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40310A - 도어용 작동 핸들 - Google Patents

도어용 작동 핸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40310A
KR20100040310A KR1020107002277A KR20107002277A KR20100040310A KR 20100040310 A KR20100040310 A KR 20100040310A KR 1020107002277 A KR1020107002277 A KR 1020107002277A KR 20107002277 A KR20107002277 A KR 20107002277A KR 20100040310 A KR20100040310 A KR 201000403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handle
stop element
stop
lock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22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인츠-엑하르트 엥엘
루돌프 슈티거
엘리아스 카르누치
크리스티안 요셉 슈테판 초이스
Original Assignee
호페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페 아게 filed Critical 호페 아게
Publication of KR201000403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03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9/00Lock casings or latch-mechanism casings ; 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to the wing
    • E05B9/08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e.g. the casings of latch-bolt locks or cylinder locks to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3/00Devices preventing the key or the handle or both from being used
    • E05B13/002Devices preventing the key or the handle or both from being used locking the handle
    • E05B13/004Devices preventing the key or the handle or both from being used locking the handle by locking the spindle, follower,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3/00Fastening knobs or handles to lock or latch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02Locks for railway freight-cars, freight containers or the like; Locks for the cargo compartments of commercial lorries, trucks or v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02Striking-plates; Keepers; Bolt staples; Escutche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007Devices for reducing friction between lock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3/00Fastening knobs or handles to lock or latch parts
    • E05B3/06Fastening knobs or handles to lock or latch parts by means arranged in or on the rose or escutcheon
    • E05B3/065Fastening knobs or handles to lock or latch parts by means arranged in or on the rose or escutcheon with spring biasing means for moving the handle over a substantial distance, e.g. to its horizontal pos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035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privacy rooms, e.g. bathroo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2/00Closure fasteners
    • Y10T292/57Operators with knobs or han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지 요소를 갖는 도어용 작동 핸들에 관한 것이다. 정지 요소는 도어에 고정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고정 요소와, 도어의 작동 및/또는 도어에 배치된 잠금 장치의 작동을 위한 핸들을 갖는다. 정지 요소의 종축에 대해 수직으로 잠금 장치에 그리고/또는 잠금 장치 내에 고정될 수 있도록 배치 및/또는 형성된 고정 요소는 정지 요소에 연결되며 도어의 측면을 관통해서 잠금 장치 내로 도입될 수 있다. 이로써 작동 핸들의 조립은 간단해지며, 각각의 조립 상황과 무관하게 가급적 공구 없이 실행될 수 있다.

Description

도어용 작동 핸들 {ACTUATING HANDLE FOR A DOOR}
본 발명은 청구범위 제1항의 전제부에 따른 도어용 작동 핸들과, 제41항에 따른 도어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도어는 경첩(힌지)에 의해 도어 프레임(문틀)에 힌지 연결된 도어 문짝을 갖는다. 도어 문짝에는 잠금 장치, 예컨대 잠금면에서 도어 문짝의 단부면에 끼워 넣어진 모티스 락(mortise lock)이 통합된다. 모티스 락은, 모티스 락의 하우징에 고정 연결되고 나사에 의해 도어 문짝의 단부면에 나사 조임되는 락 케이스(lock case) 스트립에 의해 고정된다. 도어 및/또는 잠금 장치의 작동을 위해, 그립 핸들(손잡이) 또는 도어 노브와 같은 핸들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도어 금속 피팅부가 도어 문짝에 측방향으로 조립된다.
각각의 도어 금속 피팅부는 나사를 이용하여 도어 문짝의 측면 상에 고정된 고정 플레이트 형태의 정지 요소를 갖는다. 나사는 도어 문짝의 측면에 직접 조여진다. 그러나 도어 문짝뿐만 아니라 모티스 락을 자유로이 관통해서 돌출하며 대향 배치된 각각의 정지 플레이트 내에 맞물리는 미터 나사(metric thread)를 대부분 구비한 나사 볼트의 사용도 공지되어 있다. 나사 볼트에는 적합한 너트 또는 나사 슬리브가 제공된다. 금속 피팅부가 그 종축에 대해 수직으로 도어 문짝 상에 위치 고정되도록, 나사에 대해 동심으로 마찬가지로 도어 문짝 내에 맞물리는 지지 캠이 정지 요소의 후방면에 형성된다. 고정 플레이트 상에 장착될 수 있는 커버 요소는 전체 고정 요소들을 커버한다. 커버 요소는 정지 플레이트와 함께 예컨대 원형 로제트 또는 긴 도어 플레이트를 형성한다.
대부분 핸들은 회전 및/또는 선회 가능하게 정지 플레이트 내에 지지되며, 도어 문짝의 양쪽 면에 배치된 2개의 손잡이는 종동 핀(사각 핀)에 의해 도어와 모티스 락을 통과하여 축방향으로 고정되고 회전 불가능하게 서로 연결된다. 종동 핀은 모티스 락 내에 선회 가능하게 지지된 락 너트를 관통해서 돌출하며, 락 너트는 축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지지된 래치 볼트와 내부 메카닉에 의해 상호 작용한다.
도어의 래칭을 위해서는, 별도의 핸들에 의해 작동할 수 있는 데드 볼트(dead bolt)를 구비한 추가의 래칭 장치가 주로 제공된다. 데드 볼트는 핸들 또는 래치 볼트의 이동을 블로킹하거나 락 케이스 스트립을 관통해서 도어 프레임의 에지 플레이트 내에 맞물린다. 별도의 핸들은 예컨대 키 또는, 욕실 또는 화장실 도어의 경우 잠금 키일 수 있다.
모티스 락을 수용하기 위해, 도어 문짝의 단부면에 포켓이 밀링된다. 포켓에 대해 수직으로, 도어 문짝의 측면에는 대향 배치된 2개의 리세스들이 위치하며 상기 리세스를 통해 종동 핀을 위한 락 너트에 접근할 수 있다. 도어 문짝의 측면의 추가의 리세스들은 필요에 따라 래칭 장치에 대한 접근을 보장한다.
금속 피팅부의 조립 전, 모티스 락은 우선 이를 위해 도어 문짝에 제공된 포켓 내에 삽입되어 락 케이스 스트립이 도어 문짝에 대해 정렬된다. 후속해서 락 케이스 스트립은 도어의 단부면에 나사 조임되므로, 모티스 락은 도어 문짝에 고정된다. 후속해서 고정 플레이트가 우선 도어 문짝와 나사 조임됨으로써, 측방향 도어 문짝에는 금속 피팅부가 고정된다. 이를 위해서는 지지 캠과 관통 볼트를 위한 추가의 보어들이 도어 문짝에 먼저 형성되어야 한다. 고정 플레이트의 고정 후 핸들이 삽입되며, 종동 핀은 락 너트를 관통해서 삽입되고 핸들은 통상적으로 핸들의 핸들 넥에 형성된 스터드 나사에 의해 종동 핀에 대해 고정된다. 마지막으로 커버 요소가 고정 플레이트 상에 배치되어 이와 함께 로킹된다.
상기 장치의 중요한 단점은 금속 피팅부의 전체 조립이 비교적 복잡하다는 데 있다. 각각의 조립 상황에 따라 도어 문짝의 리세스들 및/또는 정지 요소를 위한 보어들을 대부분 현장에서 드릴링 지그를 사용하여 손으로 복잡하게 별도로 형성해야 하므로 제조 비용 및 조립 비용에 바람직하지 못한 영향을 미친다. 완성될 드릴링 패턴에 대한 요구 조건이 비교적 높다는 점에 의해 또 다른 문제점들이 종종 발생하는데, 이는 기술자가 형성한 드릴링 패턴이 시간적 압박 및 다른 상황으로 인해 원하는 요구 조건에 항상 부합하지는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금속 피팅부의 장착 시 시각적으로 받아들일 수 없는 결과 즉, 금속 피팅부가 최종적으로 기울어지게 안착되거나 손상되어버리는 결과를 초래하는 결함이 종종 발생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의 상기 단점 및 또 다른 단점들을 극복해서, 간단한 수단을 이용하여 비용 면에서 유리하게 구성되고 현저히 낮은 비용으로 가급적 공구 없이 조립될 수 있는 도어용 작동 핸들을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조립 시간의 단축 및 간단하면서 신속한 취급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중요한 목적은, 마찬가지로 간단하고 비용 면에서 유리하게 구성되며 본 발명에 따른 작동 핸들의 사용에 적합한 도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체 조립은 특수한 전문적 지식 없이도 가능하면서 시간 소요를 현저히 줄여야 한다.
본 발명의 주요 특징들은 청구범위 제1항의 특징부와 제41항에 기재되어 있다. 실시예들은 제2항 내지 제40항과, 제42항 내지 제72항의 대상이다.
하나 이상의 고정 요소에 의해 도어에 고정될 수 있는 정지 요소와, 도어의 작동 및/또는 도어에 배치된 잠금 장치의 작동을 위한 핸들을 구비한 도어용 작동 핸들의 경우, 본 발명에서 고정 요소는 정지 요소에 연결되며 도어의 측면을 관통해서 잠금 장치 내로 도입될 수 있고, 이 경우 고정 요소는, 정지 요소의 종축에 대해 평행하게 잠금 장치에 그리고/또는 잠금 장치 내에 고정될 수 있도록 배치 및/또는 형성된다.
이례적으로 간단한 상기 장치에 의해, 작동 핸들의 정지 요소는 지금까지 종래 기술에서와 같이 통상적으로 캠과 나사를 사용하여 도어 문짝에 더 이상 고정되지 않으며, 오히려 정지 요소는 대부분 이미 공장 측에서 도어에 사전 조립된 잠금 장치 내에 고정되거나 잠금 장치에 의해 고정된다. 잠금 장치는 정지 요소의 고정 요소를 바람직하게 형태 결합식 및/또는 마찰 결합식으로 수용하며 이로써 정지 요소의 종축에 대한 수직 방향으로, 이로써 도어 문짝의 평면 내에서 반경 방향으로, 이와 동시에 유격 없이 상기 고정 요소를 고정한다. 따라서 금속 피팅부의 고정을 위한 지지 캠 또는 나사는 더 이상 필요하지 않다. 그 결과 금속 피팅부의 조립 중에도 도어 문짝 내에 더 이상 어떠한 보어도 손으로 형성하지 않아도 된다. 고정 요소의 관통을 위해 도어에 요구되는 리세스들은 잠금 장치를 위한 리세스들과 함께 공통으로 이미 공장 측에서 구현될 수 있으므로, 이 점도 제조 비용을 더욱 낮춘다. 이로써 현장에서의 조립 시간은 도어 문짝의 측면 상에 정지 요소를 측방향으로 장착하는 시간과, 이와 동시에 축방향 고정을 돕는 핸들을 조립하는 시간으로 줄어든다. 추가의 조립 단계들은 필요하지 않다. 조립 결함이 전반적으로 배제된다.
이와 같은 통상적이지 않은 구성 방식의 경우, 핸들로부터 정지 요소로, 정지 요소로부터 잠금 장치로, 잠금 장치로부터 (락 케이스 스트립에 의해) 도어 문짝로 흐르는, 상이하게 발생하는 동력 흐름은 전반적인 테스트에서 어떠한 취약점도 나타내지 않았다. 오히려 작동 핸들은 항상 영구적으로 그리고 확실하게 도어 문짝에 조립된다. 특히 작동 핸들은 예컨대 공용 시설에서 발생하는 보다 센 횡력과 토크도 영구적으로 견딘다. 이로써 종래의 통상적인 복잡한 로제트 나사 조임은 불필요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정지 요소가 플랫 본체로서 형성되면, 정지 요소의 구조 높이가 단지 낮기 때문에 완전히 새롭게 구성될 수 있다. 커버 캡이 장착된 종래의 통상적인 서브 구조부는 더 이상 필요하지 않으며, 이는 제조 비용뿐만 아니라 조립 시간도 줄인다.
적어도 정지 요소의 에지면이 스텝형으로 형성되면 또 다른 변형예가 구현된다. 이로써 정지 요소는 도어 문짝에 납작하게 지지되거나 적어도 부분적으로 도어 문짝 안에 매립될 수 있으므로, 그 외형은 매우 매끄러우며 드러나지 않는다. 그럼에도 필요에 따라서는, 정지 요소에 형성되거나 별도의 요소로서 장착되는 프로파일 요소 또는 장식 요소를 정지 요소에 제공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 정지 요소는, 고정 요소가 배치된 적어도 섹션별로 평평한 후방면을 갖는다. 고정 요소는 예컨대 용접, 납땜 또는 접착에 의해 재료 결합식으로 정지 요소에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고정 요소를 정지 요소와 일체로도 형성하거나, 분리 가능하게 정지 요소에 고정할 수 있다. 정지 요소의 전방면에서 더 이상 고정 요소를 시각적으로 볼 수 없으므로 추가의 커버 요소가 필요하지 않다는 점이 중요하다. 이로써 제조 비용이 더욱 줄어들면서도 물품 관리 및 조립은 현저히 간단해진다.
바람직하게 고정 요소는 정지 요소의 종축에 대해 평행하게 형성되므로, 고정 요소는 항상 정확하고 유격 없이 잠금 장치 내에 맞물릴 수 있다. 또한 고정 요소는 핀 또는 슬리브형으로 형성되며, 횡단면은 원형 또는 각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각진 형태의 횡단면은 이미 회전 방지부를 형성하게 된다.
최적의 동력 흐름을 보장하기 위해, 고정 요소는 작동 핸들이 조립된 상태일 때 잠금 장치를 적어도 섹션별로 관통해서 돌출하도록 또한 형성된다. 따라서 고정 요소는, 정지 요소가 유격 및 불량 없이 위치 고정되도록 잠금 장치 내에 항상 충분히 지지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이한 잠금 장치들에 맞게 작동 핸들을 조정할 수 있도록, 예컨대 고정 요소 상에 부시, 슬리브 등을 장착하거나 끼움으로써 고정 요소의 치수를 변동시킬 수 있다. 잠금 장치에 제공된 관통구들의 직경에 따라 적합한 부시 또는 슬리브를 선택할 수 있다. 이는 잠금 장치 내에 또는 잠금 장치에 고정 요소가 항상 형태 결합식 및/또는 마찰 결합식으로 안착되는 것을 보장한다.
도어 문짝에 대해 정지 요소가 회전되거나 움직일 수 없도록, 2개 이상의 고정 요소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중요한 실시예에서 고정 요소들은 보완적으로 형성되며, 즉 각각 2개의 고정 요소들은 플러그 장치와 같이 서로 맞물릴 수 있거나 하나의 일체형의 고정 요소에 대해 보완 수단이 될 수 있다. 또한 정지 요소들이 도어의 우측 측면 또는 좌측 측면 상에 조립되는지와 무관하게 전체 정지 요소들이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는 점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하나 이상의 고정 요소는 슬리브로서,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고정 요소는 핀으로서 형성되며, 각각의 슬리브의 내부 직경은 핀의 외부 직경에 상응한다. 이로써 핀은 슬리브 내에 형태 결합식 및/또는 마찰 결합식으로 수용되는 반면, 슬리브는 형태 결합식 및/또는 마찰 결합식으로 잠금 장치 내에 맞물릴 수 있다. 이로써 정지 요소는 추가의 고정 요소 또는 보호 요소 없이, 또는 심지어 공구 없이도, 금속 피팅부의 종축에 대해 수직으로 항상 유격 및 불량 없이 도어 문짝에 고정된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각각의 고정 요소는, 정지 요소의 종축에 대해 수직으로 잠금 장치에 및/또는 잠금 장치 내에 고정될 수 있는 하나의 핀형 또는 슬리브형 요소를 형성하는 2개의 동일한 부분 본체들로 형성된다. 쌍을 이루어 서로 보완하는 요소들은 마찬가지로 정지 요소를 도어 문짝 상에 유격 없이 고정한다.
도어 또는 도어 문짝을 작동할 수 있도록, 핸들은 축방향으로 고정되게 그리고/또는 회전 불가능하게 정지 요소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잠금 장치도 작동될 수 있어야 하는 경우, 핸들은 회전 및/또는 선회 가능하게, 이 경우 바람직하게는 정지 요소의 종축을 중심으로 회전 및/또는 선회 가능하게 정지 요소에 지지된다.
도어 내에 통합된 잠금 장치의 작동을 위해, 핸들은 바람직하게 종동 핀, 특히 사각 핀인 동력 전달 요소와 상호 작용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중요한 실시예에서, 핸들은 축방향으로 고정되게 동력 전달 요소에 연결되거나 연결될 수 있다. 이로써 정지 요소도 도어 문짝에 축방향으로 고정되므로, 마찬가지로 별도의 고정 요소 또는 보호 요소는 정지 요소의 축방향 고정에 더 이상 필요하지 않다.
핸들이 항상 안정적으로 그리고 마찰 없이 지지되도록, 핸들과 정지 요소 사이에 베어링 요소가 배치된다. 바람직하게 베어링 요소는 슬라이딩 가능한 재료로 이루어진 슬라이딩 요소, 예컨대 플라스틱 링이므로, 제조 비용은 더욱 낮아진다. 그러나 작동 핸들이 예컨대 보다 큰 하중을 견뎌야 할 때, 베어링 요소로서 롤링 베어링 장치를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핸들은 복귀력에 반대되게 작동할 수 있다. 이는 핸들을 항상 그 초기 위치에 다시 확실히 되돌려 놓기 위해, 잠금 장치의 복귀력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을 때 항상 바람직하다.
복귀력은 바람직하게 복귀 장치에 의해 형성된다. 복귀 장치의 구조와 기능은 예컨대 독일 실용 신안 제20 2005 004 381 U1호에 공지되어 있으며, 그 공개 내용은 본원에 참조로 인용된다.
복귀 장치는 바람직하게 정지 요소에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된다. 복귀 장치는, 복귀 장치의 내부에 제공된 복귀 스프링에 의해 핸들이 항상 되돌아 갈 수 있도록 핸들과 또한 상호 작용한다.
복귀 장치가 하나의 수용 요소 내에 배치되거나 형성되고, 이 경우 복귀 장치를 수용하기 위한 리세스가 수용 요소에 제공될 때 특히 바람직하다. 이로써 복귀 장치는 추가의 보조 수단 없이 간단하게 수용 요소 내에 삽입될 수 있다.
예컨대 다양한 부품들(정지 요소, 핸들, 사각 핀, 복귀 장치)이 표준 규격에 따라 조립되고 어떠한 부품들이 실제로 사용되는지를 최종 소비자 또는 기술자가 현장에서 개별적으로 결정할 수 있음으로써, 모듈 구성 시스템에서와 같이 작동 핸들이 체계화될 수 있다는 데 또 다른 장점이 있다. 그러나 각각의 금속 피팅부는 공장에서 이미 개별 소비자에 맞게 제조될 수도 있다.
수용 요소는 바람직하게 정지 요소의 후방면에 배치되므로 외부 쪽으로 시각적으로 드러나지 않는다. 이를 위해서는 정지 요소의 종축에 대해 수직으로 정지 요소의 외부 치수가 수용 요소의 외부 치수보다 항상 더 크다는 점이 도움이 된다.
또한 수용 요소는 회전 불가능하게 정지 요소에 연결되며, 이는 예컨대 상기 수용 요소가 고정 요소들 상에, 이로써 정지 요소 상에 장착됨으로써 고정 요소에 의해 매끄럽게 될 수 있다. 그러나 대안적으로 정지 요소와 일체로 수용 요소를 형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중요한 실시예에서, 정지 요소에 대한 핸들의 회전 운동 또는 선회 운동이 래칭 장치에 의해 로킹되거나 블로킹될 수 있다. 래칭 장치는 핸들의 로킹 또는 블로킹을 위한 잠금 부재를 포함하므로, 도어는 적어도 한쪽 측면에서 잠길 수 있다. 래칭 장치의 잠금 부재는 바람직하게 회전 및/또는 선회 가능하게 정지 요소 내에 또는 정지 요소에 지지된 하나 이상의 작동 부재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이로써 도어 내에 통합된 잠금 장치는 반드시 고유의 래칭 장치를 가지지 않아도 된다. 오히려 잠금 장치는 작동 핸들에도 형성될 수 있으므로, 잠금 장치를 위한 비용을 현저히 줄일 수 있다. 이로써 도어 문짝 내에서 잠금 장치를 위한 공간 요구도 줄어들며, 이는 제조 및 공구 비용을 마지막으로 낮춘다. 이 경우 래칭 장치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 요소 내에 배치되거나 형성될 때 구조적으로 바람직하며, 수용 요소에는 래칭 장치를 수용하기 위한 또 다른 리세스가 바람직하게 제공된다.
이로써 복귀 장치 외에 래칭 장치도 모듈 구성 시스템 내에 통합될 수 있다.
래칭 장치가 종축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거울상 대칭으로 형성될 때 또 다른 장점이 생긴다. 이로써 작동 핸들은 좌측뿐만 아니라 우측으로도 언제라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작동 핸들의 설명한 장점들은, 특히 상기 작동 핸들이 도어에 사용될 때 고려되며, 이 경우 통상적으로 도어 문짝의 각각의 측면 상에 각각 하나의 작동 핸들이 배치된다. 정지 요소들은 도어 문짝의 양 측면 상에 간단히 장착되며, 이 경우 고정 요소들은 서로 맞물릴 뿐만 아니라 공통으로 잠금 장치 내에도 맞물려서 정지 요소의 종축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금속 피팅부를 고정한다. 작동 핸들은 바람직하게 서로 대향 배치되며 정지 요소의 종축에 대해 일직선으로 배치된다.
잠금 장치는 도어의 도어 문짝의 단부면에 삽입된다. 바람직하게 잠금 장치는, 락 케이스 스트립에 의해 도어 문짝에 고정될 수 있는 모티스 락이다. 잠금 장치는 래치 볼트의 작동을 위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락 너트를 또한 포함한다.
잠금 장치가 정지 요소의 고정 요소를 수용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관통구, 관통 보어, 관통 슬리브 등을 포함하는 점이 중요하며, 이 경우 2개 이상의 상기 관통구들은 락 너트에 대해 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예컨대 DIN 18 251 또는 Oe-표준 B 5350에 따른 모티스 락과 같이 표준 규격화된 잠금 장치를 사용하는 경우에 항상 해당된다. 표준 규격화된 잠금 장치의 사용은, 잠금 장치에 고정 요소들을 수용하기 위해 필요한 관통구들을 더 이상 별도로 형성하지 않아도 된다는 장점을 갖는다. 오히려 잠금 장치는 각각의 후처리 없이 사용될 수 있으므로, 전체적인 제조 비용 및 조립 비용이 더욱 줄어들 수 있다.
도어를 욕실용 또는 화장실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잠금 장치에는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관통구가 제공된다. 이 경우 상용화된 다양한 잠금 장치들에 제공되는 바와 같은 관통 보어, 관통 슬리브 또는 또 다른 락 너트가 해당된다.
작동 핸들이 조립된 상태일 때 서로 대향 배치된 정지 요소의 고정 요소가 잠금 장치의 관통구들 중 하나에 형태 결합식 및/또는 마찰 결합식으로 맞물리는 점이 중요하며, 이 경우 바람직하게는 서로 대향 배치된 각각 2개의 고정 요소들이 공통으로 관통구 내에 유격 없이 맞물린다.
이로써 정지 요소를 위한 전체 조립 과정은 잠금 장치의 관통구들 내에 고정 요소를 축방향으로 조립하는 과정으로만 줄어든다. 고정 요소가 관통구들 내에 맞물리고 정지 요소가 도어의 측면 상에 납작하게 지지되는 즉시, 금속 피팅부는 정지 요소의 종축에 대해 수직으로 유격 및 불량 없이 도어 문짝에 고정된다. 반경 방향 변위 또는 회전은 더 이상 가능하지 않다.
본 발명의 특수한 실시예에서, 도어의 제1 측면 상에 놓인 제1 정지 요소의 각각의 핀은 작동 핸들이 조립된 상태일 때 도어의 제2 측면 상에 놓인 제2 정지 요소의 슬리브 내에 맞물리고, 이 경우 각각의 슬리브는 잠금 장치의 해당 관통구 내에 맞물린다. 이로써 정지 요소들의 고정 요소들은 서로 간단히 끼워진다. 또 다른 조립 단계 또는 별도의 고정 요소들은 필요하지 않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도어의 제1 측면 상에 놓인 제1 정지 요소의 부분 본체와 도어의 제2 측면 상에 놓인 제2 정지 요소의 대응 부분 본체는 작동 핸들이 조립된 상태일 때 공통으로 핀형 또는 슬리브형 요소를 형성하며, 이는 잠금 장치의 관통구 내에 맞물린다. 여기서도 각각 대향 배치된 정지 요소들이 서로 보완되며, 정지 요소들은 본 실시예 뿐만 아니라 앞서 언급한 실시예에서도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좌측과 우측 장착 구조로 정지 요소를 구분하는 것은 필요하지 않다. 제조 및 물품 관리 비용은 최소한으로 줄어든다.
정지 요소의 고정 요소를 도어 문짝을 관통해서 잠금 장치 내에 도입할 수 있도록, 도어의 각각의 측면에는 하나 이상의 리세스가 제공된다. 이 경우 서로 대향 배치된 리세스들이 금속 피팅부의 종축 방향으로 서로 동심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전체 리세스가 관통 보어로서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제조 비용이 더욱 줄어들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제1 리세스는, 도어 문짝의 측면을 관통해서 잠금 장치의 락 너트에 자유롭게 접근할 수 있도록 배치 및/또는 형성된다. 하나 이상의 또 다른 리세스는, 고정 요소의 수용을 위한 잠금 장치의 하나 이상의 관통구에 도어 문짝의 측면을 관통해서 자유롭게 접근할 수 있도록 배치 및/또는 형성된다. 또한 하나 이상의 또 다른 리세스는, 래칭 장치를 위한 잠금 장치의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관통구에 도어 문짝의 측면을 관통해서 자유롭게 접근할 수 있도록 배치 및/또는 형성된다.
시각적으로 깨끗하고 보기 좋은 마무리를 구현하기 위해, 정지 요소의 종축에 대해 수직으로 정지 요소의 외부 치수는 모든 리세스들이 정지 요소에 의해 완전히 커버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중요한 실시예에서, 제1 리세스는 도어 문짝을 관통해서 락 너트, 고정 요소를 위한 관통구 및/또는 래칭 장치를 위한 또 다른 관통구들에 자유롭게 접근할 수 있도록 도어 문짝에 배치 및 형성된다. 이로써 단 하나의 리세스만을 도어 문짝에서 밀링하거나 드릴링하면 되므로 도어 문짝을 위한 제조 비용 자체는 최소한으로 줄어든다.
리세스를 완전히 커버하기 위해, 정지 요소의 종축에 대해 수직으로 정지 요소의 외부 치수는 리세스의 내부 직경보다 크다.
그러나 정지 요소는 제1 리세스의 에지 영역에 스텝형 에지가 제공되어 상기 에지가 측면 상에 지지될 수도 있다. 이로써 정지 요소는 일부재가 되도록 리세스 내에 매립될 수 있으므로 도어 문짝 상에서는 단지 매우 납작한 디스크만을 볼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정지 요소에 의해 금속 피팅부는, 안정성 또는 내구성을 잃지 않으면서도 특히 매끄럽고 눈에 띄지 않는 외형을 갖게 된다.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도어에 의해 완전히 새로운 구성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정지 요소의 종축에 대해 수직으로 복귀 장치 및/또는 래칭 장치를 위한 수용 요소의 외부 윤곽이 리세스의 내부 윤곽에 상응할 때 정지 요소를 위한 회전 방지도 구현될 수 있다. 리세스는 반드시 원형으로 형성될 필요는 없으며, 별 모양이나 삼각형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종축에 대해 수직으로 정지 요소의 외부 윤곽이 리세스의 내부 윤곽에 상응할 때 또 다른 외형이 나타날 수 있다. 정지 요소는 도어 문짝의 측면과 동일 평면에 배치 및/또는 형성될 수 있으므로, 도어는 완전히 평평하고 매끄러운 표면을 가질 수 있다.
복귀 장치와 래칭 장치를 함께 장착할 수 있도록, 정지 요소의 종축에 대해 수직으로 수용 요소의 외부 치수는 항상 리세스의 내부 직경보다 작다. 따라서 수용 요소는 외부로 드러나지 않으면서, 정지 요소와 함께 리세스 내에 조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중요한 실시예에서는 종래의 고정 수단이 생략됨으로써 한 단계 더 개선된다.
이를 위해 도어의 측면에서 고정 요소의 관통을 위한 또 다른 리세스와 잠금 장치의 각각의 해당 관통구들은 동일한 내부 직경을 가지며, 도어의 측면의 또 다른 리세스와 도어 문짝 내의 잠금 장치는 상기 또 다른 리세스와 관통구가 합동이거나, 서로 동축 및/또는 합동으로 연달아 놓이도록 위치 설정되고 상호 간에 정렬된다.
또한 서로 대향 배치된 정지 요소의 하나 이상의 고정 요소는 작동 핸들이 조립된 상태일 때 종축에 대해 수직으로 도어의 또 다른 리세스들 중 하나와 잠금 장치의 관통구들 중 하나에 맞물리도록, 바람직하게는 형태 결합식 및/또는 마찰 결합식으로 맞물리도록 형성 및/또는 배치된다. 이 경우 앞서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고정 요소는 서로를 수용하거나 상호 보완될 수 있으므로, 항상 유격 없는 장착이 보장된다.
이제 정지 요소의 고정 요소를 도어 문짝의 리세스와 잠금 장치의 관통구 내에 측방향으로 도입하면, 정지 요소가 도어 문짝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고정될 뿐만 아니라 이와 동시에 잠금 장치 자체도 고정된다. 이로써 더 이상 락 케이스 스트립의 별도의 나사를 이용하여 잠금 장치를 도어 문짝에 나사 조임하지 않아도 된다. 오히려 금속 피팅부에 대한 조립 비용은 정지 요소 또는 고정 요소의 측방향 조립비용으로만 줄어든다. 핸들이 동력 전달 요소에 의해 축방향으로 고정되는 즉시 조립은 끝난다. 시간 소요 및 비용은 종래의 방법에 비해 현저히 줄어든다.
또한 본 발명에서, 서로 대향 배치된 작동 핸들의 핸들은 예컨대 종래의 스터드 나사를 이용하여 동력 전달 요소에 의해 축방향으로 고정되게 서로 연결되거나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핸들과 동력 전달 요소는, 특히 동력 전달 요소가 제1 방향으로 핸들 내로 도입될 수 있고 반대 방향으로는 로킹되도록 형성된 장치가 하나 이상의 핸들과 동력 전달 요소 사이에 제공됨으로써 강제 결합식으로 서로 연결되거나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장치의 구조 및 기능은 독일 실용 신안 제20 2005 000 785 U1호 또는 유럽 공개 공보 제1 683 933 A1호에 공지되어 있으며, 그 공개 내용은 본원에 참조로 인용된다.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에 의해, 잠금 장치뿐만 아니라 작동 핸들도 각각의 공구 없이, 그리고 각각 별도의 또는 추가의 고정 요소 없이 도어 문짝에 조립될 수 있다. 잠금 장치를, 이를 위해 제공된 도어 문짝의 포켓 내에 삽입한 후, 잠금 장치의 정렬 하에 정지 요소를 도어 문짝 상에 축방향으로 장착한 다음, 축방향으로, 이로써 정지 요소의 종방향으로 동력 전달 요소 상에 핸들을 조립하기만 하면 된다. 정지 요소의 피벗 베어링 내에 핸들이 측방향으로 맞물리는 즉시, 잠금 장치를 포함하여 전체 금속 피팅부는 완전히 그리고 영구적으로 조립된다. 정지 요소의 고정 요소는 금속 피팅부의 종축에 대해 수직으로 정지 요소뿐만 아니라 잠금 장치도 도어 문짝에 고정하는 반면, 핸들은 축방향 고정을 형성한다.
이로써 본 발명에 의해 모티스 락과 도어 금속 피팅부는 완전히 공구 없이 조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들, 세부 사항 및 장점들은 청구 범위뿐 아니라, 이하에서 도면을 기초로 한 실시예들의 설명에 기재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2개의 작동 핸들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2는 도어 문짝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3은 각각 하나의 복귀 장치와 래칭 장치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2개의 작동 핸들을 분해해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조립 상태에 있는 도 3의 작동 핸들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래칭되지 않은 위치에 있는 도 3의 작동 핸들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래칭 위치에 있는 도 3의 작동 핸들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2개의 작동 핸들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2개의 작동 핸들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의 또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9는 작동 핸들의 다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10은 복귀 장치를 위한 수용 요소를 갖는 정지 요소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정지 요소의 또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2개의 작동 핸들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의 또 다른 중요한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에서 공통적으로 100으로 표시된 도어 장치는 (도시되지 않은) 바인딩을 이용하여 (마찬가지로 도시되지 않은) 도어 프레임에 선회 가능하게 지지된 도어 문짝(21)을 구비한 도어(20)를 갖는다. 도어 문짝(21)의 단부면에는 모티스 락으로서 형성된 잠금 장치(30)가 끼워 넣어진다. 모티스 락의 락 케이스 스트립(31)은 도어 문짝(21)에 정렬되고 고정된다. 이를 위해 락 케이스 스트립(31)을 관통해서 도어 문짝(21) 내에 나사 조임되는 나사(36)가 제공된다. 락 케이스 스트립(31)을 관통해서 돌출하며 종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지지된 래치 볼트(32)는 도어(20)가 닫힌 상태일 때 (도시되지 않은) 도어 프레임의 에지 플레이트 내에 맞물린다. 도어(20)는 리벳 도어로서 형성된다. 그러나 상기 도어는 수축 도어일 수도 있다.
도어 문짝(21)의 측면(22, 22')에는 각각 하나의 작동 핸들(10, 10')이 조립되며, 각각의 작동 핸들(10, 10')은 도어 문짝(21)에 납작하게 지지된 정지 요소(40, 40')와, 선회 가능하게 지지된 핸들(60, 60'), 예컨대 핸들(도어 핸들)을 구비한 도어 금속 피팅부로서 형성된다.
2개의 금속 피팅부(10, 10')는 서로 대향 배치되며 정지 요소(40, 40')의 종축에 대해 일직선으로 배치된다. 핸들(60, 60')은 도어(20)의 개폐뿐만 아니라 도어(20)에 통합되어 있는 잠금 장치(30)의 작동에도 사용된다.
도 1의 실시예에서 도어(20)는 욕실 또는 화장실 도어로서 형성된다. 이를 위해 하나 이상의 금속 피팅부(10, 10')에는 또 다른 핸들(94)의 형태인 작동 부재에 의해 작동할 수 있는 래칭 장치(90)가 제공된다. 그러나 특히 도어(20)를 닫을 필요가 없을 경우에는, 래칭 장치(90) 없이 간단한 주택용 내부 도어로서 상기 도어(20)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래칭 장치(90)와 작동 요소(94, 94')는 필요하지 않다.
도 2는 금속 피팅부(10, 10') 없이, 도 1에 도시된 도어(20)를 도시한다. 모티스 락(30)은 래치 볼트(32)의 작동을 위해 락 너트(33)를 포함하며, 락 너트는 모티스 락(30)의 하우징(37) 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공지된 방식으로 래치 볼트(32)와 상호 작용한다. 모티스 락(30)의 하우징(37)에는 락 너트(33)의 옆으로 동일한 간격을 두고 측방향으로 그리고 대칭되게 2개의 관통구(34)가 형성되며, 관통구는 간단한 보어로서 바람직하게 형성된다. 예컨대 하우징(37) 내에 고정 삽입된 관통 슬리브도 관통구(34) 내로 삽입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락 너트(33) 하부에는 마찬가지로 보어 또는 슬리브로서 형성될 수 있는 또 다른 관통구(35)가 제공된다.
관통구들(34, 35) 서로 간의 간격 그리고 락 너트(33)에 대한 간격은 예컨대 DIN 18 251과 같은 현재의 표준 규격에 상응한다. 이는 락 너트(33)의 배치 및 구성과, 하우징(37)의 치수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이로써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는 종래의 DIN 록을 잠금 장치(30)로서 사용할 수 있으며, 이는 물류 및 전체 비용에 바람직하게 영향을 미친다.
도 2에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문짝(21)의 눈에 보이는 측면(22) 뿐만 아니라 눈에 보이지 않는 측면(22')에도 각각 하나의 리세스(23, 23')가 형성된다. 리세스의 치수와 도어 문짝(21) 상에서의 위치는 양 측면에서 도어 문짝(21)을 관통해서 모티스 락(30)의 락 너트(33) 및 관통구(34, 35)에 자유롭게 접근할 수 있도록 선택된다. 바람직하게 리세스들(23, 23')은 서로 합동으로 그리고/또는 동심으로 위치한다. 이는 도어 문짝(21)에 모티스 락(30)을 수용하기 위한 (도시되지 않은) 홈에 대해 수직으로 위치한 간단한 관통 보어로서 상기 리세스들(23, 23')을 형성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이로써 도어 문짝(21)의 제조는 뚜렷이 간단해진다.
도 3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작동 핸들(10, 10')의 정지 요소(40, 40')는 간단한 플랫 디스크 본체로서 형성되며 에지면에는 챔퍼 에지(41, 41')가 제공될 수 있다. 디스크 본체(40, 40')의 중심에는 핸들(60, 60')을 수용하기 위한 원형 리세스(43)가 형성된다. 리세스 하부에는 래칭 장치(90)의 작동 부재(94, 94')를 수용하기 위한 또 다른 리세스(44)가 위치한다.
정지 요소(40, 40')는 종래 기술에서처럼 나사 또는 나사 볼트를 이용하여 도어 문짝(21)에 고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수한 고정 요소(50, 50')에 의해 도어 문짝(21)에 고정되고, 상기 특수한 고정 요소는 각각의 정지 요소(40, 40')의 평평한 후방면(42, 42')에 배치되며 도어(20) 또는 도어 문짝(21)의 측면(22, 22')을 관통해서 (도 3에 도시되지 않은) 잠금 장치(30)의 하우징(37)에서 관통구(34)와 맞물린다.
각각의 정지 요소(40, 40')는 잠금 장치(30)에서의 관통구(34)의 표준 규격화된 배치에 상응하게 2개의 고정 요소(50, 50')를 지지하며, 고정 요소는 정지 요소(40, 40')의 종축(L)에 대해 평행하게 정렬된다. 또한 고정 요소(50, 50')는 핸들(60, 60')을 수용하기 위한 리세스(43)에 대해 동일한 간격을 두고 대칭으로 위치하므로, 리세스(43)는 금속 피팅부(10, 10')가 조립된 상태일 때 항상 락 너트(33)의 회전축에 대해 동축으로 정렬된다.
제1 고정 요소(50, 50')는 바람직하게 정지 요소(40, 40')의 후방면(42, 42')과 맞대기 용접(butt-welding)된 슬리브(51, 51')로서 형성된다. 제2 고정 요소(50, 50')는 마찬가지로 정지 요소(40, 40')와 맞대기 용접된 볼트 또는 핀(52, 52')으로서 형성된다. 핀형 또는 슬리브형의 요소들(51, 51', 52, 52')을 정지 요소(40, 40')에 접착하거나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다. 분리 가능한 고정 방식도 고려할 수 있다. 이 경우 고정 요소(50, 50')가 외부로 시각적으로 드러나지 않으므로, 정지 요소(40, 40')를 위한 추가의 커버 요소가 필요하지 않다는 것이 항상 중요시된다.
도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각각의 정지 요소(40, 40')에는 각각 하나의 슬리브(51, 51')와 핀(52, 52')이 제공되며, 핀(52, 52')의 외부 직경은 슬리브(51, 51')의 내부 직경에 상응한다. 따라서 도어 문짝(21)의 측면(22, 22') 상에 서로 대향 배치된 2개의 정지 요소들(40, 40')은 잠금 장치(30) 내에서 보완적으로 형성된 고정 요소(50, 50')에 의해 서로 끼워지며, 이 경우 제1 정지 요소(40)의 슬리브(51)는 대향 배치된 제2 정지 요소(40')의 핀(52')을 수용하는 반면, 슬리브(51')는 제1 정지 요소(40)의 핀(52)을 수용한다. 고정 요소(50, 50')의 길이는 도어 문짝 두께가 상이한 경우 핀(52, 52')이 슬리브(51, 51') 내에서 항상 확실하게 안내되어 고정되도록 선택된다(도 9 참조).
이로써 정지 요소(40, 40')는 동일하게 형성되며 즉, 상기 정지 요소는 우측에서뿐만 아니라 좌측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금속 피팅부(10, 10')의 조립은 간단히 고려될 수 있다. 조립 결함은 배제된다. 내부 직경 및 외부 직경을 조정함으로써, 고정 요소(50, 50')를 서로 끼울 때 마찰 결합이 형성되며 이는 연결의 안정성에 바람직하게 작용한다.
정지 요소의 핀(52, 52')은 형태 결합식 및/또는 마찰 결합식으로 슬리브(51, 51') 내에 맞물리는 반면, 슬리브는 조립 상태일 때 잠금 장치(30)의 하우징(37)에서 관통구(34)에 의해 형태 결합식 및/또는 마찰 결합식으로 수용된다. 이 경우 서로 평행하게 위치한 슬리브(51, 51')의 외부 직경은, 고정 요소(50, 50')가 항상 유격 및 불량 없이 잠금 장치(30) 내에 고정되도록 선택된다. 이로써 정지 요소(40, 40')의 종축(L)에 대해 수직으로 유격이 없으면서 영구적으로 확실한 형태 결합이 형성되며 즉, 정지 요소(40, 40')는 도어 문짝(21) 내에 고정된 모티스 락(30)에 의해 종축(L)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마찬가지로 고정된다. 각각의 정지 요소(40, 40')가 2개의 고정 요소(50, 50')를 포함함으로써, 회전 방지가 동시에 보장된다. 도어 문짝(21) 내에 복잡하게 끼워 넣어야 하는 추가의 캠 또는 그 외의 고정 요소들은 필요하지 않다.
상이한, 특히 표준 규격화되지 않은 모티스 락을 고려하는 경우, 고정 요소(50, 50')의 치수가 변동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도 3의 실시예에서는 슬리브(51, 51') 상에 추가의 부시(54)가 끼워질 수 있다. 부시의 직경은 사용된 각각의 모티스 락(30)의 관통구(34)의 내부 직경에 상응하므로, 정지 요소(40, 40')는 그 종축(L)에 대해 수직으로 항상 유격 및 불량 없이 도어(20)의 측면(22, 22')에 고정된다. 모듈 구성 시스템에서와 같이 부시(54)는 금속 피팅부(10, 10')에 상이한 직경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기술자 또는 소비자는 조립을 위해 정확히 어떤 요소가 필요한지를 현장에서 결정할 수 있다.
각각의 핸들(60, 60')은 스텝형으로 축소된 핸들 넥(61, 61')에 의해 정지 요소(40, 40')의 중심 리세스(43, 43') 내에 회전 가능하게 안착되며, 이 경우 핸들 넥(61, 61')과 정지 요소(40, 40')에는 베어링 요소(70)가 제공된다. 이로써 핸들(60, 60')은 정지 플레이트(40, 40') 사이에서 양호하게 안내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마찰 및 마모가 줄어든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어링 요소(70)는 플라스틱 링의 형태인 간단한 슬라이딩 요소(71)로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 넥(61, 61')과 정지 요소(40, 40') 사이에 배치된 롤링 본체(73)에 의해 형성된 롤링 베어링 장치(72)도 베어링 요소(70)로서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구 또는 실린더 본체인 롤링 본체(73)는 슬라이딩면(74, 75)에서 롤링하며, 이 경우 제1 슬라이딩면(74)은 경사지게 형성된 리세스(43, 43')의 에지 영역에 의해 형성되는 반면 제2 슬라이딩면(75)은 핸들 넥(61, 61')의 영역에 제공된다. 제2 슬라이딩면(75)은 별도의 (링) 요소(76) 내에 바람직하게 형성되며, 이와 동시에 링 요소는 롤링 본체(73)를 위한 (슬라이딩) 케이지를 형성한다. 이로써 롤링 베어링 장치(72)는 별도의 부품으로서 사전 제조되어 필요에 따라 금속 피팅부(10, 10') 내에 삽입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 피팅부(10, 10')의 높이는 롤링 베어링 장치(72)로 인해서 변동하지 않는다. 핸들 지지가 뚜렷이 향상되지만, 전체적으로 매끄러운 플랫형 정지 요소(40, 40')의 외형은 이에 악영향을 받지 않는다.
2개의 핸들(60, 60')은 도어(20) 내에 통합된 잠금 장치(30)의 작동을 위해 동력 전달 요소(66)에 의해 상호 작용한다. 이 경우 바람직하게 동력 전달 요소는 그 정면이 핸들(60, 60')의 핸들 넥(61, 61') 내로 삽입되어, 금속 피팅부(10, 10')가 조립된 상태일 때 잠금 장치(30)의 락 너트(33)를 관통해서 돌출하는 사각 핀이다. 이를 위해 잠금 장치는 동일한 형태의 사각 리세스(38)를 갖는다. 핸들(60, 60')은, 사각 핀(66)을 형태 결합식으로 수용함으로써 이를 회전 불가능하게 수용하는 상응하는 홈(62, 62')을 포함한다.
핸들(60, 60')이 그 최종 위치에서 정지 요소(40, 40')에 도달하고 핸들의 핸들 넥(61, 61')이 베어링 요소(70)에 안착되자마자, 핸들(60, 60')은 예컨대 스터드 나사에 의해 축방향으로 고정되게 사각 핀(66)에 연결된다. 그러나 이미 공장 측에서 사각 핀(66)을 핸들(60) 내에 사전 조립할 수도 있다(소위 핀 부품). 이 경우에는 대향 배치된 핸들(60') 내에 사각 핀(66)을 손으로 고정하기만 하면 된다.
사각 핀(66) 상에 핸들(60, 60')이 고정됨으로써 금속 피팅부(10, 10')가 완전히 조립되며, 이 경우 정지 요소(40, 40')의 고정에 공구가 요구되지 않는다. 정지 요소는 도어 문짝(21)에 사전 조립된 모티스 락(30) 내에 측방향으로 삽입되기만 하면 되므로, 조립은 이미 완료된다. 고정 요소(50, 50')는 도어 평면 내에서 정지 요소(40, 40')를 반경 방향으로 고정하는 반면, 핸들(60, 60')은 축방향 고정을 돕는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핸들(60, 60')과 사각 핀(66) 사이에 (본원에 도시되지 않은) 장치가 제공되며, 상기 장치는 제1 방향으로 사각 핀(66)이 핸들(60, 60') 내로 도입될 수 있고 반대 방향으로의 도입은 로킹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유형의 장치는 독일 실용 신안 제20 2005 000 785 U1호 또는 유럽 공개 공보 제1 683 933 A1호에 공지되어 있으며, 그 공개 내용은 본원에 참조로 인용된다.
따라서 핸들(60, 60')도 공구 없이 조립할 수 있다. 사각 핀(66)은, 통상적인 바와 같이, 핸들(60, 60')의 핸들 넥(61, 61') 내에 도입되기만 하면 된다. 그 이후 반대 방향으로의 빼냄은 더 이상 가능하지 않은데, 이는 상기 장치가 로킹 장치로서 작용해서 동력 전달 요소(66)를 핸들에 고정하기 때문이다. 이 경우 사각 핀(66)을 얼마나 깊숙이 핸들(60, 60') 내로 도입하는가는 중요하지 않다. 로킹 장치가 사각 핀(66)을 둘러싸자마자, 사각 핀은 바람직하게 축방향으로 고정되며, 우선적으로 핸들(60, 60')에서 사각 핀을 다시 빼내는 것은 가능하지 않다. 서로 끼워진 고정 요소(50, 50')에서와 같이, 상이한 도어 두께가 자동으로 고려되며, 다시 말해 핸들(60, 60')은 정지부까지만 끼워진 다음, 정지 요소(40, 40')에 불량 없이 접한다. 상기 장치는 작동 핸들(10, 10')이 높은 하중도 지속적으로 견뎌내도록, 핸들(60, 60')에 사각 핀(66)을 고정한다. 사각 핀이 실수로 분리되거나 느슨해지는 것은 가능하지 않다. 사각 핀(66)은 고정 시 눈에 띌 정도로 손상되지도 않고 변형되지도 않으므로, 해체 후 재사용 가능성이 보장된다. 본원에서도 하나의 핸들(60)에 사각 핀(66)을 사전 조립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대향 배치된 핸들(60')만을 로킹 장치를 이용해서 고정하면 된다.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금속 피팅부(10, 10')의 조립을 위해서는 더 이상 공구가 전혀 필요하지 않다. 정지 플레이트(40, 40')의 고정을 위해서나 핸들(60, 60')의 축방향 고정을 위해서도 공구는 필요하지 않다. 핸들이 그 최종 위치에 도달하자마자 금속 피팅부(10, 10')는 완전히 조립된다. 조립을 위한 시간 소요는 최소로 줄어든다. 드릴링 지그를 사용한 복잡한 보어 패턴을 도어 문짝(21)에 형성하지 않아도 되고, 나사 또는 그 외의 고정 수단을 준비하지 않아도 된다. 금속 피팅부(10, 10')는 대부분 도어(20)에 이미 사전 조립된 모티스 락(30)에 바로 고정된다.
매 작동 후, 핸들(60, 60')이 거의 수평인 그 초기 위치로 항상 확실히 되돌아 가기 위해서는, 소위 리턴 스프링 또는 복귀 스프링을 금속 피팅부(10, 10')에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핸들(60, 60')은 복귀력에 반대되게 작동될 수 있으며, 복귀력은 복귀 장치(80)에 의해 발생한다.
복귀 장치(80)는 도 3의 실시예에서 리턴 스프링 패킷으로서 형성되며, 이는 사전 조립된 유닛으로서 정지 요소(40, 40')에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되고 사각 핀(66)에 의해 핸들(60)과 상호 작용한다. 리턴 스프링 패킷(80)의 구조 및 기능은 독일 실용 신안 제20 2005 004 381 U1호에 설명되어 있으며, 그 공개 내용은 본원에 참조로 인용된다. 상기 패킷(80)은, 반경 방향으로 돌출한 2개의 브래킷을 갖는 너트(82)가 선회 가능하게 지지된 2개의 쉘의 하우징(81)으로 실질적으로 구성되며, 상기 너트는 사각 핀(66)을 수용하기 위한 사각 구멍(83)을 중심에 포함하고, 패킷은 자신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 스프링 응력 하에 각도 제한 식으로 구동될 수 있다.
정지 요소(40, 40')에 복귀 장치를 고정하기 위해 리턴 스프링 패킷(80)은 수용 요소(84, 84') 내에 삽입되며, 이를 위해 수용 요소에는 동일한 형태의 리세스(85, 85')가 제공된다. 리세스의 높이는 실질적으로 2개의 쉘의 하우징(81)의 장착 높이에 상응하므로, 리턴 스프링 패킷(80)은 수용 요소(84, 84')와 동일 평면에서 끝난다. 수용 요소(84, 84')는 바람직하게 정지 요소(40, 40')의 평평한 후방면(42, 42') 상에 지지되어 회전 불가능하게 상기 후방면에 연결된다. 이를 위해 수용 요소(84, 84')에는 고정 요소(50, 50')를 형태 결합 및/또는 마찰 결합식으로 수용하는 측방향 보어(87, 87')가 형성된다. 이로써 수용 요소(84, 84')는 필요에 따라 단지 후방면만이 정지 요소(40, 40') 상에 장착되며 리턴 스프링 패킷(80)이 그 안에 삽입된다. 고정 요소들 또는 그 외의 조치들은 더 이상 필요하지 않다. 수용 요소(84, 84')의 중심의 리세스(88, 88')는 사각 핀(66)의 관통에 사용된다.
수용 요소(84, 84')가 외부로 보이지 않도록, 정지 요소(40, 40')의 종축(L)에 대해 수직으로 정지 요소(40, 40')의 외부 치수는 수용 요소(84, 84')의 외부 치수보다 항상 더 크며, 특히 수용 요소의 외부 직경은 정지 요소(40, 40')의 외부 직경보다 작다. 이와 동시에 수용 요소(84, 84')의 외부 직경은 도어 문짝(21)의 리세스(23, 23')의 내부 직경보다 작으므로, 각각의 수용 요소(84, 84')는 정지 요소(40, 40')의 조립 시 각각의 해당 리세스(23, 23') 내에 매립된다.
필요에 따라 도어(20)를 로킹할 수 있도록, 래칭 장치(90)가 제공된다. 상기 래칭 장치에 의해 정지 요소(40, 40')에 대한 핸들(60, 60')의 회전 운동 또는 선회 운동이 로킹되거나 블로킹될 수 있으므로, 잠금 장치(30)의 래치 볼트(32)가 안으로 들어가지 않으며 이로써 도어(20)는 열리지 않는다.
또한 래칭 장치(90)는 선회 가능하게 지지된 잠금 부재(91)를 가지며, 잠금 부재는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샤프트(92) 상에 배치된다. 샤프트(92)는 바람직하게 사각 핀으로서 형성되며, 그 단부는 도어 문짝(21)의 양 측면에서 각각 하나의 작동 부재(94, 94')에 고정 연결될 수 있는데, 예컨대 도어(20)의 하나의 측면에서 욕실 도어용 잠금 키 또는 레버(94')에 고정 연결되거나 도어(20)의 다른 측면에서는 슬롯 헤드 나사(94)에 고정 연결될 수 있다. 각각의 작동 부재(94, 94')의 스텝 형태의 부착부(95, 95')는 도어(20)의 양 측면에 대해 배치된 정지 요소(40, 40')의 리세스(44, 44') 중 각각 하나의 리세스 내에 회전 가능하게 안착되며, 이 경우 각각의 작동 부재(94, 94')와 각각의 정지 요소(40, 40') 사이에는 작동 부재(94, 94')의 양호한 안내를 보장하면서 슬라이딩 특성에 기초해서 마찰을 줄이는 예컨대 플라스틱 링인 베어링 요소(96)가 배치된다.
잠금 부재(91)는 단부 측에 사각 리세스(93)가 제공된 선회 아암 또는 선회 레버로서 바람직하게 형성되며 사각 리세스는 사각 샤프트(92)를 형태 결합식으로 수용한다.
사각 샤프트(92)는 정지 요소(40, 40')와, 수용 요소(84, 84')와, 도어(20)의 측면(22, 22')과, 잠금 장치(30)를 관통해서 돌출하며, 샤프트(92)는 모티스 락(30)의 또 다른 관통구(35)를 회전 가능하게 관통하도록 락 너트(33)의 회전축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모티스 락(30)에 배치된다. 이로써 모티스 락에는 추가의 또는 별도의 보어가 없어도 된다. 오히려 상용화된 DIN 록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수용 요소(84, 84')에는 샤프트(92)의 회전 가능한 관통을 위해 상응하는 보어(89, 89')가 제공된다.
리턴 스프링 패킷(80)용 리세스(85')에 대향 배치된 하나 이상의 수용 요소(84')에는 잠금 부재(91)의 수용을 위해 또 다른 리세스(86')가 형성된다. 상기 리세스는 2개의 측방향 플랭크(64')에 의해 보어(89')의 영역에서 실질적으로 V자형으로 형성된다. 플랭크는 잠금 부재(91)의 선회 운동을 제한하며 이로써 정지면으로서 사용된다. 도 5 및 도 6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잠금 부재(91)는 사각 샤프트(92)를 위한 사각 리세스(93)가 보어(89')에 대해 동축으로 수용 요소(84')에 위치하도록 수용 요소(84')의 또 다른 리세스(86') 내에 배치된다. 이는 정지 플레이트(40, 40') 및 핸들(60, 60')의 조립 후 샤프트(92)도 마찬가지로 조립될 수 있기 위해 중요하다.
수용 요소(84')의 리세스(86')에는 잠금 부재(91) 외에 정지 디스크(97)가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정지 디스크의 에지면에는 원주 리세스(99)가 제공된다. 원주 리세스는 또한 락 너트(33)의 회전축에 대해 동심으로, 이로써 핸들(60, 60')의 회전축에 대해 동심으로 배치되므로, 사각 핀(66)은 정지 디스크(97)의 중심을 관통해서 돌출한다. 중심에 배치된 사각 리세스(98)는 사각 핀(66) 상에 정지 디스크(97)가 회전 불가능하게 안착되도록 하며, 조립 상태일 때 정지 디스크(97)는 원주 리세스(99)가 잠금 부재(91)의 자유 단부 상에 위치하도록 정렬된다.
종축(L)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거울상 대칭으로 형성된 래칭 장치(90)의 기능 방식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다.
도 5에서 잠금 부재(91)는 작동 부재(94')에 의해 좌측으로 선회되며, 이 경우 잠금 부재(91)는 리세스(86')의 좌측 플랭크(64')에 접한다. 도어를 열기 위해 이제 핸들(60')을 아래 쪽으로 돌리면, 정지 디스크(97)는 우측으로 개방된 원주 리세스(99)에 의해 방해 받지 않고 이동할 수 있다. 래치 볼트(32)는 안으로 들어간다. 문은 열릴 수 있다.
도어(20)의 래칭을 위해, 잠금 부재(91)는 리세스(86')의 우측 플랭크(64')에 지지될 때까지 작동 부재(94')에 의해 우측으로 선회된다. 잠금 부재(91)의 자유 단부와 원주 리세스(99)의 측방향 제한부는 바로 대향된다. 사용자가 핸들(60')을 돌리려는 즉시, 정지 디스크(97)는 잠금 부재(91) 상에 놓인다. 핸들(60')을 움직이는 것은 가능하지 않다. 도어(20)는 래칭된다. 이는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래칭 장치(90)의 조립은 마찬가지로 간단히 고려될 수 있다. 정지 플레이트(40, 40')의 장착과, 핸들(60, 60')의 삽입 및 고정 후, 하나의 측면이 사전 조립된 작동 부재(94), 예컨대 슬롯 헤드 나사가 정지 요소(40)의 베어링 링(96) 상에 장착될 때까지 샤프트(92)는 리세스(44, 44')를 관통하여, 수용 요소(84, 84')의 보어(89, 89')를 관통하여, 모티스 락(30)의 관통구(35)를 관통하여 그리고 잠금 부재(91)를 관통하여 도입된다. 이에 후속해서, 대향 배치된 작동 부재(94')는 샤프트(92)의 단부 상에 장착되며 축방향으로 고정되게 샤프트에 연결된다. 샤프트(92)에서의 작동 부재(94, 94')의 고정은 사각 핀(66) 상에서의 핸들(60, 60')의 고정과 동일한 방식으로 실행된다.
도 3 내지 도 6의 실시예에서 래칭 장치(90)는 별도로 형성되어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 요소(84, 84')에 형성되는 반면, 도 7의 실시예는 래칭 장치(90)의 부품들이 이미 잠금 장치(30)의 하우징(37) 내에 통합되어 있는 소위 래치 록으로서 잠금 장치(30)를 사용한다. 래칭 장치(90)에는 래칭 장치(90)의 사각 샤프트(92)를 회전 불가능하게 수용하는 (자세히 도시되지 않은) 사각 리세스를 갖는 또 다른 락 너트(35')가 속한다. 이로써 정지 요소(40, 40') 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작동 부재(94, 94')에 의해 도어(20)를 래칭하거나 언래칭할 수 있다.
도어 문짝(21)을 관통해서 또 다른 락 너트(35')에 접근할 수 있도록, 도어 문짝(21)의 리세스(23, 23') 하부에는 추가의 리세스(24, 24')가 형성된다. 락 너트(33)와 또 다른 락 너트(35') 사이의 반경 방향 간격이 락 너트(33)와 또 다른 관통구(35) 사이의 간격보다 크기 때문에, 정지 요소(40, 40')는 도어 문짝(21)의 리세스(23, 23' 및 24, 24')를 항상 커버하도록 원형이 아니라 길게 형성된다.
도 8의 실시예에서는 복귀 장치(80) 뿐만 아니라 래칭 장치(90)도 생략되므로, 수용 요소(84, 84')도 그리고 또 다른 작동 부재(94, 94')도 제공되지 않는다.
복귀 장치(80) 및/또는 래칭 장치(90)를 위한 수용 요소(84, 84')는 무조건 원형 또는 디스크형으로 형성되지 않아도 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 요소(84, 84')의 외부 윤곽을 예컨대 별 모양 또는 각진 형태, 특히 삼각형과 같이 원형이 아닌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도어 문짝(21)의 측면(22, 22')의 (상기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리세스(23, 23')는 수용 요소(84, 84')를 형태 결합식으로 안으로 끼우도록 즉, 수용 요소(84, 84')의 외부 윤곽이 정지 요소(40, 40')의 종축(L)에 대해 수직으로 리세스(23, 23') 내부 윤곽에 상응하도록 구성도니다. 이는 추가의 또는 대안적인 회전 방지부가 형성되는 장점을 갖는다. 이와 동시에, 상기와 같이 형성된 도어(20)에는 수용 요소(84, 84')를 구비한 특수한 금속 피팅부(10, 10')만이 조립될 수 있으며 이는 복제 방지부로서 바람직할 수 있다.
도 11은 고정 요소(50, 50')의 특수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고정 요소는 더 이상 별도의 슬리브 또는 핀으로서 형성되지 않는다. 오히려 각각의 고정 요소(50, 50')는 공통으로 핀형 또는 슬리브형 요소를 형성하는 동일한 2개의 부분 본체(51", 52")로 형성된다. 이 경우 도어(20)의 제1 측면(22) 상에 위치한 제1 정지 요소(40)의 부분 본체(51")와 도어(20)의 제2 측면(22') 상에 위치한 제2 정지 요소(40')의 대응 부분 본체(52")는 작동 핸들(10, 10')이 조립된 상태일 때 핀형 또는 슬리브형 요소를 공통으로 보완하며, 상기 요소는 잠금 장치(30)의 각각의 해당 관통구(34) 내에 형태 결합식 및/또는 마찰 결합식으로 맞물린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경우(도 12 참조), 도어 문짝(21)의 단부면은 모티스 락(30)을 수용하기 위한 포켓(27)을 갖는다. 포켓의 상부와 하부에는 락 케이스 스트립(31)을 위한 스텝형 숄더(28)가 밀링되므로, 락 케이스 스트립은 도어(20)의 단부면과 동일 평면에서 끝난다. 모티스 락(30)은 락 너트(33)와, (도시되지 않은) 폐쇄 실린더를 수용하기 위해 락 너트 위에 배치된 관통구(35")를 갖는다. 측방향으로 락 너트(33) 옆에, 그리고 측방향으로 관통구(35") 옆에는 관통구들(34)이 형성되며, 관통구들의 내부 직경은 슬리브(51)의 외부 직경에 상응한다.
도어 문짝(21)에는 우선 리세스(23, 23')가 형성된다. 상기 리세스들의 크기는 외부에서 모티스 락(30)의 락 너트(33)에 접근할 수 있을 정도로만 선택된다. 모티스 락(30)의 관통구(35")에 대한 접근을 가능케 하는 또 다른 리세스(25, 25')가 리세스(23, 23') 위로 측면(22, 22')에 형성된다. 측방향으로 리세스들(23, 23' 및 25, 25') 옆에는, 슬리브(51)의 외부 직경에 상응하는 내부 직경을 마찬가지로 갖는 보어(24, 24')가 형성된다.
이로써 도어(20)의 측면(22, 22')의 또 다른 리세스(24, 24')와, 잠금 장치(30)의 관통구(34)는 동일한 내부 직경을 갖는다. 또한 상기 관통구는 락 너트(33)에 대해, 그리고 리세스(23, 23')에 대해 대칭으로 위치하면서, 서로 간에 동일한 간격을 갖는다.
도어(20)의 측면(22, 22')의 또 다른 리세스(24, 24')와 모티스 락의 관통구(34)가 서로 합동으로 위치하도록, 포켓(27) 내에 모티스 락(30)을 도입하면, 정지 요소(40, 40')의 고정 요소(50, 50')는 금속 피팅부(10, 10')의 조립 시 형태 결합식 및/또는 마찰 결합식으로 이들(리세스, 관통구) 안에 맞물릴 수 있다.
이로써 고정 요소(50, 50')는 정지 요소(40, 40') 뿐만 아니라 모티스 락(30)도 도어에 고정한다. 이 경우 도어 문짝(21)의 리세스(24, 24')와 모티스 락(30)의 관통구(34)는 락 케이스 스트립(31)이 숄더(28)에 정확히 지지되도록 서로 조정된다. 그러나 도어 문짝(21)에 락 케이스 스트립(31)을 고정하기 위한 나사는 더 이상 필요하지 않다. 금속 피팅부(10, 10') 뿐만 아니라 모티스 락(30)도 각각 공구 없이 조립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들에 국한되지 않으며, 다양한 방식으로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정지 요소(40, 40')는 적어도 에지면이 스텝형으로 형성되어, 측면(22, 22') 상의 제1 리세스(23, 23')의 에지 영역(26)에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또 다른 흥미로운 구성 가능성들이 나타난다. 예컨대 중앙 쪽은 비교적 견고하지만 에지면은 비교적 얇도록 정지 요소(40, 40')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도어(20)의 측면(22, 22')에서 정지 요소(40, 40')는 시각적으로 거의 드러나지 않는다.
또 다른 변형예에서, 정지 요소(40, 40')는 도어의 리세스(23, 23') 내에 동일한 형태로 끼워 넣어지며, 다시 말해 정지 요소(40, 40')의 외부 윤곽은 종축(L)에 대해 수직으로 리세스(23, 23')의 내부 윤곽에 상응한다. 이는 정지 요소(40, 40')의 외부 치수와 리세스(23, 23')의 내부 직경이 거의 정확하게 일치하는 것을 전제로 한다. 그러나 도어(20)는 전체적으로 나란하면서 매끄러운 표면을 가지며, 이는 특히 시각적으로 볼 때 바람직하다.
정지 요소(40, 40')의 고정 요소(50, 50')는 원형 또는 각진 횡단면을 가질 수 있다. 이를 통해 회전 방지부가 구현될 수 있으므로, 정지 요소(40, 40')마다 예컨대 하나의 고정 요소(50, 50')만이 제공된다.
도어(20)의 사용 목적에 따라, 핸들(60, 60')은 예컨대 도어(20)의 해당 측면에서는 열리지 말아야 할 때 축방향으로 고정되게 그리고/또는 회전 불가능하게 정지 요소(40, 40')에 연결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수용 요소(84, 84')는 정지 요소(40, 40')와 일체일 수도 있다.
청구 범위, 상세한 설명 및 도면에 기재된 전체 특징들과 장점들은 구성적인 세부 사항과, 공간적인 배치 및 방법 단계들을 포함하여 단독으로뿐만 아니라 다양한 조합 형태로도 본 발명에서 중요할 수 있다.
L : 종축
10, 10' : 작동 핸들
20 : 도어
21 : 도어 문짝
22, 22' : 측면
23, 23' : 리세스
24, 24' : 리세스
25, 25' : 리세스
26 : 에지 영역
27 : 포켓
28 : 숄더
30 : 잠금 장치
31 : 락 케이스 스트립
32 : 래치 볼트
33 : 락 너트
34 : 관통구
35: 또 다른 관통구
35' : 또 다른 락 너트
35" : 관통구
36 : 나사
37 : 하우징
38 : 사각 리세스
40, 40' : 정지 요소
41, 41' : 챔퍼 에지
42, 42' : 후방면
43, 43' : 리세스
44, 44' : 리세스
50, 50' : 고정 요소
51, 51' : 슬리브
52, 52' : 핀
51", 52" : 부분 본체
54 : 슬리브
55" : 요소
60, 60' : 핸들
61, 61' : 핸들 넥
62, 62' : 홈
64' : 플랭크
66 : 동력 전달 요소
70 : 베어링 요소
71 : 슬라이딩 요소
72 : 롤링 베어링 장치
73 : 롤링 본체
74, 75 : 슬라이딩면
76 : 케이지
80 : 복귀 장치
81 : 하우징
82 : 너트
83 : 사각 구멍
84, 84' : 수용 요소
85, 85' : 리세스
86' : 또 다른 리세스
87, 87' : 보어
88, 88' : 리세스
89, 89' : 보어
90 : 래칭 장치
91 : 잠금 부재
92 : (사각) 샤프트
93 : 사각 리세스
94, 94' : 작동 부재
95, 95' : 부착부
96 : 베어링 요소
97, 97' : 정지 디스크
98 : 사각 리세스
99 : 원주 리세스
100 : 도어 장치

Claims (72)

  1. 도어(20)용 작동 핸들(10, 10')이며, 하나 이상의 고정 요소(50, 50')에 의해 도어(20)에 고정될 수 있는 정지 요소(40, 40')와, 도어(20)의 작동 및/또는 도어(20)에 배치된 잠금 장치(30)의 작동을 위한 핸들(60, 60')을 구비한 도어용 작동 핸들에 있어서,
    고정 요소(50, 50')는 정지 요소(40, 40')에 연결되며 도어(20)의 측면(22, 22')을 관통해서 잠금 장치(30) 내로 도입될 수 있고, 이 경우 고정 요소(50, 50')는 상기 고정 요소가 정지 요소(40, 40')의 종축(L)에 대해 수직으로 잠금 장치(30)에 그리고/또는 잠금 장치 내에 고정될 수 있도록 배치 및/또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작동 핸들.
  2. 제1항에 있어서, 정지 요소(40, 40')는 플랫 본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작동 핸들.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정지 요소(40, 40')는 적어도 에지면이 스텝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작동 핸들.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정지 요소(40, 40')는 적어도 섹션별로 평평한 후방면(42, 42')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작동 핸들.
  5. 제4항에 있어서, 고정 요소(50, 50')는 정지 요소(40, 40')의 후방면(42, 42')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작동 핸들.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고정 요소(50, 50')는 정지 요소(40, 40')의 종축(L)에 대해 평행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작동 핸들.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고정 요소(50, 50')는 핀형 또는 슬리브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작동 핸들.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고정 요소(50, 50')는 원형 또는 각진 형태의 횡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작동 핸들.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고정 요소(50, 50')는 작동 핸들(10, 10')이 조립된 상태일 때 잠금 장치(30)를 적어도 섹션별로 관통해서 돌출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작동 핸들.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고정 요소(50, 50')의 치수는 변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작동 핸들.
  11. 제10항에 있어서, 고정 요소(50, 50') 상에 부시, 슬리브(54) 등을 끼우거나 끼울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작동 핸들.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정지 요소(40, 40')는 2개 이상의 고정 요소(50, 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작동 핸들.
  13. 제12항에 있어서, 고정 요소들(50, 50')은 보완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작동 핸들.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고정 요소(50, 50')는 슬리브(51, 51')로서,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고정 요소(50, 50')는 핀(52, 52')으로서 형성되며, 각각의 슬리브(51, 51')의 내부 직경은 핀(52, 52')의 외부 직경에 상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작동 핸들.
  15.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각각의 고정 요소(50, 50')는 공통으로 하나의 핀형 또는 슬리브형 요소를 형성하는 2개의 동일한 부분 본체들(51", 52")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작동 핸들.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핸들(60, 60')은 축방향으로 고정되게 그리고/또는 회전 불가능하게 정지 요소(40, 40')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작동 핸들.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핸들(60, 60')은 회전 및/또는 선회 가능하게 정지 요소(40, 40') 내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작동 핸들.
  18. 제17항에 있어서, 핸들(60, 60')은 정지 요소(40, 40')의 종축(L)을 중심으로 회전 및/또는 선회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작동 핸들.
  19. 제17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핸들(60, 60')은 도어(20) 내에 통합된 잠금 장치(30)의 작동을 위해 동력 전달 요소(66)와 상호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작동 핸들.
  20. 제19항에 있어서, 동력 전달 요소(66)는 사각 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작동 핸들.
  21. 제19항 또는 제20항에 있어서, 핸들(60, 60')은 축방향으로 고정되게 동력 전달 요소(66)에 연결되거나 연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작동 핸들.
  22. 제1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핸들(60, 60')과 정지 요소(40, 40') 사이에 베어링 요소(70)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작동 핸들.
  23. 제22항에 있어서, 베어링 요소(70)는 슬라이딩 요소(7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작동 핸들.
  24. 제22항에 있어서, 베어링 요소(70)는 롤링 베어링 장치(7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작동 핸들.
  25. 제1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핸들(60, 60')은 복귀력에 반대되게 작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작동 핸들.
  26. 제25항에 있어서, 복귀력은 복귀 장치(80)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작동 핸들.
  27. 제25항 또는 제26항에 있어서, 복귀 장치(80)는 정지 요소(40, 40')에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되며, 핸들(60)과 상호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작동 핸들.
  28. 제25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귀 장치(80)는 수용 요소(84, 84') 내에 배치되거나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작동 핸들.
  29. 제28항에 있어서, 수용 요소(84, 84')에는 복귀 장치(80)를 수용하기 위한 리세스(85)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작동 핸들.
  30. 제28항 또는 제29항에 있어서, 수용 요소(84, 84')는 정지 요소(40, 40')의 후방면(42, 42')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작동 핸들.
  31. 제28항 내지 제3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정지 요소(40, 40')의 종축(L)에 대해 수직으로 정지 요소(40, 40')의 외부 치수는 수용 요소(84, 84')의 외부 치수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작동 핸들.
  32. 제28항 내지 제3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용 요소(84, 84')는 회전 불가능하게 정지 요소(40, 40')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작동 핸들.
  33. 제28항 내지 제3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용 요소(84, 84')는 정지 요소(40, 40')와 일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작동 핸들.
  34. 제1항 내지 제3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정지 요소(40, 40')에 대한 핸들(60)의 회전 운동 및/또는 선회 운동은 래칭 장치(90)에 의해 로킹되거나 블로킹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작동 핸들.
  35. 제34항에 있어서, 래칭 장치(90)는 핸들(60)의 로킹 또는 블로킹을 위한 하나 이상의 잠금 부재(9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작동 핸들.
  36. 제34항 또는 제35항에 있어서, 래칭 장치(90)의 잠금 부재(91)는 하나 이상의 작동 부재(94, 94')에 의해 작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작동 핸들.
  37. 제34항 내지 제3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작동 부재(94, 94')는 회전 및/또는 선회 가능하게 정지 요소(40, 40') 내에 또는 정지 요소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작동 핸들.
  38. 제34항 내지 제3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래칭 장치(90)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 요소(84, 84')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작동 핸들.
  39. 제34항 내지 제3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용 요소(84, 84')에는 래칭 장치(90)를 수용하기 위한 또 다른 리세스(86')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작동 핸들.
  40. 제34항 내지 제3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래칭 장치(90)는 종축(L)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거울상 대칭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작동 핸들.
  41. 도어 문짝(21)과, 제1항 내지 제3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하나 이상의 작동 핸들(10, 10')을 구비한 도어(100).
  42. 제41항에 있어서, 도어(20)의 각각의 측면(22, 22')에 작동 핸들(10, 10')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43. 제41항 또는 제42항에 있어서, 작동 핸들(10, 10')은 서로 대향 배치되며 정지 요소(40, 40')의 종축(L)에 대해 일직선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44. 제41항 내지 제4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잠금 장치(30)는 도어(20)의 도어 문짝(21)의 단부면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45. 제41항 내지 제4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잠금 장치(30)는 락 케이스 스트립(31)에 의해 도어 문짝(21)에 고정될 수 있는 모티스 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46. 제41항 내지 제4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잠금 장치(30)는 래치 볼트(32)의 작동을 위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락 너트(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47. 제41항 내지 제4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잠금 장치(30)는 고정 요소(50, 50')를 수용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관통구(34), 관통 보어, 관통 슬리브 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48. 제47항에 있어서, 2개 이상의 관통구들(34)은 락 너트(33)에 대해 대칭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49. 제41항 내지 제4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잠금 장치(30)에는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관통구(35)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50. 제49항에 있어서, 또 다른 관통구(35)는 관통 보어, 관통 슬리브 또는 또 다른 락 너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51. 제47항 내지 제5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서로 대향 배치된 정지 요소(40, 40')의 하나 이상의 고정 요소(50, 50')는 작동 핸들(10, 10')이 조립된 상태일 때 잠금 장치(30)의 관통구들(34) 중 하나에 맞물리도록 배치 및/또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52. 제47항 내지 제5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도어(20)의 제1 측면(22) 상에 놓인 제1 정지 요소(40)의 하나 이상의 핀(52)은 작동 핸들(10, 10')이 조립된 상태일 때 도어(20)의 제2 측면(22') 상에 놓인 제2 정지 요소(40')의 슬리브(51') 내에 맞물리고, 이 경우 각각의 슬리브(51, 51')는 잠금 장치(30)의 관통구(34) 내에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53. 제47항 내지 제5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도어(20)의 제1 측면(22) 상에 놓인 제1 정지 요소(40)의 부분 본체(51")와 도어(20)의 제2 측면(22') 상에 놓인 제2 정지 요소(40')의 대응 부분 본체(52")는 작동 핸들(10, 10')이 조립된 상태일 때 잠금 장치(30)의 관통구(34) 내에 맞물리는 핀형 또는 슬리브형 요소를 공통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54. 제41항 내지 제5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도어(20)의 각각의 측면(22, 22')에는 하나 이상의 리세스(23, 23', 24, 24', 25, 25')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55. 제54항에 있어서, 서로 대향 배치된 리세스들(23, 23', 24, 24', 25, 25')이 종축(L)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서로 동심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56. 제54항 또는 제55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제1 리세스(23, 23')는 도어 문짝(21)의 측면(22, 22')을 관통해서 잠금 장치(30)의 락 너트(33)에 자유롭게 접근할 수 있도록 배치되고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57. 제54항 내지 제5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또 다른 리세스(24, 24')는 도어 문짝(21)의 측면(22, 22')을 관통해서 잠금 장치(30)의 하나 이상의 관통구(34)에 자유롭게 접근할 수 있도록 배치 및/또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58. 제54항 내지 제5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또 다른 리세스(25, 25')는 도어 문짝(21)의 측면(22, 22')을 관통해서 잠금 장치(30)의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관통구(35)에 자유롭게 접근할 수 있도록 배치 및/또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59. 제54항 내지 제5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정지 요소(40, 40')의 종축(L)에 대해 수직으로 정지 요소(40, 40')의 외부 치수는 리세스들(23, 23', 24, 24', 25, 25')이 정지 요소(40, 40')에 의해 완전히 커버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60. 제54항 또는 제55항에 있어서, 제1 리세스(23, 23')는 도어 문짝(21)을 관통해서 잠금 장치(30)의 락 너트(33), 관통구(34) 및/또는 또 다른 관통구(35)에 자유롭게 접근할 수 있도록 배치 및/또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61. 제60항에 있어서, 정지 요소(40, 40')의 종축(L)에 대해 수직으로 정지 요소(40, 40')의 외부 치수는 리세스(23, 23')의 내부 직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62. 제60항 또는 제61항에 있어서, 정지 요소(40, 40')는 제1 리세스(23, 23')의 에지 영역(26)에서 스텝형 에지(43)로써 측면(22, 22')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63. 제60항 내지 제6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정지 요소(40, 40')의 종축(L)에 대해 수직으로 수용 요소(84, 84')의 외부 윤곽이 리세스(23, 23')의 내부 윤곽에 상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64. 제60항에 있어서, 종축(L)에 대해 수직으로 정지 요소(40, 40')의 외부 윤곽이 리세스(23, 23')의 내부 윤곽에 상응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65. 제64항에 있어서, 정지 요소(40, 40')는 도어(20) 또는 도어 문짝(21)의 측면(22, 22')과 동일 평면에 배치 및/또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66. 제60항 내지 제6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정지 요소(40, 40')의 종축(L)에 대해 수직으로 수용 요소(84, 84')의 외부 치수는 리세스(23, 23')의 내부 직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67. 제54항 내지 제6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도어(20)의 측면(22, 22')의 또 다른 리세스(24, 24')와 잠금 장치(30)의 각각의 해당 관통구들(34)은 동일한 내부 직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68. 제67항에 있어서, 도어(20)의 측면(22, 22')의 또 다른 리세스(24, 24')와 도어 문짝(21) 내의 잠금 장치(30)는 또 다른 리세스(24, 24')와 관통구(34)가 합동으로 연달아 놓이도록 위치 설정되고 상호 간에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69. 제67항 또는 제68항에 있어서, 서로 대향 배치된 정지 요소(40, 40')의 하나 이상의 고정 요소(50, 50')는 작동 핸들(10, 10')이 조립된 상태일 때 종축(L)에 대해 수직으로 도어(20)의 또 다른 리세스들(24, 24') 중 하나와 잠금 장치(30)의 관통구들(34) 중 하나에 맞물리도록 형성 및/또는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70. 제41항 내지 제6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서로 대향 배치된 작동 핸들(10, 10')의 핸들(60, 60')은 동력 전달 요소(66)에 의해 축방향으로 고정되게 서로 연결되거나 연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71. 제41항 내지 제7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핸들(60, 60')과 동력 전달 요소(66) 강제 결합식으로 서로 연결되거나 연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72. 제41항 내지 제7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핸들(60, 60')과 동력 전달 요소(66) 사이에는, 제1 방향으로 동력 전달 요소(66)가 핸들(60, 60') 내로 도입되고 반대 방향으로의 도입은 로킹되도록 형성된 장치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KR1020107002277A 2007-07-02 2008-06-20 도어용 작동 핸들 KR2010004031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7030655.7 2007-07-02
DE200710030655 DE102007030655A1 (de) 2007-07-02 2007-07-02 Betätigungshandhabe für eine Tü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0310A true KR20100040310A (ko) 2010-04-19

Family

ID=399515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2277A KR20100040310A (ko) 2007-07-02 2008-06-20 도어용 작동 핸들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100225128A1 (ko)
EP (1) EP2193246B1 (ko)
JP (1) JP2010531938A (ko)
KR (1) KR20100040310A (ko)
CN (1) CN101730777A (ko)
CA (1) CA2692366A1 (ko)
DE (1) DE102007030655A1 (ko)
MX (1) MX2009014234A (ko)
RU (1) RU2010103257A (ko)
WO (1) WO200900360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09001856U1 (de) 2009-02-13 2010-07-08 Franz Schneider Brakel Gmbh & Co. Kg Schlossgarnitur für Türen, Fenster o.dgl.
DE102009023130B4 (de) * 2009-05-20 2017-06-08 Hafi Beschläge GmbH Beschlag für Fenster, Türen oder Tore
DE202009008754U1 (de) * 2009-06-24 2009-12-03 Frascio Deutschland Gmbh Rosettenanordnung
DE102010012220A1 (de) * 2010-03-19 2011-09-22 Hoppe Ag Rosettenanordnung für eine Tür
JP6043514B2 (ja) * 2012-06-13 2016-12-1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ハンドル用台座及びこれを備えたドア装置
DE102012211778A1 (de) * 2012-07-05 2014-01-09 Hewi Heinrich Wilke Gmbh Beschlaganordnung
AT14338U1 (de) 2014-02-21 2015-08-15 Kaba Gmbh Einsteckschloss
AT518316B1 (de) * 2016-02-12 2017-11-15 Kaba Gmbh Rosette
AU2017201618B2 (en) * 2016-08-26 2023-01-12 Allegion (Australia) Pty Ltd A lock assembly
IT201700108924A1 (it) * 2017-09-28 2019-03-28 Marco Villa Assieme maniglia per serramento, assieme serramento e metodo di installazione
DE102017130340A1 (de) 2017-12-18 2019-06-19 Hoppe Ag Betätigungshandhabe mit Sperrvorrichtung
DE102018100360B4 (de) * 2018-01-09 2019-10-10 Hafi Beschläge GmbH Rosettengarnitur
DE102018201186A1 (de) * 2018-01-25 2019-07-25 Karcher Gmbh Türschließsystem
DE202018006769U1 (de) 2018-11-22 2022-09-12 Griffwerk GmbH Türgarnitur mit einer einseitig verriegelbaren Handhabe
DE102018129450B4 (de) 2018-11-22 2023-05-04 Griffwerk GmbH Türgarnitur mit einer einseitig verriegelbaren Handhabe
EP3887620A1 (en) * 2018-11-27 2021-10-06 Arconic Technologies LLC Cam assisted handle system
TWI705179B (zh) * 2019-08-05 2020-09-21 一德金屬工業股份有限公司 抗扭轉門鎖
CZ309364B6 (cs) * 2021-08-17 2022-10-05 Material & Technology S.R.O. Dveřní kování
GB2616899A (en) * 2022-03-24 2023-09-27 Laporta Giovanni A handle assembly
DE102022107184A1 (de) 2022-03-25 2023-09-28 Huga Kg Türflügel mit flächenbündigen Türbeschlag und Verriegelung an einem Türdrücker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48571C (de) * 1935-10-03 1937-08-04 Ludw Rocholl & Cie Befestigungsanordnung fuer Tuerschilder, Drueckerrosetten u. dgl.
US2234912A (en) * 1938-09-09 1941-03-11 Independent Lock Co Knob spindle lock
CH222198A (de) * 1940-08-29 1942-07-15 Schill Gottfried Einrichtung zum Festhalten von Deckschildern bei Griffen und Schlüssellöchern an Türen.
DE2222717A1 (de) * 1972-05-09 1973-12-20 Grossteinbeck Gmbh Otto Einrichtung zum befestigen eines tuerschildes oder einer tuerrosette
DE2262322A1 (de) * 1972-12-20 1974-06-27 Engstfeld Wilh Fa Halterung von einsteckschloessern in der schlosstasche eines tuerblattes
DE2615322C2 (de) * 1976-04-08 1986-10-09 Heinrich Wilke Befestigungsvorrichtung für Türschilder bzw. Türrosetten
DE2837614A1 (de) * 1978-08-29 1980-03-13 Willi Eigemeier Tuerschild- bzw. rosettengrundkoerper aus thermoplastischem kunststoff
AU569180B2 (en) * 1984-10-26 1988-01-21 Assa Abloy Australia Pty Limited Furniture plate
DE3606377A1 (de) * 1986-02-27 1987-09-03 Goldschmidt Baubeschlaege Beschlag fuer fenster oder tueren
DE9319981U1 (de) * 1993-12-24 1995-04-20 Fa. Behle Beschläge und Armaturen, 34454 Arolsen Vorrichtung zur axial unverschieblichen, aber leicht lösbaren Verbindung eines Ausstattungsteils mit einem Montageteil
DE9414208U1 (de) * 1994-09-02 1994-11-24 Dorma Gmbh + Co. Kg, 58256 Ennepetal Beschlagunterteil
AUPP208898A0 (en) * 1998-03-03 1998-03-26 Ripponlea Australia Pty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door handles
DE29806679U1 (de) * 1998-04-14 1998-07-16 FSB Franz Schneider Brakel GmbH & Co, 33034 Brakel Rosette mit Befestigungseinrichtung
DE19820187C2 (de) * 1998-04-28 1999-10-21 Martina Aufschlager Einbruchshemmender Türschild-Satz
DK199900279A (da) * 1999-03-02 2000-09-03 Nt Randi As Fremgangsmåde og befæstigelsesindretning til montage af dørbeslag
US6425613B1 (en) * 2000-09-29 2002-07-30 Shen Mu-Lin Door lockset
US6698259B2 (en) * 2001-05-24 2004-03-02 Macmillan Daniel Dual action detent for tamper resistant lever lock mechanism
DE20113717U1 (de) * 2001-08-24 2001-11-15 Hoppe Ag St Martin Baubeschlag-Unterkonstruktion
TW578832U (en) * 2003-01-29 2004-03-01 Tong Lung Metal Ind Co Ltd Removal structure for lock post
US6916053B2 (en) * 2003-06-03 2005-07-12 Globe Union Industrial Corp. Latch lock
US7077437B2 (en) * 2004-03-26 2006-07-18 Sargent Manufacturing Company Mortise lock integrated trim assembly with a retracting spindle
DE202005000785U1 (de) 2005-01-17 2006-05-24 Hoppe Ag, St Martin Betätigungshandhabe
EP1683933B1 (de) 2005-01-17 2012-07-25 Hoppe Ag Betätigungshandhabe
DE202005004381U1 (de) * 2005-03-16 2005-05-25 Hoppe Ag, St Martin Rückholfeder-Einhe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225128A1 (en) 2010-09-09
WO2009003600A1 (de) 2009-01-08
CA2692366A1 (en) 2009-01-08
CN101730777A (zh) 2010-06-09
EP2193246B1 (de) 2021-09-15
RU2010103257A (ru) 2011-08-10
EP2193246A1 (de) 2010-06-09
MX2009014234A (es) 2010-08-11
JP2010531938A (ja) 2010-09-30
DE102007030655A1 (de) 2009-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40310A (ko) 도어용 작동 핸들
US8359709B2 (en) Locking hinge assembly
US7418845B2 (en) Two-point mortise lock
US8707521B1 (en) Adjustable door jamb lock
DK2366851T3 (en) Rosetanordning to a door
EP1698752A2 (en) An adjustable hinge for heavy doors and windows.
US20110099755A1 (en) Hinge
CN114382341A (zh) 无装饰盖门窗把手
US8631520B2 (en) Self-sustaining toilet seat hinge assembly
JPH08511843A (ja) 無開き勝手隠しねじ取り付け機構
AU2004321977B2 (en) A hinge
US7059020B2 (en) Hinge for doors and similar construction components
EP2806088B1 (en) Fastener for a window or a door
AU2016201008B2 (en) A spindle for use with a latch assembly
AU2002221611B2 (en) Lock Assembly
EP1624146B1 (en) Hinge for door or window frames
EP2267250A1 (en) Striker plate for doors and windows
GB2411431A (en) Lever-operated expansion fastenings for hinge parts
KR102654139B1 (ko) 설치가 용이한 도어록
KR102243412B1 (ko) 창호 그립핸들의 사각축 호환구조
CA2365157C (en) Multipoint lock for sliding patio door
GB2549960A (en) Handle system for a closure
JP2001027084A (ja) 門 扉
AU2012241117B2 (en) A double sided door lock assembly
EP3575515A1 (en) A handle for operating a window or do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