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30880A - 철도 차량용 도어 장치 및 철도 차량용 도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철도 차량용 도어 장치 및 철도 차량용 도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30880A
KR20090130880A KR1020097025107A KR20097025107A KR20090130880A KR 20090130880 A KR20090130880 A KR 20090130880A KR 1020097025107 A KR1020097025107 A KR 1020097025107A KR 20097025107 A KR20097025107 A KR 20097025107A KR 20090130880 A KR20090130880 A KR 200901308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rail
car
rail member
suppor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251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즈타마 다카하시
가츠지 가와사키
Original Assignee
나부테스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부테스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나부테스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1308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308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19/00Door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 B61D19/003Door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s of the door
    • B61D19/005Door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s of the door sli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19/00Door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 B61D19/02Door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for carriag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 E05D15/0626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spended at the top
    • E05D15/063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spended at the top on wheels with fixed axi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3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 E05D15/0626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spended at the top
    • E05D15/0652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38Cams; Ram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8Roll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10Adjustable or movable
    • E05Y2600/20Adjustable or movable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 transmiss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1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for railway cars or mass transit vehicles

Abstract

철도 차량용 도어 시스템(500)은, 구동 기구(300)와, 호차 장치(100)를 가지는 철도 차량용 도어 장치(800)를 포함한다. 호차 장치(100)는 레일 부재(200) 내를 제1 및 제2의 호차(110, 120)에 의해 공통 플레이트(180), 우측 플레이트(160) 및 좌측 플레이트(170)가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고, 좌측 리프(710) 및 우측 리프(720)를 매달게 한 매달음부(150)가 이동함으로써 좌측 리프(710) 및 우측 리프(720)가 개폐된다. 우측 플레이트(160) 및 좌측 플레이트(170)에 제1의 호차(110)가, 우측 플레이트(160) 및 좌측 플레이트(170)의 일단측에 제2의 호차(120)가, 우측 플레이트(160) 및 좌측 플레이트(170)의 타단측에 매달음부(150)가 설치된다.

Description

철도 차량용 도어 장치 및 철도 차량용 도어 시스템{RAILWAY VEHICLE DOOR DEVICE AND RAILWAY VEHICLE DOOR SYSTEM}
본 발명은, 철도 차량의 옆면의 출입구에 설치되는 도어 장치 및 도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 철도의 승객을 승강시키기 위해서 도어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이 철도 차량용 도어 장치에 대해서는, 통근 시간대에 있어서의 혼잡 시에 다수의 승객이 도어에 기대는 경우가 있어, 도어에 다양한 힘이 가해진다. 이 때문에, 철도 차량용의 도어 장치에 대해서, 승객의 안전을 고려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에는, 호차(戶車)를 통해 이동 자유롭게 매달려 지지된 옆미닫이를 가지는 전철용 옆미닫이 장치에 있어서, 원활한 개폐 동작의 확보와 안전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전철용 옆미닫이 장치에 대해서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전철용 옆미닫이 장치에 있어서는, 옆미닫이의 하향의 하중을 받치는 종래의 2개의 호차 외에, 옆미닫이의 상향의 움직임을 규제하는 가이드 롤러를 새롭게 설치하고, 또한 가이드 롤러와 도어 레일의 천정면의 사이의 간극을 호차의 간극보다도 작게 정한 것이다.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전철용 옆미닫이 장치에 의하면, 옆미닫이가 승객으로부터 가로 하중을 받아, 호차가 도어 레일 바닥면의 곡면을 따라 상측방향으로 이동해도, 2개의 호차가 도어 레일 천정면에 접촉하기 전에 가이드 롤러가 도어 레일 천정면에 접촉하므로, 호차가 도어 레일 천정면에 접촉함에 의한 걸림이 생기지 않는다. 또한, 호차와 도어 레일 천정면의 사이의 간극이 큰 상태에서 옆미닫이에 이물이 끼어도, 옆미닫이가 크게 기울지 않는다.
특허 문헌 1:일본국 특개 2005-007985호 공보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
특허 문헌 1 또는 종래의 철도 차량용 도어 장치에 있어서는, 상부에 설치한 레일 부재에 대해서, 호차를 넣은 후, 호차가 당해 레일 부재로부터 탈륜하지 않도록, 호차와 당해 레일 부재의 간극이 조정이 필요했다.
그러나, 호차와 레일 부재의 간극을 조정할 수 있는 구조는, 당해 조정 기구가 고장 또는 파손된 경우, 호차가 레일 부재로부터 탈륜할 가능성이 높아, 승객을 안전하게 반송해야하는 철도에 있어서는, 과제가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호차가 레일 부재로부터 탈륜하는 것을 방지하고, 확실하고 안전하게 도어의 개폐를 행할 수 있는 철도 차량용 도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호차가 레일 부재로부터 탈륜하는 것을 방지하고, 원활하고 안전하게 도어의 개폐를 행할 수 있고, 또한 제조나 시공 비용을 저감할 수 있는 철도 차량용 도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및 효과>
(1) 본 발명에 관한 철도 차량용 도어 장치는, 철도 차량의 출입구에 설치된 도어와, C형 단면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레일 부재와, 레일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지지 부재와, 지지 부재에 설치되고, 또한 레일 부재의 C형 단면 형상 내를 주행 가능한 제1의 호차와, 지지 부재의 일단측에 설치되고, 레일 부재의 C형 단면 형상 내를 주행 가능한 제2의 호차와, 지지 부재의 타단측에 설치되고, 도어를 매달음 가능한 매달음부를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철도 차량용 도어 장치에 있어서는, C형 단면 형상 내를 제1의 호차 및 제2의 호차에 의해 지지 부재가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고, 도어를 매달게 한 매달음부가 이동함으로써 철도 차량용 도어가 개폐된다. 지지 부재에 제1의 호차가 설치되고, 지지 부재의 일단측에 제2의 호차가 설치되고, 지지 부재의 타단 측에 매달음부가 설치된다. 즉, 지지 부재의 타단측이 도어의 자중에 의해 연직 하향으로 힘이 작용하여, 제1의 호차가 레일 부재 내의 한쪽에 의해 지지되고, 제2의 호차가 제1의 호차를 지점으로 하여, 연직 상향으로 힘이 작용하여, 레일 부재내의 다른쪽에 의해 지지된다.
이 경우, 매달음부에 도어의 자중이 작용하여, 제1의 호차를 지점으로 하여 제2의 호차가 제1의 호차와 반대측의 레일 부재에 접촉함으로써 도어가 지지된다. 따라서 탈륜을 방지하기 위해서 조정이 필요한 간극이 불필요해지므로, 조정 기구가 불필요해지고, 그 결과, 조정 기구의 고장 또는 파손에 의한 탈륜이 없기 때문에, 확실하고 안전하게 도어의 개폐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조정 기구가 없기 때문에, 조정 작업이 불필요해져, 제조나 시공 비용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제1의 호차 및 제2의 호차가 지지 부재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조립 시에 있어서 C형 단면 형상의 레일 부재의 끄트머리로부터, 용이하게 제1의 호차 및 제2의 호차를 삽입할 수 있다.
(2) 레일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플레이트 부재와, 플레이트 부재의 양단에 좌우 대칭으로, 제1의 호차, 제2의 호차 및 매달음부가 설치된 지지 부재가 각각 설치되어도 된다.
이 경우, 플레이트 부재의 양 끝에, 각각 지지 부재가 설치되므로, 일체의 부재로서 취급할 수 있다. 또한, 개개의 지지 부재에 설치된 매달음부의 거리가 일정하게 되어, 별도체로 되어 있는 경우에 비해, 위치맞춤이 불필요해지므로, 도어를 용이하게 매달게 할 수 있다. 또한, 좌우 대칭으로 지지 부재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플레이트 부재 및 한쌍의 지지 부재가 레일 부재에 대해서 왕복 이동되는 경우에 제1의 호차 및 제2의 호차에 가해지는 부하를 억제할 수 있어, 원활하게 레일 부재를 따라 왕복 이동시킬 수 있다.
(3) 제1의 호차의 축 및 제2의 호차의 축을 연결하는 가상선은, 레일 부재의 길이 방향에 대해서 조금 경사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제1의 호차와 제2의 호차가 크게 경사지지 않고, 제1의 호차와 제2의 호차의 축간 거리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므로, 지지 부재의 매달음부로부터의 도어의 자중(작용력)을 균형있게 제1의 호차와 제2의 호차로 분산할 수 있어, 도어로부터의 편하중에도 대응할 수 있게 된다. 그 결과, 지지 부재의 왕복 이동의 부하의 증대나 편하중에 대응할 수 있어, 원활하게 레일 부재를 따라 왕복 이동시킬 수 있다.
(4) 레일 부재의 C형 단면 형상의 개구부에는 한쌍의 볼록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레일부, 제1의 호차의 외측 원주면에는 오목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피레일부, 또는, 레일 부재의 C형 단면 형상의 개구부에는 한쌍의 오목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레일부, 제1의 호차의 외측 원주면에는 볼록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피레일부가 형성되고, 레일부의 한쌍의 볼록형상끼리 또는 한쌍의 오목형상끼리의 최단 이간 거리는, 제1의 호차의 최대 외주의 직경보다도 짧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레일 부재에는, 한쌍의 오목형상 또는 한쌍의 볼록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레일부가 형성되고, 제1의 호차에는, 레일부의 형상에 대응한 피레일부가 형성된다. 피레일부와 레일부의 사이의 간극의 칫수는, 0.5㎜이상 10㎜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이상 2㎜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레일 부재의 최단 이간 거리는, 제1의 호차의 직경보다도 작기 때문에, 제1의 호차가 레일 부재로부터 탈륜하여, 벗어나는 것을 완전히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도어에 연직 상하 방향 및 요동의 힘이 가해진 경우에도, 제1의 호차가 레일 부재로부터 벗어나지 않는다. 또한, 제조시나 시공시에 있어서는, 레일 부재의 끄트머리로부터 제1의 호차를 삽입함으로써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5) 레일 부재의 C형 단면 형상의 개구부에는 한쌍의 볼록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레일부, 제1의 호차의 외측 원주면에는 오목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피레일부, 또는, 레일 부재의 C형 단면 형상의 개구부에는 한쌍의 오목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레일부, 제1의 호차의 외측 원주면에는 볼록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피레일부가 형성되고, 레일부의 한쌍의 볼록형상끼리 또는 한쌍의 오목형상끼리의 최단 이간 거리는, 제2의 호차의 최대 외주의 직경보다도 짧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레일 부재에는, 한쌍의 오목형상 또는 한쌍의 볼록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레일부가 형성되고, 제2의 호차에는, 레일부의 형상에 대응한 피레일부가 형성된다. 피레일부와 레일부의 사이의 간격의 칫수는 0.5㎜이상 10㎜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이상 2㎜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레일 부재의 최단 이간 거리는, 제2의 호차의 직경보다도 작기 때문에, 제2의 호차가 레일 부재로부터 탈륜하여, 벗어나는 것을 완전하게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도어에 연직 상하 방향 및 요동의 힘이 가해진 경우에도, 제2의 호차가 레일 부재로부터 벗어나지 않는다. 또한, 제조시나 시공시에 있어서는, 레일 부재의 끄트머리로부터 제2의 호차를 삽입함으로써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6) 매달음부에 매달음 가능한 구멍 형상이 도어를 형성하는 심재에 형성되어도 된다.
이 경우, 도어의 심재에 매달음 가능한 구멍 직경 형상이 형성되므로, 종래와 같이 매달음 가능한 구멍부재를 형성한 부재를 도어에 부착하는 공정을 생략할 수 있어, 용이하게 제조나 시공을 행할 수 있다.
(7) 지지 부재에 의해 캔틸레버 지지되는 제1의 호차 및 제2의 호차의 반대측의 축을 유지 가능한 복수의 장공이 도어를 형성하는 심재에 형성되어도 된다.
이 경우, 도어의 심재에 형성된 장공에 의해 제1의 호차 및 제2의 호차의 축이 유지된다. 또한, 장공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1의 호차 및 제2의 호차에 직접적으로 도어의 자중을 가하지않게 할 수 있다. 또한, 심재는, 지지 부재와 반대측의 축을 유지하므로, 제1의 호차 및 제2의 호차의 주위가 지지 부재 및 도어의 심재에 의해 보호된다.
(8) 매달음부는, 원판상 부재와, 당해 원판상 부재에 편심하여 설치된 축에 의해 지지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원판상 부재에 도어의 매달음부를 매달게하여, 도어의 수평도를 조정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도 된다. 또한, 매달음부는, 플레이트 부재와 지지 부재를 동축에 고정시키는 구조여도 된다.
이 경우, 원판상 부재가 편심하여 설치되어 있으므로, 원판상 부재를 회전시킴으로써 매달음 부재의 연직 상하 방향의 조정을 행할 수 있다. 그 결과, 도어의 높이 조정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9) 도어의 심재는, 매달음부에 매달리는 부위에 연장하여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심재는, 매달음부에 매달리는 부위에 연장하여 설치되므로, 매달음부는, 도어의 연직 하향의 하중을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그 결과, 매달음부 및 심재의 사이에서, 불필요한 비틀림력 또는 모멘트력이 가해지지 않으므로, 안정되게 매달음부가 심재를 유지할 수 있다.
(10) 지지 부재는, 플레이트 부재에 고정하기 위한 나사 체결부를 더 가져도 된다.
이 경우, 지지 부재를 플레이트 부재에 확실하게 고정시킬 수 있어, 매달음부만의 고정과 달리, 복수의 축으로 지지 부재와 플레이트 부재를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확실하게 플레이트 부재와 지지 부재의 고정을 행할 수 있다. 그 결과, 지지 부재 및 플레이트 부재를 레일 부재를 따라 원활하게 안정되게 이동시킬 수 있다.
(11) 본 발명에 관한 철도 차량용 도어 시스템은, 철도 차량의 출입구에 설치된 도어와, C형 단면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레일 부재와, 레일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지지 부재와, 지지 부재에 설치되고, 또한 레일 부재의 C형 단면 형상 내를 주행 가능한 제1의 호차와, 지지 부재의 일단측에 설치되고, 레일 부재의 C형 단면 형상 내를 주행 가능한 제2의 호차와, 지지 부재의 타단측에 설치되고, 도어를 매달음 가능한 매달음부와, 도어를 개폐시키는 구동 기구를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철도 차량용 도어 시스템에 있어서는, C형 단면 형상 내를 제1의 호차 및 제2의 호차에 의해 지지 부재가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고, 도어를 매달게한 매달음부가 이동함으로써 철도 차량용 도어가 개폐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지지 부재에 제1의 호차가 설치되고, 지지 부재의 일단측에 제2의 호차가 설치되며, 지지 부재의 타단측에 매달음부가 설치된다. 즉, 지지 부재의 타단측이 도어의 자중에 의해 연직 하향으로 힘이 작용하여, 제1의 호차가 레일 부재 내의 한쪽에 의해 지지되고, 제2의 호차가 제1의 호차를 지점으로 하여, 연직 상향으로 힘이 작용하여, 레일 부재 내의 다른쪽에 의해 지지된다.
이 경우, 매달음부에 도어의 자중이 작용하여, 제1의 호차를 지점으로 하여 제2의 호차가 제1의 호차와 반대측의 레일 부재에 접촉함으로써 도어가 지지된다. 따라서, 탈륜을 방지하기 위해서 조정이 필요한 간극이 불필요해지므로, 조정 기구가 불필요해지고, 그 결과, 조정 기구의 고장 또는 파손에 의한 탈륜이 없으므로, 확실하고 안전하게 도어의 개폐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조정 기구가 없으므로, 조정 작업이 불필요해져, 제조나 시공 비용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제1의 호차 및 제2의 호차가 지지 부재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조립 시에 있어서 C형 단면 형상의 레일 부재의 끄트머리로부터, 용이하게 제1의 호차 및 제2의 호차를 삽입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의 형태에 관한 철도 차량용 도어 장치를 이용한 철도 차량용 도어 시스템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적 구성도.
도 2는 철도 차량용 도어 장치의 호차 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철도 차량용 도어 장치의 호차 장치가 레일 부재 내에 있는 경우의 모식적 확대도.
도 4는 도 3의 A-A 화살표에서 본 단면도.
도 5는 도 3의 B-B 화살표에서 본 단면도.
도 6은 도 3의 C-C 화살표에서 본 단면도.
도 7은 도 3의 D-D 화살표에서 본 단면도.
도 8은 철도 차량용 도어 장치(우측 도어 리프를 호차 장치에 매달게 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도 8의 E-E선에서 본 단면을 나타내는 모식적 단면도.
<부호의 설명>
100 : 호차 장치 110 : 제1의 호차
110a, 120a : 오목형상 112, 113 : 축
120 : 제2의 호차 140 : 나사 체결부
150 : 매달음부 152 : 원판상 부재
160 : 우측 플레이트 170 : 좌측 플레이트
180 : 공통 플레이트 200 : 레일 부재
200a : 볼록형상 300 : 구동 기구
500 : 철도 차량용 도어 시스템 710 : 좌측 도어 리프
720 : 우측 도어 리프 750 : 매달음 형상부
751, 752, 761, 762 : 구멍 753, 754, 763, 764 : 장공
781, 782 : 매달음부 800 : 철도 차량용 도어 장치
θ : 각도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실시의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1의 실시의 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의 형태에 관한 철도 차량용 도어 장치를 이용한 철도 차량용 도어 시스템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적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철도 차량용 도어 시스템(500)은, 구동 기구(300), 철도 차량용 도어 장치(800)를 포함한다. 또한 철도 차량용 도어 장치(800)는, 호차 장치(100), 레일 부재(200), 좌측 도어용 랙(310), 우측 도어용 랙(320), 제어 박스(400), 전달 부재(600, 610), 좌측 도어 리프(710) 및 우측 도어 리프(720)를 포함한다.
도 1의 구동 기구(300)에 우측 도어용 랙(320) 및 좌측 도어용 랙(310)이 수평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연장하여 설치된다. 우측 도어용 랙(320) 및 좌측 도어용 랙(310)의 선단에는, 전달 부재(600, 610)가 설치되고, 전달 부재(610)는, 호차 장치(100)에 고정되어 있다. 호차 장치(100)는, 레일 부재(200)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고, 또한, 좌측 도어 리프(710) 및 우측 도어 리프(720)를 매달음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도 1의 철도 차량용 도어 시스템(500)은, 제어 박스(400)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구동 기구(300)가 구동함으로써, 우측 도어용 랙(320) 및 좌측 도어용 랙(310)이 수평 방향으로 신축하도록 이동되고, 우측 도어용 랙(320) 및 좌측 도어용 랙(310)의 선단에 설치된 전달 부재(600, 610)가 이동한다. 전달 부재(600, 610)가 이동함으로써, 레일 부재(200)를 따라 호차 장치(100)가 이동하고, 좌측 도어 리프(710) 및 우측 도어 리프(720)의 개폐가 행해진다.
이하, 호차 장치(100)의 상세에 대해서 설명을 행한다. 도 2는, 호차 장치(100)의 일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2(a)는 호차 장치(100)의 정면을 나타 내고, 도 2(b)는 호차 장치(100)의 상면을 나타낸다.
도 2(a)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호차 장치(100)는, 주로 제1의 호차(110), 제2의 호차(120), 나사 체결부(140), 매달음부(150), 우측 플레이트(160), 좌측 플레이트(170) 및 공통 플레이트(180)를 포함한다.
도 2(a), (b)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공통 플레이트(180)가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된다. 이 공통 플레이트(180)의 양 끝에 좌우 대칭이 되도록 우측 플레이트(160) 및 좌측 플레이트(170)가 고정된다.
공통 플레이트(180)의 단부에 고정된 우측 플레이트(160)에는, 제1의 호차(110), 제2의 호차(120), 나사 체결부(140) 및 매달음부(150)가 설치되어 있다. 우측 플레이트(160)의 나사 체결부(140) 및 매달음부(150)에 있어서, 공통 플레이트(180)에 관통하여 후술하는 볼트가 설치되고, 당해 볼트로 우측 플레이트(160)에 고정 설치된다. 마찬가지로, 공통 플레이트(180)의 단부에 고정된 좌측 플레이트(170)에도, 제1의 호차(110), 제2의 호차(120), 나사 체결부(140) 및 매달음부(150)가 설치되어 있다. 좌측 플레이트(170)의 나사 체결부(140) 및 매달음부(150)에 있어서, 공통 플레이트(180)에 관통하여 볼트가 설치되고, 당해 볼트로 좌측 플레이트(170)에 고정 설치된다.
다음에, 도 3의 레일 부재(200) 내의 우측 플레이트(160)에 대해서 설명을 행한다. 도 3은, 호차 장치(100)가 레일 부재(200) 내에 있는 경우의 모식적 확대도이며, 도 4는 도 3의 A-A 화살표에서 본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3의 B-B 화살표에서 본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3의 C-C 화살표에서 본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3의 D-D 화살표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3에서 도 7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레일 부재(200)는, C형 단면 형상을 가진 장척 부재이다. 레일 부재(200)는, C형 단면 형상의 선단부에 볼록형의 곡면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우측 플레이트(160)는, 당해 레일 부재(200)의 내부에 위치 하도록 배치된다. 도 4에서 도 7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우측 플레이트(160)는, 공통 플레이트(180)에 고정되는 부분과, 제1의 호차(110) 및 제2의 호차(120)의 유지 부분에서 두께 및 형상이 다르게(도 2(b) 참조) 형성된다.
여기서, 후술하는 우측 도어 리프(720)를 매달음부(150)에 매단 경우, 매달음부(150)에 하방향의 힘이 작용하여, 제1의 호차(110)가 레일 부재(200)의 하측에 접지하여 지점으로 되고, 제2의 호차(120)가 레일 부재(200)의 상측에 접촉하여, 반작용점이 된다. 이 경우, 레일 부재(200)의 연장 방향과, 제1의 호차(110)의 축과 제2의 호차(120)의 축을 연결한 가상선의 각도(θ)가 작은 각도, 예를 들면 3도 이하의 각도가 되도록 설치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레일 부재(200)의 연장 방향과, 제1의 호차(110)의 축과 제2의 호차(120)의 축을 연결한 가상선의 각도(θ)가 1도가 되도록 설치한다.
우측 플레이트(160)는, 공통 플레이트(180)와 고정되는 측에 경사(160a)가 형성되어 있다. 경사(160a)가 형성된 우측 플레이트(160)의 선단에 매달음부(150)가 볼트(B)에 의해 고정된다. 또한, 당해 볼트(B)에 의해, 매달음부(150)뿐만 아니라, 우측 플레이트(160)도 함께 공통 플레이트(180)에 고정된다. 매달음부(150)에는, 원판상 부재(152)가 부착되어 있고, 이 원판상 부재(152)는, 매달음부(150) 의 볼트(B)에 대해서 편심하는, 즉, 도 4에 있어서 원판상 부재(152)와 원판상 부재(152a)(파선)의 범위에서 회전 가능하게 부착된다. 매달음부(150)의 근방에는, 나사 체결부(140)가 설치된다.
우측 플레이트(160)에 고정된 매달음부(150)의 근방에, 나사 체결부(140)가 볼트(B)에 의해 고정된다. 또한, 당해 볼트(B)에 의해 나사 체결부(140)뿐만 아니라, 공통 플레이트(180)도 함께 우측 플레이트(160)에 고정된다. 이에 따라, 우측 플레이트(160)는, 2개소의 볼트(B)(매달음부(150) 및 나사 체결부(140))에 의해 공통 플레이트(180)에 고정된다.
이어서, 도 4∼도 7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레일 부재(200)는, 대략 C형 단면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는, 레일 부재(200)의 레일부는, 볼록형상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하, 레일 부재(200)의 레일부의 볼록형상의 최소 이간 거리를 L11로 표시한다.
한편, 도 2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매달음부(150)의 축 및 나사 체결부(140)의 축의 연장선 상에 제1의 호차(110)가 설치된다. 제1의 호차(110)는, 우측 플레이트(160)의 거의 중앙에 설치되어 있다. 도 2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제1의 호차(110)의 편측의 축(112)은, 우측 플레이트(160)에 의해 유지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제1의 호차(110)의 외주면은, 레일 부재(200)의 볼록형상(200a)에 대응하는 오목형상(110a)이 형성되어 있다. 제1의 호차(110)의 오목형상(110a)의 최소 외주 직경(D11)으로 표시하고, 오목형상(110a)의 최대 외주 직경(D10)으로 표시한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제1의 호차(110)의 오목형상(110a)의 최소 외주 직경(D11)은, 레일 부재(200)의 볼록형상(200a)의 최소 이간 거리(L11)보다도 거리(간극)(L10)만큼 작은 값이고, 제1의 호차(110)의 오목형상(110a)의 최대 외주 직경(D10)은, 레일 부재(200)의 볼록형상(200a)의 최소 이간 거리(L11)보다도 큰 값이다.
또한, 도 6에 있어서는, 매달음부(150)에 우측 도어 리프(720)를 매달고 있으므로, 레일 부재(200)의 연직 하방향의 볼록형상(200a)에 제1의 호차(110)가 접촉하고 있고, 제1의 호차(110)와 레일 부재(200)의 연직 상방향의 볼록형상(200a)의 사이에 간극(L10)이 형성된다. 간극(L10)은, 0.5㎜이상 10㎜이하의 범위의 값인 것이 바람직하고,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는, 간극(L10)이 1㎜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6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제1의 호차(110)의 내부에는, 볼베어링(113)이 조합되어 있고, 제1의 호차(110)의 축(112)에 대해서 원활하게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제2의 호차(120)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제2의 호차(120)는, 우측 플레이트(160)의 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제2의 호차(120)의 편측의 축(122)은, 우측 플레이트(160)에 의해 지지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제2의 호차(120)의 외주면은, 레일 부재(200)의 볼록형상(200a)에 대응하는 오목형상(120a)이 형성되어 있다. 제2의 호차(120)의 오목형상(120a)의 최소 외주 직경(D12)으로 표시하고, 오목형상(120a)의 최대 외주 직경(D13)으로 표시한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제2의 호차(120)의 오목형상(120a)의 최소 외주 직경(D12)은, 레일 부재(200)의 볼록형상(200a)의 최소 이간 거리(L11)보다도 거리(간극)(L13)만큼 작은 값이고, 제2의 호차(120)의 오목형상(120a)의 최대 외주 직경(D13)은, 레일 부재(200)의 볼록형상(200a)의 최소 이간 거리(L11)보다도 큰 값이다.
또한, 도 7에 있어서는, 매달음부(150)에 우측 도어 리프(720)를 매달고 있으므로, 레일 부재(200)의 연직 상방향의 볼록형상(200a)에 제2의 호차(120)가 접촉하고 있고, 제2의 호차(120)와 레일 부재(200)의 연직 상방향의 볼록형상(200a)의 사이에 간극(L13)이 형성된다. 간극(L13)은, 0.5㎜이상 10㎜이하의 범위의 값인 것이 바람직하고,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는, 간극(L10)이 1㎜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간극(L13)은, 제1의 호차(110)와 레일 부재(200)의 간극(L10)과 동일한 값이어도 된다.
또한, 도 7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제2의 호차(120)의 내부에는, 볼베어링(123)이 조합되어 있고, 제2의 호차(120)의 축(122)에 대해서 원활하게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계속해서, 도 8은, 우측 도어 리프(720)를 호차 장치(100)에 매달게 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9는, 도 8의 E-E선에서 본 단면을 나타내는 모식적 단면도이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호차 장치(100)를 레일 부재(200)의 끄트머리로 부터 레일 부재(200) 내로 삽입한다. 그리고, 공통 플레이트(180), 좌측 플레이트(170) 및 우측 플레이트(160)에 대해, 우측 도어 리프(720)를 매달게 한다.
여기서, 도 9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우측 도어 리프(720)에는, 우측 도어 리프(720)를 구성하는 주재로서 매달음 형상부(75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매달음 형상부(750)에는, 좌측 플레이트(170)의 매달음부(150)에 대응하는 구멍(751), 좌측 플레이트(170)의 나사 체결부(140)에 대응하는 구멍(752), 좌측 플레이트(170)의 제1의 호차(110)의 축(112)에 대응하는 장공(753), 좌측 플레이트(170)의 제2의 호차(120)의 축(122)에 대응하는 장공(754), 우측 플레이트(160)의 매달음부(150)에 대응하는 구멍(761), 우측 플레이트(160)의 나사 체결부(140)에 대응하는 구멍(762), 우측 플레이트(160)의 제1의 호차(110)의 축(112)에 대응하는 장공(763), 우측 플레이트(160)의 제2의 호차(120)의 축(122)에 대응하는 장공(76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매달음 형상부(750)는, 중앙부에 절결 부분(770)이 설치되어 있고, 그 좌우에 매달음부(781, 782)가 형성되어 있다. 이 매달음부(781, 782)는, 좌측 플레이트(170)의 매달음부(150)에 대응하는 구멍(751), 좌측 플레이트(170)의 나사 체결부(140)에 대응하는 구멍(752), 우측 플레이트(160)의 매달음부(150)에 대응하는 구멍(761), 우측 플레이트(160)의 나사 체결부(140)에 대응하는 구멍(762)의 연직 하방향으로 연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구멍(751)이, 좌측 플레이트(170)의 매달음부(150)의 원판상 부재(152)에 대해서 매달리고, 구멍(752)이, 좌측 플레이트(170)의 나사 체결부(140)에 대해서 매 달리며, 구멍(761)이, 우측 플레이트(160)의 매달음부(150)의 원판상 부재(152)에 대해서 매달리고, 구멍(762)이, 우측 플레이트(160)의 나사 체결부(140)에 대해서 매달린다. 그에 따라, 우측 도어 리프(720)의 겹침량이, 호차 장치(100)에 의해 유지된다.
또한,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제1의 호차(110)의 축(112) 및 제2의 호차(120)의 축(122)의 외주면에, 도 8 및 도 9에서 도시한 매달음 형상부(750)의 장공(753, 754, 763, 764)이 끼워지고, 도 9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제1의 호차(110)의 축(112) 및 제2의 호차(120)의 축(122)에 부하가 가해지지 않도록 고정된다. 또한, 도 8 및 도 9에 있어서는, 우측 도어 리프(720)에 대해서만 설명했는데, 도 1의 좌측 도어 리프(710)에 있어서도 동일한 기구가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관한 호차 장치(100)에 있어서는, 레일 부재(200)의 C형 단면 형상 내를 공통 플레이트(180), 우측 플레이트(160) 및 좌측 플레이트(170)가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고, 우측 도어 리프(720) 및 좌측 도어 리프(710)의 매달음부(150) 및 나사 체결부(140)가 이동함으로써 철도용 우측 도어 리프(720) 및 좌측 도어 리프(710)가 개폐된다. 이 경우, 우측 플레이트(160) 및 좌측 플레이트(170)의 매달음부(150) 및 나사 체결부(140)에, 우측 도어 리프(720) 및 좌측 도어 리프(710)의 자중에 의한 연직 하향으로 힘이 작용하고, 제1의 호차(110)가 레일 부재(200) 내의 한쪽에 의해 지지되고, 제2의 호차(120)가 제1의 호차(110)를 지점으로 하여, 연직 상향으로 힘이 작용하고, 레일 부재(200) 내의 다른쪽에 의해 지지된다. 따라서 탈륜을 방지하기 위해서 조정이 필요한 간극이 불필요해지므로, 조정 기구가 불필요해지고, 그 결과, 조정 기구의 고장 또는 파손에 의한 탈륜이 없으므로, 확실하고 안전하게 도어의 개폐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조정 기구가 없으므로, 조정 작업이 불필요해져, 제조나 시공 비용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공통 플레이트(180)의 좌우 대칭으로 우측 플레이트(160) 및 좌측 플레이트(170)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공통 플레이트(180) 및 우측 플레이트(160) 및 좌측 플레이트(170)가 레일 부재(200)에 대해서 왕복 이동되는 경우, 제1의 호차(110)와 제2의 호차(120)가 크게 경사지지 않고, 제1의 호차(110)와 제2의 호차(120)의 축간 거리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므로, 우측 플레이트(160) 및 좌측 플레이트(170)의 매달음부(150) 및 나사 체결부(140)로부터의 우측 도어 리프(720) 및 좌측 도어 리프(710)의 자중(작용력)을 균형있게 제1의 호차(110)와 제2의 호차(120)로 분산할 수 있어, 도어로부터의 편하중에도 대응할 수 있게 된다. 그 결과, 우측 플레이트(160) 및 좌측 플레이트(170)의 왕복 이동의 부하의 증대나 편하중에 대응할 수 있어, 원활하게 레일 부재(200)를 따라 왕복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레일 부재(200)에는, 한쌍의 볼록형상(200a)이 형성되고, 제1의 호차(110) 및 제2의 호차(120)에는, 오목형상(110a) 및 오목형상(120a)이 형성된다. 최대 외주 직경(D10, D13)은, 볼록형상(200a)의 최소 이간 거리(D11)보다도 크기 때문에, 제1의 호차(110) 및 제2의 호차(120)가 레일 부재(200)로부터 탈륜하고, 벗어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우측 도어 리프(720) 및 좌측 도어 리프(710)에 연직 상하 방향 및 요동의 힘이 가해진 경우에도, 제1의 호 차(110) 및 제2의 호차가 레일 부재(200)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호차 장치(100)를 레일 부재(200)를 따라 원활하게 안정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호차 장치(100)의 제조 시나 시공 시에 있어서, 공통 플레이트(180)의 양 끝에, 각각 우측 플레이트(160) 및 좌측 플레이트(170)가 설치되므로, 호차 장치(100)를 일체의 부재로서 취급할 수 있어, 개개의 우측 플레이트(160) 및 좌측 플레이트(170)에 설치된 매달음부(150) 및 나사 체결부(140)의 거리가 일정하게 되어, 분리되어 있는 경우에 비해, 위치 맞춤이 불필요해지므로, 좌측 도어 리프(710) 및 우측 도어 리프(720)를 용이하게 매달게 할 수 있다.
또한, 우측 도어 리프(720) 및 좌측 도어 리프(710)의 매달음 형상부(750)에 매달음 가능한 구멍(751, 752, 761, 762) 및 장공(753, 754, 763, 764)이 형성되므로, 종래와 같이 매달음 가능한 구멍 부재를 형성한 별도의 부재를 우측 도어 리프(720) 및 좌측 도어 리프(710)의 상면에 부착하는 공정을 생략할 수 있어, 용이하게 호차 장치(100)를 포함하는 철도 차량용 도어 장치(800)의 제조를 행할 수 있다.
또한, 호차 장치(100)에 있어서는, 원판상 부재(152)가 편심하여 설치되므로, 원판상 부재(152)를 회전시켜, 원판상 부재(152a)로 이동시킴으로써 매달음부(150)의 연직 상하 방향의 조정을 행할 수 있다. 그 결과, 우측 도어 리프(720) 및 좌측 도어 리프(710)의 각각의 수평도 및 개개의 높이 조정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우측 도어 리프(720) 및 좌측 도어 리프(710)의 매달음 형상부(750)에 형성된 장공(753, 754, 763, 764)에 의해 제1의 호차(110) 및 제2의 호차(120) 의 축(112, 122)이 유지된다. 또한 볼트(B)에 의해, 매달음부(150)뿐만 아니라, 우측 플레이트(160)도 함께 공통 플레이트(180)에 고정되므로 연직 상하 방향의 조정을 고정하면, 제1의 호차(110)와 제2의 호차(120)가 레일 부재(200)에 회전 가능하게 맞닿는 상태로 호차 장치(106)를 고정하는 것을 동시에 행할 수 있게 되어, 따로 따로 고정하는 경우에 비해, 제조나 시공의 수고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우측 도어 리프(710) 및 좌측 도어 리프(720)의 매달음 형상부(750)는, 매달음부(150)에 매달리는 부위에 연장하여 설치되므로, 매달음 형상부(750)는, 우측 도어 리프(720) 및 좌측 도어 리프(710)의 연직 하향의 하중을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그 결과, 매달음부(150) 및 매달음 형상부(750)의 사이에서, 불필요한 비틀림력 또는 모멘트력이 가해지지 않으므로, 안정되게 매달음부(150)에 의해 매달음 형상부(750)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는, 제1의 호차(110) 및 제2의 호차(120)의 오목형상(110a), 오목형상(120a)으로 했는데, 이에 한정되지 않고, 레일 부재(200)의 볼록형상(200a)이 다르면, 그에 해당하는 형상이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매달음 형상부(750)는, 중앙부에 절결부(770)를 형성하는 것으로 했는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절결부(770)를 형성하지 않아도 된다.
상기 일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는, 좌측 도어 리프(710) 및 우측 도어 리프(720)가 출입구의 도어에 상당하고, 철도 차량용 도어 시스템(500)이 철도 차량용 도어 시스템에 상당하고, 철도 차량용 도어 장치(800)가 철도 차량용 도어 장치 에 상당하고, 구동 기구(300)가 구동 기구에 상당하며, 레일 부재(200)가 레일 부재에 상당하고, 우측 플레이트(160) 및 좌측 플레이트(170)가 지지 부재에 상당하고, 제1의 호차(110)가 제1의 호차에 상당하고, 제2의 호차(120)가 제2의 호차에 상당하고, 매달음부(150)가 매달음부에 상당하며, 공통 플레이트(180)가 플레이트 부재에 상당하고, 각도(θ)가 경사각에 상당하고, 오목형상(110a, 120a)이 오목형상에 상당하고, 볼록형상(200a)이 한쌍의 볼록형상에 상당하고, 매달음 형상부(750)가 차량의 도어를 형성하는 심재에 상당하고, 구멍(751, 752, 761, 762)이 매달음 가능한 구멍 형상에 상당하고, 축(112, 113)이 제1의 호차 및 제2의 호차의 축에 상당하고, 장공(753, 754, 763, 764)이 복수의 장공에 상당하고, 원판상 부재(152)가 원판상 부재에 상당하고, 매달음부(781, 782)가 매달리는 부위에 상당하고, 나사 체결부(140)가 나사 체결부에 상당한다. 또한, 볼록형상(200a)이 레일부에 상당하고, 오목형상(110a) 및 오목형상(120a)이 피레일부에 상당한다. 이와같이 구성함으로써, 매달음 형상부(750)를 차량의 도어를 형성하는 심재와 공통화할 수 있어, 별도체인 경우에 비해, 제조나 시공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바람직한 일실시의 형태에 기재되어 있는데, 본 발명은 이에만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로부터 일탈하지 않는 다양한 실시 형태가 그외에도 이루어지는 것은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한 작용 및 효과를 기술하고 있는데, 이들 작용 및 효과는, 일례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각 도면은 설계도 상당의 정밀도와 비율을 가지고 기재되어 있다.

Claims (11)

  1. 철도 차량의 출입구에 설치된 도어와,
    C형 단면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레일 부재와,
    상기 레일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지지 부재와,
    상기 지지 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레일 부재의 상기 C형 단면 형상 내를 주행 가능한 제1의 호차(戶車)와,
    상기 지지 부재의 일단측에 설치되고, 상기 레일 부재의 상기 C형 단면 형상내를 주행 가능한 제2의 호차와,
    상기 지지 부재의 타단측에 설치되고, 상기 도어를 매달음 가능한 매달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차량용 도어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레일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플레이트 부재와,
    상기 플레이트 부재의 양 끝에 좌우 대칭으로, 상기 제1의 호차, 상기 제2의 호차 및 상기 매달음부가 설치된 상기 지지 부재가 각각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차량용 도어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의 호차의 축 및 상기 제2의 호차의 축을 연결하는 가상선은, 상기 레일 부재의 길이 방향에 대해서 조금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차량용 도어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레일 부재의 C형 단면 형상의 개구부에는 한쌍의 볼록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레일부, 상기 제1의 호차의 외측 원주면에는 오목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피(被)레일부, 또는, 상기 레일 부재의 C형 단면 형상의 개구부에는 한쌍의 오목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레일부, 상기 제1의 호차의 외측 원주면에는 볼록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피레일부가 형성되고,
    상기 레일부의 한쌍의 볼록형상끼리 또는 한쌍의 오목형상끼리의 최단 이간 거리는, 상기 제1의 호차의 최대 외주의 직경보다도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차량용 도어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레일 부재의 C형 단면 형상의 개구부에는 한쌍의 볼록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레일부, 상기 제1의 호차의 외측 원주면에는 오목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피레일부, 또는, 상기 레일 부재의 C형 단면 형상의 개구부에는 한쌍의 오목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레일부, 상기 제1의 호차의 외측 원주면에는 볼록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피레일부가 형성되고,
    상기 레일부의 한쌍의 볼록형상끼리 또는 한쌍의 오목형상끼리의 최단 이간 거리는, 상기 제2의 호차의 최대 외주의 직경보다도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차량용 도어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매달음부에 매달음 가능한 구멍 형상이 상기 도어를 형성하는 심재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차량용 도어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에 의해 캔틸레버 지지되는 상기 제1의 호차 및 상기 제2의 호차의 반대측의 축을 유지 가능한 복수의 장공이 상기 도어를 형성하는 심재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차량용 도어 장치.
  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매달음부는, 원판상 부재와, 당해 원판상 부재에 편심하여 설치된 축에 의해 상기 지지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원판상 부재에 상기 도어의 매달음부를 매달리게 하여, 상기 도어의 수평도를 조정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차량용 도어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심재는,
    상기 매달음부에 매달리는 부위에 연장하여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차량용 도어 장치.
  10.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플레이트 부재에 고정하기 위한 나사 체결부를 더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차량용 도어 장치.
  11. 철도 차량의 출입구에 설치된 도어와,
    C형 단면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레일 부재와,
    상기 레일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지지 부재와,
    상기 지지 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레일 부재의 상기 C형 단면 형상 내를 주행 가능한 제1의 호차와,
    상기 지지 부재의 일단측에 설치되고, 상기 레일 부재의 상기 C형 단면 형상내를 주행 가능한 제2의 호차와,
    상기 지지 부재의 타단측에 설치되고, 상기 도어를 매달음 가능한 매달음부와,
    상기 도어를 개폐시키는 구동 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차량용 도어 시스템.
KR1020097025107A 2007-06-07 2008-05-08 철도 차량용 도어 장치 및 철도 차량용 도어 시스템 KR2009013088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151467 2007-06-07
JPJP-P-2007-151467 2007-06-0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30880A true KR20090130880A (ko) 2009-12-24

Family

ID=400934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25107A KR20090130880A (ko) 2007-06-07 2008-05-08 철도 차량용 도어 장치 및 철도 차량용 도어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2165909B1 (ko)
JP (1) JP5134622B2 (ko)
KR (1) KR20090130880A (ko)
CN (1) CN101678839B (ko)
TW (1) TW200904683A (ko)
WO (1) WO200814963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8916Y1 (ko) * 2011-02-24 2012-03-21 박재완 Ktx 차량 객실 출입문 행거 트롤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09310B2 (ja) * 2009-05-20 2011-06-22 日東工器株式会社 防火用引戸装置及びその戸車装置
KR200453386Y1 (ko) 2009-07-28 2011-04-27 현대로템 주식회사 전동차 출입구용 이물질 유입방지장치
EP2503087B1 (en) * 2009-11-17 2019-12-04 Nabtesco Corporation Door hanging apparatus and door apparatus provided with the same
JP5421824B2 (ja) * 2010-03-08 2014-02-19 リョービ株式会社 引戸の吊り下げ装置
WO2012157492A1 (ja) 2011-05-16 2012-11-22 ナブテスコ株式会社 戸吊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ドア装置
AT512237A1 (de) * 2011-12-12 2013-06-15 Siemens Ag Oesterreich Antriebseinheit
CN102817526A (zh) * 2012-08-06 2012-12-12 南京康尼机电股份有限公司 客车车辆双扇门开关门联动机构
AT13933U1 (de) * 2013-06-27 2014-12-15 Knorr Bremse Ges Mit Beschränkter Haftung Führungssystem für eine Schwenkschiebetür eines Schienenfahrzeugs
AT515253B1 (de) * 2013-02-27 2017-07-15 Knorr-Bremse Ges Mit Beschränkter Haftung Schiebetürmodul/Schwenkschiebetürmodul für ein Schienenfahrzeug mit zumindest zwei Führungswägen/Führungsschlitten je Türflügel
ES2832173T3 (es) * 2013-06-27 2021-06-09 Knorr Bremse Gmbh Módulo de puerta corrediza/módulo de puerta pivotante para un vehículo sobre carriles
JP6542540B2 (ja) * 2015-02-10 2019-07-10 ナブテスコ株式会社 戸吊装置
JP6530612B2 (ja) * 2015-02-10 2019-06-12 ナブテスコ株式会社 戸吊装置
JP2019111881A (ja) * 2017-12-21 2019-07-11 三井金属アクト株式会社 スライドドアの支持装置
DE102022120816A1 (de) * 2022-08-17 2024-02-22 Bode - Die Tür Gmbh Schwenkschiebetür-Führungseinrichtung ohne Führungsschiene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564572C (de) * 1932-11-21 Wilhelm Hautau Mittels eines Exzenters in der Hoehe verstellbares Gehaenge fuer Schiebetueren
GB604101A (en) * 1945-11-24 1948-06-28 Wilfrid Overto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supporting means for sliding doors and the like
JPS4533182Y1 (ko) * 1967-07-13 1970-12-17
JPS5110052Y2 (ko) * 1972-02-26 1976-03-17
JPS548169B2 (ko) * 1972-03-31 1979-04-13
JPS5826177A (ja) * 1981-08-10 1983-02-16 株式会社ナブコ 車両用引戸開閉装置
JPS5954679U (ja) * 1982-09-11 1984-04-10 今野 正 戸板及びレ−ル
JPS5954679A (ja) * 1982-09-24 1984-03-29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繊維強化型窒化硅素焼結体の製造法
JPS60182395A (ja) * 1984-02-28 1985-09-17 Matsushita Seiko Co Ltd 天井扇風機
JPS60182395U (ja) * 1984-05-12 1985-12-03 サンデン株式会社 運搬用箱体におけるスライド扉案内構造
JPS62253888A (ja) * 1986-04-23 1987-11-05 川崎重工業株式会社 引戸の吊車装置
JPS6319675A (ja) * 1986-07-12 1988-01-27 Minolta Camera Co Ltd 2色画像形成方法
JPH0421417Y2 (ko) * 1986-07-22 1992-05-15
JPS63129076A (ja) * 1986-11-17 1988-06-0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圧電セラミツク基板の製造方法
JPS63129076U (ko) * 1987-02-14 1988-08-24
JP2588393Y2 (ja) * 1992-12-24 1999-01-06 千蔵工業株式会社 吊り戸の建付け調整装置
JPH07119357A (ja) * 1993-10-21 1995-05-09 Narita Seisakusho:Kk 引戸における高さ調整装置
JP2588136B2 (ja) * 1994-03-14 1997-03-05 株式会社ソリック 自動ドア装置のハンガーローラー機構
JP3113798B2 (ja) * 1995-08-04 2000-12-04 日東工器株式会社 上吊型引戸用ハンガ装置
JP3261496B2 (ja) * 1996-09-10 2002-03-04 スガツネ工業株式会社 吊り戸等走行移動体の案内用ランナー取付装置
JPH10238205A (ja) * 1997-02-26 1998-09-08 Nabco Ltd ドア懸架装置
JP3240509B2 (ja) * 1997-06-10 2001-12-17 小松ウオール工業株式会社 建築物の出入口用の吊戸装置
DE19860122C2 (de) * 1998-12-23 2000-11-23 Agta Record Ag Fehraltorf Laufwagen für einen verfahrbaren Gegenstand, insbesondere für eine automatische Schiebetür oder ein automatisches Schiebetor mit zumindest einer Schiebetür oder einem Schiebetor
JP3288653B2 (ja) * 1999-07-16 2002-06-04 川崎重工業株式会社 鉄道車両の引き戸戸吊り金
JP3288652B2 (ja) * 1999-07-16 2002-06-04 川崎重工業株式会社 鉄道車両の引き戸戸吊り金
JP3921650B2 (ja) * 1999-08-05 2007-05-30 ケージーパルテック株式会社 吊り引戸装置
JP2001049943A (ja) * 1999-08-09 2001-02-20 Kg Parutekku Kk 建具用ランナー
JP2001055860A (ja) * 1999-08-17 2001-02-27 Kg Parutekku Kk 吊り引戸装置
TW565515B (en) * 2002-01-21 2003-12-11 Nabco Ltd Open/close device of a door of a rail road locomotive
CN2576886Y (zh) * 2002-09-28 2003-10-01 南京康尼机电新技术有限公司 轨道车辆用电动移门
JP4174719B2 (ja) 2003-06-18 2008-11-05 富士電機システムズ株式会社 電車用側引戸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8916Y1 (ko) * 2011-02-24 2012-03-21 박재완 Ktx 차량 객실 출입문 행거 트롤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904683A (en) 2009-02-01
WO2008149632A1 (ja) 2008-12-11
JPWO2008149632A1 (ja) 2010-08-19
EP2165909B1 (en) 2016-11-30
EP2165909A4 (en) 2012-09-26
EP2165909A1 (en) 2010-03-24
CN101678839A (zh) 2010-03-24
JP5134622B2 (ja) 2013-01-30
CN101678839B (zh) 2011-07-06
TWI370779B (ko) 2012-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130880A (ko) 철도 차량용 도어 장치 및 철도 차량용 도어 시스템
FI91631B (fi) Liukuovikokoonpano
US7789021B2 (en) Suspension conveyance apparatus
US9834226B2 (en) Travelling vehicle system and travelling method for travelling vehicle
US8707871B2 (en) Self-steering device for railway vehicle
US20080142308A1 (en) Elevator system
JP2005007985A (ja) 電車用側引戸装置
US20190375434A1 (en) Trolley
US9561937B2 (en) Counterweight arrangement for an elevator and an elevator
JP4137253B2 (ja) 鉄道車両の軌間可変装置
JP4907120B2 (ja) エレベータ
CN110950215A (zh) 平衡支撑的电梯轿底结构
US20230392424A1 (en) Linear guide without guide rail
JP4122016B2 (ja) 引戸装置
CA2835149C (en) Height adjustment device for transit shaft and arm assembly
US20240060341A1 (en) Pivot sliding door guiding device without guide rail
ES2575986T3 (es) Mecanismo de operación de puertas de ascensor
CN102753467B (zh) 具有配重的升降机
RU2623278C2 (ru) Рельсовая система для раздвижных дверей лифта
US1069261A (en) Door-hanger.
CN218064353U (zh) 悬吊式医用设备
EP2724970B1 (en) Elevator and method for repairing elevator
CN220055944U (zh) 电梯安装专用设备
SU821341A1 (ru) Подвесной конвейер
EP2786951A1 (en) Door suspension and guiding arrangement for centrally opening panel doors, especially in elevato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