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91920A - 첩부제 및 첩부 제제 - Google Patents

첩부제 및 첩부 제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91920A
KR20100091920A KR1020100012474A KR20100012474A KR20100091920A KR 20100091920 A KR20100091920 A KR 20100091920A KR 1020100012474 A KR1020100012474 A KR 1020100012474A KR 20100012474 A KR20100012474 A KR 20100012474A KR 20100091920 A KR20100091920 A KR 201000919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ch
pressure
adhesive layer
sensitive adhesive
outer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24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사치코 데라시
아키노리 하나타니
히토시 아케미
요시히로 이와오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919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19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61K9/702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 A61K9/70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characterised by shape or structure; Details concerning release liner or backing; Refillable patches; User-activated pat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1Non-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1021Non-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dressing
    • A61F13/01029Non-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dressing made of multiple lay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269Tapes for dressing attach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61K9/702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 A61K9/70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characterised by shape or structure; Details concerning release liner or backing; Refillable patches; User-activated patches
    • A61K9/7038Transdermal patches of the drug-in-adhesive type, i.e. comprising drug in the skin-adhesive layer
    • A61K9/7046Transdermal patches of the drug-in-adhesive type, i.e. comprising drug in the skin-adhesive layer the adhesive comprising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7053Transdermal patches of the drug-in-adhesive type, i.e. comprising drug in the skin-adhesive layer the adhesive comprising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 to 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vinyl, polyisobutylene, polystyrene
    • A61K9/7061Polyacryl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42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15/58Adhes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544Plasters form or structure
    • A61F2013/00553Plasters form or structure with detachable parts
    • A61F2013/00561Plasters form or structure with detachable parts with adhesive connec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544Plasters form or structure
    • A61F2013/00646Medication patches, e.g. transcutaneous
    • A61F2013/00651Medication patches, e.g. transcutaneous tapered, bevelled or chamfer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mat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람직하지 않게 탈착되는 일이 없고 부착되어 있는 동안 다양한 요인으로 인해 피부로부터 크게 이탈하는 일 없이 장시간 동안 피부에 지속적으로 부착될 수 있는 저신축성을 갖는 첩부제 및 첩부 제제를 제공하며, 구체적으로, 지지체 및 이 지지체의 한 면에 형성된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저신축성 첩부제 및 첩부 제제로서, 상기 첩부제의 평면 외측 형상의 곡선부의 총 길이 W(mm) 대 상기 첩부제의 평면 외측 형상의 직선부의 총 길이 S(mm)의 비 P(W/S)가 1.22 이하이고, 상기 곡선부가 원호에 가까우면 상기 원호의 반경 R(mm)이 0.5 mm 이상인 저신축성 첩부제 및 첩부 제제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첩부제 및 첩부 제제{PATCH AND PATCH PREPARATION}
본 발명은 지지체와 점착제층을 갖는 첩부제 및 첩부 제제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바람직하지 않게 탈착되는 일이 없고 부착되어 있는 동안 다양한 요인으로 인해 피부로부터 크게 이탈하는 일 없이 장시간 동안 피부에 지속적으로 부착될 수 있는 저신축성을 갖는 첩부제 및 첩부 제제에 관한 것이다.
직사각형 외측 형상을 갖는 첩부 제제는 종래부터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 첩부제는 바람직하지 않게 탈착될 수 있고 부착되어 있는 동안 다양한 요인으로 인해 피부로부터 크게 이탈할 수 있다. 바람직하지 않은 탈착 문제를 다룬 참고 문헌으로서, 예를 들어 하기 참고 문헌을 들 수 있다.
JP-A-2000-109427(특허 문헌 1)은 지지체의 한 면에 형성된 함수 점착제층 및 부정형의 외측 형상을 갖는 지지체를 포함하는 첩부제를 개시하고, 이 첩부제가 만곡된 피부 표면 상에서도 우수한 점착력을 나타내고 피부로부터 쉽게 탈착되지 않는다고 교시한다.
또한, JP-A-2000-297033(특허 문헌 2)은 지지체의 한 면에 형성된 함수 점착제층을 포함하고 모서리가 둥근 직사각형의 외측 형상을 갖는 첩부제를 개시한다. 이 문헌에는 이와 같은 둥근 형상이 쉽게 탈착되는 것을 방지한다고 교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첩부제의 경우에도, 첩부제가 의복으로 덮인 피부에 오랫동안 부착되어 있을 경우, 첩부제가 의복과의 마찰로 인하여 탈착될 수 있다. 게다가, 전술한 참고 문헌의 첩부제는 신축성이 크고, 탈착을 원할 때 필요한 탈착 작업이 비교적 까다롭다. 상기 참고 문헌은, 의복으로 덮인 피부에 장시간 동안 부착되어 있을 경우에도 피부로부터의 탈착이 충분히 억제되는 저신축성을 갖는 첩부제를 제공하기 위한 어떠한 해결 수단도 교시하고 있지 않다.
JP-A-2000-109427 JP-A-2000-297033
본 발명은 이러한 상항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바람직하지 않게 탈착되는 일이 없고 부착되어 있는 동안 다양한 요인으로 인해 피부로부터 크게 이탈하는 일 없이 장시간 동안 피부에 지속적으로 부착될 수 있는 저신축성을 갖는 첩부제 및 첩부 제제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 과제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저신축성 첩부제가 그 외측 형상이 둥근 모서리를 갖는 경우에도 바람직하지 않은 탈착을 피할 수 없다는 문제에 대해 연구한 결과, 그 외측 형상을 직선부로 함으로써 첩부제의 바람직하지 않은 탈착을 충분히 억제할 수 있다는 예기치 않은 사실을 발견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따라서, 본 발명은
(1) 지지체 및 이 지지체의 한 면에 형성된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저신축성 첩부제로서, 상기 첩부제의 평면 외측 형상의 곡선부의 총 길이 W(mm) 대 상기 첩부제의 평면 외측 형상의 직선부의 총 길이 S(mm)의 비 P(W/S)가 1.22 이하이고, 상기 곡선부가 원호에 가까우면 상기 원호의 반경 R(mm)이 0.5 mm 이상인 저신축성 첩부제.
(2) 5% 모듈러스가 0.5(N) 이상인 (1)에 기재된 첩부제.
(3) 상기 지지체의 최외층 표면이 1.0 이하의 정적 마찰 계수를 갖는 것인 (1)에 기재된 첩부제.
(4) 상기 점착제층이 비수성인 (1)에 기재된 첩부제.
(5)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첩부제를 포함하는 첩부 제제로서, 상기 점착제층이 약물을 함유하는 것인 첩부 제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첩부제는 저신축성을 가지고, 상기 첩부제의 외측 형상은 직선부의 총 길이와 곡선부의 총 길이를 소정의 비로 갖는다. 그 결과, 저신축성 여부에 관계없이 의복 아래의 피부에 부착되어 있는 경우에도 첩부제의 바람직하지 않은 탈착이 쉽게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첩부제는 신축성이 적기 때문에, 이 첩부제는 특정한 강성도를 지니고 피부에 쉽게 부착될 수 있으며 원할 때 쉽게 탈착할 수 있다. 이러한 첩부제는 부착 및 탈착 타이밍의 엄격한 조절을 가능하게 하기 때문에, 첩부제에 널리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약물 투여량을 정확히 제어하도록 의도된 첩부 제제에 특히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 첩부제의 일 실시형태의 모식적인 단면도로서, (1)은 지지체, (2)는 점착제층, (3) 박리 라이너, (4)는 첩부제이다.
도 2는 본 발명 첩부제의 일 실시형태의 모식적인 평면도로서, (4)는 첩부제, (5)는 곡선부, (6) 및 (7)는 직선부, (8) 및 (9)는 연장선, (10)은 연장선이 교차하는 지점, (11)은 반경 R이다.
도 3은 본 발명 첩부제의 또 다른 실시형태의 모식적인 평면도로서, (4)는 첩부제, (5)는 곡선부, (6) 및 (7)은 직선부, (8) 및 (9)는 연장선, (10)은 연장선이 교차하는 지점, (11)은 반경 R이다.
도 4는 본 발명 첩부제의 또 다른 실시형태의 모식적인 평면도로서, (4)는 첩부제, (5)는 곡선부, (6) 및 (7)은 직선부, (8) 및 (9)는 연장선, (10)은 연장선이 교차하는 지점, (11)은 반경 R이다.
도 5는 본 발명 첩부제의 또 다른 모식적인 평면도로서, (4)는 첩부제, (5)는 곡선부, (6) 및 (7)은 직선부, (8) 및 (9)는 연장선, (10)은 연장선이 교차하는 지점, (11)은 반경 R이다.
도 6은 종래의 첩부제의 일 실시형태의 모식적인 평면도로서, (4)는 첩부제, (6) 및 (7)은 직선부이다.
도 7은 종래의 첩부제의 또 다른 실시형태의 모식적인 평면도로서, (4)는 첩부제, (5)는 곡선부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나타내지만, 그러한 상세한 설명 및 특정 예는 예시의 목적만을 위한 것임이 의도되고 있어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지 않는다.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설명은 단지 예시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 그 응용 및 용도를 한정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 첩부제의 실시형태의 모식적인 단면도로서, 여기서 박리 라이너(3)는 설명을 위해 포함시킨 것이다. 하기 상세한 설명에서, 내용상 달리 해석되지 않는다면, 본 발명의 "첩부제"는 지지체 및 점착제층의 적층체를 의미한다.
도 2 및 본 발명 첩부제의 평면 외측 형상을 참조하면, 평면 외측 형상의 곡선부(5)를 사이에 끼고 있는 인접한 2개의 직선부 (6) 및 (7)가 연장되고, 두 연장선이 교차하는 지점(10)이 첩부제 외측 형상의 모서리라고 가정할 경우, 이 외측 형상은 다각형을 형성한다. 본 명세서에서, 다각형은 엄밀한 의미에서의 모서리를 갖는 형상뿐만 아니라, 상기에서 언급한 형상(예를 들어, 사변형(정사각형, 직사각형), 삼각형, 오각형, 육각형 등)을 포함한다. 도 2의 실시형태는 정사각형이다. 도 3의 실시형태에서, 첩부제의 평면 외측 형상은 직사각형이다. 도 4의 실시형태에서, 첩부제의 평면 외측 형상은 삼각형이다. 도 5의 실시형태에서, 첩부제의 평면 외측 형상은 육각형이다. 본 발명에서, 첩부제의 평면 외측 형상은 첩부제 재료의 이용 효율 및 취급성의 측면에서 직사각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첩부제를 다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자들의 연구 결과, 저신축성 첩부제가 피부에 부착되어 이 첩부제가 의복과 마찰될 경우, 이 첩부제는 그 외측 형상의 비직선부, 즉, 모서리 또는 곡선부에서부터 탈착되기 시작하는 경향이 있음을 알게 되었다. 도 6에 도시된 종래의 첩부제는 모서리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첩부제는 피부에 부착되어 있는 동안 모서리에서부터 탈착이 시작되는 경향이 있다. 도 7을 보면, 종래의 첩부제가 평면 외측 형상에 모서리를 가지고 있지 않고 곡선부만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첩부제는 피부에 부착되어 있는 동안 임의의 곡선부에서부터 탈착되기 시작하는 경향이 있다. 다시 말해서, 종래에 이해되고 있는 바와 같이, 첩부제가 둥근 모서리를 가지고 있는 경우에도, 예측과는 달리 첩부제의 탈착이 충분히 억제될 수 없다. 반면에, 첩부제 외측 형상의 직선부는 의복과 마찰되는 경우에도, 직선부가 모서리 또는 곡선부에서보다 탈착에 대한 저항성이 더 크고 탈착이 직선부에서부터 시작되는 빈도가 적다는 것을 또한 알게 되었다.
다시 본 발명 첩부제의 일 실시형태를 도시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이러한 발견에 기초할 때, 첩부제가 의복으로부터의 어떠한 방향의 마찰력 하에 놓여도, 외측 형상의 직선부가 가능한 최고 마찰력을 갖도록 첩부제를 디자인하는 것이 유용한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측면에서, 첩부제의 평면 외측 형상의 곡선부의 총 길이 W(mm) 대 첩부제의 평면 외측 형상의 직선부의 총 길이 S(mm)의 비 P(W/S)가 1.22 이하이어야 한다. 즉, 본 발명에 있어서, P가 1.22를 초과할 경우, 다시 말해서 곡선부의 총 길이 대 직선부의 총 길이의 비가 상기 값보다 클 경우, 첩부제가 부착되어 있는 동안 곡선부와 의복과의 마찰이 더 빈번하게 발생하여, 첩부제가 곡선부로부터 조기에 탈착되기 시작하는 경향이 있다. 그 결과, 탈착된 부분은 의복과의 반복된 마찰에 의해 점차 커지게 되고, 결국 첩부제는 바람직하지 않은 시기에 피부로부터 이탈하게 된다. P는 1.22 이하인 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곡선부가 전혀 없는 것은 반대로 탈착을 촉진시키기 때문에, P는 0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고, 0.01보다 큰 것이 더 바람직하다.
반면에, 곡선부(5)가 원호에 가깝고 그 원호의 반경 R 11(mm)이 너무 작을 경우, 곡선부가 의복의 섬유와 얽히기 때문에, 의복으로부터의 응력이 곡선부에 집중되어 첩부제가 곡선부(5)로부터 일찍 탈착되기 시작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곡선부(5)가 원호에 가까우면, 그 원호의 반경 R(mm)은 0.5 mm 이상이어야 한다. 본 발명의 충분한 효과를 발휘하기 위해서는, R(mm)이 0.75 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00 mm 이상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상기 첩부제의 외측 형상의 모든 곡선부의 원호의 반경은 0.5 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R이 0.5 mm 이상인 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R이 커짐에 따라 P가 증가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R는 40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고, 20보다 작은 것이 더 바람직하며, 19.5 이하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첩부제는 저신축성이어야 한다. 상기 첩부제가 저신축성일 경우, 이 첩부제는 강성을 얻어 피부에 쉽게 부착된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첩부제의 신축성은 지지체의 선택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저신축성(low stretchability)"이란 5% 모듈러스가 0.5 N 이상, 바람직하게는 1.0 N 이상임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5% 모듈러스란, 적어도 폭 10 mm, 척 간격 10 mm를 제공하면서 시편을 5% 신장시키는 데 필요한 힘(N)을 의미한다. 불명료함을 피하기 위해, 시편은 박리 라이너를 갖지 않는다. 시편의 크기가 5% 모듈러스에 미치는 영향은, 크기가 종래의 첩부제의 크기 범위 내에 있는 한, 무시할 정도로 작다. 충분히 큰 시편을 입수할 경우, 폭 25 mm, 길이 100 mm의 첩부제 시편을 절단하고, 그 5% 모듈러스를 JIS Z 0237-2000에 기재된 시험 방법에 따라 측정한다.
상기 첩부제의 신축성은 당업자에게 공지된 방법에 의해 조정할 수 있다. 지지체는 첩부제의 신축성을 한정하는 중요한 인자일 수 있기 때문에, 가요성 점착제층의 신축성은 거의 무시할 수 있다.
이러한 지지체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피부에 첩부제를 용이하게 부착시킬 수 있도록 특정한 강성도를 지니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체의 예로는 수지 필름과 같은 단독 필름(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 나일론, 사란(Saran)(등록상표명),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염화비닐, 에틸렌-에틸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설린(Surlyn)(등록상표명) 등), 금속박 등; 이들의 적층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지지체의 두께는 일반적으로 10∼500 ㎛, 바람직하게는 10∼300 ㎛이다.
이들 중에서, 지지체와 점착제층 간의 우수한 점착력(고착력)을 얻기 위해, 상기 지지체는 비다공성 플라스틱 필름과 전술한 재료로부터 제조된 다공성 필름의 적층 필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점착제층이 다공성 필름 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면에, 첩부제의 조직감과 우수한 외관을 위해서는, 상기 다공성 필름 표면이 노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점착제층은 플라스틱 필름 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공성 필름의 구체적인 예로는 상기 필름 위에 적층될 수 있는 종이, 직포, 부직포, 편물, 기계적 천공 시트 등을 들 수 있다. 저신축성의 측면에서, 이들 중에서도 종이 및 부직포가 특히 바람직하다. 저신축성 지지체를 용이하게 얻기 위해서는, 상기 지지체가 수지 필름 또는 금속박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직포 또는 부직포가 다공성 필름으로서 사용될 경우, 직물 중량은 5∼30 g/m2, 바람직하게는 6∼20 g/m2이다.
본 발명에서 가장 바람직한 지지체는 두께 1.5∼6 ㎛의 폴리에스테르 필름(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 및 폴리에스테르(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부직포(직물 중량 6∼12 g/m2)의 적층 필름이다.
상기 지지체의 두께는, KEYENCE에서 제조한 디지털 현미경(VHX-600, VH-100 렌즈 장착, 배율 200배)을 사용하여 지지체 부분을 촬상하고, 빌트인 이미지 처리 소프트웨어 탑재 디지털 현미경을 사용하여 이미지의 3 지점 이상에서 지지체의 두께를 측정한 후 평균내어 계산할 수 있다.
첩부제가 피부에 부착되어 의복으로 덮인다고 가정할 때, 지지체의 최외층 표면의 정적 마찰 계수는 0.01 이상 1.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바람직한 범위 내의 정적 마찰 계수는 지지체를 구성하는 부재들의 재료를 적절히 선택하여 얻을 수 있다. 정적 마찰 계수가 너무 클 경우, 첩부제는 의복과의 마찰로 인하여 쉽게 탈착된다. 정적 마찰 계수가 0.01 미만인 첩부제의 경우, 그 재료를 선택하는 것이 까다롭다. 여기서 정적 마찰 계수는 JIS P 8147-1994에 기재된 측정 방법에 의해 측정된다.
점착제층에 사용되는 점착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로는 아크릴 중합체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점착제; 스티렌-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예를 들어,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등), 폴리이소프렌, 폴리이소부틸렌, 폴리부타디엔 등과 같은 고무계 점착제; 실리콘 고무, 디메틸실록산 베이스, 디페닐실록산 베이스 등과 같은 실리콘계 점착제; 폴리비닐 메틸에테르, 폴리비닐 에틸에테르, 폴리비닐 이소부틸에테르 등과 같은 비닐 에테르계 점착제; 비닐 아세테이트-에틸렌 공중합체 등과 같은 비닐 에스테르계 점착제;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 디메틸이소프탈레이트, 디메틸프탈레이트 등과 같은 카복실산 성분과 에틸렌 글리콜 등과 같은 다가 알코올 성분을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계 점착제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점착제 중에서도, 아크릴계 점착제, 특히 쉽게 가교될 수 있는 아크릴계 점착제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아크릴계 점착제층은 이로 인해 다량의 액체 성분을 유지할 수 있고, 이는 피부에 부착되어 있는 동안 피부에 부드러운 감촉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점착제층이 약물을 함유할 경우, 약물 안정성을 담보하기 위해 고무계 점착제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아크릴계 점착제의 예로는 중합성 성분으로서 (메트)아크릴산 C2-18 알킬 에스테르를 중합하여 얻은 중합체를 주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아크릴산 에스테르 점착제를 포함한다. 공중합성 성분으로서 아크릴산을 사용하는 아크릴산 에스테르 점착제가, 인체 피부에의 점착력이 좋다는 점에서 바람직하고, 중량비 40∼99.9:0.1∼10:0∼50의 (메트)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로서의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및 아크릴산 및 N-비닐-2-피롤리돈의 혼합물을 공중합하여 얻은 점착제가 점착 및 탈착을 용이하게 반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필요에 따라, 이러한 점착제는 자외선 조사, 전자빔 조사 등과 같은 방사선 조사에 의한 물리적 가교, 또는 삼작용성 이소시아네이트 등과 같은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및 유기 퍼옥시드, 유기 금속 염, 금속 알코올레이트, 금속 킬레이트 화합물, 다작용성 화합물(다작용성 외부 가교제, 또는 다작용성 내부 가교성 단량체, 예컨대 디아크릴레이트, 디메트아크릴레이트 등) 등과 같은 각종 가교제를 사용하는 화학적 가교 처리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고무계 점착제의 예로는 폴리이소부틸렌, 폴리이소프렌 및 스티렌-디엔-스티렌 공중합체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엘라스토머를 주성분으로서 포함하는 고무계 점착제를 들 수 있다. 높은 약물 안정성과 필요한 점착력 및 응집력을 동시에 부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점도 평균 분자량이 500,000∼5,500,000인 고분자량 폴리이소부틸렌과 점도 평균 분자량이 10,000∼200,000인 저분자량 폴리이소부틸렌을 95:5∼5:95의 중량비로 배합하고, 필요에 따라 점착 부여제를 첨가하여 얻은 점착제가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상기 고무계 점착제란 자체가 점착성을 띠는 고무 엘라스토머, 또는 고무 엘라스토머 및 점착 부여제를 포함하는 점착성 중합체 조성물을 의미한다.
점착 부여제의 예로는 폴리부텐, 석유 수지(예를 들어, 방향족 석유 수지, 지방족 석유 수지), 테르펜 수지, 로진 수지, 쿠마론 인덴 수지, 스티렌 수지(예를 들어, 스티렌 수지, α-메틸스티렌), 수소첨가 석유 수지(예를 들어, 지환족 포화 탄화수소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약물 보존 안정성이 개선된다는 점에서 폴리부텐이 바람직하다. 점착 부여제는 1종 이상의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점착 부여제의 양은 점착제의 총 중량에 대해 30∼90 중량%가 바람직하고, 50∼70 중량%가 더 바람직하다. 점착 부여제의 양이 30 중량% 미만일 경우, 점착성이 때때로 떨어지고, 그 양이 90 중량%를 초과할 경우, 점착제층이 단단해져서 피부 점착력이 감소하는 경향이 있다.
상기 점착제층의 두께는 일반적으로 10∼500 ㎛, 바람직하게는 10∼300 ㎛이다. 본 발명 첩부제에서는, 사용시까지 점착면을 보호하기 위해 점착제층의 점착면 상에 박리 라이너를 적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피부 점착력 측면에서, 비수성 점착제층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비수성 점착제층은 물을 전혀 함유하지 않는 것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공기, 피부 등의 습도에 기인한 소량의 물을 함유하는 것들을 포함한다. 충분한 피부 점착력을 부여하기 위해서는, 함수량이 적은 점착제층을 갖는 첩부제가 바람직하며, 이때 상기 첩부제의 함수량은 10 중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5 중량% 이하가 더 바람직하며, 2 중량% 이하가 가장 바람직하다. 여기서, 첩부제의 함수량은, 칼 피셔 전기량 적정법에 따라 측정시, 존재할 경우 박리 라이너의 탈착 후에 첩부제 중에 함유된 물의 중량비(첩부제의 총 중량에 대한 물의 중량비)이며, 본 명세서에서는, 하기 실시예에 기재된 측정 조건하에 측정된다.
상기 박리 라이너는 충분히 용이한 탈착성이 담보되는 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 폴리염화비닐, 폴리염화비닐리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필름, 고급지, 글라신 페이퍼 등의 종이, 고급지 또는 글라신 페이퍼와 폴리올레핀의 적층 필름 등(이때 점착제층과 접촉하게 되는 표면은 실리콘 수지, 불소 수지 등을 도포하여 박리 처리함)을 들 수 있다.
상기 박리 라이너의 두께는 일반적으로 10∼200 ㎛, 바람직하게는 25∼100 ㎛이다.
본 발명의 박리 라이너에 대해서는, 폴리에스테르(특히,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로 제조된 라이너가 장벽 특성 및 비용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 경우, 두께가 약 25∼100 ㎛인 라이너가 취급 특성의 측면에서 더 바람직하다. 박리 라이너의 평면 외측 형상은 첩부제(지지체 및 점착제층)의 평면 외측 형상과 동일할 수도 있지만, 이것은 첩부제(지지체 및 점착제층)의 평면 외측 형상(즉, 건조 가장자리)으로부터 돌출하여 점착제층의 돌출(즉, 점착제 돌출)을 억제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상기 점착제층은 약물을 함유하여 피부 첩부 제제를 형성할 수 있다. 본원에서 상기 약물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인간을 비롯한 포유동물에게 그 피부를 통해 투여될 수 있는 약물, 즉, 경피 흡수 가능한 약물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약물의 구체적인 예로는 전신 마취제, 수면 진정제, 항간질제, 해열 진통 소염제, 진훈제, 항정신신경제, 국소 마취제, 근이완제, 자율신경제, 진경제, 항파킨슨제, 항히스타민제, 강심제, 부정맥제, 이뇨제, 혈압 강하제, 혈관 수축제, 관혈관 확장제, 말초 혈관 확장제, 동맥경화용제, 순환기제, 호흡촉진제, 진해 거담제, 호르몬제, 화농성 질환용 외용약, 진통ㆍ소양ㆍ지혈ㆍ소염제, 기생충성 피부 질환제, 지혈제, 통풍 치료제, 당뇨병제, 항악성종양제, 항생제, 화학요법제, 마약, 금단 보조제, 항알츠하이머약 등을 들 수 있다.
약물의 함량은 경피 흡수 가능한 약물의 효과가 제공되고 점착제의 점착 특성이 손상되지 않는 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점착제층의 0.1∼60 중량%가 바람직하고, 0.5∼40 중량%가 더 바람직하다. 함량이 0.1 중량% 미만일 경우, 치료 효과가 불충분할 수 있다. 함량이 60 중량%를 초과할 경우, 피부 자극이 발생할 수 있고 경제적 불이익이 야기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상기 첩부 제제는, 예를 들어 그 점착제층에 다양한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예로는 가소제, 경피 흡수 촉진제 등과, 항산화제 등과 같은 각종 기타 첨가제를 포함한다. 점착제와의 상용성의 측면에서, 소수성 성분이 바람직하다.
가소제는 점착제를 가소화함으로써 부착 부위에 대한 점착력을 조절할 수 있다. 가소제의 예로는 디이소프로필아디페이트, 디아세틸세바케이트 등을 들 수 있고, 가소제는 1종 이상의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경피 흡수 증진제로서, 점착제층에서의 약물의 가용성과 확산성을 개선시키고 약물의 경피 흡수를 개선시키는 기능을 갖는 화합물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경피 흡수 증진제의 예로는 주로 약물의 용해 특성을 향상시키는 화합물, 예컨대 글리콜(예를 들어, 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등), 주로 약물의 확산성을 향상시키는 화합물, 예컨대 유지(예를 들어, 올리브유, 피마자유, 스쿠알란, 라놀린 등) 등을 들 수 있다.
전술한 것 이외에도, 탄화수소, 예컨대 유동 파라핀, 각종 계면활성제, 에톡시화 스테아릴 알코올, 글리세롤 모노에스테르, 예컨대 올레산 모노글리세라이드, 카프릴산 모노글리세라이드 및 라우릴산 모노글리세라이드, 글리세롤 디에스테르, 글리세롤 트리에스테르 및 이들의 혼합물, 고급 지방산 에스테르, 예컨대 에틸 라우레이트,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이소트리데실 미리스테이트, 옥틸 팔미테이트, 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 에틸 올레이트 및 디이소프로필 아디페이트, 고급 지방산, 예컨대 올레산 및 카프릴산과, N-메틸피롤리돈, 1,3-부탄디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나, 이들 실시예는 한정적인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실시예에서, "부"는 중량부를 의미한다. 표 1 및 2에서, 곡선(W) 및 직선(S)의 값은 측정치를 반올림(반내림)하여 얻은 것이고, P 값은 반올림(반내림)하기 전의 W 값 및 S 값을 사용한 계산에 의해 얻은 값을 반올림(반내림)하여 얻은 것이다.
(1) 아크릴계 점착제 용액의 조제
비활성 기체 분위기하에, 60℃에서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75부), N-비닐-2-피롤리돈(22부), 아크릴산(3부) 및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0.2부)로 에틸 아세테이트 중에서의 용액 중합을 실시하여 아크릴계 점착제 용액(점착제 고체 농도: 28 중량%)을 얻었다.
(2) 폴리이소부틸렌 점착제 용액의 조제
고분자량 폴리이소부틸렌(점도 평균 분자량 900,000, 28.5부), 저분자량 폴리이소부틸렌(점도 평균 분자량 60,000, 43부), 폴리부텐(수평균 분자량 1,400, 8.5 부) 및 지환족 석유 수지(연화점 100℃, 20부)를 헥산에 용해시켜 폴리이소부틸렌 점착제 용액(고체 농도 25%)을 얻었다.
(실시예 1)
점착제 고체 농도가 44부가 되게 하는 양의 아크릴계 점착제 용액 및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54부)를 용기 내에서 교반하여 균일한 혼합물을 얻었다. 이 혼합물에 에틸아세토아세테이트 알루미늄 디이소프로필레이트를 아크릴계 점착제 용액의 고체 함량 100부당 0.4부의 비율로 첨가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를 사용하여 점도를 조절하고, 이 액체를, 건조 후 점착제층의 두께가 200 ㎛가 되도록 박리 라이너로서의 PET 필름(두께 75 ㎛) 위에 적층하고, 두께 2 ㎛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이하, "PET"라 함) 필름/PET 부직포(직물 중량 12 g/m2)로 이루어진 지지체[(총) 두께 54 ㎛]의 부직포 측에 부착시키고, 70℃에서 48 시간 동안 시효 처리(aging)(점착제층의 가교 처리)하였다. 시효 처리 후의 적층된 시트를, 평면 외측 형상의 곡선부의 인접한 2개의 직선부가 연장되어 2개의 연장선이 교차하는 지점이 첩부제의 외측 형상의 모서리인 것으로 가정할 때, 형성된 첩부제의 외측 형상이 정사각형을 형성하고, 연장선을 포함하는 정사각형의 변의 길이가 63 mm가 되고, 곡선부가 반경 0.5 mm의 원호를 형성하도록 절단함으로써, 실시예 1의 첩부제를 얻었다. 이것은, 실시예 1의 첩부제가 길이 및 폭 63 mm의 정사각형으로 절단하는 것(모서리는 반경 0.5 mm의 원호임)에 의해 얻어졌음을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이는 실시예 1∼10 및 비교예 1∼10에도 적용된다.
(실시예 2)
시효 처리 후의 적층된 시트를, 모서리가 반경 1.0 mm의 원호가 되도록 절단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첩부제를 얻었다.
(실시예 3)
시효 처리 후의 적층된 시트를, 길이 및 폭이 63.5 mm가 되도록 절단한 것(모서리는 반경 5 mm의 원호임)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첩부제를 얻었다.
(실시예 4)
시효 처리 후의 적층된 시트를, 길이 및 폭이 63.5 mm가 되도록 절단한 것(모서리는 반경 10 mm의 원호임)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첩부제를 얻었다.
(실시예 5)
시효 처리 후의 적층된 시트를, 길이 및 폭이 64.5 mm가 되도록 절단한 것(모서리는 반경 15 mm의 원호임)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첩부제를 얻었다.
(실시예 6)
시효 처리 후의 적층된 시트를, 길이 및 폭이 65.5 mm가 되도록 절단한 것(모서리는 반경 19.5 mm의 원호임)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첩부제를 얻었다.
(비교예 1)
시효 처리 후의 적층된 시트를, 길이 및 폭이 63 mm가 되도록 절단한 것(모서리는 원호가 아님)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첩부제를 얻었다.
(비교예 2)
시효 처리 후의 적층된 시트를, 길이 및 폭이 65.5 mm가 되도록 절단한 것(모서리는 반경 20 mm의 원호임)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첩부제를 얻었다.
(비교예 3)
시효 처리 후의 적층된 시트를, 길이 및 폭이 65.5 mm가 되도록 절단한 것(모서리는 반경 20.5 mm의 원호임)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첩부제를 얻었다.
(비교예 4)
시효 처리 후의 적층된 시트를, 길이 및 폭이 69 mm가 되도록 절단한 것(모서리는 반경 30 mm의 원호임)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첩부제를 얻었다.
(비교예 5)
시효 처리 후의 적층된 시트를, 반경 35.7 mm의 원으로 절단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첩부제를 얻었다.
(실시예 7)
폴리이소부틸렌 점착제 용액을 건조 후 두께가 20 ㎛가 되도록 PET 필름(두께 75 ㎛) 위에 적층하고, 건조시켜 점착제층을 형성하였다. 이것을 두께 6 ㎛의 PET 필름/PET 부직포(직물 중량 20 g/m2)로 이루어진 지지체[(총) 두께 71 ㎛]의 PET 필름 측에 부착시키고, 25℃에서 7일 동안 시효 처리하였다.
시효 처리 후의 적층된 시트를 길이 및 폭 16 mm로 절단하여(모서리는 반경 0.5 mm의 원호임) 실시예 7의 첩부제를 얻었다.
(실시예 8)
시효 처리 후의 적층된 시트를 모서리가 반경 1.0 mm의 원호가 되도록 절단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7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첩부제를 얻었다.
(실시예 9)
시효 처리 후의 적층된 시트를 모서리가 반경 2.4 mm의 원호가 되도록 절단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7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첩부제를 얻었다.
(실시예 10)
시효 처리 후의 적층된 시트를 길이 및 폭 16.5 mm로 절단한 것(모서리는 반경 5 mm의 원호임)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7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첩부제를 얻었다.
(비교예 6)
시효 처리 후의 적층된 시트를 길이 및 폭 16 mm로 절단한 것(모서리는 원호가 아님)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7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첩부제를 얻었다.
(비교예 7)
시효 처리 후의 적층된 시트를 길이 및 폭 17 mm로 절단한 것(모서리는 반경 6.7 mm의 원호임)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7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첩부제를 얻었다.
(비교예 8)
시효 처리 후의 적층된 시트를 반경 9 mm의 원으로 절단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7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첩부제를 얻었다.
(비교예 9)
지지체가 신축성 폴리에스테르로 된 편물(두께 565 ㎛)이고 시효 처리 후의 적층된 시트를 길이 및 폭 63.5 mm의 정사각형으로 절단한 것(모서리는 반경 5 mm의 원호임)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첩부제를 얻었다.
(비교예 10)
지지체가 신축성 폴리에스테르로 된 편물(두께 565 ㎛)이고 시효 처리 후의 적층된 시트를 길이 및 폭 16 mm의 정사각형으로 절단한 것(모서리는 반경 2.4 mm의 원호임)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첩부제를 얻었다.
[표 1]
Figure pat00001
모든 경우에 있어서 상기 첩부제의 함수량은 1.0 중량% 이하였다.
<<약물을 함유하는 제조예>>
(실시예 11∼13, 비교예 11∼14)
점착제 고체 농도가 40부가 되게 하는 양의 아크릴계 점착제 용액 및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10부) 및 리도케인(50부)를 용기 내에서 교반하여 균일한 혼합물을 얻었다. 이 혼합물에 에틸아세토아세테이트 알루미늄 디이소프로필레이트를 아크릴계 점착제 용액의 고체 함량 100부당 0.4부의 비율로 첨가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를 사용하여 점도를 조절하고, 이 액체를, 건조 후 두께가 60 ㎛가 되도록 박리 라이너로서의 PET 필름(두께 75 ㎛) 위에 도포하고 건조시켜 점착제층을 얻었다. 이 점착제층을 두께 2 ㎛의 PET 필름/PET 부직포(직물 중량 8 g/m2)로 이루어진 지지체의 부직포 측에 부착시키고 25℃에서 24 시간 동안 시효 처리(점착제층의 가교 처리)하였다. 시효 처리 후의 적층된 시트를 표에 기재된 직사각형으로 절단함으로써 실시예 11∼13, 비교예 11∼14의 첩부제를 얻었다.
(실시예 14∼17, 비교예 15∼18)
폴리이소부틸렌 점착제 용액에, 점착제층의 인도메타신 함량이 20%가 되도록 인도메타신을 첨가하고, 이들을 혼합하고, 충분히 교반하고, 건조 후 두께가 100 ㎛가 되도록 박리 라이너에 도포하고 건조시켜 점착제층을 얻었다. 이 점착제층을 두께 6 ㎛의 PET 필름/PET 부직포(직물 중량 8 g/m2)로 이루어진 지지체의 부직포 측에 부착시키고 25℃에서 2일 동안 시효 처리(점착제층의 가교 처리)하였다. 계속해서, 시효 처리 후의 적층된 시트를 표에 기재된 직사각형으로 절단함으로써 실시예 14∼17, 비교예 15∼18의 첩부제를 얻었다.
첩부 제제(이러한 약물을 함유하는 첩부제)는 첩부제의 효과와 유사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표 2]
Figure pat00002
주: 평면 외측 형상의 곡선부에 있어서, 인접한 2개의 직선부가 연장되고 2개의 연장선이 교차하는 지점이 첩부제의 외측 형상의 모서리인 것으로 가정할 때, 첩부제의 외측 형상은 긴 변과 짧은 변을 갖는 직사각형을 형성한다. 연장선을 포함하는 직사각형의 긴 변과 짧은 변의 길이는 표에 기재되어 있다.
(시험 방법)
5% 모듈러스
5% 모듈러스는 JIS Z 0237-2000에 기재된 시험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사용된 시편은 폭 25 mm, 길이 100 mm의 첩부제였다.
정적 마찰 계수
정적 마찰 계수는 JIS P 8147-1994에 기재된 시험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점착력 시험
전술한 실시예 1∼10 및 비교예 1∼8 각각의 첩부제 10개를 제조하였다. 각 실시예의 각각의 첩부제를 30인의 흉부 또는 등에 부착하여 일상 생활을 하게 하였다. 부착 4일 후 첩부 면적에 대한 탈착 면적을 기록하였다.
전술한 실시예 3 및 9와 비교예 9 및 10의 각각의 첩부제 10개를 제조하였다. 각 실시예의 각각의 첩부제를 10인의 흉부 또는 등에 부착하여 일상 생활을 하게 하였다. 4일 동안 부착 후 쉽게 탈착된 것에는 ○, 쉽게 탈착되지 않은 것에는 ×를 표시하였다.
또한, 실시예 11∼17 및 비교예 11∼18의 약물 함유 첩부제에 대해 점착력 시험을 실시하여, 부착 후 첩부 면적에 대한 탈착 면적 및 박리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약물 비함유 첩부제의 결과와 유사한 결과가 얻어졌다.
함수율
온도 23±2℃ 및 상대 습도 40±5%(RH)의 환경하에서, 박리 라이너를 갖는 첩부제를 7.5 cm2로 천공하여 시편을 얻었다. 그 후, 시편으로부터 박리 라이너를 제거하고 이 시편을 물 증발 장치에 배치하였다. 이 시편을 장치 내에서 140℃로 가열하였으며, 이로 인해 발생한 물은 담체로서 기체를 함유한 적정 플라스크로 유입되었으며, 칼 피셔 전기량 적정법에 의해 첩부제의 함수량(중량%; 첩부제의 총 중량에 대한 물의 중량 비)을 측정하였다.
본 실시예의 설명에서 "변"이란, 인접한 2개의 직선부가 연장되고 2개의 연장선이 교차하는 지점이 전술한 단락에서의 다각형의 모서리인 것으로 가정할 때 인접한 2개의 모서리 사이의 거리를 의미한다. 본 실시예의 설명에서 면적이란 실제 면적을 말한다.
본 발명의 설명은 단지 예시를 목적으로 한 것이며, 본 발명의 교시 및 이점으로부터 실질적으로 벗어나지 않는 제시된 특정 실시형태에 대한 다양한 변형 및 변경 양태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으로 의도된다. 이러한 변형 양태는 본 발명의 범위 및 정신으로부터 벗어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출원은 일본에서 출원된 특허 출원 제2009-028903호에 기초한 것으로, 이 특허 출원의 내용은 본원에서 참고로 포함한다.
1: 지지체
2: 점착제층
3: 박리 라이너
4: 첩부제
5: 곡선부
6: 직선부
7: 직선부
8: 연장선
9: 연장선
10: 인접한 2개의 직선부가 교차하는 지점
11: 반경 R

Claims (5)

  1. 지지체 및 이 지지체의 한 면에 형성된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저신축성 첩부제로서, 상기 첩부제의 평면 외측 형상의 곡선부의 총 길이 W(mm) 대 상기 첩부제의 평면 외측 형상의 직선부의 총 길이 S(mm)의 비 P(W/S)가 1.22 이하이고, 상기 곡선부가 원호에 가까우면 상기 원호의 반경 R(mm)이 0.5 mm 이상인 저신축성 첩부제.
  2. 제1항에 있어서, 5% 모듈러스가 0.5 (N) 이상인 첩부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의 최외층 표면이 1.0 이하의 정적 마찰 계수를 갖는 것인 첩부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이 비수성인 첩부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첩부제를 포함하는 첩부 제제로서, 상기 점착제층이 약물을 함유하는 것인 첩부 제제.
KR1020100012474A 2009-02-10 2010-02-10 첩부제 및 첩부 제제 KR2010009192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028903 2009-02-10
JP2009028903 2009-02-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1920A true KR20100091920A (ko) 2010-08-19

Family

ID=423427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2474A KR20100091920A (ko) 2009-02-10 2010-02-10 첩부제 및 첩부 제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9040077B2 (ko)
EP (1) EP2223686B1 (ko)
JP (2) JP2010207571A (ko)
KR (1) KR20100091920A (ko)
CN (1) CN101797240A (ko)
CA (1) CA2692536C (ko)
ES (1) ES2644590T3 (ko)
RU (1) RU201010456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10418B2 (ja) * 2010-12-28 2015-11-11 アルケア株式会社 貼付材
KR101054317B1 (ko) * 2011-01-28 2011-08-08 신신제약 주식회사 리바스티그민을 함유하는 경피흡수제제
EP2693509A4 (en) * 2011-03-30 2015-03-25 Oceans King Lighting Science SUBSTRATE,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AND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EVICE USING THE SAME
WO2014171538A1 (ja) * 2013-04-18 2014-10-23 興和株式会社 貼付剤用支持体及びこれを用いた貼付剤
WO2020264514A1 (en) * 2019-06-28 2020-12-30 L'oreal Anti-aging compositions and skin masks containing anti-aging compositions
WO2024189206A1 (en) * 2023-03-15 2024-09-19 Lts Lohmann Therapie-Systeme Ag Hexagonal self-adhesive layer structure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28416A (en) * 1967-11-06 1970-09-15 Lawrence J Chamberlain Protective bandage
JPS4613598Y1 (ko) * 1968-12-10 1971-05-14
JPS49112900U (ko) 1972-11-28 1974-09-26
JPS49112900A (ko) 1973-02-28 1974-10-28
JPS5615431B2 (ko) * 1973-04-11 1981-04-10
DE3344334C2 (de) * 1983-12-08 1986-11-13 Lohmann Gmbh & Co Kg, 5450 Neuwied Folienverband
JPH03145046A (ja) 1989-10-30 1991-06-20 Kobe Steel Ltd 大立体角静電分析器
JP3081858B2 (ja) * 1992-05-12 2000-08-28 日東電工株式会社 貼付剤および貼付製剤
JP3145046B2 (ja) 1996-12-11 2001-03-12 松下電送システム株式会社 ファクシミリ通信の全二重モデムより半二重モデムへの切替え終結方法
US6177482B1 (en) * 1996-12-23 2001-01-23 The Proctor & Gamble Company Adhesive for secure topical attachment to the skin and comfortable removal
JPH119623A (ja) 1997-06-23 1999-01-19 Nichiban Co Ltd 医療用粘着テープ
JP3321394B2 (ja) 1997-09-19 2002-09-03 株式会社アテックス ベッド
DE19746913C2 (de) * 1997-10-23 2002-04-25 Beiersdorf Ag Trägermaterial für medizinische Zwecke
JP2000109427A (ja) 1998-10-01 2000-04-18 Lion Corp 皮膚貼付剤
JP2000297033A (ja) * 1999-04-14 2000-10-24 Hisamitsu Pharmaceut Co Inc パップ剤
JP4365624B2 (ja) * 2003-06-24 2009-11-18 日東電工株式会社 皮膚貼付用粘着シート及び救急絆創膏
JP2005224981A (ja) 2004-02-10 2005-08-25 Bando Chem Ind Ltd 積層支持体及び皮膚貼付薬シート
JP4799874B2 (ja) * 2005-01-25 2011-10-26 日東電工株式会社 貼付剤
JP4806935B2 (ja) 2005-01-31 2011-11-02 東洋紡績株式会社 伸縮性シートおよび貼付剤ならびにそれらの製造方法
JP2006288887A (ja) 2005-04-13 2006-10-26 Nitto Denko Corp 貼付製剤
JP2009519246A (ja) * 2005-12-08 2009-05-14 フェルティン ファルマ 経皮タバコアルカロイドパッチ
JP5193674B2 (ja) * 2007-06-01 2013-05-08 日東電工株式会社 貼付剤および貼付製剤
JP2009022730A (ja) * 2007-06-18 2009-02-05 Kyoritsu Yakuhin Kogyo Kk 貼付剤
JP3145046U (ja) * 2008-07-10 2008-09-25 ニチバン株式会社 かかと用貼付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203108A1 (en) 2010-08-12
CN101797240A (zh) 2010-08-11
EP2223686A2 (en) 2010-09-01
JP2010207571A (ja) 2010-09-24
JP2014087704A (ja) 2014-05-15
CA2692536C (en) 2017-02-07
EP2223686A3 (en) 2011-06-22
ES2644590T3 (es) 2017-11-29
US9040077B2 (en) 2015-05-26
CA2692536A1 (en) 2010-08-10
RU2010104566A (ru) 2011-08-20
EP2223686B1 (en) 2017-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5238848B2 (en) Adhesive patch
EP2025310B1 (en) Patch and adhesive preparation
EP1696013B1 (en) Pressure sensitive adhesive and patch
EP2206759B1 (en) Adhesive preparation and patch preparation
WO2008007786A1 (fr) Patch et préparation de patch
KR101809744B1 (ko) 방수성 첩부 제제
WO2010073326A1 (ja) 経皮吸収型製剤
KR20100091920A (ko) 첩부제 및 첩부 제제
JP5870350B2 (ja) ビソプロロール経皮投与デバイス
WO2005072669A1 (ja) カバー材及びカバー材付き貼付剤
JP7257410B2 (ja) 含水系貼付剤
TWI825121B (zh) 黏著劑組合物及貼附劑
KR20140014141A (ko) 첩부 제제
JPH09124462A (ja) 貼付剤および貼付製剤
EP4049655A1 (en) Layered transdermal patch
EP2609913A1 (en) Patch preparation
JP7219177B2 (ja) 非水系貼付剤
JPH05310559A (ja) 投錨性を向上させた貼付剤
JP2005281202A (ja) 経皮吸収型貼付剤用支持体及び経皮吸収型貼付剤
TW202202147A (zh) 貼附劑
JP2004018393A (ja) 貼付剤
JPH04106323U (ja) 医療用貼付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