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3400A -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03400A
KR20100103400A KR1020100021790A KR20100021790A KR20100103400A KR 20100103400 A KR20100103400 A KR 20100103400A KR 1020100021790 A KR1020100021790 A KR 1020100021790A KR 20100021790 A KR20100021790 A KR 20100021790A KR 20100103400 A KR20100103400 A KR 201001034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forming
control means
image
recording material
layer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17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03259B1 (ko
Inventor
아끼히꼬 사까이
아쯔시 오따니
시게오 하따
쇼지 다께다
사또루 야마모또
게이따 다까하시
히로따까 세끼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1034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34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32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32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Color Electrophotography (AREA)
  • Printers Or Recording Devices Using Electromagnetic And Radiation Means (AREA)

Abstract

비용의 증가 없이 복수의 제어 유닛을 사용하여 분산 제어를 구현하는 화상 형성 장치 및 그 장치에 대한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화상 형성 장치는 전체 화상 형성 장치를 제어하는 마스터 제어 유닛과, 화상 형성을 행하기 위해 복수의 기능을 제어하는 복수의 서브 마스터 제어 유닛과, 복수의 기능을 구현하는 부하를 제어하는 복수의 슬레이브 제어 유닛을 포함한다. 마스터 제어 유닛은 제1 신호선을 통해 복수의 서브 마스터 제어 유닛에 접속된다. 복수의 서브 마스터 제어 유닛은 제1 신호선보다 데이터 전송 타이밍 정확도가 더 높은 제2 신호선을 통해 복수의 슬레이브 제어 유닛에 접속된다.

Description

화상 형성 장치{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계층적 구조를 갖는 복수의 CPU군을 포함하는 분산 제어 시스템에 의해 구현된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 사진 시스템을 사용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프린터 장치 제어에 대해 1개의 CPU를 사용하는 집중 제어가 수행된다. 1개의 CPU에 집중되어 제어하기 때문에 CPU 부하의 증가에 따라, 보다 고성능 CPU가 요구된다. 또한, 프린터 장치 부하의 증가와 함께, CPU 기판으로부터 먼 부하 드라이버 유닛까지 통신 케이블[통신 속선(a bundle of communication lines)]을 설치할 필요가 있다. 이는 다수의 긴 통신 케이블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전자 사진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각의 제어 모듈을 서브 CPU에 할당하는 제어 형태가 더 주목을 받아왔다.
복수의 CPU를 사용하여 각각의 부분 모듈 제어 기능을 분산함으로써 제어 시스템을 구성하는 예가 복사기 이외의 다수의 제어 기기 제품 분야에서 제안되어왔다. 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2000-071819호는 차량에서의 기능성 모듈을 계층적으로 위치시키고 분산 제어를 수행하는 기술을 제안해왔다.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2006-171960호는 로봇/자동화 기기에 유사한 계층적 제어 구조를 적용하는 기술을 제안해왔다. 이러한 서브 CPU는 서브 CPU를 전체적으로 시스템으로서 동작하게 만들기 위한 통신 유닛을 필요로 한다.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2006-171960호는 기능성 모듈 사이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 네트워크에 대해서, 각각의 계층적 층마다 상이한 통신 네트워크를 구성해서, 부하 분산에 의해 안정한 제어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기술을 제안해왔다.
그러나, 상기의 종래 기술은 이하의 문제점을 갖는다. 예를 들면, 차량 등에서, 물리적으로 서로 먼 복수의 제어 모듈이 큰 용량의 데이터 통신 및 빠른 응답성을 필요로하는 연동 제어를 구현한다는 전제에 기초하여, 각각의 모듈이 큰 크기의 고속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접속된다. 이 경우에 큰 용량 데이터 통신은, 예를 들면 차 네비게이션 시스템과 계기판 제어 시스템 사이의 통신이다. 또한, 연동 제어는, 예를 들면 조타각(조타 휠) 제어 모듈을 브레이크 제어 모듈과 연동함으로써 구현된 안티 록 브레이크 제어이다.
이러한 시스템 배열이 화상 형성 장치의 분산 제어에 직접 적용되는 경우에, 화상 형성 장치의 각각의 유닛의 제어가 정밀한 타이밍 제어를 필요로하기 때문에, 더 높은 계층 층에서의 각각의 모듈이 고속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접속된다. 고속 네트워크 통신 유닛 자체가 고가이므로, 장치의 비용이 증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분산 제어가 화상 형성 장치에 적용되는 경우에, 고속 네트워크를 통한 접속로 인해 비용의 증가가 문제를 일으킨다.
본 발명은 어떠한 비용의 증가도 야기하지 않고서 복수의 제어 유닛을 사용하여 분산 제어를 구현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실현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기록재 상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어하는 상층 제어 수단과, 상층 제어 수단에 의해 제어되고 화상 형성을 수행하기 위해 제1 및 제2 처리 수단을 각각 제어하는 제1 및 제2 하층 제어 수단을 포함하고, 상층 제어 수단이 미리결정된 통신 속도를 갖는 제1 신호선에 의해 제1 및 제2 하층 제어 수단에 접속되고, 제1 하층 제어 수단은 제1 신호선보다 더 높은 통신 속도를 갖는 제2 신호선에 의해 제1 처리 수단에 접속되고, 제2 하층 제어 수단은 제1 신호선보다 더 높은 통신 속도를 갖는 제3 신호선에 의해 제2 처리 수단에 접속되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기록재 상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어하는 상층 제어 수단과, 상층 제어 수단에 의해 제어되고 화상 형성을 수행하기 위해 제1 및 제2 처리 수단을 각각 제어하는 제1 및 제2 하층 제어 수단을 포함하고, 제1 하층 제어 수단은 기록재를 급송하는 급송 기능을 제어하고 제2 하층 제어 수단은 기록재 상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기능을 제어하고, 제1 하층 제어 수단은 레지스트레이션 롤러에 기록재를 급송하는 제어를 수행하고, 제2 하층 제어 수단은 레지스트레이션 롤러에 급송된 기록재를 반송하고 기록재 상에 화상을 형성하는 제어를 수행하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 예시적인 실시예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은 어떠한 비용의 증가도 야기하지 않고서 복수의 제어 유닛을 사용하여 분산 제어를 구현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실현을 가능하게 한다.
도 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00)의 개관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자동 원고 급송 장치(100) 및 화상 판독 유닛(200)의 배열의 일례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3은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00)의 각각의 유닛에 대한 제어 배열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4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유닛(300)의 배열의 일례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5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00)에 접속된 외부 장치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6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마스터 CPU, 서브 마스터 CPU 및 슬레이브 CPU 사이의 접속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
도 7은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00)의 제어 기판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반송 모듈 A(280)의 배열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모듈(282)의 배열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정착 모듈(283)의 배열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반송 모듈 B(281)의 배열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1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00)에서의 제어 절차를 도시하는 시퀀스도.
도 13은 화상 형성을 개시하라는 지시의 수신 시,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모듈(282)에 의해 수행될 (1개 시트에 해당하는) 처리를 도시하는 시퀀스도.
도 14는 제2 실시예에 따른 반송 모듈 A(280)의 배열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이러한 실시예에 설명된 구성요소, 수 표현 및 수 값의 상대적인 배열이 그것이 구체적으로 다르게 설명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지 않는다는 점을 유의해야 한다.
<제1 실시예>
제1 실시예가 도 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이하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00)의 개관을 도시한다.
화상 형성 장치(1000)는 자동 원고 급송 장치(100)와, 화상 판독 유닛(200)과, 화상 형성 유닛(300)과, 동작 유닛(10)을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 판독 유닛(200)은 화상 형성 유닛(300) 상에 장착된다. 자동 원고 급송 장치(DF)(100)는 화상 판독 유닛(200) 상에 장착된다. 화상 형성 장치(1000)는 복수의 제어 유닛(CPU)을 사용함으로써 분산 제어를 구현한다. 각각의 CPU의 배열은 도 6을 참조하여 후술될 것이다.
자동 원고 급송 장치(100)는 원고 유리 상으로 원고를 자동적으로 반송한다. 화상 판독 유닛(200)은 자동 원고 급송 장치(100)로부터 반송된 원고를 판독함으로써 화상 데이터를 출력한다. 화상 형성 유닛(300)은 자동 원고 급송 장치(100)로부터 출력된 화상 데이터 또는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된 외부 장치로부터 입력된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기록재(인쇄 시트) 상에 화상을 형성한다. 동작 유닛(10)은 사용자가 다양한 종류의 동작을 수행하는 GUI(Graphical User Interface: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동작 유닛(10)은 터치 패널과 같은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하고 사용자에게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자동 원고 급송 장치 및 화상 판독 유닛의 배열>
자동 원고 급송 장치(100) 및 화상 판독 유닛(200)은 도 2를 참조하여 다음에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자동 원고 급송 장치(100) 및 화상 판독 유닛(200)의 배열의 일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적어도 하나의 시트를 포함하는 원고 세트 S는 원고 트레이(130) 상에 위치된다. DF 급송 롤러(101), 분리 롤러(102) 및 분리 패드(121)는 자동 원고 급송 장치(100)로 원고 세트 S의 시트를 하나씩 분리하고 반송한다. 원고가 반송되기 전에, 원고 센서(114)는 어떠한 원고가 원고 트레이(130) 상에 위치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원고 센서(114)가 원고가 위치된다고 판정한 경우에, DF 급송 롤러(101)는, 원고 트레이(130) 상에 위치된 원고 세트 S의 원고 표면 상에 낙하하고 회전한다. 이러한 동작은 원고 세트의 최상위 원고를 급송한다. 분리 롤러(102) 및 분리 패드(121)는 DF 급송 롤러(101)에 의해 급송된 원고를 하나씩 분리하는 역할을 한다. 공지된 지연 분리 기술은 이러한 분리를 구현한다.
그 후, DF 반송 롤러 쌍(103)은 분리 롤러(102) 및 분리 패드(121)에 의해 분리된 원고를 DF 레지스트레이션 롤러(104)로 반송한다. 이어서 원고는 DF 레지스트레이션 롤러(104)와 접촉하게 된다. 이는 원고가 루프의 형태로 구부러지게 만들고 반송 시의 임의의 휨(skew)도 제거한다.
화상 판독 유닛(200)의 주사 유리(201)의 방향으로 DF 레지스트레이션 롤러(104)를 통과하는 원고를 반송하는 급송 경로가 DF 레지스트레이션 롤러(104)의 하류에 위치된다. 판독 타이밍 센서(112)가 DF 레지스트레이션 롤러(104)의 하류에 위치된다. 판독 타이밍 센서(112)가 원고를 검지한 후, 미리결정된 시간의 기간이 경과한 경우에, 화상 판독 유닛(200)은 원고 판독을 개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대형 롤러(107) 및 DF 반송 롤러(105)가 플래튼 상으로 급송 경로에 급송된 원고를 반송한다. 이 경우에, 대형 롤러(107)가 주사 유리(201)와 접촉하게 된다. 대형 롤러(107)에 의해 급송된 원고가 DF 반송 롤러(106)를 통과하고 롤러(116)와 이동 유리(118) 사이에서 이동한다. 이어서 원고가 DF 이송 플래퍼(120) 및 DF 이송 롤러(108)를 통해 원고 이송 트레이(131) 상으로 이송된다. 이 시점에서, 뒷면 화상 판독 유닛(117)이 원고의 뒷면 화상을 판독한다. 이송 센서(113)는 원고가 이송 트레이 상으로 적절히 이송되었는지 여부를 검지하는 센서이다.
원고 트레이(130)는 위치된 원고 세트의 부주사 방향으로 활주할 수 있는 안내 규제판과, 안내 규제판과 협력하여 원고 폭을 검지할 수 있는 원고 폭 센서를 포함한다. 원고 폭 센서와 DF 레지스트레이션전 센서(111)의 조합은 원고 트레이(130) 상에 위치된 원고 세트의 원고 크기를 판별할 수 있게 만든다. 또한, 반송 경로에 제공된 원고 길이 센서는 반송된 원고의 선단이 검출되는 순간으로부터 원고의 후단이 검출되는 순간까지 원고가 반송된 거리로부터 원고의 길이를 검지할 수 있다. 검지된 원고 길이와 원고 폭 센서의 조합은 또한 원고 크기를 판별할 수 있게 만든다.
화상 판독 유닛(200)은 원고 상에 인쇄된 화상 정보를 광학적으로 판독하고, 정보를 광전 변환해서 결과를 화상 데이터로서 출력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화상 판독 유닛(200)은 주사 유리(201), 플래튼 유리(202), 램프(427) 및 미러(204)를 갖는 스캐너 유닛(209), 미러(205, 206), 렌즈(207) 및 CCD 센서(428)를 포함한다. 백색 기판(210)은 쉐이딩에 기초하는 백색 레벨 기준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제어 배열>
화상 형성 장치(1000)의 제어 배열은 도 3을 참조하여 다음에 설명될 것이다. 도 3은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00)의 각각의 장치에 대한 제어 배열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자동 원고 급송 장치(100)는 CPU(400), ROM(401), RAM(402), 모터(403), 센서(404), 램프(405), 솔레노이드(406), 클러치(407), CIS(408) 및 화상 처리 유닛(409)을 포함한다. CPU(400)는 자동 원고 급송 장치(100)의 각각의 블록을 제어하는 중앙 처리 유닛이다. ROM(401)은 CPU(400)에 의해 판독되고 수행되는 제어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판독 전용 메모리이다. RAM(402)은 출력 포트 및 입력 포트를 포함하고, 입력 데이터 및 동작용 데이터를 저장하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이다. 다양한 종류의 반송 롤러를 구동하는 모터(403), 솔레노이드(406) 및 클러치(407)는 출력 포트에 접속된다. 다양한 종류의 센서(404)가 입력 포트에 접속된다.
CPU(400)는 버스를 통해 CPU(400)에 접속된 ROM(401)에 저장된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시트 반송을 제어한다. CPU(400)는 선(451)을 통해서 화상 판독 유닛(200)의 CPU(421)와 시리얼 통신을 수행하여 화상 판독 유닛(200)과 제어 데이터를 교환한다. CPU(400)는 선(451)을 통해 화상 판독 유닛(200)에 원고 화상 데이터의 선단에 대한 기준으로서 화상 개시 신호를 통지한다.
도 2의 뒷면 화상 판독 유닛(117)은 램프(405) 및 접촉 화상 센서(CIS)(408)를 포함하고, 화상 처리 유닛(409)에 판독 화상을 전송한다. 화상 처리 유닛(409)은 판독 화상을 처리하고 선(454)을 통해 결과를 출력해서 화상 메모리(429)가 결과를 유지하게 만든다.
화상 판독 유닛(200)은 CPU(421), ROM(422), RAM(423), 인터시트 보정 유닛(inter-sheet correction unit)(424), 화상 처리 유닛(425), 모터(426), 램프(427), CCD 센서(428) 및 화상 메모리(429)를 포함한다. CPU(421)는 화상 판독 유닛(200)의 각각의 블록을 포괄적으로 제어한다. 제어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ROM(422)과, 워크 RAM인 RAM(423)은 CPU(421)에 접속된다. 모터(426)는 광학 구동 모터를 구동하는 구동 회로이다. CCD 센서(428)는 원고의 앞면 화상을 판독하는 앞면 화상 판독 유닛이다.
인터시트 보정 유닛(424)은 반송된 원고 사이에 수행되는 다양한 인터시트 보정, 예를 들면, 시간 및 먼지 검지 처리와 함께 광량 변동에 대한 판독 광량 보정을 수행한다. 렌즈(207)에 의해 CCD 센서(428) 상에 결상된 화상 신호는 디지털 화상 데이터로 변환된다. 이어서 화상 처리 유닛(425)은 다양한 종류의 화상 처리를 수행한 후에 화상 메모리(429)에 데이터를 기입한다.
화상 메모리(429)에 기입된 데이터는 제어기 IF(453)를 통해, 제어기(460)에 순차적으로 전송된다. CPU(421)는 제어기 IF(452)를 통해, 적절한 타이밍에 원고 화상 데이터의 선단에 대한 기준으로서 화상 개시 신호를 제어기(460)에 통지한다. 이와 같이, 화상 판독 유닛(200)의 CPU(421)는 제어기 IF(453)를 통해, 적절한 타이밍에 통신선을 통해 DF로부터 통지된 화상 개시 신호를 제어기(460)에 통지한다.
제어기(460)는 CPU(461), 증폭 회로(462), 보정 회로(463), 화상 메모리(464), 외부 I/F(465), 동작 유닛 I/F(466) 및 프린터 제어 I/F(215)를 포함한다. 동작 유닛 I/F(466)을 통해 이러한 장치에 접속된 동작 유닛(10)은 조작자가 수행될 처리 내용을 입력하고 조작자에게 처리, 경고 등과 연관된 정보를 통지하는 터치 패널을 갖는 액정 디스플레이를 포함한다.
CCD 센서(428) 및 CIS(408)는 원고 화상을 주사하는 처리에서 각각의 판독선에 대해 아날로그 화상 신호를 출력하여 화상 처리 유닛(425, 409)을 통해 제어기(460)에 송신한다. 증폭 회로(462)는 이러한 신호를 증폭하여 최종 신호(resultant signal)를 보정 회로(463)에 전송한다. 보정 회로(463)는 화상 신호에 대해 보정 처리를 수행하고 화상 메모리(464)에 결과를 기입한다. 이러한 장치는 원고 화상 영역에 대해 상기한 처리를 수행하여 원고의 판독 화상을 형성한다.
외부 I/F(465)는 화상 형성 장치(1000) 외부의 장치와 화상 정보, 코드 정보 등을 교환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팩시밀리 장치(501) 및 LAN 인터페이스 장치(502)가 외부 I/F(465)에 접속될 수 있다. 도 5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00)에 접속된 외부 장치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팩시밀리 장치(501), LAN 인터페이스 장치(502) 및 CPU(461) 사이의 상호 통신이 화상 정보 및 코드 정보를 팩시밀리 장치(501) 및 LAN 인터페이스 장치(502)와 교환하기 위한 절차 제어를 구현한다는 점에 유의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실시예는 자동 원고 급송 장치(100)의 뒷면 화상 판독 유닛으로 CIS(408)를, 화상 판독 유닛(200)의 앞면 화상 판독 유닛으로 CCD 센서(428)를 사용한다. 그러나, 화상을 판독할 수 있는 임의의 센서도 사용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유닛>
화상 형성 유닛(300)은 도 4를 참조하여 다음에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4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유닛(300)의 배열의 일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유닛(300)이 전자 사진 시스템을 사용한다는 점을 유의한다. 도 4의 도면 부호의 말미로서 문자 Y, M, C 및 K는 옐로우, 마젠타, 시안 및 블랙 토너에 대응하는 각각의 엔진을 나타낸다. 이하의 설명에서, 모든 종류의 토너에 대응하는 엔진은, 말미로서 임의의 문자 Y, M, C 및 K 없이 도면 부호에 의해 표시되고, 각각의 종류의 토너에 대응하는 엔진은, 말미로서 문자 Y, M, C 및 K 중 대응하는 하나를 갖는 도면 부호에 의해 표시될 것이다.
풀컬러 정전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화상 캐리어로서의 역할을 하는 감광 드럼(이후, 간단히 "감광 부재"라 함)(225)이 화살표 A에 의해 표시된 방향으로 모터에 의해 회전되도록 제공된다. 1차 대전기(221), 노광 장치(218), 현상 장치(223), 전사 장치(220), 클리너 장치(222) 및 전하 제거기(271)가 감광 부재(225) 주위에 배열된다.
현상 장치(223K)는 모노크롬 현상을 위한 현상 장치이고, K의 토너로 감광 부재(225K) 상에 잠상을 현상한다. 현상 장치(223Y, 223M, 223C)는 풀컬러 현상을 위한 현상 장치이고, Y, M 및 C의 토너로 감광 부재(225Y, 225M, 225C) 상에 잠상을 각각 현상한다. 전사 장치(220)는 감광 부재(225) 상에 현상된 각각의 색의 토너상을 중간 전사 부재로서 전사 벨트(226) 상으로 모두 다중 전사(multilayer-transfer)한다. 그 결과, 4개의 색의 토너상이 중첩된다.
전사 벨트(226)는 롤러(227, 228, 229) 주위에 걸쳐져 있다. 롤러(227)는 구동원에 결합되어 전사 벨트(226)를 구동하는 구동 롤러로서 기능한다. 롤러(228)는 전사 벨트(226)의 장력을 조절하는 텐션 롤러로서 기능한다. 롤러(229)는 2차 전사 장치(231)로서 전사 롤러의 백업 롤러로서 기능한다. 전사 롤러 구동 유닛(250)은 2차 전사 장치(231)가 전사 벨트(226)와 접촉하거나 또는 그로부터 인출하기 위한 구동 유닛이다. 클리너 블레이드(232)는 벨트가 2차 전사 장치(231)를 통과하는 위치 이후에 전사 벨트(226) 아래에 제공된다. 블레이드는 전사 벨트(226) 상에 잔류 토너를 긁어낸다.
레지스트레이션 롤러(255), 급송 롤러 쌍(235) 및 수직 경로 롤러 쌍(236, 237)은 카세트(240, 241) 및 수동 용지 급송 유닛(253)에 저장된 기록재(인쇄 시트)를 닙부, 즉 2차 전사 장치(231)와 전사 벨트(226) 사이에 접촉부로 급송한다. 이 때, 전사 롤러 구동 유닛(250)은 2차 전사 장치(231)가 전사 벨트(226)와 접촉하게 만든다는 점에 유의한다. 전사 벨트(226) 상에 형성된 토너상은 이러한 닙부에서 기록재 상에 전사된다. 그 후, 정착 장치(234)가 기록재 상에 전사된 토너상을 열로 정착한다. 이어서 기록재가 장치 외부에 이송된다.
카세트(240, 241) 및 수동 용지 급송 유닛(253) 각각은 기록재의 유무를 검지하기 위한 시트 부재 센서(243, 244, 245) 각각을 포함한다. 또한, 카세트(240, 241) 및 수동 용지 급송 유닛(253) 각각은 기록재의 픽업 불량을 검지하기 위한 급송 센서(247, 248, 249) 각각을 포함한다.
화상 형성 유닛(300)에 의한 화상 형성 동작이 이하 설명될 것이다. 화상 형성이 개시된 경우에, 픽업 롤러(238, 239, 254)가 카세트(240, 241) 및 수동 용지 급송 유닛(253)에 저장된 기록재를 급송 롤러 쌍(235)으로 하나씩 반송한다. 급송 롤러 쌍(235)이 레지스트레이션 롤러(255)로 기록재를 반송하는 경우에, 레지스트레이션 롤러(255) 직전에 위치된 레지스트레이션 센서(256)가 기록재의 통과를 검지한다.
레지스트레이션 센서(256)가 기록재의 통과를 검지한 경우에, 본 실시예에 따른 장치가 미리결정된 시간의 기간의 경과 후에 반송 동작을 일시적으로 중단한다. 그 결과, 기록재가 움직이지 않는 레지스트레이션 롤러(255)와 접촉하게 되고, 반송 동작이 정지된다. 이 때, 반송 위치가 진행 방향에서의 기록재의 단부가 반송 경로에 대해 수직이 되도록 고정되어서, 기록재의 임의의 휨, 즉 기록재의 반송 방향이 반송 경로로부터 이동되는 상태를 보정한다. 이러한 처리가 이후 위치 보정으로 지칭될 것이다.
위치 보정은 기록재에 대한 화상 형성 방향의 후속 기울기(ramp)를 최소화하기 위해 요구된다. 위치 보정 후에, 레지스트레이션 롤러(255)가 개시되어, 기록재를 2차 전사 장치(231)에 공급한다. 레지스트레이션 롤러(255)가 구동원에 결합되어 클러치를 통한 구동력의 전달에 의해 회전/구동된다는 점에 유의한다.
이어서 감광 부재(225)의 표면이 1차 대전기(221)에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미리결정된 전위로 균일하게 음으로 대전된다. 후속해서, 레이저 스캐너 유닛을 포함하는 노광 장치(218)가 대전된 감광 부재(225) 상에 화상 부분이 미리결정된 노광 전위로 설정되도록 노광을 수행하여, 잠상을 형성한다. 노광 장치(218)가 프린터 제어 I/F(215)를 통해 제어기(460)로부터 송신된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레이저 광을 턴온 및 턴오프해서,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잠상을 형성한다.
또한, 각각의 색에 대해 미리 설정된 현상 바이어스가 현상 장치(223)의 현상 롤러에 인가되고, 상기한 잠상은 현상 롤러의 위치를 통과할 때에 토너로 현상되고, 토너상으로서 가시화된다. 전사 장치(220)는 전사 벨트(226) 상으로 토너상을 전사한다. 이어서 2차 전사 장치(231)는 급송 유닛에 의해 반송된 기록재 상으로 화상을 전사한다. 그 후, 기록재는 레지스트레이션후(post-registration) 반송 경로(268)를 통과하고, 정착 반송 벨트(230)를 통해 정착 장치(234)로 반송된다.
정착 장치(234)에서, 우선, 토너의 흡착력을 보상함으로써 화상 혼란을 방지하기 위해, 정착전 대전기(pre-fixing charger)(251, 252)가 기록재를 대전시키고, 정착 롤러(233)가 토너상을 열적으로 정착시킨다. 그 후, 이송 플래퍼(257)가 반송 경로를 이송 경로(258)로 절환하여서, 이송 롤러(270)가 기록재를 이송 트레이(242) 상으로 이송하게 만든다.
클리너 장치(222)는 감광 부재(225) 상에 잔류 토너를 제거하고 회수한다. 최종적으로, 대전 제거기(271)가 감광 부재(225) 상의 전하를 0볼트 근방까지 균일하게 제거하여서, 다음 화상 형성 사이클을 준비한다.
화상 형성 장치(1000)의 컬러 화상 형성 개시 타이밍은 Y, M, C 및 K의 토너상의 동시 전사 때문에, 전사 벨트(226) 상의 임의의 위치에 화상을 형성하게 한다. 그러나, 감광 부재(225Y, 225M, 225C) 상의 토너상의 전사 위치에서의 이동을 고려하면서 화상 형성 개시 타이밍을 결정할 필요가 있다.
화상 형성 유닛(300)에서는, 카세트(240, 241) 및 수동 용지 급송 유닛(253)으로부터 연속적으로 기록재를 급송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한다. 이 경우에, 선행 기록재의 시트 길이를 고려하여, 기록재가 서로 중첩하지 않는 최단 간격으로 카세트(240, 241) 및 수동 용지 급송 유닛(253)으로부터 시트가 급송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위치 보정 후에, 기록재가 레지스트레이션 롤러(255)를 개시함으로써 2차 전사 장치(231)에 공급된다. 기록재가 2차 전사 장치(231)에 도달하는 경우에, 레지스트레이션 롤러(255)는 일시적으로 다시 정지된다. 이것의 목적은 선행 기록재와 동일한 방식으로 후속 기록재의 위치를 보정하기 위해서이다.
기록재의 뒷면 상에 화상을 형성하는 동작이 다음에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기록재의 뒷면 상에 화상을 형성하는 경우에, 우선 이러한 장치가 기록재의 앞면 상에 화상을 형성한다. 화상이 앞면 상에만 형성되어야 하는 경우에, 우선 정착 장치(234)가 기록재 상에 토너상을 열적으로 정착시킨 다음에, 이송 트레이(242)로 기록재를 직접 이송한다. 장치가 뒷면 상에 화상을 연속적으로 형성할 것이라고 가정한다. 이 경우에, 센서(269)가 기록재를 검지하는 경우, 이송 플래퍼(257)가 반송 경로를 뒷면 경로(259)로 절환한다. 따라서, 반전 롤러(260)가 기록재를 앞/뒷면 반전 경로(261)로 반송하기 위해 회전한다. 기록재가 급송 방향에서의 폭에 대응하는 거리만큼 앞/뒷면 반전 경로(261) 상에 반송된 후에, 반전 롤러(260)가 반전 방향으로 회전하여 기록재의 진행 방향을 절환한다. 앞/뒷면 경로 반송 롤러(262)가 화상이 형성된 앞면을 하향으로 해서 기록재를 앞/뒷면 경로(263)로 반송하기 위해 구동된다.
기록재가 앞/뒷면 경로(263)를 따라 재급송 롤러(264)로 반송되는 경우에, 재급송 롤러(264) 직전에 위치된 재급송 센서(265)가 기록재의 통과를 검지한다. 재급송 센서(265)가 기록재의 통과를 검지한 경우에, 본 실시예에 따른 장치가 미리결정된 시간의 기간의 경과 후에, 반송 동작을 일시적으로 중단한다. 그 결과, 기록재가 움직이지 않는 재급송 롤러(264)와 접촉하게 되고, 반송 동작이 일시적으로 정지된다. 이 때, 기록재의 위치가 진행 방향에서의 기록재의 단부가 반송 경로에 대해 수직이 되도록 고정되어서, 기록재의 임의의 휨, 즉 기록재의 반송 방향이 재급송 경로에서의 반송 경로로부터 이동되는 상태를 보정한다. 이러한 처리는 이후 위치 재보정으로 지칭될 것이다.
위치 재보정은 기록재의 뒷면에 대해 화상 형성 방향의 후속 기울기를 최소화하기 위해 요구된다. 위치 재보정 후에, 재급송 롤러(264)가 개시되어, 기록재를 앞면 및 뒷면이 반전된 상태로 급송 경로(266) 상으로 반송한다. 후속 화상 형성 동작은 상술한 앞면에 대한 화상 형성 동작과 동일하므로, 동작의 설명이 생략될 것이다. 앞면 및 뒷면 상에 형성되어 있는 화상을 갖는 기록재가 이송 플래퍼(257)를 사용하여 반송 경로를 이송 경로(258)로 절환함으로써 이송 트레이(242)로 이송된다.
화상 형성 유닛(300)이 양면 인쇄 모드에서도 역시 기록재를 연속적으로 급송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한다. 그러나, 이 장치는 기록재 상에 화상을 형성하는 단계와, 형성된 토너상을 정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작에 대해 1개 시스템만을 포함하기 때문에, 앞면 및 뒷면 상에 화상을 동시에 인쇄할 수는 없다. 따라서, 양면 인쇄 모드에서, 화상 형성 유닛(300)이 카세트(240, 241) 및 수동 용지 급송 유닛(253)으로부터 급송된 기록재와, 뒷면 인쇄를 위해 반전되고 화상 형성 유닛에 재급송된 기록재 상에 교대로 화상을 형성한다.
화상 형성 유닛(300)에서, 도 4에 도시된 각각의 부하가 후술될 4개의 제어 블록, 즉 반송 모듈 A(280), 반송 모듈 B(281), 화상 형성 모듈(282) 및 정착 모듈(283)로 분류되고, 각각의 블록은 자율적으로 제어된다. 화상 형성 유닛(300)은 4개의 제어 블록을 포괄적으로 제어하여 화상 형성 장치로서 기능하게 만드는 마스터 모듈(284)을 또한 포함한다. 각각의 모듈에 대한 제어 배열은 도 6을 참조하여 이하 설명될 것이다.
도 6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마스터 CPU, 서브 마스터 CPU 및 슬레이브 CPU 사이의 접속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마스터 모듈(284)에 제공된 마스터 CPU(마스터 제어 유닛/상층 제어 유닛)(1001)가 프린터 제어 I/F(215)를 통해 제어기(460)로부터 송신된 지시 및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전체 화상 형성 장치(1000)를 제어한다. 화상 형성을 각각 수행하기 위한 반송 모듈 A(280), 반송 모듈 B(281), 화상 형성 모듈(282) 및 정착 모듈(283)은 각각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해 서브 마스터 CPU(서브 마스터 제어 유닛/하층 제어 유닛)(601, 901, 701, 801)를 각각 포함한다. 마스터 CPU(1001)가 서브 마스터 CPU(601, 901, 701, 801)를 제어한다. 각각의 기능성 모듈은 각각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부하가 동작하게 하는 슬레이브 CPU(슬레이브 제어 유닛/처리 유닛)(602, 603, 604, 605, 902, 903, 702, 703, 704, 705, 706, 802, 803)를 포함한다. 서브 마스터 CPU(601)가 슬레이브 CPU(602, 603, 604, 605)를 제어한다. 서브 마스터 CPU(901)가 슬레이브 CPU(902, 903)를 제어한다. 서브 마스터 CPU(701)가 슬레이브 CPU(702, 703, 704, 705, 706)를 제어한다. 서브 마스터 CPU(801)가 슬레이브 CPU(802, 803)를 제어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터 CPU(1001) 및 복수의 서브 마스터 CPU(601, 701, 801, 901)가 공통의 네트워크형 통신 버스(제1 신호선)(1002)를 통해 서로 접속된다. 서브 마스터 CPU(601, 701, 801, 901)가 또한 네트워크형 통신 버스(제1 신호선)(1002)를 통해 서로 접속된다. 마스터 CPU(1001) 및 복수의 서브 마스터 CPU(601, 701, 801, 901)는 서로 링 접속될 수도 있다는 점에 유의한다. 서브 마스터 CPU(601)는 고속 시리얼 통신 버스(제2 신호선)(612, 613, 614, 615)를 통해 복수의 슬레이브 CPU(602, 603, 604, 605)에 일대일로[피어 투 피어 접속(peer-to-peer connection)] 추가로 접속된다. 이와 같이, 서브 마스터 CPU(701)는 고속 시리얼 통신 버스(제2 신호선)(711, 712, 713, 714, 715) 중 대응하는 하나를 통해 각각의 슬레이브 CPU(702, 703, 704, 705, 706)에 접속된다. 서브 마스터 CPU(801)가 고속 시리얼 통신 버스(제2 신호선)(808, 809) 중 대응하는 하나를 통해 각각의 슬레이브 CPU(802, 803)에 접속된다. 서브 마스터 CPU(901)는 고속 시리얼 통신 버스(제2 신호선)(909, 910) 중 대응하는 하나를 통해 각각의 슬레이브 CPU(902, 903)에 접속된다. 이 경우에, 각각의 고속 시리얼 통신 버스는 단거리, 고속 통신에 사용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00)에서, 각각의 서브 마스터 CPU에 의해 포괄적으로 제어되는 기능성 모듈 내에서, 타이밍에 의존하는 응답성을 필요로하는 제어를 구현하도록 기능 분할이 수행된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높은 응답성을 갖는 고속 시리얼 통신 버스가 최종 부하를 구동하는 각각의 슬레이브 CPU와 각각의 서브 마스터 CPU 사이의 통신에 사용된다. 즉, 제2 신호선으로서, 제1 신호선보다 데이터 전송에 더 높은 타이밍 정확성을 갖는 신호선이 사용된다.
한편, 서브 마스터 CPU(601, 701, 801, 901) 및 마스터 CPU(1001)는 정밀한 제어 타이밍을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 화상 형성 동작에 대한 개략적인 처리 절차를 포괄적으로 제어하는 동작만을 상호 수행한다. 예를 들면, 마스터 CPU(1001)는 서브 마스터 CPU에 화상 형성 전처리, 급송 전처리 및 화상 형성 후처리를 개시하는 지시를 발송한다. 마스터 CPU(1001)는 화상 형성의 개시 전에 제어기(460)에 의해 지정된 모드(예를 들면, 모노크롬 모드 및 양면 화상 형성 모드)에 기초한 지시를 서브 마스터 CPU에 또한 발송한다. 서브 마스터 CPU(601, 701, 801, 901)는 정밀한 타이밍 제어를 필요로 하지 않는 동작만을 상호 수행한다. 즉,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가 상호 정밀한 타이밍 제어를 필요로 하지 않는 제어 유닛으로 분할되고, 각각의 서브 마스터 CPU는 정밀한 타이밍으로 각각의 제어 유닛을 제어한다. 이는 화상 형성 장치(1000)가 통신 트래픽을 최소화하고, 저렴하면서 저속인 네트워크형 통신 버스(1002)로 접속을 수행할 수 있게 만든다. 마스터 CPU, 서브 마스터 CPU 및 슬레이브 CPU를 균일한 제어 기판 상에 장착할 필요가 항상 있다는 점에 유의한다. 장치 구현에 관한 상황에 따라 제어 기판 상에 이들을 가변적으로 위치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마스터 CPU, 서브 마스터 CPU 및 슬레이브 CPU의 구체적인 위치는 도 7을 참조하여 기판 배열의 면에서 설명될 것이다. 도 7은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00)의 제어 기판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제어 기판 배열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브 마스터 CPU(601) 및 슬레이브 CPU(602, 603, 604, 605)는 동일한 기판 상에 장착된다. 또한, 서브 마스터 CPU(701) 및 슬레이브 CPU(702, 703, 704) 또는 서브 마스터 CPU(801) 및 슬레이브 CPU(802, 803)와 같이, 서브 마스터 CPU 및 슬레이브 CPU를 독립 기판 상에 각각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슬레이브 CPU(705, 706)와 같이, 동일한 기판 상에 일부 슬레이브 CPU를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서브 마스터 CPU(901) 및 슬레이브 CPU(902)와 같이, 동일한 기판 상에 서브 마스터 CPU 및 슬레이브 CPU의 일부만을 장착할 수 있다.
<각각의 제어 모듈의 배열>
각각의 제어 모듈의 기능 및 배열은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8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반송 모듈 A(280)의 배열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반송 모듈 A(280)은 카세트(240, 241) 및 수동 용지 급송 유닛(253)에 저장된 각각의 기록재가 움직이지 않는 레지스트레이션 롤러(255)의 닙부와 접촉하게 될 때까지 급송 제어(급송 기능)를 맡는다. 반송 모듈 A(280)은 급송 제어를 포괄적으로 제어하는 서브 마스터 CPU(601)와, 각각의 부하를 구동하는 슬레이브 CPU(602, 603, 604, 605)를 포함한다. 또한, 직접 제어되는 부하군이 각각의 슬레이브 CPU에 접속된다.
슬레이브 CPU(602)는 부하로서, 카세트(240), 시트 부재 센서(243) 및 급송 센서(247)와 연관된 픽업 롤러(238)를 구동하는 구동원 모터(606)를 갖고, 기록재가 급송 경로(266)에 전송될 때까지 제어를 수행한다. 슬레이브 CPU(603)는 부하로서, 카세트(241), 시트 부재 센서(244) 및 급송 센서(248)와 연관된 픽업 롤러(239)를 구동하는 구동원 모터(607)를 갖고, 기록재가 급송 경로(266)에 전송될 때까지 제어를 수행한다. 슬레이브 CPU(604)는 부하로서, 수동 용지 급송 유닛(253), 시트 부재 센서(245) 및 급송 센서(249)에 연관된 픽업 롤러(254)를 구동하는 구동원 모터(608)를 갖고, 기록재가 급송 경로(266)에 전송될 때까지 제어를 수행한다. 슬레이브 CPU(605)는 부하로서, 급송 롤러 쌍(235, 236, 237) 및 레지스트레이션 센서(256)를 구동하는 구동원 모터(609, 610, 611)를 갖는다. 슬레이브 CPU(605)는 이들 부하를 제어해서, 카세트(240, 241) 및 수동 용지 급송 유닛(253)으로부터 전송된 각각의 기록재가 반송되어 레지스트레이션 롤러(255)의 닙부와 접촉하고, 일시적으로 정지될 때까지 제어를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서, 서브 마스터 CPU(601)는 독립 고속 시리얼 통신 버스(612, 613, 614, 615)를 통해 슬레이브 CPU(602, 603, 604, 605)에 일대일로 접속된다.
도 9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모듈(282)의 배열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화상 형성 모듈(282)은 전자사진 처리에 의해 형성된 풀컬러 토너상이 전사 벨트(226) 상에 전사되고 반송 모듈 A(280)에 의해 전송된 기록재 상에 재전사될 때까지 화상 형성 제어(화상 형성 기능)를 맡는다. 화상 형성 모듈(282)은 화상 형성 제어를 포괄적으로 수행하는 서브 마스터 CPU(701)와 각각의 부하를 구동하는 슬레이브 CPU(702, 703, 704, 705, 706)를 포함한다. 직접 제어되는 부하군은 각각의 슬레이브 CPU에 접속된다.
슬레이브 CPU(702)는 부하로서, 노광 장치(218K), 현상 장치(223K), 1차 대전기(221K), 전사 장치(220K), 클리너 장치(222K) 및 전하 제거기(271K)를 갖고, 블랙 토너상이 전사 벨트(226) 상에 전사될 때까지 제어를 수행한다. 슬레이브 CPU(703)는 부하로서, 노광 장치(218M), 현상 장치(223M), 1차 대전기(221M), 전사 장치(220M), 클리너 장치(222M) 및 전하 제거기(271M)를 갖고, 마젠타 토너상이 전사 벨트(226) 상에 전사될 때까지 제어를 수행한다. 슬레이브 CPU(704)는 부하로서, 노광 장치(218C), 현상 장치(223C), 1차 대전기(221C), 전사 장치(220C), 클리너 장치(222C), 및 전하 제거기(271C)를 갖고, 시안 토너상이 전사 벨트(226) 상에 전사될 때까지 제어를 수행한다. 슬레이브 CPU(705)는 부하로서, 노광 장치(218Y), 현상 장치(223Y), 1차 대전기(221Y), 전사 장치(220Y), 클리너 장치(222Y), 및 전하 제거기(271Y)를 갖고, 옐로우 토너상이 전사 벨트(226) 상에 전사될 때까지 제어를 수행한다.
슬레이브 CPU(706)는 부하로서, 전사 벨트(226)를 회전/구동하는 롤러(227)에 대한 모터(708), 2차 전사 장치(231)를 구동하는 고전압 신호 출력 장치 및 전사 롤러 구동 유닛(250) 및 레지스트레이션 롤러를 구동하는 구동원 모터(709, 710)를 각각 갖는다. 슬레이브 CPU(706)는 이들 부하를 제어해서, 전사 벨트(226)에 다중 전사된 4개 색의 토너상이 2차 전사 장치(231)를 사용하여 기록재 상에 전사될 때까지 제어를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서, 서브 마스터 CPU(701)는 독립 고속 시리얼 통신 버스(711, 712, 713, 714, 715)를 통해 슬레이브 CPU(702, 703, 704, 705, 706)에 일대일로 접속된다는 점에 유의한다.
도 10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정착 모듈(283)의 배열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정착 모듈(283)은 토너상이 화상 형성 모듈(282)에 의해 전사된 기록재가 정착 장치(234)에 급송되고, 토너상이 기록재 상에 열적으로 정착될 때까지 정착 제어(정착 기능)를 맡는다. 정착 모듈(283)은 정착 제어를 포괄적으로 수행하는 서브 마스터 CPU(801) 및 각각의 부하를 구동하는 슬레이브 CPU(802, 803)를 포함한다. 직접 제어되는 부하군은 각각의 슬레이브 CPU에 접속된다.
슬레이브 CPU(802)는 부하로서, 정착 반송 벨트(230)를 회전시키는 구동원 모터(804) 및 정착 롤러(233)를 회전시키는 구동원 모터(805)를 갖고, 기록재가 정착 후에 반송 경로 상에 2차 전사 장치(231)로부터 전송될 때까지 제어를 수행한다. 슬레이브 CPU(803)는 부하로서, 정착 장치(234)내의 히터(806), 온도 검지 서미스터(807) 및 정착전 대전기(251, 252)를 갖는다. 슬레이브 CPU(803)는 이들 부하를 제어해서, 정착전 대전기(251, 252)를 사용하여 정착 롤러(233)를 대전시키고, 온도 검지 서미스터(807)에 의해 얻어진 검지 결과를 피드백시키면서, 히터로부터 열을 최적으로 발생시킴으로써, 정착 장치(234)의 정착 온도 제어를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서, 서브 마스터 CPU(801)는 독립 고속 시리얼 통신 버스(808, 809)를 통해 슬레이브 CPU(802, 803)에 일대일로 접속된다는 점에 유의한다.
도 1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반송 모듈 B(281)의 배열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반송 모듈 B(281)은 화상이 정착 모듈(283)에 의해 정착된 기록재가 수신되고 화상 형성 유닛(300) 외부에 이송될 때까지 이송 제어(이송 기능), 또는 기록재의 앞면 및 뒷면이 뒷면 인쇄를 위해 반전되고 반송 모듈 A(280)에 전송될 때까지 뒷면 반전 제어(반전 기능)를 맡는다. 반송 모듈 B(281)은 이송 제어 및 뒷면 반전 제어를 포괄적으로 수행하는 서브 마스터 CPU(901)와, 각각의 부하를 구동하는 슬레이브 CPU(902, 903)를 포함한다. 직접 제어되는 부하군이 각각의 슬레이브 CPU에 접속된다.
슬레이브 CPU(902)는 부하로서, 이송 플래퍼(257)를 절환하는 솔레노이드(904), 이송 롤러(270)를 구동하는 구동원 모터(905), 반전 롤러(260)를 구동하는 구동원 모터(906) 및 센서(269)를 갖는다. 슬레이브 CPU(902)는 이들 부하를 제어해서, 앞/뒷면 반전 경로(261)에 정착하거나 전송된 후에 기록재가 반송 경로로부터 장치 외부로 이송될 때까지 제어를 수행한다. 슬레이브 CPU(903)는 부하로서, 앞/뒷면 경로 반송 롤러(262)를 구동하는 구동원 모터(907), 재급송 롤러(264)를 구동하는 구동원 모터(908) 및 재급송 센서(265)를 갖는다. 슬레이브 CPU(903)는 이들 부하를 제어해서, 반전 경로로부터 전송된 기록재가 급송 경로(266)에 다시 전송될 때까지 제어를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서, 서브 마스터 CPU(901)는 독립 고속 시리얼 통신 버스(909, 910)를 통해 슬레이브 CPU(902, 903)에 일대일로 접속된다는 점에 유의한다.
본 실시예는 상기한 4개의 서브 모듈의 자율적인 동작을 조합함으로써 기록재에 대해 화상 형성 제어를 구현한다. 실제의 화상 형성 동작은 급송 트레이/용지 크기의 선택, 단면/양면 인쇄의 설정, 모노크롬 인쇄/컬러 인쇄의 설정 등의 조합에 따라 몇몇 패턴으로 분할된다. 조작자가 동작 유닛(10) 및 외부 I/F(465)를 통해 미리 설정한 경우에, 특정 지시가 입력된다. 지시에 기초하여 조작자에 의해 원하는 동작을 구현하기 위해, 각각의 모듈이 체계적으로 동작하게 만들도록 전체 제어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 마스터 모듈(284)에서의 마스터 CPU(1001)는 서브 마스터 CPU(601, 701, 801, 901)를 포괄적으로 제어한다. 이 경우에, 마스터 CPU(1001)에 의해 전체 제어에 대한 개략적인 절차가 저속 네트워크형 통신 버스(1002)를 통한 마스터 CPU(1001)와 서브 마스터 CPU(601, 701, 801, 901) 사이의 통신에 의해 코맨드의 교환에 의해 구현된다. 또한, 이러한 절차가 고속 시리얼 통신 버스를 통해 서브 마스터 CPU(601, 701, 801, 901)와 슬레이브 CPU(602, 603, 604, 605, 702, 703, 704, 705, 706, 802, 803, 902, 903) 사이의 일대일 통신에 의해 코맨드의 교환에 의해 구현된다.
<제어 절차>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00)에서의 제어 절차가 도 12를 참조하여 다음에 설명될 것이다. 도 1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00)에서의 제어 절차를 도시하는 시퀀스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시퀀스도가 화상 형성이 하나의 기록재에 대해 수행된다는 가정에 기반한다는 점에 유의한다.
우선, 단계 S1201에서, 마스터 CPU(1001)가 화상 형성의 개시 전에 서브 마스터 CPU(601, 701, 801, 901)에 화상 형성 전처리를 개시하라는 지시를 발송한다. 후속해서, 단계 S1202, S1203, S1204, S1205에서, 서브 마스터 CPU(601, 701, 801, 901)는 화상 형성을 위한 전처리를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서브 마스터 CPU(601)는 급송 전처리를 수행한다. 서브 마스터 CPU(701)는 화상 형성 전처리를 수행한다. 서브 마스터 CPU(801)는 정착 전처리를 수행한다. 서브 마스터 CPU(901)는 반송 전처리를 수행한다.
단계 S1206a에서, 마스터 CPU(1001)는 서브 마스터 CPU(601)가 동작 유닛(10) 또는 외부 I/F(465)를 통해 조작자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제1 기록재를 급송하는 것을 개시하도록 지시한다.
기록재를 급송하는 것을 개시하라는 지시가 수신되면, 서브 마스터 CPU(601)는 단계 S1207a에서 시트 급송 처리를 개시한다. 시트 급송 처리에서, 카세트(240, 241)와 수동 용지 급송 유닛(253) 중 하나에 위치된 기록재는 레지스트레이션 롤러(255)의 위치로 반송되고 일시적으로 정지된다. 그 후, 단계 S1208a에서, 서브 마스터 CPU(601)는 미리결정된 시간의 기간의 경과 후에 서브 마스터 CPU(701)의 화상 형성을 개시하라는 지시를 발송한다.
화상 형성을 개시하라는 지시를 수신하면, 단계 S1209a에서 서브 마스터 CPU(701)는 움직이지 않는 레지스트레이션 롤러(255)를 회전시킴으로써 기록재를 반송하는 것을 개시하고 감광 부재(225)에 대한 화상 형성 처리와 전사 벨트(226) 및 기록재에 대한 전사 처리를 수행한다. 하나의 서브 마스터 CPU를 사용하여 레지스트레이션 롤러(255)로부터 기록재에 대해 반송 처리와 화상 형성/전사 처리를 제어하는 것은 정밀한 타이밍 제어를 필요로하는 기록재와 화상 사이의 위치 정렬을 수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다른 서브 마스터 CPU가 레지스트레이션 롤러(255)까지의 기록재에 대한 급송 처리와, 레지스트레이션 롤러(255)로부터의 기록재에 대한 반송 처리를 제어해도, 서브 마스터 CPU 사이의 통신 지연이 레지스트레이션 롤러(255)에서의 기록재의 정지 기간에 의해 흡수된다. 후속해서, 단계 S1210a에서, 미리결정된 시간의 기간이 경과되고, 화상이 형성된 기록재가 정착 장치(234)를 향해 반송되는 것이 확정되면, 서브 마스터 CPU(701)는 서브 마스터 CPU(801)가 정착을 개시하도록 지시한다.
정착을 개시하라는 지시를 수신하면, 서브 마스터 CPU(801)는 단계 S1211a에서 기록재에 대해 열 정착 처리를 수행한다. 정착 모듈(283)의 구동 개시에 대해 정밀한 타이밍이 요구되지 않으므로, 다른 서브 마스터 CPU가 화상 형성/전사 처리 와 열 정착 처리를 제어해도, 서브 마스터 CPU 사이의 임의의 통신 지연도 문제없다. 후속해서, 단계 S1212a에서, 미리결정된 시간의 기간이 경과되고, 화상이 정착된 기록재가 이송 롤러(270)를 향해 반송되는 것이 확정되면, 서브 마스터 CPU(801)는 서브 마스터 CPU(901)가 용지 이송를 개시하도록 지시한다.
용지 이송를 개시하라는 지시를 수신하면, 서브 마스터 CPU(901)는 단계 S1213a에서 기록재에 대해 이송 처리를 수행한다. 반송 모듈 B(281)의 구동 개시에 대해 정밀한 타이밍이 요구되지 않으므로, 다른 서브 마스터 CPU가 열 정착 처리와 이송 처리를 제어해도, 서브 마스터 CPU 사이의 임의의 통신 지연도 문제없다. 그 후, 단계 S1214a에서, 이송 처리가 완료된 경우에, 서브 마스터 CPU(901)는 마스터 CPU(1001)에 대응하는 정보를 통지한다.
이송 처리 완료의 통지를 수신하면, 단계 S1215에서 마스터 CPU(1001)는 서브 마스터 CPU(601, 701, 801, 901)가 화상 형성 후처리를 개시하도록 지시한다. 그 후, 단계 S1216, S1217, S1218, S1219에서, 서브 마스터 CPU(601, 701, 801, 901)는 화상 형성을 완료하기 위해 후처리를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서브 마스터 CPU(601)는 급송 후처리를 수행한다. 서브 마스터 CPU(701)는 화상 형성 후처리를 수행한다. 서브 마스터 CPU(801)가 정착 후처리를 수행한다. 서브 마스터 CPU(901)는 반송 후처리를 수행한다.
상기 시퀀스는 하나의 기록재의 급송부터 이송까지 일련의 화상 형성 처리를 예시하였다. 이 장치가 복수의 기록재에 대해 화상 형성을 연속적으로 수행한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에, 예를 들면, 도 12에서 단계 S1206b 내지 S1214b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이, 제1 기록재 상에 화상 형성의 개시 후에, 미리결정된 시간의 기간이 경과된 경우에, 장치는 연속적으로 화상 형성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장치가 기록재의 개수에 따라 단계 S1206b 내지 S1214b에서 처리를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이 경우에, 급송을 개시하라는 지시가 발송된 간격이 실제 기록재가 급송된 간격보다 짧을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서브 마스터 CPU(601)에 의해 포괄적으로 제어되는 반송 모듈 A에서 기록재의 정밀한 급송 타이밍이 규정되므로, 마스터 CPU(1001)가 엄격하게 타이밍을 보증할 필요는 없다.
이와 같이, 미리결정된 화상 형성 간격(즉, 생산성)을 달성하기 위해서, 연속적으로 급송될 기록재에 대해 화상 형성을 개시하라는 지시가 보내진 간격이 화상 형성이 기록재에 대해 실제로 수행되는 간격보다 짧을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서브 마스터 CPU(701)에 의해 포괄적으로 제어되는 화상 형성 모듈에서 화상 형성 제어의 실행 시 각각의 기록재에 대해 정밀한 화상 형성 타이밍이 규정되므로, 서브 마스터 CPU(601)가 엄격하게 타이밍을 보증할 필요는 없다. 화상 형성 제어의 실행 시에 코맨드의 교환은 상세히 후술될 것이다.
상술된 용지 급송 및 화상 형성의 개시 이외에, 마스터 CPU(1001)와 서브 마스터 CPU(601, 701, 801, 901) 사이의 처리를 위해 트리거(trigger) 코맨드의 교환은 처리의 개시를 개략적으로 통지하기 위해서만 규정된다. 즉, 제어를 위한 정밀한 처리 절차가 규정되지 않으므로, 단위 시간당 코맨드의 발송 빈도가 매우 높지 않고, 각각의 코맨드 전송 타이밍을 엄격하게 보증할 필요는 없다.
따라서, 마스터 CPU(1001)와 서브 마스터 CPU(601, 701, 801, 901)를 접속하는 네트워크형 통신 버스(1002)로서, 약 10msec의 통신 주기에 대응하는 비교적 낮은 통신 속도를 갖는 저렴한 통신 버스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통신 버스는 예를 들면, LIN 통신 버스(Local Interconnect Network communication bus: 로컬 인터커넥트 네트워크 통신 버스)와 I2C 통신 버스(Inter-Integrated Circuit communication bus: 인터인테그레이티드 회로 통신 버스)를 포함한다.
신뢰성을 고려하여, CAN 통신 버스(제어 영역 네트워크 통신 버스)와 같은 네트워크 통신 버스를 또한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단위 시간당 통신 데이터량이 비교적 적기 때문에, 통신 속도가 낮게 설정될 수 있다. 이는 통신의 신뢰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특히, 마스터 CPU(1001)와 서브 마스터 CPU(601, 701, 801, 901)가 장착된 제어 CPU 기판은 서로 물리적으로 이격되어서, 각각의 CPU에 대한 통신 네트워크 케이블이 매우 길어지게 된다. 통신 네트워크 케이블 길이와 네트워크 통신 속도가 증가할수록, 장치가 외부 노이즈의 영향을 받기 쉽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외부 노이즈에 대한 내성을 마찬가지로 고려하면, 네트워크 통신 속도를 낮게 설정하는 것이 유용하다.
본 실시예에서 서브 마스터 CPU와 슬레이브 CPU에 의해 수행되는 처리가 도 13을 참조하여 다음에 설명될 것이다. 도 13은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모듈(282)이 화상 형성을 개시하라는 지시를 수신한 경우에 수행될 (1개의 시트에 대응하는) 처리를 도시하는 시퀀스도이다. 서브 마스터 CPU와 슬레이브 CPU에 의해 수행될 처리의 일례로서, 화상 형성 모듈(282)의 서브 마스터 CPU(701)와 슬레이브 CPU(702, 703, 704, 705)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가 설명될 것이다.
우선, 단계 S1301K, S1301M, S1301C 및 S1301Y에서, 서브 마스터 CPU(601)로부터 화상 형성을 개시하라는 지시를 수신하면, 서브 마스터 CPU(701)는 슬레이브 CPU(702, 703, 704, 705)에 현상 롤러를 회전/구동시키라는 지시를 발송한다. 단계 S1302K, S1302M, S1302C 및 S1302Y에서, 서브 마스터 CPU(701)는 화상 형성 시에 미리결정된 고전압 값으로 현상 바이어스를 설정하라는 지시를 발송한다. 현상 바이어스 설정은 K, M, C 및 Y의 스테이션 사이의 타이밍에 의존하지 않기 때문에, 서브 마스터 CPU는 코맨드를 수신한 경우에 동시에 4개의 스테이션 모두를 일제히 턴온한다. 동시에, 서브 마스터 CPU는 슬레이브 CPU(706)에 전사 롤러 구동을 개시하라는 트리거 코맨드(1303)를 발송한다.
후속해서, 단계 1304K, 1304M, 1304C, 1304Y, 단계 1305K, 1305M, 1305C, 1305Y, 단계 1306K, 1306M, 1306C, 1306Y 및 단계 1307K, 1307M, 1307C, 1307Y에서, 서브 마스터 CPU(701)는 화상 형성에 요구되는 일련의 처리를 수행하라는 지시를 각각의 스테이션에 통지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서브 마스터 CPU(701)는 각각의 슬레이브 CPU에 1차 대전, 노광, 1차 전사 및 전하 제거를 개시하라는 트리거 코맨드를 발송한다. 이 경우에, 정확한 화상 형성을 수행하기 위해, 미리결정된 주기로 이들 트리거 코맨드를 정확하게 생성할 필요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차 대전의 개시로부터 노광 개시까지의 주기는 Tp -e로 설정되고, 노광 개시로부터 1차 전사의 개시까지의 주기는 Tp - t1로 설정되고, 1차 전사의 개시로부터 대전 제거의 개시까지의 주기는 Tt1 -r로 설정된다. 각각의 주기 T는 화상 품질 및 생산성을 고려하여 미리 설정된다.
또한, 감광 부재(225K, 225M, 225C, 225Y)의 위치 면에서 위치 이동을 고려하여 코맨드가 슬레이브 CPU(702, 703, 704, 705)에 발송되는 타이밍은 지연 주기 Tst만큼 서로 이동될 필요가 있다. 고정확도로 이러한 타이밍 이동을 구현하는데 실패하면 각각의 스테이션 사이의 인쇄 화상 패턴 오프셋(소위 컬러 어긋남)을 야기할 것이다.
이어서 서브 마스터 CPU(701)는 전사 벨트 상에 형성된 토너상을 기록재 상에 2차 전사한다. 이러한 목적으로, 단계 S1308에서, 서브 마스터 CPU(701)는 기록재가 2차 전사의 개시에서 2차 전사 장치(231)의 위치에 도달하는 타이밍에 레지스트레이션 롤러(255)를 구동하기 위해 구동원 모터(710)를 회전/구동하라는 레지스트레이션 온 코맨드를 슬레이브 CPU(706)에 발송한다. 단계 S1309 및 S1310에서, 서브 마스터 CPU(701)는 슬레이브 CPU(706)에 2차 전사 장치(231)를 전사 벨트(226)와 접촉하게 하는 2차 전사 장치 구동 (온) 코맨드와, 2차 전사 개시 코맨드를 발송한다.
이 경우에, 기록재 상의 원하는 위치에 전사 벨트(226) 상의 화상을 적절히 전사하기 위해서, 미리결정된 주기로 2차 전사 개시 코맨드 및 레지스트레이션 온 코맨드를 정확하게 발송할 필요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전 개시로부터 구동원 모터(710)의 개시까지의 주기는 Tr - reg로 설정되고, 구동원 모터(710)의 개시로부터 2차 전사의 개시까지의 주기는 Treg - t2로 설정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마스터 CPU(1001)와 각각의 서브 마스터 CPU 사이의 처리 절차와 비교해서, 각각의 서브 마스터 CPU와 각각의 슬레이브 CPU 사이의 처리 절차에서 주어진 단위 시간 내에 발송된 코맨드를 상당히 고정확도로 빈번하게 교환할 필요가 있다. 또한, 복수의 기록재 상에 화상을 연속적으로 형성하기 위해서, 주어진 미리결정된 주기로 이들 일련의 처리를 반복적으로 수행할 필요가 있다. 이 때 처리 주기의 지연 또는 변동이 화상 형성 장치의 생산성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즉, 각각의 서브 마스터 CPU와 각각의 슬레이브 CPU 사이의 처리 절차는 장치의 성능을 보증하는데 중요한 요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서브 마스터 CPU(701)와 슬레이브 CPU(702 내지 706) 사이의 통신에 대해 약 10μsec의 통신 주기에 의해 나타난 성능을 독립적으로 확보하기 위해 고속 시리얼 통신 버스(711 내지 715)를 사용한다. 즉, 마스터 CPU(1001)가 미리결정된 통신 속도로 서브 마스터 CPU(601, 701, 801, 901)에 접속된 경우에, 서브 마스터 CPU(701)가 더 높은 통신 속도로 슬레이브 CPU(702 내지 706)에 접속된다. 또한, 고속 시리얼 통신 버스(711 내지 715)는 슬레이브 CPU(702 내지 706)에 서브 마스터 CPU(701)를 일대일로 접속하도록 배선된다. 이는 서브 마스터 CPU(701)와 슬레이브 CPU(702, 703, 704, 705, 706) 사이의 통신 지연 손실을 가능한 한 0에 가까이 감소시키고, 코맨드의 교환 시 타이밍 변동을 억제하고, 타이밍 제어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만든다. 따라서, 이러한 화상 형성 장치는 화상 형성 시 화상 품질과, 연속 인쇄 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고속 시리얼 통신이 마스터 CPU(1001)와 서브 마스터 CPU(601, 701, 801, 901) 사이에 적용되는 경우에, 비용 및 통신 속도의 증가는 노이즈 등에 대한 취약성을 초래할 수 있다. 그러나, 서브 마스터 CPU(701)와 슬레이브 CPU(702, 703, 704, 705, 706)는 위치 배열에서의 비교적 인접한 위치에 장착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서브 마스터 CPU와 슬레이브 CPU 사이에 긴 통신 버스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고속 통신에 요구되는 높은 도전성의, 고가의 버스 케이블이 놓이는 거리가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통신 속도가 증가된 경우에 고려되어야 할 필요가 있는 고주파 노이즈의 발생의 범위를 국부적으로 좁힐 수 있기 때문에, 저비용으로 노이즈에 대처하여, 비용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서브 마스터 CPU(701)의 기능이 주어진 기능성 모듈과 연관된 부분만의 제어에 제한되기 때문에, 서브 마스터 CPU에 종속된 슬레이브 CPU(702, 703, 704, 705, 706)의 개수는 제한된다. 즉, 고속 시리얼 통신을 사용하는 일대일 접속의 배열이 충분한 실현성을 갖는다.
서브 마스터 CPU(701)와 슬레이브 CPU(702, 703, 704, 705, 706)의 배열이, 특히,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어도, 남아있는 서브 마스터 CPU(601, 801, 901)와 슬레이브 CPU 사이의 통신에 유사한 배열이 적용될 수 있다.
<제2 실시예>
제2 실시예는 도 14를 참조하여 다음에 설명될 것이다. 도 14는 제2 실시예에 따른 반송 모듈 A(280)의 배열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 8을 참조하여 설명된 제1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도면 부호는 제2 실시예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를 나타내고, 설명은 반복되지 않을 것이다.
제1 실시예에서, 급송 경로(266)는 복수의 기록재를 동시에 수납하도록 구성되지 않는다. 즉, 카세트(240, 241)와 수동 용지 급송 유닛(253) 중 하나에 저장된 기록재가 순차적으로 하나씩 급송 경로(266)에 전송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급송 유닛인 카세트(240, 241)와 수동 용지 급송 유닛(253)에 연관된 슬레이브 CPU(602, 603, 604)에 고속 시리얼 버스를 일대일로 접속할 필요가 없다. 하나의 시리얼 버스(616)를 통해 슬레이브 CPU(602, 603, 604)를 서브 마스터 CPU(601)와 캐스케이드 접속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 마스터 CPU(601)와 슬레이브 CPU(602, 603, 604) 사이에 일대 다수의 접속(버스 접속)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배열을 사용하는 것은 서브 마스터 CPU(601)와 슬레이브 CPU(602, 603, 604) 사이에 통신 버스선의 개수를 더 감소시킬 수 있고, 속선을 더 감소시킬 수 있다. 서브 마스터 CPU(601)가 시리얼 버스(616)와 독립적으로 시리얼 버스(615)를 통해 슬레이브 CPU(605)에 접속된다는 점에 유의한다. 이는 슬레이브 CPU(605)가 미리결정된 타이밍으로 카세트(240, 241)와 수동 용지 급송 유닛(253) 중 하나로부터 급송된 기록재를 수용해야할 필요가 있으므로, 서브 마스터 CPU(601)와 슬레이브 CPU(602, 603, 604) 사이에서보다 더 정확하게 타이밍 제어를 수행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다른 실시예
본 발명의 양태는 상술된 실시예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메모리 장치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판독하고 수행하는 장치 또는 시스템의 컴퓨터(또는 CPU 또는 MPU와 같은 장치)와, 예를 들면, 상술된 실시예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메모리 장치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판독하고 수행하여 장치 또는 시스템의 컴퓨터에 의해 수행되는 단계를 갖는 방법에 의해 또한 실현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프로그램은 예를 들면, 네트워크를 통해 컴퓨터에 제공되거나 메모리 장치로서 역할을 하는 다양한 종류의 기록 매체(예를 들면,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로부터 제공된다.
본 발명이 예시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개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는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이하의 청구범위의 범주는 그러한 변형물과 등가의 구성과 기능을 모두 포함하도록 광의로 해석되어야한다.
100: 자동 원고 급송 장치
403: 모터
404: 센서
405: 램프
406: 솔레노이드

Claims (11)

  1. 화상 형성 장치이며,
    기록재 상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어하는 상층 제어 수단과,
    상기 상층 제어 수단에 의해 제어되고, 화상 형성을 수행하기 위한 제1 및 제2 처리 수단을 각각 제어하는 제1 및 제2 하층 제어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상층 제어 수단은 미리결정된 통신 속도를 갖는 제1 신호선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하층 제어 수단에 접속되고,
    상기 제1 하층 제어 수단은 상기 제1 신호선보다 더 높은 통신 속도를 갖는 제2 신호선에 의해 상기 제1 처리 수단에 접속되고, 상기 제2 하층 제어 수단은 상기 제1 신호선보다 더 높은 통신 속도를 갖는 제3 신호선에 의해 상기 제2 처리 수단에 접속되는 화상 형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처리 수단과 상기 제1 하층 제어 수단은 일대일 방식으로 접속되는 화상 형성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처리 수단과 상기 제1 하층 제어 수단은 일대 다수 방식으로 접속되는 화상 형성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층 제어 수단과, 상기 제1 및 제2 하층 제어 수단과, 상기 제1 및 제2 처리 수단은, 상기 제1 및 제2 하층 제어 수단과 상기 제1 및 제2 처리 수단 사이의 거리가 상기 상층 제어 수단과 상기 제1 및 제2 하층 제어 수단 사이의 거리보다 더 짧아지도록 배치되는 화상 형성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신호선은 제어 영역 네트워크 통신 버스(control area network communication bus), 인터인테그레이티드 회로 통신 버스(inter-integrated circuit communication bus) 및 로컬 인터커넥트 네트워크 통신 버스(local interconnect network communication bus) 중 하나인 화상 형성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및 제3 신호선은 시리얼 통신 버스인 화상 형성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층 제어 수단은 상기 제1 신호선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하층 제어 수단에 버스 접속되는 화상 형성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층 제어 수단은 상기 제1 신호선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하층 제어 수단에 링 접속되는 화상 형성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층 제어 수단은 기록재를 급송하는 급송 기능을 제어하고, 상기 제2 하층 제어 수단은 기록재 상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기능을 제어하는 화상 형성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층 제어 수단은 레지스트레이션 롤러에 기록재를 급송하는 제어를 수행하고, 상기 제2 하층 제어 수단은 레지스트레이션 롤러에 급송된 기록재를 반송하고 상기 기록재 상에 화상을 형성하는 제어를 수행하는 화상 형성 장치.
  11. 화상 형성 장치이며,
    기록재 상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어하는 상층 제어 수단과,
    상기 상층 제어 수단에 의해 제어되고, 화상 형성을 수행하기 위한 제1 및 제2 처리 수단을 각각 제어하는 제1 및 제2 하층 제어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하층 제어 수단은 기록재를 급송하는 급송 기능을 제어하고 상기 제2 하층 제어 수단은 기록재 상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기능을 제어하고,
    상기 제1 하층 제어 수단은 레지스트레이션 롤러에 기록재를 급송하는 제어를 수행하고, 상기 제2 하층 제어 수단은 상기 레지스트레이션 롤러에 급송된 기록재를 반송하고 상기 기록재 상에 화상을 형성하는 제어를 수행하는 화상 형성 장치.
KR1020100021790A 2009-03-12 2010-03-11 화상 형성 장치 KR1014032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060115 2009-03-12
JP2009060115A JP5460084B2 (ja) 2009-03-12 2009-03-12 画像形成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3400A true KR20100103400A (ko) 2010-09-27
KR101403259B1 KR101403259B1 (ko) 2014-06-02

Family

ID=422867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1790A KR101403259B1 (ko) 2009-03-12 2010-03-11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576427B2 (ko)
EP (1) EP2228687A3 (ko)
JP (1) JP5460084B2 (ko)
KR (1) KR101403259B1 (ko)
CN (1) CN10183326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112012026233B8 (pt) 2010-04-13 2021-04-13 Varian Med Sys Inc sistema de tratamento por radiação
JP5539075B2 (ja) 2010-07-06 2014-07-02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
JP5882731B2 (ja) 2011-12-28 2016-03-09 キヤノン株式会社 入力表示装置、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印刷装置
JP6188395B2 (ja) * 2012-04-27 2017-08-3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位置の補正制御を行う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6039276B2 (ja) * 2012-07-09 2016-12-0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504931B2 (ja) 2014-07-09 2019-04-2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9815646B2 (en) 2015-05-20 2017-11-14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JP6677503B2 (ja) 2015-12-24 2020-04-0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17116720A (ja) 2015-12-24 2017-06-29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897126B2 (ja) * 2017-02-02 2021-06-30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システム及び画像形成装置
EP3552663B1 (en) * 2018-04-11 2020-12-30 Deutsches Krebsforschungszentrum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at least one collimator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08153A (ja) * 1987-02-25 1988-08-29 Hitachi Ltd 階層構造プロセツサシステム
JP2734533B2 (ja) 1988-07-12 1998-03-30 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5124748A (en) * 1990-10-10 1992-06-23 Fuji Xerox Co., Ltd. Picture image processing system
US5428714A (en) * 1990-11-16 1995-06-27 Seiko Epson Corporation Status and command function extension for industry standard printer interfaces
DE19838333A1 (de) 1998-08-24 2000-03-02 Bosch Gmbh Robert System zur Steuerung des Antriebs eines Fahrzeugs
JP4006132B2 (ja) * 1999-05-11 2007-11-1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データ転送方法および記録媒体
US7336380B2 (en) * 2001-02-13 2008-02-26 Heidelberger Druckmaschinen Ag Raster generation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raster data
JP2004237469A (ja) 2003-02-03 2004-08-26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DE10333932A1 (de) * 2003-07-25 2005-02-24 Robert Bosch Gmbh Synchronisation von datenverarbeitenden Einheiten
JP4480010B2 (ja) 2004-12-14 2010-06-16 株式会社Ihi 分散制御システム
JP2006256275A (ja) 2005-03-18 2006-09-28 Canon Inc 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6295610A (ja) * 2005-04-12 2006-10-26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4649271B2 (ja) * 2005-06-08 2011-03-09 キヤノン株式会社 制御装置
JP2007065462A (ja) * 2005-09-01 2007-03-15 Canon Inc 画像形成装置および該画像形成装置を含む情報処理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460084B2 (ja) 2014-04-02
JP2010213237A (ja) 2010-09-24
US20100231962A1 (en) 2010-09-16
US8576427B2 (en) 2013-11-05
CN101833261A (zh) 2010-09-15
EP2228687A2 (en) 2010-09-15
EP2228687A3 (en) 2015-07-01
KR101403259B1 (ko) 2014-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3259B1 (ko) 화상 형성 장치
US7136616B2 (en) Parallel printing architecture using image marking engine modules
JP2636441B2 (ja) 画像記録装置
EP1708043B1 (en) Parallel printing architecture with horizontally aligned printing modules
EP1582940B1 (en) Image fixing apparatus having two fixing unit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8774700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 image forming apparatus, an image processing method and a recording medium
US20110241289A1 (en) Medium conveyance apparatus which adopts distributed control system
JP5610799B2 (ja) 画像形成装置
JP4942151B2 (ja) 画像形成システム及び画像形成装置
JP4138135B2 (ja) コピーシートの移動制御方法
EP2690503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communication method
JP5676950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9141526A (ja) 制御システム及び割り込み方法
JP2009103832A (ja)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3619332B2 (ja) 画像形成装置
JPH0895422A (ja) 画像形成装置
JP5587064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5031382A (ja) 画像形成装置
JP2002296868A (ja) クリーニング部材移動制御方法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1104928A (ja) 画像形成装置
JP3624066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ビデオコントローラ基板
JP5151858B2 (ja) 画像形成装置システム
JP2000293069A (ja) 駆動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JPH10319675A (ja) 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2007072309A (ja) 制御装置、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