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3284B1 - 로킹장치 - Google Patents

로킹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3284B1
KR101173284B1 KR1020100065528A KR20100065528A KR101173284B1 KR 101173284 B1 KR101173284 B1 KR 101173284B1 KR 1020100065528 A KR1020100065528 A KR 1020100065528A KR 20100065528 A KR20100065528 A KR 20100065528A KR 101173284 B1 KR101173284 B1 KR 1011732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ing
pin
groove
horizontal
lifting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55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4836A (ko
Inventor
김덕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버다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버다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버다임
Priority to KR10201000655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3284B1/ko
Priority to CN201010500635XA priority patent/CN102310844A/zh
Publication of KR201200048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48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32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32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72Counterweights or supports for balancing lifting couples
    • B66C23/78Supports, e.g. outriggers, for mobile 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3Cranes with arms or jibs; Multiple cranes
    • B66C2700/0321Travelling cranes
    • B66C2700/0357Cranes on road or off-road vehicles, on trailers or towed vehicles; Cranes on wheels or crane-trucks
    • B66C2700/0378Construction details related to the travelling, to the supporting of the crane or to the blocking of the axles; Outriggers; Coupling of the travelling mechamism to the crane mechanism

Abstract

본 발명은 양측 상단에 제1단턱을 형성하도록 외측으로 돌출된 걸림부를 형성하고, 양측 하단에는 내측으로 경사진 제1경사면을 형성하며, 좌우방향으로 직선이송하는 수평부재와, 상부가 상기 제1단턱에 끼워져 상기 수평부재가 임의로 이송하지 못하도록 단속하는 승강핀과, 상기 승강핀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승강핀이 하강하면 원상태로 상승시키도록 마련된 탄성부재와, 상기 승강핀과 탄성부재를 내부에 수용하는 중공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하측에 형성되고, 하면에서 상부로 요입된 안내홈을 형성하되, 상기 안내홈은 상부로부터 하측으로 경사진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의 일측에 수평방향으로 요입형성된 고정홈과, 상기 고정홈의 타측에 하부로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부를 형성하는 고정부재와, 상기 승강핀의 하측에 측면과 수직방향으로 고정되고, 상기 안내홈에 끼워지는 레버를 포함하도록 구성되고, 크레인, 리프트와 같은 운송장치를 비롯한 각종 중장비가 작동 중 작업자의 조작없이 임의로 움직이는 등의 오작동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로킹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로킹장치{locking device}
본 발명은 로킹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펌핑카 및 크레인과 같은 중장비의 아우트리거가 운전자의 조작없이 지탱하던 중 임의로 치우치거나, 고정된 상태가 해제되는 등의 오작동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도록 단속하는 로킹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현장이나 토목현장에서 사용되는 굴삭기나 크레인 또는 콘크리트 펌핑카 등과 같은 중장비는, 그 고유의 작업을 수행하면서 무거운 물체를 지탱하거나 지지하는 경우에, 중장비 자체의 안정성을 보다 높이기 위해 중장비의 양측에 아우트리거가 설치되어 있다.
이 아우트리거는 중장비 자체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중장비에 의한 작업시 중장비가 어느 한 쪽으로 치우쳐지는 것을 방지하여 수평상태를 유지시켜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트럭크레인과 같은 이동식 크레인은, 이동중에 바퀴에 의해 크레인 자체가 지지되어지나, 크레인에 의해 기중기작업시 바퀴들만으로 크레인 자체를 충분히 지지시켜주지 못하므로, 상기한 아우트리거가 요구되는 것이다.
그러나 잦은 사용 및 시설 노후에 따른 오작동을 비롯하여 작업자의 조작 미숙으로 인해 작업도중에 콘크리트 펌핑차량 및 크레인을 지탱하던 아우트리거가 치우치거나, 접어서 이송하던 도중 임의로 펼쳐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 굴삭기나 크레인 또는 콘크리트 펌핑카를 비롯한 중장비의 아우트리거 동작을 안전하게 단속할 수 있는 로킹장치의 제공이 시급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콘크리트 펌핑카 및 크레인과 같은 중장비의 아우트리거가 운전자의 조작없이 지탱하던 중 임의로 치우치거나, 고정된 상태가 해제되는 등의 오작동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고, 레버를 조작하여 접거나, 지지하도록 펼칠 경우 완전히 접히거나, 펼쳐지고 나서 자동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로킹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양측 상단에 제1단턱을 형성하도록 외측으로 돌출된 걸림부를 형성하고, 양측 하단에는 내측으로 경사진 제1경사면을 형성하며, 좌우방향으로 직선이송하는 수평부재와, 상부가 상기 제1단턱에 끼워져 상기 수평부재가 임의로 이송하지 못하도록 단속하는 승강핀과, 상기 승강핀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승강핀이 하강하면 원상태로 상승시키도록 마련된 탄성부재와, 상기 승강핀과 탄성부재를 내부에 수용하는 중공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하측에 형성되고, 하면에서 상부로 요입된 안내홈을 형성하되, 상기 안내홈은 상부로부터 하측으로 경사진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의 일측에 수평방향으로 요입형성된 고정홈과, 상기 고정홈의 타측에 하부로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부를 형성하는 고정부재와, 상기 승강핀의 하측에 측면과 수직방향으로 고정되고, 상기 안내홈에 끼워지는 레버를 포함하되, 상기 수평부재를 이송하고자 할 경우, 상기 레버를 가이드부에 따라 하강시킨 뒤 상기 고정홈에 끼워 고정하고, 상기 제1경사면이 이송하면서 승강핀의 상부를 가압하여 상기 레버는 경사부를 따라 하강하게 되고 타측의 제1경사면을 따라 승강핀이 하강하면서 상기 레버 또한 상승하게 되고, 상기 승강핀을 최종적으로 타측의 제1단턱에 끼워져 수평부재의 이송을 단속하는 로킹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로킹장치에 따르면, 콘크리트 펌핑카 및 크레인과 같은 중장비의 아우트리거가 운전자의 조작없이 지탱하던 중 임의로 치우치거나, 고정된 상태가 해제되는 등의 오작동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고, 레버를 조작하여 접거나, 지지하도록 펼칠 경우 완전히 접히거나, 펼쳐지고 나서 자동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하여, 그에 따른 안전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어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로킹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로킹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수평부재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로킹장치의 부분절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로킹장치의 정방향으로의 구동 과정을 도시한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로킹장치의 역방향으로의 구동 과정을 도시한 정면도,
도 7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로킹장치의 다른 실시를 보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핀의 다른 실시를 보인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발명 로킹장치의 구성 및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로킹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로킹장치의 분해 사시도 이며, 도 3은 수평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로킹장치의 부분절개 정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로킹장치의 정방향으로의 구동 과정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로킹장치의 역방향으로의 구동 과정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로킹장치(10)는 수평방향으로 직선이송하는 수평부재(100), 상기 수평부재(100)의 이송을 단속하는 승강핀(200), 상기 승강핀(200)을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부재(300), 상기 승강핀(200)과 탄성부재(300)를 수용하는 본체(400), 상기 승강핀(200)에 고정되는 레버(600), 상기 레버(600)를 고정 및 해제하는 고정부재(500)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참고로, 본 발명의 로킹장치(10)는 움직임을 단속하여 임의로 이송하지 못하도록 크레인 및 콘크리트 펌핑카를 비롯하여 다양한 중장비에 적용될 수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이해를 돕기위해 콘크리트 펌핑카에 적용된 것을 일예로 들어 설명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로킹장치(10)는 콘크리트 펌핑카에 한정되는 건 아니며, 크레인을 비롯한 공지의 다양한 중장비에 적용될 수 있음을 분명히 밝혀두는 바이다.
상기 로킹장치(10)는 콘크리트 펌핑카에 고정되고, 아우트리거가 차량을 지탱하도록 지면과 수직으로 펼칠 경우, 펼쳐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고정하거나, 차량 이송을 위해 아우트리거를 접어서 고정할 경우, 주행 중 상기 아우트리거가 임의로 움직이지 못하도록 단속한다.
먼저, 상기 수평부재(100)는 양측 상단에 제1단턱(120, 120’)을 형성하도록 외측으로 돌출된 걸림부(110, 110’)를 형성하고, 양측 하단에는 내측으로 경사진 제1경사면(130, 130’)을 형성하며, 좌우방향으로 직선이송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수평부재(100)가 좌우방향을 비롯한 수평방향 이송하게되면 동시에 이송한다.
또한, 양측 상단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걸림부(110, 110’)를 형성하는데, 상기 걸림부(110, 110’)는 수평부재(100)의 측면과 제1단턱(120, 120’)을 형성하며, 상기 제1단턱(120, 120’)에 승강핀(200)의 상부가 끼워져 수평부재(100)가 임의로 이송하지 못하도록 고정하고 단속하도록 한다.
또, 양측 하단에는 내측으로 경사진 제1경사면(130, 130’)을 형성하여, 상기 수평부재(100)가 이송할 때, 제1경사면(130, 130’)을 따라 승강핀(200)이 하강하거나, 상승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1단턱(120, 120’)에 고정된 승강핀(200)이 제2경사면(150, 150’)을 따라 하강할 수 있도록 상기 승강핀(200)을 수평부재(100)의 측면(170, 170’)의 길이만큼 하강시켜 주는 작업이 필요하다. 상기와 같이 승강핀(200)을 측면(170, 170’)의 길이만큼 강제로 하강시켜주지 않으면 상기 승강핀(200)은 제1단턱(120, 120’)에 끼워진 상태로 고정되어 수평부재(100)가 이송되지 못하도록 고정한다.
승강핀(200)은 상부가 상기 제1단턱(120, 120’)에 끼워져 상기 수평부재(100)가 임의로 이송하지 못하도록 단속하는 구성이다.
상기 승강핀(200)은 원주형태를 취하며, 승강하면서 상기 수평부재(100)의 좌우이송을 단속한다.
상기 승강핀(200)이 최대한으로 상승하게되면 상기 수평부재(100)의 제1단턱(120)에 끼워져 수평부재(100)가 이송하지 못하도록 고정하다가, 상기 승강핀(200)을 측면(170)의 길이만큼 하강하도록 조작하고, 수평부재(100)를 이송시키면 상기 제1경사면(130)에 의해 제1경사면(130)의 높이만큼 승강핀(200)은 추가적으로 하강되고, 수평부재(100)는 계속해서 이송된다.
상기와 같은 수순에 의해 이송되다가 타측의 제1경사면(130’)에 의해 승강핀은 제1경사면(130’)의 높이만큼 상승하고, 타측의 측면(170’)의 길이만큼 상승하여 사용자의 조작이 없는 한, 지속적으로 수평부재(100)의 타측 제1단턱(120’)에 끼워져 수평부재(100)가 이송하지 못하도록 고정한다.
참고로, 상기 승강핀(200)의 상측 모서리는 제1경사면(130, 130’)의 경사와 대응하도록 경사진 테이퍼부(250)를 형성하여 제1경사면(130, 130’)에 의해 승강하는 과정이 보다 순조롭게 진행될 수 있도록 한다.
탄성부재(300)는 상기 승강핀(200)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승강핀(200)이 하강하면 원상태로 상승시키도록 마련된다.
상기 승강핀(200)이 제1경사면(130)을 따라 하강하더라도, 타측 제1경사면(130’) 및 측면(170’)을 따라 자동적으로 상승할 수 있도록 승강핀(200)을 상측으로 밀어내 복귀시킨다.
상기 탄성부재(300)는 스프링을 비롯한 탄성을 구비하는 공지의 다양한 수단이 적용될 수 있다.
본체(400)는 상기 승강핀(200)과 탄성부재(300)를 내부에 수용하는 구성으로, 중공의 형태를 취한다.
상기 승강핀(200)이 원주의 형태를 취한다고 가정하면, 상기 본체 또한 중공관의 형태를 취한다.
상기 본체(400)는 상기 승강핀(200)이 일직선으로 승강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작용을 함과 동시에 탄성부재(300)를 내장하여 케이스로서의 작용을 수반한다.
고정부재(500)는 상기 본체(400)의 하측에 형성되고, 하면에서 상부로 요입된 안내홈(510)을 형성하되, 상기 안내홈(510)은 상부로부터 하측으로 경사진 가이드부(520)와, 상기 가이드부(520)의 일측에 수평방향으로 요입형성된 고정홈(530)과, 상기 고정홈(530)의 타측에 하부로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부(540)를 형성하여 구성된다.
참고로, 상기 고정부재(500)는 본체(400)와 별도로 마련되고, 상호 결합된 형태를 취할 수 있지만,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고정부재(500) 역시 본체(400)와 마찬가지로 중공관의 형태를 취할 수 있고, 일측에는 하면에서 상부로 요입된 안내홈(510)이 형성되는 데, 상기 안내홈(510)은 대체적으로 삼각형의 형태를 취한다.
레버(600)는 상기 승강핀(200)의 하측에 측면과 수직방향으로 고정되는 것으로, 상기 안내홈(510)에는 레버(600)가 끼워져 고정되며, 상기 레버(600)에는 레버(600)의 조작을 돕기위한 별도의 손잡이(80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내홈(510)의 작용으로 승강핀(200)의 최대 상승위치가 제한될 수 있고, 안내홈(510)의 가이드부(520), 고정홈(530), 경사부(540)의 작용으로 레버(600)가 안내되고,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먼저, 상기 레버(600)가 안내홈(510)의 최상단에 위치해 있을 경우 승강핀(200) 또한, 수평부재(100)의 제1단턱(120)에 위치하도록 최대한으로 상승된다. 이 경우 수평부재(100)는 상기 승강핀(200)의 작용으로 이송하지 못하게 고정된 상태이고, 만약 상기 수평부재(100)를 이송하고자 할 경우, 상기 레버(600)를 가이드부(520)를 따라 경사지도록 하강시킨뒤, 고정홈(530)에 끼워 고정시킨다. 상기 레버(600)가 고정홈(530)에 끼워져 고정되면, 상기 승강핀(200)의 최상단은 수평부재(100)의 제1경사면(130)에 위치한다.
따라서, 수평부재(100)는 직선이송하게되고, 이 과정에서 제1경사면(130)에 의해 승강핀(200)이 캠방식으로 하강한다.
상기 승강핀(200)이 하강하면서 고정홈(530)에 끼워졌던 레버(600)는 경사부(540)를 따라 경사지도록 하강하게되고, 수평부재(100)는 계속해서 이송하게된다.
이때, 상기 레버(600)의 이동이 보다 매끄럽게 이어지도록 상기 가이드부(520)와 고정홈(530) 및 경사부(540)의 각 연결부분은 곡선으로 처리되어야 한다.
상기 고정홈(530)에서 해제된 레버(600)는 하강된 상태를 유지하다가 수평부재(100)의 타측 제1경사면(130’)에 의해 승강핀(200)이 상승하게되면, 동시에 제1경사면(130’)의 높이만큼 상승하고, 승강핀(200)이 타측의 측면(170’)을 따라 상승하면, 동시에 상승하여 안내홈(510)의 최상단으로 위치하고, 승강핀(200)은 상기 레버(600)를 조작하지 않는 이상 계속해서 수평부재(100)의 이송을 단속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승강핀(200)의 상승은 탄성부재(300)에 의해 자동적으로 이루어진다.
다시 설명하면, 상기 수평부재(100)를 이송하고자 할 경우, 상기 레버(600)를 가이드부(520)에 따라 하강시킨 뒤 상기 고정홈(530)에 끼워 고정하고, 상기 제1경사면(130)이 이송하면서 승강핀(200)의 상부를 가압하여 상기 레버(600)는 경사부(540)를 따라 하강하게 되어 고정홈(530)에 끼워진 상태가 해제되며 타측의 제1사면(130’)을 따라 승강핀(200)이 상승하면서 상기 레버(600) 또한 상승하게 되고, 승강핀(200)이 타측의 측면(170’)을 따라 완전히 상승하게 되면 상기 승강핀(200)을 최종적으로 타측의 제1단턱(120’)에 끼워져 수평부재(100)의 이송을 단속하게 된다.
또한, 상기 수평부재(100)의 이송은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송하거나 반대로 우측에서 좌측으로 이송할 수 있으며, 도 5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승강핀(200)은 수평부재(100)의 정방향 및 역방향 모두 이송하는 것을 단속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평부재(100)는 상기 양측의 제1경사면(130, 130’) 사이에 상부로 요입된 요홈(140)을 형성하되, 상기 요홈(140)은 양측에 상호 마주보도록 경사진 제2경사면(150, 150’)과, 상기 제2경사면(150, 150’)의 상부끼리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수평부(160)를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제2경사면(150)을 따라 승강핀(200)이 상승하고 타측의 제2경사면(150’)을 따라 승강핀(200)이 하강하게 되는 것이며, 이 과정에서 레버(600)는 승강핀(200)을 따라 승강할 뿐이지 고정홈(530)에 끼워져 고정되지는 않는다.
상기와 같이 요홈(140)을 형성하는 이유는 수평부재(100)를 경량화하고, 재료비를 절감하기 위한 목적과 더불어, 상기 승강핀(200), 탄성부재(300), 레버(600)가 요홈(140)의 제2경사면(150, 150’)을 따라 지속적으로 움직이도록 하여, 기게적 성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고정부재(500)의 안내홈(510)은 상기 가이드부(520), 고정홈(530), 경사부(540)가 양측에 대칭되게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가이드부(520), 고정홈(530), 경사부(540)가 양측에 마련될 경우, 어느 한 방향에만 형성될 경우 보다 번갈아 가면서 사용할 수 있어 조작하는 데 있어서, 방향의 제한을 받지 않으며, 어느 한쪽의 가이드부(520), 고정홈(530), 경사부(540)가 손상되거나 문제가 발생하더라도, 다른쪽을 사용하면 되므로 만일의 사태에 대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탄성부재(300)는 코일스프링으로 구비되고, 상기 승강핀(200)은 상기 탄성부재(300)에 내삽되고 상기 레버(600)가 고정되는 연장부(210)를 하부에 연장 형성하되, 상기 연장부(210)는 상기 승강핀(200)과 제2단턱(220)을 형성하도록 승강핀(200)보다 작은 직경을 구비하고, 상기 연장부(210)에는 상기 탄성부재(300)를 지지하는 링부재(230)가 끼워지되, 상기 링부재(230)는 상기 제2단턱(220)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승강핀(200) 및 연장부(210)는 원주의 형태를 취하므로, 상기 코일스프링으로 마련된 탄성부재(300)에 안정적으로, 내삽될 수 있다.
상기 연장부(210)는 탄성부재(300)에 내삽되므로, 연장부(210)의 직경은 탄성부재(300)의 내경보다 작게형성되고, 상기 탄성부재(300)는 본체(400)에 내삽되므로, 본체(400)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연장부(210)는 승강핀(200)의 일부분이긴 하지만, 연장부(210)는 상호 승강핀(200)에 비해 작은 직경을 구비하여 연장부(210)와 승강핀 사이에는 제2단턱(220)이 형성된다.
상기 제2단턱(220)에는 링부재(230)가 끼워지는데, 상기 링부재(230)의 내경은 승강핀(200)의 외경보다 작고, 외경은 탄성부재(300)의 외경보다 크고, 본체(400)의 내경보다 작다.
또한, 상기 코일스프링으로 마련된 탄성부재(300)의 상측은 링부재(230)에 의해 지지되고, 하측은 고정부재(500)에 의해 지지되는데, 상기 고정부재(500)의 상측에는 상기 링부재(230)와 같은 역할을 하도록 상기 탄성부재(300)보다 큰 외경을 갖는 링부재(240)가 끼워져 고정부재(500)에 의해 탄성부재(300)가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탄성부재(300)가 링부재(230)를 상부로 밀어내면, 링부재(230)는 제2단턱(220)에 지지되면서 제2단턱(220)을 밀어내게 되고, 최종적으로 승강핀(200)이 상승하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본체(400)와 승강핀(200) 사이에는 상기 승강핀(200)이 일직선으로 승강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 링(700)이 추가로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링(700)은 승강핀(200)이 승강하는 과정에서 흔들리지 않고 일직선으로 승강할 수 있도록 안내함과 동시에, 본체(400)에 수용된 링부재(230, 240) 및 탄성부재(300)가 외부로 이탈하거나, 외부의 이물질이 본체(400)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본체(400) 내부와 외부를 차단하는 커버로서 역할을 한다.
한편, 도 7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로킹장치의 다른 실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핀의 다른 실시를 보안 사시도로서, 상기 도 7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고정부재(500)는 상기 고정홈(530)과 수평하도록 양측면에 한쌍의 장공(550)을 형성하고, 상기 장공(550)에는 상기 승강핀(200)의 하단을 지지하여 승강핀(200)의 하강을 단속하는 안전핀(900)이 끼워진다.
상기와 같이 장공(550)에 안전핀(900)이 끼워질 경우, 상리 레버(600)를 조작하여 승강핀(200)을 수동하강시켜려고 해도 안전핀(900)에 의해 승강핀(200)의 하단이 지지되어 하강할 수 없다. 따라서, 1차로 안전핀(900)을 해제하고, 2차로 레버(600)를 조작해야만 승강핀(200)이 하강되고, 수평부재(100)가 이송할 수 있어, 레버(600)로만 조작할 때 보다 안전하고 정확한 조작을 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승강핀(200)은 하부측면에 둘레를 따라 내측으로 요입된 승강홈(260)을 마련하고, 상기 승강핀(200)이 하강된 상태에서 상기 안전핀(900)은 장공(550)과 승강홈(260)에 끼워져, 상기 승강핀(200)이 상기 승강홈(260)의 길이만큼만 승강하여 승강핀(200)이 수평부재(100)의 단속을 지속적으로 해제할 수 있게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승강핀(200)이 수평부재(100)의 제1경사면(130, 130’)과 접하도록 하강된 상태에서 안전핀(900)이 장공(550)과 승강홈(260)에 끼워질 경우, 상기 승강핀(200)은 안전핀(900)에 의해 승강높이가 제한된다.
따라서, 상기 탄성부재(300)가 승강핀(200)을 밀어내더라도, 상기 승강핀(200)은 승강홈(260)의 높이만큼만 승강할 수 있어, 승강핀(200)의 최상단은 수평부재(100)의 측면(170, 170’)보다 아래에 위치하게 되고, 결과적으로는 수평부재(100)가 승강핀(200)의 간섭을 받지않고 자유자재로 이송할 수 있게된다.
참고로, 상기 승강핀(200)에 연장부(210)가 형성될 경우, 상기 승강홈(260)은 연장부(210)에 형성됨이 바람직 하고, 상기 본체(400)의 외측면에는 내부에 수용된 승강핀(200) 및 탄성부재(300)의 구동이 매끄럽게 진행되도록 윤활유를 주입하는 오일주입부(410)가 별도로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로킹장치 100 : 수평부재
110, 110’ : 걸림부 120, 120’ : 제1단턱
130, 130’ : 제1경사면 140 : 요홈
150, 150’ : 제2경사면 160 : 수평부
200 : 승강핀 210 : 연장부
220 : 제2단턱 230 : 링부재
300 : 탄성부재 400 : 본체
500 : 고정부재 510 : 안내홈
520 : 가이드부 530 : 고정홈
540 : 경사부 550 : 장공
600 : 레버 700 : 가이드링
800 : 손잡이 900 : 안전핀

Claims (7)

  1. 양측 상단에 제1단턱을 형성하도록 외측으로 돌출된 걸림부를 형성하고, 양측 하단에는 내측으로 경사진 제1경사면을 형성하며, 좌우방향으로 직선이송하는 수평부재;
    상부가 상기 제1단턱에 끼워져 상기 수평부재가 임의로 이송하지 못하도록 단속하는 승강핀;
    상기 승강핀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승강핀이 하강하면 원상태로 상승시키도록 마련된 탄성부재;
    상기 승강핀과 탄성부재를 내부에 수용하는 중공의 본체;
    상기 본체의 하측에 형성되고, 하면에서 상부로 요입된 안내홈을 형성하되, 상기 안내홈은 상부로부터 하측으로 경사진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의 일측에 수평방향으로 요입형성된 고정홈과, 상기 고정홈의 타측에 하부로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부를 형성하는 고정부재;
    상기 승강핀의 하측에 측면과 수직방향으로 고정되고, 상기 안내홈에 끼워지는 레버;를 포함하되,
    상기 수평부재를 이송하고자 할 경우, 상기 레버를 가이드부에 따라 하강시킨 뒤 상기 고정홈에 끼워 고정하고, 상기 제1경사면이 이송하면서 승강핀의 상부를 가압하여 상기 레버는 경사부를 따라 하강하게 되고 타측의 제1경사면을 따라 승강핀이 상승하면서 상기 레버 또한 상승하게 되고, 상기 승강핀을 최종적으로 타측의 제1단턱에 끼워져 수평부재의 이송을 단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킹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부재는,
    상기 양측의 제1경사면 사이에 상부로 요입된 요홈을 형성하되, 상기 요홈은 양측에 상호 마주보도록 경사진 제2경사면과, 상기 제2경사면의 상부끼리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수평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킹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의 안내홈은,
    상기 가이드부, 고정홈, 경사부가 양측에 대칭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킹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코일스프링으로 구비되고,
    상기 승강핀은 상기 탄성부재에 내삽되고 상기 레버가 고정되는 연장부를 하부에 연장 형성하되, 상기 연장부는 상기 승강핀과 제2단턱을 형성하도록 승강핀보다 작은 직경을 구비하고,
    상기 연장부에는 상기 탄성부재를 지지하는 링부재가 끼워지되, 상기 링부재는 상기 제2단턱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킹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와 승강핀 사이에는 상기 승강핀이 일직선으로 승강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 링이 추가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킹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고정홈과 수평하도록 양측면에 한쌍의 장공을 형성하고,
    상기 장공에는 상기 승강핀의 하단을 지지하여 승강핀의 하강을 단속하는 안전핀이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킹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핀은 하부측면에 둘레를 따라 내측으로 요입된 승강홈을 마련하고,
    상기 승강핀이 하강된 상태에서 상기 안전핀은 장공과 승강홈에 끼워져, 상기 승강핀이 상기 승강홈의 길이만큼만 승강하여 승강핀이 수평부재의 단속을 지속적으로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킹장치.
KR1020100065528A 2010-07-07 2010-07-07 로킹장치 KR1011732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5528A KR101173284B1 (ko) 2010-07-07 2010-07-07 로킹장치
CN201010500635XA CN102310844A (zh) 2010-07-07 2010-09-29 锁定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5528A KR101173284B1 (ko) 2010-07-07 2010-07-07 로킹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4836A KR20120004836A (ko) 2012-01-13
KR101173284B1 true KR101173284B1 (ko) 2012-08-10

Family

ID=454245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5528A KR101173284B1 (ko) 2010-07-07 2010-07-07 로킹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173284B1 (ko)
CN (1) CN10231084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2215534A1 (de) * 2012-08-31 2014-03-06 Putzmeister Engineering Gmbh Verriegelungsvorrichtung
KR101503018B1 (ko) * 2013-08-20 2015-03-17 주식회사 프로텍 Led 칩용 형광 필름 픽업 장치
CN103818837A (zh) * 2013-12-28 2014-05-28 黄建新 一种行车锁定器
CN105128830B (zh) * 2015-09-14 2018-02-16 厦门厦工机械股份有限公司 支腿锁止装置及具有该支腿锁止装置的工程机械
CN106494371B (zh) * 2016-11-22 2019-03-15 三一汽车制造有限公司 一种工程机械及其支腿锁止装置
CN106698214B (zh) * 2016-12-19 2019-11-12 三一帕尔菲格特种车辆装备有限公司 活动支腿锁紧装置、随车起重机支腿及随车起重机
CN110304591B (zh) * 2019-06-13 2024-04-19 成都思源兄弟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升降设备的自动锁位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46239A (ja) 2006-03-16 2007-09-27 Tadano Ltd 移動式クレーンのアウトリガ装置
KR100834721B1 (ko) 2007-03-31 2008-06-03 송일기 철도차량용 컨테이너 록킹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98230A (ja) * 2005-04-22 2006-11-02 Aono:Kk 昇降付き台車の係止装置
CN2789086Y (zh) * 2005-04-30 2006-06-21 徐州重型机械有限公司 混凝土泵车支腿锁止装置
CN201095160Y (zh) * 2007-06-07 2008-08-06 三一重工股份有限公司 混凝土泵车支腿锁止装置
JP4978371B2 (ja) * 2007-08-24 2012-07-18 株式会社ダイフク 台車利用の搬送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46239A (ja) 2006-03-16 2007-09-27 Tadano Ltd 移動式クレーンのアウトリガ装置
KR100834721B1 (ko) 2007-03-31 2008-06-03 송일기 철도차량용 컨테이너 록킹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310844A (zh) 2012-01-11
KR20120004836A (ko) 2012-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3284B1 (ko) 로킹장치
KR100704310B1 (ko) 건설기계의 승강용 래더장치
US20140264215A1 (en) Scissors lift assembly for jacking tower
ITUA20163540A1 (it) Carrello trainabile per il trasporto di attrezzature.
KR101142839B1 (ko) 외벽마감공사용 작업대장치
JP4556136B2 (ja) 転落防止具及びその使用方法、並びに転落防止柵及びその使用方法
JP2015196572A (ja) エレベータのかご上安全装置
KR20130002481U (ko) 작업용 안전발판
KR200406369Y1 (ko) 차량용 리프트의 다용도 스토퍼
ITMI20011722A1 (it) Piattaforma elevatrice a pantografo con dispositivi di autosollevamento per lo spostamento
SU901226A1 (ru) Подъемник
JP3194282U (ja) 吊り具の荷を垂直に昇降し、移動できる簡易ジャッキ装置
KR101126779B1 (ko) 반자동 샤클
JP5632214B2 (ja) 巻上機
JP3889014B2 (ja) 貨物トラック用荷台昇降タラップ
CN104030203A (zh) 支架和升/降设备总成
CN219567405U (zh) 一种顶销顶起装置
KR20140000270U (ko) 핸드레일장치가 구비된 이동식 사다리
JP6131127B2 (ja) アウトリガ装置におけるジャッキ操作制限装置
KR101230577B1 (ko) 사다리차의 승강기용 보조레일
JP2002213095A (ja) 駐車場用昇降式収納棚
KR101894515B1 (ko) 고소작업차용 바스켓
JP6791765B2 (ja) 移動台車の安定性確保装置
JP3200176U (ja) 貨物爪突き事故防止用フォークリフトアタッチメント
JP3190472U (ja) トレーラー荷台用ハシ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