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9325B1 - 낚시용 릴 - Google Patents

낚시용 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9325B1
KR100699325B1 KR1020050091039A KR20050091039A KR100699325B1 KR 100699325 B1 KR100699325 B1 KR 100699325B1 KR 1020050091039 A KR1020050091039 A KR 1020050091039A KR 20050091039 A KR20050091039 A KR 20050091039A KR 100699325 B1 KR100699325 B1 KR 1006993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utch
reel
shaft
handle shaft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10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01183A (ko
Inventor
타케오 미야자키
히로시 토오마
Original Assignee
다이와 세이꼬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와 세이꼬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와 세이꼬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011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11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93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93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931Spool or spool shaft detai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00Fishing, trapping, and vermin destroying

Abstract

릴 본체의 소형화 및 경량화를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측판 내의 수용 스페이스의 유효이용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한 낚시용 릴을 제공하는 것.
스풀(18a)을 권취 구동하는 핸들 축(22a)의 지지 단부(22b)를 릴 본체(12)의 우측판(16b)의 내측의 프레임(14b)에 회전 자유롭게 지지하고 또한 걸음부재(82)를 통해 빠짐 방지해서 이루어지는 낚시용 릴로서, 핸들 축(22a)의 기부에 일체로 설치한 클러치 복귀용 기어(47)에 축방향으로 관통하는 작업 구멍(90)을 형성하고, 이 작업 구멍(90)을 통해서 걸음부재(82)를 프레임(14b)에 고정하는 나사(86)를 삽입 통과 가능하게 한 낚시용 릴(10).
낚시용 릴, 스풀, 핸들 축, 릴 본체, 프레임, 걸음부재.

Description

낚시용 릴{REEL FOR FISHING}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의한 낚시용 릴의 단면도,
도 2는 도 1의 낚시용 릴의 핸들측의 측판을 떼어낸 상태의 설명도,
도 3은 도 1의 낚시용 릴의 클러치 기구의 설명도,
도 4는 도 3의 Ⅳ-Ⅳ선에 따른 설명도, 및
도 5는 핸들 축 상에 구동 기어를 장착한 상태의 설명도.
[부호의 설명]
10…낚시용 릴 12…릴 본체
14a, 14b…프레임 16a, 16b…측판
18a…스풀 22a…핸들 축
47…클러치 복귀용 기어 82…걸음부재
86…나사 90…작업 구멍
본 발명은 릴 본체에 회전 자유롭게 지지한 스풀을, 이 릴 본체의 일방의 측판에 회전 자유롭게 지지한 핸들의 회전 조작으로 권취 구동하는 낚시용 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낚시줄을 감는 스풀을 릴 본체에 회전 자유롭게 지지한 낚시용 릴은 릴 본체의 측판으로부터 외방으로 돌출하는 핸들 축의 외측단부에 스풀을 회전 구동하기 위한 핸들을 고정하고 있다. 이 핸들을 고정하는 핸들 축은 내측단부 즉 기부가 릴 본체의 일방의 측판의 내측판인 프레임 지지판에 설치된 베어링을 통해 회전 자유롭게 지지되고, 이 베어링과 함께 프레임 지지판으로부터 빠져나오는 것이 방지되어 있다. 이 핸들 축 및 베어링의 빠짐 방지는 프레임 지지판에 나사로 고정되는 걸음부재에 의해 행하여진다(예를 들면 특허문헌1 및 특허문헌2 참조).
이러한 핸들 축의 기부의 주위부에는, 예를 들면 핸들 축의 역전 방지용의 래치나 핸들의 회전에 연동해서 클러치 기구를 걸어맞춤 상태로 복귀시키는 클러치 복귀체 등의 부재가 회전 방지 끼워맞춤되어 있고, 핸들 축보다도 대경의 이들 래치나 클러치 복귀체 등의 회전체는 걸음부재를 프레임 지지판에 나사 고정해서 핸들 축 및 베어링을 빠짐 방지 지지한 후에, 핸들 축에 회전 방지 끼워맞춤해서 편입된다.
[특허문헌1]일본국 실개평1-178375호 공보
[특허문헌2]일본국 실공평6-29027호 공보
그러나, 낚시용 릴의 편입 작업을 간소화하고, 부품점수를 삭감하고, 제조 코스트를 저감하고, 역전 방지 또는 클러치 복귀 기능의 안정화를 도모하는 등을 위해, 래치 등의 역전 방지체나 클러치 복귀체 등의 회전체를 핸들 축과 별체 구조로 형성한 후, 코킹 등에 의해 핸들 축에 일체화한 것, 혹은, 절삭 등에 의해 처음부터 일체 구조로 형성한 것 등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 경우, 걸음부재를 프레임지지판에 고정하는 나사는 핸들 축의 구조상, 역전 방지체나 클러치 복귀체 등의 부재의 반경방향 외방위치에 배치할 필요가 있어, 걸음부재가 대형화된다. 이 때문에, 측판내에 여러가지 부재를 수용하기 위한 스페이스가 제약되는 동시에, 릴 본체가 대형화되고, 중량화되고, 낚시 조작성이 저하하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에 의거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릴 본체의 소형화 및 경량화를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측판내의 수용 스페이스의 유효이용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한 낚시용 릴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의 낚시용 릴은 스풀을 권취 구동하는 핸들 축의 기부를 릴 본체의 측판의 내측 지지판에 회전 자유롭게 지지하고 또한 걸음부재를 통해 빠짐 방지해서 이루어지는 낚시용 릴로서, 상기 핸들 축의 기부에 일체로 설치한 회전체에 축방향으로 관통하는 작업 구멍을 형성하고, 이 작업 구멍을 통해서 상기 걸음부재를 내측 지지판에 고정하는 나사를 삽입 통과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의한 낚시용 릴(10)을 도시한다.
본 실시형태의 낚시용 릴은 양 베어링형 수동 릴로서 형성되어 있고, 이 릴 본체(12)는 한 쌍의 프레임(14a, 14b)의 각각의 외측에 예를 들면 나사, 나사결합 혹은 끼워맞춤 등의 수단에 의해, 측판(16a, 16b)을 부착하고 있다. 이들 프레임(14a, 14b) 사이에, 스풀(18a)을 장착해서 이 스풀(18a)과 함께 회전하는 스풀 축(18)의 양단부가 예를 들면 도시와 같은 볼 베어링(20a, 20b)을 통해 회전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이 스풀 축(18)의 일단측에는 핸들(22)로 회전 구동되는 피니언 기어(24)가 이 스풀 축(18)과 동축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 핸들(22)을 그 외측단부에 고정한 핸들 축(22a)은 도면의 우측에 도시한 우측판(16b)에 형성한 원통돌출부(15)내에 배치되고, 핸들(22)에 근접한 선단측을 베어링(26)을 통해 이 원통돌출부(15)에서 회전 자유롭게 떠받쳐져 있다. 또, 핸들 축(22a)의 기부에 설치한 지지 단부(22b)는 우측판(16b)과 우프레임(14b)과의 사이에 형성된 일정 공간영역을 관통하고, 우프레임(14b)에 설치된 베어링(28)을 통해 이 프레임(14b)에 회전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핸들 축(22a)이 관통하는 공간영역에는 핸들(22)의 회전력을 스풀 축(18)의 우단부측에 전달해서 스풀(18a)을 회전시키는 구동기구(30)가 수용되고, 한편, 이 스풀(18a)의 좌단부측에는 스풀(18a)의 과회전을 방지함으로써 낚시줄 풀어내기 시의 백래쉬를 방지하기 위한 예를 들면 자계 내에서 회전하는 도전체 내의 와전류에 의해 스풀(18a)을 제동하는 자기제동식의 백래쉬 방지 기구(32)가 설치되어 있다.
우프레임(14b)과 우측판(16b) 사이의 공간영역 내에 수용한 구동기구(30)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스풀 축(18)과 동축형상이며 또한 축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한 피니언 기어(24)와, 핸들 축(22a)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구동 기어(34)와, 이 구동 기어(34)와 핸들 축(22a) 사이에 설치된 드래그 기구(36)로 형성되어 있다.
피니언 기어(24)는 스풀 축(18)과 동축 상에 배치된 피니언 축(25)의 외주에 끼워지고, 우프레임(14b)과 우측판(16b)에 설치한 베어링(20c, 20d)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후술하는 클러치 기구(38)를 ON/OFF 조작함으로써, 스풀 축(18)에 걸어맞춤해서 스풀 축(18)과 일체로 회전하는 걸어맞춤 위치와, 스풀 축(18)과의 걸어맞춤 상태가 해제된 비걸어맞춤 위치와의 사이를 이동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피니언 기어(24)에 형성된 둘레방향 홈(24a)에 걸어맞춤하고 있는 클러치 플레이트(40)가 클러치 기구(38)의 ON/OFF 조작에 연동하여, 피니언 축(25)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피니언 기어(24)를 걸어맞춤 위치(낚시줄 권취 가능상태;클러치 ON)와 비걸어맞춤 위치(스풀 프리 회전 상태;클러치 OFF)로 이동시킬 수 있다.
피니언 기어(24)를 구동하는 구동 기어(34)는 핸들(22)에 근접한 겉측이 개구단을 형성하고 또한 격리된 안측이 폐쇄단을 형성하는 축방향으로 짧은 통상 형상을 가지고, 이 내측에 상기의 드래그 기구(36)가 수용되어 있다.
이 드래그 기구(36)는 구동 기어(34)와 일체 회전하도록 배치된 금속 와셔와, 핸들 축(22a)에 회전 방지된 복수의 금속 와셔를 축방향을 따라 교대로 배치하고, 이들의 금속 와셔 사이에 라이닝재를 끼운 마찰 걸어맞춤 부재를 구비하고 있고, 핸들 축(22a)에 나사결합한 드래그 조작 레버(42)를 회전 조작하여, 구동 기어 (34)의 폐쇄단측의 바닥벽을 향해 이 마찰 걸어맞춤 부재의 금속 와셔 및 라이닝재를 축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원하는 드래그력을 부여할 수 있다.
이 낚시용 릴(10)에서는, 클러치 ON상태에서, 핸들(22)을 회전 조작하면, 이 핸들 축(22a)의 회전운동이 드래그 기구(36)를 통해 구동 기어(34)에 전달되고, 이 구동 기어(34)에 맞물리는 피니언 기어(24)가 회전된다. 이에 따라, 클러치 기구(38)를 통해 피니언 기어(24)에 걸어맞춤하고 있는 스풀 축(18)이 연동해서 회전하고, 스풀(18a)을 낚시줄 권취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구동 기어(34)와 핸들 축(22a) 사이에 끼워진 드래그 기구(36)는 드래그 구동기구(30)를 회전 조작량에 따른 드래그력을 넘는 힘이 낚시줄에 작용했을 때에, 스풀(18a)을 공전시킨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핸들 축(22a)과 우측판(16b)의 원통돌출부(15) 사이에 일방향 클러치(44)가 설치되어 있고, 이 일방향 클러치(44)에 의해, 핸들 축(22a)은 낚시줄 권취 방향으로만 회전하도록 그 회전 방향이 규제되어 있다. 이러한 일방향 클러치(44) 대신에 예를 들면 역전 방지용의 래치 등의 다른 수단을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핸들 축(22a)의 기부에는, 지지 단부(22b)에 근접한 위치에, 구동 기어(34)와 후술하는 레벨 와인드 기구(46)의 구동 기어(48)를 연동시키는 연동 기어(45)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이 연동 기어(45)에는, 상기한 구동 기어(34)의 폐쇄단(핸들(22)의 반대측)에 형성된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180도 간격으로 2개 형성되어 있다)의 구멍에 끼워맞춤 가능한 복수의 돌기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돌기와 구멍을 통해 연동 기어(45)를 구동 기어(34)에 연결함으로써, 연동 기어(45) 는 항상, 구동 기어(34)와 함께 일체 회전한다. 또, 이들 돌기를 설치한 측의 반대측에서 연동 기어(45)는 평탄형상 면으로 형성되어 있고, 핸들 축(22a)에 회전 방지 고정된 클러치 복귀용 회전체인 클러치 복귀용 기어(47)의 평탄형상의 측면과 이 연동 기어(45)의 평탄형상 면이 서로 면접하고 있다.
연동 기어(45)는 스풀(18a)의 전방측에 배치된 레벨 와인드 기구(46)의 구동 기어(48)에 맞물려 있다. 이 레벨 와인드 기구(46)는 외주면에 트래버스 홈이 형성되고 또한 단부에 구동 기어(48)가 부착된 웜 샤프트(50)와, 이 웜 샤프트(50)를 수용하는 통체(52)와, 웜 샤프트(50)의 회전에 연동하여, 통체(52)를 따라 좌우로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체(53)를 가지고 있고, 이 슬라이딩체(53)에 설치된 낚시줄 안내부재(도시하지 않는다)를 통해 스풀(18a)에 낚시줄을 평행하게 감아 안내한다. 즉, 핸들(22)을 회전 조작하면, 그 때의 회전운동은 구동 기어(34)와 일체 회전하는 연동 기어(45)를 통해 구동 기어(48)에 전달되고, 웜 샤프트(50)를 회전시킨다. 이 때, 웜 샤프트(50)의 회전에 연동하여, 슬라이딩체(53)와 함께 낚시줄 안내부재가 좌우로 슬라이딩함으로써 낚시줄은 스풀(18a) 상에 균등하게 감긴다.
도 2 및 도 3은 핸들(22) 및 우측판(16b)을 떼어낸 상태에 있어서, 핸들(22)측에서 본 클러치 기구(38)의 구성을 도시한다. 또한, 도 2에는 클러치 ON상태, 도 3에는 클러치 OFF상태를 도시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러치 기구(38)는 수동으로 클러치 ON/OFF 조작하는 것이 가능한 클러치 레버(54)와, 이 클러치 레버(54)의 ON/OFF 조작에 연동해서 회동(回動)하는 클러치 캠(56)과, 이 클러치 캠(56)의 회동에 연동 해서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상기의 클러치 플레이트(40)와, 클러치 ON으로부터 클러치 OFF로 전환되었을 때에, 상기한 복귀용 회전체 즉 클러치 복귀용 기어(47)에 걸어맞춤하는 복귀용 작동편(60)을 구비하고 있다.
클러치 캠(56)은 우프레임(14b)으로부터 돌출한 회동 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 클러치 캠(56)이 회동하는 회동 축은 스풀 축(18) 또는 이 스풀 축(18)과 동축 상에, 도시하지 않지만 우프레임(14b)에 형성되어 있다. 이 클러치 캠(56)의 회동 범위는 이 클러치 캠(56)에 형성된 호형상의 개구부(57)내에 우프레임(14b)으로부터 돌출하는 보스(55)에 의해서 규제되어 있다.
또, 우프레임(14b)에는, 스풀 축(18)과 평행하게 뻗어나온 한 쌍의 가이드 축(58a, 58b)이 설치되어 있고, 클러치 플레이트(40)는 그 양단에 형성된 개구를 통해 이들 한 쌍의 가이드 축(58a, 58b)으로 가이드된 상태에서, 도시하지 않은 가압 스프링에 의해 항상 클러치 캠(56)의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다.
이 클러치 캠(56)에는, 클러치 플레이트(40)의 방향으로 돌출한 면 캠(56a)이 형성되어 있고, 클러치 레버(54)를 ON/OFF 조작해서 클러치 캠(56)을 회동시킴으로써, 면 캠(56a)이 클러치 플레이트(40)를 가압 스프링의 가압력에 저항해서 가이드 축(58a, 58b)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클러치 ON상태에 있어서, 클러치 플레이트(40)는 가압 스프링의 가압력에 의해 클러치 캠(56)방향으로 가압 이동된다. 클러치 플레이트(40)는 상기한 바와 같이 피니언 기어(24)의 둘레방향 홈(24a)에 걸어맞춤하고 있기 때문에, 클러치 플레이트(40)가 클러치 캠(56)의 방향으로 가압 이동됨으로써, 피니언 기어(24)를 스풀 축(18)에 걸어맞춤시킬 수 있다. 이 클러치 ON상태로부터 클러치 OFF상태로 전환하면, 클러치 캠(56)의 회동에 연동하여, 면 캠(56a)이 클러치 플레이트(40)를 가압 스프링의 가압력에 저항해서 클러치 캠(56)으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으로 가압 이동시킴으로써, 피니언 기어(24)와 스풀 축(18)과의 걸어맞춤 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다.
또, 클러치 캠(56)을 클러치 ON위치 및 클러치 OFF위치로 유지시키기 위해서, 클러치 기구(38)에는 홀드 스프링(62)이 설치되어 있다. 홀드 스프링(62)은 그 일단이 클러치 캠(56)에 지지되어 있고, 그 타단이 우프레임(14b)의 플랜지(64)에 형성된 지지부(64a)에 지지되어 있다. 이 홀드 스프링(62)은 클러치 ON상태(도 2)에 있어서, 도면 중 화살표 S로 도시한 방향의 스프링력을 클러치 캠(56)에 작용시키고, 클러치 OFF상태(도 3)에 있어서, 화살표 S와 역방향의 스프링력을 클러치 캠(56)에 작용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복귀용 작동편(60)은 일방의 가이드 축(58a)을 중심으로 요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복귀용 작동편(60)은 이 복귀용 작동편(60)에 형성된 긴 구멍(61)내에 가이드 축(58b)을 삽입 통과시킨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또, 복귀용 작동편(60)에는, 클러치 복귀용 기어(47)에 걸어맞춤 가능한 걸어맞춤부(66)가 설치되어 있고, 가이드 축(58b)을 중심으로 복귀용 작동편(60)을 요동시킴으로써, 이 걸어맞춤부(66)를 클러치 복귀용 기어(47)에 걸어맞춤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복귀용 작동편(60)의 걸어맞춤부(66)를 클러치 복귀용 기어(47)에 걸어맞춤 시킬 때에, 원하는 걸어맞춤력을 복귀용 작동편(60)의 걸어맞춤부(66)에 부여하기 위한 가압 스프링(68)이 설치되어 있다. 이 가압 스프링(68)은 그 일단이 복귀용 작동편(60)에 걸리고, 그 타단이 우프레임(14b)의 플랜지(64)에 형성된 걸음부(64b)에 걸려 있다. 그리고, 이 가압 스프링(68)에 의해, 복귀용 작동편(60)은 항상, 그 걸어맞춤부(66)가 클러치 복귀용 기어(47)에 걸어맞춤하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다.
또, 클러치 복귀용 기어(47)에 복귀용 작동편(60)을 걸어맞춤시키는 타이밍을 늦추는 동시에, 복귀용 작동편(60)에 작용하는 가압 스프링(68)의 스프링력을 상승시킴으로써, 클러치 ON/OFF 전환 동작을 원활 또한 확실하게 행하기 위해서, 클러치 기구(38)의 클러치 캠(56)에는 그 회동 축(스풀 축(18) 혹은 피니언 축(25))을 기준으로 하는 원호 형상의 궤적에 대하여 소정 각도만큼 경사진 캠 형상을 이루는 작동 규제부(72)가 설치되고, 복귀용 작동편(60)에는 작동 규제부(72)에 맞닿음 가능한 맞닿음부(74)가 형성되어 있다. 이 작동 규제부(72)의 경사진 캠 형상은 이 작동 규제부(72)의 일단(72a)이 클러치 캠(56)의 회동 축인 피니언 축(25)과의 사이에 형성하는 거리의 쪽이, 타단이 피니언 축(25)과의 사이에 형성하는 거리보다도 커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 맞닿음부(74)는 클러치 ON상태에 있어서, 복귀용 작동편(60)에 작용하는 가압 스프링(68)의 스프링력에 의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동 규제부(72)의 일단(72a)에 맞닿아져 있고, 클러치 ON상태로부터 클러치 OFF상태로 전환할 때에, 이 일단(72a)으로부터 타단을 향해서, 이 작동 규제부(72) 위를 슬라이딩해 간다. 그리고, 도 3에 도시한 클러치 OFF상태가 되면, 맞닿음부(74)는 작동 규제부(72)로부터 벗어난다.
이렇게 작동 규제부(72) 위를 복귀용 작동편(60)의 맞닿음부(74)가 슬라이딩할 때, 도 2에 도시한 클러치 ON상태에서, 클러치 캠(56)에는, 홀드 스프링(62)의 도 2에 화살표 S로 도시된 방향의 스프링력이 작용한다. 이 때, 복귀용 작동편(60)은 가압 스프링(68)의 스프링력에 의해, 그 맞닿음부(74)가 작동 규제부(72)의 일단(72a)에 맞닿은 상태로 유지된다. 복귀용 작동편(60)의 걸어맞춤부(66)는 클러치 복귀용 기어(47)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이간한 비걸어맞춤 상태가 되고, 핸들(22)을 회전 조작하여, 핸들 축(22a)을 회전함으로써, 스풀(18a)을 낚시줄 권취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클러치 기구(38)를 클러치 ON상태로부터 클러치 OFF상태로 전환할 때에, 클러치 레버(54)를 도 3에 2점쇄선으로 도시한 위치로부터 실선으로 도시한 위치를 향해서 압하(押下) 조작하면, 이 압하 조작에 연동해서 클러치 캠(56)이 피니언 축(25)을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작동 규제부(72)는 클러치 캠(56)의 회동 축(피니언 축(25))을 기준으로 하는 원호 형상의 궤적에 대하여, 소정 각도만큼 경사진 상태를 유지하면서 이동한다. 이렇게 작동 규제부(72)의 일단(72a)에 맞닿은 복귀용 작동편(60)의 맞닿음부(74)는 클러치 캠(56)의 이동에 따라 작동 규제부(72)의 일단(72a)으로부터 타단을 향해서 작동 규제부(72) 위를 슬라이딩한다.
작동 규제부(72)가 상기한 바와 같이 소정 각도만큼 경사진 캠 형상을 이루 고 있기 때문에, 복귀용 작동편(60)의 맞닿음부(74)가 작동 규제부(72)의 일단(72a)으로부터 타단을 향해서 슬라이딩해 가면, 복귀용 작동편(60)은 가압 스프링(68)의 스프링력에 저항해서 일방의 가이드 축(58b)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요동한다. 이 복귀용 작동편(60)의 시계방향으로의 요동에 의해, 걸어맞춤부(66)는 클러치 복귀용 기어(47)로부터 더욱 이간하고, 가압 스프링(68)은 신장한다. 이 가압 스프링(68)의 신장에 의해, 복귀용 작동편(60)에 작용하는 가압 스프링(68)의 스프링력이 상승한다.
도 3에 실선으로 도시한 클러치 OFF상태에서는, 복귀용 작동편(60)의 맞닿음부(74)는 작동 규제부(72)의 타단으로부터 벗어난다. 이 때, 가압 스프링(68)이 일단 신장해서 증가한 스프링력이 단숨에 해방됨으로써, 가압 스프링(68)에는 반시계방향으로 강한 스프링력이 발생한다. 이 반시계방향으로 작용하는 스프링력에 의해, 복귀용 작동편(60)은 가이드 축(58b)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단숨에 요동한다. 걸어맞춤부(66)는 기세 좋게 또한 고속으로 클러치 복귀용 기어(47)에 걸어맞춤한다.
클러치 플레이트(40)는 클러치 캠(56)의 면 캠(56a)에 의해, 클러치 캠(56)으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으로 가압되고, 이 클러치 플레이트(40)가 둘레방향 홈(24a)을 통해 걸어맞춤하는 피니언 기어(24)는 도 1에 도시한 핸들(22)의 방향으로 이동하고, 스풀 축(18)과의 걸어맞춤이 해제된다. 그 결과, 스풀(18a)은 프리 회동 상태로 유지된다.
클러치 OFF상태로부터 다시 클러치 ON상태로 복귀시키기 위해서, 클러치 레 버(54)를 압상(押上) 조작하여, 도 3의 실선으로 도시된 위치로부터 2점쇄선으로 도시한 위치까지 되돌려 가면, 클러치 캠(56)은 홀드 스프링(62)의 도 2에 화살표 S로 도시한 방향의 스프링력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동되고, 복귀용 작동편(60)은 가압 스프링(68)의 스프링력에 의해, 그 맞닿음부(74)가 작동 규제부(72)의 일단(72a)에 맞닿은 상태로 유지되고, 복귀용 작동편(60)의 걸어맞춤부(66)는 클러치 복귀용 기어(47)로부터 이간된 비걸어맞춤 상태가 된다.
또, 핸들(22)을 낚시줄 권취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클러치 OFF상태로부터 클러치 ON상태로 복귀시킬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복귀용 작동편(60)에는 맞닿음부(74)의 근방에 복귀용 접촉편(76)이 형성되어 있고, 한편, 클러치 캠(56)에는 복귀용 접촉편(76)에 대향한 위치에 둘레방향 홈(78)이 형성되어 있다.
도 3에 실선으로 나타낸 클러치 OFF상태에 있어서, 핸들(22)을 낚시줄 권취방향으로 회전하면, 클러치 복귀용 기어(47)가 핸들 축(22a)과 함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복귀용 작동편(60)의 걸어맞춤부(66)를 가압한다. 걸어맞춤부(66)를 통해 가압된 복귀용 작동편(60)은 그 긴 구멍(61)에 삽입 통과된 가이드 축(58b)을 따라 이동하고, 그 복귀용 접촉편(76)이 클러치 캠(56)의 둘레방향 홈(78)에 맞닿는다. 여기서, 더욱 핸들(22)을 회전 조작해서 복귀용 작동편(60)을 이동시키고, 복귀용 접촉편(76)을 통해 둘레방향 홈(78)을 가압하면, 클러치 캠(56)은 피니언 축(25)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회전량이 일정값을 넘으면, 홀드 스프링(62)의 도 2에 화살표 S로 도시한 방향의 스프링력이 클러치 캠(56)에 작용하고, 그 결과, 클러치 캠(56)은 도 2의 상태로 되돌려진다. 이 때, 가압 스프링(68)의 스프링력에 의해, 복귀용 작동편(60)은 그 맞닿음부(74)가 작동 규제부(72)의 일단(72a)에 맞닿은 상태로 유지되고, 복귀용 작동편(60)의 걸어맞춤부(66)는 클러치 복귀용 기어(47)로부터 이간된 비걸어맞춤 상태가 된다.
핸들 축(22a)에는, 우프레임(14b)에 베어링(28)을 통해 지지되는 지지 단부(22b)와의 사이에, 둘레방향 홈(78)을 그 전체 둘레에 걸쳐 형성하고 있다. 핸들 축(22a)의 지지 단부(22b)를 지지하는 우프레임(14b)은 핸들 축(22a)의 지지판으로서 기능한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둘레방향 홈(78)에는, 핸들 축(22a)의 측방으로부터 끼워맞춤되는 대략 U자 형상 홈(80)을 거의 중앙부에 형성한 가늘고 긴 판형상의 걸음부재(82)가 걸어맞춤되고, 이 걸음부재(82)는 우프레임(14b)에 나사 고정된다. 이 걸음부재(82)는 둘레방향 홈(78)의 축방향을 따른 폭 치수보다도 얇은 두께의 구조이며, 핸들 축(22a)의 지지 단부(22b) 및 베어링(28)을 우프레임(14b)에 유지하는데에 충분한 강도를 가지는 두께로 형성되어 있다. 또, 걸음부재(82)는 대략 U자 형상 홈(80)의 개구단(80a)을 측방으로 개구시키고, 폐쇄단(80b)은 핸들 축(22a)의 둘레방향 홈(78)의 내경보다도 크고 또한 소경의 지지 단부(22b)의 외경보다도 소경인 만곡부로 형성되어 있고, 둘레방향 홈(78)내에 장착하고, 우프레임(14b)에 나사 고정했을 때에, 지지 단부(22b) 및 베어링(28)을 이 우프레임(14b)에 유지하고, 빠짐 방지할 수 있다.
이 걸음부재(82)는 그 길이를 클러치 복귀용 기어(47)의 외경 치수보다도 짧게 형성하고 있고, 따라서 우프레임(14b)에 부착했을 때에, 클러치 복귀용 기어 (47)를 넘어서 돌출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는 예를 들면 레벨 와인드 기구(46)의 통체(52) 혹은 클러치 캠(56) 등의 부재와 간섭하지 않는다. 또, 폭 치수에 대해서도, 클러치 복귀용 기어(47)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하고, 인접하는 부재와의 간섭을 피할 수 있는 것이라면 적당한 크기로 설정할 수 있다.
이렇게 형성한 걸음부재(82)에 의해, 우프레임(14b)에 나사 고정하고, 핸들 축(22a) 및 베어링(28)을 우프레임(14b)에 빠짐 방지해서 유지시키기 위해서, 걸음부재(82)에는,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 나사(86)를 삽입 통과하는 통과 구멍(84)을 형성하고, 우프레임(14b)에는, 이 통과 구멍(84)을 삽입 통과한 고정 나사(86)를 나사결합하는 나사 구멍(88)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핸들 축(22a)과 일체로 형성한 클러치 복귀용 기어(47)에는, 우프레임(14b)의 나사 구멍(88)과 걸음부재(82)의 통과 구멍(84)과 동축형상으로 정합하는 위치에, 고정 나사(86)를 삽입 통과가능한 작업 구멍(90)을 축방향으로 관통시켜서 형성하고 있다. 이 작업 구멍(90)은 고정 나사(86)의 최대직경부인 머리부보다도 대경으로 형성되어 있어, 걸음부재(82) 즉 이 걸음부재에 형성한 통과 구멍(84)의 위치 결정과 고정 나사(86)의 나사 고정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걸음부재(82)를 나사 고정할 경우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프레임(14b)의 나사 구멍(88)에, 걸음부재(82)의 통과 구멍(84)을 정합시킨다. 이 때, 작업 구멍(90)을 통해서 나사 구멍(88)과 통과 구멍(84)과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필요한 경우에는, 도 2 및 도 3에 부호 83으로 도시한 바와 같은, 클러치 캠(56)을 축방향 규제하기 위한 걸음부재에 형성한 조작편(83)을 통해서 걸음부재 (82)의 위치 결정을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걸음부재(82)를 고정 나사(86)로 우프레임(14b)에 고정해서 핸들 축(22a) 및 베어링(28)을 빠짐 방지 처리한 후, 연동 기어(45)와 구동 기어(34)와 드래그 기구(36)를 이 핸들 축(22a) 위에 차례로 장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핸들 축(22a)의 기부, 특히 릴 본체(12)의 프레임(14b)에 부착되는 지지 단부(22b)에 근접한 위치에 일체로 설치된 회전체인 클러치 복귀용 기어(47)에, 작업 구멍(90)을 형성하고, 이 작업 구멍(90)을 통해서, 이 핸들 축(22a)을 빠짐 방지 유지하는 걸음부재(82)를 프레임(14b)에 고정하는 나사(86)를 삽입 통과 가능으로 함으로써, 클러치 복귀용 기어(47) 등의 회전체에 영향받지 않고, 핸들 축(22a)을 빠짐 방지하는 걸음부재(82)의 사이즈를 클러치 복귀용 기어(47)보다도 작게 하여, 이에 따라, 릴 본체(12)의 소형·경량화가 가능해 진다. 또한, 걸음부재(82)의 사이즈를 작게 함으로써, 우측판(16b)과 프레임(14b)으로 둘러싸이는 수용 스페이스의 유효이용을 도모하고, 설계의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핸들 축(22a)에 일체화되는 회전체인 클러치 복귀용 기어(47)의 대형화가 가능해지고, 이에 따라, 클러치 복귀용 기어(47) 상에서 지지되는 구동 기어(34) 등의 조립 상태를 안정화시키고, 회전 특성이나 드래그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걸음부재(82)의 고정에 이용하는 작업 구멍(90)을, 1개만 설치할 경우에는, 핸들 축(22a)을 회전함으로써, 복수의 고정 나사(86)를 차례로 통과 구멍(84) 및 나사 구멍(88)에 나사 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작업 구멍(90)을 이와 같이 1개만 설치하는 것 대신에, 걸음부재(82)에 형성한 도시의 예에서는 한 쌍인 복 수의 통과 구멍(84)에 대응시키고, 핸들 축(22a)을 끼고 대향해서 복수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걸음부재(82)가 경량화되고, 릴 본체(12)의 경량화가 가능하게 되어, 낚시 조작이 한층 더 향상한다.
본 발명의 낚시용 릴에 의하면, 핸들 축의 기부에 일체로 설치되는 예를 들면 역전 방지체나 클러치 복귀체 등의 회전체에 영향받지 않고, 핸들 축을 빠짐 방지하는 걸음부재를 작게 하여, 이에 따라, 릴 본체의 소형·경량화가 가능해 지는 동시에, 측판내의 수용 스페이스의 유효이용을 도모하고, 설계의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핸들 축에 일체화되는 회전체의 대형화가 가능해 지고, 이에 따라, 회전체상에서 지지되는 구동 기어의 조립 상태를 안정화시키고, 회전 특성이나 드래그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2)

  1. 스풀을 권취 구동하는 핸들 축의 기부를 릴 본체의 측판의 내측 지지판에 회전 자유롭게 지지하고 또한 걸음부재를 통해 빠지는 것을 방지해서 이루어지는 낚시용 릴로서, 상기 핸들 축의 기부에 일체로 설치한 회전체에 축방향으로 관통하는 작업 구멍을 형성하고, 이 작업 구멍을 통해서 상기 걸음부재를 내측 지지판에 고정하는 나사를 삽입 통과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구멍은 핸들 축을 사이에 두고 대향해서 복수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릴.
KR1020050091039A 2005-03-16 2005-09-29 낚시용 릴 KR1006993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075428A JP2006254762A (ja) 2005-03-16 2005-03-16 魚釣用リール
JPJP-P-2005-00075428 2005-03-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1183A KR20060101183A (ko) 2006-09-22
KR100699325B1 true KR100699325B1 (ko) 2007-03-23

Family

ID=37001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1039A KR100699325B1 (ko) 2005-03-16 2005-09-29 낚시용 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06254762A (ko)
KR (1) KR100699325B1 (ko)
CN (1) CN100471390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26870B2 (ja) 2012-11-29 2016-11-16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リール
JP6284306B2 (ja) * 2013-05-10 2018-02-28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制動装置
JP6856355B2 (ja) 2016-11-08 2021-04-07 株式会社シマノ 釣用リールの防水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1183A (ko) 2006-09-22
CN1833492A (zh) 2006-09-20
JP2006254762A (ja) 2006-09-28
CN100471390C (zh) 2009-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91969B2 (en) Fishing reel
TWI429829B (zh) 滾子離合器
US7618003B2 (en) Baitcast reel having externally adjustable dual brakes having centrifugal and magnetic brakes
JPH119160A (ja) 両軸受リール
KR910002678Y1 (ko) 양 베아링 릴
JPH11253081A (ja) 魚釣用両軸受型リール
JP2004175151A (ja) ダンパユニット及びこのダンパユニットを用いたクローブボックス装置
KR100699325B1 (ko) 낚시용 릴
US5494232A (en) Reversal preventive device
EP2926655B1 (en) Fishing reel
EP2111754B1 (en) Fishing spinning reel
JP2586303Y2 (ja) スピニングリール
JP2016202133A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2007000017A (ja) 魚釣用電動リール
EP2898772B1 (en) Fishing reel
US11612156B2 (en) Torque limiting device for a fishing reel
JP3895619B2 (ja) 魚釣用リール
JPH0919245A (ja) マルチプライヤ型魚釣りリール
JP3542713B2 (ja) 魚釣用両軸受型リール
JP4876061B2 (ja) 魚釣用リール
JP2010004800A (ja) 魚釣用リール
JP3568855B2 (ja) 魚釣用両軸受型リール
JP3012344U (ja) 魚釣用リールの逆転防止装置
KR200263649Y1 (ko) 스피닝 릴의 베일록킹장치
JP2006034195A (ja) 魚釣用リ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