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6093A - 고무 보강용 직물 제직용 직기에 있어서의 턱인 귀 형성장치 - Google Patents
고무 보강용 직물 제직용 직기에 있어서의 턱인 귀 형성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10066093A KR20110066093A KR1020100122637A KR20100122637A KR20110066093A KR 20110066093 A KR20110066093 A KR 20110066093A KR 1020100122637 A KR1020100122637 A KR 1020100122637A KR 20100122637 A KR20100122637 A KR 20100122637A KR 20110066093 A KR20110066093 A KR 2011006609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eft
- tuck
- jaw
- loom
- weav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7/0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 D03D47/40—Forming selvedges
- D03D47/48—Forming selvedges by inserting cut end of weft in next shed, e.g. by tucking, by blowing
-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C—SHEDDING MECHANISMS; PATTERN CARDS OR CHAINS; PUNCHING OF CARDS; DESIGNING PATTERNS
- D03C11/00—Selvedge shedding mechanisms not forming part of main shedding mechanism
-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3/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special disposition of the warp or weft threads, e.g. with curved weft threads, with discontinuous warp threads, with diagonal warp or weft
-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J—AUXILIARY WEAVING APPARATUS; WEAVERS' TOOLS; SHUTTLES
- D03J1/00—Auxiliary apparatus combined with or associated with looms
- D03J1/04—Auxiliary apparatus combined with or associated with looms for treating weft
-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5/00—Industrial
- D10B2505/02—Reinforcing materials; Prepre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ooms (AREA)
Abstract
[과제] 고무 보강용 직물의 염직 부분에 대해서, 턱인된 위사의 단부가 위사의 간격(밀도)에 맞춰 크게 호를 그린 턱인 귀를 안정적으로 형성할 수 있는 간단하고 또한 저렴한 턱인 귀 형성장치를 제공한다.
[해결수단] 위입된 위사의 단부(2a)를 턱인하기 위해 경사열의 측방에 배치된 한 개 이상의 턱인 노즐(32)을 포함하는 공기 분사식의 턱인 귀 형성장치(30)를 구비하고, 염직 부분(1a)을 포함하는 고무 보강용 직물(1)을 제직하기 위한 고무 보강용 직물 제직용 직기에 있어서, 턱인 귀 형성장치(30)에 경사 방향에 있어서의 적어도 바디의 최전진위치(5)의 근방으로 직폭방향에 있어서의 최외측의 경사(3a)를 포함하는 경사열의 일부에서 경사(3)의 개구를 규제하는 규제 장치(20)를 구비한다.
[해결수단] 위입된 위사의 단부(2a)를 턱인하기 위해 경사열의 측방에 배치된 한 개 이상의 턱인 노즐(32)을 포함하는 공기 분사식의 턱인 귀 형성장치(30)를 구비하고, 염직 부분(1a)을 포함하는 고무 보강용 직물(1)을 제직하기 위한 고무 보강용 직물 제직용 직기에 있어서, 턱인 귀 형성장치(30)에 경사 방향에 있어서의 적어도 바디의 최전진위치(5)의 근방으로 직폭방향에 있어서의 최외측의 경사(3a)를 포함하는 경사열의 일부에서 경사(3)의 개구를 규제하는 규제 장치(20)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고무 보강용 직물 제직용 직기에 이용되는 턱인(tuck in) 귀 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셔틀리스 직기로 제직되는 직물의 귀 조직의 하나로서, 위입된 위사의 단부를 후속하는 위사가 위입되는 경사 개구 내로 되접어 꺾어, 후속하는 위사와 함께 직물 내에 접어 넣는 턱인 귀가 있다. 이 턱인 귀를 형성하는 장치로서는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바와 같은 공기 분사식의 턱인 귀 형성장치가 알려져 있다. 또한 위입된 위사의 단부를 후속하는 위사가 위입되는 경사 개구 내로 되접어 꺾은 동작을 턱인이라고 한다. 또 공기 분사식의 턱인 귀 형성장치는 에어태커라고도 한다.
공기 분사식의 턱인 귀 형성장치는 경사열의 양 측방에 배치된 턱인 헤드를 주체로 하고, 각각이 위사를 되접어 꺾이기 위한 턱인 노즐을 가진다. 그리고 그 턱인 노즐에서 분사되는 분사 기류에 의해, 위입된 위사의 양 단부를 경사 개구 내로 되접어 꺾은 것에 의해 턱인이 행해진다.
그런데 셔틀리스 직기에 의해 제직되는 직물에는 고무재를 보강하는 심재로서 이용되는 고무 보강용의 직물(이하 "고무 보강용 직물"이라고 한다.)과 같이 위사밀도가 매우 성근 제직부분(이하 "염직 부분"이라고 한다.)을 포함하는 직물이 있다. 고무 보강용 직물의 한 예로서는 타이어 코드 직물을 들 수 있다.
그런데 고무 보강용 직물의 염직(簾織) 부분에서는 고무 보강용 직물의 품질상의 관점으로부터, 턱인된 위사의 단부가 위사의 간격(밀도)에 맞추어 크게 원을 그리고, 바디질된 후속하는 위사를 따르는 상태가 되는 것이 요구된다(도 1 참조).
도 7을 참조해 상세하게 서술하면, 직전(바로 전에 위입된 위사의 구속점)(54)은 바디질 시점부터 다음 사이클의 바디질 시점까지의 사이에 위사밀도에 상당하는 분만큼 경사 방향으로 이동한다. 염직의 경우에는 위사밀도(위사의 간격)가 매우 성글어(예를 들면, 1개/인치), 위사밀도가 조밀한 통상의 방직에 비해 경사의 공급 속도가 매우 빠르다. 바꾸어 말하면 1사이클 당 이동량이 매우 많기 때문에, 직전(54)은 1사이클 사이에 비팅위치(45)(바디질점이라고도 하고, 바디의 바디질부(위사를 직전에 쳐서 박아 넣는 부분)의 최전진위치를 말한다. 이하 동일.)에서부터 경사 송출 방향으로 크게 이동한다. 그리고 경사의 개구는 직전(54)을 개시점으로 해서 열리기 때문에, 직전(54)의 이동에 따라 경사 개구의 개시점(43b)의 위치도 비팅위치(45)에서부터 경사 송출 방향으로 이간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염직의 경우에는 먼저 위입된 위사와 다음에 위입되는 위사가 바디질되는 시점에서의 비팅위치(45)와의 간격이 크기 때문에, 되접어 꺾인 위사의 단부(42c)의 선단부가 후속하는 위사를 따르는 상태가 되기 위해서는 위사의 단부(42c)가 크게 원을 그리는 형상이 되는 것이 바람직한다.
그러나 종래의 공기 분사식의 턱인 귀 형성장치를 이용해 턱인 귀를 형성하는 직기에서는 고무 보강용 직물의 제직에 있어서 도 1에 나타내는 것과 같은 턱인 귀를 안정적으로 깔끔하게 형성하는 것이 어려웠다. 그 이유는 이하와 같다.
1)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래의 상기 직기에서는 위사의 단부(42b)로서 나타냈듯이, 되접어 꺾이는 위사의 단부가 크게 호를 그린 상태는 되지 않고, 짜 넣어진 위사에 이어지는 부분으로부터 바로 구부러져, 예각으로 되접어 꺾인 상태가 되는 경우가 많다.
자세하게 설명하면 공기 분사에 의해 위사의 단부(42c)를 경사 개구 내로 되접어 꺾는 경우, 위사의 단부(42c)는 그 구속점(경사 개구의 개시점(43b))을 지점으로 하여 굴곡하는 경향이 강하다. 이 때문에 위사의 단부(42c)는 크게 호를 그리는 상태는 되지 않고, 경사 개구의 개시점(43b)에서 바로 되접어 꺾이여(도시한 위사의 단부(42b) 참조), 원하는 형상의 턱인 귀를 얻을 수 없다.
2) 상기와 같이 염직의 경우에는 경사의 공급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위사의 바디질 후에 있어서의 경사 개구가 반전되는 과정에 있어서, 턱인 헤드(31)에 이어지는 위사의 단부(42c)는 경사 방향에 있어서의 경사 개구의 개시점(43b)에서부터 이간된 위치에서 경사열의 최외측의 경사와 교차한 상태가 된다. 즉 통상의 방직에서는 1사이클당 직전의 이동량이 적기 때문에, 위사의 단부는 거의 개구의 개시점 부근에 위치하지만, 염직의 경우에는 그 이동량이 크기 때문에, 경사 개구가 위사를 구속할 정도로 반전될 때까지는 경사열의 최외측의 경사의 위치에서는 위사의 단부(42c)는 개구의 개시점(43b)에서부터 이간된 위치를 통과하여 턱인 헤드에 이어지는 상태가 된다.
그 경우,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전 후의 경사(43)의 개구 운동에 따라 턱인 헤드(31)에 이어지는 위사의 단부(42c)가 최외측의 경사에 의해 상방으로 올려지거나 또는 하방으로 내려져 당겨진 상태가 되고, 그 부분의 장력이 상승함과 함께 턱인 헤드(31)측으로부터 위사의 단부(42c)를 꺼내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이것이 원하는 턱인 귀 형상의 형성을 저해하는 요인이 된다.
또한 고무 보강용 직물의 염직 부분에 대응한 턱인 귀 형성장치를 포함하는 고무 보강용 직물 제직용의 직기로서, 특허문헌 2에 개시된 종래 기술이 있다. 특허문헌 2의 기술에서는 직물측으로부터 바디측을 향해 공기를 분사하는 노즐을 설치하고, 그 노즐로부터의 분사공기에 의해 턱인된 위사의 단부를 바디측으로 밀어 되돌려, 염직 부분에 요구되는 상기 턱인 귀의 안정 형성을 시도하고 있다.
그러나 이 종래 기술의 경우, 상기와 같은 노즐 및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기구(유체 공급관, 전자 개폐 벨브 등)를 설치해야 함과 함께 그 분사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도 필요하기 때문에, 턱인 귀 형성을 위한 장치 구성이 복잡화됨과 함께 장치 코스트가 비싸진다. 또 최외측의 경사에 의한 위사의 단부의 변위는 여전히 발생하고 있기 때문에, 원하는 턱인 귀 형상의 형성을 안정적으로 행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과제는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를 감안하여, 고무 보강용 직물의 염직 부분에 대해 간단하고 저렴한 구성으로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턱인 귀의 형성을 안정적으로 행할 수 있는 턱인 귀 형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턱인 귀 형성장치를 이하와 같이 구성했다. 즉 본 발명의 턱인 귀 형성장치는 염직 부분(1a)을 포함하는 고무 보강용 직물(1)을 제직하기 위한 직기로서, 위입된 위사의 단부(2a)를 턱인하기 위해 경사열의 측방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턱인 노즐(32)을 포함하는 공기 분사식의 턱인 귀 형성장치(30)를 구비한 고무 보강용 직물 제직용 직기에 사용된다. 그리고 턱인 귀 형성장치(30)는 경사 방향에 있어서의 적어도 바디의 최전진위치(5)의 근방으로 또한 직폭방향에 있어서의 최외측의 경사(3a)를 포함하는 경사열의 일부 영역에 있어서 경사(3)의 개구를 규제하는 규제 장치(2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디의 최전진위치"란 상기와 같이 일반적으로 "비팅위치(바디질점)"라고 불리는 위치를 말하고, 바디의 바디질부(위사와 접촉해 위사를 직전에 박아 넣는 부분)의 최전진위치를 말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 2를 참조해 설명하면, 바디의 최전진위치(5)란 바디(4)(변형 바디(6))의 바디질부(6b)의 최전진위치, 즉 바디(4)가 파선 위치까지 전진했을 때의 바디질부(6b)의 위치를 말한다.
또 "경사의 개구를 규제한다"란 상기 일부 영역에 있어서 경사열이 개구 운동에 의해 상하로 나누어지는 것을 규제하는 것을 말하고, 이에 의해 상기 영역에 있어서의 경사 개구의 개시점(3b)의 위치를 항상 바디의 최전진위치(5)의 근방으로 유지하며, 경사 공급에 의한 직전의 이동에 따라 경사 개구의 개시점(3b)이 바디의 최전진위치에서부터 경사 송출 방향으로 이간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 "바디의 최전진위치의 근방(위치)"이란 바디와 접촉하지 않는 바디의 최전진위치(5)에서부터 직전측으로 이간한 위치로서, 바디질 시점에 있어서의 전회 위입된 위사의 위치와 바디의 최전진위치(5) 사이의 위치를 말한다. 단, 보다 바람직한 위치는 바디의 최전진위치에 가능한 한 가까운 위치, 즉, 규제 장치(20)와 바디가 접촉하지 않는 한에 있어서 바디의 최전진위치(5)에 가급적 가깝게 한 위치이다.
또 "적어도 바디의 최전진위치의 근방"이란 규제 장치(20)가 바디의 최전진위치(5)의 근방에만 존재하여 경사(3)의 개구를 규제하는 경우뿐 아니라, 규제 장치(20)가 바디의 최전진위치(5)의 근방을 포함하는 경사 방향의 특정 범위에 존재하고, 이러한 범위에 있어서 경사(3)의 개구를 규제하는 경우도 포함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도 1, 2에 나타내는 실시예에서는 규제 장치(20)의 경사 개구를 규제하는 부분(상부재(21), 하부재(22))이 경사방향으로 연재하는 범위(거의 위사의 간격에 상당한다)에 있어서 경사(3)의 개구를 규제하고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상기 규제 장치(20)를, 턱인할 때에 있어서의 전회 위입된 위사(2b)와 상기 바디의 최전진위치(5)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경사열을 고무 보강용 직물(1)의 두께 방향으로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부재(21, 22)를 가지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규제 장치(20)가 바디의 최전진위치(5)의 근방에만 존재하는 예로서는, 도시하지 않지만 바디의 최전진위치(5)의 근방에서 직폭방향으로 늘어나는 한 쌍의 봉 형상 부재에 의해 직물을 사이에 두고 경사의 개구를 규제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상기 직기는 위사 안내홈(8)을 형성하기 위한 오목부(6a)를 가지는 변형 바디날개(6)를 포함하는 바디(4)를 구비한 공기 분사식 직기로서, 상기 바디(4)는 직폭방향에 있어서의 단부의 바디날개가 평 바디날개(7)로 형성되는 것으로 구성해도 된다.
또 상기 바디(4)에 있어서의 평 바디날개(7)로 형성되는 부분은 직폭방향에 있어서 바디(4)의 단부로부터 10mm 이하로 설정되어도 된다.
규제 장치(20)에 의해 직폭방향에 있어서의 최외측의 경사(3a)를 포함하는 경사(3)의 개구를 규제하므로, 경사 개구의 개시점(3b)을 바디의 최전진위치(5)의 근방에 계속 위치시킬 수 있다. 도 2를 이용해 설명하면 직포의 권취에 따라 직전 (14)이 송출 반대측으로 이동해도, 규제 장치(20)가 존재하는 범위에서는 경사 (3)의 개구가 규제되기 때문에, 경사 개구의 개시점(3b)을 바디의 최전진위치(5)의 근방에 계속 위치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위사의 단부(2a)는 경사 개구의 개시점 (3b)에서 되접어 꺾였다고 해도, 직전(14)으로부터 이간된 위치에서 되접어 꺾인 상태가 되기 때문에, 크게 호를 그린 상태가 된다. 그리고 이에 의해 턱인 귀가 원하는 형상으로 된다.
또 경사(3)의 개구를 규제하는 것에 의해 턱인 헤드(31)에 이어지는 위사의 단부(2a)가 바디질 후에 있어서의 경사(3)가 개구되는 과정에서 경사열의 최외측의 경사(3)에 의해 올려지는 (또는 내려지는) 일이 없기 때문에, 이에 기인하여 턱인 귀의 형성이 저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원하는 턱인 귀의 형성을 안정적으로 행할 수 있다.
변형 바디날개를 포함하는 바디(4)의 단부의 바디날개를 평 바디날개(7)로 하는 것에 의해, 이하의 이유로 규제 장치(20)의 경사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의 설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2를 이용해 설명하면, 원하는 턱인 귀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경사 개구의 개시점(3b)을 가능한 한 바디의 최전진위치(5)에 가깝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규제장치(20)를 가급적으로 바디의 최전진위치(5)에 가깝게 하여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바디날개가 모두 변형 바디날개(6)로 형성되어 있는 바디의 경우, 바디를 최전진위치에 위치시킨 상태(도 2의 파선 상태)에서는 규제 장치(20)의 경사 개구를 규제하는 부분(이하 "규제 부분"이라고도 한다.)이 바디의 오목부(6a) 내에 끼워 들어간 상태가 되기 때문에, 오목부(6a)의 저부의 바디질부(6b)와 규제 부분의 위치 관계를 볼 수가 없다. 이 때문에, 바디의 최전진위치(5)와 규제 장치(20)의 규제 부분의 거리를 파악하는 것이 곤란하다.
따라서 바디(4)의 단부의 바디날개를 평 바디날개(7)로 하면(도 6 참조), 바디날개에 가려지지 않아 바디의 최전진위치(5), 즉 바디질점과 규제 장치(20)의 규제 부분의 위치 관계를 볼 수가 있어 규제 장치(20)의 규제 부분을 가급적으로 바디질점에 접근시킨 상태로 설정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단, 바디(4)의 단부를 평 바디날개(7)로 하는 것은 어디까지나 규제 장치(20)의 경사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 조정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 목적이므로, 본 발명에 있어서는 필수 구성은 아니다. 따라서 바디날개 전부가 상기 서술한 변형 바디날개(6)여도 된다.
바디(4)의 평 바디날개(7)로 형성되는 부분을 바디(4)의 단부로부터 10mm 이하로 하는 것에 의해, 위사의 진행을 저해하지 않고 상기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6을 참조해 설명하면 공기 분사식 직기에 있어서, 변형 바디날개(6)의 오목부(6a)로 형성되는 위사 안내홈(8)은 본래 위사의 진행을 안내하기 위한 것이며, 그것이 존재하지 않으면 그 기능이 저해된다. 바꾸어 말하면, 평 바디날개(7)가 설치되는 범위가 너무 크면 위사의 진행을 저해하는 요인이 된다. 따라서 발명자에 의한 예의연구의 결과, 평 바디날개(7)가 설치되는 범위가 바디(4)의 단부로부터 10mm 이하이면, 상정되는 제직 조건의 범위에 있어서 대체로 양호한 위입을 실현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으로부터, 평 바디날개(7)가 설치되는 범위를 바디(4)의 단부로부터 10mm 이하로 설정함으로써 위사의 진행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고, 상기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있어서의 턱인 귀 형성장치의 규제 장치의 주변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있어서의 턱인 귀 형성장치의 규제 장치, 바디, 턱인 헤드, 경사 및 직물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규제 장치의 주변부를 나타내는 (a)평면도 및 (b)측면도이며, 바디가 최전진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규제 장치의 주변부를 나타내는 (a)평면도 및 (b)측면도이며, 바디가 최후퇴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규제 장치의 주변부를 나타내는 (a)평면도 및 (b)측면도이며, 바디가 최후퇴위치에서부터 최전진위치로 이동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있어서의 고무 보강용 직물 제직용 직기의 바디의 사시도이다. 또한 규제 장치(20)를 생략하고 있다.
도 7은 종래 기술에 있어서의 턱인 헤드의 주변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있어서의 턱인 귀 형성장치의 규제 장치, 바디, 턱인 헤드, 경사 및 직물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규제 장치의 주변부를 나타내는 (a)평면도 및 (b)측면도이며, 바디가 최전진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규제 장치의 주변부를 나타내는 (a)평면도 및 (b)측면도이며, 바디가 최후퇴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규제 장치의 주변부를 나타내는 (a)평면도 및 (b)측면도이며, 바디가 최후퇴위치에서부터 최전진위치로 이동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있어서의 고무 보강용 직물 제직용 직기의 바디의 사시도이다. 또한 규제 장치(20)를 생략하고 있다.
도 7은 종래 기술에 있어서의 턱인 헤드의 주변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6을 참조해 본 발명의 턱인 귀 형성장치의 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6에서 나타내는 예는 고무 보강용 직물(1)의 하나인 타이어 코드 직물을 제직하기 위한 셔틀리스 직기에 본 발명을 적용한 예이다.
타이어 코드 직물이란 고무 타이어의 골격이 되는 카커스층의 제조에 이용되는 고무 보강용 직물을 말하고,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위사밀도가 매우 성근 염직 부분(1a)과, 염직 부분에 대해 위사밀도를 조밀하게 한 태비직 부분(1b)의 2개의 서로 위사밀도가 크게 상이한 제직부분을 포함하고 있다. 카커스층은 타이어 코드 직물(1)의 염직 부분(1a)에 고무재를 코팅하는 것에 의해 제조된다.
도 1~6에 나타내는 턱인 귀 형성장치(30)는 공기 분사식의 턱인 귀 형성장치이며, 복수의 턱인 노즐(32)을 가지는 턱인 헤드(31)와 규제 장치(20)로서의 상부재(21) 및 하부재(22)를 경사열의 급사측의 측방 및 급사 반대측의 측방에 구비하고 있다. 또한 급사측에 설치되는 턱인 헤드(31) 및 규제 장치(20)와 급사 반대측에 설치되는 턱인 헤드 및 규제 장치는 좌우 대칭이며, 기본적인 구조는 동일하므로 이하의 설명에서는 급사측의 턱인 헤드(31) 및 규제 장치(20)에 대해 설명하고, 급사 반대측의 턱인 헤드 및 규제 장치의 설명 및 도시를 생략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턱인 헤드(31)는 블록 형상의 부재이며, 경사열의 경사 개구와 이웃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턱인 헤드(31)는 도시하지 않는 직기의 템플 브래킷 등에 장착 구멍(33)을 이용해 고정되어 있다. 턱인 헤드(31)의 경사열의 반대측에는 위사(2)를 절단하는 커터(15)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1은 바디(4)가 위사(2)를 바디질한 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바디질된 위사(2)는 바디의 최전진위치(5)에 밀려져 있으며, 또 커터(15)에 의해 위입 노즐(16) 내의 위사로부터 분리되어 있다.
턱인 헤드(31)에는 바디질된 위사의 단부(2a)를 받아들이는 슬릿(34)이 형성 되어 있다. 슬릿(34)은 경사의 송출측(이하, 단순히 "송출측"이라고도 한다.), 경사열측 및 커터(15)측의 세 방향으로 개구하고 있다. 그리고 턱인 헤드(31)는 슬릿(34)의 바닥면(34a)이 송출측에서 볼 때 직전(31)의 바로 앞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턱인 헤드(31)에 있어서의 슬릿(34)보다 송출측의 슬릿(34)에 이어지는 부분에는 상하로 확대 개방되는 가이드면(34b)이 형성되어 있어, 위사의 단부(2a)가 슬릿(34)에 진입하기 쉽게 되어 있다.
또 턱인 헤드(31)는 슬릿(34)에 진입한 위사의 단부(2a)를 일시적으로 슬릿 (34) 내에 계류하는 위사단 파지 노즐(35)과, 계류된 위사의 단부(2a)를 슬릿(12) 내로부터 내뽑는 위사 해방 노즐(36)과, 슬릿(34) 내로부터 내뽑힌 위사의 단부 (2a)를 경사 개구(30) 내에 넣어 루프 형상으로 되접어 꺾은 턱인 노즐(32)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턱인 노즐(32)은 염직 부분(1a)의 제직시에 분사 동작을 하는 제1 턱인 노즐(32a)과, 태비직 부분(1b)의 제직시에 분사 동작을 하는 제2 턱인 노즐(32b)로 이루어진다.
염직 부분(1a)의 제직시에 분사 동작을 하는 제1 턱인 노즐(32a)은 턱인 헤드(31)의 직물측의 측면에 있어서, 슬릿(34)을 사이에 두고 상하에 2개씩(합계 4개) 배치되어 턱인 노즐(32a)군을 형성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태비직 부분(1b)의 제직시에 분사 동작을 하는 제2 턱인 노즐(32b)은 턱인 노즐(32a)보다 반송출 측에 있어서 턱인 노즐(32b)군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염직 부분(1a)의 제직시에 있어서의 턱인을 대상으로 하고 있으므로, 이하의 설명에서 턱인은 제1 턱인 노즐(32a)에 의해 행해지는 것으로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특징 부분인 규제 장치(20)는 도시한 예에서는 단면 L자형의 상부재(21) 및 하부재(22)를 직물(1)을 사이에 두고 상하 방향으로 대칭적으로 대향시킨 것으로 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하, 규제 장치(20)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하지만, 상하 대칭의 상부재(21)와 하부재(22) 중 상부재(21)에 대해 설명하고, 하부재(22)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상부재(21)를 구성하는 부분 중, 경사 방향으로 뻗은 부분이 경사(3)의 개구를 규제하는 규제부(21a)로서 기능하고, 상하 방향으로 뻗은 부분이 장착부(21b)로서 기능한다.
규제부(21a)는 경사 방향에 있어서, 턱인 개시시에 전회 위입된 위사(2b)가 존재하는 위치(도 1의 위사(2b))와 바디의 최전진위치(바디질점)(5) 사이에 연재하고 있어, 거의 위사 간격과 동일한 경사 방향의 길이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규제부(21a)는 규제부(21a)의 바디측의 단 가장자리(전측 가장자리)가 최전진시의 바디(4)에 간섭하지 않을 정도로 최전진위치(바디질점)(5)에 대해 가능한 한 접근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 규제부(21a)는 직폭방향에 있어서, 경사열의 최외측의 경사(3a)를 포함하는 범위에서 경사열 내측을 향해 연재하고 있다. 또한 도시한 예에서는 규제부(21a)가 연재하는 직폭 방향의 범위는 직단으로부터 약 10mm이다.
상부재(21) 및 하부재(22)는 직기의 고정 부분, 예를 들면 도시하지 않는 템플 장치의 템플 가이드 등에 장착부(21b, 22b)를 이용해 장착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3~5를 참조해 위사의 단부(2a)가 턱인되는 모습을 설명한다. 또한 간단화하기 위해 각 도(b)에 있어서 턱인 헤드(31)의 세부를 생략하고 있다.
도 3은 위사(2)가 바디(4)에 의해 최전진위치(바디질점)(5)에 바디질되고, 위사의 단부(2a)가 턱인 헤드(31)의 슬릿(34)에 계류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3(b)에서 위사의 단부(2a)는 점A와 점B를 잇는 상상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또 경사(3)를 실선으로 나타내고 있지만, 실제의 경사는 어느 정도의 굵기를 가진다.
위사 단부(2a)의 슬릿(34) 내에서의 계류는 위사 파지 노즐(35) 및 위사 파지 노즐(35)에 대향시켜 형성된 위사 파지 구멍(38)에 의해 행해진다. 즉, 위입 된 위사(2)가 바디질된 후, 커터(15)에 의해 위입 노즐(16)에 이어지는 위사로부터 분리되면, 위사 파지 노즐(35)로부터의 공기 분사에 의해 위사의 단부(2a)의 선단부분이 위사 파지 구멍(38)에 불어 넣어져, 그 분사 공기의 작용에 의해 위사 파지 구멍(38) 내에서 지지된다.
도 4는 도 3 상태로부터 바디(4)가 최후퇴위치로 후퇴하고, 경사(3)가 상하 반전하여 직물(1)이 공급 방향으로 나아간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바디질로부터 소정의 기간이 경과하면, 위사단 파지 노즐(35)이 공기 분사를 정지함과 함께 위사 해방 노즐(36)이 공기 분사를 개시하고, 위사의 단부(2a)는 위사 해방 노즐(36)의 분사류에 의해 위사단 파지 구멍(38)(도 2 참조)으로부터 끌어내지고, 슬릿(34) 내로부터 불어 나온다. 그 후, 제1 턱인 노즐(32a)군이 공기분사를 개시하고, 위사의 단부(2a)는 제1 턱인 노즐(32a)군의 분사류에 의해 경사 개구 내에 불어 넣어져 루프 형상으로 되접어 꺾인다.
도 5는 위사의 단부(2a)가 되접히고 바디(4)가 최후퇴위치로부터 전진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5(b)에 있어서 점B에서부터 앞의 위사의 단부(2a)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되접어 꺾인 위사의 단부(2a)는 후속하는 위사와 함께 바디질되어, 후속하는 위사와 함께 직물(1)에 접어 넣어져 턱인이 종료한다.
도 3~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직물(1)의 공급에 따라 위사의 단부(2a)는 크게 호를 그리고 있다. 즉 위사의 단부(2a)는 짜넣어진 위사(2)에 이어지는 부분에서부터 예각으로 구부러지는 것이 아니라, 최외측의 경사로부터 몇 개인가 내측의 경사의 위치(점A)로부터 구부러지기 시작해 완만하게 호를 그리면서 구부러져 있다. 이와 같이 위사(2)의 단부(2a)가 호를 그린 상태가 되는 것은 이하의 이유에 의해서이다.
경사열은 규제 장치(20)에 의해 개구가 규제되기 때문에, 직물(1)의 공급에 따라 직전(14)이 이동해도 경사 개구의 개시점(3b)은 항상 바디의 최전진위치(5)의 근방에 유지된다. 그리고 턱인하는 타이밍으로는 규제 장치(20)에 있어서의 규제부(21)의 전측 가장자리가 직전에 위입된 위사(2)의 위치로부터 위사 간격의 절반 이상 정도 이간한 곳에 위치하고, 규제장치(20)가 존재하는 범위에서는 경사 개구의 개시점(3b)이 이 위치에 규제된다. 이 때문에, 위사의 단부(2a)가 경사 개구의 개시점(3b)에서 되접어 꺾이었다고 해도, 그 되접어 꺾인 위치(위입 방향으로 방향을 반전하는 위치)가 짜넣어진 위사(2)의 위치로부터 이간되어 있기 때문에, 짜넣어진 위사(2)에 이어지는 부분에서 예각으로 구부러진 상태는 되지 않는다.
또 위사의 단부(2a)는 바디질 후의 잠시 동안(예를 들면, 바디가 최후퇴위치에 달할 때까지의 동안), 위사의 단부(2a)는 선단부분에 있어서 턱인 헤드(31)의 위사 파지 구멍(38)에 의해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직전의 이동에 따라 위사의 단부(2a)는 직전 반대측으로 당겨진 상태가 되고, 위사(2)의 다른 부분과 비교해 경사열의 외측에 위치하는 부분일 수록 직전 반대측으로 변위한 상태가 된다. 이 상태로부터 공기 분사 노즐(35)에 의한 공기 분사의 정지에 따라 위사의 단부(2a)의 지지가 해제되고, 그 후 상기와 같이 직전에서부터 이간된 위치에서 위사의 단부(2a)가 되접어 꺾이는 것에 의해, 경사열의 최외측으로부터 몇 개인가 내측의 경사의 위치(점A)로부터 구부러지기 시작해 크게 호를 그린 상태가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턱인 귀 형성장치가 탑재되는 고무 보강용 직물 제직용 직기에 대해, 특히 바디(4)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에 고무 보강용 직물 제직용 직기의 바람직한 바디(4)의 한 예를 나타낸다. 또한 규제 장치(20)의 도시를 생략한다. 바디(4)는 위사 안내홈(8)을 형성하기 위한 오목부(6a)를 가지는 복수의 변형 바디날개(6)와, 직폭방향의 양단에 복수 배치되는 평 바디날개(7)와, 바디(4)의 양측단에 배치되는 측부 물림쇠(장식날개)(11)와, 이들을 상하로 유지하는 상부 물림쇠(9) 및 하부 물림쇠(10)를 구비하고 있다. 바디(4)는 요동하는 리드 홀더(13)에 대해 리드그리퍼(12)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또한 도 6에서는 바디(4)의 급사측을 나타내고, 급사 반대측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형 바디날개(6)는 위사(2)를 누르는 바디질부(6b)의 상하에 산 형상의 돌출부를 가지고 있고, 이 돌출부는 오목부(6a)를 형성하고 있다. 이 오목부(6a)는 변형 바디날개(6)가 직폭방향으로 다수 정렬한 상태에 있어서, 도 6에 나타내는 위사 안내홈(8)을 형성하고 위입 노즐(16)로부터 분출된 위사(2)는 공기류에 의해 위사 안내홈(8)을 진행한다.
그런데 위사의 단부(2a)가 안정적으로 호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규제 장치(20)에 의한 경사 개구의 규제 위치는 바디의 최전진위치(바디질점)(5)에 가까운 것이 바람직하고, 따라서, 규제 장치(20)를 바디(4)에 접촉시키지 않는 한에 있어서 가급적으로 상기 최전진위치(5)에 가깝게 하여 설치하는 편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만일 규제 장치(20)가 존재하는 범위에 있어서 바디날개를 모두 변형 바디날개(6)로 구성하면,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디(4)가 최전진위치(5)에 있는 상태(바디(4)가 파선으로 나타내는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는 규제 장치(20)의 규제 부재(21, 22)가 오목부(6a)에 들어간 상태가 되기 때문에, 오목부(6a)의 바디질부(6b)와 규제 부재(21, 22)의 바디측 전측 가장자리의 위치 관계를 눈으로 볼 수 없다. 이 때문에 규제 장치(20)를 가급적으로 상기 최전진위치(5)에 가깝게 하는 것이 곤란하다.
따라서 바디(4)의 단부에서부터 직폭방향의 소정의 범위에 있어서, 바디(4)의 바디날개를 평 바디날개(7)로 하여(도 6 참조), 바디날개에 차단되지 않고 바디의 최전진위치(5), 즉 바디질점과 규제 부재(21, 22)와의 위치 관계를 보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규제 장치(20)를 가급적으로 바디질점에 접근시킬 수 있도록 했다.
또한 공기 분사식 직기의 경우에 있어서, 평 바디날개(7)가 설치되는 범위가 너무 크면 위입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생각된다. 이 범위에 대해서는 위입 조건 등에 따라 다양한 크기를 생각할 수 있지만, 발명자에 의한 예의연구의 결과, 바디(4)의 단부로부터 10mm 정도까지이면 위사(2)의 진행에 영향을 주지 않고, 대체로 양호한 위입을 실현할 수 있는 것을 밝혀냈다. 따라서, 평 바디날개(7)가 설치되는 범위는 바디(4)의 단부로부터 10mm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6에 나타낸 예에서는 바디(4)의 양 단부에 있어서의 평 바디날개(7)가 설치되는 범위는 바디(4)의 양 단부에 위치하는 측부 물림쇠(11)의 내측으로부터 4mm 정도로 하였고, 앞서 말한 규제 부재(21, 22)의 직폭방향의 치수(10 mm)보다 작게 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바디(4)에 있어서의 평 바디날개(7)의 범위는 규제 부재(21, 22)가 존재하는 범위와 동일할 필요는 없고, 바디(4)를 최전진위치(5)에 위치시킨 상태로, 규제 부재(21, 22)의 바디측 전측 가장자리와 바디의 바디질부(6b)의 위치 관계를 볼 수만 있으면, 본 실시예와 같이 상이하게 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규제 장치(20)의 가장 바디측에서 개구를 규제하는 부분, 본 실시예에서 말하면 규제 부재(22, 21)의 바디측 전측 가장자리는 바디의 최전진위치(바디질점)(5)에 가능한 한 접근시키는 편이 효과적인 것은 상기 서술한 바와 같지만, 이 바디측 전측 가장자리의 위치의 설정 수단으로서는 예를 들어 다음의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즉 직기의 고정부에 대한 규제 장치(20)의 고정 수단을 경사방향으로 위치 조정 가능한 브래킷 등으로 하고, 규제 장치(20)를 경사방향으로 움직여 규제 부재(22, 21)의 바디측 전측 가장자리의 위치를 설정한다. 또 규제 부재(22, 21)로서 경사 방향의 길이가 상이한 것을 복수 준비하고, 장착 위치와의 관계에서 바디측 전측 가장자리가 바디의 최전진위치(바디질점)(5)에 가장 가까운 것을 선택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규제 장치(20)가 직기의 고정부에 고정적으로 장착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경사 방향으로 위치 조정 가능한 것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타이어 코드 직물로 대표되는 고무 보강용 직물 제직용의 셔틀리스 직기에 본 발명을 적용한 예를 나타냈지만, 고무 보강용 직물 제직용의 셔틀리스 직기에 한정하지 않고, 밀도가 상이한 2개의 방직 부분을 포함하는 직물을 제직하는 다른 셔틀리스 직기에도 적용 가능하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2개의 방직 부분을 포함한다"란 직물이 그 2개의 방직 부분만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한정하지 않고, 밀도가 상이한 다른 방직 부분이 존재하는 것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1 고무 보강용 직물 1a 염직 부분 1b 태비직 부분
2 위사 2a 위사의 단부 2ab 전회 위입된 위사
3 경사 3a 최외측의 경사 3b 경사 개구의 개시점
4 바디
5 바디의 최전진위치(비팅위치, 바디질점)
6 변형 바디날개 6a 오목부 6b 바디질부
7 평 바디날개
8 위사 안내홈
9 상부 물림쇠
10 하부 물림쇠
11 측부 물림쇠
12 리드그리퍼
13 리드 홀더
14 직전
15 커터
16 위입 노즐
20 규제 장치
21 상부재 21a 규제부 21b 장착부
22 하부재 22a 규제부 22b 장착부
30 턱인 귀 형성장치
31 턱인 헤드
32 턱인 노즐 32a 제1 턱인 노즐 32b 제2 턱인 노즐
33 장착 구멍
34 슬릿 34a 슬릿의 바닥 34b 가이드면
35 위사단 파지노즐
36 위사 해방 노즐
38 위사단 파지 구멍
41 고무 보강용 직물
42 위사 42a 위사의 단부 42b 위사의 단부 42c 위사의 단부
43 경사 43b 위사 개구의 개시점
45 바디의 최전진위치(비팅위치, 바디질점)
54 직전
2 위사 2a 위사의 단부 2ab 전회 위입된 위사
3 경사 3a 최외측의 경사 3b 경사 개구의 개시점
4 바디
5 바디의 최전진위치(비팅위치, 바디질점)
6 변형 바디날개 6a 오목부 6b 바디질부
7 평 바디날개
8 위사 안내홈
9 상부 물림쇠
10 하부 물림쇠
11 측부 물림쇠
12 리드그리퍼
13 리드 홀더
14 직전
15 커터
16 위입 노즐
20 규제 장치
21 상부재 21a 규제부 21b 장착부
22 하부재 22a 규제부 22b 장착부
30 턱인 귀 형성장치
31 턱인 헤드
32 턱인 노즐 32a 제1 턱인 노즐 32b 제2 턱인 노즐
33 장착 구멍
34 슬릿 34a 슬릿의 바닥 34b 가이드면
35 위사단 파지노즐
36 위사 해방 노즐
38 위사단 파지 구멍
41 고무 보강용 직물
42 위사 42a 위사의 단부 42b 위사의 단부 42c 위사의 단부
43 경사 43b 위사 개구의 개시점
45 바디의 최전진위치(비팅위치, 바디질점)
54 직전
Claims (4)
- 염직 부분(1a)을 포함하는 고무 보강용 직물(1)을 제직하기 위한 직기로서, 위입된 위사의 단부(2a)를 턱인하기 위해 경사열의 측방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턱인 노즐(32)을 포함하는 공기 분사식의 턱인 귀 형성장치(30)를 구비한 고무 보강용 직물 제직용 직기에 있어서,
경사 방향에서의 적어도 바디의 최전진위치(5)의 근방에 직폭방향에서의 최외측의 경사(3a)를 포함하는 경사열의 일부에서 경사(3)의 개구를 규제하는 규제 장치(2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턱인 귀 형성장치(30).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 장치(20)는,
턱인시에 있어서의 전회 위입된 위사(2b)와 상기 바디의 최전진위치(5)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경사열을 고무 보강용 직물(1)의 두께 방향으로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부재(21, 22)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턱인 귀 형성장치(30).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직기는 위사 안내홈(8)을 형성하기 위한 오목부(6a)를 가지는 변형 바디날개(6)를 포함하는 바디(4)를 구비한 공기 분사식 직기이며,
상기 바디(4)는 직폭방향에 있어서의 단부의 바디날개가 평 바디날개(7)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턱인 귀 형성장치(30).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4)에 있어서의 평 바디날개(7)로 형성되는 부분은 직폭방향에서 바디(4)의 단부로부터 10mm 이하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턱인 귀 형성장치(30).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09-280024 | 2009-12-10 | ||
JP2009280024A JP2011122263A (ja) | 2009-12-10 | 2009-12-10 | ゴム補強用織物製織用織機におけるタックイン耳形成装置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66093A true KR20110066093A (ko) | 2011-06-16 |
KR101350083B1 KR101350083B1 (ko) | 2014-01-09 |
Family
ID=44127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122637A KR101350083B1 (ko) | 2009-12-10 | 2010-12-03 | 고무 보강용 직물 제직용 직기에 있어서의 턱인 귀 형성장치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JP (1) | JP2011122263A (ko) |
KR (1) | KR101350083B1 (ko) |
CN (1) | CN102094283B (ko) |
TW (1) | TWI503460B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94825A (ko) * | 2018-02-06 | 2019-08-14 | 효성첨단소재 주식회사 | 재단 위치를 표시하여 제조되는 타이어 코드지의 제조 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2618995A (zh) * | 2012-04-20 | 2012-08-01 | 山东日发纺织机械有限公司 | 帘子布喷气织机布边处理装置 |
JP6118508B2 (ja) * | 2012-05-25 | 2017-04-19 | 津田駒工業株式会社 | タイヤコード製織装置の経糸張力調整装置における経糸付勢方法 |
DE102013207805A1 (de) * | 2013-04-29 | 2014-10-30 | Lindauer Dornier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 Verfahren zum Einlegen von Schussfadenenden an einer Webmaschine mit Zusatzschusseffekten |
JP6596819B2 (ja) * | 2014-12-11 | 2019-10-30 |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 タイヤ補強用のすだれ織物及びそれを用いた空気入りタイヤ |
CN105696169B (zh) * | 2016-03-31 | 2017-06-16 | 诸暨市金叶纺织机械有限公司 | 一种无梭织布机光边布匹的织造方法 |
CN107090650B (zh) * | 2017-04-19 | 2018-09-14 | 张赓 | 一种纬纱探测装置及其使用方法 |
WO2019077280A1 (fr) * | 2017-10-18 | 2019-04-25 | Compagnie Generale Des Etablissements Michelin | Assemblage |
CN109371526B (zh) * | 2018-10-25 | 2020-10-16 | 浙江图兰特储能科技有限公司 | 一种铅蓄电池用铅网板栅及其制备方法 |
CN111576063A (zh) * | 2020-04-22 | 2020-08-25 | 鲁普耐特集团有限公司 | 一种应急救援绳索及其制作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BE1000903A4 (nl) * | 1987-09-02 | 1989-05-09 | Picanol Nv | Kanteninlagapparaat voor weefmachines. |
US5224521A (en) * | 1991-04-30 | 1993-07-06 | Sulzer Brothers Limited | Weft catcher with gripping device |
DE4443371C1 (de) * | 1994-12-06 | 1996-01-18 | Dornier Gmbh Lindauer | Schußfadenstreck- und Detektiereinrichtung für Düsenwebmaschinen |
CA2234464C (en) * | 1995-10-10 | 2004-09-14 | Textilma Ag | Weaving machine with pneumatic weft thread insertion |
JP3357860B2 (ja) * | 1999-05-31 | 2002-12-16 | 津田駒工業株式会社 | タオル用無杼織機のタックイン装置におけるタックイン耳組方法 |
JP3383259B2 (ja) * | 2000-03-15 | 2003-03-04 | 津田駒工業株式会社 | 無杼織機のタックイン装置 |
JP2001329453A (ja) * | 2000-05-19 | 2001-11-27 | Tsudakoma Corp | タックイン装置の緯糸弛緩装置 |
JP4132793B2 (ja) * | 2001-11-22 | 2008-08-13 | 津田駒工業株式会社 | 織布のタックイン耳形成方法 |
JP2004124302A (ja) * | 2002-10-02 | 2004-04-22 | Tsudakoma Corp | 無杼織機のタックイン作動方法およびタックイン装置 |
EP1512782B1 (de) * | 2003-09-02 | 2007-04-25 | Sultex AG | Webmaschine mit einer Einlegevorrichtung für schussfäden |
BE1016236A6 (nl) * | 2004-03-05 | 2006-05-02 | Picanol Nv | Kanteninleginrichting voor een weefmachine. |
CN2780792Y (zh) * | 2005-03-21 | 2006-05-17 | 张家港市攀峰纺机有限公司 | 喷气织机织边器 |
-
2009
- 2009-12-10 JP JP2009280024A patent/JP2011122263A/ja active Pending
-
2010
- 2010-10-21 TW TW099135906A patent/TWI503460B/zh active
- 2010-12-03 KR KR1020100122637A patent/KR101350083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0-12-06 CN CN2010105832650A patent/CN102094283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94825A (ko) * | 2018-02-06 | 2019-08-14 | 효성첨단소재 주식회사 | 재단 위치를 표시하여 제조되는 타이어 코드지의 제조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TW201120267A (en) | 2011-06-16 |
JP2011122263A (ja) | 2011-06-23 |
KR101350083B1 (ko) | 2014-01-09 |
TWI503460B (zh) | 2015-10-11 |
CN102094283B (zh) | 2013-12-25 |
CN102094283A (zh) | 2011-06-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50083B1 (ko) | 고무 보강용 직물 제직용 직기에 있어서의 턱인 귀 형성장치 | |
US4957144A (en) | Tack-in system of shuttleless loom | |
JP5309003B2 (ja) | 無杼織機におけるタックイン方法及び装置 | |
JP2012144822A (ja) | 空気噴射式織機における製織方法 | |
US6422270B2 (en) | Weft selvage tuck-in nozzle injection timing apparatus | |
ES2200164T3 (es) | Maquina tejedora con entrada neumatica del hilo de trama. | |
EP2671987B1 (en) | Weaving machine with a weft tensioning device | |
JPS6327462B2 (ko) | ||
JP2623953B2 (ja) | 無杼織機におけるタックイン装置 | |
JP4140759B2 (ja) | 水噴射式織機の緯入れ安定化装置 | |
JPS5831418B2 (ja) | 断片織機の緯糸張力調整装置 | |
US7740030B2 (en) | Selvedge forming apparatus, weaving machine with a selved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for forming a selvedge | |
JPH01174645A (ja) | 無杼織機のタックイン装置 | |
JP2004107819A (ja) | 空気噴射式織機の緯糸飛走制御装置 | |
JPS595753Y2 (ja) | エアジエツトル−ムにおける流体噴射装置 | |
JPH0616952Y2 (ja) | 無杼織機のタックイン耳組装置 | |
JP4234263B2 (ja) | 空気噴射織機の緯糸張力保持装置 | |
JPH0819596B2 (ja) | ジェットルームにおける緯入れ方法 | |
JPH0740543Y2 (ja) | 多色ジェットルームにおける緯糸絡み防止装置 | |
JP2539684Y2 (ja) | 無杼織機におけるタックイン装置 | |
JPS5925892Y2 (ja) | 空気噴射式織機の緯入れ装置 | |
JPS592145Y2 (ja) | 無ヒ織機におけるノズル残糸引戻し装置 | |
JP6348016B2 (ja) | 空気噴射式織機における緯糸規制装置 | |
KR810001753B1 (ko) | 단편직기의 위사장력 조정장치 | |
KR920001729Y1 (ko) | 분사노즐 선단의 씨실 길이 조정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220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217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