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70284A - 현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현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70284A
KR20100070284A KR1020090085891A KR20090085891A KR20100070284A KR 20100070284 A KR20100070284 A KR 20100070284A KR 1020090085891 A KR1020090085891 A KR 1020090085891A KR 20090085891 A KR20090085891 A KR 20090085891A KR 20100070284 A KR20100070284 A KR 201000702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veloper
developing
casing
opening
downstr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58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00262B1 (ko
Inventor
다카시 사카모토
게이스케 구보
Original Assignee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702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02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02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02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96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developer unit or parts thereof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5/08 - G03G15/0894
    • G03G15/0898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developer unit or parts thereof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5/08 - G03G15/0894 for preventing toner scattering during operation, e.g. seal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현상제를 수용하는 케이싱에서의 현상용의 개구부의 하류측 가장자리부와 현상제 반송체의 외주면 사이에서 케이싱의 외부에 누출하는 현상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현상 장치 등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현상 장치(1)는, 현상제(3)의 수용부(13)와 직사각형 형상의 개구부(12)가 형성된 케이싱(10)과, 케이싱의 내부에 상기 개구부를 통과하는 상태로 회전하도록 설치되고, 외주면에 현상제를 유지해서 현상 영역(E)에 반송하는 원통 형상의 현상제 반송체(20)와, 현상제 반송체의 회전 방향(A) 상류측이 되는 일 단부(40a)가 케이싱의 개구부 중 현상제 반송체의 회전 방향 하류측에 위치하는 하류측 가장자리부(12a)측에서 고정되고, 당해 현상제 반송체의 회전 방향 하류측이 되는 타 단부(40b)가 자유단이 되어서 개구부의 하류측 가장자리부를 통과한 당해 현상제 반송체의 회전축 방향(B)에서의 적어도 현상제 유지 영역이 되는 외주면 부분에 유지되어 있는 현상제의 층(3a)에 접촉하는 상태로 배치되는 가요성의 면 형상 부재(40)를 가진다.
현상제, 케이싱, 반송체, 현상 장치, 수용부

Description

현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상 형성 장치{DEVELOP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현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 사진 방식, 정전 기록 방식 등을 적용한 프린터, 복사기, 팩시밀리 등의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감광체 등의 상유지체에 형성되는 정전 잠상을 분체(粉體) 형상의 현상제에 의해 현상하는 현상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현상 장치로서는, 예를 들면 현상 영역과 대향하는 현상용 개구부가 형성된 케이싱과, 이 케이싱의 현상용 개구부에 일부 노출시킨 상태로 설치되어서 회전하고, 현상제를 유지해서 반송하는 원통 형상의 현상제 반송체를 가지고, 상기 케이싱 중 현상 영역을 통과한 후의 상기 현상제 반송체의 외주면과 대향하는 부위에, 그 현상제 담지체의 외주면과의 간격이 가장 좁아지는 돌출부를 적어도 존재시키도록 형성한 현상 장치가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
[특허문헌 1] 일본국 특허 공개 제2008-89730호 공보
본 발명은, 현상제를 수용하는 케이싱에 형성되는 현상용의 개구부 중 현상제 반송체의 회전 방향 하류측에 위치하는 하류측 가장자리부와 그 현상제 반송체의 외주면 사이에서 케이싱의 외부에 누출하는 현상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현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현상 장치 (A1)은, 현상제를 수용하는 수용부와 현상제에 의한 현상을 행하는 현상 영역과 대향하는 직사각형 형상의 개구부가 형성된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상기 개구부를 통과하는 상태로 회전하도록 설치되고, 외주면에 현상제를 유지해서 현상 영역에 반송하는 원통 형상의 현상제 반송체와,
상기 현상제 반송체의 회전 방향 상류측이 되는 일 단부가 상기 케이싱의 개구부 중 상기 현상제 반송체의 회전 방향 하류측에 위치하는 하류측 가장자리부측에서 고정되고, 당해 현상제 반송체의 회전 방향 하류측이 되는 타 단부가 자유단이 되어서 상기 개구부의 하류측 가장자리부를 통과한 당해 현상제 반송체의 회전축 방향에서의 적어도 현상제 유지 영역이 되는 외주면 부분에 유지되어 있는 현상제의 층에 접촉하는 상태로 배치되는 가요성의 면 형상(面狀) 부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현상 장치 (A2)는, 상기 발명 A1의 현상 장치에서,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상기 개구부의 하류측 가장자리부를 통과한 상기 현상제 반송체의 회전축 방향에서의 현상제 유지 영역의 외측에 위치하는 외주면의 양 단부에 각각 접촉하는 상태로 설치되는 현상제 누출 방지 부재를 가지고,
상기 면 형상 부재의 상기 현상제 반송체의 회전축 방향에서의 양 단부를, 상기 현상제 누출 방지 부재의 일 부분과 중첩하는 위치까지 연장한 상태로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현상 장치 (A3)은, 상기 발명 A2의 현상 장치에서, 상기 현상제 누출 방지 부재의 상기 현상제 반송체의 현상제 유지 영역과 이웃하는 단부에, 상기 면 형상 부재와 중첩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상태로 당해 현상제 유지 영역측에 돌출하는 형상의 돌출부를 형성하고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현상 장치 (A4)는, 상기 발명 A2 또는 A3의 현상 장치에서, 상기 면 형상 부재에서의 상기 현상제 누출 방지 부재와 중첩하는 단부에, 당해 누출 방지 부재의 일부와의 접촉을 회피하는 노치부를 형성하고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현상 장치 (A5)는, 상기 발명 A1의 현상 장치에서, 상기 가요성의 면 형상 부재가, 합성 수지를 이용한 두께 50 ~ 300㎛의 필름 형상의 부재이다.
본 발명의 현상 장치 (A6)은, 상기 발명 A5의 현상 장치에서, 상기 합성 수지가, 폴리 우레탄, PE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화상 형성 장치 (B1)은, 상유지체에 형성되는 정전 잠상을 현상 장치로부터 공급하는 현상제에 의해 현상해서 화상을 형성하는 작상(作像) 장치를 가지고,
상기 현상 장치는,
현상제를 수용하는 수용부와 현상제에 의한 현상을 행하는 현상 영역과 대향하는 직사각형 형상의 개구부가 형성된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상기 개구부를 통과하는 상태로 회전하도록 설치되고, 외주면에 현상제를 유지해서 현상 영역에 반송하는 원통 형상의 현상제 반송체와,
상기 현상제 반송체의 회전 방향 상류측이 되는 일 단부가 상기 케이싱의 개구부 중 상기 현상제 반송체의 회전 방향 하류측에 위치하는 하류측 가장자리부측에서 고정되고, 당해 현상제 반송체의 회전 방향 하류측이 되는 타 단부가 자유단이 되어서 상기 개구부의 하류측 가장자리부를 통과한 당해 현상제 반송체의 회전축 방향에서의 적어도 현상제 유지 영역이 되는 외주면 부분에 유지되어 있는 현상제의 층에 접촉하는 상태로 배치되는 가요성의 면 형상 부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화상 형성 장치 (B2)는, 상기 B1의 화상 형성 장치에서, 상기 현상 장치가 상기 발명 A2 ~ A4의 현상 장치의 구성을 전부 포함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화상 형성 장치 (B2)는, 상유지체에 형성되는 정전 잠상을 현상 장치로부터 공급하는 현상제에 의해 현상해서 화상을 형성하는 작상 장치를 가지고,
상기 현상 장치는,
현상제를 수용하는 수용부와 현상제에 의한 현상을 행하는 현상 영역과 대향하는 직사각형 형상의 개구부가 형성된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상기 개구부를 통과하는 상태로 회전하도록 설치되고, 외주면에 현상제를 유지해서 현상 영역에 반송하는 원통 형상의 현상제 반송체와,
상기 현상제 반송체의 회전 방향 상류측이 되는 일 단부가 상기 케이싱의 개구부 중 상기 현상제 반송체의 회전 방향 하류측에 위치하는 하류측 가장자리부측에서 고정되고, 당해 현상제 반송체의 회전 방향 하류측이 되는 타 단부가 자유단이 되어서 상기 개구부의 하류측 가장자리부를 통과한 당해 현상제 반송체의 회전축 방향에서의 적어도 현상제 유지 영역이 되는 외주면 부분에 유지되어 있는 현상제의 층에 접촉하는 상태로 배치되는 가요성의 면 형상 부재와,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상기 개구부의 하류측 가장자리부를 통과한 상기 현상제 반송체의 회전축 방향에서의 현상제 유지 영역의 외측에 위치하는 외주면의 양 단부에 각각 접촉하는 상태로 설치되는 현상제 누출 방지 부재를 가지고,
상기 면 형상 부재의 상기 현상제 반송체의 회전축 방향에서의 양 단부를, 상기 현상제 누출 방지 부재의 일 부분과 중첩하는 위치까지 연장한 상태로 설치하고,
상기 면 형상 부재에서의 상기 현상제 누출 방지 부재와 중첩하는 단부에, 당해 누출 방지 부재의 일부와의 접촉을 회피하는 노치부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발명 A1의 현상 장치에 의하면, 가요성의 면 형상 부재를 설치하지 않는 경우에 비해, 케이싱의 개구부 중 하류측 가장자리부와 현상제 반송체의 외주면 사이에서, 케이싱의 외부에 누출하는 현상제가 발생하는 일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현상제 반송체에 유지된 현상제가 가요성의 면 형상 부재에 접촉해도 케이싱의 외부에 누출하는 일이 없고, 또한, 케이싱의 수용부에 수용되어 있는 현상제가 개구부의 하류측 가장자리부와 현상제 반송체의 외주면 사이를 통해서 누출하려 하여도 가요성의 면 형상 부재에 막혀 케이싱의 외부에 누출하는 일이 없다.
상기 발명 A2 내지 A6의 현상 장치에서는, 그 발명의 구성을 가지지 않는 경우에 비해, 가요성의 면 형상 부재와 현상제 누출 방지 부재 사이로부터 현상제가 케이싱의 외부에 누출하는 일을 저감할 수 있다.
상기 발명 B1의 화상 형성 장치에 의하면, 현상 장치에서의 케이싱에 형성되는 현상용의 개구부 중 현상제 반송체의 회전 방향 하류측에 위치하는 하류측 가장자리부와 그 현상제 반송체의 외주면 사이에서 현상제가 케이싱의 외부에 누출하는 것이 방지되고, 이러한 현상제가 그 케이싱의 하류측 가장자리부에 부착되어서 퇴적하거나, 그 퇴적한 현상제의 덩어리가 화상 형성 장치의 내부에 낙하해서 오염된다고 하는 불량이 발생할 우려가 없어진다.
상기 발명 B2의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그 발명의 구성을 가지지 않는 경우에 비해, 가요성의 면 형상 부재와 현상제 누출 방지 부재 사이로부터 현상제가 케이싱의 외부에 누출하는 것이 저감되고, 상기한 현상제의 퇴적이나 낙하에 의한 오염이라는 불량이 발생할 우려가 가일층 적어진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간단히「실시예」라고 함)에 대 해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현상 장치(1)를 적용한 화상 형성 장치(6)의 요부를 나타내고, 도 2는 그 현상 장치(1)를 나타내고 있다.
우선, 화상 형성 장치(6)는, 도시 생략한 지지 부재, 외장 커버 등으로 구성되는 케이싱의 내부 공간에, 공지된 전자 사진 방식 등을 이용해서 현상제로서의 토너로 구성되는 토너 상(像)을 형성하는 작상(作像) 장치(60)가 설치되어 있다.
이 작상 장치(60)는, 벨트 형상 등의 중간 전사체(71)를 이용하는 중간 전사 방식을 채용하고 있고, 실제로는 서로 상이한 색의 토너 상을 형성하는 복수의 작상 장치(60)를 중간 전사체(71)의 회전 이동 방향을 따라 나란히 배치한(도 1 중 우측에 다른 작상 장치가 배치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작상 장치(60)에서는, 화살표로 나타내는 방향(이 실시예에서는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 구동하는 드럼 형상의 감광체(61)의 상 형성 영역이 되는 둘레면을 대전 장치(62)에 의해 소요(所要)의 전위로 대전시킨 후, 그 대전된 감광체(61)의 둘레면에 노광 장치(63)로부터 화상 정보(신호)에 의거하는 광(H)을 조사해서 전위차가 있는 정전 잠상을 형성한다.
이어서, 작상 장치(60)에서는, 감광체(61)에 형성한 정전 잠상을, 현상 장치(1)로부터 공급되는 소요의 색의 토너에 의해 현상해서 토너 상으로서 현상화한 후, 그 토너 상을 감광체(61)에 접촉한 상태로 회전 이동하는 벨트 형상의 중간 전사체(71)에 1차 전사 장치(65)에 의해 전사한다. 전사 후의 감광체(61)는 그 둘레면에 잔류하는 토너 등이 청소 장치(66)에 의해 제거된다.
작상 장치(60)에서는 이와 같은 작상 공정을 거쳐 토너 상이 형성되지만, 복수의 작상 장치(60)를 배치하고 있을 경우에는, 그 밖의 작상 장치에서도 상기한 작상 공정을 동일하게 거쳐 각 색의 토너 상을 형성하고, 그 토너 상을 중간 전사체(71)에 서로 위치 맞춤해서 중첩되도록 한 상태로 전사한다. 또한, 상기한 작상 공정에서는, 대전 장치(62), 현상 장치(1) 및 1차 전사 장치(65)에 대하여, 도시 생략한 전원으로부터 대전용 전압, 현상용 전압 또는 1차 전사용 전압이 각각 인가된다.
중간 전사체(71)에 전사된 토너 상은, 2차 전사 장치(72)에 의해 도시 생략한 급지 장치로부터 반송되어서 중간 전사체(71)와 2차 전사 장치(72) 사이에 보내지는 용지(9)에 전사된다. 벨트 형상의 중간 전사체(71)는, 작상 장치(60)의 상방측에 위치하는 상태로 배치되어 있고, 구체적으로는 복수의 벨트 지지 롤(71a~71d) 등에 걸쳐져 화살표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회전한다. 지지 롤(71b)은 텐션(tension)(장력 부여) 롤이고, 지지 롤(71c)은 2차 전사의 접지된 백업 롤이다. 2차 전사 장치(72)에는, 2차 전사 공정 시에, 도시 생략한 전원으로부터 2차 전사용 전압이 인가된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6)는, 도시 생략한 케이싱의 내부 공간에, 2차 전사 장치(72)의 상방측에 위치하는 상태로 정착 장치(75)가 배치되어 있다. 정착 장치(75)는, 케이싱 내에, 화살표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회전 구동하는 동시에 표면 온도가 가열 수단에 의해 소요의 온도로 가열 유지되는 롤 형태, 벨트 형태 등의 가열 회전체(76)와, 이 가열 회전체(76)의 축방향으로 거의 따르도록 소요의 압력 으로 접촉해서 종동 회전하는 롤 형태, 벨트 형태 등의 가압 회전체(77)를 설치해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중간 전사 방식을 채용한 작상 장치(60)에 의해 토너 상이 전사된 용지(9)는, 정착 장치(75)에 도입된다. 정착 장치(75)에서는, 토너 상이 전사된 용지(9)가 가열 회전체(76)와 가압 회전체(77) 사이의 접촉부를 통과할 때에 가열 및 가압되고, 이에 따라 토너 상을 용융시켜서 용지(9)에 정착한다. 정착이 종료한 후의 용지(9)는, 정착 장치(75)로부터 배출된 후, 도시 생략한 배출 용지 수용부 등에 반송된다.
여기에서, 노광 장치(63)는, 화상 형성 장치(6)에 접속 또는 장비되는 원고 판독 장치, 외부 접속 기기, 기억 매체 판독 장치 등의 정보원으로부터 입력되는 화상 정보를 도시 생략한 화상 처리 장치에서 소요의 처리를 한 후에 얻어지는 화상 처리 신호에 의거하여 노광이 행해진다. 노광 장치(63)로서는, 반도체 레이저나 각종 광학 부품을 조합시킨 레이저빔 주사 장치나, 복수의 발광다이오드(LED)나 각종 광학 부품을 조합시킨 LED 어레이 등이 사용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노광 장치(63)로서, 노광용의 광(H)이 출사되는 출광부(63a)를 노광 장치 본체의 상면부에 일체로 설치하는 동시에, 그 출광부(63a)를 포함하는 장치 전체가 감광체(61)의 하방측의 위치에 배치된 구성의 노광 장치를 적용하고 있다.
이어서, 작상 장치(60)에서의 현상 장치(1)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현상 장치(1)는, 도 2 ~ 도 5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싱으로서의 하우징(10)과, 현상제 반송체로서의 현상 롤(20)과, 층 규제 부재로서의 층 두께 규 제판(25)과, 현상제 교반 반송 부재로서의 2개의 스크류 오우거(screw auger)(30A, 30B)를 가지고 있다. 도 2 중에서 부호 3은 비(非)자성 토너 및 자성 캐리어를 포함하는 2성분 현상제(의 퇴적면 등)를 나타내고, 부호 E는 현상 장치(1)에 의한 현상을 실행할 때의 감광체(61)의 둘레면에서의 현상 영역을 나타낸다.
하우징(1O)은, 감광체(61)의 회전축 방향을 따르는 현상 영역(E)과 대향 하는 측의 부위에 거의 직사각형 형상의 개구부(12)가 형성되고, 또한, 그 개구부(12)와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부위에 2성분 현상제(3)를 수용하는 내부 공간이 되는 현상제 수용부(13)가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수용부(13)는, 양 단부(端部)에서 서로 연결되고 또한 중앙부에서 분리 벽(13a)에 의해 분리된 평행한 2열의 현상제 순환 반송로(13b, 13c)를 가지는 형태로 되어 있다. 분리 벽(13a)의 양 단부에는, 2열의 현상제 순환 반송로(13b, 13c)를 서로 접속하는 연락 통로(14a, 14b)가 존재한다.
또한, 하우징(10)은, 개구부(12)나 수용부(13)의 주된 구조 부분이 형성되는 하부측의 본체부(10A)와, 그 본체부(10A)의 상면부(천판(天板))를 막는 상태로 장착됨으로써 개구부(12)나 수용부(13)의 나머지부(상부)가 형성되는 덮개부(상 커버)(10B)로 분할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3은, 하우징(10)의 덮개부(10B)를 제거한 상태의 하우징 본체부(10A)를 나타내고, 도 4는 그 본체부(10A)로부터 분리해서 뒤집은 상태의 하우징 덮개부(10B)를 나타낸다.
현상 롤(20)은, 하우징(10)의 내부에 개구부(12)를 통과하는 상태로 회전하도록 설치되는 원통 형상의 슬리브(21)와, 이 슬리브(21)의 내부 공간 내에 고정되 는 마그넷 롤(magnet roll)(22)로 구성되어 있다. 현상 장치(1)는, 이 현상 롤(20)(의 슬리브(21))이 감광체(61)의 현상 영역(E)이 되는 외주면 부분에 대하여 소요의 간격을 떨어뜨린 비접촉의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현상 롤(20)의 슬리브(21)는, 도시 생략한 회전 구동 장치로부터의 동력을 얻어서 화살표로 나타내는 방향(이 실시예에서는 시계 회전 방향)(A)으로 회전 구동하는 동시에, 전술한 바와 같이 도시 생략한 전원으로부터 감광체(61)와의 사이에서 현상 전계(電界)를 형성하기 위한 현상용 전압이 인가된다. 현상용 전압으로서는, 예를 들면 교류 성분을 중첩한 직류 전압이 인가된다. 또한, 슬리브(21)는, 비자성 재료(예를 들면, 스테인레스, 알루미늄 등)를 이용하고, 감광체(61)의 회전축 방향에서의 상 형성 영역과 거의 동일한 폭(길이)을 가지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슬리브(21)는, 그 회전축 방향(B)(도 5, 도 8을 참조)이 감광체(61)의 회전축 방향과 거의 평행한 상태로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마그넷 롤(22)은, 슬리브(21)의 외주면에 현상제의 자성 캐리어를 소요의 자력으로 부착시키는 자력선 등을 발생하기 위한 복수의 자극을 소정의 각도로 배치한 구조로 되어 있다.
층 두께 규제판(25)은, 슬리브(21)의 회전축 방향(B)에서의 현상제 유지 영역(21a)과 거의 동일한 길이를 가지는 판(板)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비자성 재료(예를 들면 스테인레스)를 이용하여 형성되어 있다. 층 두께 규제판(25)은, 그 선단부(25a)가 현상 롤(20)(의 슬리브(21))의 외주면에 대하여, 그 외주면에 유지되는 2성분 현상제(3)의 층 두께를 소요의 두께로 규제하기 위한 간극을 두고 대향하 는 상태가 되도록 하우징(10)의 본체부(10A)에 장착되어 있다.
스크류 오우거(30A, 30B)는 모두, 회전축(31)에 2성분 현상제(3)를 교반하면서 반송하기 위한 돌출 조(條)의 날개부(32)를 나선 형상으로 소정의 피치로 감은 상태로 형성한 것이다. 이 오우거(30A, 30B)는, 하우징(10)의 현상제 수용부(13)에서의 2열의 현상제 순환 반송로(13b, 13c) 내에 대하여, 그 양쪽 반송로에 있는 현상제(3)를 일정한 방향(도 3 : 화살표(C1, C2))으로 각각 반송할 수 있는 방향으로 회전 구동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여기에서, 도 2에서의 부호 35는 반송로(13b) 내에서의 현상제(3)의 토너 농도를 검출하는 자기(磁氣) 센서이다. 이 자기 센서(35)는, 그 검출면이 반송로(13b)의 바닥부에 형성된 검출 장착 개구부(15)(도 3)에 존재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또한, 도 2에서의 부호 28은, 현상 장치(1)의 일부(상류측 가장자리부(12b))와 감광체(61) 사이의 간격을 막는 밀봉재이다. 이 밀봉재(간격 막음재)(28)는, 그 하단부가 하우징(10)의 개구부(12) 중 현상 롤(20)의 슬리브(21)의 회전 방향(A)의 상류측이 되는 상류측 가장자리부(12b)에 고정되고, 그 상단부가 감광체(61)의 둘레면에 회전축 방향을 따라 접촉하는 상태가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3에서의 부호 16은 현상제 보급 통로부이다. 이 현상제 보급 통로부(16)는, 예를 들면 반송로(13b)의 일 단부로부터 오우거(30A)의 축방향을 따라 돌출한 상태로 형성되는 것이고, 그 보급 통로 내에 오우거(30A)가 연장된 상태로 설치되는 동시에, 그 통로 돌출 선단측의 상부에 도시 생략한 현상제 보급 장치로부터 반송되어서 보급되는 현상제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구(17)가 형성되어 있다. 수용구(17)로부터 수용된 보급용의 현상제는, 오우거(30A)의 반송력에 의해 반송로(13b) 내를 향해서 반송된다. 또한, 도 4 등에서의 부호 18은 하우징 덮개부(10B)를 하우징 본체부(10A)에 장착할 때에 사용되는 걸이용 돌기이고, 부호 19는 그 장착 시에 사용되는 걸이 클로(claw)를 나타낸다.
그리고, 이 현상 장치(1)에서는, 도 2, 도 4 ~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10)의 개구부(12) 중 현상 롤(20)에서의 슬리브(21)의 회전 방향(A)의 하류측에 위치하는 하류측 가장자리부(12a) 측에서 일 단부가 고정되고, 그 일 단부와 대향하는 일 단부가 자유단이 되어서 그 하류측 가장자리부(12a)를 통과한 후의 슬리브(21)의 외주면에 유지되어 있는 현상제의 층에 접촉하도록 배치된 필름재(40)를 설치하고 있다. 필름재(40)는, 하우징 덮개부(10B)에 설치되어 있다.
필름재(40)는, 슬리브(21)의 적어도 현상제 유지 영역(21a)의 회전축 방향(B)에서의 폭(도 5의 부호 W)보다도 긴 치수의 길이를 가지는 전체가 거의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 부재이다. 필름재(40)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우레탄이나 PET(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등의 합성 수지를 이용하여 두께 50 ~ 300㎛ 또는 50 ~ 300㎛ 정도의 필름 형상으로 성형된 것이 사용된다.
또한, 필름재(40)는, 그 길이 방향 중 슬리브(21)의 회전 방향(A)의 상류측이 되는 일 단부(40a)가 하우징(10)의 개구부(12)의 하류측 가장자리부(12a)가 되는 내벽면부(10a)에 양면 테이프, 점착제 등의 고정 수단에 의해 장착되어 고정되어 있다. 필름재의 일 단부(40a)를 장착하는 내벽면부(10a)는, 예를 들면 필름 재(40)의 슬리브(21)의 외주면에 접촉할 때의 접촉 각도(θ)를 조정하는 등의 관점으로부터, 그 면의 높이(위치)나 수평도 등이 설정된다.
또한, 필름재(40)는, 그 길이 방향 중 슬리브(21)의 회전 방향(A)의 하류측이 되는 타 단부(40b)가, 하우징(10)의 내부에서 자유단이 되고, 개구부(12)의 하류측 가장자리부(12a)를 통과한 후의 슬리브(21)의 외주면에 유지되어 있는 현상제의 층(도 6에 2점 쇄선(3a)으로 나타내는 현상제층의 상면)에 접촉하는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이때, 필름재(40)는, 슬리브(21)의 외주면에 대하여 적어도 예각의 범위 내(바람직하게는 도 6에 나타내는 접촉각(θ)이 θ=15~60°의 수치 범위 내에서 선정되는 각도)에서 접촉하게 한 상태로 설치된다.
상기 접촉 각도(θ)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벽면부(10a)에 장착된 필름재(40)가 슬리브(21)의 외주면(현상제층이 없는 상태의 외주면)에 최초로 접촉하는 지점(P)을 중심점으로 하는 원 중, 내벽면부(10a)의 내측 단부에 장착된 필름재(40)의 하면 부분을 통과하고 당해 외주면과 교차하는 원에서의 당해 하면 부분과 당해 외주면 사이에 있는 원호(K)의 중심 각도에 거의 상당하는 각도이다.
이렇게 설치되는 필름재(40)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리브(21)의 외주면(현상제의 층(3a))에 점차 접근하면서 접촉하고, 그 접촉하기 전에 당해 외주면과의 사이에, 슬리브(21)의 회전 방향(A)의 하류측이 뾰족하게 되어(테이퍼 상태가 되어서) 전체의 단면이 쐐기 형상이 되는 공간(S)을 형성하는 상태로 존재한다. 게다가, 이때, 그 자유단인 타 단부(40b)의 측이, 접촉하는 대상물의 상황에 따라서 휘도록 용이하게 변형(변위)할 수 있는 상태로 존재한다. 또한, 필름 재(40)는, 하우징(10)의 개구부(12)의 하류측 가장자리부(12a)와 슬리브(21)의 적어도 현상제 유지 영역(21a)에서의 외주면 사이에서의 극간(隙間)을 막는 상태로 존재한다.
또한, 이 현상 장치(1)에서는, 도 2, 도 4, 도 5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10)의 개구부(12)의 하류측 가장자리부(12a)를 통과한 현상 롤의 슬리브(21)에서의 현상제 유지 영역(21a)의 외측에 위치하는 외주면의 양 단부(21b, 21c)에 각각 접촉하는 단부 밀봉재(50A, 50B)가 설치되어 있다.
단부 밀봉재(50a, 50B)는, 슬리브(21)의 회전 방향(A)으로 긴 거의 직사각형 형상의 부재이고, 슬리브(21)의 외주면의 양 단부(21b, 21c)에 소요의 폭 및 길이로 접촉하도록 하우징 덮개부(10B)의 내벽면 부분에 대하여, 양면 테이프, 점착제 등의 고정 수단에 의해 장착되어 고정되어 있다. 단부 밀봉재(50)로서는, 예를 들면 테플론(등록상표) 등으로 이루어지는 두께가 2~6mm의 펠트가 사용된다. 단부 밀봉재(50A, 50B)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리브(21)의 현상제 유지 영역(21a)의 외측 경계부(도면 중의 점선으로 나타내는 부분)로부터 간격(α)을 떨어뜨린 상태로 슬리브 단부(21b, 21c)에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이 단부 밀봉재(50A, 50B)는, 하우징 덮개부(10B)의 내벽면과 슬리브(21)의 양 단부(21b, 21c)의 상부측 사이에서의 극간을 막는 상태로 존재한다. 이에 따라, 그 간격을 경유해서 개구부(12)로부터 외부로 누출하려 하는 현상제(3)(주로 토너)를 차단한다.
또한, 필름재(40)는, 현상 롤의 슬리브(21)의 회전축 방향(B)에 따른 길이 방향에서의 양 단부(40c, 40d)를, 도 4, 도 5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부 밀봉재(50A, 50B)의 일 부분과 중첩하는 위치까지 연장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 단부 밀봉재(50A, 50B)는, 도 4 ~ 도 6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개구부의 하류측 가장자리부(12a) 측에 위치하는 상류측 단부(50a)가, 필름재(40)의 일 단부(40a)보다도 케이싱(10)의 내부측(슬리브(21)의 회전 방향(A)의 하류측)에 배치되는 관계가 된다. 이 때문에, 필름재(40)는, 단부 밀봉재(50A, 50B)의 적어도 상류측 단부(50a)의 일 부분과 중첩하게 된다. 이에 따라, 도 8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리브(21)의 현상제 유지 영역(21a)과 단부 밀봉재(50A, 50B) 사이의 간격(상기 간격(α)으로 나타내는 슬리브 단부 영역)이 개구부의 하류측 가장자리부(12a)의 측에서 필름재(40)에 의해 막힌 상태로 되고, 케이싱(10)의 내부(수용부(13))에 있는 현상제(3)가 케이싱 외부로 누출할 가능성이 있는 극간 통로가 존재하지 않게 된다.
또한, 단부 밀봉재(50A, 50B)는, 도 5 ~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슬리브(21)의 현상제 유지 영역(21a)과 이웃하는 단부(50c)에, 필름재(40)와 중첩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상태에서 현상제 유지 영역(21a)의 측에 돌출하는 형상의 돌출부(52)가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52)는, 적어도 슬리브(21)의 현상제 유지 영역(21a)과 단부 밀봉재(50A, 50B) 사이의 간극에 존재할 정도로 돌출한 것이면 되고, 또한, 슬리브(21)의 현상제 유지 영역(21a)의 내부에 침입하는 양이 가능한 한 적어지도록 설정된다.
단부 밀봉재(50A, 50B)의 돌출부(52)는, 슬리브(21)의 현상제 유지 영 역(21a)과 단부 밀봉재(50A, 50B) 사이의 간극이 개구부의 하류측 가장자리부(12a)의 측에 연결되게 한 상태를 차단하는 상태로 존재한다. 이에 따라, 케이싱(10)의 내부(수용부(13))에 있는 현상제(3)가 그 간극을 통하여 케이싱 외부에 누출될 가능성이 있는 극간 통로가 확실하게 차단된 상태가 된다.
또한, 필름재(40)는, 도 4, 도 7 ~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부 밀봉재(50A, 50B)와 중첩하는 단부(40c, 40d)에, 그 단부 밀봉재(50A, 50B)의 필름재(40) 측으로 가장 돌출한 상태로 있는 모서리부(50e)와의 접촉을 회피하는 노치부(42)가 형성되어 있다. 이 노치부(42)는, 단부 밀봉재의 단부(40c, 40d)가 단부 밀봉재(50A, 50B)와 중첩하는 상태로 설치될 때에, 그 단부 밀봉재의 모서리부(50e)에 올라앉은 상태로 되어 일부 변형할 우려가 없는 상태(자세)를 유지하도록, 그 영향을 주는 단부 밀봉재의 모서리부(50e)의 부분과 접촉하지 않는 위치, 형상, 크기로 설정된다.
필름재(40)의 단부(40c, 40d)는, 이 노치부(42)의 존재에 의해, 단부 밀봉재(50A, 50B)와 중첩하도록 설치했을 때라도, 단부 밀봉재의 모서리부(50e)에 올라앉은 상태가 되어 일부 변형한 상태로 되지 않고, 그 단부(40c, 40d) 이외의 중앙측의 부분과 동일한 상태로 유지된다.
이하, 이 현상 장치(1)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우선, 현상 장치(1)는, 화상 형성 장치(6)에 의한 화상 형성의 동작 시가 되면, 현상 롤(20)과 스크류 오우거(30A, 30B)가 회전하기 시작하는 동시에, 현상 롤(20)에 현상용 전압이 인가된다. 이에 따라, 하우징(10)의 현상제 수용부(13)에 수용되어 있는 2성분 현상제(3)가 회전하는 오우거(30A, 30B)에 의해 교반되면서 현상제 수용부(13)의 순환 경로(13b, 13c) 내를 화살표(C1, C2)의 방향으로 각각 반송되어서 전체적으로 순환되게 한 상태로 반송된다(도 3 참조). 이때, 2성분 현상제(3)에서의 토너가, 캐리어와 충분하게 교반되어서 마찰대전되는 동시에 캐리어의 표면에 정전적으로 부착된 상태가 된다.
이어서, 현상 롤(20)에 가까운 측의 오우거(30B)에 의해 반송되는 2성분 현상제(3)의 일부가, 현상 롤(20)에 자력에 의해 흡착되도록 하여 유지된다. 즉, 현상 롤(20)에서의 회전하는 슬리브(21)의 외주면에, 마그넷 롤(22)의 자력에 의해, 토너가 부착된 자성 캐리어가 다수 체인(chain) 형상으로 이어진 모판 형상의 자기 브러시를 형성한 상태로 유지된다. 이어서, 이 슬리브(21)에 유지된 2성분 현상제(3)는, 그 슬리브(21)의 회전에 따라 반송되는 도중에 층 두께 규제판(25)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일정한 간극을 통과할 때에 그 통과 상태가 규제되어, 거의 일정한 층 두께(자기 브러시 높이)로 된다.
이어서, 이렇게 층 두께가 규제된 2성분 현상제(3)는, 현상 롤(20)의 슬리브(21)의 회전에 의해 하우징(10)의 개구부(12)에서 감광체(61)와 대향하는 현상 영역(E)에 반송된다. 그 뒤, 현상 영역(E)에 반송된 2성분 현상제(3)는, 그 자기 브러시의 선단부를 감광체(61)의 외주면에 접촉시킨 상태로 통과시켜지고, 그 통과 시에, 현상 롤(20)에 인가되는 현상용 전압에 의해 현상 롤(20)과 감광체(61)의 사이에 형성되는 현상(교번(交番)) 전계에 의해, 그 토너만이 감광체(61) 상의 정전 잠상에 정전적으로 부착되는 것이 된다. 이에 따라, 현상 장치(1)에 의한 정전 잠 상의 현상이 행해진다.
한편, 현상 영역(E)을 통과해서 현상에 기여하지 않았던 후(後)의 현상 롤(20) 상의 2성분 현상제(3)는, 슬리브(21)의 외주면에 유지된 상태로 개구부(12)를 통과해서 하우징(10)의 내부에 반송된 후, 원칙적으로, 슬리브(21)로부터 박리되어 하우징(10)의 내부(수용부)에 되돌려진다. 이 박리되어 되돌려진 현상제(3)는, 하우징(10)의 현상제 수용부(13) 내에서 다시 교반된다. 한편, 이 현상제가 박리된 후의 현상 롤(20)에는, 현상제 수용부(13)에서 교반된 2성분 현상제(3)가 전술한 바와 같은 원리로 다시 보충되도록 공급되어서 유지된다.
그리고, 이 현상 장치(1)에서는, 하우징(10)의 현상제 수용부(13) 내에서 발생하는 현상제(3)(실제는 토너)가 부유해 있고, 그 부유해 있는 현상제(3)의 일부가 하우징 덮개부(10B)의 내벽면을 타고 슬리브(21)의 외주면과의 사이의 간극을 통해서 외부에 누출하려 한다.
그러나, 이 현상 장치(1)에서는, 하우징(10)의 내부(수용부(13))로부터 외부에 누출하려 하는 부유해 있는 현상제가, 전술한 바와 같이 하우징 덮개부(10B)의 개구부 중 하류측 가장자리부(12a)와 슬리브(21)의 외주면 사이의 극간을 막도록 존재하는 필름재(40)에 의해 전방이 가로막아져, 개구부의 하류측 가장자리부(12a)와 슬리브(21)의 외주면 사이의 극간으로부터 외부로 누출하는 것이 저지된다.
또한, 이 현상 장치(1)에서는, 하우징 덮개부(10B)의 개구부 중 하류측 가장자리부(12a)를 통과한 후의 현상 롤의 슬리브(21)에 유지되는 2성분 현상제(3)의 자기 브러시의 층(3a)이, 그 하류측 가장자리부(12a)로부터 하우징(10)의 내부에서 슬리브(21)의 외주면에 점차 접근하면서 접촉하고 있는 상태로 존재하는 필름재(40)에 접촉하고나서 통과하게 된다.
이때, 필름재(4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슬리브(21)의 외주면(현상제의 층(3a))에 접촉하기 전에 당해 외주면과의 사이에, 슬리브(21)의 회전 방향(A)의 하류측이 뾰족하게 테이퍼의 상태로 되고, 전체의 단면이 쐐기 형상이 되는 공간(S)을 형성하는 상태로 존재한다. 이 때문에, 하류측 가장자리부(12a)를 통과한 후의 슬리브(21) 상에서의 2성분 현상제(3)의 자기 브러시의 층(3a)은, 필름재(40)의 하면에 순간적으로 강하게 충돌하는 일이 없이 완만하게 접촉하면서 통과하게 된다. 즉, 필름재(40)와의 접촉에 의해 강한 충격을 받는 일이 없이 통과할 수 있다.
게다가, 필름재(40)는, 휘도록 변형하는 것이 가능한 가요성이 있는 동시에 그 슬리브(21)의 외주면에 접촉하는 쪽의 단부(40b)가 자유단이므로, 슬리브(21) 상에 유지되어 있는 현상제(3)의 유지량(층 두께, 자기 브러시의 높이, 반송량)에 변동이 생겼다고 하여도, 그 변동한 상태에 추종하도록 변형 또는 변위한다. 이에 의해서도, 하류측 가장자리부(12a)를 통과한 후의 슬리브(21) 상의 현상제(3)의 자기 브러시의 층은, 필름재(40)와의 접촉에 의해 강한 충격을 받는 일 없이 통과할 수 있다.
이 결과, 하류측 가장자리부(12a)를 통과한 후의 슬리브(21)에 유지되어 있는 현상제(3)는, 그 일부가 필름재(40)에 접촉한 충격으로 자기 브러시로부터 이탈해서 부유하는 일이 없고, 나아가서는 하우징(10)의 개구부 하류측 가장자리 부(12a)를 통해서 외부에 누출할 우려도 없다.
또한, 이 현상 장치(1)에서는, 하우징(10)의 내부(수용부(13))에 있는 현상제의 일부가 필름재(40)와 단부 밀봉재(50A, 50B)의 사이로부터 누출할 일도 없다.
따라서, 이 현상 장치(1)에서는, 하우징(10)의 개구부(12) 중 하류측 가장자리부(12a)와 현상 롤의 슬리브(21)의 외주면 사이에서 하우징(10)의 외부에 누출하는 현상제가 존재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이 현상 장치(1)에서는, 예를 들면 하우징(10)의 개구부(12)의 하류측 가장자리부(12a)와 슬리브(21)의 외주면 사이로부터 누출된 현상제(3)가 부유해서 개구부(12)의 하류측 가장자리부(12a)의 외주면 측에 부착되는 대로 퇴적할 우려나, 그 부착되어서 퇴적한 현상제(3)의 덩어리가 어떠한 진동 등에 의해 낙하할 우려도 없다.
또한, 이 현상 장치(1)를 사용하는 화상 형성 장치(6)에서는, 현상 장치(1)에서의 상기 개구부(12)의 하류측 가장자리부(12a)의 외주면 측에 퇴적한 현상제(3)의 덩어리가 낙하하여, 화상 형성 장치(6)의 케이싱 내가 오염될 우려가 없다. 특히 이 화상 형성 장치(6)에서는, 현상 영역(E)의 하방의 위치에 배치되어서 존재하는 노광 장치(63)의 출광부(62a)에 현상제(3)가 낙하 또는 부유해서 부착되고, 그 출광부(62a)가 현상제(3)로 오염되어 노광 불량을 유발할 우려도 회피된다.
[다른 실시예]
상기 실시예에서의 현상 장치(1)에서는, 필름재(40)로서, 도 10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그 단부(40c, 40d)에 노치부(42)를 형성하지 않는 구성의 필름재(40B) 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필름재(40B)는, 예를 들면 단부 밀봉재(50A, 50B)가 유연한 재료이거나, 필름재와의 중첩 부분의 두께를 얇게 형성하고 있는 등에 의해, 단부 밀봉재(50A, 50B)의 필름재와 중첩하는 상류측 단부(50a)의 모서리부(50e)에 의한 변형 등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게 한 경우에 채용할 수 있다. 이 외에도, 필름재(40)로서는, 적어도 가요성을 가지는 것이면, 다른 재질, 형태, 치수 등으로 이루어지는 면 형상의 부재를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필름재(40)의 하우징(10)으로의 고정 방법으로서는, 상기 실시예의 양태(도 6)의 외에, 예를 들면 이하의 구성을 채용할 수도 있다. 그 일례로서는, 도 11에 필름 부재(40B)로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마그네틱 롤(21)의 회전 방향(A) 상류측의 일 단부(40a)를 하우징(10)의 개구부(12)의 하류측 가장자리부(12a)에 감아서 하류측 가장자리부(12a)의 외면부까지 연장시킨 상태로 고정하는 방식이나, 2점 쇄선으로 필름 부재(40C)로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일 단부(40a)를 하우징(10)의 개구부(12)의 하류측 가장자리부(12a)보다도 내측으로 벗어난 내벽에 고정하는 방식이다.
또한, 현상 장치(1)에서는, 단부 밀봉재(50A, 50B)로서, 돌출부(52)를 형성하지 않는 구성의 것을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현상 장치(1)에서는, 도 11에 점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10)의 개구부(12)의 하류측 가장자리부(12a)로부터 마그네틱 롤(21)의 회전 방향(A) 하류측의 내벽면에, 마그네틱 롤(21)의 외주면에 접근하도록 돌출하는 돌출부(49)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돌출부(49)를 형성하는 위치는, 예를 들면 필름 부재(40)의 마그네틱 롤(21)의 회전 방향(A) 하류측이 되는 타 단부(40b)의 상방이 되는 위치(돌출부(49A))나, 필름 부재(40)의 타 단부(40b)보다도 마그네틱 롤(21)의 회전 방향(A) 하류측의 내벽면의 위치(돌출부(49B)) 등이다.
필름재(40)를 설치하는 현상 장치는, 그 하우징(10)의 개구부(12)의 하류측 가장자리부(12a)가 상기 실시예의 예와 같이 현상 롤(20)(슬리브(21))의 회전 중심점보다도 상방에 배치되어 있는 구성의 현상 장치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그 개구부(12)의 하류측 가장자리부(12a)가 현상 롤(20)(슬리브(21))의 회전 중심점보다도 하방에 배치되어 있는 구성의 현상 장치여도 지장이 없다. 이 외에, 필름재(40)를 설치하는 현상 장치는, 유효하면, 예를 들면, 토너로 구성되는 소위 1성분 현상제를 사용하는 현상 장치여도 상관없다.
필름재(40)를 설치한 현상 장치를 이용하는 화상 형성 장치(6)에 대해서는, 중간 전사 방식을 채용하지 않고 작상 장치(61)를 1개 또는 복수 사용하는 구성의 화상 형성 장치여도 된다. 또한, 작상 장치(61)에서의 노광 장치에 대해서는, 상기 실시예에서 예시한 것 대신에, 출광부(63a)를 노광 장치의 본체와는 별도로 독립한 것으로서 형성하고, 그 출광부(63a)를 감광체(61)의 하방측의 위치에 배치하는 구성의 노광 장치를 적용할 수도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현상 장치를 이용한 화상 형성 장치의 요부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2는 도 1의 화상 형성 장치에 이용하는 현상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도 2의 현상 장치의 하우징 덮개부를 제거한 상태를 상방으로부터 봤을 때의 평면도.
도 4는 도 2의 현상 장치의 하우징 덮개부를 뒤집은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도 4의 하우징 덮개부와 현상 롤(슬리브)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6은 도 2의 현상 장치의 일부(개구부의 하류측 가장자리부와 그 주변의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도.
도 7은 도 4의 2점 쇄선의 원(Q)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확대도.
도 8은 필름재, 단부 밀봉재 및 현상 롤(슬리브)의 관계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9는 도 7에 나타내는 부분의 일부를 더 확대해서 나타내는 확대도.
도 10은 필름재의 다른 구성 예를 나타내는 요부 사시도.
도 11은 필름재 등에 관한 다른 구성 예를 나타내는 요부 확대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현상 장치 3 : 2성분 현상제(현상제)
3a : 현상제 n층 6 : 화상 형성 장치
10 : 케이싱 12 : 개구부
13 : 현상제 수용부(수용부) 20 : 현상 롤(현상제 반송체)
21 : 슬리브(현상제 반송체의 일부) 21a : 현상제 유지 영역
21b, 21c : 단부
40, 40B : 필름재(가요성의 면 형상 부재)
40a : 일 단부(현상제 반송체의 회전 방향 상류측의 단부)
40b : 타 단부(현상제 반송체의 회전 방향 하류측의 단부, 자유단)
42 : 노치부
50A, 50B : 단부 밀봉재(현상제 누출 방지 부재)
52 : 돌출부 60 : 작상 장치
61 : 감광체(상유지체) 63 : 노광 장치
63a : 출광부 A : 회전 방향
B : 회전축 방향 E : 현상 영역

Claims (8)

  1. 현상제를 수용하는 수용부와 현상제에 의한 현상을 행하는 현상 영역과 대향하는 직사각형 형상의 개구부가 형성된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상기 개구부를 통과하는 상태로 회전하도록 설치되고, 외주면에 현상제를 유지해서 현상 영역에 반송하는 원통 형상의 현상제 반송체와,
    상기 현상제 반송체의 회전 방향 상류측이 되는 일 단부(端部)가 상기 케이싱의 개구부 중 상기 현상제 반송체의 회전 방향 하류측에 위치하는 하류측 가장자리부측에서 고정되고, 당해 현상제 반송체의 회전 방향 하류측이 되는 타 단부가 자유단이 되어서 상기 개구부의 하류측 가장자리부를 통과한 당해 현상제 반송체의 회전축 방향에서의 적어도 현상제 유지 영역이 되는 외주면 부분에 유지되어 있는 현상제의 층에 접촉하는 상태로 배치되는 가요성의 면 형상(面狀) 부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상기 개구부의 하류측 가장자리부를 통과한 상기 현상제 반송체의 회전축 방향에서의 현상제 유지 영역의 외측에 위치하는 외주면의 양 단부에 각각 접촉하는 상태로 설치되는 현상제 누출 방지 부재를 가지고,
    상기 면 형상 부재의 상기 현상제 반송체의 회전축 방향에서의 양 단부가, 상기 현상제 누출 방지 부재의 일 부분과 중첩하는 위치까지 연장한 상태로 설치되 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누출 방지 부재의 상기 현상제 반송체의 현상제 유지 영역과 이웃하는 단부에, 상기 면 형상 부재와 중첩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상태로 당해 현상제 유지 영역측에 돌출하는 형상의 돌출부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면 형상 부재에서의 상기 현상제 누출 방지 부재와 중첩하는 단부에, 당해 누출 방지 부재의 일부와의 접촉을 회피하는 노치부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의 면 형상 부재는 합성 수지를 이용한 두께 50 ~ 300㎛의 필름 형상의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 수지는 폴리우레탄, PE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7. 상유지체에 형성되는 정전 잠상을 현상 장치로부터 공급하는 현상제에 의해 현상해서 화상을 형성하는 작상(作像) 장치를 가지고,
    상기 현상 장치는,
    현상제를 수용하는 수용부와 현상제에 의한 현상을 행하는 현상 영역과 대향하는 직사각형 형상의 개구부가 형성된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상기 개구부를 통과하는 상태로 회전하도록 설치되고, 외주면에 현상제를 유지해서 현상 영역에 반송하는 원통 형상의 현상제 반송체와,
    상기 현상제 반송체의 회전 방향 상류측이 되는 일 단부가 상기 케이싱의 개구부 중 상기 현상제 반송체의 회전 방향 하류측에 위치하는 하류측 가장자리부측에서 고정되고, 당해 현상제 반송체의 회전 방향 하류측이 되는 타 단부가 자유단이 되어서 상기 개구부의 하류측 가장자리부를 통과한 당해 현상제 반송체의 회전축 방향에서의 적어도 현상제 유지 영역이 되는 외주면 부분에 유지되어 있는 현상제의 층에 접촉하는 상태로 배치되는 가요성의 면 형상 부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8. 상유지체에 형성되는 정전 잠상을 현상 장치로부터 공급하는 현상제에 의해 현상해서 화상을 형성하는 작상 장치를 가지고,
    상기 현상 장치는,
    현상제를 수용하는 수용부와 현상제에 의한 현상을 행하는 현상 영역과 대향 하는 직사각형 형상의 개구부가 형성된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상기 개구부를 통과하는 상태로 회전하도록 설치되고, 외주면에 현상제를 유지해서 현상 영역에 반송하는 원통 형상의 현상제 반송체와,
    상기 현상제 반송체의 회전 방향 상류측이 되는 일 단부가 상기 케이싱의 개구부 중 상기 현상제 반송체의 회전 방향 하류측에 위치하는 하류측 가장자리부측에서 고정되고, 당해 현상제 반송체의 회전 방향 하류측이 되는 타 단부가 자유단이 되어서 상기 개구부의 하류측 가장자리부를 통과한 당해 현상제 반송체의 회전축 방향에서의 적어도 현상제 유지 영역이 되는 외주면 부분에 유지되어 있는 현상제의 층에 접촉하는 상태로 배치되는 가요성의 면 형상 부재와,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상기 개구부의 하류측 가장자리부를 통과한 상기 현상제 반송체의 회전축 방향에서의 현상제 유지 영역의 외측에 위치하는 외주면의 양 단부에 각각 접촉하는 상태로 설치되는 현상제 누출 방지 부재를 가지고,
    상기 면 형상 부재의 상기 현상제 반송체의 회전축 방향에서의 양 단부를, 상기 현상제 누출 방지 부재의 일 부분과 중첩하는 위치까지 연장한 상태로 설치하고,
    상기 면 형상 부재에서의 상기 현상제 누출 방지 부재와 중첩하는 단부에, 당해 누출 방지 부재의 일부와의 접촉을 회피하는 노치부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KR1020090085891A 2008-12-17 2009-09-11 현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상 형성 장치 KR1013002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320520 2008-12-17
JP2008320520A JP4683122B2 (ja) 2008-12-17 2008-12-17 現像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0284A true KR20100070284A (ko) 2010-06-25
KR101300262B1 KR101300262B1 (ko) 2013-08-23

Family

ID=42240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5891A KR101300262B1 (ko) 2008-12-17 2009-09-11 현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369737B2 (ko)
JP (1) JP4683122B2 (ko)
KR (1) KR101300262B1 (ko)
CN (1) CN10175093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09649A (ja) * 2012-11-30 2014-06-12 Brother Ind Ltd カートリッジ
JP2014109648A (ja) 2012-11-30 2014-06-12 Brother Ind Ltd 現像装置
JP6362023B2 (ja) * 2014-02-18 2018-07-25 株式会社リコー 現像装置、プロセスユニ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5161813A (ja) * 2014-02-27 2015-09-07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制限機構、清掃装置、像保持体ユニ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US9612547B2 (en) * 2015-03-05 2017-04-04 Ricoh Company, Ltd. Developing device,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16167046A (ja) * 2015-03-05 2016-09-15 株式会社リコー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KR20210039054A (ko) 2019-10-01 2021-04-09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공기 유입을 차단하는 탄성 필름을 구비하는 현상기
JP2021103264A (ja) * 2019-12-25 2021-07-15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
JP7482392B2 (ja) * 2020-04-21 2024-05-14 株式会社リコー 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19504B2 (ja) * 1991-12-19 2001-10-15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とそれを備えた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4161404B2 (ja) * 1998-05-01 2008-10-08 村田機械株式会社 画像記録装置
JP3441980B2 (ja) 1998-08-31 2003-09-02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
US6826378B2 (en) * 2003-02-24 2004-11-30 Kabushiki Kaisha Toshiba Developing device and developing method
JP2007271735A (ja) * 2006-03-30 2007-10-18 Oki Data Corp 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882641B2 (ja) 2006-09-29 2012-02-22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現像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750938B (zh) 2013-12-25
JP2010145570A (ja) 2010-07-01
CN101750938A (zh) 2010-06-23
US8369737B2 (en) 2013-02-05
KR101300262B1 (ko) 2013-08-23
JP4683122B2 (ja) 2011-05-11
US20100150603A1 (en) 2010-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0262B1 (ko) 현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상 형성 장치
TWI767418B (zh) 粉末容器及含有該粉末容器的影像形成裝置
EP1821160A1 (en) Development apparatus, image forming apparatus, image forming system, cartridge, development unit and photoreceptor unit
KR20070113947A (ko) 토너 수용기 및 토너 충전 방법
JP4764766B2 (ja)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2024052898A (ja) 現像装置
JP7516044B2 (ja) 現像装置
JP2005128541A (ja) 電子写真方式の画像形成装置のトナーカートリッジ
JP2009175419A (ja)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装置、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5332760B2 (ja) 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256937B2 (ja)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US20140334854A1 (en) Develop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7178806A (ja) 粉体収容容器
JP7574493B2 (ja) 現像装置
JP4438470B2 (ja) 画像形成装置
JP2013015706A (ja) 現像剤扱い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10488785B2 (en) Developing unit,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process cartridge
JP4726530B2 (ja) 磁気シールを有する現像装置、および前記現像装置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6447483B2 (ja) 現像装置、画像形成装置
US9500988B2 (en) Developing apparatus
JP5028205B2 (ja)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5376349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8009228A (ja) 粉体収容容器
JP2006154431A (ja) 現像装置、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JP2008281868A (ja) トナー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