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6859B1 - 필름 흡착 인출 장치 - Google Patents

필름 흡착 인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6859B1
KR101416859B1 KR1020120148641A KR20120148641A KR101416859B1 KR 101416859 B1 KR101416859 B1 KR 101416859B1 KR 1020120148641 A KR1020120148641 A KR 1020120148641A KR 20120148641 A KR20120148641 A KR 20120148641A KR 101416859 B1 KR101416859 B1 KR 1014168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loading space
outlet
uppermos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86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79070A (ko
Inventor
박동준
Original Assignee
한국영상기술(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영상기술(주) filed Critical 한국영상기술(주)
Priority to KR10201201486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6859B1/ko
Publication of KR201400790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90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68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68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5/00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 B25J15/06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with vacuum or magnetic holding means
    • B25J15/0616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with vacuum or magnetic holding means with vacuum
    • B25J15/065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with vacuum or magnetic holding means with vacuum provided with separating means for releasing the gripped object after suc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28Locating light-sensitive material within camera
    • G03B17/32Locating plates or cut fil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obo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필름 흡착 인출 장치는, 복수의 개별 필름이 적층된 상태로 상하로 승강 이동할 수 있는 적재 공간이 형성된 카트리지; 상기 적층된 복수의 필름의 하부를 지지하는 승강바를 구비하고, 상기 승강바를 상하로 승강시킴으로써 상기 적층된 복수의 필름을 상기 적재 공간 내에서 상하로 승강시키는 승강 유닛; 상기 적재 공간에 상부로부터 삽입되어 상기 적층된 복수의 필름 중 최상부 필름의 상면을 파지하는 흡착 노즐을 구비하고, 상기 흡착 노즐을 구동하여 상기 최상부 필름을 상기 적재 공간의 외부로 인출하는 필름 인출 유닛; 및, 적어도 상기 최상부 필름이 상기 흡착 노즐에 파지되어 상기 적재 공간의 상부로부터 인출될 때에, 상기 흡착된 필름의 측면을 따라 흐르는 유속을 형성하는 유속 형성 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필름 흡착 인출 장치{FILM TRANSPORTING APPARATUS}
본 발명은 필름 흡착 인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카메라 모듈 등의 조립에 사용되는 필름이 복수 개 적층된 카트리지로부터 1개씩의 필름을 흡착 파지하여 카트리지로부터 인출하고, 인출한 필름을 이어지는 작업 장치로 이송하는 필름 흡착 인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휴대폰 내장 카메라 또는 소형 카메라에 적용되는 카메라 모듈은, 촬상 소자가 배치된 PCB와, 촬상 소자에 피사체의 초점을 맺히도록 하는 복수 개의 렌즈와, 렌즈를 고정하는 배럴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복수의 렌즈들 사이에는 스페이서의 역할 또는 차광재의 역할을 수행하는 필름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필름을 렌즈 상에 배치하는 작업 공정에 있어서, 흡착 노즐에 의해 1개의 필름을 파지하고, 파지한 필름을 정해진 위치에 안착시키는 동작이 이루어진다.
또한, 필름은 보통, 복수의 필름이 적층된 카트리지 형태로 제공될 수 있는데, 소형이며 매우 얇은 필름이 밀착 적층된 필름들 중에서 1개씩의 필름을 파지하여 이송하기 위해서는 정밀한 장치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소형이며 매우 얇은 필름이 밀착된 상태로 적층된 카트리지 내에서, 단 1개씩의 필름을 정확하게 파지하여 카트리지로부터 인출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필름 흡착 인출 장치는, 복수의 개별 필름이 적층된 상태로 상하로 승강 이동할 수 있는 적재 공간이 형성된 카트리지; 상기 적층된 복수의 필름의 하부를 지지하는 승강바를 구비하고, 상기 승강바를 상하로 승강시킴으로써 상기 적층된 복수의 필름을 상기 적재 공간 내에서 상하로 승강시키는 승강 유닛; 상기 적재 공간에 상부로부터 삽입되어 상기 적층된 복수의 필름 중 최상부 필름의 상면을 파지하는 흡착 노즐을 구비하고, 상기 흡착 노즐을 구동하여 상기 최상부 필름을 상기 적재 공간의 외부로 인출하는 필름 인출 유닛; 및, 적어도 상기 최상부 필름이 상기 흡착 노즐에 파지되어 상기 적재 공간의 상부로부터 인출될 때에, 상기 흡착된 필름의 측면을 따라 흐르는 유속을 형성하는 유속 형성 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필름 인출 유닛은, 상기 흡착 노즐에 흡입 압력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최상부 필름을 흡착하여 파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카트리지는, 상기 적재 공간 내부를 외부와 연결시키는 흡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유속 형성 유닛은, 상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 압력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적재 공간의 상부로부터 상기 흡입구를 향하는 유속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승강 유닛은 상기 승강바를 상승시켜 상기 적층된 필름의 최상부를 특정의 흡착 높이까지 상승시키고, 상기 필름 인출 유닛은 상기 흡착 노즐을 상기 흡착 높이까지 하강시켜 상기 적층된 필름 중 최상부 필름을 흡착한다. 더욱이, 상기 흡착 노즐이 상기 흡착 높이에서 상기 최상부 필름을 흡착하는 동안, 상기 승강 유닛은 상기 승강바를 소정의 높이만큼 하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내부 공간의 횡단면 형태는 상기 필름의 평면 형태와 동일한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내부 공간에는 상기 적층된 필름의 측면을 따라 유속이 형성될 수 있도록 상하로 연장된 홈 형태의 상하유로가 더 형성된다. 더욱이, 상기 흡착된 필름이 상기 흡착 노즐의 상승에 의해 통과할 때 상기 흡착된 필름의 측면을 흐르는 유속이 상기 적층된 필름의 측면을 따라 흐르는 유속보다 빨라지도록, 상기 적재 공간의 상부 일부분에 상기 상하유로를 형성하지 않은 인출구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인출구의 지름은, 상기 필름의 지름 이상일 수 있으며, 상기 인출구는, 상기 인출구의 둘레를 따라 높이가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필름 흡착 인출 장치에 의하면, 필름들이 밀착된 상태로 적층된 카트리지 내에서 단 1개씩의 필름을 정확하게 파지하여 인출할 수 있으므로, 여러개의 필름이 중첩된 상태로 다음 작업에 적용됨으로써 발생하는 오류 상황을 회피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필름을 흡착 파지하여 인출하는 동작에서 필름의 주변에 어떠한 접촉도 발생하지 않으므로, 필름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 흡착 인출 장치의 외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필름 흡착 인출 장치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일부 구성을 단면도로 표시하였다.
도 3은, 카트리지 내부의 최상부 필름을 흡착하는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A-A'선을 따른 카트리지의 횡단면도이다.
도 5는, 카트리지의 상부 일부에 대한 도 4의 B-B'선을 따른 종단면도로서, 1개의 필름을 인출하는 동작을 설명한다.
도 6 및 도 7은, 카트리지의 상부 일부에 대한 도 4의 B-B'선을 따른 종단면도로서, 인출구의 다양한 형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필름 흡착 인출 장치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 흡착 인출 장치의 외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 흡착 인출 장치는, 예를 들면, 소형 카메라 모듈의 조립에 필요한 원형 필름을 1개씩 이송하기 위한 장치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필름들을 적층하여 내부에 적재하고 있는 카트리지(10)가 배치되고, 카트리지(10)에 적재된 필름들을 아래로부터 밀어올리기 위한 승강 유닛(20)이 카트리지(10)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카트리지(10)의 상부에는 필름을 1개씩 파지하여 인출하기 위한 인출구(16)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필름 흡착 인출 장치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 흡착 인출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때, 카트리지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단면도로 표시하였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 흡착 인출 장치는, 카트리지(10)와, 승강 유닛(20)과, 필름 인출 유닛(30)과, 유속 형성 유닛(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카트리지(10)는, 복수의 개별 필름(F)을 내장하고 있다. 복수의 개별 필름(F)은 밀착 적층된 상태로 카트리지 내의 적재 공간(12)에 수용된다. 카트리지(10)는 주로 수직 방향으로 세워져서 작업 장치(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른 필름 흡착 인출 장치)에 탑재될 수 있으며, 카트리지(10)의 내부에 형성된 적재 공간(12)도 수직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적재 공간(12)은 적층된 필름(F)이 적층된 형태를 유지하면서 상하 수직 방향으로 어느 정도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필름의 평면 형태와 동일한 형태이면서 필름의 외형 지름에 대하여 약간의 유격을 갖도록 더 큰 지름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필름(F)이 지름 5mm의 외형을 갖는 원 형태인 경우, 적재 공간(12)의 지름은 5.1mm 정도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필름(F)이, 단지 예시로서, 원형의 평면 형태를 갖는 것으로 하여 설명한다.
카트리지(10)는 최상부에서는 필름(F)이 외부로 인출될 수 있도록 인출구(16)가 형성될 수 있다. 인출구(16)는 필름(F)이 수평을 유지하면서 인출될 수 있도록, 적재 공간(12)의 지름 또는 필름(F)의 지름과 같거나 큰 지름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필름(F)의 지름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로써, 필름(F1)이 인출구(16)를 통과하여 인출될 때, 필름(F1)의 측면이 인출구(16)의 내벽과 접촉하지 않게 된다.
또한, 카트리지(10)의 최하부에는, 바람직하게는 필름(F)의 지름보다 작은 지름을 갖는 통공(18)이 형성될 수 있다. 이 통공(18)은, 이후 설명하는 승강바(22)가 삽입될 수 있으며, 이 삽입된 승강바(22)의 승강에 따라 적재 공간(12)에 적재된 복수의 필름들이 밀어올려짐으로써 적재 공간 내에서 상하로 승강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카트리지(10)의 일측(바람직하게는, 하부 일측)에는, 적재 공간(12)과 연결된 흡입구(42)가 형성될 수 있다. 이 흡입구(42)를 통해서, 적재 공간 내부로부터 흘러나가는 유체의 흐름, 예를 들면, 공기의 흐름이 형성될 수 있다.
승강 유닛(20)은, 카트리지(10)의 하부에 형성된 통공(18)을 통해 적재 공간(12)으로 삽입될 수 있는 승강바(22)를 구비하고, 승강바(22)를 적재 공간 내부에서 상하로 승강시킬 수 있다. 이때, 승강바(22)를 승강시키는 높이는 소정의 제어 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승강 유닛(20)은, 카트리지(10)의 하부로부터 승강바(22)를 삽입하여 적층된 필름을 승강시키는 구성뿐만 아니라, 카트리지(10)의 측면에 상하로 절개된 홈을 구성하고, 승강바를 이 절개된 홈을 통해 측면으로부터 삽입하고 절개된 홈을 따라 상하 승강시킴으로써 필름을 상하 승강시키는 구성도 가능하다.
필름 인출 유닛(30)은, 적재 공간(12)에 상부로부터 인출구(16)를 통해 삽입될 수 있도록 승강 이동하는 흡착 노즐(32)을 구비한다. 흡착 노즐(32)은, 인출구(16)를 통해 하강하여 적재 공간 내부로 삽입되고, 적재 공간(12)에서 승강바(22)에 의해 밀어올려진 적층된 필름(F)들 중 최상부에 위치하는 단 1개의 필름(F1)을 파지한다. 필름(F1)을 파지한 흡착 노즐(32)은 상승하여 적재 공간으로부터 필름을 인출한다.
흡착 노즐(32)의 파지 방식은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흡착 노즐(32)의 단부에 점착 특성을 가진 물질을 도포하여 필름을 점착 파지하거나, 흡착 노즐(32)과 필름(F)과의 정전기 현상에 의해 필름을 파지하거나, 발톱과 같은 구성(도시하지 않음)으로 필름(F)의 측면 일부를 직접 파지할 수도 있다. 특히, 흡착 노즐(32)을 통해 흡입 압력을 형성함으로써 필름(F)을 흡입 파지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며,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흡입 방식을 이용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유속 형성 유닛(40)은, 카트리지(10)의 흡입구(42)와 연결되어 흡입구(42)에 흡입 압력을 형성함으로써, 카트리지(10)의 적재 공간 내부로부터 흡입구(42)를 향해 흐르는 유속을 형성한다. 적재 공간(12)의 상부는 개방되어 인출구(16)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내부 공간(12)을 흐르는 유속은, 카트리지 외부로부터 인출구(16)를 통해 적재 공간(12)으로 흘러들어간 후 흡입구(42)를 통해 유속 형성 유닛(40)으로 흘러간다. 이때, 적재 공간(12)의 내부에는 복수의 적층된 필름(F)이 위치하고 있으므로, 유체의 흐름에 의한 유속은 적재된 필름(F)의 측면과 적재 공간(12)의 내부면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서 발생한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승강 유닛(20)이 승강바(22)를 이용하여 적층된 필름(F)을 소정의 높이까지 밀어올려 지지하는 상태에서, 유속 형성 유닛(40)이 인출구(16)를 통해 흡입구(42)에 이르는 유속을 형성하고, 필름 인출 유닛(30)이 흡착 노즐(32)을 이용하여 최상부 필름(F1)을 파지함으로써, 흡착 노즐(32)에는 단 1개의 필름만이 흡착될 수 있게 된다.
즉, 흡착 노즐(32)이 최상부 필름(F1)을 흡착한 후 상승할 때, 최상부 필름(F1)의 하부에 또하나의 필름(F2)이 부착되어 함께 상승하고 있다면, 흡착된 필름들이 인출구(16)를 통과할 때, 인출구(16)로부터 적재 공간(12)의 하부를 향하는 유체의 흐름이 흡착되어 상승하는 필름들의 측면에 작용하게 되고, 흡착 노즐(32)의 흡착력이 직접 작용하지 않은 또하나의 필름(F2)은 유속에 의해 최상부 필름(F1)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러한 분리 동작을 실현하기 위한 카트리지의 인출구(16)의 형태, 승강 유닛(20)의 동작 등에 대하여 계속 설명한다.
도 3은, 카트리지 내부의 최상부 필름을 흡착하는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즉, 승강 유닛(20)은, 적층된 필름(F)을 소정의 위치(H)까지 상승시켜 흡착에 대기하고, 흡착 노즐(32)이 하강하여 필름(F1)을 흡착한 후 상승할 때, 승강바(22)를 하강시켜 적층된 필름(F)을 소정 높이만큼 하강시킴으로써, 필름(F1)을 흡착하는 동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먼저, 도 3(a)에서와 같이, 승강 유닛(20)의 승강바(22)가 적층된 필름(F)을 밀어올려, 최상부 필름(F1)의 상부면이 미리 설정된 흡착 높이(H)에 이르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흡착 노즐(32)이 흡착 높이(H)까지 하강하여 최상부 필름(F1)의 상부면에 접촉한다.
이어서, 도 3(b)와 같이, 흡착 노즐(32)에 최상부 필름(F1)이 흡착 파지되면, 흡착 노즐(32)은 카트리지(10)의 외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상승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승강 유닛(20)이 승강바(22)를 소정의 높이(Δh)만큼 하강시킴으로써, 최상부 필름(F1)이 그다음 필름(F2)과 쉽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한다.
그다음 필름(F2)의 흡착 동작에서는, 승강 유닛(20)이 다시 승강바(22)를 상승시켜, 그다음 필름(F2)의 상부면이 흡착 높이(H)에 이르도록 밀어올리게 된다. 밀어올려진 그다음 필름(F2)은 최상부 필름(F1)으로 설정된다.
도 4는, 도 2의 A-A'선을 따른 카트리지의 횡단면도로서, 내부 공간의 단면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에서는, 적재 공간(12)의 측벽에 홈 형태로 파여진 상하 유로(14)의 구조와, 카트리지(10)의 측벽 내부에 내장된 관 형태의 상하 유로(14')가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상하 유로(14, 14')는, 적재 공간을 흐르는 유체가 원활하게 흐르도록 작용한다.
즉, 적재 공간(12)의 지름은, 필름(F)의 지름과 같거나 거의 근소한 정도로 큰 지름을 가지며, 또한, 적재 공간 내부에 수용된 적층된 필름(F)은 매우 많은 개수이기 때문에, 적재 공간(12)의 내부면과 필름(F)의 외부 측면과의 사이 공간은 매우 협소할 수 있다. 따라서, 이 협소한 틈새로 흐르는 유체에 의한 유량만으로는, 인출구(16)를 통과하는 최상부 필름(F1)과 함께 올려지고 있는 또하나의 필름(F2)을 떼어낼 만큼의 유속을 형성하기에 충분하지 않다. 따라서, 인출구(16)로부터 흡입구(42)에 이르는 충분한 유량 및 유속을 형성하기 위하여, 적재 공간(12)의 측면에 홈 형태나 관 형태로 상하 유로(14)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관 형태로 상하 유로(14')를 형성한 경우에는, 관 형태가, 인출구(16)의 하부 부근에서 적재 공간(12)과 연통함으로써 시작하고 흡입구(42)와 연통함으로써 종료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홈 형태의 유로를 적용한 것으로 설명한다.
도 5는, 카트리지의 상부 일부에 대한 도 4의 B-B'선을 따른 종단면도로서, 단 1개의 최상부 필름을 인출하는 동작을 설명한다. 도면에서, 카트리지(10)의 상부로부터 소정의 높이만큼 아래쪽으로 떨어진 위치까지만 상하 유로(14)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적층된 복수의 필름(F)들의 측면 위치에서의 흐름은, 상하 유로(14)를 따라 발생하게 된다. 하지만, 인출구(16)에는 상하 유로(14)가 형성되어 있지 않으므로, 흡착 노즐(32)이 필름(F1)을 흡착하여 인출구(16)를 통과하는 동안에는, 흡착된 필름(F1)에 의해 인출구(16)의 대부분이 가려져서 필름(F1)의 둘레 부분과 인출구(16)의 내벽과의 공간으로 흐름이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는, 인출구 근방을 통과하는 흡착 노즐(32)에 흡착된 필름(F1)의 측면에서 벤츄리 효과에 의해 빠른 유속을 형성하게 된다. 즉, 인출구(16)를 통과하는 유속(AF1)은 상하 유로(14)를 통과하는 유속(AF2)에 비해 빠르다. 그리고 형성된 빠른 유속(AF1)은, 흡착된 최상부 필름(F1)의 하부에 또다른 필름(F2)이 부착되어 있는 경우, 이 또다른 필름(F2)을 떼어내는 효과를 발생한다.
한편, 인출구(16)의 단면 형태는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출구(16)의 둘레를 따른 임의의 위치에서 인출구(16)의 높이(또는, 두께)를 서로 다르게(① 및 ②) 구성할 수 있다. 이는 적어도 2개의 상하 유로(14-1, 14-2)를 형성할 때, 각 유로의 시작 부분을 카트리지(10)의 상부에 더 가깝고 덜 가깝게 형성하는 것으로 구현할 수 있다.
이렇게 인출구(16)에서 상하 유로(14)의 높이를 다르게 형성하면, 흡착 노즐(32)에 흡착된 필름(F1)이 상승하는 동안, 흡착된 필름(F1)의 측면에 작용하는 유속이 상승하는 높이에 따라 필름(F1)의 둘레 중 다른 위치에 작용하게 되므로, 최상부 필름(F1)의 하부에 부착된 또다른 필름(F2)을 떼어내기 용이하다.
인출구 단면의 또다른 형태로서,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출구(16)의 지름이 카트리지(10)의 상부에 가까워질수록 더 넓어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는, 인출구(16)의 지름을 적재 공간(12)의 지름보다 크게 구성할 수도 있다(도시하지 않음). 또다른 형태로서, 도 7(b)와 같이, 인출구 일측에 유체의 흐름이 체류할 수 있도록 항아리 모양의 공간을 구성할 수도 있다.
인출구(16)의 이러한 다양한 형태는, 흡착된 필름(F1)이 인출구(16)를 통과할 때, 흡착된 필름(F1)에 부착된 또다른 필름(F2)이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는 구조로 설계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9)

  1. 복수의 개별 필름이 적층된 상태로 상하로 승강 이동할 수 있고 소정의 필름이 인출될 수 있도록 최상부에 인출구가 형성된 적재 공간, 상기 적재 공간의 상대적인 하부에 상기 적재 공간 내부를 외부와 연결시키는 흡입구를 구비한 카트리지;
    적층된 필름의 하부를 지지하는 승강바를 구비하고, 상기 승강바를 상하로 승강시킴으로써 상기 적층된 필름을 상기 적재 공간 내에서 상하로 승강시키는 승강 유닛;
    상기 적재 공간에 상기 인출구를 통해 삽입되어 상기 적층된 필름 중 최상부 필름의 상면을 파지하는 흡착 노즐을 구비하고, 상기 흡착 노즐을 구동하여 상기 최상부 필름을 상기 적재 공간의 외부로 인출하는 필름 인출 유닛; 및
    적어도 상기 최상부 필름이 상기 흡착 노즐에 파지되어 상기 적재 공간의 상기 인출구를 통해 인출될 때에, 상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 압력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적재 공간의 외부로부터 상기 인출구를 통과하는 상기 흡착된 필름의 측면을 거쳐 상기 흡입구로 흐르는 유속을 형성하는 유속 형성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적재 공간의 횡단면 형태는 상기 필름의 평면 형태와 동일한 형태로 구성되고, 또한, 상기 적재 공간에는 상기 적층된 필름의 측면을 따라 유속이 형성될 수 있도록 상하로 연장된 홈 형태의 상하유로가 더 형성된 필름 흡착 인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인출 유닛은, 상기 흡착 노즐에 흡입 압력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최상부 필름을 흡착하여 파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흡착 인출 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유닛은 상기 승강바를 상승시켜 상기 적층된 필름의 최상부를 특정의 흡착 높이까지 상승시키고,
    상기 필름 인출 유닛은 상기 흡착 노즐을 상기 흡착 높이까지 하강시켜 상기 적층된 필름 중 최상부 필름을 흡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흡착 인출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 노즐이 상기 흡착 높이에서 상기 최상부 필름을 흡착하는 동안, 상기 승강 유닛은 상기 승강바를 소정의 높이만큼 하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흡착 인출 장치.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된 필름이 상기 흡착 노즐의 상승에 의해 상기 인출구를 통과할 때, 상기 흡착된 필름의 측면에 형성되는 유속이 상기 적층된 필름의 측면을 따라 흐르는 유속보다 빨라지도록, 상기 인출구에는 상기 상하유로를 형성하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흡착 인출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구의 지름은, 상기 필름의 지름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흡착 인출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유로는 복수 개 형성되고,
    상기 카트리지의 최상부로부터 상기 복수의 상하유로가 형성된 높이가 상기 인출구의 둘레를 따라 다르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흡착 인출 장치.
KR1020120148641A 2012-12-18 2012-12-18 필름 흡착 인출 장치 KR1014168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8641A KR101416859B1 (ko) 2012-12-18 2012-12-18 필름 흡착 인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8641A KR101416859B1 (ko) 2012-12-18 2012-12-18 필름 흡착 인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9070A KR20140079070A (ko) 2014-06-26
KR101416859B1 true KR101416859B1 (ko) 2014-07-08

Family

ID=511303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8641A KR101416859B1 (ko) 2012-12-18 2012-12-18 필름 흡착 인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685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51140A (ja) * 1994-08-05 1996-02-20 Dowa Mining Co Ltd 積層薄板体の2枚取り防止装置及び防止方法
JP2010168138A (ja) * 2009-01-20 2010-08-05 Micro-Tec Co Ltd 板取得装置及び板取得方法
KR101183568B1 (ko) * 2008-08-19 2012-09-18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박막 부재 취출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51140A (ja) * 1994-08-05 1996-02-20 Dowa Mining Co Ltd 積層薄板体の2枚取り防止装置及び防止方法
KR101183568B1 (ko) * 2008-08-19 2012-09-18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박막 부재 취출 장치
JP2010168138A (ja) * 2009-01-20 2010-08-05 Micro-Tec Co Ltd 板取得装置及び板取得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9070A (ko) 2014-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6000B1 (ko) 부품이송장치 및 방법
CN111410049A (zh) 薄片类工件快速码垛/拆垛系统
TWI508220B (zh) 晶粒射出裝置
KR20140044293A (ko) 전자 부품 실장 장치용의 하부 받침핀 모듈, 기판 하부 받침 장치 및 기판 하부 받침 방법
WO2015000190A1 (zh) 一种卡匣及搬运玻璃基板的装置
CN212597197U (zh) 薄片类工件快速分拣系统
KR101416859B1 (ko) 필름 흡착 인출 장치
JP7384781B2 (ja) シート分離装置
CN212608152U (zh) 薄片类工件快速码垛/拆垛系统
US20110302766A1 (en) Device mounter head and device mounting method using the same
JP2008120523A (ja) トレイ切出装置
CN211363847U (zh) 一种薄片材料分离设备
KR20110135307A (ko) 리드 프레임용 간지 이송 장치
KR101288545B1 (ko) 스페이서 실장용 카트리지, 및 그를 이용하는 스페이서 이송 장치
JP7009801B2 (ja) 取出装置及び取出方法
JP4873364B2 (ja) シート状部材の保管装置
JP6836112B2 (ja) 枚葉紙持ち上げ装置および枚葉紙持ち上げ方法
CA2570991C (en) Suction head
CN116818671B (zh) 滤筒自动检测设备
JP5612324B2 (ja) 葉状農作物積載カセット
CN113611642B (zh) 硅片承载装置和分离设备
CN110875211B (zh) 处理装置
CN212605958U (zh) 一种提升吸膜装置
CN114906612B (zh) 一种全自动机器人卸盒机
CN214191521U (zh) 一种多工位双头自动装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