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9183Y1 - 휴대용 단말기의 스윙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의 스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9183Y1
KR200419183Y1 KR2020060007818U KR20060007818U KR200419183Y1 KR 200419183 Y1 KR200419183 Y1 KR 200419183Y1 KR 2020060007818 U KR2020060007818 U KR 2020060007818U KR 20060007818 U KR20060007818 U KR 20060007818U KR 200419183 Y1 KR200419183 Y1 KR 2004191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ng
plate
cover
hollow protrusion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78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근주
Original Assignee
이근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근주 filed Critical 이근주
Priority to KR20200600078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918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91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918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25Rotatable telephones, i.e. the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27Rotatable in one plane,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용 단말기의 스윙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체에 대해 커버가 스윙하여 개방되는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고정되고, 중공돌출부가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이 중공돌출부의 주변에 반원형의 스윙홈이 형성된 고정플레이트; 상기 커버에 고정되고, 상기 중공돌출부가 돌출되도록 체결공이 형성되어 중공돌출부를 축으로 회전하며,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고정홈을 구비한 편심캠이 저면에 마련된 스윙플레이트; 상기 중공돌출부의 외주면에 권취되어 스윙플레이트의 회전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스프링; 상기 스윙플레이트를 고정플레이트에 결합시켜 주는 체결부재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하면, 본체에 대해 커버를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개방할 수 있으므로 사용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부주의에 의한 고장발생률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되어 스윙장치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게 된다.
단말기, 스윙장치, 고정플레이트, 스윙플레이트, 편심캠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의 스윙장치{swing apparatus of portable unit}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스윙장치가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를 개략적으로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스윙장치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스윙장치 중 스윙플레이트의 저면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도 1의 스윙장치의 회전 동작을 보인 단면도.
도 5a 내지 도 5c는 각각 도 1의 스윙장치의 작동 과정을 개략적으로 보인 평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고정플레이트 11 ; 중공돌출부
12 ; 스윙홈 13 ; 탄성스프링
14 ; 베어링부재 15 ; 가압편
16 ; 가압스프링 17 ; 돌출턱
20 ; 스윙플레이트 21 ; 관통공
22 ; 편심캠 22a,22b ; 고정홈
23 ; 스토퍼돌기 30 ; 체결부재
본 고안은 휴대용 단말기의 스윙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본체에 대해 커버가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의 회동이 용이하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폰이나 PDA와 같은 휴대용 단말기(이하, '단말기'라 함)는 키패드가 구비되는 본체와, 디스플레이용 액정이 구비되는 커버가 상호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며, 통상 본체에 대한 커버의 개폐구조에 따라 폴더형, 슬라이드형, 스윙형 등으로 구분된다.
상기 폴더형 단말기는 본체와 커버 사이에 형성되는 힌지수단을 중심으로 커버가 본체에 대해 소정 각도로 회전되면서 개폐되는 구조를 가지며, 슬라이드형 단말기는 본체와 커버에 각각 상응하게 형성되는 가이드수단에 의해 커버가 분체부에 대해 소정 거리 슬라이딩되면서 개폐되는 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위성 또는 공중파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수신을 위한 용도로서 최근에 인기를 얻고 있는 스윙형 단말기는 커버를 본체에 대해 소정 각도로 회전시킬 경우 본체와 커버 사이에 형성되는 스윙장치에 의해 자동으로 회전되면서 커버가 본체에 대해 개방되는 구조를 가진다.
그러나, 종래의 스윙형 단말기에 적용되는 스윙장치는 커버를 본체에 대해 비교적 큰 각도로 회전시킬 경우에만 커버가 본체에 대해 자동으로 180도로 회전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됨에 따라 단말기의 개방시 힘이 많이 들어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커버가 본체에 대해 단지 일측 방향으로만 회전하여 개방될 수 있도록 구성되었기 때문에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해 커버를 본체에 대해 타측 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회전장치의 파손을 야기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비교적 적은 힘으로도 본체에 대해 커버가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용이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상 편리함을 부여하기 위한 휴대용 단말기의 스윙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은, 본체에 대해 커버가 스윙하여 개방되는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고정되고, 중공돌출부가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이 중공돌출부의 주변에 반원형의 스윙홈이 형성된 고정플레이트; 상기 커버에 고정되고, 상기 중공돌출부가 돌출되도록 체결공이 형성되어 중공돌출부를 축으로 회전하며,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고정홈을 구비한 편심캠이 저면에 마련된 스윙플레이트; 상기 중공돌출부의 외주면에 권취되어 스윙플레이트의 회전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스프링; 상기 스윙플레이트를 고정플레이트에 결합시켜 주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스윙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휴대용 단말기의 스윙장치를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스윙장치가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를 개략적으로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스윙장치를 보인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스윙장치 중 스윙플레이트의 저면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스윙장치(S)는 단말기의 키패드 등이 구비된 본체(1)와 액정표시장치가 구비된 커버(1) 사이에 개재되어 본체(1)에 대해 커버(2)가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개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스윙장치(S)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의 상면에 고정되는 고정플레이트(10)와, 커버의 저면에 고정되는 스윙플레이트(20)와, 이 스윙플레이트(20)를 고정플레이트(10)에 체결하는 체결부재(30)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플레이트(10)는 소정의 길이와 너비를 가진 장방형으로 이루어지며, 그 상측 중앙에는 스윙플레이트(20)의 회전축 역할을 하는 중공돌출부(11)가 형성되고, 이 중공돌출부(11)의 위쪽에는 반원형의 스윙홈(12)이 형성되어 스윙플 레이트(20)의 180도 회전을 안내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중공돌출부(11)의 외주면에는 스윙플레이트(20)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스프링(13)이 권취되는데, 상기 중공돌출부(11)는 그 일부분이 절개된 절개부(11a)를 가지고, 상기 탄성스프링(13)은 그 일단이 중공돌출부(11)의 절개부(11a)에 결합되며 타단은 스윙플레이트(20)의 상측면에 형성된 스프링홈(24)에 삽입 결합되어 스윙플레이트(20)를 탄성 지지한다.
따라서, 커버에 소정의 힘을 가하여 일측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탄성스프링(13)의 탄성력에 의해 스윙플레이트(20)가 자동으로 회전함으로써 커버는 본체에 대해 180도로 회전하여 개방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중공돌출부(11)의 하측에는 스윙플레이트(20)의 고정상태를 유지시켜 주거나 회전 동작을 보조하는 베어링부재(14)가 설치되는데, 이 베어링부재(14)는 편심캠(22)과 접촉되는 원통형의 베어링하우징(14a)과, 이 베어링하우징(14a)의 상면에 동심원상으로 구비되는 베어링(14b)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베어링하우징(14a)은 편심캠(22)의 고정홈(22a)(22b)에 삽입됨으로써 스윙플레이트(20)의 고정상태를 유지시켜 주며, 상기 베어링(14b)은 커버에 소정의 힘을 가할 경우 스윙플레이트(20)의 저면과 접촉되어 스윙플레이트(20)가 용이하게 회전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베어링하우징(14a)의 하측에는 가압편(15)이 설치되고, 이 가압편(15)의 하측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압스프링(16)이 결합되어 가압편(15)을 편심캠 (22) 측으로 밀어주게 된다.
즉, 커버가 본체에 겹쳐질 경우 가압스프링(16)에 의해 가압편(15)이 베어링하우징(14a)을 편심캠(22)의 고정홈(22a)(22b) 측으로 밀어 폐쇄상태를 유지시키는 것이다.
한편, 상기 고정플레이트(10)의 대략 중앙 양측에는 각각 가압편(15)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해 내측으로 소정량 만곡지게 돌출된 돌출턱(17)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윙플레이트(20)에는 중공돌출부(11)에 회전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도록 중앙에 중공돌출부(11)보다 큰 직경의 체결공(21)이 형성되고, 이 체결공(21)의 바깥쪽 저면에는 가압편(15)에 접촉하여 가압력을 제공하는 편심캠(22)이 마련되며, 이 편심캠(22)의 일단에는 스윙플레이트(20)의 회전시 스윙홈(12)에 안착되어 일체로 회전되도록 원호 형상의 단면을 가진 스토퍼돌기(23)가 구비된다.
상기 편심캠(22)의 최대 반경 지점에는 2개의 고정홈(22a)(22b)이 서로 대향되게 형성되는데, 스윙플레이트(20)가 고정플레이트(10)에 겹쳐질 경우 베어링하우징(14)이 고정홈(22a) 내에 삽입됨에 따라 폐쇄상태를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압편(15)이 고정홈(22a)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는 비교적 적은 힘을 커버에 제공하기만 하면 가압스프링(16)에 지지된 가압편(15)이 편심캠(22)을 가압하여 스윙플레이트(20)가 자동으로 회전하게 됨으로써 단말기의 본체에 대해 커버가 개방된다.
상기 체결부재(30)는 스윙플레이트(20)의 체결공(21)으로 끼워져 고정플레이트(10)의 중공돌출부(11)에 삽입 결합됨으로써 스윙플레이트(20)를 고정플레이트(10)에 체결한다.
그리고 도 2에서 미설명 부호 (40)는 가압편(15) 및 가압스프링(16)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고정플레이트(10)에 결합되는 덮개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휴대용 단말기의 스윙장치의 작동을 도 4 내지 도 5c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체(1)에 커버(2)가 겹쳐진 폐쇄상태에서는, 도 5a와 같이 베어링하우징(14a)이 편심캠(22)의 고정홈(22a) 내에 삽입됨에 따라 폐쇄상태가 유지된다.
이 상태에서, 단말기의 사용을 위해 커버(2)를 본체(1)에 대해 일측 방향으로 회전시켜 개방하고자 할 경우에는, 가압스프링(16)의 탄성력보다 큰 힘으로 커버(2)를 가압하여, 베어링하우징(14a)이 고정홈(22a)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는 각도(약 15∼20도)로 회전시키면, 탄성스프링(13) 및 가압스프링(16)의 탄성력에 의해 커버(2)가 본체(1)에 대해 동일방향으로 자동 회전하게 된다.
커버(2)가 계속 일측 방향으로 회전되면, 도 5b와 같이 편심캠(22)에 구비된 스토퍼돌기(23)가 고정플레이트(10)의 스윙홈(12)을 따라 회전하게 되고, 따라서 스윙플레이트(20)도 함께 회전하게 된다.
커버(2)가 본체(1)에 대해 180도로 회전되면, 도 5c와 같이 스토퍼돌기(23)가 반원형의 스윙홈(12) 타단부에 걸리게 되어 더 이상 회전할 수 없게 되고, 베어 링하우징(14a)이 또 다른 고정홈(22b) 내로 삽입됨에 따라 단말기의 개방상태가 유지된다.
이와 같이 단말기가 개방된 상태에서 단말기의 사용 완료 후 다시 폐쇄하고자 할 경우에는, 베어링하우징(14a)이 편심캠(22)의 고정홈(22b)을 이탈하여 반대측의 고정홈(22a) 내로 삽입될 때까지 커버(2)를 본체(1)에 대해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본체에 대해 커버를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개방할 수 있으므로 사용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부주의에 의한 고장발생률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되어 스윙장치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게 된다.

Claims (5)

  1. 본체에 대해 커버가 스윙하여 개방되는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고정되고, 중공돌출부가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이 중공돌출부의 주변에 반원형의 스윙홈이 형성된 고정플레이트;
    상기 커버에 고정되고, 상기 중공돌출부가 돌출되도록 체결공이 형성되어 중공돌출부를 축으로 회전하며,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고정홈을 구비한 편심캠이 저면에 마련된 스윙플레이트;
    상기 중공돌출부의 외주면에 권취되어 스윙플레이트의 회전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스프링;
    상기 스윙플레이트를 고정플레이트에 결합시켜 주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스윙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편심캠에는 스윙홈을 따라 회전하여 스윙플레이트의 회전범위를 제한하는 스토퍼돌기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스윙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플레이트에는 편심캠에 접촉되어 스윙플레이트의 고정상태를 유지시킴과 아울러 회전 동작을 안내하는 베어링부재가 설치되고, 이 베어링부재의 하측에는 가압스프링에 의해 탄력 설치되어 베어링부재를 편심캠 측으로 가압하도록 가압편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스윙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양측에는 가압편의 이동 거리를 제한하는 돌출턱이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스윙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스프링은 그 일단이 중공돌출부의 일부가 절개된 절개부에 결합되고 타단은 스윙플레이트에 형성된 스프링홈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스윙장치.
KR2020060007818U 2006-03-23 2006-03-23 휴대용 단말기의 스윙장치 KR2004191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7818U KR200419183Y1 (ko) 2006-03-23 2006-03-23 휴대용 단말기의 스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7818U KR200419183Y1 (ko) 2006-03-23 2006-03-23 휴대용 단말기의 스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9183Y1 true KR200419183Y1 (ko) 2006-06-16

Family

ID=41768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7818U KR200419183Y1 (ko) 2006-03-23 2006-03-23 휴대용 단말기의 스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918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0601B1 (ko) 힌지장치 및 개폐장치 및 휴대기기
US20080055829A1 (en) Display Swing Mechanism of Portable Terminal
KR100896884B1 (ko) 힌지장치 및 휴대기기
CN101660568A (zh) 铰链机构及应用该铰链机构的便携式电子装置
KR100651411B1 (ko) 힌지 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와치 타입 휴대용 단말기
JP2008092264A (ja) ヒンジ機構および携帯端末
KR20050002460A (ko) 서브 하우징 스토퍼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
EP1523155A1 (en) Swivel-type mobile terminal apparatus
JP2004360441A (ja) ヒンジ構造
KR200419183Y1 (ko) 휴대용 단말기의 스윙장치
US8132292B2 (en) Hinge mechanism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KR200419184Y1 (ko) 휴대용 단말기의 스윙장치
KR20100004747A (ko) 휴대 단말기용 스윙식 덮개 개폐장치
JP5135957B2 (ja) ヒンジ装置及びそのヒンジ装置を備えた機器
KR200416846Y1 (ko)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스윙 모듈
KR20050042411A (ko)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US8078236B2 (en) Rotary cover mechanism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KR100741013B1 (ko) 스윙형 휴대전화기의 힌지장치
US7657027B2 (en) Portable terminal with hinge apparatus
KR200372886Y1 (ko) 휴대용단말기의 회전장치
KR100693179B1 (ko) 휴대기기
KR100781349B1 (ko) 슬라이드 앤 스윙 타입 휴대폰의 스윙 제어장치
KR200385468Y1 (ko) 휴대폰용 스윙 회전장치
KR200428621Y1 (ko) 스윙 폰의 반자동스윙힌지장치
US20080092336A1 (en) Hinge mechanism and portable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0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