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6125Y1 - 베이트 캐스팅 릴의 클러치 장치 - Google Patents

베이트 캐스팅 릴의 클러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6125Y1
KR960006125Y1 KR2019930007612U KR930007612U KR960006125Y1 KR 960006125 Y1 KR960006125 Y1 KR 960006125Y1 KR 2019930007612 U KR2019930007612 U KR 2019930007612U KR 930007612 U KR930007612 U KR 930007612U KR 960006125 Y1 KR960006125 Y1 KR 96000612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utch
spool
push button
shaft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076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25840U (ko
Inventor
박보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은성사
박보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은성사, 박보국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은성사
Priority to KR20199300076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6125Y1/ko
Publication of KR94002584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2584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612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6125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83Drive mechanism details
    • A01K89/0186Drive mechanism details with disengageable positive drive components, e.g. a clutch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55Antibacklash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931Spool or spool shaft detai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베이트 캐스팅 릴의 클러치 장치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클러치 조작장치자가 적용된 베이트 캐스팅 릴의 분해 사시도.
제2도 (a, b)는 본 고안 장치의 작동상태를 보인 것으로, (a)는 피니언의 스풀축 계합부에 접촉하여 동력이 스풀축에 전달되는 상태를 보인 측면도.
(b)는 피니언이 스풀축에서 이탈되어 동력이 스풀측에 전달되지 않는 상태 측면도.
제3도 (a)는 제2도(a)의 Ⅳ-Ⅳ선 단면도.
제3도 (b)는 제2도(b)의 Ⅴ-Ⅴ선 단면도.
제4도(a, b)는 제2도의 상태에서 사용시 손의 위치를 보인 사용상태를 보인 것으로, (a)는 측면도, (b)는 정면도.
제5도(a, b)는 제3도의 상태에서 사용시 손의 위치를 보인 것으로, (a)는 측면도, (b)는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릴본체 1d : 지지공
1e : 안내장공 2 : 스풀
3a, 3b : 세트플레이트 3e : 안내장공
4 : 스풀축 4a : 걸어맞춤부
5 : 피니언 5a : 걸어맞춤부
5b : 요홈부 6 : 핸들축
7 : 구동기어 10 : 핸들
11 : 푸시버튼 11a : 버튼축
11b : 지지단부 11c : 클러치 구동단부
11d : 손가락 안내홈 12 : 클러치 링크
13 : 클러치암 14 : 요크
15 : 키킹플레이트 16 : 래이트휠
본 고안은 베이트 캐스팅 릴(Bait Casting Reel)의 클러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미끼를 던질 때 릴의 클러치 조작과 엄지손가락의 조작을 연속하여 할 수 있도록 한 베이트 캐스팅 릴의 클러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베이트 캐스팅 릴은 핸들의 회전에 따라 연동되는 드라이브 기어로 피니언을 구동시키고 그 피니언의 회전력을 스풀 축에 전달하여 낚시줄이 감겨지는 스풀을 회전시키는 작동구조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일반적인 베이트 캐스팅 릴에서는 상기 드라이브 기어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피니언과 이 피니언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스풀축 사이에는 낚시줄을 투척할 경우 스풀에 감겨진 낚시줄이 자유롭게 풀릴 수 있게 하기 위하여 스풀축과 피니언의 접속상태가 해제되게 하고, 반대로 방출된 낚시줄을 감아 들일 때에는 피니언의 회전력이 스풀축에 자동적으로 전달될 수 있게 하기 위한 클러치 수단과 이 클러치 수단을 조작하기 위한 클러치 조작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조작을 행하기 위해서는 엄지손가락을 대는 푸시버튼을 설치하여 낚시대의 손잡이를 쥔 손(왼손)의 엄지손가락으로 푸시버튼을 하방으로 회동하여 클러치를 조작하고 이 클러치 조작으로 피니언이 스풀축 계합부에서 이탈하여 스풀이 자유롭게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클러치를 조작하여 스풀이 자유롭게 회전하게 한 상태에서 낚시줄을 던질 때 낚시줄이 빠른 속도로 풀려나가면서 스풀에 발생되는 관성력에 의하여 스풀의 회전속도가 낚시줄의 풀려나가는 원주속도와의 관계에서 과도하게 빠르게 되어 풀려나가던 낚시줄이 역방향으로 감기게 되는 백래시(Backlash) 현상이 발생된다.
이러한 백래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는 낚시대를 쥔 손(왼손)의 엄지손가락으로 푸시버튼을 눌러 클러치 조작을 함과 동시에 스풀의 플랜지면에 엄지손가락을 접촉시켜 스풀의 회전속도를 완화 시키는 조작(소위 더밍(Duming)조작이라 함)을 하는 것이 요구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푸시버튼 조작시에는 푸시버튼의 후부측을 누름과 동시에 축을 중심으로 회동시켜야 하기 때문에 푸시버튼이 앞부분은 위로 올라옴과 아울러 푸시버튼과 접촉하고 있는 엄지손가락의 끝부분이 위를 향하게 되기 때문에 더밍 조작이 불편하게 되고 이 때문에 엄지손가락은 부자연스럽게 되고 낚시줄의 백래시(Backlash)현상이 빈번히 발생하여 유인 미끼를 정확히 포인트(Point)에 투입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푸시버튼을 하방으로 누름과 동시에 엄지손가락의 끝이 스풀 플랜지면을 용이하게 더밍할 수 있도록 한 것이 미국특허 4.575,024호로 알려져 있다.
이 구조는 우측 릴측판에 클러치 부재가 설치되고 푸시레버의 한쪽에 클러치 부재가 끼워져서 푸시버튼을 하방으로 눌렀을 때 클러치가 작동되도록 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는 릴본체의 양측 릴측판에 푸시버튼의 양단이 상하 이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이 푸시버튼을 하방으로 눌렀을 때 푸시버튼이 양측 릴측판에 대하여 하향이동하면서 클러치 기구를 동작시키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에서도 클러치 기구가 한쪽(우측)에만 설치되어 있어 푸시버튼을 눌렀을 때 푸시버튼이 한쪽(우측)만이 클러치 기구를 동작시키고 다른 한쪽(좌측)은 클러치 기구와 무관하게 단순히 상하 이동만 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푸시버튼의 한쪽(우측)만 힘을 받게 되고, 다른 한쪽(좌측)은 전혀 힘을 받지 않게 되며, 푸시버튼을 조작할 때 푸시버튼이 힘을 받지 않는 쪽(좌측)으로 기울어져 작동하게 되고, 푸시버튼의 수평을 유지하지 못하고 기울어진 상태로 반복작동함에 따라 클러치 작동장치가 고장을 일으키게 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하방으로 조작될 때 더 이상 하방으로 내려가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핀으로 된 스톱퍼를 설치해야 하므로 구조적으로 복잡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낚시대 손잡이를 잡은 손의 엄지손가락으로 클러치 조작용 푸시버튼의 누름조작과 스풀의 플랜지면에 대한 더밍조작을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 베이트 캐스팅 릴의 클러치 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푸시버튼을 클러치 조작시 힘을 받는 쪽(우측)에서만 상하로 이동하도록 설치함으로써 푸시버튼에 의한 클러치 조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짐과 아울러 클러치 작동장치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려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핸들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는 구동기어에 맞물리는 피니언이 푸시버튼의 조작에 의하여 수풀축에 접속/이탈되면서 스풀이 자유회전상태와 핸들에 의한 회전구동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도록 한 클러치 기구를 구비한 통상의 것에 있어서, 상기 푸시버튼은 릴본체의 좌측 릴측판에 천공된 원형 지지공에 삽입 지지되는 지지단부와 우측 릴측판과 세트플레이트에 천공된 안내장공에 삽입안내되어 클러치 기구를 구동하는 클러치 구동단부를 가지는 버튼축에 결합되어 푸시버튼을 눌렀을 때 지지단부를 중심으로 클러치 구동단부가 하향 경사진 상태로 하강하여 클러치 조작과 더밍조작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트 캐스팅 릴의 클러치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의하여 달성된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베이트 캐스팅 릴의 클러치 조작장치를 첨부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베이트 캐스팅 릴의 클러치 장치의 분해 사시도, 제2도(a, b)는 본 고안 장치에서 피니언이 스풀축계합부에 접촉하여 동력이 스풀축에 전달되는 상태를 보인 측면도, 제3도(a)는 제2도(a)의 Ⅳ-Ⅳ선 단면도, 제3도(b)는 제2도(b)의 Ⅴ-Ⅴ선 단면도, 제4도(a, b)는 제2도의 상태에서 사용시 손의 위치를 보인 사용상태를 보인 측면도 및 정면도, 제5도(a, b)는 제3도의 상태에서 사용시 손의 위치를 보인 측면도 및 정면도이다.
제1도에서는 도면의 복잡을 피하기 위하여 구동기어와 핸들 및 스풀축을 생략한 것이다.
먼저, 스풀과 레벨 와인더 스크류를 회전 구동하기 위한 기본적인 구성을 설명하면,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 한쌍의 릴측판(1a, 1b)과 이들 릴측판(1a, 1b)사이에 형성되는 스풀설치공간(1c)을 가지는 릴본체(1)와, 상기 스풀설치공간(1c)에 삽입되어 그 양단이 스풀설치공간(1c)내에서 회전하는 좌우 한쌍의 플랜지부(2a, 2b)가 형성된 스풀(2)과, 상기 릴본체(1)의 양측 릴측판(1a, 1b)에 고정되는 한쌍의 세트플레이트(3a, 3b)와, 이 세트플레이트(3a, 3b)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스풀축(4)과, 이 스풀축(4)에 축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져 스풀축(4)에 단속되는 피니언(5)과, 상기 스풀축(4)과 일측방으로 이격된 위치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핸들축(6)과, 이 핸들축(6)에 일체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피니언(5)과 맞물리는 구동기어(7)와, 이 구동기어(7)와 함께 핸들축(6)에 동축으로 끼워져 일체로 회전하는 레벨 와인더 캐리지 스크류(도시되지 않음)에 결합된 아이들기어(8)에 맞물리는 레벨 와인더 캐리지 구동기어(9)와, 상기 핸들축(6)의 외측단부에 고정된 핸들(10)이 구비된다.
상기 릴본체(1)의 릴측판(1a, 1b)에는 각각 후술하는 푸시버튼(11)에 관통된 버튼축(11a)의 지지단부(11b)가 삽입지지되는 지지공(1d)과 버튼축(11a)의 클러치 구동단부(11c)가 삽입안내되는 안내장공(1e)이 천공되어 있다.
상기 세트플레이트(3b)에는 상기 스풀축(4)과 핸들축(6)을 지지하기 위한 축공(3c, 3d)이 서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또 일측 세트플레이트(3d)에는 후술하는 푸시버튼(11)에 관통된 버튼축(11a)의 클러치 구동단부(11c)이 삽입안내되는 안내장공(3e)이 상기 리리본체(1)에 천공된 안내장공(1e)과 일치하는 위치에 천공되어 있다.
상기 스풀축(4)과 피니언(5)에는 걸어맞춤부(4a, 5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피니언(5)은 그 중간부에 후술하는 요크(14)의 반원홈부(14b)에 끼워맞춰지는 요홈부(5b)가 원주를 따라 형성되어 있다.
본 고안과 관련된 클러치 기구는, 제1도 내지 제3도(a,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릴본체(1)의 양측 릴측판(1a, 1b)사이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푸시버튼(11)과, 스풀축(4)에 헛돌게 끼워져 상기 푸시버튼(11)에 연동회전하는 클러치링크(12)와, 이 클러치링크(12)에 연동회전하는 클러치암(13)과, 클러치암(13)에 연동하여 축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요크(14)와, 상기 클러치암(13)의 일단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키킹플레이트(15)와, 상기 핸들축(6)에 고정된 래치트훨(16)로 구성된다.
상기 푸시버튼(11)에는 버튼축(11a)이 관통되며, 이 버튼축(11a)의 일단(클러치 기구가 설치된 방향과 반대쪽 : 좌측) 지지단부(11b)가 상기 릴본체(1)의 일측 릴측판(1a)에 천공된 원형 지지공(1d)에 끼워지며, 탄단(클러치 기구가 설치되지 않은 쪽 : 우측) 클러치 구동단부(11c)는 타측 릴측판(1b)에 형성된 장공(1e)에 끼워져 푸시버튼(11)이 지지단부(11b)를 중심으로 클러치 구동단부(11c)가 장공(1e)과 세트플레이트(3b)에 천공된 안내장공(3e)내에서 상하 회동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푸시버튼(11)의 상단면은 클러치 기구가 설치되는 쪽(우측)으로 갈수록 경사지면서 깊어지는 손가락 안내홈(11d)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클러치링크(12)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풀축(4)에 헛돌게 끼워지는 중앙의 축공(12a)과, 이 축공(11a)에서 일측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푸시버튼(11)의 클러치 구동단부(11c)가 접촉되는 푸시버튼 연동부(12b) 및 축공(12a)에서 타측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클러치암(13)을 연동회전시키는 클러치암 연동부(12)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클러치암(13)은 중앙부에 형성되어 상기 세트플레이트(3b)의 축공(3c) 주위에 형성된 축보스(3f)에 끼워지는 축공부(13a)와 이 축공부(13a)에 연통 형성된 부채꼴형 래치트포올 유동공간(13b)과, 상기 클러치링크(12)의 클러치암 연동부(12c)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클러치링크 연동부(13c)와, 상기 클러치링크 연동부(13c)의 반대측에서 상기 키킹플레이트(15)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키킹플레이트 연동부(13d) 및 외측면에 형성된 한쌍의 경사돌기(13e)를 가지며, 토션스프링(13f)에 의하여 상기 클러치링크(12)를 당기는 방향으로 탄력설치되어 있다.
상기 클러치링크 연동부(13c)에는 상기 클러치링크(12)의 클러치암 연동부(12c)에 천공된 연결공(12c')에 헛돌게 끼워지는 연결돌기(13c')가 돌출형성되며, 상기 키킹플레이트 연동부(13d)에는 키킹플레이트(15)의 연결공(15a)에 끼워지는 연결돌기(13d)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공(12c')과 연결돌기(13c') 및 연결돌기(13d')와 축공(15a)은 서로 반대측에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경사돌기(13e)는 클러치암(13)의 회동방향으로 볼 때 동일한 방향을 향하는 경사면을 가진다.
상기 요크(14)는 그 양단부에 안내공(14a)이 천공되어 세트플레이트(3b)에 돌출된 안내돌기(3g)에 축방향으로 슬라이딩가능하게 끼워지며, 중앙부에는 상기 피니언(5)의 요홈부(5b)에 걸어맞춰지는 반원홈부(14b)가 형성되어 있으며, 내측면에는 상기 클러치암(13)의 경사돌기(13e)와 접촉되는 경사면(14c)가 형성되고, 스프링(14d)에 의하여 상시 피니언(5)을 그 걸어맞춤부(5a)가 스풀축(4)의 걸어맞춤부(4a)에 맞물리는 방향으로 탄력설치되어 있다.
상기 키킹플레이트(15)는 그 일단부에 상기 클러치암(13)의 키킹플레이트 연동부(13d)에 돌출된 연결돌기(13d')가 헛돌게 끼워지는 연결공(15a)이 천공되고, 타측단부에는 래치트포올(15b)이 돌출형성되며, 토션스프링(15c)에 의하여 상기 래치트포올(15b)이 래치트휠(16)의 래치트치부(16)에서 이탈되는 방향으로 탄력설치되어 있다.
상기 래치트휠(16)은 상기 구동기어(7)와 함께 핸들축(6)에 고정설치되는 것으로 그 외주면에는 상기 키킹플레이트(15)의 래치트포올(15b)에 걸리는 다수개의 래치트치부(16a)가 일정 피치를 가지고 형성되어 있다.
도면에서 미설명 부호 17은 세트플레이트(3b)를 릴본체(1)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나사이고, 18은 스타드래그이며, 19는 상술한 부품들을 덮어씌우는 커버로서 스풀축(4)과 핸들축(6)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이고, 20은 낚시대이고, 21은 낚시대 손잡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클러치 장치가 적용된 베이트 캐스팅 릴의 작동을 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핸들(10)에 의하여 스풀(2)을 회전시키는 동작을 설명한다.
제2도(a) 및 제3도(a)는 핸들(10)을 회전시킴에 따라 스풀(2)이 회전하면서 낚시줄을 감을 수 있는 상태를 보인 것으로, 이 상태에서는 상기 키킹플레이트(15)의 래치트포올(15b)가 래치트휠(16)의 래치트치부(16a)에서 이탈된 상태로 되고, 요크(14)는 스프링(14d)에 의하여 상시 피니언(5)을 그 걸어맞춤부(5a)가 스풀축(4)의 걸어맞춤부(4a)에 걸어맞춰지도록 탄력적으로 받혀주고 있으므로 상기 피니언(5)은 그 걸어맞춤부(5a)가 스풀축(4)의 걸어맞춤부(4a)에 걸어맞춰진 상태에서 스풀축(4)과 피니언(5)이 일체로 회전할 수 있는 상태로 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핸들(10)을 돌리면, 핸들축(6)이 회전하면서 이에 일체로 회동가능하게 고정된 구동기어(7)가 회전하면서 이에 맞물려 있는 피니언(5)을 회전시키게 되고, 이 피니언(5)은 그 걸어맞춤부(5a)가 스풀축(4)의 걸어맞춤부(4a)에 맞물려 있으므로 핸들(10)의 회전력은 구동기어(7)과 피니언(5)을 통하여 스풀축(4)에 전달되고 이에 따라 스풀(2)이 회전하면서 낚시줄을 감게 된다.
이때 상기 클러치링크(12)는 토션스프링(12d)에 의하여 그 푸시 버튼 연동부(12b)가 버튼축(11a)의 클러치 구동단부(11c)에 접촉되는 상태로 유지되고, 이 클러치링크(12)의 클러치암 연동부(12c)에 클러치링크 연동부(13c)가 연결된 클러치암(13)은 그 키킹플레이트 연동부(13d)의 연결돌기(13d')에 축공(15a)에 끼워져 있는 키킹플레이트(15)를 후퇴시킨 상태로 유지시키는 상태로 됨과 아울러 요크(14)는 스프링(14d)에 의하여 후퇴되어 그 중간부의 반원홈부(14b)에 요홈부(5b)가 걸어맞춰져 있는 피니언(5)이 그 걸어맞춤부(5a)가 스풀축(4)의 걸어맞춤부(4a)에 걸어맞춰지는 상태로 유지시키는 상태로 된다.
한편, 낚시줄을 던지기 위하여 스풀(2)이 피니언(5)과 구동기어(7) 및 핸들(10)등과 무관하게 헛돌게 하는 경우에는 낚시대 손잡이(20)를 잡고 있는 손의 엄지손가락으로 푸시버튼(11)을 누르면, 클러치 기구에 의하여 스풀축(4)과 피니언(5)이 헛도는 상태, 즉 스풀(2)이 자유 회전상태로 되어 낚시줄을 던질 때 스풀(2)에 감겨 있는 낚시줄이 원활하게 풀려나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제2도(b) 및 제3도(b)와 같이 푸시버튼(11)은 그 버튼축(11a)의 지지단부(11b)는 릴본체(1)의 릴측판(1a)에 형성된 원형 지지공(11d)에 삽입지지되어 있고 타측의 클러치 구동단부(11c)는 릴측판(1b)와 세트플레이트(3b)에 천공된 안내장공(1e, 3e)에 삽입되어 있으므로 푸시버튼(11)은 클러치 기구가 설치된 쪽(우측)의 클러치 구동단부(11c)만 지지단부(11b)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하강하면서 클러치링크(12)의 푸시버튼 연동부(12b)를 하방으로 누르게 된다.
이에 따라 클러치링크(12)는 스풀축(4)을 중심으로 토션스프링(12d)에 대항하여 도면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되고, 상기 클러치링크(12)의 클러치암 연동부(12c)는 클러치암(13)의 클러치링크 연동부(13c)와 연결공(12c')과 연결돌기(13c')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으므로 클러치암(13)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클러치암(13)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그 키킹플레이트 연동부(13d)에 연결된 키킹플레이트(15)는 토션스프링(15c)에 의하여 바깥쪽으로 힘이 가해지다가 클러치암(13)이 점점 이동하면 사점(死点)을 벗어나면 순간적으로 래치트휠(16)쪽으로 이동하여 그 측면에 형성된 래치트포올(15b)이 핸들축(6)에 고정설치된 래치트휠(16)의 래치트치부(16a)에 걸리게 된다.
이와 동시에 클러치암(13)의 측면에 형성된 경사돌기(13e)가 요크(14)의 경사면(14c)을 밀게 되고 이에 따라 요크(14)는 스프링(14d)에 대항하여 우측으로 밀리게 되며, 이때 요크(14)의 중간부에 형성된 반원홈부(14b)와 피니언(5)의 요홈부(5b)에 맞물려 있으므로 요크(14)의 우측으로의 이동에 따라 피니언(5)도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피니언(5)의 걸어맞춤부(5a)는 스풀축(4)의 걸어맞춤부(4a)에서 빠져나와 스풀축(4)와 피니언(5)이 헛도는 상태로 된다.
따라서 스풀(2)은 피니언(5)와 구동기어(7)에 의한 전동상태에서 자유 회전상태로 된다.
이와 같이 스풀(2)의 자유 회전상태에서 낚시줄을 던지는 동작을 하면 스풀(2)에 감겨 있는 낚시줄은 자유롭게 풀려나오게 되는 것이다.
이 상태에서 다시 낚시줄을 감기 위하여 핸들(10)을 돌리면, 핸들축(6)에 고정되어 있는 래치트훨(16)이 회전하면서 그 래치트치부(16a)가 이에 걸려 있는 키킹플레이트(15)의 래치트포올(15b)을 밀치게 되어 제2도(a) 및 제3도(a)와 같이 래치트포올(15b)과 래치트치부(16a)의 물림상태가 해제되며, 이에 따라 키킹플레이트(15)는 사점을 벗어나는 순간에 토션스프링(15c)의 복원력에 의하여 복귀되면서 클러치암(13)을 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게 된다.
클러치암(13)이 시계방향으로 회동함에 따라 요크(14)의 경사면(14c)을 우측으로 밀고 있던 경사돌기(13c)가 경사면(14c)로부터 이격되어 요크(14)를 우측으로 밀던 힘이 해제되어 요크(14)는 스프링(14c)에 의하여 좌측으로 복귀되면서 그 반원홈부(14b)에 요홈부(5b)가 맞물려 있는 피니언(5)을 좌측으로 이동시키게 되며, 이에 따라 피니언(5)은 제2도(a) 및 제3도(a)와 같이 그 걸어맞춤부(5a)가 스풀축(4)의 걸어맞춤부(4a)에 걸어맞춰진다.
이 상태에서 핸들(10)에서 계속하여 돌리면 구동기어(7)에 맞물린 피니언(5)이 회전하게 되고 이 피니언(5)의 걸어맞춤부(5a)에 걸어맞춤부(4a)가 걸어맞춰진 스풀축(4)이 회전하여 스풀(2)이 회전하면서 낚시줄을 감아들이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동작되는 본 고안 장치에서는 낚시줄을 감아들이는 경우에는 제4도(a, b)와 같이 낚시대(20)의 손잡이(21)를 쥔 손(왼손)의 엄지손가락으로 푸시버튼(11)의 손가락 안내홈(11d)에 가볍게 댄 상태에서 핸들(10)을 다른 손(오른손)으로 잡고 돌리는 것이며, 낚시줄을 던지기 위하여 클러치 조작을 하는 경우에는 제5도(a, b)와 같이 푸시버튼(11)의 손가락 안내홈(11d) 부분을 엄지손가락으로 누르는 것에 의하여 클러치 조작과 동시에 스풀(2)의 플랜지면(2a, 2b)의 더밍조작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낚시대(20)를 쥔 손(왼손)의 엄지손가락으로 푸시버튼(11)의 손가락 안내홈(11d)에 대고 누르면 푸시버튼(11)은 그 버튼축(11a)의 좌측단부인 지지단부(11b)는 릴본체(1)의 릴측판(1a)에 천공된 원형 지지공(1d)에 지지되어 있고 우측단부인 클러치 구동단부(11c)는 릴측판(1b)과 세트플레이트(3b)에 천공된 안내장공(1e, 3e)에 삽입되어 있으므로 지지공(1d)에 삽입지지되어 있는 지지단부(11b)를 중심으로 하여 클러치 구동단부(11c)만 하향 회동하게 되어 푸시버튼(11)은 후측으로 하향 경사진 상태로 되고, 이에 따라 낚시대(20)의 손잡이(21)를 쥔 손(왼손)의 엄지손가락은 인체구조상 우측으로 꺽기게 되므로 그 엄지손가락의 끝 부분은 꺾기게 되므로 그 엄지손가락의 끝 부분은 자연스럽게 스풀(2)의 우측 플랜지면(2b)에 접속시킬 수 있는 상태로 되어 상술한 클러치 조작과 스풀(2)의 더밍조작을 무리없이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푸시버튼(11)의 손가락 안내홈(11d)은 우측으로 갈수록 점차 경사지면서 깊어지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푸시버튼(11)을 낚시대(20)를 쥔 손(왼손)의 엄지손가락으로 누를 때 그 엄지손가락의 끝 부분을 스풀(2)의 우측 플랜지면(2b)에 접촉시키는 동작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예로서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내에서 당업자들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 가능한 것이다.

Claims (3)

  1. 핸들(10)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는 구동기어(7)에 맞물리는 피니언(5)이 푸시버튼(11)의 조작에 의하여 스풀축(4)에 접속/이탈되면서 스풀(2)이 자유회전상태와 핸들(10)에 의한 회전구동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도록 한 클러치 기구를 구비한 통상의 것에 있어서, 상기 푸시버튼(11)은 릴본체(1)의 좌측 릴측판(1a)에 천공된 원형 지지공(1d)에 삽입지지되는 지지단부(11b)와 우측 릴측판(1b)와 세트플레이트(3b)에 천공된 안내장공(1e, 3e)에 삽입안내되어 클러치 기구를 구동하는 클러치 구동단부(11c)를 가지는 버튼축(11a)에 결합되어 푸시버튼(11)을 눌렀을 때 지지단부(11b)를 중심으로 클러치 구동단부(11c)가 하향 경사진 상태로 하강하여 클러치 조작과 더밍조작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트 캐스팅 릴의 클러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버튼(11)의 상면에는 우측으로 갈수록 경사지면서 깊어지는 손가락 안내홈(11d)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트 캐스팅 릴의 클러치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 기구는, 스풀축(4)의 헛돌게 끼워져 상기 푸시버튼(11)에 연동회전하는 클러치 링크(12)와, 이 클러치링크(12)에 연동회전하는 클러치암(13)과, 클러치암(13)에 연동하여 축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요크(14)와, 상기 클러치암(13)의 일단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래치트포올(15b)이 형성된 키킹플레이트(15)와, 상기 핸들축(6)에 고정되며 상기 래치트포올(15b)에 걸리는 래치트치부(16a)가 형성된 래치트휠(16)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트 캐스팅 릴의 클러치 장치.
KR2019930007612U 1993-05-07 1993-05-07 베이트 캐스팅 릴의 클러치 장치 KR96000612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7612U KR960006125Y1 (ko) 1993-05-07 1993-05-07 베이트 캐스팅 릴의 클러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7612U KR960006125Y1 (ko) 1993-05-07 1993-05-07 베이트 캐스팅 릴의 클러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5840U KR940025840U (ko) 1994-12-08
KR960006125Y1 true KR960006125Y1 (ko) 1996-07-22

Family

ID=19354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07612U KR960006125Y1 (ko) 1993-05-07 1993-05-07 베이트 캐스팅 릴의 클러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612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5840U (ko) 1994-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58823A (en) Fishing reel clutch mechanism
US5203213A (en) Bicycle speed control apparatus
US4575024A (en) Fishing reel with shaft supported at both ends
US7290727B1 (en) Closed face reel
US4281808A (en) Fishing reel
US5058447A (en) Change-speed construction for fishing reel
KR960006125Y1 (ko) 베이트 캐스팅 릴의 클러치 장치
US4288046A (en) Spinning reel with anti-reversal mechanism
US4369936A (en) Fishing reel clutch control mechanism
US5275352A (en) Baitcasting reel
JPS6137850U (ja) リクライニング装置
US4548370A (en) Fishing reel clutch actuator
US6328239B1 (en) Clutch mechanism of fishing line winder
US4832277A (en) Fishing reel
US4768735A (en) Clutch mechanism for reel having spool shaft supported at both ends
KR200263649Y1 (ko) 스피닝 릴의 베일록킹장치
JP3384924B2 (ja) 魚釣用両軸受型リール
JP2008245566A (ja) 魚釣用リール
JPH0327426Y2 (ko)
US4735518A (en) Ink ribbon cassette
JP3049381U (ja) ロータの逆転防止の解除装置
JPH0310857Y2 (ko)
US4408911A (en) Ink ribbon winding and reversing assembly
KR910002911Y1 (ko) 베이트 캐스팅 릴의 클러치 및 키킹장치
JP2930630B2 (ja) 電動リール用クラッ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