 : 제 2 축형상 부재 39 : 완충 로드
40 : 제 1 탄성 부시 41 : 제 2 탄성 부시
42 : 완충 기구 지지부 43 : 연결 부재
44 : 탄성 부재 45 : 제 1 판형상부
46 : 제 2 판형상부 47 : 제 3 지지부
48 : 좌판 55, 64 : 홈
56, 65 : 홈 받이부 57, 66 : 긴 구멍
61 : 원통부(61) 63 : 판형상 탄성 부재
67 : 둥근 구멍 71 : (종래) 횡 비임
72 : (종래) L형 안내 아암 73 : (종래) 핀
4 : (종래) 안내륜수 75 : (종래) 주 안내륜
76 : (종래) 분기 안내륜 77 : (종래) 가이드축
78 : (종래) 완충 고무 79 : (종래) 고무 시트
81 : (종래) 안내 아암 82 : (종래) 진퇴봉
83 : (종래) 안내통 84 : (종래) 안내륜 브래킷
85 : (종래) 안내륜 86 : (종래) 가이드부
87 : (종래) 가이드봉 88 : (종래) 완충 스프링
91 : (종래) 안내 프레임 92 : (종래) 안내 횡 비임
93 : (종래) 안내륜 94 : (종래) 완충 로드
95 : (종래) 안내 레일

Claims (12)

  1. 주행 궤도의 양측에 설치되는 안내 레일과, 차량측의 안내 프레임에 장착되는 안내륜을 구비하고, 상기 안내륜이 상기 안내 레일에 접하여 전동하는 것에 의해서 상기 차량을 안내하는 안내 장치를 갖는 궤조식 차량에 있어서,
    상기 안내륜은, 상기 안내 레일 중 주행 궤도를 따라서 설치되는 주 안내 레일에 접하여 전동하는 주 안내륜과, 상기 안내 레일 중 상기 주행 궤도의 분기 개소에 설치되는 분기 안내 레일에 접하여 전동하는 분기 안내륜으로 구성되고, 상기 안내 프레임은, 차폭방향으로 연장되는 안내 아암과 상기 안내 아암의 차폭방향 양측에 장착되는 안내 링크를 구비하며, 상기 안내 아암과 상기 안내 링크는, 제 1 회동축을 거쳐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안내 링크는, 양단에 상기 주 안내륜과 상기 분기 안내륜이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제 2 회동축을 구비하고, 상기 안내 아암과 상기 안내 링크 사이에는, 완충 기구가 마련되어 있어, 상기 안내륜이 상기 안내 레일에 접촉하여 상기 안내 링크가 상기 제 1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할 때에, 상기 완충 기구가 상기 안내 링크의 회동을 억제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장치를 갖는 궤조식 차량.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 기구는 상기 제 1 회동축을 사이에 두고 상기 안내륜에 대하여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완충 기구는 탄성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장치를 갖는 궤조식 차량.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제 1 회동축과 평행하게 되도록 배치되는 동시에 그 양단이 상기 안내 아암과 상기 안내 링크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안내 아암이 상기 제 1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할 때에 가해지는 하중을 전단방향으로 받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장치를 갖는 궤조식 차량.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 기구는 상기 제 1 회동축을 사이에 두고 상기 안내륜에 대하여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완충 기구는, 상기 안내 아암과 상기 안내 링크 사이에서 상기 제 1 회동축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된 축 부재와, 상기 축 부재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배치된 원통형상 받이 부재와, 상기 축 부재와 상기 원통형상 받이 부재 사이에 배치된 원통형상 탄성 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원통형상 탄성 부재에는, 상기 안내륜에 가해지는 하중 방향과 평면적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복수의 슬릿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슬릿이 상기 축 부재를 사이에 두고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장치를 갖는 궤조식 차량.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아암은 차폭방향의 외측 단부에 안내륜 받이를 구비하고, 상기 안내 링크는, 상기 안내륜 받이에 상기 제 1 회동축을 거쳐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완충 기구는, 상기 제 1 회동축을 사이에 두고 상기 안내륜에 대하여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완충 기구는, 상기 안내 링크에 있어서의 제 1 회동축측의 단부와 상기 안내 프레임을 연결하는 완충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장치를 갖는 궤조식 차량.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링크와 상기 완충 스프링은, 탄성 부시 또는 구면 부시를 거쳐서 축 결합되고, 상기 안내 아암과 상기 완충 스프링은 탄성 부시 또는 구면 부시를 거쳐서 축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장치를 갖는 궤조식 차량.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 기구는 상기 안내륜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 1 회동축에 대하여 반대측의 상기 안내 링크의 단부와 상기 안내 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 부재와, 상기 연결 부재와 상기 안내 프레임 사이에 배치된 탄성 부재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장치를 갖는 궤조식 차량.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제 1 회동축과 평행하게 되도록 배치되는 동시에 그 양단이 상기 연결 부재와 상기 안내 프레임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안내 아암이 상기 제 1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할 때에 가해지는 하중을 전단방향으로 받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장치를 갖는 궤조식 차량.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 기구는 상기 안내륜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 1 회동축에 대하여 반대측의 상기 안내 링크의 단부와 상기 안내 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 부재와, 상기 연결 부재와 상기 안내 아암 사이에서 상기 제 1 회동축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된 축 부재와, 상기 축 부재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배치된 원통형상 받이 부재와, 상기 축 부재와 상기 원통형상 받이 부재 사이에 배치된 원통형상 탄성 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원통형상 탄성 부재에는, 상기 안내륜에 가해지는 하중 방향과 평면적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복수의 슬릿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슬릿이 상기 축 부재를 사이에 두고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장치를 갖는 궤조식 차량.
  10. 제 7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링크의 연결 부재측 단부의 외측 표면에는,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홈이 차폭방향으로 복수 병렬하여 형성되고, 상기 연결 부재의 안내 링크측 단부의 외측 표면에는,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홈받이부가 차폭방향으로 복수 병렬하여 형성되며, 상기 안내 링크와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홈과 상기 홈받이부가 결합함으로써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장치를 갖는 궤조식 차량.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 기구는 상기 안내륜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 1 회동축에 대하여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완충 기구는, 상기 안내 링크의 제 1 회동축측의 단부에 대하여 반대측의 단부와 상기 안내 프레임을 연결하는 판형상 탄성 부재이며, 상기 판형상 탄성 부재는, 상기 안내 링크로부터 상기 안내 프레임을 향하여 크랭크형상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그 폭방향이 수직방향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장치를 갖는 궤조식 차량.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링크의 탄성 부재측 단부의 외측 표면에는,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홈이 차폭방향으로 복수 병렬하여 형성되고, 상기 판형상 탄성 부재의 안내 링크측 단부의 외측 표면에는,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홈받이부가 차폭방향으로 복수 병렬하여 형성되며, 상기 안내 링크와 상기 판형상 탄성 부재는, 상기 홈과 상기 홈받이부가 결합함으로써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장치를 갖는 궤조식 차량.
KR1020117030785A 2009-10-21 2009-12-24 안내 장치를 갖는 궤조식 차량 KR1013275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242262A JP5357696B2 (ja) 2009-10-21 2009-10-21 案内装置を有する軌条式車両
JPJP-P-2009-242262 2009-10-21
PCT/JP2009/071383 WO2011048711A1 (ja) 2009-10-21 2009-12-24 案内装置を有する軌条式車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4834A true KR20120024834A (ko) 2012-03-14
KR101327576B1 KR101327576B1 (ko) 2013-11-12

Family

ID=438999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30785A KR101327576B1 (ko) 2009-10-21 2009-12-24 안내 장치를 갖는 궤조식 차량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408142B2 (ko)
JP (1) JP5357696B2 (ko)
KR (1) KR101327576B1 (ko)
CN (1) CN102470878B (ko)
HK (1) HK1166293A1 (ko)
SG (1) SG176850A1 (ko)
TW (1) TWI408068B (ko)
WO (1) WO201104871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57696B2 (ja) * 2009-10-21 2013-12-04 三菱重工業株式会社 案内装置を有する軌条式車両
KR101013126B1 (ko) * 2010-06-03 2011-02-10 재단법인 한국계면공학연구소 철도 차량용 자기 조향 장치
JP5713725B2 (ja) * 2011-02-23 2015-05-07 三菱重工業株式会社 分岐装置及び軌道系交通システム
US9353485B2 (en) * 2011-08-31 2016-05-31 Mitsubishi Heavy Industries, Ltd. Vehicle pick-up and delivery device and track-based transportation system provided therewith
JP5738165B2 (ja) * 2011-12-19 2015-06-17 三菱重工業株式会社 交通システム
SG11201504194XA (en) * 2013-01-29 2015-08-28 Mitsubishi Heavy Ind Ltd Vehicle and track transportation system
US9452763B2 (en) * 2013-02-21 2016-09-27 Mitsubishi Heavy Industries, Ltd. Guide-rail track vehicle, and method for changing distance between guidance wheels
JP6050156B2 (ja) * 2013-03-11 2016-12-21 川崎重工業株式会社 案内軌条式車両用案内装置、及び案内軌条式車両
JP6050155B2 (ja) 2013-03-11 2016-12-21 川崎重工業株式会社 案内軌条式車両用案内装置、及び案内軌条式車両
JP5669914B1 (ja) * 2013-10-18 2015-02-18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走行台車、及び軌道系交通システムの車両
WO2015075995A1 (ja) * 2013-11-22 2015-05-28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走行台車、及び車両
JP6213825B2 (ja) * 2013-11-28 2017-10-18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走行台車及び軌道式車両
JP5730381B1 (ja) * 2013-12-12 2015-06-10 三菱重工業株式会社 案内輪、走行台車、及び車両
CN103707714A (zh) * 2014-01-21 2014-04-09 苏州沃伦韦尔高新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复合导向轮
JP6228038B2 (ja) * 2014-03-03 2017-11-08 新潟トランシス株式会社 車両の案内輪緩衝装置
JP6635433B2 (ja) 2016-02-29 2020-01-22 三菱重工業株式会社 案内装置を有する軌条式車両
JP6975655B2 (ja) 2018-02-07 2021-12-01 三菱重工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案内輪緩衝装置、台車、及び車両
CN108819970A (zh) * 2018-09-18 2018-11-16 成都市新筑路桥机械股份有限公司 一种悬挂式单轨转向架的导向装置
CN111746581B (zh) * 2019-03-29 2022-09-09 比亚迪股份有限公司 转向架、单轨车辆和单轨交通系统
CN111746580B (zh) * 2019-03-29 2022-07-15 比亚迪股份有限公司 转向架、单轨车辆和单轨交通系统
FR3104119B1 (fr) 2019-12-09 2023-10-13 Trydea Systeme de transport collectif
CN113830125B (zh) * 2020-06-24 2022-11-11 比亚迪股份有限公司 导向轮安装座及具有其的导向装置和轨道车辆
CN113968254B (zh) * 2020-07-23 2022-11-11 比亚迪股份有限公司 转向架及轨道车辆
CN111924393A (zh) * 2020-08-03 2020-11-13 罗伯泰克自动化科技(苏州)有限公司 一种转轨水平导向轮装置
CN111942416B (zh) * 2020-08-15 2023-04-25 徐州新南湖科技有限公司 轨道检测车辅助固定器
CN112320239B (zh) * 2020-11-09 2022-08-23 广州市金宝生态农业有限公司 活动式自动分栏转运车
CN114132355B (zh) * 2021-12-03 2023-05-26 山东东铁动力科技有限公司 用于侧导向轨道运行车辆的牵引救援车及其导向前进方法
CN117509050B (zh) * 2023-11-20 2024-05-03 北京朗信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行走机构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91413U (ko) * 1975-01-20 1976-07-22
JPS5842060B2 (ja) * 1979-02-05 1983-09-16 日産自動車株式会社 懸垂車両のロ−リング静定装置
US4223611A (en) * 1979-04-11 1980-09-23 The Boeing Company Vehicle steering apparatus
JPS6020454U (ja) * 1983-07-20 1985-02-13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軌道車輌の案内装置
JPS6020455U (ja) * 1983-07-20 1985-02-13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軌道車両の案内装置
DE3400630A1 (de) * 1984-01-11 1985-02-14 Daimler-Benz Ag, 7000 Stuttgart Mechanisch regelnde querfuehrungseinrichtung
JPS61163054A (ja) * 1985-01-12 1986-07-23 富士車輌株式会社 案内輪支持装置
JPS6218444U (ko) 1985-07-18 1987-02-03
JP2515845B2 (ja) 1988-03-30 1996-07-10 建設省土木研究所長 デュアルモ―ド車両の案内装置
JP3688461B2 (ja) * 1998-03-31 2005-08-31 新潟トランシス株式会社 車両の案内操向装置
PT1169205E (pt) * 1999-03-12 2008-03-31 Bombardier Transp Gmbh Aparelho e método para dirigir um veículo sobre trilhos guiados
JP3929252B2 (ja) * 2001-03-21 2007-06-1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ガイド機構
JP4125508B2 (ja) * 2001-11-13 2008-07-30 新潟トランシス株式会社 案内軌条式車両用台車の案内輪支持装置
CA2641261C (en) * 2002-10-30 2011-04-26 Mitsubishi Heavy Industries, Ltd. Steering apparatus for rail non-contact vehicle and steering method for the same
CN1309605C (zh) * 2003-01-30 2007-04-11 沈湧 小型车辆的轨道交通系统
NO20032053D0 (no) * 2003-05-07 2003-05-07 Posco Group Ltd Styreskinne
US20050076803A1 (en) * 2003-10-14 2005-04-14 Popular Mechanics Electrical guide rail chain bus
TWI291447B (en) * 2003-12-26 2007-12-21 Murata Machinery Ltd Track guided vehicle system
WO2008053572A1 (fr) * 2006-11-01 2008-05-08 Mitsubishi Heavy Industries, Ltd. Système de circulation de type rails
JP4813846B2 (ja) * 2005-08-10 2011-11-09 三菱重工業株式会社 懸架用ロッド及び懸架用ロッドを用いた軌道系車両用台車
JP4317862B2 (ja) * 2006-09-15 2009-08-19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軌道系交通システム
JP5249508B2 (ja) * 2006-11-06 2013-07-31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軌道系交通システム
JP5249509B2 (ja) * 2006-11-10 2013-07-31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軌道系交通システムの分岐装置
KR101127002B1 (ko) * 2006-11-16 2012-06-14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궤도계 차량의 대차 구조
JP5357696B2 (ja) * 2009-10-21 2013-12-04 三菱重工業株式会社 案内装置を有する軌条式車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470878B (zh) 2014-11-05
TW201114635A (en) 2011-05-01
SG176850A1 (en) 2012-01-30
US20120103227A1 (en) 2012-05-03
WO2011048711A1 (ja) 2011-04-28
JP2011088512A (ja) 2011-05-06
KR101327576B1 (ko) 2013-11-12
JP5357696B2 (ja) 2013-12-04
US8408142B2 (en) 2013-04-02
CN102470878A (zh) 2012-05-23
HK1166293A1 (en) 2012-10-26
TWI408068B (zh) 2013-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7576B1 (ko) 안내 장치를 갖는 궤조식 차량
KR101306465B1 (ko) 가이드 레일 시스템 차량을 위한 보기
US10065663B2 (en) Steering bogie and vehicle
JP5010630B2 (ja) 低床式車両
KR101970508B1 (ko) 차체 지지 장치 및 철도 차량
EP2974934A1 (en) Guide device for rail-guided vehicle, and rail-guided vehicle
US6978719B2 (en) Railway car and bogie of railway car
KR20200138373A (ko) 축박스 서스펜션장치 및 이를 구비한 보기대차
JP2008238999A (ja) 車体の連接装置
CN108974126B (zh) 用于机动车辆的后桥的副车架
US10994753B2 (en) Rail vehicle having guide device
JP2006282060A (ja) 鉄道車両用輪軸操舵装置
JP5259999B2 (ja) 高速鉄道車両用台車の軸箱支持装置
JP5734012B2 (ja) 鉄道車両用軸箱支持装置
CN113830127B (zh) 导向装置及具有其的轨道车辆
JP2011084183A (ja) 交通車両の分岐装置
CN203126870U (zh) 一种铁路货车及其转向架、连接座
CN103171576A (zh) 一种铁路货车及其转向架、连接座
US10870439B2 (en) Vehicle wheel support device
JP2511120B2 (ja) 軸箱支持装置
CN212796884U (zh) 内导向式转向架及具有其的轨道车辆和轨道交通系统
CN219312489U (zh) 一种驱动机构以及应用该驱动组件的agv小车
CN215752400U (zh) 轨道车辆的牵引机构以及轨道车辆
JP5675929B2 (ja) 交通車両の分岐装置
CN109515467A (zh) 构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