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03667A - 액상 재료 도포 방법 및 현상제 유지체 유닛 조립 방법 - Google Patents

액상 재료 도포 방법 및 현상제 유지체 유닛 조립 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03667A
KR20090103667A KR1020080089870A KR20080089870A KR20090103667A KR 20090103667 A KR20090103667 A KR 20090103667A KR 1020080089870 A KR1020080089870 A KR 1020080089870A KR 20080089870 A KR20080089870 A KR 20080089870A KR 20090103667 A KR20090103667 A KR 200901036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veloper
liquid material
nozzle
housing
appl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98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12084B1 (ko
Inventor
유스케 이노우에
나오키 고이케
가즈노리 이와모토
Original Assignee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1036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36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20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208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1/0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1/02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performed by spray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0005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for removing solid developer or debris from the electrographic recording medium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0005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for removing solid developer or debris from the electrographic recording medium
    • G03G21/0011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for removing solid developer or debris from the electrographic recording medium using a blade; Details of cleaning blades, e.g. blade shape, layer forming
    • G03G21/0029Details relating to the blade suppor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0Collecting or recycling waste developer
    • G03G21/105Arrangements for conveying toner wast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leaning In Electrography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현상제 제거 부재와 현상제 유지체가 접촉하는 부위보다도 상기 현상제 유지체 표면의 이동 방향 상류에서의 현상제의 누설을 저감하는 액상 재료 도포 방법, 또는 현상제 유지체 유닛 조립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현상제 수용부의 현상제 제거 부재의 길이 방향 단부 측에 위치하는 제 1 가장자리보다도 외측의 제 1 영역에 대하여, 하우징에 대해 고정되어 현상제 제거 부재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에 대응하는 부위로부터 현상제 제거 부재와 현상제 유지체가 접하는 부위를 향하여 노즐을 이동시키는 것으로 해당 액상 재료를 도포하는 제 1 도포 과정과, 제 1 가장자리에 대하여 현상제 수용부를 끼운 제 제 2 가장자리보다도 외측의 제 2 영역에 대하여, 하우징에 대해 고정되어 현상제 제거 부재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에 대응하는 부위로부터 현상제 제거 부재와 현상제 유지체가 접하는 부위를 향하여 노즐을 이동시키는 것으로, 액상 재료를 도포하는 제 2 도포 과정을 갖는다.

Description

액상 재료 도포 방법 및 현상제 유지체 유닛 조립 방법{METHOD OF APPLYING LIQUID MATERIAL AND METHOD OF ASSEMBLING DEVELOPER HOLDING UNIT}
본 발명은 액상으로 도포하여 고화(固化)시키는 액상 재료의 액상 재료 도포 방법, 또는 상기 액상 재료를 도포하여 현상제 유지 유닛을 조립하는 현상제 유지체 유닛 조립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에는 현상제를 수납하는 클리너 용기(1)에 대하여 블레이드(2)를 부착하는 것으로 구성되고, 클리너 용기(1)와 블레이드(2) 사이의 극간(隙間)에 실 재로서 액상 일래스토머(elastomer)를 도포 또는 주입하여 해당 극간을 밀봉하여 이루어지는 토너 카트리지에서, 클리너 용기(1)와 블레이드(2)와의 극간에 액상 일래스토머를 도포하는 경우에, 점도(粘度)에 의한 토출 응답성의 악화, 노즐 선단의 고화물(전(前) 도포시의 잔류)의 유무 등에 의해, 도포 영역에서의 시점과 종점의 도포량이 안정되지 않기 때문에, 도포 영역에서의 시점 및 종점의 범위에서 도포량에 큰 편차가 발생한다는 과제에 대하여, 도포 영역 이외의 장소에서 도포 직전에 토출하여 버리는 방법을 병용하는 것으로, 해당 시점 및 종점의 도포량을 안정시키는 방법과, 용기의 액상 일래스토머의 도포 또는 주입 영역의 시점 부분과 종점 부분에 중간 도포량보다 다량으로 도포하기 위한 구멍 형상을 형성하여, 그 시점 부분과 종점 부분의 액상 일래스토머 도포량을 중간 영역 부분의 도포량보다도 크게 설정하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허공개 2002-162820호 공보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현상제 제거 부재와 현상제 유지체가 접촉하는 부위보다도 상기 현상제 유지체 표면의 이동 방향 상류에서의 현상제의 누설을 저감하는 액상 재료 도포 방법, 또는 현상제 유지체 유닛 조립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액상 재료 도포 방법 중 제 1 액상 재료 도포 방법은, 표면이 이동하는 현상제 유지체 표면의 이동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접촉하고, 이 현상제 유지체 표면의 현상제를 제거하는 현상제 제거 부재가 장착되고, 상기 현상제 제거 부재에 의해 제거된 현상제를 수용하는 현상제 수용부를 갖는 하우징에 액상으로 도포되어 고화하는 액상 재료를 노즐로부터 토출시키면서 상기 노즐을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이 액상 재료를 도포하는 액상 재료 도포 방법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수용부의 상기 현상제 제거 부재의 길이 방향 단부 측에 위치하는 제 1 가장자리보다도 외측의 제 1 영역에 대하여, 상기 하우징에 대해 고정되어 상기 현상제 제거 부재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에 대응하는 위치로부터 상기 현상제 제거 부재와 상기 현상제 유지체가 접하는 부위를 향하여 상기 노즐을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이 액상 재료를 도포하는 제 1 도포 과정과,
상기 제 1 가장자리에 대해 상기 현상제 수용부를 끼운 제 2 가장자리보다도 외측의 제 2 영역에 대하여, 상기 하우징에 대해 고정되어 상기 현상제 제거 부재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에 대응하는 부위로부터 상기 현상제 제거 부재와 상기 현상제 유지체가 접하는 분위를 향해서 상기 노즐을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이 액상 재료를 도포하는 제 2 도포 과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액상 재료 도포 방법 중 제 2 액상 재료 도포 방법은, 표면이 이동하는 현상제 유지체 표면의 이동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접촉하고, 이 현상제 유지체 표면의 현상제를 제거하는 현상제 제거 부재가 장착되고, 상기 현상제 제거 부재에 의해 제거된 현상제를 수용하는 현상제 수용부를 갖는 하우징에 액상으로 도포되어 고화하는 액상 재료를 노즐로부터 토출시키면서 상기 노즐을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이 액상 재료를 도포하는 액상 재료 도포 방법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수용부의 지지 부재가 배치된 측에 위치하는 제 3 가장자리보다도 외측에서, 또한 상기 지지 부재가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었을 때에 상기 지지 부재와 상기 하우징이 대향하는 제 3 영역에 대하여, 상기 노즐을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이 액상 재료를 도포하는 제 3 도포 과정과,
상기 제 3 도포 과정에 연속하여 상기 현상제 수용부의 상기 현상제 제거 부재의 길이 방향 단부 측에 위치하는 제 1 가장자리보다도 외측의 제 1 영역에 대하여, 상기 하우징에 대해 고정되어 상기 현상제 제거 부재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에 대응하는 부위로부터 상기 현상제 제거 부재와 상기 현상제 유지체가 접하는 부위를 향하여 상기 노즐을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이 액상 재료를 도포하는 제 1 도포 과정과,
상기 제 1 가장자리에 대해 상기 현상제 수용부를 끼운 제 2 가장자리보다도 외측의 제 2 영역에 대하여, 상기 하우징에 대해 고정되어 상기 현상제 제거 부재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에 대응하는 부위로부터 상기 현상제 제거 부재와 상기 현상제 유지체가 접하는 부위를 향하여 상기 노즐을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이 액상 재료를 도포하는 제 2 도포 과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액상 재료 도포 방법 중 제 3 액상 재료 도포 방법은, 표면이 이동하는 현상제 유지체 표면의 이동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접촉하고, 이 현상제 유지체 표면의 현상제를 제거하는 현상제 제거 부재가 장착되고, 상기 현상제 제거 부재에 의해 제거된 현상제를 수용하는 현상제 수용부를 갖는 하우징에 액상으로 도포되어 고화하는 액상 재료를 노즐로부터 토출시키면서 상기 노즐을 상기 하우징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이 액상 재료를 도포하는 액상 재료 도포 방법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수용부의 상기 현상제 제거 부재의 길이 방향 단부 측에 위치하는 제 1 가장자리보다도 외측의 제 1 영역에 대하여, 상기 하우징에 대해 고정되어 상기 현상제 제거 부재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에 대응하는 부위로부터 상기 현상제 제거 부재와 상기 현상제 유지체가 접하는 부위를 향하여, 상기 노즐을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이 액상 재료를 도포하는 제 1 도포 과정과,
상기 현상제 수용부의 지지 부재가 배치된 측에 위치하는 제 3 가장자리보다도 외측에서, 또한 상기 지지 부재가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었을 때에 상기 지지 부재와 상기 하우징이 대향하는 제 3 영역에 대하여, 상기 노즐을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이 액상 재료를 도포하는 제 3 도포 과정과,
상기 제 3 도포 과정에 연속하여 상기 제 1 가장자리에 대해 상기 현상제 수용부를 끼운 제 2 가장자리보다도 외측의 제 2 영역에 대하여, 상기 하우징에 대해 고정되어 상기 현상제 제거 부재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에 대응하는 부위로부터 상기 현상제 제거 부재와 상기 현상제 유지체가 접하는 부위를 향하여 상기 노즐을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이 액상 재료를 도포하는 제 2 도포 과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제 1 도포 과정에서 상기 제 1 영역에 액상 재료를 도포한 후에, 중력 방향에서의 상기 노즐과 상기 하우징과의 상대적인 거리를 두는 제 1 이간 과정과, 상기 제 2 도포 과정에서 상기 제 2 영역에 액상 재료를 도포한 후에, 중력 방향에서의 상기 노즐과 상기 하우징과의 상대적인 거리를 두는 제 2 이간 과정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 도포 과정과 상기 제 1 이간 과정 사이에서, 상기 노즐로부터의 상기 액상 재료의 토출을 정지시키는 제 1 정지 과정과, 상기 제 2 도포 과정과 상기 제 2 이간 과정 사이에서, 상기 노즐로부터의 상기 액상 재료의 토출을 정지시키는 제 2 정지 과정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상기 제 1 이간 과정에서 상기 노즐과 상기 하우징과의 중력 방향에서의 거리를 두고 있는 사이에, 상기 노즐로부터의 상기 액상 재료의 토출을 정지시키는 제 1 정지 과정과, 상기 제 2 이간 과정에서 상기 노즐과 상기 하우징과의 중력 방향에서의 거리를 두고 있는 사이에, 상기 노즐로부터의 상기 액상 재료의 토출을 정지시키는 제 2 정지 과정을 갖는 것도 바람직한 형태이다.
여기서, 상기 액상 재료가 열가소성 일래스토머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열가소성 일래스토머가 핫멜트형 접착제인 것도 바람직한 형태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현상제 유지체 유닛 조립 방법은, 표면이 이동하는 현상제 유지체 표면의 이동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접촉하고, 이 현상제 유지체 표면의 현상제를 제거하는 현상제 제거 부재가 장착되고, 상기 현상제 제거 부재에 의해 제거된 현상제를 수용하는 현상제 수용부를 갖는 하우징에 액상으로 도포되어 고화하는 액상 재료를 노즐로부터 토출시키면서 상기 노즐을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이 액상 재료를 도포한 후에 상기 현상제 제거 부재를 장착하는 현상제 유지체 유닛 조립 방법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수용부의 상기 현상제 제거 부재의 길이 방향 단부 측에 위치하는 제 1 가장자리보다도 외측의 제 1 영역에 대하여, 상기 하우징에 대해 고정되어 상기 현상제 제거 부재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에 대응하는 부위로부터 상기 현상제 제거 부재와 상기 현상제 유지체가 접하는 부위를 향해서 상기 노즐을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이 액상 재료를 도포하는 제 1 도포 과정과,
상기 제 1 가장자리에 대하여 상기 현상제 수용부를 끼운 제 2 가장자리보다도 외측의 제 2 영역에 대하여, 상기 하우징에 대해 고정되어 상기 현상제 제거 부재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에 대응하는 부위로부터 상기 현상제 제거 부재와 상기 현상제 유지체가 접하는 부위를 향해서 상기 노즐을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이 액상 재료를 도포하는 제 2 도포 과정과,
상기 제 1 도포 과정 및 상기 제 2 도포 과정에서 도포한 액상 재료가 고화하기 전에, 상기 현상제 제거 부재를 상기 하우징에 대해 장착하는 현상제 제거 부재 장착 공정을 갖고,
상기 현상제 제거 부재의 상기 액상 재료와 접촉하는 부위의 표면의 10점(点) 평균 거칠기는 상기 제 1 영역 표면 및 제 2 영역 표면의 10점 평균 거칠기에 대하여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제 1 도포 과정에서 상기 제 1 영역에 액상 재료를 도포한 후에, 중력 방향에서의 상기 노즐과 상기 하우징과의 상대적인 거리를 두는 제 1 이간 과정과, 상기 제 2 도포 과정에서 상기 제 2 영역에 액상 재료를 도포한 후에, 중력 방향에서의 상기 노즐과 상기 하우징과의 상대적인 거리를 두는 제 2 이간 과정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1 도포 과정과 상기 제 1 이간 과정 사이에서, 상기 노즐로부터의 상기 액상 재료의 토출을 정지시키는 제 1 정지 과정과, 상기 제 2 도포 과정과 상기 제 2 이간 과정 사이에서, 상기 노즐로부터의 상기 액상 재료의 토출을 정지시키는 제 2 정지 과정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 이간 과정에서 상기 노즐과 상기 하우징과의 중력 방향에서의 거리를 두고 있는 사이에, 상기 노즐로부터의 상기 액상 재료의 토출을 정지시키는 제 1 정지 과정과, 상기 제 2 이간 과정에서 상기 노즐과 상기 하우징과의 중력 방향에서의 거리를 두고 있는 사이에, 상기 노즐로부터의 상기 액상 재료의 토출을 정지시키는 제 2 정지 과정을 갖는 것도 바람직한 형태이다.
여기서, 상기 액상 재료가 열가소성 일래스토머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열가소성 일래스토머가 핫멜트형 접착제인 것도 바람직한 형태이다.
청구항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액상 재료 도포 방법에 의하면, 액상으로 도포되어 고화하는 액상 재료를 도포할 때에, 현상제 제거 부재와 현상제 유지체가 접촉하는 부위로부터 상기 현상제 제거 부재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에 대응하는 부위를 향해서 노즐을 이동했을 때와 비교하여, 현상제 제거 부재와 현상제 유지체가 접촉하는 부위보다도 상기 현상제 유지체 표면의 이동 방향 상류에서의 현상제의 누설을 저감할 수 있다.
청구항 제 4 항에 따른 액상 재료 도포 방법에 의하면, 본 발명을 채용하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여, 현상제 제거 부재와 현상제 유지체가 접촉하는 부위보다도 상기 현상제 유지체 표면의 이동 방향 상류로의 액상 재료의 도포량을 많게 했을 경우의 형상을 조정할 수 있다.
청구항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따른 액상 재료 도포 방법에 의하면, 현상제 제거 부재와 현상제 유지체가 접촉하는 부위보다도 상기 현상제 유지체 표면의 이동 방향 상류의 토너 누설을 방지하는데 바람직하고, 하우징으로부터 현상제 유지체를 향하여 작아지는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청구항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따른 액상 재료 도포 방법에 의하면, 액상 재료의 취급이 용이해진다.
청구항 제 9 항에 따른 현상제 유지체 유닛 조립 방법에 의하면, 본 발명을 채용하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여, 하우징으로부터 현상제 제거 부재를 때어냈을 때에 액상 재료가 현상제 제거 부재에 부착되어 하우징으로부터 이간하기 쉬워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청구항 제 10 항에 따른 현상제 유지체 유닛 조립 방법에 의하면, 본 발명을 채용하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여, 현상제 제거 부재와 현상제 유지체가 접촉하는 부위보다도 상기 현상제 유지체 표면의 이동 방향 상류로의 액상 재료의 도포량을 많게 했을 경우의 형상을 조정할 수 있다.
청구항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따른 현상제 유지체 유닛 조립 방법에 의하면, 현상제 제거 부재와 현상제 유지체가 접촉하는 부위보다도 상기 현상제 유지체 표면의 이동 방향 상류의 토너 누설을 방지하는데 바람직하고, 하우징으로부터 현상제 유지체를 향하여 작아지는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청구항 제 13 항 또는 제 14 항에 따른 액상 재료 도포 방법에 의하면, 액상 재료의 취급이 용이해진다.
도 1은 화상 형성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2는 클리닝 장치의 일부 정면도.
도 3은 블레이드를 지지한 블레이드 지지판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도 3에 도시되는 블레이드 지지판의 단면도.
도 5는 클리닝 틀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클리닝 장치의 조립 방법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클리닝 틀의 좁아진 입구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클리닝 틀의 유지부에 감광체 드럼이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감광체 드럼이 조립된 클리닝 장치의 단면도.
도 10은 실 재의 도포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도 1O의 (a) 내지 도 1O의 (c)에 도시되는 노즐의 이동을 도 1O에 도시한 X축에 대해서 마이너스 방향으로 본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실 재 토출 장치의 실 재 토출 및 위치에 대한 제어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실 재 토출 장치의 실 재 토출 및 위치에 대한 제어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
도 14는 제 2 실시예의 실 재 도포 방법에서 제 1 종점에서의 실 재의 뱅크를 도시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화상 형성 장치
2 : 클리닝 장치
20 : 실(seal) 재
21 : 클리닝 틀
210 : 본체부
210a : 입구
211 : 유지부
2103 : 펠트 부착면
22 : 블레이드
221 : 선단(先端)
23 : 블레이드 지지판
230 : 고정 나사
231 : 조면(粗面) 부분
24 : 필름 부재
241 : 선단
25 : 펠트 부재
250 : 볼록부
251 : 펠트층
252 : 탄성층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화상 형성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한 화상 형성 장치(1)에서는, 대전 롤(11)에 의해 소정의 전하가 부여되어 화살표 A 방향으로 회전하는 현상제 유지체의 일례인 감광체 드럼(10)의 표면에, 외부로부터 송신되어 온 화상 데이터에 의거하여 노광기(12)에서 생성된 노광 광이 조사됨으로써 정전잠상이 형성되고, 화살표 C의 방향으로 회전하는 현상 롤(131)을 갖는 현상기(13)에 수용된 토너로 이 정전잠상이 현상된다. 이 현상에 의해 얻어진 현상 상은 도시하지 않은 용지 카세트로부터 인출되어 화살표 B의 방향에 반송되어 온 기록 용지상에, 화살표 D의 방향으로 회전하는 전사 롤러(14)에 의해 전사되고, 정착기(15)에 의해 정착됨으로써 기록 용지상에 화상 형성이 행하여진다. 한편, 이 화상 형성 장치(1)는 모노크로 화상 전용기이다.
또한, 도 1에는 감광체 드럼(10)의 기록 용지로의 현상 상의 전사를 끝낸 부분에 접촉하고, 감광체 드럼(10)의 표면에 잔류한 잔류물을 제거하는 클리닝 장치(2)가 도시되어 있다.
도 2는 클리닝 장치의 일부 정면도이다.
도 2에는 도 1에 도시된 클리닝 장치(2)를 현상기(13) 측으로부터 감광체 드럼(10)을 넘어서 보았을 경우의, 이 클리닝 장치(2)의 단부(端部)가 도시되어 있다. 클리닝 장치(2)는 좌우 대칭이므로, 이하에서는 여기에 도시한 단부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클리닝 장치(2)는 하우징의 일례로서 클리닝 틀(테두리)(21), 현상제 제거 부재의 일례로서 블레이드(22), 지지부재의 일례로서 블레이드 지지판(23), 필름 부재(24), 및 펠트 부재(25)를 구비하고 있다.
블레이드(22)는 선단(221)이 접촉하는 감광체 드럼(10)의 표면에 잔류한 잔류물을 제거한다.
블레이드 지지판(23)은 블레이드(22)를 지지하는 금속제의 판재이며, 고정 나사(230)에 의해 클리닝 틀(21)에 고정되어 있다.
클리닝 틀(21)은 현상제 수용부의 일례로서, 감광체 드럼(10)의 표면으로부터 제거된 잔류물을 수용하는 오목부 공간을 갖고, 이 오목부 공간의 입구(210a)(도 5 참조)의 가장자리의 일부에, 블레이드(22)를 지지하는 블레이드 지지판(23)이 나사 고정되는 본체부(210) 및 감광체 드럼(10)의 양단을 회전 가능하게 유지하는 유지부(211)를 구비하고 있다. 한편, 본체부(210)에는 블레이드 지지판(23)의 위치 결정에 사용되는 보스(2101)에 더하여, 이 클리닝 틀(21)을 화상 형성 장치(1)에서의 소정 위치에 배치하기 위한 위치 결정에 사용되는 보스(2102)도 구비되어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클리닝 틀(21)의 유지부(211)에 감광체 드럼(10)을 조립한다는 표현을 편의상 이용한다. 또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지만, 블레이드(22)를 지지하는 블레이드 지지판(23)의 클리닝 틀(21)로의 나사 고정은, 클리닝 틀(21)의 입구(210a)의 가장자리에 도포된 실 재(20)(도 7 참조)를 사이에 끼워넣으면서 행하여지고, 이것에 의해 오목부 공간에 수용된 잔류물이 클리닝 틀(21)과 블레이드 지지판(23)의 극간으로부터 누설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펠트 부재(25)는 표면인 펠트층(251)과, 이 펠트층(251)을 지지하는 탄성층(252)(도 8, 9 참조)을 갖고 있고, 탄성층(252)은 클리닝 틀(21)의 유지부(211)에 유지된 상태의 감광체 드럼(10)에 의해 약간 눌려 찌그러지는 두께로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펠트층(251)은 감광체 드럼(10)에 밀착되고, 잔류물의 누설이 방지되고 있다.
또한, 이 펠트 부재(25)는 클리닝 장치(2)의 중앙 측에 돌출한 볼록부(250)를 갖고 있다. 도 2에는 볼록부(250)의 측면과, 펠트 부재(25)의 볼록부(250) 이외의 부분의 클리닝 블레이드 측의 측면이 클리닝 블레이드(22)의 모서리에 첨부되어 있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한편, 여기에서는 감광체 드럼(10)과의 접촉 부분에 펠트층(251)을 사용했지만, 감광체 드럼(10)과의 접촉 부분에 사용하는 재료로서는, 마찰 계수가 작은 재료라면 펠트 재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펠트 부재(25)의 볼록부(25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필름 부재(24)는 폴리우레탄제의 시트 모양의 것이고, 선단(241)이 클리닝 틀(21)의 유지부(211)에 유지된 상태의 감광체 드럼(10)에 접촉하는 것으로, 블레이드(22)의 반대 측으로부터의 잔류물의 누설이 방지된다.
도 3은 블레이드를 지지하는 블레이드 지지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는 클리닝 장치(2)의 클리닝 틀(21)에 나사 고정되기 전의, 블레이드(22)를 지지하는 블레이드 지지판(23)이 도시되어 있고, 여기에서는 클리닝 틀(21)에 나사 고정된 상태에서 클리닝 틀(21)과 대향하는 측의 면을 위로 향한 상태에서 도시되어 있다. 한편, 도 3에는 도 2에 도시된 고정 나사(230)가 관통하는 구멍(23a)과, 클리닝 틀(21)의 보스(2101)가 관통하는 구멍(23b)이 설치되어 있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블레이드 지지판(23)의 클리닝 틀(21)에 나사 고정된 상태에서는, 클리닝 틀(21)과 대향하는 측의 면에 클리닝 틀(21)의 입구(210a)의 가장자리 부분의 10점(点) 평균 거칠기 Rz보다도 10점 평균 거칠기 Rz가 높은 조면(粗面) 부분(231)이 설치되어 있고, 도 3에는 이 조면 부분(231)이 사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3에 사선으로 도시되어 있는 조면 부분(231)은 이 블레이드 지지판(23)이 클리닝 틀(21)에 나사 고정될 때에 클리닝 틀(21)의 입구(210a)의 가장자리에 도포되어 있는 실 재(20)(도 7 참조)와 접촉한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되는 블레이드 지지판의 단면도이다.
도 4에는 도 3에 도시되는 블레이드 지지판(23)의 A-A' 단면을, 도 3에 도시되는 구멍(23a, 23b) 측으로부터 본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 이렇게, 블레이드 지지판(23)의 실 재(20)가 접촉하는 조면 부분(231)의 10점 평균 거칠기 Rz를 클리닝 틀(21)의 입구(210a)의 가장자리 부분의 10점 평균 거칠기 Rz보다도 높게 하고, 실 재(20)가 고화(固化)하기 전에 조면 부분(231)과 실 재(20)를 접촉시킴으로써, 사용이 끝난 클리닝 장치(2)를 분해하여 블레이드 지지판(23)을 클리닝 틀(21)로부터 떼어낼 때에는, 실 재(20)가 클리닝 틀(21)이 아닌 블레이드 지지판(23)에 부착되기 쉬운 상태로 구성되어 있다.
도 5는 클리닝 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는 블레이드 지지판(23), 펠트 부재(25), 및 필름 부재(24)가 본체부(210)에 부착되기 전 상태의 클리닝 틀(21)이 도시되어 있고, 여기에서는 잔류물을 수용하는 오목부 공간의 입구(210a)가 노출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한편, 도 5에서는 오목부 공간의 입구(210a)의 가장자리를 형성하는 각 가장자리 부분에 부호 A에서 부호 D까지를 붙이고 있지만, 이것은 이하에서 행하는 설명의 편의 때문에 붙여진 것이며, 클리닝 틀(21)에 실제로 붙여져 있는 것은 아니다. 또한, 부호 A에서 부호 D까지 중, 부호 A에서 부호 C까지가 붙여진 가장자리 부분에 대하여 실 재(20)가 도포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의 제 1 영역인 가장자리 부분 B 및 본 실시예에서의 제 2 영역인 가장자리 부분 C는, 감광체 드럼(10) 표면의 이동 방향에 대략 직교하고 있는 감광체 드럼(10)의 축 방향에서, 오목부 개구의 입구(210a)를 형성하는 가장자리를 형성하고 있는 부위를 따른 영역뿐만 아니라, 본 실시예와 같이 해당 가장자리를 형성하고 있는 부위와 블레이드(22)의 감광체 드럼(10)의 축 방향에서의 단부(端部) 사이의 영역을 가리키고, 본 실시예에서의 제 3 영역인 가장자리 부분 A는 블레이드 지지판(23)이 배치된 측에서 오목부 개구의 입구(210a)를 형성하는 가장자리를 형성하고 있는 부위에 따른 영역뿐만 아니라, 본 실시예와 같이 해당 가장자리를 형성하고 있는 부위보다도 오목부 공간에 대하여 외측에서, 또한 블레이드 지지판(23)과 클리닝 틀(21)이 대향하고 있는 영역을 가리키고, 가장자리 부분 D는 필름 부재(12)가 배치된 측에서 오목부 개구의 입구(210a)를 형성하는 가장자리를 형성하고 있는 부위에 따른 영역뿐만 아니라, 본 실시예와 같이 해당 가장자리를 형성하고 있는 부위와 필름 부재(12) 사이의 영역을 가리킨다.
여기에서 클리닝 장치(2)의 조립 방법에 대하여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면서 간단히 설명한다.
도 6은 클리닝 장치의 조립 방법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에는, 스텝 S1으로서, 액상으로 도포되어 고화하고, 부재 사이의 간극을 메우는 실 부재(20)가 도 5에 도시된 클리닝 틀(21)의 개구(210a)의 가장자리를 형성하는 가장자리 부분 A, 가장자리 부분 B, 및 가장자리 부분 C에 도포된다.
다음에, 스텝 S2로서, 블레이드(22)를 지지하는 블레이드 지지판(23)이 클리닝 틀(21)에 나사 고정된다. 이 단계에서, 입구(210a)의 가장자리 중 가장자리 부분 A, 및 가장자리 부분 B와 가장자리 부분 C의 각 일부가, 블레이드(22)를 지지하는 블레이드 지지판(23)에 덮인 상태가 되어, 입구(210a)는 도 5에 도시된 상태와 비교하여 좁아진 상태가 된다.
도 7은 클리닝 틀의 좁아진 입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7에서는 입구(210a)의 가장자리 중, 부재에 덮여서 보이지 않는 부분의 가장자리에 대하여는 2점 쇄선으로 나타내고, 가장자리 부분에 도포된 실 재(20) 중, 부재에 덮여서 보이지 않는 부분의 실 재(20)에 대해서는 점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7에는 도 3에 도시된 입구(210a)가 블레이드(22) 등에 덮여서 좁아진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7에는 입구(210a)의 가장자리를 구성하는 가장자리 부분 A, 가장자리 부분 B, 및 가장자리 부분 C에 도포되어 있는 실 재(20) 중, 블레이드(22)를 지지하는 블레이드 지지판(23)에 덮여 있는 부분의 실 재(20)가, 블레이드(22)를 지지하는 블레이드 지지판(23)의 클리닝 틀(21)에의 고정에 의해 눌려 찌그러져 펴져 있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도 6으로 돌아가 설명을 계속한다.
다음에, 스텝 S3으로서, 펠트 부재(25)가 펠트 부착면(2103)(도 5 참조)에 부착된다. 또한, 스텝 S4로서, 가장자리 부분 D에 필름 부재(24)가 부착된다. 여기에서는 필름 부재(24)의 하부가 도시하지 않은 양면 테이프에 의해 가장자리 부분 D에 부착된다. 또한, 가장자리 부분 A, 가장자리 부분 B, 및 가장자리 부분 C는 동일 면상에 존재하는 데에 대하여, 이 가장자리 부분 D는 그 면과 교차하는 면 위에 존재한다. 또한, 스텝 S5로서, 클리닝 틀(21)의 유지부(211)에 감광체 드럼(10)이 조립된다.
도 8은 클리닝 틀의 유지부에 감광체 드럼이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8에서는 번잡함을 회피하기 위해 필름 부재(24)의 도시는 생략되어 있다.
도 8에는, 가장자리 부분 B를 도 7 중 화살표 X 방향에서 보았을 경우가 도시되어 있고, 여기에는 펠트 부재(25)가 양면 테이프(26)에 의해 펠트 부착면(2103)에 부착되어 있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클리닝 틀(21)의 유지부(211)에 감광체 드럼(10)이 조립되었을 때에는 펠트 부재(25)의 탄성층(252)은 다소 압축되기 때문에, 펠트층(251)은 감광체 드럼(10)에 밀착한다. 또한, 이때 가장자리 부분 B에 도포되어 있는 실 재(20)도 양면 테이프(26)와 가장자리 부분 B 사이에서 압축된다. 또한, 도 8에서는 도 2에서 설명한 펠트 부재(25)의 볼록부(250)가 펠트 부착면(2103)보다도 클리닝 장치(2)의 중앙 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9는 감광체 드럼이 조립된 클리닝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9에는 도 8 중 일점 쇄선으로 도시한 단면을 화살표 Y 방향으로 보았을 경우가 도시되어 있고, 가장자리 부분 D에 양면 테이프(26)에 의해 부착되어 있는 필름 부재(24)의 선단(241)이 펠트 부재(25) 측으로 말려 있는 모양이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9에는 사선으로 도시되는 실 재(20)가 클리닝 틀(21)과, 클리닝 틀(21)에 고정되는 또는 부착된 부재와의 사이를 간극 없이 메우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상이, 클리닝 장치(2)의 조립 방법의 대략적인 흐름이다.
여기서, 이 클리닝 장치(2)에서는, 감광체 드럼(10)에 클리닝 블레이드(22)의 선단(221)을 접촉시켜, 감광체 드럼(10)의 표면으로부터 마찰하여 회수한 잔류물을 클리닝 틀 밖으로 누설되지 않도록, 입구(210a)의 가장자리를 구성하는 가장자리 부분 A, 가장자리 부분 B, 및 가장자리 부분 C에의 실 재(20)의 도포에 대해서 고안이 행하여져 있다. 이하에서는, 도 6의 스텝 S1에 도시되는 가장자리 부분A, 가장자리 부분 B, 및 가장자리 부분 C에의 실 재(20)의 도포 내용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0은 실 재의 도포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 도시된 실 재의 도포 방법이 본 발명의 액상 재료 도포 방법의 제 1 실시예이다.
도 10에는 간략화된 클리닝 틀(21)과, 액상으로 도포되어 고화된 액상 재료의 일례인 열가소성 일래스토머로 구성되는 실 재(20)를 노즐(301)로부터 토출하는 실 재 토출 장치(300)가 도시되어 있다. 이 열가소성 일래스토머는 가열 상태에서는 액상이고 온도가 내려감으로써 고화한다. 소위 핫멜트형 접착제로서의 기능을 행한다. 그 외에 액상 재료로서는 폴리스틸렌계 재료, 폴리우레탄계 재료, 폴리우레아계 재료를 들 수 있다.
또한, 도 10에는 클리닝 틀(21)에 대한 실 재(20)의 도포에 따른 노즐(301)의 이동 궤적이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10에는, 도 5에 도시된 입구(210a)의 도시는 생략되어 있다. 또한, 도 10에서는, 클리닝 틀(21) 입구(210a)의 가장자리 중 가장자리 부분 A, 가장자리 부분 B, 및 가장자리 부분 C를 포함하는 면을 도 10에 도시하는 XYZ축에서 X-Y 면에 평행한 면인 것으로서 설명을 계속한다.
도 10의 (a)에는, 도 5에 도시한 입구(210a)의 가장자리 중 가장자리 부분 B에, 제 1 시점 S1으로부터 제 1 종점 D1에 걸쳐서, 즉 도 10에서의 Y축과 평행하게 노즐(301)의 선단을 이동시켜서 실 재(20)를 도포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10의 (b)에는, 가장자리 부분 B에 실 재(20)의 도포를 종료한 후, 노즐(301)이 Z축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 θ(도 11의 (b) 참조)를 유지한 채, Y-Z면과 평행한 면 상을 이동하고, 제 1 종점으로부터 떨어져 제 1 경유점 T1까지 이동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10의 (c)에는, 제 1 종점 D1으로부터 제 1 경유점 T1까지 이간한 노즐(301)의 선단이 Y축과 평행하게 제 2 경유점 T2로 이동한 후, 또한 Z축과 평행하게 제 2 시점 S2까지 이동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11은 도 10의 (a)에서 도 1O의 (c)에 도시한 노즐의 이동을, 도 1O에 도시한 X축에 대하여 마이너스 방향으로 본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의 (a)에는 노즐(301)의 선단이 제 1 시점 S1으로부터 제 1 종점 D1까지 Y축과 평행하게 이동한 상태가 도시되고, 도 11의 (b)에는 노즐(301)의 선단이 Y-Z면과 평행한 면 상을 Z축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 θ을 유지한 채, 제 1 종점 D1으로부터 제 1 경유점 T1까지 이동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11의 (c)에는 노즐(301)의 선단이 Y축과 평행하게 제 2 경유점 T2로 이동한 상태가 도시되고, 도 11의 (d)에는 노즐(301)의 선단이 제 2 경유점 T2로부터 제 2 시점 S2로 이동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10으로 돌아가서 설명을 계속한다.
도 10의 (d)에는, 도 11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시점 S2로 이동한 노즐(301)의 선단이, 그 후 X축과 평행하게 이동하여 가장자리 부분 A로의 실 재(20)의 도포를 행한 후, 제 3 경유점 T3를 경유하여 가장자리 부분 C에의 실 재(20)의 도포를 제 2 종점 D2를 향하여, 즉 도 10에서의 Y축과 평행하게 이동하여 행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클리닝 장치(2)의 조립에서는 입구(210a)의 가장자리 중 가장자리 부분 B 및 가장자리 부분 C에 대한 실 재(20)의 도포가, 함께 가장자리 부분 A측으로부터 가장자리 부분 D측을 향하여(도 10에서의 상측에서 하측을 향하여) 노즐(301)의 선단을 이동시켜서 행하여진다. 이것은 노즐(301)로부터의 실 재(20)의 토출 개시 시와 토출 종료 시의 토출량에는 차이가 있기 때문에, 이들 가장자리 부분 B와 가장자리 부분 C에 대한 실 재의 도포를, 한쪽은 가장자리 부분 A측으로부터 가장자리 부분 D측을 향해서 노즐(301)의 선단을 이동시키고, 다른 쪽은 가장자리 부분 D측으로부터 가장자리 부분 A측을 향하여 노즐(301)의 선단을 움직였을 경우에, 가장자리 부분 B와 가장자리 부분 C에서의 실 재의 도포량이 달라져 버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클리닝 장치(2)의 조립에서는 가장자리 부분 C로의 실 재(20)의 도포가, 가장자리 부분 A의 실 재의 도포에 이어서 실 재의 토출을 일단 정지시키지 않고 행하여지고 있다. 이 때문에, 가장자리 부분 A 및 가장자리 부분 C 각각에 대한 실 재의 도포를, 실 재 토출의 일단 정지를 사이에 끼워서 2회로 나누어 행하는 경우에 비하여, 가장자리 부분 A와 가장자리 부분 C의 경계에서의 실 재의 분포량의 변화가 억제되고 있다.
도 10의 (e)에는, 가장자리 부분 C로의 실 재(20)의 도포를 종료한 후, Y-Z면과 평행한 면 상을 Z축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 θ를 유지한 채, 제 2 종점 D2로부터 제 4 경유점 T4까지 노즐(301)이 이동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클리닝 장치(2)의 조립에서는 가장자리 부분 A 및 가장자리 부분 C 각각에 대한 실 재 도포의 종점인 제 1 종점 D1 및 제 2 종점 D2로부터, 이들 종점에 대응하는 경유점인, 가장자리 부분 A로부터 보아 좌우 대칭인 제 1 경유점 T1 및 제 4 경유점 T4를 향해서 노즐(301)의 선단이 이간된다. 또한, 이들 제 1 종점 D1 및 제 2 종점 D2에서, 즉 가장자리 부분 A로부터 보아 좌우 대칭인 위치에서 실 재의 토출이 정지되어 있는 것으로, 이 제 1 종점 D1 부근 및 제 2 종점 D2 부근에서의 실 재의 도포량은 거의 같아짐과 동시에, 제 1 종점 D1에서의 실 재의 뱅크와 제 2 종점 D2에서의 실 재의 뱅크는, 가장자리 부분 A로부터 볼 때 각각 클리닝 틀 측에서 감광체 드럼 측에 걸쳐서 점점 작아지는 형상이 된다.
도 12는 실 재 토출 장치의 실 재 토출 및 위치에 대한 제어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에는, 지시를 받아서 노즐(301)로부터의 실 재의 토출 개시 및 정지를 행하는 실 재 토출 장치(300), 클리닝 틀(21)을 소정의 자세로 유지하는 클리닝 틀 유지대, 및 실 재 토출 장치(300)를 유지하고 입력된 3차원 좌표값에 따라 이 실 재 도포 장치(300)를 이동시키는 이동 암을 구비한 자동 실 재 도포 장치에서 실행되는 루틴 플로 차트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클리닝 틀 유지대에 유지된 클리닝 틀(21)에 대해서, 제 1 시점 S1, 제 1 종점 D1, 제 1 경유점 T1, 제 2 경유점 T2, 제 2 시점 S2, 제 3 경유점 T3, 제 2 종점 D2, 및 제 4 경유점 T4 각각의, 이 노즐(301)의 선단 홈 포지션에 대한 상대적인 3차원 좌표 위치, 및 각 점 간의 상대적인 3차원 좌표 위치는 이미 등록되어 있는 것으로 설명을 계속한다.
도 12에 도시된 스텝 S11에서는, 실 재 도포 작업의 개시 신호를 받고, 실 재 토출 장치(300)의 노즐(301)의 선단을 도시 생략한 홈 포지션으로부터 제 1 시점 S1까지 이동시킨다. 스텝 S12에서는, 노즐(301) 선단의 제 1 시점 S1으로의 도달을 기다려, 실 재 토출 장치(300)에 대하여 실 재의 토출 개시를 지시함과 동시에, 노즐(301) 선단의 제 1 시점 S1으로부터 제 1 종점 D1을 향한 이동을 지시한다. 스텝 S13에서는, 노즐(301)의 선단이 제 1 종점 D1에 도달하면 즉시 실 재(20)의 토출 정지를 지시한다. 이와 같이, 제 1 종점 D1으로의 도달 직후에 실 재(20)의 토출을 정지시킴으로써, 실 재(20)의 토출 정지가 지시된 후에도 노즐 중의 실 재가 토출되기 때문에 제 1 종점 D1에서는 실 부재가 두꺼워진다. 스텝 S14에서는, 제 1 종점 D1에 도달한 노즐(301)의 선단을 제 1 종점 D1으로부터 제 1 경유점 T1으로 이동시킨 후, 제 1 경유점 T1으로부터 제 2 경유점을 거쳐서 제 2 시점 S2를 향하여 이동시킨다. 스텝 S15에서는, 노즐(301) 선단의 제 2 시점 S2로의 도달을 기다려, 실 재 토출 장치(300)에 대하여 실 재의 토출 개시를 지시함과 동시에, 노즐(301) 선단의 제 2 시점 S2로부터 제 3 경유점 T3를 경유한 제 2 종점 D2를 향한 이동을 지시한다. 스텝 S16에서는, 노즐(301) 선단이 제 2 종점 D2에 도달하면 즉시 실 재(20)의 토출 정지를 지시한다. 스텝 S17에서는, 제 2 종점 D2에 도달한 노즐(301)의 선단을 제 2 종점 D2로부터 제 4 경유점 T4를 향해서 이동시킨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액상 재료 도포 방법의 제 2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2 실시예의 실 재 도포 방법과 제 1 실시예의 실 재 도포 방법 사이의 차이점은, 가장자리 부분 B 및 가장자리 부분 C에 대한 실 재의 도포에서, 실 재의 토출 정지 타이밍이므로, 이하에서는 이점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13은 실 재 토출 장치의 실 재 토출 및 위치에 대한 제어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에 도시한 스텝 S21에서는, 실 재 도포 작업의 개시 신호를 받고, 실 재 토출 장치(300) 노즐(301)의 선단을 도시 생략한 홈 포지션으로부터 제 1 시점 S1까지 이동시킨다. 스텝 S22에서는, 노즐(301) 선단의 제 1 시점 S1으로의 도달을 기다려, 실 재 토출 장치(300)에 대하여 실 재의 토출 개시를 지시함과 동시에, 노즐(301) 선단의 제 1 시점 S1으로부터 제 1 종점 D1을 향한 이동을 지시한다. 스텝 S23에서는, 제 1 종점 D1에 도달한 노즐(301) 선단의 제 1 종점 D1 및 제 2 경유점 T2를 경유하는 제 2 시점 S2로의 이동을 지시한다. 스텝 S24에서는, 노즐(301) 선단이 제 1 경유점 T1에 도달하기 전의 제 1 종점 D1의 경유로부터 소정 시간 T 경과 후에 실 재의 토출 정지를 지시한다. 이와 같이, 제 1 종점 D1 후에 실 재의 토출을 정지시킴으로써 제 1 종점 D1에서의 실 부재의 뱅크는 커진다.
여기에서, 도 14는 제 2 실시예의 실 재 도포 방법에서 제 1 종점에서의 실 재의 뱅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에는 제 1 실시예의 실 재 도포 방법에서 제 1 종점에서의 실 재의 뱅크를 나타내는 도 11의 (b)에 대응하는 도면이 도시되어 있고, 여기에는 도 11의 (b)에 도시하는 실 재(20)의 뱅크보다도 큰 뱅크가 도시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필름 부재(24)나 펠트 부재(25)의 볼록부(250) 주변으로의 실 재(20)의 충전이 더 고밀도로 된다. 도 13으로 돌아가 설명을 계속한다.
스텝 S25에서는, 노즐(301) 선단의 제 2 시점 S2로의 도달을 기다려, 실 재 토출 장치에 대하여 실 재의 토출 개시를 지시함과 동시에, 노즐(301) 선단의 제 2 시점 S2로부터 제 3 경유점 T3를 경유하는 제 2 종점 D2를 향한 이동을 지시한다. 스텝 S26에서는, 제 2 종점 D2에 도달한 노즐(301) 선단의 제 2 종점 D2로부터 제 4 경유점 T4를 행한 이동을 지시한다. 스텝 S27에서는, 노즐(301) 선단이 제 4 경유점 T4에 도달하기 전의, 노즐(301) 선단이 제 2 종점 D2를 경유하고 나서 소정 시간 T 경과 후에 실 재(20)의 토출 정지를 지시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 2 실시예의 실 재 도포 방법에서는 제 1 종점 D1 및 제 2 종점 D2를 이간한 후에 실 재(20)의 토출을 정지시킴으로써, 제 1 종점 D1 및 제 2 종점 D2에서의 실 부재(20)의 뱅크가 같은 도포량으로, 또한 의도적으로 크게 됨과 동시에, 제 1 종점 D1에서의 실 재의 뱅크와, 제 2 종점 D2에서의 실 재의 뱅크는, 가장자리 부분 A로부터 볼 때 각각 클리닝 틀 측으로부터 감광체 드럼 측에 걸쳐 점점 작아지는 형상이 된다.
또한,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에서는, 연속하는 도포 영역에 대해서는 실 재(20)의 도포를 연속으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가장자리 부분 A 및 가장자리 부분 C로의 실 재(20)의 도포를, 실 재 토출의 일단 정지를 사이에 끼우지 않고 연속하여 행하는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가장자리 부분 A 및 가장자리 부분 C로의 실 재(20)의 도포를, 실 재 토출의 일단 정지를 사이에 끼워 2회로 나누어 행하여도 본 발명의 기본적인 효과는 감소되지 않는다.
또한, 가장자리 부분 A, 가장자리 부분 B, 및 가장자리 부분 C에 대하여 열가소성 일래스토머로 구성되는 실 재(20)를 이용하고 있지만, 가장자리 부분 C에 대하여 우레탄 등으로 구성되는 실 재를 이용하여도 본 발명의 기본적인 효과는 감소되지 않는다.

Claims (14)

  1. 현상제 유지체 표면의 이동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접촉하고, 상기 현상제 유지체 표면의 현상제를 제거하는 현상제 제거 부재가 장착되고, 상기 현상제 제거 부재에 의해 제거된 현상제를 수용하는 현상제 수용부를 갖는 하우징에 액상으로 도포되어 고화(固化)하는 액상 재료를 노즐로부터 토출시키면서 상기 노즐을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상기 액상 재료를 도포하는 액상 재료 도포 방법으로서,
    상기 현상제 수용부의 상기 현상제 제거 부재의 길이 방향 단부(端部) 측에 위치하는 제 1 가장자리의 외측의 제 1 영역에 대하여, 상기 하우징에 대해 고정되어 상기 현상제 제거 부재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에 대응하는 위치로부터 상기 현상제 제거 부재와 상기 현상제 유지체가 접하는 부위를 향하여 상기 노즐을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상기 액상 재료를 도포하는 제 1 도포 과정과,
    상기 제 1 가장자리에 대해 상기 현상제 수용부를 끼운 제 2 가장자리의 외측의 제 2 영역에 대하여, 상기 하우징에 대해 고정되어 상기 현상제 제거 부재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에 대응하는 부위로부터 상기 현상제 제거 부재와 상기 현상제 유지체가 접하는 분위를 향해서 상기 노즐을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상기 액상 재료를 도포하는 제 2 도포 과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재료 도포 방법.
  2. 현상제 유지체 표면의 이동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접촉하고, 상기 현상제 유지체 표면의 현상제를 제거하는 현상제 제거 부재가 장착되고, 상기 현상제 제거 부재에 의해 제거된 현상제를 수용하는 현상제 수용부를 갖는 하우징에 액상으로 도포되어 고화하는 액상 재료를 노즐로부터 토출시키면서 상기 노즐을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상기 액상 재료를 도포하는 액상 재료 도포 방법으로서,
    상기 현상제 수용부의 지지 부재가 배치된 측에 위치하는 제 3 가장자리의 외측에서, 또한 상기 지지 부재가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었을 때에 상기 지지 부재와 상기 하우징이 대향하는 제 3 영역에 대하여, 상기 노즐을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상기 액상 재료를 도포하는 제 3 도포 과정과,
    상기 제 3 도포 과정에 연속하여 상기 현상제 수용부의 상기 현상제 제거 부재의 길이 방향 단부 측에 위치하는 제 1 가장자리의 외측의 제 1 영역에 대하여, 상기 하우징에 대해 고정되어 상기 현상제 제거 부재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에 대응하는 부위로부터 상기 현상제 제거 부재와 상기 현상제 유지체가 접하는 부위를 향하여 상기 노즐을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상기 액상 재료를 도포하는 제 1 도포 과정과,
    상기 제 1 가장자리에 대해 상기 현상제 수용부를 끼운 제 2 가장자리의 외측의 제 2 영역에 대하여, 상기 하우징에 대해 고정되어 상기 현상제 제거 부재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에 대응하는 부위로부터 상기 현상제 제거 부재와 상기 현상제 유지체가 접하는 부위를 향하여 상기 노즐을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상기 액상 재료를 도포하는 제 2 도포 과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재료 도포 방법.
  3. 현상제 유지체 표면의 이동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접촉하고, 이 현상제 유지체 표면의 현상제를 제거하는 현상제 제거 부재가 장착되고, 상기 현상제 제거 부재에 의해 제거된 현상제를 수용하는 현상제 수용부를 갖는 하우징에 액상으로 도포되어 고화하는 액상 재료를 노즐로부터 토출시키면서 상기 노즐을 상기 하우징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상기 액상 재료를 도포하는 액상 재료 도포 방법으로서,
    상기 현상제 수용부의 상기 현상제 제거 부재의 길이 방향 단부 측에 위치하는 제 1 가장자리의 외측의 제 1 영역에 대하여, 상기 하우징에 대해 고정되어 상기 현상제 제거 부재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에 대응하는 부위로부터 상기 현상제 제거 부재와 상기 현상제 유지체가 접하는 부위를 향하여, 상기 노즐을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상기 액상 재료를 도포하는 제 1 도포 과정과,
    상기 현상제 수용부의 지지 부재가 배치된 측에 위치하는 제 3 가장자리의 외측에서, 또한 상기 지지 부재가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었을 때에 상기 지지 부재와 상기 하우징이 대향하는 제 3 영역에 대하여, 상기 노즐을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상기 액상 재료를 도포하는 제 3 도포 과정과,
    상기 제 3 도포 과정에 연속하여 상기 제 1 가장자리에 대해 상기 현상제 수용부를 끼운 제 2 가장자리의 외측의 제 2 영역에 대하여, 상기 하우징에 대해 고정되어 상기 현상제 제거 부재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에 대응하는 부위로부터 상기 현상제 제거 부재와 상기 현상제 유지체가 접하는 부위를 향하여 상기 노즐을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상기 액상 재료를 도포하는 제 2 도포 과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재료 도포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도포 과정에서 상기 제 1 영역에 액상 재료를 도포한 후에, 중력 방향에서의 상기 노즐과 상기 하우징과의 상대적인 거리를 두는 제 1 이간(離間) 과정과,
    상기 제 2 도포 과정에서 상기 제 2 영역에 액상 재료를 도포한 후에, 중력 방향에서의 상기 노즐과 상기 하우징과의 상대적인 거리를 두는 제 2 이간 과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재료 도포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도포 과정과 상기 제 1 이간 과정 사이에서, 상기 노즐로부터의 상기 액상 재료의 토출을 정지시키는 제 1 정지(停止) 과정과,
    상기 제 2 도포 과정과 상기 제 2 이간 과정 사이에서, 상기 노즐로부터의 상기 액상 재료의 토출을 정지시키는 제 2 정지 과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재료 도포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이간 과정에서 상기 노즐과 상기 하우징과의 중력 방향에서의 거리를 두고 있는 사이에, 상기 노즐로부터의 상기 액상 재료의 토출을 정지시키는 제 1 정지 과정과,
    상기 제 2 이간 과정에서 상기 노즐과 상기 하우징과의 중력 방향에서의 거리를 두고 있는 사이에, 상기 노즐로부터의 상기 액상 재료의 토출을 정지시키는 제 2 정지 과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재료 도포 방법.
  7.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상 재료가 열가소성 일래스토머(elastome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재료 도포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일래스토머가 핫멜트형 접착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재료 도포 방법.
  9. 현상제 유지체 표면의 이동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접촉하고, 상기 현상제 유지체 표면의 현상제를 제거하는 현상제 제거 부재가 장착되고, 상기 현상제 제거 부재에 의해 제거된 현상제를 수용하는 현상제 수용부를 갖는 하우징에 액상으로 도포되어 고화하는 액상 재료를 노즐로부터 토출시키면서 상기 노즐을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상기 액상 재료를 도포한 후에 상기 현상제 제거 부재를 장착하는 현상제 유지체 유닛 조립 방법으로서,
    상기 현상제 수용부의 상기 현상제 제거 부재의 길이 방향 단부 측에 위치하는 제 1 가장자리의 외측의 제 1 영역에 대하여, 상기 하우징에 대해 고정되어 상기 현상제 제거 부재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에 대응하는 부위로부터 상기 현상제 제거 부재와 상기 현상제 유지체가 접하는 부위를 향해서 상기 노즐을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상기 액상 재료를 도포하는 제 1 도포 과정과,
    상기 제 1 가장자리에 대하여 상기 현상제 수용부를 끼운 제 2 가장자리의 외측의 제 2 영역에 대하여, 상기 하우징에 대해 고정되어 상기 현상제 제거 부재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에 대응하는 부위로부터 상기 현상제 제거 부재와 상기 현상제 유지체가 접하는 부위를 향해서 상기 노즐을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상기 액상 재료를 도포하는 제 2 도포 과정과,
    상기 제 1 도포 과정 및 상기 제 2 도포 과정에서 도포한 액상 재료가 고화하기 전에, 상기 현상제 제거 부재를 상기 하우징에 대해 장착하는 현상제 제거 부재 장착 공정을 갖고,
    상기 현상제 제거 부재의 상기 액상 재료와 접촉하는 부위의 표면의 10점(点) 평균 거칠기는 상기 제 1 영역 표면 및 상기 제 2 영역 표면의 10점 평균 거칠기에 대하여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유지체 유닛 조립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도포 과정에서 상기 제 1 영역에 액상 재료를 도포한 후에, 중력 방향에서의 상기 노즐과 상기 하우징과의 상대적인 거리를 두는 제 1 이간 과정과,
    상기 제 2 도포 과정에서 상기 제 2 영역에 액상 재료를 도포한 후에, 중력 방향에서의 상기 노즐과 상기 하우징과의 상대적인 거리를 두는 제 2 이간 과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유지체 유닛 조립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도포 과정과 상기 제 1 이간 과정 사이에서, 상기 노즐로부터의 상기 액상 재료의 토출을 정지시키는 제 1 정지 과정과,
    상기 제 2 도포 과정과 상기 제 2 이간 과정 사이에서, 상기 노즐로부터의 상기 액상 재료의 토출을 정지시키는 제 2 정지 과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유지체 유닛의 조립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이간 과정에서 상기 노즐과 상기 하우징과의 중력 방향에서의 거리를 두고 있는 사이에, 상기 노즐로부터의 상기 액상 재료의 토출을 정지시키는 제 1 정지 과정과,
    상기 제 2 이간 과정에서 상기 노즐과 상기 하우징과의 중력 방향에서의 거리를 두고 있는 사이에, 상기 노즐로부터의 상기 액상 재료의 토출을 정지시키는 제 2 정지 과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유지체 유닛 조립 방법.
  13. 제 9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상 재료가 열가소성 일래스토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유지체 유닛 조립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일래스토머가 핫멜트형 접착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유지체 유닛 조립 방법.
KR1020080089870A 2008-03-28 2008-09-11 액상 재료 도포 방법 및 현상제 유지체 유닛 조립 방법 KR1012120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087731A JP4623116B2 (ja) 2008-03-28 2008-03-28 液状材料塗布方法および現像剤保持体ユニット組立方法
JPJP-P-2008-00087731 2008-03-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3667A true KR20090103667A (ko) 2009-10-01
KR101212084B1 KR101212084B1 (ko) 2012-12-13

Family

ID=41193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9870A KR101212084B1 (ko) 2008-03-28 2008-09-11 액상 재료 도포 방법 및 현상제 유지체 유닛 조립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4623116B2 (ko)
KR (1) KR101212084B1 (ko)
CN (1) CN10154615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04585B2 (ja) * 2008-06-20 2012-12-19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クリーニング装置
CN107670918A (zh) * 2017-09-29 2018-02-09 清陶(昆山)自动化装备有限公司 一种隔膜涂布机封闭上料腔结构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62961A (ja) * 1990-11-06 1992-12-15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3171671B2 (ja) * 1992-07-07 2001-05-28 株式会社リコー 現像装置
JPH08211800A (ja) * 1995-02-02 1996-08-20 Canon Inc ブレード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H08211815A (ja) * 1995-02-02 1996-08-20 Canon Inc 塗布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H09109290A (ja) * 1995-10-20 1997-04-28 Canon Kasei Kk シール部材の製造方法及びシール部材の製造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821446B2 (ja) * 1996-11-19 1998-11-05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に対する現像剤の再充填方法
JPH11342357A (ja) * 1998-03-30 1999-12-14 Toshiba Corp シール材塗布装置及びシール材塗布方法
JP4362961B2 (ja) * 2000-09-07 2009-11-11 ソニー株式会社 直交周波数分割多重変調装置
JP4636698B2 (ja) * 2001-01-11 2011-02-23 キヤノン株式会社 収納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JP4620875B2 (ja) * 2001-01-11 2011-01-26 キヤノン株式会社 収納容器
JP4612770B2 (ja) 2000-11-28 2011-01-12 キヤノン株式会社 収納容器
JP3278434B2 (ja) * 2001-03-16 2002-04-30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4659468B2 (ja) 2005-01-26 2011-03-30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ユニット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546154A (zh) 2009-09-30
JP2009244333A (ja) 2009-10-22
CN101546154B (zh) 2012-07-18
JP4623116B2 (ja) 2011-02-02
KR101212084B1 (ko) 2012-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7748B1 (ko) 클리닝 장치의 제조 방법 및 클리닝 장치
US9280135B2 (en)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KR101588218B1 (ko) 화상형성장치, 화상형성장치의 현상닙제어방법, 및 화상형성장치의 포장방법
CN104122780B (zh) 显影剂容器、显影装置、清洁装置、处理盒和成像装置
CN104246624A (zh) 清洁设备、处理盒和电子照相成像装置
JP2000131926A (ja) 現像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KR20080073477A (ko) 화상형성기기 및 그 현상장치
KR101212084B1 (ko) 액상 재료 도포 방법 및 현상제 유지체 유닛 조립 방법
JP4659468B2 (ja) 現像ユニット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2004157374A (ja) 現像ブレード部材、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4623115B2 (ja) 液状材料塗布方法
JP3532451B2 (ja) 粉体除去装置
JP4944481B2 (ja)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KR101203958B1 (ko) 액상 재료 도포 방법
US20040081480A1 (en) Developing apparatus
JP4623117B2 (ja) 液状材料塗布方法
KR101176505B1 (ko) 액상 재료 도포 방법
JP2694477B2 (ja) 画像形成装置のクリーニング装置
JPH0756439A (ja) 粉体収容装置
JP5487670B2 (ja) 液状材料塗布方法、封鎖構造、および清掃装置
KR20080070166A (ko) 화상형성장치와 클리닝유닛
KR101031003B1 (ko) 클리닝 장치, 카트리지, 및 화상 형성 장치
JP2019066740A (ja) 枠体、現像ユニット及び枠体の製造方法
JP2013033147A (ja) クリーニング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JPH11224037A (ja) クリーニング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