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76724A - 용융장력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용융장력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76724A
KR20100076724A KR1020080134858A KR20080134858A KR20100076724A KR 20100076724 A KR20100076724 A KR 20100076724A KR 1020080134858 A KR1020080134858 A KR 1020080134858A KR 20080134858 A KR20080134858 A KR 20080134858A KR 20100076724 A KR20100076724 A KR 201000767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yl
weight
peroxide
parts
polypropyle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48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96420B1 (ko
Inventor
한상민
이종오
최창휴
Original Assignee
호남석유화학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남석유화학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호남석유화학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348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6420B1/ko
Priority to JP2011541999A priority patent/JP5424221B2/ja
Priority to CN200980152575.2A priority patent/CN102264828B/zh
Priority to EP09835160.4A priority patent/EP2371898B1/en
Priority to PCT/KR2009/005886 priority patent/WO2010074394A2/ko
Publication of KR201000767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67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64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6420B1/ko
Priority to US13/159,177 priority patent/US20110245425A1/en
Priority to US13/400,347 priority patent/US20120149845A1/en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10/00Homopolymers and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 C08F10/04Monomers containing three or four carbon atoms
    • C08F10/06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8/00Chemical modification by after-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in the ring
    • C08K5/156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in the ring having two oxygen atoms in the ring
    • C08K5/1575Six-membered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2Poly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110/00Hom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 C08F110/04Monomers containing three or four carbon atoms
    • C08F110/06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810/00Chemical modification of a polymer
    • C08F2810/10Chemical modification of a polymer including a reactive processing step which leads, inter alia, to morphological and/or rheological modifications, e.g. visbreak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14Additives containing two or more different additives of the same subgroup in C08K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4Per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26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023/4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by reaction with compounds changing molecular weigh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 C08L2205/025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hierarchy C08L, and differing only in parameters such as density, comonomer content, molecular weight, struc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666/00Composition of polymers characterized by a further compound in the blend, be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inorganic substances or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 in the composition
    • C08L2666/02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 C08L2666/04Macromolecular compounds according to groups C08L7/00 - C08L49/00, or C08L55/00 - C08L57/00; Derivatives thereof
    • C08L2666/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hydrocarbons; Derivatives thereof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 Processes Of Treat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융장력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존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특정 반감기 분포가 다른 2가지 이상의 유기과산화물을 폴리프로필렌과 단계적으로 반응시킴으로써 용융장력이 우수한 고용융장력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기술에 대한 것이다.
폴리프로필렌수지, 유기과산화물, 용융장력

Description

용융장력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POLYPROPYLENE RESIN HAVING HIGH MELT TENSION AND A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본 발명은 용융장력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반감기 분포가 다른 2가지 이상의 특정 유기과산화물을 폴리프로필렌과 단계적으로 반응시킴으로써 용융장력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기술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우수한 성형 가공성 및 내약품성을 갖고 있으며 인장강도, 굴곡강도, 강성 등이 비교적 우수하고 가격 또한 저가이어서 사출 및 압출 등의 다양한 용도에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폴리프로필렌은 용융장력이 낮아 높은 용융장력을 요구하는 대형 진공/압공 성형공정, 발포공정, 압출코팅 성형공정 등의 여러가지 성형 공정에 적용하기 어렵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따라 폴리프로필렌의 낮은 용융장력을 개선하기 위해 1980년 이후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며 일부는 제품으로 판매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생산 판매 되는 제품은 LyondellBasell사의 Pro-fax 시리즈 제품, Borealis사의 DapolyTM, Chisso사의 NEWSTREN 등이 있다. 위 제품들은 폴리플로필렌 수지의 전자선 가교법, 반응 압출법, 중합법 등 다양한 방법을 사용하여 생산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전자선 조사법에 의해 제조된 고용융장력 폴리프로필렌은 성능은 우수하나, 조사장비의 설치 및 운용비가 고가이고 생산성이 낮아 제품의 가격이 고가라는 단점이 있으며, 촉매 및 중합공정에 의해 제조된 고용융장력 폴리프로필렌은 현재까지 긴가지구조의 도입효율이 상대적으로 떨어져 용융장력 향상에 한계가 있으며, 유기 과산화물을 특정 반응조건에서 폴리프로필렌과 반응시켜 폴리프로필렌 장쇄에 도입하는 반응압출법 역시 유기과산화물의 반감기 온도에 비례하여 반응조건이 배치상에서 단계별로 이루어져 제조시간이 길고 생산성이 낮은 문제점이 있고 반응성 모노머를 사용하기 때문에 잔존 모노머로 인한 냄새 문제 및 제조 원가가 올라가는 단점이 있다.
특히 비닐계 가교제와 유기과산화물을 이용하여 반응 압출을 함으로써 일정수준으로 가교를 시켜 고용융장력 폴리프로필렌을 제조하는 방법은, 생산된 폴리프로필렌의 가교로 인하여 표면불량과 Gel형성 문제 및 경제성 잔존 비닐계 가교제로 인한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최근에는 연속 압출공정을 통해 높은 용융장력을 갖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얻는 것에 관한 연구가 특정 반감기 온도를 갖는 유기과산화물을 사용하는 것으로 제한되었으며(대한민국 특허발명 제0330308호 및 제0511516호), 이는 낮은 반감기 온도를 갖는 유기과산화물 1종을 사용하여 이를 압출기내에서 반응시켜 장 측쇄 구조를 도입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장측쇄구조를 갖는 고용융장력 폴리프로필렌이 생성되기 위해서는 먼저 폴리프로필렌 사슬이 절단되고 그 다음 끊어진 사슬이 재결합되어야 하지만, 기존 발명들과 같이 사슬 절단 및 재결합 반응이 동시에 일어나는 경우에는 충분한 양의 장측쇄가 폴리프로필렌 주사슬에 도입되기 힘들 뿐만 아니라 효율성 또한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이는 중합법제품과 대비하여 용융장력이 높고 기타 제조방식 제품과 비교하여 경제성은 우수하다고 할 것이나, 전자선 조사방식 및 반응성 모노머를 사용한 반응압출방식 제품에 대비하여서는 용융장력이 떨어지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구체적으로 선행발명들의 내용을 살펴보면, 대한민국 특허 제0330308호에는 폴리프로필렌에 특정 반감기 온도를 갖는 유기과산화물을 부가하여 일반적인 압출기에서 높은 용융장력을 갖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해 개시하고 있으나, 이로 인해 얻어진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은 최종제품의 용융지수(MI)가 0.5 이하로서, 제품화를 하기에는 흐름성이 너무 낮으며 이를 위해제품의 용융지수를 높이면 다시 제품의 용융장력이 떨어지게 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 제0511516호 발명의 경우는 2종 이상의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특정 반감온도를 갖는 유기과산화물과 반응시킴으로써 높은 용융장력을 갖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해 개시하고 있으나, 이는 반감기 특성이 비슷한 유기과산화물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chain 재결합 반응성이 상대적으로 떨어지게 되고, 폴리프로필렌 주사슬에 장측쇄 도입능력이 상기 방식대비 저하되어 최종 제품의 용융장력이 약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 하는 과제는 보다 물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조성물의 제공을 위하여 연속적인 반응압출 방식으로 특수하게 설계된 전용 압출기에서 특정 반감기 분포가 다른 2가지 이상의 유기과산화물을 폴리프로필렌과 단계적으로 반응시킴으로써 용융장력이 우수한 고용융장력 폴리프로필렌을 개발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과제는 상업화 중인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의 제조방법들에 대비하여 경제적으로도 유리한 제조방법을 개발하는데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1) 하기의 (A)성분을 1~90중량부, (B)성분을 10~99중량부, (C)성분을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1~2중량부, (D)성분을 조성물의 총중량에 대하여 0.1~2중량부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용융장력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A) 용융지수(ASTM 1238, g/10min)가 0.1~10.0의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B) 용융지수 2.0~80.0g/min의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C) 10시간 반감기 온도가 90~200인 유기과산화물.
(D) 10시간 반감기 온도가 80 이하인 유기과산화물.
(C)성분의 유기과산화물은,
1,1-Di(t-butylperoxy)cyclohexane, 2,2-Di(4,4-di-(t-butylperoxy)cyclohexyl)propane, t-Butyl peroxymaleic acid, t-Butyl peroxy-3,5,5-trimethylhexanoate, t-Butyl peroxy isopropyl monocarbonate, t-Butyl peroxy 2-ethylhexyl monocarbonate, 2,5-Di-methyl-2,5-di(benzoylperoxy)hexane, t-Butyl peroxyacetate, 2,2-Di-(t-butylperoxy)butane, t-Butyl peroxybenzoate, n-Butyl 4,4-di-(t-butylperoxy)valerate, Di(2-t-butylperoxyisopropyl)benzene, Dicumyl peroxide, 2,5-Dimethyl-2,5-di(t-butylperoxy)hexane, t-Butyl cumyl peroxide, p-Menthane hydroperoxide, 2,5-Dimethyl-2,5-di(t-butylperoxy)hexyne-3, Isopropylcumyl hydroperoxide, 1,1,3,3-Tetramethylbutyl hydroperoxide, Cumene hydroperoxide, t-Butyl hydroperoxide, 2,3-Dimethyl-2,3-diphenylbutane 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D)성분의 유기과산화물은,
Dibenzoyl peroxide, Di(3-methylbenzoyl)peroxide, Di(4-methylbenzoylperozide), t-butyl peroxy-2-ethylhexanonate, Disuccinic acid peroxide, 2,5,-Dimethyl-2,5-di(2-ethylhexanonylperoxy)hexane, Dilauroyl peroxide, 1,1,3,3-tetramethylbutyl peroxy-2-ethylhexanoate, Di(3,5,5-trimethylhexanoyl) peroxide, t-Butyl peroxypivalate, t-Hexyl peroxypivalate, t-Butyl peroxyneoheptanoate, t-Butyl peroxyneodecanoate, t-Hexyl peroxyneodecanoate, Di(2-ethylhexyl) peroxydicarbonate, 1,1,3,3- Tetramethylbutyl peroxyneodecanoate, Diisopropyl peroxydicarbonate,
Cumyl peroxyneodecanoate, Di-n-propyl peroxydicarbonate, Diisobutyryl peroxid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또 다른 수단으로는, 폴리프로필렌 단독중합체 및 공중합체, 반응개시제인 유기과산화물 (C)를 불활성기체 분위기의 믹서에서 충분히 혼합한 후 압출기에 투입하고, 반응제인 유기과산화물(D)을 압출기 중간부분에 side feeding방식으로 첨가하여 L/D가 35이상인 이축 압출기에서 연속 용융 반응시켜 고용융장력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고용융장력 폴리프로필렌 수지조성물은 장측쇄 도입능력이 우수하여 향상된 용융장력 거동 및 성형성이 탁월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상업화중인 제조방법들에 대비하여 경제적으로도 유리한바 향후 신규 수요창출에도 매우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연속적인 반응압출 방식으로 특수하게 설계된 전용 압출기에서 특정 반감기 분포가 다른 2가지 이상의 유기과산화물을 폴리프로필렌과 단계적으로 반응시킴으로써 용융장력이 우수한 고용융장력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즉, 고분자 체인이 tertiary-탄소 원자들로 구성된 폴리프로필렌을 상대적으로 반감기가 긴(10시간 반감기 온도가 100℃이상) 유기과산화물과 반응시키면 분해가 일어난다. 특히 유기과산화물의 자유라디칼은 주로 tertiary-CH 그룹들과 반응하고 β-scission이라고 불리는 tertiary-탄소 원자의 β위치에서 chain 분해를 일으킨다. 이러한 반응은 폴리프로필렌의 선형적인 사슬구조를 변화시킬 수 있어, 고용융장력 폴리프로필렌 제조의 개시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대적으로 낮은 반감기를 갖는(10시간 반감기 온도가 80℃이하) 특정 반감기 온도를 갖는 유기과산화물을 폴리프로필렌과 반응시킬 경우, chain 재결합이 일어난다.
따라서 이와같은 상반된 특성을 갖는 2종류 이상의 유기과산화물들을 압출기의 압출기 전단과 중간부분에서 단계적으로 반응시키게 되면, 주쇄에 적절한 chain 분해와 같은 개시반응을 활성화시킨 상태에서 재결합 반응을 유도하게 되는바 기존 방식들에 대비하여 효율적으로 장측쇄가 도입됨으로써 용융장력이 보다 향상된 폴리프로필렌을 제조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A+B) 전체 폴리프로필렌 수지성분을 100중량부로 하였을때, 하기 (A)성분 1~90중량부, (B)성분 10~99중량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C)성분을 0.1~2 중량부로, (D)성분 0.1~2 중량부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A) 용융지수(ASTM 1238, g/10min)가 0.1~10.0의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B) 용융지수 (2.0~80.0 g/10min)의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C) 높은 반감기 온도를 갖는 특정 유기 과산화물; (D) 낮은 반감기 온도를 갖는 특정 유기 과산화물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각 구성성분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A 및 B 성분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폴리프로필렌 (A)는 0.1~10g/10min의 용융지수, 바람직하게는 0.5~5g/10min의 용융지수를 나타낸다. 상기의 용융지수가 0.1g/10min미만인 폴리프로필렌을 사용할 경우는 겔 발생 가능성이 높아지고, 피쉬아이 발생과 같은 표면 불량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용융지수가 10g/10min를 초과하는 폴리프렌을 사용할 경우는 반응시 장측쇄 구조가 상대적으로 약하게 생성되어 용융장력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폴리프로필렌 (B)는 2.0~80.0g/10min의 용융지수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에서 (A)는 분자량이 높은 폴리프로필렌으로 유기과산화물과 주로 반응하여 장측쇄 구조를 이루는 역할을 하며 (B)는 반응보다는 전체 유동지수을 제어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의 폴리프로필렌은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또는 프로필렌과 알파 올레핀 단량체 10몰% 이하의 이원공중합체 이다. 또한, 사용되는 알파 올레핀은 2~10개의 탄소수를 가지며, 구체적으로는 1-부텐, 1-펜텐, 1-핵센, 1-옥텐 등을 포함한다.
C 성분
개시제인 유기과산화물 (C)는 10시간 반감기 온도가 90℃~200℃, 바람직하 게는 90℃ ~ 150℃인 유기과산화물이다.
유기과산화물의 구체적인 종류는 1,1-Di(t-butylperoxy)cyclohexane, 2,2-Di(4,4-di-(t-butylperoxy)cyclohexyl)propane, t-Butyl peroxymaleic acid, t-Butyl peroxy-3,5,5-trimethylhexanoate, t-Butyl peroxy isopropyl monocarbonate, t-Butyl peroxy 2-ethylhexyl monocarbonate, 2,5-Di-methyl-2,5-di(benzoylperoxy)hexane, t-Butyl peroxyacetate, 2,2-Di-(t-butylperoxy)butane, t-Butyl peroxybenzoate, n-Butyl 4,4-di-(t-butylperoxy)valerate, Di(2-t-butylperoxyisopropyl)benzene, Dicumyl peroxide, 2,5-Dimethyl-2,5-di(t-butylperoxy)hexane, t-Butyl cumyl peroxide, p-Menthane hydroperoxide, 2,5-Dimethyl-2,5-di(t-butylperoxy)hexyne-3, Isopropylcumyl hydroperoxide, 1,1,3,3-Tetramethylbutyl hydroperoxide, Cumene hydroperoxide, t-Butyl hydroperoxide, 2,3-Dimethyl-2,3-diphenylbutane 등이 있다.
D 성분
유기과산화물 (D)는 10시간 반감기 온도가 80℃ 이하, 바람직하게는 70℃ 이하인 유기 과산화물이다.
유기과산화물의 구체적인 종류는 Dibenzoyl peroxide, Di(3-methylbenzoyl)peroxide, Di(4-methylbenzoylperozide), t-butyl peroxy-2-ethylhexanonate, Disuccinic acid peroxide, 2,5,-Dimethyl-2,5-di(2-ethylhexanonylperoxy)hexane, Dilauroyl peroxide, 1,1,3,3-tetramethylbutyl peroxy-2-ethylhexanoate, Di(3,5,5-trimethylhexanoyl) peroxide, t-Butyl peroxypivalate, t-Hexyl peroxypivalate, t-Butyl peroxyneoheptanoate, t-Butyl peroxyneodecanoate, t-Hexyl peroxyneodecanoate, Di(2-ethylhexyl) peroxydicarbonate, 1,1,3,3-Tetramethylbutyl peroxyneodecanoate, Diisopropyl peroxydicarbonate, Cumyl peroxyneodecanoate, Di-n-propyl peroxydicarbonate, Diisobutyryl peroxide 등이 있다
상기 원료들을 반응압출 시키기 위한 압출기는 2종류 이상의 유기과산화물을 충분히 반응시키기 위하여 L/D가 긴 압출기가 필요하며 최소 L/D가 35이상, 바람직하게는 50이상의 2축 압출기여야 한다. 이는, 용융 반응을 위해 사용되는 이축 압출기 외에 니더(Kneader), 벤버리 믹서(Banbury Mixer), 일축 압축기 등을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으나, 우수한 반응성 및 높은 생산성을 동시에 얻기 위해서는 2축 압출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유기과산화물을 side feeding하기 위한 side feeder가 최소 1개 이상 설치되어 있어야 한다. 이축압출기 사용시 용융 반응온도는 160~240℃ , 바람직하게는 10℃~220℃이다. 이는 상기 온도 범위에서 폴리프로필렌 혼합물은 충분히 반응 및 혼련되고, 개시제인 유기과산화물이 폴리프로필렌 혼합물과 완전히 반응하여 잔류량이 없는 개질 폴리프로필렌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축 압출기를 사용시에는 압출기 전단에서 유입구(Feeding Zone Entrance)로부터 토출구까지의 각 온도조절기를 적당히 조절하여 적당한 온도 구배가 생기게 한다.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먼저 폴리프로필렌 (A)에 유기과산화물 (C)를 함침한 후 폴리프로필렌 (B) 및 기타 산화방지제 등의 안정제와 함께 상온 질소 분위기의 헨셀 믹서에서 2~8 분동안 충분히 혼합한 후 위의 반응압출기에서 용융반응시킨다. 상기 혼합물 중에서 유기과산화물 (C)가 개시반응제 역할을 하여 폴리프로필렌을 활성화시킨 다음 압출기 중간 부분에서 유기과산화물 (D)를 side feeding하여 전단계에서 생성된 폴리프로필렌 라디칼을 재결합하여 장측쇄 구조를 갖는 형태의 고용융장력 폴리프로필렌이 형성하게 된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들 예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먼저 하기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사용된 각종 조성물의 특성 평가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1) 용융지수:
230, 2.16kgf에서 ASTM D-1238 법으로 측정하였다.
(2) 용융장력 값:
독일 게페르트(Gottfert)사의 레오텐스(Rheotens) 71.97 장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측정방법은 독일 브라밴더사의 브라밴더 일축압출기에 수지를 넣고 200℃, 50rpm으로 압출하고 다이 아래에 레오텐스를 장착하여 측정하였다. 레오텐스에는 수지의 연신을 위해 4개의 바퀴(Wheel)가 장착되어 있으며 연신속도는 동일한 비율(0.1s-1)로 등가속된다. 측정된 값은 센티뉴톤(cN)으로 나타내었다.
실시예 1
(A)성분으로 용융지수 1g/10분이며 폴리프로필렌 단독중합체 50중량부에 (C)성분인 유기과산화물을 폴리프로필렌 100중량부에 대해 0.1중량부를 함침시킨 후 (B)성분으로인 용융지수 12g/10분인 폴리프로필렌 단독중합체 50중량부와 함께 헨셀 믹서에 넣고, 상온 조건에서 헨셀 믹서 내부를 질소로 충분히 치환시킨 후, 총 4분 동안 충분히 섞어주었다. 충분히 섞은 후, 180~220℃ 온도범위의 준비된 2축 압출기(L/D=52)의 Main Feeder에 상기 혼합물을 투입한 후 압출기 중간부분에 (D)성분 유기과산화물을 폴리프로필렌 100중량부에 대해 0.4중량부를 side feeding 한 후 반응 압출시켰다. 압출 후 얻어진 펠렛은 80℃에서 24시간 충분히 건조하였으며 상기 방법에 의하여 MI및 용융장력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
(A)성분으로 용융지수 1g/10분인 폴리프로필렌 단독중합체 50중량부와 (B)성분으로 용융지수 12.0g/10분인 폴리프로필렌 단독중합체 50중량부를 사용하였으며, 유기과산화물 (C)를 폴리프로필렌 100중량부에 대해 0.3중량부, 유기과산화물 (D)를 폴리프로필렌 100중량부에 대해 0.4중량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3
(A)성분으로 용융지수 1g/10분인 폴리프로필렌 단독중합체 50중량부와 (B)성분으로 용융지수 12.0g/10분인 폴리프로필렌 단독중합체 50중량부를 사용하였으며, 유기과산화물 (C)의 양을 폴리프로필렌 100중량부에 대해 0.1중량부, 유기과산화물 (D)를 폴리프로필렌 100중량부에 대해 0.8중량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4
(A)성분으로 용융지수 1g/10분인 폴리프로필렌 단독중합체 50중량부와 (B)성분으로 용융지수 12.0g/10분인 폴리프로필렌 단독중합체 50중량부를 사용하였으며, 유기과산화물 (C)의 양을 폴리프로필렌 100중량부에 대해 0.3중량부, 유기과산화물 (D)를 폴리프로필렌 100중량부에 대해 0.8중량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비교예 1
(A)성분으로 용융지수 1g/10분인 폴리프로필렌 단독중합체 50중량부와 (B)성분으로 용융지수 12.0g/10분인 폴리프로필렌 단독중합체 50중량부를 사용하였으며, 유기과산화물(C),(D)를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비교예 2
(A)성분으로 용융지수 1g/10분인 폴리프로필렌 단독중합체 50중량부와 (B)성분으로 용융지수 12.0g/10분인 폴리프로필렌 단독중합체 50중량부를 사용하였으며, 유기과산화물 (C)의 양을 폴리프로필렌 100중량부에 대해 0.3중량부 사용하고 유기과산화물 (D)를 사용하지 않을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비교예 3
(A)성분으로 용융지수 1g/10분인 폴리프로필렌 단독중합체 50중량부와 (B)성분으로 용융지수 12.0g/10분인 폴리프로필렌 단독중합체 50중량부를 사용하였으며, 유기과산화물 (C)를 사용하지 않고, 유기과산화물 (D)만을, 폴리프로필렌 100중량부에 대해 0.8중량부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비교예 4
용융지수 1g/10분 인 (A)성분 폴리프로필렌 100% 만으로 이뤄진 조성물에 대한 용융장력을 상기 측정 방법을 통하여 측정하였다.
[표 1]

성분
A B C D MI 용융지수

중량부

g/10분

cN





1
50 50 0.1 0.4 3 18
2
50 50 0.3 0.4 4 15
3
50 50 0.1 0.8 2 25
4
50 50 0.3 0.8 2.2 28






1
50 50 - - 5 8
2
50 50 0.3 - 7 5
3
50 50 - 0.8 1.8 24
4
100 - - - 1 18
- 폴리프로필렌 A: 용융지수 1g/10분, 폴리프로필렌 단독중합체.
- 폴리프로필렌 B: 용융지수 12g/10분, 폴리프로필렌 단독중합체.
- 유기과산화물 C: 반감기 온도가 높은 유기과산화물.
- 유기과산화물 D: 반감기 온도가 낮은 유기과산화물.
- 유기과산화물 C, D의 비율은 폴리프로필렌 수지 100중량부에 대한 무게 중량비임.

Claims (5)

  1. 하기의 (A)성분을 1~90중량부, (B)성분을 10~99중량부, (C)성분은 A와 B를 합한 전체 폴리프로필렌 수지성분 100중량부에 대하여 0.1~2중량부, (D)성분은 A와 B를 합한 전체 폴리프로필렌 수지성분 100중량부에 대하여 0.1~2중량부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용융장력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A) 용융지수(ASTM 1238, g/10min)가 0.1~10.0의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B) 용융지수 2.0~80.0g/min의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C) 10시간 반감기 온도가 90~200℃인 유기과산화물.
    (D) 10시간 반감기 온도가 80℃ 이하인 유기과산화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의 폴리프로필렌 (A), (B)는,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또는 프로필렌과 알파 올레핀 단량체 10몰% 이하의 이원공중합체로서, 사용되는 알파 올레핀은 2~10개의 탄소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용융장력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성분의 유기과산화물은,
    1,1-Di(t-butylperoxy)cyclohexane, 2,2-Di(4,4-di-(t-butylperoxy)cyclohexyl)propane, t-Butyl peroxymaleic acid, t-Butyl peroxy- 3,5,5-trimethylhexanoate, t-Butyl peroxy isopropyl monocarbonate, t-Butyl peroxy 2-ethylhexyl monocarbonate, 2,5-Di-methyl-2,5-di(benzoylperoxy)hexane, t-Butyl peroxyacetate, 2,2-Di-(t-butylperoxy)butane, t-Butyl peroxybenzoate, n-Butyl 4,4-di-(t-butylperoxy)valerate, Di(2-t-butylperoxyisopropyl)benzene, Dicumyl peroxide, 2,5-Dimethyl-2,5-di(t-butylperoxy)hexane, t-Butyl cumyl peroxide, p-Menthane hydroperoxide, 2,5-Dimethyl-2,5-di(t-butylperoxy)hexyne-3, Isopropylcumyl hydroperoxide, 1,1,3,3-Tetramethylbutyl hydroperoxide, Cumene hydroperoxide, t-Butyl hydroperoxide, 2,3-Dimethyl-2,3-diphenylbutane 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고용융장력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성분의 유기과산화물은,
    Dibenzoyl peroxide, Di(3-methylbenzoyl)peroxide, Di(4-methylbenzoylperozide), t-butyl peroxy-2-ethylhexanonate, Disuccinic acid peroxide, 2,5,-Dimethyl-2,5-di(2-ethylhexanonylperoxy)hexane, Dilauroyl peroxide, 1,1,3,3-tetramethylbutyl peroxy-2-ethylhexanoate, Di(3,5,5-trimethylhexanoyl) peroxide, t-Butyl peroxypivalate, t-Hexyl peroxypivalate, t-Butyl peroxyneoheptanoate, t-Butyl peroxyneodecanoate, t-Hexyl peroxyneodecanoate, Di(2-ethylhexyl) peroxydicarbonate, 1,1,3,3-Tetramethylbutyl peroxyneodecanoate, Diisopropyl peroxydicarbonate,
    Cumyl peroxyneodecanoate, Di-n-propyl peroxydicarbonate, Diisobutyryl peroxid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고용융장력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5. a) 폴리프로필렌 단독중합체 및 공중합체, 반응개시제인 유기과산화물(C)을 불활성기체 분위기의 믹서에서 충분히 혼합한 후 압출기에 투입하는 단계;
    b) 반응제인 유기과산화물(D)을 압출기 중간부분에 side feeding방식으로 첨가하는 단계; 및
    c) 압출기에서 연속 용융 반응시켜 제조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용융장력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080134858A 2008-12-26 2008-12-26 용융장력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9964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4858A KR100996420B1 (ko) 2008-12-26 2008-12-26 용융장력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2011541999A JP5424221B2 (ja) 2008-12-26 2009-10-13 溶融張力に優れたポリプロピレン樹脂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CN200980152575.2A CN102264828B (zh) 2008-12-26 2009-10-13 具有高熔体强度的聚丙烯树脂组合物及其制备方法
EP09835160.4A EP2371898B1 (en) 2008-12-26 2009-10-13 Polypropylene resin compositions having high melt tension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PCT/KR2009/005886 WO2010074394A2 (ko) 2008-12-26 2009-10-13 용융장력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US13/159,177 US20110245425A1 (en) 2008-12-26 2011-06-13 Polypropylene resin compositions having high melt tension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US13/400,347 US20120149845A1 (en) 2008-12-26 2012-02-20 Polypropylene resin compositions having high melt tension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4858A KR100996420B1 (ko) 2008-12-26 2008-12-26 용융장력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6724A true KR20100076724A (ko) 2010-07-06
KR100996420B1 KR100996420B1 (ko) 2010-11-24

Family

ID=422882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4858A KR100996420B1 (ko) 2008-12-26 2008-12-26 용융장력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20110245425A1 (ko)
EP (1) EP2371898B1 (ko)
JP (1) JP5424221B2 (ko)
KR (1) KR100996420B1 (ko)
CN (1) CN102264828B (ko)
WO (1) WO2010074394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9360B1 (ko) * 2013-11-27 2015-03-05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고용융장력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870787B (zh) * 2010-07-20 2013-04-10 贵州盛峰药用包装有限公司 一种耐热抗菌聚丙烯口服液体药瓶及其制备方法
DE102011003382A1 (de) 2011-01-31 2012-08-02 United Initiators Gmbh & Co. Kg Peroxidabmischungen für die beschleunigte Vernetzung von Ethylenvinylacetat
CN103865176A (zh) * 2012-12-10 2014-06-18 中国石油天然气股份有限公司 一种高熔体强度聚丙烯的制备方法
JP6045695B2 (ja) * 2013-06-13 2016-12-14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CN104448536B (zh) * 2013-09-18 2017-05-31 中国石油天然气股份有限公司 一种高刚性tpv增韧聚丙烯组合物及其制备方法
US9982099B2 (en) 2014-04-16 2018-05-29 Costas Tzoganakis Method for modifying polyolefin to increase long chain branching
CN105504170B (zh) * 2014-09-22 2018-10-02 中国石化扬子石油化工有限公司 一种高熔体强度聚丙烯的制备方法
CN105440216B (zh) * 2014-09-22 2018-10-02 中国石化扬子石油化工有限公司 一种高熔体强度聚丙烯及其制备方法
EP3356589B1 (en) 2015-10-02 2021-02-17 Borealis AG Melt-blown webs with improved properties
EP3257988B1 (en) * 2016-06-13 2019-09-11 Borealis AG High quality melt-blown webs with improved barrier properties
US11559937B2 (en) 2016-08-30 2023-01-24 Lummus Novolen Technology Gmbh Polypropylene for additive manufacturing (3D printing)
KR101960837B1 (ko) 2016-11-16 2019-03-21 동국실업 주식회사 용융장력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수지 성형물 제조 방법
KR101820679B1 (ko) 2016-11-16 2018-03-08 동국실업 주식회사 용융장력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물
ES2906282T3 (es) * 2017-08-24 2022-04-18 Nouryon Chemicals Int Bv Proceso para producir polipropileno de alta resistencia a la fusión
CN108250557B (zh) * 2018-01-19 2020-08-21 东莞理工学院 一种柔性低氢中子屏蔽材料及其制备方法
EP3578577A1 (en) * 2018-06-08 2019-12-11 Lummus Novolen Technology Gmbh Propylene copolymer compositions suitable for foaming
JP2020186302A (ja) * 2019-05-13 2020-11-19 日本ポリプロ株式会社 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及び成形品
CN111253657B (zh) * 2019-12-30 2022-10-21 浙江瑞堂塑料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导电交联聚乙烯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CN114181452B (zh) * 2021-10-29 2023-10-31 金发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聚丙烯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43391A (en) * 1983-03-28 1988-05-10 Chevron Research Company Method for oxidatively degrading an olefinic polymer
US4734448A (en) * 1985-07-10 1988-03-29 Idemitsu Petrochemical Co., Ltd. Propylene polymer composition
US5047485A (en) * 1989-02-21 1991-09-10 Himont Incorporated Process for making a propylene polymer with free-end long chain branching and use thereof
JP2869606B2 (ja) * 1992-11-26 1999-03-10 チッソ株式会社 高溶融張力ポリプロピレンおよびその製造方法と成形品
DE69829197T2 (de) * 1997-10-28 2006-02-16 Castrol Ltd., Swindon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pfropfcopolymeren
UA60351C2 (uk) * 1997-11-21 2003-10-15 Акцо Нобель Н.В. Спосіб модифікації поліпропілену
KR100236488B1 (ko) * 1997-12-12 2000-01-15 이영일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
JP3634965B2 (ja) * 1998-07-14 2005-03-30 日本ポリプロ株式会社 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
KR100330308B1 (ko) 1999-06-29 2002-04-01 이영일 높은 용융장력을 갖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JP4281157B2 (ja) * 1999-07-13 2009-06-17 チッソ株式会社 ポリプロピレン樹脂組成物
JP2002080609A (ja) * 2000-09-04 2002-03-19 Grand Polymer Co Ltd 改質ポリプロピレンの製造方法および発泡体
JP4493821B2 (ja) * 2000-09-04 2010-06-30 株式会社プライムポリマー 改質ポリプロピレンの製造方法および発泡体
KR20020029215A (ko) * 2000-10-12 2002-04-18 조 정 래 용융장력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및 이의 제조방법
JP4210448B2 (ja) * 2001-10-30 2009-01-21 日本ポリプロ株式会社 マスターバッチ及びこれを用いた成形体
US20050012235A1 (en) * 2001-11-30 2005-01-20 Schregenberger Sandra D Oxygen tailoring of polyethylene resins
KR100475946B1 (ko) * 2002-06-05 2005-03-10 한일이화주식회사 내충격성 및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한 자동차 도어 트림용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JP2004176061A (ja) * 2002-11-14 2004-06-24 Japan Polypropylene Corp プロピレン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
JP4165814B2 (ja) * 2003-03-26 2008-10-15 住友化学株式会社 変性ポリオレフィン樹脂の製造方法及び変性ポリオレフィン樹脂
KR100511516B1 (ko) * 2003-04-01 2005-09-01 호남석유화학 주식회사 높은 용융장력을 갖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및 그의 제조방법
JP3808843B2 (ja) * 2003-05-15 2006-08-16 株式会社プライムポリマー 改質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および該樹脂組成物の発泡体
KR100811922B1 (ko) * 2007-02-13 2008-03-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JP2009275123A (ja) * 2008-05-15 2009-11-26 Japan Polypropylene Corp 改質された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9360B1 (ko) * 2013-11-27 2015-03-05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고용융장력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264828A (zh) 2011-11-30
WO2010074394A3 (ko) 2010-08-12
KR100996420B1 (ko) 2010-11-24
JP5424221B2 (ja) 2014-02-26
US20110245425A1 (en) 2011-10-06
JP2012512303A (ja) 2012-05-31
EP2371898B1 (en) 2013-12-04
EP2371898A4 (en) 2012-05-02
WO2010074394A2 (ko) 2010-07-01
US20120149845A1 (en) 2012-06-14
CN102264828B (zh) 2014-06-18
EP2371898A2 (en) 2011-10-05
WO2010074394A4 (ko) 2010-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6420B1 (ko) 용융장력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559638B1 (ko) 고용융장력 프로필렌 폴리머의 제조 과정
KR20150058405A (ko) 헤테로상 프로필렌 공중합체 및 탈크를 함유하는 조성물의 제조 방법
JP2008521966A (ja) 耐熱特性が強化された組成物
JP4031622B2 (ja) 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
JP6770796B2 (ja) 繊維強化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
KR101349588B1 (ko) 용융장력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2009275123A (ja) 改質された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677495B1 (ko) 친환경 유연성 폴리아미드 컴파운드
KR101635519B1 (ko) 가교화 회전 성형용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수지 성형품
KR101499360B1 (ko) 고용융장력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 제조방법
US11117995B2 (en) Process for preparing high melt strength polypropylene
US20040171729A1 (en) Polypropylene resin composition
KR102420796B1 (ko) 과산화물을 이용한 변성폴리올레핀 제조방법
KR101753982B1 (ko) 내황변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20200051376A (ko)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수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31739B1 (ko) 퍼옥시다이카보네이트를 이용한 변성폴리올레핀 제조방법
KR102129922B1 (ko) 고유동성 부분 가교형 내충격 폴리프로필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01977B1 (ko) 분지형 폴리프로필렌 수지,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발포체
KR100330308B1 (ko) 높은 용융장력을 갖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EP3868824A1 (en) Heterophasic propylene copolymer
KR20230075206A (ko) 장쇄 분지를 가지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101730723B1 (ko) 물성이 개선된 고유동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20200120501A (ko) 모폴로지 변형된 헤테로상 프로필렌 코폴리머 및 이의 제품
CN117624481A (zh) 一种高熔体强度高结晶度的聚丙烯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