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94935A - 내연기관의 크랭크 케이스 구조 - Google Patents

내연기관의 크랭크 케이스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94935A
KR20100094935A KR1020100003868A KR20100003868A KR20100094935A KR 20100094935 A KR20100094935 A KR 20100094935A KR 1020100003868 A KR1020100003868 A KR 1020100003868A KR 20100003868 A KR20100003868 A KR 20100003868A KR 20100094935 A KR20100094935 A KR 201000949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nal combustion
crankcase
combustion engine
circumferential wall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38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57363B1 (ko
Inventor
노부타카 호리이
류지 츠치야
준지 아이하라
가즈오 사토
Original Assignee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949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49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73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73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9/00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V19/001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the light sources being semiconductors devices, e.g. LEDs
    • F21V19/003Fastening of light source holders, e.g. of circuit boards or substrates holding light sources
    • F21V19/0035Fastening of light source holders, e.g. of circuit boards or substrates holding light sources the fastening means being capable of simultaneously attaching of an other part, e.g. a housing portion or an optical compon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1/00Screens not covered by groups F21V1/00, F21V3/00, F21V7/00 or F21V9/00
    • F21V11/08Screens not covered by groups F21V1/00, F21V3/00, F21V7/00 or F21V9/00 using diaphragms containing one or more aper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03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2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decorative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5/00Planar light sources
    • F21Y2105/10Planar light sources comprising a two-dimensional array of point-like light-generating elements
    • F21Y2105/14Planar light sources comprising a two-dimensional array of point-like light-gener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overall shape of the two-dimensional array
    • F21Y2105/18Planar light sources comprising a two-dimensional array of point-like light-gener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overall shape of the two-dimensional array annular; polygonal other than square or rectangular, e.g. for spotlights or for generating an axially symmetrical light bea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62/00Illumination
    • Y10S362/80Light emitting di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ylinder Crankcase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크랭크 케이스의 통상 둘레 벽의 두께를 제한하여 중량 증가를 억제하고, 또한 필요한 강성 및 강도를 확보할 수 있는 내연기관의 크랭크 케이스 구조를 제공한다.
크랭크 케이스의 측벽(31Rw)으로부터 크랭크축 방향 외측으로 통상 둘레 벽(31c)을 연장하여 형성되며, 통상 둘레 벽(31c)의 개구를 케이스 커버(77)가 덮고, 통상 둘레 벽(31c)에 형성되는 엔진 행거(18)를 차체 프레임에 연결하여 지지되는 내연기관의 크랭크 케이스 구조에 있어서, 통상 둘레 벽(31c)의 개구 단면을 따라 환상을 이루고 직경방향으로 두껍게 형성된 케이스 보강 부재(78)가, 엔진 행거(18)와 일부 겹쳐지도록 통상 둘레 벽(31c)의 개구 단면에 고착되는 내연기관의 크랭크 케이스 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내연기관의 크랭크 케이스 구조 {CRANK CASE STRUCTURE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
본 발명은, 내연기관의 크랭크 케이스 구조에 관한 것이다.
내연기관의 크랭크 샤프트를 측벽에서 축 지지하는 크랭크 케이스가, 측벽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크랭크 샤프트에 설치되는 AC 제너레이터 등의 기기를 둘러싸도록 측벽으로부터 크랭크축 방향 외측으로 통상(筒狀) 둘레 벽이 연장되어 형성되는 예가 여러 가지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특허문헌1]일본국특허공개2005-233012호공보 상기특허문헌1에서는,크랭크케이스의측벽으로부터연장되는통상둘레벽은,AC제너레이터를둘러싸는것과더불어,크게개구하는개구단부에AC제너레이터로부터외측으로배치되는라디에이터가부착되어지지된다.
통상 둘레 벽의 크게 개구하는 개구 단부가, 라디에이터를 부착하여 지지하는데 필요한 강성 및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 통상 둘레 벽의 두께를 두껍게 하는 등으로 하여 대응함으로써, 내연기관의 중량이 증가하였다.
또, 내연기관이 크랭크 케이스에 돌출 설치된 엔진 행거를 통해 차체 프레임에 지지되는 경우는, 크랭크 케이스의 통상 둘레 벽의 힘이 집중되는 엔진 행거의 부착 부분의 강도를 확보할 필요로부터 상기 부분의 두께를 두껍게 하는 등으로 하여, 내연기관의 중량이 더 증가하였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것은, 크랭크 케이스의 통상 둘레 벽의 두께를 제한하여 중량 증가를 억제하고, 또한 필요한 강성 및 강도를 확보할 수 있는 내연기관의 크랭크 케이스 구조를 제공하는 점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크랭크 샤프트를 측벽에서 축 지지하는 크랭크 케이스가, 상기 측벽으로부터 크랭크축 방향 외측으로 통상 둘레 벽을 연장하여 형성되며, 상기 통상 둘레 벽의 개구를 케이스 커버가 덮고, 상기 통상 둘레 벽에 형성되는 엔진 행거를 차체 프레임에 연결하여 지지되는 내연기관의 크랭크 케이스 구조에 있어서, 상기 통상 둘레 벽의 개구 단면을 따라 환상(環狀)을 이루고 직경방향으로 두껍게 형성된 케이스 보강 부재가, 상기 엔진 행거와 일부 겹쳐지도록 상기 통상 둘레 벽의 개구 단면에 고착되는 내연기관의 크랭크 케이스 구조로 하였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내연기관의 크랭크 케이스 구조에 있어서, 상기 내연기관은, 유닛 스윙식 내연기관이고, 상기 엔진 행거는 피벗축을 통해 차체 프레임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내연기관의 크랭크 케이스 구조에 있어서, 상기 통상 둘레 벽의 개구단에 부분적으로 결손된 오목부를 갖고, 환상을 한 상기 케이스 보강 부재는, 상기 통상 둘레 벽의 개구 단면에 상기 오목부에 걸쳐져 고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내연기관의 크랭크 케이스 구조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보강 부재는, 크랭크 케이스의 옆쪽에 배치되는 라디에이터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에 기재된 내연기관의 크랭크 케이스 구조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 내에는, 상기 통상 둘레 벽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케이블 등을 통과시키는 그로밋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내연기관의 크랭크 케이스 구조에 의하면, 크랭크 케이스의 측벽으로부터 크랭크축 방향 외측으로 연장된 통상 둘레 벽의 개구 단면을 따라 환상을 이루고 직경방향으로 두껍게 형성된 케이스 보강 부재가, 엔진 행거와 일부 겹쳐지도록 통상 둘레 벽의 개구 단면에 고착되므로, 크랭크 케이스의 통상 둘레 벽의 두께를 제한하여 중량 증가를 억제하면서 직경방향으로 두껍게 형성된 케이스 보강 부재에 의해 엔진 행거의 부착 부분의 필요한 강성 및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내연기관의 크랭크 케이스 구조에 의하면, 내연기관이 유닛 스윙식 내연기관이고, 엔진 행거는 피벗축을 통해 차체 프레임에 연결되므로, 크랭크 케이스의 특히 엔진 행거의 부착 부분에는 응력이 집중되지만, 직경방향으로 두껍게 형성된 케이스 보강 부재가 엔진 행거와 일부 겹쳐짐으로써, 엔진 행거의 부착 부분의 강도를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내연기관의 크랭크 케이스 구조에 의하면, 통상 둘레 벽의 개구단에 부분적으로 결손된 오목부를 가져도, 환상을 한 케이스 보강 부재는, 상기 오목부에 걸쳐져 통상 둘레 벽의 개구 단면에 고착되므로, 통상 둘레 벽을 두껍게 하지 않고 케이스 보강 부재에 의해 오목부의 확대·축소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내연기관의 크랭크 케이스 구조에 의하면, 케이스 보강 부재가 크랭크 케이스의 옆쪽에 배치되는 라디에이터를 지지하므로, 라디에이터의 설계 변경이 있었던 경우여도 단순한 환상 구조의 케이스 보강 부재의 변경으로 대응할 수 있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내연기관의 크랭크 케이스 구조에 의하면, 상기 오목부 내에는, 상기 통상 둘레 벽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케이블 등을 통과시키는 그로밋이 배치되므로, 케이스 내의 AC 제너레이터 등의 전기 기기로부터 연장되는 케이블을 용이하게 외부로 인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따른 스쿠터형 자동 이륜차의 전체 측면도이다.
도 2는 파워 유닛의 전체 측면도이다.
도 3은 상기 파워 유닛의 단면도(도 2의 Ⅲ-Ⅲ선 단면도)이다.
도 4는 우측 크랭크 케이스의 우측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V 화살표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6은 케이스 보강 부재의 우측면도이다.
도 7은 팬 커버의 우측면도이다.
도 8은 도 4의 우측 크랭크 케이스, 도 6의 케이스 보강 부재 및 도 7의 팬 커버와 라디에이터의 Ⅷ-Ⅷ선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 9는 우측 크랭크 케이스와 케이스 보강 부재를 체결하고, 팬 커버와 라디에이터를 결합한 상태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 10은 우측 크랭크 케이스와 케이스 보강 부재와 팬 커버와 라디에이터를 합체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상기 상태의 도 4의 V 화살표 방향에서 본 도면과 같은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12는 다른 실시 형태의 우측 크랭크 케이스와 팬 커버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 13은 우측 크랭크 케이스와 팬 커버를 합체한 상태의 우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한 실시 형태에 대해 도 1 내지 도 11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한 실시 형태에 따른 스쿠터형 자동 이륜차(1)의 측면도이다.
차체 전부(1f)와 차체 후부(1r)가, 낮은 플로어부(1c)를 통해 연결되어 있고, 차체의 골격을 이루는 차체 프레임은, 대체로 다운 튜브(3)와 메인 파이프(4)로 이루어진다.
즉 차체 전부(1f)의 헤드 파이프(2)로부터 다운 튜브(3)가 아래쪽으로 연장되고, 상기 다운 튜브(3)는 하단에서 수평으로 굴곡하여 플로어부(1c)의 아래쪽을 뒤쪽으로 연장하며, 그 후단에 있어서 좌우 한 쌍의 메인 파이프(4)가 연결되고, 메인 파이프(4)는 상기 연결부로부터 비스듬히 뒤쪽으로 기립하여 소정 높이로 수평으로 굴곡하여 뒤쪽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기 메인 파이프(4)에 의해 연료 탱크(5) 등이 지지되고, 그 위쪽에 시트(6)가 배치되어 있다.
한편 차체 전부(1f)에 있어서는, 헤드 파이프(2)에 축 지지되어 위쪽으로 핸들(11)이 설치되고, 아래쪽으로 프론트 포크(12)가 연장되어 그 하단에 전륜(13)이 축 지지되어 있다.
메인 파이프(4)의 경사부의 중앙 부근에 브래킷(15)이 돌출 설치되고, 상기 브래킷(15)에 링크 부재(16)를 통해 파워 유닛(20)이 요동 가능하게 연결 지지되어 있다.
파워 유닛(20)은, 그 전부가 단기통 4스트로크의 수냉식 내연기관(30)이며, 실린더 블록(32)을 대략 수평에 가까운 상태로까지 크게 앞쪽으로 기울인 자세에 있어서, 그 크랭크 케이스(31)의 상단으로부터 앞쪽으로 돌출된 엔진 행거(18)의 단부가 상기 링크 부재(16)에 피벗축(피벗 지지)(19)을 통해 연결되어 있다.
파워 유닛(20)은 상기 내연기관(30)으로부터 뒤쪽에 걸쳐 벨트식 무단 변속기(80)가 구성되고, 그 후부에 설치된 감속 기어 기구(110)의 출력축인 후차축(115)에 후륜(21)이 설치되어 있다.
이 감속 기어 기구(110)가 있는 파워 유닛(20)의 후부에 세워져 설치된 지지 브래킷(29)과 상기 메인 파이프(4)의 후부 사이에 리어 쿠션(22)이 끼워져 장착되어 있다.
파워 유닛(20)의 측면도인 도 2를 참조하여, 파워 유닛(20)의 상부에서는, 내연기관(30)의 크게 앞쪽으로 기울어진 실린더 헤드(33)의 상부로부터 흡기관(23)이 연장되어 뒤쪽으로 만곡하고, 상기 흡기관(23)에 접속된 스로틀 바디(25)가 실린더 블록(32)의 위쪽에 위치하며, 상기 스로틀 바디(25)에 연결관(23C)을 통해 연결되는 에어클리너(26)가 브래킷(29)의 앞쪽에서 벨트식 무단 변속기(80)의 위쪽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흡기관(23)에는 흡기 포트를 향해 연료를 분사하는 인젝터(24)가 장착되어 있다.
한편, 실린더 헤드(33)의 하부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된 배기관(27)은, 뒤쪽으로 굴곡하고 우측으로 치우쳐 뒤쪽으로 연장되어 후륜(21)의 우측 머플러(도시 생략)에 접속된다.
차체 전부(1f)는, 프론트 커버(9a)와 레그 실드(9b)에 의해 전후로부터 덮여지고 프론트 로어 커버(9c)에 의해 하부를 앞쪽으로부터 좌우 옆쪽에 걸쳐 덮여지며, 핸들(11)의 중앙부는 핸들 커버(9d)에 의해 덮여진다.
플로어부(1c)는 사이드 커버(9e)에 의해 덮여지고, 또 차체 후부(1r)는 좌우 옆쪽으로부터 바디 커버(10)에 의해 덮여진다.
도 3은 파워 유닛(20)의 단면도(도 2의 Ⅲ-Ⅲ선 단면도)이다.
내연기관(30)은, 실린더 블록(32)의 실린더 라이너(32l) 내를 왕복 이동하는 피스톤(42)과 크랭크 샤프트(40)의 크랭크 핀(40p)을 커넥팅 로드(43)가 연결하고 있다.
크랭크 케이스(31)는, 좌우 분할의 좌측 크랭크 케이스(31L)와 우측 크랭크 케이스(31R)를 합체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우측 크랭크 케이스(31R)는, 크랭크 케이스부의 반체(半體)를 이루고, 좌측 크랭크 케이스(31L)는, 전부가 크랭크 케이스부의 반체를 이룸과 더불어, 뒤쪽으로 팽출하여 전후에 장척의 벨트식 무단 변속기(80)를 수용하는 전동 케이스를 겸한다.
이 전동 케이스(좌측 크랭크 케이스)(31L)의 전후 장척의 좌측 개방면은, 전동 케이스 커버(81)에 의해 덮여지고, 내부에 벨트식 무단 변속기(80)가 수납되는 변속실(80c)이 형성되며, 후부의 우측 개방면은 감속 기어 커버(111)에 의해 덮여지고, 내부에 감속 기어 기구(110)가 수납되는 감속 기어실(110C)이 형성된다.
도 3을 참조하여, 좌측 크랭크 케이스(31L)의 전부와 우측 크랭크 케이스(31R)의 합체에 의한 소위 크랭크 케이스 내에는, 크랭크 샤프트(40)가 좌우 크랭크 케이스(31L, 31R)의 각 측벽에 좌우의 구름 베어링인 주베어링(41, 41)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크랭크 샤프트(40)의 좌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외측 축부 중 오른쪽 외측 축부에는 캠 체인 구동 스프로킷(44)과 오일 펌프 구동 기어(45)가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끼워져 장착됨과 더불어, 우단에 AC 제너레이터(70)가 설치되고, 왼쪽 외측 축부에는 벨트식 무단 변속기(80)의 원심 웨이트(82)와 구동 풀리(85)가 설치된다.
본 4사이클 내연기관(30)은, SOHC 형식의 밸브 시스템을 채용하고 있으며, 실린더 헤드 커버(34) 내에는 동작밸브 기구(50)가 설치되고, 상기 동작밸브 기구(50)에 동력 전달을 행하는 캠 체인(51)이 캠 샤프트(53)와 크랭크 샤프트(40)의 사이에 가설(架設)되어 있으며, 그것을 위한 캠 체인실(52)이, 우측 크랭크 케이스(31R), 실린더 블록(32), 실린더 헤드(33)에 연통하여 설치되어 있다(도 3 참조).
즉 좌우 수평 방향을 지향한 캠 샤프트(53)의 우단에 끼워져 장착된 캠 체인 피동 스프로킷(55)과, 크랭크 샤프트(40)에 끼워져 장착된 상기 캠 체인 구동 스프로킷(44)의 사이에 캠 체인(51)이 캠 체인실(52) 내를 통해 걸쳐져 있다.
캠 샤프트(53)는, 실린더 헤드(33)의 좌측벽과 캠 체인실(52)을 구성하는 내측벽에 베어링(53b, 53b)을 통해 캠 샤프트 홀더(54l, 54r) 사이에 끼워져 회전 가능하게 축 지지되고, 우측의 베어링(53b)으로부터 돌출된 우단에 캠 체인 피동 스프로킷(55)이 끼워져 장착되어 있다.
캠 샤프트(53)의 흡기 캠면과 배기 캠면에 흡기 로커 아암(56)과 배기 로커 아암(57)의 단부의 각 롤러가 접한다.
실린더 헤드(33)와 실린더 헤드 커버(34)의 우측면에는 양자의 맞댐면에 있어서 원형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원형 개구에 환상의 시일링 링 부재(128)가 끼워져 장착되어 있으며, 워터 펌프(120)의 원통 형상을 한 워터 펌프 바디(121)가 상기 시일링 링 부재(128)에 수밀하게 끼워져 지지되어 있다.
워터 펌프(120)의 펌프 구동축(123)은 캠 샤프트(53)의 우단에 동축으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실린더 헤드(33)에 있어서 캠 체인실(52)과 반대측(좌측)으로부터 연소실(35)을 향해 점화 플러그(36)가 끼워져 삽입되어 있다(도 2, 도 3 참조).
도 4를 참조하여, 우측 크랭크 케이스(31R)의 캠 체인실(52)을 구성하는 측벽(31Rw)에는 원형 개구(31Rh)를 갖고, 상기 원형 개구(31Rh)는 오른쪽으로부터 볼트(66)에 의해 부착되는 격벽(65)에 의해 폐색되며, 격벽(65)의 원통부(65a)를 크랭크 샤프트(40)가 관통하고 있다.
AC 제너레이터(70)는, 격벽(65)의 원통부(65a)를 관통한 크랭크 샤프트(40)의 우단부에 ACG 보스(71)를 통해 보울형상의 아우터 로터(72)가 고착되고, 그 내주면에 둘레방향에 걸쳐 배치되는 자석 72m의 내측에 스테이터 코일(73c)이 감겨진 인너 스테이터(73)가 격벽(65)의 원통부(65a)에 볼트(67)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아우터 로터(72)의 우측면에는 중앙이 팽출하여 원판형상을 한 팬 기판(74a)이 부착되어 있고, 팬 기판(74a)에는 우측으로 돌출되어 복수의 라디에이터 팬(74)이 형성되어 있다.
AC 제너레이터(70)의 아우터 로터(72)의 외주는, 우측 크랭크 케이스(31R)의 측벽(31Rw)으로부터 오른쪽으로 연장된 통상 둘레 벽(31c)에 대체로 둘러싸여지고, 라디에이터 팬(74)의 외주는 케이스 커버인 팬 커버(77)에 의해 둘러싸여지며, 라디에이터 팬(74)의 오른쪽에는 라디에이터(75)가 근접하여 설치되고, 라디에이터(75)는 루버가 부착된 라디에이터 커버(76)로 덮여져 있다.
한편, 파워 유닛(20)의 좌측의 벨트식 무단 변속기(80)에 있어서의 크랭크 샤프트(40)의 왼쪽 외측 축부에 설치되는 구동 풀리(85)는, 크랭크 샤프트(40)의 좌단 근방에 끼워져 장착되는 고정 풀리 반체(85s)와 이것과 우측에서 대향하여 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가동 풀리 반체(85d)로 이루어지며, 가동 풀리 반체(85d)의 배후(우측)에서 크랭크 샤프트(40)에 고착된 가이드 플레이트(83)와 가동 풀리 반체(85d)의 사이에 원심 웨이트(82)가 직경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끼워져 있다.
이 구동 풀리(85)의 뒤쪽에 있어서 감속 기어 기구(110)의 입력축인 종동축(101)에 회전 가능하게 축 지지되는 피동 풀리(90)는, 고정 풀리 반체(90s)와 이것과 좌측에서 대향하여 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가동 풀리 반체(90d)로 이루어진다.
종동축(101)에는, 고정 풀리 지지 슬리브(92)가 축 방향의 이동이 규제되어 베어링(91)을 통해 상대 회전 가능하게 축 지지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 풀리 지지 슬리브(92)의 우단 플랜지부에 상기 고정 풀리 반체(90s)가 중심구멍이 용접되어 일체로 고착되어 있다.
이 고정 풀리 지지 슬리브(92)의 외주에는, 가동 풀리 지지 슬리브(93)가 외장되고, 가동 풀리 지지 슬리브(93)에 축 방향으로 장척으로 형성된 긴 구멍(93h)에 고정 풀리 지지 슬리브(92)에 돌출 설치된 가이드 핀(94)이 끼워 맞춰지며, 가동 풀리 지지 슬리브(93)는 고정 풀리 지지 슬리브(92)에 대해 축 방향으로 상대 이동할 수 있지만, 상대 회전은 규제되어 있다.
이 가동 풀리 지지 슬리브(93)의 우단 플랜지부에 상기 가동 풀리 반체(90d)가 중심구멍이 용접되어 일체로 고착되어 있다.
따라서, 가동 풀리 반체(90d)는, 고정 풀리 반체(90s)에 대해 모두 회전하지만, 축 방향으로 이동하여 접근하거나 떨어지거나 할 수 있다.
고정 풀리 지지 슬리브(92)의 좌단에 원심 클러치(100)의 클러치 인너(102)인 지지 플레이트(102a)가 너트(96)에 의해 고정되어 있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102a)와 가동 풀리 반체(90d)의 사이에 코일 스프링(95)이 끼워져 장착되며, 상기 코일 스프링(95)에 의해 가동 풀리 반체(90d)는 오른쪽으로 탄성 가압되어 있다.
벨트식 무단 변속기(80)는, 구동 풀리(85)와 피동 풀리(90)에 V 벨트(89)가 걸쳐져 동력이 전달되는 것으로, 기관 회전수에 따라 가이드 플레이트(83)에 의해 안내되어 직경방향으로 이동하는 원심 웨이트(82)에 의해 가동 풀리 반체(85d)가 고정 풀리 반체(85s)에 대해 이동하여 구동 풀리(85)에 있어서의 V 벨트(89)의 감김 직경이 변화하고, 이것에 따라 동시에 피동 풀리(90)에 있어서의 감김 직경이 변화함으로써 변속비가 자동적으로 변경되어 무단 변속된다.
원심 클러치(100)는, 클러치 인너(102)의 외주를 덮는 보울형상을 한 클러치 아우터(105)가 종동축(101)의 좌단 근방에 너트(106)에 의해 베이스부가 고착되어 설치되어 있고, 클러치 인너(102)의 지지 플레이트(102a)에 스프링(102e)에 탄성 가압되어 지지 축(102b)에 요동 가능하게 축 지지된 아암(102c) 선단의 클러치 슈(102d)가 클러치 아우터(105)의 내주면에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원심 클러치(100)의 클러치 인너(102)는, 벨트식 무단 변속기(80)의 무단 변속된 피동 풀리(90)와 일체로 회전하므로, 소정 회전수를 넘으면, 클러치 인너(102)의 아암(102c)이 스프링(102e)에 저항해 요동하고 클러치 슈(102d)를 클러치 아우터(105)의 내주면에 접하여 클러치 아우터(105)를 일체로 회전시켜, 종동축(101)에 동력을 전달한다.
종동축(101)은, 전동 케이스(31L)와 전동 케이스 커버(81)에 베어링(107, 108)을 통해 지지됨과 더불어, 전동 케이스(31L)의 후부 우측의 감속 기어실(110C) 내에 삽입된 우단이 감속 기어 커버(111)에 베어링(101b)을 통해 지지되어 있다.
감속 기어실(110C) 내의 감속 기어 기구(110)는, 종동축(101)과 후차축(115)의 사이에 감속 중간축(112)이, 서로 평행(좌우 수평 방향)을 지향하여 전동 케이스(31L)와 감속 기어 커버(111)에 베어링(112b, 112b)을 통해 가설 축 지지되어 있다.
감속 기어 커버(111)에 끼워져 장착된 중간 대경 기어(113)가 종동축(101)에 형성된 소경 기어(101g)와 맞물려 있다.
후차축(115)은, 전동 케이스(31L)와 감속 기어 커버(111)에 베어링(115b, 115b)을 통해 축 지지되어 오른쪽으로 돌출되어 있고, 감속 기어실(110C) 내의 좌측 베어링(115b)을 따른 후차축(115)의 좌단 근방에 끼워져 장착된 후차축 대경 기어(114)가, 감속 중간축(112)에 형성된 소경 기어(112g)와 맞물려 있다.
후차축(115)의 감속 기어 커버(111)로부터 오른쪽으로 돌출된 부분에 후륜(21)이 끼워져 장착된다.
따라서, 종동축(101)의 회전은, 감속 기어 기구(110)의 소경 기어(101g)와 중간 대경 기어(113)의 맞물림 및 소경 기어(112g)와 후차축 대경 기어(114)의 맞물림을 통해 감속되고 후차축(115)에 전달되어 후륜(21)이 회전된다.
변속기실(80c)을 좌측으로부터 덮는 전동 케이스 커버(81)는, 앞쪽의 구동 풀리(85)로부터 뒤쪽의 원심 클러치(100)까지를 덮고 있으며, 상기 전동 케이스 커버(81)의 전부에 킥 시동 기구(180)가 설치되어 있다.
전동 케이스 커버(81)의 중앙보다 약간 앞쪽으로 킥축(181)이 회동 가능하게 관통 지지되어 있으며, 상기 킥축(181)의 내측 단부에는 구동 헬리컬 기어(182)가 끼워져 장착되고, 크랭크 샤프트(40)와 동축으로 회전 또한 축 방향의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된 슬라이딩축(183)에 형성된 피동 헬리컬 기어(183g)에 구동 헬리컬 기어(182)가 맞물려 있다.
슬라이딩축(183)의 우단에는 래칫 휠(184)이 고착되고, 한 쪽의 크랭크 샤프트(40)측에는 래칫 휠(184)에 대향하여 래칫(185)이 끼워져 장착되어 있으며, 양자는 슬라이딩축(183)의 슬라이딩으로 접리(接離) 가능하다.
킥축(181)의 외측 돌출부에는 킥 아암(186)의 기단이 끼워져 장착되고, 상기 킥 아암(186)의 선단에 킥 페달(187)이 설치된다.
따라서, 킥 페달(187)이 밟혀져, 킥 아암(186)을 통해 킥축(181)이 회전하면, 킥축(181)과 일체로 구동 헬리컬 기어(182)가 회전하고, 이것과 맞물리는 피동 헬리컬 기어(183g)가 슬라이딩축(183)과 일체로 회전하면서 오른쪽으로 슬라이딩하여, 래칫 휠(184)이 래칫(185)과 맞물려 크랭크 샤프트(40)를 강제적으로 회전시켜 내연기관(30)을 시동할 수 있다.
본 내연기관(30)의 우측 크랭크 케이스(31R)의 우측면도를 도 4에, 도 4의 V 화살표 방향에서 본 도면을 도 5에 도시하고, 도 4의 우측 크랭크 케이스(31R)의 Ⅷ-Ⅷ선 단면도를 도 8에 도시하고 있다.
우측 크랭크 케이스(31R)의 주베어링(41)을 지지하는 측벽(31Rw)에는, 주베어링(41)의 아우터 레이스를 환상 고정 부재(41c)를 통해 끼워 장착하는 원형 개구(31Rh)가 형성되어 있다(도 8 참조).
상기 측벽(31Rw)의 우측면에 있어서 측벽(31Rw)의 둘레 가장자리부 근방으로부터 크랭크축 방향의 오른쪽으로 측면에서 볼 때 변형 타원 형상을 한 통상 둘레 벽(31c)이 연장되어 있다.
이 오른쪽으로 연장된 통상 둘레 벽(31c)과 원형 개구(31Rh)의 사이에 세로로 긴 대략 타원 형상을 한 환상 테두리벽(31f)이 통상 둘레 벽(31c)보다 낮은 높이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환상 테두리벽(31f) 내에서 원형 개구(31Rh)보다 아래쪽으로 오일 펌프의 오일 펌프 바디(141)가 형성되어 있다.
이 환상 테두리벽(31f)에 덮이도록 격벽(65)이 씌워져 볼트(66)로 주위가 체결되어 내부에 캠 체인실(52)이 구성된다(도 3 참조).
우측 크랭크 케이스(31R)의 측벽(31Rw)의 좌측 크랭크 케이스(31L)와의 맞댐면측(좌측)의 둘레 가장자리부는, 우측으로 연장되는 통상 둘레 벽(31c)으로부터 직경방향 외측에 있고, 좌측 크랭크 케이스(31L)와의 체결에 이용하는 볼트 보스부(31Ra)가 엔진 행거(18)를 사이에 두고 양측 및 그 밖의 소정 개소에 복수 형성되어 있다.
크게 오른쪽으로 개구하는 통상 둘레 벽(31c)은, 실린더 블록(32)이 부착되는 측의 개구단에 부분적으로 결손된 오목부(31v)가 형성되어 있고, 통상 둘레 벽(31c)의 환상으로 연속된 개구 단면은 오목부(31v)에서 절단 개방되어 있다.
이 통상 둘레 벽(31c)의 개구 단면을 따라 오목부(31v)의 위쪽 위치(전부 위쪽 위치)에 상기 엔진 행거(18)가, 외측으로 크게 팽출하도록 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 도 4를 참조하여, 통상 둘레 벽(31c)의 외주위(外周圍)로 팽출하여 암나사 구멍을 구비하는 볼트 보스부(A11∼A17)가 7개 형성되어 있다.
그 중 2개의 볼트 보스부(A11, A12)는, 오목부(31v)의 상하에서 통상 둘레 벽(31c)의 오목부(31v)에서 절단된 양단부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부의 통상 둘레 벽(31c)으로부터 위쪽으로 떨어져 측벽(31Rw)의 상단 부분에 2개의 볼트 보스부(A18, A19)가 전후로 형성되어 있다.
이 볼트 보스부(A18, A19)는, 측벽(31Rw)으로부터 오른쪽으로 연장되고, 통상 둘레 벽(31c)의 개구 단면과 동일면에 단면을 갖는다.
이 통상 둘레 벽(31c)의 개구 단면에는, 주조 성형된 알루미늄 합금제의 케이스 보강 부재(78)를 통해 부착되는 라디에이터(75)와 케이스 보강 부재(78)의 사이에 끼워져 장착되는 합성 수지제의 팬 커버(77)가 내부의 라디에이터 팬(74)을 둘러싼다.
도 4, 도 5의 2점 쇄선 및 도 6을 참조하여, 케이스 보강 부재(78)는, 통상 둘레 벽(31c)의 개구 단면을 따라 환상을 이루고, 통상 둘레 벽(31c)의 두께보다 직경방향으로 두껍게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 보강 부재(78)는, 크랭크축 방향의 폭 길이가 일정한 판형상을 이루고, 일부 볼트 보스 돌기부(C11∼C14)가 돌출되어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경방향으로 두껍게 형성된 환상의 케이스 보강 부재(78)는, 전부 위쪽 부분이 직경방향 내측으로 원호형상으로 패인 오목형상 원호부(78a)를 갖고, 도 4에 2점 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우측 크랭크 케이스(31R)의 통상 둘레 벽(31c)의 전부 위쪽 위치로 팽출한 엔진 행거(18)의 부착 부분에 케이스 보강 부재(78)의 오목형상 원호부(78a)가 겹쳐진다.
도 6을 참조하여, 환상의 케이스 보강 부재(78)에는, 상기 통상 둘레 벽(31c)의 외주위로 팽출하여 형성된 7개의 볼트 보스부(A11∼A17)와 측벽(31Rw)의 상단 부분의 2개의 볼트 보스부(A18, A19)의 합계 9개의 볼트 보스부(A11∼A19)에 각각 대응하는 개소에 볼트 관통구멍을 구비하는 볼트 보스부(A21∼A29)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볼트 보스부(A11)에 대응하는 케이스 보강 부재(78)의 앞쪽의 볼트 보스부(A21)의 위쪽, 볼트 보스부(A24)의 앞쪽, 볼트 보스부(A25)의 뒤쪽 및 볼트 보스부(A28)의 후방 아래쪽에, 각각 크랭크축 방향 외측(오른쪽)으로 돌출하여 암나사 구멍을 구비하는 볼트 보스 돌기부(C11∼C14)가 형성되어 있다.
4개의 볼트 보스 돌기부(C11∼C14)는 돌출량이 같고 선단면은 동일면 상에 있다.
우측 크랭크 케이스(31R)의 통상 둘레 벽(31c)의 개구 단면에, 케이스 보강 부재(78)를 접촉하여 맞대고, 통상 둘레 벽(31c)의 9개의 볼트 보스부(A11∼A19)와 케이스 보강 부재(78)의 9개의 볼트 보스부(A21∼A29)의 각 9개소를 체결 볼트(60)로 체결하여, 우측 크랭크 케이스(31R)의 통상 둘레 벽(31c)의 개구 단면에 케이스 보강 부재(78)를 부착한다(도 8, 도 9 참조).
한편, 합성 수지제의 팬 커버(77)는,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내측(케이스 보강 부재(78)측)이 케이스 보강 부재(78)를 따라 환상으로 형성되고, 그 주위 3개소에 라디에이터(75)의 리벳 보스부(D21∼D23)에 각각 대응하는 리벳 보스부(D11∼D13)가 형성됨과 더불어, 라디에이터(75)에 대향하는 외측이 라디에이터(75)에 맞대어져 직사각형 틀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전후의 평행한 수직벽(77w, 77w)이 라디에이터(75)를 사이에 두도록 하여 위치 결정한다.
라디에이터(75)를 위치 결정하여 내측(좌측)으로부터 맞대어진 팬 커버(77)의 리벳 보스부(D11∼D13)와 라디에이터(75)의 리벳 보스부(D21∼D23)의 각 3개소를 리벳(62)으로 체결하여 팬 커버(77)를 라디에이터(75)의 내측에 부착한다(도 8, 도 9 참조).
팬 커버(77)가 부착된 라디에이터(75)는, 팬 커버(77)로부터 외측으로 비어져 나와 상측 라디에이터 탱크(75u)로부터 위쪽으로 볼트 관통구멍을 구비하는 브래킷(C21, C24)이 돌출 설치되고, 하측 라디에이터 탱크(75l)로부터 아래쪽으로 브래킷(C22, C23)이 돌출 설치되어 있으며(도 7의 2점 쇄선을 참조), 라디에이터(75)를 팬 커버(77)에 끼워 삽입하면, 라디에이터(75)의 위쪽 2개의 브래킷(C21, C24)은 팬 커버(77)의 상측 벽(77u)의 상면을 따라 전후로 상측 벽(77u)보다 위쪽으로 돌출되고, 아래쪽 2개의 브래킷(C22, C23)은 팬 커버(77)의 하측 벽(77l)의 하면을 따라 전후로 하측 벽(77l)보다 아래쪽으로 돌출된다.
라디에이터(75)에 부착된 팬 커버(77)가 상기 케이스 보강 부재(78)에 맞대어지면, 케이스 보강 부재(78)의 크랭크축 방향 외측(오른쪽)으로 돌출된 4개의 볼트 보스 돌기부(C11∼C14)는, 팬 커버(77)의 외주를 둘러싸도록 하여 팬 커버(77)의 상하 측벽(77u, 77l)의 외측면을 따라 돌출하여 라디에이터(75)의 브래킷(C21∼C24)에 접촉한다.
이 케이스 보강 부재(78)의 4개의 볼트 보스 돌기부(C11∼C14)에 라디에이터(75)의 브래킷(C21∼C24)을 볼트(61)에 의해 체결하여 케이스 보강 부재(78)에 라디에이터(75)를 부착한다(도 9, 도 10 참조).
따라서, 라디에이터(75)는, 케이스 보강 부재(78)에 직접 부착된다.
또한, 라디에이터(75)의 크랭크축 방향 외측(우측)은, 라디에이터 커버(76)가 씌워진다.
이상과 같이, 우측 크랭크 케이스(31R)의 AC 제너레이터(70)의 주위를 덮는 비교적 얇은 통상 둘레 벽(31c)으로 팽출하여 형성되는 엔진 행거(18)의 부착 부분에, 통상 둘레 벽(31c)의 두께보다 직경방향으로 두껍게 형성되어 있는 알루미늄 합금제의 케이스 보강 부재(78)의 오목형상 원호부(78a)가 겹쳐져 고착되므로, 유닛 스윙식 내연기관(파워 유닛(20))의 특히 응력이 집중되는 엔진 행거(18)의 부착 부분의 필요한 강성 및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또,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스 보강 부재(78)(도 4에서 2점 쇄선)는 우측 크랭크 케이스(31R)의 통상 둘레 벽(31c)에 형성된 오목부(31v)를 걸치어, 오목부(31v)의 상하 부위(볼트 보스부(A11, A12))가 체결 볼트(60)에 의해 고착되므로, 통상 둘레 벽(31c)을 두껍게 하지 않고 케이스 보강 부재(78)에 의해 오목부(31v)의 확대·축소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이 오목부(31v)는, 우측 크랭크 케이스(31R)의 통상 둘레 벽(31c)에 우단으로부터 왼쪽 캠 체인실(52)측으로 직사각형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오목부(31v)의 캠 체인실(52)에 인접한 바닥부에 또한 반원호형상으로 홈부(31w)가 2개소 나란히 형성되어 있다(도 4, 도 5 참조).
이 2개의 홈부(31w, 31w)에 각각 그로밋(67, 67)이 끼워 넣어지고, 상기 그로밋(67)을 AC 제너레이터(70)로부터 연장되는 코드(68)가 관통한다(도 11 참조).
상기 팬 커버(77)의 내측의 케이스 보강 부재(78)를 따라 형성된 환상부의 일부가 오목부(31v)를 향해 내측 연장부(77a)가 직사각형으로 연장되어 있고, 팬 커버(77)와 함께 라디에이터(75)를 케이스 보강 부재(78)에 부착할 때에, 상기 내측 연장부(77a)를 케이스 보강 부재(78)의 내주면을 따라 우측 크랭크 케이스(31R)의 오목부(31v)에 끼워 넣는다(도 11 참조).
오목부(31v)에 끼워 넣은 내측 연장부(77a)는 오목부(31v)를 폐색함과 더불어, 홈부(31w, 31w)에 끼워 넣어진 그로밋(67, 67)에 선단을 접촉하여 그로밋(67, 67)의 빠짐을 방지한다.
우측 크랭크 케이스(31R)의 통상 둘레 벽(31c)의 오목부(31v) 내의 안쪽에 형성된 홈부(31w)에 그로밋(67)이 끼워 맞춰지고, 통상 둘레 벽(31c) 내의 AC 제너레이터(70)로부터 연장되는 코드(케이블)(68)를 용이하게 외부로 인출할 수 있다.
케이스 보강 부재(78)가 돌출되는 볼트 보스 돌기부(C11∼C14)에 의해 우측 크랭크 케이스(31R)의 오른쪽에 배치되는 라디에이터(75)를 지지하므로, 라디에이터(75)의 설계 변경이 있었던 경우여도 단순한 환상 구조의 케이스 보강 부재(78)의 변경으로 대응할 수 있다.
케이스 보강 부재(78)가 라디에이터(75)를 직접 지지하므로, 지지 강도가 높고 라디에이터(75)는 확고하게 지지된다.
또한, 볼트 보스부(C11∼C14)는, 케이스 보강 부재에 일체로 하였지만, 예를 들면, 평평한 환상의 케이스 보강 부재와, 라디에이터측 브래킷(C21∼C24)의 사이에 별체의 칼라를 끼워 유지시켜 배치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케이스 보강 부재를 성형하는 주조형을 소형화, 저비용화할 수 있다.
다음에, 팬 커버에 케이스 보강 부재를 일체로 형성한 실시 형태에 대해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하여 설명한다.
본 팬 커버(79)는, 알루미늄 합금제로, 대체로 상기 팬 커버(77)와 상기 케이스 보강 부재(78)를 합체한 형상을 하고 있다.
상기 팬 커버(77)와 상기 케이스 보강 부재(78)의 볼트 보스부(A2, A3)에 상당하는 부위는, 본 팬 커버(79)의 주위에 볼트 보스부(a2)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케이스 보강 부재(78)의 돌출된 4개의 볼트 보스 돌기부(C11∼C14)에 상당하는 부위는, 본 팬 커버(79)의 상하의 측벽으로 팽출하여 볼트 보스부(c11∼c14)로서 형성되어 있다.
이 팬 커버(79)를 우측 크랭크 케이스(31R)의 통상 둘레 벽(31c)의 개구 단면에 접촉하고, 팬 커버(79)의 볼트 보스부(a21∼a29)와 통상 둘레 벽(31c)의 볼트 보스부(A11∼A19)의 각 9개소를 볼트로 체결하고 팬 커버(79)를 우측 크랭크 케이스(31R)의 통상 둘레 벽(31c)에 체결하여 부착한다.
그리고, 라디에이터(75)는, 팬 커버(79)의 3개의 볼트 보스부(c1)에, 라디에이터(75)의 전후로 돌출된 3개의 브래킷(C2)이 각각 접촉되어 볼트에 의해 체결되고, 팬 커버(79)에 우측면으로 라디에이터(75)가 부착된다.
본 팬 커버(79)의 케이스 보강 부재(78)에 상당하는 부위가, 우측 크랭크 케이스(31R)의 비교적 얇은 통상 둘레 벽(31c)으로 팽출하여 형성되는 엔진 행거(18)의 부착 부분에 겹쳐져 고착되므로, 특히 응력이 집중되는 엔진 행거(18)의 부착 부분의 필요한 강성 및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또, 본 팬 커버(79)는, 우측 크랭크 케이스(31R)의 통상 둘레 벽(31c)에 형성된 오목부(31v)에 걸쳐져, 오목부(31v)의 상하 부위가 볼트에 의해 고착되고, 통상 둘레 벽(31c)을 두껍게 하지 않고 케이스 보강 부재(78)에 의해 오목부(31v)의 확대·축소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본 팬 커버(79)는, 케이스 보강 부재를 일체로 형성하고 있으므로, 부품수를 적게 하여, 장착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1 : 스쿠터형 자동 이륜차 4 : 메인 파이프
15 : 브래킷 16 : 링크 부재
18 : 엔진 행거 19 : 피벗축(피벗 지지)
20 : 파워 유닛 21 : 후륜
22 : 리어 쿠션 29 : 지지 브래킷
30 : 내연기관 31 : 크랭크 케이스
31L : 좌측 크랭크 케이스(전동 케이스) 31R : 우측 크랭크 케이스
31Rw : 측벽 31c : 통상 둘레 벽
31v : 오목부 A11∼A19 : 볼트 보스부
32 : 실린더 블록 40 : 크랭크 샤프트
60 : 체결 볼트 61 : 볼트
62 : 리벳 67 : 그로밋
70 : AC 제너레이터 74 : 라디에이터 팬
75 : 라디에이터 76 : 라디에이터 커버
77 : 팬 커버 78 : 케이스 보강 부재
A21∼A29 : 볼트 보스부 C11∼C14 : 볼트 보스 돌기부
79 : 팬 커버 a21∼a29 : 볼트 보스부
c11∼c14 : 볼트 보스부

Claims (5)

  1. 크랭크 샤프트를 측벽에서 축 지지하는 크랭크 케이스가, 상기 측벽으로부터 크랭크축 방향 외측으로 통상(筒狀) 둘레 벽을 연장하여 형성되며,
    상기 통상 둘레 벽의 개구를 케이스 커버가 덮고,
    상기 통상 둘레 벽에 형성되는 엔진 행거를 차체 프레임에 연결하여 지지되는 내연기관의 크랭크 케이스 구조에 있어서,
    상기 통상 둘레 벽의 개구 단면을 따라 환상(環狀)을 이루고 직경방향으로 두껍게 형성된 케이스 보강 부재가, 상기 엔진 행거와 일부 겹쳐지도록 상기 통상 둘레 벽의 개구 단면에 고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크랭크 케이스 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연기관은, 유닛 스윙식 내연기관이고,
    상기 엔진 행거는 피벗축을 통해 차체 프레임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크랭크 케이스 구조.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통상 둘레 벽의 개구단에 부분적으로 결손된 오목부를 갖고,
    환상을 한 상기 케이스 보강 부재는, 상기 통상 둘레 벽의 개구 단면에 상기 오목부를 걸치어 고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크랭크 케이스 구조.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보강 부재는, 크랭크 케이스의 옆쪽에 배치되는 라디에이터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크랭크 케이스 구조.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 내에는, 상기 통상 둘레 벽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케이블 등을 통과시키는 그로밋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크랭크 케이스 구조.
KR1020100003868A 2009-02-19 2010-01-15 내연기관의 크랭크 케이스 구조 KR1011573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036118A JP5189008B2 (ja) 2009-02-19 2009-02-19 内燃機関のクランクケース構造
JPJP-P-2009-036118 2009-02-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4935A true KR20100094935A (ko) 2010-08-27
KR101157363B1 KR101157363B1 (ko) 2012-06-15

Family

ID=426203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3868A KR101157363B1 (ko) 2009-02-19 2010-01-15 내연기관의 크랭크 케이스 구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189008B2 (ko)
KR (1) KR101157363B1 (ko)
CN (1) CN101813036B (ko)
TW (1) TWI36728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62534B2 (ja) * 2012-09-27 2016-02-1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ユニットスイング式エンジン用伝動ケースのケース主体加工方法
CN110475991B (zh) * 2017-03-31 2023-01-10 本田技研工业株式会社 车辆用动力单元
JP6724058B2 (ja) * 2018-04-02 2020-07-1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鞍乗り型車両
CN108539899A (zh) * 2018-06-11 2018-09-14 重庆嘉木机械有限公司 发动机增程器整体式箱盖
JP7051002B2 (ja) * 2019-03-29 2022-04-0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クランクケース構造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25840U (ko) * 1988-02-19 1989-08-28
JPH09264187A (ja) * 1996-03-29 1997-10-07 Mazda Motor Corp クランクケースの制振構造
JPH10288087A (ja) * 1997-04-10 1998-10-27 Daihatsu Motor Co Ltd 多気筒内燃機関用シリンダブロックの構造
JP4282845B2 (ja) * 1999-10-08 2009-06-2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パワーユニット
JP3696508B2 (ja) * 2000-12-28 2005-09-2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ラジエータ装置
JP2004278366A (ja) * 2003-03-13 2004-10-07 Honda Motor Co Ltd 内燃機関のクランクケース
JP4302089B2 (ja) * 2005-10-19 2009-07-22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クランクケース一体型シリンダブロック
JP4602235B2 (ja) 2005-11-30 2010-12-2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内燃機関と自動二輪車
JP2008151176A (ja) 2006-12-14 2008-07-03 Honda Motor Co Ltd クランクシャフトの支持構造
JP4953951B2 (ja) * 2007-07-12 2012-06-1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小型車両用ラジエータ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57363B1 (ko) 2012-06-15
JP5189008B2 (ja) 2013-04-24
CN101813036B (zh) 2012-03-14
JP2010190135A (ja) 2010-09-02
TW201037150A (en) 2010-10-16
TWI367282B (en) 2012-07-01
CN101813036A (zh) 2010-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7363B1 (ko) 내연기관의 크랭크 케이스 구조
JP2004156657A (ja) エンジンの駆動ベルト冷却構造
JP5185042B2 (ja) パワーユニットの駆動輪速度センサ保護構造
JP5546302B2 (ja) 車速センサ取付構造
JP5568890B2 (ja) 自動二輪車エンジンのオイルブリーザ装置
JP4430522B2 (ja) 自動二輪車のスイングアーム支持構造
JP2004156658A (ja) エンジン
JP5074369B2 (ja) 内燃機関のカムチェーンテンショナピボット取付構造
JP5022355B2 (ja) 水冷式内燃機関のウォータポンプ取付構造
JP6678088B2 (ja) パワーユニットの駆動輪速度検出センサ保護構造
JP4280401B2 (ja) 自動二輪車におけるエンジンの排気装置支持構造
EP1666721B1 (e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4662469B2 (ja) 小型車両のラジエータカバー構造
JP5268746B2 (ja) Vベルト無段変速機のプーリ構造
JP6771922B2 (ja) キック始動装置付き鞍乗型車両用パワーユニット
JP5324552B2 (ja) 車載パワーユニットの車速センサハーネスのカバー構造
JP4675408B2 (ja) 内燃機関のオイルポンプ構造
JP6843734B2 (ja) 自動二輪車の変速機
JP4490800B2 (ja) 自動二輪車のスイングアーム支持構造
JP5568351B2 (ja) 小型車両用パワーユニット
JPH10119591A (ja) 鞍乗型車両用パワーユニット
JP5172406B2 (ja) 鞍乗り型車両のエンジン懸架構造
WO2020066296A1 (ja) 鞍乗り型車両のパワーユニットのカバー構造
JP3464713B2 (ja) エンジンにおけるテンショナ取付構造
JP2010274895A (ja) 自動二輪車エンジンのクラッチレリー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