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31976A - 적층 반도체 메모리 장치, 이를 포함하는 메모리 시스템, 및 관통전극 결함리페어 방법 - Google Patents

적층 반도체 메모리 장치, 이를 포함하는 메모리 시스템, 및 관통전극 결함리페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31976A
KR20110131976A KR1020100051733A KR20100051733A KR20110131976A KR 20110131976 A KR20110131976 A KR 20110131976A KR 1020100051733 A KR1020100051733 A KR 1020100051733A KR 20100051733 A KR20100051733 A KR 20100051733A KR 20110131976 A KR20110131976 A KR 201101319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s
input
memory chip
memory
output buff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17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28068B1 (ko
Inventor
오태영
박광일
양윤석
손영수
김시홍
배승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517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8068B1/ko
Priority to US13/085,776 priority patent/US8654593B2/en
Priority to TW100115493A priority patent/TWI532051B/zh
Priority to CN201110141841.0A priority patent/CN102270504B/zh
Priority to JP2011121586A priority patent/JP5982097B2/ja
Publication of KR201101319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19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80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80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5/00Details of stores covered by group G11C11/00
    • G11C5/06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ng storage elements electrically, e.g. by wir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9/00Checking stores for correct operation ; Subsequent repair; Testing stores during standby or offline operation
    • G11C29/70Masking faults in memories by using spares or by reconfiguring
    • G11C29/702Masking faults in memories by using spares or by reconfiguring by replacing auxiliary circuits, e.g. spare voltage generators, decoders or sense amplifiers, to be used instead of defective on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5/00Details of stores covered by group G11C11/00
    • G11C5/02Disposition of storage elements, e.g. in the form of a matrix arra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00Testing or measuring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Reliability measurements, i.e. testing of parts without further processing to modify the parts as such; Structural arrangements therefor
    • H01L22/20Sequence of activit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measurements, corrections, marking or sorting steps
    • H01L22/22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entities or redundant parts of a device in response to a measurement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10Bump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15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16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bump conne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5/00Details relating to assemblies covered by the group H01L25/00 but not provided for in its subgroups
    • H01L2225/03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648 and H10K99/00
    • H01L2225/04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648 and H10K99/00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 H01L2225/065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648 and H10K99/00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01L27/00
    • H01L2225/06503Stacked arrangements of devices
    • H01L2225/06541Conductive via connections through the device, e.g. vertical interconnects, through silicon via [TSV]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5/00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 H01L25/03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 H01L25/04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 H01L25/065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01L27/00
    • H01L25/0657Stacked arrangements of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5/00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 H01L25/18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the devices being of types provided for in two or more different subgroups of the same main 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or Increasing The Reliability Of Semiconductor Memories (AREA)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 Non-Volatile Memory (AREA)
  •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s (AREA)

Abstract

관통전극의 제조 수율을 높일 수 있는 적층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메모리 시스템이 개시된다. 적층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프로세서 칩의 상부에 적층된 복수의 메모리 칩, 복수의 관통전극(TSV) 및 입출력 버퍼들을 포함한다. 관통전극들 각각은 상기 메모리 칩들을 모두 관통하고 상기 프로세서 칩에 연결된다. 입출력 버퍼들은 상기 메모리 칩들 전부 또는 일부와 상기 관통전극들 각각 사이에 결합되고, 상기 관통전극들의 상태에 기초하여 선택적으로 활성화된다.

Description

적층 반도체 메모리 장치, 이를 포함하는 메모리 시스템, 및 관통전극 결함리페어 방법{STACKED SEMICONDUCTOR MEMORY DEVICE, MEMORY SYSTEM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OF REPAIRING DEFECTS OF THROUGH SILICON VIAS}
본 발명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복수의 메모리 칩들이 3차원으로 적층된 적층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메모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집적회로 사이의 초고속 통신을 위해 관통전극들을 통신수단으로 사용하여 3차원적으로 메모리 칩들을 적층하는 적층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적층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서, 메모리 칩들을 연결하는 수많은 관통전극(Through Silicon Via)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결함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높은 제조 수율을 갖는 관통전극의 제조가 필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관통전극의 결함을 리페어하고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적층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적층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포함하는 메모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적층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관통전극 결함 리페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적층된 복수의 메모리 칩, 복수의 관통전극(TSV) 및 입출력 버퍼들을 포함한다.
관통전극들 각각은 상기 메모리 칩들을 모두 관통한다. 입출력 버퍼들은 상기 메모리 칩들 전부 또는 일부와 상기 관통전극들 각각 사이에 결합되고, 상기 관통전극들의 결함 상태에 기초하여 선택적으로 활성화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입출력 버퍼들은 상기 메모리 칩들의 내부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관통전극들 중 일부가 결함을 갖고 있을 때, 결함을 갖고 있는 관통전극에 연결된 입출력 버퍼들 중에서 결함 발생 지점보다 아래에 위치한 메모리 칩에 포함된 입출력 버퍼가 활성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관통전극들 중 일부가 결함을 갖고 있을 때, 상기 결함을 갖고 있는 관통전극에 연결된 입출력 버퍼들 중에서 결함 발생 지점보다 위에 위치한 메모리 칩에 포함된 입출력 버퍼들은 활성화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메모리 칩들 각각은 상기 관통전극들의 결함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메모리 칩들 각각의 내부에 있는 입출력 버퍼들을 인에이블시키는 버퍼 제어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버퍼 제어회로는 불휘발성 메모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버퍼 제어회로는 오티피(OTP) 또는 이이피롬(EEPROM)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메모리 칩들 각각은 상기 관통전극들의 결함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메모리 칩들 각각의 내부에 있는 입출력 버퍼들을 인에이블시키는 버퍼 제어회로를 상기 입출력 버퍼들마다 독립적으로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의하면, 어드레스/커맨드를 위한 복수의 관통전극과 데이터를 위한 복수의 관통전극을 포함할 경우, 상기 데이터를 위한 관통전극들 중 일부의 결함으로 인해 데이터 버스의 매핑(mapping)이 바뀐 경우, 어드레스/커맨드 버스의 매핑을 바꿀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적층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어드레스/커맨드를 위한 복수의 관통전극과 데이터를 위한 복수의 관통전극을 포함할 경우, 상기 어드레스/커맨드를 위한 관통전극들 중 일부의 결함으로 인해 어드레스/커맨드 버스의 매핑(mapping)이 바뀐 경우, 데이터 버스의 매핑을 바꿀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른 메모리 시스템은 프로세서 칩, 상기 프로세서 칩의 상부에 적층된 복수의 메모리 칩, 복수의 관통전극(TSV) 및 입출력 버퍼들을 포함한다.
관통전극들 각각은 상기 메모리 칩들을 모두 관통하고 상기 프로세서 칩에 연결된다. 입출력 버퍼들은 상기 메모리 칩들 전부 또는 일부와 상기 관통전극들 각각 사이에 결합되고, 상기 관통전극들의 결함 상태에 기초하여 선택적으로 활성화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의하면, 어드레스/커맨드를 위한 복수의 관통전극과 데이터를 위한 복수의 관통전극을 포함할 경우, 상기 데이터를 위한 관통전극들 중 일부의 결함으로 인해 데이터 버스의 매핑(mapping)이 바뀐 경우, 어드레스/커맨드 버스의 매핑을 바꿀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프로세서 칩은 상기 바뀐 데이터 버스의 매핑을 원래대로 복구하는 리페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관통전극 결함 리페어 방법은 메모리 칩들 전부 또는 일부와 관통전극들 각각의 사이에 입출력 버퍼들을 결합하는 단계, 및 상기 관통전극들의 결함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입출력 버퍼들을 선택적으로 활성화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입출력 버퍼들을 선택적으로 활성화하는 단계는 결함을 갖고 있는 관통전극에 연결된 입출력 버퍼들 중에서, 결함 발생 지점보다 아래에 위치한 하나의 메모리 칩에 포함된 입출력 버퍼를 활성화하는 단계, 및 결함을 갖고 있지 않은 관통전극들에 연결된 입출력 버퍼들을 활성화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입출력 버퍼들을 선택적으로 활성화하는 단계는 상기 데이터를 위한 관통전극들 중 일부의 결함으로 인해 데이터 버스의 매핑(mapping)을 바꾸는 단계, 및 어드레스/커맨드 버스의 매핑을 바꾸어주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층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관통전극들의 결함 상태에 기초하여 관통전극들(TSVs)에 연결된 메모리 칩들에 포함된 입출력 버퍼들을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적층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메모리 시스템은 제조 수율이 높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적층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포함하는 메모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간략화된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메모리 시스템에 포함된 메모리 칩의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메모리 시스템의 3차원 구조를 나타내는 간략화된 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적층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포함하는 메모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적층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포함하는 메모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적층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구성하는 하나의 칩의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간략화된 회로도이다.
도 7은 도 6의 회로도에 포함된 버퍼 제어회로의 하나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8은 도 6의 회로도에 포함된 버퍼 제어회로의 다른 하나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9는 도 5에 도시된 적층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구성하는 하나의 칩의 구조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간략화된 회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회로도에 포함된 버퍼 제어회로의 하나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11은 도 9의 회로도에 포함된 버퍼 제어회로의 다른 하나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적층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포함하는 메모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3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적층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포함하는 메모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적층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포함하는 메모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적층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포함하는 메모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13, 도 14, 도 15의 메모리 시스템에서, 바뀐 데이터의 매핑(mapping)을 원래대로 복구하는 리페어 회로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층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관통전극 결함 리페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관통전극 결함 리페어 방법에서, 입출력 버퍼들을 선택적으로 활성화하는 단계의 하나의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9는 도 17의 관통전극 결함 리페어 방법에서, 입출력 버퍼들을 선택적으로 활성화하는 단계의 다른 하나의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문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한편,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 블록 내에 명기된 기능 또는 동작이 순서도에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는 두 블록이 실제로는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관련된 기능 또는 동작에 따라서는 상기 블록들이 거꾸로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적층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포함하는 메모리 시스템(100)을 나타내는 간략화된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메모리 시스템(100)은 프로세서 칩(110), 메모리 칩들(120, 130, 140, 150) 및 관통전극들(TSV)(161)을 포함한다. 메모리 칩들(120, 130, 140, 150)은 프로세서 칩(110)의 상부에 적층되어 있으며, 적층 반도체 메모리 장치(stacked memory device)를 구성한다. 관통전극들(161)은 각각 메모리 칩들(120, 130, 140, 150)을 모두 관통하고 프로세서 칩(110)에 연결된다. 메모리 칩들(120, 130, 140, 150)은 각각 메모리 칩들(120, 130, 140, 150) 전부 또는 일부와 관통전극들(161) 각각 사이에 결합되고, 입출력 버퍼들(I/O BUFFERS)을 포함한다. 입출력 버퍼들(I/O BUFFERS)은 관통전극들(161)의 상태에 기초하여 선택적으로 활성화된다.
도 2는 도 1의 메모리 시스템(100)에 포함된 메모리 칩의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메모리 칩(120a)은 관통 전극들(161a), 및 메모리 뱅크들(121, 122, 123, 124)로 구성된 메모리 코어를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리 뱅크들(121, 122, 123, 124)과 관통 전극들(161a) 사이에는 입출력 버퍼들(I/O BUFFERS)이 연결되어 있지만, 도 2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생략하였다. 메모리 뱅크들(121, 122, 123, 124) 상에는 관통 전극들(161)과 메모리 뱅크들(121, 122, 123, 124) 내에 있는 회로 블록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내부 전극들이 배치되어 있다. 도 2에서는 편의상 메모리 뱅크마다 한 개의 내부 전극이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2에는 관통 전극들(161)이 메모리 칩들(120, 130, 140, 150)의 가운데 부분에 배치되어 있지만, 관통 전극들(161)은 메모리 칩들(120, 130, 140, 150)의 임의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메모리 시스템의 3차원 구조를 나타내는 간략화된 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메모리 시스템(100a)은 관통 전극(161)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 칩(110) 및 메모리 칩들(120, 130, 140, 150)을 포함한다. 도 3에는 두 개의 행으로 배치된 관통 전극(161)이 도시되어 있지만, 메모리 시스템(100a)은 임의의 개수의 관통 전극들을 가질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적층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포함하는 메모리 시스템(200)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메모리 시스템(200)은 프로세서 칩(210) 및 프로세서 칩(210)의 상부에 적층된 메모리 칩들(220, 230, 240, 250)로 구성된 적층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 칩(210)은 메모리 컨트롤러(211)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메모리 칩(220)은 프로세서 칩(210)의 상부에 적층되어 있고, 제 2 메모리 칩(230)은 제 1 메모리 칩(220)의 상부에 적층되어 있고, 제 3 메모리 칩(240)은 제 2 메모리 칩(230)의 상부에 적층되어 있고, 제 4 메모리 칩(250)은 제 3 메모리 칩(240)의 상부에 적층되어 있다. 관통전극들(TSV1, TSV2, TSV3, TSV4)은 제 4 메모리 칩(250)으로부터 제 1 메모리 칩(220)까지 관통하고 프로세서 칩(210)에 연결된다.
제 1 내지 제 4 입출력 버퍼(221, 222, 223, 224)는 제 1 메모리 칩(220) 내에 포함되고, 제 1 내지 제 4 관통전극(TSV1, TSV2, TSV3, TSV4)에 각각 연결되고 4 비트 신호인 제 1 버퍼 인에이블 신호(EN_BUF_1<0:3>)에 의해 선택적으로 활성화된다.
제 5 내지 제 8 입출력 버퍼(231, 232, 233, 234)는 제 2 메모리 칩(230) 내에 포함되고, 제 1 내지 제 4 관통전극(TSV1, TSV2, TSV3, TSV4)에 각각 연결되고 4 비트 신호인 제 2 버퍼 인에이블 신호(EN_BUF_2<0:3>)에 의해 선택적으로 활성화된다.
제 9 내지 제 12 입출력 버퍼(241, 242, 243, 244)는 제 3 메모리 칩(240) 내에 포함되고, 제 1 내지 제 4 관통전극(TSV1, TSV2, TSV3, TSV4)에 각각 연결되고 4 비트 신호인 제 3 버퍼 인에이블 신호(EN_BUF_3<0:3>)에 의해 선택적으로 활성화된다.
제 13 내지 제 16 입출력 버퍼(251, 252, 253, 254)는 제 4 메모리 칩(250) 내에 포함되고, 제 1 내지 제 4 관통전극(TSV1, TSV2, TSV3, TSV4)에 각각 연결되고 4 비트 신호인 제 4 버퍼 인에이블 신호(EN_BUF_4<0:3>)에 의해 선택적으로 활성화된다.
도 4의 메모리 시스템은 제 2 관통전극(TSV2)의 DP1 지점에서 오픈(open) 등의 결함을 갖고 있고, 제 4 관통전극(TSV4)의 DP2 지점에서 결함을 갖고 있다. 제 2 관통전극(TSV2)의 DP1과 프로세서 칩(210) 간에는 통신이 가능하다. 따라서, 결함을 갖고 있는 제 2 관통전극(TSV2)에 연결된 입출력 버퍼들(222, 232, 242, 252) 중에서 결함 발생 지점(DP1)의 바로 아래에 위치한 제 1 메모리 칩(220)에 포함된 제 2 입출력 버퍼(222)가 활성화된다. 또한, 제 4 관통전극(TSV4)의 DP2와 프로세서 칩(210) 간에는 통신이 가능하다. 따라서, 결함을 갖고 있는 제 4 관통전극(TSV4)에 연결된 입출력 버퍼들(224, 234, 244, 254) 중에서 결함 발생 지점(DP2)의 바로 아래에 위치한 제 3 메모리 칩(240)에 포함된 제 12 입출력 버퍼(244)가 활성화된다.
또한, 제 1 메모리 칩(320)에 포함된 제 2 입출력 버퍼(322)가 이미 활성화되었으므로, 제 1 관통전극(TSV1)에 연결된 입출력 버퍼들(221, 231, 241, 251) 중에서 제 2 메모리 칩(230)에 포함된 제 5 입출력 버퍼(231)가 활성화된다. 또한, 제 3 메모리 칩(240)에 포함된 제 12 입출력 버퍼(244)가 이미 활성화되었으므로, 제 3 관통전극(TSV3)에 연결된 입출력 버퍼들(223, 233, 243, 253) 중에서 제 4 메모리 칩(250)에 포함된 제 15 입출력 버퍼(253)가 활성화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적층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포함하는 메모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메모리 시스템(200a)은 프로세서 칩(210a) 및 프로세서 칩(210a)의 상부에 적층된 메모리 칩들(220a, 230a, 240a, 250a)로 구성된 적층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 칩(210a)은 메모리 컨트롤러(211)를 포함할 수 있다. 관통전극들(TSV1, TSV2, TSV3, TSV4)은 제 4 메모리 칩(250a)으로부터 제 1 메모리 칩(220a)까지 관통하고 프로세서 칩(210a)에 연결된다.
도 5의 적층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적층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포함하는 메모리 시스템에서, 메모리 칩들((220a, 230a, 240a, 250a) 각각의 내부에 버퍼 제어회로가 포함되어 있다. 제 1 메모리 칩(220a) 내에 포함된 제 1 버퍼 제어회로(225)는 제 1 버퍼 인에이블 신호(EN_BUF_1)를 발생하고, 제 1 메모리 칩(220a) 내에 포함된 입출력 버퍼들(221, 222, 223, 224)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시킨다. 제 2 메모리 칩(230a) 내에 포함된 제 2 버퍼 제어회로(235)는 제 2 버퍼 인에이블 신호(EN_BUF_2)를 발생하고, 제 2 메모리 칩(230a) 내에 포함된 입출력 버퍼들(231, 232, 233, 234)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시킨다. 제 3 메모리 칩(240a) 내에 포함된 제 3 버퍼 제어회로(245)는 제 3 버퍼 인에이블 신호(EN_BUF_3)를 발생하고, 제 3 메모리 칩(240a) 내에 포함된 입출력 버퍼들(241, 242, 243, 244)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시킨다. 제 4 메모리 칩(250a) 내에 포함된 제 4 버퍼 제어회로(255)는 제 4 버퍼 인에이블 신호(EN_BUF_4)를 발생하고, 제 4 메모리 칩(250a) 내에 포함된 입출력 버퍼들(251, 252, 253, 254)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시킨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적층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구성하는 하나의 칩의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간략화된 회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 1 메모리 칩(220a)의 버퍼 제어회로(225)는 제 1 연결 라인(CL1)을 통해 입출력 버퍼들(BUF11, BUF21, …, BUFn1)에 연결되어 있다. 입출력 버퍼들(BUF11, BUF21, …, BUFn1)은 각각 관통전극들(TSV11, TSV21, …, TSVn1)에 연결되어 있다. 버퍼 제어회로(225)는 제 2 연결 라인(CL2)을 통해 입출력 버퍼들(BUF12, BUF22, …, BUFn2)에 연결되어 있다. 입출력 버퍼들(BUF12, BUF22, …, BUFn2)은 각각 관통전극들(TSV12, TSV22, …, TSVn2)에 연결되어 있다. 버퍼 제어회로(225)는 제 3 연결 라인(CL3)을 통해 입출력 버퍼들(BUF13, BUF23, …, BUFn3)에 연결되어 있다. 입출력 버퍼들(BUF13, BUF23, …, BUFn3)은 각각 관통전극들(TSV13, TSV23, …, TSVn3)에 연결되어 있다. 버퍼 제어회로(225)는 제 4 연결 라인(CL4)을 통해 입출력 버퍼들(BUF14, BUF24, …, BUFn4)에 연결되어 있다. 입출력 버퍼들(BUF14, BUF24, …, BUFn4)은 각각 관통전극들(TSV14, TSV24, …, TSVn4)에 연결되어 있다.
입출력 버퍼들(BUF11, BUF21, …, BUFn1)은 관통전극들(TSV11, TSV21, …, TSVn1)을 통해 출력 데이터들(DQ0_0, DQ0_1, …, DQ0_n)을 출력하고, 입출력 버퍼들(BUF12, BUF22, …, BUFn2)은 관통전극들(TSV12, TSV22, …, TSVn2)을 통해 출력 데이터들(DQ1_0, DQ1_1, …, DQ1_n)을 출력한다. 입출력 버퍼들(BUF13, BUF23, …, BUFn3)은 관통전극들(TSV13, TSV23, …, TSVn3)을 통해 출력 데이터들(DQ2_0, DQ2_1, …, DQ2_n)을 출력하고, 입출력 버퍼들(BUF14, BUF24, …, BUFn4)은 관통전극들(TSV14, TSV24, …, TSVn4)을 통해 출력 데이터들(DQ3_0, DQ3_1, …, DQ3_n)을 출력한다.
버퍼 제어회로(225)는 4 비트인 제 1 버퍼 인에이블 신호(EN_BUF_1<0:3>)를 발생한다. 제 1 버퍼 인에이블 신호(EN_BUF_1<0:3>)의 제 1 비트(EN_BUF_1<0>)는 제 1 연결 라인(CL1)을 통해 입출력 버퍼들(BUF11, BUF21, …, BUFn1)을 활성화하고, 제 1 버퍼 인에이블 신호(EN_BUF_1<0:3>)의 제 2 비트(EN_BUF_1<1>)는 제 2 연결 라인(CL2)을 통해 입출력 버퍼들(BUF12, BUF22, …, BUFn2)을 활성화한다. 제 1 버퍼 인에이블 신호(EN_BUF_1<0:3>)의 제 3 비트(EN_BUF_1<2>)는 제 3 연결 라인(CL3)을 통해 입출력 버퍼들(BUF13, BUF23, …, BUFn3)을 활성화하고, 제 1 버퍼 인에이블 신호(EN_BUF_1<0:3>)의 제 4 비트(EN_BUF_1<3>)는 제 4 연결 라인(CL4)을 통해 입출력 버퍼들(BUF14, BUF24, …, BUFn4)을 활성화한다.
도 7 및 도 8은 도 6의 회로도에 포함된 버퍼 제어회로의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회로도들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버퍼 제어회로(225)는 OTP(one time programming) 또는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을 사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도 9는 도 5에 도시된 적층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구성하는 하나의 칩의 구조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간략화된 회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메모리 칩(220b)은 입출력 버퍼들마다 독립적으로 버퍼 제어회로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입출력 버퍼(BUF11)는 버퍼 제어회로(BCC11)에 의해 제어되고, 입출력 버퍼(BUF12)는 버퍼 제어회로(BCC12)에 의해 제어되고, 입출력 버퍼(BUF13)는 버퍼 제어회로(BCC13)에 의해 제어되고, 입출력 버퍼(BUF14)는 버퍼 제어회로(BCC14)에 의해 제어된다.
도 10 및 도 11은 도 9의 회로도에 포함된 버퍼 제어회로의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버퍼 제어회로(BCC11)는 OTP 또는 EEPROM을 사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적층 반도체메모리 장치를 포함하는 메모리 시스템(300)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메모리 시스템(300)은 프로세서 칩(310) 및 프로세서 칩(310)의 상부에 적층된 메모리 칩들(320, 330, 340, 350)로 구성된 적층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 칩(310)은 메모리 컨트롤러(311)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메모리 칩(320)은 프로세서 칩(310)의 상부에 적층되어 있고, 제 2 메모리 칩(330)은 제 1 메모리 칩(320)의 상부에 적층되어 있고, 제 3 메모리 칩(340)은 제 2 메모리 칩(330)의 상부에 적층되어 있고, 제 4 메모리 칩(350)은 제 3 메모리 칩(340)의 상부에 적층되어 있다. 관통전극들(TSV1, TSV2, TSV3, TSV4)은 제 4 메모리 칩(350)으로부터 제 1 메모리 칩(320)까지 관통하고 프로세서 칩(310)에 연결된다.
제 1 및 제 2 입출력 버퍼(321, 322)는 제 1 메모리 칩(320) 내에 포함되고, 제 1 및 제 2 관통전극(TSV1, TSV2에 각각 연결되고 2 비트 신호인 제 1 버퍼 인에이블 신호(EN_BUF_1<0:1>)에 의해 선택적으로 활성화된다.
제 3 및 제 4 입출력 버퍼(331, 332)는 제 2 메모리 칩(330) 내에 포함되고, 제 3 및 제 4 관통전극(TSV3, TSV4)에 각각 연결되고 2 비트 신호인 제 2 버퍼 인에이블 신호(EN_BUF_2<0:1>)에 의해 선택적으로 활성화된다.
제 5 및 제 6 입출력 버퍼(341, 342)는 제 3 메모리 칩(340) 내에 포함되고, 제 1 및 제 2 관통전극(TSV1, TSV2)에 각각 연결되고 2 비트 신호인 제 3 버퍼 인에이블 신호(EN_BUF_3<0:1>)에 의해 선택적으로 활성화된다.
제 7 및 제 8 입출력 버퍼(351, 352)는 제 4 메모리 칩(350) 내에 포함되고, 제 3 및 제 4 관통전극(TSV3, TSV4)에 각각 연결되고 2 비트 신호인 제 4 버퍼 인에이블 신호(EN_BUF_4<0:1>)에 의해 선택적으로 활성화된다.
도 4의 예와 달리, 도 12의 적층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포함하는 메모리 시스템은 메모리 칩들(320, 330, 340, 350)은 각각 관통전극들(TSV1, TSV1, TSV3, TSV4) 모두에 연결되지 않고, 관통전극들(TSV1, TSV1, TSV3, TSV4) 중 2 개의 관통전극과 연결된다.
도 12의 메모리 시스템은 제 2 관통전극(TSV2)의 DP1 지점에서 오픈(open) 등의 결함을 갖고 있고, 제 4 관통전극(TSV4)의 DP2 지점에서 결함을 갖고 있다. 제 2 관통전극(TSV2)의 DP1과 프로세서 칩(310) 간에는 통신이 가능하다. 따라서, 결함을 갖고 있는 제 2 관통전극(TSV2)에 연결된 입출력 버퍼들(322, 342) 중에서 결함 발생 지점(DP1)의 바로 아래에 위치한 제 1 메모리 칩(320)에 포함된 제 2 입출력 버퍼(322)가 활성화된다. 또한, 제 4 관통전극(TSV4)의 DP2와 프로세서 칩(310) 간에는 통신이 가능하다. 따라서, 결함을 갖고 있는 제 4 관통전극(TSV4)에 연결된 입출력 버퍼들(332, 352) 중에서 결함 발생 지점(DP2)의 바로 아래에 위치한 제 2 메모리 칩(240)에 포함된 제 4 입출력 버퍼(332)가 활성화된다.
또한, 제 1 메모리 칩(320)에 포함된 제 2 입출력 버퍼(322)가 이미 활성화되었으므로, 제 1 관통전극(TSV1)에 연결된 입출력 버퍼들(321, 341) 중에서 제 3 메모리 칩(340)에 포함된 제 5 입출력 버퍼(341)가 활성화된다. 또한, 제 2 메모리 칩(330)에 포함된 제 4 입출력 버퍼(332)가 이미 활성화 되었으므로, 제 3 관통전극(TSV3)에 연결된 입출력 버퍼들(331, 351) 중에서 제 4 메모리 칩(350)에 포함된 제 7 입출력 버퍼(351)가 활성화된다.
도 13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적층 반도체메모리 장치를 포함하는 메모리 시스템(400)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메모리 시스템(400)은 프로세서 칩(410) 및 프로세서 칩(410)의 상부에 적층된 메모리 칩들(420, 430, 440, 450)로 구성된 적층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 칩(410)은 메모리 컨트롤러(411)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메모리 칩(420)은 프로세서 칩(410)의 상부에 적층되어 있고, 제 2 메모리 칩(430)은 제 1 메모리 칩(420)의 상부에 적층되어 있고, 제 3 메모리 칩(440)은 제 2 메모리 칩(430)의 상부에 적층되어 있고, 제 4 메모리 칩(450)은 제 3 메모리 칩(440)의 상부에 적층되어 있다. 관통전극들(TSV11, TSV12, TSV13, TSV14, TSV15, TSV16, TSV17, TSV18)은 제 4 메모리 칩(450)으로부터 제 1 메모리 칩(420)까지 관통하고 프로세서 칩(410)에 연결된다. 관통전극들(TSV11, TSV12, TSV13, TSV14)은 어드레스/커맨드(ADD/CMD)의 전송을 수행하며, 관통전극들(TSV15, TSV16, TSV17, TSV18)은 데이터(DQ)의 전송을 수행한다.
제 1 내지 제 4 입출력 버퍼(421, 422, 423, 424)는 제 1 메모리 칩(420) 내에 포함되고, 제 1 내지 제 4 관통전극(TSV11, TSV12, TSV13, TSV14)에 각각 연결되고 4 비트 신호인 제 1 버퍼 인에이블 신호(EN_ABUF_1<0:3>)에 의해 선택적으로 활성화된다. 제 5 내지 제 8 입출력 버퍼(425, 426, 427, 428)는 제 1 메모리 칩(420) 내에 포함되고, 제 5 내지 제 8 관통전극(TSV15, TSV16, TSV17, TSV18)에 각각 연결되고 4 비트 신호인 제 2 버퍼 인에이블 신호(EN_DBUF_1<0:3>)에 의해 선택적으로 활성화된다.
제 9 내지 제 12 입출력 버퍼(431, 432, 433, 434)는 제 2 메모리 칩(430) 내에 포함되고, 제 1 내지 제 4 관통전극(TSV11, TSV12, TSV13, TSV14)에 각각 연결되고 4 비트 신호인 제 3 버퍼 인에이블 신호(EN_ABUF_2<0:3>)에 의해 선택적으로 활성화된다. 제 13 내지 제 16 입출력 버퍼(435, 436, 437, 438)는 제 2 메모리 칩(430) 내에 포함되고, 제 5 내지 제 8 관통전극(TSV15, TSV16, TSV17, TSV18)에 각각 연결되고 4 비트 신호인 제 4 버퍼 인에이블 신호(EN_DBUF_2<0:3>)에 의해 선택적으로 활성화된다.
제 17 내지 제 20 입출력 버퍼(441, 442, 443, 444)는 제 3 메모리 칩(440) 내에 포함되고, 제 1 내지 제 4 관통전극(TSV11, TSV12, TSV13, TSV14)에 각각 연결되고 4 비트 신호인 제 5 버퍼 인에이블 신호(EN_ABUF_3<0:3>)에 의해 선택적으로 활성화된다. 제 21 내지 제 24 입출력 버퍼(445, 446, 447, 448)는 제 3 메모리 칩(440) 내에 포함되고, 제 5 내지 제 8 관통전극(TSV15, TSV16, TSV17, TSV18)에 각각 연결되고 4 비트 신호인 제 6 버퍼 인에이블 신호(EN_DBUF_3<0:3>)에 의해 선택적으로 활성화된다.
제 25 내지 제 28 입출력 버퍼(451, 452, 453, 454)는 제 4 메모리 칩(450) 내에 포함되고, 제 1 내지 제 4 관통전극(TSV11, TSV12, TSV13, TSV14)에 각각 연결되고 4 비트 신호인 제 7 버퍼 인에이블 신호(EN_ABUF_4<0:3>)에 의해 선택적으로 활성화된다. 제 29 내지 제 32 입출력 버퍼(455, 456, 457, 458)는 제 4 메모리 칩(450) 내에 포함되고, 제 5 내지 제 8 관통전극(TSV15, TSV16, TSV17, TSV18)에 각각 연결되고 4 비트 신호인 제 8 버퍼 인에이블 신호(EN_DBUF_4<0:3>)에 의해 선택적으로 활성화된다.
도 13의 실시예에서, 제 1 버퍼 인에이블 신호(EN_ABUF_1<0:3>), 제 3 버퍼 인에이블 신호(EN_ABUF_2<0:3>), 제 5 버퍼 인에이블 신호(EN_ABUF_3<0:3>), 및 제 7 버퍼 인에이블 신호(EN_ABUF_4<0:3>)는 커맨드/어드레스를 위한 제 1 내지 제 4 관통전극(TSV11, TSV12, TSV13, TSV14)에 연결된 입출력 버퍼들을 제어한다. 제 2 버퍼 인에이블 신호(EN_DBUF_1<0:3>), 제 4 버퍼 인에이블 신호(EN_DBUF_2<0:3>), 제 6 버퍼 인에이블 신호(EN_DBUF_3<0:3>) 및 제 8 버퍼 인에이블 신호(EN_DBUF_4<0:3>)는 데이터를 위한 제 5 내지 제 8 관통전극(TSV15, TSV16, TSV17, TSV18)에 연결된 입출력 버퍼들을 제어한다.
제 1 메모리 칩(420)과 제 2 메모리 칩(430) 사이의 지점(DP1)에서 제 6 관통전극(TSV16)이 결함을 갖고, 제 3 메모리 칩(440)과 제 4 메모리 칩(450) 사이의 지점(DP2)에서 제 8 관통전극(TSV18)이 결함을 갖는 경우, 상기 제 6 관통전극(TSV16)에 연결된 제 1 메모리 칩(420)의 제 6 입출력 버퍼(426)가 활성화되고, 제 8 관통전극(TSV18)에 연결된 제 3 메모리 칩(440)의 제 24 입출력 버퍼(448)가 활성화된다.
또한, 제 1 메모리 칩(420)에 포함된 제 6입출력 버퍼(426)가 이미 활성화되었으므로, 제 5 관통전극(TSV15)에 연결된 입출력 버퍼들(425, 435, 445, 455) 중에서 제 2 메모리 칩(430)에 포함된 제 13 입출력 버퍼(435)가 활성화된다. 또한, 제 3 메모리 칩(440)에 포함된 제 24 입출력 버퍼(448)가 이미 활성화되었으므로, 제 7 관통전극(TSV17)에 연결된 입출력 버퍼들(427, 437, 447, 457) 중에서 제 4 메모리 칩(450)에 포함된 제 31 입출력 버퍼(457)가 활성화된다.
관통전극들의 결함 때문에 데이터의 매핑(mapping)이 바뀌면, 바뀐 데이터의매핑에 따라 어드레스/커맨드(ADD/CMD)의 매핑도 바꾸어 준다. 도 13의 예에서, 데이터를 위한 관통전극들에 연결된 입출력 버퍼들 중 제 5 관통전극(TSV15)에 연결된 제 13 입출력 버퍼(435)가 활성화되고, 제 6 관통전극(TSV16)에 연결된 제 6 입출력 버퍼(426)가 활성화되고, 제 7 관통전극(TSV17)에 연결된 제 31 입출력 버퍼(457)가 활성화되고, 제 8 관통전극(TSV18)에 연결된 제 24 입출력 버퍼(448)가 활성화된다. 따라서, 어드레스/커맨드(ADD/CMD)를 위한 관통전극들에 연결된 입출력 버퍼들 중 제 1 관통전극(TSV11)에 연결된 제 9 입출력 버퍼(431)가 활성화되고, 제 2 관통전극(TSV12)에 연결된 제 2 입출력 버퍼(422)가 활성화되고, 제 3 관통전극(TSV13)에 연결된 제 27 입출력 버퍼(453)가 활성화되고, 제 4 관통전극(TSV14)에 연결된 제 20 입출력 버퍼(444)가 활성화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적층 반도체메모리 장치를 포함하는 메모리 시스템(400a)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4의 메모리 시스템(400a)은 버퍼 인에이블 신호들을 발생하는 버퍼 제어회로들이 메모리 칩들 각각에 내장되어 있다. 도 14의 메모리 시스템(400a)의 동작은 도 13에 도시된 메모리 시스템(400)의 동작과 유사하므로 도 14의 메모리 시스템(400a)에 대한 동작 설명은 생략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적층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포함하는 메모리 시스템(400b)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5의 메모리 시스템(400b)에서, 어드레스/커맨드(ADD/CMD)를 위한 관통전극들에 결함이 발생했을 때, 데이터의 매핑을 바꿔준다.
도 15의 메모리 시스템(400b)은 제 2 관통전극(TSV12)의 DP3 지점 및 제 4 관통전극(TSV14)의 DP4 지점에 결함을 갖는다. 어드레스/커맨드(ADD/CMD)를 위한 관통전극들에 연결된 입출력 버퍼들 중 제 1 관통전극(TSV11)에 연결된 제 9 입출력 버퍼(431)가 활성화되고, 제 2 관통전극(TSV12)에 연결된 제 2 입출력 버퍼(422)가 활성화되고, 제 3 관통전극(TSV13)에 연결된 제 27 입출력 버퍼(453)가 활성화되고, 제 4 관통전극(TSV14)에 연결된 제 20 입출력 버퍼(444)가 활성화된다. 따라서, 데이터를 위한 관통전극들에 연결된 입출력 버퍼들 중 제 5 관통전극(TSV15)에 연결된 제 13 입출력 버퍼(435)가 활성화되고, 제 6 관통전극(TSV16)에 연결된 제 6 입출력 버퍼(426)가 활성화되고, 제 7 관통전극(TSV17)에 연결된 제 31 입출력 버퍼(457)가 활성화되고, 제 8 관통전극(TSV18)에 연결된 제 24 입출력 버퍼(448)가 활성화될 수 있다.
적층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데이터의 매핑이 바뀌면, 프로세서 칩(410)은 데이터 버스의 바뀐 매핑을 원래대로 복구할 필요가 있다.
도 16은 도 13, 도 14, 도 15의 메모리 시스템에서, 바뀐 데이터의 매핑(mapping)을 원래대로 복구하는 리페어 회로(412)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리페어 회로(412)는 관통전극들(TSV15, TSV16, TSV17, TSV18)에 연결된 디멀티플렉서들(DM1, DM2, DM3, DM4)을 포함한다. 리페어 회로(412)는 제어신호(CTRL)에 응답하여 데이터들(DQ0, DQ1, DQ2, DQ3)을 관통전극들(TSV15, TSV16, TSV17, TSV18) 중에서 하나에 제공한다. 제어신호(CTRL)는 매핑 테이블(mapping table)에 기초하여 얻을 수도 있고, 프로세서 칩(410)이 메모리 칩들에 대해 트레이닝(training) 동작을 수행하여 얻을 수도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층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관통전극 결함 리페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다음의 단계를 통해 적층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관통전극 결함을 리페어할 수 있다.
1) 메모리 칩들 전부 또는 일부와 관통전극들 각각의 사이에 입출력 버퍼들을 결합한다.
2) 상기 관통전극들의 상태에 기초하여 입출력 버퍼들을 선택적으로 활성화한다.
도 18은 도 17의 관통전극 결함 리페어 방법에서, 입출력 버퍼들을 선택적으로 활성화하는 단계의 하나의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입출력 버퍼들을 선택적으로 활성화하는 단계는 다음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1) 결함을 갖고 있는 관통전극에 연결된 입출력 버퍼들 중에서, 결함 발생 지점보다 아래에 위치한 하나의 메모리 칩에 포함된 입출력 버퍼를 활성화한다.
2) 결함을 갖고 있지 않은 관통전극들에 연결된 입출력 버퍼들을 활성화한다.
도 19는 도 17의 관통전극 결함 리페어 방법에서, 입출력 버퍼들을 선택적으로 활성화하는 단계의 다른 하나의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입출력 버퍼들을 선택적으로 활성화하는 단계는 다음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1) 상기 데이터를 위한 관통전극들 중 일부의 결함으로 인해 데이터 버스의 매핑(mapping)을 바꾼다.
2) 어드레스/커맨드 버스의 매핑을 바꾼다.
본 발명은 적층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포함하는 메모리 시스템에 적용이 가능하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200, 300, 400: 메모리 시스템
110, 210, 310, 410: 프로세서 칩
111, 211, 311, 411: 메모리 컨트롤러
120, 130, 140, 150: 메모리 칩
220, 230, 240, 250: 메모리 칩
320, 330, 340, 350: 메모리 칩
420, 430, 440, 450: 메모리 칩

Claims (25)

  1. 적층된 복수의 메모리 칩;
    상기 메모리 칩들을 모두 관통하는 복수의 관통전극(TSV); 및
    상기 메모리 칩들 전부 또는 일부와 상기 관통전극들 각각 사이에 결합되고, 상기 관통전극들의 결함 상태에 기초하여 선택적으로 활성화되는 입출력 버퍼들을 포함하는 적층 반도체 메모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력 버퍼들은
    상기 메모리 칩들의 내부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반도체 메모리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전극들 중 일부가 결함을 갖고 있을 때, 결함을 갖고 있는 관통전극에 연결된 입출력 버퍼들 중에서 결함 발생 지점의 바로 아래에 위치한 메모리 칩에 포함된 입출력 버퍼가 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반도체 메모리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전극들 중 일부가 결함을 갖고 있을 때, 상기 결함을 갖고 있는 관통전극에 연결된 입출력 버퍼들 중에서 결함 발생 지점보다 위에 위치한 메모리 칩에 포함된 입출력 버퍼들은 활성화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반도체 메모리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칩들 각각은
    상기 관통전극들의 결함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메모리 칩들 각각의 내부에 있는 입출력 버퍼들을 인에이블시키는 버퍼 제어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반도체 메모리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 제어회로는 불휘발성 메모리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반도체 메모리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 제어회로는 오티피(OTP) 또는 이이피롬(EEPROM)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반도체 메모리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칩들 각각은
    상기 관통전극들의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메모리 칩들 각각의 내부에 있는 입출력 버퍼들을 인에이블시키는 버퍼 제어회로를 상기 입출력 버퍼들마다 독립적으로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반도체 메모리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 반도체메모리 장치는
    제 1 메모리 칩;
    상기 제 1 메모리 칩의 상부에 적층된 제 2 메모리 칩;
    상기 제 2 메모리 칩의 상부에 적층된 제 3 메모리 칩;
    상기 제 3 메모리 칩의 상부에 적층된 제 4 메모리 칩;
    상기 제 4 메모리 칩으로부터 상기 제 1 메모리 칩까지 관통하는 제 1 내지 제 4 관통전극;
    상기 제 1 메모리 칩 내에 포함되고, 상기 제 1 내지 제 4 관통전극에 각각 연결되고 제 1 버퍼 인에이블 신호에 의해 선택적으로 활성화되는 제 1 내지 제 4 입출력 버퍼;
    상기 제 2 메모리 칩 내에 포함되고, 상기 제 1 내지 제 4 관통전극에 각각 연결되고 제 2 버퍼 인에이블 신호에 의해 선택적으로 활성화되는 제 5 내지 제 8 입출력 버퍼;
    상기 제 3 메모리 칩 내에 포함되고, 상기 제 1 내지 제 4 관통전극에 각각 연결되고 제 3 버퍼 인에이블 신호에 의해 선택적으로 활성화되는 제 9 내지 제 12 입출력 버퍼; 및
    상기 제 4 메모리 칩 내에 포함되고, 상기 제 1 내지 제 4 관통전극에 각각 연결되고 제 4 버퍼 인에이블 신호에 의해 선택적으로 활성화되는 제 13 내지 제 16 입출력 버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반도체 메모리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 반도체메모리 장치는
    제 1 메모리 칩;
    상기 제 1 메모리 칩의 상부에 적층된 제 2 메모리 칩;
    상기 제 2 메모리 칩의 상부에 적층된 제 3 메모리 칩;
    상기 제 3 메모리 칩의 상부에 적층된 제 4 메모리 칩;
    상기 제 4 메모리 칩으로부터 상기 제 1 메모리 칩까지 관통하는 제 1 내지 제 4 관통전극;
    상기 제 1 메모리 칩 내에 포함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관통전극에 각각 연결되고 제 1 버퍼 인에이블 신호에 의해 선택적으로 활성화되는 제 1 및 제 2 입출력 버퍼;
    상기 제 2 메모리 칩 내에 포함되고, 상기 제 3 및 제 4 관통전극에 각각 연결되고 제 2 버퍼 인에이블 신호에 의해 선택적으로 활성화되는 제 3 및 제 4 입출력 버퍼;
    상기 제 3 메모리 칩 내에 포함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관통전극에 각각 연결되고 제 3 버퍼 인에이블 신호에 의해 선택적으로 활성화되는 제 5 및 제 6 입출력 버퍼; 및
    상기 제 4 메모리 칩 내에 포함되고, 상기 제 3 및 제 4 관통전극에 각각 연결되고 제 4 버퍼 인에이블 신호에 의해 선택적으로 활성화되는 제 7 및 제 8 입출력 버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반도체 메모리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어드레스/커맨드를 위한 복수의 관통전극과 데이터를 위한 복수의 관통전극을 포함할 경우, 상기 데이터를 위한 관통전극들 중 일부의 결함으로 인해 데이터 버스의 매핑(mapping)이 바뀐 경우, 어드레스/커맨드 버스의 매핑을 바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반도체 메모리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 반도체메모리 장치는
    제 1 메모리 칩;
    상기 제 1 메모리 칩의 상부에 적층된 제 2 메모리 칩;
    상기 제 2 메모리 칩의 상부에 적층된 제 3 메모리 칩;
    상기 제 3 메모리 칩의 상부에 적층된 제 4 메모리 칩;
    상기 제 4 메모리 칩으로부터 상기 제 1 메모리 칩까지 관통하는 어드레스/커맨드를 위한 제 1 내지 제 4 관통전극;
    상기 제 4 메모리 칩으로부터 상기 제 1 메모리 칩까지 관통하는 데이터를 위한 제 5 내지 제 8 관통전극;
    상기 제 1 메모리 칩 내에 포함되고, 상기 제 1 내지 제 4 관통전극에 각각 연결되고 제 1 버퍼 인에이블 신호에 의해 선택적으로 활성화되는 제 1 내지 제 4 입출력 버퍼;
    상기 제 1 메모리 칩 내에 포함되고, 상기 제 5 내지 제 8 관통전극에 각각 연결되고 제 2 버퍼 인에이블 신호에 의해 선택적으로 활성화되는 제 5 내지 제 8 입출력 버퍼;
    상기 제 2 메모리 칩 내에 포함되고, 상기 제 1 내지 제 4 관통전극에 각각 연결되고 제 3 버퍼 인에이블 신호에 의해 선택적으로 활성화되는 제 9 내지 제 12 입출력 버퍼;
    상기 제 2 메모리 칩 내에 포함되고, 상기 제 5 내지 제 8 관통전극에 각각 연결되고 제 4 버퍼 인에이블 신호에 의해 선택적으로 활성화되는 제 13 내지 제 16 입출력 버퍼;
    상기 제 3 메모리 칩 내에 포함되고, 상기 제 1 내지 제 4 관통전극에 각각 연결되고 제 5 버퍼 인에이블 신호에 의해 선택적으로 활성화되는 제 17 내지 제 20 입출력 버퍼;
    상기 제 3 메모리 칩 내에 포함되고, 상기 제 5 내지 제 8 관통전극에 각각 연결되고 제 6 버퍼 인에이블 신호에 의해 선택적으로 활성화되는 제 21 내지 제 24 입출력 버퍼;
    상기 제 4 메모리 칩 내에 포함되고, 상기 제 1 내지 제 4 관통전극에 각각 연결되고 제 7 버퍼 인에이블 신호에 의해 선택적으로 활성화되는 제 25 내지 제 28 입출력 버퍼; 및
    상기 제 4 메모리 칩 내에 포함되고, 상기 제 5 내지 제 8 관통전극에 각각 연결되고 제 8 버퍼 인에이블 신호에 의해 선택적으로 활성화되는 제 29 내지 제 32 입출력 버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반도체 메모리 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메모리 칩과 상기 제 2 메모리 칩 사이의 부분에서 상기 제 6 관통전극이 결함을 갖고, 상기 제 3 메모리 칩과 상기 제 4 메모리 칩 사이의 부분에서 상기 제 8 관통전극이 결함을 갖는 경우, 상기 제 6 관통전극에 연결된 상기 제 1 메모리 칩의 상기 제 6 입출력 버퍼가 활성화되고, 상기 제 8 관통전극에 연결된 상기 제 3 메모리 칩의 상기 제 24 입출력 버퍼가 활성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반도체 메모리 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어드레스/커맨드를 위한 상기 제 2 관통전극에 연결된 상기 제 1 메모리 칩의 상기 제 2 입출력 버퍼가 활성화되고, 상기 어드레스/커맨드를 위한 상기 제 4 관통전극에 연결된 상기 제 3 메모리 칩의 상기 제 20 입출력 버퍼가 활성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반도체 메모리 장치.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어드레스/커맨드를 위한 복수의 관통전극과 데이터를 위한 복수의 관통전극을 포함할 경우, 상기 어드레스/커맨드를 위한 관통전극들 중 일부의 결함으로 인해 어드레스/커맨드 버스의 매핑(mapping)이 바뀐 경우, 데이터 버스의 매핑을 바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반도체 메모리 장치.
  16. 프로세서 칩;
    상기 프로세서 칩의 상부에 적층된 복수의 메모리 칩;
    상기 메모리 칩들을 모두 관통하고 상기 프로세서 칩에 연결된 복수의 관통전극(TSV); 및
    상기 메모리 칩들 전부 또는 일부와 상기 관통전극들 각각 사이에 결합되고, 상기 관통전극들의 결함 상태에 기초하여 선택적으로 활성화되는 입출력 버퍼들을 포함하는 메모리 시스템.
  17. 제 16항에 있어서,
    어드레스/커맨드를 위한 복수의 관통전극과 데이터를 위한 복수의 관통전극을 포함할 경우, 상기 데이터를 위한 관통전극들 중 일부의 결함으로 인해 데이터 버스의 매핑(mapping)이 바뀐 경우, 어드레스/커맨드 버스의 매핑을 바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시스템.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 칩은 상기 바뀐 데이터 버스의 매핑을 원래대로 복구하는 리페어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시스템.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리페어 회로는 상기 프로세서 칩 내에 있는 메모리 컨트롤러에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시스템.
  20. 메모리 칩들 전부 또는 일부와 관통전극들 각각의 사이에 입출력 버퍼들을 결합하는 단계; 및
    상기 관통전극들의 결함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입출력 버퍼들을 선택적으로 활성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적층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관통전극 결함 리페어 방법.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력 버퍼들은
    상기 메모리 칩들의 내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관통전극 결함 리페어 방법.
  22.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력 버퍼들을 선택적으로 활성화하는 단계는
    결함을 갖고 있는 관통전극에 연결된 입출력 버퍼들 중에서, 결함 발생 지점보다 아래에 위치한 하나의 메모리 칩에 포함된 입출력 버퍼를 활성화하는 단계; 및
    결함을 갖고 있지 않은 관통전극들에 연결된 입출력 버퍼들을 활성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관통전극 결함 리페어 방법.
  23.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전극들 중 일부가 결함을 갖고 있을 때, 상기 결함을 갖고 있는 관통전극에 연결된 입출력 버퍼들 중에서 결함 발생 지점보다 위에 위치한 메모리 칩에 포함된 입출력 버퍼들은 활성화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관통전극 결함 리페어 방법.
  24.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력 버퍼들을 선택적으로 활성화하는 단계는
    상기 데이터를 위한 관통전극들 중 일부의 결함으로 인해 데이터 버스의 매핑(mapping)을 바꾸는 단계; 및
    어드레스/커맨드 버스의 매핑을 바꾸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관통전극 결함 리페어 방법.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력 버퍼들을 선택적으로 활성화하는 단계는
    상기 바뀐 데이터 버스의 매핑을 원래대로 복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관통전극 결함 리페어 방법.
KR1020100051733A 2010-06-01 2010-06-01 적층 반도체 메모리 장치, 이를 포함하는 메모리 시스템, 및 관통전극 결함리페어 방법 KR1017280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1733A KR101728068B1 (ko) 2010-06-01 2010-06-01 적층 반도체 메모리 장치, 이를 포함하는 메모리 시스템, 및 관통전극 결함리페어 방법
US13/085,776 US8654593B2 (en) 2010-06-01 2011-04-13 Stacked semiconductor memory device, memory system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of repairing defects of through silicon vias
TW100115493A TWI532051B (zh) 2010-06-01 2011-05-03 堆疊式半導體記憶體裝置、包括其之記憶體系統及修復直通矽穿孔缺陷之方法
CN201110141841.0A CN102270504B (zh) 2010-06-01 2011-05-30 堆叠半导体存储器件、存储器系统及修复硅通孔缺陷的方法
JP2011121586A JP5982097B2 (ja) 2010-06-01 2011-05-31 積層半導体メモリ装置、これを含むメモリシステム及び貫通電極の欠陥リペア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1733A KR101728068B1 (ko) 2010-06-01 2010-06-01 적층 반도체 메모리 장치, 이를 포함하는 메모리 시스템, 및 관통전극 결함리페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1976A true KR20110131976A (ko) 2011-12-07
KR101728068B1 KR101728068B1 (ko) 2017-04-19

Family

ID=450220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1733A KR101728068B1 (ko) 2010-06-01 2010-06-01 적층 반도체 메모리 장치, 이를 포함하는 메모리 시스템, 및 관통전극 결함리페어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654593B2 (ko)
JP (1) JP5982097B2 (ko)
KR (1) KR101728068B1 (ko)
CN (1) CN102270504B (ko)
TW (1) TWI532051B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49851A1 (en) * 2013-03-15 2014-09-25 Micron Technology, Inc. Flexible memory system with a controller and a stack of memory
KR20150025764A (ko) * 2013-08-30 2015-03-11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데이터 비트 인버전 기능을 갖는 반도체 장치
KR101503737B1 (ko) * 2014-07-15 2015-03-20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반도체 장치
US9170296B2 (en) 2013-08-06 2015-10-27 Globalfoundries U.S.2 Llc Semiconductor device defect monitoring using a plurality of temperature sensing devices in an adjacent semiconductor device
KR20160056043A (ko) * 2014-11-11 2016-05-19 삼성전자주식회사 스택 반도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메모리 장치
KR20170112272A (ko) * 2016-03-31 2017-10-12 삼성전자주식회사 기준 전압의 셀프 트레이닝을 수행하는 수신 인터페이스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메모리 시스템
US9941192B2 (en) 2014-06-10 2018-04-10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Foundation Hanyang University Erica Campus Semiconductor device having repairable penetration electrod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36021B2 (en) * 2011-12-23 2015-09-15 Intel Corporation Self-repair logic for stacked memory architecture
KR20130098681A (ko) * 2012-02-28 2013-09-05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메모리 장치
US9312257B2 (en) 2012-02-29 2016-04-12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Semiconductor device
WO2013147844A1 (en) * 2012-03-30 2013-10-03 Intel Corporation Built-in self-test for stacked memory architecture
JP2014063974A (ja) * 2012-08-27 2014-04-10 Ps4 Luxco S A R L チップ積層体、該チップ積層体を備えた半導体装置、及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TWI501361B (zh) 2012-12-27 2015-09-21 Ind Tech Res Inst 矽穿孔修補電路
US8890607B2 (en) 2013-03-15 2014-11-18 IPEnval Consultant Inc. Stacked chip system
US9136843B2 (en) 2013-04-21 2015-09-15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Through silicon via repair circuit of semiconductor device
KR102111742B1 (ko) 2014-01-14 2020-05-15 삼성전자주식회사 적층 반도체 패키지
KR102125340B1 (ko) 2014-06-19 2020-06-23 삼성전자주식회사 신호 전달을 위한 주 경로 및 우회 경로를 갖는 집적 회로 및 그것을 포함하는 집적 회로 패키지
KR20160006991A (ko) * 2014-07-10 2016-01-20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복수의 채널 및 관통 비아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TWI556247B (zh) 2014-11-12 2016-11-01 財團法人工業技術研究院 錯誤容忍穿矽孔介面及其控制方法
US9627088B2 (en) * 2015-02-25 2017-04-18 Ememory Technology Inc. One time programmable non-volatile memory and read sensing method thereof
US10832127B2 (en) * 2015-11-30 2020-11-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Three-dimensional integration of neurosynaptic chips
US10763861B2 (en) * 2016-02-13 2020-09-01 HangZhou HaiCun Information Technology Co., Ltd. Processor comprising three-dimensional memory (3D-M) array
KR102416942B1 (ko) * 2017-11-13 2022-07-07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적층 반도체 장치 및 반도체 시스템
KR102498883B1 (ko) 2018-01-31 2023-02-1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류를 분산시키는 관통 전극들을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KR102471416B1 (ko) * 2018-05-23 2022-11-29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반도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메모리 모듈
US20200006306A1 (en) * 2018-07-02 2020-01-02 Shanghai Denglin Technologies Co. Ltd Configurable random-access memory (ram) array including through-silicon via (tsv) bypassing physical layer
CN109817540B (zh) * 2019-01-30 2021-06-08 上海华虹宏力半导体制造有限公司 晶圆检测缺陷的分类方法
KR20210034784A (ko) * 2019-09-23 2021-03-31 삼성전자주식회사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10916489B1 (en) * 2019-10-02 2021-02-09 Micron Technology, Inc. Memory core chip having TSVS
US11393790B2 (en) * 2019-12-06 2022-07-19 Micron Technology, Inc. Memory with TSV health monitor circuitry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95799A (ja) * 2002-08-30 2004-03-25 Toshiba Corp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063796B2 (ja) 2004-06-30 2008-03-19 日本電気株式会社 積層型半導体装置
US20090102503A1 (en) * 2005-08-23 2009-04-23 Nec Corporation Semiconductor device, semiconductor chip, interchip interconnect test method, and interchip interconnect switching method
JP4708176B2 (ja) 2005-12-08 2011-06-22 エルピーダメモリ株式会社 半導体装置
US7494846B2 (en) * 2007-03-09 2009-02-24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Design techniques for stacking identical memory dies
KR100909902B1 (ko) * 2007-04-27 2009-07-30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래쉬 메모리 장치 및 플래쉬 메모리 시스템
KR101519440B1 (ko) 2007-10-04 2015-05-13 삼성전자주식회사 구성 가능한 수직 입출력 라인을 가지는 적층된 반도체 장치 및 그 방법
US7816934B2 (en) * 2007-10-16 2010-10-19 Micron Technology, Inc. Reconfigurable connections for stacked semiconductor devices
US8756486B2 (en) * 2008-07-02 2014-06-17 Micron Technolog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pairing high capacity/high bandwidth memory devices
JP5632584B2 (ja) * 2009-02-05 2014-11-26 ピーエスフォー ルクスコ エスエイアールエルPS4 Luxco S.a.r.l. 半導体装置
JP5564230B2 (ja) * 2009-10-09 2014-07-30 ピーエスフォー ルクスコ エスエイアールエル 積層型半導体装置
WO2011156887A1 (en) * 2010-06-17 2011-12-22 Mosaid Technologies Incorporated Semiconductor device with through-silicon vias
KR20130011138A (ko) * 2011-07-20 2013-01-30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노 랭크와 멀티 랭크로 호환 가능한 메모리 장치
JP2014236186A (ja) * 2013-06-05 2014-12-15 ピーエスフォー ルクスコ エスエイアールエルPS4 Luxco S.a.r.l. 半導体装置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83172B2 (en) 2013-03-15 2019-05-07 Micron Technology, Inc. Flexible memory system with a controller and a stack of memory
US11769534B2 (en) 2013-03-15 2023-09-26 Micron Technology, Inc. Flexible memory system with a controller and a stack of memory
US11450354B2 (en) 2013-03-15 2022-09-20 Micron Technology, Inc. Flexible memory system with a controller and a stack of memory
WO2014149851A1 (en) * 2013-03-15 2014-09-25 Micron Technology, Inc. Flexible memory system with a controller and a stack of memory
US11031049B2 (en) 2013-03-15 2021-06-08 Micron Technology, Inc. Flexible memory system with a controller and a stack of memory
US9679615B2 (en) 2013-03-15 2017-06-13 Micron Technology, Inc. Flexible memory system with a controller and a stack of memory
US10714150B2 (en) 2013-03-15 2020-07-14 Micron Technology, Inc. Flexible memory system with a controller and a stack of memory
US9170296B2 (en) 2013-08-06 2015-10-27 Globalfoundries U.S.2 Llc Semiconductor device defect monitoring using a plurality of temperature sensing devices in an adjacent semiconductor device
KR20150025764A (ko) * 2013-08-30 2015-03-11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데이터 비트 인버전 기능을 갖는 반도체 장치
US9941192B2 (en) 2014-06-10 2018-04-10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Foundation Hanyang University Erica Campus Semiconductor device having repairable penetration electrode
KR101503737B1 (ko) * 2014-07-15 2015-03-20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반도체 장치
KR20160056043A (ko) * 2014-11-11 2016-05-19 삼성전자주식회사 스택 반도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메모리 장치
KR20170112272A (ko) * 2016-03-31 2017-10-12 삼성전자주식회사 기준 전압의 셀프 트레이닝을 수행하는 수신 인터페이스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메모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270504B (zh) 2016-08-31
TW201201218A (en) 2012-01-01
CN102270504A (zh) 2011-12-07
TWI532051B (zh) 2016-05-01
US20110292742A1 (en) 2011-12-01
KR101728068B1 (ko) 2017-04-19
JP5982097B2 (ja) 2016-08-31
JP2011253607A (ja) 2011-12-15
US8654593B2 (en) 2014-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131976A (ko) 적층 반도체 메모리 장치, 이를 포함하는 메모리 시스템, 및 관통전극 결함리페어 방법
JP5209927B2 (ja) 半導体構造の製造方法
JP2011253607A5 (ko)
KR100724653B1 (ko) 반도체 칩 및 그것을 이용한 반도체 집적 회로 장치 및 반도체 칩 선택 방법
KR100761755B1 (ko) 입출력 비트구조를 조절할 수 있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US7830692B2 (en) Multi-chip memory device with stacked memory chips, method of stacking memory chips, and method of controlling operation of multi-chip package memory
US20150263005A1 (en)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 and Production Method, Semiconductor Packaging Component and Packaging Method
US20180301202A1 (en) Shared error detection and correction memory
US20150325521A1 (en) Semiconductor device and semiconductor chip
JP2007335528A (ja) 積層半導体装置
CN106407135B (zh) 电子装置
KR102092745B1 (ko) 반도체 장치 및 이의 테스트 방법
US20110242869A1 (en) Three-dimensional stacked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and control method thereof
TWI524471B (zh) 具有主/從可組態設定的微電子元件
US9263371B2 (en) Semiconductor device having through-silicon via
JP2013114415A (ja) メモリモジュール
US10282167B2 (en) Buffer, semiconductor apparatus and semiconductor system using the same
CN105826274A (zh) 半导体封装方法、半导体封装件及动态随机存取存储器的制作方法
US20160293230A1 (en) Semiconductor device,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a system having the same
JP4812107B2 (ja) 半導体装置
KR102017809B1 (ko) 칩 다이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JP2007193923A (ja) 半導体デバイス
KR20140088782A (ko) 3차원 적층 반도체 집적회로
CN117350232A (zh) 一种存储结构及存储器
KR102083497B1 (ko) 반도체 장치, 이를 제조하는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