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32531A - 양면 점착 테이프 - Google Patents

양면 점착 테이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32531A
KR20110132531A KR1020110052896A KR20110052896A KR20110132531A KR 20110132531 A KR20110132531 A KR 20110132531A KR 1020110052896 A KR1020110052896 A KR 1020110052896A KR 20110052896 A KR20110052896 A KR 20110052896A KR 20110132531 A KR20110132531 A KR 201101325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double
adhesive tape
adhesive
sided adhe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28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오끼 나까야마
아끼노리 다무라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1325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25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9Laminated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C09J7/381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385Acrylic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09J7/26Porous or cellular plas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4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release lin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9/00Adhesive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e.g. glue stick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1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 C09J2301/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 C09J2301/124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the adhesive layer being present on both sides of the carrier, e.g. double-sided adhesive tap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08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the adhesive tape or sheet losing adhesive strength when being stretched, e.g. stretch adhesiv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00/00Presence of inorganic and organic materials
    • C09J2400/20Presence of organic materials
    • C09J2400/24Presence of a foam
    • C09J2400/243Presence of a foam in the substra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dhesive Tap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총 두께가 얇고, 발포체층을 갖고 있고, 또한 재박리성이 우수한 양면 점착 테이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양면 점착 테이프는, 총 두께가 500㎛ 이하이고, 발포체층, 보강층 및 양쪽 표층으로서의 점착제층을 갖고, 또한 적어도 한쪽의 측의 표층의 점착제층이, 탄소수 4 내지 9의 직쇄 또는 분지쇄상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를 필수적인 단량체 성분으로 하여 구성되는 아크릴계 중합체, 점착 부여 수지, 가교제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양면 점착 테이프 {DOUBLE-COAT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본 발명은 양면 점착 테이프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두께가 얇고, 발포체층을 갖고, 재박리성이 우수한 양면 점착 테이프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재의 양면에 점착제층(감압성 접착제층)을 형성한 기재를 갖는 양면 점착 테이프(양면 감압성 접착 테이프)는, 신뢰성이 높은 접합 수단이나 고정 수단으로서 각종 산업 분야에서 이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부품의 부착이나 부품끼리의 접합에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기재를 갖는 양면 점착 테이프로서는, 예를 들어 기재로서 부직포를 사용한 것(특허문헌 1)이나 종이를 사용한 것, 또한 기재로서 플라스틱 필름을 사용한 것이 알려져 있다.
최근, 휴대 전화 등에서는 방수 기능이 요구되어 오고 있고, 이러한 용도에서의 부품 고정용의 기재를 갖는 양면 점착 테이프에도 방수(지수) 기능이 요구되어 오고 있다. 그러나, 이 기재를 갖는 양면 점착 테이프의 기재로서, 부직포를 사용한 것이나 종이를 사용한 것에서는, 이들 소재는 물을 함침하기 때문에 방수성의 점에서 문제를 발생시킨다. 또한, 기재로서 플라스틱 필름을 사용한 것에서는, 플라스틱 필름이 갖는 강성에 의해, 요철에 대한 추종성(단차 추종성)이 나빠져, 단차 부분에 들뜸이 발생하는 등으로 인해, 양호한 방수성을 얻는 것은 곤란하였다.
또한, 최근, 제품의 경량화, 소형화, 박형화의 점에서, 상기 기재를 갖는 양면 점착 테이프에서는 박막화가 요구되고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1-152111호 공보
본 발명자들은 기재를 갖는 양면 점착 테이프의 기재로서 발포체 기재를 사용하여 두께를 얇게 하면, 박막이며 양호한 방수성이 우수한 양면 점착 테이프가 얻어지는 것을 발견하였다.
그러나, 발포체 기재를 사용한 기재를 갖는 양면 점착 테이프는, 제품을 해체할 때나 부품을 제품으로부터 회수할 때 등에 있어서, 피착부로부터 떼고자 하면, 발포체 기재와 점착제층 사이에서의 박리나 발포체 기재의 파손이 발생하거나, 발포체 기재가 터지는 것에 의한 층간 박리가 발생하거나, 피착부에 점착제가 남거나 하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발포체 기재를 사용한 기재를 갖는 양면 점착 테이프의 총 두께를 얇게 하면, 발포체 기재의 강도의 점에서 현저하게 상기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로 인해, 기재로서 발포체 기재가 사용되어, 총 두께가 얇고, 재박리성이 우수한 기재를 갖는 양면 점착 테이프는 얻을 수 없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총 두께가 얇고, 발포체층을 갖고 있고, 또한 재박리성이 우수한 양면 점착 테이프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예의 검토한 결과, 양쪽 표층이 점착제층인 양면 점착 테이프에 있어서, 발포체층 외에 보강층을 형성하고, 또한 적어도 한쪽의 측의 표층의 점착제층의 조성을 특정한 조성으로 하면, 발포체층을 갖고, 총 두께가 500㎛ 이하라도 양호한 재박리성이 얻어지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시켰다.
즉, 본 발명은 총 두께가 500㎛ 이하이고, 발포체층, 보강층 및 양쪽 표층으로서의 점착제층을 갖고, 또한 적어도 한쪽의 측의 표층의 점착제층이 탄소수 4 내지 9의 직쇄 또는 분지쇄상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를 필수적인 단량체 성분으로 하여 구성되는 아크릴계 중합체, 점착 부여 수지, 가교제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점착 테이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양면 점착 테이프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아크릴계 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점착 부여 수지를 5 내지 50중량부, 가교제를 0.001 내지 10중량부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양면 점착 테이프에 있어서, 상기 가교제는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이며, 상기 아크릴계 중합체는 탄소수 4 내지 9의 직쇄 또는 분지쇄상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 카르복실기 함유 단량체 및 수산기 함유 단량체를 필수적인 단량체 성분으로 하여 구성되는 아크릴계 중합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양면 점착 테이프의 상기 아크릴계 중합체에 있어서, 탄소수 4 내지 9의 직쇄 또는 분지쇄상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 카르복실기 함유 단량체 및 수산기 함유 단량체의 비율은, 아크릴계 중합체를 구성하는 단량체 성분 전량에 대하여, 탄소수 4 내지 9의 직쇄 또는 분지쇄상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 80 내지 99.9중량%, 카르복실기 함유 단량체 0.1 내지 10중량%, 수산기 함유 단량체 0.01 내지 5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총 두께가 500㎛ 이하이고, 발포체층, 보강층 및 양쪽 표층으로서의 점착제층을 갖고, 적어도 한쪽의 측의 점착면에 있어서, 180°박리 점착력(23℃, 50%RH, 인장 속도 5m/min, 박리 각도 180°의 박리 조건, 유리판에 대한)이 15N/10mm 이하이고, 또한 하기의 재박리성 평가 시험에 있어서 점착제 잔여를 발생시키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점착 테이프를 제공한다.
재박리성 평가 시험: 양면 점착 테이프(폭 10mm×길이 100mm)를 유리판(마쯔나미 글래스 고교 가부시끼가이샤제, 상품명 「슬라이드 글래스, 백연마(白緣磨) NO.1」)에 부착하고, 23℃, 50%RH의 분위기 하에서 30분간 방치한 후, 박리 각도 180°, 인장 속도 5m/분의 조건에서, 상기 유리판으로부터 양면 점착 테이프를 떼어냈을 때의 상기 유리판 표면에의 점착제 잔여의 유무를 육안으로 평가한다.
본원에 있어서, 「재박리성」이란, 피착부로부터 점착 테이프를 떼어낼 때에, 피착부에의 점착제의 잔존이나 점착 테이프의 파괴를 발생시키지 않고, 피착부와 점착면의 계면에서 분리할 수 있고, 또한 박리 시에 큰 힘을 필요로 하지 않고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는 특성을 말한다.
본 발명의 양면 점착 테이프는 발포체층을 갖고, 총 두께가 얇고, 재박리성이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의 양면 점착 테이프는 발포체층을 갖고 있으므로, 예를 들어 충격 흡수성, 단차 추종성, 지수성, 가공성, 시일성 등의 특성을 구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양면 점착 테이프의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
도 2는 가압 접착력을 측정할 때에 사용하는 평가용 샘플의 개략도로서, (a)는 상면도이고, (b)는 A-A' 단면도.
도 3은 가압 접착력의 측정 방법을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
도 4는 내 낙하 충격 특성을 평가할 때에 사용하는 평가용 샘플의 개략도로서, (a)는 상면도이고, (b)는 B-B' 단면도.
도 5는 방수 특성을 평가할 때에 사용하는 평가용 샘플의 개략도로서, (a)는 상면도이고, (b)는 C-C' 절단부 단면도.
본 발명의 양면 점착 테이프는 발포체층, 보강층, 표층으로서의 2개의 점착제층을 적어도 갖는다. 본원에 있어서, 「점착 테이프(감압 접착성 테이프)」라고 하는 경우에는 시트 형상의 것, 즉 「점착 시트(감압 접착성 시트)」도 포함된다. 또한, 본 발명의 양면 점착 테이프는 시트 형상의 것이 적층된 형태를 갖고 있어도 되고, 롤 형상으로 권회된 형태를 갖고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양면 점착 테이프에서의 적층 구성(층 구성)은, 양쪽 표층이 점착제층이며, 발포체층 및 보강층을 갖는 한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양면 점착 테이프에 있어서, 보강층 및 발포체층은 직접적으로 적층되어 있어도 되고, 점착제층을 개재하여 적층되어도 된다. 또한, 발포체층 및 보강층은 1층만 가져도 되고, 복수 가져도 된다.
본 발명의 양면 점착 테이프에 있어서, 적어도 1층의 발포체층, 적어도 1층의 보강층 및 2층의 표층의 점착제층을 갖고, 한쪽의 측의 표층의 점착제층이 발포체층과 보강층 중 보강층으로부터의 거리(보강층으로부터의 두께 방향의 간격)가 상대적으로 작고, 다른쪽의 측의 표층의 점착제층이 발포체층과 보강층 중 발포체층으로부터의 거리(발포체층으로부터의 두께 방향의 간격)가 상대적으로 작은 경우, 보강층으로부터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작은 측의 표층의 점착제층을 「보강층측의 표층의 점착제층」이라고 칭할 수 있고, 한편, 발포체층으로부터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작은 측의 표층의 점착제층을 「발포체층측의 표층의 점착제층」이라고 칭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양면 점착 테이프에 있어서, 「보강층측의 점착면」은 보강층측의 표층의 점착제층에 의해 제공되는 점착면을 말하고, 「발포체층측의 점착면」은 발포체층측의 표층의 점착제층에 의해 제공되는 점착면을 말한다.
본 발명의 양면 점착 테이프의 바람직한 형태로서는, 적어도 1층의 발포체층, 적어도 1층의 보강층 및 2층의 표층의 점착제층을 갖고, 적어도 한쪽의 측의 표층의 점착제층이 보강층측의 점착제층인 것을 들 수 있다. 이 바람직한 형태로서는, 보다 구체적으로는 (a) 적어도 1층의 발포체층, 적어도 1층의 보강층 및 2층의 표층의 점착제층을 갖고, 양쪽의 측의 표층의 점착제층이 보강층측의 표층의 점착제층인 것, (b) 적어도 1층의 발포체층, 적어도 1층의 보강층 및 2층의 표층의 점착제층을 갖고, 한쪽의 측의 표층의 점착제층이 보강층측의 표층의 점착제층이며, 다른쪽의 측의 표층의 점착제층이 발포체층측의 표층의 점착제층인 것을 들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양면 점착 테이프는, (b) 적어도 1층의 발포체층, 적어도 1층의 보강층 및 2층의 표층의 점착제층을 갖고, 한쪽의 측의 표층의 점착제층이 보강층측의 표층의 점착제층이며, 다른쪽의 측의 표층의 점착제층이 발포체층측의 표층의 점착제층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양면 점착 테이프를 통하여 부재(부품, 파트)를 목적물(예를 들어 용기, 하우징, 제품 등)의 원하는 위치에 고정이나 부착하는 경우, 재박리성의 점에서 보강층측의 점착면을 부재에 부착하여, 발포체층측의 점착면을 목적물에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양면 점착 테이프의 대표적인 바람직한 형태로서는, 발포체층의 편면측에 점착제층을 갖고, 발포체층의 다른쪽의 면측에 점착제층을 개재하여 보강층을 갖고, 또한 상기 보강층 상에 점착제층을 갖는 구성(점착제층/발포체층/점착제층/보강층/점착제층의 적층 구성)을 들 수 있다(도 1 참조).
도 1은 본 발명의 양면 점착 테이프의 구체적 구성의 대표적인 일례이다. 도 1에 있어서, 도면 부호 1은 양면 점착 테이프이고, 11a 및 11b는 점착제층이고, 12는 점착제층이고, 13은 발포체층이고, 14는 보강층이다. 또한, 점착제층(11a) 및 점착제층(11b)은 양면 점착 테이프의 점착면을 제공하는 층이고, 점착제층(12)은 발포체층과 보강층의 고정에 사용되는 층이다. 이 양면 점착 테이프는, 발포체층과 최표층으로서의 점착제층의 적층 구조, 및 보강층과 최표층으로서의 점착제층의 적층 구조를 갖는다. 이 구성의 양면 점착 테이프에 있어서, 발포체층(13) 상의 점착제층(11a)은 「발포체층측의 표층의 점착제층」이며, 점착제층(11a)에 의해 제공되는 점착면은 「발포체층측의 점착면」이다. 또한, 보강층(14) 상의 점착제층(11b)은 「보강층측의 표층의 점착제층」이며, 점착층(11b)에 의해 제공되는 점착면은 「보강층측의 점착면」이다. 또한, 도 1의 양면 점착 테이프의 총 두께는, 점착제층(11a)에 의해 제공되는 점착면(발포체층측의 점착면)부터 점착층(11b)에 의해 제공되는 점착면(보강층측의 점착면)까지의 두께 방향의 거리(거리 a)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양면 점착 테이프의 총 두께는 박막화, 소형화, 경량화, 자원 절약화의 점에서 500㎛ 이하(예를 들어, 80 내지 500㎛)이며, 바람직하게는 400㎛ 이하(예를 들어 100 내지 400㎛)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300㎛ 이하(예를 들어 120 내지 300㎛)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 이하(예를 들어 150 내지 200㎛)이다. 또한, 본 발명의 양면 점착 테이프의 「총 두께」는, 한쪽의 점착제층 표면(점착면)부터 다른쪽의 점착제층 표면까지의 두께를 말한다.
(발포체층)
발포체층은 본 발명에 양면 점착 테이프에 적어도 1층 포함되는 층이며, 기포 구조를 갖는 층이다. 발포체층은 발포체(발포 구조체)에 의해 구성된다.
발포체층의 기포 구조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독립 기포 구조, 반연속 반독립 기포 구조(독립 기포 구조와 연속 기포 구조가 혼재되어 있는 기포 구조이며, 그 비율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음)가 바람직하고, 특히 유연성의 점에서 발포체층의 기포 구조 중에 독립 기포 구조부가 40% 이하, 바람직하게는 30% 이하로 되어 있는 기포 구조가 적합하다.
본 발명의 양면 점착 테이프의 발포체층의 밀도(겉보기 밀도)는, 사용 목적 등에 따라 적절히 설정할 수 있지만, 0.67g/cm3 이하(바람직하게는 0.40g/cm3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20g/cm3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발포체층의 겉보기 밀도의 하한으로서는 0.02g/cm3 이상(바람직하게는 0.03g/cm3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발포체층의 겉보기 밀도가 0.67g/cm3를 초과하면, 발포가 불충분해지고, 유연성이 손상되어 문제를 발생시키는 경우가 있다. 한편, 0.02g/cm3 미만이면, 발포체층의 강도가 현저하게 저하하는 경우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양면 점착 테이프의 발포체층의 평균 기포 직경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충격 흡수성, 단차 추종성, 지수성, 가공성, 시일성 등의 점에서 10 내지 1000㎛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800㎛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600㎛이다.
본 발명의 양면 점착 테이프의 발포체층을 구성하는 발포체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플라스틱 발포체(수지 발포체)가 바람직하다. 플라스틱 발포체를 형성하기 위한 플라스틱재(고무재도 포함함)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공지된 플라스틱재 중에서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플라스틱재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발포체는 단층의 형태를 가져도 되고, 적층된 형태를 가져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플라스틱 발포체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발포체, 폴리프로필렌 발포체,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발포체,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 발포체 등의 올레핀계 수지 발포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발포체,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발포체,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발포체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발포체; 폴리염화비닐 발포체 등의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발포체; 아세트산 비닐계 수지 발포체; 폴리페닐렌술피드 수지 발포체; 폴리아미드(나일론) 수지 발포체, 전체 방향족 폴리아미드(아라미드) 수지 발포체 등의 아미드계 수지 발포체; 폴리이미드계 수지 발포체;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EEK) 수지 발포체; 폴리스티렌 발포체 등의 스티렌계 수지 발포체; 폴리우레탄 수지 발포체 등의 우레탄계 수지 발포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플라스틱 발포체로서 고무계 수지 발포체를 사용하여도 된다.
그 중에서도 내약품성, 내용제성, 투습 저항성, 탄력성, 가공성이 좋은 점에서 올레핀계 수지 발포체가 바람직하고, 특히 폴리에틸렌 발포체, 폴리프로필렌 발포체 등이 바람직하다.
또한, 플라스틱 발포체에 있어서, 기포의 형태(연속 기포의 형태, 독립 기포의 형태 또는 이들이 혼합된 형태 등), 기포의 크기, 기포간의 두께 등의 기포에 관계된 특성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공지된 플라스틱 발포체에서의 기포에 관한 특성 중에서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플라스틱 발포체는, 공지 내지 관용의 형성 방법(예를 들어, 발포제에 의한 형성 방법 등)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양면 점착 테이프의 발포체층의 표면에는, 공지된 표면 처리가 실시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하도 처리, 코로나 방전 처리, 플라즈마 처리 등의 화학적 또는 물리적인 표면 처리가 실시되어 있어도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점착제층(본 발명의 양면 점착 테이프의 점착면을 제공하는 점착제층이나, 발포체층과 보강층의 고정에 사용되는 점착제층) 등과의 밀착성을 높이기 위하여, 관용의 표면 처리, 예를 들어 코로나 처리, 크롬산 처리, 오존 폭로, 화염 폭로, 고압 전격 폭로, 이온화 방사선 처리 등의 화학적 또는 물리적 방법에 의한 산화 처리 등이 실시되어 있어도 되고, 하도제나 박리제 등에 의한 코팅 처리 등이 실시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발포체층에는, 필요에 따라 충전제(무기 충전제, 유기 충전제 등), 노화 방지제, 산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대전 방지제, 활제, 가소제, 난연제, 계면 활성제 등의 각종 첨가제가 배합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발포체층은 금속에 대한 부식 방지나, 본 발명의 양면 점착 테이프는 전기ㆍ전자 부품의 고정에 사용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할로겐 화합물을 의도적으로 배합하지 않는 할로겐 프리의 발포체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할로겐 화합물은, 일반적으로 할로겐 화합물을 포함하는 난연제나 가소제에 의해 배합된다.
또한, 본 발명의 양면 점착 테이프의 발포체층은, 양면 점착 테이프에 있어서 의장성이나 광학 특성(차광성, 광 반사성 등)을 발현시키기 위하여 착색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양면 점착 테이프를 차광 용도에 사용하는 경우, 발포체의 가시광 투과율은, 양면 점착 테이프의 가시광 투과율과 마찬가지로 15% 이하(예를 들어 0 내지 15%),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이하(예를 들어 0 내지 1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양면 점착 테이프를 광 반사 용도에 사용하는 경우, 발포체의 가시광 반사율은, 양면 점착 테이프의 가시광 반사율과 마찬가지로 20% 이상(예를 들어 20 내지 100%),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이상(예를 들어 25 내지 100%)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포체층의 착색에는 착색제가 사용된다. 또한, 착색제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양면 점착 테이프를 차광 용도에 사용하는 경우, 발포체층은 흑색으로 착색된다. 흑색으로서는 L*a*b* 표색계로 규정되는 L*(명도)로 35 이하(예를 들어 0 내지 35)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이하(예를 들어 0 내지 30)이다. 또한, L*a*b* 표색계로 규정되는 a*이나 b*은, 각각 L*의 값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a*이나 b*로서는, 예를 들어 양쪽 모두 -10 내지 10(그 중에서도 -5 내지 5)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양쪽 모두 0 또는 거의 0(-2.5 내지 2.5의 범위)인 것이 적합하다.
또한, 본원에 있어서, L*a*b* 표색계로 규정되는 L*, a*, b*는 색채 색차계(상품명 「CR-200」 미놀타사제; 색채 색차계)를 사용하여 측정함으로써 구해진다. 또한, L*a*b* 표색계는 국제 조명 위원회(CIE)가 1976년에 권장한 색 공간이며, CIE1976(L*a*b*) 표색계로 칭해지는 색 공간을 의미하고 있다. 또한, L*a*b* 표색계는 일본 공업 규격에서는 JIS Z 8729에 규정되어 있다.
흑색으로 착색할 때에 사용되는 흑색 착색제로서는, 예를 들어 카본 블랙(퍼니스 블랙, 채널 블랙, 아세틸렌 블랙, 서멀 블랙, 램프 블랙 등), 그래파이트, 산화구리, 이산화망간, 아닐린 블랙, 페릴렌 블랙, 티타늄 블랙, 시아닌 블랙, 활성탄, 페라이트(비자성 페라이트, 자성 페라이트 등), 마그네타이트, 산화크롬, 산화철, 이황화몰리브덴, 크롬 착체, 복합 산화물계 흑색 색소, 안트라퀴논계 유기 흑색 색소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비용, 입수성의 관점에서 카본 블랙이 바람직하다.
흑색 착색제의 사용량으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양면 점착 테이프에 있어서 원하는 광학 특성이 얻어지는 양이 사용된다.
한편, 양면 점착 테이프를 광 반사 용도에 사용하는 경우, 발포체층은 백색으로 착색된다. 백색으로서는 L*a*b* 표색계로 규정되는 L*(명도)로 87 이상(예를 들어 87 내지 100)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90 이상(90 내지 100)이다. 또한, L*a*b* 표색계로 규정되는 a*이나 b*는 각각 L*의 값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a*이나 b*로서는, 예를 들어 양쪽 모두 -10 내지 10(그 중에서도 -5 내지 5)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양쪽 모두 0 또는 거의 0(-2.5 내지 2.5의 범위)인 것이 적합하다.
백색으로 착색할 때에 사용되는 백색 착색제로서는, 예를 들어 산화티타늄(루틸형 이산화티타늄, 아나타제형 이산화티타늄 등의 이산화티타늄), 산화아연, 산화알루미늄, 산화규소, 산화지르코늄, 산화마그네슘, 산화칼슘, 산화주석, 산화바륨, 산화세슘, 산화이트륨, 탄산마그네슘, 탄산칼슘(경질 탄산칼슘, 중질 탄산칼슘 등), 탄산바륨, 탄산아연, 수산화알루미늄, 수산화칼슘, 수산화마그네슘, 수산화아연, 규산알루미늄, 규산마그네슘, 규산칼슘, 황산바륨, 황산칼슘, 스테아르산바륨, 아연화, 황화아연, 탈크, 실리카, 알루미나, 클레이, 카올린, 인산티타늄, 운모, 석고, 화이트 카본, 규조토, 벤토나이트, 리토폰, 제올라이트, 세리사이트, 가수 할로이사이트 등의 무기계 백색 착색제나, 아크릴계 수지 입자, 폴리스티렌계 수지 입자, 폴리우레탄계 수지 입자, 아미드계 수지 입자, 폴리카르보네이트계 수지 입자, 실리콘계 수지 입자, 요소-포르말린계 수지 입자, 멜라민계 수지 입자 등의 유기계 백색 착색제 등을 들 수 있다.
백색 착색제의 사용량으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양면 점착 테이프에 있어서 원하는 광학 특성이 얻어지는 양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양면 점착 테이프의 발포체층의 발포 배율은, 양면 점착 테이프에 의해 양호한 충격 흡수성, 단차 추종성, 지수성, 가공성, 시일성 등을 얻는 점에서, 예를 들어 1.5 내지 30cc/g이 바람직하고,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25.0cc/g이다. 또한, 본원에 있어서, 발포체층의 발포 배율은 JIS K 6767에 준거하여 측정한 겉보기 밀도의 역수로서 정의된다.
또한, 발포체층의 신도는, 양면 점착 테이프에 의해 양호한 충격 흡수성, 단차 추종성, 지수성, 가공성, 시일성 등을 얻는 점에서, 예를 들어 MD 방향에서 100 내지 600%, 바람직하게는 400 내지 550%이며, CD 방향에서 100 내지 500%, 바람직하게는 150 내지 450%이다. 또한, 본원에 있어서, 발포체층의 신도는 JIS K 6767에 준거하여 측정된다.
또한, 발포체층의 인장 강도는, 양면 점착 테이프에 의해 양호한 충격 흡수성, 단차 추종성, 지수성, 가공성, 시일성 등을 얻는 점에서, 예를 들어 MD 방향에서 0.5 내지 15MPa,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0.0MPa이며, CD 방향에서 0.5 내지 13.0MPa,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9.0MPa이다. 또한, 본원에 있어서, 발포체층의 인장 강도는 JIS K 6767에 준거하여 측정된다.
또한, 발포체층의 압축 경도는, 양면 점착 테이프에 의해 양호한 충격 흡수성, 단차 추종성, 지수성, 가공성, 시일성 등을 얻는 점에서, 예를 들어 발포체층을 평판 사이에 끼워넣고, 처음 두께의 25%로 압축하였을 때의 하중으로 5 내지 150kPa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120kPa이다. 또한, 본원에 있어서, 발포체층의 압축 경도는 JIS K 6767에 준거하여 측정된다.
본 발명의 양면 점착 테이프의 발포체층의 두께는, 양면 점착 테이프의 총 두께가 500㎛를 초과하지 않는 한, 강도나 유연성, 사용 목적 등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50 내지 480㎛,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300㎛,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200㎛이다. 발포체층의 두께가 50㎛ 미만이면 관통 구멍이 발생할 우려가 있고, 또한 발포체층의 두께가 480㎛를 초과하면 양면 점착 테이프에 의해 충분히 점착 특성을 확보하지 못할 우려가 있다.
(보강층)
본 발명의 양면 점착 테이프의 보강층은, 상술한 발포체층과는 달리, 기포 구조를 갖지 않는 비발포층이며, 비발포 구조체에 의해 구성된다. 본 발명의 양면 점착 테이프에 있어서, 보강층은 재박리성의 향상에 기여하는 층이다.
본 발명의 양면 점착 테이프의 보강층을 구성하는 비발포 구조체로서는, 박엽체 형상의 각종 시트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시트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천, 부직포, 펠트, 네트 등의 섬유계 시트; 각종 종이 등의 종이계 시트; 금속박, 금속판 등의 금속계 시트; 각종 수지에 의한 필름이나 시트 등의 플라스틱계 시트; 이들의 적층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플라스틱계 시트의 재질 또는 소재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나프탈레이트 등), 폴리올레핀(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등),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염화비닐리덴, 폴리염화비닐,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폴리아세트산비닐, 폴리아미드, 폴리이미드, 셀룰로오스류, 불소계 수지, 폴리에테르, 폴리스티렌계 수지(폴리스티렌 등),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에테르술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보강층용 기재의 표면에는, 필요에 따라 점착제층 등과의 밀착성을 높이기 위하여 관용의 표면 처리, 예를 들어 크롬산 처리, 오존 폭로, 화염 폭로, 고압 전격 폭로, 이온화 방사선 처리 등의 화학적 또는 물리적 방법에 의한 산화 처리 등이 실시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양면 점착 테이프의 보강층의 두께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재박리성, 충격 흡수성, 단차 추종성, 지수성, 가공성, 시일성의 점에서 2 내지 250㎛가 바람직하고, 바람직하게는 4 내지 25㎛이다.
(표층의 점착제층)
본 발명의 양면 점착 테이프의 적어도 한쪽의 측의 표층의 점착제층은, 탄소수 4 내지 9의 직쇄 또는 분지쇄상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를 필수적인 단량체 성분으로 하여 구성되는 아크릴계 중합체, 점착 부여 수지, 가교제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된다. 양쪽의 표층의 점착제층은, 동일한 조성의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다른 조성의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점착제 조성물」은 「점착제를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이라고 하는 의미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의 양면 점착 테이프에서는, 보강층측의 표층의 점착제층이 탄소수 4 내지 9의 직쇄 또는 분지쇄상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를 필수적인 단량체 성분으로 하여 구성되는 아크릴계 중합체, 점착 부여 수지, 가교제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양면 점착 테이프를 통하여 부재(부품, 파트)를 목적물(예를 들어 용기, 하우징, 제품 등)의 원하는 위치에 고정하는 경우, 보강층측의 점착면을 부재에 부착하여, 발포체층측의 점착면을 목적물에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특히 보강층측의 표층의 점착제층에서 재박리성이 요구되기 때문이다.
상기의 점착제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의 탄소수 4 내지 9의 직쇄 또는 분지쇄상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를 필수적인 단량체 성분으로 하여 구성되는 아크릴계 중합체(간단히 「아크릴계 중합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의 함유량은, 고형분 전량에 대하여 50중량% 이상(예를 들어, 50 내지 95중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70중량% 이상(예를 들어, 70 내지 85중량%)이다.
상기의 아크릴계 중합체는, 탄소수 4 내지 9의 직쇄 또는 분지쇄상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를 필수적인 단량체 성분으로 하여 구성되며, 필요에 따라 이것과 공중합 가능한 공중합성 단량체를 중합(또는 공중합)한 중합체(공중합체)이다.
탄소수 4 내지 9의 직쇄 또는 분지쇄상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로서는,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산 부틸, (메트)아크릴산 이소부틸, (메트)아크릴산 s-부틸, (메트)아크릴산 t-부틸, (메트)아크릴산 펜틸, (메트)아크릴산 이소펜틸, (메트)아크릴산 헥실, (메트)아크릴산 헵틸, (메트)아크릴산 옥틸, (메트)아크릴산 2-에틸헥실, (메트)아크릴산 이소옥틸, (메트)아크릴산 노닐, (메트)아크릴산 이소노닐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메트)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된다.
상기의 탄소수가 4 내지 9인 직쇄 또는 분지쇄상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로서는, 저온 접착성이나 조면 접착성의 관점에서, 특히 아크릴산 부틸(BA), 아크릴산 2-에틸헥실(2EHA)이 바람직하다. 즉, 적합한 아크릴계 중합체로서는 아크릴산 부틸 혹은 아크릴산 2-에틸헥실 중 1종을 필수적인 단량체 성분으로 하여 구성되는 중합체; 아크릴산 부틸 및 아크릴산 2-에틸헥실을 필수적인 단량체 성분으로 하여 구성되는 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아크릴계 중합체가 아크릴산 부틸 및 아크릴산 2-에틸헥실을 필수적인 단량체 성분으로 하는 중합체인 경우, 아크릴산 부틸은, 아크릴산 부틸 및 아크릴산 2-에틸헥실의 전량(전체 중량)에 대하여 50중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탄소수가 4 내지 9인 직쇄 또는 분지쇄상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는 상기의 아크릴계 중합체를 구성하는 주 단량체 성분이므로, 아크릴계 중합체를 구성하는 단량체 성분 전량에 대한 (메트)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의 비율은, 예를 들어 80중량% 이상(예를 들어, 80 내지 99.9중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85중량% 이상(예를 들어, 85 내지 98중량%)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90중량% 이상(예를 들어, 90 내지 95중량%)이다.
상기의 아크릴계 중합체는, 상기와 같이, 구성하는 단량체 성분으로서, 극성기 함유 단량체나 다관능성 단량체 등의 각종 공중합성 단량체를 포함하여도 되지만, 단량체 성분으로서 공중합성 단량체를 포함함으로써, 예를 들어 표층의 점착제층에 있어서 피착체에의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거나, 표층의 점착제층의 응집력을 높이거나 할 수 있다. 또한, 공중합성 단량체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의 극성기 함유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산, 이타콘산, 말레산, 푸마르산, 크로톤산, 이소크로톤산 등의 카르복실기 함유 단량체 또는 그의 무수물(무수 말레산 등); (메트)아크릴산 히드록시에틸, (메트)아크릴산 히드록시프로필, (메트)아크릴산 히드록시부틸 등의 (메트)아크릴산 히드록시알킬 등의 수산기 함유 단량체; 아크릴아미드, 메타크릴아미드, N,N-디메틸(메트)아크릴아미드, N-메틸올(메트)아크릴아미드, N-메톡시메틸(메트)아크릴아미드, N-부톡시메틸(메트)아크릴아미드 등의 아미드기 함유 단량체; (메트)아크릴산 아미노에틸, (메트)아크릴산 디메틸아미노에틸, (메트)아크릴산 t-부틸아미노에틸 등의 아미노기 함유 단량체; (메트)아크릴산 글리시딜, (메트)아크릴산 메틸글리시딜 등의 글리시딜기 함유 단량체; 아크릴로니트릴이나 메타크릴로니트릴 등의 시아노기 함유 단량체; N-비닐-2-피롤리돈, (메트)아크릴로일모르폴린 외에, N-비닐피리딘, N-비닐피페리돈, N-비닐피리미딘, N-비닐피페라진, N-비닐피롤, N-비닐이미다졸, N-비닐옥사졸 등의 복소환 함유 비닐계 단량체; (메트)아크릴산 메톡시에틸, (메트)아크릴산 에톡시에틸 등의 (메트)아크릴산 알콕시알킬계 단량체; 비닐술폰산나트륨 등의 술폰산기 함유 단량체;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로일포스페이트 등의 인산기 함유 단량체; 시클로헥실말레이미드, 이소프로필말레이미드 등의 이미드기 함유 단량체; 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이소시아네이트기 함유 단량체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양면 점착 테이프에서는, 극성기 함유 단량체로서는 박리 시의 피착체에의 점착제 잔여를 억제하고, 또한 피착체로부터의 박리 용이성을 얻는 점에서 카르복실기 함유 단량체 또는 그의 무수물, 수산기 함유 단량체가 적합하며, 특히 아크릴산, 아크릴산 히드록시에틸이 보다 적합하다.
특히, 본 발명의 양면 점착 테이프에서는, 박리 시의 피착체에의 점착제 잔여를 억제하고, 또한 피착체로부터의 박리 용이성을 얻는 점에서 아크릴계 중합체를 구성하는 단량체 성분으로서 극성기 함유 단량체를 포함하는 경우, 카르복실기 함유 단량체 또는 그의 무수물, 및 수산기 함유 단량체의 양쪽을 동시에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극성기 함유 단량체의 비율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점착면에서의 점착성과 재박리성의 밸런스의 점에서, 아크릴계 중합체를 구성하는 단량체 성분 전량에 대하여 15중량% 이하(예를 들어 0.01 내지 15중량%)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중량% 이하(예를 들어 0.1 내지 10중량%)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5중량% 이하(예를 들어 0.1 내지 5중량%)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3중량% 이하(예를 들어 0.1 내지 3중량%)이다.
또한, 상기의 다관능성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어 헥산디올 디(메트)아크릴레이트, 부탄디올 디(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디(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 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테트라메틸올메탄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알릴 (메트)아크릴레이트, 비닐 (메트)아크릴레이트, 디비닐벤젠, 에폭시아크릴레이트, 폴리에스테르아크릴레이트, 우레탄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다관능성 단량체의 비율로서는, 아크릴계 중합체를 구성하는 단량체 성분 전량에 대하여 2중량% 이하(예를 들어, 0.01 내지 2중량%)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2 내지 1중량%이다. 다관능성 단량체의 비율이 2중량%를 초과하면, 표층의 점착제층의 응집력이 지나치게 높아져 점착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또한, 다관능성 단량체의 비율이 지나치게 적으면(예를 들어 아크릴계 중합체를 구성하는 단량체 성분 전량에 대하여 0.01중량% 미만이면), 예를 들어 표층의 점착제층의 응집력이 저하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상기의 아크릴계 중합체는, 상기의 극성기 함유 단량체나 다관능성 단량체 외에도, 구성하는 공중합성 단량체 성분으로서, 예를 들어 아세트산 비닐, 프로피온산 비닐 등의 비닐에스테르류; 스티렌, 비닐톨루엔 등의 방향족 비닐 화합물; 에틸렌, 부타디엔, 이소프렌, 이소부틸렌 등의 올레핀 또는 디엔류; 비닐알킬에테르 등의 비닐에테르류; 염화비닐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시클로펜틸(메트)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보르닐(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지환식 탄화수소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아크릴계 중합체는, 구성하는 공중합성 단량체 성분으로서,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산 메틸, (메트)아크릴산 에틸, (메트)아크릴산 프로필, (메트)아크릴산 이소프로필 등의 탄소수 1 내지 3의 직쇄 또는 분지쇄상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나, (메트)아크릴산 데실, (메트)아크릴산 이소데실, (메트)아크릴산 운데실, (메트)아크릴산 도데실, (메트)아크릴산 트리데실, (메트)아크릴산 테트라데실, (메트)아크릴산 펜타데실, (메트)아크릴산 헥사데실, (메트)아크릴산 헵타데실, (메트)아크릴산 옥타데실, (메트)아크릴산 노나데실, (메트)아크릴산 에이코실 등의 탄소수 10 내지 20의 직쇄 또는 분지쇄상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를 포함하여도 된다.
특히, 상기의 아크릴계 중합체는, 본 발명의 양면 점착 테이프의 점착면에서 점착 특성과 재박리성의 양쪽의 특성을 보다 효과적으로 발휘시키도록 하는 점에서, 탄소수 4 내지 9의 직쇄 또는 분지쇄상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 카르복실기 함유 단량체 및 수산기 함유 단량체를 필수적인 단량체 성분으로 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점착제 조성물에 첨가제로서 후술하는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를 포함하는 경우에, 아크릴계 중합체는 탄소수 4 내지 9의 직쇄 또는 분지쇄상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 카르복실기 함유 단량체 및 수산기 함유 단량체를 필수적인 단량체 성분으로 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양면 점착 테이프의 점착면에서 점착 특성과 재박리성의 양쪽의 특성을 보다 높은 레벨에서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의 아크릴계 중합체가 탄소수 4 내지 9의 직쇄 또는 분지쇄상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 카르복실기 함유 단량체 및 수산기 함유 단량체를 필수적인 단량체 성분으로 하여 구성되는 경우에 있어서의 각 단량체 성분의 비율은, 상기의 효과를 보다 효과적으로 얻는 점에서 아크릴계 중합체를 구성하는 단량체 성분 전량에 대하여, 탄소수 4 내지 9의 직쇄 또는 분지쇄상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 80 내지 99.9중량%, 카르복실기 함유 단량체 0.1 내지 10중량%, 수산기 함유 단량체 0.01 내지 5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아크릴계 중합체를 구성하는 단량체 성분 전량에 대하여, 탄소수 4 내지 9의 직쇄 또는 분지쇄상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 85 내지 95중량%, 카르복실기 함유 단량체 0.1 내지 5중량%, 수산기 함유 단량체 0.05 내지 3중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의 아크릴계 중합체는, 상기의 단량체 성분을 공지 내지 관용의 중합 방법에 의해 중합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아크릴계 중합체의 중합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용액 중합 방법, 유화 중합 방법, 괴상 중합법이나 활성 에너지선 조사에 의한 중합 방법(활성 에너지선 중합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투명성, 내수성, 비용 등의 점에서, 용액 중합 방법, 활성 에너지선 중합 방법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용액 중합 방법이다.
용액 중합 시에는, 각종 일반적인 용제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제로서는 아세트산 에틸, 아세트산 n-부틸 등의 에스테르류; 톨루엔, 벤젠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류; n-헥산, n-헵탄 등의 지방족 탄화수소류; 시클로헥산, 메틸시클로헥산 등의 지환식 탄화수소류;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등의 케톤류 등의 유기 용제를 들 수 있다. 용제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아크릴계 중합체의 중합 시에는 중합 개시제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중합 개시제로서는 공지 내지 관용의 것 중에서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어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2,2'-아조비스(4-메톡시-2,4-디메틸발레로니트릴), 2,2'-아조비스(2,4-디메틸발레로니트릴), 2,2'-아조비스(2-메틸부티로니트릴), 1,1'-아조비스(시클로헥산-1-카르보니트릴), 2,2'-아조비스(2,4,4-트리메틸펜탄), 디메틸-2,2'-아조비스(2-메틸프로피오네이트) 등의 아조계 중합 개시제; 벤조일퍼옥시드, t-부틸히드로퍼옥시드, 디-t-부틸퍼옥시드, t-부틸퍼옥시벤조에이트, 디쿠밀퍼옥시드, 1,1-비스(t-부틸퍼옥시)-3,3,5-트리메틸시클로헥산, 1,1-비스(t-부틸퍼옥시)시클로도데칸 등의 과산화물계 중합 개시제 등의 유용성 중합 개시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중합 개시제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중합 개시제의 사용량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종래 중합 개시제로서 이용 가능한 범위이면 된다.
본 발명의 양면 점착 테이프의 표층의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점착제 조성물에 포함되는 가교제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에폭시계 가교제, 멜라민계 가교제, 과산화물계 가교제 외에, 요소계 가교제, 금속 알콕시드계 가교제, 금속 킬레이트계 가교제, 금속염계 가교제, 카르보디이미드계 가교제, 옥사졸린계 가교제, 아지리딘계 가교제, 아민계 가교제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양면 점착 테이프의 표층의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점착제 조성물에 가교제를 포함시키는 것은, 투묘성을 향상시켜, 점착제층의 응집 파괴를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가교제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표층의 점착제층에 포함되는 상기의 아크릴계 중합체를 가교시켜, 점착제층의 응집력을 한층 크게 할 수 있고, 점착면에서의 점착 특성과 재박리성을 보다 고도의 밸런스로 양립할 수 있는 점에서,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다관능성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어 1,2-에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1,4-부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1,6-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저급 지방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류; 시클로펜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시클로헥실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수소 첨가 톨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수소 첨가 크실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지환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류; 2,4-톨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2,6-톨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크실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방향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류 등을 들 수 있고, 그 외 트리메틸올프로판/톨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부가물[닛본 폴리우레탄 고교(주)제, 상품명 「콜로네이트 L」], 트리메틸올프로판/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부가물[닛본 폴리우레탄 고교(주)제, 상품명 「콜로네이트 HL」] 등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양면 테이프의 표층의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점착제 조성물은,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를 포함하는 경우, 동시에 공중합성 단량체로서의 수산기 함유 단량체를 포함하는 단량체 성분을 공중합함으로써 얻어지는 아크릴계 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점착제 조성물 중의 가교제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아크릴계 중합체를 가교시켜, 점착제층의 응집력을 한층 크게 할 수 있고, 점착면에서의 점착 특성과 재박리성을 보다 고도의 밸런스로 양립할 수 있는 점에서, 아크릴계 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0.001 내지 1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7중량%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중량%이다.
본 발명의 양면 점착 테이프의 표층의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점착제 조성물에 포함되는 점착 부여 수지(점착 부여제)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테르펜계 점착 부여 수지, 페놀계 점착 부여 수지, 로진계 점착 부여 수지, 석유계 점착 부여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양면 점착 테이프의 표층의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점착제 조성물에 점착 부여 수지를 포함시키는 것은, 점착 특성을 유지하면서 응집 파괴를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점착제층의 응집 파괴가 발생하면, 예를 들어 양면 점착 테이프를 피착체에 접합하고 나서 떼어낼 때에 피착체에 점착제층이 잔존하는 등의 문제를 발생시켜, 재박리성에 악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또한, 점착 부여 수지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의 테르펜계 점착 부여 수지로서는, 예를 들어 α-피넨 중합체, β-피넨 중합체, 디펜텐 중합체 등의 테르펜계 수지나, 이들 테르펜계 수지를 변성(페놀 변성, 방향족 변성, 수소 첨가 변성, 탄화수소 변성 등)한 변성 테르펜계 수지(예를 들어, 테르펜 페놀계 수지, 스티렌 변성 테르펜계 수지, 방향족 변성 테르펜계 수지, 수소 첨가 테르펜계 수지 등) 등을 들 수 있다.
상기의 페놀계 점착 부여 수지로서는, 각종 페놀류(예를 들어, 페놀, m-크레졸, 3,5-크실레놀, p-알킬페놀, 레조르신 등)와 포름알데히드의 축합물(예를 들어, 알킬페놀계 수지, 크실렌포름알데히드계 수지 등), 상기 페놀류와 포름알데히드를 알칼리 촉매에 의해 부가 반응시킨 레졸이나, 상기 페놀류와 포름알데히드를 산 촉매에 의해 축합 반응시켜 얻어지는 노볼락 외에, 로진류(미변성 로진, 변성 로진이나, 각종 로진 유도체 등)에 페놀을 산 촉매에 의해 부가시켜 열중합함으로써 얻어지는 로진 변성 페놀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상기의 로진계 점착 부여 수지로서는, 예를 들어 검 로진, 우드 로진, 톨유 로진 등의 미변성 로진(생 로진)이나, 이들 미변성 로진을 수소 첨가화, 불균화, 중합 등에 의해 변성한 변성 로진(수소 첨가 로진, 불균화 로진, 중합 로진 외에,기타 화학적으로 수식된 로진 등) 외에, 각종 로진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로진 유도체로서는, 예를 들어 미변성 로진을 알코올류에 의해 에스테르화한 로진의 에스테르 화합물이나, 수소 첨가 로진, 불균화 로진, 중합 로진 등의 변성 로진을 알코올류에 의해 에스테르화한 변성 로진의 에스테르 화합물 등의 로진 에스테르류; 미변성 로진이나 변성 로진(수소 첨가 로진, 불균화 로진, 중합 로진 등)을 불포화 지방산에 의해 변성한 불포화 지방산 변성 로진류; 로진 에스테르류를 불포화 지방산에 의해 변성한 불포화 지방산 변성 로진 에스테르류; 미변성 로진, 변성 로진(수소 첨가 로진, 불균화 로진, 중합 로진 등), 불포화 지방산 변성 로진류나 불포화 지방산 변성 로진 에스테르류에서의 카르복실기를 환원 처리한 로진 알코올류; 미변성 로진, 변성 로진이나, 각종 로진 유도체 등의 로진류(특히, 로진 에스테르류)의 금속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의 석유계 점착 부여 수지로서는, 예를 들어 방향족계 석유 수지, 지방족계 석유 수지, 지환족계 석유 수지(지방족 환상 석유 수지), 지방족ㆍ방향족계 석유 수지, 지방족ㆍ지환족계 석유 수지, 수소 첨가 석유 수지, 쿠마론계 수지, 쿠마론인덴계 수지 등의 공지된 석유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방향족계 석유 수지로서는, 예를 들어 탄소수가 8 내지 10인 비닐기 함유 방향족계 탄화수소(스티렌, o-비닐톨루엔, m-비닐톨루엔, p-비닐톨루엔, α-메틸스티렌, β-메틸스티렌, 인덴, 메틸인덴 등)가 1종만 또는 2종 이상 사용된 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방향족계 석유 수지로서는 비닐톨루엔이나 인덴 등의 증류분(소위 「C9 석유 증류분」)으로부터 얻어지는 방향족계 석유 수지(소위 「C9계 석유 수지」)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지방족계 석유 수지로서는, 예를 들어 탄소수 4 내지 5의 올레핀이나 디엔[부텐-1, 이소부틸렌, 펜텐-1 등의 올레핀; 부타디엔, 피페릴렌(1,3-펜타디엔), 이소프렌 등의 디엔 등]이 1종만 또는 2종 이상 사용된 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지방족계 석유 수지로서는 부타디엔, 피페릴렌이나 이소프렌 등의 증류분(소위 「C4 석유 증류분」이나 「C5 석유 증류분」 등)으로부터 얻어지는 지방족계 석유 수지(소위 「C4계 석유 수지」나 「C5계 석유 수지」 등)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지환족계 석유 수지로서는, 예를 들어 지방족계 석유 수지(소위 「C4계 석유 수지」나 「C5계 석유 수지」 등)를 환화 2량체화한 후 중합시킨 지환식 탄화수소계 수지, 환상 디엔 화합물(시클로펜타디엔, 디시클로펜타디엔, 에틸리덴노르보르넨, 디펜텐, 에틸리덴비시클로헵텐, 비닐시클로헵텐, 테트라히드로인덴, 비닐시클로헥센, 리모넨 등)의 중합체 또는 그의 수소 첨가물, 상기의 방향족계 탄화수소 수지나, 하기의 지방족ㆍ방향족계 석유 수지의 방향환을 수소 첨가한 지환식 탄화수소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지방족ㆍ방향족계 석유 수지로서는 스티렌-올레핀계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지방족ㆍ방향족계 석유 수지로서는, 소위 「C5/C9 공중합계 석유 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점착 부여 수지로서, 예를 들어 스미또모 베이크라이트(주)제, 상품명 「스미라이트 레진 PR-12603」, 아라까와 가가꾸 고교(주)제, 상품명 「펜셀 D125」 등의 시판품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점착 부여 수지로서는, 점착면에서의 점착 특성과 재박리성을 보다 고도의 레벨에서 양립시키는 점에서 로진계 점착 부여 수지가 바람직하고, 특히 로진 에스테르류가 바람직하다.
또한, 점착면에서의 점착 특성과 재박리성을 보다 고도의 레벨에서 양립시키는 점에서, 특히 80 내지 180℃의 연화점을 갖는 점착 부여 수지가 바람직하고, 85 내지 160℃의 연화점을 갖는 점착 부여 수지가 보다 바람직하다. 특히, 보다 구체적으로는 130℃ 미만(예를 들어 90℃ 초과 130℃ 미만의 범위)의 연화점을 갖는 점착 부여 수지가 바람직하다. 따라서, 연화점이 130℃ 미만인 중합 로진 에스테르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점착 부여 수지의 연화점은, 환구법(예를 들어 JIS K 5902에 규정되는 환구법)에 의해 측정된 값으로서 정의된다.
점착제 조성물 중의 점착 부여 수지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점착 특성과 재박리성을 양립시키는 점에서, 아크릴계 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50중량부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45중량부이다.
또한, 표층의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점착제 조성물에는, 상기의 아크릴계 중합체, 가교제, 점착 부여 수지 외에 첨가제가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이러한 첨가제로서는, 예를 들어 가소제, 충전제, 노화 방지제, 산화 방지제, 착색제(카본 블랙 등의 안료나 염료 등), 가교 촉진제(가교 보조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의 점착제 조성물은, 예를 들어 아크릴계 중합체, 가교제, 점착 부여 수지를 혼합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대표적인 예로서는, 탄소수 4 내지 9의 직쇄 또는 분지쇄상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용액 중합하여 얻은 아크릴계 중합체를 포함하는 조성물(예를 들어, 아크릴계 중합체와 용제로 이루어지는 조성물)에 가교제 및 점착 부여 수지를 혼합하는 것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양면 점착 테이프의 표층의 점착제층의 형성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소정의 면에, 상기의 점착제 조성물을 도포하여 형성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상기 형성 방법에서는, 필요에 따라 가열이나 건조, 활성 에너지선 조사(예를 들어 자외선 조사 등) 등을 행하여도 된다.
본 발명의 양면 점착 테이프의 표층의 점착제층의 겔분율(특히 보강층측의 표층의 점착제층의 겔분율)은, 점착 특성과 재박리성을 높은 레벨에서 양립시키는 점에서 10 내지 60중량%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0중량%이다.
상기의 겔분율은 아세트산 에틸 불용분으로서 구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점착제층을 아세트산 에틸 중에 23℃에서 7일간 침지한 후의 불용분의, 침지전의 시료에 대한 중량분율(단위: 중량%)로서 구해진다.
구체적으로는, 이하의 「겔분율의 측정 방법」에 의해 산출되는 값이다.
(겔분율의 측정 방법)
본 발명의 양면 점착 테이프로부터 겔분율을 구하는 표층의 점착제층: 약 0.1g을 채취하여, 평균 구멍 직경 0.2㎛의 다공질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시트(상품명 「NTF1122」,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제)에 싼 후, 연실로 묶고, 그 때의 중량을 측정하여, 상기 중량을 침지 전 중량으로 한다. 또한, 상기 침지 전 중량은, 점착제층과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시트와 연실의 총 중량이다. 또한,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시트와 연실의 합계 중량도 측정해 두고, 상기 중량을 포대 중량으로 한다.
이어서, 점착제층을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시트로 싸서 연실로 묶은 것(「샘플」이라고 칭함)을, 아세트산 에틸로 채운 50ml 용기에 넣고, 23℃에서 7일간 정치한다. 그 후, 용기로부터 샘플(아세트산 에틸 처리 후)을 취출하여 알루미늄제 컵에 옮기고, 130℃에서 2시간 건조기 중에서 건조하여 아세트산 에틸을 제거한 후, 중량을 측정하여, 상기 중량을 침지 후 중량으로 한다.
그리고, 하기 식으로부터 겔분율을 산출한다.
겔분율(중량%)=((A-B)/(C-B))×100
(상기 식에 있어서, A는 침지 후 중량이고, B는 포대 중량이고, C는 침지 전 중량이다.)
상기의 겔분율은, 예를 들어 점착제 조성물 중의 아크릴계 중합체를 구성하는 단량체 성분의 조성, 아크릴계 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 가교제의 비율 등에 의해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양면 점착 테이프에 있어서, 발포체층측의 표층의 점착제층으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공지 관용의 점착제(감압성 접착제)를 주성분으로 하여 형성되는 점착제층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점착제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아크릴계 점착제, 고무계 점착제, 비닐알킬에테르계 점착제, 실리콘계 점착제, 폴리에스테르계 점착제, 폴리아미드계 점착제, 우레탄계 점착제, 불소계 점착제, 에폭시계 점착제 등의 공지된 점착제를 들 수 있다. 이들 점착제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점착제는 어느 형태를 갖고 있는 점착제이어도 되며, 예를 들어 에멀전형 점착제, 용제형 점착제, 열용융형 점착제(핫 멜트형 점착제),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점착제(특히 자외선 경화형 점착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발포체층측의 표층의 점착제층에는 적당한 첨가제가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발포체층측의 표층의 점착제층은, 보강층측의 표층의 점착제층과 동일 또는 거의 동일한 조성의 점착제층이어도 된다. 점착 테이프의 생산성의 점에서는 발포체층측의 표층의 점착제층과 보강층측의 표층의 점착제층은 동일 또는 거의 동일한 조성의 점착제층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양면 점착 테이프의 한쪽의 측의 표층의 점착제층의 두께는, 양면 점착 테이프의 총 두께가 500㎛를 초과하지 않는 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충분한 점착성과 재박리성을 확보하는 점에서 2 내지 140㎛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100㎛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75㎛이다. 또한, 본 발명의 양면 점착 테이프에 있어서, 양측의 표층의 점착제층의 두께는 동일하여도 되고, 상이하여도 된다. 또한, 표층의 점착제층은 단층, 다층의 어느 형태를 가져도 된다.
예를 들어, 발포체층의 편면측에 점착제층을 갖고, 발포체층의 다른쪽의 면측에 점착제층을 개재하여 보강층을 갖고, 또한 상기 보강층 상에 점착제층을 갖는 구성(점착제층/발포체층/점착제층/보강층/점착제층의 적층 구성, 도 1)의 양면 점착 테이프에서는 보강층측의 점착제층의 두께는 2 내지 140㎛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100㎛이며, 한편, 발포체층측의 점착제층의 두께는 2 내지 140㎛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100㎛이다.
(다른 층)
본 발명의 양면 점착 테이프는,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층(예를 들어, 중간층, 하도층 등)을 가져도 된다. 또한, 보강층과 발포체층의 사이에 보강층과 발포체층을 고정하는 점착제층(예를 들어, 공지된 점착제층이나 상기의 표층의 점착제층과 동일한 점착제층 등)을 가져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양면 점착 테이프의 총 두께는 한쪽의 점착면부터 다른쪽의 점착면까지의 두께를 말하므로, 다른 층의 두께는 양면 점착 테이프의 총 두께에 포함된다.
(박리 라이너)
본 발명의 양면 점착 테이프의 점착면은, 사용 시까지 박리 라이너(세퍼레이터)에 의해 보호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양면 점착 테이프의 각 점착면은, 2매의 박리 라이너에 의해 각각 보호되어 있어도 되고, 양면이 박리면으로 되어 있는 1매의 박리 라이너에 의해 롤 형상으로 권회되는 형태로 보호되어 있어도 된다. 박리 라이너는 점착면의 보호재로서 사용되고 있고, 피착체에 부착할 때에 떼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박리 라이너가 사용되고 있는 경우, 상기 박리 라이너의 두께는 양면 점착 테이프에서의 총 두께에는 포함되지 않는다.
이러한 박리 라이너로서는 관용의 박리지 등을 사용할 수 있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박리 처리층을 갖는 기재, 불소계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저접착성 기재, 무극성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저접착성 기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박리 처리층을 갖는 기재로서는, 예를 들어 실리콘계, 장쇄 알킬계, 불소계, 황화몰리브덴 등의 박리 처리제에 의해 표면 처리된 플라스틱 필름이나 종이 등을 들 수 있다. 불소계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저접착성 기재에서의 불소계 중합체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폴리불화비닐, 폴리불화비닐리덴,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ㆍ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 클로로플루오로에틸렌ㆍ불화비닐리덴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무극성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저접착성 기재의 무극성 중합체로서는, 예를 들어 올레핀계 수지(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박리 라이너는 공지 내지 관용의 방법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박리 라이너의 두께 등도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양면 점착 테이프)
본 발명의 양면 점착 테이프 중 적어도 한쪽의 측의 점착면(특히 보강층측의 점착면)에서는, 하기의 재박리성 평가 시험에 있어서 점착제 잔여를 발생시키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재박리성 평가 시험: 양면 점착 테이프(폭 10mm×길이 100mm)를 유리판(마쯔나미 글래스 고교 가부시끼가이샤제, 상품명 「슬라이드 글래스, 백연마 NO.1」)에 부착하고, 23℃, 50%RH의 분위기 하에서 30분간 방치한 후, 박리 각도 180°, 인장 속도 5m/분의 조건에서, 상기 유리판으로부터 양면 점착 테이프를 떼어냈을 때의 상기 유리판 표면에의 점착제 잔여의 유무를 육안으로 평가한다.
이러한 점착면에서는 피착체에 부착한 후, 재박리할 때에 피착체에의 점착제 잔여나 오염을 억제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양면 점착 테이프의 피착체로부터 박리될 때의 거동(재박리의 거동)은 고속에서의 박리 현상과 관련되는데, 이 고속에서의 박리(고속 박리; 예를 들어, 인장 속도가 5m/min이나 10m/min인 경우 등)에서는 재박리성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양면 점착 테이프에서는, 특히, 피착체와 양면 점착 테이프의 계면에서 박리되는 계면 박리의 상태에서 박리되지 않으면 안되고, 또한 발포체층과 점착제층의 사이에서의 층간 박리, 발포체층의 파손, 발포체층이 터지는 것에 의한 층간 파괴 등을 억제할 필요가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양면 점착 테이프 중 적어도 한쪽의 측의 점착면(특히 보강층측의 점착면)에 있어서, 피착체에 대한 180°박리 점착력(23℃, 50%RH, 인장 속도 5m/min, 박리 각도 180°의 박리 조건)이 15N/10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피착체와 양면 점착 테이프의 계면에서 계면 박리할 수 없는 문제나, 발포체층과 점착제층 사이에서의 층간 박리, 발포체층의 파손, 발포체층이 터지는 것에 의한 층간 파괴 등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어, 재박리성을 발휘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180°박리 점착력을 고속 박리력[피착체로부터 고속 박리 조건(23℃, 50%RH, 인장 속도: 5m/min, 박리 각도: 180°의 조건)에서 박리시켜 측정하였을 때의 점착력]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점착면의 고속 박리력은 보다 양호한 재박리성을 얻는 점에서, 10N/10mm 이하(예를 들어 2 내지 10N/10mm)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양면 점착 테이프에서는, 예를 들어 적어도 한쪽의 측의 점착면(특히 보강층측의 점착면)의 180°박리 점착력(23℃, 50%RH, 인장 속도 5m/min, 박리 각도 180°의 박리 조건, 유리판에 대한)이 15N/10mm 이하이므로, 유리판과 양면 점착 테이프의 계면에서 계면 박리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하거나, 발포체층과 점착제층의 사이에서의 층간 박리, 발포체층의 파손, 발포체층이 터지는 것에 의한 층간 파괴 등이 발생하는 일이 없고, 피착체인 유리판에 대하여 양호한 재박리성을 발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양면 점착 테이프의 적어도 한쪽의 측의 점착면(특히 보강층측의 점착면)은, 상기의 유리판 외에 SUS판, Al판(알루미늄판) 등의 금속판, PET 필름, PC판(폴리카르보네이트판) 등의 플라스틱 필름이나 플라스틱제의 판, 이들 복합 소재 등의 피착체에 대해서도 15N/10mm 이하의 고속 박리력을 갖는다. 이로 인해, 이들 피착체에 대해서도 양호한 재박리성을 발휘한다.
본 발명의 양면 점착 테이프의 적어도 한쪽의 측의 점착면(특히 보강층측의 점착면)은 상기의 구성을 가지므로, 재박리성이 우수하다.
본 발명의 양면 점착 테이프에서는, 적어도 보강층측의 점착면에서, 재박리성 평가 시험에 있어서 점착제 잔여를 발생시키지 않고, 또한 180°박리 점착력(23℃, 50%RH, 인장 속도 5m/min, 박리 각도 180°의 박리 조건, 유리판에 대한)이 15N/10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양면 점착 테이프를 통하여 부재(부품, 파트)를 목적물(예를 들어 용기, 하우징, 제품 등)의 원하는 위치에 고정이나 부착하는 경우, 재박리성의 점에서, 보강층측의 점착면을 부재에 부착하여, 발포체층측의 점착면을 목적물에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의 양면 점착 테이프는, 적어도 한쪽의 측의 점착면(특히 보강층측의 점착면)에서, 180°박리 점착력(23℃, 50%RH, 인장 속도 5m/min, 박리 각도 180°의 박리 조건, 유리판에 대한)이 15N/10mm 이하이고, 또한 상기의 재박리성 평가 시험에서 점착제 잔여가 발생하지 않으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양면 점착 테이프는, 이들 요건을 충족시키면, 표층의 점착제층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탄소수 4 내지 9의 직쇄 또는 분지쇄상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를 필수적인 단량체 성분으로 하여 구성되는 아크릴계 중합체, 점착 부여 수지, 가교제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되는 점착제층 이외의 점착제층이어도 된다.
또한, 일반적으로, 양면 점착 테이프의 피착체에 결합하는 거동이나 피착체에 유지하는 거동은, 저속에서의 박리 현상과 관련되어 있으며, 이 저속에서의 박리(저속 박리; 예를 들어, 인장 속도가 300mm/min인 경우 등)에서는 충분한 접착 신뢰성을 발휘하고, 양면 점착 테이프의 사용 시에 피착체로부터 박리되지 않을 정도로 충분한 접착력을 갖고 있을 필요가 있다. 피착체로부터의 저속 박리 시의 박리력이 2.5N/10mm 이하이면, 피착체에 대하여 충분한 접착력을 발휘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양면 점착 테이프에서는, 적어도 한쪽의 측의 점착면(특히 보강층측의 점착면)에서의 180°박리 점착력(23℃, 50%RH, 인장 속도 300mm/min, 박리 각도 180°의 박리 조건)은 2.5N/10mm 이상(예를 들어 2.5 내지 15N/10mm)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0N/10mm 이상(예를 들어 5.0 내지 14N/10mm)이다. 또한, 상기 180°박리 점착력을 저속 박리력[저속 박리 조건(23℃, 50%RH, 인장 속도: 300mm/min, 박리 각도: 180°의 조건)에서 박리시켜 측정하였을 때의 점착력]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양면 점착 테이프의 적어도 한쪽의 측의 점착면(특히 보강층측의 점착면)에 있어서, 재박리성 평가 시험에 있어서 점착제 잔여를 발생시키지 않는 특성, 상기의 고속 박리력, 상기의 저속 박리력은, 표층의 점착제층에 포함되는 아크릴계 중합체의 단량체 조성이나 중량 평균 분자량; 가교제나 점착 부여 수지의 종류나 그 양의 선택; 표층의 점착제층의 겔분율을 제어하는 것 등에 의해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양면 점착 테이프에 있어서, 압축 하중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충격 흡수성, 단차 추종성, 지수성, 가공성, 시일성 등의 점에서, 처음 두께의 20%만큼 압축하였을 때의 압축 하중으로, 예를 들어 0.1 내지 300kPa이 바람직하고,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250kPa이다.
압축 하중은, 하기 식에 의해 정의된다.
압축 하중=(양면 점착 테이프를 10매 겹친 것을 10mm/min으로 처음 두께의 소정의 두께분만큼 압축하였을 때의 하중)÷(양면 점착 테이프의 면적)
또한, 양면 점착 테이프의 면적은 30cm×30cm로 한다.
본 발명의 양면 점착 테이프는 발포체층을 갖고 있으므로, 보강층의 소재나 두께에 상관없이 상기의 압축 하중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양면 점착 테이프가 보강층으로서 단단한 소재의 보강층(예를 들어, 상기의 금속계 시트나 플라스틱계 시트 등)을 갖고 있어도 동시에 발포체층을 갖고 있으므로, 상기의 압축 하중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양면 점착 테이프의 압축 하중은, 발포체층, 보강층 및 점착제층의 두께나 종류, 발포체층의 발포 배율, 기포 구조 등을 선택함으로써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양면 점착 테이프에 있어서, 상기와 같은 압축 하중을 갖고 있으면, 단차 추종성이 양호해지고, 시일 기능도 향상된다.
본 발명의 양면 점착 테이프에 있어서, 예를 들어 2kg의 롤러 1왕복의 압축 하중으로 폴리카르보네이트판과 아크릴판을 접합하였을 때의 가압 접착력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내부 재료의 응력에 의한 박리 방지의 점에서, 예를 들어 30 내지 100N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80N이다.
이러한 가압 접착력은 발포체층, 보강층 및 점착제층의 두께나 종류, 발포체층의 발포 배율 등을 조정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양면 점착 테이프에서는 발포체층을 가지므로, 압축 하중마다의 가압 접착력의 편차는 작고, 경압착으로도 충분한 가압 접착력을 확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500g이라고 하는 작은 압축 하중이라도 접착 면적을 100% 확보할 수 있는 가압 접착력에 대하여 80 내지 90% 정도의 가압 접착력을 확보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양면 점착 테이프는 접착 신뢰성이 우수하고, 또한 작업성도 우수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양면 점착 테이프는, 부착 시의 압축 하중을 크게 하는 것이 곤란한 피착체(예를 들어, 깨지기 쉬운 피착체, 연한 피착체, 표면에 요철이 있는 피착체 등)에 대하여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가압 접착력은 가로: 40cm, 세로: 60cm, 폭: 1mm의 창틀 형상의 양면 점착 테이프에 의해, 소정의 압축 하중으로, 폴리카르보네이트판과 아크릴판을 접합함으로써 얻어지는 측정 샘플을, 아크릴판을 10mm/min으로 내부로부터 외부를 향하여 아크릴판의 두께 방향으로 가압하여, 아크릴판과 폴리카르보네이트판이 분리될 때까지의 최대 응력으로서 정의된다.
또한, 본 발명의 양면 점착 테이프는 발포체층을 갖기 때문에, 낙하 충격 특성이 우수하다. 이로부터도 본 발명의 양면 점착 테이프는 양호한 접착 신뢰성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양면 점착 테이프는, 발포체층이 충격 흡수 시에 응력을 완화하는 점에서, 저온 하(예를 들어 -30 내지 10℃ 정도)라도, 고온 하(예를 들어 30 내지 50℃ 정도)라도 충격 낙하 특성이 우수하다.
본 발명의 양면 점착 테이프에 있어서, 절연 파괴 전압(절연 파괴 강도)은 2 내지 40kV/mm가 바람직하고, 바람직하게는 4 내지 15kV/mm이다.
본 발명의 양면 점착 테이프는 발포체층과 함께 보강층을 갖기 때문에, 보강층의 재질을 선택함으로써 절연성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양면 점착 테이프는, 전자 부품의 고정 등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절연성이 우수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양면 점착 테이프는 발포체층을 착색하는 것 등에 의해, 투과율이나 반사율 등의 광학 특성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양면 점착 테이프를 차광 용도에 사용하는 경우, 발포체층이나 보강층을 흑색 착색함으로써, 가시광 투과율을 15% 이하(예를 들어 0 내지 15%),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이하(예를 들어 0 내지 1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양면 점착 테이프를 광 반사 용도에 사용하는 경우, 발포체층이나 보강층을 백색 착색함으로써, 가시광 반사율을 20% 이상(예를 들어 20 내지 100%),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이상(예를 들어 25 내지 100%)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광학 특성을 제어한 양면 점착 테이프는, 예를 들어 광 확산 부재, 산란 소자 부재, 집광 부재 등의 광학 부재로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양면 점착 테이프는, 공지 내지 관용의 방법을 사용하여 제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i) 상기 점착제 조성물을 사용하여, 발포체층이나 보강층 등의 소정의 면 위에 점착제층을 형성하고, (ii) 상기 점착제층 상에 발포체층이나 보강층 등을 형성하거나, 상기 점착제층을 최표층으로 함으로써 제작할 수 있다. 상기의 (i) 점착제 조성물을 사용하여 발포체층이나 보강층 등의 소정의 면 위에 점착제층을 형성할 때에 사용되는 구체적인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발포체층이나 보강층 등의 소정의 면 위에 상기 점착제 조성물을 도포하고, 필요에 따라 가열이나 건조 등을 행하여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방법(직사법)이나, 적당한 지지체의 면 위(예를 들어, 박리 라이너의 박리 처리된 면 위 등)에, 상기 점착제 조성물을 도포하고, 필요에 따라 가열이나 건조 등을 행하여 점착제층을 형성하고 나서, 상기 적당한 지지체의 면 위의 점착제층(예를 들어, 박리 라이너의 박리 처리된 면 위의 점착제층 등)을, 발포체층이나 보강층 등의 소정의 면 위에 전사하는 방법(전사법)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1의 양면 점착 테이프(점착제층/발포체층/점착제층/보강층/점착제층의 적층 구성을 갖는 양면 점착 테이프)는, (i) 발포체층의 편면측에 직사법이나 전사법 등에 의해 점착제층을 형성하여 상기 점착제층 상에 보강층을 형성하는 것이나, 보강층의 편면측에 직사법이나 전사법 등에 의해 점착제층을 형성하여 상기 점착제층 상에 발포체층을 형성하는 것 등에 의해, 발포체층/점착제층/보강층의 적층 구조를 얻고, (ii) 상기 적층 구조의 발포체층측의 면 및 보강층측의 면의 양쪽에, 직사법이나 전사법 등에 의해 점착제층을 형성함으로써 제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양면 점착 테이프는 발포체층을 가지므로, 충격 흡수성, 단차 추종성, 지수성, 가공성, 시일성 등의 특성이 우수하다.
여기서, 발포체층의 양면측에 점착제층을 갖는 양면 점착 테이프(본 발명의 양면 점착 테이프로부터 보강층을 제외한 것에 상당하는, 점착제층/발포체층/점착제층의 구성)를 피착체에 고정하고 나서 피착체로부터 떼어내는 경우(예를 들어 리워크하는 경우나 사용 후에 떼어내는 경우 등), 발포체층은 유연성이 풍부하기는 하지만 강도가 떨어지는 경우가 있고, 발포체층과 점착제층의 사이에서의 층간 박리, 발포체층의 파손, 발포체층이 터지는 것에 의한 층간 파괴, 피착체에의 점착제의 잔존 등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상기의 양면 점착 테이프(점착제층/발포체층/점착제층의 구성)를 부재(부품, 파트)의 회수나 해체 용이성을 목적으로서 사용하는 경우, 피착체로부터 떼어낼 때에 발포체층이 터지는 것에 의한 층간 파괴가 발생하면, 사용하기 어려운 면이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는, 이 양면 점착 테이프를 통하여 부재(부품, 파트)를 목적물(예를 들어 용기, 하우징, 제품 등)의 원하는 위치에 고정하여, 부재, 양면 점착 테이프 및 목적물의 구조물을 얻고, 사용 종료 후에 부재의 회수나 상기 구조물의 해체를 하는 경우, 발포체층이 터지는 것에 의한 층간 파괴가 발생하면, 부재의 회수나 상기 구조물의 해체에 곤란이 따르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양면 점착 테이프는 발포체층과 함께 보강층을 가지므로, 발포체층의 강도를 보완하여, 상기의 발포체층의 양면측에 점착제층을 갖는 양면 점착 테이프의 결점을 보충할 수 있다. 리워크할 때나 사용 후에, 본 발명의 양면 점착 테이프를 피착체로부터 떼어내는 경우, 양면 점착 테이프의 보강층은 손잡이가 되는 부분(잡게 되는 부분, 붙잡게 되는 부분)이 된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양면 점착 테이프는 총 두께가 얇아도 발포체층과 점착제층의 사이에서의 층간 박리, 발포체층의 파손, 발포체층이 터지는 것에 의한 층간 파괴, 피착체에의 점착제의 잔존 등을 발생시키지 않고, 용이하게 재박리 가능하다.
또한, 피착체가 되는 상기의 부재(부품, 파트)나 목적물(예를 들어 용기, 하우징, 제품 등)의 소재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스테인리스, 알루미늄 등의 금속; 유리;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등의 플라스틱(수지) 및 이들의 복합 소재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양면 점착 테이프는 여러가지 피착체(예를 들어, 금속, 플라스틱, 유리 및 이들의 복합 소재로부터 얻어지는 피착체 등)에 대하여 양호한 재박리성을 갖는다. 본 발명의 양면 점착 테이프에서는 발포체층과 함께 보강층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보강층은 리워크할 때나 사용 후에 피착체로부터 양면 점착 테이프를 떼어내는 경우에, 손잡이가 되는 부분(잡게 되는 부분, 붙잡게 되는 부분)이 된다.
이렇게 본 발명의 양면 점착 테이프는 절단(타발) 가공성, 재부착 시의 재박리성, 단차 추종성, 시일 성능, 지수 성능, 접착 신뢰성, 작업성, 광학 기능, 내반발성, 박리 용이성, 절연성 등의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양면 점착 테이프는, 예를 들어 휴대 전화의 렌즈 고정용, 휴대 전화의 키 모듈 부재 고정용, 전자 기기의 충격재, 텔레비전의 데코레이션 패널 고정용, 퍼스널 컴퓨터의 배터리 팩 보호 용도,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의 렌즈 방수 등의 용도에 극히 유용하다.
<실시예>
이하에, 실시예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전혀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실시예 1)
냉각관, 질소 도입관, 온도계, 적하 깔때기, 교반 장치를 구비한 반응 용기에, 톨루엔 69중량부, 아세트산 에틸 163중량부를 용매로 하고, 부틸아크릴레이트 80중량부,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20중량부, 아크릴산 3중량부, 아세트산 비닐 5중량부,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0.1중량부, 개시제로서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0.2중량부를 넣고, 질소 기류 중에 60℃에서 6시간 중합을 행하여, 아크릴계 중합체의 용액을 얻었다.
이 용액 중에, 용액 중의 아크릴계 중합체의 100중량부에 대하여, 중합 로진 에스테르 수지(연화점: 123℃)를 30중량부,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상품명 「콜로네이트 L 」닛본 폴리우레탄 고교(주)제)를 1.5중량부(고형분 환산) 배합하여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로 하였다.
이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을 바 코터를 사용하여 두께가 135㎛인 실리콘 처리한 박리지 상에 도포하고, 110℃에서 3분간 건조하여 두께가 25㎛인 점착제층을 형성하였다.
시트 형상의 발포체(상품명 「보라라 XL-HN#03001W 쇼리쿠로」, 세끼스이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제, 두께: 100㎛, 평균 기포 직경: 163㎛, 밀도: 0.34g/cc)의 편면에 상기 점착제층을 전사하고, 상기 점착제층 상에 PET 기재(무발포 구조, 두께: 5㎛, 상품명 「루미러 #5AF53」, 도레이 가부시끼가이샤제)를 접합하여 발포체/점착제층/PET 기재의 적층체를 얻고, 이어서 상기 적층체의 양쪽의 면측에 상기 점착제층을 전사함으로써, 점착제층(발포체층측의 표층의 점착제층)/발포체층/점착제층/보강층/점착제층(보강층측의 표층의 점착제층)의 양면 점착 테이프(총 두께: 180㎛)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2)
PET 기재(무발포 구조, 두께: 5㎛, 상품명 「루미러 #5AF53」, 도레이 가부시끼가이샤제) 대신에 PET 기재(무발포 구조, 두께: 12㎛, 상품명 「루미러 S-10#12」 도레이 가부시끼가이샤제)를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점착제층(발포체층측의 표층의 점착제층)/발포체층/점착제층/보강층/점착제층(보강층측의 표층의 점착제층)의 양면 점착 테이프(총 두께: 187㎛)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3)
발포체로서 발포체(상품명 「보라라 XL-HN#03001W 쇼리시로」, 세끼스이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제, 두께: 100㎛, 평균 기포 직경: 163㎛, 밀도: 0.34g/cc)를 사용한 것, PET 기재(무발포 구조, 두께: 5㎛, 상품명 「루미러 #5AF53」, 도레이 가부시끼가이샤제) 대신에 PET 기재(무발포 구조, 두께: 25㎛, 상품명 「루미러 S-10#25」 도레이 가부시끼가이샤제)를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점착제층(발포체층측의 표층의 점착제층)/발포체층/점착제층/보강층/점착제층(보강층측의 표층의 점착제층)의 양면 점착 테이프(총 두께: 200㎛)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4)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을 바 코터를 사용하여 두께가 135㎛인 실리콘 처리한 박리지 상에 도포하고, 110℃에서 3분간 건조하여 두께가 50㎛인 점착제층을 형성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점착제층(발포체층측의 표층의 점착제층)/발포체층/점착제층/보강층/점착제층(보강층측의 표층의 점착제층)의 양면 점착 테이프(총 두께: 255㎛)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5)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을 바 코터를 사용하여 두께가 135㎛인 실리콘 처리한 박리지 상에 도포하고, 110℃에서 3분간 건조하여 두께가 50㎛인 점착제층을 형성한 것 이외는, 실시예 2와 마찬가지로 하여 점착제층(발포체층측의 표층의 점착제층)/발포체층/점착제층/보강층/점착제층(보강층측의 표층의 점착제층)의 양면 점착 테이프(총 두께: 262㎛)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1)
양면 점착 테이프(상품명 「No.57115B」, 점착제층/발포체층/점착제층의 양면 점착 테이프, 총 두께: 150㎛)를 사용하였다.
(비교예 2)
양면 점착 테이프(상품명 「No.57120B」, 점착제층/발포체층/점착제층의 양면 점착 테이프, 총 두께: 200㎛)를 사용하였다.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작한 양면 점착 테이프에 대하여, 180°박리 점착력(고속 박리 조건, 저속 박리 조건), 가압 접착력, 내 낙하 충격 특성, 광학 특성, 방수 특성, 압축 하중, 절연 파괴 강도, 재박리성을 측정 또는 평가하였다.
(180°박리 점착력)
양면 점착 테이프를 폭 10mm, 길이 100mm의 크기로 자르고, 한쪽의 점착제층에 덧댐용 PET 필름(두께가 25㎛)을 접합함으로써, 측정 샘플을 제작하였다.
점착력을 측정하는 점착면을 2kg 롤러, 1왕복으로 피착체(스테인리스판(SUS304BA판), 유리판(마쯔나미 글래스 고교 가부시끼가이샤제, 상품명 「슬라이드 글래스 백연마 NO.1」)에 압착하고, 23℃×50%RH의 환경 하에 30분간 방치하였다.
방치 후, 저속 박리 조건 하[인장 속도: 300mm/min, 만능 인장 압축 시험기(장치명 「인장 압축 시험기 TG-1kN」, 미네베아(주)제)를 사용] 및 고속 박리 조건 하[인장 속도: 5m/min 및 10m/min, 고속 박리 시험기(테스터 산교사제)를 사용]에, 박리 각도 180°로 떼어내어 180°박리 점착력을 측정하였다. 측정은 23℃×50%RH의 환경 하에서 행하였다.
또한, 측정은 발포체층측의 표층의 점착제층에 의해 제공되는 점착면(「폼면」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 및 보강층측의 표층의 점착제층에 의해 제공되는 점착면(「재박리면」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의 양쪽에 대하여 행하였다.
하기 표 1에 측정 결과를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1
(압축 하중)
양면 점착 테이프를 10매 겹친 것을 세로: 30cm×가로: 30cm로 잘라 시험편으로 하였다.
상기 시험편을 만능 인장 압축 시험기(인장 압축 시험기, 장치명 「TG-1kN」, 미네베아(주)제)의 평행한 평면판 형상에 놓고, 10mm/min으로 처음 두께의 10%, 20%, 30%, 40% 또는 50%로 압축하여, 그때의 하중을 측정하고, 하기 식으로부터 각각의 압축률에서의 압축 하중을 구하였다.
압축 하중[kPa]=(처음 두께의 소정의 두께분만큼 압축하였을 때의 하중)÷(시험편의 면적)
Figure pat00002
표 2에 있어서, 「overload」는 인장 압축 시험기의 로드셀의 측정 가능 한계를 초과한 것을 나타낸다.
(가압 접착력)
제작한 양면 점착 테이프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폭 1mm의 창틀 형상(프레임 형상)(가로: 40mm, 세로: 60mm)으로 절단하여, 창틀 형상 양면 점착 테이프를 얻었다.
상기 창틀 형상 양면 점착 테이프를 사용하여, 아크릴판(아크릴 렌즈, 가로: 40mm, 세로: 60mm, 두께: 1mm)과, 중앙부에 직경 15mm의 관통 구멍을 뚫은 폴리카르보네이트판(PC판)(가로: 70mm, 세로: 80mm, 두께: 2mm)을 소정의 무게(1kg, 2kg, 3kg, 4kg 및 5kg)의 롤러 1왕복의 조건에서 압착함으로써 접합하여 평가용 샘플(1kg 평가용 샘플, 2kg 평가용 샘플, 3kg 평가용 샘플, 4kg 평가용 샘플 및 5kg 평가용 샘플)을 얻었다(도 2의 (a) (b) 참조).
또한, 이들과는 별도로 5kg 롤러 1왕복의 조건에서 접합한 평가용 샘플(5kg 평가용 샘플)을 오토클레이브에 투입하고, 5기압, 50℃, 1시간의 조건에서 더 압착한 평가용 샘플(오토클레이브 평가용 샘플)도 얻었다. 또한, 상기 오토클레이브 평가용 샘플은, 창틀 형상 양면 점착 테이프의 접착 면적이 100%로 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된다.
실시예의 양면 점착 테이프는, 발포체층측의 표층의 점착제층에 의해 제공되는 점착면(폼면)을 폴리카르보네이트판에 부착하고, 보강층측의 표층의 점착제층에 의해 제공되는 점착면(재박리면)을 아크릴판에 부착하였다.
도 2는 가압 접착력을 측정할 때에 사용하는 평가용 샘플의 개략도이며, (a)는 상면도이고, (b)는 A-A' 단면도이다. 도 2에 있어서, 도면 부호 21은 폴리카르보네이트판, 22는 창틀 형상 양면 점착 테이프, 23은 아크릴판, 24는 폴리카르보네이트판의 관통 구멍을 나타낸다.
이어서, 이들 평가용 샘플을 만능 인장 압축 시험기(장치명 「인장 압축 시험기, TG-1kN」 미네베아(주)제)에 세트하여, 환봉을 폴리카르보네이트판의 관통 구멍에 통과시켜, 환봉에 의해 아크릴판을 10mm/min의 조건에서 가압하여, 아크릴판과 폴리카르보네이트판이 분리될 때까지의 최대 응력을 가압 접착력으로서 측정하였다(도 3 참조). 또한, 측정은 상온에서 행하였다. 하기 표 3에 측정 결과를 나타내었다.
도 3은 가압 접착력의 측정 방법을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3에 있어서, 도면 부호 21은 폴리카르보네이트판, 22는 창틀 형상 양면 점착 테이프, 23은 아크릴판, 31은 환봉, 32는 지지대를 나타낸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가용 샘플은 인장 압축 시험기의 지지대(32)에 고정되고, 평가용 샘플의 아크릴판(23)은 폴리카르보네이트판(21)의 관통 구멍을 통과한 환봉(31)에 의해 가압된다. 또한, 평가용 샘플에 있어서, 폴리카르보네이트판(21)은 아크릴판이 가압될 때에 부하가 걸려 휘거나 파손되는 일은 없었다.   
Figure pat00003
(내 낙하 충격 특성)
제작한 양면 점착 테이프를 폭 1mm의 창틀 형상(프레임 형상)(가로: 40mm, 세로: 60mm)으로 절단하여, 창틀 형상 양면 점착 테이프를 얻었다.
상기 창틀 형상 양면 점착 테이프를 사용하여, 아크릴판(아크릴 렌즈, 가로: 40mm, 세로: 60mm, 두께: 1mm)과, 폴리카르보네이트판(PC판)(가로: 70mm, 세로: 80mm, 두께: 2mm)을 2kg 롤러 1왕복의 조건에서 압착함으로써 접합하여 평가용 샘플을 얻었다(도 4의 (a) (b) 참조).
실시예의 양면 점착 테이프는, 발포체층측의 표층의 점착제층에 의해 제공되는 점착면(폼면)을 폴리카르보네이트판에 부착하고, 보강층측의 표층의 점착제층에 의해 제공되는 점착면(재박리면)을 아크릴판에 부착하였다.
이어서, 평가용 샘플에 추를 달아 총 중량을 110g으로 하고 나서, 상기 평가용 샘플을 1.2m의 높이로부터 콘크리트판에 자유 낙하시켜, 내 낙하 충격 특성을 평가하였다. 내 낙하 충격 특성의 평가는, 우선, 상온(23℃)에서 18회 자유 낙하시키고, 이어서, 상온에서의 18회의 자유 낙하에 있어서, 18회 모두 유지된 것에 대하여, 또한 저온(-5℃) 하에서 60회 자유 낙하시킴으로써 행하였다.
평가 기준
양호: 「상온 하에서의 18회의 자유 낙하」 및 「저온 하에서의 60회의 자유 낙하」의 양쪽에 대하여, 아크릴판의 갈라짐이 발생하지 않고, 아크릴판을 유지하고 있었던 것
불량: 「상온 하에서의 자유 낙하에서 아크릴판의 갈라짐이 발생한 것」, 혹은 「상온 하에서의 자유 낙하에서는 아크릴판의 갈라짐이 발생하지 않고, 아크릴판을 유지하고 있었지만, 저온 하에서의 자유 낙하에서 아크릴판의 갈라짐이 발생한 것」
도 4는 내 낙하 충격 특성을 평가할 때에 사용하는 평가용 샘플의 개략도이며, (a)는 상면도이고, (b)는 B-B' 단면도이다. 도 4에 있어서, 도면 부호 41은 폴리카르보네이트판, 42는 창틀 형상 양면 점착 테이프, 43은 아크릴판(아크릴 렌즈)을 나타낸다.   
Figure pat00004
(광학 특성)
가시광 투과율은 분광 광도계(장치명 「U-4100형 분광 광도계」, 가부시끼가이샤 히따찌 하이테크놀러지즈제)를 사용하여, 양면 점착 테이프의 한쪽 면측으로부터 조사하여 다른쪽의 면측에 투과한 파장 550nm의 광의 강도를 측정함으로써 구하였다.   
Figure pat00005
(방수 특성)
제작한 점착 테이프를 폭 1mm의 창틀 형상(프레임 형상)(가로: 60mm, 세로: 40mm)으로 절단하고, 창틀 형상 양면 점착 테이프를 얻었다.
이어서, 4개의 아크릴판(아크릴 렌즈, 가로: 60mm, 세로: 40mm, 두께: 1mm)에 상기 창틀 형상 양면 점착 테이프를 접합하고 나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창틀 형상 양면 점착 테이프가 부착되어 있는 4개의 아크릴판을, 2개의 단차 테이프(폭: 5mm)가 부착된 폴리카르보네이트판(PC판)에 2kg 롤러 1왕복의 조건에서 압착함으로써, 각 요철 높이(10㎛, 20㎛, 30㎛, 50㎛, 70㎛ 및 100㎛)에 대한 평가용 샘플을 얻었다(도 5 참조).
또한, 단차 테이프는 폴리카르보네이트판에 요철을 형성하는 목적에서 부착되어 있고, 목적으로 하는 요철 높이를 얻기 위하여 사용되고 있다.
또한, 상기와 마찬가지의 수순으로, 창틀 형상 양면 점착 테이프가 부착되어 있는 4개의 아크릴판을, 폴리카르보네이트판(2개의 단차 테이프가 부착되어 있지 않고, 표면이 평활한 것)에 2kg 롤러 1왕복의 조건에서 압착함으로써, 요철 높이가 0㎛(단차 없음)인 평가용 샘플도 얻었다.
또한, 부직포(가로: 35mm, 세로: 55mm, 두께: 0.05mm)는 흡수하면 변색되는 성질을 가지므로, 내부에 침수하였을 때의 육안에서의 평가를 위해, 아크릴판과 폴리카르보네이트판의 사이에 넣었다. 부직포는 방수 특성의 평가 시험에 전혀 영향을 미치는 일이 없다.
또한, 실시예의 양면 점착 테이프는, 발포체층측의 표층의 점착제층에 의해 제공되는 점착면(폼면)을 폴리카르보네이트판에 부착하고, 보강층측의 표층의 점착제층에 의해 제공되는 점착면(재박리면)을 아크릴판에 부착하였다.
방수 평가 시험은 IPX7 규격(JIS C 0920/IEC60529)에 기초하여, 표준 상태(온도: 23℃, 습도: 50%)에서, 각 요철 높이에 대한 평가용 샘플을 수심 1m의 수조에 30분간 가라앉히고, 내부에의 침수의 유무를 확인함으로써 행하였다.
또한, 방수 특성의 평가 시험은, 각 요철 높이에 대한 평가용 샘플을 표준 상태(온도: 23℃, 습도: 50%)에서 30분간 에이징하고 나서 행하였다.
평가는 4개의 아크릴판이 부착되어 있는 평가용 샘플(도 5의 (a) (b) 참조)을 요철 높이마다 2개 준비하고, 8샘플에 대한 침수의 유무를 육안으로 관찰함으로써 행하였다. 그 평가 결과를 표 6에 나타내었다. 표 6에 있어서, 표 중의 수치는 방수성 시험에 있어서 내부의 침수가 확인되지 않고, 「방수성 양호」라고 평가 가능하였던 샘플의 수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표 중의 숫자가 8인 경우에는 모든 샘플이 방수성 양호로 평가 가능하였던 것을 나타내고, 또한 표 중의 숫자가 7인 경우에는 8샘플 중 7샘플이 방수성 양호로 평가 가능하였던 것을 나타낸다. 표 중의 숫자가 0인 경우에는 모든 샘플에서 침수가 확인된 것을 나타낸다.
도 5는 방수 특성을 평가할 때에 사용하는 평가용 샘플의 개략도이며, (a)는 상면도이고, (b)는 C-C' 절단부 단면도이다. 도 5에 있어서, 도면 부호 51은 폴리카르보네이트판, 52는 단차 테이프, 53은 창틀 형상 양면 점착 테이프, 54는 아크릴판(아크릴 렌즈), 55는 부직포를 나타낸다.
Figure pat00006
(절연 파괴 전압)
절연 파괴 전압(절연 파괴 강도)은 2개의 스테인리스제의 직경 125mm의 구 형상 전극(500g) 사이에 양면 점착 테이프를 끼우고, 1.0kv/s의 승압 속도로 가압하여, 도통할 때까지의 최고값을 판독함으로써 구하였다(JIS C2107 준거). 또한, 상기 최고값을 절연 파괴 전압으로 하였다.
Figure pat00007
(재박리성 평가 시험)
양면 점착 테이프의 한쪽의 점착면에 PET 필름(상품명 「루미러 S-10#25」, 도레이 가부시끼가이샤제)을 덧댐하고, 폭 10mm×길이 100mm의 테이프편을 잘라내었다.
계속해서, 다른쪽의 점착면을 유리판(마쯔나미 글래스 고교 가부시끼가이샤제, 상품명 「슬라이드 글래스 백연마 NO.1」)에 2kg 롤러를 1왕복시켜 부착(압착)하고, 이것을 평가용 샘플로 하였다.
상기 평가용 샘플을 23℃, 50%RH의 분위기 하에서 30분간 방치한 후, 고속 박리 시험기(테스터 산교 가부시끼가이샤제)를 사용하여 박리 각도 180°, 인장 속도 5m/분의 조건에서 유리판으로부터 테이프편을 떼어내었다. 테이프편을 박리한 후, 유리판의 표면을 육안으로 관찰하여, 점착제 잔여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를 「○」(재박리성 양호), 점착제 잔여가 발생한 경우를 「×」(재박리성 불량)로서 평가하고, 표 8에 그 결과를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8
1: 양면 점착 테이프
11a: 점착제층
11b: 점착제층
12: 점착제층
13: 발포체층
14: 보강층
a: 거리(두께 방향의 거리)
21: 폴리카르보네이트판
22: 창틀 형상 양면 점착 테이프
23: 아크릴판
24: 폴리카르보네이트판의 관통 구멍
31: 환봉
32: 지지대
41: 폴리카르보네이트판
42: 창틀 형상 양면 점착 테이프
43: 아크릴판(아크릴 렌즈)
51: 폴리카르보네이트판
52: 단차 테이프
53: 창틀 형상 양면 점착 테이프
54: 아크릴판(아크릴 렌즈)
55: 부직포

Claims (5)

  1. 총 두께가 500㎛ 이하이고, 발포체층, 보강층 및 양쪽 표층으로서의 점착제층을 갖고, 또한 적어도 한쪽의 측의 표층의 점착제층이 탄소수 4 내지 9의 직쇄 또는 분지쇄상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를 필수적인 단량체 성분으로 하여 구성되는 아크릴계 중합체, 점착 부여 수지, 가교제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점착 테이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 조성물이 아크릴계 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점착 부여 수지를 5 내지 50중량부, 가교제를 0.001 내지 10중량부 포함하는, 양면 점착 테이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제가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이고, 상기 아크릴계 중합체가 탄소수 4 내지 9의 직쇄 또는 분지쇄상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 카르복실기 함유 단량체 및 수산기 함유 단량체를 필수적인 단량체 성분으로 하여 구성되는 아크릴계 중합체인, 양면 점착 테이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중합체에 있어서, 탄소수 4 내지 9의 직쇄 또는 분지쇄상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 카르복실기 함유 단량체 및 수산기 함유 단량체의 비율이, 아크릴계 중합체를 구성하는 단량체 성분 전량에 대하여, 탄소수 4 내지 9의 직쇄 또는 분지쇄상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 80 내지 99.9중량%, 카르복실기 함유 단량체 0.1 내지 10중량%, 수산기 함유 단량체 0.01 내지 5중량%인, 양면 점착 테이프.
  5. 총 두께가 500㎛ 이하이고, 발포체층, 보강층 및 양쪽 표층으로서의 점착제층을 갖고, 적어도 한쪽의 측의 점착면에 있어서, 180°박리 점착력(23℃, 50%RH, 인장 속도 5m/min, 박리 각도 180°의 박리 조건, 유리판에 대한)이 15N/10mm 이하이고, 또한 하기의 재박리성 평가 시험에 있어서 점착제 잔여를 발생시키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점착 테이프.
    재박리성 평가 시험: 양면 점착 테이프(폭 10mm×길이 100mm)를 유리판(마쯔나미 글래스 고교 가부시끼가이샤제, 상품명 「슬라이드 글래스 백연마(白緣磨) NO.1」)에 부착하고, 23℃, 50%RH의 분위기 하에서 30분간 방치한 후, 박리 각도 180°, 인장 속도 5m/분의 조건에서, 상기 유리판으로부터 양면 점착 테이프를 떼어내었을 때의, 상기 유리판 표면에의 점착제 잔여의 유무를 육안으로 평가함.
KR1020110052896A 2010-06-02 2011-06-01 양면 점착 테이프 KR2011013253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127202 2010-06-02
JP2010127202A JP2011252095A (ja) 2010-06-02 2010-06-02 両面粘着テープ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2531A true KR20110132531A (ko) 2011-12-08

Family

ID=450015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2896A KR20110132531A (ko) 2010-06-02 2011-06-01 양면 점착 테이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10300361A1 (ko)
EP (1) EP2404972A3 (ko)
JP (1) JP2011252095A (ko)
KR (1) KR20110132531A (ko)
CN (1) CN102268230A (ko)
TW (1) TW201207068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0862B1 (ko) * 2012-11-29 2014-09-17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점착 부재,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20150126225A (ko) * 2014-05-02 2015-11-11 가드넥(주) 빛샘 방지 및 방수 기능을 갖는 완충 테이프 및 빛샘 방지 기능을 갖는 완충 테이프
KR20160011614A (ko) * 2013-05-27 2016-02-01 디아이씨 가부시끼가이샤 양면 점착 테이프
KR20160102185A (ko) * 2013-12-25 2016-08-29 디아이씨 가부시끼가이샤 양면 점착 테이프 및 전자기기
KR20200038307A (ko) * 2017-08-25 2020-04-10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무손상 제거가 가능한 접착 물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57061B2 (en) 2011-12-26 2020-02-11 Dic Corporation Adhesive tape
US20130244013A1 (en) * 2012-03-16 2013-09-19 Nitto Denko Corporation Double-fac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US10316221B2 (en) 2012-03-22 2019-06-11 Dic Corporation Adhesive tape
CN102633455A (zh) * 2012-04-16 2012-08-15 南京信息工程大学 复合型泡沫混凝土发泡剂及其制备方法
TWI468485B (zh) * 2012-05-21 2015-01-11 Dainippon Ink & Chemicals 黏膠帶
KR101622867B1 (ko) * 2012-06-27 2016-05-20 가부시키가이샤 데라오카 세이사쿠쇼 점착제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점착 테이프
WO2014033770A1 (ja) 2012-08-27 2014-03-06 早川ゴム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及びレーザー接合用粘着テープ
JP6013092B2 (ja) * 2012-09-06 2016-10-25 日東電工株式会社 両面粘着シート
JP2014051566A (ja) * 2012-09-06 2014-03-20 Nitto Denko Corp 両面粘着シート
JP6202631B2 (ja) * 2012-09-12 2017-09-27 Necエナジーデバイス株式会社 電極ロール体及び電極ロール体の使用方法
BR112015006530A2 (pt) * 2012-09-25 2017-07-04 Avery Dennison Corp rótulo de bateria de poli-imida negro
BR112014016316B8 (pt) * 2012-10-31 2022-08-30 Avery Dennison Corp Adesivo aplicável a frio resistente à lavagem para aparelho de etiquetamento e embelezamento
CN103865443B (zh) * 2012-12-07 2016-08-24 上海华谊丙烯酸有限公司 转移型粘合剂及其制备方法
PL3020777T3 (pl) 2013-08-16 2021-01-25 Lg Chem, Ltd. Taśma uszczelniająca
JP6270376B2 (ja) * 2013-08-26 2018-01-31 株式会社ニトムズ クリアファイル用収納ホルダ
JP5812223B2 (ja) * 2013-08-30 2015-11-11 Dic株式会社 粘着シート、物品及び電子機器
KR101470207B1 (ko) * 2013-08-30 2014-12-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친환경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테이프
US9815259B2 (en) 2013-11-18 2017-11-14 Apple Inc. Reworkable adhesive tape for joining device structures
CN104650758B (zh) * 2013-11-22 2020-12-08 日东电工株式会社 双面粘合片
JP6269034B2 (ja) * 2013-12-20 2018-01-31 Dic株式会社 両面粘着テープ
JP6121003B2 (ja) * 2014-02-14 2017-04-26 三井化学東セロ株式会社 半導体ウェハ表面保護用粘着フィルム、並びに粘着フィルムを用いる半導体ウェハの保護方法及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EP2910357A1 (de) * 2014-02-20 2015-08-26 Basf S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Verbundbauteils
JP6326589B2 (ja) * 2014-06-26 2018-05-23 Dic株式会社 両面粘着テープ及び物品
JP6314341B2 (ja) * 2014-06-26 2018-04-25 Dic株式会社 両面粘着テープ及び物品
JPWO2016052399A1 (ja) * 2014-09-29 2017-07-06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両面粘着テープ
CN104388004A (zh) * 2014-11-25 2015-03-04 常熟市长江胶带有限公司 一种新型高性能柔印贴版胶带
JP6679239B2 (ja) * 2014-11-28 2020-04-15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シート
KR20160113865A (ko) * 2015-03-23 2016-10-04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양면 코팅 테이프,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양면 코팅 테이프의 제조 방법
KR101994568B1 (ko) * 2015-04-21 2019-06-28 가부시키가이샤 데라오카 세이사쿠쇼 점착 시트
JP6540217B2 (ja) * 2015-05-14 2019-07-10 藤倉化成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
CN104997203A (zh) * 2015-06-18 2015-10-28 长兴虹波纺织有限公司 一种复合型无纺布领衬的制备方法
KR101993799B1 (ko) * 2015-07-23 2019-06-28 주식회사 엘지화학 디스플레이용 양면 점착 테이프 및 제조방법
DE102015113213A1 (de) * 2015-07-25 2017-01-26 BLüCHER GMBH Neuartiges textiles Schutzmaterial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CN105295784A (zh) * 2015-11-01 2016-02-03 上海晶华胶粘新材料股份有限公司 丙烯酸胶粘剂及其制备工艺
KR102534101B1 (ko) * 2015-11-12 2023-05-1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JP6269769B1 (ja) * 2016-09-30 2018-01-31 東洋インキSc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粘着シート
JP6877813B2 (ja) 2016-10-27 2021-05-26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高分子フォーム粘着テープおよびこれを含む感圧型タッチパネル
JP7199773B2 (ja) * 2016-10-27 2023-01-06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高分子フォーム粘着テープおよびこれを含む感圧型タッチパネル
US10967605B2 (en) * 2017-03-17 2021-04-06 The Boeing Company Decorative laminates having an open-cell foam layer
JP6935861B2 (ja) * 2017-03-28 2021-09-15 株式会社ナム 貼着部材
JP2018172671A (ja) * 2017-03-31 2018-11-08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電子機器用シール材
WO2019026510A1 (ja) * 2017-07-31 2019-02-07 日東電工株式会社 両面粘着シート
JP7197983B2 (ja) * 2017-07-31 2022-12-28 日東電工株式会社 両面粘着シート
CN111032333B (zh) 2017-08-25 2022-10-04 3M创新有限公司 允许无损移除的粘合剂制品
JP6763365B2 (ja) * 2017-12-25 2020-09-30 東洋インキSc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粘着シート
CN108034382B (zh) * 2017-12-28 2021-02-19 张家港康得新光电材料有限公司 阻水泡棉胶带、其制备方法及电子设备
DE102018204342A1 (de) * 2018-03-21 2019-09-26 Tesa Se Wiederablösbares Schaumklebeband
CN109868076A (zh) * 2018-12-28 2019-06-11 新纶科技(常州)有限公司 一种高缓冲的可重工双面胶带
CN109880544A (zh) * 2018-12-28 2019-06-14 新纶科技(常州)有限公司 一种哑黑铜箔单面胶带
JP6975189B2 (ja) * 2019-02-07 2021-12-01 日東電工株式会社 両面粘着テープ
CN109884825A (zh) * 2019-02-19 2019-06-14 广州视源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触摸显示设备、显示屏及其贴合方法
CN111138985A (zh) * 2020-01-08 2020-05-12 福建友谊胶粘带集团有限公司 电池间隔胶带及其制备方法
WO2021195620A1 (en) 2020-03-27 2021-09-30 Twombly Michael Andrew Detachable, retro fitting light accessory for high-heeled shoes
US20230392051A1 (en) * 2020-10-15 2023-12-0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dhesive assemblies permitting enhanced weight bearing performance with damage free removal
CN112724857B (zh) * 2020-12-21 2022-07-26 南京玻璃纤维研究设计院有限公司 单向湿气传导的防水材料及其制备方法
CN115124942A (zh) * 2021-03-29 2022-09-30 日东电工(上海松江)有限公司 粘合片
CN115141570A (zh) * 2021-03-29 2022-10-04 日东电工(上海松江)有限公司 粘合片
FR3123041B1 (fr) * 2021-05-19 2023-08-25 Cie Plastic Omnium Se Panneau de carrosserie de véhicule automobile
DE102021129366A1 (de) * 2021-11-11 2023-05-11 Tesa Se Klebeband zum Anbringen und Wiederablösen von Objekten von empfindlichen Substraten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24951A (en) * 1977-07-27 1979-02-24 Nitto Electric Ind Co Ltd Double-coated adhesive tape, sheet, or film
US5516581A (en) * 1990-12-20 1996-05-14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Removable adhesive tape
US6231962B1 (en) * 1993-08-31 2001-05-15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Removable foam adhesive tape
US6451398B1 (en) * 1998-11-24 2002-09-17 Michael S. Sylvester Double-sided self-adhesive reinforced foam tape
JP3678617B2 (ja) 1999-11-25 2005-08-03 日東電工株式会社 両面接着テープ
JP2006282733A (ja) * 2005-03-31 2006-10-19 Nitto Denko Cs System Kk 物品の仮止め固定用粘着テープおよび仮止め固定物品
JP2008115272A (ja) * 2006-11-04 2008-05-22 Nitto Denko Corp 熱剥離性両面粘着シート及び被加工体の加工方法
JP4623198B2 (ja) * 2007-10-12 2011-02-02 Dic株式会社 防水用両面粘着テープ
DE102008031356A1 (de) * 2008-07-04 2010-01-07 Tesa Se Doppelseitige Schaumstoffklebebänder zur Verklebung von elektronischen Bauteilen
JP4842358B2 (ja) * 2008-12-04 2011-12-21 日東電工株式会社 両面粘着テープ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0862B1 (ko) * 2012-11-29 2014-09-17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점착 부재,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20160011614A (ko) * 2013-05-27 2016-02-01 디아이씨 가부시끼가이샤 양면 점착 테이프
KR20160102185A (ko) * 2013-12-25 2016-08-29 디아이씨 가부시끼가이샤 양면 점착 테이프 및 전자기기
KR20150126225A (ko) * 2014-05-02 2015-11-11 가드넥(주) 빛샘 방지 및 방수 기능을 갖는 완충 테이프 및 빛샘 방지 기능을 갖는 완충 테이프
KR20200038307A (ko) * 2017-08-25 2020-04-10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무손상 제거가 가능한 접착 물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300361A1 (en) 2011-12-08
JP2011252095A (ja) 2011-12-15
CN102268230A (zh) 2011-12-07
TW201207068A (en) 2012-02-16
EP2404972A2 (en) 2012-01-11
EP2404972A3 (en) 2017-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132531A (ko) 양면 점착 테이프
JP6683766B2 (ja) 両面粘着シート
JP6945025B2 (ja) 両面粘着シート
JP5537613B2 (ja) 両面粘着シート
JP4842358B2 (ja) 両面粘着テープ
JP5518436B2 (ja) 光学用粘着シート
TWI529226B (zh) Optical adhesive sheet
JP7018260B2 (ja) 両面粘着シートおよびその利用
KR102122876B1 (ko) 점착 시트, 전기 또는 전자 기기 부재 적층체 및 광학 부재 적층체
JP2018087340A (ja) 粘着シート
US20130101819A1 (en) Double-sided adhesive tape
JP5947870B2 (ja) 両面粘着テープ
CN112143396A (zh) 双面粘合片
JP2020012108A (ja) 粘着シート
JP2014037543A (ja) 両面粘着テープ
CN107286857B (zh) 带有剥离衬垫的粘合片
KR102589157B1 (ko) 점착 시트
JP2013245291A (ja) 粘着シート
US20190106605A1 (en)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WO2022249726A1 (ja) 粘着シート、表示装置および積層体
WO2022249727A1 (ja) 粘着シート、表示装置および積層体
KR20240044358A (ko) 점착 시트
JP2020007477A (ja) 粘着シートおよび粘着剤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