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4139B1 - 설치가 용이한 도어록 - Google Patents

설치가 용이한 도어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4139B1
KR102654139B1 KR1020230098753A KR20230098753A KR102654139B1 KR 102654139 B1 KR102654139 B1 KR 102654139B1 KR 1020230098753 A KR1020230098753 A KR 1020230098753A KR 20230098753 A KR20230098753 A KR 20230098753A KR 102654139 B1 KR102654139 B1 KR 1026541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cover plate
door
casing
door 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987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진찬
Original Assignee
전진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진찬 filed Critical 전진찬
Priority to KR10202300987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41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41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41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08Mortise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3Handles pivoted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3/00Fastening knobs or handles to lock or latch parts
    • E05B3/08Fastening the spindle to the followe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9/00Lock casings or latch-mechanism casings ; 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to the wing
    • E05B9/08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e.g. the casings of latch-bolt locks or cylinder locks to the w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볼트가 관통되는 관통공이 레버와 이격되게 형성되어 도어록의 시공 및 설치 작업이 매우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볼트의 체결 중에 부품의 손상이 원천적으로 방지되도록 하는 설치가 용이한 도어록에 관한 것으로, 본 도어록은 도어에 시공 및 설치가 용이한 구조로 이루어지고 도어의 내측에 구비되는 내측 손잡이부(1)와, 도어의 외측에 설치되고 상기 내측 손잡이부(1)와 결합되는 외측 손잡이부(2)와, 도어에 설치되고 상기 내측 손잡이부(1)와 외측 손잡이부(2)의 사이에 장착되는 모티스(3)와, 상기 내측 손잡이부(1)와 외측 손잡이부(2)에 설치되는 지지링(4)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설치가 용이한 도어록{DOOR LOCK WITH EASY INSTALLATION}
본 발명은 도어록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볼트가 관통되는 관통공이 레버와 이격되게 형성되어 도어록의 시공 및 설치 작업이 매우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볼트의 체결 중에 부품의 손상이 원천적으로 방지되도록 하는 설치가 용이한 도어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의 현관이나 사무실의 방화문에는 도어의 잠금 및 해지를 위한 데드볼트와 래치볼트가 설치된 모티스를 가지는 도어록이 사용되며 모티스를 두고 일측에는 키뭉치가 장착된 도어록 레버와 타측에는 썸턴이 장착된 도어록 레버가 서로 축연결되어 레버의 회동에 의해 도어의 열림이 이루어지도록 사용되고 있다.
도 12 내지 도 14는 종래의 도어록을 보인 개략적인 도면으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도어록은 도어의 내, 외측에 각각 설치되는 레버(20A,20B)와, 이들 레버(20A,20B)에 의해 도어의 잠금 및 해지 기능을 수행하는 모티스(4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내, 외측 레버(20A,20B)는 도어에 밀착 고정되는 각각의 커버플레이트(21)를 포함하여 상기 커버플레이트(21)의 내측에 탄력 있게 장착되는 회동 규제편(22) 및 체결구(23a,23b)에 의해 수평으로 설치된 상태에서 정역 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동 조작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외측 레버(20B)에는 통상의 키뭉치(도시생략)가 내장되어 실외에서 키를 이용하여 도어를 잠그거나 해지시킬 수 있으며, 상기 외측 레버(20B)의 스핀들(24B) 내에 장착되어 있는 각축(25)이 모티스(40)를 관통하여 내측 레버(20A) 측으로 결속됨에 따라 상호 연계동작이 가능하게 되는 것으로, 이러한 구조는 전반적인 여닫이 도어에 이미 적용되고 있는 방식이다.
상기 내측 레버(20A)에는 그 몸체 선단부에 스핀들(24A)이 일체형으로 구성되고, 상기 스핀들(24A)의 몸체 일측에는 내경부 측으로 절곡 성형된 걸림턱(26)이 마련되어 있는 동시에 그 끝단부에는 절취부(27)에 의해 분할된 한 쌍의 결속편(28a,28b)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모티스(40)를 구성하는 케이싱(41A) 및 커버(41B)의 양 측판에는 한 쌍의 슬릿(42a,42b)을 가지는 스핀들 와샤(43)가 대칭으로 형성되어 내, 외측 레버(20A,20B)의 스핀들(24A,24B)에 형성된 결속편(28a,28b)이 조립되며 상기 케이싱(41A) 내에는 통상의 래치볼트(44A) 및 데드볼트(44B)가 각각의 연결바(45a,45b)에 결속되어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내측 레버(20A)의 커버플레이트(21)에는 한 쌍의 제1 볼트관통공(H1)이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모티스(40)를 관통하여 제2 볼트관통공(H2)이 형성되며, 볼트(B)가 상기 제1 볼트관통공(H1)과 제2 볼트관통공(H2)을 통과하여 상기 체결구(23a, 23b)에 체결되어 상기 내측 레버(20A)의 커버플레이트와 모티스(40) 및 외측 레버(20B)의 커버플레이트가 일체로 결합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의 도어록은 내측 레버를 기준으로 수직 방향으로 제1 볼트관통공이 형성됨에 따라 내측 레버에 의해 제1 볼트관통공 중의 하나가 가려지게 되고, 상기 내측 레버의 커버플레이트와 모티스 및 외측 레버의 커버플레이트를 도어에 조립하면서 도어록을 시공 및 설치할 때 작업자가 내측 레버를 일측으로 회전시키고 잡아서 고정하여 가려진 제1 볼트관통공을 노출시킨 후에 볼트를 체결해야 함으로, 도어록의 시공 및 설치 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볼트의 체결 중에 부품의 손상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도 13 및 도 14 참조).
이와 같은 시공 중에 유발된 부품의 손상은 도어록 자체의 불량으로 이어지고 그에 따라 도어록의 교체와 재설치가 필요하게 되면서 인적 및 물적 자원의 불필요한 손실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실용 제20-0444396호 "도어록 장치"(2009.04.28)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볼트가 관통되는 관통공이 레버와 이격되게 형성되어 도어록의 시공 및 설치 작업이 매우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볼트의 체결 중에 부품의 손상이 원천적으로 방지되도록 하는 설치가 용이한 도어록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금속재로 지지링을 제작하여 화재시에 열에 의한 녹아내림이 적절히 방지되도록 하면서 내구성이 현저히 향상되도록 하는 설치가 용이한 도어록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설치가 용이한 도어록"은, 도어의 내측에 구비되는 내측 레버와, 상기 내측 레버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도어에 밀착되는 제1 커버플레이트와, 상기 내측 레버가 정면에서 볼 때 수직으로 배치된 상태를 기준으로 예각의 범위 내에 이동된 위치로 상기 제1 커버플레이트에 형성되고 상호 180도의 간격으로 이격되는 한 쌍의 제1 이격관통공과, 상기 제1 이격관통공에 관통되는 한 쌍의 체결볼트를 포함하는 내측 손잡이부와; 도어의 외측에 구비되는 외측 레버와, 상기 외측 레버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도어에 밀착되는 제2 커버플레이트와, 상기 제1 이격관통공에 대응하여 상기 외측 레버가 정면에서 볼 때 수직으로 배치된 상태를 기준으로 예각의 범위 내에 이동된 위치로 상기 제2 커버플레이트의 내측면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호 180도의 간격으로 이격되며 상기 체결볼트가 나사결합되도록 내주면에 나선이 형성되는 한 쌍의 체결구를 포함하는 외측 손잡이부와; 도어에 구비되는 케이싱과, 상기 체결볼트가 관통되도록 상기 케이싱이 정면에서 볼 때 수직으로 배치된 상태를 기준으로 예각의 범위 내에 이동된 위치로 상기 케이싱을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호 180도의 간격으로 이격되는 한 쌍의 제2 이격관통공과,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서 외측으로 돌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데드볼트와,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설치되고 선단에 상기 데드볼트가 장착되는 제1 작동구와, 상기 제1 작동구의 이동이 가능한 상태로 상기 체결볼트가 관통되도록 상기 제1 작동구에 형성되는 볼트관통장공을 포함하는 모티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설치가 용이한 도어록"의 상기 모티스는, 상기 제1 작동구의 일측으로 상기 케이싱에 장착되는 돌출로드와, 상기 케이싱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후크와, 상기 데드볼트의 일측으로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서 외측으로 돌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래치볼트와,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설치되고 선단에 상기 래치볼트가 장착되는 제2 작동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설치가 용이한 도어록"의 상기 제1 작동구는, 상기 제1 작동구의 이동이 가능한 상태로 상기 돌출로드가 관통되도록 상기 제1 작동구에 형성되고 상기 볼트관통장공과 연통되는 로드관통장공과, 상기 데드볼트가 장착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작동구의 선단에 형성되는 장착홈과, 상기 회전후크가 끼워져 걸리도록 상기 제1 작동구의 후단 일측에 형성되는 걸림홈과, 상기 케이싱의 내부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제1 작동구의 외측 둘레에서 후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다수의 지지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설치가 용이한 도어록"은, 상기 내측 레버와 제1 커버플레이트의 사이 및 상기 외측 레버와 제2 커버플레이트의 사이에 각각 끼워지고 금속재로 형성되는 링몸체와, 상기 제1 커버플레이트와 제2 커버플레이트의 외면 둘레에 밀착되도록 상기 링몸체의 선단에서 외측 둘레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외측밀착턱과, 상기 내측 레버와 외측 레버의 단부가 밀착되면서 상기 제1 커버플레이트와 제2 커버플레이트의 내부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링몸체의 후단에서 내측 둘레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내측밀착턱과, 상기 내측 레버와 외측 레버에 형성되는 한 쌍의 걸림턱이 끼워지도록 상기 내측밀착턱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끼움홈을 포함하는 지지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볼트가 관통되는 관통공이 레버와 이격되게 형성되어 도어록의 시공 및 설치 작업이 매우 간편하게 이루어지고, 볼트의 체결 중에 부품의 손상이 원천적으로 방지되며, 시공 중의 도어록의 고장 및 불량 발생으로 인한 인적 및 물적 손실이 원천적으로 해소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금속재로 지지링을 제작하여 화재시에 열에 의한 녹아내림이 적절히 방지되고, 그에 따라 화재시에도 레버의 회전 조작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내구성이 현저히 향상되어 장수명이 보장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록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록의 내측 손잡이부를 보인 개략적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록의 내측 손잡이부를 보인 개략적인 배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록의 모티스를 보인 개략적인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록의 제1 작동구를 보인 개략적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록의 제1 작동구를 보인 개략적인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록의 내측 손잡이부의 배치 상태를 보인 개략적인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록의 내측 손잡이부를 보인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록의 내측 손잡이부를 보인 개략적인 요부 확대 결합 종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록의 지지링을 보인 개략적인 종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록의 지지링을 보인 개략적인 정면도,
도 12는 종래의 도어록을 보인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
도 13은 종래의 도어록의 내측 레버를 보인 개략적인 종단면도,
도 14는 종래의 도어록의 내측 레버의 볼트 설치 상태를 보인 개략적인 종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록의 개략적인 도면들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어록은 도어에 시공 및 설치가 용이한 구조로 이루어지고 도어의 내측에 구비되는 내측 손잡이부(1)와, 도어의 외측에 설치되고 상기 내측 손잡이부(1)와 결합되는 외측 손잡이부(2)와, 도어에 설치되고 상기 내측 손잡이부(1)와 외측 손잡이부(2)의 사이에 장착되는 모티스(3)와, 상기 내측 손잡이부(1)와 외측 손잡이부(2)에 설치되는 지지링(4)을 포함한다.
상기 내측 손잡이부(1)는 도어의 내측에 구비되는 내측 레버(1a)와, 상기 내측 레버(1a)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도어에 밀착되는 제1 커버플레이트(1b)와, 상기 내측 레버(1a)가 정면에서 볼 때 수직으로 배치된 상태를 기준으로 예각의 범위 내에 이동된 위치로 상기 제1 커버플레이트(1b)에 형성되고 상호 180도의 간격으로 이격되는 한 쌍의 제1 이격관통공(1c)과, 상기 제1 이격관통공(1c)에 관통되는 한 쌍의 체결볼트(1d)를 포함한다.
상기 내측 손잡이부(1)는 작업자가 도어의 내측면에서 상기 내측 레버(1a)의 방해를 받지 않은 상태로 상기 외측 손잡이부(2)와 간편하게 조립 및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내측 레버(1a)는 도어의 내측에서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서 도어를 개폐하면서 상기 모티스(3)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기 내측 레버(1a)는 상기 제1 커버플레이트(1b)에 끼워지는 부위에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걸림턱(T)을 포함한다. 상기 걸림턱(T)은 상기 지지링(4)이 끼워져 상기 내측 레버(1a)의 단부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제1 커버플레이트(1b)는 상기 내측 레버(1a)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장소를 제공하면서 상기 외측 손잡이부(2)와 결합되어 도어에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제1 이격관통공(1c)은 상기 내측 레버(1a)의 단부가 정면에서 볼 때 수직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내측 레버(1a)의 상부 방향으로 수직선을 기준선으로 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90도보다 적은 예각의 범위 내에 하나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는 180도 간격으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됨으로써, 작업자가 본 도어록을 도어에 시공 및 설치할 때 체결드라이버나 전동드라이버 등이 상기 내측 레버(1a)에 의해 간섭을 받지않아 간편하면서 부품의 손상이 방지되는 상태로 상기 체결볼트(1d)를 체결할 수 있게 된다(도 7 참조).
이와 같은 상기 제1 이격관통공(1c)은 한 쌍으로 형성되고 상호 180도의 간격으로 배치됨으로써, 상기 내측 레버(1a)를 기준으로 하나는 상부 일측에 다른 하나는 하부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내측 레버(1a)의 방해나 간섭을 받지 않고 상기 체결볼트(1d)를 끼워 넣어 조립 작업을 간편하면서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체결볼트(1d)는 상기 제1 커버플레이트(1b)에 머리가 걸린 상태로 상기 제1 이격관통공(1c)을 관통하여 상기 외측 손잡이부(2)에 체결되면서 상기 내측 손잡이부(1)와 외측 손잡이부(2)를 도어에 조립시키면서 상기 모티스(3)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외측 손잡이부(2)는 도어의 외측에 구비되는 외측 레버(2a)와, 상기 외측 레버(2a)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도어에 밀착되는 제2 커버플레이트(2b)와, 상기 제1 이격관통공(1c)에 대응하여 상기 외측 레버(2a)가 정면에서 볼 때 수직으로 배치된 상태를 기준으로 예각의 범위 내에 이동된 위치로 상기 제2 커버플레이트(2b)의 내측면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호 180도의 간격으로 이격되며 상기 체결볼트(1d)가 나사결합되도록 내주면에 나선이 형성되는 한 쌍의 체결구(2c)를 포함한다.
상기 외측 손잡이부(2)는 도어의 외측면에서 상기 내측 손잡이부(1)에 결합되어 고정되면서 도어에 장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외측 레버(2a)는 도어의 외측에서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서 도어를 개폐하면서 상기 모티스(3)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기 외측 레버(2a)는 상기 제2 커버플레이트(2b)에 끼워지는 부위에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걸림턱(미도시)을 포함한다. 상기 걸림턱(미도시)은 상기 지지링(4)이 끼워져 상기 외측 레버(2a)의 단부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내측 레버(1a)에 형성된 걸림턱(T)과 동일한 구조를 가진다.
상기 제2 커버플레이트(2b)는 상기 외측 레버(2a)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장소를 제공하면서 상기 내측 손잡이부(1)와 결합되어 도어에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체결구(2c)는 상기 외측 레버(2a)의 단부가 정면에서 볼 때 수직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외측 레버(2a)의 상부 방향으로 수직선을 기준선으로 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90도보다 적은 예각의 범위 내에 하나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는 180도 간격으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1 이격관통공(1c)을 관통한 상기 체결볼트(1d)가 나사결합되면서 체결되는 부위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체결구(2c)는 상기 체결볼트(1d)가 수평으로 삽입되어 체결되기 위해 상기 제1 이격관통공(1c)의 배치 위치와 동일한 위치에 구비된다.
상기 모티스(3)는 도어에 구비되는 케이싱(3a)과, 상기 체결볼트(1d)가 관통되도록 상기 케이싱(3a)이 정면에서 볼 때 수직으로 배치된 상태를 기준으로 예각의 범위 내에 이동된 위치로 상기 케이싱(3a)을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호 180도의 간격으로 이격되는 한 쌍의 제2 이격관통공(3b)과, 상기 케이싱(3a)의 내부에서 외측으로 돌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데드볼트(3c)와, 상기 케이싱(3a)의 내부에 설치되고 선단에 상기 데드볼트(3c)가 장착되는 제1 작동구(3d)와, 상기 제1 작동구(3d)의 이동이 가능한 상태로 상기 체결볼트(1d)가 관통되도록 상기 제1 작동구(3d)에 형성되는 볼트관통장공(31d)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상기 모티스(3)는 상기 제1 작동구(3d)의 일측으로 상기 케이싱(3a)에 장착되는 돌출로드(3e)와, 상기 케이싱(3a)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후크(3f)와, 상기 데드볼트(3c)의 일측으로 상기 케이싱(3a)의 내부에서 외측으로 돌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래치볼트(3g)와, 상기 케이싱(3a)의 내부에 설치되고 선단에 상기 래치볼트(3g)가 장착되는 제2 작동구(3h)를 더 포함한다.
상기 케이싱(3a)은 도어에 장착되는 부위이고 상기 제2 이격관통공(3b)이 형성되는 장소를 제공하면서 상기 데드볼트(3c)를 포함하는 제반 부품들이 내부에 설치되는 장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 이격관통공(3b)은 상기 케이싱(3a)이 정면에서 볼 때 수직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케이싱(3a)의 상부 방향으로 수직선을 기준선으로 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90도보다 적은 예각의 범위 내에 하나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는 180도 간격으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1 이격관통공(1c)을 관통한 상기 체결볼트(1d)가 수평으로 상기 모티스(3)를 관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데드볼트(3c)는 사용자가 열쇠로 조작하여 도어를 잠그거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도록 하는 공지의 것이다.
상기 제1 작동구(3d)는 상기 데드볼트(3c)가 장착되는 부위를 제공하면서 상기 데드볼트(3c)의 직선 운동을 안내하고 상기 데드볼트(3c)를 작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볼트관통장공(31d)은 상기 제1 작동구(3d)의 직선 운동에 간섭을 받지 않은 상태로 상기 체결볼트(1d)가 관통되는 부위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상기 제1 작동구(3d)는 상기 제1 작동구(3d)의 이동이 가능한 상태로 상기 돌출로드(3e)가 관통되도록 상기 제1 작동구(3d)에 형성되고 상기 볼트관통장공(31d)과 연통되는 로드관통장공(32d)과, 상기 데드볼트(3c)가 장착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작동구(3d)의 선단에 형성되는 장착홈(33d)과, 상기 회전후크(3f)가 끼워져 걸리도록 상기 제1 작동구(3d)의 후단 일측에 형성되는 걸림홈(34d)과, 상기 케이싱(3a)의 내부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제1 작동구(3d)의 외측 둘레에서 후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다수의 지지대(35d)를 더 포함한다.
상기 로드관통장공(32d)은 상기 제1 작동구(3d)의 직선 운동에 간섭을 받지 않은 상태로 상기 돌출로드(3e)가 관통되는 부위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장착홈(33d)은 상기 데드볼트(3c)가 장착되어 고정되는 부위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걸림홈(34d)은 상기 회전후크(3f)가 걸리는 부위를 제공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지지대(35d)는 상기 케이싱(3a)의 내부면에 상기 제1 작동구(3d)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돌출로드(3e)는 상기 회전후크(3f)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면서 탄성복원시키는 비틀림 스프링이 끼워져 고정되는 부위를 제공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래치볼트(3g)는 상기 내측 레버(1a)와 외측 레버(2a)의 회전 조작에 의해 도어를 개방할 수 있도록 하는 공지의 것이다. 상기 제2 작동구(3h)는 상기 래치볼트(3g)를 작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지지링(4)은 상기 제1 커버플레이트(1b)에 대한 상기 내측 레버(1a)의 회전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금속재로 제작되어 화재시에 고열에 의해 녹아내리는 것이 방지되면서 화재시에도 상기 내측 레버(1a)와 외측 레버(2a)의 회전 조작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기 지지링(4)은 상기 내측 레버(1a)와 제1 커버플레이트(1b)의 사이 및 상기 외측 레버(2a)와 제2 커버플레이트(2b)의 사이에 각각 끼워지고 금속재로 형성되는 링몸체(4a)와, 상기 제1 커버플레이트(1b)와 제2 커버플레이트(2b)의 외면 둘레에 밀착되도록 상기 링몸체(4a)의 선단에서 외측 둘레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외측밀착턱(4b)과, 상기 내측 레버(1a)와 외측 레버(2a)의 단부가 밀착되면서 상기 제1 커버플레이트(1b)와 제2 커버플레이트(2b)의 내부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링몸체(4a)의 후단에서 내측 둘레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내측밀착턱(4c)과, 상기 내측 레버(1a)와 외측 레버(2a)에 형성되는 한 쌍의 걸림턱(T)이 끼워지도록 상기 내측밀착턱(4c)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끼움홈(4d)을 포함한다.
도 8과 도 9에는 상기 내측 레버(1a)와 제1 커버플레이트(1b)에 상기 지지링(4)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는데, 상기 지지링(4)은 상기 외측 레버(2a)와 제2 커버플레이트(2b)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은 상기 내측 레버(1a)와 제1 커버플레이트(1b)에 대해 상기 외측 레버(2a)와 제2 커버플레이트(2b)가 거의 동일한 외형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손쉽게 인지할 수 있다.
상기 링몸체(4a)는 상기 내측 레버(1a)와 제1 커버플레이트(1b)의 회전 부위에 끼워져 이들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링몸체(4a)는 그 내주면에 상기 내측 레버(1a)의 단부측이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고 상기 링몸체(4a)의 외주면에 상기 제1 커버플레이트(1b)가 회전 가능하게 끼워져 이들을 매끄럽게 회전하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외측밀착턱(4b)은 상기 제1 커버플레이트(1b)의 선단 둘레에 원형으로 밀착되어 상기 링몸체(4a)가 지지되면서 안착되도록 하고 상기 내측 레버(1a)의 회전 운동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내측밀착턱(4c)은 상기 내측 레버(1a)의 선단이 걸려서 지지되는 부위를 제공하면서 상기 제1 커버플레이트(1b)의 내부면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지지되는 부위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끼움홈(4d)은 상기 걸림턱(T)에 끼워져 상기 지지링(4)이 상기 내측 레버(1a)가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즉, 상기 지지링(4)은 상기 끼움홈(4d)을 통해 상기 걸림턱(T)에 끼워져 상기 내측 레버(1a)에 고정되면서 상기 내측 레버(1a)와 함께 회전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지지링(4)은 상기 외측 레버(2a)와 제2 커버플레이트(2b)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이와 같은 구성되는 본 도어록은 상기 체결볼트(1d)가 관통되는 상기 제1 이격관통공(1c)이 상기 내측 레버(1a)와 이격되게 형성되어 도어에 대한 도어록의 시공 및 설치 작업이 매우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상기 체결볼트(1d)의 체결 중에 부품의 손상이 원천적으로 방지되도록 하는 획기적인 발명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할 것이다.
1 : 내측 손잡이부
1a : 내측 레버 T : 걸림턱
1b : 제1 커버플레이트 1c : 제1 이격관통공
1d : 체결볼트
2 : 외측 손잡이부
2a : 외측 레버 2b : 제2 커버플레이트
2c : 체결구
3 : 모티스
3a : 케이싱 3b : 제2 이격관통공
3c : 데드볼트
3d : 제1 작동구
31d : 볼트관통장공 32d : 로드관통장공
33d : 장착홈 34d : 걸림홈
35d : 지지대
3e : 돌출로드 3f : 회전후크
3g : 래치볼트 3h : 제2 작동구
4 : 지지링
4a : 링몸체 4b : 외측밀착턱
4c : 내측밀착턱 4d : 끼움홈

Claims (4)

  1. 도어의 내측에 구비되는 내측 레버(1a)와, 상기 내측 레버(1a)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도어에 밀착되는 제1 커버플레이트(1b)와, 상기 내측 레버(1a)가 정면에서 볼 때 수직으로 배치된 상태를 기준으로 예각의 범위 내에 이동된 위치로 상기 제1 커버플레이트(1b)에 형성되고 상호 180도의 간격으로 이격되는 한 쌍의 제1 이격관통공(1c)과, 상기 제1 이격관통공(1c)에 관통되는 한 쌍의 체결볼트(1d)를 포함하는 내측 손잡이부(1)와;
    도어의 외측에 구비되는 외측 레버(2a)와, 상기 외측 레버(2a)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도어에 밀착되는 제2 커버플레이트(2b)와, 상기 제1 이격관통공(1c)에 대응하여 상기 외측 레버(2a)가 정면에서 볼 때 수직으로 배치된 상태를 기준으로 예각의 범위 내에 이동된 위치로 상기 제2 커버플레이트(2b)의 내측면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호 180도의 간격으로 이격되며 상기 체결볼트(1d)가 나사결합되도록 내주면에 나선이 형성되는 한 쌍의 체결구(2c)를 포함하는 외측 손잡이부(2)와;
    도어에 구비되는 케이싱(3a)과, 상기 체결볼트(1d)가 관통되도록 상기 케이싱(3a)이 정면에서 볼 때 수직으로 배치된 상태를 기준으로 예각의 범위 내에 이동된 위치로 상기 케이싱(3a)을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호 180도의 간격으로 이격되는 한 쌍의 제2 이격관통공(3b)과, 상기 케이싱(3a)의 내부에서 외측으로 돌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데드볼트(3c)와, 상기 케이싱(3a)의 내부에 설치되고 선단에 상기 데드볼트(3c)가 장착되는 제1 작동구(3d)와, 상기 제1 작동구(3d)의 이동이 가능한 상태로 상기 체결볼트(1d)가 관통되도록 상기 제1 작동구(3d)에 형성되는 볼트관통장공(31d)을 포함하는 모티스(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가 용이한 도어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티스(3)는,
    상기 제1 작동구(3d)의 일측으로 상기 케이싱(3a)에 장착되는 돌출로드(3e)와,
    상기 케이싱(3a)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후크(3f)와,
    상기 데드볼트(3c)의 일측으로 상기 케이싱(3a)의 내부에서 외측으로 돌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래치볼트(3g)와,
    상기 케이싱(3a)의 내부에 설치되고 선단에 상기 래치볼트(3g)가 장착되는 제2 작동구(3h)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가 용이한 도어록.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작동구(3d)는,
    상기 제1 작동구(3d)의 이동이 가능한 상태로 상기 돌출로드(3e)가 관통되도록 상기 제1 작동구(3d)에 형성되고 상기 볼트관통장공(31d)과 연통되는 로드관통장공(32d)과,
    상기 데드볼트(3c)가 장착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작동구(3d)의 선단에 형성되는 장착홈(33d)과,
    상기 회전후크(3f)가 끼워져 걸리도록 상기 제1 작동구(3d)의 후단 일측에 형성되는 걸림홈(34d)과,
    상기 케이싱(3a)의 내부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제1 작동구(3d)의 외측 둘레에서 후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다수의 지지대(35d)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가 용이한 도어록.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록은,
    상기 내측 레버(1a)와 제1 커버플레이트(1b)의 사이 및 상기 외측 레버(2a)와 제2 커버플레이트(2b)의 사이에 각각 끼워지고 금속재로 형성되는 링몸체(4a)와, 상기 제1 커버플레이트(1b)와 제2 커버플레이트(2b)의 외면 둘레에 밀착되도록 상기 링몸체(4a)의 선단에서 외측 둘레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외측밀착턱(4b)과, 상기 내측 레버(1a)와 외측 레버(2a)의 단부가 밀착되면서 상기 제1 커버플레이트(1b)와 제2 커버플레이트(2b)의 내부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링몸체(4a)의 후단에서 내측 둘레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내측밀착턱(4c)과, 상기 내측 레버(1a)와 외측 레버(2a)에 형성되는 한 쌍의 걸림턱이 끼워지도록 상기 내측밀착턱(4c)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끼움홈(4d)을 포함하는 지지링(4)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가 용이한 도어록.
KR1020230098753A 2023-07-28 2023-07-28 설치가 용이한 도어록 KR1026541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98753A KR102654139B1 (ko) 2023-07-28 2023-07-28 설치가 용이한 도어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98753A KR102654139B1 (ko) 2023-07-28 2023-07-28 설치가 용이한 도어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4139B1 true KR102654139B1 (ko) 2024-04-02

Family

ID=907145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98753A KR102654139B1 (ko) 2023-07-28 2023-07-28 설치가 용이한 도어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413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4396Y1 (ko) 2007-04-09 2009-05-12 김동현 도어록 장치
KR102055103B1 (ko) * 2019-08-28 2019-12-11 전진찬 도어록 레버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4396Y1 (ko) 2007-04-09 2009-05-12 김동현 도어록 장치
KR102055103B1 (ko) * 2019-08-28 2019-12-11 전진찬 도어록 레버 어셈블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39477B2 (en) Clutch mechanism for a lock assembly
US6688656B1 (en) Multi-point lock
US6755449B2 (en) Locking system and components thereof
KR101403295B1 (ko) 잠금 메커니즘을 위한 복귀 스프링 조립체
US7000957B2 (en) Locking window device
US8360489B2 (en) Cylindrical lever lock
KR200452607Y1 (ko) 회동구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도어락
KR102042596B1 (ko) 방화도어용 도어록
KR101012497B1 (ko) 창문 자동잠금장치
CA2938525C (en) Return cartridge for door handles
KR102654139B1 (ko) 설치가 용이한 도어록
US7293807B2 (en) Door handle assembly
US9062475B1 (en) Roseless trim for architectural hardware
JPS6217060B2 (ko)
KR200259681Y1 (ko) 레버 도어록 기구
KR100932547B1 (ko) 도어록 장치
US7152891B2 (en) Field-reversible locking mechanism
JP3165169U (ja) 引戸錠装置
CA2331425A1 (en) Trim attachment and method for knobs/levers
KR102055103B1 (ko) 도어록 레버 어셈블리
KR200426545Y1 (ko) 도어록
KR100773020B1 (ko) 도어록
JP3215685U (ja) 補助錠用金具及び補助錠
KR20180071916A (ko) 레버 타입 dls 창호용 손잡이
KR200383139Y1 (ko) 도어록 기구의 결합구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