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43141A - 대차 이용의 반송장치 - Google Patents

대차 이용의 반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43141A
KR20100043141A KR1020097020377A KR20097020377A KR20100043141A KR 20100043141 A KR20100043141 A KR 20100043141A KR 1020097020377 A KR1020097020377 A KR 1020097020377A KR 20097020377 A KR20097020377 A KR 20097020377A KR 20100043141 A KR20100043141 A KR 201000431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conveyance
trolley
lock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203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97113B1 (ko
Inventor
시게요시 니시하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Publication of KR201000431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31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71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71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18Transportation, conveyor or haulage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otor vehicle or trailer assembly 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bile Manufacture Line, Endless Track Vehicle, Trailer (AREA)
  • Handcart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자동차의 최종 조립설비로서 적합하게 활용할 수 있는 대차 이용의 반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 그 구성은 반송 경로를 따라 주행하는 반송 대차(1)에 피반송물을 지지하는 승강 테이블(12)이 설치된 대차 이용의 반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승강 테이블(12)은 그 테이블 본체(13) 상에 피반송물의 바닥부를 지지하는 테이블형 받이대(28, 29)가 분리가 자유롭게 설치됨과 아울러, 당해 테이블 본체(13)가 하강 한계 위치에 있을 때, 당해 테이블 본체(13)의 상면(13a)이 이 반송 대차(1) 상의 평탄한 작업 바닥면(2)과 한면이 되도록 구성되고, 이 반송 대차(1) 상에는 평면에서 보아 피반송물의 좌우 양측에 위치하는 좌우 한 쌍의 지주 부재(37a, 37b)와 이 지주 부재(37a, 37b)에 설치되어 피반송물의 좌우 양 측변을 지지하는 받이부(39)로 이루어지는 지주형 받이대(30)가, 그 좌우 한 쌍의 지주 부재(37a, 37b)가 상기 승강 테이블(12)의 좌우 양측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분리가 자유롭게 부착된다.
Figure 112009059876862-PCT00001
대차, 반송 장치, 승강 테이블, 받이대, 로크수단, 레버부, 가동편

Description

대차 이용의 반송장치{CARRIAGE UTILIZING TRANSFER APPARATUS}
본 발명은 주로 자동차의 조립설비에 활용할 수 있는 대차 이용의 반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조립설비에 있어서는, 차체의 주위로부터 당해 차체의 측부(전후좌우의 측면부)에 대해서 작업을 행하는 트림 라인이나 파이널 라인에서는 차체를 낮은 레벨에서 하측으로부터 지지하는 테이블형 받이대가 사용되고, 차체의 하측에 작업자가 들어가서 차체의 바닥부에 대한 작업을 행하는 섀시 라인에서는 차체의 좌우 양 측변을 높은 레벨에서 각각 따로 지지하는 좌우 한 쌍의 지주 부재를 구비한 지주형 받이대가 사용된다. 즉, 작업 라인마다 차체의 지지 레벨을 바꿀 필요가 있음과 아울러 양호한 작업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차체를 아래로부터 지지할지 좌우 양 측변을 각각 따로 지지할지의 지지 방법의 선택도 필요하다. 그래서 종래의 일반적인 이러한 종류의 설비에서는 차체의 지지 레벨 및 지지 방법이 상이한 반송 캐리어로 각 작업 라인을 구성하고 있었다. 또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차체의 지지 레벨을 복수단계로 바꿀 수 있는 차체 지지 수단을 반송 대차 상에 설치한 특수한 반송 대차를 사용하는 설비도 생각된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2007-153178호 공보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전자(前者)의 차체의 지지 레벨 및 지지 방법이 상이한 반송 캐리어로 각 작업 라인을 구성하는 종래의 일반적인 설비에서는 반송 캐리어의 종류가 많아지고, 작업 라인간에서 차체를 옮겨쌓는 이동 탑재 리프터와 작업 라인간에서의 차체의 반송장치가 필요하게 되기 때문에 설비 비용이 매우 비싸진다. 후자의 차체의 지지 레벨을 복수단계로 바꿀 수 있는 차체 지지 수단을 반송 대차 상에 설치한 특수한 반송 대차를 사용하는 설비에서는 전자 설비에 있어서의 문제점은 해소할 수 있었지만, 섀시 라인에 있어서 차체의 하측에 작업자가 들어가서 작업을 행할 수 있는 상태로 차체를 지지시키기 위해서는 차체의 좌우 양측 각각에 신축이 자유로운 지주 형상의 차체 지지 수단을 배열 설치해야 하므로, 트림 라인이나 파이널 라인에서의 작업을 위해서 당해 차체 지지 수단을 축소시켜서, 지지하는 차체를 반송 대차 상의 바닥면 가까이까지 내렸을 때, 축소 상태라고 해도 상당한 크기의 차체 지지 수단이 차체의 좌우 양측에 노출되어 있으므로, 이 차체 지지 수단이 차체 주변의 작업의 방해가 되어 작업성이 현저히 저하되게 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대차 이용의 반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서, 청구항 1에 기재된 대차 이용의 반송장치는, 후술하는 실시형태의 참조 부호를 붙여서 나타내면, 반송 경로를 따라 주행하는 반송 대차(1)에 피반송물(차체(B))을 지지하는 승강 테이블(12)이 설치된 대차 이용의 반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승강 테이블(12)은 그 테이블 본체(13) 상에 피반송물(차체(B))의 바닥부를 지지하는 테이블형 받이대(28, 29)가 분리가 자유롭게 설치됨과 아울러, 당해 테이블 본체(13)가 하강 한계 위치에 있을 때, 당해 테이블 본체(13)의 상면(13a)이 이 반송 대차(1) 상의 평탄한 작업 바닥면(2)과 한면이 되도록 구성되고, 이 반송 대차(1) 상에는 지주형 받이대(30)가 분리가 자유롭게 부착되고, 이 지주형 받이대(30)는 평면에서 보아 상기 승강 테이블(12)의 좌우 양측에서 반송 대차(1) 상에 분리가 자유롭게 부착된 좌우 한 쌍의 지주 부재(37a, 37b)와, 이 지주 부재(37a, 37b)에 설치되어 피반송물(차체(B))의 좌우 양 측변을 지지하는 받이부(39)로 구성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구성의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구체적으로는 청구항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반송 대차(1)에는 상기 지주형 받이대(30)의 각 지주 부재(37a, 37b)를 부착 상태에서 로크하는 로크수단(44)을 설치하고, 반송 경로 중의 지주형 받이대(30)의 부착 분리를 행하는 개소에는 상기 로크수단(44)에 설치된 로크 해제 조작부(55)를 로크 해제 방향으로 조작하는 조작수단(57)을 배열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청구항 2에 기재된 구성을 채용하는 경우, 청구항 3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기 로크수단(44)은 반송 대차(1)측에 설치된 위치 결정 구멍(46)에 대해서 빼고 꽂기 자유롭게 상기 지주형 받이대(30)의 각 지주 부재(37a, 37b)의 베이스(40)로부터 수직 하향으로 돌출 설치된 로크 핀(45a)과, 이 로크 핀(45a)에 설치된 걸음부(걸어맞춤홈(68))에 대해서 걸고 벗기기 자유롭게 가압수단(51)에 의해 걸음 방향으로 가압된 수평 요동이 자유로운 걸음편(50)으로 구성하고, 상기 로크 해제 조작부(55)는 상기 걸음편(50)과 연동하는 레버부(49b)로 구성하며, 상기 조작수단(57)은 정위치에 정지한 반송 대차(1)의 상기 레버부(49b)를 누르는 누름부(59a)를 구비한 가동편(59)과, 이 가동편(59)을 구동하는 액추에이터(64)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4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기 로크 핀(45a)은 1개의 베이스(40)로부터 복수개를 돌출 설치하고, 이 복수개의 로크 핀(45a~45d)으로 둘러싸이는 영역 내에서 반송 대차(1)측에 수직 지지축(48)의 둘레에 수평 회전이 자유로운 가동판(49)을 설치하고, 이 가동판(49)의 주위로부터 각 로크 핀(45a~45d)에 대응하는 복수의 상기 걸음편(50)을 돌출 설치하며, 상기 가동판(49)에 대해서 각 1개의 상기 가압수단(51)과 상기 로크 해제 조작부(55)를 설치할 수 있다.
(발명의 효과)
상기 청구항 1에 기재된 본 발명에 따른 대차 이용의 반송장치에 있어서는, 차체 등의 피반송물의 주위로부터 당해 피반송물의 측부에 대해서 작업을 행하는 라인에서는, 지주형 받이대를 분리함과 아울러 승강 테이블의 테이블 본체 상에 부착된 피반송물의 바닥부를 지지하는 테이블형 받이대로 피반송물을 지지시킴으로써 승강 테이블의 좌우 양측, 즉, 피반송물의 좌우 양측에는 작업의 방해가 될 것 같은 부설물, 예를 들어 지주형 받이대 등은 일절 없는 상태에서 반송 대차의 작업 바닥면 상으로부터 피반송물의 측부에 대한 필요한 작업을 안전하고 또한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게다가 테이블형 받이대 자체는 높이가 낮은 컴팩트한 것을 이용하면서 승강 테이블을 상승시킴으로써 피반송물을 필요한 높이로 지지시킬 수 있으므로 테이블형 받이대의 비용 절감을 도모하면서 피반송물의 측부에 대한 필요한 작업을 안전하고 또한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 피반송물의 하측에 들어가서 당해 피반송물의 바닥부에 대한 작업을 행하는 라인에서는, 테이블형 받이대를 승강 테이블의 테이블 본체로부터 분리함과 아울러 당해 테이블 본체를 하강 한계 위치까지 내려서, 그 테이블 본체의 상면을 반송 대차의 작업 바닥면과 한면으로 하고, 대신에 지주형 받이대의 좌우 한 쌍의 지주 부재를 승강 테이블의 좌우 양측에 부착하여, 이 지주형 받이대로 피반송물을 당해 피반송물의 하측에 작업자가 들어갈 수 있는 높이로 지지시킬 수 있다. 이 결과 원래 승강 테이블이나 테이블형 받이대 등이 없는 평탄한 작업 바닥면을 가지는 반송 대차에 지주형 받이대를 부착했을 때와 동일한 상태가 되어, 지지된 피반송물의 하측에는 하강 한계 위치까지 강하한 승강 테이블의 테이블 본체의 상면으로 형성된 반송 대차의 작업 바닥면과 한면인 평탄한 작업 바닥면이 존재할 뿐이므로 피반송물의 하측에 들어가서 당해 피반송물의 바닥부에 대해서 행하는 작업을 안전하고 또한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1대의 반송 대차에 대해서 테이블형 받이대와 지주형 받이대를 택일적으로 부착함과 아울러, 테이블형 받이대를 부착했을 때는 필요에 따라서 승강 테이블의 테이블 본체를 필요한 레벨까지 상승시킴으로써 피반송물의 측부에 대한 작업에 적합한 환경과, 피반송물의 하측에 작업자가 들어가서 행하는 작업에 적합한 환경을 간단하게 선택하여 얻을 수 있어, 종래의 각 작업 환경에 적합한 반송 대차(반송 캐리어)를 구분해서 써야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설비 전체의 비용을 대폭 저감할 수 있고, 또 지지하는 피반송물의 지지 레벨을 크게 바꿀 수 있는 특수한 지주형 받이대를 구비한 반송 대차를 사용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어떠한 작업도 안전하고 또한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양호한 작업 환경을 항상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2에 기재된 구성에 의하면, 반송 대차 상에 이동 탑재된 지주형 받이대를 로크수단에 의해 부착 상태에서 로크할 수 있으므로 지지 레벨이 높아서 불안정한 지주형 받이대를 반송 대차 상에 고정적으로 설치했을 때와 동일한 상황으로 하여, 이 지주형 받이대로 지지한 피반송물의 반송시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게다가 이 받이대를 교환할 때에 작업자의 수작업으로 로크를 해제할 필요도 없고, 각 반송 대차측에 실린더 유닛 등의 액추에이터를 탑재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각 반송 대차에 대한 로크 해제 신호의 전송도 불필요하게 되는 점도 포함하여 설비 비용을 대폭 낮출 수 있다. 이 청구항 2에 기재된 구성은 청구항 3에 기재된 구성의 채용에 의해 간단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 청구항 4에 기재된 구성에 의하면, 지주형 받이대에 있어서의 1개의 지주 부재의 베이스를 복수개의 로크 핀과 각 로크 핀에 걸어맞춰지는 반송 대차측의 복수의 걸음편으로 확실히 강력하게 로크할 수 있고, 게다가 복수의 걸음편은 1개의 가동판에 설치되는 것이므로 구조가 심플하고 저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도 1은 반송 대차와 이것에 착탈 교환이 자유롭게 부착되는 받이대를 도시한 일부 종단 측면도이다.
도 2는 반송 대차 상에 테이블형 받이대를 부착한 상태의 일부 종단 측면도이다.
도 3은 반송 대차 상에 테이블형 받이대를 부착한 상태를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 4는 반송 대차 상에 테이블형 받이대를 부착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반송 대차 상에 지주형 받이대를 부착한 상태를 도시한 일부 종단 측면도이다.
도 6은 반송 대차 상에 지주형 받이대를 부착한 상태를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 7은 반송 대차 상에 지주형 받이대를 부착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은 승강 테이블의 테이블 본체가 상승 한계 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한 요부의 종단 측면도이다.
도 9는 승강 테이블의 테이블 본체가 하강 한계 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한 요부의 종단 측면도이다.
도 10은 지주형 받이대에 병용되는 로크수단의 로크 상태와 그 로크 해제용 조작수단을 도시한 일부 횡단 평면도이다.
도 11은 상기 로크수단의 로크 해제 상태를 도시한 일부 횡단 평면도이다.
도 12A는 도 10의 정면도, B는 로크 핀과 걸음편을 도시한 측면도, C는 로크 핀과 걸음편을 도시한 일부 종단 정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B…차체(피반송물)
1…반송 대차
2…반송 대차의 작업 바닥면
11…마찰 구동 수단
12…승강 테이블
13…테이블 본체
13a…테이블면
14…크로스 링크 기구
15, 21…캠
16a, 16b…크로스 링크
19, 20b…캠 종동 롤러
20…로크 레버
28…저지지용 테이블형 받이대
29…고지지용 테이블형 받이대
30…지주형 받이대
31, 39…받이대의 받이부
32…받이대의 프레임
33…받이대의 다리부
34, 40…받이대의 베이스
35…위치 결정 핀
36, 46…위치 결정 구멍
37a, 37b…받이대의 지주 부재
38…받이대의 전후 방향 도리재
44…로크수단
45a~45d…위치 결정 겸용 로크 핀
49…가동판
50…걸음편
51…가압수단
55…로크 해제 조작부
57…로크 해제용 조작수단
66…승강 가이드용 롤러 유닛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에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형태를 첨부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하면, 반송 대차(1)는 평면 형상이 주행 방향으로 긴 장방형의 평탄한 작업 바닥면(2)을 구비한 것으로, 바닥부에는 좌우 한 쌍 전후 2세트의 주행 차륜(3)과 전후 2세트의 주행 방향 규제용 롤러 유닛(4)이 설치되고, 이 반송 대차(1)에 의한 반송 경로에는 상기 주행 차륜(3)을 통하여 반송 대차(1)를 수평으로 지지하는 좌우 한 쌍의 지지용 가이드 레일(5)과, 편측의 가이드 레일(5)에 인접하여 상기 주행 방향 규제용 롤러 유닛(4)이 걸어맞춰지는 주행 방향 규제용 가이드 레일(6)이 부설되어 있다. 또한 주행 방향 규제용 롤러 유닛(4)은 주행 방향 규제용 가이드 레일(6)을 좌우 양측으로부터 끼우는 좌우 한 쌍의 수직축 롤러(4a, 4b)로 구성되어 있다. 이 반송 대차(1)의 구동 방식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이 실시형태에서는 종래 주지된 마찰 구동 방식을 이용하고 있다.
즉, 반송 대차(1)의 좌우 양측에는 주행 방향과 평행한 피마찰면(7a, 7b)이 형성되고, 반송 경로측에는 일방의 피마찰면(7a)에 맞닿는 백업 롤러(8)와 타방의 피마찰면(7b)에 가압력으로 압접하는 마찰 구동 롤러(9) 및 이 마찰 구동 롤러(9)를 회전 구동하는 모터(10)로 구성된 마찰 구동 수단(11)이 배열 설치된다.
반송 대차(1)에는 승강 테이블(12)이 설치되어 있다. 이 승강 테이블(12)은 반송 대차(1) 상의 평탄한 작업 바닥면(2)의 중앙부에 끼워진 것으로, 평면 직사각형의 평탄한 테이블면(13a)을 구비한 테이블 본체(13)를 평행 또한 수직 직선 형상으로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 구동 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이 승강 구동 기구는 크로스 링크 기구(14)와 주행 경로측에 부설된 캠(15)을 이용하는 것으로, 일본 특허 공개 2006-44603호 공보 등에 기재된 종래 주지된 것이다. 이 승강 구동 기구를 간단하게 설명하면 도 3,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테이블 본체(13)를 평행 또한 수직 직선 형상으로 승강 가능하게 지지하는 크로스 링크 기구(14)는 각 링크의 일단측이 정위치에 축지지됨과 아울러 타단측이 전후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어 서로 연동 연결된 좌우 한 쌍의 크로스 링크(16a, 16b)로 이루어지고, 이들 각 크로스 링크(16a, 16b)를 구성하는 각 2개의 링크 중 슬라이드단이 테이블 본체(13)측에 있는 링크(17)로부터 레버부(18)가 하향으로 연설되고, 이들 각 레버부(18)의 하단에 캠 종동 롤러(19)가 축지지되고, 주행 경로측에는 캠(15)이 부설되어 있다. 이 캠(15)을 구성하는 좌우 한 쌍의 캠 레일(15a, 15b)에 의해, 좌우 한 쌍의 캠 종동 롤러(19)를 반송 대차(1)의 주행에 수반시켜 밀어올림으로써 테이블 본체(13)가 소정 높이의 상승 한계 레벨까지 상승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캠(15)으로 상승 한계 레벨까지 올려진 테이블 본체(13)를 당해 상승 한계 레벨에서 일정 구간 유지시키는 것은 그 일정 구간에 걸쳐 캠(15)을 연속시켜 두면 되지만, 안전 대책으로서 또는 그 캠(15)을 상기 일정 구간의 입구부와 출구부에만 부설하면 되도록, 도 8 및 도 9에 가상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테이블 본체(13)가 상승 한계 레벨에 이르렀을 때의 자세로 양 크로스 링크(16a, 16b)를 로크하는 로크 레버(20)와, 테이블 본체(13)를 상승 한계 레벨로부터 강하시키기 직전에 상기 로크 레버(20)에 의한 로크를 해제하는 로크 해제 캠(21)을 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일본 특허 공개 2006-44603호 공보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로크 레버(20)는 테이블 본체(13)가 상승 한계 레벨에 이르렀을 때에 양 크로스 링크(16a, 16b)의 반송 대차(1)측에 있는 공통 슬라이드 축(22)에 자동으로 걸어맞춰지고, 당해 공통 슬라이드 축의 후퇴 이동(테이블 본체(13)의 강하 운동)을 저지하도록 수평 지지축(20a)으로 반송 대차(1)측에 축지지됨과 아울러, 하향의 돌출부에 캠 종동 롤러(20b)를 구비하고, 로크 해제 캠(21)은 상기 캠 종동 롤러(20b)를 통하여 로크 레버(20)를 밀어올림으로써 당해 로크 레버(20)를 양 크로스 링크(16a, 16b)의 반송 대차(1)측에 있는 공통 슬라이드 축(22)으로부터 상방 으로 이탈시켜, 이로써 당해 공통 슬라이드 축(22)의 후퇴 이동(테이블 본체(13)의 강하 운동)을 허용하는 것이다.
또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테이블 본체(13)의 테이블면(13a)을 형성하는 천판(23)의 주변부 하측에는 이 테이블 본체(13)가 상승 한계 위치까지 상승했을 때에 테이블 본체(13)의 하측 공간, 즉, 크로스 링크 기구(14)가 배열 설치된 공간의 주위를 덮는 벨로우즈를 이용한 신축이 자유로운 각통 형상 커버(24)를 배열 설치할 수 있다. 이 신축이 자유로운 각통 형상 커버(24)의 상단은 천판(23)의 작사각형 주변부 하측에 고정하고, 당해 각통 형상 커버(24)의 하단은 크로스 링크 기구(14)를 지지하는 반송 대차(1)측의 프레임 구조체(25)의, 상기 천판(23)의 직사각형 주변부의 하방에 위치하는 직사각형 틀부(25a) 상에 고정할 수 있다. 그래서 테이블 본체(13)가 하강 한계 위치에 이르렀을 때, 당해 테이블 본체(13)(천판(23))는 반송 대차(1)의 작업 바닥면(2)에 설치된 테이블 본체(13)가 정확히 끼워맞춰지는 사이즈의 직사각형 개구부를 형성하는 직사각형 틀부(26)의 내측에 끼워지고, 테이블면(13a)(천판(23)의 상면)은 반송 대차(1)의 작업 바닥면(2)과 한면인 상태가 되고, 테이블면(13a)(천판(23)의 상면)과 그 주위의 반송 대차(1)의 작업 바닥면(2) 사이에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연속된(예를 들어 1Cm 전후의) 소폭의 공극만이 존재하게 되어, 테이블 본체(13)가 상승했을 때는 그 천판(23)의 주위와 작업 바닥면(2)측의 직사각형 틀부(26) 사이는 신장한 각통 형상 커버(24)로 덮여, 크로스 링크 기구(14)가 내장된 공간 내에 이물 등이 들어갈 우려는 없다.
이러한 종류의 캠(15)에 의해 크로스 링크 기구(14)를 조작하여 테이블 본체(13)를 상승시키는 승강 구동 기구에서는 반송 대차(1)의 전체의 중량에 대해서 승강 테이블(12)의 부하 중량, 이 실시형태에서는 이 테이블 본체(13)로 지지되는 차체(B)의 중량이 크면 캠(15)으로 테이블 본체(13)를 밀어올리고자 했을 때, 테이블 본체(13)(차체)가 반송 대차(1)에 대해서 상승하지 않고, 승강 테이블(12)을 포함하는 반송 대차(1) 전체가 주행 경로로부터 부상(浮上)하는 것이 생각되므로, 반송 대차(1)의 부상을 방지하는 부상 방지 수단을 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부상 방지 수단으로서는, 예를 들어 반송 대차(1)측에 축지지한 롤러나 주행 차륜(3) 상에 겹쳐지는 캠 레일을 반송 경로측에 배열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간단한 구성의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승강 테이블(12)의 테이블 본체(13)는 캠 종동 롤러(19)를 밀어올리는 캠 레일(15a, 15b)이 부설되어 있지 않은 주행 경로에서는 중력으로 하강 한계 레벨까지 강하하게 되는데, 이 때 도 9에 가상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반송 대차(1)측의 프레임 구조체(25)에 지지된 지지 부재(27)에 의해 테이블 본체(13)(천판(23))의 주변부 복수 개소가 지지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지지 부재(27)에는 높이 조정이 자유로운 지지용 볼트(27a)를 설치해 둘 수 있다.
상기 반송 대차(1)에는 도 1에 도시한 저지지용 테이블형 받이대(28), 고지지용 테이블형 받이대(29) 및 지주형 받이대(30)가 조합된다. 도 1~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지지용 테이블형 받이대(28)와 고지지용 테이블형 받이대(29)는 차체(B)의 좌우 양 측변 각각의 전후 2개소를 지지하는 받이부(31)를 프레임(32) 상 에 배열 설치함과 아울러 당해 프레임(32)의 하측 전후좌우 4개소에 돌출 설치된 각 다리부(33)의 하단에 승강 테이블(12)의 테이블 본체(13) 상에 탑재되는 베이스(34)를 부설한 것으로서, 전후좌우 4개의 베이스(34) 중, 대각 방향에 위치하는 2개의 베이스(34)에는 하향으로 위치 결정 핀(35)이 돌출 설치되고, 승강 테이블(12)의 테이블 본체(13)(천판(23))에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위치 결정 핀(35)이 각각 빼고 꽂기 자유롭게 삽입되는 위치 결정 구멍(36)이 설치되어 있다. 저지지용 테이블형 받이대(28)와 고지지용 테이블형 받이대(29)는 고지지용 테이블형 받이대(29)의 다리부(33)가 저지지용 테이블형 받이대(28)의 다리부(33)보다 높은(긴) 점에서 상이할 뿐이므로, 구조 그 자체는 양자 모두 동일하다. 따라서 저지지용 테이블형 받이대(28)와 고지지용 테이블형 받이대(29)는 모두 베이스(34)를 이용하여 승강 테이블(12)의 테이블 본체(13) 상에 탑재할 수 있는데, 이 때 위치 결정 핀(35)을 위치 결정 구멍(36)에 삽입함으로써 테이블 본체(13) 상에서의 각 받이대(28, 29)의 위치(자세)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지주형 받이대(30)는 도 1 및 도 5~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 한 쌍의 지주 부재(37a, 37b)의 상단에 전후 방향 도리재(38)를 측면에서 보아 T자형으로 부설함과 아울러 당해 전후 방향 도리재(38)의 전후 양단부로부터 내측에 캔틸레버 형상으로 연장되도록 차체(B)의 좌우 양 측변 각각의 전후 2개소를 지지하는 받이부(39)를 연설한 것으로서, 좌우 한 쌍의 지주 부재(37a, 37b)의 하단의 베이스(40)를 반송 대차(1)의 작업 바닥면(2) 상에서 승강 테이블(12)의 좌우 양측에 탑재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 상태의 지주형 받이대(30)의 각 받이부(39)로 차 체(B)의 좌우 양 측변을 지지시켰을 때,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 한 쌍의 지주 부재(37a, 37b)는 평면에서 보아 차체(B)의 외측에 위치함과 아울러, 지지된 차체(B)는 그 하측에 작업자가 출입할 수 있는 높이로 지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지주형 받이대(30)는 테이블형 받이대(28, 29)와 비교하여 불안정한 것이므로 반송 대차(1) 상에 탑재한 부착 상태에서 로크하는 로크수단이 병설되어 있다. 도 10~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로크수단(44)은 지주 부재(37a, 37b)마다 배열 설치된 것으로, 지주 부재(37a, 37b)의 하단의 베이스(40)의 네 모서리로부터 하향으로 돌출 설치된 4개의 위치 결정 겸용 로크 핀(45a~45d)을 구비하고 있다. 반송 대차(1)의 작업 바닥면(2)에 있어서의 베이스(40)가 탑재되는 좌우 양측 2개소, 즉, 승강 테이블(12)의 좌우 양측 2개소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로크 핀(45a~45d)이 각각 따로 빼고 꽂기 자유롭게 삽입된 4개의 위치 결정 구멍(46)이 설치되고, 반송 대차(1)의 작업 바닥면(2)을 바닥판과 함께 구성하는 프레임(47)(도 10~도 12 참조)의 하측에는 평면에서 보아 4개의 위치 결정 구멍(46)으로 둘러싸인 사각형 영역의 대략 중앙 위치에서 수직 지지축(48)의 둘레에 수평 회전이 자유로운 가동판(49)이 설치되고, 이 가동판(49)의 주변으로부터 각 위치 결정 구멍(46)에 대응하여 4개의 걸음편(50)이 돌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각 걸음편(50)의 선단이 각 위치 결정 구멍(46)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는 로크 작용 자세로 각 걸음편(50)(가동판(49))을 가압 유지하는 가압수단(51)과 스토퍼(52)가 설치되어 있다. 가압수단(51)은 가동판(49)으로부터 가로 내측 방향으로 돌출 설치된 레버부(49a)와, 이 레버부(49a)의 선단에 축지지된 수직축 롤러(53)와, 이 수직축 롤러(53)를 압압하는 스프링 실린더(54)로 구성되고, 스프링 실린더(54)의 푸셔(피스톤 로드)(54a)가 내장된 코일 스프링(54b)으로 밀려나옴으로써 당해 푸셔(54a)가 수직축 롤러(53), 레버부(49a) 및 가동판(49)을 통하여 각 걸음편(50)을 수직 지지축(48)의 둘레에서 1방향으로 회전 운동시키고, 푸셔(54a)가 수직축 롤러(53)를 스토퍼(52)와의 사이에서 끼움으로써 각 걸음편(50)이 도 10에 도시한 로크 작용 자세로 유지된다.
또 상기 로크수단(44)에는 각 걸음편(50)과 연동하는 로크 해제 조작부(55)가 설치되어 있다. 이 로크 해제 조작부(55)는 가동판(49)으로부터 가로 외측 방향으로 돌출 설치된 레버부(49b)와 그 선단에 축지지된 수직축 롤러(56)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반송 대차(1)에 의한 반송 경로 중에 설정된 지주형 받이대(30)의 부착 분리 작업 장소에는 도 10~도 12에 도시한 로크 해제용 조작수단(57)이 배열 설치되어 있다. 이 로크 해제용 조작수단(57)은 상기 지주형 받이대(30)의 부착 분리 작업 장소의 정위치에 정지한 반송 대차(1)의 로크수단(44)에 있어서의 로크 해제 조작부(55)를 조작하는 것으로, 수직 지지축(58)에 의해 수평 요동이 자유롭게 축지지되고 또한 선단에 상기 로크 해제 조작부(55)의 수직축 롤러(56)를 누르는 누름부(59a)를 구비한 레버 형상 가동편(59)과, 이 레버 형상 가동편(59)을 도 10에 도시한 대기 위치에 가압 유지하는 스프링(60)과, 레버 형상 가동편(59)과 연동하는 피조작 레버(61)와, 이 피조작 레버(61)의 선단에 축지지된 수직축 롤러(62)를 누르는 푸셔 로드(63)와, 당해 푸셔 로드(63)를 밀고 당겨서 구동하는 액 추에이터(실린더 유닛)(64)로 구성되어 있다.
반송 대차(1)가 지주형 받이대(30)의 부착 분리 작업 장소의 정위치에 정지한 상태에서, 액추에이터(64)에 의해 푸셔 로드(63)를 진출시키고, 그 선단에서 수직축 롤러(62)를 통하여 피조작 레버(61)를 누름으로써 레버 형상 가동편(59)을 스프링(60)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수직 지지축(58)의 둘레에 회전 운동시키면, 당해 레버 형상 가동편(59)의 선단 누름부(59a)가 반송 대차(1)측의 로크수단(44)에 설치된 로크 해제 조작부(55)의 레버부(49b)(수직축 롤러(56))를 눌러, 가동판(49)을 가압수단(51)의 가압력에 저항하는 방향으로 회전 운동시킨다. 이 결과, 도 10에 도시한 로크 작용 자세에 있던 각 걸음편(50)이, 도 11에 도시한 로크 해제 자세로 전환된다. 또한 이 때 로크 해제 조작부(55)의 레버부(49b)의 수직축 롤러(56)를 받아들이는 스토퍼(65)가 병설되어, 레버 형상 가동편(59)의 선단 누름부(59a)가 수직축 롤러(56)를 스토퍼(65)와의 사이에서 끼움으로써 각 걸음편(50)이 로크 해제 자세로 유지된다.
반송 대차(1)의 작업 바닥면(2)에 설치된 각 위치 결정 구멍(46)에는 당해 위치 결정 구멍(46)의 내경과 각 로크 핀(45a~45d)의 외경의 차에 의한 위치 어긋남량을 허용 범위 내로 좁힘과 아울러, 당해 로크 핀(45a~45d)의 빼고 꽂기 운동이 원활하게 행해지도록 작업 바닥면(2)의 하측에서 로크 핀(45a~45d)의 승강 가이드용 롤러 유닛(66)이 병설되어 있다. 이 각 승강 가이드용 롤러 유닛(66)은 위치 결정 구멍(46)에 삽입된 각 로크 핀(45a~45d)의 둘레 방향 3개소에 근접하는 3개의 수평축 롤러(67)로 구성된 것으로, 도시를 생략하고 있지만, 승강 테이블(12)의 테 이블 본체(13)에 설치되는 테이블형 받이대(28, 29)의 위치 결정 구멍(36)에도 상기 구성의 승강 가이드용 롤러 유닛(66)을 병설할 수 있다. 또한 도시를 생략했지만, 각 위치 결정 구멍(36, 46)에는 스프링으로 상측으로 운동하여 이들 위치 결정 구멍(36, 46)을 하측으로부터 막는 커버 플레이트를 축지지해 두어, 위치 결정 핀(35)이나 로크 핀(45a~45d)이 삽입되어 있지 않은 위치 결정 구멍(36, 46)에 이물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커버 플레이트는 위치 결정 구멍(36, 46)에 삽입되는 위치 결정 핀(35)이나 로크 핀(45a~45d)에 밀려 후퇴되어 자동적으로 가로 측방으로 개방 운동한다.
상기 로크수단(44)의 각 로크 핀(45a~45d)에는 도 12B,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걸음편(50)의 선단부가 수평 가로 방향으로 들어가는 걸어맞춤홈(68)이 형성되어 있다. 도 10에 도시한 로크 작용 자세에 있는 걸음편(50)은 그 선단부가 각 로크 핀(45a~45d)의 걸어맞춤홈(68)에 끼워맞춰짐으로써 각 로크 핀(45a~45d)의 빠짐을 방지하고, 각 로크 핀(45a~45d)을 구비한 지주형 받이대(30)의 베이스(40)가 반송 대차(1)의 작업 바닥면(2)으로부터 부당하게 부상하거나, 로크 핀(45a~45d)이 위치 결정 구멍(46)으로부터 빠져서 지주형 받이대(30)의 지주 부재(37a, 37b)가 도복하는 것을 방지하는데, 베이스(40)의 상하 방향의 여유를 제로로 하거나 또는 가능한 작게 하기 위해서, 도시한 바와 같이 로크 핀(45a~45d)의 걸어맞춤홈(68)의 하측면(68a)을 걸음편(50)의 선단부가 진입하는 방향의 안측일수록 올라가게 경사지게 하고, 필요에 따라서 걸음편(50)의 선단부의 하측면(50a)도 상기 걸어맞춤홈(68)의 하측면(68a)과 동일 방향으로 경사지게 하여, 로크 핀(45a~45d)의 걸어맞 춤홈(68)에 각 걸음편(50)의 선단부가 수평 방향으로 끼워맞춰졌을 때, 각 걸음편(50)의 선단부 하측면(50a)과 로크 핀(45a~45d)의 걸어맞춤홈(68)의 하측면(68a)의 상대 슬라이딩 접촉 운동으로 각 걸음편(50)이 로크 핀(45a~45d)을 끌어 내리는 방향으로 압압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반송 대차(1)에서는 도 1~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승강 테이블(12)의 테이블 본체(13)가 하강 한계 위치에 있는 상태(테이블면(13a)이 반송 대차(1)의 작업 바닥면(2)과 한면인 상태)에 있어서, 저지지용 테이블형 받이대(28)를 당해 승강 테이블(12)의 테이블 본체(13) 상에 당해 받이대(28)의 각 위치 결정 핀(35)을 테이블 본체(13)측의 위치 결정 구멍(36)(도 7 참조)에 삽입하여 부착한 경우, 그 저지지용 테이블형 받이대(28) 상에 받이부(31)를 이용하여 지지되는 피반송물, 즉, 차체(B)는 이 저지지용 테이블형 받이대(28)의 높이에 상당하는 최저 지지 레벨(L1), 즉, 반송 대차(1)의 작업 바닥면(2)에 대한 높이가 가장 낮은 최저 지지 레벨(L1)로 지지되게 된다. 또 승강 테이블(12)의 테이블 본체(13)가 하강 한계 위치에 있는 상태에 있어서, 고지지용 테이블형 받이대(29)를 승강 테이블(12)의 테이블 본체(13) 상에 저지지용 테이블형 받이대(28)와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부착한 경우에는, 그 고지지용 테이블형 받이대(29) 상에 받이부(31)를 이용하여 지지되는 차체(B)는 이 고지지용 테이블형 받이대(29)의 높이에 상당하는 고지지 레벨(L2)로 지지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승강 테이블(12)의 테이블 본체(13) 상에 저지지용 테이블형 받이대(28)를 부착한 상태에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당해 테이블 본체(13) 를 크로스 링크 기구(14)와 반송 경로측의 캠(15)으로 상승 한계 위치까지 올린 경우, 즉, 캠(15)이 부설된 반송 경로 상을 반송 대차(1)가 주행할 때는 당해 저지지용 테이블형 받이대(28)로 지지되는 차체(B)는 상기 최저 지지 레벨(L1)보다는 높지만, 고지지용 테이블형 받이대(29)를 사용했을 때의 지지 레벨인 고지지 레벨(L2)보다는 낮은 중간 지지 레벨(L1+)로 지지되게 된다. 물론 승강 테이블(12)의 테이블 본체(13) 상에 고지지용 테이블형 받이대(29)를 부착한 상태에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당해 테이블 본체(13)를 크로스 링크 기구(14)와 반송 경로측의 캠(15)으로 상승 한계 위치까지 올린 경우, 즉, 캠(15)이 부설된 반송 경로 상을 반송 대차(1)가 주행할 때는 당해 고지지용 테이블형 받이대(29)로 지지되는 차체(B)의 지지 레벨을 고지지 레벨(L2)보다 더욱 테이블 본체(13)의 상승 높이만큼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저지지용 테이블형 받이대(28) 또는 고지지용 테이블형 받이대(29)를 이용하여 승강 테이블(12)의 테이블 본체(13) 상에서 지지된 차체(B)를 반송 대차(1)로 반송할 때는 당연히 지주형 받이대(30)는 부착되어 있지 않으므로, 지지된 차체(B)의 주위에는 이 반송 대차(1)의 평탄한 작업 바닥면(2)이 존재할 뿐이므로 그 차체(B)의 주위의 작업 바닥면(2) 상으로부터 차체(B)의 측부에 대한 작업을 안전하고 또한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도 1,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주형 받이대(30)를 이용할 때에는 승강 테이블(12)의 테이블 본체(13) 상에 부착되어 있던 저지지용 테이블형 받이대(28) 또는 고지지용 테이블형 받이대(29)를 분리함과 아울러, 테이블 본 체(13)를 하강 한계 위치까지 내리고, 반송 대차(1)의 작업 바닥면(2)의 전체를 평탄하게 한 상태에서, 지주형 받이대(30)를 승강 테이블(12)의 좌우 양측에 부착한다. 이 저지지용 테이블형 받이대(28) 또는 고지지용 테이블형 받이대(29)로부터 지주형 받이대(30)에 대한 받이대의 교환 작업은 캠(15)이 부설되어 있지 않은 반송 경로 중의 정정지 위치에 반송 대차(1)가 정지한 상태에서 행해지는데, 이 받이대 교환 작업 장소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 10에 도시한 로크 해제용 조작수단(57)이 배열 설치되어 있다.
그래서 이 받이대 교환 작업 장소의 정위치에 반송 대차(1)가 정지했을 때, 상기 로크 해제용 조작수단(57)은 당해 반송 대차(1)의 바닥부에서 좌우 양측에 배열 설치되어 있는 로크수단(44)의 로크 해제 조작부(55)에 대해서 도 10에 도시한 위치 관계에 있으므로 반송 대차(1)의 정지 후에 로크 해제용 조작수단(57)의 액추에이터(64)를 작동시키고,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진출 이동하는 푸셔 로드(63)로 수직축 롤러(62)와 피조작 레버(61)를 통하여 레버 형상 가동편(59)을 스프링(60)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수직 지지축(58)의 둘레에 회전 운동시키고, 그 선단의 누름부(59a)로 로크수단(44)측의 로크 해제 조작부(55)인 수직축 롤러(56)를 스토퍼(65)와의 사이에서 끼우는 위치까지 압압시킨다. 이 결과 레버부(49b)를 통하여 가동판(49)이 수직 지지축(48)의 둘레에서 가압수단(51)(스프링 실린더(54))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소정 각도만큼 회전 운동하고, 가동판(49)의 주위의 각 걸음편(50)이 지주형 받이대(30)측의 각 로크 핀(45a~45d)이 삽입되는 위치 결정 구멍(46)의 바로 아래 위치로부터 가로 측방으로 움직인 로크 해제 상태로 전환된다.
따라서 반송 대차(1) 상의 소정 위치에 지주형 받이대(30)가 늘어뜨려질 때에는 당해 반송 대차(1)측의 지주형 받이대(30)를 로크하는 로크수단(44)이 로크 해제 상태로 전환되어 있으므로 지주형 받이대(30)측의 각 로크 핀(45a~45d)은 반송 대차(1)측의 각 위치 결정 구멍(46)(도 4 참조)에 지장없이 삽입할 수 있다. 그리고 지주형 받이대(30)의 좌우 한 쌍의 지주 부재(37a, 37b)가 반송 대차(1)의 작업 바닥면(2) 상의 소정 위치에 각 로크 핀(45a~45d)이 각 위치 결정 구멍(46)에 삽입되어 각 베이스(40)가 작업 바닥면(2)에 착상하는 상태로 이동 탑재되면 로크 해제용 조작수단(57)의 푸셔 로드(63)를 후퇴 이동시키고,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버 형상 가동편(59)을 스프링(60)의 가압력으로 원래의 퇴피 자세로 되돌림으로써 로크수단(44)에 있어서의 가동판(49)이 가압수단(51)의 가압력으로 원래의 자세, 즉, 레버부(49a)의 선단의 수직축 롤러(53)가 가압수단(51)의 푸셔(피스톤 로드)(54a)와 스토퍼(52)로 끼워져 고정되는 로크 작용 자세로 복귀한다. 이 결과 각 걸음편(50)의 선단부가 각 로크 핀(45a~45d)의 걸어맞춤홈(68)(도 12B, C 참조)에 걸어맞춰져 각 로크 핀(45a~45d)이 빼기 불가능한 상태로 전환되고, 지주형 받이대(3)가 반송 대차(1)에 대해서 로크되어, 부당한 흔들림이나 도복이 확실히 방지된다. 또 반송 대차(1)의 주행 개시시에 로크 해제용 조작수단(57)의 레버 형상 가동편(59)과 반송 대차(1)측의 로크수단(44)의 로크 해제 조작부(55)가 간섭하는 일도 없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반송 대차(1) 상에 부착된 지주형 받이대(30)에 차체(B)를 지지시켰을 때는, 당해 차체(B)는 그 하측에 작업자가 들어갈 수 있는 높 이, 즉, 차체(B)의 바닥부에 대한 작업에 적합한 최고 레벨(L3)로 지지되게 된다. 또 이 지주형 받이대(30)에 의해 지지한 차체(B)의 반송 경로에는 캠(15)이 부설되어 있지 않으므로, 당해 지주형 받이대(30)에 의해 지지한 차체(B)의 하측에 위치하는 승강 테이블(12)의 테이블 본체(13)는 하강 한계 위치에 있어서, 그 테이블면(13a)은 반송 대차(1)의 작업 바닥면(2)과 한면인 상태에 있다. 또한 상기 지주형 받이대(30)의 좌우 한 쌍의 지주 부재(37a, 37b)는 지지하는 차체(B)의 좌우 양 외측에 위치하는 것이므로, 최고 레벨(L3)로 지지된 차체(B)의 하측에 들어가서 행하는 작업은 안전하고 또한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다시, 지주형 받이대(30)를 저지지용 테이블형 받이대(28) 또는 고지지용 테이블형 받이대(29)로 교환할 때는 이 받이대 교환 작업 장소의 정위치에 반송 대차(1)가 정지한 상태에서 받이대의 교환 작업을 행하는데, 이 받이대 교환 작업 장소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 10에 도시한 로크 해제용 조작수단(57)이 배열 설치되어 있다. 그래서 그 정위치에서 반송 대차(1)가 정지했을 때, 상기 로크 해제용 조작수단(57)은 당해 반송 대차(1)의 바닥부에서 좌우 양측에 배열 설치되어 있는 로크수단(44)의 로크 해제 조작부(55)에 대해서 도 10에 도시한 위치 관계에 있으므로, 반송 대차(1)의 정지 후에 로크 해제용 조작수단(57)의 액추에이터(64)를 작동시켜, 앞서 설명한 로크 해제 조작과 동일한 로크 해제 조작을 행함으로써,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걸음편(50)을 지주형 받이대(3)측의 각 로크 핀(45a~45d)으로부터 가로 측방으로 이탈 이동시키고, 지주형 받이대(30)의 로크를 해제하여 지주형 받이대(30)를 상방으로 끌어 올리기 가능한 상태로 전환한다.
지주형 받이대(30)를 분리한 후, 저지지용 테이블형 받이대(28) 또는 고지지용 테이블형 받이대(29)를 하강 한계 위치에 있는 승강 테이블(12)의 테이블 본체(13) 상에 부착했다면, 이 저지지용 테이블형 받이대(28) 또는 고지지용 테이블형 받이대(29)에 차체(B)를 지지시킨 상태에서 반송 대차(1)를 주행시키는데, 이 주행에 앞서 로크 해제용 조작수단(57)의 푸셔 로드(63)를 후퇴 이동시키고,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크수단(44)에 있어서의 각 걸음편(50)을 원래의 로크 작용 위치에 복귀시켜 둠으로써 반송 대차(1)의 주행 개시시에 로크 해제용 조작수단(57)의 레버 형상 가동편(59)과 반송 대차(1)측의 로크수단(44)의 로크 해제 조작부(55)가 간섭하는 일은 없다.
또한 저지지용 테이블형 받이대(28) 또는 고지지용 테이블형 받이대(29)를 승강 테이블(12)의 테이블 본체(13) 상에 부착하고, 이 저지지용 테이블형 받이대(28) 또는 고지지용 테이블형 받이대(29)로 차체(B)를 지지시켜서 반송할 때, 그 반송 경로에서의 차체(B)에 대한 작업 내용에 따라,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테이블 본체(13)의 높이를 하강 한계 위치 또는 상승 한계 위치 중 어느 하나로 택일적으로 선택하도록 해도 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테이블 본체(13)를 캠(30)의 높이를 구간마다 바꾸거나 하여 구간마다 하강 한계 위치와 상승 한계 위치 사이의 임의의 지지 레벨로 전환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Claims (4)

  1. 반송 경로를 따라 주행하는 반송 대차에 피반송물을 지지하는 승강 테이블이 설치된 대차 이용의 반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승강 테이블은 그 테이블 본체 상에 피반송물의 바닥부를 지지하는 테이블형 받이대가 분리가 자유롭게 설치됨과 아울러, 당해 테이블 본체가 하강 한계 위치에 있을 때, 당해 테이블 본체의 상면이 이 반송 대차 상의 평탄한 작업 바닥면과 한면이 되도록 구성되고, 이 반송 대차 상에는 평면에서 보아 피반송물의 좌우 양측에 위치하는 좌우 한 쌍의 지주 부재와 이 지주 부재에 설치되어 피반송물의 좌우 양 측변을 지지하는 받이부로 이루어지는 지주형 받이대가, 그 좌우 한 쌍의 지주 부재가 상기 승강 테이블의 좌우 양측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분리가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차 이용의 반송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반송 대차에는 상기 지주형 받이대의 각 지주 부재를 분리가 불가능하게 로크하는 로크수단이 설치되고, 반송 경로 중의 지주형 받이대의 부착 분리를 행하는 개소에는 상기 로크수단에 설치된 로크 해제 조작부를 로크 해제 방향으로 조작하는 조작수단이 배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차 이용의 반송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수단은 반송 대차측에 설치된 위치 결정 구멍에 대해서 빼고 꽂기 자유롭게 상기 지주형 받이대의 각 지주 부재의 베이스로부터 수직 하향으로 돌출 설치된 로크 핀과, 이 로크 핀에 설치된 걸음부에 대해서 걸고 벗기기 자유롭게 가압수단에 의해 걸음 방향으로 가압된 수평 요동이 자유로운 걸음편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로크 해제 조작부는 상기 걸음편과 연동하는 레버부로 구성되고, 상기 조작수단은 정위치에 정지한 반송 대차의 상기 레버부를 누르는 누름부를 구비한 가동편과, 이 가동편을 구동하는 액추에이터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차 이용의 반송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 핀은 1개의 베이스로부터 복수개가 돌출 설치되고, 이 복수개의 로크 핀으로 둘러싸이는 영역 내에서 반송 대차측에 수직 지지축의 둘레에 수평 회전이 자유로운 가동판이 설치되고, 이 가동판의 주위로부터 각 로크 핀에 대응하는 복수의 상기 걸음편이 돌출 설치되며, 상기 가동판에 대해서 각 1개의 상기 가압수단과 상기 로크 해제 조작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차 이용의 반송장치.
KR1020097020377A 2007-08-24 2008-08-01 대차 이용의 반송장치 KR1012971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218290 2007-08-24
JP2007218290A JP4978371B2 (ja) 2007-08-24 2007-08-24 台車利用の搬送装置
PCT/JP2008/063843 WO2009028299A1 (ja) 2007-08-24 2008-08-01 台車利用の搬送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3141A true KR20100043141A (ko) 2010-04-28
KR101297113B1 KR101297113B1 (ko) 2013-08-21

Family

ID=403870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20377A KR101297113B1 (ko) 2007-08-24 2008-08-01 대차 이용의 반송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469651B2 (ko)
JP (1) JP4978371B2 (ko)
KR (1) KR101297113B1 (ko)
CN (1) CN101678833B (ko)
CA (1) CA2680059C (ko)
RU (1) RU2463193C2 (ko)
WO (1) WO200902829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58003B2 (ja) * 2007-08-24 2012-06-20 株式会社ダイフク 搬送台車利用の作業設備
JP5504961B2 (ja) * 2010-02-22 2014-05-28 トヨタ車体株式会社 搬送台車、搬送ライン及び搬送方法
KR101173284B1 (ko) * 2010-07-07 2012-08-10 주식회사 에버다임 로킹장치
DE102010045014A1 (de) * 2010-09-10 2012-03-15 Eisenmann Ag Anlage zur Oberflächenbehandlung von Fahrzeugkarosserien
IT1404042B1 (it) * 2010-12-30 2013-11-08 Cpm S P A Dispositivo trasportatore a piattaforme per carichi, in particolare per scocche di veicoli
CN102730013B (zh) * 2012-07-03 2015-01-21 山东大学 一种可承重大吨位自动化升降移动台车
KR101427935B1 (ko) * 2012-10-30 2014-08-08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 조립라인의 샤시 메리지 장치
JP6008122B2 (ja) * 2013-01-29 2016-10-19 中西金属工業株式会社 搬送台車上のワークの水平レベル出し装置
JP2014190114A (ja) * 2013-03-28 2014-10-06 Daifuku Co Ltd 搬送用走行体の走行経路構造
JP6094331B2 (ja) * 2013-03-29 2017-03-15 株式会社ダイフク 物品搬送設備
JP6152712B2 (ja) * 2013-06-04 2017-06-28 富士通株式会社 分割パレット及び搬送装置並びに搬送方法
CN103587540B (zh) * 2013-11-26 2016-03-30 武桥重工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可转换载荷分配的大吨位移运台车
JP6066106B2 (ja) * 2014-03-28 2017-01-25 株式会社ダイフク 摩擦駆動の搬送装置
CN105539631A (zh) * 2016-01-06 2016-05-04 潘玲玉 一种大空间商用车车架翻转装置
EP3345813B1 (de) * 2017-01-09 2019-08-07 MAGNA STEYR Fahrzeugtechnik AG & Co KG Fahrzeugmontageeinrichtung
CN107783538B (zh) * 2017-09-14 2021-04-13 北京航天控制仪器研究所 一种移动机器人接驳泊位的设计方法
WO2019239368A1 (en) * 2018-06-15 2019-12-19 Geico Spa Plant for moving vehicle bodies
CN108907648A (zh) * 2018-08-02 2018-11-30 南京环务资源再生科技有限公司 一种废旧空调拆解线
JP7159956B2 (ja) * 2019-04-11 2022-10-25 トヨタ紡織株式会社 台車
CN110759048A (zh) * 2019-11-29 2020-02-07 安庆汇通汽车部件股份有限公司 一种推力杆装配用球铰运输线
JP7364535B2 (ja) * 2020-06-29 2023-10-1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ワーク搬送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395127B (sv) * 1974-03-22 1977-08-01 Volvo Ab Anordning for montering av chassidetaljer pa en bilkaross
JPH0351010Y2 (ko) * 1984-10-20 1991-10-31
SU1586994A1 (ru) * 1988-08-29 1990-08-23 Ленинградский зональный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и проектный институт типового и экспериментального проектирования жилых и общественных зданий Подъемник
JP3328891B2 (ja) * 1993-11-17 2002-09-3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車車体の組立方法及び組立装置
JPH07223536A (ja) * 1993-12-13 1995-08-22 Nakanishi Kinzoku Kogyo Kk 自走台車
CA2156581C (en) * 1995-04-20 2000-11-07 Hisashi Kyotani Conveying system
RU2102210C1 (ru) * 1995-12-26 1998-01-20 От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ГАЗ" Автоматизированная линия для сборки и сварки кузовов автомобилей
JPH09272430A (ja) * 1996-04-09 1997-10-21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無人搬送ロボット及び無人搬送システム
SE511405C2 (sv) * 1998-03-26 1999-09-27 Abb Daimler Benz Transp Lyftanordning för spårgående fordon
DE29812459U1 (de) * 1998-07-13 1998-09-10 MAHA Maschinenbau Haldenwang GmbH & Co. KG, 87490 Haldenwang Hebebühne für zweispurige Fahrzeuge
KR100423050B1 (ko) * 2001-06-14 2004-03-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조립을 위한 이송시스템 및 그 이송방법
JP4293010B2 (ja) * 2004-02-19 2009-07-08 中西金属工業株式会社 昇降機能付き台車
BRPI0512772B1 (pt) * 2004-08-09 2017-07-04 Daifuku Co., Ltd. Loading equipment with lifting support table of loaded object
JP4196348B2 (ja) * 2004-08-09 2008-12-17 株式会社ダイフク 搬送装置
JP4450200B2 (ja) * 2004-10-12 2010-04-14 中西金属工業株式会社 昇降機能付き搬送台車
KR100622066B1 (ko) * 2004-12-23 2006-09-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조립 공정용 대차 시스템
JP4549286B2 (ja) 2005-12-07 2010-09-22 トヨタ車体株式会社 搬送台車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463193C2 (ru) 2012-10-10
CN101678833B (zh) 2013-04-17
JP4978371B2 (ja) 2012-07-18
KR101297113B1 (ko) 2013-08-21
CA2680059C (en) 2013-03-12
JP2009051290A (ja) 2009-03-12
US8469651B2 (en) 2013-06-25
CA2680059A1 (en) 2009-03-05
US20100129187A1 (en) 2010-05-27
WO2009028299A1 (ja) 2009-03-05
RU2009141587A (ru) 2011-05-20
CN101678833A (zh) 2010-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7113B1 (ko) 대차 이용의 반송장치
KR101001677B1 (ko) 승강하는 피반송물 지지대를 구비한 반송장치
JP4314497B2 (ja) 搬送用走行体の上下経路切換装置
JP4189685B2 (ja) 台車式搬送装置
KR101426072B1 (ko) 이송대차
EP0703766B1 (en) Vehicle lifts
EP0553086B1 (en) Self elevating forklift truck
JP5110884B2 (ja) 手動走行式リフター
KR101252758B1 (ko) 주차설비
KR920001419Y1 (ko) 차량 정비용 승강기의 차륜고정장치
CN210176416U (zh) 一种车辆牵引设备
JPH0753530B2 (ja) 航空貨物の荷役装置
JPS6225597B2 (ko)
EP0501935B1 (en) Apparatus for handling motor vehicles in multiple parking-floor parking systems
KR100679464B1 (ko) 특장차량의 리프팅장치
JP3545539B2 (ja) 機械式立体駐車設備のパレット落下防止装置
JP2006199429A (ja) 移動式リフターにおけるリフター荷台の扉開閉装置
KR101085545B1 (ko) 컨테이너의 로딩/언로딩이 가능한 화차
JPH0744685Y2 (ja) 駐車装置
CN210812286U (zh) 骨灰盒推移卸载系统
JPH1111365A (ja) 駐輪装置における自転車定位置保持機構およびパレット上の自転車受払駆動機構
KR20110015135A (ko) 컨테이너의 로딩/언로딩이 가능한 화차
JP2525759Y2 (ja) 金型搬送台車
JP4233988B2 (ja) 連立型エレベータ式駐車装置
JP2649739B2 (ja) エレベータ式駐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