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2426A - 박막 부재 취출 장치 - Google Patents

박막 부재 취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2426A
KR20100022426A KR1020090012722A KR20090012722A KR20100022426A KR 20100022426 A KR20100022426 A KR 20100022426A KR 1020090012722 A KR1020090012722 A KR 1020090012722A KR 20090012722 A KR20090012722 A KR 20090012722A KR 20100022426 A KR20100022426 A KR 201000224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in film
film
suction
film member
hand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27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83568B1 (ko
Inventor
도모야 단
이사오 오자키
마사루 후루오야
가네유키 이노우에
Original Assignee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224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24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35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35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08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using pneumatic force
    • B65H3/0808Suction grippers
    • B65H3/0816Suction grippers separating from the top of p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00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 B65H1/26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with auxiliary supports to facilitate introduction or renewal of the pile
    • B65H1/266Support fully or partially removable from the handling machine, e.g. cassette, draw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2Piling, depiling, handling piles
    • B65H2301/423Depiling; Separating articles from a pile
    • B65H2301/4232Depiling; Separating articles from a pile of horizontal or inclined articles, i.e. wherein articles support fully or in part the mass of other articles in the piles
    • B65H2301/42324Depiling; Separating articles from a pile of horizontal or inclined articles, i.e. wherein articles support fully or in part the mass of other articles in the piles from top of the pile

Abstract

본 발명은 취급하기 어려운 노치가 형성된 박막 부재를 1매씩 분리하여 취출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수용부(26)에 적재된 복수의 노치가 형성된 박막 부재(8) 중 최상면에 대하여 접촉·이간 가능하게 지지되며 또한 선단에 흡착구(98a)가 형성된 복수의 흡인부(98)와, 박막 부재(8)가 취급되는 비대칭인 방향으로 각 흡인부(98)를 이동시키는 취급 방향 이동 부재(92)와, 적재된 박막 부재(8)에 대하여 흡인부(98)를 접촉·이간하는 접리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접리 방향 이동 부재(82)를 구비하고, 기체를 흡인함으로써 최상면에 적재된 박막 부재(8)를 흡인부(98)에 흡인하며, 또한, 흡인부(98)끼리가 접근한 상태에서, 흡인부(98)가 수용부(26)로부터 이간되어 취출되는 박막 부재 취출 장치(FT)에 관한 것이다.
흡인구, 박막 부재, 이동 부재, 수용부

Description

박막 부재 취출 장치{APPARATUS FOR TAKING OUT THIN FILM MEMBER}
본 발명은 박막 부재 취출(取出) 장치에 관한 것이다.
소위 필름이나 시트 등의 박막 부재를 1매씩 분리하여 취출하는 박막 부재 취출 장치로서, 하기의 특허문헌 1∼3에 기재한 기술이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로서의 일본국 공개특허 평10-203660호 공보에는, 우선, 적층시킨 연질(軟質) 시트에 흡착체(3a, 3b)를 접촉시킨 상태에서 일정 시간 유지하고, 시트를 가열하여 시트간의 접착력을 저하하여 박리하기 쉽게 하고, 다음으로, 흡착체(3a, 3b)로 연질 시트를 흡착하여, 부상(浮上)시키고, 시트간의 경계 부분에 에어 분사 노즐(5)로부터 에어를 분사하여 분리시키고, 다음으로, 에어 분사로도 취급되지 않는 시트에 대하여, 한쪽의 흡착체(3a)를 다른 쪽의 흡착체(3b)에 대하여 접근시킴으로써 시트를 구부려 분리하는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따라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부상하여 취출된 시트의 하면(下面)에 시트가 흡착되어 있을 경우에, 부상한 상태에서 에어를 분사하거나, 구부려서 아래쪽의 시트를 낙하시키고, 낙하 시의 기류나 휨 시의 변형이나 힘의 편차에 의해 자세(姿勢)나 낙하 위치가 불안정해지기 쉬운 시트를 다음의 흡착 동작에 의해 취출하고 있다.
특허문헌 2로서의 일본국 공개특허2002-252441호 공보에는, 노치 등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회로 기판(P)이 적층된 상태에서, 최상부에 적재된 회로 기판(P)에 흡착부(13a, 13b)를 접촉시킨 상태에서 에어의 흡인을 행하고, 흡착부(13a, 13b)를 서로 접근, 이간시키는 모터(M)를 회전시켜, 흡착부(13a, 13b)를 서로 접근시켜 최상부의 회로 기판(P)을 아래쪽의 회로 기판으로부터 분리하고, 이동 기구(11)를 상승시킴으로써, 최상부의 회로 기판(P)을 취출하는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3으로서의 일본국 공개특허2002―128297호 공보에는, 노치 등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포토 폴리머 판(102)이 수용된 카세트(208)에 대하여, 복수의 흡반(吸盤)(124)에 의해 포토 폴리머 판(102)을 흡착하여 들어올릴 때에, 카세트(208)의 가장자리부에 형성된 취급 판(66)에, 포토 폴리머 판(102)의 가장자리가 걸려 만곡(灣曲)함으로써, 아래쪽의 포토 폴리머 판(102)과 분리하여 들어올리는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포토 폴리머 판(102)의 만곡 시에는, 가장자리부를 흡착하고 있었던 흡반(124)은 포토 폴리머 판(102)으로부터 이간된다.
또한, 특허문헌 3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카세트(208)의 저판(底板)(212)에 대한 흡반(124)의 위치의 초기 설정을 행할 경우, 우선, 빈 상태의 카세트(208)에 대하여, 접촉 센서(70)가 저판(212)에 접촉하기까지 흡반(124)을 일정 속도로 하강시킨다. 다음으로, 흡반(124)에서 흡인을 행하면서, 일정량(0.1㎜) 하강시키고, 압력을 판독하며, 판독한 압력이 소정 값이 될 때까지, 하강과 압력의 판독을 반복하고, 모든 흡반(124)이 저판(212)에 접촉하여 흡착된 상태로 되면, 저판(212)에 접촉했다고 판단하고, 그 위치에 의거하여, 포토 폴리머 판(102)을 취출하는 제어 를 행하고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공개특허 평10-203660호 공보(「0022」∼「0024」, 도 3)
[특허문헌 2] 일본국 공개특허2002-252441호 공보(「0017」∼「0018」, 도 3∼도 5)
[특허문헌 3] 일본국 공개특허2002―128297호 공보(「0059」∼「0060」, 「0079」∼「0125」, 도 5, 도 7∼도 12)
본 발명은 종래의 구성에 비하여, 취급하기 어려운 노치가 형성된 박막 부재를 1매씩 분리하여 취출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의 박막 부재 취출 장치는,
노치(notch)가 형성된 박막 부재가 복수매 적재되어 수용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에 적재된 복수의 상기 박막 부재 중 최상면에 적재된 상기 박막 부재에 대하여 접촉·이간 가능하게 지지되며 또한 선단(先端)에 흡착구가 형성된 복수의 흡인부와,
상기 각 흡착구로부터 기체(氣體)를 흡인하는 기체 흡인 장치와,
상기 박막 부재가 취급되는 방향으로 상기 흡인부를 이동시키는 취급 방향 이동 부재와,
적재된 상기 박막 부재에 대하여 상기 흡인부를 접촉·이간하는 접리(接離)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접리 방향 이동 부재
를 구비하고,
기체를 흡인함으로써 상기 최상면에 적재된 박막 부재를 상기 흡인부에 흡인하며, 또한, 상기 흡인부끼리가 접근한 상태에서, 상기 흡인부가 상기 수용부로부터 이간하여 취출(取出)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의 박막 부재 취출 장치는,
노치가 형성된 박막 부재가 복수매 적재되어 수용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에 적재된 복수의 상기 박막 부재 중 최상면에 적재된 상기 박막 부재에 대하여 접촉·이간 가능하게 지지되며 또한 선단에 흡착구가 형성된 복수의 흡인부와, 상기 각 흡착구로부터 기체를 흡인하는 기체 흡인 장치와, 상기 각 흡인부끼리를 접근·이간하는 취급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취급 방향 이동 부재와, 적재된 상기 박막 부재에 대하여 상기 흡인부를 접촉·이간하는 접리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접리 방향 이동 부재와,
상기 기체 흡인 장치를 제어하여, 기체를 흡인함으로써, 상기 최상면에 적재된 박막 부재를 상기 흡인부에 흡인하는 흡인 장치 제어 수단과,
상기 흡착구를 이동시키는 상기 취급 방향 이동 부재의 이동을 제어하는 흡착 취급 제어 수단으로서, 상기 흡인부가 상기 최상면에 적재된 상기 박막 부재에 접촉할 때에, 상기 흡인부끼리를 이간한 상태로 유지하는 동시에, 상기 흡인부가 상기 최상면에 적재된 상기 박막 부재에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흡인부끼리를 접근·이간시켜 상기 박막 부재를 1매씩 분리하여 취급한 후에, 상기 흡인부끼리가 접근한 상태에서 유지하는 상기 흡착 취급 제어 수단과,
상기 접리 방향 이동 부재의 이동을 제어하는 접리 제어 수단으로서, 상기 흡인부끼리가 접근한 상태에서, 상기 흡인부를 상기 수용부로부터 이간시키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상기 접리 제어 수단
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의 발명은,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된 박막 부재 취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 내에서 승강 가능하게 지지되며 또한 상기 복수의 박막 부재가 상면(上面)에 적재되는 적재 부재로서, 상기 흡인부의 중력 방향 하방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며 또한 외기(外氣)가 자유롭게 유동 가능한 기류 자유부를 갖는 상기 적재 부재와,
상기 흡착구로부터 흡인되는 기체의 압력을 검출하는 압력 검출 부재와,
상기 압력 검출 부재의 검출 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적재 부재 상에 적재된 상기 박막 부재가 없어졌는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빔(empty) 검지 수단
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3에 기재된 박막 부재 취출 장치에 있어서,
다각 형상의 상기 박막 부재의 소정의 한 변에 형성된 상기 노치와,
상기 수용부 내에 배치되며 또한 상기 노치가 형성된 한 변이 정렬된 상태에서 복수매의 상기 박막 부재가 적재되는 상기 적재 부재와,
상기 적재 부재 상에 배치되는 동시에, 적재된 복수매의 상기 박막 부재의 상기 노치가 형성된 한 변 측과는 반대 측의 최하면을 들어올린 상태로 지지하는 숭상(嵩上) 부재
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3에 기재된 박막 부재 취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의 중력 방향 상단, 또한, 상기 노치가 형성된 한 변 측에 배치되고, 최상면에 적재된 박막 부재의 상면에 접촉하여 가압하는 박막 가압 부재
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3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박막 부재 취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적재 부재를 상기 수용부 내에서 상승시키는 적재 승강 부재와,
상기 수용부의 중력 방향 상단에 대응하여 배치되고, 상기 박막 부재를 검출하는 박막 검출 부재와,
상기 흡착구로부터 흡인되는 기체의 압력을 검출하는 압력 검출 부재와,
상기 적재 승강 부재를 제어하는 적재 승강 제어 수단으로서, 상기 적재 부재에 적재된 박막 부재를 상기 박막 검출 부재가 검출할 때까지 상기 적재 부재를 상승시킨 후, 상기 박막 검출 부재가 상기 박막 부재를 불검출할 때까지 상기 적재 부재를 하강시키는 거친 위치 결정을 실행하고, 상기 거친 위치 결정된 상기 적재 부재를 상기 압력 검출 부재가 미리 설정된 압력으로 될 때까지 상승시켜 위치 결정을 실행하는 상기 적재 승강 제어 수단
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6에 기재된 박막 부재 취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거친 위치 결정된 상기 적재 부재를 상기 압력 검출 부재가 미리 설정된 압력으로 될 때까지 상승시켜 임시 위치 결정을 실행하고, 상기 임시 위치 결정된 상기 적재 부재를 미리 설정된 상승량만큼 상승시켜 상기 박막 부재를 상기 흡인부에 맞닿게 하여 최종 위치 결정을 실행하는 상기 적재 승강 제어 수단
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6 또는 7에 기재된 박막 부재 취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거친 위치 결정된 상기 적재 부재를, 상기 박막 부재의 두께에 의거하는 이동량씩 상승시켜 상기 임시 위치 결정을 실행하는 상기 적재 승강 제어 수단
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9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6 또는 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박막 부재 취출 장치에 있어서,
투명 재료로 구성된 상기 박막 부재의 상기 노치가 형성된 한 변이 정렬된 상태에서 적재된 상기 박막 부재에 대하여, 광을 조사하여, 상기 노치가 형성된 한 변 측의 에지를 검출하는 상기 박막 검출 부재
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 2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의 구성을 갖지 않는 경우에 비하여, 취급하기 어려운 노치가 형성된 박막 부재를 1매씩 분리하여 취출할 수 있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압력을 검출함으로써 박막 부재의 빔(empty) 검지를 행할 수 있다.
청구항 4, 5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의 구성을 갖지 않는 경우에 비하여, 노치에 의해 일변 측과 타변 측에서 두께가 상이해도 최상면을 수평에 근접시킬 수 있고, 박막 부재를 만곡시키기 쉬워, 취급하기 쉽게 할 수 있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의 구성을 갖지 않는 경우에 비하여, 노치에 의해 최상면의 위치가 불균일해지기 쉬운 박막 부재의 위치를 정밀하게 위치 결정할 수 있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박막 부재와 흡인부를 상승량에 따른 일정한 압력으로 맞닿게 할 수 있고, 맞닿아 있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흡인부와 박막 부재의 미끄러짐을 저감할 수 있어, 확실하게 취급할 수 있다.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의 구성을 갖지 않는 경우에 비하여, 정밀도를 향상시키면서 고속으로 위치 결정을 행할 수 있다.
청구항 9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노치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측에서 검출하는 경우에 비하여, 정밀하게 검출을 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구체예(이하, 실시예라고 함)를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이후의 설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도면에서, 전후 방향을 X축 방향, 좌우 방향을 Y축 방향, 상하 방향을 Z축 방향이라고 하고, 화살표 X, -X, Y, -Y, Z, -Z로 나타내는 방향 또는 나타내는 쪽을 각각, 전방, 후방, 우방(右方), 좌방(左方), 상방, 하방, 또는 전(前)측, 후(後)측, 우측, 좌측, 상측, 하측이라고 한다.
또한, 도면 중, 「○」 내에 「·」이 기재된 것은 지면(紙面)의 이면(裏面)로부터 표면(表面)을 향하는 화살표를 의미하고, 「○」 내에 「×」가 기재된 것은 지면의 표면으로부터 이면을 향하는 화살표를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이하의 도면을 사용한 설명에서, 편의상, 설명에 필요한 부재 이외의 도시는 적절하게 생략되어 있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박막 부재 취급 장치가 사용되어 조립되는 교환 용기가 사용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일례로서의 프린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프린터에서, 사이드 커버가 개방된 상태의 설명도이다.
도 1, 도 2에서, 본 발명의 화상 형성 장치의 실시예 1의 풀컬러 디지털 프린터(U)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U1)를 갖는다.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U1)의 하부에는, 화상 형성이 표면에 기록되는 매체가 수용되는 매체 공급부의 일례로서의 급지 트레이(TR1)가 전후 방향으로 빼고 넣을 수 있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U1)의 상면에는, 화상이 형성된 매체가 배출되는 매체 배출부의 일례로서의 배출 트레이(TRh)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U1)의 우측 면에는, 신규 현상제의 보급이나 배기 현상제가 회수된 교환 용기의 일례로 서, 옐로, 마젠타, 시안, 흑색의 4색의 토너 카트리지(TCy, TCm, TCc, TCk)의 교환을 행할 때에 개폐되는 용기 교환용 개폐 부재의 일례로서의 사이드 커버(U2)가 후단(後端)을 중심으로 하여 개폐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프린터에서 사용되는 토너 카트리지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낸 토너 카트리지의 설명도이고, 도 4의 (a)는 평면도, 도 4의 (b)는 도 4의 (a)의 화살표 IVB 방향으로부터 본 도면, 도 4의 (c)는 도 4의 (a)의 IVC-IVC선 단면도, 도 4의 (d)는 도 4의 (a)의 IVD-IVD선 단면도, 도 4의 (e)는 도 4의 (a)의 IVE-IVE선 단면도, 도 4의 (f)는 도 4의 (b)의 IVF-IVF선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프린터(U)에서 사용되는 토너 카트리지(TCy∼TCk)의 설명을 하지만, 각 색의 토너 카트리지(TCy∼TCk)는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황색용의 토너 카트리지(TCy)에 대해서 설명하고, 그 외의 색의 토너 카트리지(TCm, TCc, TCk)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3, 도 4에서, 상기 토너 카트리지(TCy∼TCk)는 수평 방향의 폭이 연직 방향의 높이에 비하여 큰 편평한 형상의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토너 카트리지(TCy∼TCk)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U1)로부터 배출된 폐기 현상제가 내부에 수용되는 전측의 폐기 현상제 수용부(1)와, 화상 형성 장치 본체(U1)에서의 화상 형성에 의해 현상제가 소비된 경우에 보급되는 현상제가 내부에 수용된 후측의 보급 현상제 수용부(2)와, 상기 폐기 현상제 수용부(1)와 보급 현상제 수용부(2) 사이를 구획하는 구획벽(3)을 갖는다.
상기 폐기 현상제 수용부(1)의 내부에는, 폐기 현상제가 수용되는 폐기 현상제 수용 공간(1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폐기 현상제 수용부(1)의 전단면(前端面)의 좌측 상부에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U1)에 장착된 경우에, 폐기 현상제가 반송되어 오는 폐기 현상제 반송로(도시 생략)가 관통하여 접속되는 폐기 측 유입구(1b)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화상 형성 장치 본체(U1)의 동작에 따라 폐기된 폐기 현상제는 폐기 현상제 반송로를 반송되고, 폐기 측 유입구(1b)를 통하여 폐기 현상제 수용 공간(1a)에 폐기된다. 또한, 상기 폐기 측 유입구(1b)에는, 폐기 현상제 반송로가 이탈한 경우에, 폐기 측 유입구를 차폐하여 내부의 폐기 현상제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유입구 폐색 부재의 일례로서의 유입구 셔터(1c)가 지지되어 있다. 상기 유입구 셔터(1c)는 탄성 부재의 일례로서의 코일 스프링(1d)에 의해 상시 폐색하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고, 폐기 현상제 반송로가 접속될 때에, 폐기 현상제 반송로의 선단에 가압되어 폐기 현상제 수용 공간(1a) 내측으로 이동한다. 또한, 폐기 현상제 수용부(1)의 전단부 우측에는, 토너 카트리지(TCy∼TCk)를 이용자가 파지(把持)하여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1e)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보급 현상제 수용부(2)의 내부에는, 보급 현상제가 수용되는 보급 현상제 수용 공간(2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보급 현상제 수용부(2)의 후단부의 좌측 하단에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U1)에 장착된 경우에, 화상 형성 장치 본체(U1) 측의 유입구(도시 생략)가 접속하여, 보급 현상제 수용 공간(2a)에 수용된 현상제를 유출시키는 보급 측 유출구(2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보급 측 유출구(2b)의 외측에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U1)로부터 토너 카트리지(TCy)가 제거될 때에, 보급 측 유출구(2b)를 차폐하기 위해, 유출구 폐색 부재의 일례로서의 유출구 셔터(2c)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보급 현상제 수용부(2)의 후단벽(2d)에는, 피구동 전달 부재의 일례로서의 피구동 기어(4)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피구동 기어(4)는 토너 카트리지(TCy)가 화상 형성 장치 본체(U1)에 장착된 상태에서, 화상 형성 장치 본체(U1)의 구동 전달 부재(도시 생략)에 맞물려 구동이 전달된다.
도 4의 (c)∼도 4의 (f)에서, 상기 보급 현상제 수용부(2)의 내부에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현상제 반송 부재의 일례로서의 애지테이터(agitator)(6)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애지테이터(6)의 전단(前端)은 구획벽(3)에 형성된 오목한 형상의 일단(一端) 지지부(3a)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애지테이터(6)의 후단은 보급 현상제 수용부(2)의 후단벽(2d)에 지지된 피구동 기어(4)에 연결되어 있고, 피구동 기어(4)에 구동이 전달되면 일체(一體)로 회전한다.
도 5는 토너 카트리지에서 사용되는 애지테이터의 회전축의 설명도이고, 도 5의 (a)는 사시도, 도 5의 (b)는 도 5의 (a)의 화살표 VB 방향으로부터 본 측면도이다.
도 3, 도 4에서, 상기 애지테이터(6)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7)과, 회전축(7)에 지지된 반송 부재 본체의 일례로서 박막 부재의 일례로서의 필름 부재(8)를 갖는다. 도 5에서, 상기 회전축(7)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사각 기둥 형상의 회전축 본체(7a)를 갖는다. 도 5에서, 상기 회전축 본체(7a)의 일 측면에는, 현상제를 교반하기 위한 복수의 교반부(7b)가 외측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교반부(7b)와는 상이한 회전축 본체(7a)의 일 측면에는, 반송 부재 본체 위치 결정부의 일례로서, 2개의 필름 위치 결정 볼록부(7c)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필름 위치 결정 볼록부(7c)의 전후 양측에는, 버섯형의 형상으로 형성된 반송 부재 본체 고정부의 일례로서의 필름 고정부(7d)가 형성되어 있다.
도 6은 실시예 1의 애지테이터의 반송 부재 본체의 일례로서의 필름 부재의 설명도이다.
도 6에서, 상기 필름 부재(8)는 다각형의 일례로서의 직사각형의 박막 형상의 필름 본체(8a)를 갖는다. 또한, 실시예 1에서는, 두께 100㎛ 정도의 PET: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제(製)의 필름을 사용하고 있다. 필름 본체(8a)의 회전축(7)에 지지되는 기단부(基端部)에는, 상기 회전축(7)의 2개의 필름 위치 결정 볼록부(7c)의 배치 위치에 대응하여, 위치 결정 구멍(8b, 8c)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위치 결정 구멍(8b, 8c)은 위치 결정하기 위해, 한쪽이 둥근 구멍(8b)에 의해 구성되고, 다른 쪽이 긴 구멍(8c)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상기 위치 결정 구멍(8b, 8c)의 양측에는, 상기 필름 고정부(7d)의 배치 위치에 대응하여, 피고정 구멍(8d)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피고정 구멍(8d)은 슬릿의 중앙부에 둥근 구멍이 형성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필름 고정부(7d)의 관통 시에 탄성 변형하여 통과하는 동시에, 통과 후에는 필름 고정부(7d)의 버섯 형상의 선단부에 의해 고정된다. 또한, 상기 위치 결정 구멍(8b, 8c) 및 피고정 구멍(8d)과 필름 위치 결정 볼록부(7c), 필름 고정부(7d)는 필름 부재(8)가 표리 반대로 회전축(7)에 장착되지 않도록, 위치 결정 구멍(8b), 위치 결정 구멍(8c), 피고정 구 멍(8d)끼리의 축 방향의 배치 간격이 모두 상이한 간격으로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즉, 회전축(7)과 필름 부재(8)의 오(誤)조립을 방지하기 위해, 위치 결정 구멍(8b, 8c) 및 피고정 구멍(8d)과 필름 위치 결정 볼록부(7c), 필름 고정부(7d)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필름 본체(8a)의 자유 단부 측의 에지부, 즉, 직사각 형상의 필름 본체(8a)의 자유단 측의 한 변에는, 보급 측 유출구(2b) 측인 후측을 향하여 경사지는 주(主)반송 노치부(11)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어 있다. 상기 주반송 노치부(11)의 기단(基端) 측 단부에는, 사용 중에 노치가 성장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둥근 구멍 형상의 노치 성장 방지부(11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주반송 노치부(11) 사이에는, 복수의 부(副)반송 노치부(1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부반송 노치부(12)는 보급 측 유출구(2b)로부터 이간될수록 큰 노치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보급 현상제 수용 공간(2a)에 수용된 현상제를 보급 측 유출구(2b)를 향하여 효율적으로 반송 가능하게 하기 위해, 부반송 노치부(12)는 보급 측 유출구(2b)로부터 이간될수록 노치가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필름 본체(8a)의 회전축(7)의 축 방향을 따라, 보급 측 유입구(2b)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막힘 방지부(13)가 설치되어 있다. 실시예 1의 막힘 방지부(13)는 회전축(7)의 직경 방향을 따라 형성된 한 쌍의 노치부(13a)에 의해 둘러싸인 부분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막힘 방지부(13)의 노치부(13a)의 기단 측 단부에도 노치 성장 방지부(13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막힘 방지부(13)는 회전축(7)의 회전에 따라 주기적으로 보급 측 유출구(2b)에 진입하여, 보급 측 유입구(2b)에 부착된 현상제를 부순다. 즉, 중력 방향으로부터 경사진 측방(側方)으로 배출되는 보급 측 유입구(2b)에서의 현상제의 막힘을 방지하여, 공급을 안정화시키기 위해, 막힘 방지부(13)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실시예 1의 필름 부재(8)에는, 자유단 측인 한 변 측에, 노치의 일례로서, 주반송 노치부(11), 부반송 노치부(12) 및 노치부(13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회전 시에 현상제로부터 받는 힘에 의해 노치가 성장하여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큰 힘이 작용하기 쉬운 노치가 큰 주반송 노치부(11) 및 막힘 방지부(13)에는, 노치 성장 방지부(11a, 13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4의 (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에서는, 필름 본체(8a)는 휜 상태에서 보급 현상제 수용 공간(2a)의 내주면에 접촉하면서 회전하는 자유 길이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막힘 방지부(13)는 휜 상태에서 보급 현상제 수용 공간(2a)의 내주면에 접촉하면서 회전하는 동시에, 다른 필름 본체(8a)보다 자유 길이가 짧게 형성되어 있다.
(박막 부재 취출 장치의 설명)
도 7은 본 발명의 박막 부재 취출 장치의 실시예 1의 필름 취출 장치의 전체 설명도이고, 필름 취급 장치가 상승 위치로 이동하며 또한 필름 반송 장치가 취출 초기 위치로 이동한 상태의 설명도이다.
도 8은 실시예 1의 필름 취출 장치의 전체 설명도이고, 필름 취급 장치가 도 7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하강 위치로 이동한 상태의 설명도이다.
도 9는 실시예 1의 필름 취출 장치의 전체 설명도이고, 도 7에 나타낸 상태 로부터 필름 반송 장치가 취출 위치로 이동한 상태의 설명도이다.
도 7∼도 9에서, 실시예 1의 박막 부재 취출 장치의 일례로서의 필름 취출 장치(FT)는 박막 부재 승강 장치의 일례로서의 필름 승강 장치(FT1)와, 박막 부재 취급 장치의 일례로서의 필름 취급 장치(FT2)와, 박막 부재 반송 장치의 일례로서의 필름 반송 장치(FT3)를 갖는다.
(필름 승강 장치의 설명)
도 7∼도 9에서, 상기 필름 승강 장치(FT1)는 승강 장치 본체의 일례로서의 판 형상의 베이스 부재(21)와, 베이스 부재(21)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다리부(22)를 갖는다. 상기 베이스 부재(21)의 상면의 좌우 방향 중앙 전부(前部)에는, 수용 용기 지지 부재의 일례로서의 카트리지 장착 부재(23)가 좌우로 합계 2세트 지지되어 있다. 상기 각 장착 부재(23)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좌우 한 쌍의 안내부의 일례로서의 가이드 레일(23a)과, 가이드 레일(23a)의 후단에 지지된 정지부(23b)를 갖고, 상기 각 장착 부재(23)에는, 박막 부재 수용 용기의 일례로서의 필름 카트리지(24)가 착탈 가능하게 지지된다. 또한, 실시예 1에서는, 좌우 양측의 상기 필름 카트리지(24)는 우측과 좌측에서 전후 반대 방향의 상태로 장착된다. 또한, 이하의 필름 카트리지(24)의 설명에서, 좌우에 장착되는 필름 카트리지(24)는 장착될 때의 방향이 상이할 뿐,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좌측의 필름 카트리지(24)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고, 우측의 필름 카트리지(24)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0은 실시예 1의 박막 부재 수용 용기의 일례로서의 필름 카트리지의 설 명도이고, 도 10의 (a)는 사시도, 도 10의 (b)는 도 10의 (a)의 화살표 XB 방향으로부터 본 도면이며, 도 10의 (c)는 도 10의 (a)의 XC-XC선 단면도이다.
도 7∼도 10에서, 상기 필름 카트리지(24)는 수용부의 일례로서, 상방이 개방된 상자 형상의 용기 본체(26)를 갖고, 용기 본체(26)의 내부에 박막 부재 수용 공간의 일례로서의 필름 수용 공간(26a)이 형성되어 있다. 도 10에서, 상기 용기 본체(26)에는, 저부(底部)로부터 측방으로 돌출하여 상기 가이드 레일(23a)에 안내되는 피안내부의 일례로서의 피가이드부(27)가 형성되어 있다. 도 10의 (b), 도 10의 (c)에서, 상기 용기 본체(26)의 저부에는, 필름 수용 공간(26a)의 전후 방향의 길이 및 좌우 방향의 폭보다 작은 크기이고,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사각 형상의 개구인 승강 부재 통과구(26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용기 본체(26)의 전후 양 측벽(28, 29)에는, 기체 통과구의 일례로서,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며 또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긴 구멍 형상의 에어 통과 긴 구멍(28a, 29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용기 본체(26)의 좌우 양 측벽(31, 32)에는, 전후 방향 중앙부에, 기체 통과구의 일례로서 좌우 방향으로 관통되며 또한 상방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U자 형상의 에어 통과 U홈(31a, 32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실시예 1의 에어 통과 U홈(31a, 32a)은 기체 통과구의 기능 외에도, 필름 수용 공간(26a)에 필름 부재(8)를 수용, 취출할 때에 작업자가 필름 부재(8)를 취급하기 위한 개구로서의 기능이나, 후술하는 저판(36)의 보수·점검 작업, 소위 메인터넌스 작업을 행하기 위한 개구로서의 기능도 갖는다. 상기 에어 통과 U홈(31a, 32a)의 전후 양측에는, 기체 통과구의 일례로서, 측벽(31, 32)을 좌 우 방향으로 관통하며 또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긴 구멍 형상의 에어 통과 긴 구멍(31b, 32b)이 형성되어 있다.
도 11은 필름 카트리지를 상방으로부터 본 상태의 설명도이고, 도 11의 (a)는 필름 카트리지에 필름 부재가 수용되어 있지 않은 상태의 설명도, 도 11의 (b)는 필름 카트리지에 필름 부재가 수용된 상태의 설명도이다.
도 10의 (a)에서, 상기 전벽(前壁)(28), 후벽(後壁)(29) 및 우측 벽(31)에는, 상단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는 낙하 박막 부재용 안내체의 일례로서, 낙하 필름용 가이드 돌기(3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낙하 필름용 가이드 돌기(33)는, 도 10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안내면의 일례로서, 필름 수용 공간(26a) 측을 향하여 경사지는 가이드 면(33a)이 형성되어 있다.
도 7∼도 11에서, 상기 필름 카트리지(24)의 좌측 벽(32)의 상단부에는, 박막 가압 부재의 일례로서, 필름 수용 공간(26a) 측으로 돌출하는 가압 클로(claw)(34)가 지지되어 있다.
도 12는 필름 수용 공간에 수용된 필름의 검지를 행하는 상태의 설명도이다.
도 10의 (c), 도 11의 (a), 도 12에서, 상기 필름 수용 공간(26a)의 저부에는, 필름 부재(8)가 적재되는 적재 부재의 일례로서의 저판(36)이 필름 수용 공간(26a) 내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상태로 지지되어 있다. 상기 저판(36)의 크기는 필름 수용 공간(26a)의 길이×폭보다 작으며, 또한 승강 부재 통과구(26b)의 길이×폭보다 큰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저판(36)에는, 승강 부재 통과구(26b)에 대응하는 위치에, 기류 자유부의 일례로서의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복 수의 구멍을 갖는 메시(mesh) 형상부의 일례로서, 메시부(36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10의 (c), 도 11의 (a), 도 12에서, 상기 저판(36)에는, 상기 가압 클로(34)가 배치된 측과는 반대 측인 우측 부에, 숭상(嵩上) 부재(37)가 지지되어 있다. 실시예 1의 숭상 부재(37)는 탄성 부재의 일례로서의 발포성의 우레탄재, 소위 우레탄 스펀지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우측으로 갈수록 높이가 높아지도록 단차(段差)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도 11의 (a)에서, 상기 숭상 부재(37)는 우측 벽(31)에 형성된 에어 통과 U홈(31a) 및 에어 통과 긴 구멍(31b)을 피하는 형태로 배치되어 있다. 즉, 전측의 에어 통과 긴 구멍(31b)과 에어 통과 U홈(31a) 사이와, 후측의 에어 통과 긴 구멍(31b)과 에어 통과 U홈(31a) 사이에, 숭상 부재(37)가 배치되어 있다.
도 11의 (b), 도 12에서, 실시예 1의 필름 카트리지(24)에서는, 저판(36) 위에 복수의 필름 부재(8)가 적재된다. 이 때, 필름 부재(8)의 주반송 노치부(11), 부반송 노치부(12), 노치부(13a)가 형성된 측의 한 변이 좌측, 즉 가압 클로(34) 측에 배치되고, 노치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측의 다른 변이 우측, 즉 숭상 부재(37) 측에 배치되도록, 필름 부재(8)가 필름 수용 공간(26a)에 수용된다.
따라서,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필름 부재(8)가 적재된 상태에서는, 노치 부분이 불균일하거나, 노치 부분의 성형 시에 발생하는 부스러기, 소위 버어(burr)에 의해, 좌측의 높이가 우측에 비하여 높아지는 것에 대응하여, 가장 위의 필름 부재(8)가 수평에 가까운 상태로 배치되도록, 가압 클로(34) 및 숭상 부재(37)가 배치되어 있다.
도 7∼도 9, 도 10의 (c)에서, 상기 베이스 부재(21)에는, 승강 부재 통과구(26b)에 대응하여, 하방으로 연장되는 적재 부재 승강 장치의 일례로서의 저판 승강 장치(41)가 지지되어 있다. 실시예 1의 저판 승강 장치(41)는 적재 승강 부재의 일례로서, 승강 부재 통과구(26b)에 대응하여 베이스 부재(21)에 형성된 베이스 측 통과구(42)를 상하 방향으로 통과 가능한 저판 승강 레버(43)를 갖는다. 도 10의 (c)에서, 상기 저판 승강 레버(43)의 하부에는, 기어부의 일례로서의 나사 홈(43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나사 홈(43a)에는, 승강 제어 기어의 일례로서의 승강 제어 기어(44)가 맞물려 있다. 상기 승강 기어(44)에는, 적재 부재용 승강 구동원의 일례로서의 저판 승강 모터(45)로부터의 구동이 전달되고, 저판 승강 모터(45)가 구동함으로써, 승강 레버(43)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여, 저판(36)을 승강시킨다.
또한, 실시예 1에서는, 승강 제어 기어(44)가 1회전한 경우의 승강 레버(43)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량, 소위 1피치가 필름 부재(8)의 1매분의 두께에 대응하도록 나사 홈(43a) 및 승강 제어 기어(44)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저판 승강 모터(45)는 1피치에 대응하는 회전량을 1단위로 하여 회전하는 미세(微) 조정 회전과, 연속적으로 회전하는 거친(粗) 조정 회전의 2개의 회전이 가능한 모터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모터로서는, 예를 들어 종래 공지의 스테핑 모터를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7∼도 9에서, 상기 장착 부재(23)의 좌우 방향 외측에는, 각 카트리지 장착 부재(23)에 대응하여 배치된 박막 검출 부재의 일례로서의 필름 센서(46)가 지 지되어 있다. 상기 필름 센서(46)는 검지 부재 본체의 일례로서의 상방으로 연장되는 판 형상의 센서 지지 부재(46a)와, 센서 지지 부재(46a)의 카트리지 장착 부재(23) 측의 면에 지지된 검사 광을 조사하는 발광부 및 반사된 검사 광을 수광(受光)하는 수광부를 갖는 발광 수광 일체부(46b)를 갖는다. 즉, 실시예 1의 필름 센서(46)는 발광 수광 일체형 센서로서, 검사 광의 수광 강도에 의거하여 검지를 행하는 광 센서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실시예 1에서는, 상기 필름 센서(46)는 검사 광이 좌측 벽(32)의 에어 통과 U홈(32a)의 위치를 통과하도록 설정되어 있고,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발광 수광 일체부(46b)로부터 조사된 검사 광은 가압 클로(34)의 기단부에 대응하는 에어 통과 U홈(32a)의 상단의 검사 위치(P1)에, 필름 부재(8)가 있을 경우에는, 검사 위치(P1)의 필름 부재(8)의 에지에서 반사하여, 발광 수광 일체부(46b)에서 수광함으로써 필름 부재(8)를 검출한다.
(필름 취급 장치의 설명)
도 7∼도 9에서, 상기 베이스 부재(21)의 후단부의 좌우 방향 양 단부에는, 취급 장치 안내 부재의 일례로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좌우 한 쌍의 가이드 부재(51)가 지지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부재(51)의 내측에는, 필름 취급 장치(FT2)의 분사부 승강 장치의 일례로서의 취급 유닛 엘리베이터(52)가 지지되어 있다. 상기 취급 유닛 엘리베이터(52)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엘리베이터 본체(52a)와, 엘리베이터 본체(52a)에 상하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승강부(52b)를 갖는다. 또한, 실시예 1의 취급 유닛 엘리베이터(52)는 소위 에어 실린더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에어의 공급의 제어에 의해 승강부(52b)가 상하 방향으 로 승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승강부(52b)에는, 취급 장치 본체의 일례로서, 판 형상의 취급 유닛 베이스(53)가 지지되어 있다. 상기 취급 유닛 베이스(53)는 좌우 방향의 폭이 좌우 한 쌍의 필름 센서(46)끼리의 폭보다 짧게 형성되어 있고, 후단부의 좌우 방향 중앙부에서 상기 승강부(52b)에 지지되어 있다. 상기 취급 유닛 베이스(53)의 후단부의 좌우 방향 양 단부에는, 가이드 부재(51)가 관통하여 안내되는 피안내부의 일례로서의 피 가이드 관통 구멍(5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취급 유닛 베이스(53)의 앞 부분에는, 필름 카트리지(24)의 위치에 대응하여, 수용부 통과부의 일례로서의 카트리지 통과구(56, 57)가 좌우 한 쌍 형성되어 있다. 상기 취급 유닛 베이스(53)의 하면에는, 하강 위치 정지 부재의 일례로서, 하방으로 돌출되는 취급 다리부(58)가 지지되어 있다.
도 7∼도 9에서, 상기 유닛 베이스(53)의 상면에는, 기체 분사 부재의 일례로서, 카트리지 통과구(56, 57)를 둘러싸도록 에어 분사 부재(61)가 지지되어 있다. 상기 에어 분사 부재(61)는 기체 분사부의 일례로서, 복수의 에어 분사부(61a∼61g)를 갖는다. 즉, 상기 좌측의 필름 카트리지(24)에 대응하는 좌측의 카트리지 통과구(56) 전측에는, 전벽(28)의 에어 통과 긴 구멍(28a)에 대응하는 분사구의 일례로서의 노즐(62a)을 갖는 좌전측(左前側) 기체 분사부(61a)가 배치되어 있고, 좌측 카트리지 통과구(56)의 후측에는, 후벽(29)의 에어 통과 긴 구멍(29a)에 대응하는 노즐(62b)을 갖는 좌후측(左後側) 기체 분사부(61b)가 배치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우측의 카트리지 통과구(57)의 전측 및 후측에는, 우측의 필름 카트리 지(24)의 에어 통과 긴 구멍(28a, 29a)에 대응하는 노즐(62c, 62d)을 갖는 우전측(右前側) 기체 분사부(61c) 및 우후측(右後側) 기체 분사부(61d)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각 카트리지 통과구(56, 57)의 좌우 방향 외측에는, 필름 카트리지(24)의 에어 통과 U홈(32a) 및 에어 통과 긴 구멍(32b)에 대응하는 노즐(62e, 62f)을 갖는 1방향 분사부의 일례로서의 좌측 기체 분사부(61e) 및 우측 기체 분사부(61f)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카트리지 통과구(56, 57) 사이에는, 필름 카트리지(24)의 에어 통과 U홈(31a) 및 에어 통과 긴 구멍(31b)에 대응하는 노즐(62g)을 갖는 2방향 분사부의 일례로서의 중앙 측 기체 분사부(61g)가 배치되어 있다.
도 13은 기체 분사부를 조립하는 공정의 설명도이고, 도 13의 (a)는 우측 기체 분사부 및 좌측 기체 분사부의 설명도, 도 13의 (b)는 중앙 측 기체 분사부의 설명도이다.
도 13에서, 실시예 1의 우측 기체 분사부(61e), 좌측 기체 분사부(61f), 중앙 측 기체 분사부(61g)는 모두, 공통 분사 부재의 일례로서의 공통 분사편(片)(66)을 갖는다. 상기 공통 분사편(66)은 내부에,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어 기체가 공급되는 공급로(66a)와, 공급로(66a)로부터 분기(分岐)되는 제 1 분기로의 일례로서의 제 1 분사로(66b)와, 제 1 분사로(66b)의 기체 이송 방향 하류단에 형성된 제 1 분사구의 일례로서의 각 노즐(62e∼62g)이 형성되어 있고, 공급로(66a)의 제 1 분사로(66b)가 분기되는 측과는 반대 측의 면의 일부 또는 전체가 외부에 개방된 공급로 개방부(66c)가 형성되어 있다.
도 13의 (a)에서, 우측 기체 분사부(61e) 및 좌측 기체 분사부(61f)에서는, 상기 공급로 개방부(66c)에는, 기밀 부재의 일례로서의 시일(seal)(67)을 통하여, 공급로 개방부(66c)를 폐색하는 개방부 폐색 부재의 일례로서의 폐색 덮개(68)가 장착된다. 또한, 공급로(66a)의 타단 측에는, 폐색 부재의 일례로서의 밀봉 마개(69)가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우측 기체 분사부(61e) 및 좌측 기체 분사부(61f)에서는, 공급로(66a)로부터 공급된 기체는 각 제 1 분사로(66b)를 흘러 노즐(62e, 62f)로부터 분사된다.
도 13의 (b)에서, 중앙 측 기체 분사부(61g)에서는, 공급로 개방부(66c)에는, 기밀 부재의 일례로서의 시일(70)을 통하여, 제 2 분사 형성 부재의 일례로서의 추가 분사편(71)이 장착된다. 상기 추가 분사편(71)은 공급로 개방부(66c)에 장착된 상태에서 제 1 분사로(66b)와는 반대 측의 방향으로 연장되며 또한 공급로(66a)로부터 분기되는 제 2 분기로의 일례로서의 제 2 분사로(71a)와, 제 2 분사로(71a)의 기체 이송 방향 하류단에 형성된 제 2 분사로의 일례로서의 노즐(62g)을 갖는다. 또한, 상기 시일(70)에는, 제 2 분사로(71a)를 차폐하지 않도록, 복수의 통기구(70a)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중앙 측 기체 분사부(61g)에서는, 공급로(66a)로부터 공급된 기체는 각 분사로(66b, 71a)를 흘러, 노즐(62g)로부터 분사된다.
도 7∼도 9에서, 실시예 1에서는, 좌후측 기체 분사부(61b)에 접속 부재의 일례로서의 유연 튜브(72)를 통하여, 기체 공급 장치의 일례로서의 에어 공급 장치(73)가 접속되어 있고, 좌후측 기체 분사부(61b)에 공급된 기체는 접속로(74)를 통하여 우후측 기체 분사부(61d) 및 중앙 측 기체 분사부(61g)에 기체가 공급되는 동시에, 중앙 측 기체 분사부(61g)로부터 접속로(74)를 통하여, 좌전측 기체 분사부(61a) 및 우전측 기체 분사부(61c)에 기체가 공급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좌측 기체 분사부(61e) 및 우측 기체 분사부(61f)도 유연 튜브(72)를 통하여 에어 공급 장치(73)에 접속되어 있고, 기체가 공급된다.
따라서, 실시예 1의 필름 취급 장치(FT2)에서는, 취급 유닛 엘리베이터(52)가 승강함으로써, 취급 유닛 베이스(53)가 도 7에 나타낸 상방의 상승 위치와, 도 8에 나타낸 하방의 하강 위치 사이를 이동한다. 이 이동에 따라, 기체 분사 부재(61)는 필름 카트리지(24)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한다. 또한, 실시예 1의 상기 취급 다리부(58)의 하단에는, 하강 위치 검출 부재의 일례로서의 접촉식의 하강 위치 검출 센서가 지지되어 있고, 취급 다리부(58)가 베이스 부재(21)의 표면에 접촉하면, 취급 유닛 베이스(53)가 하강 위치로 이동한 것을 검출한다. 또한, 가이드 부재(51)의 상단부(51a)에는, 상승 위치 검출 부재의 일례로서의 접촉식의 상승 위치 검출 센서가 지지되어 있고, 취급 유닛 베이스(53)의 상면이 접촉하면, 취급 유닛 베이스(53)가 상승 위치로 이동한 것을 검출한다. 즉, 상기 상승 위치 검출 센서와, 하강 위치 검출 센서로 이루어지는 분사 위치 검출 부재의 일례로서의 분사 위치 검출 센서에 의해, 기체 분사부(61a∼61g)의 위치가 검출된다.
(필름 반송 장치의 설명)
도 7∼도 9에서, 실시예 1의 필름 반송 장치(FT3)는 베이스 부재(21)의 우방(右方)에 배치되며 또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필름 취출 장치(FT)에 의해 취출된 필름 부재(8)가 반송되어, 회전축(7)에 부착되는 필름 부착 장치(도시 생략) 까지 연장되는 반송용 이동 장치(81)를 갖는다. 상기 반송용 이동 장치(81)에는, 반송용 이동 장치(81)에 의해 반송 방향인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또한 상방으로 연장되는 반송용 승강 장치로서 필름 부재(8)에 대하여 후술하는 흡착 패드를 접촉, 이간시키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접리(接離) 방향 이동 부재의 일례로서의 반송용 승강 엘리베이터(82)가 지지되어 있다.
상기 반송용 승강 엘리베이터(82)에는, 반송용 승강 엘리베이터(82)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반송용 진퇴 장치의 일례로서의 반송용 진퇴 유닛(83)이 지지되어 있다. 상기 반송용 진퇴 유닛(83)에는, 반송용 진퇴 유닛(83)에 의해, 도 7, 도 8에 나타낸 퇴피(退避) 위치와 도 9에 나타낸 진입 위치 사이에서, 좌우 방향으로 진퇴 이동 가능한 취급 취출 장치의 일례로서의 취급 취출 유닛(84)이 지지되어 있다. 또한, 실시예 1의 반송용 승강 엘리베이터(82) 및 반송용 진퇴 유닛(83)은 상기 취급 유닛 엘리베이터(52)와 마찬가지로 에어 실린더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도 14는 실시예 1의 흡착 취급 기구의 설명도이고, 도 14의 (a)는 요부 단면 측면도, 도 14의 (b)는 도 14의 (a)의 XIVB-XIVB선 단면도이다.
도 7∼도 9에서, 상기 취급 취출 유닛(84)은 판 형상의 취출 유닛 본체(86)를 갖는다. 도 7∼도 9에서, 상기 취출 유닛 본체(86)의 하면(下面)에는, 2개의 필름 카트리지(24)에 대응하여, 좌우 한 쌍의 흡착 취급 기구 수용부(87)가 지지되어 있다. 도 14에서, 각 흡착 취급 기구 수용부(87)는 중공(中空)의 상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흡착 취급 기구 수용부(87)의 내부에는, 취출 유닛 본체(86)의 내부에 지지된 흡착 취급용 구동원의 일례로서 흡착 취급용 모터(88)로부터 구동이 전달되는 흡착 취급용 구동 기어의 일례로서의 흡착 취급용 기어(89)가 지지되어 있다.
도 14의 (b)에서, 상기 흡착 취급 기구 수용부(87)의 저벽(底壁)(87a)에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후 한 쌍의 개구(開口)(87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저벽(87a)에는, 전측의 개구(87b)의 좌측 및 후측의 개구(87b)의 우측에, 안내 부재의 일례로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전후 2쌍의 가이드 핀(91)이 지지되어 있다. 또한, 상기 흡착 취급 기구 수용부(87) 내에는, 흡착 취급용 기어(89)를 사이에 두고 좌우 양측에, 취급 방향 이동 부재의 일례로서의 랙(92)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각 랙(92)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기어부의 일례로서의 기어부(92a)를 갖고, 상기 기어부(92a)의 흡착 취급용 기어(89) 측에는, 흡착 취급용 기어(89)에 맞물리는 맞물림부의 일례로서의 기어 톱니(92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기어부(92a)에는, 상기 가이드 핀(91)이 관통하는 동시에, 가이드 핀(91)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피안내부의 일례로서의 피가이드 긴 구멍(92c)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기어부(92a)의 전후 방향 외단부(外端部)에는, 개구(87b) 측으로 연장되는 취출 부재 지지부(92d)가 형성되어 있다.
도 14의 (a), 도 14의 (b)에서, 상기 취출 부재 지지부(92d)의 하면에는, 개구(87b)를 통하여 하방으로 연장되는 취출 부재(93)가 지지되어 있다. 상기 취출 부재(93)는 취출 부재 지지부(92d)에 지지되어 일체로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기부(基部)(94)를 갖는다. 도 14의 (a)에서, 상기 기부(94)의 하면에는, 하방으로 연장되는 통 형상의 신축(伸縮) 유지부(96)가 지지되어 있다. 상기 신축 유지부(96)의 내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통 형상의 공간인 신축 허용부(96a)가 형성되어 있고, 하단에는 신축 허용부(96a)보다 내부 직경이 작은 탈락 방지부의 일례로서의 스토퍼(96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신축 유지부(96)에는, 취출부 본체(97)가 지지되어 있다. 상기 취출부 본체(97)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상태에서 신축 허용부(96a) 내에 수용된 원기둥 형상의 피지지부(97a)와, 피지지부(97a)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며 또한 피지지부(97a)보다 큰 직경의 흡착 지지부의 일례로서의 패드 지지부(97b)를 갖는다. 상기 피지지부(97a)의 상단부에는, 피탈락 방지부의 일례로서, 스토퍼(96b)에 대응하는 큰 직경의 피스토퍼(97c)가 형성되어 있다.
도 14의 (a)에서, 패드 지지부(97b)의 내부에는, 패드 지지부(97b)의 측면과, 패드 지지부(97b)의 하단의 흡인구(97d)와 접속하는 L자 형상으로 구부러진 흡인로(97e)가 형성되어 있다.
도 14의 (a)에서, 상기 각 패드 지지부(97b)의 하면에는, 흡인부의 일례로서의 흡착 패드(98)가 지지되어 있다. 또한, 실시예 1의 전후 한 쌍의 흡착 패드(98)에서는, 전측의 흡착 패드(98F)의 외형(外形)은 후측의 흡착 패드(98R)의 외형에 비하여, 작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각 흡착 패드(98)에는, 흡인구(97e)에 접속되는 흡착구(98a)가 형성되어 있다.
도 7∼도 9, 도 14의 (a)에서, 상기 패드 지지부(97b)의 측면에는, 흡인 접속 부재의 일례로서의 유연 튜브(99)가 접속되어 있고, 유연 튜브(99)는 박막 부재 흡인원의 일례로서의 에어 흡인 장치(101)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유연 튜브(99)의 도중에는, 유연 튜브(99)에서 흡인하는 기체의 압력을 검출하는 압력 검출 부재의 일례로서의 압력 센서(도시 생략)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패드 지지부(97b)의 상면과 스토퍼(96b)의 하면 사이에는, 탄성 부재의 일례로서의 압축 스프링(102)이 장착되어 있고, 압축 스프링(102)의 탄성력에 의해 스토퍼(96b)로부터 패드 지지부(97b)가 이간되는 방향의 힘이 작용하고 있다. 따라서, 취출 부재 본체(97)는 신축 유지부(96)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기부(94)와 흡착 패드(98)의 하단의 간격이 신축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도 15는 실시예 1의 흡착 패드와 필름 부재나 저판의 위치 관계의 설명도이고, 도 15의 (a)는 흡착 패드와 필름 부재의 위치 관계의 설명도, 도 15의 (b)는 흡착 패드와 저판의 위치 관계의 설명도이다.
따라서, 실시예 1의 필름 반송 장치(FT3)에서는, 반송용 이동 장치(81) 및 반송용 진퇴 유닛(83)을 작동시킴으로써, 흡착 패드(98)를 필름 카트리지(24)의 상방에서 필름 부재(8)의 다발의 최상면으로부터 이간한 상승 이간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반송용 승강 엘리베이터(82)를 작동시킴으로써, 흡착 패드(98)를 필름 카트리지(24)에 적재된 필름 부재(8)에 접촉하는 취출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때, 도 15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에서는, 흡착 패드(98)는 적재된 필름 부재(8)에 대하여,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필름 부재(8)의 짧은 길이 방향 중앙부에서 긴 길이 방향의 중앙 외측의 위치에서 접촉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특히, 실시예 1에서는, 흡착 패드(98)는, 도 15의 (b)의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필름 부재(8)의 노치의 위치를 피하여, 즉, 노치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장소에 접촉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도 15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필름 부재(8)가 빈 상태에서는, 흡착 패드(98)는 저판(36)의 메시부(36a)에 접촉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실시예 1에서는, 저판(36)의 상하 반대 측에 배치되는 상기 흡착 패드(98)와 저판 승강 레버(43)는 어긋난 위치로 되도록 설정되어 있고, 흡착 패드(98)가 메시부(36a)에 접촉한 상태에서 흡인이 행해지면, 메시부(36a)를 통하여, 대기가 흡착 패드(98)로부터 흡인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에어 흡인 장치(101)에서 에어를 흡인함으로써, 흡착 패드(98)에 필름 부재(8)가 흡착된다. 이 상태에서, 흡착 취급용 모터(88)가 정역회전 구동하면, 흡착 취급용 기어(89) 및 랙(92)을 통하여, 흡착 패드(98)끼리가 도 15의 (a)의 실선으로 나타낸 흡착 위치와 파선으로 나타낸 흡착 취급 위치 사이에서 서로 접근, 이간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필름 부재(8)가 취급된다.
그리고, 반송용 이동 장치(81), 반송용 승강 엘리베이터(82), 반송용 진퇴 유닛(83)의 작동에 의해, 흡착 패드(98)에 필름 부재(8)가 흡착된 상태에서, 필름 부착 장치(도시 생략)의 치구대(治具臺)로 반송되어, 회전축(7)에 부착된다.
(실시예 1의 제어부의 설명)
도 16은 실시예 1의 필름 취출 장치에서의 제어부가 구비하고 있는 각 기능 을 기능 블록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에서, 실시예 1의 필름 취출 장치(FT)의 제어부(C)는 소위, 마이크로컴퓨터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외부와의 신호의 입출력 및 입출력 신호 레벨의 조절 등을 행하는 I/0인 입출력 기기, 필요한 처리를 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정보 등이 기억된 기억 장치 ROM, HDD나, 필요한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억하기 위한 1차 기억 장치 RAM, 상기 기억 장치 ROM, HDD, RAM 등에 기억된 프로그램에 따른 처리를 행하는 중앙 연산 처리 장치 CPU, 및 회로의 동기(同期)를 취하기 위한 주기적 신호, 소위 클록을 발진하는 발진기(도시 생략) 등을 갖는다.
도 16에서, 상기 구성의 필름 취출 장치(FT)는 상기 기억 장치의 일례인 리드 온리 메모리(ROM)나 하드디스크(HDD)나 1차 기억 장치의 일례인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등에 기억된 화상 형성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다양한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C)에 접속된 신호 입력 요소)
상기 제어부(C)에는, 조작부(U1)나 필름 센서(46), 상승 위치 검출 센서(SN1), 하강 위치 검출 센서(SN2), 압력 센서(SN3), 그 외의 신호 출력 요소 등의 출력 신호가 입력되어 있다.
U1: 조작부
도 16에서, 상기 조작부(U1)는 화상이 표시되는 표시부(U1a)나, 각종 입력을 행하기 위한 입력 버튼(U1b∼U1d) 등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U1a)로서는, 예를 들어 액정 디스플레이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입력 버튼으로서는, 에 어를 분사하여 취급하는 에어 취급 동작을 개시하기 위한 에어 취급 개시 키(U1b)나, 필름 카트리지(24)의 저판(36)에 적재된 필름 부재(8)의 최상면의 위치를 미리 설정된 위치로 이동시키는 필름 위치 설정 동작을 개시하기 위한 필름 위치 설정 개시 키(U1c), 필름 카트리지(24)로부터 필름 부재(8)를 취출하여 반송하는 필름 취출 동작을 개시하기 위한 필름 취출 개시 키(U1d)나 그 외의 키, 소위 텐 키나 화살표 키 등이 있다.
46: 필름 센서
필름 센서(46)는 필름 카트리지(24)에 수용된 필름 부재(8)가 검사 위치(P1)에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한다.
SN1: 상승 위치 검출 센서
상승 위치 검출 센서(SN1)는 에어 분사 부재(61)를 지지하는 취급 유닛 베이스(53)가 상승 위치로 이동한 것을 검출한다.
SN2: 하강 위치 검출 센서
하강 위치 검출 센서(SN2)는 에어 분사 부재(61)를 지지하는 취급 유닛 베이스(53)가 하강 위치로 이동한 것을 검출한다.
SN3: 압력 센서
압력 센서(SN3)는 압력 패드(98)로부터 흡인되는 에어의 압력을 검출한다.
(제어부(C)에 접속된 피제어 요소)
제어부(C)는 다음의 피제어 요소의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있다.
D1: 저판 승강 모터용 제어 회로
적재 부재 승강용 제어 회로의 일례로서의 저판 승강 모터용 제어 회로(D1)는 저판 승강 모터(45)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저판(36)을 승강시킨다.
D2: 취급 승강 제어 회로
취급 승강 제어 회로(D2)는 취급 유닛 엘리베이터(52)를 제어함으로써, 취급 유닛 베이스(53)나 에어 분사 부재(61)를 승강시킨다.
D3: 에어 분사 제어 회로
기체 분사 제어 회로의 일례로서의 에어 분사 제어 회로(D3)는 에어 공급 장치(73)를 제어함으로써, 에어 분사 부재(61)로부터의 에어의 분사를 제어한다.
D4: 반송용 이동 제어 회로
반송용 이동 제어 회로(D4)는 반송용 이동 장치(81)를 제어하여, 흡착 패드(98)를 전후 방향인 반송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D5: 반송용 승강 제어 회로
반송용 승강 제어 회로(D5)는 반송용 승강 엘리베이터(82)를 제어하여, 흡착 패드(98)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D6: 반송용 진퇴 제어 회로
반송용 진퇴 제어 회로(D6)는 반송용 진퇴 유닛(83)을 제어하여, 흡착 패드(98)를 좌우 방향인 진퇴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D7: 흡착 취급용 제어 회로
흡착 취급용 제어 회로(D7)는 흡착 취급용 모터(88)를 제어하여, 한 쌍의 흡착 패드(98)를 서로 접근·이간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D8: 에어 흡인 제어 회로
기체 흡인 제어 회로의 일례로서의 에어 흡인 제어 회로(D8)는 에어 흡인 장치(101)를 제어하여, 흡착 패드(98)로부터의 에어의 흡인을 제어하고, 필름 부재(8)를 흡착시킨다.
(상기 제어부(C)의 기능)
도 16에서, 상기 제어부(C)는 상기 각 신호 출력 요소로부터의 출력 신호에 따른 처리를 실행하여, 상기 각 제어 요소에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기능 실현 수단, 소위, 프로그램 모듈을 갖고 있다. 상기 제어부(C)의 각종 기능을 실현하는 기능 실현 수단을 이어서 설명한다.
C1: 승강 장치 제어 수단
적재 승강 제어 수단의 일례로서의 승강 장치 제어 수단(C1)은 저판 초기 위치 설정 수단(C11)과, 취출 시 저판 상승 제어 수단(C12)을 갖고, 필름 승강 장치(FT1)를 제어하여, 필름 카트리지(24)에 수용된 필름 부재(8)의 다발의 최상면의 위치를 조정하거나, 최상면의 필름 부재(8)가 취출될 때마다 저판(36)을 상승시켜, 다음의 필름 부재(8)의 위치를 상승시킨다.
C11: 저판 초기 위치 설정 수단
저판 초기 위치 설정 수단(C11)은 필름 검지 수단(C11A)과, 거친 조정 제어 수단(C11B)과, 미세 조정 제어 수단(C11C)을 갖고, 저판(36)을 제어하여, 필름 부재(8)의 다발의 최상면의 필름 부재(8)의 위치가 미리 설정된 소정의 초기 위치로 설정되도록 이동시킨다. 또한, 실시예 1에서는, 상기 초기 위치는 최상면의 필름 부재(8)를 흡착 패드(98)가 흡착한 상태에서의 압력이 흡착한 상태에서 유지, 반송이 가능한 미리 설정된 유지 압력 이상이 된 위치로부터, 저판(36)을 20피치, 즉, 필름 부재(8) 20매 분의 두께에 상당하는 양만큼 상승시켜, 필름 부재(8)가 흡착 패드(98)로 가압되는 위치에 설정되어 있다.
C11A: 필름 검지 수단
필름 검지 수단(C11A)은 필름 센서(46)의 검출 신호에 의거하여, 검사 위치(P1)에서 필름 부재(8)가 검출되었는지의 여부 즉, 필름 부재(8)의 다발의 최상면이 검사 위치(P1)에 도달했는지의 여부를 검출한다.
C11B: 거친 조정 제어 수단
거친 조정 제어 수단(C11B)은 거친 조정 상승 도달 판별 수단(C11B1)과, 거친 조정 하강 도달 판별 수단(C11B2)을 갖고, 필름 검지 수단(C11A)의 검출 결과에 의거하여, 저판 승강 모터(45)의 거친 조정 구동, 즉, 연속 구동을 제어한다.
C11B1: 거친 조정 상승 도달 판별 수단
거친 조정 상승 도달 판별 수단(C11B1)은 필름 검지 수단(C11A)의 검지 결과에 의거하여, 저판 승강 모터(45)를 거친 조정 구동시켜 저판(36)을 상승 중에, 필름 부재(8)의 다발의 최상면이 검사 위치(P1)까지 도달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즉, 최상면의 필름 부재(8)의 에지가 검사 위치(P1)에 도달하여, 필름 센서(46)에서 검출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또한, 실시예 1에서는, 거친 조정 상승 도달 판별 수단(C11B1)에 의해 검사 위치(P1)까지 도달했다고 판별된 경우, 거친 조정 제어 수단(C11B)은 저판 승강 모터(45)를 역회전 구동시켜, 거친 조정 구동에 의해 저판(36)을 하강시킨다.
C11B2: 거친 조정 하강 도달 판별 수단
거친 조정 하강 도달 판별 수단(C11B2)은 필름 검지 수단(C11A)의 검지 결과에 의거하여, 저판 승강 모터(45)를 거친 조정 구동시켜 저판(36)을 하강 중에, 필름 부재(8)의 다발의 최상면이 검사 위치(P1)보다 하방에 도달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즉, 거친 조정 구동에 의해 상승 중에 필름 부재(8)가 검출된 후, 저판 승강 모터(45)를 정지시킨 경우에, 정지까지의 회전에 의해 지나치게 진행하여, 소위 오버 슛(over-shoot)한 경우에, 저판을 거친 조정 구동에 의해 하강시켜, 필름 부재(8)가 검사 위치(P1)보다 하방으로 이동하여 필름(46)으로 검출되지 않게 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또한, 실시예 1에서는, 거친 조정 하강 도달 판별 수단(C11B2)에 의해 검사 위치(P1)보다 하방으로 이동했다고 판별된 경우, 거친 조정 제어 수단(C11B)은 저판 승강 모터(45)를 정지시켜, 저판(36)의 이동을 정지시킨다.
C11C: 미세 조정 제어 수단
미세 조정 제어 수단(C11C)은 미세 조정 위치 도달 판별 수단(C11C1)과, 가압용 상승 제어 수단(C11C2)을 갖고, 필름 검지 수단(C11A)의 검지 결과에 의거하여, 저판 승강 모터(45)의 미세 조정 구동, 즉, 1피치 단위로 구동을 제어하여, 저판(36)을 1피치 단위로 승강시킨다.
C11C1: 미세 조정 위치 도달 판별 수단
미세 조정 위치 도달 판별 수단(C11C1)은 거친 조정 하강 도달 판별 수 단(C11B2)의 판별 결과에 의거하여, 저판(36)의 하강이 정지된 상태로부터, 저판(36)을 미세 조정 구동에 의해 상승 중에, 저판(36)에 적재된 필름 부재(8)의 최상면이 미리 설정된 미세 조정 도달 위치에 도달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실시예 1의 미세 조정 위치 도달 판별 수단(C11C1)은 1피치씩 상승 중에, 압력 센서(SN3)의 검출 결과에 의거하여, 흡착 패드(98)에서 흡인 중의 압력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인 유지 압력 이하가 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별함으로써, 필름 부재(8)의 최상면이 미세 조정 도달 위치에 도달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또한, 실시예 1에서는, 미세 조정 위치 도달 판별 수단(C11C1)에 의해, 미세 조정 위치에 도달했다고 판별된 경우, 미세 조정 위치로의 이동을 정지한다. 또한, 실시예 1에서는, 상기 유지 압력은 -45[㎪]로 설정되어 있지만, 유지 압력의 값은 설계나 수단 등에 따라, 임의로 변경할 수 있다.
C11C2: 가압용 상승 제어 수단
가압용 상승 제어 수단(C11C2)은 미세 조정 도달 위치로 이동한 경우에, 저판 승강 모터(45)를 미세 조정 구동시켜, 미리 설정된 가압용 상승량만큼 저판(36)을 상승시킨다. 실시예 1의 가압용 상승 제어 수단(C11C2)은 미세 조정 도달 위치로 이동한 경우에, 가압용 상승량의 일례로서 20피치 분만큼, 저판(36)을 미세 조정 구동에 의해 상승시키고, 필름 부재(8)의 최상면과 흡착 패드(98)의 접촉 압력을 미리 설정된 취급 압력 이상으로 하여, 저판 초기 위치의 설정을 종료한다. 또한, 실시예 1에서는, 필름 부재(8)의 두께는, 상술한 바와 같이, 약 100㎛=0.1㎜가 되어 있고, 20피치에서 2㎜ 상승한다.
C12: 취출 시 저판 상승 제어 수단
취출 시 저판 상승 제어 수단(C12)은 흡착 패드(98)에 의해 필름 부재(8)의 흡착, 반송이 개시된 경우에, 필름 부재(8)가 1매 반송될 때, 저판 승강 모터(45)를 제어하여 저판(36)을 상승시킨다. 실시예 1의 취출 시 저판 상승 제어 수단(C12)은 필름 부재(8)가 1매 반송될 때, 필름 부재(8)의 1매분의 두께에 대응하는 1피치 분만큼, 저판 승강 모터(45)를 미세 조정 구동하여, 저판(36)을 필름 부재(8)의 1매 분만큼 상승시킨다. 또한, 실시예 1에서는, 필름 부재(8)의 두께는, 상술한 바와 같이, 약 100㎛=0.1㎜가 되어 있고, 1피치에서 0.1㎜ 상승한다.
C2: 취급 장치 제어 수단
취급 장치 제어 수단(C2)은 기체 분사 제어 수단의 일례로서의 에어 분사 제어 수단(C21)과, 승강 제어 수단의 일례로서의 분사부 승강 제어 수단(C22)과, 승강 횟수 계수(計數) 수단의 일례로서의 승강 횟수 카운트 수단(C23)과, 취급 종료 판별 수단(C24)을 갖고, 필름 취급 장치(FT2)를 제어하여, 장착된 필름 카트리지(24)에 수용된 필름 부재(8)의 다발에 기체를 분사하여 1매씩 분리하여, 취급한다.
C21: 에어 분사 제어 수단
에어 분사 제어 수단(C21)은 에어 공급 장치(73)를 제어하여, 기체 분사부(61a∼61g)로부터의 에어의 분사를 제어한다.
C22: 분사부 승강 제어 수단
분사부 승강 제어 수단(C22)은 상승 위치 도달 판별 수단(C22A)과, 하강 위 치 도달 판별 수단(C22B)과, 승강 방향 전환 제어 수단(C22C)을 갖고, 취급 유닛 엘리베이터(52)를 제어하여, 취급 유닛 베이스(53)에 지지된 기체 분사부(61a∼61g)를 승강시킨다. 즉, 취급 유닛 베이스(53)를 승강시킴으로써, 필름 카트리지(24)의 에어 통과 긴 구멍(28a, 29a, 31b, 32b)이나 에어 통과 U홈(31a, 32a)을 따라 기체 분사부(61a∼61g)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C22A: 상승 위치 도달 판별 수단
상승 위치 도달 판별 수단(C22A)은 상승 위치 검출 센서(SN1)의 검출 결과에 의거하여, 취급 유닛 베이스(53)가 도 7, 도 9에 나타낸 분사부 상승 위치로 이동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C22B: 하강 위치 도달 판별 수단
하강 위치 도달 판별 수단(C22B)은 하강 위치 검출 센서(SN2)의 검출 결과에 의거하여, 취급 유닛 베이스(53)가 도 8에 나타낸 분사부 하강 위치로 이동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C22C: 승강 방향 전환 제어 수단
승강 방향 전환 제어 수단(C22C)은 상승 위치 도달 판별 수단(C22A) 및 하강 위치 도달 판별 수단(C22B)의 판별 결과에 의거하여, 취급 유닛 엘리베이터(52)의 승강 방향을 전환한다. 실시예 1의 승강 방향 전환 제어 수단(C22C)은 에어의 분사에 의한 취급 동작이 실행 중에, 분사부 상승 위치로 이동한 것이 판별된 경우에, 이동 방향을 상승 방향으로부터 하강 방향으로 전환하고, 분사부 하강 위치로 이동한 것이 판별된 경우에, 이동 방향을 하강 방향으로부터 상승 방향으로 전환한 다. 또한, 실시예 1의 승강 방향 전환 제어 수단(C22C)은 에어의 분사가 행해지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분사부 상승 위치로 이동하면, 승강 방향의 전환을 행하지 않고 정지하고, 에어 취급 동작이 종료된다.
C23: 승강 횟수 카운트 수단
승강 횟수 카운트 수단(C23)은 기체 분사부(61a∼61g)를 승강시킨 횟수인 승강 횟수 N1을 계수, 즉 카운트한다. 또한, 실시예 1에서는, 하강 위치 검출 센서(SN2)에서 검출된 횟수를 승강 횟수 N1로 계수한다.
C24: 취급 종료 판별 수단
취급 종료 판별 수단(C24)은 미리 설정된 승강을 종료하는 횟수인 승강 종료 횟수 Na를 기억하는 승강 종료 횟수 기억 수단(C24A)을 갖고, 승강 횟수 카운트 수단(C23)에서 카운트된 승강 횟수와, 승강 종료 횟수 N1에 의거하여, 분사부(61a∼61g)의 승강을 종료하여, 취급 동작을 종료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또한, 실시예 1에서는, 승강 종료 횟수 Na는 취급 시간 30분간에 상당하는 횟수로 설정되어 있다.
C3: 반송 장치 제어 수단
반송 장치 제어 수단(C3)은 반송용 이동 제어 수단(C31)과, 접리 제어 수단의 일례로서의 반송용 승강 제어 수단(C32)과, 반송용 진퇴 제어 수단(C33)과, 흡인 장치 제어 수단(C34)과, 필름 취출 제어 수단(C35)을 갖고, 필름 반송 장치(FT3)를 제어하여, 취출 부재(93)로 필름 카트리지(24)에 수용된 필름 부재(8)를 1매씩 분리하고 흡인하여, 반송한다.
C31: 반송용 이동 제어 수단
반송용 이동 제어 수단(C31)은 반송용 이동 제어 회로(D4)를 통하여 반송용 이동 장치(81)를 제어하고, 흡착 패드(98)를 반송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C32: 반송용 승강 제어 수단
반송용 승강 제어 수단(C32)은 반송용 승강 제어 회로(D5)를 통하여 반송용 승강 엘리베이터(82)를 제어하고, 취출 부재(93)를 상하 방향으로 승강 이동시킨다.
C33: 반송용 진퇴 제어 수단
반송용 진퇴 제어 수단(C33)은 반송용 진퇴 제어 회로(D6)를 통하여 반송용 진퇴 유닛(83)을 제어하여, 취출 부재(93)를 진퇴 방향인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C34: 흡인 장치 제어 수단
흡인 장치 제어 수단(C34)은 에어 흡인 제어 회로(D8)를 통하여 에어 흡인 장치(101)를 제어하여, 취출 부재(93)에서의 필름 부재(8)의 흡착을 제어한다. 또한, 실시예 1에서는, 상기 에어 흡인 장치(101)는 안정 진공압 -75[㎪]에서 흡인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실시예 1의 흡인 장치 제어 수단(C34)은 흡착한 필름 부재(8)를 취출 부재(93)로부터 이탈시킬 때, 플러스 압력을 부여, 즉, 대기압보다 높은 압력을 부여하고, 공기를 분사하여 이탈, 박리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C35: 필름 취출 제어 수단
필름 취출 제어 수단(C35)은 빔 검지 수단(C35A)과, 빔 고지 수단(C35B)과, 흡착 취급 제어 수단(C35C)을 갖고, 취출 부재(93)에 의한 필름 카트리지(24)로부터의 필름 부재(8)의 취출을 제어한다.
C35A: 빔 검지 수단
빔 검지 수단(C35A)은 필름 카트리지(24) 내의 필름 부재(8)가 비었는지의 여부를 검지한다. 실시예 1의 빔 검지 수단(C35A)은 취출 부재(93)의 흡착 패드(98)가 필름 부재(8)의 최상면에 접촉하여 흡착하고, 취출하는 취출 위치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에어 흡인 장치(101)에서 에어의 흡인을 행한 상태에서, 압력 센서(SN3)가 유지 압력 이하로 되지 않은 경우에, 필름 부재(8)가 비었고, 흡착 패드(98)가 저판(36)의 메시부(36b)에 접촉하여, 메시부(36b)의 구멍을 통하여 공기를 흡인하고 있고, 압력이 대기압인 채로, 유지 압력 이하로 되지 않은 것이라고 판별한다.
C35B: 빔 고지 수단
빔 고지 수단(C35B)은 빔 검지 수단(C35A)에서 필름 부재(8)가 비어 있다고 판별된 경우에, 표시부(U1a)에 필름 부재(8)가 빈 것을 고지하는 화상을 표시한다.
C35C: 흡착 취급 제어 수단
흡착 취급 제어 수단(C35C)은 흡착 취급용 제어 회로(D7)를 통하여 흡착 취급용 모터(88)를 제어하고, 흡착 패드(98)끼리를 접근, 이간시킨다. 즉, 흡착 패드(98)에 최상면의 필름 부재(8)를 흡착한 상태에서, 흡착 패드(98)끼리를 접근, 이간시킴으로써 최상면의 필름 부재(8)와, 그 아래에 적재되어 있는 필름 부재(8)를 분리시켜, 취급한다. 또한, 실시예 1의 흡착 취급 제어 수단(C35C)에서는, 각 흡착 패드(98)의 이동량은 흡착 패드(98)의 반경(半徑)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다. 이동량을 반경보다 작게 함으로써, 필름 부재(8)를 흡착한 흡착 패드(98)와 필름 부재(8) 사이의 미끄러짐이 방지되는 동시에, 취급에 필요한 시간의 단축이 도모되어 있다.
(실시예 1의 흐름도의 설명)
다음으로, 실시예 1의 필름 취출 장치(FT)의 처리의 흐름을 흐름도, 소위 플로차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에어 취급 처리의 플로차트의 설명)
도 17은 실시예 1의 필름 취출 장치에서의 에어 취급 처리의 플로차트이다.
도 17의 플로차트의 각 ST(스텝)의 처리는 필름 취출 장치(FT)의 제어부(C)의 하드디스크 등에 기억된 에어 취급 프로그램에 따라 행해진다. 또한, 이 처리는 필름 취출 장치(FT)의 다른 각종 처리와 병행되어 병렬 처리로 실행된다.
도 17에 나타낸 플로차트는 필름 취출 장치(FT)의 전원이 투입된 때에 개시된다.
도 17의 ST1에서, 에어 취급 개시 키(U1b)의 입력이 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YES(Y)의 경우에는 ST2로 진행하고, NO(N)의 경우에는 ST1을 반복한다.
ST2에서, 다음의 처리 (1), (2)를 실행하고, ST3으로 진행한다.
(1) 에어 공급 장치(73)로부터의 에어를 공급하여, 에어 분사부(61a∼61g) 로부터 에어의 분사를 개시한다.
(2) 승강 횟수 N1을 0으로 초기화한다.
ST3에서, 취급 유닛 엘리베이터(52)를 작동시켜, 취급 유닛 베이스(53)에 지지된 에어 분사부(61a∼61g)의 하강을 개시한다. 그리고, ST4로 진행한다.
ST4에서, 에어 분사부(61a∼61g)가 도 8에 나타낸 분사부 하강 위치에 도달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즉, 하강 위치 검출 센서(SN2)에서 검출이 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YES(Y)의 경우에는 ST5로 진행하고, NO(N)의 경우에는 ST4를 반복한다.
ST5에서, 승강 횟수 N1이 승강 종료 횟수 Na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YES(Y)의 경우에는 ST6으로 진행하고, NO(N)의 경우에는 ST7로 진행한다.
ST6에서, 에어의 분사를 정지하고, ST7로 진행한다.
ST7에서, 다음의 처리 (1), (2)를 실행하여, ST8로 진행한다.
(1) 취급 유닛 엘리베이터(52)의 승강 방향을 전환하여, 취급 유닛 베이스(53)에 지지된 에어 분사부(61a∼61g)의 상승을 개시한다.
(2) 승강 횟수 N1에 1을 가산한다. 즉, N1=N1+1이라고 한다.
ST8에서, 에어 분사부(61a∼61g)가 도 7에 나타낸 분사부 상승 위치에 도달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즉, 상승 위치 검출 센서(SN1)에서 검출이 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YES(Y)의 경우에는 ST9로 진행하고, NO(N)의 경우에는 ST8을 반복한다.
ST9에서, 에어의 분사가 계속되고 있는지의 여부 즉, 에어의 분사가 정지되지 않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YES(Y)의 경우에는 ST3으로 되돌아가고, NO(N)의 경우에는 ST10으로 진행한다.
ST10에서, 에어 분사부(61a∼61g)의 승강을 정지하고, ST1로 되돌아간다.
(필름 위치 설정 처리의 플로차트의 설명)
도 18은 실시예 1의 필름 취출 장치에서의 필름 위치 설정 처리의 플로차트이다.
도 18의 플로차트의 각 ST(스텝)의 처리는 필름 취출 장치(FT)의 제어부(C)의 하드디스크 등에 기억된 필름 위치 설정 프로그램에 따라 행해진다. 또한, 이 처리는 필름 취출 장치(FT)의 다른 각종 처리와 병행되어 병렬 처리로 실행된다. 또한, 실시예 1의 필름 위치 설정 처리는 우측의 필름 카트리지(24) 및 좌측의 필름 카트리지(24)에 대하여 각각 개별적으로 행해진다.
도 18에 나타낸 플로차트는 필름 취출 장치(FT)의 전원이 투입된 때에 개시된다.
도 18의 ST21에서, 필름 위치 설정 개시 키(U1c)의 입력이 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YES(Y)의 경우에는 ST22로 진행하고, NO(N)의 경우에는 ST21을 반복한다.
ST22에서, 저판 승강 모터(45)를 거친 조정 구동에 의해 정회전시켜, 저판(36)을 거친 조정에 의해 상승 개시한다. 그리고, ST23으로 진행한다.
ST23에서, 필름 센서(46)가 필름 부재(8)를 검출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YES(Y)의 경우에는 ST24로 진행하고, NO(N)의 경우에는 ST23을 반복한다.
ST24에서, 저판 승강 모터(45)를 거친 조정 구동에 의해 역회전시켜, 저판(36)을 거친 조정에 의해 하강 개시한다. 그리고, ST25로 진행한다.
ST25에서, 필름 센서(46)가 필름 부재(8)를 검출하지 않게 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YES(Y)의 경우에는 ST26으로 진행하고, NO(N)의 경우에는 ST25를 반복한다.
ST26에서, 저판 승강 모터(45)의 거친 조정 구동을 정지하고, 저판(36)의 거친 조정 이동을 정지한다. 그리고, ST27로 진행한다.
ST27에서, 반송용 이동 장치(81) 및 반송용 진퇴 유닛(83)을 구동시켜, 취출 부재(93)를 도 7, 도 8에 나타낸 취출 부재(93)가 필름 카트리지(24)로부터 퇴피한 취출 초기 위치로부터, 도 9에 나타낸 필름 카트리지(24)에 수용된 필름 부재(8)의 다발의 최상면의 상방에 흡착 패드(98)가 이동한 상승 이간 위치를 향하여 이동시킨다. 그리고, ST28로 진행한다.
ST28에서, 상승 이간 위치로의 이동이 완료되었는지, 즉, 취출 부재(93)가 상승 이간 위치에 도달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YES(Y)의 경우에는 ST29로 진행하고, NO(N)의 경우에는 ST28을 반복한다.
ST29에서, 반송용 승강 엘리베이터(82)를 작동시켜, 취출 부재(93)를 상승 이간 위치로부터 하강시켜, 필름 부재(8)를 흡착하여 취출하는 취출 위치를 향하여 이동시킨다. 그리고, ST30으로 진행한다.
ST30에서, 취출 위치로의 이동이 완료되었는지의 여부, 즉, 취출 위치에 도달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YES(Y)의 경우에는 ST31로 진행하고, NO(N)의 경우에는 ST30을 반복한다.
ST31에서, 에어 흡인 장치(101)에 의한 흡인을 개시시켜, 흡착 패드(98)에 의한 필름 부재(8)의 흡착을 개시한다. 그리고, ST32로 진행한다.
ST32에서, 압력 센서(SN3)의 검출 압력이 유지 압력 이하가 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즉, 저판(36)의 임시 위치 결정이 완료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NO(N)의 경우에는 ST33으로 진행하고, YES(Y)의 경우에는 ST34로 진행한다.
ST33에서, 저판 승강 모터(45)를 미세 조정 구동시켜, 1피치, 즉, 필름 부재(8)의 1매분의 두께만큼 상승시킨다. 그리고, ST32로 되돌아간다.
ST34에서, 저판 승강 모터(45)를 미세 조정 구동시켜, 20피치분 저판(36)을 상승시킨다. 즉, 임시 위치 결정의 상태로부터, 저판(36)을 20피치분 상승시켜, 필름 부재(8)가 흡착 패드(98)에 맞닿아진 최종 위치 결정된 상태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ST35로 진행한다.
ST35에서, 에어 흡인 장치(101)에 의한 흡인을 정지하고, 에어 흡착 패드(98)에 의한 흡착을 정지한다. 그리고, ST36으로 진행한다.
ST36에서, 반송용 이동 장치(81), 반송용 승강 엘리베이터(82), 반송용 진퇴 유닛(83)을 작동시켜, 상승 이간 위치를 거쳐 취출 초기 위치를 향하는, 취출 부재(93)의 이동을 개시한다. 그리고, ST37로 진행한다.
ST37에서, 취출 초기 위치에 도달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YES(Y)의 경우에는 ST38로 진행하고, NO(N)의 경우에는 ST37을 반복한다.
ST38에서, 취출 부재의 이동을 정지하고, ST21로 되돌아간다.
(필름 취출 처리의 플로차트의 설명)
도 19는 실시예 1의 필름 취출 장치에서의 필름 취출 처리의 플로차트이다.
도 19의 플로차트의 각 ST(스텝)의 처리는 필름 취출 장치(FT)의 제어부(C)의 하드디스크 등에 기억된 필름 취출 프로그램에 따라 행해진다. 또한, 이 처리는 필름 취출 장치(FT)의 다른 각종 처리와 병행하여 병렬 처리에 의해 실행된다.
도 19에 나타낸 플로차트는 필름 취출 장치(FT)의 전원이 투입된 때에 개시된다.
도 19의 ST51에서, 필름 취출 개시 키(U1d)의 입력이 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YES(Y)의 경우에는 ST52로 진행하고, NO(N)의 경우에는 ST51을 반복한다.
ST52에서, 반송용 이동 장치(81), 반송용 진퇴 유닛(83)을 작동시켜, 취출 부재(93)를 취출 초기 위치로부터 상승 이간 위치를 향하여 이동시킨다. 그리고, ST53으로 진행한다.
ST53에서, 취출 부재(93)가 상승 이간 위치에 도달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YES(Y)의 경우에는 ST54로 진행하고, NO(N)의 경우에는 ST53을 반복한다.
ST54에서, 반송용 승강 엘리베이터(82)를 작동시켜, 취출 부재(93)의 상승 이간 위치로부터 취출 위치를 향한 이동을 개시한다. 그리고, ST55로 진행한다.
ST55에서, 취출 부재(93)가 취출 위치에 도달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YES(Y)의 경우에는 ST56으로 진행하고, NO(N)의 경우에는 ST55를 반복한다.
ST56에서, 에어 흡인 장치(101)를 작동시켜, 흡착 패드(98)에 의한 필름 부재(8)의 흡착을 개시한다. 그리고, ST57로 진행한다.
ST57에서, 압력 센서(SN3)가 검출하는 압력이 유지 압력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YES(Y)의 경우에는 ST58로 진행하고, NO(N)의 경우에는 ST67로 진행한 다.
ST58에서, 흡착 취급용 모터(88)를 작동시켜, 흡착 패드(98)가 필름 부재(8)를 흡인하며 또한 20피치분 맞닿아진 상태에서, 도 15의 (a)의 실선으로 나타낸 서로 이간한 흡착 위치로부터 파선으로 나타낸 서로 접근한 흡착 취급 위치에 접근시킨 후, 흡착 위치로 이간시키고, 다시 한번 흡착 취급 위치에 접근시킨다. 그리고, ST59로 진행한다.
ST59에서, 반송용 승강 엘리베이터(82)를 제어하여, 취출 부재(93)를, 취출 위치로부터 상승 이간 위치를 향하여 이동시킨다. 그리고, ST60으로 진행한다.
ST60에서, 취출 부재(93)가 상승 이간 위치에 도달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YES(Y)의 경우에는 ST61로 진행하고, NO(N)의 경우에는 ST60을 반복한다.
ST61에서, 다음의 처리 (1), (2)를 실행하고, ST62로 진행한다.
(1) 흡착 취급용 모터(88)를 작동시켜, 흡착 패드(98)끼리가 이간된 흡착 위치로 이동시킨다.
(2) 저판 승강 모터(45)를 미세 조정 구동하여, 저판(36)을 1피치, 즉, 필름 부재(8)의 두께 1매 분만큼 상승시킨다.
ST62에서, 반송용 이동 장치(81), 반송용 승강 엘리베이터(82) 및 반송용 진퇴 유닛(83)을 작동시켜, 흡착된 필름 부재(8)를 필름 부착 장치(도시 생략)의 치구대로 반송하여, 필름 부착 장치(도시 생략)에서 회전축(7)에 대하여 부착되는 부착 위치를 향하여 이동한다. 그리고, ST63으로 진행한다.
ST63에서, 부착 위치에 도달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YES(Y)의 경우에는 ST64로 진행하고, NO(N)의 경우에는 ST63을 반복한다.
ST64에서, 에어 흡인 장치(101)를 제어하여, 흡착 패드(98)에 의한 필름 부재(8)의 흡인 유지를 정지하고, 흡착 패드(98)로부터 필름 부재(8)를 이탈시킨다. 그리고, ST65로 진행한다.
ST65에서, 반송용 이동 장치(81), 반송용 승강 엘리베이터(82) 및 반송용 진퇴 유닛(83)을 작동시켜, 취출 부재(93)를 부착 위치로부터 취출 초기 위치를 향하여 이동시킨다. 그리고, ST66으로 진행한다.
ST66에서, 취출 부재(93)가 취출 초기 위치에 도달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YES(Y)의 경우에는 ST52로 되돌아가고, NO(N)의 경우에는 ST66을 반복한다.
ST67에서, 다음의 처리 (1), (2)를 실행하고, ST68로 진행한다.
(1) 필름 카트리지(24) 내의 필름 부재(8)가 비어있는 것을 표시부(U1a)에 표시하여, 작업자에 고지한다.
(2) 에어 흡인 장치(101)를 제어하여, 흡착 패드(98)의 흡인을 정지한다.
ST68에서, 다음의 처리 (1), (2)를 실행하고, ST69로 진행한다.
(1) 반송용 승강 엘리베이터(82)를 작동시켜, 취출 부재(93)를 상승 이간 위치를 향하여 이동시킨다.
(2) 저판 승강 모터(45)를 작동시켜, 저판(36)이 필름 수용 공간(26a)의 저부에 접촉하는 저부 위치까지, 저판(36)을 이동시킨다.
ST69에서, 취출 부재(93)가 상승 이간 위치에 도달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YES(Y)의 경우에는 ST70으로 진행하고, NO(N)의 경우에는 ST69를 반복한다.
ST70에서, 반송용 이동 장치(81), 반송용 진퇴 유닛(83)을 작동시켜, 취출 부재(93)를 취출 초기 위치를 향하여 이동시킨다. 그리고, ST71로 진행한다.
ST71에서, 취출 초기 위치에 도달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YES(Y)의 경우에는 ST51로 되돌아가고, NO(N)의 경우에는 ST71을 반복한다.
(실시예 1의 작용)
도 20은 에어 취급 처리의 작용 설명도이다.
상기 구성을 구비한 실시예 1의 필름 취출 장치(FT)에서는, 필름 부재(8)가 수용된 필름 카트리지(24)가 카트리지 장착 부재(23)에 장착된 상태에서, 에어 취급 개시 키(U1b)의 입력이 이루어지면, 저판(36)이 저부 위치에 유지된 상태에서, 에어를 분사하면서 에어 분사부(61a∼61g)가 승강한다. 따라서, 분사부(61a∼61f)로부터 분사된 에어는 에어 통과 긴 구멍(28a, 29a, 31b, 32b), 에어 통과 U홈(31a, 32a)을 통하여, 필름 수용 공간(26a) 내에 분사된다. 도 20에서, 이 때, 필름 부재(8)의 다발에는, 에어 분사부(61a∼61g)가 상방으로부터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에어가 분사되고 있고, 필름 부재(8)의 다발의 상방에 적재된 필름 부재(8)가 부유(浮遊)한 상태로 되어, 필름 부재(8)끼리가 분리되어 취급된다. 가령,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상승하면서 분사되는 경우에는, 상방에 적재되어 있는 필름 부재(8)의 다발에 의해 하방의 필름 부재(8)는 들어올려지기 어려워, 부유하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실시예 1에서는,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상승하면서 분사되는 경우에 비하여, 효율적으로 필름 부재(8)끼리가 분리되어, 취급된다. 특히, 주반송 노 치부(11), 부반송 노치부(12), 노치부(13a)와 같은 노치가 형성되어 있고, 버어끼리가 걸려서 분리하기 어려운 노치가 있는 필름 부재(8)의 다발에서도, 부유시켜 분리시킴으로써, 확실하며, 효율적으로 분리되어, 취급된다.
특히, 실시예 1의 에어 취급 처리에서는, ST4∼ST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강 중에 승강 종료 횟수 Na가 되면, 에어의 분사가 정지된다. 따라서, 분리할 능력이 비교적 높은 하강하면서 에어를 분사하여 분리한 후에, 에어에 의한 필름 부재(8)의 취급 동작이 정지되고, 분사부 상승 위치로 되돌아와 취급 동작이 종료된다.
또한, 실시예 1의 필름 취급 장치(FT2)에서는, 우측 기체 분사부(61e) 및 좌측 기체 분사부(61f)는 공통 분사편(66), 시일(67), 폐색 덮개(68) 및 밀봉 마개(69)에 의해 조립되고, 중앙 측 기체 분사부(61g)는 공통 분사편(66), 시일(70) 및 추가 분사편(71)에 의해 조립되어 있다. 즉, 가장 큰 구성요소, 소위 파트(part)인 공통 분사편(66)이 공통화되어 있고, 개별의 부품을 제작하는 경우에 비하여, 제작 비용이 저감되어 있다.
특히, 실시예 1에서는, 필름 카트리지(24)가 2개인 구성이지만, 필름 카트리지(24)를 3개 이상으로 할 경우, 예를 들어 세 번째의 필름 카트리지(24)를 좌측의 필름 카트리지(24)의 더 좌측에 배치하는 것을 생각한 경우, 현재의 좌측 기체 분사부(61f)의 시일(67), 폐색 덮개(68) 및 밀봉 마개(69)를, 시일(70) 및 추가 분사편(71)으로 교환함으로써, 더 좌측을 향한 노즐(62)을 용이하게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공통 분사편(66)이 공통화된 실시예 1의 기체 분사부 에서는, 필름 취출 장치(FT)의 설치 후에, 필름 카트리지의 증설, 감소에 용이하게 대응하는 것이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어, 구성 변경의 자유도가 높아져 있다.
도 21은 필름 위치 설정 처리의 작용 설명도이고, 도 21의 (a)는 거친 조정 구동에 의해 상승 중인 상태의 설명도, 도 21의 (b)는 도 21의 (a)의 상태로부터 거친 조정에 의해 필름 부재가 필름 센서에서 검출되어 하강을 개시하는 상태의 설명도, 도 21의 (c)는 도 21의 (b)의 상태로부터 거친 조정에 의해 저판이 하강하여, 필름 부재가 필름 센서에서 검출되지 않게 된 상태의 설명도, 도 21의 (d)는 도 21의 (c)의 상태로부터 취출 부재가 취출 위치로 이동한 상태의 설명도, 도 21의 (e)는 도 21의 (d)의 상태로부터 저판이 미세 조정 구동에 의해 상승하여 임시 위치 결정된 상태의 설명도, 도 21의 (f)는 도 21의 (e)의 상태로부터 저판이 20피치분 상승하여 최종 위치 결정된 상태의 설명도이다.
필름 카트리지(24)에 수용된 필름 부재(8)가 에어에 의해 취급된 상태에서, 필름 위치 설정 개시 키(U1c)의 입력이 이루어지면, 도 18의 ST21∼ST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저판 승강 모터(45)가 거친 조정 구동하여, 도 21의 (a)에 나타낸 상태와 같이 저판(36)이 상승한다.
도 21의 (b)에서, 최상면의 필름 부재(8)가 필름 센서(46)에서 검출되면, 저판(36)의 상승이 정지된다. 이 때, 투명 소재로 구성되어, 광이 투과하기 쉬워 필름 센서(46)에서 검출하기 어려운 필름 부재(8)에 대하여, 실시예 1에서는, 필름 부재(8)의 중앙부에 비하여 광이 반사, 산란되기 쉬운 필름 부재(8)의 에지가 검사 위치(P1)에 대응하도록 설정되어 있고, 필름 부재(8)의 검지가 정밀하게 행해져 있 다.
도 21의 (b)에서, 필름 센서(46)에서 필름 부재(8)가 검지되어 저판(36)의 상승이 정지된 상태에서는, 연속 구동한 저판 승강 모터(45)의 관성(慣性)에 의해 저판(36)의 위치가 상방으로 지나치게 진행된 상태로 되는 경우가 있다. 이것에 대응하여, 도 18의 ST24∼ST26의 처리가 실행되고, 필름 부재(8)가 필름 센서(46)에서 검출되지 않게 될 때까지, 저판(36)이 거친 조정에 의해 하강한다.
도 21의 (b), 도 21의 (c)에서, 저판(36)이 하강하여, 필름 센서(46)에서 필름 부재(8)가 검출되지 않게 되면, 저판(36)의 하강이 정지된다. 따라서, 거친 조정에 의한 상승 및 하강에 의해 필름 부재(8)의 최상면이 검사 위치(P1)로 이동한 상태로 거친 위치 결정된다.
도 21의 (c), 도 21의 (d)에서, 저판(36)의 거친 위치 결정이 행해지면, 도 18의 ST27∼ST30의 처리가 실행되어, 도 21의 (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취출 부재(93)가 취출 위치로 이동하고, 흡착 패드(98)가 필름 부재(8)의 최상면에 근접한다. 이 상태에서, 도 18의 ST31의 처리가 실행되어, 에어의 흡인에 의해 필름 부재(8)의 흡착 패드(98)로의 흡인이 행해진다. 이 상태에서는, 필름 부재(8)가 흡착 패드(98)로부터 이간 또는 가볍게 접촉하고 있는 정도이고, 필름 부재(8)가 흡착 패드(98)에 밀착하고 있지 않은 경우가 있다.
따라서, 도 18의 ST32∼ST33의 처리가 실행되어, 압력 센서(SN3)가 검출하는 압력이 유지 압력 이하로 될 때까지, 저판(36)이 1피치씩 상승하고, 유지 압력 이하로 되면, 도 21의 (e)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장 위의 필름 부재(8)와 흡착 패 드(98)가 밀착한 임시 위치 결정의 상태가 된다.
도 21의 (e), 도 21의 (f)에서, 필름 부재(8)와 흡착 패드(98)가 밀착하여 유지 압력 이하로 되면, 도 18의 ST34의 처리가 실행되어, 저판(36)이 20피치분 상승한다. 따라서, 도 21의 (f)에 나타낸 바와 같이, 취출 부재(93)의 압축 스프링(102)이 탄성 변형하여 수축한 상태로 되고, 취출 부재(93)에 필름 부재(8)가 미리 설정된 흡착 취급용의 압력에 의해 맞닿아진다. 따라서, 흡착 패드(98)가 필름 부재(8)에 흡착 취급용의 압력에 의해 맞닿아진 최종 위치 결정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실시예 1에서는, 필름 위치 설정 처리에서, 우선, 거친 조정 구동에 의해, 저판(36)을 상승시켜, 거친 위치 결정한 후에, 미세 조정 구동에 의해 최종 위치 결정을 행하고 있어, 최초부터 미세 조정 구동에 의해 위치 결정을 행하는 경우에 비하여, 위치 결정이 고속화되어 있다.
또한, 거친 조정 구동 시에, 필름 센서(46)에서 필름 부재(8)가 검출된 후에, 저판(36)을 하강시키고 있다. 즉, 저판(36)을 거친 조정에 의해 상승시킨 경우, 필름 부재(8)의 다발의 적재의 불균일이나, 필름 부재의 휘어짐, 노치의 버어, 저판(36)을 지나친 진행, 소위 오버슛의 정도 등의 편차에 의해, 높이의 편차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고, 필름 센서(46)의 검지 결과만으로는, 충분한 정밀도가 나오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에 따라, 실시예 1에서는, 필름 센서(46)에서 검출 후에, 필름 센서(46)가 검출하지 않게 될 때까지, 저판(36)을 하강시키고 있어, 필름 부재(8)의 위치가 검사 위치(P1)에 대하여, 안정되기 쉽게 되어 있다. 즉, 저판(36)의 상승 후에 하강시키지 않고 미세 조정을 실행하는 경우에 비하여, 각종 편차의 영향이 억제되고, 정밀하게 안정되어, 최종 위치 결정의 위치에 위치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22는 필름 취출 처리에서의 흡착 취급 동작의 설명도이고, 도 22의 (a)는 흡착 패드가 흡착 취급 위치로 이동한 상태의 설명도, 도 22의 (b)는 도 22의 (a)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흡착 패드가 흡착 위치로 이동한 상태의 설명도, 도 22의 (c)는 도 22의 (b)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흡착 패드가 흡착 취급 위치로 이동한 상태의 설명도, 도 22의 (d)는 도 22의 (c)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취출 부재가 상승 이격 위치로 이동한 상태의 설명도이다.
상기 필름 위치 설정 처리에서, 가장 위의 필름 부재(8)의 위치가 최종 위치 결정된 상태에서, 필름 취출 개시 키(U1d)의 입력이 이루어지면, 도 19의 ST52∼ST56의 처리가 실행되고, 취출 부재(93)가 도 21의 (f)에 나타낸 취출 위치로 이동하고, 에어의 흡인에 의해 필름 부재(8)가 흡착 패드(98)에 흡착된다. 필름 부재(8)가 비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ST58의 처리가 실행되고, 흡착 패드(98)끼리 접근하거나 이간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즉,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흡착 패드(98)가 필름 부재(8)를 흡인하면서 흡착 취급용 압력에 의해 맞닿아진 상태에서, 도 22의 (a)에 나타낸 흡착 취급 위치로 이동한 후, 도 22의 (b)에 나타낸 흡착 위치로 되돌아오고, 도 22의 (c)에 나타낸 흡착 취급 위치로 이동한다.
이 결과, 도 22의 (a)∼도 22의 (c)에서, 흡착 패드(98)에 흡착된 가장 위의 필름 부재(8)가 만곡, 복원, 만곡하여, 하측의 필름 부재(8)로부터 분리되어, 취급된다. 그리고, 도 19의 ST59의 처리가 실행되고, 도 22의 (d)에 나타낸 바와 같 이, 취출 부재(93)가 상방으로 이동하여, 1매의 필름 부재(8)가 취출된다.
취출된 필름 부재(8)는 도 19의 ST60∼ST63의 처리에서, 부착 위치로 반송되고, 에어의 흡인이 정지되어, 필름 부재(8)가 흡착 패드(98)로부터 이탈하여, 부착이 행해진다. 그리고, 취출 부재(93)는 다시, 취출 위치로 되돌아오고, 다음의 필름 부재(8)의 취출이 행해진다. 이 때, ST61의 처리에서 저판(36)이 취출된 필름 부재(8)의 두께에 대응하는 양만큼 저판(36)이 상승하고 있고, 다음의 필름 부재(8)에 대해서도, 동일한 흡착 취급용 압력에 의해 흡착 패드(98)에 맞닿아진 상태에서, 취급, 취출이 행해진다.
필름 부재(8)가 취출되어, 필름 카트리지(24) 내의 필름 부재(8)가 비면, 흡착 패드(98)는 저판(36)의 메시부(36a)에 접촉한다. 이 상태에서는, 흡착 패드(98)는 에어가 자유롭게 통과하는 메시부(36a)에 접촉하고 있고, 압력 센서(SN3)가 대기압인 채로 된다. 따라서, 도 19의 ST67∼ST70의 처리가 실행되고, 필름 부재(8)가 빈 것이 고지되는 동시에, 저판 승강 레버(43)나 취출 부재(93)가 각각의 초기 상태의 위치로 되돌아오고, 필름 취출 처리가 종료된다. 또한, 실시예 1에서는, 좌우의 필름 카트리지(24) 중 어느 한쪽에서 비어있음이 검지되면, 필름 취출 처리가 종료된다.
그리고, 작업자가 필름 부재(8)가 빈 필름 카트리지(24)를 제거하여, 필름 부재(8)의 다발이 수용된 새로운 필름 카트리지(24)가 장착되면, 상기 에어 취급 처리, 필름 위치 설정 처리가 차례로 실행된 후, 필름 취출 처리가 실행된다.
따라서, 실시예 1에서는, 필름 위치 설정 처리에서, 저판(36)이 20피치분 상 승하고 있고, 필름 부재(8)가 흡착 패드(98)에, 흡착 취급용 압력에 의해 맞닿아져 있으며, 흡착 패드(98)가 흡착하면서 압력이 가해진 상태에서, 접근, 이간하는 흡착 취급 동작이 실행되고 있다. 따라서, 흡착 취급 압력에 의해 맞닿아 있지 않은 경우에서는, 흡인력만으로 흡착 패드(98)에 필름 부재(8)가 흡착되어 있고, 흡착 취급 동작 시에 흡착력 부족에 의해 흡착 패드(98)와 필름 부재(8)의 위치가 어긋날 가능성이 있지만, 실시예 1에서는, 에어의 흡인력뿐만 아니라 흡착 취급용 압력에 의해 맞닿아져 있어, 필름 부재(8)를 확실하게 만곡시켜, 아래의 필름 부재(8)와 분리하여 취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실시예 1에서는, 흡착 패드(98)끼리 접근, 이격하는 동작을 반복하여 필름 부재(8)를 취급한 후, 흡착 패드(98)끼리 이격된 상태가 아니라, 접근하여 필름 부재(8)를 만곡시킨 상태에서, 상승하여, 필름 부재(8)를 취출하고 있다. 즉, 일반적으로 행해지고 있는 바와 같이, 흡착 패드(98)끼리를 이간한 상태로 되돌린 후 상승시킬 경우, 이간한 상태로 되돌린 때에, 버어나 노치 등에서 하측의 필름 부재(8)와 얽혀, 상승시킨 경우에, 하측의 필름 부재(8)가 함께 들어올려지는 경우가 있다. 특히, 실시예 1의 필름 부재(8)는 노치가 형성되어 있고, 흡착 패드(98)끼리를 이간한 상태로 되돌리면, 필름 부재(8)의 노치끼리가 서로 얽힐 가능성이 높게 되어 있다. 이에 대하여, 실시예 1에서는, 필름 부재(8)가 만곡하여 분리된 상태 그대로 흡착 패드(98)가 상승하고 있고, 취급된 필름 부재(8)가 다시 서로 얽히는 등 하여 복수매의 필름 부재(8)가 취출되는 경우가 저감되어 있다.
또한, 실시예 1에서는, 전측의 흡착 패드(98F)와, 후측의 흡착 패드(98R)가 상이한 크기로 형성되어 있고, 탄성이 있는 흡착 패드(98F, 98R)의 강성, 소위 탄력이 상이하다. 따라서, 가령 2개의 흡착 패드(98)의 크기가 동일한 경우, 필름 부재(8)를 흡인한 상태에서, 취출 부재(93)가 서로 접근, 이간하는 취급 동작 시에, 흡착 패드(98)의 탄력이 약하면, 흡착 패드(98)의 부분에서 유연하게 탄성 변형하여 이동량을 흡수하게 되어, 필름 부재(8)를 확실하게 만곡시킬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이에 대하여, 흡착 패드(98F, 98R)의 크기를 변경한 실시예 1에서는, 흡착 패드(98F, 98R)의 탄력이 상이하고, 크기가 동일한 경우에 비하여, 필름 부재(8)가 확실하게 만곡되어, 필름 부재(8)끼리를 분리하여 취급하기 쉽게 되어 있다.
또한, 실시예 1에서는, 흡착 패드(98)의 이동량이 흡착 패드(98)의 반경보다 작게 되어 있고, 흡착 패드(98)와 필름 부재(8)의 미끄러짐이 방지되어, 취급 시간이 단축되어 있다.
또한, 실시예 1에서는, 저판(36)에 메시부(36a)가 형성되어 있고, 에어의 압력을 측정함으로써, 필름 부재(8)의 유무를 검지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메시부(36a)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서는, 흡착 패드(98)가 저판(36)에 접촉한 상태에서 에어의 흡인이 실행되면, 필름 부재(8)의 흡인을 행하고 있는 상태와 마찬가지로, 압력이 변동하고, 필름 부재(8)의 흡인인지, 저판(36)에 접촉하고 있는 것인지 판별을 할 수 없다. 따라서, 메시부(36a)를 형성하지 않는 구성에서는, 필름 부재(8)의 유무를 검지하는 센서나, 필름 부재(8)의 수자를 관리하여 유무를 판별할 필요가 있어, 구성이 복잡해질 우려가 있지만, 이에 비하여, 실시예 1에서는, 저판(36)에 메시부(36a)를 형성한다는 간이한 구성에 의해, 필름 부재(8)의 유무를 용이하게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실시예 1에서는, 흡착 패드(98)가 필름 부재(8)의 노치를 피한 위치에서 흡착하도록 설정되어 있고, 노치를 걸치듯이 흡착 패드(98)가 접촉하는 경우에 비하여, 노치로부터의 공기의 누출에 의해 흡착이 불충분해지거나, 누출된 공기에 의해 압력 센서(SN3)가 비어있다고 오류 검출하거나 하는 경우가 저감되어 있다.
또한, 실시예 1의 필름 카트리지(24)에서는, 필름 부재(8)의 에지가 가압 클로(34)로 지지되어 있고, 저판(36)이 상승하여, 필름 부재(8)가 검사 위치(P1)에 도달한 경우에, 가압 클로(34)에 의해 위치 결정이 되고, 필름 부재(8)가 확실하게 검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저판(36)이 상승하여 오버슛해도 필름 부재(8)가 상방으로 튀어나오지 않도록 지지된다.
또한, 가압 클로(34)는 필름 부재(8)의 노치가 형성되어 있는 한쪽 끝을 가압 클로(34)로 가압하고 있다. 가령, 노치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측에서 필름 부재(8)의 가장자리가 가압 클로(34)로 눌린 경우에는, 취출 부재(93)가 상승하여 필름 부재(8)를 상방으로 취출할 때에, 필름 부재(8)의 가장자리가 가압 클로(34)에 걸려 만곡하여, 상승시키는 동작의 저항으로 된다. 이에 대하여, 실시예 1에서는, 노치가 형성되어 있는 측에서 필름 부재(8)가 가압 클로(34)에 의해 가압되어 있고, 취출 부재(93)가 상승할 때에, 노치 부분으로 둘러싸인 스트립 형상의 부분이 개별적으로 만곡 가능하게 되어 있어, 가압 클로(34)에 걸리는 스트립 형상의 개별 부분이 만곡하기 때문에, 전체가 만곡하지 않고, 상승시키는 동작의 저항이 작게 되어 있다. 따라서, 취출 부재(93)에서 필름 부재(8)를 흡착하여 상승할 때에, 필름 부재(8)가 가압 클로(34)에 걸려 흡착 패드(98)로부터 분리되게 되는 경우가 저감되어, 필름 부재(8)가 확실하게 취출된다.
또한, 상기 에어 취급 처리에서, 필름 부재(8)끼리가 취급된 상태에서는, 노치나 버어에서 두께 방향으로 편차가 발생하고, 필름 부재(8)의 다발에서, 필름 부재(8)끼리의 사이에 간극(間隙)이 발생한다. 따라서, 필름 부재(8)의 다발은 노치가 형성된 일변 측이 노치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타변 측에 비하여, 두꺼워, 높이가 높아진다. 실시예 1의 필름 카트리지(24)에서는, 일변 측이 타변 측에 비하여 두꺼워지는 것에 대응하여, 저판(36)의 타변 측에 숭상 부재(37)가 배치되어 있고, 필름 부재(8)의 다발의 타변 측이 숭상되어 있고,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필름 부재(8)의 다발의 최상면에서 필름 부재(8)가 수평 상태로 배치되도록 경정(更正)되어 있다. 특히, 실시예 1에서는, 숭상 부재(37)는 탄성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필름 부재(8)의 매수가 많아져 필름 부재(8)의 다발의 중량이 증가하거나, 상방에 취출 부재(93)가 맞닿아진 경우에, 탄성 변형하여, 최상면이 수평에 가까운 상태를 유지하도록 작용한다. 또는, 필름 부재(8)가 취출되어 필름 부재(8)의 매수가 적어지면, 탄성 복원하여, 마찬가지로 최상면이 수평에 가까운 상태를 유지한다.
도 23은 숭상 부재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의 작용 설명도이고, 도 23의 (a)는 요부 단면도, 도 23의 (b)는 요부 사시도이다.
가령, 숭상 부재(37)가 배치되어 있지 않을 경우에는, 도 23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필름 부재(8)의 다발의 최상면에서, 노치나 버어 등에서 필름 부재(8)의 일변 측이 타변 측에 비하여 높은 상태로 되고, 취출 부재(93)에 흡착되어 취출되게 된다. 이 상태에서는, 도 23의 (a), 도 23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취출 부재(93)가 맞닿아진 필름 부재(8)가 만곡하여, 뒤집힌 상태로 되기 쉽다. 필름 부재(8)가 뒤집힌 상태에서, 취출 부재(93)끼리 접근, 이간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취급되면, 도 23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뒤집힌 필름 부재(8)를 수직인 방향에 반대로 만곡시키려고 하기 때문에, 필름 부재(8)가 만곡하기 어려워, 결과적으로, 취급하기 어려워진다. 이에 대하여, 실시예 1에서는, 숭상 부재(37)에서 가장 위의 필름 부재(8)가 수평 상태에 가까운 상태로 유지되고, 흡착 패드(98)가 접촉한 상태에서 필름 부재(8)의 휘어짐이 적어, 숭상 부재(37)가 설치되어 있지 않을 경우에 비하여, 용이하며, 확실하게 취급하는 것이 가능해져 있다.
도 24는 필름 부재가 충분히 취급되지 않고 취출된 후에, 완전히 취급되지 않은 필름 부재가 낙하한 상태를 설명하는 설명도이고, 도 24의 (a)는 복수의 필름 부재가 취출된 상태의 설명도, 도 24의 (b)는 하측의 필름 부재가 낙하한 상태의 설명도이다.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취출 부재(93)의 접근, 이격 동작에 의해, 필름 부재(8)가 취급되어도, 버어나 노치 등에서, 필름 부재(8)가 1매씩 분리되지 않아, 도 24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매의 필름 부재(8)가 취출되는 경우가 있다. 복수매의 필름 부재(8)가 취출되면, 상승 중에, 하측의 필름 부재(8)는 자체의 탄성 복원에 의해 만곡된 상태로부터 평평한 막 형상으로 되돌아가는 힘이 발생하기 쉬워, 흡착 패드(98)에 흡착된 필름 부재(8)로부터 이탈하여, 낙하하기 쉽다. 낙하한 필름 부재(8)는 주위의 기류나 탄성 복원 시의 힘의 방향의 편차 등에 의해, 중력 방향 바로 아래로 낙하하지 않고, 전후 좌우 방향으로 어긋나는 경우가 있다. 실시예 1에서는, 필름 부재(8)가 전후 좌우 방향으로 어긋나도, 필름 카트리지(24)의 상단에 배치된 낙하 필름용 가이드 돌기(33)의 가이드 면(33a)에 접촉하여, 필름 수용 공간(26a)의 내측으로 안내된다. 따라서, 가이드 면(33a)에 가이드되어 일반적인 위치로 되돌려진 필름 부재(8)를, 다음의 취출 동작에서 흡착 패드(98)로 흡착하여, 확실하게 취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실시예 2]
도 25는 실시예 2의 필름 취출 장치의 설명도이고, 실시예 1의 도 7에 대응하는 도면이다.
도 26은 실시예 2의 필름 취출 장치의 필름 카트리지의 설명도이고, 실시예 1의 도 15에 대응하는 도면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설명을 하지만, 이 실시예 2의 설명에서, 상기 실시예 1의 구성요소에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 실시예 2는 하기의 점에서 상기 실시예 1과 상이하지만, 그 외의 점에서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도 25에서, 실시예 2의 필름 취출 장치(FT)에서는, 실시예 1과 비교하여, 우측 기체 분사부(61e) 및 좌측 기체 분사부(61f)의 유연 튜브(72')가 에어 공급 장 치(73)가 아니라, 에어 흡인 장치(101)에 접속되어 있다. 즉, 도 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2의 필름 카트리지(24)에서는, 좌전측 기체 분사부(61a), 좌후측 기체 분사부(61b), 우전측 기체 분사부(61c), 우후측 기체 분사부(61d) 및 중앙 측 기체 분사부(61g)로부터의 에어는 에어 통과 긴 구멍(28a, 29a, 31b), 에어 통과 U홈(31a)을 통하여, 필름 수용 공간(26a) 내에 분사되는 동시에, 필름 수용 공간(26a) 내의 에어는 에어 통과 U홈(32a), 에어 통과 긴 구멍(32b)을 통하여, 우측 기체 분사부(61e) 및 좌측 기체 분사부(61f)로부터 배기된다.
(실시예 2의 작용)
상기 구성을 구비한 실시예 2의 필름 취출 장치(FT)에서는, 필름 카트리지(24)에 대하여, 필름 부재(8)의 타단 변 측으로부터 에어를 공급하면서, 일단으로부터 에어를 흡인하고 있다. 실시예 1과 같이, 노치가 형성된 측으로부터도 에어를 분사하면, 노치 부분이 부착되어, 상하의 필름 부재(8)의 노치 부분과 서로 얽혀 충분히 취급되지 않게 될 가능성이 있지만, 실시예 2에서는, 노치가 형성된 일변 측에서는, 에어를 흡인하고 있고, 노치 부분의 부착이 저감되어, 취급 능력이 더 높아져 있다.
또한, 실시예 1과 같이, 전후좌우로부터 에어를 공급한 경우, 공급된 에어는 상방 또는 하방으로 흐르고, 상방으로 흐른 경우, 가장 위의 필름 부재(8)가 부착되어, 자세가 불안정해지기 쉬워, 필름 센서(46)에서 검출하기 어려워지는 경우가 있었다. 이에 대하여, 실시예 2에서는, 일단 측에서 흡인하고 있어, 필름 부재(8)의 자세가 불안정해지는 경우가 저감되어 있다.
(변경예)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요지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변경예 (H01)∼(H011)을 하기에 예시한다.
(H01) 상기 실시예에서, 화상 형성 장치의 토너 카트리지의 애지테이터에서 사용되는 필름 부재(8)에 대해서 예시했지만, 이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노치, 슬릿이 형성된 임의의 박막 부재에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일변 측에 노치가 형성되고, 타변 측에는, 노치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필름 부재에 대하여, 특히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지만, 양측에 노치가 형성되어 있는 필름 부재나, 일변 측의 일부에 노치가 형성되어 있는 필름 부재에도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즉, 노치의 형상이나 위치는 실시예에 예시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임의의 형상, 위치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H02) 상기 실시예에서, 필름 센서(46)나 상승 위치 검출 센서(SN1), 하강 위치 검출 센서(SN2) 등은 실시예에 예시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임의의 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압 클로의 하면에 압력 센서나 접촉식 센서를 배치하여 필름 부재(8)를 검출하거나, 상승 위치 검출 센서(SN1) 및 하강 위치 검출 센서(SN2) 대신에 광 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센서를 사용하지 않고, 이동 거리를 저판 승강 모터(45)나 취급 유닛 엘리베이터(52)의 구동 시간 등으로부터 연산하여 위치를 측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H03) 상기 실시예에서, 필름 카트리지(24)를 2개 장착할 수 있는 구성으로 했지만, 이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1개만 장착할 수 있게 하거나, 3개 이상 장착할 수 있게 한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H04) 상기 실시예에서, 흡착 패드(98)의 크기를 전후에서 상이한 크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동일한 크기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H05) 상기 실시예에서, 숭상 부재(37)는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숭상 부재(37)의 형상은 계단 형상의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단면 삼각형이나 사각형, 사다리꼴 등, 임의의 형상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숭상 부재(37)의 재료도, 우레탄이나 발포 수지, 고무 등의 탄성 재료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설계나 수단 등에 따라 탄성 재료 이외의 임의의 재료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배치하는 위치나, 크기도 임의로 변경할 수 있다.
(H06) 상기 실시예에서, 가압 클로(34)나 낙하 필름용 가이드 돌기(33)는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가압 클로(34)나 낙하 필름용 가이드 돌기(33)의 위치, 크기, 형상도 임의로 변경할 수 있다.
(H07) 상기 실시예에서, 메시부(36a)의 형상은 저판의 중앙부에 직육면체형상으로 형성했지만, 이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흡착 패드(98)가 접촉하는 영역에 대응하는 면만 복수의 가는 구멍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가는 구멍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기체가 자유롭게 통과할 수 있는 임의의 형상, 예를 들어 흡착 패드(98)의 외형보다 작은 빈 구멍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H08) 상기 실시예에서, 저판(36)을 승강시켜 필름 부재(8)의 최상면의 위치 결정을 행할 때에, 거친 조정 구동과 미세 조정 구동을 조합시켜 위치 결정을 고정 밀도화하면서 고속화했지만, 이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정밀도 및 속도가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임의의 조정 방법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시간이 허용될 경우에는, 미세 조정 구동만으로 위치 결정을 하는 것도 가능하고, 정밀도가 허용될 경우, 거친 조정 구동만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따라, 사용하는 구동원도, 스테핑 모터에 한정되지 않고, 임의의 DC 모터나 에어 실린더 등의 임의의 구동원을 사용할 수 있다.
(H09) 상기 실시예에서, 기체 통과구로서, 긴 구멍 형상이나 U홈 형상의 것이 조합된 구성을 예시했지만, 이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모두 긴 구멍 형상으로 하거나, 모두 U홈 형상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며, 둥근 구멍이나 각진 구멍, 다각형 구멍 등 임의의 형상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H010) 상기 실시예에서, 필름 부재(8)의 최상면의 위치를 위치 결정할 때에, 임시 위치 결정 상태로부터 20피치분 상승시켜 최종 위치 결정을 행했지만, 이 처리에 한정되지 않고, 임시 위치 결정의 위치를 최종 위치 결정의 위치로 하는 것도 가능하며, 또한, 상승시키는 거리도 사용하는 필름 부재(8)의 두께 등에 따라 임의로 변경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H011) 상기 실시예에서, 취출 부재(93)가 서로 접근, 이간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구성으로 했지만, 이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일방을 고정, 타방을 일방에 대하여 접근, 이간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전측과 후측에서 서로 이동량이 상이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박막 부재 취급 장치가 사용되어 조립되는 교환 용기가 사용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일례로서의 프린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낸 프린터에서, 사이드 커버가 개방된 상태의 설명도.
도 3은 도 1에 나타낸 프린터에서 사용되는 토너 카트리지의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나타낸 토너 카트리지의 설명도이고, 도 4의 (a)는 평면도, 도 4의 (b)는 도 4의 (a)의 화살표 IVB 방향으로부터 본 도면, 도 4의 (c)는 도 4의 (a)의 IVC-IVC선 단면도, 도 4의 (d)는 도 4의 (a)의 IVD-IVD선 단면도, 도 4의 (e)는 도 4의 (a)의 IVE-IVE선 단면도, 도 4의 (f)는 도 4의 (b)의 IVF-IVF선 단면도.
도 5는 토너 카트리지에서 사용되는 애지테이터의 회전축의 설명도이고, 도 5의 (a)는 사시도, 도 5의 (b)는 도 5의 (a)의 화살표 VB 방향으로부터 본 측면도.
도 6은 실시예 1의 애지테이터의 반송 부재 본체의 일례로서의 필름 부재의 설명도.
도 7은 본 발명의 박막 부재 취출 장치의 실시예 1의 필름 취출 장치의 전체 설명도이고, 필름 취급 장치가 상승 위치로 이동하며 또한 필름 반송 장치가 취출 초기 위치로 이동한 상태의 설명도.
도 8은 실시예 1의 필름 취출 장치의 전체 설명도이고, 필름 취급 장치가 도 7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하강 위치로 이동한 상태의 설명도.
도 9는 실시예 1의 필름 취출 장치의 전체 설명도이고, 도 7에 나타낸 상태 로부터 필름 반송 장치가 취출 위치로 이동한 상태의 설명도.
도 10은 실시예 1의 박막 부재 수용 용기의 일례로서의 필름 카트리지의 설명도이고, 도 10의 (a)는 사시도, 도 10의 (b)는 도 10의 (a)의 화살표 XB 방향으로부터 본 도면, 도 10의 (c)는 도 10의 (a)의 XC-XC선 단면도.
도 11은 필름 카트리지를 상방으로부터 본 상태의 설명도이고, 도 11의 (a)는 필름 카트리지에 필름 부재가 수용되어 있지 않은 상태의 설명도, 도 11의 (b)는 필름 카트리지에 필름 부재가 수용된 상태의 설명도.
도 12는 필름 수용 공간에 수용된 필름의 검지를 행하는 상태의 설명도.
도 13은 기체 분사부를 조립하는 공정의 설명도이고, 도 13의 (a)는 우측 기체 분사부 및 좌측 기체 분사부의 설명도, 도 13의 (b)는 중앙 측 기체 분사부의 설명도.
도 14는 실시예 1의 흡착 취급 기구의 설명도이고, 도 14의 (a)는 요부 단면 측면도, 도 14의 (b)는 도 14의 (a)의 XIVB-XIVB선 단면도.
도 15는 실시예 1의 흡착 패드와 필름 부재나 저판의 위치 관계의 설명도이고, 도 15의 (a)는 흡착 패드와 필름 부재의 위치 관계의 설명도, 도 15의 (b)는 흡착 패드와 저판의 위치 관계의 설명도.
도 16은 실시예 1의 필름 취출 장치에서의 제어부가 구비하고 있는 각 기능을 기능 블록도로 나타낸 도면.
도 17은 실시예 1의 필름 취출 장치에서의 에어 취급 처리의 플로차트.
도 18은 실시예 1의 필름 취출 장치에서의 필름 위치 설정 처리의 플로차트.
도 19는 실시예 1의 필름 취출 장치에서의 필름 취출 처리의 플로차트.
도 20은 에어 취급 처리의 작용 설명도.
도 21은 필름 위치 설정 처리의 작용 설명도이고, 도 21의 (a)는 거친 조정 구동에 의해 상승 중인 상태의 설명도, 도 21의 (b)는 도 21의 (a)의 상태로부터 거친 조정에 의해 필름 부재가 필름 센서에서 검출되어 하강을 개시하는 상태의 설명도, 도 21의 (c)는 도 21의 (b)의 상태로부터 거친 조정에 의해 저판이 하강하여, 필름 부재가 필름 센서에서 검출되지 않게 된 상태의 설명도, 도 21의 (d)는 도 21의 (c)의 상태로부터 취출 부재가 취출 위치로 이동한 상태의 설명도, 도 21의 (e)는 도 21의 (d)의 상태로부터 저판이 미세 조정 구동에 의해 상승하여 임시 위치 결정된 상태의 설명도, 도 21의 (f)는 도 21의 (e)의 상태로부터 저판이 20피치분 상승하여 최종 위치 결정된 상태의 설명도.
도 22는 필름 취출 처리에서의 흡착 취급 동작의 설명도이고, 도 22의 (a)는 흡착 패드가 흡착 취급 위치로 이동한 상태의 설명도, 도 22의 (b)는 도 22의 (a)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흡착 패드가 흡착 위치로 이동한 상태의 설명도, 도 22의 (c)는 도 22의 (b)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흡착 패드가 흡착 취급 위치로 이동한 상태의 설명도, 도 22의 (d)는 도 22의 (c)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취출 부재가 상승 이격 위치로 이동한 상태의 설명도.
도 23은 숭상 부재가 설치되어 있지 않을 경우의 작용 설명도이고, 도 23의 (a)는 요부 단면도, 도 23의 (b)는 요부 사시도.
도 24는 필름 부재가 충분히 취급되지 않고 취출된 후에, 완전히 취급되지 않은 필름 부재가 낙하한 상태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 24의 (a)는 복수의 필름 부재가 취출된 상태의 설명도, 도 24의 (b)는 하측의 필름 부재가 낙하한 상태의 설명도.
도 25는 실시예 2의 필름 취출 장치의 설명도이고, 실시예 1의 도 7에 대응하는 도면.
도 26은 실시예 2의 필름 취출 장치의 필름 카트리지의 설명도이고, 실시예 1의 도 15에 대응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8: 박막 부재 11, 12, 13a: 노치
26: 수용부 34: 박막 가압 부재
36: 적재 부재 36a: 기류 자유부
37: 숭상 부재 43: 적재 승강 부재
46: 박막 검출 부재 82: 접리 방향 이동 부재
92: 취급 방향 이동 부재 98a: 흡착구
98: 흡인부 101: 기체 흡인 장치
C1: 적재 승강 제어 수단 C32: 접리 제어 수단
C34: 흡인 장치 제어 수단 C35A: 빔 검지 수단
C35C: 흡착 취급 제어 수단 FT: 박막 부재 취출 장치
SN3: 압력 검출 부재

Claims (9)

  1. 노치(notch)가 형성된 박막 부재가 복수매 적재되어 수용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에 적재된 복수의 상기 박막 부재 중 최상면에 적재된 상기 박막 부재에 대하여 접촉·이간 가능하게 지지되며 또한 선단(先端)에 흡착구가 형성된 복수의 흡인부와,
    상기 각 흡착구로부터 기체(氣體)를 흡인하는 기체 흡인 장치와,
    상기 박막 부재가 취급되는 방향으로 상기 흡인부를 이동시키는 취급 방향 이동 부재와,
    적재된 상기 박막 부재에 대하여 상기 흡인부를 접촉·이간하는 접리(接離)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접리 방향 이동 부재
    를 구비하고,
    기체를 흡인함으로써 상기 최상면에 적재된 박막 부재를 상기 흡인부에 흡인하며, 또한, 상기 흡인부끼리가 접근한 상태에서, 상기 흡인부가 상기 수용부로부터 이간하여 취출(取出)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 부재 취출 장치.
  2. 노치가 형성된 박막 부재가 복수매 적재되어 수용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에 적재된 복수의 상기 박막 부재 중 최상면에 적재된 상기 박막 부재에 대하여 접촉·이간 가능하게 지지되며 또한 선단에 흡착구가 형성된 복수의 흡인부와, 상기 각 흡착구로부터 기체를 흡인하는 기체 흡인 장치와, 상기 각 흡인 부끼리를 접근·이간하는 취급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취급 방향 이동 부재와, 적재된 상기 박막 부재에 대하여 상기 흡인부를 접촉·이간하는 접리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접리 방향 이동 부재와,
    상기 기체 흡인 장치를 제어하여, 기체를 흡인함으로써, 상기 최상면에 적재된 박막 부재를 상기 흡인부에 흡인하는 흡인 장치 제어 수단과,
    상기 흡착구를 이동시키는 상기 취급 방향 이동 부재의 이동을 제어하는 흡착 취급 제어 수단으로서, 상기 흡인부가 상기 최상면에 적재된 상기 박막 부재에 접촉할 때에, 상기 흡인부끼리를 이간한 상태로 유지하는 동시에, 상기 흡인부가 상기 최상면에 적재된 상기 박막 부재에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흡인부끼리를 접근·이간시켜 상기 박막 부재를 1매씩 분리하여 취급한 후에, 상기 흡인부끼리가 접근한 상태에서 유지하는 상기 흡착 취급 제어 수단과,
    상기 접리 방향 이동 부재의 이동을 제어하는 접리 제어 수단으로서, 상기 흡인부끼리가 접근한 상태에서, 상기 흡인부를 상기 수용부로부터 이간시키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상기 접리 제어 수단
    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 부재 취출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 내에서 승강 가능하게 지지되며 또한 상기 복수의 박막 부재가 상면(上面)에 적재되는 적재 부재로서, 상기 흡인부의 중력 방향 하방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며 또한 외기(外氣)가 자유롭게 유동 가능한 기류 자유부를 갖는 상 기 적재 부재와,
    상기 흡착구로부터 흡인되는 기체의 압력을 검출하는 압력 검출 부재와,
    상기 압력 검출 부재의 검출 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적재 부재 상에 적재된 상기 박막 부재가 없어졌는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빔(empty) 검지 수단
    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 부재 취출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다각 형상의 상기 박막 부재의 소정의 한 변에 형성된 상기 노치와,
    상기 수용부 내에 배치되며 또한 상기 노치가 형성된 한 변이 정렬된 상태에서 복수매의 상기 박막 부재가 적재되는 상기 적재 부재와,
    상기 적재 부재 상에 배치되는 동시에, 적재된 복수매의 상기 박막 부재의 상기 노치가 형성된 한 변 측과는 반대 측의 최하면을 들어올린 상태로 지지하는 숭상(嵩上) 부재
    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 부재 취출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의 중력 방향 상단, 또한, 상기 노치가 형성된 한 변 측에 배치되고, 최상면에 적재된 박막 부재의 상면에 접촉하여 가압하는 박막 가압 부재
    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 부재 취출 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 부재를 상기 수용부 내에서 상승시키는 적재 승강 부재와,
    상기 수용부의 중력 방향 상단에 대응하여 배치되고, 상기 박막 부재를 검출하는 박막 검출 부재와,
    상기 흡착구로부터 흡인되는 기체의 압력을 검출하는 압력 검출 부재와,
    상기 적재 승강 부재를 제어하는 적재 승강 제어 수단으로서, 상기 적재 부재에 적재된 박막 부재를 상기 박막 검출 부재가 검출할 때까지 상기 적재 부재를 상승시킨 후, 상기 박막 검출 부재가 상기 박막 부재를 불검출할 때까지 상기 적재 부재를 하강시키는 거친(粗) 위치 결정을 실행하고, 상기 거친 위치 결정된 상기 적재 부재를 상기 압력 검출 부재가 미리 설정된 압력으로 될 때까지 상승시켜 위치 결정을 실행하는 상기 적재 승강 제어 수단
    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 부재 취출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친 위치 결정된 상기 적재 부재를 상기 압력 검출 부재가 미리 설정된 압력으로 될 때까지 상승시켜 임시 위치 결정을 실행하고, 상기 임시 위치 결정된 상기 적재 부재를 미리 설정된 상승량만큼 상승시켜 상기 박막 부재를 상기 흡인부에 맞닿게 하여 최종 위치 결정을 실행하는 상기 적재 승강 제어 수단
    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 부재 취출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친 위치 결정된 상기 적재 부재를, 상기 박막 부재의 두께에 의거하는 이동량씩 상승시켜 상기 임시 위치 결정을 실행하는 상기 적재 승강 제어 수단
    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 부재 취출 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투명 재료로 구성된 상기 박막 부재의 상기 노치가 형성된 한 변이 정렬된 상태에서 적재된 상기 박막 부재에 대하여, 광을 조사하여, 상기 노치가 형성된 한 변 측의 에지를 검출하는 상기 박막 검출 부재
    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 부재 취출 장치.
KR1020090012722A 2008-08-19 2009-02-17 박막 부재 취출 장치 KR1011835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211029 2008-08-19
JP2008211029A JP4600543B2 (ja) 2008-08-19 2008-08-19 薄膜部材取出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2426A true KR20100022426A (ko) 2010-03-02
KR101183568B1 KR101183568B1 (ko) 2012-09-18

Family

ID=41710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2722A KR101183568B1 (ko) 2008-08-19 2009-02-17 박막 부재 취출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4600543B2 (ko)
KR (1) KR101183568B1 (ko)
CN (1) CN101655676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4641B1 (ko) 2010-05-10 2010-10-01 주식회사 이지텍 필름 이송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6859B1 (ko) * 2012-12-18 2014-07-08 한국영상기술(주) 필름 흡착 인출 장치
CN103030002B (zh) * 2012-12-20 2016-01-06 华南理工大学 一种用于吸取带孔薄片的自动送料机构
CN106660722B (zh) * 2014-09-11 2018-10-19 株式会社村田制作所 薄片材料分离方法及其装置
CN105197290A (zh) * 2015-09-29 2015-12-30 苏州斯尔特微电子有限公司 一种用于贴膜机上的升降吸盘
CN106698018A (zh) * 2017-01-16 2017-05-24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膜材取放装置及膜材移载方法
JP7078321B2 (ja) * 2018-03-23 2022-05-31 株式会社Screenホールディングス 合紙除去装置および合紙除去方法
JP2019172406A (ja) * 2018-03-27 2019-10-10 トッパン・フォームズ株式会社 用紙移送装置
JP6993945B2 (ja) * 2018-08-02 2022-01-14 日立チャネ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葉類取扱装置及び紙葉類取扱方法
KR102129531B1 (ko) * 2018-12-07 2020-07-03 주식회사 엔알티 디스플레이 포장용 간지 이송 장치
CN109626038B (zh) * 2018-12-21 2020-09-15 宁波经纬数控设备有限公司 图文送纸切割机的控制方法
JP7384781B2 (ja) 2020-12-18 2023-11-2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シート分離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21034A (ja) * 1989-02-20 1990-09-0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梱包用段ボールの分離法
JPH03293234A (ja) * 1990-04-09 1991-12-24 Brother Ind Ltd 画像形成装置における給紙装置
JP2809911B2 (ja) * 1991-11-25 1998-10-15 株式会社リコー クリーナ・トナー・マガジン
JPH11208909A (ja) * 1998-01-27 1999-08-03 Dainippon Printing Co Ltd 薄板の吸着方法及び装置
JP2000095367A (ja) * 1998-09-24 2000-04-04 Omron Corp カード取出し装置
JP2001007986A (ja) * 1999-06-18 2001-01-12 Canon Inc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読取装置
JP2001097580A (ja) * 1999-09-30 2001-04-10 Kyocera Mita Corp 給紙装置
JP4102540B2 (ja) * 2000-10-25 2008-06-18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板状部材の枚葉方法
US6595513B2 (en) * 2000-12-28 2003-07-22 Heidelberger Druckmaschinen Ag Leveling device to accommodate paper with at least two sections of different thicknesses
JP2002252441A (ja) * 2001-02-23 2002-09-06 Hioki Ee Corp 回路基板搬送装置および回路基板検査装置
JP4208645B2 (ja) * 2003-06-03 2009-01-14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補給容器
JP2005311556A (ja) * 2004-04-20 2005-11-04 Fuji Photo Film Co Ltd 画像読取装置
JP4479693B2 (ja) * 2006-06-02 2010-06-09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粉体供給器、粉体供給器の製造方法、及び粉体供給器の再生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4641B1 (ko) 2010-05-10 2010-10-01 주식회사 이지텍 필름 이송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655676B (zh) 2014-06-25
KR101183568B1 (ko) 2012-09-18
CN101655676A (zh) 2010-02-24
JP2010047334A (ja) 2010-03-04
JP4600543B2 (ja) 2010-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3569B1 (ko) 박막 부재 취급 장치
KR101183568B1 (ko) 박막 부재 취출 장치
JP4900124B2 (ja) 液体吐出装置
JP4380712B2 (ja) 液滴吐出装置
EP1547785B1 (en) Liquid container
CN101823638B (zh) 供纸装置及图像形成装置
CN105984229A (zh) 液体消耗设备
US8132506B2 (en) Media process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a media processing device
JP2006240839A (ja) スタッカ装置
JP5176815B2 (ja) メディア処理装置、メディア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その制御プログラム
JPH08204388A (ja) チップ部品の自動補給装置
JP5205890B2 (ja) メディア処理装置及びメディア処理装置の制御方法
US7857574B2 (en) Media processor
KR20190038819A (ko) 액체 수용체
KR102077048B1 (ko) 웨이퍼 이송장치와 웨이퍼 이송방법
JP2010228377A (ja) インク供給装置
KR100876918B1 (ko) 반도체 웨이퍼 재생장치
JP2020185695A (ja) 廃液量計測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プリンタ
KR101699882B1 (ko) 웨이퍼 이송장치
JP4056331B2 (ja) 実装機における部品供給トレイ交換方法と実装機
KR20170077879A (ko) 웨이퍼 플립장치와 웨이퍼 플립방법
KR101720547B1 (ko) 웨이퍼 이송방법
JP4518694B2 (ja) 媒体処理装置
KR102038875B1 (ko) 웨이퍼 간격링의 이송장치와 웨이퍼 간격링의 이송방법
JP2010069758A (ja) 液体吐出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