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8085A - 천장 매립형 공기 조화 장치 - Google Patents

천장 매립형 공기 조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8085A
KR20100028085A KR1020100016396A KR20100016396A KR20100028085A KR 20100028085 A KR20100028085 A KR 20100028085A KR 1020100016396 A KR1020100016396 A KR 1020100016396A KR 20100016396 A KR20100016396 A KR 20100016396A KR 20100028085 A KR20100028085 A KR 201000280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corner
ceiling
air conditione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63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세이이찌 고가
노부히로 오구라
요시까즈 하야시
Original Assignee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7192762A external-priority patent/JP510308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7192761A external-priority patent/JP494535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7203822A external-priority patent/JP501102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7203776A external-priority patent/JP5033535B2/ja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280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80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4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in the ceiling or at the ce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59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heat exchangers
    • F24F1/006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heat exchangers by the mounting or arrangement of the heat 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32Supports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or ventilation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8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8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fans
    • F24F1/0022Centrifugal or radial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6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 F24F2013/0616Outlets that have intake open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4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on the cei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하측에 개구부를 갖는 상자 형상의 하우징과, 이 하우징의 내부를 1차측 및 2차측에 구성하는 실내 열교환기와, 1차측에 면하는 상기 하우징의 천장판부에 설치되는 송풍기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의 상기 2차측에 면하는 측판부에 2차측 단열재가 설치된 천장 매립형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1차측에 면하는 천장판부에 1차측 단열재를 설치하고, 이 1차측 단열재에 상기 송풍기를 상기 천장판부에 고정하기 위한 개구부를 형성한 천장 매립형 공기 조화 장치이다.

Description

천장 매립형 공기 조화 장치 {IN-CEILING MOUNT TYPE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하우징 내부를 단열한 천장 매립형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천장 매립형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는 하측에 개구부를 갖는 상자 형상의 하우징을 구비하고, 이 하우징의 내부는 실내 열교환기에 의해 1차측 공간과 2차측 공간으로 구성되어 있다. 1차측 공간은 하우징의 천장판부 및 실내 열교환기에 의해 구획되어 있고, 공조 전의 공기가 실내로부터 1차측 공간으로 도입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2차측 공간은 하우징의 측판부, 천장판부 및 실내 열교환기에 의해 구획되어 있고, 공조 후의 공기가 1차측 공간으로부터 2차측 공간으로 보내지도록 되어 있다. 이 하우징의 2차측 공간에 면하는 측판부 및 천장판부에는 공조 후의 공기에 의해 결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2차측 단열재가 그 전체면을 덮는 형태로서 설치되어 있다(예를 들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4-84999호 공보 참조).
한편, 1차측 공간에서는, 2차측 공간과 비교하여 결로의 우려는 적지만, 천장 이면의 공기가 고습도인 경우에는 결로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그로 인해, 하우징의 외측으로부터 천장 외측면에 단열재를 부착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하우징의 외측으로부터 단열재를 부착한 경우, 실내기의 높이 치수가 단열재만큼 커져 버린다.
또한, 천장 매립형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는 화장 패널의 변을 따라 연장되는 긴 분출구를 갖고, 이 분출구의 내측에 열교환 후의 공기의 취출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플랩이 설치되어 있다. 이 플랩은 분출구의 길이 방향에 걸쳐서 연장되어 있고, 길이 방향의 양단부에 형성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플랩에는 그 중앙부에 플랩의 회전 범위를 규제하는 규제 부재가 설치되어 있다. 이 규제 부재는 본체측에 설치된 규제 부재와 운전 개시시에 접촉하여, 플랩의 회전 범위의 시점(始点)이 정해지도록 되어 있다(예를 들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7-93041호 공보 참조).
그러나, 플랩은 길고, 또한 수지 성형품이므로, 분출 공기 등의 열에 의해 휨(변형)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플랩이 휜 경우, 플랩의 규제 부재의 위치가 어긋나 버려, 본체측 규제 부재와의 접촉 위치가 어긋나 플랩의 회전 범위의 시점이 어긋날 우려가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송풍기 및 열교환기를 수용한 하우징과, 이 하우징의 하방에 배치되는 화장 패널을 구비하는 천장 매립형 공기 조화기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1-235174호 공보 참조). 이러한 종류의 공기 조화기는 안전을 위해 화장 패널을 하우징에 임시 고정하는 임시 고정부를 구비하고, 이 임시 고정부에 화장 패널을 일단 임시 고정한 후, 이 화장 패널을 하우징에 대해 나사 고정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것에서는, 예를 들어 드레인 팬의 저면에 인서트 금속 부재를 설치하고, 이 인서트 금속 부재에 임시 고정부를 설치하고 있었으므로, 구조가 복잡해져 부품 개수가 증가하는 동시에 제조 비용이 높아지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또한, 공기 조화기 본체를 현수 볼트를 통해 천장에 현수되는 동시에, 이 공기 조화기 본체의 하면에 화장 패널을 설치하고, 이 화장 패널의 패널 본체의 네 코너에 착탈 가능하게 코너 패널을 설치한 천장 매립형 공기 조화 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종류의 공기 조화 장치에 있어서, 작업자들은 예를 들어 실내기 본체의 높이 조정 등을 위해 현수 볼트를 조작할 때, 패널 본체로부터 코너 패널을 제거하여 패널 본체에 형성된 개구가 노출되고, 이 개구로부터 손이나 공구를 삽입하는 등 하여 현수 볼트에 액세스하여 현수 볼트를 조작한다. 여기서, 코너 패널은 작업의 간이화, 신속화의 관점에서, 상기 작업시에는 패널 본체로부터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요구된다. 이에 비추어, 코너 패널에 영구 자석을 설치하는 동시에, 화장 패널에 이 영구 자석과 대응하는 금속제의 플레이트를 설치하고, 이들 영구 자석과 플레이트 사이에 작용하는 흡인력을 이용하여 코너 패널의 화장 패널에 대한 착탈 용이성을 향상된 공기 조화 장치가 있다(예를 들어, 일본 특허 제3284755호 참조).
그러나, 상술한 공기 조화 장치에서는 영구 자석 및 플레이트가 필요해지는 만큼 제조에 드는 비용이 증대하는 동시에, 코너 패널 및 화장 패널에 이들 영구 자석 및 플레이트를 설치하기 위한 특별한 기구를 설치할 필요가 있어, 부재 구조가 복잡화되어 버리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실내기의 높이 치수를 크게 하지 않고, 단열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천장 매립형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플랩에 휨이 발생한 경우에도 플랩의 회전 범위의 어긋남을 적게 할 수 있는 천장 매립형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화장 패널을 임시 고정하는 구조가 간단하여 부품 개수를 삭감하고, 제조 비용의 저감화를 도모한 천장 매립형 공기 조화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코너 패널의 화장 패널에 대한 착탈 용이성을 유지한 상태에서, 비용을 삭감하고, 또한 부재 구조를 간소화한 천장 매립형 공기 조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1 형태에 따르면, 하측에 개구부를 갖는 상자 형상의 하우징과, 이 하우징의 내부를 1차측 및 2차측으로 구획하는 실내 열교환기와, 1차측에 면하는 상기 하우징의 천장판부에 설치되는 송풍기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의 상기 2차측에 면하는 측판부에 2차측 단열재가 설치된 천장 매립형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1차측에 면하는 천장판부에 1차측 단열재를 설치하고, 이 1차측 단열재에 상기 송풍기를 상기 천장판부에 고정하기 위한 개구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따르면, 하우징의 1차측에 면하는 천장판부에 송풍기의 설치부를 피하는 형태로 2차측 단열재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1차측 단열재 및 상기 2차측 단열재를 일체로 형성해도 좋다.
이 구성에 따르면, 단열재를 일체로 함으로써 부품 개수를 삭감할 수 있다. 또한, 설치 공정수를 삭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1차측 단열재의 상기 송풍기와 마주 보는 내면을 평탄하게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송풍기에 의해 보내지는 바람의 흐름을 흐트러뜨리지 않고, 또한 송풍을 정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1차측 단열재의 내면에 상기 송풍기의 배선을 통과시키는 홈부를 형성하고, 이 홈부 내의 상기 배선을 고정하는 동시에 상기 하우징의 천장판부에 상기 1차측 단열재를 고정하는 배선 고정 금속 부재를 설치할 수도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배선을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는 동시에, 단열재를 천장판부에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형태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의 1차측에 면하는 천장판부에 1차측 단열재를 설치하고, 이 1차측 단열재에 상기 송풍기를 상기 천장판부에 고정하기 위한 개구부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송풍기의 설치부를 피해 천장판부에 2차측 단열재를 설치할 수 있고, 1차측 단열재를 설치한 만큼만 송풍기의 설치 위치를 어긋나게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하우징의 높이 치수를 크게 할 필요가 없다. 그로 인해, 천장판부의 외측에 단열재를 설치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실내기 전체의 높이를 크게 하지 않고 단열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1차측 단열재 및 상기 2차측 단열재를 일체로 형성하고 있으므로, 별개 부재의 단열재를 각각 설치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설치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동시에, 설치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부품 개수를 삭감할 수 있으므로, 조립 공정수도 삭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1차측 단열재의 상기 송풍기와 마주 보는 내면을 평탄하게 형성하고 있으므로, 송풍기에 의해 보내지는 바람이 1차측 단열재의 내면에 접촉함으로써 난류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송풍기로부터 보내지는 바람을 정류할 수 있으므로, 풍음을 저감시켜 방음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1차측 단열재의 내면에 상기 송풍기의 배선을 통과시키는 홈부를 형성하고, 이 홈부 내의 상기 배선을 고정하는 동시에 상기 하우징의 천장판부에 상기 1차측 단열재를 고정하는 배선 고정 금속 부재를 설치하고 있으므로, 송풍기의 배선을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단열재를 천장판부에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으므로, 단열재와 천장판부 사이에 불필요한 간극이 생기는 일이 없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형태에 따르면, 화장 패널의 변을 따라 길게 형성된 분출구와, 이 분출구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양단부에 회전축을 갖는 플랩과, 이 플랩의 회전축이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설치 구멍을 갖고, 상기 플랩의 회전축을 구동하는 스테핑 모터가 설치되는 설치 받침대를 구비한 천장 매립형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에 있어서, 상기 플랩의 회전축에 이 회전축의 외주면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기부를 설치하는 한편, 상기 설치 구멍의 구멍 벽부에 상기 돌기부와 접촉하여 상기 플랩의 회전 범위를 규제하는 결합홈부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따르면, 플랩의 회전 범위를 설치 구멍의 위치로 규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치 구멍의 구멍 벽부에 상기 결합홈부를 좌우 대칭으로 형성해도 좋다.
이 구성에 따르면, 설치 받침대의 종류를 결합홈부의 위치에 따라 복수 종류 마련할 필요가 없다.
또한, 상기 설치 구멍을 통 형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설치 구멍 및 결합홈부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형태에 따르면, 상기 플랩의 회전축에 이 회전축의 외주면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기부를 마련하는 한편, 상기 설치 구멍의 구멍 벽부에 상기 돌기부와 접촉하여 상기 플랩의 회전 범위를 규제하는 결합홈부를 마련하고 있으므로, 플랩의 회전 범위를 스테핑 모터의 설치부의 부근인 설치 구멍의 부분으로 규제할 수 있다. 그로 인해, 플랩이 분출 공기 등의 열에 의해 휜 경우에도, 그 휨의 영향이 돌기부에 미치는 일이 적어, 돌기부와 결합홈부의 어긋남을 발생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공조 운전시, 소정의 영역을 향해 열교환 후의 공기를 보낼 수 있다.
또한, 상기 설치 구멍의 구멍 벽부에 상기 결합홈부를 좌우 대칭으로 형성하고 있으므로, 설치 받침대에 플랩을 설치하는 배향을 반대로 한 경우에도, 결합홈부에 돌기부를 접촉시킬 수 있다. 그로 인해, 설치 받침대를 복수 종류 구비할 필요가 없고, 1개의 설치 받침대로 공통 부품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치 구멍을 통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설치 구멍 및 결합홈부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어 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형태에 따르면, 송풍기 및 열교환기를 수용한 하우징과, 이 하우징의 하방에 배치되는 화장 패널과, 상기 하우징의 측판에 설치된 현수 금속 부재를 구비하고, 이 현수 금속 부재에 빔으로부터 현수된 현수 볼트를 통과시켜 당해 하우징을 빔에 현수 지지하여 이루어지는 천장 매립형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현수 금속 부재가 상기 하우징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제1 부분과,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개구를 통해 당해 하우징의 외측으로 천장판과 대략 평행하게 연장 돌출되어 현수 볼트를 통과시키는 제2 부분과, 상기 하우징의 측판의 하단부 모서리에 계지되어 당해 측판의 하단부 모서리를 지지하는 제3 부분을 구비하고, 이 제3 부분에 상기 화장 패널을 임시 고정하는 임시 고정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따르면, 현수 금속 부재의 일부를 구성하는 제3 부분에 화장 패널을 임시 고정하는 임시 고정부를 설치함으로써, 이 화장 패널을 임시 고정하는 구조가 간소화되는 동시에, 임시 고정부를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어지므로, 부품 개수를 삭감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제조 비용의 저감화를 도모할 수 있다.
이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제3 부분은 임시 고정된 상기 화장 패널이 본 고정되는 본 고정부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 구성에 따르면, 현수 금속 부재의 제3 부분에 본 고정부 및 임시 고정부가 설치되므로, 화장 패널을 고정하는 구조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정부 및 임시 고정부가 함께 현수 금속 부재의 제3 부분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화장 패널을 임시 고정한 후에, 예를 들어 작업자가 타고 있는 사다리의 위치를 변경하지 않고, 그대로 당해 화장 패널을 하우징에 본 고정할 수 있어 작업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임시 고정부는 상기 제3 부분의 선단부를 상방으로 굴곡하여 형성되어 있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 구성에 따르면, 임시 고정부를 간단하게 형성할 수 있으므로, 화장 패널을 임시 고정하는 구조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 패널은 상기 현수 금속 부재에 대응하는 당해 화장 패널의 4코너에 코너 패널로 덮이는 개구부를 구비하고, 이들 개구부 중, 상기 화장 패널의 대각 상에 위치하는 한 쌍의 개구부에 상기 임시 고정부에 결합하는 계지구를 설치한 구성으로 해도 좋다. 본 구성에 따르면, 코너 패널을 제거함으로써, 계지구에 간단하게 액세스할 수 있으므로, 이 계지구와 임시 고정부를 간단하게 결합 분리할 수 있다. 또한, 계지구는 화장 패널의 대각에 위치하는 개구부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예를 들어 외형 폭이 작은, 소위 미니 카세트형의 실내기이면, 혼자서 간단하게 화장 패널을 착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형태에 따르면, 현수 금속 부재의 일부를 구성하는 제3 부분에 화장 패널을 임시 고정하는 임시 고정부를 설치함으로써, 이 화장 패널을 임시 고정하는 구조가 간소화되는 동시에, 임시 고정부를 별도 설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부품 개수를 삭감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제조 비용의 저감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형태에 따르면, 공기 조화기 본체와, 이 공기 조화기 본체의 하면에 설치되는 화장 패널과, 이 화장 패널의 패널 본체의 네 코너에 설치한 코너 패널을 구비하는 천장 매립형 공기 조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코너 패널은 상기 패널 본체의 계지 구멍에 끼워지는 계지 갈고리를 구비하는 동시에, 상기 패널 본체의 코너 내벽부에 설치한 받침대부에 연장 돌출되어 이 받침대부에 고정 부착하는 연결 다리를 코너 패널의 한 코너부에 구비하고, 상기 연결 다리는 탄성체이며, 상기 코너 내벽부에 마련한 결합 구멍에 결합하는 돌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발명의 천장 매립형 공기 조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결 다리의 선단부에 상기 받침대부를 지나 연장 돌출된 손잡이부를 형성해도 좋다.
본 발명의 제4 형태에 따르면, 패널 본체에 있어서의 코너 패널이 설치되는 위치에, 코너 패널을 천장 방향을 향해 압입하고, 패널 본체에 형성된 계지 구멍에 코너 패널의 계지 갈고리를 계지시키고, 또한 코너 패널의 연결 다리의 돌기부를 패널 본체의 코너 내벽부의 결합 구멍에 결합함으로써, 간단하게 코너 패널을 패널 본체에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 다리를 탄성 변형하여, 상기 돌기부와 상기 결합 구멍의 결합을 해제함으로써, 간단하게 코너 패널을 패널 본체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영구 자석이나 플레이트 등 특별한 부재를 이용하지 않고 착탈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어, 비용의 삭감 및 부재 구조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실내기의 높이 치수를 크게 하지 않고, 단열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천장 매립형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를 제공할 수 있고, 또한 플랩에 휨이 발생한 경우에도 플랩의 회전 범위의 어긋남을 적게 할 수 있는 천장 매립형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를 제공할 수 있고, 또한 화장 패널을 임시 고정하는 구조가 간단하여 부품 개수를 삭감하고, 제조 비용의 저감화를 도모한 천장 매립형 공기 조화기를 제공할 수 있고, 또한 코너 패널의 화장 패널에 대한 착탈 용이성을 유지한 상태에서, 비용을 삭감하고, 또한 부재 구조를 간소화한 천장 매립형 공기 조화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천장 매립형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를 경사 하측으로부터 본 개요도.
도2는 도1에 도시하는 실내기의 측부 단면도.
도3은 하우징 내에 단열재 및 팬 모터를 설치한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4는 도3을 경사 상측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5는 도3의 측부 단면도.
도6은 단열재를 단일 부재로 경사 상측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7은 팬 모터를 단일 부재로 도시하는 사시도.
도8은 팬 모터의 다리부에 설치되는 방진 고무의 측면도.
도9는 화장 패널에 형성된 분출구 및 플랩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사시도.
도10은 도9의 플랩의 지지부의 확대도.
도11은 스테핑 모터의 설치 받침대의 설치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12는 스테핑 모터의 설치 받침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13은 플랩을 단일 부재로 도시하는 사시도.
도14는 현수 금속 부재가 조립 부착된 하우징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15는 하우징에 현수 금속 부재를 조립 부착하는 순서를 나타내는 도면.
도16은 코너 패널을 제거한 화장 패널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17은 화장 패널을 고정하는 순서를 나타내는 도면.
도18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천장 매립형 공기 조화 장치의 공기 조화기를 그리드 시스템 천장에 설치한 상태를 실내측으로부터 본 도면.
도19는 공기 조화기를 하면측으로부터 도시하는 사시도.
도20은 공기 조화기의 종단면도.
도21은 화장 패널 본체의 하나의 코너부를 실내측으로부터 본 도면.
도22는 코너 패널을 이면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23은 코너 패널의 화장 패널 본체에 설치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24는 코너 패널을 화장 패널 본체에 설치한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을 기초로 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
도1은 천장 매립형의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0)를 하면측으로부터 도시하는 사시도, 도2는 실내기 본체(20)의 종단면도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실내기(10)의 일례로서, 4방향 카세트형이며 외형상이 600 ㎜ × 600 ㎜인 미니 카세트형의 실내기에 대해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2방향형의 실내기, 또는 일반적인 외형을 갖는 4방향형의 실내기라도 적용할 수 있다.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0)는,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내측으로부터 천장판에 설치된 부착용 개구부에 삽입되는 실내기 본체(20)와, 이 실내기 본체(20)에 하측으로부터 설치되는 화장 패널(100)을 구비하고 있다.
실내기 본체(20)는 그 외형 부분을 구성하는 하우징(21)을 구비하고 있다. 이 하우징(21)은 상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하측의 전체면이 개방되는 하측 개구부(21a)와, 천장판부(21b)와, 측판부(21c)로 구성되어 있다. 이 천장판부(21b) 및 측판부(21c)는 판금 가공에 의해 조립되어 있다. 또한, 하측 개구부(21a)는 상술한 화장 패널(100)에 의해 폐색되어 있다.
하우징(21)의 측판부(21c)의 외면이며 4개의 코너부에는,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내기 본체(20)를 현수하기 위한 현수 금속 부재(28)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 현수 금속 부재(28)는 천장으로부터 수직 하강하는 현수 볼트(도시하지 않음)에 설치되고, 실내기 본체(20)가 천장으로부터 현수되는 형태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천장면에 격자 형상으로 설치된 보유 지지 바아에 실내기 본체(20)를 고정할 수도 있다.
화장 패널(100)은 그 중앙부에 실내 공기를 도입하기 위한 흡입구(110)와, 이 흡입구(110)의 주위에 화장 패널(100)의 변을 따라 길게 형성되고 열교환 후의 공기를 분출하기 위한 4개의 분출구(120)와, 화장 패널(100)의 4개의 코너부를 구성하는 코너 패널(130)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 분출구(120)에는 취출 공기의 방향을 조절 가능한 플랩(122)이 설치되어 있다. 코너 패널(130)은 화장 패널(100)의 하측을 향해 제거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이 코너 패널(130)을 제거하였을 때에, 상술한 현수 금속 부재(28)와 현수 볼트의 결합 위치까지 설치 작업자의 손이 들어가는 크기를 갖고 있다.
이 하우징(21)의 천장판부(21b) 및 측판부(21c)의 전체면에 걸치는 내면에는, 예를 들어 발포 스티롤재로 이루어지는 단열재(22)(상세한 것은 후술함)가 내장되어 있고, 실내기 본체(20)가 하우징 내부와 외부 사이에서 열의 이동이 적어지는 단열 구조를 이루고 있다.
하우징(21)의 내부에는 평면에서 볼 때 대략 사각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된 실내 열교환기(24)가 수용되어 있다. 이 실내 열교환기(24)는,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상단부가 단열재(22)와 간극이 생기지 않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실내 열교환기(24)의 하단부는 열교환 작용에 수반하여 생성되는 드레인수를 받기 위한 드레인 팬(25)과 간극이 생기지 않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실내 열교환기(24)는 하우징(21)의 내부를, 1차측 공간(S1)[평면에서 볼 때, 하우징(21)의 중앙부]과 2차측 공간(S2)[평면에서 볼 때, 하우징(21)의 측판부의 주변부]으로 구획하고 있다.
이 1차측 공간(S1)은 하우징(21)의 천장판부(21b) 및 실내 열교환기(24)에 의해 구획되어 있고, 이 공간에 송풍기(23)가 설치되어 있다. 이 송풍기(23)는 하우징(21)의 천장판부(21b)에 적절한 수단으로 설치 고정되는 팬 모터(23a)와, 이 팬 모터의 회전축에 설치되는 팬(23b)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팬(23b)의 회전에 수반하여 흡입구(110)를 통해 회전축 방향(도2의 T1 방향)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주위 방향[실내 열교환기(24)를 향하는 방향. 도2의 T2 방향]으로 분출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화장 패널(100)의 흡입구(110)와 송풍기(23) 사이에는, 송풍기(23)를 향해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된 벨 마우스(26)가 설치되어 있다. 이 벨 마우스(26)의 외주면측 일부에 전기 부품 상자(27)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전기 부품 상자(27) 내에는 상기 송풍기(23) 등의 전기 부품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가 수용되어 있다.
한편, 2차측 공간(S2)은 하우징(21)의 측판부(21c), 천장판부(21b) 및 실내 열교환기(24)에 의해 구획되어 있고, 이 공간 내에 1차측 공간(S1)으로부터 송풍된 공기가 실내 열교환기(24)에 의해 열교환된 후에 보내지도록 되어 있다.
도3은 하우징(21)의 내부에 단열재(22)와, 송풍기(23)의 팬 모터(23a)와, 드레인 팬(25) 내의 드레인수를 퍼올리는 드레인 펌프 유닛(29)을 설치한 상태를 도시하는 하면도이다. 또한, 도4는 도3을 경사 상측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5는 도3의 측부 단면도이다. 또한, 도6은 단열재(22)를 단일 부재로 경사 상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또한, 도3 내지 도6은 실내기 본체(20)의 상하를 반대로 한 상태[하측 개구부(21a)가 위를 향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고, 이 상태에서 실내기 본체(20)가 조립된다.
단열재(22)는, 도2 및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1차측 공간(S1)에 면하는 형태로 설치되는 1차측 단열재(22a)와, 2차측 공간에 면하는 형태로 설치되는 2차측 단열재(22b)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1차측 단열재(22a)와 2차측 단열재(22b)는 발포 스티롤재에 의해 일체 성형되어 있다. 이 1차측 단열재(22a)는 천장판부(21b) 상방에 있는 천장 이면의 공기와 1차측으로 도입된 실내 공기를 단열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또한 2차측 단열재(22b)는 천장 이면의 공기와, 실내 열교환기(24)에 의해 열교환된 공기를 단열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1차측 단열재(22a)의 내측면(Q)에는, 도3 내지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팬 모터(23a)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홈부(31)가 형성되어 있다. 이 홈부(31)의 저면에는 실내 열교환기(24)의 상단부가 끼워 넣어지도록 조립되고, 실내 열교환기(24)의 상단부와 홈부(31)가 간극없이 접하게 된다.
또한, 1차측 단열재(22a)의 내측면(Q)에는,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팬 모터(23a)가 설치되는 단차면(R)이 형성되어 있다. 이 단차면(R)은 다른 내측면(Q)과 비교하여 1단 낮게 되어 있고, 팬 모터(23a)의 설치 위치를 종래와 동일한 높이 위치에 확보하기 위해 설치된 것이다. 이 단차면(R)에는,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팬 모터(23a)의 설치부(40)의 위치에 맞추어 3개의 개구부(32)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개구부(32)는 내측면(Q)으로부터 이측면까지 관통되어 있다.
단차부(R)에 배치되는 팬 모터(23a)는,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3개의 설치부(40)를 구비하고 있고, 이 설치부(40)에는 각각에 방진 고무(41)가 설치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이 방진 고무(41)는 대략 원기둥 형상을 이루고 있고,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높이 방향의 중앙부에 잘록부(42)가 형성되어 있다. 이 잘록부(42)는,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설치부(40)에 형성된 절결부(43)에 설치부(40)의 두께를 끼우도록 하여 설치된다. 또한, 방진 고무(41)는 잘록부(42)를 사이에 두고 상측부(42a)와 하측부(42b)의 직경이 다르게 형성되어 있다.
이 하측부(42b)의 직경은 1차측 단열재(22a)의 개구부(32)의 직경과 대략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고, 이 하측부(42b)가 개구부(32)에 간극없이 끼워 넣어지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팬 모터(32a)와 천장판부(21b)를 볼트(44)로 체결함으로써, 팬 모터(23a)가 천장판부(21b)에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방진 고무(41)는 팬 모터(23a)가 회전할 때의 진동을 흡수하기 위해 설치되어 있다.
또한, 1차측 단열재(22a)의 내측면(Q)에는,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팬 모터(23a)로부터 연장되는 배선(50)을 수납하기 위한 홈부(51)가 형성되어 있다. 이 배선(50)은 상술한 전기 부품 상자(27)에 접속되어, 팬 모터(23a)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홈부(51)에는 배선(50)을 수납시킨 후에, 이 홈부(51)를 막는 형태에서 배선 고정 금속 부재(52)가 설치된다. 이 배선 고정 금속 부재(52)는,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나사(53) 등에 의해 천장판부(21b)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배선 고정 금속 부재(52)는 천장판부(21b)에 설치됨으로써, 1차측 단열재(22a)와 천장판부(21b) 사이에 간극이 생기지 않도록, 1차측 단열재(22a)를 천장판부(21b)를 향해 압박하는 기능도 하고 있다.
또한, 1차측 단열재(22a)의 내측면(Q)은 단차가 없는 평탄한 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술한 배선 고정 금속 부재(52)를 설치한 상태에서는, 배선 고정 금속 부재(52)의 표면과, 이 내측면(Q)이 단차없이 대략 동일 높이의 면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이 내측면(Q)은 송풍기(23)와 마주 보는 위치에 있고, 송풍기(23)로부터 보내지는 바람이 이 내측면(Q)에 접촉하게 된다. 그로 인해, 바람이 내측면의 단차 혹은 요철에 접촉함으로써 바람에 난류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또한, 이 내측면(Q)에 바람이 닿음으로써, 이 평탄한 면에서 적극적으로 바람을 정류하는 기능을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천장 매립형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10)에 따르면, 하우징(21)의 1차측 공간(S1)에 면하는 천장판부(21b)에 1차측 단열재(22a)를 설치하고 있으므로, 천장 이면의 공기와, 1차측 공간(S1)에 흡입된 실내 공기를 단열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하우징(21)에 결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1차측 단열재(22a)에 송풍기(23)를 천장판부(21b)에 고정하기 위한 개구부(32)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송풍기(23)의 설치부(40)에 설치되는 방진 고무(41)를 피해 천장판부(21b)에 2차측 단열재(22b)를 설치할 수 있고, 1차측 단열재(22a)를 설치한 만큼만 송풍기(23)의 설치 위치를 높이 방향으로 어긋나게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하우징(21)의 높이 치수를 크게 할 필요가 없다. 그로 인해, 천장판부(21b)의 외측에 단열재를 설치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실내기 본체(20)의 높이를 크게 하는 일 없이, 단열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1차측 단열재(22a) 및 2차측 단열재(22b)를 일체로 형성하고 있으므로, 별도 부재의 1차측 단열재(22a) 및 2차측 단열재(22b)를 각각 별개로 설치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설치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설치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부품 개수를 삭감할 수 있으므로, 조립 공정수도 삭감할 수 있다.
또한, 1차측 단열재(22a)의 송풍기(23)와 마주 보는 내측면(Q)을 평탄하게 형성하고 있으므로, 송풍기(23)에 의해 보내지는 바람이 1차측 단열재(22a)의 내측면(Q)에 닿음으로써 난류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송풍기(23)로부터 보내지는 바람을 정류할 수 있으므로, 풍음을 저감시켜 방음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1차측 단열재(22a)의 내면에 송풍기(23)의 배선(50)을 통과시키는 홈부(51)를 형성하고, 이 홈부(51) 내의 배선(50)을 고정하는 동시에 하우징(21)의 천장판부(21b)에 1차측 단열재(22a)를 고정하는 배선 고정 금속 부재(52)를 설치함으로써, 송풍기(23)의 배선(50)을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다. 또한, 1차측 단열재(22a)를 천장판부(21b)에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으므로, 1차측 단열재(22a)와 천장판부(21b) 사이에 불필요한 간극이 생기는 일이 없다.
이상,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에 대해 서술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미 서술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기초로 하여 각종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실내기(10)에서는, 단열재(22)를 1차측 단열재(22a)와 2차측 단열재(22b)로 일체로 형성하고 있지만, 별개 부재로 형성할 수도 있다. 즉, 실내기(10)의 크기(예를 들어, 외형을 600 × 600의 치수로 소형화한 미니 카세트형 등)에 의해 단열재(22)의 크기가 달라지지만, 단열재의 성형 금형의 크기, 금형 비용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일체 성형에 따르는지 분할 성형에 따르는지를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2 실시 형태)
도9는 화장 패널(100)에 형성된 분출구(120) 및 플랩(122)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사시도, 도10은 플랩의 지지부의 확대도이다. 또한, 도11은 코너 패널(130)을 제거한 상태이며, 스테핑 모터의 설치 받침대가 화장 패널(100)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또한, 도12는 스테핑 모터의 설치 받침대(30)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13은 플랩(122)을 단일 부재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분출구(120)의 개구 내측에는, 도1 및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출구(120)의 길이 방향의 거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플랩(122)이 연장되어 있다. 또한, 화장 패널(100)의 4개의 코너부 중, 도11의 지면(紙面)에 있어서 도시하는 좌측 상의 1개의 코너부에는, 이 플랩(122)의 길이 방향의 일단부를 지지하는 2개의 설치 받침대(30)가 설치되어 있다[다른 3개의 코너부에는 설치 받침대(30)는 설치되어 있지 않음]. 이 설치 받침대(30)에는,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랩(122)의 일단부가 지지되도록 되어 있다.
설치 받침대(30)는,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면부(31a) 및 기립벽부(31b)로 이루어지는 단면 대략 L자 형상을 갖고 있고, 이 기립벽부(31b)의 외측면에는 L자 형상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통 형상 지지부(32)가 형성되어 있다. 이 수평면부(31a)에는, 설치 받침대(30)를 화장 패널(100) 본체에 설치하기 위한 설치 구멍(33)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기립벽부(31b)의 외측면은,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출구(120)의 길이 방향 단부의 내측면을 구성한다.
또한, 설치 받침대(30)의 L자 형상의 내측 부분에는 스테핑 모터(34)가 설치되어 있다. 이 스테핑 모터(34)는 도시하지 않은 배선재에 의해 전기 부품 상자(27)에 접속되어 있고, 전기 부품 상자(27) 내의 제어 장치에 의해 회전 각도가 제어되도록 되어 있다.
통 형상 지지부(32)는 주위 방향으로 연속되는 구멍 벽부(32a)와, 이 구멍 벽부(32a)에 둘러싸인 중공부(32b)를 갖고 있다. 또한, 구멍 벽부(32a)에는 이 설치 받침대(30)를 정면으로부터 볼 때(도12의 A방향으로부터 볼 때) 좌우 대칭인 2개의 결합홈부(35a, 35b)가 형성되어 있다. 이 결합홈부(35a, 35b)는,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멍 벽부(32a)의 선단부로부터 기립벽부(31b)를 향해 절결된 형상을 이루고 있다.
또한, 통 형상 지지부(32)의 중공부(32b)의 중심에는,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테핑 모터(34)의 구동축(34a)이 통 형상 지지부(32)의 돌출 방향과 동일 방향을 향해 돌출되어 있다.
플랩(122)은 수지 재료로 일체 성형되어 있고,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그 중앙부가 폭 넓게 형성된 풍향판(40)과, 이 풍향판(40)의 길이 방향 단부로부터 각각 외측으로 돌출되는 2개의 회전축(41)으로 구성되어 있다. 회전축(41)은 대략 원기둥 형상을 이루고 있고, 그 상하에 서로 평행한 평면부(41a)가 형성되어 있다. 이 상측의 평면부(41a)에는 회전축(41)의 외주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의 돌기부(4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회전축(41)의 각각의 축 단부에는 회전축(41)의 중심축과 일치하는 대략 타원 형상의 결합 구멍(4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회전축(41)의 원호 형상부(41b)의 직경은 통 형상 부재(32)의 중공부(32b)의 직경과 동등하거나 약간 작게 형성되어 있다.
이 회전축(41)은 도12에 있어서 도시한 통 형상 지지부(32)의 중공부(32b)에 삽입하면, 스테핑 모터(34)의 구동축(34a)이 결합 구멍(43)에 삽입된다. 그리고, 회전축(41)의 원호 형상부(41b)가 구멍 벽부(32a)의 내벽면과 미끄럼 이동하면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때, 회전축(41) 상의 돌기부(42)는 결합홈부(35a 또는 35b) 내에 들어가고, 플랩(122)이 회전할 때에, 돌기부(42)가 결합홈부(35a 또는 35b)와 결합하여 회전 범위가 규제되도록 되어 있다.
도11로 복귀하여, 설치 받침대(30)의 설치에 대해 설명한다.
2개의 설치 받침대(30) 중 한 쪽의 설치 받침대(30)는 스테핑 모터(34)의 구동축(34a)(도12 참조)이 도11의 지면 하측 방향을 향해 설치되어 있고, 이 스테핑 모터(34)는 화장 패널(100)의 좌측 변을 따라 설치된 플랩(122)(도11에 있어서, 부호 122L로 나타냄)을 회전시키고 있다.
또한, 도11의 지면을 기준으로 하여, 화장 패널(100)의 좌측 하부 코너부(도시하지 않음)에는 플랩(122L)의 하측 회전축(41)과, 화장 패널(100)의 하측 변을 따라 설치된 플랩(122)의 회전축(41)을 연결하는 연결 장치(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다. 이 연결 장치는 스테핑 모터(34)의 회전 구동력을 하측 변을 따라 연장하는 플랩(122)에 그대로 전달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또한 2개의 플랩(122)이 동위상에서 회전하도록 접속되어 있다.
한편, 2개의 설치 받침대(30) 중 다른 쪽 설치 받침대(30)는 스테핑 모터(34)의 구동축(34a)(도6 참조)이 도11의 지면 우측 방향을 향해 설치되어 있고, 이 스테핑 모터(34)는 화장 패널(100)의 상측 변을 따라 설치된 플랩(122)(도11에 있어서, 부호 122U로 나타냄)을 회전시키고 있다.
또한, 도11의 지면을 기준으로 하여, 화장 패널(100)의 우측 상부 코너부(도시하지 않음)에는, 플랩(122U)의 우측 회전축(41)과, 화장 패널(100)의 우측 변을 따라 설치된 플랩(122)의 회전축(41)을 연결하는 연결 장치(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다. 이 연결 장치도 상술한 연결 장치와 마찬가지로, 스테핑 모터(34)의 회전 구동력을 우측 변을 따라 연장하는 플랩(122)에 그대로 전달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또한 2개의 플랩(122)이 동위상에서 회전하도록 접속되어 있다.
상술한 플랩(122L)의 회전축(41) 상의 돌기부(42)는 회전축(41)이 설치 받침대(30)의 통 형상 지지부(32)에 삽입될 때, 도12의 A방향으로부터 볼 때 좌측의 결합홈부(35a) 내에 들어간다. 한편, 플랩(122U)의 회전축(41) 상의 돌기부(42)는 회전축(41)이 부착 받침대(30)의 통 형상 지지부(32)에 삽입될 때, 도12의 A방향으로부터 보아 우측의 결합홈부(35b) 내에 들어가게 된다. 즉, 결합홈부(35a, 35b)를 좌우 대칭으로 형성함으로써, 2개의 설치 받침대(30)를 공통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설치 받침대(30)의 설치 구멍(33)은,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너 패널(102)(도1 참조)을 제거하였을 때에, 실내에 표출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코너 패널(102)을 제거함으로써, 설치 받침대(30)를 교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실내기(10)의 운전이 개시되면, 분출구(120)에 위치하는 4개의 플랩(122)이 2개의 설치 받침대(30)에 설치된 스테핑 모터(34)에 의해 구동되어 회전을 개시한다. 이때, 플랩(122)의 회전축(41) 상의 돌기부(42)가 결합홈부(35a 또는 35b)의 단부와 접촉하여, 플랩(122)의 회전 범위의 시점이 결정된다. 그 후, 스테핑 모터(34)는 제어 회로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소정 각도만큼 회전하게 되고, 이 제어 회로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회전 범위가 결정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천장 매립형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10)에 따르면, 플랩(122)의 회전축(41)에 이 회전축(41)의 외주면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기부(42)를 설치하고, 구멍 벽부(32a)에 돌기부(42)와 접촉하여 플랩(122)의 회전 범위의 시점을 규제하는 결합홈부(35a, 35b)를 마련하고 있으므로, 플랩(122)의 회전 범위의 시점을 스테핑 모터(34)의 설치부의 부근인 통 형상 부재(32)의 부분에서 규제할 수 있다. 그로 인해, 플랩(122)의 풍향판(40)이 분출 공기 등의 열에 의해 휜 경우에도, 그 휨의 영향이 돌기부(42)에 미치는 일이 적어, 돌기부(42)와 결합홈부(35a, 35b)의 어긋남을 발생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공조 운전시, 소정의 영역을 향해 열교환 후의 공기를 보낼 수 있다.
또한, 구멍 벽부(32a)에 결합홈부(35a, 35b)를 좌우 대칭으로 형성하고 있으므로, 설치 받침대(30)에 플랩(122)을 설치하는 배향을 반대로 한 경우에도, 결합홈부(35a, 35b)에 돌기부(42)를 접촉시킬 수 있다. 그로 인해, 설치 받침대(30)를 복수 종류 구비할 필요가 없고, 1개의 설치 받침대(30)로 공통 부품화할 수 있다.
또한, 회전축(41)이 삽입되는 구멍부를 통 형상 부재(32)로 구성함으로써, 중공부(32b) 및 결합홈부(35a, 35b)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고, 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
또한, 설치 받침대(30)의 설치 구멍(33)이 코너 패널(102)을 제거하였을 때에, 실내에 표출되는 위치에 배치하고 있으므로, 코너 패널(102)을 제거함으로써 설치 받침대(30)를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다. 그 결과, 보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에 대해 서술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미 서술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기초로 하여 각종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설치 받침대(30)에 통 형상 부재(32)를 설치하고, 이 통 형상 부재(32)에 회전축(41)을 삽입하고 있지만, 다른 구조라도 좋다. 예를 들어, 회전축(41)의 원호 형상부(41b)와 동등한 구멍부를 형성하고, 이 구멍부에 돌기(42)의 가동 범위를 규제하는 홈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이면 된다.
(제3 실시 형태)
도14는 현수 금속 부재(28)가 조립 부착된 하우징(21)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15는 하우징(21)에 현수 금속 부재(28)를 조립 부착하는 순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하우징(21)의 4코너에는 각각 현수 금속 부재(28)가 고정되고, 이 현수 금속 부재(28)에 현수 볼트(29)가 통과되어, 이 현수 볼트(29)에 의해 하우징(21)이 천장으로부터 현수되어 있다. 이 현수 금속 부재(28)는, 도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21)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제1 부분(31)과, 이 제1 부분(31)이 하우징(21)에 형성된 개구(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화살표 P 방향으로 삽입되고, 하우징(21)의 측판부(21c)의 내면에 제1 부분(31)의 대향면(31a)이 접촉하는 위치까지 화살표 R 방향으로 회전되었을 때, 하우징(21)의 외측에 천장판부(21b)와 대략 평행하게 연장 돌출되고, 현수 볼트(29)를 통과하는 홈(32a)(도14)을 구비한 제2 부분(32)과, 상기 제1 부분(31)이 하우징(21)에 형성된 개구(도시하지 않음)를 통과하여 화살표 P 방향으로 삽입되고, 하우징(21)의 측판부(21c)의 내면에 제1 부분(31)의 대향면(31a)이 접촉하는 위치까지 화살표 R 방향으로 회전되었을 때, 하우징(21)의 측판부(21c)의 하단부 모서리(21d)에 계지되어 이 하단부 모서리(21d)를 지지하는 제3 부분(33)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현수 금속 부재(28)는 제1 부분(31)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제2 부분(32) 및 제3 부분(33)이 각각 대략 평행하게 연장 돌출된 대략 역ㄷ자 형상으로 형성된 금속 부재이며, 이들 제1 부분(31), 제2 부분(32) 및 제3 부분(33)은, 예를 들어 1매의 판재를 프레스 가공함으로써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현수 금속 부재(28)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고, 제조 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현수 금속 부재(28)는, 도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21)의 측판부(21c)의 내면에 제1 부분(31)의 대향면(31a)을 접촉시킨 상태에서 나사(35)에 의해 하우징(21)의 측판부(21c)에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 하우징(21)에 형성되는 개구(도시하지 않음)의 상부 모서리에 제2 부분(32)이 접촉하고, 하우징(21)의 측판부(21c)의 하단부 모서리(21d)에 제3 부분(33)이 계지된다. 이에 따르면, 본 현수 금속 부재(28)는 그 자체에서 하우징(21)의 중량을 받도록 구성되므로, 나사(35)는 오로지 현수 금속 부재(28)와 측판부(21c)를 연결하기 위해 기능하고, 이 나사(35) 자체가 하우징(21)의 중량을 받지 않는다. 따라서, 가령 이 나사(35)에 느슨해짐이 발생한 경우에도, 현수 금속 부재(28)는 제2 부분(32) 및 제3 부분(33)에서 하우징(21)을 지지하므로, 당해 현수 금속 부재(28)가 하우징(21)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이 방지된다.
그런데, 현수 금속 부재(28)는 상술한 바와 같이 현수 볼트(29)를 통해 실내기 본체(20)를 빔으로부터 현수하는 것이며, 이 실내기 본체(20)의 높이를 변경할 때는 현수 볼트(29)를 조정함으로써 실행된다. 또한, 상기한 화장 패널(100)에는, 현수 금속 부재(28)에 대응하는 위치(4코너)에 코너 패널(102)이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코너 패널(102)을 제거하면 현수 금속 부재(28)가 노출되므로, 현수 볼트(29)에 간단하게 액세스할 수 있다. 따라서, 현수 금속 부재(28)는 원래 코너 패널(102)을 제거하는 것만으로 외부로부터 용이하게 액세스할 수 있는 등의 이점을 갖는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현수 금속 부재(28)는 도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 부분(33)에 상기 화장 패널(100)(도1)을 임시 고정하는 임시 고정부(34)를 구비한다. 이 임시 고정부(34)는 제3 부분(33)의 선단부를 상방으로 굴곡하여 형성된 갈고리부이며, 상기한 제1 부분(31), 제2 부분(32) 모두 일체로 프레스 가공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현수 금속 부재(28)는, 도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 부분(33)에 형성된 나사 구멍(33a)을 구비한다. 이 나사 구멍(33a)은 화장 패널(100)을 하우징(21)에 나사 고정할 때에 이용되는 것으로 본 고정부로서 기능한다.
이와 같이, 현수 금속 부재(28)의 제3 부분(33)에 임시 고정부(34)를 설치함으로써, 코너 패널(102)을 제거한 상태에서 간단하게 임시 고정부(34)에 액세스할 수 있으므로, 이 임시 고정부(34)에 화장 패널(100)을 임시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임시 고정부를 현수 금속 부재와 별개로 설치할 필요가 없어지기 때문에, 부품 개수를 삭감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제조 비용의 저감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현수 금속 부재(28)의 제3 부분(33)에는 나사 구멍(33a)이 함께 형성되어 있으므로, 화장 패널(100)을 임시 고정한 후에, 예를 들어 작업자가 타고 있는 사다리의 위치를 변경하지 않고, 그대로 당해 화장 패널(100)을 하우징(21)에 본 고정할 수 있어, 작업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도16은 코너 패널을 제거한 화장 패널(100)의 한 코너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 도16에서는, 실내기(10)를 천장으로부터 현수한 상태와 상하가 반대로 되어 있다.
화장 패널(100)의 코너부는, 도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화장 패널(100)의 표면에 비해 오목해진 오목부(41)과, 이 오목부(41) 및 화장 패널(100)의 테두리부(100A)로 형성되는 개구부(42)를 구비하고, 이들 오목부(41) 및 개구부(42)가 코너 패널(102)(도1)로 덮인다. 개구부(42)는 하우징(21)에 설치된 현수 금속 부재(28)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고, 이 개구부(42)를 통해 현수 금속 부재(28)에 액세스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본 구성에서는, 오목부(41)는 이 오목부(41)의 일부를 개구부(42)측으로 돌출시킨 받침대(43)를 구비하고, 이 받침대(43)에는 화장 패널(100)을 하우징(21)에 고정하기 위한 관통 구멍(4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받침대(43)의 모서리부에는 상기 임시 고정부(34)와 결합하는 계지구(51)가 설치되어 있다. 이 계지구(51)는 예를 들어 판 스프링재 등의 금속판을 굽힘 형성한 것이고, 받침대(43)에 고정되는 기부(52)와, 이 기부(52)에 연결되어 상방(도16 중에서는 하방)으로 연장 돌출되는 탄발부(彈發部)(53)와, 이 탄발부(53)의 선단부를 내측을 절곡하여 상기 임시 고정부(34)에 거는 걸림부(54)를 구비하고 있다. 이 걸림부(54)는 탄발부(53)에 대해 약 45도의 각도를 나타내도록 형성되어 있다. 기부(52)는 받침대(43)의 모서리부로부터 당해 받침대(43)의 하면(도16 중 상면)으로 연장되어, 이 받침대(43)에 나사(45)로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구성에서는, 계지구(51)는 개구부(42)의 모서리부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이 계지구(51)가 개구부(42)를 막지 않아, 작업에 방해되는 일은 없다.
또한, 계지구(51)는, 도시는 생략하였지만, 화장 패널(100)의 개구부(42) 중, 대각 상에 위치하는 한 쌍의 개구부(42)의 모서리부에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예를 들어 외형 폭의 작은 미니 카세트형의 실내기(10)이면, 화장 패널(100)의 대각에 설치된 계지구(51)를 각각 한 손으로 조작함으로써, 혼자서 간단하게 화장 패널(100)을 착탈할 수 있다.
다음에, 도17을 참조하여, 화장 패널(100)을 하우징에 고정하는 순서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대각 상에 위치하는 각 개구부(42)를 손으로 잡고, 이 개구부(42)에 설치된 계지구(51)의 상단부[즉 걸림부(54)]를 손가락으로 외측(도17 중 화살표 X 방향)으로 넓힌다. 그리고, 그 상태에서 화장 패널(100)을 상방으로 들어 올려, 현수 금속 부재(28)의 임시 고정부(34)에 계지구(51)의 걸림부(54)를 건다. 본 구성에서는, 계지구(51)는 판 스프링재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걸림부(54)로부터 손가락을 떼면, 탄발부(53)가 원래의 상태로 복귀됨으로써, 현수 금속 부재(28)의 임시 고정부(34)와 계지구(51)의 걸림부(54)가 걸려 화장 패널(100)이 하우징(21)에 임시 고정된다.
계속해서, 화장 패널(100)의 각 받침대(43)에 형성된 관통 구멍(44)(도17)에 나사(60)를 삽입하고, 이 나사(60)를 각 현수 금속 부재(28)의 제3 부분에 각각 형성된 나사 구멍(33a)에 고정 부착한다. 이에 따르면, 화장 패널(100)을 하우징(21)에 간단하게 고정할 수 있다. 또한, 화장 패널(100)을 제거할 때는, 고정하는 순서를 역순으로 행하면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송풍기(23) 및 실내 열교환기(24)를 수용한 하우징(21)과, 이 하우징(21)의 하방에 배치되는 화장 패널(100)과, 하우징(21)의 측판부(21c)에 설치된 현수 금속 부재(28)를 구비하고, 이 현수 금속 부재(28)에 빔으로부터 현수된 현수 볼트(29)를 통과시키고, 당해 하우징(21)을 빔에 현수 지지하여 이루어지는 천장 매립형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현수 금속 부재(28)가 하우징(21)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제1 부분(31)과, 하우징(21)에 형성된 개구를 통해 당해 하우징(21)의 외측에 천장판부(21b)와 대략 평행하게 연장 돌출되어 현수 볼트(29)를 통과시키는 제2 부분(32)과, 하우징(21)의 측판부(21c)의 하단부 모서리(21d)에 계지되어 당해 측판의 하단부 모서리(21d)를 지지하는 제3 부분(33)을 구비하고, 이 제3 부분(33)에 화장 패널(100)을 임시 고정하는 임시 고정부(34)를 설치하였으므로, 현수 금속 부재(28)의 일부를 이용하여 이 현수 금속 부재(28)에 화장 패널(100)을 임시 고정할 수 있고, 당해 화장 패널(100)을 임시 고정하는 구조가 간소화된다. 또한, 임시 고정부(34)를 별개로 설치할 필요가 없어지므로, 부품 개수를 삭감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제조 비용의 저감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3 부분(33)은 임시 고정된 화장 패널(100)이 본 고정되기 위한 나사 구멍(33a)을 구비하므로, 현수 금속 부재(28)의 제3 부분(33)을 이용하여 임시 고정 및 본 고정을 행할 수 있고, 화장 패널(100)을 고정하는 구조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나사 구멍(33a) 및 임시 고정부(34)가 함께 현수 금속 부재(28)의 제3 부분(33)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화장 패널(100)을 임시 고정한 후에, 예를 들어 작업자가 타고 있는 사다리의 위치를 변경하지 않고, 그대로 당해 화장 패널(100)을 하우징(21)에 본 고정할 수 있어, 작업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임시 고정부(34)는 제3 부분(33)의 선단부를 상방으로 굴곡하여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 임시 고정부(34)를 간단하게 형성할 수 있고, 화장 패널(100)을 임시 고정하는 구조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화장 패널(100)은 현수 금속 부재(28)에 대응하는 당해 화장 패널(100)의 4코너에 코너 패널(102)로 덮이는 개구부(42)를 구비하고, 이들 개구부(42) 중 화장 패널(100)의 대각 상에 위치하는 한 쌍의 개구부(42)에 임시 고정부(34)에 결합하는 계지구(51)를 설치하였으므로, 코너 패널(102)을 제거함으로써 계지구(51)에 간단하게 액세스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계지구(51)와 임시 고정부(34)를 간단하게 결합 분리할 수 있다. 또한, 계지구(51)는 대각에 위치하는 개구부(42)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예를 들어 외형 폭이 작은, 소위 미니 카세트형의 실내기(10)이면, 화장 패널(100)의 대각에 설치된 계지구(51)를 각각 한 손으로 조작함으로써, 혼자서 간단하게 화장 패널(100)을 착탈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에 대해 서술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미 서술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기초로 하여 각종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임시 고정부(34)는 제3 부분의 선단부를 굴곡하여 당해 제3 부분과 일체로 형성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임시 고정부를 제3 부분과 별개로 하여 이 제3 부분에 용접 혹은 나사 고정 등의 체결 수단에 의해 고착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제4 실시 형태)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18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천장 매립형 공기 조화 장치(101)의 공기 조화기(102)를 그리드 시스템 천장에 설치한 상태를 아래에서 본 도면이다.
이 그리드 시스템 천장은 복수개의 현수 도구(도시 생략)를 통해 천장에 현수된 복수의 보유 지지 바아(103)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 보유 지지 바아(103)는 격자 형상으로 짜여져 있고, 보유 지지 바아(103)로 둘러싸인 공간에, 보유 지지 바아 개구부(104)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보유 지지 바아 개구부(104)의 각각은 600 ㎜ × 600 ㎜의 크기의 개구를 갖고 있고, 보유 지지 바아 개구부(4)에는 이 개구의 크기에 대응한, 천장면을 형성하기 위한 천장재(105)나, 실내를 조명하기 위한 조명 유닛(106) 등이 설치되는 동시에, 실내의 공기 조화를 행하기 위한 공기 조화기(102)가 설치되어 있다.
도19는 이 공기 조화기(102)를 하면측으로부터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20은 공기 조화기(102)의 종단면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공기 조화기(102)는 상기 보유 지지 바아 개구부(104)에 대응한 600 ㎜ × 600 ㎜의 외형상을 갖는 4방향 카세트형의 공기 조화기(102)이며, 도19 및 도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수 볼트(110)를 통해 천장에 현수되는 공기 조화기 본체(111)와, 이 공기 조화기 본체(111)의 하면에 설치된 화장 패널(112)을 갖는다.
상기 공기 조화기 본체(111)는 도19 및 도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공기 조화기 본체(11)의 외형 부분을 구성하는 하우징(113)을 구비하고 있다. 이 하우징(113)은 하면에 개구가 형성된 대략 상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천장판부(113A)와, 측판부(113B)를 갖고 있다. 이 측판부(113B)의 외면에 있어서의 4개의 코너부에는 도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수 금속 부재(114)가 설치되고, 이 현수 금속 부재(114)에는 천장으로부터 수직 하강한 현수 볼트(110)가 설치되어 있고, 하우징(113)은 이 현수 볼트(110)에 현수 지지되어 천장에 지지되어 있다.
하우징(113)의 천장판부(113A) 및 측판부(113B)의 전체면에 걸치는 내면에는, 도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포 스티롤제의 단열체(115)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113)의 천장판부(113A)에는 송풍 팬(116)이 고정되고, 이 송풍 팬(116)을 둘러싸도록 실내 열교환기(117)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송풍 팬(116)에 의해 화장 패널(112)의 흡입구(121)(후술)를 통해 흡입된 공기가 실내 열교환기(117)에 공급되는 동시에, 실내 열교환기(117)에 의해 열교환된 공기가 화장 패널(112)의 분출구(122)(후술)로부터 분출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실내 열교환기(117)의 하방에는 이 실내 열교환기(117)로부터 흘러내리는 결로수를 받는 발포 스티롤제의 드레인 팬(118)이 배치되어 있다.
한편, 화장 패널(112)은, 도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볼 때 대략 직사각형으로 형성된 화장 패널 본체(120)를 갖고, 이 화장 패널 본체(120)는 화장 패널 본체(120)의 대략 중앙부에 형성된 흡입구(121)와, 화장 패널 본체(120)의 4변의 근방에 각각의 변을 따라 형성된 분출구(122)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흡입구(121)에는 흡입 그릴(123)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이 흡입 그릴(123)에는 흡입구(121)를 통해 하우징(113) 내에 유입하는 공기 중에 포함되는 먼지를 제거하기 위한 필터(124)가 장착되어 있다. 공기 조화기(102)는 흡입구(121)를 통해 실내의 공기를 하우징(113)의 내부로 흡입하고, 하우징(113) 내에서 공기의 열교환을 행한 후, 분출구(122)를 통해 실내를 향해 공기를 분출한다.
또한, 화장 패널 본체(120)의 네 코너에 있어서, 상기 현수 금속 부재(114)의 하방에는, 도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장 패널측 개구(125)가 형성되어 있고(도21 및 도23도 함께 참조), 이 화장 패널측 개구(125)를 막도록 코너 패널(130)이 화장 패널 본체(20)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공기 조화기(2)의 위치 결정이나 높이 조정 등을 행하는 경우, 작업자들은 이 코너 패널(130)을 제거하고, 화장 패널측 개구(125)를 노출하여, 이 화장 패널측 개구(125)에 손이나 공구를 삽입하여 상기 현수 볼트(110)에 액세스하고, 이 현수 볼트(110)를 조작하여 공기 조화기(102)의 위치 결정 등을 행한다. 이로 인해, 코너 패널(130)은 작업의 간이화, 신속화를 위해 작업시에 있어서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는 것이 요구되고 있고, 이 착탈 용이성을 실현하기 위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화장 패널 본체(120) 및 코너 패널(130)은 이하의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21은 화장 패널 본체(120)의 4개의 코너부 중 하나의 코너부(120A)를 실내측으로부터 본 도면이며, 코너 패널(130) 및 흡입 그릴(123)을 제거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22는 코너 패널(130)을 이면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여기서 코너 패널(130)의 이면이라 함은, 코너 패널(130)을 화장 패널 본체(120)에 설치하였을 때에 천장 이측에 면하는 면인 것이다. 도23 및 도24는 코너 패널(130)의 화장 패널 본체(120)에 대한 설치 방법, 제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23은 설치하기 전의 상태를, 도24는 설치한 후의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화장 패널(112)의 4개의 코너부는 각각 대략 동일한 구성이므로, 이하 하나의 코너부(120A)를 예로 설명한다. 마찬가지로, 화장 패널 본체(120)의 네 코너에 설치된 4개의 각 코너 패널(130)은 각각 대략 동일한 구성이므로, 이하 하나의 코너 패널(130)을 예로 설명한다.
우선, 코너 패널(130)이 설치되는 화장 패널 본체(120)의 코너부(120A)에 대해 설명한다. 도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장 패널 본체(120)는 분출구(122)를 둘러싸도록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된 프레임체(180)를 갖고, 이 프레임체(180)는 4개의 프레임 부재(181)를 구비하고 있다. 도21에 도시한 2개의 프레임 부재(181A, 181B)는 화장 패널 본체(120)의 코너부(120A)에서 직교하고, 그 코너부(120A)에는 상술한 화장 패널측 개구(125)가 천장 이면측에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고, 이 화장 패널측 개구(125)의 실내측에는 코너 패널(130)이 끼워 맞추는 끼워 맞춤용 개구부(이하, 단순히 개구부라 함)(131)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개구부(131)는 코너 패널(130)이 끼워 넣어지도록, 코너 패널(130)의 형상에 대응한 대략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개구부(131)의 내주연에 있어서, 개구부(131)의 4개의 코너부 중, 외측을 향하는 방향(도21 중 화살표로 나타내는 외측 방향. 이하, 이 방향을「외측 방향」이라 함)으로 형성된 외측 코너부(132)의 내주연에는, 외측 방향으로 오목해진 외측 계지 구멍(133)이 형성되어 있다. 이 외측 계지 구멍(133)은 후술하는 코너 패널(130)의 외측 계지 갈고리(152)(도22)가 계지하기 위한 계지 구멍이다.
개구부(131)의 내주연에 있어서, 개구부(131)의 4개의 코너부 중 상기 외측 코너부(132)와 인접하는 2개의 측방 코너부(134)의 내주연에는 도21 및 도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방 계지 구멍(135)이 형성되어 있다. 이 측방 계지 구멍(135)은 후술하는 코너 패널(130)의 측방 계지 갈고리(154)(도23)가 계지하는 계지 구멍이다.
또한, 개구부(131)의 4개의 코너부 중 중심 방향에 형성된 중심 코너부(136)에는 코너 내벽부(140)가 형성되어 있다.
이 코너 내벽부(140)는 도21 및 도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프레임 부재(181A, 181B)의 각 내벽면(182, 183)(도23 및 도24)의 단부끼리를 연결하는 부재이며, 구획판(186)과, 받침대부(142)를 갖고 있다.
구획판(186)은 개구부(131)와 상기 흡입구(121)를 구획하는 판 형상의 부재이며, 화장 패널 본체(120)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경사지면서, 실내 방향으로 연장 돌출되어 있다. 이 구획판(186)에는 도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결되어 형성된 내벽면측 결합 구멍(141)이 형성되어 있다. 이 내벽면측 결합 구멍(141)은 후술하는 코너 패널(130)의 연결 다리(156)에 형성된 돌기부(159)(도22)가 결합하기 위한 결합 구멍이다. 여기서, 이 구획판(186)이 외측 방향으로 경사져 있는 것은, 상세한 것은 후술하지만, 코너 패널(130)을 개구부(131)에 끼워 맞출 때 코너 패널(130)의 연결 다리(156)의 돌기부(159)(도22)를 내벽면측 결합 구멍(141)으로 안내하기 위해서이다.
받침대부(142)는 상기 코너 내벽부(140)의 기단부의 흡입구(121)측에 설치되어 있다. 이 받침대부(142)는 후술하는 코너 패널(130)의 연결 다리(156)의 손잡이부(158)(도22)가 접촉하여 고정 부착하는 부위이며, 흡입구(121)측(중심 방향)을 향해 돌출된 받침대 돌출부(145)를 갖고 있다. 이 받침대 돌출부(145)에는 코너 패널(130)과 화장 패널 본체(120)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용 나사(143)가 나사 결합되는 암형 나사부(144)가 형성되어 있다.
이 받침대 돌출부(145)는 흡입구(121)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으므로, 흡입구(121)에 흡입 그릴(23)을 설치하였을 때는, 도18 및 도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받침대 돌출부(145) 및 받침대 돌출부(145)의 암형 나사부(144)에 나사 결합되는 고정용 나사(143)가 실내로부터 보이지 않는 구성으로 되어 있어, 외관성의 향상이 도모되어 있다.
한편, 코너 패널(130)은, 도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개구부(131)의 형상에 대응한 직사각 형상에 형성되어 있고, 4개의 변 중, 외측 방향의 2변에는 천장 방향으로 돌출된 코너 패널 외주벽(150)이 상기 2변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이 코너 패널 외주벽(150)에 있어서, 코너 패널(130)의 4개의 코너부 중 외측 방향에 형성된 외측 코너부(151)에는, 외측 방향을 향해 돌출된 외측 계지 갈고리(152)가 형성되어 있다. 이 외측 계지 갈고리(152)는 상기 개구부(131)의 외측 계지 구멍(133)(도21)에 계지하는 계지 갈고리이다.
또한, 코너 패널 외주벽(150)에 있어서, 코너 패널의 4개의 코너부 중, 상기 외측 코너부(151)와 인접하는 2개의 측방 코너부(153)에는 상기 개구부(131)의 측방 계지 구멍(135)(도21, 도23)에 계지하는 측방 계지 갈고리(15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코너 패널의 4개의 코너부 중, 중심 방향에 형성된 중심 코너부(155)에는 연결 다리(156)가 설치되어 있다.
이 연결 다리(156)는 탄성을 갖는 재료로 형성되고, 도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천장 방향을 향해 돌출된 수직 상승부(157)와, 이 수직 상승부(157)의 선단부로부터 중심 방향을 향해 절곡되어 형성된 손잡이부(158)를 갖고 있다.
상기 수직 상승부(157)에는, 도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측 방향을 향해 돌출된 돌기부(159)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돌기부(159)는 상술한 코너 내벽부(140)의 내벽면측 결합 구멍(141)에 결합되는 부재이며, 돌기부(159)의 외측 방향의 면에는 중심 방향을 향해 경사진 경사부(160)가 형성되어 있다. 이 경사부(160)는 코너 패널(130)을 개구부(131)에 끼워 맞출 때, 돌기부(159)를 내벽면측 결합 구멍(141)으로 안내한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158)는 상술한 받침대부(142)에 접촉하여 고정 부착하는 부재이며, 천장-실내 방향으로 관통된 관통 구멍(161)이 형성되어 있다. 이 관통 구멍(161)은 상기 고정용 나사(143)가 관통하는 구멍이며, 코너 패널(130)과 화장 패널 본체(120)를 고정할 때는, 도23 및 도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용 고정용 나사(143)를 이 관통 구멍(161)을 통해 상기 암형 나사부(144)에 나사 결합시킴으로써, 코너 패널(130)을 화장 패널 본체(120)에 나사 고정한다.
손잡이부(158)에 있어서, 관통 구멍(161)의 중심 방향의 단부로부터 중심 방향으로 연장 돌출된 부분의 길이 L1(도22)는 상기 받침대부(142)의 암형 나사부(144)의 중심 방향의 단부로부터 중심 방향으로 연장 돌출된 부분의 길이 L2(도21)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고, 코너 패널(130)이 개구부(131)에 끼워 맞추었을 때는, 손잡이부(158)의 선단부가 받침대부(142)를 지나 중심 방향으로 연장 돌출되고, 이 연장 돌출된 부분을 작업자들이 파지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구성을 위해, 상세한 것은 후술하지만, 코너 패널(130)을 개구부(131)로부터 제거할 때는, 작업자들은 이 손잡이부(158)를 파지하고, 이 손잡이부(158)를 통해 코너 패널(130)의 위치를 변위함으로써, 코너 패널(130)과 개구부(131)의 끼워 맞춤을 해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구성의 코너 패널(130)을 화장 패널 본체(120)에 설치하는 순서는 이하에 따른다. 즉, 흡입 그릴(123)을 제거한 상태의 화장 패널 본체(120)의 개구부(131)에 고정용 나사(143)를 끼우지 않고, 코너 패널(130)을 임시 고정한 후, 고정용 나사(143)에 의해 코너 패널(130)과 화장 패널 본체(120)를 본 고정하여, 흡입 그릴(123)을 화장 패널 본체(120)에 설치한다.
구체적으로는, 도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너 패널(130)의 외측 계지 갈고리(152)를 개구부(131)의 외측 계지 구멍(133)에 걸고, 이들 외측 계지 갈고리(152)와 외측 계지 구멍(133)을 계지시킨 상태에서, 코너 패널(130)의 중심 코너부(136)를 천장 방향을 향해 압입한다.
코너 패널(130)이 천장 방향을 향해 압입되면, 코너 패널(130)의 측방 계지 갈고리(154)가 개구부(131)의 내주에 들어간 후, 측방 계지 구멍(135)에 탄발적으로 계지한다. 이와 동시에, 코너 패널(130)의 연결 다리(156)의 수직 상승부(157), 및 수직 상승부(157)에, 형성된 돌기부(159)가 상술한 코너 내벽부(140)의 경사로 안내되어 코너 내벽부(140)의 흡입구(121)측으로 들어간다. 이때, 상기 돌기부(159)의 경사부(160)로 안내되어 돌기(159)가 코너 내벽부(140)에 접촉하면서 천장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하고, 이에 수반하여 수직 상승부(157)는 돌기부(159)의 경사부(160)의 경사에 따라서 탄성 변형된다. 또한 압입이 진행되면, 돌기부(159)가 경사부(160)로 안내되어 코너 내벽부(140)의 내벽면측 결합 구멍(141)에 들어가고, 이들 돌기부(159)와 내벽면측 결합 구멍(141)이 탄발적으로 결합하여 임시 고정이 종료된다.
상기 임시 고정 후, 고정용 나사(143)를 연결 다리(156)의 손잡이부(158)에 형성된 관통 구멍(161)을 통해 받침대부(142)의 받침대 돌출부(145)에 형성된 암형 나사부(144)에 나사 결합하고, 본 고정을 행한다. 이 본 고정 후, 흡입구(121)에 흡입 그릴(123)을 설치한다. 그때, 상술한 바와 같이, 받침대 돌출부(145)는 흡입구(121)에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으므로, 도18 및 도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입 그릴(123) 설치 후에는 상기 고정용 나사(143)가 노출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코너 패널(130)의 임시 고정은 코너 패널(130)의 외측 계지 갈고리(152)를 화장 패널 본체(120)의 외측 계지 구멍(133)에 건 후, 코너 패널(130)을 천장 방향으로 압입하는 간단하고 또한 단순한 작업으로 행할 수 있으므로, 작업의 간이화, 신속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임시 고정 시에는, 코너 패널(130)의 네 코너부에 있어서 코너 패널(130)과, 개구부(131)가 결합하므로, 코너 패널(130)의 임시 고정의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고, 임시 고정 후에 코너 패널(130)이 낙하되지 않아 안전성의 향상이 도모된다.
계속해서, 코너 패널(130)을 화장 패널 본체(120)로부터 제거하는 순서에 대해 설명한다.
코너 패널(130)의 제거시에, 도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선 화장 패널 본체(120)로부터 흡입 그릴(123)을 제거하여, 받침대부(142)에 나사 결합된 고정용 나사(143)를 노출한 후, 이 고정용 나사(143)의 나사 결합을 해제한다. 이때, 고정용 나사(143)가 제거된 상태(임시 고정의 상태)라도, 상술한 바와 같이 코너 패널(130)은 낙하되는 일이 없기 때문에, 작업자들은 이 고정용 나사(143)의 나사 결합을 해제하는 작업을 양손으로 행할 수 있어, 작업의 효율화, 신속화를 도모할 수 있는 동시에, 안전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고정용 나사(143)의 나사 결합을 해제한 후, 상기 연결 다리(156)의 손잡이부(158)를 파지하고, 이 손잡이부(158)를 중심 방향(도24 중 화살표 Y1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변위함으로써 연결 다리(156)의 수직 상승부(157)를 탄성 변형하고, 코너 내벽부(140)에 형성된 내벽면측 결합 구멍(141)으로부터, 수직 상승부(157)의 돌기부(159)를 빼서 이들 결합을 해제한 후, 손잡이부(158)를 실내측으로 밀어 내림으로써, 코너 패널(130)의 중심 코너부(136)를 실내 방향을 향해 변위한다. 이 코너 패널(130)의 실내 방향으로의 변위에 수반하여, 개구부(131)의 측방 계지 구멍(135)과 코너 패널(130)의 측방 계지 갈고리(154)의 계지 상태가 해제되는 동시에, 개구부(131)의 외측 계지 구멍(133)과, 코너 패널(130)의 외측 계지 갈고리(152)의 계지 상태가 해제된다. 이에 의해, 코너 패널(130)의 네 코너부에 있어서의 결합이 해제되고, 화장 패널 본체(120)로부터 코너 패널(130)이 제거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코너 패널(130)의 연결 다리(156)의 손잡이부(158)를 파지하고, 이 손잡이부(158)를 탄성 변형하여 코너 패널(130)을 실내측으로 변위하는 간단한 작업으로 코너 패널(130)을 화장 패널 본체(120)로부터 제거할 수 있으므로, 작업의 간이화, 신속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거의 작업에 있어서, 상기 고정용 나사(143)를 뺀 후에라도, 코너 패널(130)은 낙하하는 일이 없기에 때문 안전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코너 패널(130)을 화장 패널 본체(120)로부터 실내 방향으로 빼내도록 하여 제거하고 있다. 여기서, 예를 들어 코너 패널(130)을 외측 방향으로 슬라이드시켜 제거하는 기구의 경우, 도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기 조화기(102)와, 조명 유닛(106)이 인접하고, 코너 패널(130)이 슬라이드하는 위치에 조명 유닛(106)이 존재하고, 이 조명 유닛(106)이 장해가 되어 제거의 작업이 곤란화되는 것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에서는, 코너 패널(130)을 실내 방향으로 변위하여 제거하므로, 예를 들어 도18과 같이 공기 조화기(102)와, 조명 유닛(106)이 인접해 있는 경우도, 코너 패널(130)을 제거할 때에 조명 유닛(106)이 방해되어 제거의 작업이 곤란한 일이 없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코너 패널(130)을 화장 패널 본체(120)에 설치할 때, 코너 패널(130)의 외측 계지 갈고리(152)를 화장 패널 본체(120)의 외측 계지 구멍(133)에 건 후, 코너 패널(130)을 천장 방향으로 압입하는 간단하고 또한 단순한 작업으로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코너 패널(130)을 화장 패널 본체(120)로부터 제거할 때는, 코너 패널(130)의 연결 다리(156)의 손잡이부(158)를 파지하여, 이 손잡이부(158)를 중심 방향으로 변위함으로써 연결 다리(156)의 수직 상승부(157)를 탄성 변형하고, 코너 내벽부(140)에 형성된 내벽면측 결합 구멍(141)으로부터 수직 상승부(157)의 돌기부(159)를 빼서 이들 결합을 해제한 후, 이 손잡이부(158)를 통해 코너 패널(130)을 실내 방향으로 변위하는 간단한 작업으로 제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영구 자석이나 플레이트 등의 특별한 부재를 이용하지 않고, 코너 패널(130)의 착탈 용이성을 유지한 상태에서, 비용의 삭감 및 부재 구조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연결 다리(156)의 선단부에 받침대부(142)를 넘어 연장 돌출된 손잡이부(158)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용이하고 또한 확실하게 손잡이부(158)를 파지할 수 있어, 작업의 용이화, 효율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는, 어디까지나 본 발명의 일 형태를 나타내는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임의로 변형 및 응용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본 실시 형태에서는 그리드 시스템 천장에 설치한 공기 조화기(102)를 예시하였지만, 이는 천장에 마련한 개구에 공기 조화기를 끼워 넣는 타입의 공기 조화기라도 좋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공기 조화기(2)는 600 ㎜ × 600 ㎜의 외형상을 갖는 4방향 카세트형의 공기 조화기(102)를 예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640 ㎜ × 640 ㎜의 외형상을 가져도 좋고, 또한 2방향형의 공기 조화기라도 좋다.
10 : 실내기
21 : 하우징
22 : 단열재
23 : 송풍기
24 : 실내 열교환기
25 : 드레인 팬
28 : 현수 금속 부재
100 : 화장 패널
110 : 흡입구
120 : 분출구
130 : 코너 패널
122 : 플랩

Claims (3)

  1. 공기 조화기 본체와, 이 공기 조화기 본체의 하면에 설치되는 화장 패널과, 이 화장 패널의 패널 본체의 네 코너에 설치한 코너 패널을 구비하는 천장 매립형 공기 조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코너 패널은 상기 패널 본체의 계지 구멍에 끼워지는 계지 갈고리를 구비하는 동시에, 상기 패널 본체의 코너 내벽부에 설치한 받침대부에 연장 돌출되어 이 받침대부에 고정 부착하는 연결 다리를 코너 패널의 한 코너부에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매립형 공기 조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다리는 탄성체이며, 상기 코너 내벽부에 마련된 결합 구멍에 결합되는 돌기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매립형 공기 조화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다리의 선단부에 상기 받침대부를 지나 연장 돌출된 손잡이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매립형 공기 조화 장치.
KR1020100016396A 2007-07-25 2010-02-23 천장 매립형 공기 조화 장치 KR2010002808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192762 2007-07-25
JP2007192762A JP5103080B2 (ja) 2007-07-25 2007-07-25 天井埋込型空気調和装置の室内機
JP2007192761A JP4945357B2 (ja) 2007-07-25 2007-07-25 天井埋込型空気調和装置の室内機
JPJP-P-2007-192761 2007-07-25
JP2007203822A JP5011022B2 (ja) 2007-08-06 2007-08-06 天井埋込型空気調和装置
JPJP-P-2007-203822 2007-08-06
JPJP-P-2007-203776 2007-08-06
JP2007203776A JP5033535B2 (ja) 2007-08-06 2007-08-06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1967A Division KR100972273B1 (ko) 2007-07-25 2008-07-24 천장 매립형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8085A true KR20100028085A (ko) 2010-03-11

Family

ID=39929914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1967A KR100972273B1 (ko) 2007-07-25 2008-07-24 천장 매립형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
KR1020100016392A KR101001436B1 (ko) 2007-07-25 2010-02-23 천장 매립형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
KR1020100016396A KR20100028085A (ko) 2007-07-25 2010-02-23 천장 매립형 공기 조화 장치
KR1020100016394A KR101019283B1 (ko) 2007-07-25 2010-02-23 천장 매립형 공기 조화기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1967A KR100972273B1 (ko) 2007-07-25 2008-07-24 천장 매립형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
KR1020100016392A KR101001436B1 (ko) 2007-07-25 2010-02-23 천장 매립형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6394A KR101019283B1 (ko) 2007-07-25 2010-02-23 천장 매립형 공기 조화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255716B2 (ko)
EP (1) EP2023049B1 (ko)
KR (4) KR100972273B1 (ko)
CN (3) CN10318537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796349B (zh) * 2007-09-07 2012-12-12 东芝开利株式会社 嵌入天花板的空调
TR201909786T4 (tr) * 2007-10-25 2019-07-22 Toshiba Carrier Corp Tavana gömülebilen klima.
JP5456402B2 (ja) * 2009-07-27 2014-03-26 三洋電機株式会社 天井埋込型空気調和装置
DE102010000956B4 (de) * 2010-01-15 2014-05-28 Thermofin Gmbh Wärmeübertrageranordnung
CN102343129B (zh) * 2010-07-30 2015-04-01 广东松下环境系统有限公司 换气扇用的防火闸
JP5267690B2 (ja) * 2012-02-03 2013-08-21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室内機
CN103655154B (zh) * 2012-09-14 2017-09-15 广东松下环境系统有限公司 微雾桑拿装置
KR102040800B1 (ko) * 2013-04-11 2019-12-05 삼성전자주식회사 블레이드 체결구조 및 이를 갖는 공기조화기
JP5811134B2 (ja) * 2013-04-30 2015-11-11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室内ユニット
CN105247288B (zh) * 2013-05-31 2018-01-30 三菱电机株式会社 热介质变换装置以及具备该热介质变换装置的空调装置
JP5972228B2 (ja) * 2013-07-18 2016-08-17 三菱電機株式会社 室内機及び冷凍サイクル装置
KR101702169B1 (ko) 2013-10-02 2017-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카세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1706812B1 (ko) 2013-10-02 2017-0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카세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150041340A (ko) * 2013-10-08 2015-04-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카세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USD740647S1 (en) * 2013-10-08 2015-10-13 Thomas J. DeCosta Bracket assembly
CN104566903B (zh) * 2013-10-09 2018-02-27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调室内机及具有其的空调器
KR20150043573A (ko) 2013-10-11 2015-04-23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CN103615761B (zh) * 2013-12-02 2016-09-07 靖江市春意空调制冷设备有限公司 维修方便型卡式风机盘管
WO2015092919A1 (ja) * 2013-12-20 2015-06-25 東芝キヤリア株式会社 空気調和機
KR101662377B1 (ko) 2014-01-27 2016-10-0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JP6134855B2 (ja) 2014-02-18 2017-05-24 東芝キヤリア株式会社 空気調和機
FR3023360B1 (fr) * 2014-07-07 2019-08-30 Almaco Groupe Sas Systeme de refroidissement d'un local par un flux d'air froid pulse sous le plafond.
US10365007B2 (en) * 2014-09-30 2019-07-30 Fujitsu General Limited Ceiling-embedded air conditioner
JPWO2016084216A1 (ja) * 2014-11-28 2017-05-25 ジョンソンコントロールズ ヒタチ エア コンディショニング テクノロジー(ホンコン)リミテッド 空気調和機の室内機
JP6481818B2 (ja) * 2015-03-31 2019-03-13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ITVR20150064A1 (it) * 2015-04-20 2016-10-20 Gandini Jacques Unita¿ di diffusione per la climatizzazione di ambienti interni.
WO2016185576A1 (ja) * 2015-05-20 2016-11-24 三菱電機株式会社 室内機および空気調和装置
USD767752S1 (en) * 2015-05-27 2016-09-27 Walker Edison Furniture Company, Llc Fireplace console
CN106403016B (zh) * 2015-07-30 2019-07-26 Lg电子株式会社 空调机的室内机
CN106468459B (zh) 2015-08-11 2019-07-05 Lg电子株式会社 空调机的室内机
KR102396941B1 (ko) * 2015-08-13 2022-05-13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USD800893S1 (en) * 2015-09-09 2017-10-24 Marley Engineered Products Llc Grille
JP6811378B2 (ja) * 2015-12-25 2021-01-13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子デバイス
CN105571104B (zh) * 2016-02-02 2019-01-25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风道结构及家电设备
CN106016471A (zh) * 2016-07-13 2016-10-12 海信(山东)空调有限公司 嵌入式空调
USD834355S1 (en) 2016-08-11 2018-11-27 Walker Edison Furniture Company, Llc Stand
JP1605475S (ko) * 2016-10-05 2018-06-04
KR101833303B1 (ko) 2016-12-24 2018-0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카세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US11085652B2 (en) * 2017-02-09 2021-08-10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Ceiling concealed indoor unit and air-conditioning apparatus equipped therewith
EP3587952B1 (en) * 2017-02-27 2021-11-24 Toshiba Carrier Corporation Ceiling panel and air conditioner
KR102341728B1 (ko) * 2017-03-21 2021-12-22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JP6649311B2 (ja) * 2017-03-24 2020-02-19 株式会社東芝 高剛性板材および空気調和機
CN106996595A (zh) * 2017-04-11 2017-08-01 广东志高暖通设备股份有限公司 一种天花机及其接水盘结构
USD878116S1 (en) 2017-07-27 2020-03-17 Walker Edison Furniture Company Llc Storage unit
USD848770S1 (en) 2017-07-27 2019-05-21 Walker Edison Furniture Company Llc Storage unit
USD886496S1 (en) 2018-01-25 2020-06-09 Walker Edison Furniture Company, Llc Storage unit
USD845041S1 (en) 2018-01-25 2019-04-09 Walker Edison Furnitutre Company LLC Stand
USD885091S1 (en) 2018-01-25 2020-05-26 Walker Edison Furniture Company, Llc Storage unit
CN108444083B (zh) * 2018-05-18 2024-02-27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扫风组件及具有其的室内机
USD886499S1 (en) 2018-06-28 2020-06-09 Walker Edison Furniture Company Llc Table
USD878822S1 (en) 2018-06-28 2020-03-24 Walker Edison Furniture Company Llc Stand
USD891831S1 (en) 2018-06-28 2020-08-04 Walker Edison Furniture Company Llc Storage unit
USD878821S1 (en) 2018-06-28 2020-03-24 Walker Edison Furniture Company Llc Storage unit
USD909102S1 (en) 2018-06-28 2021-02-02 Walker Edison Furniture Company Llc Stand
USD859038S1 (en) 2018-06-28 2019-09-10 Walker Edison Furniture Company Llc Stand
USD869201S1 (en) 2018-07-12 2019-12-10 Walker Edison Furniture Company Llc Console
USD878817S1 (en) 2018-07-12 2020-03-24 Walker Edison Furniture Company Llc Console
USD879516S1 (en) 2018-07-12 2020-03-31 Walker Edison Furniture Company Llc Console
USD874856S1 (en) 2018-07-12 2020-02-11 Walker Edison Furniture Company Llc Table
USD878816S1 (en) 2018-07-12 2020-03-24 Walker Edison Furniture Company Llc Console
USD869202S1 (en) 2018-07-12 2019-12-10 Walker Edison Furniture Company Llc Buffet
USD878823S1 (en) 2018-07-12 2020-03-24 Walker Edison Furniture Company Llc Console
CN109297172B (zh) * 2018-10-18 2023-07-07 宁波奥克斯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阀板及空调器
CN109297165A (zh) * 2018-11-20 2019-02-01 宁波奥克斯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吊杆组件及空调器
CN209325940U (zh) * 2018-12-14 2019-08-30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天花机
KR102262738B1 (ko) * 2018-12-18 2021-06-08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천장형 실내기
USD916537S1 (en) 2019-01-23 2021-04-20 Walker Edison Furniture Company Llc Table
USD904084S1 (en) 2019-01-23 2020-12-08 Walker Edison Furniture Company Llc Table
USD904801S1 (en) 2019-01-23 2020-12-15 Walker Edison Furniture Company Llc Console
USD904079S1 (en) 2019-01-23 2020-12-08 Walker Edison Furniture Company Llc Console
USD904802S1 (en) 2019-01-23 2020-12-15 Walker Edison Furniture Company Llc Console
USD894641S1 (en) 2019-01-23 2020-09-01 Walker Edison Furniture Company Llc Stand
USD908404S1 (en) 2019-07-22 2021-01-26 Walker Edison Furniture Company Llc Cabinet
USD914400S1 (en) 2019-07-22 2021-03-30 Walker Edison Furniture Company Llc Console
USD926500S1 (en) 2019-07-22 2021-08-03 Walker Edison Furniture Company Llc Cabinet
USD909797S1 (en) 2019-07-22 2021-02-09 Walker Edison Furniture Company Llc Console
USD908405S1 (en) 2019-07-22 2021-01-26 Walker Edison Furniture Company Llc Console
USD900510S1 (en) 2019-07-22 2020-11-03 Walker Edison Furniture Company Llc Console
USD906020S1 (en) 2019-07-23 2020-12-29 Walker Edison Furniture Company Llc Console
USD904803S1 (en) 2019-07-23 2020-12-15 Walker Edison Furniture Company Llc Console
USD915801S1 (en) 2019-07-23 2021-04-13 Walker Edison Furniture Company Llc Bookshelf
USD904804S1 (en) 2019-07-23 2020-12-15 Walker Edison Furniture Company Llc Console
USD927898S1 (en) 2019-07-23 2021-08-17 Walker Edison Furniture Company Llc Console
USD915799S1 (en) 2019-07-23 2021-04-13 Walker Edison Furniture Company Llc Table
USD958566S1 (en) 2020-01-15 2022-07-26 Walker Edison Furniture Company Llc Console
USD931016S1 (en) 2020-01-15 2021-09-21 Walker Edison Furniture Company Llc Console
USD973399S1 (en) 2020-01-15 2022-12-27 Walker Edison Furniture Company Llc Console
USD970266S1 (en) 2020-01-16 2022-11-22 Walker Edison Furniture Company Llc Console
USD957850S1 (en) 2020-01-16 2022-07-19 Walker Edison Furniture Company Llc Buffet
USD963381S1 (en) 2020-01-16 2022-09-13 Walker Edison Furniture Company Llc Console
USD904082S1 (en) 2020-01-16 2020-12-08 Walker Edison Furniture Company Llc Console
USD982331S1 (en) 2020-01-17 2023-04-04 Walker Edison Furniture Company Llc Bench
USD906021S1 (en) 2020-01-21 2020-12-29 Walker Edison Furniture Company Llc Console
KR102164018B1 (ko) * 2020-03-17 2020-10-12 주식회사 하이옥스 무덕트형 가습기를 적용한 천장형 멀티 냉난방기
USD941064S1 (en) 2020-07-20 2022-01-18 Walker Edison Furniture Company Llc Console
USD941614S1 (en) 2020-07-20 2022-01-25 Walker Edison Furniture Company Llc Console
USD946319S1 (en) 2020-07-20 2022-03-22 Walker Edison Furniture Company Llc Console
USD966757S1 (en) 2020-07-20 2022-10-18 Walker Edison Furniture Company Llc Console
USD951684S1 (en) 2020-07-20 2022-05-17 Walker Edison Furniture Company Llc Console
USD946317S1 (en) 2020-07-20 2022-03-22 Walker Edison Furniture Company Llc Console
USD947581S1 (en) 2020-07-21 2022-04-05 Walker Edison Furniture Company Llc Console
USD954475S1 (en) 2020-07-21 2022-06-14 Walker Edison Furniture Company Llc Console
USD922798S1 (en) 2020-07-21 2021-06-22 Walker Edison Furniture Company Llc Console
USD935244S1 (en) 2020-07-21 2021-11-09 Walker Edison Furniture Company Llc Storage unit
USD945187S1 (en) 2020-07-22 2022-03-08 Walker Edison Furniture Company Llc Console
USD979294S1 (en) 2021-01-26 2023-02-28 Walker Edison Furniture Company Llc Cabinet
USD979295S1 (en) 2021-01-26 2023-02-28 Walker Edison Furniture Company Llc Sideboard
USD992935S1 (en) 2021-01-27 2023-07-25 Walker Edison Furniture Company Llc Chest
USD978581S1 (en) 2021-01-27 2023-02-21 Walker Edison Furniture Company Llc Console
USD985972S1 (en) 2021-06-14 2023-05-16 Walker Edison Furniture Company Llc Sideboard
USD1014156S1 (en) 2021-06-25 2024-02-13 Walker Edison Furniture Company Llc Bookshelf
USD988036S1 (en) 2021-06-28 2023-06-06 Walker Edison Furniture Company Llc Cabinet
USD1005747S1 (en) 2021-06-29 2023-11-28 Walker Edison Furniture Company Llc Sideboard
USD1023639S1 (en) 2021-07-14 2024-04-23 Walker Edison Furniture Company Llc Console
USD1027509S1 (en) 2021-07-27 2024-05-21 Walker Edison Furniture Company Llc Console
USD1027505S1 (en) 2021-09-08 2024-05-21 Walker Edison Furniture Company Llc Console
USD1010362S1 (en) 2021-11-03 2024-01-09 Walker Edison Furniture Company Llc Cabinet
USD1013424S1 (en) 2021-12-07 2024-02-06 Walker Edison Furniture Company Llc Console
USD1010367S1 (en) 2021-12-09 2024-01-09 Walker Edison Furniture Company Llc Console
USD1016529S1 (en) 2022-02-02 2024-03-05 Walker Edison Furniture Company Llc Bookshelf
USD1006501S1 (en) 2022-02-02 2023-12-05 Walker Edison Furniture Company Llc Nightstand

Family Cites Families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84755B2 (ja) 1994-06-01 2002-05-20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調機用化粧パネルの化粧蓋支持構造及び空気調和装置
JP3075078B2 (ja) * 1994-06-06 2000-08-07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調機の化粧パネル取付け構造
JP3265855B2 (ja) * 1994-09-29 2002-03-18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の内部機器支持構造
JPH09126539A (ja) 1995-10-31 1997-05-16 Toyotomi Co Ltd フラップ駆動モータの絶縁構造
JPH10103759A (ja) * 1996-09-25 1998-04-21 Daikin Ind Ltd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JPH10274432A (ja) 1997-03-31 1998-10-13 Mitsubishi Electric Corp 吹出口の風向変更装置
JPH11141912A (ja) * 1997-11-12 1999-05-28 Toyoda Gosei Co Ltd 空気調和機用化粧パネル
JP3885846B2 (ja) * 1998-04-17 2007-02-28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空気調和機
JPH11351661A (ja) * 1998-06-05 1999-12-24 Sanyo Electric Co Ltd ファンユニットの吊下装置
JP2000018635A (ja) * 1998-07-03 2000-01-18 Fujitsu General Ltd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JP3268279B2 (ja) * 1999-01-18 2002-03-25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
JP3408983B2 (ja) * 1999-01-25 2003-05-19 三菱電機株式会社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JP2000257905A (ja) * 1999-03-05 2000-09-22 Fujitsu General Ltd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JP2001147042A (ja) 1999-11-19 2001-05-29 Fujitsu General Ltd 天井埋込形空気調和機
AU2706401A (en) * 2000-01-28 2001-08-07 Toshiba Carrier Corporation Cassette type air conditioner for mounting in the ceiling
JP3744762B2 (ja) 2000-02-21 2006-02-15 三洋電機株式会社 天井埋込型空気調和装置
JP2001235177A (ja) * 2000-02-21 2001-08-31 Sanyo Electric Co Ltd 天井埋込型空気調和装置
CN2424405Y (zh) * 2000-04-24 2001-03-21 大金工业株式会社 空调装置
JP3899459B2 (ja) 2002-01-10 2007-03-28 三菱電機株式会社 天井埋込形空気調和機
JP4021724B2 (ja) 2002-08-09 2007-12-12 アドバンスト空調開発センター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室内機
JP4194811B2 (ja) * 2002-08-23 2008-12-10 三洋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室内機
JP2004084999A (ja) 2002-08-23 2004-03-18 Advanced Kucho Kaihatsu Center Kk 空気調和機の室内機
JP4051423B2 (ja) 2002-08-30 2008-02-27 東芝キヤリア株式会社 天井埋込形空気調和装置
JP4226865B2 (ja) 2002-08-30 2009-02-18 東芝キヤリア株式会社 天井埋込型空気調和装置
EP1980799B1 (en) * 2002-08-30 2011-01-26 Toshiba Carrier Corporation Slide-type lock device and air-conditioner equipped therewith
JP4416992B2 (ja) * 2002-08-30 2010-02-17 東芝キヤリア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KR100470485B1 (ko) * 2002-09-04 2005-02-07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천정카세트형 공기조화기의 풍향조절장치
KR100453241B1 (ko) * 2002-10-08 2004-10-15 삼성전자주식회사 천장형 공기조화기
JP2005156117A (ja) * 2003-11-28 2005-06-16 Sanyo Electric Co Ltd ショーケース
JP2005249294A (ja) 2004-03-04 2005-09-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空気調和機
CN1727801A (zh) * 2004-07-26 2006-02-01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吸顶式空调导风结构
JP3807436B2 (ja) * 2004-09-08 2006-08-09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高所設置型空気調和機の天板構造
JP4684085B2 (ja) 2005-02-24 2011-05-18 三菱電機株式会社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JP2006292312A (ja) * 2005-04-13 2006-10-26 Daikin Ind Ltd 高所設置型空気調和機の天板構造
JP4703336B2 (ja) 2005-09-27 2011-06-15 三洋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
KR100737316B1 (ko) 2006-09-05 2007-07-09 삼성전자주식회사 천장형 공기조화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761986A (zh) 2010-06-30
EP2023049A3 (en) 2009-02-25
CN103175261A (zh) 2013-06-26
KR100972273B1 (ko) 2010-07-23
EP2023049B1 (en) 2013-10-30
KR101019283B1 (ko) 2011-03-07
EP2023049A2 (en) 2009-02-11
CN103185373A (zh) 2013-07-03
KR20100028084A (ko) 2010-03-11
CN101761986B (zh) 2013-04-17
US20090025414A1 (en) 2009-01-29
CN103175261B (zh) 2015-02-04
KR20090012114A (ko) 2009-02-02
KR20100028083A (ko) 2010-03-11
KR101001436B1 (ko) 2010-12-14
US9255716B2 (en) 2016-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1436B1 (ko) 천장 매립형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
JP5232666B2 (ja) 天井埋込型空気調和装置
JP5300660B2 (ja) 壁掛け型空気調和装置
WO2007126072A1 (ja) 空気調和装置の室内ユニット
JP2006194532A (ja) 空気調和機の室外機
JP5873994B2 (ja) 空気調和装置の室外ユニット
EP2163831B1 (en) Air conditioner
KR101815380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KR100513092B1 (ko) 공기 조화기
JPH10246488A (ja) ダクト用換気扇
WO2009133909A1 (ja) 空気調和機の室内ユニット
JP6897211B2 (ja) 空気調和機の天井埋込型室内機
KR20030000420A (ko) 천정형 공기조화기의 분할식 인쇄회로기판의 장착구조
JP3896000B2 (ja) 天井埋込形空気調和装置
JP2000065385A (ja)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KR20060132170A (ko) 덕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JP6019217B2 (ja) 空気調和機
JP4592401B2 (ja) 空気調和機
CN215336670U (zh) 一种天花机
JP4271100B2 (ja) 吹出チャンバ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ビルトイン型空気調和機
JP2000227249A (ja)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WO2020170329A1 (ja) 空気調和機の室外機
JP2006097937A (ja) 天井埋込み形空気調和機
JP2012112543A (ja) 空気調和機
KR200206878Y1 (ko) 공기조화기용 상부 커버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