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1524A - 원격 관리 장치 및 원격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원격 관리 장치 및 원격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1524A
KR20110041524A KR1020117003550A KR20117003550A KR20110041524A KR 20110041524 A KR20110041524 A KR 20110041524A KR 1020117003550 A KR1020117003550 A KR 1020117003550A KR 20117003550 A KR20117003550 A KR 20117003550A KR 20110041524 A KR20110041524 A KR 201100415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mote management
registration
equipment
information
device ident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35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19018B1 (ko
Inventor
세이지 카와이
Original Assignee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415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15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90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90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6Remote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Testing And Monitoring For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원격 관리 서버(30)는, 가등록부(32a)와 본등록부(32b)를 구비하고 공조기(50a, 50b, …)를 원격으로부터 관리한다. 가등록부(32a)는, 공조기(50a, 50b, …)로부터 보내져 오는 MAC 어드레스를 등록한다. 본등록부(32b)는, 초기 설정 PC(60) 또는 휴대 전화(70)로부터 보내져 오는 이용자 ID를 MAC 어드레스에 관련지어 등록한다. 이용자 ID는, 공조기(50a, 50b, …)의 이용자를 식별하는 정보이다.

Description

원격 관리 장치 및 원격 관리 시스템{REMOTE MANAGEMENT DEVICE AND REMOTE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설비 기기를 원격으로부터 관리하는 원격 관리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하는 원격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공조기 등의 설비 기기를 원격 관리 장치에 의하여 원격으로부터 관리하는 원격 관리 서비스가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서비스를 실시하기 위해서는, 사전에, 적어도 설비 기기를 식별하는 기기 식별자와 당해 설비 기기의 이용자에 관한 이용자 정보를, 서로 관련지어 원격 관리 장치에 등록해 둘 필요가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의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5-301982호). 그리고, 이와 같은 초기 설정은, 원격 관리 장치에 로그인한 서비스 맨 등에 의하여 수동으로 행하여지고 있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5-301982호
그런데, 통상, 기기 식별자의 입력은, 번잡함을 동반하는 것이다. 기기 식별자는, 직감적으로 공조기를 식별할 수 없는 것과 같은 문자열인 것이 많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초기 설정에 미스가 있으면, 원격 관리 서비스가 정상적으로 기능하지 않게 되어 버린다.
본 발명의 과제는, 설비 기기와 그 이용자를 관련지어 원격 관리 장치에 등록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것에 있다.
제1 발명에 관련되는 원격 관리 장치는, 가등록부와 본등록부를 구비하고, 설비 기기를 원격으로부터 관리한다. 가등록부는, 설비 기기로부터 보내져 오는 기기 식별자를 등록한다. 기기 식별자는, 설비 기기를 식별하는 정보이다. 본등록부는, 등록 단말로부터 보내져 오는 이용자 정보를 기기 식별자에 관련지어 등록한다. 이용자 정보는, 설비 기기의 이용자에 관한 정보이다.
이와 같은 원격 관리 장치는, 본등록 전에 설비 기기로부터 보내져 오는 기기 식별자의 가등록을 접수하고 있다. 이것에 의하여, 기기 식별자와 이용자 정보를 관련짓는, 즉, 설비 기기와 이용자를 관련짓는 본등록이 용이하게 된다.
제2 발명에 관련되는 원격 관리 장치는, 제1 발명에 관련되는 원격 관리 장치이고, 본등록부는, 등록 단말로부터 더 보내져 오는 시사 정보를 참조하고, 이용자 정보를 기기 식별자에 관련짓는다. 시사 정보는, 설비 기기를 시사하는 정보이다.
이와 같은 원격 관리 장치는, 이용자 정보와 함께, 시사 정보를 등록 단말로부터 받는다. 이것에 의하여, 당해 시사 정보가 시사하는 설비 기기와, 당해 이용자 정보에 관련되는 이용자를 관련지을 수 있다.
제3 발명에 관련되는 원격 관리 장치는, 제2 발명에 관련되는 원격 관리 장치이고, 시사 정보는, 단말 LAN 정보이다. 단말 LAN 정보는, 등록 단말이 존재하는 LAN을 식별하는 정보이다. 가등록부는, 기기 LAN 정보를 기기 식별자에 관련지어 더 등록한다. 기기 LAN 정보는, 설비 기기가 존재하는 LAN을 식별하는 정보이다. 본등록부는, 기기 LAN 정보를 더 참조하고, 기기 식별자에 이용자 정보를 관련짓는다.
이와 같은 원격 관리 장치는, 가등록 시에, 기기 식별자와 함께, 기기 LAN 정보를 설비 기기로부터 받는다. 또한, 본등록 시에는, 이용자 정보와 함께, 시사 정보로서 단말 LAN 정보를 등록 단말로부터 받는다. 이것에 의하여, 등록 단말로부터 보내져 오는 이용자 정보를, 당해 등록 단말과 같은 LAN 내에 존재하는 설비 기기에 관련지을 수 있다.
제4 발명에 관련되는 원격 관리 장치는, 제2 발명에 관련되는 원격 관리 장치이고, 본등록부는, 등록 단말의 조작자에게 등록 단말을 통한 시사 정보의 입력을 요구한다.
이와 같은 원격 관리 장치는, 본등록 시에, 등록 단말의 조작자로부터 시사 정보를 받는다. 이것에 의하여, 등록 단말의 조작자가 등록하려고 하는 설비 기기를 지정할 수 있다.
제5 발명에 관련되는 원격 관리 장치는, 제4 발명에 관련되는 원격 관리 장치이고, 시사 정보는, 기기 식별자이다.
이와 같은 원격 관리 장치는, 본등록 시에, 등록 단말의 조작자에게 등록하려고 하는 설비 기기의 기기 식별자의 입력을 요구하고, 당해 기기 식별자를 받는다. 이것에 의하여, 등록 단말의 조작자가 등록하려고 하는 설비 기기를 기기 식별자에 의하여 지정할 수 있다.
제6 발명에 관련되는 원격 관리 장치는, 제4 발명에 관련되는 원격 관리 장치이고, 시사 정보는, 설비 기기에 대하여 설정되어 있는 키워드이다. 가등록부는, 설비 기기로부터 더 보내져 오는 키워드를 기기 식별자에 관련지어 더 등록한다.
이와 같은 원격 관리 장치는, 본등록 시에, 등록 단말의 조작자에게 등록하려고 하는 설비 기기에 대하여 설정되어 있는 키워드의 입력을 요구하고, 당해 키워드를 받는다. 이것에 의하여, 등록 단말의 조작자가 등록하려고 하는 설비 기기를 키워드에 의하여 지정할 수 있다.
제7 발명에 관련되는 원격 관리 장치는, 제4 발명에 관련되는 원격 관리 장치이고, 인증부를 더 구비한다. 인증부는, 등록 단말의 인증을 행한다. 인증부는, 인증을 행하기 위하여, 이용자 정보를 등록 단말에 요구한다. 본등록부는, 인증부가 취득한 이용자 정보를 기기 식별자에 관련짓는다.
이와 같은 원격 관리 장치는, 본등록 시에, 이용자 정보에 의하여 등록 단말을 인증하고, 당해 인증용의 이용자 정보를 기기 식별자에 관련짓는다. 따라서, 등록 단말의 조작자에게 이용자 정보의 입력을 요구하는 것 없이, 설비 기기와 이용자를 용이하게 관련지을 수 있다.
제8 발명에 관련되는 원격 관리 시스템은, 설비 기기와 원격 관리 장치와 등록 단말을 구비한다. 원격 관리 장치는, 설비 기기를 원격으로부터 관리한다. 등록 단말은, 설비 기기를 원격 관리 장치에 등록할 때에 원격 관리 장치에 접속된다. 설비 기기는, 통보부를 가진다. 통보부는, 기기 식별자를 원격 관리 장치에 통보한다. 기기 식별자는, 설비 기기를 식별하는 정보이다. 원격 관리 장치는, 가등록부와 본등록부를 가진다. 가등록부는, 통보부로부터 통보되는 기기 식별자를 등록한다. 본등록부는, 등록 단말로부터 보내져 오는 이용자 정보를 기기 식별자에 관련지어 등록한다. 이용자 정보는, 설비 기기의 이용자에 관한 정보이다.
이와 같은 원격 관리 시스템에서는, 원격 관리 장치가, 본등록 전에 설비 기기로부터 보내져 오는 기기 식별자의 가등록을 접수하고 있다. 이것에 의하여, 기기 식별자와 이용자 정보를 관련짓는, 즉, 설비 기기와 이용자를 관련짓는 본등록이 용이하게 된다.
제9 발명에 관련되는 원격 관리 시스템은, 제8 발명에 관련되는 원격 관리 시스템이고, 본등록부는, 등록 단말로부터 더 보내져 오는 시사 정보를 참조하고, 이용자 정보를 기기 식별자에 관련짓는다. 시사 정보는, 설비 기기를 시사하는 정보이다.
이와 같은 원격 관리 시스템에서는, 원격 관리 장치가, 이용자 정보와 함께, 시사 정보를 등록 단말로부터 받는다. 이것에 의하여, 당해 시사 정보가 시사하는 설비 기기와 당해 이용자 정보에 관련되는 이용자를 관련지을 수 있다.
제10 발명에 관련되는 원격 관리 시스템은, 제8 발명 또는 제9 발명에 관련되는 원격 관리 시스템이고, 통보부는, 설비 기기의 전원 투입 시, 또는 설비 기기의 LAN으로의 접속 시에, 자동적으로 기기 식별자를 원격 관리 장치에 통보한다.
이와 같은 원격 관리 시스템에서는, 설비 기기의 전원 투입 시 또는 LAN으로의 접속 시에, 설비 기기로부터 원격 관리 장치에 기기 식별자가 자동적으로 통보된다. 이것에 의하여, 기기 식별자를 원격 관리 장치에 등록하는 가등록이 용이하게 실행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기 식별자와 이용자 정보를 관련짓는 본등록 전에, 기기 식별자의 가등록이 실행된다. 이것에 의하여, 설비 기기와 그 이용자를 관련지어 원격 관리 장치에 등록하는 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이와 같은 원격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공조기의 구성도.
도 3은 초기 설정 PC의 구성도.
도 4는 휴대 전화의 구성도.
도 5는 원격 관리 서버의 구성도.
도 6은 이용자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가등록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기본 정보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원격 관리 서버 상에서 실행되는 공조기의 본등록의 흐름을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본등록 화면의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되는 공조기(50a, 50b, …)의 원격 관리 시스템(1)에 관하여 설명한다.
<전체 구성>
도 1에, 원격 관리 시스템(1)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다. 원격 관리 시스템(1)은, 원격 관리 센터(3)에 설치되어 있는 원격 관리 서버(30)로부터 물건(物件, 물품 따위의 동산과 토지나 건물 따위의 부동산을 통틀어 이르는 말, 2)에 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공조기(50a, 50b, …)를 감시 및 제어하는 시스템이다. 공조기(50a, 50b, …)와 원격 관리 서버(30)는, 인터넷(6)을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물건(2)에는, 인터넷(6)과, 물건(2) 내에 시설되어 있는 로컬 에어리어 네트워크(이하, LAN, 5a)를 접속하는 라우터(router, 40)가 설치되어 있다. LAN(5a)에는, 공조기(50a, 50b, …)가 접속되어 있는 것 외, 물건(2) 내에서 사용되는 도시되지 않는 PC, 프린터 등의 네트워크 기기도 접속되어 있다.
원격 관리 서버(30)에 의한 공조기(50a, 50b, …)의 감시 및 제어를 개시하기 위해서는, 사전에 공조기(50a, 50b, …)를 원격 관리 서버(30)에 등록해 둘 필요가 있다. 도 1 중의 초기 설정 PC(60) 및 휴대 전화(70)는, 이와 같은 초기 설정 시에 서비스 맨에 의하여 사용되는 기기이다.
덧붙여, 간단함을 위하여, 도 1에는 물건(2)을 1개 밖에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실제의 원격 관리 시스템(1)에는, 복수의 물건(2)에 산재하는 공조기(50a, 50b, …)가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공조기>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공조기(50a, 50b, …)는, 각각 공조기 본체(10a, 10b, …)와, 공조기 본체(10a, 10b, …)를 LAN(5a)에 접속하기 위한 어댑터(20a, 20b, …)를 가지고 있다. 공조기 본체(10a, 10b, …)와 어댑터(20a, 20b, …)는, 1대 1로 접속되어 있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공조기(50a)의 구성을 설명하지만, 그 외의 공조기(50b, …)도, 공조기(50a)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한다.
a) 공조기 본체
공조기 본체(10a)는, 도시되지 않는 실외기와, 당해 실외기에 냉매 배관을 통하여 접속되는 1 또는 복수의 실내기를 가지고 있고, 도시되지 않는 압축기나 열교환기 등으로 구성되는 냉매 회로를 형성하고 있다. 친기(親機, 모체가 되는 기계)로 되는 실내기의 케이싱 내의 소정의 위치에는, 어댑터(20a)가 취부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공조기 본체(10a)에는, 각종 센서(12a, 12b, 12c, 12d, 12e, …)가 취부되어 있다. 각종 센서(12a)는, 실내기가 설치되어 있는 방의 온도를 검출한다. 센서(12b)는, 물건(2) 부근의 외기(外氣)의 온도를 검출한다. 센서(12c)는, 압축기(도시되지 않음)의 토출관에 있어서의 냉매의 온도를 검출한다. 센서(12d)는, 압축기(도시되지 않음)의 토출관에 있어서의 냉매의 압력을 검출한다. 센서(12e)는, 압축기(도시되지 않음)의 흡입관에 있어서의 냉매의 압력을 검출한다.
또한, 공조기 본체(10a)는, 제어부(11)를 가지고 있다. 제어부(11)는, 공조기 본체(10a)에 포함되는 실내기 및 실외기의 제어 유닛의 집합체이다.
제어부(11)는, 리모컨(13)을 통하여 물건(2) 내의 일반 이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실내기에 대한 운전 지령에 따라, 공조기 본체(10a)의 운전을 제어하는, 즉, 냉매 회로에 포함되는 압축기 등의 피제어 부품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1)는, 공조기 본체(10a)에 관한 기기 데이터를 어댑터(20a)로 송신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1)는, 각종 센서(12a, 12b, 12c, 12d, 12e, …)의 검출값(기기 데이터)을 소정의 간격(본 실시예에서는 1분)으로 어댑터(20a)로 송신하거나 리모컨(13)을 통하여 입력된 실내기에 대한 운전 지령의 내용을 나타내는 데이터(기기 데이터)를 어댑터(20a)로 송신하거나 한다. 운전 지령의 내용을 나타내는 데이터란, 예를 들어, 전원의 온·오프, 운전 모드(냉방 모드, 난방 모드, 송풍 모드 등), 설정 온도 등이다.
또한, 제어부(11)는, 어댑터(20a)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제어 명령을 실행한다. 어댑터(20a)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제어 명령이란, 예를 들어, 실내기에 대한 운전 지령이거나 특정의 기기 데이터를 어댑터(20a)로 송신하도록 명하는 것이거나 한다.
b) 어댑터
어댑터(20a)는, 공조기 본체(10a)를 LAN(5a)에 접속하기 위한 네트워크 어댑터이다. 덧붙여, 공조기 본체(10a)에 포함되는 피제어 부품끼리는, 전용의 네트워크(5b)를 통하여 내부 통신을 행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어댑터(20a)는, 통신부(21)와 제어부(22)와 기억부(25)를 가지고 있고, 네트워크(5a, 5b) 사이에서의 통신 프로토콜의 상위(相違)를 흡수하는 통신 기능의 외, 공조기 본체(10a)를 제어하는 제어 기능을 가지고 있다.
기억부(25)에는, 제어 프로그램 및 제어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다. 제어 프로그램 및 제어 데이터는, 원격 관리 서버(30)로부터 인터넷(6)을 통하여 갱신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어부(22)는, 당해 제어 데이터를 참조하면서 당해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것에 의하여, 예를 들어, 이하의 동작을 행한다.
제어부(22)는, 공조기 본체(10a)의 제어부(11)로 제어 명령을 송신한다. 예를 들어, 기억부(25)에, 매일 아침 9:00에 공조기 본체(10a)를 기동하고, 매일 저녁 21:00에 정지시킨다고 하는 운전 스케줄(제어 데이터)이 등록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어부(22)는, 매일 아침 9:00에 공조기 본체(10a)의 기동 명령을 공조기 본체(10a)의 제어부(11)로 송신하고, 매일 저녁 21:00에 공조기 본체(10a)의 정지 명령을 공조기 본체(10a)의 제어부(11)로 송신한다.
또한, 기억부(25)에는, 기기 데이터 기억 영역(25a)이 확보되어 있다. 기기 데이터 기억 영역(25a)은, 공조기 본체(10a)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기기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보존해 두기 위한 기억 영역이다. 제어부(22)는, 소정의 간격으로(예를 들어, 1일 1회), 기기 데이터 기억 영역(25a) 내의 기기 데이터를 소정의 형식으로 정형하고, 정기 발보(發報, 발하여 알리는 것) 데이터로서 원격 관리 서버(30)로 송신한다.
또한, 제어부(22)는, 공조기 본체(10a)에 있어서의 이상의 검출을 행한다. 즉, 제어부(22)는, 소정의 간격(본 실시예에서는 5분)으로, 기기 데이터 기억 영역(25a)의 기기 데이터에 기초하여 공조기 본체(10a)에 있어서의 이상의 유무를 판단한다. 그리고, 실제로 이상이 검출되면, 그 취지를 나타내는 이상 발보 데이터를 작성하고, 원격 관리 서버(30)로 즉시 송신한다.
그 외, 제어부(22)는, 후술하는 공조기(50a)의 가등록을 실행한다.
또한, 기억부(25)에는, MAC 어드레스가 기억되어 있다. MAC 어드레스는, LAN(5a) 및 인터넷(6) 상에서 어댑터(20a)를 일의(一意)로 식별하는 정보로 된다.
<라우터>
라우터(40)는, 라우터(40)에 접속되어 있는 네트워크 기기(어댑터(20a, 20b, …)를 포함한다)에 IP 어드레스를 할당한다. 라우터(40)는, 어댑터(20a, 20b, …)가 LAN(5a)에 접속되면, 어댑터(20a, 20b, …)의 존재를 자동적으로 검출하고, 어댑터(20a, 20b, …)의 네트워크 설정 정보(MAC 어드레스, IP 어드레스, 서브넷 마스크(subnet mask) 등)의 등록을 행한다. 이것에 의하여, 어댑터(20a, 20b, …)는, LAN(5a) 내의 다른 네트워크 기기 및 인터넷(6) 상의 네트워크 기기와의 통신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라우터(40)는, 파이어 월(fire wall) 기능을 가지고 있고, 원칙으로서 WAN(인터넷(6)) 측으로부터의 LAN(5a) 내의 기기로의 액세스를 블록한다.
<초기 설정 PC>
초기 설정 PC(60)는, 원격 관리 서비스의 제공 사업자의 원(元)으로부터 파견된 서비스 맨이 행하는 공조기(50a, 50b, …)의 초기 설정에 제공하는 기기이다. 초기 설정 PC(60)는, 서비스 맨에게 물건(2)까지 휴대되고, 원칙적으로는 공조기(50a, 50b, …)의 초기 설정 시에만, LAN(5a)에 접속된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초기 설정 PC(60)는, 통신부(61)와 제어부(62)와 출력부(63)와 입력부(64)와 기억부(65)를 가지고 있다. 통신부(61)는 초기 설정 PC(60)가 LAN(5a)에 접속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제어부(62)는 CPU, RAM 및 ROM 등으로 이루어지고, 기억부(35)는 HDD 등으로 이루어진다. 출력부(63)는 디스플레이 및 스피커 등으로 이루어지고, 입력부(64)는 마우스 및 키보드 등으로 이루어진다.
초기 설정 PC(60)에는 웹 브라우저가 탑재되어 있다. 서비스 맨은, 원격 관리 서버(30)로부터 인터넷(6)을 통하여 당해 웹 브라우저 상에 제공되는 화면을 통하여, 공조기(50a, 50b, …)의 초기 설정을 행한다.
<휴대 전화>
휴대 전화(70)는, 초기 설정 PC(60)와 같이, 원격 관리 서비스의 제공 사업자 원으로부터 파견된 서비스 맨이 행하는 공조기(50a, 50b, …)의 초기 설정에 제공하는 기기이다. 휴대 전화(70)는, 초기 설정 PC(60)의 대체로서 서비스 맨에게 물건(2)까지 휴대된다. 따라서, 도 1에는, 초기 설정 PC(60) 및 휴대 전화(70)의 양방(兩方)이 그려져 있지만, 서비스 맨은 초기 설정 PC(60) 또는 휴대 전화(70)의 어느 일방(一方)을 휴대하면 충분하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휴대 전화(70)는, 통신부(71)와 제어부(72)와 출력부(73)와 입력부(74)와 기억부(75)를 가지고 있다. 통신부(71)는, 통화 기능의 외, 인터넷(6)으로의 접속 기능을 실장하고 있다. 제어부(72)는, CPU, RAM 및 ROM 등으로 이루어지고, 기억부(75)는, 플래쉬 메모리 등으로 이루어진다. 출력부(73)는, 디스플레이 및 스피커 등으로 이루어지고, 입력부(74)는, 조작 버튼군 등으로 이루어진다.
휴대 전화(70)에는, 휴대 전화용의 웹 브라우저가 탑재되어 있다. 서비스 맨은, 원격 관리 서버(30)로부터 인터넷(6)을 통하여 당해 웹 브라우저 상에 제공되는 화면을 통하여, 공조기(50a, 50b, …)의 초기 설정을 행한다.
<원격 관리 서버>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격 관리 서버(30)는, 통신부(31)와 제어부(32)와 출력부(33)와 입력부(34)와 기억부(35)를 가지고 있다.
통신부(31)는, 원격 관리 서버(30)의 통신 기능을 담당하고 있고, 원격 관리 서버(30)의 인터넷(6)으로의 접속, 즉, 공조기(50a, 50b, …), 초기 설정 PC(60) 및 휴대 전화(70)와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기억부(35)에는, 공조기(50a, 50b, …)에 관한 각종 데이터를 축적하기 위한 여러가지 데이터베이스가 정의되어 있다.
예를 들어, 기억부(35)에는, 공조기(50a, 50b, …)로부터 원격 관리 서버(30)로 인터넷(6)을 통하여 송신되어 오는, 정기 발보 데이터를 축적하는 정기 발보 데이터베이스(35a) 및 이상 발보 데이터를 축적하는 이상 발보 데이터베이스(35b)가 정의되어 있다. 덧붙여, 상기 데이터베이스(35a, 35b)에는, 공조기(50a, 50b, …)에 관한 각종 데이터가 당해 공조기(50a, 50b, …)의 MAC 어드레스에 관련지어진 태양으로 기억된다.
또한, 기억부(35)에는, 공조기(50a, 50b, …)의 이용자에 관한 정보를 격납하는 표 형식의 이용자 데이터베이스(35c, 도 6 참조)가 정의되어 있다. 이용자 데이터베이스(35c)에는, 공조기(50a, 50b, …)의 이용자에게 할당되어 있는 이용자 ID, 및 당해 이용자의 이름 또는 명칭, 연락처(물건(2)의 명칭 및 주소를 포함한다) 및 패스워드 등이 하나의 레코드로서 격납된다. 패스워드는, 원격 관리 서버(30)에 이용자 ID로 로그인할 때의 로그인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것이다. 이용자 데이터베이스(35c) 내의 레코드는, 이용자에게 1대 1로 대응한다.
나아가, 기억부(35)에는, 공조기(50a, 50b, …)에 관한 기본적인 등록 정보(이하, 기본 정보)를 격납하는 표 형식의 기본 정보 데이터베이스(35d, 도 8 참조)도 정의되어 있다. 기본 정보 데이터베이스(35d)에는, 공조기(50a, 50b, …)의 MAC 어드레스, 및 당해 공조기(50a, 50b, …)의 이용자의 이용자 ID 및 기기 명칭 등이 하나의 레코드로서 격납된다. 기본 정보 데이터베이스(35d) 내의 레코드는, 공조기(50a, 50b, …)에 1대 1로 대응한다.
또한, 기억부(35)에는, 공조기(50a, 50b, …)의 가등록 데이터를 격납하는 표 형식의 가등록 데이터베이스(35e, 도 7 참조)도 정의되어 있다. 가등록 데이터베이스(35e)에는, 공조기(50a, 50b, …)의 MAC 어드레스 및 글로벌 IP 어드레스가 하나의 레코드로서 격납된다. 가등록 데이터베이스(35e) 내의 레코드는, 공조기(50a, 50b, …)에 1대 1로 대응한다.
제어부(32)는, CPU, RAM 및 ROM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기억부(35)에 기억되어 있는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그 결과, 제어부(32)는, 가등록부(32a), 본등록부(32b) 및 인증부(32c)로서 동작한다. 가등록부(32a), 본등록부(32b) 및 인증부(32c)의 동작의 상세한 것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제어부(32)는, 상기 데이터베이스(35a ~ 35e)에 격납되어 있는 각종 데이터에 기초하여, 공조기(50a, 50b, …)에 있어서의 이상을 검사하거나, 공조기(50a, 50b, …)의 이용 태양에 관한 이용자 전용의 보고서·제안서를 작성하거나 한다. 또한, 제어부(32)는, 인터넷(6)을 통하여 공조기(50a, 50b, …)로 제어 명령을 보내는 것도 가능하다. 덧붙여, 제어 프로그램의 처리 상, 각 공조기(50a, 50b, …)는 MAC 어드레스에 의하여 식별된다.
출력부(33)는, 디스플레이나 스피커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제어부(32)가 공조기(50a, 50b, …)에 있어서의 이상을 검출하면, 원격 관리 서버(30)의 측에 있는 원격 관리 센터(3)의 직원을 향하여 그 취지를 보지(報知)한다.
입력부(34)는, 마우스 및 키보드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원격 관리 서버(30)의 조작자가 원격 관리 서버(30)에 대하여 조작 명령을 입력하는 데에 이용된다.
<공조기의 초기 설정>
이하, 같은 물건(2) 내의 같은 이용자에 속하는 복수의 공조기(50a, 50b, …)의 초기 설정의 흐름을 설명한다. 공조기(50a, 50b, …)의 초기 설정은, 공조기(50a, 50b, …)의 가등록 데이터(MAC 어드레스를 포함한다)를 등록하는 가등록과, 가등록을 마친 공조기(50a, 50b, …)의 MAC 어드레스에 당해 공조기(50a, 50b, …)의 기본 정보(이용자 ID를 포함한다)를 관련지어 등록하는 본등록으로 이루어진다.
a) 가등록
공조기(50a, 50b, …)의 가등록은, 각각 어댑터(20a, 20b, …)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실행되는 처리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어댑터(20a, 20b, …)는, LAN(5a)에 접속되면, 자신의 존재를 자동적으로 원격 관리 서버(30)에 통보하도록 프로그램되어 있다. 덧붙여, 어댑터(20a, 20b, …)를 LAN(5a)에 접속하는 것은, 통상, 서비스 맨이다. 당해 통보 시에는, 어댑터(20a, 20b, …)로부터 원격 관리 서버(30)로, 각각의 MAC 어드레스가 송신된다.
한편, 원격 관리 서버(30)의 가등록부(32a)는, 당해 통보에 관련되는 어댑터(20a, 20b, …)의 MAC 어드레스를 가등록 데이터베이스(35e)에 등록한다. 동시에, 가등록부(32a)는, 어댑터(20a, 20b, …)의 글로벌 IP 어드레스를, 각각 어댑터(20a, 20b, …)의 MAC 어드레스에 관련짓는 태양(態樣)으로 가등록 데이터베이스(35e)에 등록한다. 덧붙여, 어댑터(20a, 20b, …)의 글로벌 IP 어드레스는, 라우터(40)의 글로벌 IP 어드레스와, 각각 어댑터(20a, 20b, …)에 대응하는 포토 번호를 조합한 것이다. 따라서, 어댑터(20a, 20b, …)의 글로벌 IP 어드레스로부터는, 어댑터(20a, 20b, …)가 속하는 LAN(5a)을 식별할 수 있다.
덧붙여, 가등록부(32a)는, 어댑터(20a, 20b, …)로부터의 MAC 어드레스가 이미 가정보 데이터베이스(35e) 또는 기본 정보 데이터베이스(35d)에 등록되어 있는 경우에는, 가등록을 행하지 않는다.
이상에 의하여, 공조기(50a, 50b, …)의 가등록은, 종료한다.
b) 본등록
공조기(50a, 50b, …)의 본등록은, 서비스 맨이 초기 설정 PC(60) 또는 휴대 전화(70)을 수동으로 조작하면서 실행하는 처리이다. 공조기(50a, 50b, …)의 본등록은, 당해 공조기(50a, 50b, …)의 가등록 후에 실행될 필요가 있다.
이하, 도 9를 참조하면서, 본등록 시의 원격 관리 서버(30)의 동작에 관하여, 초기 설정 PC(60)가 사용되는 경우와 휴대 전화(70)가 사용되는 경우로 나누어 설명한다.
b-1) 초기 설정 PC가 사용되는 경우
서비스 맨은, 우선, 공조기(50a, 50b, …)가 접속되어 있는 LAN(5a)에 초기 설정 PC(60)를 접속한다.
다음으로, 서비스 맨은, 초기 설정 PC(60)에 탑재되어 있는 웹 브라우저를 기동하고, 당해 웹 브라우저 상에서 소정의 URL을 지정하고, 원격 관리 서버(30)에 액세스한다. 이와 같은 액세스를 받아, 도 9에 도시하는 원격 관리 서버(30)의 처리가 개시한다.
스텝 S20에서는, 원격 관리 서버(30)의 인증부(32c)가, 액세스원인 초기 설정 PC(60)의 웹 브라우저로 로그인 화면을 송신한다. 로그인 화면은, 로그인 권한을 확인하기 위한 이용자 ID 및 패스워드(이하, ID 등)의 입력을 요구하는 화면이다. 서비스 맨은, 로그인 화면에, 등록하려고 하고 있는 공조기(50a, 50b, …)의 이용자에 대하여 발행되어 있는 ID 등을 입력할 필요가 있다. 로그인 화면에 입력된 ID 등은, 원격 관리 서버(30)로 송신된다. 원격 관리 서버(30) 측에서는, 인증부(32c)가, 초기 설정 PC(60)로부터의 ID 등과, 이용자 데이터베이스(35c)에 격납되어 있는 ID 등을 조합하는 것에 의하여, 서비스 맨의 로그인 권한을 인증한다. 인증에 성공하면 처리는 스텝 S21로 진행되고, 실패하면 처리는 종료한다.
덧붙여, 스텝 S20의 인증 처리는, 이용자 데이터베이스(35c)에 격납되어 있는 ID 등과의 조합에 의하여 행하여지기 때문에, 이용자 데이터베이스(35c)로의 이용자의 등록은, 본등록 전에 이루어져 있을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등록은, 물건(2)에 파견 중의 서비스 맨이 행할 필요는 없고, 이용자와의 사이에서 원격 관리 서비스의 계약 등이 이루어진 후, 적당한 타이밍에서 적당한 인원(원격 관리 센터(3)에 상주하고 있는 직원 등)에 의하여 이루어지면 된다.
인증의 성공 후의 스텝 S21에서는, 원격 관리 서버(30)의 본등록부(32b)가, 가등록을 마친 공조기 중에, 액세스원인 초기 설정 PC(60)와 같은 LAN(5a) 내에 존재하는 것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등록부(32b)는, 초기 설정 PC(60)로부터 당해 초기 설정 PC(60)의 글로벌 IP 어드레스를 취득하고, 당해 글로벌 IP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당해 초기 설정 PC(60)가 소속하고 있는 LAN(즉, LAN(5a))을 특정한다. 계속하여, 본등록부(32b)는, 가등록 데이터베이스(35e) 내의 글로벌 IP 어드레스를 참조하면서, 가등록을 마친 공조기 중에서, 초기 설정 PC(60)가 소속하고 있는 것으로 특정된 LAN(5a) 내에 있는 공조기(50a, 50b, …)를 검색한다. 그 결과, 1 이상의 공조기(50a, 50b, …)가 검출된 경우에는, 처리는 스텝 S25로 진행되고, 검출되지 않았던 경우에는, 처리는 스텝 S22로 진행된다. 따라서, 가등록을 마친 공조기(50a, 50b, …)와 같은 LAN(5a) 내의 초기 설정 PC(60)가 본등록에 사용되는 본 상황 하에서는, 처리는 스텝 S25로 진행되게 된다.
스텝 S25에서는, 본등록부(32b)는, 본등록 화면(도 10 참조)을 작성하고, 초기 설정 PC(60)의 웹 브라우저로 송신한다. 본등록 화면 상에는, 스텝 S21에서 검출된 각 공조기(50a, 50b, …)에 관한, MAC 어드레스를 표시하는 표시란(M1)과, 기기 명칭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 박스(M2)와, 본등록을 행하는지 여부를 선택하기 위한 체크 박스(M3)가 표 형식으로 표시된다.
서비스 맨은, 표시란(M1)의 MAC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각 행에 대응하는 공조기(50a, 50b, …)를 확인하면서, 각 공조기(50a, 50b, …)의 기기 명칭을 입력 박스(M2)에 입력한다. 서비스 맨이 본등록 화면 상에 적당한 기기 명칭을 입력하고, 「등록」 버튼을 누르면, 당해 기기 명칭이 초기 설정 PC(60)로부터 원격 관리 서버(30)로 송신된다. 덧붙여, 스텝 S21에서 검출된 공조기(50a, 50b, …) 중에 등록해서는 안되는 것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디폴트로 체크가 들어가 있는 체크 박스(M3)의 체크를 제외한 다음, 「등록」 버튼 누르면 된다. 「등록」 버튼의 압하 시에 체크 박스(M3)의 체크가 제외되어 있는 공조기(50a, 50b, …)에 관해서는, 계속되는 스텝 S26에 있어서 등록 대상이 아닌 것으로서 처리된다.
스텝 S26에서는, 등록 대상인 각 공조기(50a, 50b, …)에 대응하는 레코드가 기본 정보 데이터베이스(35d)에 추가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등록부(32b)가, 체크 박스(M3)에 체크가 들어가 있는 각 공조기(50a, 50b, …)의 MAC 어드레스, 기기 명칭 및 이용자 ID를, 서로 관련짓는 태양으로 기본 정보 데이터베이스(35d)에 격납한다. MAC 어드레스로서는, 가등록 데이터베이스(35e)에 등록되어 있는 것, 기기 명칭으로서는, 스텝 S25에서 본등록 화면 상에 입력된 것, 이용자 ID로서는, 스텝 S20의 인증 처리 시에 입력된 것이 자동적으로 격납된다.
본등록이 완료한 공조기(50a, 50b, …)에 관한 가등록 데이터는, 가등록 데이터베이스(35e) 내로부터 소거된다.
b-2) 휴대 전화가 사용되는 경우
서비스 맨은, 우선, 휴대 전화(70)에 탑재되어 있는 웹 브라우저를 기동하고, 당해 웹 브라우저 상에서 소정의 URL을 지정하여, 원격 관리 서버(30)에 액세스한다. 이와 같은 액세스를 받아, 도 9에 도시하는 원격 관리 서버(30)의 처리가 개시한다.
스텝 S20에서는, 원격 관리 서버(30)의 인증부(32c)가 액세스원인 휴대 전화(70)를 인증하고, 인증에 성공하면, 처리는 스텝 S21로 진행된다. 덧붙여, 스텝 S20의 자세한 것은, 초기 설정 PC(60)가 사용되는 경우와 마찬가지이다.
인증의 성공 후의 스텝 S21에서는, 원격 관리 서버(30)의 본등록부(32b)가, 가등록을 마친 공조기 중에, 액세스원인 휴대 전화(70)와 같은 LAN(5a) 내에 존재하는 것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가등록을 마친 공조기(50a, 50b, …)와는 다른 LAN(5a) 내의 휴대 전화(70)가 본등록에 사용되는 본 상황 하에서는, 처리는 스텝 S22로 진행되게 된다. 덧붙여, 스텝 S21의 상세도, 초기 설정 PC(60)가 사용되는 경우와 마찬가지이다.
스텝 S22에서는, 본등록부(32b)는, 등록하려고 하고 있는 공조기(50a, 50b, …)를 시사하는 정보의 입력을 요구하는 공조기 특정 화면을 작성하고, 휴대 전화(70)의 웹 브라우저로 송신한다. 공조기 특정 화면에는, 공조기(50a, 50b, …)의 MAC 어드레스의 기입란이 설치되어 있다. 서비스 맨이 등록하려고 하고 있는 복수의 공조기(50a, 50b, …) 중 어느 하나의 공조기(이하, 예시 공조기)의 MAC 어드레스를 당해 기입란에 입력하고, 「OK」 버튼을 누르면, 당해 MAC 어드레스가 휴대 전화(70)로부터 원격 관리 서버(30)로 송신된다.
계속되는 스텝 S23에서는, 본등록부(32b)가, 예시 공조기가 가등록이 끝난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등록부(32b)가, 가등록 데이터베이스(35e) 내에 예시 공조기의 MAC 어드레스가 격납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격납되어 있는 경우에는, 처리는 스텝 S24로 진행되고, 격납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처리는 종료한다.
스텝 S24에서는, 본등록부(32b)가, 예시 공조기와 같은 LAN(5a) 내에 가등록을 마친 다른 공조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등록부(32b)는, 가등록 데이터베이스(35e)로부터 예시 공조기의 글로벌 IP 어드레스를 취득하고, 당해 글로벌 IP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예시 공조기가 소속하고 있는 LAN(즉, LAN(5a))을 특정한다. 계속하여, 본등록부(32b)는, 가등록 데이터베이스(35e) 내의 글로벌 IP 어드레스를 참조하면서, 가등록을 마친 공조기 중에서, 예시 공조기가 소속하고 있는 것으로 특정된 LAN(5a) 내에 존재하는 다른 공조기를 검색한다. 검색이 종료하면, 처리는 스텝 S25로 진행된다.
스텝 S25에서는, 본등록부(32b)에 의하여 본등록 화면(도 10 참조)이 작성되고, 휴대 전화(70)의 웹 브라우저로 송신된다. 스텝 S25의 자세한 것은, 스텝 S21에서 검출된 공조기(50a, 50b, …)의 MAC 어드레스 대신에, 스텝 S23, S24에서 검출된 공조기(50a, 50b, …, 예시 공조기, 및 존재하는 경우에는 예시 공조기와 같은 LAN(5a) 내의 다른 공조기)의 MAC 어드레스가 표시란(M1)에 표시되는 점을 제외하고, 초기 설정 PC(60)가 사용되는 경우와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서비스 맨은, 표시란(M1)의 MAC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각 행에 대응하는 공조기(50a, 50b, …)를 확인하면서, 각 공조기(50a, 50b, …)의 기기 명칭을 입력 박스(M2)에 입력한다. 서비스 맨이 본등록 화면 상에 적당한 기기 명칭을 입력하고, 「등록」 버튼을 누르면, 당해 기기 명칭이 휴대 전화(70)로부터 원격 관리 서버(30)로 송신된다. 덧붙여, 스텝 S24에서 검출된 공조기(50a, 50b, …) 중에 등록해서는 안되는 것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디폴트로 체크가 들어가 있는 체크 박스(M3)의 체크를 제외한 다음, 「등록」 버튼 누르면 된다. 「등록」 버튼의 압하 시에 체크 박스(M3)의 체크가 제외되어 있는 공조기(50a, 50b, …)에 관해서는, 계속되는 스텝 S26에 있어서 등록 대상이 아닌 것으로서 처리된다.
스텝 S26의 자세한 것은, 초기 설정 PC(60)가 사용되는 경우와 마찬가지이다.
<특징>
(1)
상기 원격 관리 서버(30)에서는, 공조기(50a, 50b, …)의 MAC 어드레스와 기본 정보(이용자 ID를 포함한다)를 관련짓는 본등록 전에, 공조기(50a, 50b, …)의 MAC 어드레스 및 글로벌 IP 어드레스가 자동적으로 가등록되도록 되어 있다. 그 결과, 서비스 맨은, 본등록 시에 등록 대상의 공조기(50a, 50b, …)와 같은 LAN(5a) 내에서 작업하는 경우에는, 등록 대상의 공조기(50a, 50b, …)를 특정하기 위하여, MAC 어드레스를 수동으로 입력할 필요가 없어진다. 액세스원의 기기(상기 실시예에서는, 초기 설정 PC(60))의 글로벌 IP 어드레스가 등록 대상의 공조기(50a, 50b, …)를 시사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본등록 시에, 서비스 맨이, 등록 대상의 공조기(50a, 50b, …)와 다른 LAN(5a) 내로부터 원격 관리 서버(30)에 액세스하는 경우에는, MAC 어드레스를 1개 입력하는 것만으로, 복수의 공조기(50a, 50b, …)의 등록이 실현되도록 되어 있다. 입력된 MAC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공조기(예시 공조기)의 글로벌 IP 어드레스에 의하여, 당해 공조기와 같은 LAN(5a) 내의 다른 공조기가 특정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초기 설정 시의 서비스 맨의 부담이 경감된다.
(2)
상기 원격 관리 서버(30)에서는, 원격 관리 서버(30)로의 로그인용의 이용자 ID 등이, 기본 정보의 일부로서 자동적으로 본등록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서비스 맨의 부담이 경감된다.
(3)
상기 실시예에서는, 가등록과 본등록이 독립하고 있다. 따라서, 가등록의 뒤, 본등록으로 이행할 때까지의 동안, 원격 관리 서버(30)의 처리를 록하여 둘 필요가 없어, 처리의 자유도가 높아진다.
(4)
상기 실시예에서는, 초기 설정 PC(60) 및 휴대 전화(70)에는, 공조기(50a, 50b, …)의 초기 설정을 위한 특별한 프로그램 등이 모두 인스톨되지 않고, 필요한 화면 등이 원격 관리 서버(30)로부터 다운로드되도록 되어 있다.
<변형예>
(A)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원격 관리 시스템(1)의 관리 대상으로 되는 설비 기기는 공조기가 아니어도 무방하고, 예를 들어, 조명 기기, 급탕 기기, 시정 설비 등의 다른 종류의 설비 기기여도 무방하다.
(B)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어댑터(20a, 20b, …)의 기능이 각각 공조기 본체(10a, 10b, …)의 제어부(11)에 탑재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이 경우, 어댑터(20a, 20b, …)는 불필요하게 된다.
(C)
상기 실시예에서는, 원격 관리 서버(30)는, 본등록 시에 액세스원의 단말(초기 설정 PC(60) 또는 휴대 전화(70))로부터 취득되는 글로벌 IP 어드레스 또는 MAC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등록 대상의 공조기(50a, 50b, …)를 특정하고 있다. 그러나, 등록 대상의 공조기(50a, 50b, …)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시사 정보)는, 상술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어댑터(20a, 20b, …) 또는 공조기 본체(10a, 10b, …)에 키워드의 설정 기능이 부가되어 있는 경우에는, 서비스 맨이 어댑터(20a, 20b, …) 또는 공조기 본체(10a, 10b, …)에 적당한 키워드를 설정해 둔다. 그 후, 가등록 시에, 당해 키워드가, 공조기(50a, 50b, …)의 MAC 어드레스와 함께 원격 관리 서버(30)에 발보되고, 등록된다. 계속되어, 본등록 시에는, 상기 스텝 S22에서 MAC 어드레스의 입력이 요구되는 대신에, 키워드의 입력이 요구된다. 원격 관리 서버(30)는, 입력된 키워드와 가등록되어 있는 키워드를 조합하는 것에 의하여, 가등록되어 있는 공조기(50a, 50b, …) 중에서 등록 대상의 공조기(50a, 50b, …, 당해 키워드가 설정되어 있는 공조기 및 당해 공조기와 같은 LAN(5a) 내에 존재하는 다른 공조기)를 좁혀 들어갈 수 있다.
혹은, 등록 대상의 공조기(50a, 50b, …)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시사 정보)는, 공조기(50a, 50b, …)의 글로벌 IP 어드레스여도 무방하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예를 들어, 본등록 시에, 상기 스텝 S22에서 MAC 어드레스의 입력이 요구되는 대신에, 공조기(50a, 50b, …)의 글로벌 IP 어드레스의 입력이 요구된다. 원격 관리 서버(30)는, 입력된 글로벌 IP 어드레스와 가등록되어 있는 글로벌 IP 어드레스를 조합하는 것에 의하여, 가등록되어 있는 공조기(50a, 50b, …) 중에서 등록 대상의 공조기(50a, 50b, …)를 좁혀 들어갈 수 있다.
(D)
상기 실시예에서는, 본등록을 행하는 서비스 맨은, 등록 대상의 이용자 ID로 원격 관리 서버(30)에 로그인할 필요가 있다(스텝 S20). 그러나, 등록 대상의 이용자 ID 이외로 로그인하고, 기본 정보의 일부로서 등록되는 이용자 ID에 관해서는, 초기 설정 PC(60) 또는 휴대 전화(70)를 통하여 서비스 맨에게 별도 입력을 요구하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E)
상기 실시예에서는, 초기 설정 PC(60) 또는 휴대 전화(70)를 이용한 초기 설정에 관하여 설명하였지만, 이들 기기(60, 70) 이외의 기기에 의해서도, 초기 설정을 행할 수 있다. 즉, 인터넷(6)에 접속 가능한 기기이면, 원칙으로서 초기 설정에 사용할 수 있다.
(F)
상기 실시예에서는, 본등록에 관하여, 현지에 파견 중의 서비스 맨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등록은, LAN(5a) 외로부터도 실행 가능하다라고 하는 본 발명의 본질을 감안하면, 현지 이외의 다른 장소로부터 실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G)
본등록되는 기본 정보는, 상술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공조기 본체(10a, 10b, …)에 포함되는 실외기 및 실내기의 접속 구성 및 기종 번호, 및 어댑터(20a, 20b, …)의 네트워크 설정 정보 등이 기본 정보로서 본등록되어도 무방하다.
이와 같은 경우, 이와 같은 정보가, 어댑터(20a, 20b, …)로부터 원격 관리 서버(30)로 가등록 시에 자동적으로 발보되고, 본등록 시에 자동적으로 참조되도록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H)
상기 실시예에서는, 어댑터(20a, 20b, …)가 LAN(5a)에 접속되었을 때에, 자동적으로 가등록이 개시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가등록은, 예를 들어, 어댑터(20a, 20b, …)의 전원 투입 시에 자동적으로 개시하도록 되어 있어도 무방하고, 서비스 맨이 어댑터(20a, 20b, …)에 부속의 스위치를 누르는 것으로 개시하도록 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I)
공조기(50a, 50b, …)를 식별하는 정보로서 MAC 어드레스 이외의 정보가 이용되도록 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본 발명은, 설비 기기와 그 이용자를 관련지어 원격 관리 장치에 등록하는 작업이 용이하게 된다고 하는 효과를 가지고, 설비 기기를 원격으로부터 관리하는 원격 관리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하는 원격 관리 시스템으로서 유용하다.
1: 원격 관리 시스템
2: 물건
3: 원격 관리 센터
5a: LAN
6: 인터넷
10a, 10b, …: 공조기 본체
20a, 20b, …: 어댑터
22: 제어부(통보부)
30: 원격 관리 서버(원격 관리 장치)
32: 제어부
32a: 가등록부
32b: 본등록부
32c: 인증부
35: 기억부
50a, 50b, …: 공조기(설비 기기)
60: 초기 설정 PC(등록 단말)
70: 휴대 전화(등록 단말)

Claims (10)

  1. 설비 기기(50a, 50b, …)를 원격으로부터 관리하는 원격 관리 장치(30)이고,
    상기 설비 기기로부터 보내져 오는, 상기 설비 기기를 식별하는 기기 식별자를 등록하는 가등록부(32a)와,
    등록 단말(60, 70)로부터 보내져 오는, 상기 설비 기기의 이용자에 관한 이용자 정보를 상기 기기 식별자에 관련지어 등록하는 본등록부(32b)
    를 구비하는,
    원격 관리 장치(3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등록부(32b)는, 상기 등록 단말(60, 70)로부터 더 보내져 오는, 상기 설비 기기를 시사하는 시사 정보를 참조하고, 상기 이용자 정보를 상기 기기 식별자에 관련짓는,
    원격 관리 장치(30).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사 정보는, 상기 등록 단말(60)이 존재하는 LAN(5a)을 식별하는 단말 LAN 정보이며,
    상기 가등록부(32a)는, 상기 설비 기기(50a, 50b, …)가 존재하는 LAN(5a)을 식별하는 기기 LAN 정보를 상기 기기 식별자에 관련지어 더 등록하고,
    상기 본등록부(32b)는, 상기 기기 LAN 정보를 더 참조하고, 상기 기기 식별자에 상기 이용자 정보를 관련짓는,
    원격 관리 장치(30).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등록부(32b)는, 상기 등록 단말(60, 70)의 조작자에게 상기 등록 단말을 통한 상기 시사 정보의 입력을 요구하는,
    원격 관리 장치(30).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시사 정보는, 상기 기기 식별자인,
    원격 관리 장치(30).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시사 정보는, 상기 설비 기기(50a, 50b, …)에 대하여 설정되어 있는 키워드이며,
    상기 가등록부(32a)는, 상기 설비 기기로부터 더 보내져 오는 상기 키워드를 상기 기기 식별자에 관련지어 더 등록하는,
    원격 관리 장치(30).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 단말(60, 70)의 인증을 행하는 인증부(32c)
    를 더 구비하고,
    상기 인증부는, 상기 인증을 행하기 위하여, 상기 이용자 정보를 상기 등록 단말에 요구하고,
    상기 본등록부(32b)는, 상기 인증부가 취득한 상기 이용자 정보를 상기 기기 식별자에 관련짓는,
    원격 관리 장치(30).
  8. 설비 기기(50a, 50b, …)와,
    상기 설비 기기를 원격으로부터 관리하는 원격 관리 장치(30)와,
    상기 설비 기기를 상기 원격 관리 장치에 등록할 때에 상기 원격 관리 장치에 접속되는 등록 단말(60, 70)
    을 구비하는 원격 관리 시스템(1)이고,
    상기 설비 기기는,
    상기 설비 기기를 식별하는 기기 식별자를 상기 원격 관리 장치에 통보하는 통보부(22)
    를 가지고,
    상기 원격 관리 장치는,
    상기 통보부로부터 통보되는 상기 기기 식별자를 등록하는 가등록부(32a)와,
    상기 등록 단말로부터 보내져 오는, 상기 설비 기기의 이용자에 관한 이용자 정보를 상기 기기 식별자에 관련지어 등록하는 본등록부(32b)
    를 가지는,
    원격 관리 시스템(1).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본등록부(32b)는, 상기 등록 단말(60, 70)로부터 더 보내져 오는, 상기 설비 기기를 시사하는 시사 정보를 참조하고, 상기 이용자 정보를 상기 기기 식별자에 관련짓는,
    원격 관리 시스템(1).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통보부(22)는, 상기 설비 기기(50a, 50b, …)의 전원 투입 시, 또는 상기 설비 기기의 LAN(5a)으로의 접속 시에, 자동적으로 상기 기기 식별자를 상기 원격 관리 장치(30)에 통보하는,
    원격 관리 시스템(1).
KR1020117003550A 2008-07-29 2009-07-23 원격 관리 장치 및 원격 관리 시스템 KR1012190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194928A JP4488096B2 (ja) 2008-07-29 2008-07-29 遠隔管理装置および遠隔管理システム
JPJP-P-2008-194928 2008-07-29
PCT/JP2009/063145 WO2010013630A1 (ja) 2008-07-29 2009-07-23 遠隔管理装置および遠隔管理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1524A true KR20110041524A (ko) 2011-04-21
KR101219018B1 KR101219018B1 (ko) 2013-01-09

Family

ID=416103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3550A KR101219018B1 (ko) 2008-07-29 2009-07-23 원격 관리 장치 및 원격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110125891A1 (ko)
EP (1) EP2309771A1 (ko)
JP (1) JP4488096B2 (ko)
KR (1) KR101219018B1 (ko)
CN (1) CN102113341A (ko)
AU (1) AU2009277679A1 (ko)
BR (1) BRPI0916437A2 (ko)
WO (1) WO201001363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93651A (zh) * 2013-11-29 2016-07-20 大金工业株式会社 空调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08679B2 (en) * 2006-09-05 2015-12-08 Universal Electronics Inc. System and method for configuring the remote control functionality of a portable device
US9088663B2 (en) 2008-04-18 2015-07-21 Universal Electronics Inc. System for appliance control via a network
US8727611B2 (en) 2010-11-19 2014-05-20 Nest Labs, Inc. System and method for integrating sensors in thermostats
US8843239B2 (en) * 2010-11-19 2014-09-23 Nest Labs, Inc. Methods, systems, and related architectures for managing network connected thermostats
EP2487870B1 (en) * 2011-02-11 2013-07-31 Alcatel Lucent Method for naming sensor devices in a local network, service gateway and remote management server
JP6066740B2 (ja) * 2013-01-16 2017-01-25 三菱電機株式会社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及びサーバ
CN105308983B (zh) * 2013-08-29 2018-12-28 三菱电机株式会社 空气调节机、外部控制器、便携终端以及空调系统
JP5710725B2 (ja) * 2013-09-27 2015-04-30 シャープ株式会社 サーバ、端末管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WO2015125952A1 (ja) * 2014-02-24 2015-08-27 日本電気株式会社 電子機器制御システム、電子機器制御システムの動作方法、サーバ、サーバの動作方法、コントローラ、コントローラの動作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167971B2 (ja) * 2014-03-31 2017-07-26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遠隔管理システム
US10515129B2 (en) 2014-06-13 2019-12-24 Upbreeze Incorporated Limited Facilitating inter-entity communications
US10013495B2 (en) * 2014-06-13 2018-07-03 Upbreeze Incorporated Limited Intra-affiliation and inter-affiliation postings management
JP6380981B2 (ja) * 2014-10-17 2018-08-29 三菱重工サーマ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室内機の制御装置、それを備えた空気調和システム、及び室内機の制御方法並びに制御プログラム
US20180074469A1 (en) * 2015-05-20 2018-03-15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Equipment management device, equipment management system, and program
JP6623837B2 (ja) 2016-02-29 2019-12-2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サーバのため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サーバ
JP6631325B2 (ja) 2016-03-03 2020-01-1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サーバのため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サーバ
JP6572172B2 (ja) * 2016-05-27 2019-09-04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関係データ作成装置、関係データ作成方法、および、関係データ作成プログラム
JP6874464B2 (ja) * 2017-03-27 2021-05-1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端末装置及び通信システム
JP6841128B2 (ja) 2017-03-30 2021-03-1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サーバ、及び、サーバのため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WO2018216202A1 (ja) * 2017-05-26 2018-11-29 東芝キヤリア株式会社 空調管理制御装置、携帯端末、および空調機制御方法
JP6829223B2 (ja) * 2018-06-08 2021-02-10 ファナック株式会社 リモート管理装置及びリモート管理方法
JP6809550B2 (ja) * 2019-03-13 2021-01-06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機器登録作業支援装置
WO2021240745A1 (ja) * 2020-05-28 2021-12-02 三菱電機株式会社 空調システム、空調機、管理サーバ、認証情報付与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22040924A (ja) * 2020-08-31 2022-03-11 ビッグローブ株式会社 環境制御システム、環境制御装置、環境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59728A (ja) 1999-03-10 2000-09-22 Ntt Power & Building Facilities Inc 監視システム及び設備管理システム並びに該システムにおけるデータ管理方法
JP2001265856A (ja) * 2000-03-15 2001-09-28 Horiba Ltd 分析装置の保証システムおよび保証方法
GB0106918D0 (en) * 2001-03-20 2001-05-09 Marconi Comm Ltd VoIP SYSTEMS
JP2003108747A (ja) * 2001-09-28 2003-04-11 Canon Inc 顧客登録方法、この方法を実行する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US7532614B2 (en) * 2002-09-24 2009-05-12 Siemens Communication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facilitating remote communication with an IP network
JP2004302594A (ja) * 2003-03-28 2004-10-28 Toshiba Corp 機器情報管理システム
JP4447876B2 (ja) * 2003-09-29 2010-04-07 富士通株式会社 登録管理装置、登録管理プログラム
WO2005069184A1 (ja) * 2004-01-19 2005-07-28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顧客管理システム
JP2005301982A (ja) 2004-03-16 2005-10-27 Daikin Ind Ltd 遠隔管理装置および遠隔管理システム
JP4966030B2 (ja) * 2007-01-22 2012-07-0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およびそれに用いるセンターサーバ
JP4829822B2 (ja) * 2007-03-19 2011-12-07 株式会社リコー 遠隔機器管理システ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93651A (zh) * 2013-11-29 2016-07-20 大金工业株式会社 空调系统
CN105793651B (zh) * 2013-11-29 2018-12-04 大金工业株式会社 空调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113341A (zh) 2011-06-29
WO2010013630A1 (ja) 2010-02-04
JP4488096B2 (ja) 2010-06-23
AU2009277679A1 (en) 2010-02-04
US20110125891A1 (en) 2011-05-26
BRPI0916437A2 (pt) 2019-01-15
JP2010034853A (ja) 2010-02-12
EP2309771A1 (en) 2011-04-13
KR101219018B1 (ko) 2013-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9018B1 (ko) 원격 관리 장치 및 원격 관리 시스템
CN110057033B (zh) 空调系统及计算机可读取的存储介质
JP6167971B2 (ja) 遠隔管理システム
JP4973345B2 (ja) 冷媒系統検出方法、冷媒系統検出システム、および、冷媒系統検出プログラム
WO2015080138A1 (ja) 空調システム
JP2015129638A (ja) 空気調和システムおよび空調管理プログラム
US20190373062A1 (en) Terminal for remote monitoring system, program for remote monitoring, and remote monitoring system
JP4835566B2 (ja) 機器管理システム、機器設定装置、機器管理装置、機器管理方法および機器管理プログラム
JP6089356B2 (ja) 機器管理装置、機器管理システム
JP4281813B2 (ja) 空調機の遠隔管理システムおよび空調機の初期設定装置
JP5842947B2 (ja) 遠隔管理システム
JPWO2018127974A1 (ja) 空調装置メンテナンスシステム
JP6956537B2 (ja) 住宅設備機器のメンテナンスシステム及びメンテナンス方法
CN103345780A (zh) 一卡通会议签到终端
JP2009111901A (ja) 集中管理装置および集中管理システム
CN110115004A (zh) 设备控制系统
JP2015197230A (ja) 機器管理システム
KR101702181B1 (ko) 도로 시설물 시공 방법
JP2010176499A (ja) 機器管理システムおよび設定プログラム
JP4961333B2 (ja) 空調機制御装置及び空調機の制御システム
WO2019198173A1 (ja) 空調機器メンテナンスシステム、管理サーバ、メンテナンス支援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5105798A (ja) 空調システム
JP2003122871A (ja) 機器保守支援システム
JP2015088765A (ja) 通信機器設置支援装置、通信機器設置支援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2018182452A (ja) 通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