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75242A -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용 복합 세라믹 접촉재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용 복합 세라믹 접촉재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75242A
KR20110075242A KR1020090131639A KR20090131639A KR20110075242A KR 20110075242 A KR20110075242 A KR 20110075242A KR 1020090131639 A KR1020090131639 A KR 1020090131639A KR 20090131639 A KR20090131639 A KR 20090131639A KR 20110075242 A KR20110075242 A KR 201100752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material
nitrate
composite ceramic
ceramic contact
perovski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316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00157B1 (ko
Inventor
한상무
김도형
전중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901316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0157B1/ko
Priority to JP2012547019A priority patent/JP5642197B2/ja
Priority to PCT/KR2010/009442 priority patent/WO2011081417A2/ko
Priority to CN201080059890.3A priority patent/CN102687324B/zh
Priority to US13/519,699 priority patent/US20120282394A1/en
Priority to EP10841249.5A priority patent/EP2521209B1/en
Publication of KR201100752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52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01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0157B1/ko
Priority to US15/198,318 priority patent/US9871259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02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 H01M8/0204Non-porous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8/0215Glass; Ceramic materials
    • H01M8/0217Complex oxides, optionally doped, of the type AMO3, A being an alkaline earth metal or rare earth metal and M being a metal, e.g. perovski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30/00Nanotechnology for materials or surface science, e.g. nanocomposi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GCOMPOUNDS CONTAINING METAL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1D OR C01F
    • C01G45/00Compounds of manganese
    • C01G45/12Manganates manganites or permanga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GCOMPOUNDS CONTAINING METAL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1D OR C01F
    • C01G51/00Compounds of cobalt
    • C01G51/006Compounds containing, besides cobalt, two or more other elements, with the exception of oxygen or hydr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GCOMPOUNDS CONTAINING METAL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1D OR C01F
    • C01G51/00Compounds of cobalt
    • C01G51/40Cobaltates
    • C01G51/70Cobaltates containing rare earth, e.g. LaCoO3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GCOMPOUNDS CONTAINING METAL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1D OR C01F
    • C01G53/00Compounds of nickel
    • C01G53/006Compounds containing, besides nickel, two or more other elements, with the exception of oxygen or hydr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GCOMPOUNDS CONTAINING METAL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1D OR C01F
    • C01G53/00Compounds of nickel
    • C01G53/40Nickelates
    • C01G53/70Nickelates containing rare earth, e.g. LaNiO3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01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oxide ceram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5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rare-earth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22Forming processe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24Sol-gel process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22Forming processe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26Preparing or treating the powders individually or as batches ; preparing or treating macroscopic reinforcing agents for ceramic products, e.g. fibres; mechanical aspects section B
    • C04B35/62605Treating the starting powders individually or as mixtures
    • C04B35/62685Treating the starting powders individually or as mixtures characterised by the order of addition of constituents or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22Forming processe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26Preparing or treating the powders individually or as batches ; preparing or treating macroscopic reinforcing agents for ceramic products, e.g. fibres; mechanical aspects section B
    • C04B35/628Coating the powders or the macroscopic reinforcing agents
    • C04B35/62802Powder coating materials
    • C04B35/62805Oxide ceram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22Forming processe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26Preparing or treating the powders individually or as batches ; preparing or treating macroscopic reinforcing agents for ceramic products, e.g. fibres; mechanical aspects section B
    • C04B35/628Coating the powders or the macroscopic reinforcing agents
    • C04B35/62802Powder coating materials
    • C04B35/62805Oxide ceramics
    • C04B35/62826Iron group metal 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22Forming processe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26Preparing or treating the powders individually or as batches ; preparing or treating macroscopic reinforcing agents for ceramic products, e.g. fibres; mechanical aspects section B
    • C04B35/628Coating the powders or the macroscopic reinforcing agents
    • C04B35/62892Coating the powders or the macroscopic reinforcing agents with a coating layer consisting of partic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22Forming processe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4Burning or sintering proces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4/8647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consisting of more than one material, e.g. consisting of composites
    • H01M4/8657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consisting of more than one material, e.g. consisting of composites layer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4/90Selection of catalytic material
    • H01M4/9016Oxides, hydroxides or oxygenated metallic salts
    • H01M4/9025Oxides specially used in fuel cell operating at high temperature, e.g. SOFC
    • H01M4/9033Complex oxides, optionally doped, of the type M1MeO3, M1 being an alkaline earth metal or a rare earth, Me being a metal, e.g. perovski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02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 H01M8/023Porous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8/0236Glass; Ceramics; Cerm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2/00Crystal-structural characteristics
    • C01P2002/30Three-dimensional structures
    • C01P2002/34Three-dimensional structures perovskite-type (ABO3)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01Particle morphology depicted by an image
    • C01P2004/03Particle morphology depicted by an image obtained by SEM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60Particles characterised by their size
    • C01P2004/61Micrometer sized, i.e. from 1-100 microme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60Particles characterised by their size
    • C01P2004/62Submicrometer sized, i.e. from 0.1-1 microme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80Particles consisting of a mixture of two or more inorganic phases
    • C01P2004/82Particles consisting of a mixture of two or more inorganic phases two phases having the same anion, e.g. both oxidic pha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80Particles consisting of a mixture of two or more inorganic phases
    • C01P2004/82Particles consisting of a mixture of two or more inorganic phases two phases having the same anion, e.g. both oxidic phases
    • C01P2004/84Particles consisting of a mixture of two or more inorganic phases two phases having the same anion, e.g. both oxidic phases one phase coated with the other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00Physical properties of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40Electric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35/00Aspects relating to ceramic starting mixtures or sintered ceramic products
    • C04B2235/02Composition of constituents of the starting material or of secondary phases of the final product
    • C04B2235/30Constituents and secondary phases not being of a fibrous nature
    • C04B2235/32Metal oxides, mixed metal oxides, or oxide-forming salts thereof, e.g. carbonates, nitrates, (oxy)hydroxides, chlorides
    • C04B2235/3205Alkaline earth oxides or oxide forming salts thereof, e.g. beryllium oxide
    • C04B2235/3208Calcium oxide or oxide-forming salts thereof, e.g. lim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35/00Aspects relating to ceramic starting mixtures or sintered ceramic products
    • C04B2235/02Composition of constituents of the starting material or of secondary phases of the final product
    • C04B2235/30Constituents and secondary phases not being of a fibrous nature
    • C04B2235/32Metal oxides, mixed metal oxides, or oxide-forming salts thereof, e.g. carbonates, nitrates, (oxy)hydroxides, chlorides
    • C04B2235/3224Rare earth oxide or oxide forming salts thereof, e.g. scandium oxide
    • C04B2235/3227Lanthanum oxide or oxide-forming sal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35/00Aspects relating to ceramic starting mixtures or sintered ceramic products
    • C04B2235/02Composition of constituents of the starting material or of secondary phases of the final product
    • C04B2235/30Constituents and secondary phases not being of a fibrous nature
    • C04B2235/32Metal oxides, mixed metal oxides, or oxide-forming salts thereof, e.g. carbonates, nitrates, (oxy)hydroxides, chlorides
    • C04B2235/3231Refractory metal oxides, their mixed metal oxides, or oxide-forming salts thereof
    • C04B2235/3241Chromium oxides, chromates, or oxide-forming sal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35/00Aspects relating to ceramic starting mixtures or sintered ceramic products
    • C04B2235/02Composition of constituents of the starting material or of secondary phases of the final product
    • C04B2235/30Constituents and secondary phases not being of a fibrous nature
    • C04B2235/32Metal oxides, mixed metal oxides, or oxide-forming salts thereof, e.g. carbonates, nitrates, (oxy)hydroxides, chlorides
    • C04B2235/327Iron group oxides, their mixed metal oxides, or oxide-forming salts thereof
    • C04B2235/3275Cobalt oxides, cobaltates or cobaltites or oxide forming salts thereof, e.g. bismuth cobaltate, zinc cobaltit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35/00Aspects relating to ceramic starting mixtures or sintered ceramic products
    • C04B2235/02Composition of constituents of the starting material or of secondary phases of the final product
    • C04B2235/30Constituents and secondary phases not being of a fibrous nature
    • C04B2235/32Metal oxides, mixed metal oxides, or oxide-forming salts thereof, e.g. carbonates, nitrates, (oxy)hydroxides, chlorides
    • C04B2235/3281Copper oxides, cuprates or oxide-forming salts thereof, e.g. CuO or Cu2O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35/00Aspects relating to ceramic starting mixtures or sintered ceramic products
    • C04B2235/02Composition of constituents of the starting material or of secondary phases of the final product
    • C04B2235/30Constituents and secondary phases not being of a fibrous nature
    • C04B2235/44Metal salt constituents or additives chosen for the nature of the anions, e.g. hydrides or acetylacetonate
    • C04B2235/443Nitrates or nitri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35/00Aspects relating to ceramic starting mixtures or sintered ceramic products
    • C04B2235/02Composition of constituents of the starting material or of secondary phases of the final product
    • C04B2235/30Constituents and secondary phases not being of a fibrous nature
    • C04B2235/44Metal salt constituents or additives chosen for the nature of the anions, e.g. hydrides or acetylacetonate
    • C04B2235/449Organic acids, e.g. EDTA, citrate, acetate, oxa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35/00Aspects relating to ceramic starting mixtures or sintered ceramic products
    • C04B2235/02Composition of constituents of the starting material or of secondary phases of the final product
    • C04B2235/50Constituents or additives of the starting mixture chosen for their shape or used because of their shape or their physical appearance
    • C04B2235/52Constituents or additiv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s
    • C04B2235/528Sphe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35/00Aspects relating to ceramic starting mixtures or sintered ceramic products
    • C04B2235/02Composition of constituents of the starting material or of secondary phases of the final product
    • C04B2235/50Constituents or additives of the starting mixture chosen for their shape or used because of their shape or their physical appearance
    • C04B2235/54Particle size related information
    • C04B2235/5418Particle size related information expressed by the size of the particles or aggregates thereof
    • C04B2235/5436Particle size related information expressed by the size of the particles or aggregates thereof micrometer sized, i.e. from 1 to 100 micron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35/00Aspects relating to ceramic starting mixtures or sintered ceramic products
    • C04B2235/02Composition of constituents of the starting material or of secondary phases of the final product
    • C04B2235/50Constituents or additives of the starting mixture chosen for their shape or used because of their shape or their physical appearance
    • C04B2235/54Particle size related information
    • C04B2235/5418Particle size related information expressed by the size of the particles or aggregates thereof
    • C04B2235/5454Particle size related information expressed by the size of the particles or aggregates thereof nanometer sized, i.e. below 100 nm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35/00Aspects relating to ceramic starting mixtures or sintered ceramic products
    • C04B2235/70Aspects relating to sintered or melt-casted ceramic products
    • C04B2235/74Physical characteristics
    • C04B2235/76Cryst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e.g. symmetry
    • C04B2235/768Perovskite structure ABO3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35/00Aspects relating to ceramic starting mixtures or sintered ceramic products
    • C04B2235/70Aspects relating to sintered or melt-casted ceramic products
    • C04B2235/96Properties of ceramic products, e.g. mechanical properties such as strength, toughness, wear resistance
    • C04B2235/9607Thermal properties, e.g.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 C04B2235/9615Linear firing shrinka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2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operating at high temperature, e.g. with stabilised ZrO2 electrolyte
    • H01M2008/1293Fuel cells with solid oxide electroly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Geology (AREA)
  • Nanotechno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Fuel Cell (AREA)
  • Inert Electrodes (AREA)
  • Compositions Of Oxide Ceramics (AREA)
  • Inorganic Compounds Of Heavy Metal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용 복합 세라믹 접촉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용 복합 세라믹 접촉재는 입경이 큰 란탄코발타이트 입자 주위에 입경이 작은 페로브스카이트형 세라믹 입자가 감싸고 있는 심지구조를 이루고 있으며, 란탄코발타이트는 페로브스카이트형 세라믹 입자를 합성하기 위한 공정에서 출발 물질로 함께 첨가되어 합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용 복합 세라믹 접촉재는 연료전지의 분리판과 극판 사이의 전기적 연결 특성을 향상시키며 화학적, 기계적으로도 안정하다.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 단위 전지, 분리판, 복합 세라믹 접촉재, 란탄코발타이트, 페로브스카이트형 세라믹 입자

Description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용 복합 세라믹 접촉재 및 그 제조방법{COMPOSITE CERAMIC CONTACT MATERIAL FOR SOLID OXIDE FUEL CELL AND METHOD OF PREPARING CERAMIC CONTACT MATERIAL}
본 발명은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의 양극과 분리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복합 세라믹 접촉재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solid oxide fuel cell; SOFC)는 단위 전지와 분리판으로 이루어진 전기 생성 유닛이 복수개 적층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단위 전지는 전해질막과, 전해질막의 일면에 위치하는 양극(공기극)과, 전해질막의 다른 일면에 위치하는 음극(연료극)을 포함한다.
양극에 산소를 공급하고 음극에 수소를 공급하면, 양극에서 산소의 환원 반응으로 생성된 산소 이온이 전해질막을 지나 음극으로 이동한 후 음극에 공급된 수소와 반응하여 물이 생성된다. 이때 음극에서 생성된 전자가 양극으로 전달되어 소모되는 과정에서 외부 회로로 전자가 흐르며, 단위 전지는 이러한 전자 흐름을 이용하여 전기 에너지를 생산한다.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의 경우 하나의 단위전지가 생산하는 전기에너지가 제한적이므로 통상 이러한 단위전지를 여러 개로 적층한 스택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스택 구조를 이루는 각각의 단위전지는 양극과 음극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면서 기체가 혼합되는 것을 막는 분리판이 통상적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분리판은 통상 스테인리스 강판을 사용하며, 양극(공기극)쪽으로 가는 가스 유로를 제공하고 아울러 음극(연료극)쪽으로 가는 가스 유로도 제공한다.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에서 성능을 향상시키는 방법 중에 하나가 스택의 전기저항, 즉 연료전지의 내부 저항을 낮추는 것이다.
이를 위해 분리판과 극판의 재료로 전기전도도가 우수한 소재를 사용하거나 이들의 접촉 전기저항을 낮추는 구성이 제안되고 있다. 한 가지 예로는 양극과 분리판 사이에서 전기를 전달하는 집전체를 삽입하고 그 집전체로서 백금 메시(Pt mesh)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비용 절감을 위해 백금 대신에 내산화성 금속 메시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금속 소재를 집전체로 사용할 경우 이 소재는 산화성 분위기에 장시간 노출될 경우 그 표면에 산화물이 형성되어 스택의 저항이 점차 커지고 이로 인하여 스택의 성능이 열화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산화성 분위기에서도 안정하며, 전도성이 발휘되는 산화물을 채택하여 스택의 장시간 운전에서도 안정한 성능을 발휘하게 할 필요가 있다.
고체산화물연료전지의 극판과 분리판 사이에 이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접촉재로서 페로브스카이트(perovskite) 구조를 갖는 세라믹 재료가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페로브스카이트형 세라믹 접촉재의 경우 전기 전도성을 더욱향상시키고 화학적, 기계적으로도 안정하도록 재료의 물성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산화성 분위기가 유지되는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의 분리판과 극판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향상시키며 화학적, 기계적으로 안정한 복합 세라믹 접촉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산화성 분위기가 유지되는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의 분리판과 극판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향상시키며 화학적, 기계적으로 안정한 복합 세라믹 접촉재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용 복합 세라믹 접촉재는미세한 ABO3형 페로브스카이트형 세라믹 입자가 상기 페로브스카이트형 세라믹 입자의 입경 보다 큰 란탄코발타이트(LaCoO3)입자와 혼합되어 있는 접촉재를 제공한다.
이러한 복합 세라믹 접촉재는 란탄코발타이트 입자 주위에 상기 페로브스카이트형 세라믹 입자가 감싸고 있는 심지구조(cored structure)를 이루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란탄코발타이트는 페로브스카이트형 세라믹 입자를 합성하기 위한 공정에서 출발 물질로 함께 첨가되어 합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복합 세라믹 접촉재에서 상기 란탄코발타이트 비율이 10 중량% 이상이고 90%중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복합 세라믹 접촉재에서 페로브스카이트형 세라믹 입자는 (La,Sr)MnO3, (La,Sr)CoO3, (La,Sr)(Co,Fe)O3, (La,Ca)(Cr,Co,Cu)O3 중 어느 하나이고 그 입경은 100 n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페로브스카이트형 세라믹은 그 조성이 (La 0.8Ca0.2)(Cr0.1Co0.6Cu0.3)O3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복합 세라믹 접촉재에서 란탄코발타이트 입자는 그 입경이 0.5-5.0㎛이며, 구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용 세라믹 접촉재의 제조방법은 ⅰ) 구연산과 란탄코발타이트 분말이 혼합된 혼합물을 복수의 질산염이 용해되어 있는 질산염 수용액에 투입하는 단계; ⅱ) 상기 수용액을 가열하면서 교반하여 반응물을 졸 상태에서 겔상태로 변화시키는 가열교반단계; ⅲ) 상기 가열교반단계에서 생성된 반응물을 상기 겔의 자발착화 이상의 온도로 가열하여 겔을 연소시키는 단계; ⅳ) 상기 겔 연소단계에서 생성된 챠(char)를 분쇄한 후 700℃ 이상에서 열처리하는 하소 단계; 를 포함하는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러한 복합 세라믹 접촉재 제조방법에서 란탄코발타이트 분말은 그 입경이 0.5-5.0㎛인 것이 바람직하며, 질산염 수용액에 첨가하는 비율은 10 중량% 이상이고 90%중량% 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질산염 수용액은 란탄질산염, 칼슘질산염, 크롬질산염, 코발트질산염, 구리질산염, 철질산염, 비스무스질산염, 이트륨질산염, 망간질산염, 스트론튬질산염, 니켈질산염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금속 질산염을 ABO3형 페로브스카이트 세라믹의 조성에 맞추어 증류수에 용해한다. 여기서 ABO3형 페로브스카이트 세라믹은 (La,Sr)MnO3, (La,Sr)CoO3, (La,Sr)(Co,Fe)O3, (La,Ca)(Cr,Co,Cu)O3 중 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La,Ca)(Cr,Co,Cu)O3는 그 조성이 (La 0.8Ca0.2)(Cr0.1Co0.6Cu0.3)O3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연산은 금속착체를 형성하고 고온에서 연소되어 세라믹 분말이 형성되는 데 기여하는 가연성 유기물로 사용하며, 이러한 가연성 유기물은 글리신나이트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 우레아, 에틸렌다이아민테트라아세트산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용 복합 세라믹 접촉재의 제조방법은 상기 하소 분말을 결합재와 분산재 그리고 용매와 함께 균일하게 혼합하여 점성유동체(slurry)로 제조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세라믹 접촉재의 제조방법은 제조된 점성유동체를 고체산화물연료전지의 극판 또는 분리판에 도포한 후 소결시키는 단계를 더욱 포함한다. 이 때 상기 소결 단계는 600℃ 이상에서 1시간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이상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복합 세라믹 접촉재가 도포된 극판 또는 분리판을 포함하는 고체산화물연료전지를 제공한다.
또 다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ⅰ)전해질막과, 전해질막의 일면에 위치하는 양극(공기극) 그리고 전해질막의 다른 일면에 위치하는 음극(연료극)으로 이루어진 단위 전지;와 ⅱ) 상기 양극과 음극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제8항의 복합 세라믹 접촉재가 도포된 분리판;을 포함하는 고체산화물연료전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조된 복합 세라믹 접촉재는 고체산화물연료전지 작동온도에서의 전기전도도가 우수하고 화학적으로도 안정한 상태를 유지하는 기술적 효과를 발휘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세라믹 접촉재는 미세한 ABO3형 페로브스카이트형 세라믹 입자가 상대적으로 큰 입경을 갖는 란탄코발타이트(LaCoO3)입자 와 혼합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큰 입경을 갖는 란탄코발타이트(LaCoO3)입자 주위에 미세한 ABO3형 페로브스카이트형 세라믹 입자가 감싸고 있는 이른바 심지구조(cored structure)를 이루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복합 세라믹 접촉재는 먼저 질산염을 물에 용해하여 질산염수용액을 제조한 다음, 이 질산염 수용액에 구연산과 란탄코발타이트 분말을 혼합하고 가열하여 제조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세라믹 접촉재를 제조하기 위한출 발 원료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질산염 수용액은 란탄질산염, 칼슘질산염, 크롬질산염, 코발트질산염, 구리질산염, 철질산염, 비스무스질산염, 이트륨질산염, 망간질산염, 스트론튬질산염, 니켈질산염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금속 질산염을 증류수에 용해하여 제조한다. 이때 증류수에 용해되는 질산염의 조성은 ABO3형 페로브스카이트 세라믹의 조성에 맞추어 화학양론적으로 결정한다. 즉, 첨가되는 금속 질산염들의 조성 비율은 최종적으로 형성되는 전도성 페로브스카이트 세라믹 조성에 따라 결정된다. 최종적으로 형성되는 페로브스카이트 세라믹의 조성의 예는 ((La,Sr)MnO3, (La,Sr)CoO3, (La,Sr)(Co,Fe)O3, (La,Ca)(Cr,Co,Cu)O3 등이 있다.
다음, 출발원료인 구연산(citric acid)은 연소합성을 위한 '연료(fuel)' 역할을 한다. 따라서 글리신나이트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 우레아, 에틸렌다이아민테트라아세트산 등 금속착체를 형성하고 고온에서 연소되어 세라믹 분말이 형성되는 데 기여하는 가연성 유기물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유기물, 예를 들어 에틸렌다이아민테트라아세트산은 구연산과 암모니아수와 함께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구연산은 단독으로도 금속착체형성제 및 연료 역할을 할 수 있기 때문에 구연산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연산의 첨가 비율은 질산염 수용액 중의 금속 양이온 비율에 따라 결정된다. 더 자세하게는 질산염의 산화수(oxidation amount)와 구연산의 산화수를 맞추어 결정된다. 산화수란 일반적으로 원소의 원자가(valency)라 할 수 있지만, 급속 산화환원 반응, 즉 연소 과정을 거쳐 세라믹을 합성할 경우에는 그 의미가 조금 달라진다. 예를 들면 La의 산화수는 +3이고 산소(O) 산화수는 -2, 탄소(C)는 +4, 수소(H)는 +1이지만 질소(N)는 불활성으로 간주되어 산화수가 0이다. 따라서 이 방법에 따라 각 질산염들의 산화수가 결정되고, 그 혼합물의 산화수도 몰비에 따라 계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계산된 질산염 혼합물의 음의 산화수 크기에 상응하는 양의 산화수를 가지는 분량의 구연산을 연료로 사용한다. 그러나 연료인 구연산의 비율이 조금 더 클 때 연소반응이 원활하고 그에 따라 제조된 세라믹 분말의 물성이 향상되므로 구연산의 비율을 증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증가량은 합성되는 페로브스카이트 조성에 따라 변화한다.
다음 또 다른 출발 원료인 란탄코발타이트는 그 입도가 0.5-5.0㎛이고 1차 입자 사이에 공극이 없이 치밀하고 구형인 분말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형의 란탄코발타이트 분말은 란탄산화물과 코발트산화물을 혼합하고 1400℃ 이상 온도에서 5시간 이상 가열하여 합성한 다음 이를 분쇄하여 제조한다. 또 다른 란탄코발타이트 분말의 제조방법으로는 셀룰로오스를 이용하여 전구체를 만들고 연소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도 있다. 또 다른 란탄코발타이트 분말의 제조방법으로는 금속염화물과 구연산 그리고 에틸렌글리콜을 물에 녹여 수용액을 만들고 가열해 물과 유기물을 제거한 후 400℃ 이상에서 열처리하는 방법도 있다. 또 다른 란탄코발타이트 분말의 제조방법으로는 란탄질산염과 코발트질산염 수용액에 가성소다를 첨가해 생성된 침전물을 건조하고 700℃, 공기 중에서 6시간 하소하 여 제조하는 방법도 있다. 또 다른 란탄코발타이트 분말의 제조방법으로는 란탄질산염과 코발트질산염 수용액을 만들고, 아크릴아미드 모노머와 N, N'-메틸렌바이아크릴아미드의 혼합물에 균일하게 섞은 다음 과황산암모늄을 첨가하여 젤을 만든 후에 가열하여 제조하는 방법도 있다.
이상과 같은 제조 방법 중에서 선택된 방법으로 합성된 란탄코발타이트 분말은 입도가 0.5-5.0㎛인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그 입도가 0.5㎛보다 작을 때에는 1400℃ 이상에서 열처리하여 란탄코발타이트 입자를 성장시킨 후에 분쇄하여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그 입도가 0.5㎛ 미만일 경우 란탄코발타이트 분말은 제조할 때 비용이 많이 들어 경제적이지 않다. 그리고 만약 그 입도가 5㎛을 초과할 경우에는 세라믹 접촉재에 필요한 소결을 방해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수축율과 전기전도도에 오히려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런 영향은 후술하는 란탄코발타이트 첨가방법 및 첨가 비율에 따른 수축률과 전기전도도 변화로도 확인된다.
란탄코발타이트는 고체전해질연료전지 운전온도인 700℃~900℃에서 사실상 소결되지 않기 때문에 그 입도가 지나치게 크거나 첨가 비율이 너무 크면 복합 세라믹 접촉재의 수축률과 전기전도도가 작아지게 된다.
그리고 란탄코발타이트 첨가 비율은 최종적으로 얻는 복합 세라믹 접촉재 내에서 란탄코발타이트 비율이 10 중량% 이상이고 90%중량% 이하가 되도록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란탄코발타이트의 첨가비율이 10중량% 미만 일 경우 전도도 향상 효과가 작고, 90%를 초과할 경우에는 고체산화물연료전지 작동온도에서 접촉재가 소결되지 않기 때문에 강도가 현저히 낮아지고, 그 결과 세라믹 접촉재가 쉽 게 파손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세라믹 접촉재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질산염 수용액을 다음과 같이 제조한다. 란탄질산염, 칼슘질산염, 크롬질산염, 코발트질산염, 구리질산염 등의 질산염을 ABO3형 페로브스카이트 세라믹의 화학양론적 조성에 맞추어 평량한 다음 증류수에 넣고 용해하고 저온에서 교반하면서 가열한다. 그리고 준비된 구연산(citric acid monohydrate)에 준비된 란탄코발타이트 분말을 첨가하고 균일하게 혼합한 후 질산염수용액에 투입하여 졸(sol) 화 한다.
이 졸 상태의 혼합액을 서서히 가열하면서 겔(gel)화되어 점성이 높아져 교반이 불가능할 때까지 계속 가열한다.
그 다음 가열온도를 보다 올려 겔 버블링이 끝나고 점성 있는 케이크 상태가 되면 고화된 겔의 자발착화 온도 이상으로 가열하여 겔이 자발착화하여 연소되도록 만든 다음 이를 냉각한다. 이와 같이 하여 제조된 챠(char)를 건식으로 분쇄한 다음 700℃ 이상의 공기 중에서 하소한다. 이 때 하소 온도는 X선 회절분석을 통해 페로브스카이트 단일상이 확인되는 온도인 700℃ 이상, 그리고 하소 분말이 소결되지 않는 온도인 1000℃ 이하가 바람직하다.
하소된 분말의 형태는 질산염 수용액에 의하여 최종적으로 형성되는 페로브스카이트 세라믹 입자가 이 보다 입경이 큰 란탄코발타이트 입자 주위를 감싸고 있 는 형상이다. 이러한 구조를 심지구조(cored structure)라 한다. 이 때 란탄코발타이트의 입경은 0.5-5.0㎛인 것이 바람직하고 함께 합성되어 란탄코발타이트 입자를 감싸는 페로브스카이트 세라믹 입자의 입경은 100 n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심지구조는 볼밀 등과 같은 물리적 후속 공정을 거치더라도 심지구조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소된 분말은 에탄올과 지르코니아 볼을 함께 플라스틱 자(jar)에 넣고 볼밀한 다음 건조하고 이를 분급하였다.
이상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하소분말은 결합재를 첨가하여 균일하게 혼합한 다음 건조하고 성형한 다음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의 전극판과 분리판 양쪽에 접촉한 상태에서 소결되어 복합 세라믹 접촉재로서 사용된다. 이 때의 소결 조건은 600℃ 이상, 1시간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소결온도가 600℃보다 낮으면 소결체 강도가 충분하지 않아 부서져 접촉재 기능을 상실한다. 온도가 이보다 더 높으면 세라믹 접촉재의 강도 수축률에는 유리하지만 연료전지를 구성하는 다른 구성요소들, 예를 들어 금속분리판이나 유리 밀봉재 등의 손상이 커진다. 즉 본 발명의 세라믹 접촉재는 고체산화물 연료 전지 작동 온도 범위인 600℃ 이상에서는 1시간 이상 소결되면 기능을 발휘한다. 이와 같은 소결온도보다 그 온도를 높이거나 소결 시간을 늘일 경우 세라믹 접촉재의 조직은 더 치밀해질 수 있다.
제조된 하소 분말을 적당한 결합재, 분산재, 용매 등과 함께 균일하게 혼합하여 점성유동체(slurry) 형태로 만들고, 고체산화물연료전지 단전지(unit cell)나 분리판(interconnect) 위에 선상이나 면상으로 사출하고 소결부착시켜 세라믹 접촉 재로 이용할 수 있다.
또 다른 사용 예로는 제조된 하소 분말을 유기 결합제와 분산제를 혼합하여 페이스트를 만들어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분리판에 도포한 다음 건조하고 소결하여 분리판에 접착시켜 세라믹 접촉재로 사용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먼저, 출발물질 중 하나로 란탄코발타이트를 합성하였다. 이를 위해 란탄산화물과 코발트산화물을 혼합하고 1400℃의 온도에서 5시간 이상 가열해 란탄코발타이트를 합성하였다. 합성된 란탄코발타이트는 분쇄하여 분말 상태로 제조하였다. 제조된 란탄코발타이트의 분말은 도1의 주사전자현미경(SEM)으로 촬영한 사진과 같이 1차 입자 사이에 공극 없이 치밀하고 구형의 형상으로 제조되었다. 제조된 란탄코발타이트의 평균 입도는 약 3㎛이었다.
다음으로 질산염 수용액을 제조하였다. 질산염 수용액의 조성은 최종적으로 형성되는 페로브스카이트 세라믹의 조성이 (La,Ca)(Cr,Co,Cu)O3 (이하 LCCAF라 한다.)가 되도록 질산염들을 평량하고 혼합하여 맞추었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한 LCCAF의 정확한 조성은 (La 0.8Ca0.2)(Cr0.1Co0.6Cu0.3)O3 이다. 이러한 조성을 갖는 질산염 수용액을 제조하기 위해 증류수 50mL에 란탄질산염 76.9g, 칼슘질산염 10.4g, 크롬질산염 8.9g, 코발트질산염38.5g, 구리질산염16.0g을 각각 첨가하고 완전히 용해한 다음 교반하면서 70℃로 가열하였다.
그 다음 앞서 제조한 란탄코발타이트 분말 50.0g을 상온에서 분체인 구연산(citric acid monohydrate) 85.0g에 첨가하고 균일하게 혼합한 후 이 혼합물을 질산염수용액에 투입하였다.
이와 같은 상태의 혼합액은 그 점성이 높아져 교반이 불가능할 때까지 70℃에서 계속 가열하였다. 그 후 가열온도를 150℃로 올려 겔 버블링이 끝나고 점성 있는 케이크 상태가 되게 하였다. 케이크 상태가 되면 이를 250℃ 이상으로 가열하여 고화된 겔이 자발착화하여 연소되도록 하고 이를 냉각하여 챠(char)를 획득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챠를 볼밀에서 건식 분쇄하였다. 그 다음 이를 건조한 다음 2℃/min 의 승온속도로 승온시키고 700℃ 공기 중에서 4시간 동안 하소하였다.
이상과 같은 방법으로 합성된 분말을 도2에 나타내었다.
도2에서 알 수 있듯이 질산염 수용액과 란탄코발타이트 입자가 합성된 복합 분말은 커다란 입자 주위를 작은 입자들이 감싸고 있는 형상이다. 이러한 구조를 심지구조(cored structure)라 한다. 입경이 큰 입자들은 란탄코발타이트로서 그 입경은 2~5㎛이고 입경이 작은 입자들은 LCCAF로서 그 입경은 약 50nm 이었다.
이와 같은 심지구조는 볼밀 등과 같은 물리적 후속 공정을 거치더라도 심지구조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하소된 입자를 볼밀 할 경우에는 응집된 LCCAF 입자가 분쇄되어 란탄코발타이트 입자 주위에 고르게 분산되는 정도로 볼밀 공정을 제어할 필요가 있다.
하소된 분말은 에탄올 그리고 지르코니아 볼과 함께 플라스틱 자(jar)에 넣고 15시간 동안 볼밀 한 후에 60℃에서 24시간 이상 건조하였다. 건조된 분말은 150㎛ 이하로 분급하였다.
이상과 같은 공정으로 제조된 합성 세라믹 하소 분말의 물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질산염 수용액과 구연산을 이용하여 별도로 합성된 LCCAF 합성분말에 란탄코발타이트를 단순 혼합한 시료를 준비하였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심지구조를 갖는 합성된 분말은 "합성분말"이라고 하고, 별도의 공정에서 합성된 LCCAF 분말에 란탄코발타이트를 단순 혼합한 분말을 "혼합분말"이라고 한다.
합성분말과 혼합분말의 물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최종 세라믹 분말에 대한 란탄코발타이트 첨가 비율을 10~90중량%로 변화시켜 합성하거나 또는 혼합한 시료를 동일한 조건에서 하소처리 하였다. 이 분말들의 하소 조건은 모두 700℃에서 12시간이다. 하소된 이들 분말은 분쇄를 거쳐 유기바인더와 혼합한 다음 성형하고 소결하였다. 이때의 소결 조건은 850℃에서 4시간이다.
아래 표1은 이러한 실험 조건 및 소결된 소결체에 대하여 소결과정의 소결 수축률과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의 사용온도 범위인 800℃에서의 전기전도도를 측정하여 나타내었다. 이 때 전기전도도의 측정은 소결된 시편을 3*3*20(mm) 크기의 각주로 가공한 다음 사점법(four-probe method)으로 800℃에서 그 전기전도도를 측정하였다.
[표 1]
란탄코발타이트 비율(중량%)
10

30

50

70

90
구분 합성분말 혼합분말 합성분말 혼합분말 합성분말 혼합분말 합성분말 혼합분말 합성분말 혼합분말
수축률(%) 8.9 5.8 16.6 10.9 14.4 10.9 6.4 4.3 2.5 1.3
전기전도도(S/cm) 111.8 75.5 192.1 101.5 228.4 180.5 117.2 94.2 100.2 88.3
표1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합성분말의 경우 혼합분말의 경우보다 소결수축률 및 전기전도도가 더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합성분말은 혼합분말에 비해 소결성과 전기전도도 모두가 우수하다.
이러한 실험 결과는 본 발명에 따른 합성분말의 소결성이 획기적으로 개선되어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의 분리판에 접촉재로 사용할 경우 치밀한 망목 구조를 유지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합성분말은 란탄코발타이트 입자의 접점에서 전자 흐름을 개선하여 세라믹 접촉재의 전기저항을 감소시켜 결과적으로 연료전지 스택의 전체적인 전기전도도가 향상된다.
[실시예 2]
실시예 2에서는 실시예1에 따라 제조한 합성분말의 양이 한 뱃치에서 250g이 되도록 양을 늘렸으며 이를 순수 LCCAF 분말과의 물리적 특성을 비교한 것이다. (실시예1에서 합성한 합성분말은 한 뱃치에서 100g이었다.)
먼저 순수 LCCAF 분말은 화학양론적 조성으로 평량한 질산염 수용액에 구연산만을 첨가하여 LCCAF 분말을 합성하였다. 그리고 이와 비교하기 위하여 실시예1과 같은 방법으로 합성분말을 합성하였다. 이 때 합성분말에서의 란탄코발타이트의 조성은 하소 후 획득되는 분말 중에 란탄코발타이트의 비율이 50중량% 가 되도록 하였다. 이하에서는 합성된 LCCAF 분말을 "순수 LCCAF 분말"이라고 하고, 비교를 위해 합성한 합성분말은 "50% 합성분말"이라고 한다.
이와 같이 합성된 분말들을 1.0 중량% 폴리비닐부틸알을 각각 첨가하고 1,000kgf/cm2으로 일축 가압하여 지름 25mm 원판형으로 성형하였다. 이 들 성형체를 850℃, 공기 중에서 4시간 소결하였다. 이때 소결시의 수축률을 측정하였다. 그리고 소결된 소결체는 3*3*20(mm) 크기의 각주로 가공한 다음 800 ℃에서 4점법으로 전기전도도를 측정하였다.
소결시의 수축율과 전기전도도는 순수 LCCAF 분말의 경우 각각 16.2%, 64.3 S/cm 인 반면, 50% 합성분말은 각각 18.6%, 505.2 S/cm를 나타내었다.
란탄코발타이트 분말은 800℃에서 사실상 소결되지 않으므로 그것이 50중량%포함된 합성분말의 소결수축률은 순수 LCCAF의 소결수축률보다 작다. 그러나 전기전도도가 4배 가까이 커지기 때문에 소결수축률이 1.8%포인트 작아져 발생될 수 있는 전기전도도 감소 효과를 보상하고도 남는다.
[실시예 3]
실시예 3은 실시예2에 따라 제조한 합성분말을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의 분리판에 접촉재로 적용한 다음 이 연료전지의 전기적 특성을 조사한 것이다.
이 실험에 사용한 시편은 실시예2에 따라 합성한 50% 합성분말이다.
합성된 50% 합성분말과 유기결합재, 분산재 그리고 용매를 함께 혼합하여 슬러리를 제조하였다.
이 슬러리를 주사기 모양 용기에 넣고 디스펜서(dispenser) 장치를 이용해 고체산화물연료전지 분리판에 선상으로 도포하였다. 그리고 이를 850℃, 공기 중에서 4시간 소결하였다.
사용한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에서 단전지는 LaSrCoFeO3 (LSCF) 양극, 이트리아 안정화 지르코니아(YSZ), Ni-YSZ 음극으로 이루어지고, 분리판은 스테인리스스틸 소재(ferritic steel)로 이루어지며, 밀봉재는 유리였다.
이 때 분리판과 양극 사이에 형성되는 집전체를 변경 시키면서 연료전지의 전류전압 특성을 조사하였다.
사용한 집전체는 1) 실시예 3에 따라 제조된 세라믹 접촉재, 2) 백금 메쉬(Pt mesh)와 백금 페이스트(Pt paste)로 이루어진 접촉재 그리고 3) 페리틱 스틸계 스테인리스 합금으로 제작되고 Co-Ni이 전기도금된 금속 메쉬(mesh)를 사용하는 세 가지 경우를 비교하였다.
이와 같은 3 가지 형태의 연료전지에 대하여 전류전압 특성을 조사한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에서 알 수 있듯이 1) 실시예 3에 따라 제조된 세라믹 접촉재를 사용한 고체산화물연료전지는 2) 백금 메쉬와 백금 페이스트(paste)를 사용한 경우와 비교해 보면 그 전기적 특성이 동등하거나 그 이상임을 알 수 있다. 그러나 3)의 금속 집전체를 사용한 경우와 비교해 보면 3)의 금속 집전체의 경우 1) 실시예 3에 따라 제조된 세라믹 접촉재에 비해 약 94% 정도의 성능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2)백금 메쉬와 백금 페이스트(paste)를 사용한 경우에는 값 비싼 백금을 사용하고 있는데 반하여 1) 세라믹 접촉재의 경우 성능은 동등하면서도 원가는 저렴하기 때문에 산업상의 이용에 유리하다.
[실시예 4]
실시예 4에서는 실시예 2의 "50% 합성분말" 및 이와 동일한 조성을 갖는 혼합분말, 즉 별도의 LCCAF분말과 란탄코발타이트를 단순히 혼합해서 만든 분말을 소결하고 소결수축률과 전기전도도를 비교하였다.
이를 위해 혼합분말은 별도의 공정에서 순수 LCCAF 분말을 제조한 다음 여기에 란탄코발타이트 분말을 50중량% 비율이 되도록 평량하여 단순히 혼합하였다. (이하 50% 혼합분말" 이라 한다.)
이렇게 준비된 각 분말을 1중량% 폴리비닐부틸알과 함께 혼합하고 볼밀한 후에 건조하였다. 그 후 실시예2와 동일하게 성형하고 소결한 다음 수축률과 전기전도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50% 합성분말 은 수축률과 전기전도도가 18.6%, 505.2 S/cm 인 반면 50% 혼합분말 의 그것은 각각 10.9%, 180.5S/cm 으로 측정되었다.
이와 같이 50% 혼합분말의 수축률과 전기전도도는 50% 합성분말의 그것에 비하여 작다. 이러한 결과는 LCCAF 분말과 란탄코발타이트 분말의 조성 비율 보다는 이들의 합성 상태에 따라 물리적 특성에 많은 차이가 난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러한 결과는 앞서 설명한 표1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용 복합 세라믹 접촉재를 제조하는 데 사용한 란탄코발타이트 분말의 주사전자현미경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복합된 세라믹 접촉재를 장방사주사전자현미경(FESEM)으로 촬영한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복합된 세라믹 접촉재가 적용된고체산화물연료전지의 전류전압 곡선 및 전류전력 곡선 그래프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Claims (20)

  1.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의 전극판과 분리판 사이에 적층되는 접촉재로서,
    미세한 ABO3형 페로브스카이트형 세라믹 입자가 상기 페로브스카이트형 세라믹 입자의 입경 보다 큰 란탄코발타이트(LaCoO3)입자와 혼합되어 있는 접촉재를 포함하는
    복합 세라믹 접촉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재에서 상기 란탄코발타이트 비율이 10 중량% 이상이고 90중량% 이하인 복합 세라믹 접촉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페로브스카이트형 세라믹 입자는
    (La,Sr)MnO3, (La,Sr)CoO3, (La,Sr)(Co,Fe)O3, (La,Ca)(Cr,Co,Cu)O3 중 어느 하나인 복합 세라믹 접촉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란탄코발타이트 입자는 그 입경이 0.5-5.0㎛인 복합 세라믹 접촉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란탄코발타이트 입자는 구형인 복합 세라믹 접촉재.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페로브스카이트형 세라믹 입자는 그 입경이 100 nm 이하인 복합 세라믹 접촉재.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란탄코발타이트 입자 주위에 상기 페로브스카이트형 세라믹 입자가 감싸고 있는 심지구조(cored structure)를 이루고 있는 복합 세라믹 접촉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란탄코발타이트는 상기 페로브스카이트형 세라믹 입자를 합성하기 위한공정에서 출발 물질로 함께 첨가되어 합성된 것인 복합 세라믹 접촉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페로브스카이트형 세라믹은 그 조성이 (La 0.8Ca0.2)(Cr0.1Co0.6Cu0.3)O3 인 복합 세라믹 접촉재.
  10. 구연산과 란탄코발타이트 분말이 혼합된 혼합물을 복수의 질산염이 용해되어 있는 질산염 수용액에 투입하는 단계;
    상기 수용액을 가열하면서 교반하여 반응물이 졸 상태에서 겔상태로 되게하는 가열교반단계;
    상기 가열교반단계에서 생성된 반응물을 상기 구연산의 자발착화 이상의 온도로 가열하여 구연산을 연소시키는 단계;
    상기 구연산 연소단계에서 생성된 챠(char)를 분쇄한 후 700℃ 이상에서 하소 하는 하소 단계;
    를 포함하는 복합 세라믹 접촉재의 제조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란탄코발타이트 분말은 그 입경이 0.5-5.0㎛인 복합 세라믹 접촉재의 제조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질산염 수용액은 란탄질산염, 칼슘질산염, 크롬질산염, 코발트질산염, 구리질산염, 철질산염, 비스무스질산염, 이트륨질산염, 망간질산염, 스트론튬질산염, 니켈질산염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금속 질산염을 ABO3형 페로브스카이트 세라믹의 조성에 맞추어 증류수에 용해하는 복합 세라믹 접촉재의 제조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란탄코발타이트를 상기 질산염 수용액에 첨가하는 비율은 10 중량% 이상이고 90중량% 이하인 복합 세라믹 접촉재의 제조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ABO3형 페로브스카이트 세라믹은 (La,Sr)MnO3, (La,Sr)CoO3, (La,Sr)(Co,Fe)O3, (La,Ca)(Cr,Co,Cu)O3 중 어느 하나인 복합 세라믹 접촉재의 제조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La,Ca)(Cr,Co,Cu)O3 는 그 조성이 (La 0.8Ca0.2)(Cr0.1Co0.6Cu0.3)O3 인 복합 세라믹 접촉재의 제조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구연산은 금속착체를 형성하고 고온에서 연소되어 세라믹 분말이 형성되는 데 기여하는 가연성 유기물인 복합 세라믹 접촉재의 제조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가연성 유기물은 글리신나이트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 우레아, 에틸렌다이아민테트라아세트산 중 어느 하나인 복합 세라믹 접촉재의 제조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하소 분말을 결합재와 분산재 그리고 용매와 함께 균일하게 혼합하여 점성유동체(slurry)로 제조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복합 세라믹 접촉재의 제조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점성유동체를 고체산화물연료전지의 극판 또는 분리판에 도포한 후 소결 시키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복합 세라믹 접촉재의 제조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소결 단계는 600℃ 이상에서 1시간 이상인 복합 세라믹 접촉재의 제조방법.
KR1020090131639A 2009-12-28 2009-12-28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용 복합 세라믹 접촉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3001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1639A KR101300157B1 (ko) 2009-12-28 2009-12-28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용 복합 세라믹 접촉재 및 그 제조방법
JP2012547019A JP5642197B2 (ja) 2009-12-28 2010-12-28 複合セラミック材料及びその製造方法
PCT/KR2010/009442 WO2011081417A2 (ko) 2009-12-28 2010-12-28 복합 세라믹 재료 및 그 제조방법
CN201080059890.3A CN102687324B (zh) 2009-12-28 2010-12-28 一种复合陶瓷材料及其制备方法
US13/519,699 US20120282394A1 (en) 2009-12-28 2010-12-28 Composite Ceramic Materia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EP10841249.5A EP2521209B1 (en) 2009-12-28 2010-12-28 Composite ceramic material and a production method therefor
US15/198,318 US9871259B2 (en) 2009-12-28 2016-06-30 Method for manufacturing composite ceramic materi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1639A KR101300157B1 (ko) 2009-12-28 2009-12-28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용 복합 세라믹 접촉재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5242A true KR20110075242A (ko) 2011-07-06
KR101300157B1 KR101300157B1 (ko) 2013-08-26

Family

ID=442270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31639A KR101300157B1 (ko) 2009-12-28 2009-12-28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용 복합 세라믹 접촉재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20120282394A1 (ko)
EP (1) EP2521209B1 (ko)
JP (1) JP5642197B2 (ko)
KR (1) KR101300157B1 (ko)
CN (1) CN102687324B (ko)
WO (1) WO2011081417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57683A1 (ko) * 2012-04-19 2013-10-24 주식회사뉴테크 세라믹 연결재 및 그 합성방법
KR20200131609A (ko) * 2019-05-14 2020-11-24 한국전력공사 다공성 전극 표면에 나노 단위 입자를 석출시키는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전극 물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97962A (ko) * 2012-02-27 2013-09-04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졸겔법에 의한 중·저온형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용 공기극 분말 합성방법
JP6128524B2 (ja) * 2013-08-26 2017-05-17 日本特殊陶業株式会社 固体酸化物形燃料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JP6664881B2 (ja) * 2014-03-31 2020-03-13 Dowa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燃料電池空気電極用複合酸化物粉末とその製造方法、燃料電池空気電極並びに燃料電池
JP6460528B2 (ja) * 2015-03-16 2019-01-30 国立大学法人北海道大学 Ltga、ltgaの製造方法、ltgaを用いた圧電素子もしくはセンサ
CN107855074A (zh) * 2017-11-28 2018-03-30 桂林电子科技大学 一种以硝酸盐为原料制备金属氧化物材料的粒径细化方法
JP7134646B2 (ja) * 2018-02-28 2022-09-12 株式会社ノリタケカンパニーリミテド 固体酸化物形燃料電池とこれに用いる電極材料
JP7115873B2 (ja) * 2018-02-28 2022-08-09 株式会社ノリタケカンパニーリミテド 固体酸化物形燃料電池とこれに用いる電極材料
CN111187066A (zh) * 2020-02-26 2020-05-22 扬州大学 一种单层正交结构磁电多铁陶瓷及其制备方法
CN112280331B (zh) * 2020-10-30 2021-07-09 深圳陶陶科技有限公司 一种黑色氧化锆色料及陶瓷的制备方法
CN112755992A (zh) * 2021-01-08 2021-05-07 华北电力大学 火焰法高比表面积的钙钛矿型陶瓷氧化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4804217B (zh) * 2021-09-16 2024-03-22 北方民族大学 一种纯相钙钛矿型钴酸镧复合氧化物及其制备方法
CN114873656B (zh) * 2022-05-20 2023-02-14 浙江大学 一种高导电层状结构的过渡金属离子改性La-Sr-Co-X-O复合氧化物的制备方法
CN115894023A (zh) * 2022-09-17 2023-04-04 浙江大学温州研究院 由纳米颗粒组装的薄片状Cu@La1/2Sr1/2CoO3导电陶瓷粉体的制备方法
CN116060050A (zh) * 2023-01-03 2023-05-05 陕西科技大学 一种自组装钴酸镧微球/磷酸银纳米复合光响应性抗菌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Family Cites Families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6813921A (ko) * 1968-09-27 1970-04-01
US3897367A (en) * 1973-10-10 1975-07-29 Du Pont Metal oxide catalytic compositions
US5549850A (en) * 1984-11-02 1996-08-27 The Boeing Company LaMnO3 -coated ceramics
JPS61275108A (ja) * 1985-05-30 1986-12-05 Mitsubishi Mining & Cement Co Ltd 誘電体粉末の製造方法
JPS63144116A (ja) * 1986-12-05 1988-06-16 Sakai Chem Ind Co Ltd 酸化物粒子の製造方法
US4861345A (en) * 1988-05-13 1989-08-29 Westinghouse Electric Corp. Method of bonding a conductive layer on an electrode of an electrochemical cell
JPH04219365A (ja) * 1990-03-30 1992-08-10 Tonen Corp ランタンクロマイト系複合酸化物と用途
JPH0574352A (ja) * 1991-09-10 1993-03-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ガス放電型表示パネル
JPH05266903A (ja) * 1992-03-18 1993-10-15 Isuzu Motors Ltd 固体電解質型燃料電池の製造方法
JP3321902B2 (ja) * 1993-06-07 2002-09-09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電子セラミックス原料粉体の製造方法
JPH06349504A (ja) * 1993-06-14 1994-12-22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固体電解質型燃料電池
EP0669296B1 (en) * 1994-02-23 1998-03-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forming a composite metal oxid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n electrode using the same
DE19627504C1 (de) * 1996-07-08 1997-10-23 Siemens Ag Verbundleiterplatte und Verwendung einer Verbundleiterplatte für einen Hochtemperatur-Brennstoffzellenstapel
US20010048969A1 (en) * 1997-05-05 2001-12-06 Constantino Stephen A. Dispersible, metal oxide-coated, barium titanate materials
JP3230156B2 (ja) * 1999-01-06 2001-11-19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固体酸化物型燃料電池の電極とその製造方法
US6399233B1 (en) * 1999-07-29 2002-06-04 Technology Management, Inc. Technique for rapid cured electrochemical apparatus component fabrication
JP2001097789A (ja) * 1999-10-01 2001-04-10 Nippon Steel Corp セラミック複合材料
DE10059280A1 (de) * 2000-11-29 2002-06-20 Forschungszentrum Juelich Gmbh Keramischer Werkstoff sowie dessen Herstellung
US6677070B2 (en) * 2001-04-19 2004-01-1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Hybrid thin film/thick film solid oxide fuel cel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3786402B2 (ja) * 2001-05-30 2006-06-14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固体電解質型燃料電池用空気極への電極活性酸化物の導入方法
JP4130135B2 (ja) * 2003-02-28 2008-08-06 京セラ株式会社 集電部材の表面処理方法
JP2006008498A (ja) * 2004-05-21 2006-01-12 Tdk Corp セラミック原料粉体、その製造方法、誘電体磁器組成物、電子部品及び積層セラミックコンデンサ
US7190568B2 (en) * 2004-11-16 2007-03-13 Versa Power Systems Ltd. Electrically conductive fuel cell contact materials
JP2007087612A (ja) * 2005-09-20 2007-04-05 Mitsubishi Heavy Ind Ltd 導電性部材、導電性部材の製造方法、及び固体酸化物形燃料電池の製造方法
US20090280376A1 (en) * 2005-11-25 2009-11-12 Reiichi Chiba Solid Oxide Fuel Cell
JP4219365B2 (ja) 2006-01-13 2009-02-04 野崎紙商事株式会社 うちわ製造装置およびうちわ製造方法
EP2079671A4 (en) * 2006-10-25 2009-10-21 William Michael Carty CONTROLLED DISTRIBUTION OF CHEMICAL CONSTITUENTS IN CERAMIC SYSTEMS
US8343685B2 (en) 2007-01-31 2013-01-01 Technical University Of Denmark Composite material suitable for use as an electrode material in a SOC
KR100904203B1 (ko) * 2007-07-04 2009-06-23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연료 전지용 전극-전해질 복합체 분말의 제조 방법
FR2921204B1 (fr) * 2007-09-14 2009-12-04 Saint Gobain Ct Recherches Poudre a grains allonges
CN101307461B (zh) * 2008-06-16 2010-04-14 清华大学 固体氧化物电解池ysz-lsm氧电极粉体的制备方法
JP5266903B2 (ja) 2008-06-20 2013-08-21 新日鐵住金株式会社 Mn合金の製造方法
JP5074352B2 (ja) 2008-10-31 2012-11-14 中部電力株式会社 ガス処理システム
CN101533935A (zh) * 2009-04-14 2009-09-16 黄穗阳 高能安全可充式锂氧电池
CN101567447B (zh) * 2009-06-05 2011-07-13 天津大学 C和金属氧化物包覆LiFePO4锂离子电池正极材料及制备方法
US8343888B2 (en) * 2009-10-01 2013-01-0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Washcoating technique for perovskite catalyst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57683A1 (ko) * 2012-04-19 2013-10-24 주식회사뉴테크 세라믹 연결재 및 그 합성방법
KR20200131609A (ko) * 2019-05-14 2020-11-24 한국전력공사 다공성 전극 표면에 나노 단위 입자를 석출시키는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전극 물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81417A3 (ko) 2011-11-10
EP2521209A4 (en) 2014-12-24
EP2521209A2 (en) 2012-11-07
JP2013515669A (ja) 2013-05-09
US20120282394A1 (en) 2012-11-08
US9871259B2 (en) 2018-01-16
JP5642197B2 (ja) 2014-12-17
CN102687324A (zh) 2012-09-19
KR101300157B1 (ko) 2013-08-26
US20160329573A1 (en) 2016-11-10
WO2011081417A2 (ko) 2011-07-07
CN102687324B (zh) 2016-01-13
EP2521209B1 (en) 2016-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0157B1 (ko)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용 복합 세라믹 접촉재 및 그 제조방법
Bi et al. Synthesis strategies for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doped-BaZrO3 materials in solid oxide fuel cell applications
Xia et al. Natural mineral-based solid oxide fuel cell with heterogeneous nanocomposite derived from hematite and rare-earth minerals
Wang et al. Stability, compatibility and performance improvement of SrCo0. 8Fe0. 1Nb0. 1O3− δ perovskite as a cathode for intermediate-temperature solid oxide fuel cells
KR20130099704A (ko)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용 기능층 소재, 및 상기 소재를 이용하여 제조된 기능층과 상기 기능층을 포함하는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KR101892909B1 (ko) 프로톤 전도성 산화물 연료전지의 제조방법
CN102420332A (zh) 抗铬毒化固体氧化物燃料电池掺杂CeO2包覆的LaNi0.6Fe0.4O3-δ阴极及其制备方法
KR101549443B1 (ko) 이중층 페로브스카이트 구조를 가지는 대칭형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의 제조방법
CN107017423A (zh) 一种低温固体氧化物燃料电池及其制备方法
KR101808387B1 (ko) 저온 소결용 세리아 전해질 및 이를 이용한 고체산화물연료전지
KR20200015060A (ko)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JP2003308846A (ja) ペロブスカイト型酸化物及び燃料電池用空気極
Javed et al. Structural and electrochemical characterization of low-cost LixCu1-xCoy Fe1-yO3-δ cathode material for intermediate temperature solid oxide fuel cell
CN116639727A (zh) 一种改性钒酸铋基氧离子导体材料及其制备方法
Arias-Serrano et al. Oxygen-Deficient Nd0. 8Sr1. 2Ni0. 8M0. 2O4-δ (M= Ni, Co, Fe) nickelates as oxygen electrode materials for SOFC/SOEC
Norman et al. Influence of transition or lanthanide metal doping on the properties of Sr0. 6Ba0. 4Ce0. 9M0. 1O3-δ (M= In, Pr or Ga) electrolytes for proton-conducting solid oxide fuel cells
KR101698210B1 (ko) 고체산화물 전해질, 이를 포함하는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5139024A (ja) 混合導電性セラミックス材料およびこの材料を用いた固体酸化物形燃料電池
JP2007012498A (ja) 固体酸化物形燃料電池用燃料電極の製造方法及び燃料電池
KR20080025546A (ko) 다공성 나노 복합분말,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고체산화물 연료극 및 연료전지
KR101840094B1 (ko) 저온 소결 특성을 갖는 세리아 전해질 및 이를 이용한 고체산화물연료전지
KR20200073804A (ko) 페로브스카이트 구조를 가지는 대칭형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 그 제조 방법 및 대칭형 고체 산화물 수전해 셀
KR102091454B1 (ko)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용 캐소드 소재, 그를 포함하는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
KR101180058B1 (ko)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용 이중 페롭스카이트계 전기연결재 재료 및 그 응용 방법
JP7140938B2 (ja) 複合酸化物粉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