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3649Y1 - 스피닝 릴의 베일록킹장치 - Google Patents

스피닝 릴의 베일록킹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3649Y1
KR200263649Y1 KR2019990012539U KR19990012539U KR200263649Y1 KR 200263649 Y1 KR200263649 Y1 KR 200263649Y1 KR 2019990012539 U KR2019990012539 U KR 2019990012539U KR 19990012539 U KR19990012539 U KR 19990012539U KR 200263649 Y1 KR200263649 Y1 KR 2002636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e
rotor
spool
inclined surface
fishing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25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02016U (ko
Inventor
한익범
Original Assignee
김명제
주식회사 바낙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명제, 주식회사 바낙스 filed Critical 김명제
Priority to KR20199900125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3649Y1/ko
Publication of KR2001000201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201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36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3649Y1/ko

Links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조작의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게 되고, 스토퍼레버를 록킹조작하지 않은 상태에서 낚시줄이 스풀로부터 풀리게 될 때 낚시줄이 쉽게 엉키게 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낚시줄이 원활하게 스풀로부터 풀릴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에서는, 바디(2)의 플랜지(54) 일측면에 킥킹부의 마찰경사면(56)과 대응되는 위치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브라켓(70)에 마찰경사면(56)과 대향되는 역경사면(72)을 갖는 돌기를 형성하고, 로우터(4)가 회전될 때 상기 돌기의 역경사면(72)에 눌리는 절곡편(74)과 타측 베일홀더(38)의 요홈(56)에 그 단부가 선택적으로 끼워지거나 이탈되는 로드부(76)로 형성된 베일록킹레버(78) 및 이 베일록킹레버(78)를 윙(10)에서 베일(6) 측으로 탄지하는 탄성부재(80)를 구비하게 된 구조로 이루어지는 스피닝 릴의 베일록킹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스피닝 릴의 베일록킹장치{vail locking system of spinning reel}
본 고안은 스피닝 릴의 베일록킹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낚시줄을 투척할 때 로우터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스피닝 릴의 베일록킹장치에 관한 것이다.
스피닝 릴은 양베어링릴과 달리, 낚시대 손잡이의 하측으로 결합되는 형태로 형성되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2)와, 이로부터 회전되는 로우터(4) 및 로우터(4)의 윙(8)(10)에서 회동되는 베일(6), 스풀(12), 그리고 이들을 작동시키는 장치들이 복합적으로 구성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특히, 로우터(4)를 구동시킴과 아울러 스풀(12)을 직선왕복운동시키는 구동장치부가 구성되어 있는데, 이러한 구동장치부는 스풀축(14)과 로우터축(16)이 중첩되어 있고, 스풀축(14)에는 캠기구(18)가, 그리고 로우터축(16)에는 큰헬리컬기어(20)(도 3a와 도 3b 참조)가 각각 결합되어 있다.
즉, 로우터축(16)이 중공체로 형성되어 스풀축(14)이 직선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관통되어 있으며, 이러한 로우터축(16) 단부에는 로우터(4)가, 스풀축(14)의 단부에는 스풀(12)이 각각 장착되어 각 축(16)(14)들의 작용에 따라 로우터(4)의 회전작용 및 스풀(12)의 직선왕복운동 작용이 이루어지게 된 것이다.
또, 로우터축(16)의 일단부 외주면이 큰헬리컬기어(20)로 가공되어 있고, 이러한 큰헬리컬기어(20)에 평면헬리컬기어(22)와 작은헬리컬기어(24)가 교합되어 있으며(도 3a와 도 3b 참조), 평면헬리컬기어(22)에는 바디(2)를 관통하는 핸들(26)이 동축 결합되어 있어 핸들(26)을 구동조작하게 됨에 따라 이러한 구동력이 평면헬리컬기어(22)와 큰헬리컬기어(20) 및 작은헬리컬기어(24)를 통해 로우터축(16)과 캠기구(18)에 전달되도록 하고 있다.
한편, 캠기구(18)는 작은헬리컬기어(24)에 동축 결합된 캠축(28)과 이의 캠홈에 끼워지고 동시에 스풀축(14)의 다른 단부에 결합된 캠돌기(30)로 이루어져 있어 작은헬리컬기어(24)를 통해 전달되는 구동력에 따라 캠축(28)이 회전될 때(도 3a와 도 3b 참조) 스풀축(14)이 직선적으로 움직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로우터(4)에는 서로 대칭되는 위치로 한 쌍의 윙(8)(10)이 커버(32)(34)에 의해 폐쇄되는 상자모양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와 같은 한 쌍의 윙(8)(10) 단부에는 베일홀더(36)(38)가 회동 가능한 상태로 각각 결합되어 있고, 이러한 베일홀더(36)(38)에는 베일(12)의 양단이 각각 결합되어 있다.
뿐만 아니라, 로우터(4)는 낚시줄을 투척할 때 회전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로우터(4)를 일방향으로만 회전시키거나 또는 양방향으로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스토퍼장치부가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스토퍼장치부는 바디(2)의 일측 외부에 노출되는 스토퍼레버(40)와, 이 스토퍼레버(40)에 연장되어 바디(2) 내부로 회동 가능하게 고정된 회동봉(42),그리고 회동봉(42)의 단부에 의해 작용되는 록킹수단(44)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록킹수단(44)은 회동봉(42)에 의해 동력전달 작용을 제어하게 되는 일방향클러치로 이루어지기도 한다.
또한, 로우터(4)의 회동시에 로우터(4)와 바디(2)의 상호작용에 따라 베일(6)을 킥킹시키는 킥킹부가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킥킹부는, 일측 베일홀더(36)의 요홈(50)에 끼워지는 돌기(52) 및 바디(2) 플랜지(54)의 마찰경사면(56)에 눌리는 눌림단(58)이 그 양단부로 각각 형성되어 있는 킥레버(60)와, 타측 베일홀더(38) 및 타측의 윙(10)에 그 양단이 고정된 토션스프링(62)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원심력에 의해 낚시줄이 스풀(12)로부터 풀려나가 원하는 위치에서 투척되며, 이때 로우터(4)는 회전되지 않을뿐더러 스풀(12) 또한 고정상태에 있게 된다.
그리고, 손잡이(26)를 돌려 로우터(4)를 회전시킬 때 킥킹장치부가 작동되고, 이에 따라서 베일(6)이 제껴져 낚시줄로 하여금 그 부분적인 구간이 스풀(12)에 대한 접선상태로 유지되도록 하며, 이러한 상태에서 로우터(4)의 윙(8)(10)을 연결하고 있는 베일(12)의 회전에 의해 스풀(12)로 낚시줄이 감기게 된다.
한편, 킥킹부는 도 2a 내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2)의 마찰경사면(56)에 의해 킥레버(60)가 눌려 길이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킥레버(60)의 돌기(52)로 하여금 베일(6) 일측단부의 베일홀더(36)의 요홈(50) 내측벽면을 밀어 베일(6)을 탄력적으로 회동시키도록 작동된다.
또, 스풀(12)은 스풀축(14)이 길이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스풀축(14)과 함께 직선왕복운동됨으로써, 스풀(12)에 낚시줄이 고루 감기도록 하는데, 스풀축(14)은 캠돌기(30)의 작동에 따라 움직이게 되고, 이러한 캠돌기(30)는 캠축(28)의 회전에 따라 캠축(28)의 길이 방향으로 위치 이동된다.
또한, 스토퍼레버(40)를 회동시켜 그 회동봉(42)의 단부로 하여금 일방향클러치의 스프래그들을 로우터축(16)에 작용시켜 로우터(4)가 일방향으로만 회전될 수 있도록 하여 낚시줄을 투척할 때에는 로우터(4)가 회전되지 않도록 하고, 낚시줄을 스풀(12)에 감을 때에는 로우터(4)가 역회전되지 않도록 한다.
또, 보통 낚시줄을 투척할 때에는 로우터(4)가 회전되지 않거나 만약 회전되더라도 베일(6)이 킥킹되지 않아야만 낚시줄이 꼬이거나 엉키지 않고 원만하게 스풀(12)로부터 풀려나가게 된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스피닝 릴에는 베일을 선택적으로 록킹시킬 수 있는 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스토퍼레버를 조작하여야만 낚시줄을 투척할 때 로우터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스토퍼의 조작에 따르는 번거로움이 있고, 스토퍼레버를 록킹조작하지 않은 상태에서 낚시줄이 스풀로부터 풀리게 될 때 낚시줄이 엉키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낚시줄을 투척할 때 베일이 낚시대 및 릴 전체에 작용되는 원심력 등에 의해 임의로 킥킹될 우려가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 낚시줄이 엉키거나 스풀로부터 원활하게 풀려나갈 수 없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스토퍼레버를 조작하여야만 함에 따르는 조작의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게 되고, 스토퍼레버를 록킹조작하지 않은 상태에서 낚시줄이 스풀로부터 풀리게 될 때 낚시줄이 쉽게 엉키게 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낚시줄이 원활하게 스풀로부터 풀릴 수 있도록 하는 스피닝 릴의 베일록킹장치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도 1은 종래 스피닝 릴을 나타내기 위한 분해사시도,
도 2a와 도 2b는 일반적인 스피닝 릴의 킥킹부 작용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
도 3a와 도 3b는 일반적인 스피닝 릴의 킥킹부 작용상태를 상세히 나타내기 위한 부분 일측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스피닝 릴의 베일록킹장치를 나타내기 위한 분해사시도,
도 5a와 도 5b는 본 고안에 따른 스피닝 릴의 베일록킹장치의 작용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
도 6a와 도 6b는 본 고안에 의한 스피닝 릴의 베일록킹장치의 작용상태를 상세히 나타내기 위한 부분 일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 바디 4 : 로우터
6 : 베일 8, 10 : 윙
12 : 스풀 14 : 스풀축
16 : 로우터축 18 : 캠기구
20 : 큰헬리컬기어 32, 34 : 커버
36, 38 : 베일홀더 56 : 마찰경사면
72 : 역경사면 56 : 베일홀더의 요홈
78 : 베일록킹레버 80 : 탄성부재
이러한 목적의 실현을 위하여 본 고안은, 바디의 플랜지 일측면에 킥킹부의 마찰경사면과 대응되는 위치로 브라켓을 돌출 형성하고, 상기 브라켓에 마찰경사면과 대향되는 역경사면을 갖는 돌기를 형성하고, 로우터가 회전될 때 상기 돌기에 눌리는 절곡편과 일측 베일홀더의 요홈에 그 단부가 선택적으로 끼워지거나 이탈되는 로드부로 형성된 베일록킹레버 및 이 베일록킹레버를 윙에서 베일측 방향으로 탄지하는 탄성부재를 구비하게 된 구조로 이루어지는 스피닝 릴의 베일록킹장치를 제공한다.
상기한 베일록킹레버는 그 로드부가 윙의 내측으로 양측벽체에서 연장된 지지벽에 관통되고, 이 지지벽에 그 일측단부가 탄지되는 상기 탄성부재의 타측단부가 탄지되도록 지지벽 상측의 상기 로드부에 플랜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종래의 도면에서와 동일한 부분으로 동일한 부호가 부여된 도면을 첨부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2)로부터 회전되는 로우터(4) 및 로우터(4)의 윙(8)(10)에 회동될 수 있게 결합된 베일(6), 그리고 낚시줄이 권선되는 스풀(12)과 이들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킥킹부 및 스토퍼장치부로 구성된 스피닝 릴에 적용된다.
상기 스풀(12) 및 로우터(4)는 종래에서와 동일한 구조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이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즉, 종래에서와 같이 로우터축(16)은 중공체로 형성되어 있어 스풀축(14)이 직선적으로 미끄러져 움직일 수 있는 상태로 끼워지게 되며, 이러한 로우터축(16)과 스풀축(14)에 로우터(4) 및 스풀(12)이 각각 장착되는 것이다.
또, 로우터(4)를 구동시킴과 아울러 스풀(12)을 직선왕복운동시키는 구동장치부가 구성되어 있는데, 이러한 구동장치부는 스풀축(14)에는 캠기구(18)가, 그리고 로우터축(16)에는 큰헬리컬기어(20)가 각각 결합된 종래에서와 동일한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로우터(4)에는 종래에서와 같이 서로 대칭되는 위치로 한 쌍의 윙(8)(10)이 커버(32)(34)에 의해 폐쇄되는 상자모양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와 같은 한 쌍의 윙(8)(10) 단부에는 베일홀더(36)(38)가 회동 가능한 상태로 각각 결합되어 있고, 이러한 베일홀더(36)(38)에는 베일(6)의 양단이 각각 결합되어 있다.
뿐만 아니라, 로우터(4)는 낚시줄을 투척할 때 회전되지 않아야 하는데, 이를 위하여, 로우터(4)를 일방향으로만 회전시키거나 또는 양방향으로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스토퍼장치부가 종래에서와 동일한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로우터(4)의 회동시에 로우터(4)와 바디(2)의 상호작용에 따라 베일(6)을 킥킹시키는 킥킹부가 종래에서와 동일한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베일(6)을 록킹시킬 수 있는 장치가 구성되어 있는데 이와 같은 베일록킹장치는 베일이(6) 킥킹되기 전까지 바디(2)의 플랜지(54) 일측면에 킥킹부의 마찰경사면(56)과 대응되는 위치로 브라켓(70)을 돌출 형성하고, 상기 브라켓(70)에 마찰경사면(56)과 대향되는 역경사면(72)을 갖는 돌기를 형성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또, 베일록킹장치는 로우터(4)가 회전될 때 상기 돌기의 역경사면(72)에 눌리는 절곡편(74)과 타측 베일홀더(38)의 요홈(56)에 그 단부가 선택적으로 끼워지거나 이탈되는 로드부(76)로 형성된 베일록킹레버(78) 및 이 베일록킹레버(78)를 윙(10)에서 베일(6) 방향으로 탄지하는 탄성부재(80)를 구비하게 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베일록킹레버(78)는 그 로드부(76)가 윙(10)의 내측으로 양측벽체에서 연장된 지지벽(82)에 관통되고, 이 지지벽(82)에 그 일측단부가 탄지되는 상기 탄성부재980)의 타측단부가 탄지되도록 지지벽(82) 상측의 로드부(76)에 플랜지(84)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원심력에 의해 낚시줄이 스풀(12)로부터 풀려나가면서 수상에 투척되며, 이때 로우터(4)는 회전되지 않을뿐더러 스풀(12) 또한 고정상태에 있게 된다.
그리고, 손잡이(26)를 돌려 로우터(4)를 회전시킬 때 킥킹장치부가 작동되고, 이에 따라서 베일(6)이 제껴져 낚시줄로 하여금 그 부분적인 구간이 스풀(12)에 대한 접선상태로 유지되도록 하며, 이러한 상태에서 로우터(4) 및 이의 윙(8)(10)을 연결하고 있는 베일(6)의 회전에 의해 스풀(12)로 낚시줄이 감기게 된다.
또, 킥킹부는 도 2a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2)의 마찰경사면(56)에 의해 킥레버(60)가 눌려 길이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킥레버(60)의 돌기(52)로 하여금 일측 베일홀더(36)의 요홈(50) 내측벽면을 밀어 베일(6)을 탄력적으로 회동시키도록 작동된다.
그리고, 도 1에서와 같은 스토퍼레버(40)를 회동시켜 그 회동봉(42)의 단부로 하여금 일방향클러치(44)의 스프래그들을 로우터축(16)에 작용시켜 로우터(4)가 일방향으로만 회전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낚시줄을 투척할 때에는 로우터(4)가 회전되지 않도록 하고, 아울러 낚시줄을 감을 때 로우터(4)가 역회전되지 않도록 한다.
한편, 베일록킹장치는, 스토퍼레버(40)를 언록킹시킨 상태에서 핸들(26)을 돌려 로우터(4)가 회전되도록 할 때 로우터(4)의 소정 위상에서 도 6a와 도 6b에서와 같이 베일록킹레버(78)가 돌기의 역경사면(72)에 눌려 그 로드부(76) 방향으로 이동되어 그 단부가 베일홀더(38)의 요홈(50)에 끼워지게 됨에 따라 베일(6)이 회동될 수 없게 록킹되도록 작용된다.
상기 본 고안에 의한 스피닝 릴의 베일록킹장치는, 로우터를 회전시킬 때 스토퍼레버를 조작하여야만 함에 따르는 조작의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게 되고, 스토퍼레버를 록킹조작하지 않은 상태에서 낚시줄이 스풀로부터 풀리게 될 때 낚시줄이 쉽게 엉키게 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낚시줄이 원활하게 스풀로부터 풀릴 수 있게 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Claims (2)

  1. 바디의 플랜지 일측면에 킥킹부의 마찰경사면(56)과 대응되는 위치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브라켓에 마찰경사면과 대향되는 역경사면을 갖는 돌기를 형성하고,
    로우터가 회전될 때 상기 돌기에 눌리는 절곡편과 일측 베일홀더의 요홈에 그 단부가 선택적으로 끼워지거나 이탈되는 로드부로 형성된 베일록킹레버 및 이 베일록킹레버를 윙에서 베일측 방향으로 탄지하는 탄성부재를 구비하게 된 구조로 이루어지는 스피닝 릴의 베일록킹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베일록킹레버는,
    그 로드부가 윙의 내측으로 양측벽체에서 연장된 지지벽에 관통되고,
    상기 지지벽에 그 일측단부가 탄지되는 상기 탄성부재의 타측단부가 탄지되도록, 지지벽 상측의 상기 로드부에 플랜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닝 릴의 베일록킹장치.
KR2019990012539U 1999-06-30 1999-06-30 스피닝 릴의 베일록킹장치 KR20026364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2539U KR200263649Y1 (ko) 1999-06-30 1999-06-30 스피닝 릴의 베일록킹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2539U KR200263649Y1 (ko) 1999-06-30 1999-06-30 스피닝 릴의 베일록킹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2016U KR20010002016U (ko) 2001-01-26
KR200263649Y1 true KR200263649Y1 (ko) 2002-02-09

Family

ID=54765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2539U KR200263649Y1 (ko) 1999-06-30 1999-06-30 스피닝 릴의 베일록킹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364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2016U (ko) 2001-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58488B2 (ja) 鉄筋結束機
JP2002017213A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往復移動装置
KR100330485B1 (ko) 온/오프 절환 기능을 갖는 일방향 클러치 베어링
KR200263649Y1 (ko) 스피닝 릴의 베일록킹장치
JP2003079291A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往復移動機構
KR100522647B1 (ko) 낚시용 릴
KR100699325B1 (ko) 낚시용 릴
KR900010252Y1 (ko) 낚시용 스피닝리일의 역전 방지기구
EP2111754B1 (en) Fishing spinning reel
KR970001352B1 (ko) 낚시용 후방 드래그형 스피닝 리일의 스풀왕복장치
KR200263650Y1 (ko) 스피닝릴의 브레이크장치
EP3170389B1 (en) Fishing reel
KR960006125Y1 (ko) 베이트 캐스팅 릴의 클러치 장치
KR200204961Y1 (ko) 낚시용 스피닝 릴의 레버 브레이크 장치
KR200144800Y1 (ko) 원 웨이 클러치 조작 장치
KR100193649B1 (ko) 낚시용릴의 스풀제동력 절환장치
KR200305936Y1 (ko) 스피닝 릴의 로터 잠금장치
JPH0310855Y2 (ko)
KR910000173Y1 (ko) 낚시용 리일
KR20210158048A (ko) 텐션 노브 이탈방지구조를 구비한 낚시릴
KR200162431Y1 (ko) 낚시용 릴의 베일암반전 연동장치
KR200159361Y1 (ko) 스톱퍼 장치
KR200263648Y1 (ko) 스피닝 릴
JPH0310857Y2 (ko)
KR100226421B1 (ko) 낚시용 릴의 역회전 방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0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