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73477A - 화상형성기기 및 그 현상장치 - Google Patents

화상형성기기 및 그 현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73477A
KR20080073477A KR1020070012150A KR20070012150A KR20080073477A KR 20080073477 A KR20080073477 A KR 20080073477A KR 1020070012150 A KR1020070012150 A KR 1020070012150A KR 20070012150 A KR20070012150 A KR 20070012150A KR 20080073477 A KR20080073477 A KR 200800734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veloper
contact
sealing
developing
image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21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지원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121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73477A/ko
Priority to US11/944,492 priority patent/US7962060B2/en
Priority to CNA2007103035549A priority patent/CN101241331A/zh
Publication of KR200800734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34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 G03G15/081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characterised by means in the developing zone having an interaction with the image carrying member, e.g. distance hold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 G03G15/0817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characterised by the lateral sealing at both sides of the donor member with respect to the developer carrying direc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96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developer unit or parts thereof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5/08 - G03G15/0894
    • G03G15/0898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developer unit or parts thereof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5/08 - G03G15/0894 for preventing toner scattering during operation, e.g. seal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0005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for removing solid developer or debris from the electrographic recording medium
    • G03G21/0064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for removing solid developer or debris from the electrographic recording medium using the developing unit, e.g. cleanerless or multi-cycle apparatu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6Developing structures, details
    • G03G2215/0634Developing device
    • G03G2215/0636Specific type of dry developer devi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 Cleaning In Electrography (AREA)

Abstract

접촉부재의 클리닝을 위한 별도의 수단 없이도 현상제의 누출 방지를 위해 마련되는 부품을 이용하여 접촉부재를 클리닝할 수 있는 화상형성기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화상형성기기는 화상 정보에 따라 정전잠상이 표면에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체와, 현상제를 이송하여 감광체로 공급하는 현상제 이송체와, 감광체와 현상제 이송체 간에 일정한 현상갭 또는 현상닙을 유지시키기 위한 접촉부재와, 현상제 이송체와 접촉하여 현상제의 누출을 방지하는 실링부재를 가지는데, 실링부재는 접촉부재와 접촉하여 접촉부재의 표면을 클리닝하는 클리닝부를 구비한다. 실링부재의 클리닝부와 실링부는 절단부를 통해 구분되고, 클리닝부는 실링부와는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어 접촉부재와 접촉한다.

Description

화상형성기기 및 그 현상장치{IMAGE FORMING APPARATUS AND DEVELOPING APPARATUS THEREFOR}
도 1은 종래의 현상장치에서 일부 구성요소를 발췌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도 1의 구성 중 일부를 F방향으로 바라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기기의 구성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4는 도 3에서 A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4에서 현상제 이송체, 접촉부재 및 실링부재를 B방향으로 바라본 도면.
도 6은 도 5의 구성을 현상제 이송체의 한 쪽 부분에 대해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서 제2실링부재의 변형례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0 : 현상장치 101 : 하우징
113 : 감광체 120 : 현상제 이송체
130 : 접촉부재 141 : 제1실링부재
142, 142a : 제2실링부재 143 : 고정부
144, 144a : 실링부 145, 145a : 클리닝부
150 : 접착부재 160 : 클립
본 발명은 화상형성기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현상제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실링부재를 가지는 화상형성기기 및 그 현상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상형성기기는 입력된 화상 신호에 따라 인쇄매체인 용지에 화상을 인쇄하는 장치를 말한다. 화상형성기기의 일 종류인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기기는 소정 전위로 대전된 감광체에 광을 주사하여 그 외주면에 정전잠상을 형성하고, 상기 정전잠상에 현상제를 투입하여 가시화상으로 현상한 후, 이를 용지에 전사 및 정착시켜 화상을 인쇄한다.
화상형성기기의 현상장치는 그 내부에 저장된 현상제를 감광체로 공급하여 감광체의 정전잠상을 현상하는 장치이다. 도 1은 종래의 현상장치에서 일부 구성요소를 발췌하여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구성 중 일부를 F방향으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현상장치는 감광체(1)에 현상제를 공급하는 현상제 이송체(2)와, 현상제 이송체(2)의 회전축(2a) 양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감광체(1)의 외주면에 접촉한 상태로 회전하는 접촉부재(3)와, 현상장치 내부의 현상제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막는 실링장치(4)를 구비한다.
접촉부재(3)는 현상제 이송체(2)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가지며, 이에 따라 현상제 이송체(2)와 감광체(1) 사이에는 현상갭(G)이 정의된다. 현상제를 감광 체(1)의 정전잠상에 부착하여 가시화상으로 현상하는 과정에서 화상 품질을 균일하고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현상갭(G)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한편 실링장치(4)는 현상제 이송체(2)의 양단부에 위치되어 현상제 이송체(2)의 측부를 통해 현상제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실링부재(5)와, 현상제 이송체(2)의 하부에서 현상제 이송체(2)에 접촉하도록 설치되어 현상제 이송체(2)의 하부로 현상제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실링부재(6)를 가진다. 여기서 제2실링부재(6)는 보통 필름형태로 이루어져서 그 일측은 현상장치 하우징(7)에 접착되고, 타측은 자체 탄성력에 의해 현상제 이송체(2)의 외주면과 접한다.
그런데 위와 같은 종래의 현상장치에서는 축방향으로 제2실링부재(6)의 길이와 현상제 이송체(2)의 길이가 비슷해서 제2실링부재(6)의 양단이 현상제 이송체(2)의 측부를 실링하는 제1실링부재(5)와 간섭하게 된다. 제2실링부재(6)가 하우징(7)에 접착될 때 제2실링부재(6)의 양단은 접착력이 가장 취약한 부분으로서, 이러한 부분과 제1실링부재(5)가 간섭하면 현상제 이송체(2)의 회전 시에 제2실링부재(6)가 하우징(7)에서 쉽게 이탈된다.
또한 종래의 현상장치에서는 실링장치(4)를 통해 현상제의 누출을 어느 정도 방지하더라도 완벽하게 막을 수는 없는데, 어떤 이유에 의해서 현상제가 누출되면 비산하는 현상제에 의해 접촉부재(3)가 오염되어 접촉부재(3)와 감광체(1) 사이에 이물질층을 형성하게 된다. 이렇게 접촉부재(3)가 오염되면 현상제 이송체(2)와 감광체(1) 사이의 현상갭(G)이 일정하게 유지되지 않아 결국에는 화상 불량을 야기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한 것으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460995호에는 현상갭 유지부재에 붙은 이물질층을 제거하는 화상형성기기의 이물질 제거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개시된 이물질 제거장치를 적용하기 위해서는 현상장치의 내부에 이물질 제거를 위한 블레이드, 이 블레이드를 탄성 가압하는 탄성지지부재 및 블레이드와 탄성지지부재를 지지하기 위한 고정 프레임과 같은 부품을 설치하여야 하므로 부품 비용이 증가하고, 현상장치 내부 구조가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현상장치에 저장된 토너가 누출되는 것을 막는 실링부재가 견고히 지지되도록 개선된 화상형성기기 및 그 현상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간단한 구성으로 접촉부재의 표면을 클리닝할 수 있는 화상형성기기 및 그 현상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기기는 감광체;와 현상제를 이송하여 상기 감광체로 공급하는 현상제 이송체;와 상기 감광체와 현상제 이송체 간에 일정한 현상갭 또는 현상닙을 유지시키기 위한 접촉부재;와 상기 현상제 이송체와 접촉하여 현상제의 누출을 방지하는 실링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접촉부재와 접촉하여 상기 접촉부재의 표면을 클리닝하는 클리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실링부재는 현상제의 누출 방지를 위한 실링부와 상기 클리닝부를 구분 짓는 절단부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접촉부재는 상기 현상제 이송체의 가로 방향 양측 가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실링부재의 가로 방향 길이는 상기 현상제 이송체와 접촉부재의 길이를 합한 것보다 크도록 마련된다.
상기 실링부재에서 상기 현상제 이송체와 접촉하는 실링부와 상기 접촉부재와 접촉하는 클리닝부의 세로 방향 길이는 서로 다를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화상형성기기는 상기 현상제 이송체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현상제 이송체의 하부에서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는 고정부를 가질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화상형성기기는 상기 고정부를 상기 하우징 쪽으로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클립을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실링부재는 탄성력이 있는 필름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기기의 현상장치는 현상실을 가지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고 화상형성기기의 감광체로 현상제를 공급하여 화상을 현상하는 현상제 이송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기기의 현상장치에 있어서, 상기 감광체 또는 현상체 이송체와 접촉하여 상기 감광체와 현상제 이송체 간에 일정한 현상갭 또는 현상닙을 유지시키는 접촉부재;와 상기 현상제 이송체와 접촉하여 상기 현상실의 외부로 현상제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실링부와, 상기 접촉부재와 접촉하여 상기 접촉부재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클리닝부를 구비하는 필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실링부와 클리닝부는 상기 필름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나란히 위치되고, 상기 실링부와 클리닝부 사이에는 이들을 구분짓는 절단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필름부재는 상기 현상제 이송체의 하부에서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실링부는 상기 고정부에서 상기 현상제 이송체를 향해 제1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클리닝부는 상기 고정부에서 상기 접촉부재를 향해 상기 제1방향과 일정한 각도를 이루는 제2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기기의 구성을 나타낸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서 A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기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한편 내부에 설치되는 각종 부품들을 지지하는 본체(10)와, 인쇄매체인 용지(S)를 공급하기 위한 급지장치(20)와, 용지에 화상을 현상하기 위한 현상장치(100)와, 용지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현상된 화상을 용지에 고착시키기 위한 정착장치(30) 및 인쇄 과정을 마친 용지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지장치(40)를 가진다.
급지장치(20)는 용지(S)가 적재되는 급지트레이(21)와, 급지트레이(21)에 적재된 용지(S)를 한 장씩 픽업하는 픽업롤러(22)와, 픽업된 용지를 현상장치(100) 쪽으로 이동시키는 이송롤러(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장치(100)는 그 외관을 형성하는 한편, 현상장치(100) 내부에 설치되는 각종 부품들을 지지하는 하우징(101)를 가진다. 하우징(101)의 내부에는 현상제가 저장되는 현상제 저장실(102)과, 현상제 저 장실(102)에서 공급되는 현상제를 통해 현상 동작이 이루어지는 현상실(103)이 마련된다.
현상제 저장실(102)에는 내부에 저장된 현상제가 굳지 않도록 교반하는 교반날개(111)와, 현상제 저장실(102)의 현상제를 현상실(103)로 공급하기 위한 공급롤러(112)가 설치된다. 공급롤러(112)는 후술할 현상제 이송체(120)에 접촉한 상태로 회전하면서 현상제를 현상제 이송체(120)에 공급한다.
현상실(103)에는 화상 정보에 따라 노광장치(50)에 의해 표면에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체(113)와, 감광체(113)의 표면을 소정전위로 대전시키기 위한 대전롤러(114)와, 공급롤러(112)에 의해 공급된 현상제를 감광체(113)로 이송하여 감광체(113)에 형성되어 있는 정전잠상을 가시화상으로 현상하는 현상제 이송체(120)가 설치된다. 여기서 현상제 이송체(120)는 회전축(120a, 도 5 참조)을 통해 하우징(101)의 양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또 하우징(101)의 내부에는 규제 블레이드(115)와 클리닝 블레이드(116)가 설치된다. 규제 블레이드(115)는 공급롤러(112)에 의해 현상제 이송체(120)의 표면에 부착되는 현상제의 두께를 규제하고, 클리닝 블레이드(116)는 감광체(113)로부터 용지로 전사되지 않고 감광체(113)의 표면에 잔류하는 현상제를 제거한다. 클리닝 블레이드(116)에 의해 제거된 폐현상제는 하우징(101) 내부의 폐현상제 저장실(104)에 수집된다.
도 5는 도 4에서 현상제 이송체, 접촉부재 및 실링부재를 B방향으로 바라본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구성을 현상제 이송체의 한 쪽 부분에 대해 도시한 사시 도이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제 이송체(120)의 회전축(120a)에는 외주면이 감광체(113)와 접촉하는 접촉부재(13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접촉부재(130)는 감광체(113)의 회전 시에 감광체(113)에 맞물려 회전한다. 접촉부재(130)는 현상제 이송체(120)를 사이에 두고 회전축(120a)의 양측에 각각 하나씩 배치된다.
접촉부재(130)의 외경은 현상제 이송체(120)의 외경보다 크도록 마련되어 접촉부재(130)는 현상제 이송체(120)와 감광체(113) 사이에서 현상갭(G)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와는 달리 현상제 이송체가 감광체에 직접 접촉한 상태에서 감광체로 현상제가 공급되는 방식에서는 접촉부재는 현상제 이송체와 감광체 사이에서 현상닙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현상장치(100)는 현상실(103)에 있는 현상제가 하우징(101)의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실링장치(140)를 가진다. 실링장치(140)는 현상제 이송체(120)의 양측부로 현상제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실링부재(141)와, 현상제 이송체(120)의 하부로 현상제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실링부재(14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실링부재(141)는 현상제 이송체(120)의 축방향 단부에서 현상제 이송체(120)의 외주면에 접촉되도록 배치된다.
제1실링부재(141)는 자체 탄성에 의해 현상제 이송체(120)에 밀착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된다. 예를 들면, 테프론이 첨가된 압축 펠트(felt)나 스펀지가 사용될 수 있다. 또 제2실링부재(142)로는 일정한 탄력을 가지는 필름부재가 사용될 수 있 다.
제2실링부재(142)는 하우징(101)에 고정되는 고정부(143)를 가진다. 고정부(143)는 양면 테이프와 같은 접착부재(150)를 통해 하우징(101)에 고정될 수 있다. 이 때 제2실링부재(142)를 하우징(101)에 보다 견고히 고정할 수 있도록 도 4와 같이 별도의 클립(160)을 사용할 수 있다. 클립(160)의 일측면은 하우징(101)에 지지되고, 타측면은 제2실링부재(142)의 고정부(143)를 하우징(101) 쪽으로 탄성 가압하여 접착부재(150)의 접착력이 약해지더라도 제2실링부재(142)가 하우징(101)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제2실링부재(142)는 현상제 이송체(120)의 하부에 위치되고, 현상제 이송체(120)의 축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이 때 제2실링부재(142)는 접촉부재(130)가 설치되어 있는 지점까지 연장된다. 즉 제2실링부재(142)의 가로 방향 길이는 현상제 이송체(120)와 접촉부재(130)의 가로 방향 길이를 합한 것보다 크도록 마련된다. 이와 같이 제2실링부재(142)가 접촉부재(130)까지 연장되도록 하면 현상제 이송체(120)의 회전 시에 제1실링부재(141)가 제2실링부재(142)와 간섭되더라도 접착력이 가장 취약한 제2접착부재(150)의 양단부에서 간섭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또한 제2실링부재(142)는 고정부(143)에서 현상제 이송체(120)를 향해 연장되어 일단부가 현상제 이송체(120)의 외주면과 접촉하는 실링부(144)와, 고정부(143)에서 접촉부재(130)를 향해 연장되어 일단부가 접촉부재(130)의 외주면과 접촉하는 클리닝부(14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실링부(144)는 현상제 이송체(120)의 하부와 하우징(101) 사이의 공간을 차폐하여 현상실(103)의 현상제가 하우 징(101)의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하고, 클리닝부(145)는 접촉부재(130)가 회전할 때 접촉부재(130)의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이물질을 긁어서 제거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현상제의 누출을 방지하는 실링부재를 활용하여 접촉부재(130)를 클리닝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접촉부재(130)를 클리닝하기 위한 별도의 장치가 필요없게 되어 현상장치 내부의 구성이 간소해진다.
제2실링부재(142)의 실링부(144)와 클리닝부(145)는 제2실링부재(142)의 일부분이 세로 방향으로 절단된 절단부(146)를 통해 좌우로 구분된다. 이와 같이 제2실링부재(142)가 구분되면 절단부(146)의 외측에 있는 클리닝부(145)를 적절한 각도로 접어서 접촉부재(130)의 표면을 효과적으로 클리닝할 수 있는 위치로 연장시킬 수 있다. 도 4 및 도 6에서는 실링부(144)가 현상제 이송체(120)의 하측면을 향해 후방으로 연장되고, 클리닝부(145)가 실링부(144)의 연장 방향과 일정한 각도(θ)을 이루면서 접촉부재(130)의 표면을 향해 전방으로 연장되는 예를 도시하였다.
또 도 4에서는 실링부(144)와 클리닝부(145)의 세로 방향(다시 말해 실링부(144)와 클리닝부(145)가 현상제 이송체(120)나 접촉부재(130)를 향해 연장되는 방향)길이(D)가 서로 같은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설계상의 필요에 따라 두 길이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이러한 예는 도 7과 관련하여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에서 제2실링부재의 변형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는 도 4와 비교할 때 제2실링부재의 클리닝부가 접촉부재에 접촉하는 위치에 있어 차이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특징적인 사항만을 설명하며, 도 4와 동일한 구성은 같은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표시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실링부재(142a)의 클리닝부(145a)는 접촉부재(130)를 향해 후방으로 연장된다. 도 4의 실시예에서는 클리닝부(145a)가 전방으로 연장되어 접촉부재(130)의 전면부에서 접촉부재(130)와 접촉하였는데, 본 실시예에서 클리닝부(145a)는 후방으로 연장되어 접촉부재(130)의 하면측에서 접촉부재(130)와 접촉한다. 이와 같이 두 실시예에서 클리닝부(145a)의 연장 방향이 다른 것은 클리닝 성능을 효과적으로 발휘하는 클리닝부(145a)의 접촉 위치가 접촉부재(130)의 회전 방향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이다.
즉 접촉부재(130)의 회전 방향은 설계상의 이유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데, 접촉부재(13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때에는 도 4와 같이 클리닝부(145a)가 전방으로 연장되면서 접촉부재(130)와 접촉해야 접촉부재(130)에 붙어 있는 이물질을 보다 효과적으로 긁어낼 수 있다. 반면에 접촉부재(13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때에는 도 7과 같이 클리닝부(145a)가 후방으로 연장되면서 접촉부재(130)와 접촉해야 접촉부재(130)에 붙어 있는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클리닝부(145a)의 세로 방향 길이(d1)는 실링부(144a)의 세로 방향 길이(d2)보다 짧게 마련된다. 이는 클리닝부(145a)가 후방으로 연장되어 접촉부재(130)의 하면에 접하는 구조적인 특징에 기인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기기의 동작을 설명한다. 인쇄 명령이 발생하면, 급지트레이(21)에 적재되어 있는 용지(S)가 픽업롤러(22)에 의해 픽업된 후 정해진 경로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대전롤러(114)를 통해 대전된 감광체(113)의 표면에는 노광장치(50)에 의해 정전잠상이 형성된다. 현상제 저장실(102)에 저장된 현상제는 공급롤러(112)에 의해 현상제 이송체(120)로 공급되고, 현상제 이송체(120)는 현상제를 감광체(113)와 현상제 이송체(120) 사이에 형성된 현상갭(G)으로 이송한다. 현상갭(G)으로 이송된 현상제는 감광체(113)의 정전잠상과 현상제 이송체(120) 표면 사이의 전위차에 의해 감광체(113)로 이동하여 감광체(113)의 정전잠상을 가시화상으로 현상한다.
이 때 접촉부재(130)는 감광체(113)와 접촉한 상태로 회전하면서 현상갭(G)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한다. 현상제 이송체(120) 주위에 현상제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실링부재들(141, 142)이 설치되지만, 외부 충격에 의해 현상제가 누출되거나 현상 과정 중에 현상제가 비산하는 것을 완벽하게 막을 수는 없으므로 현상제로 인해 접촉부재(130)의 표면이 오염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접촉부재(130)가 회전할 때 접촉부재(130)의 접촉하고 있는 제2실링부재(142)의 클리닝부(145)가 이물질을 접촉부재(130)에서 긁어 내므로 별도의 클리닝수단 없이도 접촉부재(130)의 표면을 깨끗하게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본체(10)에는 감광체(113)에 대면하도록 전사롤러(11)가 설치되는데, 용지가 감광체(113)와 전사롤러(11) 사이를 통과하면 감광체(113)의 가시화상이 용지에 전사된다. 이와 같이 용지에 전사된 가시화상은 정착장치(30)를 통과하면서 용지에 고착되고, 정착장치(30)를 통과한 용지는 배지롤러들(41)에 의해 본체(10)의 외부로 배출된다.
위에서는 접촉부재가 현상제 이송체의 회전축에 설치되는 예에 대해 설명하 였으나, 본 발명의 제2실링부재는 접촉부재가 감광체 쪽에 설치되는 경우에도 적용 가능하다. 접촉부재가 감광체 쪽에 설치되면 접촉부재는 현상제 이송체와 접촉하여 현상갭이나 현상닙을 유지하게 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접촉부재의 클리닝을 위한 별도의 수단 없이도 현상제의 누출 방지를 위해 마련되는 부품을 이용하여 접촉부재를 클리닝할 수 있다. 따라서 현상장치의 내부 구성이 간소해지고, 또 부품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제1실링부재와 제2실링부재가 간섭되더라도 제2실링부재에서 접착력이 취약한 부분을 피해 간섭되므로 제2실링부재가 현상장치 하우징에서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11)

  1. 감광체;와
    현상제를 이송하여 상기 감광체로 공급하는 현상제 이송체;와
    상기 감광체와 현상제 이송체 간에 일정한 현상갭 또는 현상닙을 유지시키기 위한 접촉부재;와
    상기 현상제 이송체와 접촉하여 현상제의 누출을 방지하는 실링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접촉부재와 접촉하여 상기 접촉부재의 표면을 클리닝하는 클리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는 현상제의 누출 방지를 위한 실링부와 상기 클리닝부를 구분짓는 절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재는 상기 현상제 이송체의 가로 방향 양측 가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실링부재의 가로 방향 길이는 상기 현상제 이송체와 접촉부재의 길이를 합한 것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기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에서 상기 현상제 이송체와 접촉하는 실링부와 상기 접촉부재와 접촉하는 클리닝부의 세로 방향 길이는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기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이송체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현상제 이송체의 하부에서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기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를 상기 하우징 쪽으로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클립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기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는 탄성력이 있는 필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기기.
  8. 현상실을 가지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고 화상형성기기의 감광체로 현상제를 공급하여 화상을 현상하는 현상제 이송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 기기의 현상장치에 있어서,
    상기 감광체 또는 현상체 이송체와 접촉하여 상기 감광체와 현상제 이송체 간에 일정한 현상갭 또는 현상닙을 유지시키는 접촉부재;와
    상기 현상제 이송체와 접촉하여 상기 현상실의 외부로 현상제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실링부와, 상기 접촉부재와 접촉하여 상기 접촉부재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클리닝부를 구비하는 필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기기의 현상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와 클리닝부는 상기 필름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나란히 위치되고, 상기 실링부와 클리닝부 사이에는 이들을 구분짓는 절단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기기의 현상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부재는 상기 현상제 이송체의 하부에서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실링부는 상기 고정부에서 상기 현상제 이송체를 향해 제1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클리닝부는 상기 고정부에서 상기 접촉부재를 향해 상기 제1방향과 일정한 각도를 이루는 제2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기기의 현상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와 클리닝부의 세로 방향 길이는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기기의 현상장치.
KR1020070012150A 2007-02-06 2007-02-06 화상형성기기 및 그 현상장치 KR20080073477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2150A KR20080073477A (ko) 2007-02-06 2007-02-06 화상형성기기 및 그 현상장치
US11/944,492 US7962060B2 (en) 2007-02-06 2007-11-23 Cleaning and sealing apparatus of a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developing unit thereof
CNA2007103035549A CN101241331A (zh) 2007-02-06 2007-11-30 成像装置及其显影单元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2150A KR20080073477A (ko) 2007-02-06 2007-02-06 화상형성기기 및 그 현상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3477A true KR20080073477A (ko) 2008-08-11

Family

ID=39676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2150A KR20080073477A (ko) 2007-02-06 2007-02-06 화상형성기기 및 그 현상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962060B2 (ko)
KR (1) KR20080073477A (ko)
CN (1) CN10124133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469344B1 (en) * 2010-12-27 2018-04-11 S-Printing Solution Co., Ltd. Developing device of image forming apparatus
US20130084098A1 (en) * 2011-10-03 2013-04-04 Canon Kabushiki Kaisha Developing device and cleaning device
JP5750423B2 (ja) * 2012-11-30 2015-07-22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クリーニング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ベルト搬送装置並びに画像形成装置
JP6308836B2 (ja) * 2013-04-23 2018-04-11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6287400B2 (ja) * 2014-03-18 2018-03-0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現像装置
JP6519774B2 (ja) * 2015-02-16 2019-05-29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6184046A (ja) * 2015-03-25 2016-10-20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像保持体ユニット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6598605B2 (ja) * 2015-09-09 2019-10-30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US9891578B2 (en) * 2015-12-29 2018-02-13 Lexmark International, Inc. Cleaner blade sealing in a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75764A (ja) * 1998-08-26 2000-03-14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4144803A (ja) * 2002-10-22 2004-05-20 Canon Inc 現像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KR100460995B1 (ko) 2003-01-30 2004-12-0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이물질 제거장치
JP2007298586A (ja) * 2006-04-28 2007-11-15 Kyocera Mita Corp 現像装置及びこれを搭載した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187353A1 (en) 2008-08-07
CN101241331A (zh) 2008-08-13
US7962060B2 (en) 2011-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37986B2 (en) Developing device of image forming apparatus
KR20080073477A (ko) 화상형성기기 및 그 현상장치
JP2005148445A (ja)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端部規制部材
KR100846789B1 (ko) 대전롤러 클리닝 장치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화상형성장치
JP2006201591A (ja) プロセスユニ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JP4674493B2 (ja) 画像形成装置
JP4708853B2 (ja) 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297101B2 (ja) 現像器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CN104516241B (zh) 显影装置
JP2006293316A (ja) 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7304303A (ja) 画像形成装置
JP2007147879A (ja) 液体現像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湿式画像形成装置
JP2002062738A (ja) 液体現像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US20170176926A1 (en) Cleaner assembly for removing waste toner in a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device
JP7367318B2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ドラムカートリッジ
JP2010256829A (ja) ドラムユニット及びこれを搭載した画像形成装置
JP2000112312A (ja) 画像形成装置
JP6127632B2 (ja) 回転装置、案内装置、画像形成装置
JP2001051568A (ja) 画像形成装置
JPH04122972A (ja) 画像形成装置のクリーニング装置
KR101070619B1 (ko) 현상카트리지
KR100667786B1 (ko)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장치
JP2003167488A (ja) クリーニング装置
JP2021043326A (ja) 清掃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3042623B2 (ja) 電子写真式記録装置の現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