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3958B1 - 액상 재료 도포 방법 - Google Patents

액상 재료 도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3958B1
KR101203958B1 KR1020080110312A KR20080110312A KR101203958B1 KR 101203958 B1 KR101203958 B1 KR 101203958B1 KR 1020080110312 A KR1020080110312 A KR 1020080110312A KR 20080110312 A KR20080110312 A KR 20080110312A KR 101203958 B1 KR101203958 B1 KR 1012039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veloper
liquid material
support member
housing
appl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03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03682A (ko
Inventor
나오키 고이케
가즈노리 이와모토
유스케 이노우에
Original Assignee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to KR10200801103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3958B1/ko
Publication of KR200901036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36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39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39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 G03G15/08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characterised by the developer supplying means, e.g. structure of developer supply roll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 G03G15/0812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characterised by the developer regulating means, e.g. structure of doctor blad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1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liquid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6Developing structures, detai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leaning In Electrography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Abstract

현상제 제거 부재와 지지 부재 사이의 단차 부분으로부터 토너의 누설을 저감할 수 있는 액상 재료 도포 방법을 제공한다.
현상제 유지체 표면의 현상제를 제거하는 현상제 제거 부재와, 제거한 현상제를 수용하는 현상제 수용부를 갖는 하우징에 대하여 장착되고 현상제 제거 부재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에 대하여 액상 재료를 노즐로부터 토출시키면서 도포하는 액상 재료 도포 방법에 있어서, 현상제 제거 부재가 하우징에 부착되었을 때에 현상제 수용부의 상기 현상제 제거 부재의 길이 방향에서의 제 1 단부 측에 위치하는 제 1 가장자리보다도 외측에 위치하는 제 1 영역에 대하여, 현상제 제거 부재와 지지 부재에 걸쳐서 액상 재료를 도포하는 제 1 도포 과정과, 제 1 단부와 길이 방향에서의 반대 측의 제 2 단부 측에 위치하는 제 2 가장자리보다도 외측에 위치하는 제 2 영역에 대하여, 현상제 제거 부재와 지지 부재에 걸쳐서 액상 재료를 도포하는 제 2 도포 과정을 갖는다.
클리닝 장치, 클리닝 틀, 펠트 부재, 블레이드, 블레이드 지지판, 조면 부분

Description

액상 재료 도포 방법{METHOD OF APPLYING LIQUID MATERIAL}
본 발명은 단차를 갖는 부재를 다른 부재에 고정할 때의 그 단차에 도포하는 액상 재료의 액상 재료 도포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에는, 전자사진방법에 의해 형성된 토너 화상의 잔사를 클리닝 블레이드로 긁어내어, 다음 공정의 화상 형성에 대비하도록 되어 있는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사이드 실 부재(5) 일단의 사이드 실 부재(5b)와 타단의 사이드 실 부재(5c)는 발포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지는 스펀지 재로, 홀더부(4a)와 일체인 블레이드 요동 브래킷(4b)에 대하여 접착제로 접착하는 구성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허공개 2000-75757호 공보.
그런데, 현상제 유지체에 대한 열가소성 일래스토머의 접촉을 적게 하기 위해서, 현상제 제거 부재 및 지지 부재와 하우징과의 사이에 현상제의 누설을 방지하는 봉쇄 부재를 설치할 경우에는, 현상제 제거 부재와, 이 현상제 제거 부재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와의 경계선에 발생하는 단차 부분에 봉쇄 부재가 잘 들어가지 않아서, 하우징 내에 수용된 잔류물이 그 단차로부터 새어나갈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현상제 제거 부재와 지지 부재 사이의 단차 부분으로부터 토너의 누설을 저감할 수 있는 액상 재료 도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액상 재료 도포 방법 중 제 1 액상 재료 도포 방법은,
현상제 유지체 표면의 이동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접촉하고 이 현상제 유지체 표면의 현상제를 제거하는 현상제 제거 부재와, 제거된 현상제를 수용하는 현상제 수용부를 갖는 하우징에 대하여 장착되고 상기 현상제 제거 부재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에 대하여, 액상으로 도포된 후 고화(固化)하는 액상 재료를 노즐로부터 토출시키면서 노즐을 상기 현상제 제거 부재 및 상기 지지 부재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이 액상 재료를 도포하는 액상 재료 도포 방법으로서,
상기 현상제 제거 부재가 상기 하우징에 부착되었을 때에, 상기 현상제 수용 부의 상기 현상제 제거 부재의 길이 방향에서의 제 1 단부 측에 위치하는 제 1 가장자리보다도 외측에 위치하는 제 1 영역에 대하여, 상기 현상제 제거 부재와 상기 지지 부재에 걸쳐서 상기 노즐을 상대적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이 액상 재료를 도포하는 제 1 도포 과정과,
상기 현상제 제거 부재가 상기 하우징에 부착되었을 때에, 상기 현상제 수용부의 상기 현상제 제거 부재의 제 1 단부와 길이 방향에서의 반대측의 제 2 단부 측에 위치하는 제 2 가장자리보다도 외측에 위치하는 제 2 영역에 대하여, 상기 현상제 제거 부재와 상기 지지 부재에 걸쳐서 상기 노즐을 상대적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이 액상 재료를 도포하는 제 2 도포 과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 액상 재료 도포 방법에서는,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에 대하여 현상제 제거 부재와 지지 부재에 걸쳐서 액상 재료를 도포함으로써, 현상제 제거 부재와 지지 부재 사이의 단차 부분으로의 액상 재료의 도포를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1 액상 재료 도포 방법에 의하면, 현상제 제거 부재와 지지 부재 사이의 단차 부분으로부터 토너의 누설을 저감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액상 재료가 도포되는 개소(箇所)에 홈이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도포된 액상 재료가 가로 방향으로 퍼져버리면, 그 액상 재료의 높이가 부족하여 극간(隙間)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그래서, 이와 같이 액상 재료가 도포되는 개소에 홈을 설치해서 홈에 도포된 액상 재료의 가로 방향으로의 퍼짐을 방지함으로써, 현상제 제거 부재와 지지 부재 사이의 단차 부분의 봉쇄성이 한층더 향상되 고, 이 단차 부분으로부터 토너의 누설을 한층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액상 재료가 도포되는 적어도 그 개소에 대해서는, 상기 지지 부재와 상기 현상제 제거 부재 사이의 단차가 모따기(chamfer)된 것인 것도 바람직한 형태이다.
이렇게 하면, 단차 부분의 액상 재료에 의한 봉쇄가 더 확실하게 행하여져서, 이 단차 부분으로부터 토너의 누설을 한층더 저감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지지 부재는 적어도 상기 액상 재료가 도포되는 개소의 표면의 10점 평균 거칠기가, 상기 하우징의 상기 액상 재료가 접촉하는 부위의 표면의 10점 평균 거칠기에 대하여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하우징에 장착된 지지 부재를 떼어낼 때에, 액상 재료는 하우징 측이 아닌 지지 부재 측에 부착되기 때문에, 하우징을 리사이클할 때에 이 액상 재료를 하우징으로부터 벗겨낼 수고를 생략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액상 재료 도포 방법 중 제 2 액상 재료 도포 방법은,
현상제 유지체 표면의 이동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접촉하고 이 현상제 유지체 표면의 현상제를 제거하는 현상제 제거 부재와, 제거된 현상제를 수용하는 현상제 수용부를 갖는 하우징에 대하여 장착되고 상기 현상제 제거 부재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에 대하여, 액상으로 도포된 후 고화하는 액상 재료를 노즐로부터 토출시키면서 노즐을 상기 현상제 제거 부재 및 상기 지지 부재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이 액상 재료를 도포하는 액상 재료 도포 방법으로서,
상기 현상제 제거 부재가 상기 하우징에 부착되었을 때에, 상기 현상제 수용부의 상기 현상제 제거 부재의 길이 방향에서의 제 1 단부 측에 위치하는 제 1 가장자리보다도 외측에 위치하는 제 1 영역에 대하여, 상기 현상제 제거 부재와 상기 현상제 유지체가 접하는 부위로부터 상기 지지 부재에 대응하는 부위를 향해서 상기 노즐을 상대적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이 액상 재료를 도포하는 제 1 도포 과정과,
상기 현상제 제거 부재가 상기 하우징에 부착되었을 때에, 상기 현상제 수용부의 상기 현상제 제거 부재의 제 1 단부와 길이 방향에서의 반대측의 제 2 단부 측에 위치하는 제 2 가장자리보다도 외측에 위치하는 제 2 영역에 대하여, 상기 현상제 제거 부재와 상기 현상제 유지체가 접하는 부위로부터 상기 지지 부재에 대응하는 부위를 향해서 상기 노즐을 상대적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이 액상 재료를 도포하는 제 2 도포 과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노즐에 의한 액상 재료의 도포에서, 도포 개시 시와 도포 종료 시에서는 토출량이 다르다. 본 발명의 제 2 액상 재료 도포 방법에서는, 제 1 영역과 제 2 영역의 양측에 대하여, 현상제 제거 부재와 현상제 유지체가 접하는 부위 측으로부터 지지 부재 측을 향해서 액상 재료를 도포함으로써, 현상제 제거 부재와 지지 부재 사이의 단차 부분으로의 액상 재료의 도포를 더 확실하게 행할 수 있는 것과 동시에, 제 1 영역에 도포되는 액상 재료의 크기 및 형상과, 제 2 영역에 도포되는 액상 재료의 크기 및 형상이, 현상제 제거 부재의 길이 방향의 중앙에서 볼 때 좌우 대칭으로 되어 도포량 밸런스가 향상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2 액상 재료 도포 방법에 의하면, 현상제 제거 부재와 지지 부재 사이의 단차 부분으로부터 토너의 누설을 한층 저감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액상 재료가 도포되는 개소에 홈이 마련된 것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액상 재료가 도포되는 적어도 그 개소에 대해서는 상기 지지 부재와 상기 현상제 제거 부재 사이의 단차가 모따기된 것인 것도 바람직한 형태이다. 또한, 상기 지지 부재는 적어도 상기 액상 재료가 도포되는 개소의 표면의 10점 평균 거칠기가, 상기 하우징의 상기 액상 재료가 접촉하는 부위의 표면의 10점 평균 거칠기에 대하여 큰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액상 재료 도포 방법 중 제 3 액상 재료 도포 방법은,
현상제 유지체 표면의 이동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접촉하고 이 현상제 유지체 표면의 현상제를 제거하는 현상제 제거 부재와, 제거된 현상제를 수용하는 현상제 수용부를 갖는 하우징에 대하여 장착되고 상기 현상제 제거 부재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에 대하여, 액상으로 도포된 후 고화하는 액상 재료를 노즐로부터 토출시키면서 노즐을 상기 현상제 제거 부재 및 상기 지지 부재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이 액상 재료를 도포하는 액상 재료 도포 방법으로서,
상기 현상제 제거 부재가 상기 하우징에 부착되었을 때에, 상기 현상제 수용부의 지지 부재가 배치된 측에 위치하는 제 3 가장자리보다도 외측이고, 또한 상기 지지 부재와 상기 하우징이 대향하는 제 3 영역에 대하여, 상기 노즐을 상대적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이 액상 재료를 도포하는 제 3 도포 과정과,
상기 제 3 도포 과정과 연속하여 상기 현상제 제거 부재가 상기 하우징에 부착되었을 때에, 상기 현상제 수용부의 상기 현상제 제거 부재의 길이 방향에서의 제 1 단부 측에 위치하는 제 1 가장자리보다도 외측에 위치하는 제 1 영역에 대하여, 상기 현상제 제거 부재와 상기 현상제 유지체가 접하는 부위로부터 상기 지지 부재에 대응하는 부위를 향해서 상기 노즐을 상대적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이 액상 재료를 도포하는 제 1 도포 과정과,
상기 현상제 제거 부재가 상기 하우징에 부착되었을 때에, 상기 현상제 수용부의 상기 현상제 제거 부재의 제 1 단부와 길이 방향에서의 반대측의 제 2 단부 측에 위치하는 제 2 가장자리보다도 외측에 위치하는 제 2 영역에 대하여, 상기 현상제 제거 부재와 상기 현상제 유지체가 접하는 부위로부터 상기 지지 부재에 대응하는 부위를 향해서 상기 노즐을 상대적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이 액상 재료를 도포하는 제 2 도포 과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액상 재료가 도포되는 개소에 홈이 마련된 것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액상 재료가 도포되는 적어도 그 개소에 대해서는, 상기 지지 부재와 상기 현상제 제거 부재 사이의 단차가 모따기된 것인 것도 바람직한 형태이다. 또한, 상기 지지 부재는 적어도 상기 액상 재료가 도포되는 개소의 표면의 10점 평균 거칠기가, 상기 하우징의 상기 액상 재료가 접촉하는 부위의 표면의 10점 평균 거칠기에 대하여 큰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액상 재료 도포 방법 중 제 4 액상 재료 도포 방법은,
현상제 유지체 표면의 이동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접촉하고 이 현상제 유지체 표면의 현상제를 제거하는 현상제 제거 부재와, 제거된 현상제를 수용하는 현상제 수용부를 갖는 하우징에 대하여 장착되고 상기 현상제 제거 부재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에 대하여, 액상으로 도포된 후 고화하는 액상 재료를 노즐로부터 토출시키면서 노즐을 상기 현상제 제거 부재 및 상기 지지 부재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이 액상 재료를 도포하는 액상 재료 도포 방법으로서,
상기 현상제 제거 부재가 상기 하우징에 부착되었을 때에, 상기 현상제 수용부의 상기 현상제 제거 부재의 길이 방향에서의 제 1 단부 측에 위치하는 제 1 가장자리보다도 외측에 위치하는 제 1 영역에 대하여, 상기 현상제 제거 부재와 상기 현상제 유지체가 접하는 부위로부터 상기 지지 부재에 대응하는 부위를 향해서 상기 노즐을 상대적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이 액상 재료를 도포하는 제 1 도포 과정과,
상기 현상제 제거 부재가 상기 하우징에 부착되었을 때에, 상기 현상제 수용부의 지지 부재가 배치된 측에 위치하는 제 3 가장자리보다도 외측이고, 또한 상기 지지 부재와 상기 하우징이 대향하는 제 3 영역에 대하여, 상기 노즐을 상대적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이 액상 재료를 도포하는 제 3 도포 과정과,
상기 제 3 도포 과정과 연속하여 상기 현상제 제거 부재가 상기 하우징에 부착되었을 때에, 상기 현상제 수용부의 상기 현상제 제거 부재의 제 1 단부와 길이 방향에서의 반대측의 제 2 단부 측에 위치하는 제 2 가장자리보다도 외측에 위치하는 제 2 영역에 대하여, 상기 현상제 제거 부재와 상기 현상제 유지체가 접하는 부위로부터 상기 지지 부재에 대응하는 부위를 향해서 상기 노즐을 상대적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이 액상 재료를 도포하는 제 2 도포 과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3 및 제 4 액상 재료 도포 방법에서는, 제 1 영역 또는 제 2 영역으로의 액상 재료의 도포가, 제 3 영역으로의 액상 재료의 도포와 연속하여 행하여진다. 이 때문에, 제 1 영역과 제 3 영역, 또는 제 2 영역과 제 3 영역의 경계선에의 액상 재료의 도포를, 도포 동작의 일단 정지를 사이에 끼워서 2회로 나누어 행하는 경우에 비하여, 이들 경계선에서의 액상 재료의 도포량의 편차를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3 및 제 4 액상 재료 도포 방법에 의하면, 현상제 제거 부재와 지지 부재 사이의 단차 부분으로부터 토너의 누설을 한층 저감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액상 재료 도포 방법 중 제 5 액상 재료 도포 방법은,
현상제 유지체 표면의 이동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접촉하고 이 현상제 유지체 표면의 현상제를 제거하는 현상제 제거 부재와, 제거된 현상제를 수용하는 현상제 수용부를 갖는 하우징에 대하여 장착되고 상기 현상제 제거 부재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에 대하여, 액상으로 도포된 후 고화하는 액상 재료를 노즐로부터 토출시키면서 노즐을 상기 현상제 제거 부재 및 상기 지지 부재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이 액상 재료를 도포하는 액상 재료 도포 방법으로서,
상기 현상제 제거 부재가 상기 하우징에 부착되었을 때에, 상기 현상제 수용부의 상기 현상제 제거 부재의 길이 방향에서의 제 1 단부 측에 위치하는 제 1 가 장자리보다도 외측에 위치하는 제 1 영역에 대하여, 상기 현상제 제거 부재와 상기 지지 부재에 걸쳐서 상기 노즐을 상대적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이 액상 재료를 도포하는 제 1 도포 과정과,
상기 현상제 제거 부재가 상기 하우징에 부착되었을 때에, 상기 현상제 수용부의 상기 현상제 제거 부재의 제 1 단부와 길이 방향에서의 반대측의 제 2 단부 측에 위치하는 제 2 가장자리보다도 외측에 위치하는 제 2 영역에 대하여, 상기 현상제 제거 부재와 상기 지지 부재에 걸쳐서 상기 노즐을 상대적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이 액상 재료를 도포하는 제 2 도포 과정과,
상기 제 1 도포 과정 및 상기 제 2 도포 과정에서 도포한 액상 재료가 고화된 후, 상기 현상제 제거 부재를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장착하는 현상제 제거 부재 장착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5 액상 재료 도포 방법에서는,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에 도포한 액상 재료가 고화된 후에 현상제 제거 부재를 하우징에 장착함으로써, 고화된 액상 재료의 하우징에의 고착을 방지할 수 있어, 리사이클이 용이해진다.
여기에서,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액상 재료가 도포되는 개소에 홈이 마련된 것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액상 재료가 도포되는 적어도 그 개소에 대해서는 상기 지지 부재와 상기 현상제 제거 부재 사이의 단차가 모따기된 것인 것도 바람직한 형태이다. 또한, 상기 지지 부재는 적어도 상기 액상 재료가 도포되는 개소의 표면의 10점 평균 거칠기가, 상기 하우징의 상기 액상 재료가 접촉하는 부위의 표면의 10점 평균 거칠기에 대하여 큰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액상 재료 도포 방법에 의하면, 액상으로 도포되어 고화하는 액상 재료를 도포할 때에, 현상제 제거 부재를 지지한 지지 부재를 고정하는 하우징에 대하여 도포했을 경우, 또는 상기 현상제 제거 부재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에 대응하는 부위로부터 현상제 제거 부재와 현상제 유지체가 접촉하는 부위를 향해서 노즐을 이동했을 경우와 비교하여, 현상제 제거 부재와 지지 부재 사이의 단차 부분으로부터 토너의 누설을 저감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화상 형성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한 화상 형성 장치(1)에서는, 대전 롤(11)에 의해 소정의 전하가 부여된, 화살표 A의 방향으로 회전하는 감광체 드럼(10)의 표면에, 외부로부터 송신되어 온 화상 데이터에 의거하여 노광기(12)에서 생성된 노광 광이 조사됨으로써 정전잠상이 형성되고, 화살표 C의 방향으로 회전하는 현상 롤(131)을 갖는 현상기(13)에 수용된 토너로 이 정전잠상이 현상된다. 이 현상에 의해 얻어진 현상 상은, 도시하지 않은 용지 카세트로부터 인출되어 화살표 B의 방향으로 반송되어 온 기록 용지 위에, 화살표 D의 방향으로 회전하는 전사 롤(14)에 의해 전사되고, 정착기(15)에 의해 정착됨으로써, 기록 용지 위에 화상 형성이 행하여진다. 또한, 이 화상 형성 장치(1)는 모노크로 화상 전용기이다.
또한, 도 1에는 감광체 드럼(10)의, 기록 용지로의 현상 상의 전사를 끝낸 부분에 접촉하고, 감광체 드럼(10)의 표면에 잔류한 잔류물을 제거하는 클리닝 장치(2)가 도시되어 있다.
도 2는 클리닝 장치의 일부 정면도이다.
도 2에는 도 1에 도시된 클리닝 장치(2)를 현상기(13) 측으로부터 감광체 드럼(10) 너머로 보았을 경우의, 이 클리닝 장치(2)의 단부가 도시되어 있다. 클리닝 장치(2)는 좌우 대칭이므로, 이하에서는 여기에 도시한 단부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클리닝 장치(2)는 하우징의 일례로서 클리닝 틀(21), 현상제 제거 부재의 일례로서 블레이드(22), 지지 부재의 일례로서 블레이드 지지판(23), 필름 부재(24), 및 펠트 부재(25)를 구비하고 있다.
블레이드(22)는 선단(221)이 접촉하는 감광체 드럼(10)의 표면에 잔류한 잔류물을 제거하는 고무제의 것이다.
블레이드 지지판(23)은 블레이드(22)를 지지하는 금속제의 판재이며, 고정 나사(230)에 의해 클리닝 틀(21)에 고정되어 있다.
클리닝 틀(21)은 현상제 수용부의 일례로서, 감광체 드럼(10)의 표면으로부터 제거된 잔류물을 수용하는 오목부 공간을 갖고, 이 오목부 공간의 입구(210a) (도 5 참조)의 가장자리의 일부에, 블레이드(22)를 지지하는 블레이드 지지판(23)이 나사 고정되는 본체부(210), 및 감광체 드럼(10)의 양단을 회전 가능하게 유지하는 유지부(211)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체부(210)에는 블레이드 지지판(23)의 위치 결정에 사용하는 보스(2101)에 더하여, 이 클리닝 틀(21)을 화상 형성 장 치(1)에서의 소정 위치에 배비(配備)하기 위한 위치 결정에 사용하는 보스(2102)도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세하게는 후술하지만, 블레이드(22)를 지지한 블레이드 지지판(23)의 클리닝 틀(21)로의 나사 고정은, 클리닝 틀(21)의 입구(210a)의 가장자리에 도포된 실 재(20)(도 7 참조)를 사이에 끼우면서 행하여지고, 이에 따라 오목부 공간에 수용된 잔류물이 클리닝 틀(21)과 블레이드 지지판(23)의 극간으로부터 새나가지 않도록 되어 있다.
펠트 부재(25)는 표면인 펠트층(251)과 탄성층(252)(도 9 참조)을 갖고 있으며, 탄성층(252)은 클리닝 틀(21)의 유지부(211)에 유지된 상태의 감광체 드럼(10)에 의해 약간 눌려 찌그러지는 두께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펠트층(251)은 감광체 드럼(10)에 밀착되고 잔류물의 누설이 방지되고 있다.
또한, 이 펠트 부재(25)는 클리닝 장치(2)의 중앙 측으로 돌출한 돌출부(250)를 갖고 있다. 도 2에는 돌출부(250)의 측면과, 펠트 부재(25)의, 돌출부(250) 이외의 부분의 블레이드 측의 측면이 블레이드(22)의 모서리에 첨부되어 있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여기에서는 감광체 드럼(10)과의 접촉 부분에 펠트층(251)을 이용했지만, 감광체 드럼(10)과의 접촉에 의해 감광체 드럼(10)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는, 마찰 계수가 작은 재료이면 펠트재 이외의 재료를 사용해도 상관없다. 또한, 펠트 부재(25)의 돌출부(250)에 관한 상세한 것은 후술한다.
필름 부재(24)는 폴리우레탄제의 시트 형상의 것이고, 선단(241)이 클리닝 틀(21)의 유지부(211)에 유지된 상태의 감광체 드럼(10)에 접촉함으로써, 블레이드(22)의 반대측으로부터 잔류물의 누설이 방지된다.
도 3은 블레이드를 지지한 상태의 블레이드 지지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는 클리닝 장치(2)의 클리닝 틀(21)에 나사 고정되기 전의, 블레이드(22)를 지지한 상태의 블레이드 지지판(23)이 도시되어 있고, 여기에서는 클리닝 틀(21)에 나사 고정된 상태에서 클리닝 틀(21)과 대향하는 측의 면이 위로 향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3에는 도 2에 도시한 고정 나사(230)가 관통하는 구멍(23a)과, 클리닝 틀(21)의 보스(2101)가 관통하는 구멍(23b)이 설치되어 있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블레이드 지지판(23)의, 클리닝 틀(21)에 나사 고정된 상태에서는 클리닝 틀(21)과 대향하는 측의 면에는, 클리닝 틀(21)의 입구(210a)의 가장자리 부분의 10점 평균 거칠기에 대하여 10점 평균 거칠기가 큰 조면 부분(231)이 설치되어 있고, 도 3에는 이 조면 부분(231)이 사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3에 사선으로 도시되어 있는 조면 부분(231)에는, 상세하게는 후술하지만, 액상으로 도포되어서 고화하는 액상 재료의 일례인 열가소성 일래스토머로 구성되는 실 재(20)(도 11 참조)가 도포된다. 열가소성 일래스토머는 가열 상태에서는 액상이며, 온도가 내려감에 따라 고화한다. 구체적인 재료로서는, 폴리스틸렌계 재료, 폴리우레탄계 재료, 폴리우레아계 재료를 들 수 있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블레이드 지지판의 단면도이다.
도 4의 (a)에는 도 3에 도시된 블레이드 지지판(23)의 A-A' 단면을 도 3에 도시된 구멍(23a, 23b) 측으로부터 보았을 경우, 도 4의 (b)에는 블레이드 지지판(23)의 B-B' 단면을 도 3에 도시된 블레이드(22)의 선단 측으로부터 보았을 경우 가 도시되어 있다. 이렇게, 블레이드 지지판(23)의, 실 재(20)가 접촉하는 조면 부분(231)의 10점 평균 거칠기가, 클리닝 틀(21)의 입구(210a)의 가장자리 부분의 면의 10점 평균 거칠기보다도 높게 되어 있는 것으로, 사용이 끝난 클리닝 장치(2)를 분해하여 블레이드 지지판(23)을 클리닝 틀(21)로부터 떼어낼 때에, 실 재(20)는 클리닝 틀(21)이 아닌 블레이드 지지판(23)에 부착되어 온다. 이에 따라, 클리닝 장치(2)를 분해해서 클리닝 틀(21)을 리사이클할 때에 실 재(20)가 클리닝 틀 측에 부착되어 오는 경우와 비교하여, 클리닝 틀(21)로부터 실 재(20)를 제거하는 수고를 생략할 수 있다.
도 5는 클리닝 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는 블레이드 지지판(23), 펠트 부재(25), 및 필름 부재(24)가 본체부(210)에 부착되기 전 상태의 클리닝 틀(21)이 도시되어 있고, 여기에는 잔류물을 수용하는 오목부 공간의 입구(210a)가 노출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5에서는, 오목부 공간의 입구(210a)의 가장자리를 형성하는 각 가장자리 부분에 부호 A에서 부호 D까지가 붙여져 있지만, 이것은 이하에 행하는 설명의 편의 때문에 붙인 것이며, 클리닝 틀(21)에 실제로 붙여져 있는 것은 아니다. 또한, 가장자리 부분 A, 가장자리 부분 B, 및 가장자리 부분 C는 동일면 상에 존재하는 것에 대해, 이 가장자리 부분 D는 그 면과 교차하는 면 상에 존재한다.
여기에서, 가장자리 부분 B 및 가장자리 부분 C는 감광체 드럼(10) 표면의 이동 방향에 대략 직교하고 있는 감광체 드럼(10)의 축방향에서 오목부 개구의 입구(210a)를 형성하는 가장자리를 형성하고 있는 부위에 따른 영역뿐만 아니라, 본 실시예와 같이 해당 가장자리를 형성하고 있는 부위와 블레이드(22)의 감광체 드럼(10)의 축방향에서의 단부와의 사이의 영역을 가리키고, 가장자리 부분 A는 블레이드 지지판(23)이 배치된 측에서 오목부 개구의 입구(210a)를 형성하는 가장자리를 형성하고 있는 부위에 따른 영역뿐만 아니라, 본 실시예와 같이 해당 가장자리를 형성하고 있는 부위보다도 오목부 공간에 대하여 외측이고, 또한 블레이드 지지판(23)과 클리닝 틀(21)이 대향하고 있는 영역을 가리키고, 가장자리 부분 D는 필름 부재(12)가 배치된 측에서 오목부 개구의 입구(210a)를 형성하는 가장자리를 형성하고 있는 부위에 따른 영역뿐만 아니라, 본 실시예와 같이 해당 가장자리를 형성하고 있는 부위와 필름 부재(12)와의 사이의 영역을 가리킨다. 또한, 도 5에 도시되는 입구(210a)의 가장자리 부분 B측의 가장자리(2101a)가 본 발명에서 말하는 제 1 가장자리에 상당하고, 가장자리 부분 C측의 가장자리(2102a)가 본 발명에서 말하는 제 2 가장자리에 상당하고, 가장자리 부분 A측의 가장자리(2103a)가 본 발명에 말하는 제 3 가장자리에 상당한다.
여기에서, 클리닝 장치(2)의 조립 방법에 대해서 도 5~도 10을 참조하면서 간단하게 설명한다.
도 6은 클리닝 장치의 조립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는, 스텝 S1으로서, 액상으로 도포된 후 고화하고 부재 간의 극간을 봉쇄하는 실 재(20)가, 도 3에 도시된 블레이드(22), 및 이 블레이드를 지지하는 블레이드 지지체(23) 중 클리닝 틀(21)의 입구(210a)의 가장자리를 형성하는 가장자리 부분 A, 가장자리 부분 B, 및 가장자리 부분 C에 대응하는 부분에 도포된다. 스텝 S2로서, 가장자리 부분 D에 필름 부재(24)가 부착된다. 여기에서는, 필름 부재(24)의 하부가 도시하지 않은 양면 테이프에 의해 가장자리 부분 D에 부착된다.
다음으로, 스텝 S3으로서, 블레이드(22)를 지지한 상태의 블레이드 지지판(23)이 클리닝 틀(21)에 나사 고정되어 고정된다. 이 단계에서, 입구(210a)의 가장자리 중 가장자리 부분 A, 및 가장자리 부분 B와 가장자리 부분 C의 각 일부가, 블레이드(22)를 지지한 상태의 블레이드 지지판(23)에 덮이고, 가장자리 부분 D가 필름 부재(24)에 덮여, 입구(210a)는 도 5에 도시된 상태와 비교하여 좁아진 상태가 된다.
도 7은 클리닝 틀의 좁아진 입구를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7에서는 입구(210a)의 가장자리 중, 부재에 덮여서 보이지 않는 부분의 가장자리에 대해서는 2점 쇄선으로 표시하고, 가장자리 부분에 도포된 실 재(20) 중 부재에 덮여서 보이지 않는 부분의 실 재(20)에 대해서는 점선으로 표시하고 있다.
도 7에는, 도 5에 도시된 입구(210a)가 블레이드(22) 등에 덮여서 좁아진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7에는 입구(210a)의 가장자리를 구성하는 가장자리 부분 A, 가장자리 부분 B, 및 가장자리 부분 C에 도포되어 있는 실 재(20) 중, 블레이드(22)를 지지하는 블레이드 지지판(23)에 덮여 있는 부분의 실 재(20)가, 블레이드(22)를 지지하는 블레이드 지지판(23)의 클리닝 틀(21)로의 고정에 의해 눌려 찌그러져서 퍼져 있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으로 되돌아가서 설명을 계속한다.
스텝 S4로서, 가장자리 부분 B 및 가장자리 부분 C와 필름 부재(24)와의 극 간에 실 재가 충전된다.
도 8은 가장자리 부분과 필름 부재와의 극간에 실 재가 충전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에는 가장자리 부분 B와 필름 부재(24)와의 극간에 실 재가 충전되어 있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가장자리 부분 C와 필름 부재(24)와의 극간에의 실 재의 충전도 마찬가지이므로 도시는 생략되어 있다. 도 6으로 되돌아가서 설명을 계속한다.
스텝 S5로서, 펠트 부재(25)가 펠트 부착면(2103)(도 5 참조)에 부착된다. 스텝 S6으로서, 클리닝 틀(21)의 유지부(211)에 감광체 드럼(10)이 조립된다.
도 9는 클리닝 틀의 유지부에 감광체 드럼이 조립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또한, 도 9에서는 번잡함을 피하기 위해서 필름 부재(24)의 도시는 생략되어 있다.
도 9에는 가장자리 부분 B를 도 8 중의 화살표 X의 방향으로 보았을 경우가 도시되어 있고, 여기에는 펠트 부재(25)가 양면 테이프(26)에 의해 펠트 부착면(2103)에 부착되어 있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클리닝 틀(21)의 유지부(211)에 감광체 드럼(10)이 조립될 때에는 펠트 부재(25)의 탄성층(252)은 다소 압축되기 때문에, 펠트층(251)은 감광체 드럼(10)에 밀착된다. 또한, 이때 가장자리 부분 B의 필름 부재(24) 측에 뒤에서 도포된(스텝 S4) 실 재(20)도, 도 2에서 설명한 펠트 부재(25)의 돌출부(250)의 양면 테이프(26)와 가장자리 부분 B와의 사이에서 압축된다.
도 10은 감광체 드럼이 조립된 클리닝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0에는, 도 9 중 일점 쇄선으로 도시한 단면을 화살표 Y의 방향으로 보았을 경우가 도시되어 있고, 가장자리 부분 D에 양면 테이프(26)에 의해 부착되어 있는 필름 부재(24)의 선단(241)이 펠트 부재(25) 측으로 말려 들어가고 있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라, 필름 부재(24) 측으로부터 잔류물의 누설이 억제되고 있다.
또한, 도 10에는 상세하게는 후술하지만, 블레이드(22)와, 이 블레이드(22)를 지지하는 블레이드 지지판(23)과의 클리닝 틀 측의 단차 부분이 사면(2311)으로 되어 있는 것으로, 실 재(20)가 클리닝 틀(21)에 고정 및 부착된 부재와의 사이를 극간없이 봉쇄하고 있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상이, 클리닝 장치(2)의 조립 방법의 대략의 흐름이다.
여기에서, 이 클리닝 장치(2)에서는 감광체 드럼(10)에 클리닝 블레이드(22)의 선단(221)을 접촉시켜 감광체 드럼(10)의 표면으로부터 마찰되어서 수용된 잔류물을 클리닝 틀 밖으로 새나가지 않게, 블레이드(22)와 이 블레이드(22)를 지지한 상태의 블레이드 지지 부재(23)와의 단차 부분에 실 재(20)의 충전 불량에 의한 극간이 생기지 않도록, 클리닝 틀(21) 측이 아닌 블레이드(22)와 이 블레이드(22)를 지지한 상태의 블레이드 지지판(23)에 실 재(20)를 도포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도 6의 스텝 S1에 도시된 블레이드(22), 및 블레이드(22)를 지지한 상태의 블레이드 지지체(23)로의 실 재(20)의 도포 내용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1은 실 재의 도포 순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 도시하는 실 재의 도포 방법이 본 발명의 액상 재료 도포 방법의 일 실시예이다.
도 11에는 블레이드(22)를 지지한 상태의 블레이드 지지판(23)이, 도 3에 도시한 상태와 같은 상태, 즉 실 재(20)를 사이에 끼워서 클리닝 틀(21)과 대향하는 면을 위로 향하게 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11에는 실 재(20)의 도포에 따른 노즐(301)의 이동 궤적이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11에서는 블레이드(22) 및 블레이드 지지판(23) 각각이, 도 11에 도시된 XYZ축에서 말하는 X-Y면과 평행한 면 상에 존재하고 있다고 하고 설명해 나간다.
또한, 도 11에는 실 재(20)가 도포되는 영역이 2개의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고, 또한 블레이드(22)와 이 블레이드(22)를 지지한 상태의 블레이드 지지판(23) 사이의 단차 중, 실 재(20)가 도포되는 부분의 단차가 깎여진 사면(2311)이 2개 형성되어 있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2개의 점선 사이 중, 블레이드 지지판 상의 부분은, 도 3에서는 사선으로 도시되는 조면 부분(231)이다. 또한, 이들 2개의 사면(2311)에 끼인 부분의 단차를 모두 깎아내어 사면으로 한 것을, 이 블레이드 지지판(23) 대신에 사용하여도 좋다.
도 11의 (a)에는 도 7에 도시된 입구(210a)의 가장자리 중 가장자리 부분 B에 대응하는, 본 발명에서 말하는 제 1 영역의 단부인 제 1 시점 S1에 노즐(301)의 선단이 배치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11의 (b)에는 가장자리 부분 B에 대응하는, 블레이드(22) 및 블레이드 지 지 부재(23)의 부분에, 제 1 시점 S1에서 제 1 경유점 T1에 걸쳐, 즉 도 11에서의 Y축과 평행하게 노즐(301)의 선단을 이동시켜서 실 재(20)를 도포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11의 (c)에는 제 1 경유점 T1에 도달한 노즐(301)이 제 1 종점 D1에 걸쳐, 즉 도 11에서의 X축과 평행하게 노즐(301)의 선단을 이동시켜서 실 재(20)를 도포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 제 1 경유점 T1에서 제 1 종점 D1에 걸친 것이 본 발명에서 말하는 제 3 영역에 상당한다.
도 11의 (d)에는 제 1 종점 D1에 도달한 노즐(301)의 선단이, 도 7에 도시한 입구(210a)의 가장자리 중 가장자리 부분 C에 대응하는, 본 발명에서 말하는 제 2 영역의 단부인 제 2 시점 S2에 배치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11의 (e)에는 제 2 시점 S2로 이동한 노즐(301)의 선단이, 도 7에 도시한 입구(210a)의 가장자리 중 가장자리 부분 C에 대응하는, 제 2 시점 S2에서 제 2 종점 D2에 걸쳐, 즉 도 11에서의 Y축과 평행하게 노즐(301)의 선단을 이동시켜서 실 재(20)를 도포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12는 실 재 토출 장치의 실 재 토출 및 위치에 대해서 제어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에는 지시를 받고, 노즐(301)로부터 실 재의 토출 개시 및 정지를 행하는 실 재 토출 장치(300), 클리닝 틀(21)을 소정의 자세로 유지하는 클리닝 틀 유지대, 및 실 재 토출 장치(300)를 유지하고, 입력된 3차원 좌표값에 따라 이 실 재 토출 장치(300)를 이동시키는 이동 암을 구비한 자동 실 재 도포 장치에서 실행되 는 루틴의 플로 차트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클리닝 틀 유지대에 유지된, 블레이드(22)를 지지한 상태의 블레이드 지지판(23)에 대해서, 제 1 시점 S1, 제 1 경유점 T1, 제 1 종점 D1, 제 2 시점 S2, 및 제 2 종점 D2 각각의, 이 노즐(301)의 선단의 홈 포지션에 대한 상대적인 3차원 좌표 위치 및 각 점 간의 상대적인 3차원 좌표 위치는 이미 등록되어 있다고 하고 설명해 나간다.
도 12에 도시된 스텝 S11에서는 실 재 도포 작업의 개시 신호를 받고, 실 재 도포 장치(300)의 노즐(301)의 선단을 도시하지 않은 홈 포지션으로부터 제 1 시점 S1까지 이동시킨다.
스텝 S12에서는 노즐(301)의 선단의 제 1 시점 S1으로의 도달을 기다려, 실 재 토출 장치(300)에 대해 실 재의 토출 개시를 지시함과 동시에, 노즐(301)의 선단의 제 1 시점 S1으로부터 제 1 경유점 T1을 경유하는 제 1 종점 D1을 향한 이동을 지시한다. 스텝 S13에서는 노즐(301)의 선단이 제 1 종점 D1에 도달하기 직전의, 실 재의 토출 개시 지시로부터 소정의 초시간 경과 후 또는 소정의 위치 도달 시에 실 재의 토출 정지를 지시한다. 실 재(20)의 토출 정지 지시가 나온 후에도 노즐 중의 실 재가 토출되기 때문에 제 1 종점 D1에서는 실 재가 두꺼워지는 바, 이렇게 제 1 종점 D1으로의 도달 직전에 실 재의 토출을 정지시킴으로써 이 뱅크를 억제할 수 있다. 스텝 S14에서는 제 1 종점 D1에 도달한 노즐(301)의 선단을 제 2 시점 S2을 향해서 이동시킨다. 스텝 S15에서는 노즐(301) 선단의 제 2 시점 S2으로의 도달을 기다려, 실 재 토출 장치(300)에 대하여 실 재의 토출 개시를 지시함과 동시에, 노즐(301) 선단의 제 2 시점 S2로부터 제 2 종점 D2을 향한 이동을 지 시한다. 스텝 S16에서는 노즐(301)의 선단이 제 2 종점 D2에 도달하기 직전의, 노즐(301)의 선단이 제 2 시점 S2를 시작으로 하여 소정의 초시간 경과 후 또는 소정의 위치 도달 시에 실 재(20)의 토출 정지를 지시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클리닝 장치(2)의 조립에서의 이 실 재 도포 방법에서는, 블레이드(22)를 지지한 상태의 블레이드 지지판(23)의, 클리닝 틀(21)과 대향하는 면측의 단차 부분인 사면(2311)을 겨냥해서 실 재(20)를 도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클리닝 틀(21) 측에 실 재(20)를 도포하고, 블레이드(22)를 지지한 블레이드 지지판(23)을 고정할 경우에 부족할 수 있는 단차 부분으로의 실 재(20)의 충전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실 재 도포 방법에 의하면, 블레이드(22)를 지지한 블레이드 지지판(23)의 단차 부분의 봉쇄성이 향상된다.
또한, 이 실 재의 도포 방법에서는 실 재(20)를 자동 실 재 도포 장치에 구비된 실재 토출 장치(300)의 노즐(301)로부터 토출시키고 있지만, 노즐 지름은 일정하고, 또한 노즐(301)의 이동 속도의 제어가 가능하기 때문에, 노즐(301)의 이동 속도를 일정하게 함으로써, 도포량의 편차를 억제한 안정된 실 재의 도포가 가능해진다. 따라서, 이 실 재 도포 방법에 의하면, 클리닝 틀(21)과 블레이드(22)를 지지한 상태의 블레이드 지지판(23) 사이의 전체적인 봉쇄성이 향상된다.
또한, 이 실 재 도포 방법에서는, 블레이드(22) 및 블레이드(22)를 지지한 상태의 블레이드 지지판(23)에 대한, 클리닝 틀(21)의 가장자리 부분 B 및 가장자리 부분 C에 대응하는 부분으로의 실 재의 도포를, 클리닝 틀(21)의 가장자리 부분 A에 대응하는 부분으로부터 볼때 좌우 대칭으로 노즐(301)을 이동시켜 행하고 있 다. 이에 따라, 클리닝 틀(21)의 가장자리 부분 B에 대응하는 블레이드(22) 및 블레이드(22)를 지지한 상태의 블레이드 지지판(23)의 부분에 도포되는 실 재의 크기 및 형상과, 클리닝 틀(21)의 가장자리 부분 C에 대응하는 블레이드(22) 및 블레이드(22)를 지지한 상태의 블레이드 지지판(23)의 부분에 도포되는 실 재의 크기 및 형상은, 클리닝 틀(21)의 가장자리 부분 A에 대응하는 블레이드 지지판(23)의 부분으로부터 볼때 좌우 대칭이 되어서 도포량 밸런스가 향상된다. 이 때문에, 클리닝 틀(21)과 블레이드(22)를 지지한 블레이드 지지판(23) 사이의 전체적인 봉쇄성이 향상된다.
또한, 이 실 재 도포 방법에서는 클리닝 틀(21)의 가장자리 부분 A 및 가장자리 부분 B에 대응하는, 블레이드(22) 및 블레이드(22)를 지지한 상태의 블레이드 지지판(23)의 부분으로의 실 재(20)의 도포를 연속해서 행하고 있다. 이것은 노즐(301)에 의한 실 재(20)의 도포에서, 도포 개시 시와 도포 종료 시에 토출량이 다르기 때문에, 클리닝 틀(21)의 가장자리 부분 A 및 가장자리 부분 B에 대응하는 부분으로의 실 재(20)의 도포를 일단 정지를 사이에 끼워 2회로 나누어 행하면, 클리닝 틀(21)의 가장자리 부분 B에 대응하는 부분으로의 도포 종료 지점의 도포량과, 클리닝 틀(21)의 가장자리 부분 A에 대응하는 부분으로의 도포 개시 시점의 도포량이 다르므로, 이들 간에 극간이 비거나, 또는 양이 많아져서 클리닝 틀(21)의 가장자리 부분 A 및 가장자리 부분 B에 대응하는 부분 전체에 대한 도포량의 밸런스에 악영향을 끼칠지 모르기 때문이다.
또한, 이 실 재 도포 방법에서는 클리닝 틀(21)의 가장자리 부분 B 및 가장 자리 부분 C에 대응하는 부분으로의 실 재(20)의 도포에 대해서, 동시에 블레이드 측으로부터 블레이드 지지판 측으로 노즐(301)을 이동시키고 있다. 이 노즐(301)의 이동 방향은 블레이드(22)를 지지한 블레이드 지지판(23)의, 클리닝 틀(21)에 고정되는 측의 면에 갖는 단차를 오르는 방향과 같은 방향이며, 이 방향으로 노즐(301)을 이동시킴으로써, 단차 부분으로의 실 재(20)의 도포를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이 실 재 도포 방법에서는 블레이드(22)와, 이 블레이드(22)를 지지한 블레이드 지지판(23)과의 단차 부분이 사면(2311)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이 단차 부분의 실 재의 도포가 용이해지고, 이 단차 부분으로의 실 재의 도포를 확실하게 행할 수 있으며, 이 단차 부분의 봉쇄성이 한층 향상된다. 또한, 이상으로 설명한 실시예에서는, 클리닝 틀(21)의 가장자리 부분에 대응하는 부분으로의 실 재(20)의 도포에 대해서, 실 재(20)의 도포량을 일정한 예를 들어 설명했지만, 블레이드(22)와 블레이드(22)를 지지한 상태의 블레이드 지지판(23)과의 단차 부분에 대해서, 다른 부분보다도 도포량이 증가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이 단차 부분의 봉쇄성은 한층더 향상된다.
다음으로, 이 실 재 도포 방법의 실시가 가능한 블레이드 지지판(23) 이외의 다른 블레이드 지지판의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3은 본 실시예의 실 재 도포 방법의 실시가 가능한 블레이드 지지판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13에는, 도 11에서는 블레이드 지지판 상에 점선으로 도시되는 부분에 홈(33a)이 형성된, 블레이드(22)를 지지한 상태의 블레이드 지지판(33)이 도시되어 있고, 블레이드 지지판(33)에 대한 실 재(20)의 도포는 이 홈(33a)을 따라 행하여진다. 블레이드 지지판(33)에 이러한 홈(33a)이 마련되어 있다면, 블레이드(22)와의 단차가 작아지기 때문에 단차 부분으로의 실 재(20)의 도포가 용이해진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홈에 실 재가 도포되었을 경우의 단면도이다.
블레이드 지지판(33)에 도포된 실 재(20)가 가로 방향으로 퍼져버리면, 그 실 재(20)로 이루어지는 봉쇄 부재의 높이가 부족하고, 블레이드 지지판(33)과 클리닝 틀(21) 사이에 극간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그래서, 이렇게 실 재(20)가 도포되는 개소에 홈(33a)을 설치하고, 이 홈(33a)에 도포된 실 재(20)의 가로 방향으로의 퍼짐을 방지함으로써, 클리닝 틀(21)과 블레이드 지지판(33) 사이의 전체적인 봉쇄성이 한층더 향상된다.
도 15는 도 13에 도시된 블레이드 지지판의 B-B' 단면을 블레이드의 선단 측에서 본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에는, 도 13에 도시된 홈(33a)의, 실 재(20)가 접촉하는 바닥면이 조면으로 되어 있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여, 홈(33a)의 바닥면의 10점 평균 거칠기를 클리닝 틀(21)의 입구(210a)의 가장자리 부분의 면의 10점 평균 거칠기보다도 높게 함으로써, 사용이 끝난 클리닝 장치(2)를 분해하여 블레이드 지지판(23)을 클리닝 틀(21)에서 떼어낼 때에, 실 재(20)는 클리닝 틀(21)이 아닌 블레이드 지지판(23)에 부착되어 온다. 이에 따라, 클리닝 장치(2)를 분해해서 클리닝 틀(21)을 리사이클할 때 실 재(20)가 클리닝 틀 측에 부착되어 오는 경우에 비하여, 클리닝 틀(21)로부터 실 재(20)를 제거하는 수고가 생략된다. 또한, 홈(33a)의 바닥면의 형상은 클리닝 틀(21)의 입구(210a)의 가장자리 부분의 면의 10점 평균 거칠기보다도 높으면 되고, 그 형상은 도 15의 (a) 및 도 15의 (b)에 도시되는 형상 이외의 형상, 예를 들면 반원형이어도 좋다.
또한, 클리닝 틀(21)의 리사이클성을 향상하기 위해서,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포한 실 재가 고화한 후에 클리닝 틀(21)에 고정하여도 좋다. 이렇게 하여, 실 재는 고화 후에도 탄성을 갖고 있고, 봉쇄성은 종래의 오려 바르기가 필요한 실 재보다도 뛰어나다.
또한, 이상으로 설명한 실시예에서는, 바람직한 예로서, 단차 부분을 사면(2311)으로 하는 예를 들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에서는 단차 부분이 사면일 필요는 없고, 사면이 아니어도 기본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상으로 설명한 실시예에서는, 바람직한 예로서, 클리닝 틀(21)의 가장자리 부분 A 및 가장자리 부분 B에 대응하는, 블레이드(22) 및 블레이드(22)를 지지한 상태의 블레이드 지지판(23)의 부분으로의 실 재(20)의 도포를 연속하여 행하고 있는 예를 들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에서는 연속으로 행할 필요는 없고, 이들을 2회로 나누어서 행하여도 기본적인 효과는 얻을 수 있다. 또한, 클리닝 틀(21)의 가장자리 부분 A 및 가장자리 부분 C에 대응하는 부분으로의 실 재(20)의 도포를 연속하여 행하여도 좋다. 또한, 이상으로 설명한 실시예에서는, 클리닝 틀(21)의 가장자리 부분 B 및 가장자리 부분 C에 대응하는 부분으로의 실 재(20)의 도포에 대해서, 동시에 블레이드 측으로부터 블레이드 지지판 측으로 노즐(301)을 이동시키는 예를 바람직한 예로서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클리닝 틀(21)의 가장자리 부분 B 및 가장자리 부분 C에 대응하는 부분으로의 실 재(20)의 도포에 대해서, 동시에 블레이드 지지판 측으로부터 블레이드 측으로 노즐(301)을 이동시켜도 기본적인 효과는 얻을 수 있다.
도 1은 화상 형성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2는 클리닝 장치의 일부 정면도.
도 3은 블레이드를 지지한 상태의 블레이드 지지판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블레이드 지지판의 단면도.
도 5는 클리닝 틀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클리닝 장치의 조립 방법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클리닝 틀의 좁아진 입구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가장자리 부분과 필름 부재와의 극간에 실 재가 충전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클리닝 틀의 유지부에 감광체 드럼이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감광체 드럼이 조립된 클리닝 장치의 단면도.
도 11은 실 재의 도포 순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실 재 토출 장치의 실 재 토출 및 위치에 대해서 제어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본 실시예의 실 재 도포 방법의 실시가 가능한 블레이드 지지판의 외관 사시도.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홈에 실 재가 도포되었을 경우의 단면도.
도 15는 도 13에 도시된 블레이드 지지판의 B-B' 단면을 블레이드의 선단 측으로부터 보았을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화상 형성 장치
2 : 클리닝 장치
20 : 실 재
21 : 클리닝 틀
210 : 본체부
210a : 입구
211 : 지지부
2103 : 펠트 부착면
22 : 블레이드
221 : 선단(先端)
23, 33 : 블레이드 지지판
230 : 고정 나사
231 : 조면(粗面) 부분
2311 : 사면(斜面)
24 : 필름 부재
241 : 선단
25 : 펠트 부재
250 : 돌출부
251 : 펠트층
252 : 탄성층
33a : 홈

Claims (17)

  1. 현상제 유지체 표면의 이동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접촉하고, 상기 현상제 유지체 표면의 현상제를 제거하는 현상제 제거 부재와,
    제거된 현상제를 수용하는 현상제 수용부를 갖는 하우징에 대하여 장착되며, 상기 현상제 제거 부재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에 대하여,
    액상으로 도포된 후 고화(固化)하는 액상 재료를 노즐로부터 토출시키면서 노즐을 상기 현상제 제거 부재 및 상기 지지 부재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액상 재료를 도포하는 액상 재료 도포 방법으로서,
    상기 현상제 제거 부재가 상기 하우징에 부착되었을 때에, 상기 현상제 수용부의 상기 현상제 제거 부재의 길이 방향에서의 제 1 단부(端部) 측에 위치하는 제 1 가장자리보다도 외측에 위치하는 제 1 영역에 대하여, 상기 현상제 제거 부재와 상기 지지 부재에 걸쳐서 상기 노즐을 상대적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액상 재료를 도포하는 제 1 도포 과정과,
    상기 현상제 제거 부재가 상기 하우징에 부착되었을 때에, 상기 현상제 수용부의 상기 현상제 제거 부재의 제 1 단부와 길이 방향에서의 반대측의 제 2 단부 측에 위치하는 제 2 가장자리보다도 외측에 위치하는 제 2 영역에 대하여, 상기 현상제 제거 부재와 상기 지지 부재에 걸쳐서 상기 노즐을 상대적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액상 재료를 도포하는 제 2 도포 과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재료 도포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액상 재료가 도포되는 개소(箇所)에 홈이 마련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재료 도포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액상 재료가 도포되는 적어도 그 개소에 대해서는 상기 지지 부재와 상기 현상제 제거 부재 사이의 단차(段差)가 모따기(chamfer)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재료 도포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적어도 상기 액상 재료가 도포되는 개소의 표면의 10점 평균 거칠기가, 상기 하우징의 상기 액상 재료가 접촉하는 부위의 표면의 10점 평균 거칠기에 대하여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재료 도포 방법.
  5. 현상제 유지체 표면의 이동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접촉하고, 상기 현상제 유지체 표면의 현상제를 제거하는 현상제 제거 부재와,
    제거된 현상제를 수용하는 현상제 수용부를 갖는 하우징에 대하여 장착되며, 상기 현상제 제거 부재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에 대하여,
    액상으로 도포된 후 고화하는 액상 재료를 노즐로부터 토출시키면서 노즐을 상기 현상제 제거 부재 및 상기 지지 부재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액상 재료를 도포하는 액상 재료 도포 방법으로서,
    상기 현상제 제거 부재가 상기 하우징에 부착되었을 때에, 상기 현상제 수용부의 상기 현상제 제거 부재의 길이 방향에서의 제 1 단부 측에 위치하는 제 1 가장자리보다도 외측에 위치하는 제 1 영역에 대하여, 상기 현상제 제거 부재와 상기 현상제 유지체가 접하는 부위로부터 상기 지지 부재에 대응하는 부위를 향해서 상기 노즐을 상대적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액상 재료를 도포하는 제 1 도포 과정과,
    상기 현상제 제거 부재가 상기 하우징에 부착되었을 때에, 상기 현상제 수용부의 상기 현상제 제거 부재의 제 1 단부와 길이 방향에서의 반대측의 제 2 단부 측에 위치하는 제 2 가장자리보다도 외측에 위치하는 제 2 영역에 대하여, 상기 현상제 제거 부재와 상기 현상제 유지체가 접하는 부위로부터 상기 지지 부재에 대응하는 부위를 향해서 상기 노즐을 상대적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액상 재료를 도포하는 제 2 도포 과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재료 도포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액상 재료가 도포되는 개소에 홈이 마련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재료 도포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액상 재료가 도포되는 적어도 그 개소에 대해서는 상기 지지 부재와 상기 현상제 제거 부재 사이의 단차가 모따기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재료 도포 방법.
  8. 제 5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적어도 상기 액상 재료가 도포되는 개소의 표면의 10점 평균 거칠기가, 상기 하우징의 상기 액상 재료가 접촉하는 부위의 표면의 10점 평균 거칠기에 대하여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재료 도포 방법.
  9. 현상제 유지체 표면의 이동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접촉하고, 상기 현상제 유지체 표면의 현상제를 제거하는 현상제 제거 부재와,
    제거된 현상제를 수용하는 현상제 수용부를 갖는 하우징에 대하여 장착되며, 상기 현상제 제거 부재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에 대하여,
    액상으로 도포된 후 고화하는 액상 재료를 노즐로부터 토출시키면서 노즐을 상기 현상제 제거 부재 및 상기 지지 부재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액상 재료를 도포하는 액상 재료 도포 방법으로서,
    상기 현상제 제거 부재가 상기 하우징에 부착되었을 때에, 상기 현상제 수용부의 지지 부재가 배치된 측에 위치하는 제 3 가장자리보다도 외측이고, 또한 상기 지지 부재와 상기 하우징이 대향하는 제 3 영역에 대하여, 상기 노즐을 상대적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액상 재료를 도포하는 제 3 도포 과정과,
    상기 제 3 도포 과정과 연속하여 상기 현상제 제거 부재가 상기 하우징에 부착되었을 때에, 상기 현상제 수용부의 상기 현상제 제거 부재의 길이 방향에서의 제 1 단부 측에 위치하는 제 1 가장자리보다도 외측에 위치하는 제 1 영역에 대하여, 상기 현상제 제거 부재와 상기 현상제 유지체가 접하는 부위로부터 상기 지지 부재에 대응하는 부위를 향해서 상기 노즐을 상대적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액상 재료를 도포하는 제 1 도포 과정과,
    상기 현상제 제거 부재가 상기 하우징에 부착되었을 때에, 상기 현상제 수용부의 상기 현상제 제거 부재의 제 1 단부와 길이 방향에서의 반대측의 제 2 단부 측에 위치하는 제 2 가장자리보다도 외측에 위치하는 제 2 영역에 대하여, 상기 현상제 제거 부재와 상기 현상제 유지체가 접하는 부위로부터 상기 지지 부재에 대응하는 부위를 향해서 상기 노즐을 상대적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액상 재료를 도포하는 제 2 도포 과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재료 도포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액상 재료가 도포되는 개소에 홈이 마련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재료 도포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액상 재료가 도포되는 적어도 그 개소에 대해서는 상기 지지 부재와 상기 현상제 제거 부재 사이의 단차가 모따기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재료 도포 방법.
  12. 제 9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적어도 상기 액상 재료가 도포되는 개소의 표면의 10점 평균 거칠기가, 상기 하우징의 상기 액상 재료가 접촉하는 부위의 표면의 10점 평균 거칠기에 대하여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재료 도포 방법.
  13. 현상제 유지체 표면의 이동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접촉하고, 상기 현상제 유지체 표면의 현상제를 제거하는 현상제 제거 부재와,
    제거된 현상제를 수용하는 현상제 수용부를 갖는 하우징에 대하여 장착되며, 상기 현상제 제거 부재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에 대하여,
    액상으로 도포된 후 고화하는 액상 재료를 노즐로부터 토출시키면서 노즐을 상기 현상제 제거 부재 및 상기 지지 부재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액상 재료를 도포하는 액상 재료 도포 방법으로서,
    상기 현상제 제거 부재가 상기 하우징에 부착되었을 때에, 상기 현상제 수용부의 상기 현상제 제거 부재의 길이 방향에서의 제 1 단부 측에 위치하는 제 1 가장자리보다도 외측에 위치하는 제 1 영역에 대하여, 상기 현상제 제거 부재와 상기 현상제 유지체가 접하는 부위로부터 상기 지지 부재에 대응하는 부위를 향해서 상기 노즐을 상대적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액상 재료를 도포하는 제 1 도포 과정과,
    상기 현상제 제거 부재가 상기 하우징에 부착되었을 때에, 상기 현상제 수용부의 지지 부재가 배치된 측에 위치하는 제 3 가장자리보다도 외측이고, 또한 상기 지지 부재와 상기 하우징이 대향하는 제 3 영역에 대하여, 상기 노즐을 상대적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액상 재료를 도포하는 제 3 도포 과정과,
    상기 제 3 도포 과정과 연속하여 상기 현상제 제거 부재가 상기 하우징에 부착되었을 때에, 상기 현상제 수용부의 상기 현상제 제거 부재의 제 1 단부와 길이 방향에서의 반대측의 제 2 단부 측에 위치하는 제 2 가장자리보다도 외측에 위치하는 제 2 영역에 대하여, 상기 현상제 제거 부재와 상기 현상제 유지체가 접하는 부위로부터 상기 지지 부재에 대응하는 부위를 향해서 상기 노즐을 상대적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액상 재료를 도포하는 제 2 도포 과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재료 도포 방법.
  14. 현상제 유지체 표면의 이동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접촉하고, 상기 현상제 유지체 표면의 현상제를 제거하는 현상제 제거 부재와,
    제거된 현상제를 수용하는 현상제 수용부를 갖는 하우징에 대하여 장착되며, 상기 현상제 제거 부재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에 대하여,
    액상으로 도포된 후 고화하는 액상 재료를 노즐로부터 토출시키면서 노즐을 상기 현상제 제거 부재 및 상기 지지 부재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액상 재료를 도포하는 액상 재료 도포 방법으로서,
    상기 현상제 제거 부재가 상기 하우징에 부착되었을 때에, 상기 현상제 수용부의 상기 현상제 제거 부재의 길이 방향에서의 제 1 단부 측에 위치하는 제 1 가장자리보다도 외측에 위치하는 제 1 영역에 대하여, 상기 현상제 제거 부재와 상기 지지 부재에 걸쳐서 상기 노즐을 상대적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액상 재료를 도포하는 제 1 도포 과정과,
    상기 현상제 제거 부재가 상기 하우징에 부착되었을 때에, 상기 현상제 수용부의 상기 현상제 제거 부재의 제 1 단부와 길이 방향에서의 반대측의 제 2 단부 측에 위치하는 제 2 가장자리보다도 외측에 위치하는 제 2 영역에 대하여, 상기 현상제 제거 부재와 상기 지지 부재에 걸쳐서 상기 노즐을 상대적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액상 재료를 도포하는 제 2 도포 과정과,
    상기 제 1 도포 과정 및 상기 제 2 도포 과정에서 도포된 액상 재료가 고화된 뒤에, 상기 현상제 제거 부재를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장착하는 현상제 제거 부재 장착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재료 도포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액상 재료가 도포되는 개소에 홈이 마련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재료 도포 방법.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액상 재료가 도포되는 적어도 그 개소에 대해서는 상기 지지 부재와 상기 현상제 제거 부재 사이의 단차가 모따기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재료 도포 방법.
  17. 제 14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적어도 상기 액상 재료가 도포되는 개소의 표면의 10점 평균 거칠기가, 상기 하우징의 상기 액상 재료가 접촉하는 부위의 표면의 10점 평균 거칠기에 대하여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재료 도포 방법.
KR1020080110312A 2008-03-28 2008-11-07 액상 재료 도포 방법 KR1012039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0312A KR101203958B1 (ko) 2008-03-28 2008-11-07 액상 재료 도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087732 2008-03-28
KR1020080110312A KR101203958B1 (ko) 2008-03-28 2008-11-07 액상 재료 도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3682A KR20090103682A (ko) 2009-10-01
KR101203958B1 true KR101203958B1 (ko) 2012-11-23

Family

ID=415331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0312A KR101203958B1 (ko) 2008-03-28 2008-11-07 액상 재료 도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395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07405A (ja) 2001-01-11 2002-07-26 Canon Inc トナーカートリッ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07405A (ja) 2001-01-11 2002-07-26 Canon Inc トナーカートリッ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3682A (ko) 2009-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7748B1 (ko) 클리닝 장치의 제조 방법 및 클리닝 장치
EP1430365B1 (en) Dynamic end-seal for toner development unit
US9280135B2 (en)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H1152721A (ja) 現像装置
CN104246624A (zh) 清洁设备、处理盒和电子照相成像装置
JP2000131926A (ja) 現像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CN100395670C (zh) 显影单元的显影剂层厚度调节装置
JP4591538B2 (ja) クリーニング装置、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5104585B2 (ja) クリーニング装置
KR101203958B1 (ko) 액상 재료 도포 방법
JP4623117B2 (ja) 液状材料塗布方法
KR101212084B1 (ko) 액상 재료 도포 방법 및 현상제 유지체 유닛 조립 방법
JP4623115B2 (ja) 液状材料塗布方法
JP2002049275A (ja) 画像形成装置
KR101031003B1 (ko) 클리닝 장치, 카트리지, 및 화상 형성 장치
JP5326726B2 (ja) 封鎖構造、現像装置、清掃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4752937B2 (ja) 封鎖方法
JP2021107867A (ja) 現像装置
JP5487670B2 (ja) 液状材料塗布方法、封鎖構造、および清掃装置
JP2003076235A (ja) 画像形成装置
JP2001042723A (ja) 画像形成装置用クリーニング装置
JPH063936A (ja) 現像装置
JP2003057941A (ja) 塗布方法
JP2001281990A (ja) 現像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H08254898A (ja) 電子写真装置の現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