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62975A - 고체 촬상 장치 및 거리 화상 측정 장치 - Google Patents

고체 촬상 장치 및 거리 화상 측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62975A
KR20100062975A KR1020097026612A KR20097026612A KR20100062975A KR 20100062975 A KR20100062975 A KR 20100062975A KR 1020097026612 A KR1020097026612 A KR 1020097026612A KR 20097026612 A KR20097026612 A KR 20097026612A KR 20100062975 A KR20100062975 A KR 201000629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tential
accumulation
carrier
region
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266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48522B1 (ko
Inventor
미츠히토 마세
세이이치로 미즈노
미츠타카 다케무라
Original Assignee
하마마츠 포토닉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마마츠 포토닉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하마마츠 포토닉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629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29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85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85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48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7/00
    • G01S7/483Details of pulse systems
    • G01S7/486Receivers
    • G01S7/4861Circuits for detection, sampling, integration or read-out
    • G01S7/4863Detector arrays, e.g. charge-transfer g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70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 H04N23/72Combination of two or more compensation contro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7/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e.g. lidar systems
    • G01S17/02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 G01S17/06Systems determining position data of a target
    • G01S17/08Systems determining position data of a target for measuring distance only
    • G01S17/10Systems determining position data of a target for measuring distance only using transmission of interrupted, pulse-modulated wav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7/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e.g. lidar systems
    • G01S17/88Lid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S17/89Lid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mapping or imaging
    • G01S17/8943D imaging with simultaneous measurement of time-of-flight at a 2D array of receiver pixels, e.g. time-of-flight cameras or flash lida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5/00Circuitry of solid-state image sensors [SSIS]; Control thereof
    • H04N25/50Control of the SSIS exposure
    • H04N25/57Control of the dynamic range
    • H04N25/59Control of the dynamic range by controlling the amount of charge storable in the pixel, e.g. modification of the charge conversion ratio of the floating node capacita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5/00Circuitry of solid-state image sensors [SSIS]; Control thereof
    • H04N25/70SSIS architectures; Circuits associated therewith
    • H04N25/76Addressed sensors, e.g. MOS or CMOS sen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5/00Circuitry of solid-state image sensors [SSIS]; Control thereof
    • H04N25/70SSIS architectures; Circuits associated therewith
    • H04N25/76Addressed sensors, e.g. MOS or CMOS sensors
    • H04N25/77Pixel circuitry, e.g. memories, A/D converters, pixel amplifiers, shared circuits or shared components
    • H04N25/771Pixel circuitry, e.g. memories, A/D converters, pixel amplifiers, shared circuits or shared components comprising storage means other than floating diffus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 H01L27/144Devices controlled by radiation
    • H01L27/146Imager structures
    • H01L27/14601Structural or functional details thereof
    • H01L27/14603Special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elements, address-lines or gate-electr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al Radar Systems And Details Thereof (AREA)
  • Solid State Image Pick-Up Elements (AREA)
  • Measurement Of Optical Distance (AREA)
  • Transforming Light Signals Into Electric Signals (AREA)

Abstract

한 쌍의 제1 게이트 전극(IGR, IGL)이, 광감응 영역(SA)과 한 쌍의 제1 축적 영역(AR, AL) 사이의 포텐셜 φ TX1, φ TX2가 교대로 경사하도록 반도체 기판(100) 상에 마련되어 있다. 한 쌍의 제2 게이트 전극(IGR, IGL)은 제1 축적 영역(AR, AL)과 제2 축적 영역(FDR, FDL) 사이에 각각 개재하는 제1 포텐셜 장벽 φ BG의 높이를 제어하도록 반도체 기판(100) 상에 마련되어 있고, 광검출 소자에 의해 검출되는 배경광의 출력이 높을수록 캐리어에 대한 제1 포텐셜 장벽 φ BG의 높이를 증가시킨다

Description

고체 촬상 장치 및 거리 화상 측정 장치{SOLID STATE IMAGING DEVICE AND DISTANCE IMAGE MEASUREMENT DEVICE}
본 발명은 고체 촬상 장치 및 거리 화상 측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하기와 같이 특허 문헌 1은 TOF(Time Of Flight)형의 거리 화상 측정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이 거리 화상 측정 장치는 소정의 펄스폭을 가지는 프로브광을 피사체를 향해서 반복 출사하고, 프로브광의 출사 시각으로부터 되돌아오는 시각까지의 기간, 즉 프로브광의 비행 시간을 계측함으로써, 피사체까지의 3차원 거리 화상을 측정하고 있다. 이 장치에서는 프로브광의 출사시 펄스와 되돌왔을 때의 펄스 사이의 위상차를 비행 시간으로서 계측하고 있다.
비행 시간의 계측 수법으로는 각 화소 내에 형성된 복수의 축적 영역에 축적된 전하량의 비율을 구하는 것이 있다. 특허 문헌 2에서는 전하 축적 영역에 있어서 축적 타이밍을 다르게 하고 있다. 1개의 반사 펄스광 입사에 의해 각 축적 영역 내에서 발생한 전하량의 비율은 배경광 성분을 제외하면, 비행 시간에 비례한다. 예를 들어 프로브광의 펄스의 상승 시각부터 하강 시각까지의 기간에 일치시켜 일방의 축적 영역에 있어서 축적 타이밍을 설정하고, 하강 시각부터 상승 시각까지의 기간에 일치시켜 타방의 축적 영역에 있어서 축적 타이밍을 설정한다. 이 경우, 비 행 시간이 제로이면, 일방의 축적 영역 내의 축적 전하량을 100%로 했을 때, 타방의 축적 영역 내의 축적 전하량은 0%가 되어, 대상물까지의 거리가 제로인 것으로 된다. 비행 시간이 길어짐에 따라서, 타방의 축적 영역 내의 축적 전하량의 비율이 증가하기 때문에, 전하량의 비율에 따라 대상물까지의 거리가 구해지게 된다.
특허 문헌 1: 미국 특허 6373557호 명세서
특허 문헌 2: 국제 공개 제W02006/010284호 팜플랫
그렇지만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거리 화상 측정 장치에 있어서는 개개의 화소 내에서 4개의 포텐셜 깊이를 동시에 제어하고, 모든 포텐셜의 우물로부터 캐리어가 흘러넘친 시점에서, 흘러넘친 캐리어의 전하량의 비율을 연산하고 있어, 장치가 복잡화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간단하고 쉬운 구성으로 거리 화상 측정이 가능한 고체 촬상 장치 및 거리 화상 측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고체 촬상 장치는, 배경광을 검출하는 광검출 수단과, 복수의 화소로 이루어지는 촬상 영역을 구비한 고체 촬상 장치로서, 개개의 화소는 반도체 기판 내에 마련된 광감응 영역과; 반도체 기판 내에 마련된 한 쌍의 제1 축적 영역과; 광감응 영역과 한 쌍의 제1 축적 영역 사이의 포텐셜이 교대로 경사하도록 반도체 기판 상에 마련된 한 쌍의 제1 게이트 전극과; 반도체 기판 내에 마련된 한 쌍의 제2 축적 영역과; 제1 축적 영역과 제2 축적 영역 사이에 각각 개재하는 제1 포텐셜 장벽 높이를 제어하도록 반도체 기판 상에 마련되고, 광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되는 배경광의 출력이 높을수록 캐리어에 대한 제1 포텐셜 장벽 높이를 증가시키는 한 쌍의 제2 게이트 전극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포텐셜 장벽의 높이는 캐리어가 전자인 경우에는, 전자(電子)가 존재하는 포텐셜에 대해, 포텐셜을 저하시키면 증가하고, 포텐셜을 증가시키면 감소한다. 또, 캐리어가 정공(正孔)인 경우에, 포텐셜 장벽의 높이는 정공이 존재하는 포텐셜에 대해, 포텐셜을 증가시키면 증가하고, 포텐셜을 감소시키면 감소한다.
대상물에 거리 검출용의 펄스 형상의 프로브광을 조사(照射)하고, 제1 게이트 전극에 상술한 포텐셜 경사가 교대로 생기는 전압을 인가하면, 프로브광의 반사광의 입사시 지연에 비례하여, 일방의 제1 축적 영역에 축적되는 캐리어의 전하량이 감소하고, 타방의 제1 축적 영역에 축적되는 캐리어의 전하량이 증가한다. 즉, 이러한 축적된 캐리어의 전하량의 비율은 지연 시간, 즉 비행 시간(TOF)에 의존하게 된다. 물론, 제1 축적 영역의 수가 3 이상인 경우에, 광감응 영역으로부터 각 제1 축적 영역에 유입되는 캐리어의 비율은 이들 사이에 개재하는 포텐셜 경사용 전극으로의 인가 전압의 위상에 의존하고, 위상이 어긋나 있는 분만큼 캐리어의 축적량이 변화한다. 또한 제1 축적 영역에 축적된 캐리어의 전하량은 배경광 성분에 호응하여 발생한 캐리어 성분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배경광 성분에 대응하는 캐리어를 제거한 캐리어의 비율이 거리를 나타내게 된다. 또, 프로브광은 펄스 형상으로 한정하지 않으며 정현파(正弦波) 형상이어도 된다. 이 때는 제1 게이트 전극에 인가하는 전압도 정현파 형상으로 하게 된다.
여기서, 광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배경광의 출력이 높은 경우에, 제2 게이트 전극은 캐리어에 대한 제1 포텐셜 장벽을 높게 한다. 제1 포텐셜 장벽은 제1 축적 영역과 제2 축적 영역 사이에 개재하고 있고, 배경광이 높아질수록, 제1 축적 영역으로부터 제2 축적 영역에 유입되는 캐리어 수가 감소한다. 즉, 배경광의 크기에 따라, 제2 게이트 전극에 인가하는 전압을 적당하게 제어함으로써, 배경광 상당분의 캐리어를 제1 포텐셜 장벽에 의해 간단하게 저지하고, 제2 축적 영역에 대상물로부터의 프로브광의 반사광 성분만을 유입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제1 포텐셜 장벽 높이는 (1) 배경광의 검출 후, 이번회 측정(제1 축적 영역 내로의 캐리어 축적 기간)을 행한 후에 감소시켜도 되고, (2) 배경광의 검출 후, 이번회 측정(제1 축적 영역 내로의 캐리어 축적 기간) 전에 미리 감소시키고 있어도 된다.
또, 본 발명에 관한 고체 촬상 장치는 반도체 기판 내에 마련된 한 쌍의 제3 축적 영역과, 제2 축적 영역과 제3 축적 영역 사이에 각각 개재하는 제2 포텐셜 장벽 높이를 제어하도록 반도체 기판 상에 마련된 한 쌍의 제3 게이트 전극을 구비하고, 캐리어에 대한 제2 포텐셜 장벽의 높이를 저하시킴으로써, 제2 축적 영역에 축적된 캐리어를 제3 축적 영역에 전송한 후, 제2 포텐셜 장벽의 높이를 증가시켜, 제3 축적 영역에 캐리어를 홀딩한 상태로, 한 쌍의 제1 축적 영역에 교대로 캐리어가 축적되도록, 제1, 제2 및 제3 게이트 전극으로의 인가 전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제2 축적 영역 내에 전회(前回) 측정시의 캐리어가 축적하고 있는 경우에는, 이번회 측정에 있어서 제1 게이트 전극을 구동하면, 캐리어가 혼합되어 버린다. 그렇지만 제2 포텐셜 장벽 높이를 저하시켜, 제3 축적 영역에 캐리어를 전송한 후, 제2 포텐셜 장벽 높이를 증가시켜, 제2 축적 영역으로부터 제3 축적 영역으로의 캐리어 유입을 저지하면, 이 단계에서 제1 게이트 전극을 구동하여, 광감응 영역으로부터 제2 축적 영역 내에 이번회 측정시에 발생한 캐리어를 유입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로 인해, 측정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 광감응 영역은 상기 광검출 수단을 겸용하고 있고, 고체 촬상 장치는 광감응 영역의 출력에 따라, 제2 게이트 전극으로의 인가 전위를 출력하는 제어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광감응 영역에 있어서 배경광을 검출하고, 검출된 배경광의 출력이 큰 경우에는 제2 게이트 전극으로의 인가 전위를 제1 포텐셜 장벽 높이가 커지도록 제어하고, 작은 경우에는 제2 게이트 전극으로의 인가 전위를 제1 포텐셜 장벽 높이가 작아지도록 제어한다. 이로 인해, 광검출 수단을 별도로 마련할 필요가 없어지기 때문에, 장치를 소형화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본 발명에 관한 거리 화상 측정 장치는, 상술한 고체 촬상 장치와; 한 쌍의 제1 게이트 전극으로의 인가 전위에 동기한 펄스광을 대상물에 출사하는 광원과; 한 쌍의 제2 축적 영역으로부터 출력된 캐리어의 전하량에 따라 대상물까지의 거리를 연산하는 연산 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거리 화상 측정 장치에서, 캐리어의 전하량은 대상물까지의 거리에 따르고 있으므로, 연산 회로로부터는 대상물의 거리 화상을 출력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 관한 고체 촬상 장치의 구성은 간단하고 쉽지만, 배경광 성분이 제거된 거리 화상 계측에 적용할 수 있고, 거리 화상 측정 장치는 간단하고 용이하면서도, 정확한 거리 화상을 측정할 수 있다.
도 1은 거리 화상 측정 장치의 개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고체 촬상 소자(1)의 사시도이다.
도 3는 촬상 영역(1IP)에 투영된 거리 취득용 화상으로부터 생성되는 거리 화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물체(H)까지 거리 d의 측정 원리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구동 펄스 신호 SP, 검출 펄스 신호 SD, 우측 펄스 신호 SR, 좌측 펄스 신호 SL의 타이밍 차트이다.
도 6은 캐리어의 축적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7은 거리 d의 연산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8는 고체 촬상 소자(1)의 평면도이다.
도 9는 각 화소 P(m, n)의 상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캐리어의 축적과 배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포텐셜도이다.
도 11은 배경광 제거 회로(PCC)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2는 연산 회로(CC)에 있어서 연산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13은 각 화소 P(m, n) 내의 회로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나타낸 화소 P(m, n)을 배열하여 이루어지는 고체 촬상 소자(1)의 회로도이다.
도 15는 도 8에 나타낸 샘플홀드 회로(SHn)의 회로도이다.
도 16는 고체 촬상 장치의 타이밍 차트이다.
도 17은 각 화소(P)와 광검출 소자(PD)의 배치예를 나타내는 촬상 영역(1IP)의 평면도이다.
도 18는 각 화소(P)와 광검출 소자(PD)의 배치예를 나타내는 촬상 영역(1IP)의 평면도이다.
도 19는 각 화소(P)와 광검출 소자(PD)의 배치예를 나타내는 촬상 영역(1IP)의 평면도이다.
도 20은 화소 P(m, n) 및 앰프의 회로도이다.
도 21은 화소 P(m, n) 및 앰프의 회로도이다.
도 22는 전극 배열을 변형한 화소를 가지는 고체 촬상 소자(1)의 평면도이다.
도 23는 도 22에 나타낸 화소 P(m, n)의 평면도(도 23(A)), 화소 P(m, n)의 종단면도(도 23(B)), 종단면도에 있어서 무바이어스일 때 반도체 내의 포텐셜도(도 23(C))이다.
도 24는 캐리어의 축적과 배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포텐셜도이다.
도 25는 캐리어 축적과 독출의 관계를 나타내는 타임 차트도이다.
도 26는 도 23에 나타낸 화소 P(m, n)의 회로도이다.
도 27은 도 26에 나타낸 화소 P(m, n)을 배열하여 이루어지는 고체 촬상 소자(1)의 회로도이다.
도 28은 전하 퇴피 영역을 구비한 고체 촬상 장치의 타이밍 차트이다.
도 29는 1 화소당 4개의 캐리어 배분용 게이트 전극을 가지는 고체 촬상 소자(1)의 평면도이다.
도 30은 도 29에 나타낸 화소 P(m, n)의 평면도이다.
도 31은 도 30에 있어서 31A-31A 화살표 단면도(도 31(A)), 도 31(A)의 단면도에 있어서 무바이어스일 때 반도체 내의 포텐셜도(도 31(B)), 도 30에 있어서 31C-31C 화살표 단면도(도 31(C)), 도 31(C)의 단면도에 있어서 무바이어스일 때 반도체 내의 포텐셜도(도 31(D))이다.
도 32는 도 30에 나타낸 화소 P(m, n)의 회로도이다.
도 33는 도 32에 나타낸 화소 P(m, n)을 배열하여 이루어지는 고체 촬상 소자(1)의 회로도이다.
도 34는 도 29에 나타낸 샘플홀드 회로(SHn')의 회로도이다.
도 35는 고체 촬상 장치의 타이밍 차트이다.
도 36는 배경광 제거 회로(PCC)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7는 자기 참조형의 배경광 검출을 행하는 경우 고체 촬상 장치의 타이밍 차트이다.
<부호의 설명>
1 고체 촬상 소자
1IP 촬상 영역
1V 수직 시프트 레지스터
1H2 수평 시프트 레지스터
2 제어 회로
3 광원
DEX1, DEX2 캐리어 배출 영역
DEX3, DEX4 캐리어 배출 영역
EX1, EX2 게이트 전극
EX3, EX4 게이트 전극
PCC 배경광 제거 회로
PD 광검출 소자
이하, 실시 형태에 관한 고체 촬상 장치 및 거리 화상 측정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동일 요소에는 동일 부호를 이용하는 것으로 하고, 중복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거리 화상 측정 장치의 개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 거리 화상 측정 장치는 차량(VG)에 탑재되어 있고, 차량 전방에 위치하는 물체(H)를 계측하고 있다.
거리 화상 측정 장치는 고체 촬상 소자(1), 고체 촬상 소자(1)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 회로(2), 펄스광을 출사하는 광원(3), 광원(3)의 구동 회로(4), 및 고체 촬상 소자(1)의 출력으로부터 물체(H)까지의 거리를 연산하는 연산 회로를 내장한 출력 처리 회로(5)를 구비하고 있다. 제어 회로(2)는 고체 촬상 소자(1)에 우측 펄스 신호 SR, 좌측 펄스 신호 SL을 입력하고 있다. 또, 구동 회로(4)에는 투광용 구동 펄스 신호 SP를 입력하고 있다. 구동 펄스 신호 SP는 출력 처리 회로(5)에도 입력되어 있고, 고체 촬상 소자(1)로부터 거리를 연산할 때에 이용하고 있다.
제어 회로(2)로부터 출력된 구동 펄스 신호 SP에 동기하여, 구동 회로(4)로부터 광원(3)에 구동 전류가 공급된다. 광원(3)으로부터는 구동 펄스 신호 SP와 동일 펄스폭의 프로브광이 출사된다. 프로브광은 투광용 렌즈(L1)를 통해 물체(H)에 조사된다. 물체(H)의 표면에 있어서 반사된 프로브광은 결상용(結像用)의 렌즈(L2, L3)를 통해 고체 촬상 소자(1)의 촬상 영역에 입사한다. 따라서, 고체 촬상 소자(1)의 촬상 영역에는 물체(H)의 상이 결상하게 된다.
고체 촬상 소자(1)로부터는 물체(H)의 거리 화상(의 원(元)데이터)이 출력되어 있고, 이러한 데이터는 출력 처리 회로(5)에 의해 처리되어, 카네비게이션 시스템의 표시기(6)에 표시된다. 표시기(6)는 거리 화상을 독립적으로 표시할 수 있지만, 이것을 휘도 화상에 중첩하여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거리 화상이 나타내는 물체(H)가 소정 거리 이내에 존재하는 경우에는, 물체(H)가 존재하는 취지의 경고 표시를 휘도 화상에 중첩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도 2는 고체 촬상 소자(1)의 사시도이다.
고체 촬상 소자(1)는 2차원 형상으로 배열한 복수의 화소 P(1, 1), P(1, 2), ㆍㆍㆍP(m, n), ㆍㆍㆍP(M, N)으로 이루어지는 촬상 영역(1IP)을 구비하고 있다. m, n, M, N은 자연수이다. 또한 설명의 명확화를 위해, 동일 도면에서는 실제보다 적은 수의 화소를 나타내고 있다. 촬상 영역(1IP)의 화소열에 평행하게 수직 시프트 레지스터(1V)가 배치되어 있고, 화소행에 평행하게 배경광 제거 회로(PCC), 및 수평 시프트 레지스터(1H2)가 배치되어 있다.
수직 시프트 레지스터(1V)는 열 방향으로 배열한 화소 P(m, n)의 출력을, 열방향을 따라서 차례로 독출하기 위한 수직 전송 신호를 각 화소 P(m, n)에 차례로 인가한다. 각 화소열에 있어서, 일 수직 방향으로 전송된 화소 출력은 거리 정보 독출 회로(K1, K2ㆍㆍㆍKnㆍㆍㆍKN)에 입력된다. 거리 정보 독출 회로(K1, K2ㆍㆍㆍKnㆍㆍㆍKN)에 입력된 화소 출력은 거리 화상(의 원데이터)으로서, 행방향을 따라서 차례로 독출된다.
즉, 거리 화상 측정 모드에 있어서는 1행째 화소 P(1, 1), P(1, 2)ㆍㆍㆍP(1, n)ㆍㆍㆍP(1, N)의 출력이 각각 거리 정보 독출 회로(K1, K2ㆍㆍㆍKnㆍㆍㆍKN)에 입력된 경우, 거리 정보 독출 회로(K1, K2ㆍㆍㆍKnㆍㆍㆍKN)는 입력된 각 화소 출력마다 거리 화상의 원데이터를 일단 홀딩하고, 홀딩된 원데이터는 수평 방향을 따른 순서로, 출력 버퍼 앰프(1I)를 통해 외부에 차례로 독출된다. 이 수평 방향의 독출은 수평 시프트 레지스터(1H2)로부터 각 거리 정보 독출 회로(K1, K2ㆍㆍㆍKn ㆍㆍㆍKN)의 출력 스위치를 온(on)하는 신호를, 수평 방향을 따라서 당해 출력 스위치에 차례로 입력함으로써 행한다.
다음에, 2행째 화소 P(2, 1), P(2, 2)ㆍㆍㆍP(2, n)ㆍㆍㆍP(2, N)의 출력이 각각 거리 정보 독출 회로(K1, K2ㆍㆍㆍKnㆍㆍㆍKN)에 입력되고, 이후 상기와 동일한 조작이 행해진다. 이후, 3행째, 4행째ㆍㆍㆍM행째까지, 상기와 동일한 조작을 하면, 촬상 영역(1IP) 내의 모든 화소가 거리 정보로서 독출되게 된다.
프로브광의 비조사시에 있어서, 촬상 영역(1IP)에는 태양이나 가로등 등의 외광이 물체(H)의 표면에서 반사되어 형성되는 휘도 화상이 투영되고 있다. 프로브광의 조사시에 있어서, 촬상 영역(1IP)에는 관련된 휘도 화상(배경광)에 중첩하여, 프로브광의 반사광으로 구성되는, 물체(H)까지의 거리 취득용 화상이 투영되고 있다. 거리 취득용 화상은 거리 화상을 연산하기 위한 원데이터의 집합이다.
배경광 제거 회로(PCC)는 광검출 소자(광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배경광의 출력 크기에 따라, 각 화소로부터 흘러넘치는 전하량을 규제하는 포텐셜 장벽 높이를 제어하고 있다. 즉, 각 화소에는 그 독출부의 전단(前段)에 포텐셜 장벽이 마련되어 있고, 배경광이 큰 경우에는 포텐셜 장벽 높이를 증가시킴으로써, 각 화소로부터의 출력에서 배경광 성분을 제거한다. 포텐셜 장벽은 반도체 기판 상에 형성된 게이트 전극에 인가하는 전위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 조정된다.
도 3은 촬상 영역(1IP)에 투영된 거리 취득용 화상으로부터 생성되는 거리 화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M축, N축 및 D축으로 이루어지는 직교 좌표계를 설정한 다. 동일 도면에서는 촬상 영역(1IP) 내의 각 화소 출력이 나타내는 거리를 연결한 선이 그물코 형상으로 나타내고 있다. 이 거리 화상은 출력 처리 회로(5)에 있어서 연산된다. 촬상 영역(1IP) 내에 있어서는 각 화소가 M행, N열만 배열하고 있고, 촬상 영역(1IP)에 수직인 거리는 D축 상에 나타난다. 물체(H)의 거리 화상은 D축 상의 거리(d로 함) 정보의 집합이다.
도 4는 물체(H)까지 거리 d의 측정 원리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구동 회로(4)는 전원(4a)과 광원(3) 사이에 개재하는 스위치(4b)를 가지고 있고, 스위치(4b)에 투광용 구동 펄스 신호 Sp를 입력하면, 구동 펄스 신호 Sp에 동기한 구동 전류가 광원(3)에 공급되고, 구동 펄스 신호 Sp에 동기한 프로브광(펄스광) Lp가 광원(3)으로부터 출사된다. 본 예의 광원(3)은 펄스광의 상승 및 하강의 급준성(急峻性)에서 뛰어난 발광 다이오드 또는 레이저 다이오드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하지만, 물론 다른 종류의 광원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바람직하게, 광원(3)은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로 이루어진다.
프로브광이 거리 d의 위치에 있는 물체(H)의 표면에 조사되면, 프로브광은 그 표면에서 반사되고, 반사한 프로브광은 펄스광 LD로서 고체 촬상 소자(1)에 입사한다. 고체 촬상 소자(1)에 입사하는 펄스광을 LD로 하고, 펄스광이 입사하는 것에 의해 화소로부터 출력되는 검출 펄스 신호를 SD로 한다. 고체 촬상 소자(1)에는 상술한 거리 정보 독출 회로(K)가 마련되어 있고, 거리 정보 독출 회로(K)에는 상술 한 우측 펄스 신호 SR과 좌측 펄스 신호 SL이 입력된다.
거리 정보 독출 회로(K)는 배경광을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고, 배경광은 대상물의 휘도 화상을 나타내고 있다. 예를 들어 2개의 포텐셜 우물 내에 잔류한 배경광 성분의 전하를 독출하면, 이것이 휘도 화상 q(m, n)으로 된다. 각 화소 P(m, n)으로부터 출력된 휘도 화상 q(m, n)은 화상 처리 회로(5b)에 입력된다.
검출 펄스 신호 SD의 입사에 따라, 거리 정보 독출 회로(K)로부터는 거리 화상의 원데이터로서의 거리 정보 d'(m, n)이 각 화소 P(m, n)에 대응하여 독출된다. 거리 정보 d'(m, n)은 연산 회로(5a)에 입력되고, 구동 펄스 신호 SP를 이용하여 거리 화상 d(m, n)으로 변환된다. 거리 정보 d'(m, n)은 물체(H)까지 프로브광의 비행 시간에 의존한 값이다. 거리 화상 d(m, n)은 필요에 따라 휘도 화상 q(m, n)과 함께 화상 처리 회로(5b)에 입력된다. 화상 처리 회로(5b)에서는 상술한 중첩 처리 등을 행할 수 있다.
도 5는 구동 펄스 신호 SP, 검출 펄스 신호 SD, 우측 펄스 신호 SR, 좌측 펄스 신호 SL의 타이밍 차트이다. 구동 펄스 신호 SP의 펄스폭을 TP로 한다.
구동 펄스 신호 SP의 상승 시각 t1에 동기하여, 우측 펄스 신호 SR이 상승한다. 구동 펄스 신호 SP의 하강 시각 t3에 동기하여, 우측 펄스 신호 SR이 하강한다. 즉, 우측 펄스 신호 SR은 구동 펄스 신호 SP와 동 위상이다. 좌측 펄스 신호 SL은 우측 펄스 신호 SR과 역위상이고, 시각 t1에 있어서 하강하며, 시각 t3에 있어서 상승한다. 이러한 우측 펄스 신호 SR과 좌측 펄스 신호 SL의 펄스폭은 모두 TP이다.
검출 펄스광 LD가 각 화소에 입사하면, 각 화소에 있어서 캐리어가 발생한다. 검출 펄스광 LD의 입사에 수반하여 발생하는 캐리어의 전하량의 시간 파형은 검출 펄스 신호 SD에 일치한다.
우측 펄스 신호 SR이 하이 레벨인 경우에 있어서, 화소에서 발생한 캐리어가 일방의 제1 축적 영역 내에 유입된다. 따라서, 이번회 펄스 주기에 있어서, 일방의 제1 축적 영역 내에 실효적으로 축적되는 캐리어의 전하량 Q1은 검출 펄스 신호 SD와 우측 펄스 신호 SR의 중복 기간 t2 ~ t3에 비례하게 된다. 환언하면, 파고값(波高値)이 시간당의 전하량을 나타내는 검출 펄스 신호 SD와 우측 펄스 신호 SR의 곱을, 시각 t2 ~ t3의 기간 동안 적분한 값이 일방의 제1 축적 영역 내에 축적되는 전하량 Q1로 된다. 또, 다음회의 펄스 주기에 있어서, 검출 펄스 신호 SD와 우측 펄스 신호 SR의 곱을, 시각 t6 ~ t7의 기간 동안 적분한 값이 일방의 제1 축적 영역 내에 축적되는 전하량 Q1로 된다.
좌측 펄스 신호 SL이 하이 레벨인 경우에 있어서, 화소에서 발생한 캐리어가 타방의 제1 축적 영역 내에 유입된다. 따라서, 이번회 펄스 주기에 있어서, 타방의 제1 축적 영역 내에 실효적으로 축적되는 캐리어의 전하량 Q2는 검출 펄스 신호 SD와 우측 펄스 신호 SR의 중복 기간 t3 ~ t4에 비례하게 된다. 환언하면, 파고값이 시간당의 전하량을 나타내는 검출 펄스 신호 SD와 좌측 펄스 신호 SL의 곱을, 시각 t3 ~ t4의 기간 동안 적분한 값이 타방의 제1 축적 영역 내에 축적되는 전하량 Q2로 된다. 또, 다음회의 펄스 주기에 있어서, 검출 펄스 신호 SD와 좌측 펄스 신호 SL의 곱을, 시각 t7 ~ t8의 기간 동안 적분한 값이 타방의 제2 축적 영역 내에 축적되는 전하량 Q2로 된다.
전하량 Q1과 전하량 Q2의 비율은 비행 시간(TOF)에 비례한다. 즉, 후자의 전하량 Q2가 상대적으로 전자의 전하량 Q1보다 클수록 거리 d는 커진다. 물론, 1개의 펄스 주기 내에 있어서 축적된 전하량뿐만 아니라, 전하량 Q1, Q2의 적산값 ΣQ1, ΣQ2의 비율도 비행 시간(TOF)에 비례하게 된다. 또한 적산을 행하는 것이, 전하량이 커지기 때문에 정확한 거리를 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프로브광은 어두움(暗闇) 속에서 출사되고 있는 것으로 하면, 전하량 Q1, Q2의 비율이 거리를 나타내지만, 실제로는 배경광에 대응하는 전하 성분이 검출 펄스 신호 SD에 포함되고 있기 때문에, 배경광 성분을 제거할 필요가 있다.
도 6은 캐리어의 축적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6(A)는 1개의 화소 P(m, n)의 단면도이다.
화소 P(m, n)은 p형(제1 도전형)의 반도체 기판(100)과, 반도체 기판(100) 상에 형성된 절연층(101)을 구비하고 있다. 절연층(101) 상에는 차광막(SM)이 마련되어 있다. 차광막(SM)은 화소마다 광입사용 개구(OP)를 구비하고 있다. 개구(OP) 바로 아래의 절연층(101) 상에는 화소 전극(PG)이 배치되어 있다. 반도체 기판(100)의 화소 전극(PG) 바로 아래의 반도체 기판(100) 내의 표면 영역을 광감응 영역(SA)으로 한다. 화소 전극(PG)의 양측에는 절연층(101) 상에 한 쌍의 제1 게이트 전극(TX1, TX2)이 배치되어 있다. 제1 게이트 전극(TX1, TX2)의 외측에는 반도체 기판(100) 내에 마련된 한 쌍의 제1 축적 영역(AR, AL)이 위치하고 있다. 또한, 제1 축적 영역(AR, AL)의 외측에는 반도체 기판(100) 내에 마련된 한 쌍의 제2 축적 영역(FDR, FDL)이 위치하고 있다. 제2 축적 영역(FDR, FDL)은 플로팅ㆍ디퓨젼 영역이다. 제1 축적 영역(AR, AL)과 제2 축적 영역(FDR, FDL) 사이의 영역 윗쪽에는 절연층(101) 상에 각각 제2 게이트 전극(IGR, IGL)이 위치하고 있다.
제1 축적 영역(AR, AL) 및 제2 축적 영역(FDR, FDL)은 각각 n형의 반도체 영역으로 이루어진다. n형 반도체에서는 정(正)으로 이온화한 도너가 존재하고, p형 반도체에서는 부(負)로 이온화한 억셉터가 존재한다. 반도체에 있어서 포텐셜은 p형보다도 n형의 쪽이 높아진다. 환언하면, 에너지 밴드도에 있어서 포텐셜은 하향이 포텐셜의 정방향으로 되기 때문에, n형 반도체에 있어서 포텐셜은 에너지 밴드도에 있어서 p형의 포텐셜보다도 깊어져(높아져), 에너지 준위는 낮아진다. 또, 각 전극에 정전위를 인가하면, 전극 바로 아래의 반도체 영역의 포텐셜이 깊어진다(정방향으로 커진다). 각 전극에 인가되는 정전위의 크기를 작게 하면, 전극 바로 아래의 반도체 영역의 포텐셜이 얕아진다(정방향으로 작아진다).
도 6(B)는 우측의 제1 게이트 전극(TX1)에 인가되는 우측 펄스 신호 SR이 하이 레벨인 경우의 포텐셜도이다. 좌측의 제1 게이트 전극(TX2)에 인가되는 좌측 펄스 신호 SL은 로 레벨이다. 또한 설명에 있어서 포텐셜도는 하향을 정으로 하고, 각 전극에 인가되는 전위 φ와, 각 전극 바로 아래의 반도체 영역의 포텐셜 φ는 동일 부호로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화소 전극(PG)에는 약간의 정전위 φ PG가 인가되고, 우측의 제1 게이트 전극(TX1)에는 φ PG보다도 큰 정전위 φ TX1이 인가되어 있다. 따라서, 광감응 영역(SA)으로의 광 입사에 의해 발생한 캐리어(전자)는 φ PG, φ TX1에 의해 형성되는 포텐셜 구배(勾配)에 인도되고, 깊은 위치에 존재하는 제1 축적 영역(AR)의 포텐셜 φ AR의 위치에 유입된다.
우측의 제1 축적 영역(AR)의 근처에는 일방의 제2 축적 영역(FDR)이 인접하고 있다. 제1 축적 영역(AR)의 포텐셜 φ AR과, 제2 게이트 전극(IGR) 바로 아래의 반도체 영역의 포텐셜 φ IGR의 포텐셜차를 φ BG로 한다. 이 우측의 제1 포텐셜 장벽 φ BG가 큰 경우에는 우측의 제1 축적 영역(AR)으로부터 제2 축적 영역(FDR)에 유입되는 캐리어의 전하량은 적게 되고, 작은 경우에는 제1 축적 영역(AR)으로부터 제2 축적 영역(FDR)에 유입되는 캐리어의 전하량은 많아진다.
배경광 제거 회로(PCC)로부터는 배경광의 크기에 대응한 포텐셜 제어 전압 (φ IGR, φ IGL)이 출력되어 있다. 이 포텐셜 제어 전압은 한 쌍의 제2 게이트 전극(IGR, IGL)에 인가된다. 또한 반도체 기판(100)의 전위를 그라운드 레벨로 하면, 각 전극으로의 인가 전압과 인가 전위는 일치한다. 본 예에서, 반도체 기판(100)의 전위를 그라운드 레벨로 하고, 전위와 전압은 동일 부호를 이용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배경광 성분이 각 화소로부터의 출력 신호에 잔류하고 있는 경우에는, 전하량의 비율에 의해 구해지는 펄스 위상차인 거리가 부정확하게 되기 때문에, 배경광 제거 회로(PCC)는 거리 연산시의 위상 제어 회로로서도 기능하고 있다.
배경광이 큰 경우에는 우측의 제2 게이트 전극(IGR)에 인가되는 전위 φ IGR을 감소시켜, 우측의 제1 포텐셜 장벽 φ BG를 크게 한다. 배경광이 작은 경우에는 우측의 제2 게이트 전극(IGR)에 인가되는 전위 φ IGR을 증가시켜, 우측의 제1 포텐셜 장벽 φ BG를 작게 한다. 즉, 우측의 제1 포텐셜 장벽 φ BG의 크기는 배경광에 대응하여 발생하는 캐리어에 상당하는 전압에 일치하도록 설정되어 있다(도 12 참조).
이로 인해, 하이 레벨의 우측 펄스 신호 SR을 제1 게이트 전극(TX1)에 인가했을 때, 프로브광의 반사광에 대응하는 캐리어의 전하량 Q1이 제1 포텐셜 장벽 φ BG를 넘어, 제1 축적 영역(AR)으로부터 제2 축적 영역(FDR)에 유입되고, 우측의 제1 축적 영역(AR) 내에는 배경광 성분에 대응하는 캐리어의 전하량 QBG가 잔류하게 된다.
또한 동일 도면에서는 기본 원리를 간단하게 설명하기 위해, 우측의 제2 게 이트 전극(IGR)으로의 인가 전위 φ IGR을 하이 레벨로 하고, 좌측의 제2 게이트 전극(IGL)으로의 인가 전위 φ IGL을 로 레벨로 하고 있지만, 이들은 동상(同相)으로 함으로써, 배선 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즉, φ IGR = φ IGL로 하면, 공통 배선을 이용하여 포텐셜 장벽 제어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물론, φ IGLφ IGR과 함께 하이 레벨로 한 경우에 있어서도, 좌측의 제1 게이트 전극(TX2)의 인가 전압은 로 레벨로 되어 있기 때문에, 광감응 영역(SA)에서 발생한 캐리어는 좌측의 축적 영역 내에는 유입되지 않고, 문제 없이 동작한다.
도 6(C)는 좌측의 제1 게이트 전극(TX2)에 인가되는 좌측 펄스 신호 SL이 하이 레벨의 경우 포텐셜도이다. 우측의 제1 게이트 전극(TX1)에 인가되는 우측 펄스 신호 SR은 로 레벨이다.
상기와 같이, 화소 전극(PG)에는 약간의 정전위 φ PG가 인가되고, 좌측의 제1 게이트 전극(TX2)에는 φ PG보다도 큰 정전위 φ TX2가 인가되어 있다. 따라서, 광감응 영역(SA)으로의 광 입사에 의해 발생한 캐리어(전자)는 φ PG, φ TX2에 의해 형성되는 포텐셜 구배에 인도되고, 깊은 위치에 존재하는 제1 축적 영역(AL)의 포텐셜 φ AL의 위치에 유입된다.
좌측의 제1 축적 영역(AL)의 근처에는 타방의 제2 축적 영역(FDL)이 인접하고 있다. 제1 축적 영역(AL)의 포텐셜 φ AL과, 제2 게이트 전극(IGL) 바로 아래의 반도체 영역의 포텐셜 φ IGL의 포텐셜차도 φ BG이다. 이 좌측의 제1 포텐셜 장벽 φ BG가 큰 경우에는 좌측의 제1 축적 영역(AL)으로부터 제2 축적 영역(FDL)에 유입되는 캐리어의 전하량은 적게 되고, 작은 경우에는 제1 축적 영역(AL)으로부터 제2 축적 영역(FDL)에 유입되는 캐리어의 전하량은 많아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배경광 제거 회로(PCC)로부터는 배경광의 크기에 대응한 포텐셜 제어 전압(φ IGR, φ IGL : 바람직하게는 φ IGR = φ IGL)이 출력되고, 포텐셜 제어 전압은 한 쌍의 제2 게이트 전극(IGR, IGL)에 인가되어 있다.
배경광이 큰 경우에는 좌측의 제2 게이트 전극(IGL)에 인가되는 전위 φ IGL을 감소시켜, 좌측의 제1 포텐셜 장벽 φ BG를 크게 한다. 배경광이 작은 경우에는 좌측의 제2 게이트 전극(IGL)에 인가되는 전위 φ IGL을 증가시켜, 좌측의 제1 포텐셜 장벽 φ BG를 작게 한다. 즉, 좌측의 제1 포텐셜 장벽 φ BG의 크기는 배경광에 대응하여 발생하는 캐리어에 상당하는 전압에 일치하도록 설정되어 있다(도 12 참조).
이로 인해, 하이 레벨의 좌측 펄스 신호 SL을 좌측의 제1 게이트 전극(TX2)에 인가했을 때, 프로브광의 반사광에 대응하는 캐리어의 전하량 Q2가 좌측의 제1 포텐셜 장벽 φ BG를 넘어, 제1 축적 영역(AL)으로부터 제2 축적 영역(FDL)에 유입되고, 좌측의 제1 축적 영역(AL) 내에는 배경광 성분에 대응하는 캐리어의 전하량 QBG가 잔류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형태의 화소 P(m, n)은 광감응 영역(SA)과 한 쌍의 제1 축적 영역(AR, AL) 사이의 포텐셜 φ TX1, φ TX2가 교대로 경사하도록 반도체 기판(100) 상에 마련된 한 쌍의 제1 게이트 전극(TX1, TX2)과, 제1 축적 영역(AR, AL)과 제2 축적 영역(FDR, FDL)의 사이에 각각 개재하는 제1 포텐셜 장벽 φ BG의 높이를 제어하도록 반도체 기판(100) 상에 마련되고, 상기 광검출 소자에 의해 검출되는 배경광의 출력이 높을수록 캐리어에 대한 제1 포텐셜 장벽 φ BG의 높이를 증가시키는 한 쌍의 제2 게이트 전극(IGR, IGL)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포텐셜 장벽 φ BG의 높이는 캐리어가 전자인 경우에, 전자가 존재하는 포텐셜에 대해, 포텐셜을 저하시키면 증가하고, 포텐셜을 증가시키면 감소한다. 또, 캐리어가 정공인 경우에, 포텐셜 장벽 φ BG의 높이는 정공이 존재하는 포텐셜에 대해, 포텐셜을 증가시키면 증가하고, 포텐셜을 감소시키면 감소한다. 즉, 상기에서는 반도체 기판(100)을 p형 반도체로 하고, 각 축적 영역을 n형으로 했지만, 이러한 도전형을 역전시켜, 정공을 캐리어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2 축적 영역(FDR, FDL)에는 후술하는 배선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이들은 플로팅ㆍ디퓨젼 영역으로서 기능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물체(H)에 거리 검출용 펄스 형상의 프로브광을 조사하고, 제1 게이트 전극(TX1, TX2)에 상술한 포텐셜 경사가 교대로 생기는 전압 φ TX1, φ TX2를 인가하면, 프로브광의 반사광의 입사시 지연에 비례하여, 일방의 제1 축적 영역(AR)에 축적되는 캐리어의 전하량이 감소하고, 타방의 제1 축적 영역(AL)에 축적되는 캐리어의 전하량이 증가한다. 즉, 이러한 축적된 캐리어의 전하량 Q1, Q2의 비율은 지연 시간, 즉 비행 시간(TOF)에 의존하게 된다. 또, 배경광의 크기에 따라, 제2 게이트 전극(IGR, IGL)에 인가하는 전압을 적당하게 제어함으로써, 배경광 상당분의 캐리어를 제1 포텐셜 장벽 φ BG에 의해 간단하게 저지하고, 제2 축적 영역(FDR, FDL)에 물체(H)로부터의 프로브광의 반사광 성분만을 유입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제1 포텐셜 장벽 φ BG의 높이는 (1) 배경광의 검출 후, 이번회 측정(제1 축적 영역(AR, AL) 내로의 캐리어 축적 기간)을 행한 후에 감소시켜도 되고, (2) 배경광의 검출 후, 이번회 측정(제1 축적 영역(AR, AL) 내로의 캐리어 축적 기간)의 전에 미리 감소시키고 있어도 된다.
도 7은 거리 d의 연산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각 화소 P(m, n)에는 검출 펄스 신호 SD, 우측 펄스 신호 SR 및 좌측 펄스 신호 SL이 입력되어 있다. 전하량 Q1은 검출 펄스 신호 SD와 우측 펄스 신호 SR의 곱을, 이러한 펄스의 중복 기간 t2 ~ t3 동안 시간 적분한 값이고, 전하량 Q2는 검출 펄스 신호 SD와 좌측 펄스 신호 SL의 곱을, 이러한 펄스의 중복 기간 t3 ~ t4 동안 시간 적분한 값이다. 각 화소 P(m, n)으로부터는 전하량 Q1, Q2가 출력된다.
전하량 Q1, Q2는 구동 펄스 신호 SP의 펄스폭 TP와 함께, 후단(後段)의 연산 회로(5a)에 입력되고, 거리 d를 구하는 연산이 행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축적 영역이 2개인 경우, d=(c/2)×(TP×Q2/(Q1+Q2))로 주어진다. 또한 c는 광속이다. 따라서, 연산 회로(5a)으로부터는 각 화소 P(m, n)마다의 거리 d(m, n)이 출력된다. 또한, 화소열 또는 화소행마다 비닝(binning) 동작을 행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비닝에 의해 적산되는 화소열 또는 화소행에 입사한 검출 펄스가 나타내는 평균 거리가 얻어지게 된다.
또, 상기에서는 180 도의 위상차로 2개의 제1 게이트 전극을 구동한 경우에, 2개의 제1 축적 영역에 인접하는 2개의 제2 축적 영역을 이용한 예를 설명했다. 이것은 90 도마다의 위상차로 4개의 제1 게이트 전극을 구동한 경우에, 4개의 제1 축적 영역에 인접하는 4개의 제2 축적 영역을 이용한 것에도 적용할 수 있다. 제2 축적 영역의 수가 3개 이상인 경우, 예를 들어 4개에서 구동 신호가 정현파 형상인 경우에는, 각 제2 축적 영역에 축적되는 전하량을 Q1, Q2, Q3, Q4로 하면, d=φ×c/2×2πf로 주어진다. 또한 f는 구동 정현파 신호 SP의 반복 주파수이고, 위상 φ=-arctan((Q2-Q4)/(Q1-Q3))로 주어진다.
이와 같이, 제1, 제2 축적 영역의 수가 각각 3 이상인 경우에는, 광감응 영역으로부터 각 제1 축적 영역에 유입되는 캐리어의 비율은 이들 사이에 개재하는 포텐셜 경사용 전극으로의 인가 전압의 위상에 의존하고, 위상이 어긋나 있는 분만큼 캐리어의 축적량이 변화한다. 또한 제1 축적 영역에 축적된 캐리어의 전하량은 배경광 성분에 호응하여 발생한 캐리어 성분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배경광 성분에 대응하는 캐리어를 제거한 캐리어의 비율이 거리를 나타내게 된다.
상기 거리 화상 측정 장치는 상술한 고체 촬상 장치와, 한 쌍의 제1 게이트 전극(TX1, TX2(TX3, TX4))으로의 인가 전위에 동기한 펄스광을 대상물로서의 물체(H)에 출사하는 광원(3)과, 한 쌍의 제2 축적 영역으로부터 출력된 캐리어의 전하량 Q1, Q2(Q3, Q4)에 따라 물체(H)까지의 거리 d를 연산하는 연산 회로(5a)를 구비하고 있다. 이 거리 화상 측정 장치에서는 캐리어의 전하량은 물체(H)까지의 거리 d에 따르고 있으므로, 연산 회로(5a)에서는 물체(H)의 거리 화상을 출력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8은 상술한 고체 촬상 장치의 상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고체 촬상 소자(1)의 평면도이다.
반도체 기판(100) 상에는 거리 정보 독출 회로(K1, K2, Kn, K4)가 마련되어 있다. 각 거리 정보 독출 회로(Kn)는 수평 시프트 레지스터(1H2)에 의해 스위칭되는 독출 스위치군(SW)과, 화소열마다 마련된 각 샘플홀드 회로(SHn)를 구비하고 있다. 설명의 간략화를 위해, 반도체 기판(100) 상에는 타이밍 발생 회로(TGC)도 배치되어 있지만, 타이밍 발생 회로(TGC)는 반도체 기판(100)과 별도로 마련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타이밍 발생 회로(TGC)는 입력된 구동 신호에 따라 각종 타이밍 신호를 생성한다. 수평 시프트 레지스터(1H2)는 플립플롭을 접속하여 만들어지는 레지스터로 이루어지고, 타이밍 발생 회로(TGC)로부터 입력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스위치 군(SW)을 각 화소열마다 온시킨다. 각 화소 P(m, n)으로부터는 상술한 전하량 Q1, Q2가 출력되어 있다. 스위치군(SW)을 구성하는 각 스위치는 전하량 Q1의 값을 독출하기 위한 우측 수평 라인(HLR)과, 전하량 Q2의 값을 독출하기 위한 좌측 수평 라인(HLL)과의 사이에 개재하고 있고, 수평 시프트 레지스터(1H2)에 의해, 이러한 스위치를 온하는 것에 의해, 샘플홀드 회로(SHn)에 홀딩된 전하량 Q1의 값이 우측 수평 라인(HLR) 및 출력 버퍼(1I1)를 통해 외부에 출력되고, 샘플홀드 회로(SHn)에 홀딩된 전하량 Q2의 값이 좌측 수평 라인(HLL) 및 출력 버퍼(1I2)를 통해 외부에 출력된다.
전하량 Q1, Q2의 축적에 앞서, 배경광의 검출이 행해진다. 타이밍 발생 회로(TGC)는 입력된 트리거 신호에 동기하여, 배경광 검출 신호 TN을 생성한다. 배경광 검출 신호 TN은 배경광 제거 회로(PCC)에 입력된다. 배경광 제거 회로(PCC)는 배경광 검출 신호 TN이 온인 경우에, 배경광의 검출을 행하고, 검출에 의해 생긴 값을 홀딩하고, 그렇게 한 후 포텐셜 제어 전압 φ IG(=φ IGR, φ IGL)을 전송 신호 ST로서 제2 게이트 전극(IG(IGR, IGL))에 출력한다.
도 9는 상술한 각 화소 P(m, n)의 상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9(A)는 화소 P(m, n)의 평면도, 도 9(B)는 화소 P(m, n)의 종단면도, 도 9(C)는 종단면도에 대응한 무바이어스일 때 반도체 내의 포텐셜도이다.
화소 P(m, n)은 제1 축적 영역(AR, AL)에 각각 인접한 캐리어 배출 영역(DEX1, DEX2)을 구비하고 있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축적 영역(AR, AL)에 는 배경광 성분에 상당하는 캐리어가 잔류 축적되지만, 축적된 캐리어는 캐리어 배출 영역(DEX1, DEX2)을 통해 외부에 배출된다. 캐리어 배출 영역(DEX1, DEX2)은 n형의 반도체로 이루어진다.
우측의 제1 축적 영역(AR)과 캐리어 배출 영역(DEX1) 사이의 반도체 영역 윗쪽에 있어서, 캐리어 배출용 게이트 전극(EX1)이 절연층(101) 상에 위치하고 있고, 우측의 게이트 전극(EX1)에 정전위를 주면, 제1 축적 영역(AR) 내에 축적된 캐리어가, 캐리어 배출 영역(DEX1)에 유입되고, 캐리어 배출 영역(DEX1)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배선을 통해 외부에 출력된다.
좌측의 제1 축적 영역(AL)과 캐리어 배출 영역(DEX2) 사이의 반도체 영역 윗쪽에 있어서, 캐리어 배출용 게이트 전극(EX2)이 절연층(101) 상에 위치하고 있고, 게이트 전극(EX2)에 정전위를 주면, 좌측의 제1 축적 영역(AL) 내에 축적된 캐리어가, 캐리어 배출 영역(DEX2)에 유입되고, 캐리어 배출 영역(DEX2)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배선을 통해 외부에 출력된다.
도 10은 캐리어의 축적과 배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포텐셜도이다.
초기 상태에 있어서는 포텐셜 φ FDL, φ AL, φ AR, φ FDR이 높고(깊고), 각 포텐셜 우물에는 캐리어가 축적되어 있지 않다. 또한 φ PG에는 필요에 따라 약간의 정전위를 인가해도 된다(도 10(A)).
구동 펄스의 전반(前半)의 반주기의 기간에 있어서는 포텐셜 φ PG 및 우측의 포텐셜 φ TX1을 깊게 하고, 우측의 제1 축적 영역의 포텐셜 φ AR의 우물 내에 캐리어 를 전송한다(도 10(B)). 우측의 포텐셜 우물에는 전하량 QR이 축적되어 있다.
구동 펄스의 후반의 반주기의 기간에 있어서는 포텐셜 φ PG 및 좌측의 포텐셜 φ TX2를 깊게 하고, 좌측의 제1 축적 영역의 포텐셜 φ AL의 우물 내에 캐리어를 전송한다(도 10(C)). 좌측의 포텐셜 우물에는 전하량 QL이 축적되어 있다
도 10(B)과 도 10(C)으로 이루어지는 미소(微少) 전하 축적 공정을 M회 반복하면, 각 포텐셜 우물 내에, M배로 적산된 전하량 ΣQR, ΣQL이 축적된다(도 10(D)).
그렇게 한 후, 포텐셜 φ IGR , φ IGL을 깊게 하여(장벽 높이를 작게 하여), 배경광 성분에 상당하는 캐리어의 전하량 QBG를, 각각의 포텐셜 φ AR 및 포텐셜 φ AL의 우물 내에 잔류시켜, 나머지의 펄스광 성분에 대응하는 전하를 흘러넘치게 하여 제2 축적 영역의 포텐셜 φ FDR , φ FDL의 우물 내에 전송한다. 제2 축적 영역의 포텐셜 φ FDR , φ FDL의 우물 내는 전하량 Q1, Q2의 캐리어가 축적된다(도 10(E)).
다음에, 제1 축적 영역의 포텐셜 φ AR , φ AL의 우물 내에 잔류한 전하량 QBG의 캐리어를, 도 9에 나타낸 게이트 전극(EX1, EX2)에 정전위를 주는 것에 의해, 캐리어 배출 영역(DEX1, DEX2)에 전송하여, 외부에 배출한다(도 10(F)). 또한 배출되는 캐리어의 합계 전하량은 각 화소의 휘도에 대응하고 있기 때문에, 이것을 각 화소마다 독출하면 휘도 화상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사양에 따라, 도 10(B) 및 도 10(C)의 M회 반복 공정과 도 10(D) 내지 도 10(F)의 전송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적산 전하 축적 공정을, 도 10(B)의 공정으로 되돌아와 X회 반복한다. 이 경우에는, 미소 전하의 M×X 배의 캐리어에 포함되는 펄스광의 신호 성분을 제2 축적 영역 내에 축적할 수 있다.
도 11은 배경광 제거 회로(PCC)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배경광 제거 회로(PCC)는 배경광 샘플링용 배경광 검출 신호 TN을 수신하고, 배경광 검출 신호 TN이 온인 경우에, 모니터용 광검출 소자(PD)에 바이어스 전압을 인가하여 액티브로 하고, 이 때 발생한 전하를 배경광 성분으로서 샘플홀드 회로(SH)에 전송한다.
또한 광검출 소자(PD)에 있어서 발생한 전압을 샘플홀드 회로(SH)에 전송하는 구성이라고 해도 된다. 이 경우, 광검출 소자(PD)로서의 포토 다이오드에 리셋트 전압을 걸어 차지 업(charge up)한 상태로, 이것에 광이 입사하면 포토 다이오드의 양단간 전압이 저하한다. 전압의 저하량이 입사 광량에 선형(線形)으로 비례하게 된다.
또, 샘플홀드 회로(SH) 대신에 A/D 변환 회로를 이용해도 된다. 그렇게 해도, 포텐셜 장벽 φ BG에 상당하는 검출값(아날로그값 또는 디지털값) β가 샘플홀드 회로(SH) 또는 A/D 변환 회로에 홀딩된다. 연산 회로(CC)는 검출값 β를 포텐셜 장벽 φ BG의 크기로 변환한다. 제어 전압 인가 회로 VC는 연산된 포텐셜 장벽 φ BG에 상당하는 전위 φ IG를 제2 게이트 전극(IG(IGR, IGL))에 입력한다. 또한 상술한 게 이트 전극은 그 양측의 반도체 영역과 함께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를 구성하고 있다.
도 12는 연산 회로(CC)에 있어서 연산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가로축은 상술한 절연층과 반도체 기판 사이의 계면 전계 밀도 Qinv를 나타내고, 세로축은 수광부에 있어서 반도체 기판의 표면 전위 φs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그래프 중 φ F는 플랫 밴드 전압에 있어서 표면 전위를 나타낸다. 표면 전위 φs는 근사적으로 φs=VG-VFB-(Qinv/Cox)로 주어진다. 또한 VG는 게이트 전압, Cox는 절연층의 용량, VFB는 플랫 밴드 전압을 나타낸다.
광감응 영역에서 발생하는 캐리어의 전하량(계면 전계 밀도 Qinv)이 증가하면, 표면 전위 φs는 선형으로 저하해 간다. 즉, 발생한 캐리어와 전위 사이에는 1차 함수로 근사되는 관계가 있다. 따라서, 발생한 캐리어에 상당하는 전위분만큼 포텐셜 장벽 φ BG를 내리면, 배경광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물론, 화소에서는 절연층을 게이트 산화막으로 하는 MOS-FET를 구성하고 있고, 광검출 소자(PD)가 pn 접합으로 이루어지는 포토 다이오드인 경우에는 쌍방의 구조는 다르지만, 발생하는 캐리어량에 따라 선형으로 전압 변화가 생긴다고 하는 성질은 동일하기 때문에, 쌍방의 출력은 일정한 상관을 가진다.
전혀 배경광이 없는 경우의 포텐셜 장벽 φ BG의 높이를 VB(V)로 한다. 배경광이 없는 경우, 즉 배경광 성분이 β(V)(β=0)에 상당하는 경우에는, 제2 게이트 전극에 φ IG=VB(V)를 인가하고, 포텐셜 장벽 φ BG를 없게 하여 캐리어의 전송을 행한다. 배경광 성분이 β(V)(β=1)에 상당하는 경우에는, 제2 게이트 전극에 φ IG=(VB-β)(V)를 인가하고, 배경광 성분에 상당하는 포텐셜 장벽 φ BG를 유지하고, 캐리어의 전송을 행한다. VB(V)는 예를 들어 5(V)이다. 실제로, 제2 게이트 전극에는 φ IG=(VB-β+
Figure 112009078828231-PCT00001
)(V)를 인가한다.
Figure 112009078828231-PCT00002
는 예를 들어 0.2V로 설정한다. 여기에서는 배경광이 엄밀하게 측정될 수 없는 분의 마진을
Figure 112009078828231-PCT00003
로 하고 있다. 연산 회로(CC)는 φ IGβ의 관계를 나타내는 룩업 테이블 또는 연산식을 홀딩하고 있고, 입력된 β에 따라 φ IG를 구한다.
도 13은 각 화소 P(m, n) 내의 회로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각 게이트 전극은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을 구성하고 있다.
여기에서는 복수의 부호를 이용하는 것에 의한 도면의 복잡화를 피해 설명을 명료화하기 위해, 각 게이트 전극을 가지는 트랜지스터는 () 안에 대응하는 게이트 전극의 부호를 이용하여 표기하는 것으로 한다. 또, 캐리어의 독출시에 캐리어가 유입되는 쪽을 트랜지스터의 소스로 하고, 유출되는 쪽을 드레인으로 한다.
화소 전극(PG)을 포함하는 트랜지스터의 일단은 게이트 전극(TX1)을 포함하는 NMOS 트랜지스터의 소스에 접속되어 있고, NMOS 트랜지스터(TX1)의 드레인은 제1 축적 영역(AR), 및 NMOS 트랜지스터(IGR)의 소스, 캐리어 배출용 트랜지스 터(EX1)의 소스에 접속되고, 캐리어 배출용 NMOS 트랜지스터(EX1)의 드레인은 전원 전위 V+에 접속되어 있다. 제1 축적 영역(AR)은 배경광 성분 제거용 NMOS 트랜지스터(IGR)의 소스에 접속되어 있고, NMOS 트랜지스터(IGR)의 드레인은 제2 축적 영역(FDR) 및 NMOS 트랜지스터(FET1)의 게이트 전극에 접속되어 있다.
NMOS 트랜지스터(FET1)의 소스는 전원 전위 V+에 접속되고, 드레인은 출력 선택용의 우측 NMOS 트랜지스터(SEL)에 접속되어 있다. 또, 트랜지스터(IGR)의 게이트 전극(IGR)에는 공통 라인(WL)을 통해 캐리어의 전송 신호 ST(=φ IGR)이 입력된다. 트랜지스터(SEL)의 드레인은 우측의 수직 독출 라인(RRL)에 접속되어 있다. 수직 독출 라인(RRL)에는 제2 축적 영역(FDR)에 축적되는 전하량 Q1에 대응하는 전류가 유입된다. 또한 제2 축적 영역(FDR)에 축적된 전하는 트랜지스터(IGR)와 트랜지스터(EX1)를 모두 온하는 것에 의해 리셋트된다. 트랜지스터(EX1)의 게이트 전극(EX1)에는 배출 신호 SEX가 인가된다. 또한 각 전원 전위 V+의 크기는 설계에 따라 서로 다르다.
화소 전극(PG)을 포함하는 트랜지스터의 타단은 게이트 전극(TX2)을 포함하는 NMOS 트랜지스터의 소스에 접속되어 있고, NMOS 트랜지스터(TX2)의 드레인은 제1 축적 영역(AL), 및 NMOS 트랜지스터(IGL)의 소스, 캐리어 배출용 트랜지스터(EX2)의 소스에 접속되고, 캐리어 배출용 NMOS 트랜지스터(EX2)의 드레인은 전원 전위 V+에 접속되어 있다. 제1 축적 영역(AL)은 배경광 성분 제거용 NMOS 트랜지스터(IGL)의 소스에 접속되어 있고, NMOS 트랜지스터(IGL)의 드레인은 제2 축적 영 역(FDL) 및 PMOS 트랜지스터(FET2)의 게이트 전극에 접속되어 있다.
NMOS 트랜지스터(FET2)의 소스는 전원 전위 V+에 접속되고, 드레인은 출력 선택용의 좌측 NMOS 트랜지스터(SEL)에 접속되어 있다. 또, 트랜지스터(IGR)의 게이트 전극(IGR)에는 공통 라인(WL)을 통해 캐리어의 전송 신호 ST(=φ IGR)이 입력된다. 트랜지스터(SEL)의 드레인은 좌측의 수직 독출 라인(LRL)에 접속되어 있다. 수직 독출 라인(LRL)에는 제2 축적 영역(FDL)에 축적되는 전하량 Q2에 대응하는 전류가 유입된다. 또한 제2 축적 영역(FDL)에 축적된 전하는 트랜지스터(IGL)와 트랜지스터(EX2)를 모두 온하는 것에 의해 리셋트된다. 트랜지스터(EX2)의 게이트 전극(EX2)에는 배출 신호 SEX이 인가된다.
또, 전하의 배분을 행하기 때문에, 한 쌍의 제1 게이트 전극(TX1, TX2)에는 각각 펄스 신호를 포함하는 우측 펄스 신호 SR, 좌측 펄스 신호 SL이 입력된다.
배경광을 검출한 후, 게이트 전극(IGR, IGL)에 전송 신호 ST를 동시에 인가함으로써, 포텐셜 장벽 φ BG를 상술한 바와 같이 저하시켜, 제2 축적 영역(FDR, FDL) 내에 반사광에 대응하는 캐리어를 축적시킨다. 캐리어의 유입 전의 시점에 있어서, 제2 축적 영역(FDR, FDL)은 플로팅 레벨로 있어, 유입된 부의 전하량 Q1, Q2에 비례하여, 트랜지스터(FET1, FET2)를 흐르는 전류가 결정된다. 수직 시프트 레지스터로부터 선택용 트랜지스터(SEL)를 온시키는 신호를 입력하면, FET1, FET2의 입력 게이트 전압에 따라, 각 전하량 Q1, Q2에 대응한 전류가 수직 독출 라인(RRL, LRL)에 흐르게 된다.
이 검출의 종료 후, 또는 제2 축적 영역(FDR, FDL)을 플로팅 레벨로 하는 경우, 트랜지스터(IGR, IGL)와 트랜지스터(EX1, EX2)를 온하고, 제2 축적 영역(FDR, FDL)을 전원 전위 V+에 접속하고, 그렇게 한 후 트랜지스터(IGR, IGL)와 트랜지스터(EX1, EX2)를 오프(off)한다. 이로 인해, 이 플로팅ㆍ디퓨젼 영역의 리셋트를 행한다. 이 때, 각 트랜지스터(IGR, IGL)와 트랜지스터(EX1, EX2)의 게이트 전극에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는 상기 리셋트가 행해질 정도로 크게 설정한다.
도 14는 도 13에 나타낸 화소 P(m, n)을 배열하여 이루어지는 고체 촬상 소자(1)의 회로도이다.
배경광 제거 회로(PCC)로부터 출력된 전송 신호 ST(φ IG)은 각 화소행마다 마련된 스위치(SW1, SW2, SW3, SW4)를 통해 각 화소행마다의 공통 라인(WL)에 입력되고, 화소행마다 제2 게이트 전극(IGR, IGL)을 동시에 온한다. 공통 라인(WL)은 1개의 화소행에 있어서 공통이다.
또한 스위치(SW1, SW2, SW3, SW4)를 동시에 온한 경우에는, 모든 화소에 있어서, 제2 축적 영역에 캐리어를 동시에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1개의 측정 주기 내에 있어서 기준이 되는 배경광 성분이 1개인 경우, 스위치(SW1, SW2, SW3, SW4)는 동시에 온하면 된다. 이와 같이 스위치(SW1, SW2, SW3, SW4)를 동시에 온하거나, 또는 스위치를 마련하지 않음으로써, 거리 화상의 측정 주기를 짧게 할 수 있다. 또,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자기 참조형의 배경광 검출을 행하는 경우에는, 예 를 들어 각 화소행마다 검출된 배경광 성분으로부터 화소행마다의 전송 신호 ST를 차례로 생성하고, 스위치(SW1, SW2, SW3, SW4)를 차례로 온함으로써, 생성된 전송 신호 ST를 대응하는 화소행마다 입력하면 된다.
도 15는 도 8에 나타낸 샘플홀드 회로(SHn)의 회로도이다.
각 화소열로부터는 차례로, 전하량 Q1, Q2에 비례하는 전류가 수직 독출 라인(RRL, LRL)을 통해 흐르고, 도시하지 않는 부하를 통해 그라운드에 흘러, 수직 독출 라인(RRL, LRL)의 전위가 전하량 Q1, Q2에 비례하게 된다. 이 전압은 스위치(SWR1, SWL1)을 동일한 기간만 동시에 온하는 것에 의해, 캐패시터(CR, CL)에 인가되고, 전압에 의존한 전하가 각각 축적된다. 즉, 캐패시터(CR, CL)에는 전하량 Q1, Q2에 비례한 값의 전하가 축적되고, 그 양단에는 축적 전하량에 비례한 전압이 발생하고 있다. 수평 시프트 레지스터를 구동하여, 캐패시터(CR, CL) 후단의 스위치(SWR2, SWL2)를 온하면, 캐패시터(CR, CL)에 축적된 전하량에 비례한 전압이, 각 수평 라인(HLR, HLL)으로부터 독출되게 된다.
도 16은 고체 촬상 장치의 타이밍 차트이다.
우선, 시각 t1 ~ t2의 동안 구동 펄스 신호 SP는 광원에 인가되지 않고, 광원은 비발광 상태이다. 시각 t1 ~ t2 동안 배경광 검출 신호 TN을 온하고, 배경광의 검출을 행한다. 배경광의 검출 기간은 TM/2으로 한다. 이것은 반사 펄스 검출에 있어서 상술한 M회의 미소 전하 축적을 행하는 기간을 TM으로 하면, 그 2분의 1에 상 당한다. 광검출 소자(PD)와 각 화소 P(m, n)에서 발생하는 시간당의 캐리어량이 거의 같다고 하면, 배경광 검출 기간 TM/2에 있어서 광검출 소자(PD)에서 발생한 캐리어의 전하량(전압 β)이, 반사 펄스 검출 기간 TM에 있어서 포함되는 배경광 성분의 캐리어 전하량에 거의 일치한다.
배경광의 검출 동안, 우측 펄스 신호 SR, 좌측 펄스 신호 SL은 하이 레벨인 채이다. 이로 인해, 제1 축적 영역 내에 캐리어가 흐르게 되지만, 캐리어 배출용 신호 SEX이 하이 레벨(트랜지스터 온)로 되어 있고, 이 캐리어는 외부에 배출되고 있다. 따라서, 제1 축적 영역에 있어서 포텐셜 φ A(φ AR , φ AL)은 일정한 채이고, 제2 축적 영역의 포텐셜 φ FD(φ FDR , φ FDL)도 일정한다. 이 타이밍 차트에서, 포텐셜은 좌우의 일방의 것을 대표하여 나타내고 있다.
시각 t3 ~ t4의 기간에 있어서, 상술한 M회의 검출이 행해진다. 이 때, 캐리어 배출용 신호 SEX은 로 레벨(트랜지스터 오프)로 되어 있고, 포텐셜 φ A가 시간의 경과와 함께 저하해 간다. 이 포텐셜 φ A의 저하량 φ 1은 반사 펄스광과 배경광의 수광량에 비례한다. 본 예에서는 제1 축적 영역에 캐리어를 축적한 후, 배경광의 광량에 따라 포텐셜 장벽 φ IG를 내린다. 즉, 시각 t5 ~ t6의 기간, 전송 신호 ST를 하이 레벨(포텐셜 φ IG)로 하고, 제2 축적 영역으로의 캐리어 전송을 행한다. 이로 인해, 제1 축적 영역으로부터 제2 축적 영역에 전자가 유입되고, 전자가 유출된 포 텐셜 φ A는 높아지고, 전자가 유입한 포텐셜 φ FD는 낮아진다.
시각 t6에 있어서, 캐리어가 없는 상태에서 제1 축적 영역의 포텐셜과, 캐리어가 잔류한 포텐셜의 차 φ 2가 배경광 성분에 대응하는 포텐셜 장벽 φ G에 일치한다. 또, 캐리어가 채워진 상태에 있어서 제1 축적 영역의 시각 t5에서의 포텐셜과, 시각 t6에 있어서 캐리어가 유출했을 때 제1 축적 영역의 포텐셜의 차 φ 3이 제2 축적 영역에 유입된 캐리어의 전하량, 즉 반사 펄스광(변조 신호)의 지연량에 일치한다.
이상의 검출 사이클 기간을 TF'로 한다. 그렇게 한 후, 시각 t7 ~ t8의 기간, 캐리어 배출용 신호 SEX를 하이 레벨(트랜지스터 온)로 하고, 제1 축적 영역에 잔류한 캐리어를 배출하면서, 다음의 검출 사이클 기간으로 이행한다.
본 예에서는 X회의 검출 사이클 기간 TF'를 실행한 후, 시각 t18에 있어서 선택 스위치로서의 트랜지스터(SEL; 도 13 참조)을 온함으로써, 포텐셜 φ FD의 검출을 행하고, 시각 t19 ~ t20에 있어서 상술한 바와 같이 잔류한 배경광 성분의 배출을 행하고, 시각 t21 ~ t22에 있어서 ST와 SEX를 동시에 하이 레벨(트랜지스터(IGR, IGL, EX1, EX2)을 온함)로 함으로써 리셋트를 행하고, 1 화소 내의 거리 정보의 측정을 종료한다. 또한, 검출 사이클 기간 TF'마다, 제2 축적 영역에는 전자가 적산하여 축 적되고, 그 포텐셜 φ FD는 차례로 저하해 간다.
또한 상술한 배경광 제거 회로(PCC)에 있어서 광검출 소자(PD)는 촬상 영역(1IP) 내에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광검출 소자(PD)를 촬상 영역(1IP) 내에 배치한 예에 대해 설명한다. 또, 이하의 배치예는 다른 실시 형태에도 적용 가능하다.
도 17은 상술한 각 화소(P)와 광검출 소자(PD)의 배치예를 나타내는 촬상 영역(1IP)의 평면도이다.
사각형의 촬상 영역(1IP) 내에는 복수의 화소(P)와 광검출 소자(PD)가 배치되어 있다. 화소(P)는 촬상 영역(1IP)의 한 변에 대해 비스듬하게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서 배열하고 있고, 화소(P)의 사이에 광검출 소자(PD)가 배치되어 있다. 동일 도면에서, 1개의 광검출 소자(PD)의 주위에는 4개의 화소(P)가 배치되어 있고, 1개 화소(P)의 주위에는 4개의 광검출 소자(PD)가 배치되어 있다. 복수의 광검출 소자(PD)의 출력은 촬상 영역(1IP) 내에 있어서 모두 합계하거나, 또는 소정 영역 내의 출력을 합계하고, 배경광 제거 회로(PCC)의 샘플홀드 회로(SH) 또는 A/D 변환 회로에 입력된다. 소정의 영역은 1개의 광검출 소자열을 포함하는 영역을 포함한다.
도 18은 상술한 각 화소(P)와 광검출 소자(PD)의 배치예를 나타내는 촬상 영역(1IP)의 평면도이다.
사각형의 촬상 영역(1IP) 내에는 복수의 화소(P)와 광검출 소자(PD)가 배치 되어 있다. 화소(P)는 촬상 영역(1IP)의 한 변에 대해 평행하게 배열하고 있고, 인접하는 복수의 화소(P) 내의 일부 영역을 공유하여 광검출 소자(PD)가 배치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서로 인접하는 4개의 화소(P)의 중앙에 광검출 소자(PD)가 배치되어 있다. 복수의 광검출 소자(PD)의 출력은 촬상 영역(1IP) 내에 있어서 모두 합계하거나, 또는 소정 영역 내의 출력을 합계하고, 배경광 제거 회로(PCC)의 샘플홀드 회로(SH) 또는 A/D 변환 회로에 입력된다.
도 19는 상술한 각 화소(P)와 광검출 소자(PD)의 배치예를 나타내는 촬상 영역(1IP)의 평면도이다.
사각형의 촬상 영역(1IP) 내에는 복수의 화소(P)와 광검출 소자(PD)가 배치되어 있다. 화소(P)는 촬상 영역(1IP)의 한 변에 대해 평행하게 배열하고 있고, 각 화소(P) 내의 일부 영역 내에 각각 광검출 소자(PD)가 배치되어 있다. 복수의 광검출 소자(PD)의 출력은 촬상 영역(1IP) 내에 있어서 모두 합계하거나, 또는 소정 영역 내의 출력을 합계하거나, 또는 개개의 화소마다의 출력으로서 배경광 제거 회로(PCC)의 샘플홀드 회로(SH) 또는 A/D 변환 회로에 입력된다.
도 20은 화소 P(m, n) 및 앰프의 회로도이다.
수직 독출 라인(RRL, LRL)은 각각 차지 앰프(CAR, CAL)의 반전 입력 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차지 앰프(CAR)는 OP 앰프(QP1)의 반전 입력 단자와 출력 단자 사이에 접속된 캐패시터(C1) 및 스위치로서의 트랜지스터(S1)를 구비하고 있고, 비반전 입력 단자는 기준 전위 Vref에 접속되어 있다.
차지 앰프(CAL)는 OP 앰프(QP2)의 반전 입력 단자와 출력 단자 사이에 접속된 캐패시터(C2) 및 스위치로서의 트랜지스터(S2)를 구비하고 있고, 비반전 입력 단자는 기준 전위 Vref에 접속되어 있다.
트랜지스터(S1, S2)를 온하면, 캐패시터(C1, C2)는 단락(短絡)된다. 트랜지스터(S1, S2)를 오프하면, 캐패시터(C1, C2)에 전하가 축적되고, 축적 전하에 따른 전압이 출력된다.
이와 같이 앰프를 이용함으로써 출력 이득을 크게 할 수 있다.
도 21은 화소 P(m, n) 및 앰프의 회로도이다.
이 앰프는 도 20에 나타낸 차지 앰프(CAR, CAL)의 캐패시터(C1, C2)를 용량 가변 캐패시터(C1', C2')로 치환하고, 용량 가변 캐패시터(C1', C2')의 용량을, 히스테리시스 컴퍼레이터(HS1, HS2)의 출력으로 제어하는 것으로 한 것이다. 컴퍼레이터(HS1, HS2)는 일방의 입력 단자가 수직 독출 라인(RRL, LRL)에 접속되어 있고, 타방의 입력 단자에는 기준 전위 Vref2가 입력되어 있다. 수직 독출 라인(RRL, LRL)의 전위가 기준 전위 Vref2를 넘는 경우에는 캐패시터(C1, C2)의 용량을 크게 함으로써 검출 범위를 크게 하고, 기준 전위 Vref2 이하의 경우에는 캐패시터(C1, C2)의 용량을 작게 함으로써, 검출 감도를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이득 가변으로 함으로써, 미약광(微弱光)의 검출에도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앰프의 구성으로서는 소스 팔로워 및 차지 앰프 중 어느 것도 적용 가능하다.
다음에, 화소 내의 전극 배열을 변형한 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22는 전극 배열을 변형한 화소를 가지는 고체 촬상 소자(1)의 평면도이 다.
반도체 기판(100) 상에는 복수의 화소 P(m, n)으로 이루어지는 촬상 영역(1IP)과, 거리 정보 독출 회로(K1, K2, Kn, K4) 등이 마련되어 있고, 이 고체 촬상 소자(1)는 화소 P(m, n) 내의 구조와 타이밍 발생 회로(TGC)로부터 화소 내 전극에 출력되는 타이밍 신호를 제외하고, 도 8에 나타낸 고체 촬상 소자(1)로 동일하다.
타이밍 발생 회로(TGC)는 입력된 구동 신호에 따라 각종 타이밍 신호를 생성한다. 타이밍 발생 회로(TGC)에서 발생하는 타이밍 신호는 수직 시프트 레지스터(1V)에 의해, 각 화소마다의 선택 스위치(SEL; 도 26 참조)를 온함으로써, 화소 내의 플로팅ㆍ디퓨젼 영역(제3 축적 영역(FDR, FDL); 도 26 참조) 내에 축적된 캐리어의 전하량의 값을 각 화소행마다 독출하면서, 좌우의 트랜지스터(TX1, TX2(도 26 참조))를 교대로 온하고, 제1 축적 영역(AR, AL(도 26 참조)) 내에 캐리어를 축적시킨다.
수평 시프트 레지스터(1H2)는 타이밍 발생 회로(TGC)로부터 입력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스위치군(SW)을 각 화소열마다 온시킨다. 수평 시프트 레지스터(1H2)에 의해, 스위치군(SW)을 구성하는 각 스위치를 온하는 것에 의해, 샘플홀드 회로(SHn)에 홀딩된 전하량 Q1의 값이, 우측 수평 라인(HLR) 및 출력 버퍼(1I1)를 통해 외부에 출력되고, 샘플홀드 회로(SHn)에 홀딩된 전하량 Q2의 값이, 좌측 수평 라인(HLL) 및 출력 버퍼(1I2)를 통해 외부에 출력된다.
전하량 Q1, Q2의 축적에 앞서, 배경광의 검출이 행해진다. 타이밍 발생 회 로(TGC)는 입력된 트리거 신호에 동기하여, 배경광 검출 신호 TN을 생성한다. 배경광 검출 신호 TN은 배경광 제거 회로(PCC)에 입력된다. 배경광 제거 회로(PCC)는 배경광 검출 신호 TN이 온인 경우에는 배경광의 검출을 행하고, 검출에 의해 생긴 값을 홀딩하고, 그렇게 한 후 포텐셜 제어 전압 φ IG(=φ IGR, φ IGL)을 전송 신호 ST로서 제2 게이트 전극(IG(IGR, IGL))에 출력한다.
도 23은 도 22에 나타낸 화소 P(m, n)의 평면도(도 23(A)), 화소 P(m, n)의 종단면도(도 23(B)), 종단면도에 있어서 무바이어스일 때 반도체 내의 포텐셜도(도 23(C))이다.
또한 도 6에 있어서, 플로팅ㆍ디퓨젼 영역은 제2 축적 영역이라고 호칭하였지만, 본 예에서는 제3 축적 영역이라고 호칭하는 것으로 한다.
화소 P(m, n)은 p형의 반도체 기판(100)과, 반도체 기판(100) 상에 형성된 절연층(101)을 구비하고 있다. 절연층(101) 상에는 차광막(SM)이 마련되어 있다. 차광막(SM)은 화소마다 광입사용 개구(OP)를 구비하고 있다. 개구(OP) 바로 아래의 절연층(101) 상에는 화소 전극(PG)이 배치되어 있다. 반도체 기판(100)의 화소 전극(PG) 바로 아래의 반도체 기판(100) 내의 표면 영역을 광감응 영역(SA)으로 한다. 화소 전극(PG)의 양측에는 절연층(101) 상에 한 쌍의 제1 게이트 전극(TX1, TX2)이 배치되어 있다. 제1 게이트 전극(TX1, TX2)의 외측에는 반도체 기판(100) 내에 마련된 한 쌍의 제1 축적 영역(AR, AL)이 위치하고 있다. 또한, 제1 축적 영역(AR, AL)의 외측에는 반도체 기판(100) 내에 마련된 한 쌍의 전하 퇴피 영역(제2 축적 영역; BR, BL)이 위치하고 있다. 제1 축적 영역(AR, AL)과 전하 퇴피 영역(BR, BL) 사이의 영역 윗쪽에는 절연층(101) 상에 각각 제2 게이트 전극(IGR, IGL)이 위치하고 있다.
반도체 기판(100) 내에는 전하 퇴피 영역(BR, BL)의 외측에, 한 쌍의 제3 축적 영역(FDR, FDL)이 마련되어 있다. 제1 축적 영역(AR, AL), 전하 퇴피 영역(BR, BL) 및 제2 축적 영역(FDR, FDL)은 각각 n형의 반도체 영역으로 이루어진다.
전하 퇴피 영역(BR, BL)과 제3 축적 영역(FDR, FDL) 사이의 반도체 영역 윗쪽에는 절연층(101) 상에 한 쌍의 제3 게이트 전극(TGR, TGL)이 배치되어 있다. 제3 게이트 전극(TGR, TGL)은 전하 퇴피 영역(BR, BL)과 제3 축적 영역(FDR, FDL) 사이에 개재하는 제2 포텐셜 장벽 φ G의 높이를 제어하도록 반도체 기판(100) 상에 마련되어 있다. 제2 포텐셜 장벽 φ G는 전하 퇴피 영역(BR, BL)의 포텐셜 φ BR, φ BL과, 제3 게이트 전극(TGR, TGL) 바로 아래의 반도체의 포텐셜 φ TGR, φ TGL의 차로 주어진다.
제1 축적 영역(AR, AL), 제2 축적 영역으로서의 전하 퇴피 영역(BR, BL)으로의 캐리어 축적 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으며, 이들 사이의 포텐셜 φ IGR, φ IGL을 배경광 강도에 따라 조정함으로써, 제2 축적 영역으로서의 전하 퇴피 영역(BR, BL) 내에, 프로브광의 반사광에 기인하는 캐리어(전하량 Q1, Q2)를 축적할 수 있다.
캐리어에 대한 제2 포텐셜 장벽 φ G의 높이를 저하시킴으로써 전하 퇴피 영 역(BR, BL)에 축적된 캐리어를 제3 축적 영역(FDR, FDL)에 전송한 후, 제2 포텐셜 장벽 φ G의 높이를 증가시켜, 제3 축적 영역(FDR, FDL)에 캐리어를 홀딩한 상태로, 한 쌍의 제1 축적 영역(AR, AL)에 교대로 캐리어가 축적되도록, 제1 게이트 전극(TX1, TX2), 제2 게이트 전극(IGR, IGL) 및 제3 게이트 전극(TGR, TGL)으로의 인가 전위를 제어한다. 포텐셜을 높게(깊게) 하기 위해서는 각 게이트 전극에 주는 전위를 높게 하면 된다.
또, 도 23의 평면도에 있어서, 제3 축적 영역(FDR, FDL) 및 그 외측의 영역의 캐리어 전송 방향으로 수직인 방향의 폭은 제1 축적 영역(AR, AL) 및 제2 축적 영역(BR, BL)의 캐리어 전송 방향으로 수직인 폭보다 좁게 되어 있고, 제3 축적 영역(FDR, FDL)에 있어서 미소한 캐리어의 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그 용량을 작게 함으로써, 변환 게인을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화소 P(m, n)은 제1 축적 영역(AR, AL)에 각각 인접한 캐리어 배출 영역(DEX1, DEX2)을 구비하고 있다. 즉, 제1 축적 영역(AR, AL)에는 배경광 성분에 상당하는 캐리어가 잔류 축적되지만, 축적된 캐리어는 캐리어 배출 영역(DEX1, DEX2)을 통해 외부에 배출된다. 캐리어 배출 영역(DEX1, DEX2)은 n형의 반도체로 이루어진다.
우측의 제1 축적 영역(AR)과 캐리어 배출 영역(DEX1) 사이의 반도체 영역 윗쪽에 있어서, 캐리어 배출용 게이트 전극(EX1)이 절연층(101) 상에 위치하고 있고, 우측의 게이트 전극(EX1)에 정전위를 주면, 제1 축적 영역(AR) 내에 축적된 캐리어 가 캐리어 배출 영역(DEX1)에 유입되고, 캐리어 배출 영역(DEX1)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배선을 통해 외부에 출력된다.
좌측의 제1 축적 영역(AL)과 캐리어 배출 영역(DEX2) 사이의 반도체 영역 윗쪽에 있어서, 캐리어 배출용 게이트 전극(EX2)이 절연층(101) 상에 위치하고 있고, 게이트 전극(EX2)에 정전위를 주면, 좌측의 제1 축적 영역(AL) 내에 축적된 캐리어가 캐리어 배출 영역(DEX2)에 유입되고, 캐리어 배출 영역(DEX2)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배선을 통해 외부에 출력된다.
제3 축적 영역(FDR, FDL)의 외측에는 한 쌍의 n형 반도체 영역으로 이루어지는 리셋트 드레인 영역(RDR, RDL)이 마련되어 있고, 제3 축적 영역(FDR, FDL)과 리셋트 드레인 영역(RDR, RDL) 사이의 반도체 영역 윗쪽에는 절연층(101) 상에 리셋트용 게이트 전극(TRR, TRL)이 마련되어 있다. 게이트 전극(TRR, TRL) 바로 아래의 반도체 영역의 포텐셜 φ TRR , φ TRL은 게이트 전극(TRR, TRL)에 정전위를 인가하는 것에 의해 깊어져, 제3 축적 영역(FDR, FDL)과 리셋트 드레인 영역(RDR, RDL)이 접속된다. 리셋트 드레인 영역(RDR, RDL)은 전원 전위에 접속되는 것이지만, 무바이어스일 때에는 포텐셜 φ RDR , φ RDL을 가진다.
도 24는 캐리어의 축적과 배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포텐셜도이다.
초기 상태에 있어서는 포텐셜 φ FDL, φ BL, φ AL, φ AR, φ BR, φ FDR이 높아(깊어), 각 포텐셜 우물에는 캐리어가 축적되어 있지 않다. 또한 φ PG에는 필요에 따라 약간의 정전위를 인가해도 된다(도 24(A)).
구동 펄스의 전반의 반주기의 기간에 있어서는 포텐셜 φ PG 및 우측의 포텐셜 φ TX1을 깊게 하고, 우측의 제1 축적 영역의 포텐셜 φ AR의 우물 내에 캐리어를 전송한다(도 24(B)). 우측의 포텐셜 우물에는 전하량 QR이 축적되어 있다.
구동 펄스의 후반의 반주기의 기간에 있어서는 포텐셜 φ PG 및 좌측의 포텐셜 φ TX2를 깊게 하고, 좌측의 제1 축적 영역의 포텐셜 φ AL의 우물 내에 캐리어를 전송한다(도 24(C)). 좌측의 포텐셜 우물에는 전하량 QL이 축적되어 있다.
도 24(B)와 도 24(C)로 이루어지는 미소 전하 축적 공정을 M회 반복하면, 각 포텐셜 우물 내에, M배로 적산된 전하량 ΣQR, ΣQL이 축적된다(도 24(D)).
그렇게 한 후, 포텐셜 φ IGR, φ IGL을 깊게 하여(장벽 높이를 작게 하여), 배경광 성분에 상당하는 캐리어의 전하량 QBG를, 각각의 포텐셜 φ AR 및 포텐셜 φ AL의 우물 내에 잔류시키고, 나머지의 펄스광 성분에 대응하는 전하를 흘러넘치게 하여 전하 퇴피 영역의 포텐셜 φ BR , φ BL의 우물 내에 전송한다. 전하 퇴피 영역의 포텐셜 φ BR , φ BL의 우물 내는 전하량 Q1, Q2의 캐리어가 축적된다(도 24(E)).
다음에, 제1 축적 영역의 포텐셜 φ AR , φ AL의 우물 내에 잔류한 전하량 QBG의 캐리어를, 도 23에 나타낸 게이트 전극(EX1, EX2)에 정전위를 주는 것에 의해 캐리어 배출 영역(DEX1, DEX2)에 전송하여 외부에 배출한다(도 24(F)). 또한 배출되는 캐리어의 합계 전하량은 각 화소의 휘도에 대응하고 있기 때문에, 이것을 각 화소 마다 독출하면 휘도 화상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사양에 따라, 도 24(B) 및 도 24(C)의 M회 반복 공정과 도 24(D) 내지 도 24(F)의 전송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적산 전하 축적 공정을, 도 24(B)의 공정으로 되돌아와 X회 반복한다. 이 경우에는, 미소 전하의 M×X 배의 캐리어에 포함되는 펄스광의 신호 성분을 전하 퇴피 영역의 포텐셜 φ BR , φ BL의 우물 내에 축적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에, 포텐셜 φ TGR , φ TGL을 깊게 하여, 캐리어에 대한 포텐셜 장벽 φ G를 작게 하고, 전하 퇴피 영역의 포텐셜 φ BR , φ BL의 우물 내에 축적된 캐리어를, 제3 축적 영역의 포텐셜 φ FDR , φ FDL의 우물에 전송한다(도 24(G)). 이 때, 캐리어 확산만을 캐리어 전송력(轉送力)으로 해도 좋지만, 여기에서는 제3 축적 영역의 포텐셜 φ FDR , φ FDL을 전원 전위 등에 접속하여, 미리 포텐셜을 깊게 한다. 여기까지를 1회째의 캐리어 축적 공정으로 한다.
다음에, 2회째의 캐리어 축적 공정을 행한다. 또한 2회째의 캐리어 축적 공정의 실행 기간 내에 있어서, 제3 축적 영역의 포텐셜 φ FDR , φ FDL의 우물에 축적된 캐리어를 차례로 독출하고 있다.
2회째의 캐리어 축적 공정에서는 상기와 동양(同樣)으로, 캐리어의 전송 후, 포텐셜 φ FDR , φ FDL의 우물에 캐리어를 홀딩한 상태로, 도 24(B)와 동양으로, 구동 펄스의 전반의 반주기의 기간에 있어서, 포텐셜 φ PG 및 우측의 포텐셜 φ TX1을 깊게 하고, 우측의 제1 축적 영역의 포텐셜 φ AR의 우물 내에 캐리어를 전송한다(도 24(H)). 좌우의 제2 포텐셜 장벽 φ G의 높이는 원래의 위치까지 증가시켜 놓는다. 우측의 포텐셜 우물에는 다시 전하량 QR이 축적되어 있다.
포텐셜 φ FDR , φ FDL의 우물에 캐리어를 홀딩한 상태로, 구동 펄스 후반의 반주기의 기간에 있어서, 포텐셜 φ PG 및 좌측의 포텐셜 φ TX2를 깊게 하고, 좌측의 제1 축적 영역의 포텐셜 φ AL의 우물 내에 캐리어를 전송한다(도 24(I)). 좌측의 포텐셜 우물에는 전하량 QL이 축적되어 있다.
도 24(H)와 도 24(I)로 이루어지는 미소 전하 축적 공정을 M회 반복하면, 각 포텐셜 우물 내에, M배로 적산된 전하량 ΣQR, ΣQL이 축적된다(또한, 2회째의 캐리어 축적 공정의 실행 기간내에 있어서, 제3 축적 영역의 포텐셜 φ FDR , φ FDL의 우물에 축적된 캐리어를 차례로 독출하고 있으므로, 제3 축적 영역의 캐리어는 독출된 것으로 하여, 이후는 설명하는 것으로 한다. 도 24(D) 참조).
그렇게 한 후, 포텐셜 φ IGR, φ IGL을 깊게 하여(장벽 높이를 작게 하여), 배경광 성분에 상당하는 캐리어의 전하량 QBG를, 각각의 포텐셜 φ AR 및 포텐셜 φ AL의 우물 내에 잔류시키고, 나머지의 펄스광 성분에 대응하는 전하를 흘러넘치게 하여 전하 퇴피 영역의 포텐셜 φ BR , φ BL의 우물 내에 전송한다. 전하 퇴피 영역의 포텐셜 φ BR , φ BL의 우물 내는 전하량 Q1, Q2의 캐리어가 축적된다(도 24(E) 참조).
다음에, 제1 축적 영역의 포텐셜 φ AR , φ AL의 우물 내에 잔류한 전하량 QBG의 캐리어를, 도 23에 나타낸 게이트 전극(EX1, EX2)에 정전위를 주는 것에 의해 캐리어 배출 영역(DEX1, DEX2)에 전송하여, 외부에 배출한다(도 24(F) 참조).
또한 사양에 따라, 도 24(H) 및 도 24(I)의 M회 반복 공정과 도 24(D) 내지 도 24(F)의 전송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적산 전하 축적 공정을, 도 24(H)의 공정으로 되돌아와 X회 반복한다. 이 경우에는, 미소 전하의 M×X 배의 캐리어에 포함되는 펄스광의 신호 성분을 전하 퇴피 영역의 포텐셜 φ BR , φ BL의 우물 내에 축적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후, 똑같이 도 24(G)의 공정을 실행한다.
또한 상술한 도 10에 나타낸 예에서, 제2 축적 영역 내에 전회의 측정시 캐리어가 축적하고 있는 경우에는, 이번회 측정에 있어서 제1 게이트 전극을 구동하면, 캐리어가 혼합해 버린다. 그렇지만 본 예에서는 제2 포텐셜 장벽 φ G의 높이를 저하시켜 제3 축적 영역(FDR, FDL)에 캐리어를 전송한 후(도 24(G)), 제2 포텐셜 장벽 φ G의 높이를 증가시켜서(도 24(H), 도 24(I)), 그 후의 도 24(H), (I), (D), (E), (F)의 공정이 행해질 때에, 전하 퇴피 영역 φ BR , φ BL로부터 제3 축적 영역(FDR, FDL)으로의 캐리어 유입을 저지하고 있다. 도 24(H), 도 24(I)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게이트 전극을 구동하여, 광감응 영역으로부터 전하 퇴피 영역 φ BR, φ BL에 이번회 측정시에 발생한 캐리어를 유입시키면서, 또는 도 24(E)의 공정과 같이 캐리어를 전송시키면서, 제3 축적 영역(FDR, FDL)에 축적된 캐리어를 독출하 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로 인해, 측정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도 25는 캐리어 축적과 독출의 관계를 나타내는 타임 차트도이다.
시각 t1 ~ t2까지의 기간, 제1행째 화소행에 있어서, 1회째의 캐리어 축적 공정(AC1(1t))이 행해진다. 동양으로, 시각 t1 ~ t2까지의 기간, 제2행째, 제3행째, 제4행째 화소행에 있어서, 1회째의 캐리어 축적 공정(AC2(1t), AC3(1t), AC4(1t))이 행해진다.
1회째의 캐리어 축적 공정의 종료 후, 시각 t2 ~ t6까지의 기간, 각 화소행에 있어서, 2회째의 캐리어 축적 공정(AC1(2t), AC2(2t), AC3(2t), AC4(2t))이 행해진다.
여기서, 시각 t2 ~ t3의 기간에 있어서는 제1행째 화소행에서, 제3 축적 영역(FDR, FDL)에 축적된 캐리어의 독출 공정(RD1)이 행해진다. 시각 t3 ~ t4의 기간에 있어서는 제2행째 화소행에서, 제3 축적 영역(FDR, FDL)에 축적된 캐리어의 독출 공정(RD2)이 행해진다. 시각 t5 ~ t6의 기간에 있어서는 제3행째 화소행에서, 제3 축적 영역(FDR, FDL)에 축적된 캐리어의 독출 공정(RD3)이 행해진다. 시각 t5 ~ t6의 기간에 있어서는 제4행째 화소행에서, 제3 축적 영역(FDR, FDL)에 축적된 캐리어의 독출 공정(RD4)이 행해진다.
이상과 같이, 본 예에서는 캐리어 축적 공정을 실행하면서, 캐리어 독출 공정을 실행할 수 있기 때문에, 측정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도 26은 도 23에 나타낸 화소 P(m, n)의 회로도이다.
각 게이트 전극을 가지는 트랜지스터는 () 안에 대응하는 게이트 전극의 부호를 이용하여 표기하는 것으로 한다. 또, 캐리어의 독출시에 캐리어가 유입되는 쪽을 트랜지스터의 소스로 하고, 유출되는 쪽을 드레인으로 한다.
도 26에 나타낸 회로와 도 13에 나타낸 회로의 차이점은 전하 퇴피 영역(BR, BL), 제3 게이트 전극(TGR, TGL), 리셋트용 트랜지스터(TRR, TRL)가 부가된 점이고, 다른 구성은 동일하다. 이하, 상세 해설한다.
화소 전극(PG)을 포함하는 트랜지스터의 일단은 게이트 전극(TX1)을 포함하는 NMOS 트랜지스터의 소스에 접속되어 있고, NMOS 트랜지스터(TX1)의 드레인은 제1 축적 영역(AR), 및 NMOS 트랜지스터(IGR)의 소스, 캐리어 배출용 트랜지스터(EX1)의 소스에 접속되고, 캐리어 배출용 NMOS 트랜지스터(EX1)의 드레인은 전원 전위 V+에 접속되어 있다. 제1 축적 영역(AR)은 배경광 성분 제거용 NMOS 트랜지스터(IGR)의 소스에 접속되어 있고, NMOS 트랜지스터(IGR)의 드레인은 전하 퇴피 영역(BR)에 접속되어 있다.
전하 퇴피 영역(BR)은 NMOS 트랜지스터(TGR)의 소스에 접속되어 있다. 트랜지스터(TGR)의 드레인은 제3 축적 영역(FDR), 리셋트용 NMOS 트랜지스터(TRR)의 소스, 및 PMOS 트랜지스터(FET1)의 게이트 전극에 접속되어 있다. 트랜지스터(TRR)의 드레인 영역(RDR)은 전원 전위 V+에 접속되어 있다. 또, PMOS 트랜지스터(FET1)의 소스는 전원 전위 V+에 접속되고, 드레인은 출력 선택용의 우측 PMOS 트랜지스터(SEL)에 접속되어 있다. 또, 트랜지스터(IGR)의 게이트 전극(IGR)에는 공통 라 인(WL)을 통해 캐리어의 전송 신호 ST(=φ IGR)이 입력된다. 트랜지스터(SEL)의 드레인은 우측의 수직 독출 라인(RRL)에 접속되어 있다. 수직 독출 라인(RRL)에는 제3 축적 영역(FDR)에 축적되는 전하량 Q1에 대응하는 전류가 유입된다. 또한 제3 축적 영역(FDR)은 트랜지스터(TRR)를 온하는 것에 의해 전원 전위 V+에 접속되고, 축적된 전하는 리셋트된다. 또한 트랜지스터(TRR)의 게이트 전극(TRR)에는 리셋트 신호 STR이 인가된다. 또, 전하 배출용 트랜지스터(EX1)의 게이트 전극(EX1)에는 배출 신호 SEX이 인가된다. 또한 각 전원 전위 V+의 크기는 설계에 따라 서로 다르다.
화소 전극(PG)을 포함하는 트랜지스터의 타단은 게이트 전극(TX2)을 포함하는 NMOS 트랜지스터의 소스에 접속되어 있고, NMOS 트랜지스터(TX2)의 드레인은 제1 축적 영역(AL), 및 NMOS 트랜지스터(IGL)의 소스, 캐리어 배출용 트랜지스터(EX2)의 소스에 접속되고, 캐리어 배출용 NMOS 트랜지스터(EX2)의 드레인은 전원 전위 V+에 접속되어 있다. 제1 축적 영역(AL)은 배경광 성분 제거용 NMOS 트랜지스터(IGL)의 소스에 접속되어 있고, NMOS 트랜지스터(IGL)의 드레인은 전하 퇴피 영역(BL)에 접속되어 있다.
전하 퇴피 영역(BL)은 NMOS 트랜지스터(TGL)의 소스에 접속되어 있다. 트랜지스터(TGL)의 드레인은 제3 축적 영역(FDL), 리셋트용 NMOS 트랜지스터(TRL)의 소스, 및 PMOS 트랜지스터(FET2)의 게이트 전극에 접속되어 있다. 트랜지스터(TRL)의 드레인 영역(RDL)은 전원 전위 V+에 접속되어 있다. 또, PMOS 트랜지스터(FET2)의 소스는 전원 전위 V+에 접속되고, 드레인은 출력 선택용의 좌측 PMOS 트랜지스 터(SEL)에 접속되어 있다. 또, 트랜지스터(IGL)의 게이트 전극(IGL)에는 공통 라인(WL)을 통해 캐리어의 전송 신호 ST(=φ IGL)이 입력된다. 좌측의 트랜지스터(SEL)의 드레인은 좌측의 수직 독출 라인(LRL)에 접속되어 있다. 수직 독출 라인(LRL)에는 제3 축적 영역(FDL)에 축적되는 전하량 Q2에 대응하는 전류가 유입된다. 또한 제3 축적 영역(FDL)은 트랜지스터(TRL)를 온하는 것에 의해 전원 전위 V+에 접속되고, 축적된 전하는 리셋트된다. 또한 트랜지스터(TRL)의 게이트 전극(TRL)에는 리셋트 신호 STR이 인가된다. 또, 전하 배출용 트랜지스터(EX2)의 게이트 전극(EX2)에는 배출 신호 SEX가 인가된다. 또한 각 전원 전위 V+의 크기는 설계에 따라 서로 다르다.
또, 전하의 배분을 행하기 때문에, 한 쌍의 제1 게이트 전극(TX1, TX2)에는 각각 우측 펄스 신호 SR 및 좌측 펄스 신호 SL이 입력된다.
배경광을 검출한 후, 게이트 전극(IGR, IGL)에 전송 신호 ST를 동시에 인가함으로써, 포텐셜 장벽 φ BG를 상술한 바와 같이 저하시켜, 전하 퇴피 영역(BR, BL) 내에 반사광에 대응하는 캐리어를 축적시킨다. 전하 퇴피 영역(BR, BL)에 축적된 캐리어는 하이 레벨의 전송 신호 STG를 게이트 전극(TGR, TGL)에 동시에 인가함으로써, 제3 축적 영역(FDR, FDL) 내에 전송되고, 그렇게 한 후 전송 신호 STG의 레벨을 로 레벨로 하여 캐리어에 대한 상술한 포텐셜 장벽 φ G의 높이를 증가시켜, 제3 축 적 영역(FDR, FDL) 내에 축적된 캐리어를 전하 퇴피 영역(BR, BL)으로부터 격리한다.
캐리어의 전송시에 있어서, 제3 축적 영역(FDR, FDL)은 플로팅 레벨로 있어, 유입된 부의 전하량 Q1, Q2에 비례하여, 트랜지스터(FET1, FET2)를 흐르는 전류가 결정된다. 수직 시프트 레지스터로부터 선택용 트랜지스터(SEL)를 온시킨 신호를 입력하면, FET1, FET2의 입력 게이트 전압에 따라, 각 전하량 Q1, Q2에 대응한 전류가 수직 독출 라인(RRL, LRL)에 흐르게 된다.
제3 축적 영역(FDR, FDL)을 플로팅 레벨로 하려면, 리셋트용 트랜지스터(TRR, TRL)를 온하여 제3 축적 영역(FDR, FDL)을 전원 전위 V+에 접속한 후, 오프하면 된다.
도 27은 도 26에 나타낸 화소 P(m, n)을 배열하여 이루어지는 고체 촬상 소자(1)의 회로도이다.
배경광 제거 회로(PCC)로부터 출력된 전송 신호 ST(φ TG)는 각 화소행마다 마련된 스위치(SW1, SW2, SW3, SW4)를 통해 각 화소행마다의 공통 라인(WL)에 입력되고, 화소행마다 제2 게이트 전극(IGR, IGL)을 동시에 온한다(도 26 참조). 공통 라인(WL)은 1개의 화소행에 있어서 공통이다.
또한 스위치(SW1, SW2, SW3, SW4)를 동시에 온한 경우에는, 모든 화소에 있어서 전하 퇴피 영역에 동시에 캐리어를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1개의 측정 주기 내에 있어서 기준이 되는 배경광 성분이 1개인 경우, 스위치(SW1, SW2, SW3, SW4)는 동시에 온하면 된다. 이와 같이 스위치(SW1, SW2, SW3, SW4)를 동시에 온하거나, 또는 스위치를 마련하지 않음으로써, 거리 화상의 측정 주기를 짧게 할 수 있다. 또,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자기 참조형의 배경광 검출을 행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각 화소행마다 검출된 배경광 성분으로부터 화소행마다의 전송 신호 ST를 차례로 생성하고, 스위치(SW1, SW2, SW3, SW4)를 차례로 온함으로써, 생성된 전송 신호 ST를 대응하는 화소행마다 입력하면 된다. 이와 같이 배경광 제거의 비닝 동작을 행하면, 거리 화상의 측정 주기를 짧게 할 수 있다.
도 28은 전하 퇴피 영역을 구비한 고체 촬상 장치의 타이밍 차트이다.
1개의 화소에 있어서 신호의 측정 기간 TF에 있어서, STR, STG, φ B, φ FD를 제외한 신호의 타이밍은 도 16에 나타낸 것과 동일하므로, 필요에 따라 설명을 생략한다.
시각 t1 ~ t2에 있어서 배경광 검출 동안 우측 펄스 신호 SR, 좌측 펄스 신호 SL은 하이 레벨인 채이다. 이로 인해, 제1 축적 영역 내에 캐리어가 흐르게 되지만, 캐리어 배출용 신호 SEX이 하이 레벨(트랜지스터 온)로 되어 있고, 이 캐리어는 외부에 배출되고 있다. 따라서, 제1 축적 영역에 있어서 포텐셜 φ A(φ AR, φ AL)은 일정한 채이고, 전하 퇴피 영역의 포텐셜 φ B(φ BR , φ BL)도 일정하다. 이 타이밍 차트에서도 포텐셜은 좌우 중 일방의 것을 대표하여 나타내고 있다.
시각 t3 ~ t4의 기간에 있어서, 상술한 M회의 검출이 행해진다. 이 때, 캐리어 배출용 신호 SEX는 로 레벨(트랜지스터 오프)로 되어 있고, 포텐셜 φ A가 시간의 경과와 함께 저하해 간다. 이 포텐셜 φ A의 저하량 φ 1은 반사 펄스광과 배경광의 수광량에 비례한다. 본 예에서는 제1 축적 영역에 캐리어를 축적한 후, 배경광의 광량에 따라 포텐셜 장벽 φ IG를 내린다. 즉, 시각 t5 ~ t6의 기간, 전송 신호 ST를 하이 레벨(포텐셜 φ IG)로 하고, 전하 퇴피 영역으로의 캐리어 전송을 행한다. 이로 인해, 제1 축적 영역으로부터 전하 퇴피 영역에 전자가 유입되고, 전자가 유출한 포텐셜 φ A는 높아지고, 전자가 유입한 포텐셜 φ B는 낮아진다.
시각 t6에 있어서, 캐리어가 없는 상태에 있어서 제1 축적 영역의 포텐셜과, 캐리어가 잔류한 포텐셜의 차 φ 2가, 배경광 성분에 대응하는 포텐셜 장벽 φ G에 일치한다. 또, 캐리어가 채워진 상태에 있어서 제1 축적 영역의 시각 t5에서의 포텐셜과, 시각 t6에 있어서 캐리어가 유출했을 때 제1 축적 영역의 포텐셜의 차 φ 3이, 전하 퇴피 영역에 유입된 캐리어의 전하량, 즉 반사 펄스광(변조 신호)의 지연량과 일치한다.
이상의 검출 사이클 기간을 TF'로 한다. 그렇게 한 후, 시각 t7 ~ t8의 기간, 캐리어 배출용 신호 SEX를 하이 레벨(트랜지스터 온)로 하여, 제1 축적 영역에 잔류한 캐리어를 배출하면서, 다음의 검출 사이클 기간으로 이행한다. 또한 검출 사이 클 기간 TF'마다 전하 퇴피 영역에는 전자가 적산하여 축적되고, 그 포텐셜 φ B는 차례로 저하해 간다.
본 예에서는 X회의 검출 사이클 기간 TF'를 실행한 후, 시각 t21 ~ t22에 있어서, 플로팅ㆍ디퓨젼 영역으로서의 제3 축적 영역(FDR, FDL)에 리셋트를 행한다. 즉, 시각 t21 ~ t22의 기간에 있어서, 리셋트 신호 STR을 하이 레벨로 함으로써, 도 26에 있어서 리셋트용 트랜지스터(TRR, TRL)를 온함으로써, 제3 축적 영역(FDR, FDL)을 전원 전위에 접속한 후, 트랜지스터(TRR, TRL)를 오프한다.
그렇게 한 후, 시각 t23 ~ t24의 기간에 있어서, 전송 신호 STG를 하이 레벨로 함으로써, 도 26에 있어서 신호 전송용 트랜지스터(TGR, TGL)를 온함으로써, 전하 퇴피 영역(BR, BL)에 축적된 캐리어를, 제3 축적 영역(FDR, FDL)에 전송하고, 트랜지스터(FET1, FET2)의 게이트 전극에 축적 전하량에 따른 전압을 인가한다.
다음에, 이번회 측정 기간 TF의 종료 후, 또는 다음회의 측정 기간 TF의 적당한 시각에 있어서, 선택 스위치로서의 트랜지스터(SEL; 도 26 참조)를 온함으로써, 포텐셜 φ FD의 검출을 행한다.
상기에서는 180 도의 위상이 다른 우측 펄스 신호 SR 및 좌측 펄스 신호 SL을 1대의 게이트 전극에 각각 인가함으로써, 거리 화상의 측정을 행한다. 이하에서는 90 도씩 위상이 다른(위상=0 도, 90 도, 180 도, 270 도) 4개의 펄스 신호를, 4개의 캐리어 배분용 게이트 전극에 인가함으로써, 거리 화상의 측정을 행하는 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29는 1 화소당 4개의 캐리어 배분용 게이트 전극을 가지는 고체 촬상 소자(1)의 평면도이다.
반도체 기판(100) 상 일방의 영역 상에는 거리 정보 독출 회로(K1, K2, Kn, K4)가 마련되어 있다. 각 거리 정보 독출 회로(KN)는 수평 시프트 레지스터(1H2)에 의해 스위칭되는 독출 스위치군(SW)과, 화소열마다 마련된 각 샘플홀드 회로(SHn)를 구비하고 있다.
반도체 기판(100) 상의 촬상 영역(1IP)을 사이에 두고, 거리 정보 독출 회로(Kn)와는 반대의 영역 상에는 거리 정보 독출 회로(K1', K2', Kn', K4')가 마련되어 있다. 각 거리 정보 독출 회로(Kn')는 수평 시프트 레지스터(1H2')에 의해 스위칭되는 독출 스위치군(SW')과, 화소열마다 마련된 각 샘플홀드 회로(SHn')를 구비하고 있다.
타이밍 발생 회로(TGC)는 입력된 구동 신호에 따라 각종 타이밍 신호를 생성한다. 설명의 간략화를 위해, 반도체 기판(100) 상에는 타이밍 발생 회로(TGC)도 배치되어 있지만, 타이밍 발생 회로(TGC)는 반도체 기판(100)과 별도로 마련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배경광 제거 회로(PCC)는 배경광 검출 신호 TN이 온인 경우에, 배경광의 검출을 행하고, 검출에 의해 생긴 값을 홀딩하고, 그렇게 한 후 포텐셜 제어 전압 φ IG(=φ IGR, φ IGL)을 전송 신호 ST1로 하여, 화소 내의 좌우 한 쌍의 제2 게이트 전 극(IG(IGR, IGL))에 출력한다.
배경광 제거 회로(PCC')는 배경광 검출 신호 TN이 온인 경우에, 배경광의 검출을 행하고, 검출에 의해 생긴 값을 홀딩하고, 그렇게 한 후 포텐셜 제어 전압 φ IG(=φ IGF, φ IGB)를 전송 신호 ST2로 하여, 화소 내의 전후 한 쌍의 제2 게이트 전극(IG(IGF, IGB))에 출력한다.
수평 시프트 레지스터(1H2)는 플립플롭을 접속하여 만들어지는 레지스터로 이루어지고, 타이밍 발생 회로(TGC)로부터 입력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스위치군(SW)을 각 화소열마다 온시킨다. 각 화소 P(m, n)으로부터는 좌우의 게이트 전극에 대응하여, 상술한 전하량 Q1, Q2가 출력되어 있다. 스위치군(SW)을 구성하는 각 스위치는 전하량 Q1의 값을 독출하기 위한 우측 수평 라인(HLR)과, 전하량 Q2의 값을 독출하기 위한 좌측 수평 라인(HLL) 사이에 개재하고 있고, 수평 시프트 레지스터(1H2)로 이러한 스위치를 온하는 것에 의해, 샘플홀드 회로(SHn)에 홀딩된 전하량 Q1의 값이, 우측 수평 라인(HLR) 및 출력 버퍼(1I1)를 통해 외부에 출력되고, 샘플홀드 회로(SHn)에 홀딩된 전하량 Q2의 값이, 좌측 수평 라인(HLL) 및 출력 버퍼(1I2)를 통해 외부에 출력된다.
수평 시프트 레지스터(1H2')는 플립플롭을 접속하여 만들어지는 레지스터로 이루어지고, 타이밍 발생 회로(TGC)로부터 입력되는 제어 신호 H1에 따라 스위치군(SW')를 각 화소열마다 온시킨다. 각 화소 P(m, n)으로부터는 전후의 게이트 전극에 대응하여 전하량 Q3, Q4가 출력되어 있다. 스위치군(SW')를 구성하는 각 스위 치는 전하량 Q3의 값을 독출하기 위한 우측 수평 라인(HLR')과, 전하량 Q4의 값을 독출하기 위한 좌측 수평 라인(HLL') 사이에 개재하고 있고, 수평 시프트 레지스터(1H2')로 이러한 스위치를 온하는 것에 의해, 샘플홀드 회로(SHn')에 홀딩된 전하량 Q3의 값이, 우측 수평 라인(HLR') 및 출력 버퍼(1I1')를 통해 외부에 출력되고, 샘플홀드 회로(SHn')에 홀딩된 전하량 Q4의 값이, 좌측 수평 라인(HLL') 및 출력 버퍼(1I2')를 통해 외부에 출력된다.
전하량 Q1, Q2, Q3, Q4의 축적에 앞서, 배경광의 검출이 행해진다. 타이밍 발생 회로(TGC)는 입력된 트리거 신호에 동기하여, 배경광 검출 신호 TN을 생성한다. 배경광 검출 신호 TN은 배경광 제거 회로(PCC) 및 배경광 제거 회로(PCC')에 입력된다. 또한 배경광 제거 회로(PCC)와 배경광 제거 회로(PCC')의 구조는 동일하고, 1개의 배경광 제거 회로로 이들을 겸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0은 도 29에 나타낸 화소 P(m, n)의 평면도이다. 도 31은 도 30에 있어서 31A-31A 화살표 단면도(도 31(A)), 도 31(A)의 단면도에 있어서 무바이어스일 때 반도체 내의 포텐셜도(도 31(B)), 도 30에 있어서 31C-31C 화살표 단면도(도 31(C)), 도 31(C)의 단면도에 있어서 무바이어스일 때 반도체 내의 포텐셜도(도 31(D))이다.
좌우 방향의 종단면도(도 31(A))의 구조 및 포텐셜도(도 31(B))는 도 2E에 나타낸 것과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 30의 평면도에 있어서는 제3 축적 영역(FDR, FDL) 및 그 외측의 영역의 전후 방향폭이, 도 23에 나타낸 것 보다 넓어지고 있지만, 이것은 도 23에 나타낸 구조와 동일해도 된다.
전후 방향의 종단면도(도 31(C))의 구조 및 포텐셜도(도 31(D))는 좌우 방향의 것과 동일하지만, 요소의 부호가 다르므로, 이하 설명한다. 또한 좌우 방향 및 전후 방향은 각각 반도체 기판(100)의 노출 표면에 평행하고, 반도체 기판(100)의 두께 방향에 수직이고, 좌우 방향과 전후 방향은 서로 직교하고 있다.
화소 전극(PG)의 양측에는 절연층(101) 상에 한 쌍의 제1 게이트 전극(TX3, TX4)이 배치되어 있다. 제1 게이트 전극(TX3, TX4)의 외측에는 반도체 기판(100) 내에 마련된 한 쌍의 제1 축적 영역(AF, AB)이 위치하고 있다. 또한, 제1 축적 영역(AF, AB)의 외측에는 반도체 기판(100) 내에 마련된 한 쌍의 전하 퇴피 영역(제2 축적 영역; BF, BB)이 위치하고 있다. 제1 축적 영역(AF, AB)과, 전하 퇴피 영역(BF, BB) 사이의 영역 윗쪽에는 절연층(101) 상에 각각 제2 게이트 전극(IGF, IGB)가 위치하고 있다.
반도체 기판(100) 내에는 전하 퇴피 영역(BF, BB)의 외측에, 한 쌍의 제3 축적 영역(FDF, FDB)이 마련되어 있다. 제1 축적 영역(AF, AB), 전하 퇴피 영역(BF, BB) 및 제2 축적 영역(FDF, FDB)은 각각 n형의 반도체 영역으로 이루어진다.
전하 퇴피 영역(BF, BB)과 제3 축적 영역(FDF, FDB) 사이의 반도체 영역 윗쪽에는 절연층(101) 상에 한 쌍의 제3 게이트 전극(TGF, TGB)이 배치되어 있다. 제3 게이트 전극(TGF, TGB)은 전하 퇴피 영역(BF, BB)과 제3 축적 영역(FDF, FDB) 사이에 개재하는 제2 포텐셜 장벽 φ G의 높이를 제어하도록 반도체 기판(100) 상에 마 련되어 있다. 제2 포텐셜 장벽 φ G는 전하 퇴피 영역(BF, BB)의 포텐셜 φ BF , φ BB와, 제3 게이트 전극(TGF, TGB) 바로 아래의 반도체의 포텐셜 φ TGF , φ TGB의 차로 주어진다.
전후 방향의 제1 축적 영역(AF, AB), 제2 축적 영역으로서의 전하 퇴피 영역(BF, BB)으로의 캐리어 축적 방법은 좌우 방향의 제1 축적 영역(AR, AL) 및 전하 퇴피 영역(BR, BL)으로의 캐리어 축적 방법과 같고, 이들 사이의 포텐셜 φ IGF, φ IGB를 배경광 강도에 따라 조정함으로써, 제2 축적 영역으로서의 전하 퇴피 영역(BF, BB) 내에, 프로브광의 반사광에 기인하는 캐리어(전하량 Q3, Q4)를 축적하는 것이 가능하다.
캐리어에 대한 제2 포텐셜 장벽 φ G의 높이를 저하시킴으로써, 전하 퇴피 영역(BF, BB)에 축적된 캐리어를 제3 축적 영역(FDF, FDB)에 전송한 후, 제2 포텐셜 장벽 φ G의 높이를 증가시켜, 제3 축적 영역(FDF, FDB)에 캐리어를 홀딩한 상태에서, 한 쌍의 제1 축적 영역(AF, AB)에 교대로 캐리어가 축적되도록, 제1 게이트 전극(TX3, TX4), 제2 게이트 전극(IGF, IGB) 및 제3 게이트 전극(TGF, TGB)으로의 인가 전위를 제어한다. 포텐셜을 높게(깊게) 하기 위해서는 각 게이트 전극에게 주는 전위를 높게 하면 된다.
화소 P(m, n)은 제1 축적 영역(AF, AB)에 각각 인접한 캐리어 배출 영역(DEX3, DEX4)을 구비하고 있다. 즉, 제1 축적 영역(AF, AB)에는 배경광 성분에 상당하는 캐리어가 잔류 축적되지만, 축적된 캐리어는 캐리어 배출 영역(DEX3, DEX4)을 통해 외부에 배출된다. 캐리어 배출 영역(DEX3, DEX4)은 n형의 반도체로 이루어진다.
전측(前側)의 제1 축적 영역(AF)과 캐리어 배출 영역(DEX3) 사이의 반도체 영역 윗쪽에 있어서, 캐리어 배출용 게이트 전극(EX3)이 절연층(101) 상에 위치하고 있고, 전측의 게이트 전극(EX3)에 정전위를 주면, 제1 축적 영역(AF) 내에 축적된 캐리어가 캐리어 배출 영역(DEX3)에 유입되고, 캐리어 배출 영역(DEX3)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배선을 통해 외부에 출력된다.
후측(後側)의 제1 축적 영역(AB)과 캐리어 배출 영역(DEX4) 사이의 반도체 영역 윗쪽에 있어서, 캐리어 배출용 게이트 전극(EX4)이 절연층(101) 상에 위치하고 있고, 게이트 전극(EX4)에 정전위를 주면, 제1 축적 영역(AB) 내에 축적된 캐리어가 캐리어 배출 영역(DEX4)에 유입되고, 캐리어 배출 영역(DEX4)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배선을 통해 외부에 출력된다.
제3 축적 영역(FDF, FDB)의 외측에는 한 쌍의 n형 반도체 영역으로 이루어지는 리셋트 드레인 영역(RDF, RDB)이 마련되어 있고, 제3 축적 영역(FDF, FDB)과 리셋트 드레인 영역(RDF, RDB) 사이의 반도체 영역 윗쪽에는 절연층(101) 상에 리셋트용 게이트 전극(TRF, TRB)이 마련되어 있다. 게이트 전극(TRF, TRB) 바로 아래의 반도체 영역의 포텐셜 φ TRF , φ TRB는 게이트 전극(TRF, TRB)에 정전위를 인가하는 것에 의해 깊어져, 제3 축적 영역(FDF, FDB)과 리셋트 드레인 영역(RDF, RDB)이 접속 된다. 리셋트 드레인 영역(RDF, RDB)은 전원 전위에 접속되는 것이지만, 무바이어스일 때에는 포텐셜 φ RDF , φ RDB를 가진다.
도 32는 도 30에 나타낸 화소 P(m, n)의 회로도이다.
각 게이트 전극을 가지는 트랜지스터는 () 안에 대응하는 게이트 전극의 부호를 이용하여 표기하는 것으로 한다. 또, 캐리어의 독출시에 캐리어가 유입되는 쪽을 트랜지스터의 소스로 하고, 유출되는 쪽을 드레인으로 한다.
도 32에 있어서 상반분의 회로 구조 UP 및 그 기능은 도 26에 나타낸 것과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하반분의 회로 구조 DN의 구조 및 그 기능은 전하 배분시의 위상을 제외하고, 상반분의 회로 구조 UP 및 그 기능과 동일하다. 이하에서는 도 32의 하반분의 회로 구조 DN에 대해 설명한다.
화소 전극(PG)을 포함하는 트랜지스터의 일단은 게이트 전극(TX3)을 포함하는 NMOS 트랜지스터의 소스에 접속되어 있고, NMOS 트랜지스터(TX3)의 드레인은 제1 축적 영역(AF), 및 NMOS 트랜지스터(IGF)의 소스, 캐리어 배출용 트랜지스터(EX3)의 소스에 접속되고, 캐리어 배출용 NMOS 트랜지스터(EX3)의 드레인은 전원 전위 V+에 접속되어 있다. 제1 축적 영역(AF)은 배경광 성분 제거용 NMOS 트랜지스터(IGF)의 소스에 접속되어 있고, NMOS 트랜지스터(IGF)의 드레인은 전하 퇴피 영역(BF)에 접속되어 있다.
전하 퇴피 영역(BF)은 NMOS 트랜지스터(TGF)의 소스에 접속되어 있다. 트랜지스터(TGF)의 드레인은 제3 축적 영역(FDF), 리셋트용 NMOS 트랜지스터(TRF)의 소 스, 및 PMOS 트랜지스터(FET3)의 게이트 전극에 접속되어 있다. 트랜지스터(TRF)의 드레인 영역(RDF)은 전원 전위 V+에 접속되어 있다. 또, PMOS 트랜지스터(FET3)의 소스는 전원 전위 V+에 접속되고, 드레인은 출력 선택용 우측 PMOS 트랜지스터(SEL)에 접속되어 있다.
또, 트랜지스터(IGF)의 게이트 전극(IGF)에는 공통 라인(WL2)을 통해 캐리어의 전송 신호 ST2(=φ IGF)가 입력된다. 또한 상반분의 회로 구조 UP에서, 트랜지스터(IGR)의 게이트 전극(IGR)에는 공통 라인(WL)을 통해 캐리어의 전송 신호 ST1(=φ IGR)이 입력되어 있다.
하반분의 회로 구조 DN의 우측의 트랜지스터(SEL)의 드레인은 우측의 수직 독출 라인(RRL2)에 접속되어 있다. 수직 독출 라인(RRL2)에는 제3 축적 영역(FDF)에 축적되는 전하량 Q3에 대응하는 전류가 유입된다. 또한 제3 축적 영역(FDF)은 트랜지스터(TRF)를 온하는 것에 의해 전원 전위 V+에 접속되고, 축적된 전하는 리셋트된다. 또한 트랜지스터(TRF)의 게이트 전극(TRF)에는 리셋트 신호 STR이 인가된다. 또, 전하 배출용 트랜지스터(EX3)의 게이트 전극(EX3)에는 배출 신호 SEX가 인가된다. 또한 각 전원 전위 V+의 크기는 설계에 따라 서로 다르다.
화소 전극(PG)을 포함하는 트랜지스터의 타단은 게이트 전극(TX4)을 포함하는 NMOS 트랜지스터의 소스에 접속되어 있고, NMOS 트랜지스터(TX4)의 드레인은 제1 축적 영역(AB), 및 NMOS 트랜지스터(IGB)의 소스, 캐리어 배출용 트랜지스 터(EX4)의 소스에 접속되고, 캐리어 배출용 NMOS 트랜지스터(EX4)의 드레인은 전원 전위 V+에 접속되어 있다. 제1 축적 영역(AB)은 배경광 성분 제거용 NMOS 트랜지스터(IGB)의 소스에 접속되어 있고, NMOS 트랜지스터(IGB)의 드레인은 전하 퇴피 영역(BB)에 접속되어 있다.
전하 퇴피 영역(BB)은 NMOS 트랜지스터(TGB)의 소스에 접속되어 있다. 트랜지스터(TGB)의 드레인은 제3 축적 영역(FDB), 리셋트용 NMOS 트랜지스터(TRB)의 소스, 및 PMOS 트랜지스터(FET4)의 게이트 전극에 접속되어 있다. 트랜지스터(TRB)의 드레인 영역(RDB)은 전원 전위 V+에 접속되어 있다. 또, PMOS 트랜지스터(FET4)의 소스는 전원 전위 V+에 접속되고, 드레인은 출력 선택용 좌측 PMOS 트랜지스터(SEL)에 접속되어 있다.
또, 트랜지스터(IGB)의 게이트 전극(IGB)에는 공통 라인(WL2)을 통해 캐리어의 전송 신호 ST2(=φ IGB)가 입력된다. 또한 상반분의 회로 구조 UP에서는 트랜지스터(IGL)의 게이트 전극(IGL)에는 공통 라인(WL)을 통해 캐리어의 전송 신호 ST1(=φ IGL)이 입력되어 있다. 전송 신호 ST1과 전송 신호 ST2는 하이 레벨이 되는 타이밍이 다르지만, 그 크기는 같다. 또한 전송 신호 ST1은 상술한 전송 신호 ST와 동일하다.
회로 구조 DN에 있어서 좌측의 트랜지스터(SEL)의 드레인은 좌측의 수직 독출 라인(LRL2)에 접속되어 있다. 수직 독출 라인(LRL2)에는 제3 축적 영역(FDB)에 축적되는 전하량 Q4에 대응하는 전류가 유입된다. 또한 제3 축적 영역(FDB)은 트랜지스터(TRB)를 온하는 것에 의해 전원 전위 V+에 접속되고, 축적된 전하는 리셋트 된다. 또한 트랜지스터(TRB)의 게이트 전극(TRB)에는 리셋트 신호 STR이 인가된다. 또, 전하 배출용 트랜지스터(EX4)의 게이트 전극(EX4)에는 배출 신호 SEX이 인가된다. 또한 각 전원 전위 V+의 크기는 설계에 따라 서로 다르다.
또, 전하의 배분을 행하기 위해, 한 쌍의 제1 게이트 전극(TX3, TX4)에는 각각 전측 펄스 신호 SF 및 후측 펄스 신호 SB가 입력된다. 전측 펄스 신호 SF 및 후측 펄스 신호 SB는 제1 게이트 전극(TX3, TX4)에 인가되는 타이밍을 제외하고, 우측 펄스 신호 SR 및 좌측 펄스 신호 SL과 각각 동일하다. 즉, 제1 게이트 전극(TX3, TX4)과 전측 펄스 신호 SF 및 후측 펄스 신호 SB의 관계는 제1 게이트 전극(TX1, TX2)과 우측 펄스 신호 SR 및 좌측 펄스 신호 SL의 관계에 동일하다.
배경광을 검출한 후, 게이트 전극(IGF, IGB)에 전송 신호 ST2를 동시에 인가함으로써, 포텐셜 장벽 φ BG를 상술한 바와 같이 저하시켜, 전하 퇴피 영역(BF, BB) 내에 반사광에 대응하는 캐리어를 축적시킨다. 전하 퇴피 영역(BF, BB)에 축적된 캐리어는 하이 레벨의 전송 신호 STG를 게이트 전극(TGF, TGB)에 동시에 인가함으로써, 제3 축적 영역(FDF, FDB) 내에 전송되고, 그렇게 한 후 전송 신호 STG의 레벨을 로 레벨로 하여 캐리어에 대한 상술한 포텐셜 장벽 φ G의 높이를 증가시켜, 제3 축적 영역(FDF, FDB) 내에 축적된 캐리어를 전하 퇴피 영역(BF, BB)으로부터 격리한다.
캐리어의 전송시에 있어서, 제3 축적 영역(FDF, FDB)은 플로팅 레벨로 있어, 각각 유입된 부의 전하량 Q3, Q4에 비례하여, 트랜지스터(FET3, FET4)를 흐르는 전류가 결정된다. 수직 시프트 레지스터로부터 선택용 트랜지스터(SEL)를 온시키는 신호를 입력하면, FET3, FET4의 입력 게이트 전압에 따라, 각 전하량 Q3, Q4에 대응한 전류가 수직 독출 라인(RRL2, LRL2)에 흐르게 된다.
제3 축적 영역(FDF, FDB)을 플로팅 레벨로 하려면, 리셋트용 트랜지스터(TRF, TRB)를 온하여 제3 축적 영역(FDF, FDB)을 전원 전위 V+에 접속한 후, 오프하면 된다.
도 33는 도 32에 나타낸 화소 P(m, n)을 배열하여 이루어지는 고체 촬상 소자(1)의 회로도이다.
배경광 제거 회로(PCC)로부터 출력된 전송 신호 ST1(φ IG)는 각 화소행마다 마련된 스위치(SW1, SW2, SW3, SW4)를 통해 각 화소행마다의 공통 라인(WL)에 입력되고, 화소행마다 제2 게이트 전극(IGR, IGL)을 동시에 온한다. 공통 라인(WL)은 1개의 화소행에 있어서 공통이다.
배경광 제거 회로(PCC')로부터 출력된 전송 신호 ST2(φ IG)는 각 화소행마다 마련된 스위치(SW1', SW2', SW3', SW4')를 통해 각 화소행마다의 공통 라인(WL2)에 입력되고, 화소행마다 제2 게이트 전극(IGF, IGB)을 동시에 온한다. 공통 라인(WL2)은 1개의 화소행에 있어서 공통이다.
또한 스위치(SW1, SW2, SW3, SW4(SW1', SW2', SW3', SW4'))를 동시에 온한 경우에는, 모든 화소에 있어서, 제2 축적 영역에 캐리어를 동시에 전송할 수 있다. 즉, 1개의 측정 주기 내에 있어서 기준이 되는 배경광 성분이 1개인 경우, 스위치(SW1, SW2, SW3, SW4(SW1', SW2', SW3', SW4'))는 동시에 온하면 된다. 이와 같이 스위치(SW1, SW2, SW3, SW4(SW1', SW2', SW3', SW4'))를 동시에 온하거나, 또는 스위치를 마련하지 않음으로써, 거리 화상의 측정 주기를 짧게 할 수 있다. 또,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자기 참조형의 배경광 검출을 행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각 화소행마다 검출된 배경광 성분으로부터 화소행마다의 전송 신호 ST를 차례로 생성하고, 스위치(SW1, SW2, SW3, SW4(SW1', SW2', SW3', SW4'))를 차례로 온함으로써, 생성된 전송 신호 ST를 대응하는 화소행마다 입력하면 된다.
도 34는 도 29에 나타낸 샘플홀드 회로(SHn')의 회로도이다.
각 화소열로부터는 차례로, 전하량 Q3, Q4에 비례하는 전류가 수직 독출 라인(RRL2, LRL2)을 통해 흐르고, 도시하지 않는 부하를 통해 그라운드에 흘러, 수직 독출 라인(RRL2, LRL2)의 전위가 전하량 Q3, Q4에 비례하게 된다. 이 전압은 스위치(SWR1', SWL1')를 동일한 기간만 동시에 온하는 것에 의해, 캐패시터(CR', CL')에 인가되어, 전압에 의존한 전하가 각각 축적된다. 즉, 캐패시터(CR', CL')에는 전하량 Q3, Q4에 비례한 값의 전하가 축적되고, 그 양단에는 축적 전하량에 비례한 전압이 발생하고 있다. 수평 시프트 레지스터를 구동하여, 캐패시터(CR', CL') 후단의 스위치(SWR2', SWL2')를 온하면, 캐패시터(CR', CL')에 축적된 전하량에 비례한 전압이, 각 수평 라인(HLR', HLL')으로부터 독출되게 된다.
도 35는 상기 고체 촬상 장치의 타이밍 차트이다.
1개의 화소에 있어서 신호의 측정 기간 TF에 있어서, SF, SB, ST2, SEX2를 제외한 신호의 타이밍은 도 28에 나타낸 것과 동일하므로, 필요에 따라 설명을 생략한다. 또, 동일 도면에 있어서 신호 ST1, SEX1은 도 28에 있어서 ST, SEX로서 나타낸 것이다. 또, 포텐셜 φ A, φ B, φ FD는 좌우 방향의 포텐셜 φ AR , φ AL, φ BR , φ BL, φ FDR , φ FDL을 대표하여 나타내고 있다.
1개 화소 내의 좌우 방향의 캐리어 배분 종료(시각 t4) 후, 시각 t5 ~ t6 동안 전송 신호 ST1을 온하여, 그 제1 축적 영역으로부터 신호 퇴피 영역에 신호를 전송한다. 또한 이 시각 t5 ~ t6 동안, 전후 방향의 캐리어 배분용 배경광을 검출한다(TN=온). 또, 이 시각 t5 ~ t6 동안, 전측 펄스 신호 SF, 후측 펄스 신호 SB를 모두에 하이 레벨로 하여, 광감응 영역으로부터 제1 축적 영역 내에 캐리어를 전송하고, 배출 신호 SEX2를 하이 레벨로 하여 이 캐리어를 동시에 배출한다.
시각 t7 ~ t9의 기간에 있어서, 전후 방향의 캐리어 배분에 관해, 상술한 M회의 검출이 행해진다. 이 때, 캐리어 배출용 신호 SEX2는 로 레벨(트랜지스터 오프)로 되어 있고, 제1 축적 영역의 포텐셜 φ AF, φ AB(도 31 참조)가 시간의 경과와 함께 저하해 간다. 또한 전후 방향의 펄스광의 배분 기간(시각 t7 ~ t9) 중에 있어 서, 좌우 방향의 배출 신호 SEX1을 온하여(시각 t7 ~ t8), 좌우 방향의 제1 축적 영역 내에 잔류한 배경광 성분의 캐리어를 외부에 배출한다.
전후 방향의 제1 축적 영역에 캐리어를 축적한 후, 배경광의 광량에 따라 포텐셜 장벽 φ IG를 내린다. 즉, 시각 t10 ~ t11의 기간, 전송 신호 ST2를 하이 레벨( 포텐셜 φ IG)로 하여, 전하 퇴피 영역으로의 캐리어 전송을 행한다. 이로 인해, 제1 축적 영역으로부터 전하 퇴피 영역에 전자가 유입되고, 전자가 유출된 포텐셜 φ AF, φ AB는 높아지고, 전자가 유입한 포텐셜 φ BF, φ BB는 낮아진다(도 31 참조).
시각 t1 ~ 시각 t9까지의 검출 사이클 기간을 TF'로 한다. 시각 t9의 후, 시각 t10 ~ t11의 기간, 좌우 방향의 캐리어 배출용 신호 SEX1을 하이 레벨(트랜지스터 온)로 하여, 제1 축적 영역에 잔류한 캐리어를 배출하면서, 다음의 검출 사이클 기간으로 이행한다. 다음의 검출 사이클에 있어서, 좌우 방향의 캐리어 배분이 행해지고 있는 기간에 있어서, 시각 t12 ~ t13의 기간, 전후 방향의 캐리어 배출용 신호 SEX2를 하이 레벨(트랜지스터 온)로 하여, 제1 축적 영역에 잔류한 캐리어를 배출한다. 또한 검출 사이클 기간 TF'마다, 전하 퇴피 영역에는 전자가 적산하여 축적되고, 그 포텐셜 φ BR, φ BL, φ BF, φ BB는 차례로 저하해 간다.
본 예에서는 X회의 검출 사이클 기간 TF'를 실행한 후, 시각 t32 ~ t33에 있어서, 플로팅ㆍ디퓨젼 영역으로서의 제3 축적 영역(FDR, FDL, FDF, FDB)에 리셋트를 행한다. 즉, 시각 t32 ~ t33의 기간에 있어서, 리셋트 신호 STR을 하이 레벨로 함으로써, 도 32에 있어서 리셋트용 트랜지스터(TRR, TRL, TRF, TRB)를 온으로 하여, 제3 축적 영역(FDR, FDL, FDF, FDB)을 전원 전위에 접속한 후, 트랜지스터(TRR, TRL, TRF, TRB)를 오프한다.
그렇게 한 후, 시각 t34 ~ t35의 기간에 있어서, 전송 신호 STG를 하이 레벨로 함으로써, 도 32에 있어서 신호 전송용 트랜지스터(TGR, TGL, TGF, TGB)를 온으로 하여, 전하 퇴피 영역(BR, BL, BF, BB)에 축적된 캐리어를 제3 축적 영역(FDR, FDL, FDF, FDB)에 전송하고, 트랜지스터(FET1, FET2, FET3, FET4)의 게이트 전극에 축적 전하량에 따른 전압을 인가한다.
다음에, 이번회 측정 기간 TF의 종료 후, 또는 다음회의 측정 기간 TF의 적당한 시각에 있어서, 선택 스위치로서의 트랜지스터(SEL; 도 32 참조)를 온함으로써, 포텐셜 φ FDR, φ FDL, φ FDF, φ FDB의 검출을 행한다.
또한 상기에서, 우측 펄스 신호 SR과 좌측 펄스 신호 SL은 180 도 위상이 다르고, 전측 펄스 신호 SF와 후측 펄스 신호 SB는 180 도 위상이 다르고, 우측 펄스 신호 SR과 전측 펄스 신호 SF는 90 도 위상이 다르다. 즉, SR, SL, SF, SB의 위상은 구동 펄스 신호 Sp를 기준이 각각, 0 도, 90 도, 180 도, 270 도이다.
도 36은 배경광 제거 회로(PCC)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수평 라인(HLR, HLL 또는 HLR', HLL')의 출력은 펄스 검출시에는 각각 전하 량 Q1, Q2(또는 Q3, Q4)를 나타내는 것이지만, 배경광 검출시에는 배경광 성분에 따른 전하량을 출력시킬 수 있다. 따라서, 검출된 배경광 성분을 수평 라인(HLR, HLL)으로부터 연산 회로(CC)에 입력해도, 상술한 바와 같이, 연산 회로(CC)는 배경광 성분이 나타내는 검출값 β를 포텐셜 장벽 φ BG의 크기로 변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어 전압 인가 회로 VC는 연산된 포텐셜 장벽 φ BG에 상당하는 전위 φ IG를 제2 게이트 전극(IG(IGR, IGL(및 IGF, IGB)))에 입력한다.
이 구성에서, 화소의 각 단면도에 나타나는 광감응 영역(SA)는 광검출 소자(PD)를 겸용하고 있고, 이 고체 촬상 장치는 광감응 영역(SA)의 출력에 따라, 제2 게이트 전극(IG(IGR, IGL(및 IGF, IGB)))으로의 인가 전위 φ IG를 출력하는 배경광 검출 회로(제어 수단) PCC를 구비하고 있다.
즉, 광감응 영역(SA)에 있어서 배경광을 검출하고, 검출된 배경광의 출력이 큰 경우에는 제2 게이트 전극(IG(IGR, IGL(및 IGF, IGB)))으로의 인가 전위 φ IG를 제1 포텐셜 장벽 φ BG의 높이가 커지도록 제어하고, 작은 경우에는 제2 게이트 전극(IG(IGR, IGL(및 IGF, IGB)))으로의 인가 전위 φ IG를 제1 포텐셜 장벽 φ BG의 높이가 작아지도록 제어한다. 이로 인해, 광검출 수단을 별도로 마련할 필요가 없어지기 때문에, 장치를 소형화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37은 이러한 자기 참조형의 배경광 검출을 행하는 경우 고체 촬상 장치의 타이밍 차트이다. 일례로서 도 9 구조의 화소를 구동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도 37에 있어서 시각 t7 이후는 펄스광 조사시의 캐리어 배분과 전송을 행하는 펄스 검출 기간 TDIVIDE이고, 동일 도면의 시각 t7 이후의 타이밍은 도 16의 t1 이후의 타이밍과 동일하지만, 배경광 검출 신호 TN은 이것보다 이전의 배경광 검출 기간 TMONITOR에 검출된 배경광 성분의 값을 읽어들이거나 또는 샘플홀드하거나 또는 연산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 37에 있어서 시각 t1 ~ t6은 배경광 검출 기간 TMONITOR이다.
배경광 검출 기간 TMONITOR의 시각 t1 ~ t2에 있어서는 우측 펄스 신호 SR, 좌측 펄스 신호 SL, 배경광 검출 신호 TN을 동시에 하이 레벨로 하고, 광전 변환에 의해 발생한 전자에 의해, 제1 축적 영역의 포텐셜 φ A를 저하시킨다. 시각 t3 ~ 시각 t5에서는 제2 게이트 전극(IG)에, 배경광 성분의 광량에 의존하지 않는 통상의 전송 신호 ST를 주고, 제2 축적 영역에 캐리어를 전송하고, 제2 축적 영역의 포텐셜 φ FD를 저하시킨다. 그렇게 한 후, 시각 t5 ~ t6에 있어서는 선택 스위치로서의 트랜지스터(SEL)를 독출 신호 SH에 의해 온시키고, 제2 축적 영역의 포텐셜 φ FD를 수평 라인(HLR, HLL)에 독출한다. 이 때의 독출 신호 SH의 펄스수가 다수있다는 것은 수직 시프트 레지스터의 구동에 의해 시각 t5 ~ t6에 독출되는 화소수가 복수인 것을 의미한다.
펄스 검출 기간 TDIVIDE에서는 얻어진 배경광 성분에 따라, 전송 신호 ST의 레벨을, 상술한 바와 같이 연산된 인가 전위 φ IG에 조정하고, 시각 t11 ~ 시각 t12에 있어서, 제2 게이트 전극(IG(IGR, IGL))에 인가한다. 이로 인해, 배경광 성분이 출력 신호로부터 제거된다. 이 연산은 시각 t11이 될 때까지 행하면 되기 때문에, 충분한 연산 시간을 확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자기 참조형의 배경광 검출을 행하는 경우에는, 각 화소행마다 검출된 배경광 성분으로부터 화소행마다의 전송 신호 ST를 차례로 생성하고, 도 14의 스위치(SW1, SW2, SW3, SW4)를 차례로 온함으로써, 생성된 전송 신호 ST를 대응하는 화소행마다에 입력하면 된다. 이와 같이 배경광 제거의 비닝 동작을 행하면, 거리 화상의 측정 주기를 짧게 할 수 있다. 또, 이 자기 참조형의 배경광 검출은 다른 실시 형태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상술한 거리 화상 측정 장치에서는 소정의 펄스폭을 가지는 광을 반복해 피사체에 조사하고, 조사한 광의 비행 시간의 위상차에 기초하여 피사체까지의 3 차원 거리상을 계측하는 TOF형 거리 측정 장치이며, 1개의 화소로부터 소정 타이밍에서 출력 라인을 전환하여 2개의 출력을 얻고, 조사광의 출사 타이밍과 반사광의 수광 타이밍에 있어서 위상의 엇갈림을 2개 출력의 차로 파악하고, 2개 출력에 기초하여 피사체까지의 거리를 계측하고 있다. 그리고, 이 때에 미약한 신호 성분으로의 배경광 성분의 영향을 간단하게 배제할 수 있기 때문에, 화소수를 증가시키거나 장치 가격을 저하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간단하고 쉬운 구성으로 거리 화상 측정이 가능한 고체 촬상 장치 및 거리 화상 측정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4)

  1. 배경광을 검출하는 광검출 수단과,
    복수의 화소로 이루어지는 촬상 영역을 구비한 고체 촬상 장치로서,
    개개의 상기 화소는
    반도체 기판 내에 마련된 광감응 영역과,
    상기 반도체 기판 내에 마련된 한 쌍의 제1 축적 영역과,
    상기 광감응 영역과 한 쌍의 상기 제1 축적 영역 사이의 포텐셜이 교대로 경사하도록 상기 반도체 기판 상에 마련된 한 쌍의 제1 게이트 전극과,
    상기 반도체 기판 내에 마련된 한 쌍의 제2 축적 영역과,
    상기 제1 축적 영역과 상기 제2 축적 영역 사이에 각각 개재하는 제1 포텐셜 장벽 높이를 제어하도록 상기 반도체 기판 상에 마련되고, 상기 광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되는 배경광의 출력이 높을수록 캐리어에 대한 상기 제1 포텐셜 장벽 높이를 증가시키는 한 쌍의 제2 게이트 전극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촬상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기판 내에 마련된 한 쌍의 제3 축적 영역과,
    상기 제2 축적 영역과 상기 제3 축적 영역 사이에 각각 개재하는 제2 포텐셜 장벽 높이를 제어하도록 상기 반도체 기판 상에 마련된 한 쌍의 제3 게이트 전극을 구비하고,
    캐리어에 대한 상기 제2 포텐셜 장벽의 높이를 저하시킴으로써, 상기 제2 축적 영역에 축적된 캐리어를 상기 제3 축적 영역에 전송한 후, 상기 제2 포텐셜 장벽의 높이를 증가시켜, 제3 축적 영역에 캐리어를 홀딩한 상태로, 한 쌍의 상기 제1 축적 영역에 교대로 캐리어가 축적되도록, 상기 제1, 제2 및 제3 게이트 전극으로의 인가 전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촬상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광감응 영역은 상기 광검출 수단을 겸용하고 있고,
    상기 광감응 영역의 출력에 따라, 상기 제2 게이트 전극으로의 인가 전위를 출력하는 제어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촬상 장치.
  4. 청구항 1에 기재된 고체 촬상 장치와,
    한 쌍의 상기 제1 게이트 전극으로의 인가 전위에 동기한 펄스광을 대상물에 출사하는 광원과,
    한 쌍의 상기 제2 축적 영역으로부터 출력된 캐리어의 전하량에 따라 상기 대상물까지의 거리를 연산하는 연산 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리 화상 측정 장치.
KR1020097026612A 2007-08-22 2008-08-22 고체 촬상 장치 및 거리 화상 측정 장치 KR1013485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216517A JP5171158B2 (ja) 2007-08-22 2007-08-22 固体撮像装置及び距離画像測定装置
JPJP-P-2007-216517 2007-08-22
PCT/JP2008/065049 WO2009025373A1 (ja) 2007-08-22 2008-08-22 固体撮像装置及び距離画像測定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2975A true KR20100062975A (ko) 2010-06-10
KR101348522B1 KR101348522B1 (ko) 2014-01-06

Family

ID=40378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26612A KR101348522B1 (ko) 2007-08-22 2008-08-22 고체 촬상 장치 및 거리 화상 측정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767189B2 (ko)
EP (1) EP2187237B1 (ko)
JP (1) JP5171158B2 (ko)
KR (1) KR101348522B1 (ko)
CN (1) CN101784911B (ko)
WO (1) WO200902537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09126B2 (en) 2014-01-13 2019-12-17 Sony Depthsensing Solutions Sa/Nv Method for driving a time-of-flight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71157B2 (ja) * 2007-08-22 2013-03-27 浜松ホトニクス株式会社 測距装置
JP5089289B2 (ja) * 2007-08-22 2012-12-05 浜松ホトニクス株式会社 測距センサ及び測距装置
JP2009047661A (ja) * 2007-08-22 2009-03-05 Hamamatsu Photonics Kk 測距装置
JP5154862B2 (ja) * 2007-08-22 2013-02-27 浜松ホトニクス株式会社 測距装置
KR101605046B1 (ko) 2009-07-29 2016-03-21 삼성전자주식회사 싱글 게이트 픽셀 및 싱글 게이트 픽셀 동작 방법
DE102009037596B4 (de) * 2009-08-14 2014-07-24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Pixelstruktur, System und Verfahren zur optischen Abstandsmessung sowie Steuerschaltung für die Pixelstruktur
JP5558999B2 (ja) * 2009-11-24 2014-07-23 浜松ホトニクス株式会社 距離センサ及び距離画像センサ
EP2521926B1 (en) * 2010-01-06 2020-07-29 Heptagon Micro Optics Pte. Ltd. Demodulation sensor with separate pixel and storage arrays
GB2477083A (en) * 2010-01-13 2011-07-27 Cmosis Nv Pixel structure with multiple transfer gates to improve dynamic range
KR101681198B1 (ko) * 2010-02-04 2016-12-01 삼성전자주식회사 센서, 이의 동작 방법, 및 상기 센서를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시스템
JP5302244B2 (ja) * 2010-02-26 2013-10-02 浜松ホトニクス株式会社 距離画像センサ
JP5616170B2 (ja) * 2010-09-06 2014-10-29 浜松ホトニクス株式会社 距離センサ及び距離画像センサ
KR101669412B1 (ko) * 2010-11-01 2016-10-26 삼성전자주식회사 3d 카메라를 위한 깊이 정보 측정 방법 및 장치
DE102011089629B4 (de) 2010-12-22 2022-08-04 pmdtechnologies ag Lichtlaufzeitkamera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solchen
JP5660959B2 (ja) 2011-03-31 2015-01-2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受光装置
JP5635938B2 (ja) 2011-03-31 2014-12-0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固体撮像装置
JP5829036B2 (ja) 2011-03-31 2015-12-0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単位画素の信号加算方法
JP5635937B2 (ja) * 2011-03-31 2014-12-0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固体撮像装置
JP5743837B2 (ja) * 2011-10-07 2015-07-01 キヤノン株式会社 光電変換装置、撮像装置および撮像システム
JP5876289B2 (ja) * 2011-12-28 2016-03-02 浜松ホトニクス株式会社 距離測定装置
US8642938B2 (en) 2012-01-13 2014-02-04 Omnivision Technologies, Inc. Shared time of flight pixel
JP6026755B2 (ja) * 2012-02-28 2016-11-16 浜松ホトニクス株式会社 距離センサ及び距離画像センサ
JP2012185174A (ja) * 2012-05-29 2012-09-27 Hamamatsu Photonics Kk 距離センサ及び距離画像センサ
EP2867923B1 (en) * 2012-06-27 2020-01-15 Teledyne Dalsa B.V. Image sensor and apparatus comprising such image sensor
CN103581645B (zh) * 2012-07-24 2017-05-24 三星电子株式会社 深度感测设备和方法
GB201219782D0 (en) 2012-11-02 2012-12-19 St Microelectronics Res & Dev Improvements in time of flight pixel circuits
JP6231741B2 (ja) 2012-12-10 2017-11-15 キヤノン株式会社 固体撮像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2003322B1 (ko) 2012-12-17 2019-07-24 삼성전자주식회사 3차원 이미지 센서의 거리 픽셀의 구동 방법 및 3차원 이미지 센서의 구동 방법
KR102007275B1 (ko) 2012-12-27 2019-08-05 삼성전자주식회사 3차원 이미지 센서의 거리 픽셀 및 이를 포함하는 3차원 이미지 센서
KR102003496B1 (ko) * 2013-03-06 2019-10-01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미지 센서 및 이미지 픽업 장치
US10203399B2 (en) * 2013-11-12 2019-02-12 Big Sky Financial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 for array based LiDAR systems with reduced interference
JP6312420B2 (ja) * 2013-12-20 2018-04-18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距離画像生成装置
JP6012589B2 (ja) * 2013-12-27 2016-10-25 オムロンオートモーティブ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レーザレーダ装置及び物体検出方法
US9360554B2 (en) 2014-04-11 2016-06-07 Facet Technology Corp. Methods and apparatus for object detection and identification in a multiple detector lidar array
JP6231940B2 (ja) 2014-05-08 2017-11-15 浜松ホトニクス株式会社 測距装置及び測距装置の駆動方法
EP2955539B1 (en) 2014-06-12 2018-08-08 Delphi International Operations Luxembourg S.à r.l. Distance measuring device
JP6280002B2 (ja) * 2014-08-22 2018-02-14 浜松ホトニクス株式会社 測距方法及び測距装置
JP6433243B2 (ja) * 2014-11-04 2018-12-05 キヤノン株式会社 固体撮像素子及び撮像装置
US10036801B2 (en) 2015-03-05 2018-07-31 Big Sky Financial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 for increased precision and improved range in a multiple detector LiDAR array
JP6439181B2 (ja) * 2015-03-12 2018-12-1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光通信装置、及びプログラム
EP3159711A1 (en) 2015-10-23 2017-04-26 Xenomatix NV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a distance to an object
US9812483B2 (en) * 2015-10-26 2017-11-07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 Ltd. Back-side illuminated (BSI) image sensor with global shutter scheme
US9866816B2 (en) 2016-03-03 2018-01-09 4D Intellectual Properties, Llc Methods and apparatus for an active pulsed 4D camera for image acquisition and analysis
EP3232224B1 (de) * 2016-04-12 2018-06-13 Sick Ag Entfernungsmessender optoelektronischer sensor und verfahren zur erfassung und abstandsbestimmung von objekten
JP6814967B2 (ja) 2016-06-17 2021-01-2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撮像装置
CN106067818B (zh) * 2016-07-11 2023-04-25 浙江悦和科技有限公司 带高温漏电补偿的积分型模数转换电路及方法
EP3301479A1 (en) 2016-10-03 2018-04-04 Xenomatix NV Method for subtracting background light from an exposure value of a pixel in an imaging array, and pixel for use in same
EP3301477A1 (en) * 2016-10-03 2018-04-04 Xenomatix NV System for determining a distance to an object
EP3301480A1 (en) * 2016-10-03 2018-04-04 Xenomatix NV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a distance to an object
EP3301478A1 (en) 2016-10-03 2018-04-04 Xenomatix NV System for determining a distance to an object
JP6808463B2 (ja) * 2016-11-30 2021-01-06 キヤノン株式会社 光電変換装置および光電変換システム
EP3343246A1 (en) 2016-12-30 2018-07-04 Xenomatix NV System for characterizing surroundings of a vehicle
EP3349043B1 (de) 2017-01-13 2022-01-05 Espros Photonics AG Verfahren zum auslesen eines demodulationspixels sowie entfernungssensor
DE102017101945A1 (de) * 2017-02-01 2018-08-02 Osram Opto Semiconductors Gmbh Messanordnung mit einem optischen Sender und einem optischen Empfänger
EP3392674A1 (en) * 2017-04-23 2018-10-24 Xenomatix NV A pixel structure
JP7028588B2 (ja) * 2017-09-04 2022-03-02 株式会社日立エルジーデータストレージ 3次元距離測定装置
JP7253556B2 (ja) 2017-12-15 2023-04-06 ゼノマティクス・ナムローゼ・フエンノートシャップ 物体までの距離を測定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2488321B1 (ko) 2017-12-29 2023-01-13 삼성전자주식회사 3차원 이미지 센서의 픽셀 어레이 및 3차원 이미지 센서의 구동 방법
CN108566524B (zh) * 2018-01-31 2023-10-27 光微信息科技(合肥)有限公司 像素单元、图像传感器芯片、成像系统、像素单元的形成方法以及深度信息测算方法
EP3605016B1 (en) 2018-04-16 2022-04-06 Shenzhen Goodix Technology Co., Ltd. Image sensing system and electronic device
US11846603B2 (en) * 2018-05-25 2023-12-19 University Public Corporation Osaka Chemical sensor
JP2021176154A (ja) * 2018-07-18 2021-11-04 ソニーセミコンダクタ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受光素子および測距モジュール
US11294039B2 (en) 2018-07-24 2022-04-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Time-resolving image sensor for range measurement and 2D greyscale imaging
TWI801572B (zh) 2018-07-24 2023-05-11 南韓商三星電子股份有限公司 影像感測器、成像單元及生成灰階影像的方法
KR20200105584A (ko) * 2019-02-28 2020-09-08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미지 센서
DE102019107115A1 (de) * 2019-03-20 2020-09-24 Valeo Schalter Und Sensoren Gmbh LIDAR-Vorrichtung für ein Fahrzeug und Verfahren zum Vergrößern der Erfassungsreichweite einer entsprechenden LIDAR-Vorrichtung
KR102648089B1 (ko) 2019-03-26 2024-03-19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미징 장치 및 이미지 센서
CN110221273B (zh) * 2019-05-09 2021-07-06 奥比中光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时间飞行深度相机及单频调制解调的距离测量方法
WO2021077358A1 (zh) * 2019-10-24 2021-04-29 华为技术有限公司 测距方法、测距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TW202127637A (zh) * 2019-11-19 2021-07-16 日商索尼半導體解決方案公司 受光元件、測距模組
DE112020006379T5 (de) * 2019-12-26 2022-11-17 Hamamatsu Photonics K.K. Distanzmess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Betreiben vonDistanz-Messsensor
WO2021131399A1 (ja) * 2019-12-26 2021-07-01 浜松ホトニクス株式会社 測距装置、及び測距センサの駆動方法
CN111526303B (zh) * 2020-04-30 2022-05-24 长春长光辰芯光电技术有限公司 结构光成像中去除背景光的方法
JP7006722B2 (ja) * 2020-05-01 2022-01-24 株式会社ニコン 撮像素子および撮像装置
US20220050183A1 (en) * 2020-08-12 2022-02-17 Beijing Voyager Technology Co., Ltd. Intertwined detector array for an optical sensing system
JP2021013179A (ja) * 2020-10-07 2021-02-04 株式会社ニコン 撮像装置および測距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69634A (en) * 1975-07-31 1976-07-13 Hughes Aircraft Company Bucket background subtraction circuit for charge-coupled devices
JPS63296266A (ja) * 1987-05-27 1988-12-02 Fujitsu Ltd 半導体装置
JPH0748826B2 (ja) * 1988-12-01 1995-05-24 三菱電機株式会社 固体撮像装置
JPH04268764A (ja) * 1991-02-25 1992-09-24 Sony Corp 固体撮像装置
WO1999034235A1 (de) 1997-12-23 1999-07-08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aufnahme eines dreidimensionalen abstandsbildes
JP3702854B2 (ja) * 2002-03-06 2005-10-05 ソニー株式会社 固体撮像素子
DE60319228T2 (de) * 2002-07-15 2009-02-1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Kadoma Lichtempfangsvorrichtung mit regelbarer empfindlichkeit und gerät zur detektion der räumlichen information welche diese verwendet
JP4235729B2 (ja) * 2003-02-03 2009-03-11 国立大学法人静岡大学 距離画像センサ
JP4392492B2 (ja) * 2003-06-02 2010-01-06 国立大学法人静岡大学 広ダイナミックレンジイメージセンサ
WO2004112145A1 (ja) * 2003-06-10 2004-12-23 Fujitsu Limited パンチスルー耐性を向上させた半導体集積回路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低電圧トランジスタと高電圧トランジスタとを含む半導体集積回路装置
JP4439888B2 (ja) * 2003-11-27 2010-03-24 イノテック株式会社 Mos型固体撮像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JP4660086B2 (ja) 2003-12-01 2011-03-30 三洋電機株式会社 固体撮像素子
JP2005217302A (ja) * 2004-01-30 2005-08-11 Sony Corp 固体撮像装置
JP4280822B2 (ja) * 2004-02-18 2009-06-17 国立大学法人静岡大学 光飛行時間型距離センサ
CN100440545C (zh) * 2004-03-17 2008-12-03 松下电工株式会社 光探测元件及其操作方法
JP4539176B2 (ja) * 2004-05-31 2010-09-08 ソニー株式会社 固体撮像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EP1622200A1 (en) * 2004-07-26 2006-02-01 CSEM Centre Suisse d'Electronique et de Microtechnique SA Solid-state photodetector pixel and photodetecting method
US7910964B2 (en) * 2005-08-30 2011-03-22 National University Corporation Shizuoka University Semiconductor range-finding element and solid-state imaging device
WO2007026779A1 (ja) * 2005-08-30 2007-03-08 National University Corporation Shizuoka University 半導体測距素子及び固体撮像装置
CN101305261B (zh) * 2005-11-14 2010-09-15 松下电工株式会社 空间信息检测装置及适用于其的光电检测器
JP2007227761A (ja) * 2006-02-24 2007-09-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固体撮像装置用素子
JP5110535B2 (ja) * 2006-03-31 2012-12-26 国立大学法人静岡大学 半導体測距素子及び固体撮像装置
JP4375364B2 (ja) * 2006-07-14 2009-12-02 ソニー株式会社 固体撮像装置の駆動方法
KR101030263B1 (ko) * 2006-11-30 2011-04-22 고쿠리츠 다이가꾸 호우진 시즈오까 다이가꾸 반도체 거리 측정 소자 및 고체 촬상 장치
JP5171157B2 (ja) * 2007-08-22 2013-03-27 浜松ホトニクス株式会社 測距装置
JP5089289B2 (ja) * 2007-08-22 2012-12-05 浜松ホトニクス株式会社 測距センサ及び測距装置
JP2009047661A (ja) * 2007-08-22 2009-03-05 Hamamatsu Photonics Kk 測距装置
JP5154862B2 (ja) * 2007-08-22 2013-02-27 浜松ホトニクス株式会社 測距装置
EP2352240B1 (en) * 2008-09-19 2016-12-28 National University Corporation Shizuoka University Information acquisition device and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US8338248B2 (en) * 2008-12-25 2012-12-25 National University Corporation Shizuoka University Semiconductor element and solid-state imaging device
JP4798254B2 (ja) * 2009-05-13 2011-10-19 株式会社デンソー 受光デバイス及びその制御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09126B2 (en) 2014-01-13 2019-12-17 Sony Depthsensing Solutions Sa/Nv Method for driving a time-of-flight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025373A1 (ja) 2009-02-26
CN101784911B (zh) 2012-11-07
JP5171158B2 (ja) 2013-03-27
EP2187237A1 (en) 2010-05-19
US8767189B2 (en) 2014-07-01
US20100231891A1 (en) 2010-09-16
JP2009047662A (ja) 2009-03-05
CN101784911A (zh) 2010-07-21
EP2187237A4 (en) 2013-06-05
KR101348522B1 (ko) 2014-01-06
EP2187237B1 (en) 2016-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8522B1 (ko) 고체 촬상 장치 및 거리 화상 측정 장치
CN111033193B (zh) 检测光电传感器中的高强度光
KR101751090B1 (ko) 거리 화상 센서
ES2901214T3 (es) Compensación de incertidumbre de tensión de lectura en píxeles de imagen de tiempo de vuelo
CN106449669B (zh) 光电转换器件、测距装置和信息处理系统
US10616519B2 (en) Global shutter pixel structures with shared transfer gates
US9171985B2 (en) Pixel circuit with controlled capacitor discharge time of flight measurement
Seo et al. A 10 ps time-resolution CMOS image sensor with two-tap true-CDS lock-in pixels for fluorescence lifetime imaging
KR102325493B1 (ko) 고체촬상소자 및 촬상장치
JP2012217059A (ja) 固体撮像装置
CN101702753A (zh) 固体成像元件和相机系统
JP5657456B2 (ja) 固体撮像装置
US11159738B2 (en) Imaging devices with single-photon avalanche diodes having sub-exposures for high dynamic range
CN110716415A (zh) 自校准时间-数字转换器集成电路
JP2019192903A (ja) 光検出装置、光検出システム及び移動体
JP2003247809A (ja) 距離情報入力装置
JP2018006989A (ja) 光学装置およびシステム
JP2020047780A (ja) 光検出装置
JP6700687B2 (ja) 光電変換デバイス、測距装置および情報処理システム
JP7492338B2 (ja) 光電変換装置、光電変換システム及び移動体
JP7358771B2 (ja) 3d撮像ユニット、カメラ、及び3d画像生成方法
JP2005218052A (ja) 光検出装置
EP3445040A1 (en) Detecting high intensity light in photo sensor
CN116583959A (zh) 用于红外感测的方法和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