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20425A - 철근 결속기 - Google Patents

철근 결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20425A
KR20090120425A KR1020090043658A KR20090043658A KR20090120425A KR 20090120425 A KR20090120425 A KR 20090120425A KR 1020090043658 A KR1020090043658 A KR 1020090043658A KR 20090043658 A KR20090043658 A KR 20090043658A KR 20090120425 A KR20090120425 A KR 200901204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el
stopper
wire
reinforcing bar
sid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36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71168B1 (ko
Inventor
오사무 이타가키
이치로 쿠사카리
타카히로 나가오카
Original Assignee
마크스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크스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마크스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1204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04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11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11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2Mounting of reinforcing inserts; Prestressing
    • E04G21/122Machines for joining reinforcing ba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2Mounting of reinforcing inserts; Prestressing
    • E04G21/122Machines for joining reinforcing bars
    • E04G21/123Wire twisting to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torage Of Web-Like 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 Wire Processing (AREA)

Abstract

결속기 본체에 마련한 수납실(3)에 철근을 결속하는 와이어를 권장한 와이어 릴(4)을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도록 수납하고, 이 와이어 릴(4)로부터 와이어를 인출하여 철근의 둘레에 권취하고, 권취한 부분을 비틀어 상기 철근을 결속하는 철근 결속기에 있어서, 상기 수납실(3)의 양 측벽 중의 일 측벽에는, 와이어 릴(4)에 형성된 축 받이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개구부(24)가 관통되어 형성된다. 상기 다른 일 측벽에는, 상기 개구부(24)로 출입이 가능하게 지지된 릴 받이부(27)가, 상기 측벽의 내측으로 밀어 넣어졌을 때에 상기 와이어 릴(4)의 축 받이부에 감합된다. 릴 스토퍼(33)는 상기 일 측벽의 벽면을 따라서 이동하여 상기 축 받이부에 감합된 릴 받이부(27)에 계합할 수 있다. 리프 스프링(44)은, 상기 릴 받이부(27)에 계합된 릴 스토퍼(33)를 밀어 넣는 측으로 가압한다.
철근 결속기, 와이어 릴, 리프 스프링

Description

철근 결속기{REINFORCING BAR BINDER}
본 발명은, 철근 결속기에 관한 것이다.
철근 결속기에 있어서, 결속기 본체에 마련한 수납실에 철근을 결속하는 와이어를 권취한 와이어 릴이 자유로이 회전할 수 있게 수납되고, 와이어의 선단은 와이어 릴로부터 인출되어 철근의 둘레로 송출되어, 철근의 둘레에 권취한 후 비틀어져 철근이 결속된다.
이 종류의 철근 결속기에 있어서, 와이어 릴은, 수납실의 결속기 본체의 내측에 배치된 측벽과 외 측에 배치된 측벽 사이에 배치되는데, 와이어 릴에는 회전 중심이 되는 부분에 중심구멍이 마련되어 있지만, 이 중심구멍의 중앙 부분에는 와이어의 권취 단부가 삽입 권취되어, 와이어가 와이어 릴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이 때문에, 상기 중심구멍에 회전축을 관통시킬 수 없다.
여기서, 와이어 릴의 일 측에는 상기 중심구멍의 주위에 원형의 오목부를 형성하여, 이 오목부에 결속기 본체의 측벽에 마련한 원반형상으로 돌출된 릴 가이드를 감합시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또한, 와이어 릴의 타 측에는, 상기 중심구멍의 개구단부 측에, 상기 두 측벽 중의 일 측벽으로부터 릴 받이부를 감합시 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이와 같이, 릴 가이드와 릴 받이부에 의하여 와이어 릴을 사이에 끼워 지지하고 있었다. 릴 받이부는 수납실의 측벽에 접근/이격이 가능하게 축으로 지지된 지지 아암의 단부에 마련되고, 지지 아암을 조작하여 상기 측벽에 관통 형성된 개구부로부터 릴 받이부를 수납실의 내측으로 밀어 넣는 것에 의하여, 와이어 릴의 중심구멍에 얕게 감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의 구조는, 예를 들면, 일본 실용신안 등록 제 2558393호 공보 및 일본 특개 2005-194847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측벽에는 상기 릴 받이부와 함께 릴 스토퍼가 마련되어 있다. 릴 스토퍼는 중심구멍에 감합된 릴 받이부에 계합되어 릴 받이부가 이격 작동하지 않게 한다. 이와 같이 릴 받이부는 회동하는 지지 아암에 마련된 것이기 때문에, 장착 후에 흔들림이 발생한다. 또한, 릴 스토퍼는 단순히 릴 받이부가 빠지지 않도록 계합되어 있을 뿐이다. 이 때문에, 릴 받이부의 흔들림에 의하여, 와이어 릴의 회전이 불안정하게 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는, 와이어 릴을 항상 안정하게 회전시킬 수 있는 철근 결속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의하면, 철근 결속기(1)는, 와이어 릴(4)이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는 수납실(3)과, 상기 수납실(3)의 양 측벽(13, 14) 중, 일 측벽(14)의 상기 와이어 릴의 축 받이부(20, 21)에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된 개구부(24)와, 상기 일 측벽(14)에 상기 개구부(24)로 출입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일 측벽(14)의 내측으로 눌러졌을 때에 상기 와이어 릴(4)의 축 받이부(21)에 감합되는 릴 받이부(27)와, 상기 일 측벽(14)의 벽면을 따라 이동하여 축 받이부(21)에 감합되어 있는 상기 릴 받이부(27)와 계합되는 릴 스토퍼(33)와, 상기 릴 받이부(27)와 계합되어 있는 상기 릴 스토퍼(33)를, 릴 스토퍼(33)가 와이어 릴(4) 쪽으로 밀어 넣어지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체(44)를 갖춘다.
상기의 구조에 의하면, 와이어 릴을 수납실에 수납한 후, 릴 받이부를 개구부에 밀어 넣어 와이어 릴의 축 받이부에 감합시키고, 더욱이 릴 스토퍼를 회동시켜 릴 받이부에 계합시키는 것에 의하여, 와이어 릴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릴 스토퍼도 릴 받이부가 개구부로부터 빠져나가지 않도록 유지되어 지지된다. 그리고 탄성체에 의하여 릴 받이부에 계합된 릴 스토퍼를 밀어 넣는 측으로 가압한다. 따라서, 릴 스토퍼는 안정되고, 와이어 릴을 항상 안정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철근 결속기(1)는, 상기 탄성체(44)와 릴 스토퍼(33) 중의 하나에 마련된 오목부(36)와, 상기 탄성체(44)와 릴 스토퍼(33) 중의 다른 하나에 마련되고, 상기 오목부(36)와 탄성적으로 계합 가능한 볼록부(46)를 갖추어도 좋다.
상기의 구조에 의하면, 상기 탄성체와 릴 스토퍼에는, 서로 탄발(彈發)적으로 계합 가능한 오목부와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계합 시에 클릭 감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철근 결속기(1)는, 상기 릴 받이부(27)와 릴 스토퍼(33) 사이의 계합부에 마련된 금속 커버(37)를 갖추어도 좋다.
상기의 구조에 의하면, 릴 받이부와 상기 릴 스토퍼의 계합부에는 금속제의 커버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열었다 채웠다 를 반복적으로 행하여도, 계합부는 거의 마모하지 않는다.
더욱이, 상기 릴 스토퍼(33)는 레버부(34)와 스토퍼부(35)를 갖추어도 좋다. 상기 레버부(34)를 조작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스토퍼부(35)는 상기 릴 받이부(27)에 계합·이격되도록 이동되어도 좋다. 상기 릴 받이부(27)와 계합되어 있는 상기 스토퍼부(35)가, 와이어 릴(4)을 향하여 릴 받이부(27)를 누르도록, 상기 탄성체(44)는 레버부(34)를 눌러도 좋다.
본 발명에 의하면 와이어 릴을 항상 안정하게 회전시킬 수 있는 철근 결속기를 제공할 수 있다.
그 외의 특징 및 효과는, 실시예의 기재 및 첨부된 청구항에 의하여 명백하 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전형적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에 있어서 부호 1은 철근 결속기를 나타낸다. 철근 결속기(1)는, 결속기 본체(2)에 마련된 수납실(3)에, 철근 결속용 와이어(5)를 권취한 와이어 릴(4)을 장착하고, 상기 와이어 릴(4)을 회전시키면서 와이어(5)를 소정의 길이만 결속기 본체(2)의 선단에 마련된 가이드부(6)로 송출하고, 상기 가이드부(6)로 와이어(5)에 권취성을 부여하여 가이드부(6)의 내측에 배치된 철근(7)의 둘레에 송출하여, 그 둘레에 권취한 후 와이어(5)의 끝 부분을 절단하는 한편, 권취한 부분을 비틀어 상기 철근(7)을 결속하는 장치이다.
수납실(3)과 가이드부(6) 사이에는 와이어(5)를 통과시키는 안내관(미도시)이 마련되고, 안내관의 중간 부분에는 전동 모터(8)에 의해 구동되는 와이어 송출 기어(10)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부(6)에는, 도시하지 않지만, 와이어 절단장치와 와이어 비틀기 장치가 배치되어 있다. 트리거(11)에 의해 스위치가 온이 되면, 전동 모터(8)가 회전되어 와이어 송출 기어(10)가 회전하고, 수납실(3) 내에 수납된 와이어 릴(4)에 권취되어 있는 와이어(5)가 안내관을 통해 결속기 본체(2)의 전방으로 송출된다.
가이드부(6)는, 결속기 본체(2)로 이송된 와이어(5)가 컬 형태를 이루면서 나아가도록 권취성을 부여하는 부품이고, 권취성을 부여하여 하부 가이드(9)와의 사이에서 철근(7)의 둘레를 권취시키게 되어 있다. 그리고 와이어(5)는 철근(7)에 권취된 후, 다른 전동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절단장치에 의하여 절단되고, 비틀기 장치에 의하여 비틀려 철근을 결속한다.
또, 와이어 송출 기어, 와이어 절단장치, 와이어 비틀기 장치의 작동 등은 도시하지 않는 제어회로에 의해서 연속 제어되고 있다. 또한, 제어회로는 와이어(5)의 이송량도 측정하고 있다.
여기서, 와이어 릴(4)의 수납실(3)은,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결속기 본체(2) 측의 내측벽(13)과, 그 반대 측의 외 측벽(14)과, 안내관의 단부(12)가 개구되어 있는 전방벽(15)으로 구성되어 있다. 외 측벽(14)은 1매의 벽부재에 의해 구성되고, 그 전단(端)과 후단(端)은 각각 전방벽(15)과 내측벽(13)으로부터 돌출된 고정 부재(16)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와이어 릴(4)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마모나 휨에 대해 내성의 우수한 ABS 수지·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 등의 플라스틱에 의하여 형성되고, 외란광이 들어가지 않도록, 흑색의 플라스틱으로 구성되어 있다. 와이어 릴(4)은 와이어를 권취하는 허브부(17)와, 허브부(17)의 양측에 마련된 원판형상의 플랜지(18, 19)로 이루어진다. 허브부(17)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한 쌍의 플랜지(18, 19)와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도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허브부(17)의 중앙부에는 중심구멍(축 받이부)(21)이 형성되고, 중심구멍(21)의 내측에, 철근 결속기(1)의 외 측벽(14)에 마련된 후술의 릴 받이부(27)가 감합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한 쌍의 플랜지 중의 일 플랜지(18)의 외측 면의 중앙에는 환형상 오목 부(20)가 형성되어 있다. 다른 일 플랜지(19)의 중앙부에는 중심구멍(21)이 개구되어 있다. 그리고 환형상 오목부(20)와 중심구멍(21)은 와이어 릴(4)의 축 받이부를 구성하고, 결속기 본체의 내측벽(13)과 외측벽(14)에 마련된 축 형상의 릴 받이 수단에 의해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여기서, 내측벽(13)과 외측벽(14)에 마련된 릴 받이 수단에 대해 설명한다.
와이어 릴 수납실(3)의 내측벽(13)에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릴 가이드(22)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릴 가이드(22)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반형상의 가이드 본체(22a)와 가이드 본체(22a) 주위에 권취된 철 등의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가이드 링(23)으로 구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기 외측벽(14)의 중앙부에는 개구부(24)가 내외 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되어 있다. 또, 외측벽(14)의 전 단부에 마련된 지지축(25)에는, 지지 아암(26)의 일단이 도 2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측벽(14)에 접근/이격 방향으로 회동이 자유롭게 축으로 지지되어 있다. 지지 아암(26)의 타 단에는 릴 받이부(27)가 형성되어 있다. 릴 받이부(27)는, 지지 아암(26)의 단부로부터 내측으로 굴곡된 원호형상의 연결편(28)을 통해 지지 아암(26)의 연장된 부분보다 내측으로 기울어진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이, 지지 아암(26)과 연결편(28)과 릴 받이부(27)가 대략 "Z" 자 형상을 이루듯이 형성되어 있다. 지지 아암(26)과 릴 받이부(27)는 합성 수지로 구성되고, 릴 받이부(27)의 내외 면은 각각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릴 받이부 헤드(30)와 반원형의 계합판(31)에 의해 덮이고, 릴 받이부 헤드(30)와 계합판(31)은 나사(29)에 의해 릴 받이부(27)에 고정되어 있다. 도 4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릴 받이부(27)는 와이어 릴(4)의 중심구멍(21)에 감합 가능한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결속기 본체(2)에는, 릴 가이드(22)와 릴 받이부(27)가 동일 축 상에 배치된다. 그리고 릴 가이드(22)는 와이어 릴(4) 일 측의 환형상 오목부(20)와 감합되는 것에 의하여, 릴 받이부(27)는 와이어 릴(4)의 중심구멍(21)과 감합되는 것에 의하여, 와이어 릴(4)을 자유로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와이어 릴(4)을 탈/착할 때는, 상기 릴 받이부(27)를 와이어 릴(4)로부터 이탈시킬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지지 아암(26)은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측벽(14)의 두께 방향으로 이동하여 외측벽(14)에 접근/이격 가능하게 구성되고, 도시하지 않는 스프링에 의해 상시 외측벽(14)으로부터 이격되도록 가압되어 있다. 와이어 릴 장착 시에는, 지지 아암(26)을 외측벽(14)으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회동하여 릴 받이부(27)를 외측벽(14)의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외측벽(14)에는, 릴 받이부(27)가 와이어 릴(4)을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상태를 유지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릴 받이부(27)의 잠금 기구가 마련되어 있다.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개구부(24)의 상부에는 축부(32)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축부(32)에는 합성 수지제(製)의 릴 스토퍼(33)가 외측벽(14)의 벽면을 따라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릴 스토퍼(33)는 중앙의 본체(33a)와, 본체(33a)의 정 상면으로부터 약간 기운 위쪽으로 돌출하는 레버부(34)와, 본체(33a)의 일 측으로부터 하부로 돌출하는 스토퍼부(35)로 구 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레버부(34)의 내측에는 "V" 자형 홈 형태의 오목부(36)가 형성되어 있다. 스토퍼부(35)에는 금속으로 된 "ㄷ" 자 형상의 커버(37)에 의해 덮이고, "ㄷ" 자 형상의 커버(37)는 스프링 핀(38)에 의해 스토퍼부(35)에 고정되어 있다. 본체(33a)는 나사(40)에 의해 상기 외측벽(14)의 축부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또한, 릴 스토퍼(33)는, 본체(33a)와 스토퍼부(35)가 외측벽(14)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더욱이 레버부(34)는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측벽(14)의 외측 면에는, 릴 스토퍼(33)의 회동에 상응하여 레버부(34)가 회동하는 범위에, 부채형상의 오목부(41)가 형성되고, 그 밑부분에는 레버부(34)가 관통되는 개구(42)가 형성되어 있다. 레버부(34)가 상기 개구(42)로부터 외측으로 노출되어 있다. 이에 의하여, 작업자는 레버부(34)를 손으로 집어 릴 스토퍼(33)를 회동시켜, 스토퍼부(35)를 릴 받이부(27)에 대하여 계탈하는 방향으로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외측벽(14)의 내측에는,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릴 스토퍼(33)의 근방에 수납 오목부(43)가 형성되고, 여기에 리프 스프링(다른 탄성체이어도 좋다)(44)이 수납되어 나사(45)로 고정되어 있다. 리프 스프링(44)의 선단부에는 외측으로 돌출하는 "V" 자형상의 볼록부(4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볼록부(46)는 외측벽(14)에 형성한 개구부(39)(도 9 참조)로부터 외측으로 노출되고, 릴 스토퍼(33)가 회동하였을 때에 그 일 측의 회동단부에서 레버부(34)의 오목부(36)에 탄발적으로 계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이때, 리프 스프링(44)은 단 순히 계합 될 뿐만 아니라, 더욱더 릴 스토퍼(33)의 스토퍼부(35)를 밀어 넣는 측으로, 즉 와이어 릴(4) 측으로 가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더욱이, 외측벽(14)에는, 상기 수납 오목부(43)의 밑 부분에, 도 5와 같이 릴 스토퍼(33)의 다른 일 측의 회동단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V" 자형으로 도려내어진 계합편(47)이 형성되고, 그 선단부에는 돌기(48)(도 2 참조)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하여, 릴 스토퍼(33)를 다른 일 측의 회동단부까지 회동시키면, 도 8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레버부(34)의 오목부(36)와 상기 돌기(48)가 탄발적으로 계합된다. 그 회동단부에서 클릭감을 느낄 수 있으므로, 회동단부까지 회동된 것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구성에 있어서, 와이어 릴(4)을 장착할 때는, 지지 아암(26)을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상태로 해놓고 수납실(3) 내에 와이어 릴(4)을 넣은 후,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와이어 릴(4) 일 측의 플랜지(18)의 축 받이부를 구성하는 원형의 환형상 오목부(20)와 수납실(3)의 내측벽(13)의 릴 가이드(22)를 감합시킨다. 이에 의하여, 와이어 릴(4)이 위치 결정된다. 와이어 릴(4)이 소정의 위치에 정해진 후, 외측벽(14)에 마련된 지지 아암(26)을, 도 2 및 도 4의 (a),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측벽(14)에 접근하도록 회동시켜 릴 받이부(27)를 개구부(24)로부터 외측벽(14)의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밀어 넣는다. 릴 받이부(27)는, 다른 일 측의 플랜지(19) 축 받이부를 구성하는 중심구멍(21)의 내측에 감합한다.
더욱이, 도 9 및 도 10의 (a),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릴 스토퍼(33)의 레버부(34)를 회동단부까지 회동시킨다. 레버부(34)의 오목부(36)에 리프 스프 링(44)의 볼록부(46)가 탄발적으로 계합하는 한편, 도 6과 같이 스토퍼부(35)는 릴 받이부(27)의 계합판(31)의 이면 측과 겹쳐지도록 이동한다. 이에 의하여, 릴 받이부(27)는 스토퍼부(35)에 의해 외측으로 이동할 수 없게 잠겨지기 때문에, 와이어 릴(4)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스토퍼부(35)를, 릴 받이부(27)를 잠그는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스토퍼부(35)의 "ㄷ" 자형 커버(37)와 릴 받이부(27)의 계합판(31)은 서로 스치지만, 이들 모두 철 등의 금속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열었다 채웠다 를 반복적으로 행하여도, 계합부는 거의 마모하지 않고, 항상 계합상태를 양호하게 확보할 수 있다.
더욱이, 계합상태일 때 리프 스프링(44)은 릴 스토퍼(33)의 레버부(34)를 외측으로 밀어내듯이 가압하므로, 도 10의 (b)와 같이, 회전축(나사 (40))을 사이에 두고 반대 측에 위치하는 스토퍼부(35)는, 반대로 내측으로, 즉 릴 받이부(27)를 와이어 릴(4) 측으로 밀어 넣듯이 가압된다. 따라서, 와이어 릴(4)의 회전 중에 릴 받이부(27)가 내외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이 방지되고, 축이 흔들리지 않고, 릴 스토퍼(33)는 안정되어, 와이어 릴(4)을 항상 안정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레버부(34)를 회동 조작하였을 때, 리프 스프링(44)의 볼록부(46)와 레버부(34)의 오목부(36)가 탄발적으로 계합되고, 그 회동단부에서 클릭감을 느낄 수 있으므로, 회동단부까지 회동하여 잠긴 상태로 된 것을 알 수 있다. 대기 위치로 되돌릴 때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하여 수납실에 와이어 릴(4)이 장착되었을 때, 와이어 릴(4)은 내측벽(13)의 릴 가이드(22)와 외측벽(14)의 릴 받이부(27)에 의하여 지지되고, 이 들이 와이어 릴(4)의 회전축이 되어 와이어 릴(4)은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본 발명을 특정의 전형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을 일탈하지 않고 다양한 변경이나 수정을 가할 수 있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분명하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어서, 이러한 모든 변경이나 수정이 청구항에 의하여 커버 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철근 결속기에 이용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형적 실시예와 관련되는 철근 결속기의 일 측의 커버를 제거한 상태의 요부 사시도.
도 2는 상기 철근 결속기의 요부 사시도.
도 3은 상기 철근 결속기의 와이어 릴과 커버를 제거한 상태의 요부 사시도.
도 4의 (a)는 상기 철근 결속기의 와이어 릴 부분의 측면도, (b)는 (a)의 X-X 선상의 단면도.
도 5는 내외 측벽에 장착된 부품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와이어 릴의 지지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지지 아암이 열린 상태를 도 4(b)와 같은 단면으로 나타내는 단면도.
도 8은 지지 아암이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요부 사시도.
도 9는 지지 아암이 열린 상태의 내측 벽의 내면 측면도.
도 10의 (a)는 지지 아암을 닫아 잠근 상태의 내측 벽의 내면 측면도, (b)는 (a)의 Y-Y 선상의 단면도.
[부호의 설명]
3 수납실
4 와이어 릴
5 와이어
24 개구부
27 릴 받이부
33 릴 스토퍼
44 리프 스프링

Claims (4)

  1. 와이어 릴(4)이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는 수납실(3)과,
    상기 수납실(3)의 양 측벽(13, 14) 중의 일 측벽(14)의 상기 와이어 릴의 축 받이부(20, 21)에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된 개구부(24)와,
    상기 일 측벽(14)에 상기 개구부(24)로 출입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일 측벽(14)의 내측으로 눌러졌을 때에 상기 와이어 릴(4)의 축 받이부(21)에 감합되는 릴 받이부(27)와,
    상기 일 측벽(14)의 벽면을 따라 이동하여 축 받이부(21)에 감합되어 있는 상기 릴 받이부(27)와 계합되는 릴 스토퍼(33)와,
    상기 릴 받이부(27)와 계합되어 있는 상기 릴 스토퍼(33)를, 릴 스토퍼(33)가 와이어 릴(4) 쪽으로 밀어 넣어지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체(44)를 구비하는 철근 결속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44)와 릴 스토퍼(33) 중의 하나에 마련된 오목부(36)와,
    상기 탄성체(44)와 릴 스토퍼(33) 중의 다른 하나에 마련되고, 상기 오목부(36)와 탄성적으로 계합 가능한 볼록부(46)를 더 구비하는 철근 결속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릴 받이부(27)와 릴 스토퍼(33) 사이의 계합부에 마련된 금속 커버(37)를 더 구비하는 철근 결속기.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릴 스토퍼(33)는 레버부(34)와 스토퍼부(35)를 갖추고,
    상기 레버부(34)를 조작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스토퍼부(35)는 상기 릴 받이부(27)에 계합·이격되도록 이동되고,
    상기 릴 받이부(27)와 계합되어 있는 상기 스토퍼부(35)가, 와이어 릴(4)을 향하여 릴 받이부(27)를 누르도록, 상기 탄성체(44)는 레버부(34)를 누르는 철근 결속기.
KR1020090043658A 2008-05-19 2009-05-19 철근 결속기 KR1015711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130645 2008-05-19
JP2008130645A JP4858488B2 (ja) 2008-05-19 2008-05-19 鉄筋結束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0425A true KR20090120425A (ko) 2009-11-24
KR101571168B1 KR101571168B1 (ko) 2015-11-23

Family

ID=409356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3658A KR101571168B1 (ko) 2008-05-19 2009-05-19 철근 결속기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8251104B2 (ko)
EP (1) EP2123846B1 (ko)
JP (1) JP4858488B2 (ko)
KR (1) KR101571168B1 (ko)
CN (1) CN101585421B (ko)
AR (1) AR071818A1 (ko)
AT (1) ATE544924T1 (ko)
BR (1) BRPI0901492B1 (ko)
CA (1) CA2664890C (ko)
CL (1) CL2009001210A1 (ko)
ES (1) ES2379438T3 (ko)
RU (1) RU2499752C2 (ko)
TW (1) TWI486287B (ko)
WO (1) WO200914221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60918B (zh) * 2014-09-18 2016-02-24 王勇 一种粉丝绕线捆扎机构及其加工方法
EP3789565B1 (en) 2015-07-22 2023-08-30 Max Co., Ltd. Binding machine
HUE059668T2 (hu) * 2015-07-22 2022-12-28 Max Co Ltd Kötözõgép
JP6726961B2 (ja) * 2015-12-18 2020-07-22 株式会社マキタ 鉄筋結束機
JP6698425B2 (ja) 2016-05-20 2020-05-27 株式会社マキタ 鉄筋結束機
JP6633720B1 (ja) * 2018-11-08 2020-01-22 建ロボテック株式会社 鉄筋結束用自走ロボット
JP7268386B2 (ja) * 2019-02-13 2023-05-08 マックス株式会社 結束機
JP7288606B2 (ja) * 2019-08-23 2023-06-08 マックス株式会社 結束機
JP7342521B2 (ja) * 2019-08-23 2023-09-12 マックス株式会社 結束機
CN110984587B (zh) * 2019-11-22 2021-11-16 上安实业江苏有限公司 一种建筑领域用的钢筋捆绑装置
JP2021127569A (ja) 2020-02-10 2021-09-02 マックス株式会社 結束機
CN113374179B (zh) * 2021-06-11 2022-09-27 中国建筑第二工程局有限公司 一种可拆装的钢筋支撑装置及使用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58393Y2 (ja) * 1992-09-01 1997-12-24 マックス株式会社 ワイヤ結束機用ボビン機構
US5279336A (en) * 1992-05-21 1994-01-18 Max Co., Ltd. Wire binder
JP2557192Y2 (ja) * 1993-04-19 1997-12-08 マックス株式会社 鉄筋等の結束機用のワイヤリール
JP3531150B2 (ja) * 1997-10-06 2004-05-24 マックス株式会社 鉄筋結束機におけるワイヤリールのブレーキ機構
JP3582332B2 (ja) * 1997-11-21 2004-10-27 マックス株式会社 鉄筋結束機におけるワイヤリールのブレーキ機構
JP2002284111A (ja) * 2001-03-22 2002-10-03 Shino Tange 結束機
JP2002298995A (ja) * 2001-03-30 2002-10-11 Jst Mfg Co Ltd 樹脂ハンダを用いた同軸ケーブルの結束部材及び同軸ケーブルの電気コネクタ並びに結束部材の同軸ケーブル又は電気コネクタへの接続方法
NZ519012A (en) * 2001-05-21 2003-10-31 Orgapack Gmbh Manually actuated strapping unit for wrapping a steel strap around a packaged item
JP4016784B2 (ja) * 2001-09-28 2007-12-05 マックス株式会社 鉄筋結束機及びこれに用いられるリール
JP2004142830A (ja) * 2002-09-30 2004-05-20 Strapack Corp バンド掛け梱包機
RU28884U1 (ru) * 2002-10-18 2003-04-20 Анпилов Сергей Михайлович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вязывания арматурных стержней проволокой
JP4211059B2 (ja) * 2004-01-09 2009-01-21 マックス株式会社 鉄筋結束機、ワイヤリール及びワイヤリールの識別方法
JP4396384B2 (ja) * 2004-05-07 2010-01-13 マックス株式会社 鉄筋結束機
JP4140561B2 (ja) * 2004-06-18 2008-08-27 マックス株式会社 鉄筋結束機並びにワイヤリー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L2009001210A1 (es) 2010-06-25
RU2499752C2 (ru) 2013-11-27
JP2009275488A (ja) 2009-11-26
WO2009142217A1 (ja) 2009-11-26
AR071818A1 (es) 2010-07-14
EP2123846B1 (en) 2012-02-08
US20090283169A1 (en) 2009-11-19
CA2664890C (en) 2016-11-01
RU2009118691A (ru) 2010-11-27
CN101585421A (zh) 2009-11-25
KR101571168B1 (ko) 2015-11-23
TW201008833A (en) 2010-03-01
US8251104B2 (en) 2012-08-28
ATE544924T1 (de) 2012-02-15
BRPI0901492B1 (pt) 2019-09-24
EP2123846A1 (en) 2009-11-25
ES2379438T3 (es) 2012-04-26
BRPI0901492A2 (pt) 2010-04-06
JP4858488B2 (ja) 2012-01-18
CN101585421B (zh) 2011-07-06
TWI486287B (zh) 2015-06-01
CA2664890A1 (en) 2009-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120425A (ko) 철근 결속기
KR100562576B1 (ko) 개방형 트레이
US7748564B2 (en) Latching structure for cover and transfer tool
KR101031525B1 (ko) 양 베어링 릴
KR20100082221A (ko) 핸드백용 잠금장치
US9642349B2 (en) Fishing reel
US6896302B2 (en) Push button release apparatus
CN108566931B (zh) 纺车式卷线器的转子制动装置
JP5912512B2 (ja) 化粧料容器
WO2011151989A1 (ja) 補聴器用補助具
JP7013204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
JP4628171B2 (ja) 車両用カップホルダ
JP2001017038A (ja) 魚釣用リール
JP2009214707A (ja) 収納具
JP5020851B2 (ja) 車両用収納装置のドアの開閉装置
JP4437440B2 (ja) 開閉装置
JPH0312772Y2 (ko)
KR20180086699A (ko) 그립 방식의 손잡이
KR0129704Y1 (ko) 수납형 핸들장치
JP2009166197A (ja) 電動墨壷
JP3109215U (ja) 二方向コードリール
KR200263649Y1 (ko) 스피닝 릴의 베일록킹장치
KR200419183Y1 (ko) 휴대용 단말기의 스윙장치
JPS5819315B2 (ja) 電気かみそり
KR100226421B1 (ko) 낚시용 릴의 역회전 방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