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8500A - 차량시이트의 경사각조절기구 - Google Patents

차량시이트의 경사각조절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08500A
KR20100108500A KR1020100024825A KR20100024825A KR20100108500A KR 20100108500 A KR20100108500 A KR 20100108500A KR 1020100024825 A KR1020100024825 A KR 1020100024825A KR 20100024825 A KR20100024825 A KR 20100024825A KR 20100108500 A KR20100108500 A KR 201001085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ssion means
centering
locking member
vehicle seat
tilt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48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52546B1 (ko
Inventor
마이클 노튼
Original Assignee
파우레시아 아우토시체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우레시아 아우토시체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파우레시아 아우토시체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001085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85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25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25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3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by gear-pawl type mechanisms
    • B60N2/235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by gear-pawl type mechanisms with internal paw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205/00General mechanical or structural details
    • B60N2205/50Interlocking shaft arrangements transmitting movement between hinge mechanisms on both sides of a sea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시이트의 경사각조절기구와 허브형 센터링수단을 제공한다. 본 발명 차량시이트의 경사각조절기구는 제1잠금부재,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고 제1잠금부재의 해제를 위한 전동수단, 제1잠금부재와 전동수단 사이에 배치되어 전동수단을 시작위치에서 중심이 맞추어질 수 있도록 하고 복귀력에 대항하여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시작위치로부터 제1방향에서는 제1각도범위와 제2방향에서는 제2각도범위로 제1잠금부재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게 된 센터링수단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차량시이트의 경사각조절기구 {MECHANISM FOR A VEHICLE SEAT FOR ADJUSTING THE ANGLE OF INCLINATIO0N}
본 발명은 차량시이트의 경사각조절기구와, 이러한 경사각조절기구의 한 구성요소로서 사용될 수 있는 허브형 센터링수단에 관한 것이다.
차량시이트의 등받이와 좌부 사이의 경사각을 조절하기 위한 기구가 특허문헌 WO 2008/086598 A1에 기술되어 있다. 이러한 기구는 좌부를 등받이에 연결하여 이들이 상대측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두개의 잠금부재 또는 리클라이너(recliner)를 포함한다. 잠금부재를 해제함으로서 등받이가 좌부에 대하여 조절될 수 있다. 잠금부재를 고정함으로서 좌부에 대한 등받이의 경사각이 고정된다. 두개의 잠금부재를 함께 해제하기 위하여, 이들 잠금부재는 견고한 전동롯드에 의하여 연결되며 이러한 전동롯드는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러한 전동롯드를 회전시켜 제1 및 제2잠금부재를 해제할 수 있다. 이는 단 하나의 핸들로 이들 두 잠금부재의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언급된 특허문헌의 경사각조절기구는 시이트의 조립중에 잠금부재와 이에 연결된 전동롯드가 이상적으로 배열되지 않는 경우 잠금부재가 물리어 이들의 작동이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다른 문제점은 잠금부재가 해제된 후에 이들이 이들의 처음 잠금위치로 복귀하지 않는 점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경사각조절을 위한 상기 언급된 기구는 전동롯드와 두 잠금부재중의 하나 사이에 배치되는 슬리이브형 스프링요소를 포함한다. 이러한 스프링요소는 두 잠금부재의 해제가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잠금부재의 하나를 전동롯드에 대하여 탄지한다. 더욱이, 이러한 스프링요소는 자유이동이 이루어져 두 잠금부재를 각각 독립적으로 잠금위치에 복귀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성공적인 해제후에 잠금부재가 잠금위치로 완벽하게 복귀하지 않는 문제점을 해결하는 차량시이트의 경사각조절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러한 경사각조절기구의 한 구성요소로서 사용될 수 있는 센터링수단을 제공한다.
본 발명 차량시이트의 경사각조절기구는 제1잠금부재, 제1잠금부재의 해제를 위하여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한 전동수단, 제1잠금부재와 전동수단 사이에 배치되어 전동수단을 시작위치에서 중심이 맞추어질 수 있도록 하고 복귀력에 대항하여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시작위치로부터 제1방향에서는 제1각도범위와 제2방향에서는 제2각도범위로 제1잠금부재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게 된 센터링수단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 차량시이트의 경사각조절기구는 양 회전방향에서 잠금부재에 대하여 전동수단의 제한된 회전을 허용한다. 이는 경사각조절기구의 설치중에 어느 정도 조립 및 제조상의 부정확성을 보상할 수 있도록 한다. 경사각조절기구의 설치중에 전동수단의 제한된 회전이 양 방향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전동수단은 복귀력에 의하여 시작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보상방식은 잠금부재의 해제후에 잠금부재가 이들의 잠금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제1 및/또는 제2 각도범위는 잠금부재의 적어도 하나의 조절단계에 일치하는 것이 좋다.
전동수단에 배치하기 위한 본 발명의 허브형 센터링수단은 어느 정도의 유동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전동수단의 확실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센터링수단의 회전축선에 평행하게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요구를 갖는 제1부분과, 회전축선을 따라 제1부분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전동수단을 시작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복귀력을 가하기 위하여 전동수단의 양측에 결합되며 회전축선을 따라 배치되고 요구에 연속하는 적어도 한쌍의 대향되게 배치된 탄성의 센터링연장편이 구비된 제2부분으로 구성된다.
센터링수단은 중합체 물질로 구성되는 것이 좋다. 중합체 물질을 이용함으로서 예를 들어 전동수단에서 잡음이 발생되지 않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시이트의 경사각조절기구의 한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보인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도 1에서 보인 경사각조절기구의 센터링수단을 다른 두 방향에서 본 사시도.
도 4는 도 1에서 보인 경사각조절기구의 전면을 보인 것으로, 센터링수단과 전동수단이 삽입되어 있는 제1잠금부재 영역의 부분확대도.
도 5는 도 1에서 보인 경사각조절기구의 배면을 보인 것으로, 제1잠금부재 영역의 부분확대도.
도 6은 센터링수단과 전동수단이 삽입된 제1잠금부재의 영역을 보인 것으로 일부를 절개표시한 설명도.
도 7은 제1잠금부재의 영역에서 경사각조절기구의 단면을 보인 확대단면도.
도면은 본 발명에 따른 경사각조절기구(1)의 한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다양하게 도시한 것이다.
경사각조절기구(1)는 제1잠금부재(2a), 제2잠금부재(2b), 제1잠금부재(2a)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회전축선(3)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가능한 전동수단(4), 제1잠금부재(2a)와 전동수단(4) 사이에 배치된 센터링수단(5), 전동수단(4)을 제2잠금부재(2b)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수단(10), 차량시이트의 좌부프레임에 잠금부재(2a)(2b)를 각각 고정하기 위한 두개의 제1어댑터요소(14)와, 차량시이트의 등받이프레임에 잠금부재(2a)(2b)를 각각 고정하기 위한 두개의 제2어댑터요소(15)를 포함한다.
전동수단(4)은 튜브로 구성된다. 이는 롯드의 형상인 연결수단(10)에 고정적으로 연결되며. 이러한 연결은 전동수단(4)과 연결수단(10)에 사용된 재질에 따라서 레이저용접, 압축 및 억지끼워맞춤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연결수단(10)은 제2잠금부재(2b)를 통하여 연장되고 연결수단(10)의 작동을 위한 핸들(도시하지 않았음)에 연결된다.
전동수단(4)의 회전축선과 동일한 회전축선(3)을 중심으로 하여 연결수단(10)을 회전시킴으로서 제2잠금부재(2b)가 제어방식으로 해제될 수 있다. 제2잠금부재(2b)는 잠금위치를 향하여 탄지되므로 작동후에는 자동적으로 잠금위치에 복귀한다. 제1잠금부재(2a)는 제2잠금부재(2b)와 동일하게 구성된다. 이러한 잠금부재는 당해 기술분야에 전문가라면 잘 알 수 있는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않기로 한다.
연결수단(10)은 제2잠금부재(2b)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예를 들어 확실한 연결에 의하여 축방향으로 고정된다. 연결수단(10)의 회전은 전동수단(4)을 통하여 제1잠금부재(2a)에 전달되어 제1 및 제2잠금부재(2a, 2b)가 함께 작동될 수 있도록 한다.
센터링수단(5)(도 2 및 도 3 참조)은 허브형 클립형태로 구성되며, 제1부분(12)과 축선을 따라 이러한 제1부분의 후측에 배치된 제2부분(13)을 포함한다.
제1부분(12)은 실질적으로 원통형이다. 이는 원통형면(16), 축선을 따라 연장된 원형의 통공(17)과, 축선(3)을 중심으로 하여 등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으며 통공으로부터 축선(3)에 평행하게 배치된 3개의 동일한 요구(6)를 갖는다. 아울러, 제2부분(13)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향하는 단부에서 원통형면(16)을 지나 연장되는 플랜지형 칼라(18)를 포함한다.
제2부분(12)에 직접 연결되어 있는 제2부분(13)은 회전축선(3)을 따라서 배치된 3개쌍의 대향배치형 탄성 센터링연장편(7)을 포함한다. 이러한 센터링연장편(7)은 센터링연장편(7)의 내측면이 요구(6)의 측벽에 연속되게 배치된다(도 7 참조). 이러한 구성에서, 한쌍의 센터링연장편(7)은 각 요구(6)의 연장선상에 있다. 각 센터링연장편(7)은 제1부분(12)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향하는 단부에서 내측면(19)에 허브 또는 노브형태의 돌출부(8)가 구비되어 있다. 돌출부(8)는 각 쌍의 센터링연장편(7) 사이의 중간공간으로 연장되고, 이러한 중간공간은 요구(6)의 연장부분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이며, 이와 같이 함으로서 이 영역에서 돌출부(8)는 좁아진다. 내측면(19)에 대향되게 배치된 외측면(20)에서, 각 센터링연장편(7)은 후크형 돌기(9)를 포함한다. 센터링수단(5)은 중합체 물질로 사출성형된다. 또한 기본적으로 센터링수단(5)은 금속과 같은 다른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제1잠금부재(2a)의 영역에 배치된 단부에서, 전동수단(4)에는 회전축선(3)을 중심으로 하여 등간격을 두고 배치된 3개의 날개형 돌출부(21)가 구비되어 있다. 전동수단(4)의 단부로부터 연장된 이러한 돌출부(21)는 센터링수단(5)의 배치를 위한 영역에서 일정한 높이를 갖는다. 이러한 영역의 후측에서, 제2잠금부재(2b)의 방향으로 돌출부(21)는 전동수단(4)이 원형단면을 갖는 지점까지 평평하다. 돌출부(21)를 평평하게 한 것은 경사각조절을 위한 기구(1)의 조립중에 센터링수단(5)을 통하여 전동수단(4)을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돌출부(21)는 전동수단(4)을 구성하는 원통형 튜브를 확장시켜 구성될 수 있다.
제1잠금부재(2a), 제2잠금부재(2b) 및 전동수단(4)은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제1잠금부재(2a)의 고정과 해제를 위하여, 이러한 제1잠금부재(2a)에는 전면잠금판(23)과 배면잠금판(24) 사이에 배치되는 캠(22)이 구비된다. 전면잠금판(23), 캠(22) 및 배면잠금판(24)은 삽입수단(11)에 이들의 중심이 맞추어져 있으며, 이러한 삽입수단은 연속개방부의 형태로 구성되고 이에 센터링수단(5)이 스냅방식으로 삽입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7은 센터링수단(5)이 삽입된 제1잠금부재(2a)를 보이고 있다. 센터링수단(5)은 축선(3)을 따라 축방향으로 그리고 축선(3)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방향으로 삽입수단(11)에 확실하게 삽입된다. 회전방향으로 확실한 연결이 이루어지는 것은 캠(22)에 배치되고 각 쌍의 센터링연장편(7)이 연장되는 요구에 의하여 이루어지고, 축방향으로 확실한 연결이 이루어지는 것은 캠(22)의 배면측으로 연장된 후크형 돌기(9)에 의하여 이루어지며 또한 캠(22)의 전면으로 향하고 전면잠금판(23)을 지나 연장되는 센터링수단(5)의 제1부분(12) 또는 센터링수단(5)의 칼라(18)의 변부(25)에 의하여 이루어진다(도 7 참조). 각각의 확실한 연결의 결과로 센터링수단(5)의 회전은 캠(22)에 전달되고 센터링수단(5)이 삽입수단(11)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는다.
날개형 돌출부(21)를 갖는 전동수단(4)과, 원형개방부(17) 및 요구(6)를 갖는 센터링수단(5)의 칫수는 상대측에 대하여 적응될 수 있게 되어 있어 전동수단(4)이 센터링수단(5)을 통하여 삽입될 수 있고, 전동수단(4)의 돌출부(21)가 각각 센터링수단(5)의 요구(6)에 확실히 결합될 수 있다. 요구(6)의 측벽과 돌출부(21) 사이에는 어느 정도 유동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어 있어 돌출부(21)가 요구(6)의 측벽에 접하기 전까지 전동수단(4)이 축선(3)을 중심으로 하여 시작위치로부터 제1방향으로는 제1각도범위로 그리고 제1방향으로는 제2각도범위로 회전할 수 있다. 각 제1 및 제2각도범위는 약 2도이고, 이러한 각도범위는 잠금부재(2a)의 조절단계에 적응되는 각도로 여기에서는 1.87도이다. 근본적으로 이러한 각도범위는 다른 값을 가질 수도 있다. 아울러, 제1 및 제2각도범위는 서로 다를 수 있으며 시작위치가 그 중심위치로부터 벗어날 수 있다.
시작위치는 한쌍의 센터링연장편(7)의 내측면(19)에 형성된 돌출부(8)에 의하여 정하여진다. 전동수단(4)이 삽입된 상태에서, 센터링연장편(7)은 돌출부(21)의 양측에서 탄성하에 결합된다. 외부의 힘이 가하여져 만약 전동수단(4)이 축선(3)을 중심으로 하여 시작위치로부터 요구(6)에 대하여 회전되는 경우, 한쌍의 센터링연장편의 각 센터링연장편(7)은 굴복하고 복귀력의 형성이 수반된다. 외부의 힘이 가하여지던 것이 중단되는 경우, 복귀력은 전동수단(5)이 그 시작위치로 향하도록 이를 가압한다. 경사각조절기구(1)의 조립을 위하여, 먼저 센터링수단(5)이 제1잠금부재(2a)의 삽입수단(11)에 스냅방식으로 삽입된다. 이어서, 전동수단(4)이 센터링수단(5)을 통하여 삽입되고 제2잠금부재(2b)를 통하여 연장된 연결수단(10)에 고정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조립과정에서, 센터링수단(5)은 시작위치에서 전동수단(4)이 자동적으로 중심이 맞추어질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시이트의 좌부프레임에서 경사각조절기구(1)의 연속조립중에, 조립 및 제작상의 부정확성은 제1 및 제2각도범위의 골격내에서 시작위치로부터 전동수단(4)의 회전에 의하여 보상될 수 있다. 특히 이는 회전방향에서 센터링수단(5)이 거의 자유유동 방식으로 삽입수단(11)에 의하여 수반되는 경우이다.
센터링수단(5)이 단순히 전동수단(4)상에 배치되므로, 센터링수단(5)과 제1잠금부재(2a)에 대한 전동수단(4)의 운동은 축방향(27)(도 6 참조)으로 가능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그 결과 부정확성에 대한 유사한 보상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전동수단(4)의 탈락 도는 분리는 연결수단(10)에 대한 전동수단(4)의 고정에 의하여 방지된다.
센터링수단(5)을 통하여 삽입된 전동수단(4)은 삽입수단(11)으로부터 탈락하는 것으로부터 센터링수단(5)을 보호하고 돌출부(21)는 센터링연장편(7)이 내측으로 굽혀져 후크형 돌기(9)에 의하여 형성된 상호결합과 축방향으로의 확실한 연결이 풀리는 것을 방지한다. 만약 전동수단(4)이 금속튜브인 경우, 중합체 물질로 만들어진 센터링수단(4)은 전동수단(4)에 의한 잡음의 발생을 억제한다.
또한, 전동수단(4)은 튜브 대신에 롯드의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2009년 3월 28일자 제출된 독일우선권주장서류 10 2009 015 463.9의 내용이 참조된다.
물론 본 발명은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과 도면의 특정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위내에서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1: 경사각조절기구 2a: 제1잠금부재
2b: 제2잠금부재 3: 회전축선
4: 전동수단 5: 센터링수단
6: 요구 7: 센터링연장편
8: 돌출부 9: 후크형 돌기
10: 연결수단 11: 삽입수단
12: 제1부분 13: 제2부분
14: 제1어댑터요소 15: 제2어댑터요소
16: 원통형면 17: 통공
18: 플랜지형 칼라 19: 내측면
20: 외측면 21: 돌출부
22: 캠 23: 전면잠금판
24: 배면잠금판 25: 변부
27:축방향

Claims (16)

  1. 제1잠금부재(2a), 상기 제1잠금부재(2a)의 해제를 위하여 회전축선(3)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한 전동수단(4), 상기 제1잠금부재(2a)와 상기 전동수단(4)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전동수단(4)을 시작위치에서 중심이 맞추어질 수 있도록 하고 복귀력에 대항하여 상기 회전축선(3)을 중심으로 시작위치로부터 제1방향에서는 제1각도범위와 제2방향에서는 제2각도범위로 상기 제1잠금부재(2a)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게 된 센터링수단(5)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시이트의 경사각조절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각도범위의 적어도 하나가 상기 제1잠금부재(2a)의 적어도 하나의 조절단계에 일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시이트의 경사각조절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수단(4)이 상기 회전축선(3)에 대하여 축방향의 양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센터링수단(5)에 착설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시이트의 경사각조절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수단(4)과 상기 센터링수단(5)이 상기 전동수단(4)의 회전방향으로 확실한 연결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시이트의 경사각조절기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링수단(5)에 상기 회전축선(3)과 평행하게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요구(6)가 구비되고, 상기 전동수단(4)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요구(6)에 확실하게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시이트의 경사각조절기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수단(4)이 튜브 또는 롯드임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시이트의 경사각조절기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링수단(5)이 허브형의 구조이고 상기 전동수단(4)상에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시이트의 경사각조절기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잠금부재(2a)가 삽입수단(11)을 가지고, 상기 센터링수단(5)이 상기 삽입수단(11)에 확실한 스냅방식으로 삽입되는 클립의 형태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시이트의 경사각조절기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링수단(5)에 상기 전동수단의 상기 시작위치에서 상기 전동수단(4)의 양측에 결합하기 위한 적어도 한쌍의 탄성 센터링연장편(7)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시이트의 경사각조절기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수단(4)을 향하는 내측면에서 상기 센터링연장편(7)의 적어도 하나에 상기 전동수단(4)에 결합되는 돌출부(8)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시이트의 경사각조절기구.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수단(4)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향하는 외측면에서 상기 센터링연장편(7)의 적어도 하나에 상기 제1잠금수단(2a)을 지나 연장되는 돌기(9)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시이트의 경사각조절기구.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링수단(5)이 중합체 물질 또는 금속으로 만들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시이트의 경사각조절기구.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잠금부재(2a)와 함께 해제하기 위하여 상기 전동수단(4)을 통해 상기 제1잠금부재(2a)에 연결되는 제2잠금부재(2b)를 추가로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시이트의 경사각조절기구.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수단(4)을 상기 제2잠금부재(2b)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수단(10)을 추가로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시이트의 경사각조절기구.
  15. 전동수단(4)에 배치하기 위한 허브형 센터링수단(5)에 있어서, 상기 센터링수단이 어느 정도의 유동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상기 전동수단(4)의 확실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센터링수단(5)의 회전축선(3)에 평행하게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요구(6)를 갖는 제1부분(12)과, 상기 회전축선(3)을 따라 상기 제1부분(12)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전동수단(4)을 시작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복귀력을 가하기 위하여 상기 전동수단(4)의 양측에 결합되며 상기 회전축선(3)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요구(6)에 연속하는 적어도 한쌍의 대향되게 배치된 탄성의 센터링연장편(7)이 구비된 제2부분(13)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시이트의 경사각조절기구용 허브형 센터링수단.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수단(4)이 튜브 또는 롯드임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시이트의 경사각조절기구.
KR1020100024825A 2009-03-28 2010-03-19 차량시이트의 경사각조절기구 및 전동수단에 배치하기 위한 허브형 센터링수단 KR1011525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9015463A DE102009015463B4 (de) 2009-03-28 2009-03-28 Neigungsverstellvorrichtung für einen Fahrzeugsitz
DE102009015463.9 2009-03-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8500A true KR20100108500A (ko) 2010-10-07
KR101152546B1 KR101152546B1 (ko) 2012-06-04

Family

ID=426641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4825A KR101152546B1 (ko) 2009-03-28 2010-03-19 차량시이트의 경사각조절기구 및 전동수단에 배치하기 위한 허브형 센터링수단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528977B2 (ko)
KR (1) KR101152546B1 (ko)
CN (1) CN101844528B (ko)
DE (1) DE102009015463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0051451B3 (de) * 2010-11-17 2012-01-26 Ferd. von Hagen Söhne & Koch GmbH & Co. KG Außenschanier mit einem geräuschdämpfenden Lagerelement
FR2977204B1 (fr) * 2011-06-28 2016-09-30 Faurecia Sieges D'automobile Dispositif de reglage angulaire pour siege de vehicule
JP6055638B2 (ja) * 2012-09-24 2016-12-27 テイ・エス テック株式会社 シート用連結部材と取付部材の取付構造及びシート構造
DE102015100527A1 (de) * 2015-01-14 2016-07-14 Hettich Franke Gmbh & Co. Kg Schwenkbeschlag, Möbel und Kraftfahrzeugsitz
US10259365B2 (en) 2016-07-20 2019-04-1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rticulating locking mechanism for a seatback
US10207610B2 (en) 2017-03-10 2019-02-1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rticulating locking mechanism for a seatback
KR102021903B1 (ko) 2017-12-26 2019-09-17 현대트랜시스(주) 차량의 시트 리클라이너
CN109398171B (zh) * 2018-12-07 2024-01-26 湖北中航精机科技有限公司 一种汽车座椅及座椅调角器核心件
US11142103B2 (en) * 2019-01-17 2021-10-12 Fisher & Company, Incorporated Cross member for seat recliner assembly
EP3947030B1 (en) * 2019-06-19 2023-07-12 Magna Seating Inc. Self-biasing recliner cross-talk tube coupler
CN113085674B (zh) * 2021-04-29 2022-02-08 延锋国际座椅系统有限公司 一种调角器手柄抱紧安装结构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87454B2 (ja) * 1997-08-22 2002-06-04 ジョンソン コントロールズ オートモーティブ システムズ株式会社 両側リクライニング装置
JP3948086B2 (ja) * 1997-12-02 2007-07-25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
DE19904299C1 (de) 1999-01-28 2000-06-08 Keiper Gmbh & Co Rastbeschlag für einen Fahrzeugsitz
JP4374657B2 (ja) * 1999-06-08 2009-12-02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
CN1684854A (zh) * 2002-09-27 2005-10-19 布罗泽汽车部件制造科堡有限公司 用于车辆座椅的座椅系统
CN2763121Y (zh) * 2005-01-09 2006-03-08 邹耀忠 三片盘式座椅调角器
CA2506040C (en) * 2005-05-02 2014-02-18 Intier Automotive Inc. A vehicle seat and a disc recliner therefor
DE102005022066B3 (de) * 2005-05-12 2006-10-12 Johnson Controls Gmbh Vorrichtung zum Betätigen von mindestens zwei Verstelleinrichtungen an einem Fahrzeugsitz
JP4761935B2 (ja) * 2005-11-01 2011-08-31 富士機工株式会社 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
WO2008086596A1 (en) 2007-01-16 2008-07-24 Premd, Inc. Apparatus for non-invasive skin sampling and testing
US8251451B2 (en) * 2007-01-17 2012-08-28 Intier Automotive Inc. Disc recliner assembly with biased synchronization
JP4984914B2 (ja) * 2007-01-24 2012-07-25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
KR100844355B1 (ko) 2007-01-31 2008-07-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폴딩 시트의 리클라이닝 장치
JP5006087B2 (ja) 2007-03-29 2012-08-22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
JP2009072413A (ja) * 2007-09-21 2009-04-09 Aisin Seiki Co Ltd 車両用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
JP5051165B2 (ja) * 2008-07-15 2012-10-17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244528A1 (en) 2010-09-30
DE102009015463B4 (de) 2011-04-14
US8528977B2 (en) 2013-09-10
CN101844528A (zh) 2010-09-29
CN101844528B (zh) 2013-07-17
KR101152546B1 (ko) 2012-06-04
DE102009015463A1 (de) 2010-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2546B1 (ko) 차량시이트의 경사각조절기구 및 전동수단에 배치하기 위한 허브형 센터링수단
KR101344383B1 (ko) 차량 시트용 피팅 시스템
JP4770067B2 (ja) 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
KR101395756B1 (ko) 차량 좌석용 피팅
CA2551436C (en) Rotary recliner
KR100458859B1 (ko) 기울임 장치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US8210588B2 (en) Vehicle grab handle
JP5332170B2 (ja) 車両用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
KR101265360B1 (ko) 차량 좌석 및 차량 좌석용 디스크 리클라이너
EP1806072B1 (en) Reclining device
US10155458B2 (en) Hinging assembly for a vehicle seat
CN105209288A (zh) 用于车辆座椅的装配系统及车辆座椅
CN103608212A (zh) 用于车辆座椅的装配系统
US20050231015A1 (en) Inclination adjustment device with freely pivoting device for the back part of a motor vehicle seat
JP5657167B2 (ja) 車両シート用継手システム
JP2006520224A (ja) 自動車シートの傾きをロック及び調整するシステム及び該システムを組み立てる方法
JP4710711B2 (ja) 継手装置
KR101429631B1 (ko) 멈춤부를 구비한 피팅 장치
JP5128850B2 (ja) 両側リクライニング機構及び両側リクライニング機構の組み付け方法
WO2012049766A1 (ja) 車両用シート
JP4489521B2 (ja) アームレストの取付方法および取付構成
KR101652252B1 (ko) 차량용 리클라이너 조절장치
JP4961976B2 (ja) リクライニング装置
JP4672361B2 (ja) 車両用リクライニング装置及びその組付方法
JP4725989B2 (ja) 車両用リクライニング装置及びその組付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3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