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00299A - 응답성이 우수하고 출력 전압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전원 장치 - Google Patents

응답성이 우수하고 출력 전압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전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00299A
KR20090100299A KR1020090023065A KR20090023065A KR20090100299A KR 20090100299 A KR20090100299 A KR 20090100299A KR 1020090023065 A KR1020090023065 A KR 1020090023065A KR 20090023065 A KR20090023065 A KR 20090023065A KR 20090100299 A KR20090100299 A KR 200901002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output
synchronous rectification
circuit
switch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30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12443B1 (ko
Inventor
요이치 사카이
신이치 고지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Publication of KR200901002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02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24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24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1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3/14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15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15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 H02M3/15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including plural semiconductor devices as final control devices for a single load
    • H02M3/158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including plural semiconductor devices as final control devices for a single load comprising at least one synchronous rectifier elem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1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3/14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15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32Means for protecting converters other than automatic disconn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10Technologies improving the efficiency by using switched-mode power supplies [SMPS], i.e. efficient power electronics conversion e.g. power factor correction or reduction of losses in power supplies or efficient standby m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응답성이 우수하고 출력 전압의 안정성을 향상시킨 전원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전원 장치(1)는 메인 스위치 소자(M1)와, 상기 메인 스위치 소자(M1)와 교대로 온 오프 하는 동기 정류용 스위치 소자(M2)와, 스위칭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메인 스위치 소자(M1)와 상기 동기 정류용 스위치 소자(M2)를 온 오프 제어하는 스위칭 구동 회로(6)와, 상기 메인 스위치 소자(M1)와 상기 동기 정류용 스위치 소자(M2)의 접속부와 직렬로 연결된 인덕터(L1)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동기 정류 방식의 강압형 컨버터(10); 상기 강압형 컨버터(10)의 출력 전압이 미리 정해진 기준 전압에 가까워지도록 오차 전압을 출력하는 오차 증폭기(3); 상기 오차 전압에 따라 상기 메인 스위치 소자와 상기 동기 정류용 스위치 소자를 온 오프 하는 타이밍을 제어하는 상기 스위칭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스위칭 구동 회로에 제공하는 PWM 신호 발생 회로(5); 상기 강압형 컨버터(10)의 출력 단자를 입력 단자에 단락시키는 바이패스 스위치(M3); 상기 바이패스 스위치(M3)를 제어하는 모드 제어 회로(7)를 구비하고, 상기 바이패스 스위치(M3)가 선택된 기간에는, 상기 오차 증폭기(3)의 기준 전압측 입력단의 전압값을 출력 전압의 미리 정해진 분압비로 설정하여 상기 오차 증폭기(3)의 출력을 반전 고정시킨다.
Figure P1020090023065
바이패스 스위치, 모드 제어 회로, 스위칭 구동 회로, 전류 제한 회로, 강압형 DC-DC 컨버터

Description

응답성이 우수하고 출력 전압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원 장치{POWER SUPPLY DEVICE CAPABLE OF STABLY SUPPLYING OUTPUT VOLTAGE WITH INCREASED RESPONSIVENESS}
본 발명은 동기 정류 방식의 강압형 컨버터를 이용한 전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휴대전화 장치에 이용되는 파워업에 필요한 전원 전압은 그 출력 전력에 따라 0.6 V 내지 3.5 V 정도이다. 여기서, 파워업에 필요한 전원 전압이 1 V로 충분한 경우에, 3.5 V 정도의 전지 전압을 그대로 사용하게 되면, 필요 이상으로 많은 전력을 소비하게 된다. 이에, 전지 전압보다 낮은 전압으로 구동하는 회로에 전지 전압보다 낮은 전원 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장치로서 스위칭 레귤레이터 등 강압형 DC-DC 컨버터가 사용된다.
이와 같은 DC-DC 컨버터에도 인덕터나 스위칭 소자로 인한 전력 소비가 존재한다. 이에, 입력 전압인 전지 전압을 강압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스위칭 레귤레이터의 스위칭 동작을 정지시키고, 바이패스 회로에 의하여 강압형 DC-DC 컨버터를 바이패스시킴으로써, 입력 전압을 그대로 출력하는 전원 장치가 있다.
바이패스 회로에 의하여 강압형 DC-DC 컨버터를 바이패스시킴으로써 입력 전압을 그대로 출력한 상태에서 강압형 DC-DC 컨버터의 강압 동작을 재개하게 되면, 강압 DC-DC 컨버터의 출력 단자가 높은 전압에 고정된 상태에서 스위칭 동작이 시작된다. 이 결과, 동기 정류용 스위치가 급격하게 온 하기 때문에, 오버슛(overshoot)이나 링잉(ringing)이 발생하여 출력 전압이 불안정하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로서 일본 특허 공개 공보 2006-50888호 등이 제안되었다. 이 공보에는 메인 스위치와 동기 정류용 스위치가 교대로 온 오프 하는 동기 정류 방식의 강압형 컨버터와, 강압형 컨버터보다 높은 전압을 출력하는 전압 생성 회로와, 강압형 컨버터의 출력 전압이 미리 정해진 기준 전압에 가까워지도록 오차 전압을 출력하는 레귤레이터와, 오차 전압에 따라 메인 스위치 및 동기 정류용 스위치를 온 오프 하는 듀티를 변화시키는 펄스폭 변조기를 구비하고, 강압형 컨버터와 전압 생성 회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원하는 전압을 출력하고, 레귤레이터는 전압 생성 회로가 선택되어 있는 기간 중, 동기 정류용 스위치가 오프 하는 방향으로 오차 전압을 오프셋 하도록 구성된 전원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여 출력 전압을 전압 생성 회로에서 강압형 컨버터의 전압으로 전환시킬 때, 레귤레이터의 오차 전압을 오프셋함으로써, 동기 정류용 스위치는 오프 상태로부터 스위칭 동작을 개시한다. 그 결과, 동기 정류용 스위치가 장시간 연속적으로 온 하는 것을 억제하여 오버슛(overshoot)을 억제한 안정된 출력 전 압을 얻을 수 있다.
상기한 공보에서 레귤레이터는 오차 전압에 오프셋 회로로부터의 오프셋 전압을 가산하여 그 출력을 펄스폭 변조기에 인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오차 전압에서 이 오차 전압에 오프셋 전압을 가산하여 미리 정해진 전압에 이르기까지 시간이 필요하여 응답성이 낮다는 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응답성이 우수하고 출력 전압의 안정성을 향상시킨 전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전원 장치는 메인 스위치 소자와, 상기 메인 스위치 소자와 교대로 온 오프 하는 동기 정류용 스위치 소자와, 스위칭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메인 스위치 소자와 상기 동기 정류용 스위치 소자를 온 오프 제어하는 스위칭 구동 회로와, 상기 메인 스위치 소자와 상기 동기 정류용 스위치 소자의 접속부와 직렬로 연결된 인덕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동기 정류 방식의 강압형 컨버터; 상기 강압형 컨버터의 출력 전압이 미리 정해진 기준 전압에 가까워지도록 오차 전압을 출력하는 오차 증폭기; 상기 오차 전압에 따라 상기 메인 스위치 소자와 상기 동기 정류용 스위치 소자를 온 오프 하는 타이밍을 제어하는 상기 스위칭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스위칭 구동 회로에 제공하는 PWM 신호 발생 회로; 상기 강압형 컨버터의 출력 단자를 입력 단자에 단락시키는 바이패스 스위치; 상기 바이패스 스위치를 제어하는 모드 제어 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바이패스 스위치가 선택된 기간에 는, 상기 오차 증폭기의 기준 전압측 입력단의 전압값을 출력 전압의 미리 정해진 분압비로 설정하여 상기 오차 증폭기의 출력을 반전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미리 정해진 분압비는 상기 강압형 컨버터의 설정 전압의 귀환율 이상의 분압비로 설정되도록 구성하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강압형 컨버터의 출력을 상기 미리 정해진 분압비로 분압한 출력과 기준 전압 발생 회로의 출력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오차 증폭기의 기준 전압측 입력단에 부여하는 선택 수단을 구비하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메인 스위치 소자와 상기 동기 정류용 스위치 소자의 접속부의 전류와는 역방향의 전류를 제한하는 전류 제한 회로를 마련하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류 제한 회로는 상기 모드 제어 회로가 상기 강압형 컨버터에 의한 강압 모드와 상기 바이패스 스위치에 의한 바이패스 모드의 선택 전환을 수행하는 일정 시간에 상기 역방향의 전류를 제한하는 전류 제한값을 전환시키도록 구성하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응답성이 우수하고 안정된 출력 전압을 공급할 수 있는 전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도 면에서 동일한 부분 또는 상당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반복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 장치를 나타낸 블록 회로도이다.
본 발명의 전원 장치(1)는 강압형 DC-DC 컨버터(10)와, 바이패스 스위치(M3)를 포함한다. 또한, 기준 전압 발생 회로(2)와, 출력 전압 검출용의 저항(R1, R2)과, 오차 증폭 회로(3)와, PWM 신호 발생 회로(5)를 구비한다.
강압형 DC-DC 컨버터(10)는 입력 단자(101)에 입력된 입력 전압(VDD)을 미리 정해진 정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 전압(VOUT)으로서 출력 단자(100)로부터 출력하는 강압형의 스위칭 레귤레이터이다.
강압형 DC-DC 컨버터(10)는 메인 스위치 트랜지스터(M1), 동기 정류용 스위치 트랜지스터(M2), 인덕터(L1), 출력 콘덴서(C1), 스위칭 구동 회로(6)를 포함한다.
메인 스위치 트랜지스터(M1)는 입력 전압(VDD)의 출력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스위칭 동작을 하는 P채널형 MOS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지고, 동기 정류용 스위치 트랜지스터(M2)는 N채널형 MOS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진다.
기준 전압 발생 회로(2)는 미리 정해진 기준 전압(Vref)을 생성하여 출력하고, 출력 전압 검출용의 저항(R1, R2)은 출력 전압(VOUT)을 분압하여 분압 전압(Vfb)을 생성하여 출력한다. 또한, 오차 증폭 회로(3)는 입력된 분압 전압(Vfb)과 기준 전압(Vref)의 전압차를 증폭하여 오차 신호(Verr)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강압형 DC-DC 컨버터(10)는 출력 전압(VOUT)과 기준 전압(Vref)의 사이에 VOUT = Vref×(R1+R2)/R2가 성립되도록 피드백에 의하여 오차 전압(Verr)을 조절한다.
PWM 신호 발생 회로(5)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PWM 비교기(51)와 발진 회로(52)를 구비하고, PWM 비교기(51)의 반전 입력단에는 오차 전압(Verr)이 부여되고, 비반전 입력단에는 발진 회로(52)의 출력이 부여된다.
발진 회로(52)는 미리 정해진 삼각파 신호(TW)를 생성하여 출력하고, PWM 비교기(51)는 오차 증폭 회로(3)의 출력 신호(Verr)와 상기 삼각파 신호(TW)로부터 PWM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펄스 신호(VPWM)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PWM 비교기(51)는 발진 회로(52)의 출력 전압(TW)과 오차 전압(Verr)을 비교하여 TW>Verr일 때 고레벨을 출력하고, TW<Verr일 때 저레벨을 출력한다. 그 결과, PWM 비교기(51)로부터 출력되는 신호(VPWM)는 고레벨과 저레벨을 반복하는 펄스폭이 변조된 신호(이하, PWM 신호라 함)가 된다. 즉, PWM 신호(VPWM)의 듀티(고 또는 저)는 오차 전압(Verr)에 따라 결정된다.
바이패스 스위치(M3)는 강압형 DC-DC 컨버터(10)와 병렬로 설치된 전압 생성 회로로서 기능하고, 전원 장치(1)는 강압형 DC-DC 컨버터(10)와 바이패스 스위치(M3)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원하는 전압을 출력한다. 이 전원 장치(1)는 강압 모드와 바이패스 모드의 2 모드로 동작한다. 즉, 강압 모드를 선택하는 경우에는, 바이패스 스위치(M3)를 오프 하도록 모드 제어 회로(7)에서 구동 회로(8)로 신호를 보내고, 강압형 DC-DC 컨버터(10)의 출력을 선택하며, 입력 전압(VDD)을 강압하여 출력하도록 한다. 또한 바이패스 모드를 선택하는 경우에는, 바이패스 스위치(M3)를 온 하도록 모드 제어 회로(7)에서 구동 회로(8)로 신호를 보내고, 바이패스 스 위치(M3)에 의하여 강압형 DC-DC 컨버터(10)를 바이패스시켜 입력 전압(VDD)을 그대로 출력하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강압형 DC-DC 컨버터(10)는 사용하는 인덕터나 스위칭 소자로 인한 전력 손실이 존재하기 때문에, 이 전원 장치(1)에서는 강압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강압형 DC-DC 컨버터의 스위칭 동작을 정지하여 바이패스시킴으로써, 입력 전압을 그대로 출력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전원 장치(1)는 강압 모드와 바이패스 모드를 모드 제어 회로(7)로써 전환시켜 사용한다. 바이패스 스위치(M3)가 온 한 상태에서 출력되는 전압은 강압형 DC-DC 컨버터(10)에 의해 출력되는 전압보다 높다.
강압 모드 시, 전원 장치(1)는 입력 전압(VDD)을 강압하여 출력 단자(100)에 출력한다. 출력 전압(VOUT)은 기준 전압(Vref)에 의하여 제어된다.
바이패스 모드 시, 전원 장치(1)는 기준 전압(Vref)과는 관계없이 입력 전압(VDD)을 그대로 출력한다. 이들 모드의 전환은 모드 제어 회로(7)로부터 부여되는 모드 제어 신호에 의하여 수행된다.
강압형 DC-DC 컨버터(10)는 동기 정류 방식의 스위칭 레귤레이터이며, 입력 단자(101)에 입력된 입력 전압(VDD)을 강압하여 출력 단자(100)에 출력한다. 이 때의 강압형 DC-DC 컨버터(10)의 입출력은 그대로 전원 장치(1)의 입출력이 된다.
메인 스위치 트랜지스터(M1)인 P형 MOS 트랜지스터는 그 소스 단자가 입력 단자(101)에 접속되고, 그 드레인 단자가 접속부(Lx)를 통하여 인덕터(L1)의 일단에 접속된다. 또한, 동기 정류용 스위치 트랜지스터(M2)인 N형 MOS 트랜지스터는 그 소스 단자가 접지되고, 드레인 단자가 메인 스위치 트랜지스터(M1)인 P형 MOS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단자에 접속된다. 양 MOS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단자에는 스위칭 구동 회로(6)로부터의 출력이 각각 입력된다.
상기와 같이, 입력 단자(101)와 접지 전압(GND)의 사이에는 메인 스위칭 트랜지스터(M1)와 동기 정류용 스위치 트랜지스터(M2)가 직렬로 접속된다. 출력 단자(100)와 접지 전압(GND)의 사이에는 저항(R1) 및 저항(R2)이 직렬로 접속되고, 저항(R1)과 저항(R2)의 접속부로부터 분압 전압(Vfb)이 출력된다.
스위칭 구동 회로(6)는 강압 모드 시, PWM 신호(VPWM)가 고레벨인 기간에는 메인 스위치 트랜지스터(M1)를 오프 하고, 동기 정류용 스위치 트랜지스터(M2)를 온 한다. 또, PWM 신호(VPWM)가 저레벨인 기간에는 메인 스위치 트랜지스터(M1)를 온 하고, 동기 정류용 스위치 트랜지스터(M2)를 오프 한다. 이와 같이 스위치 트랜지스터(M1, M2)를 PWM 신호에 의하여 교대로 온 오프 시킴으로써 인덕터(L1)로 에너지 전환을 실행하는 스위칭 레귤레이터로서 동작한다. 인덕터(L1) 및 출력 콘덴서(C1)는 출력 필터를 구성하고, 출력 단자(100)로부터는 입력 전압(VDD)이 강압된 직류 전압이 출력된다.
스위칭 구동 회로(6)에는 강압 모드와 바이패스 모드의 2 모드를 전환시키는 신호가 모드 제어 회로(7)에서 전류 제한 회로(9)를 통하여 입력되고, 바이패스 모드 동작 시에는 메인 스위치 트랜지스터(M1) 및 동기 정류용 스위치 트랜지스터(M2)의 양쪽 모두를 오프 시킨다.
강압형 DC-DC 컨버터(10)의 2개의 스위치 트랜지스터(M1, M2)의 온 오프를 제어하는 PWM 신호(VPWM)는 출력 전압(VOUT)을 피드백하여 얻어지는 오차 전압(Verr)에 따라 결정되기 때문에, 출력 전압(VOUT)은 기준 전압(Vref)에 의하여 정해지는 일정값으로 유지된다. 즉, 출력 전압(VOUT)이 저하되면, 오차 증폭 회로(3)의 출력 신호(Verr)의 전압이 상승하고 PWM 신호 발생 회로(5)의 출력 펄스폭이 커져 스위칭 트랜지스터(M1)가 온 하는 시간의 비율을 증가시킴으로써 출력 전압(VOUT)을 상승시킨다. 반대로, 출력 전압(VOUT)이 상승한 경우에는, 상기와는 반대되는 동작을 실행하여 출력 전압(VOUT)을 저하시킴으로써, 출력 전압(VOUT)이 항상 일정한 전압으로 유지된다.
바이패스 스위치(M3)는 P형 MOS 트랜지스터이며, 그 게이트 단자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모드 제어 신호가 부여된다. 이 바이패스 스위치(M3)의 소스 단자는 입력 단자(101)에 접속되고, 드레인 단자는 출력 단자(100)에 접속된다. 따라서, 바이패스 스위치(M3)가 온 하면, 입력 단자(101)와 출력 단자(100)는 도통 상태가 되어 출력 단자에는 입력 전압(VDD)과 거의 동일한 전압이 출력되게 된다. 엄밀하게는, MOS 트랜지스터의 온 저항으로 인한 전압 강하가 존재하기 때문에, 출력 단자(100)에 출력되는 전압은 입력 전압(VDD)보다 약간 낮은 전압이 출력된다. 이와 같이 바이패스 스위치(M3)가 온 함으로써 바이패스 모드가 실현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강압 모드 시, 오차 증폭 회로(3)의 반전 입력단에는 분압 전압(Vfb)이 입력되고, 비반전 입력단에는 선택 회로(4)를 통하여 기준 전압(Vref)이 입력된다. 출력 단자(100)와 접지 전압(GND)의 사이에는 저항(R3) 및 저항(R4)이 직렬로 접속되고, 저항(R3)과 저항(R4)의 접속부로부터 분압 전압(Vb)이 출력된 다. 바이패스 모드 시, 이 분압 전압(Vb)은 선택 회로(4)를 통하여 비반전 입력단에 부여된다.
선택 회로(4)는 스위치(SW1, SW2)를 포함하고, 스위치(SW1)를 통하여 기준 전압 발생 회로(2)로부터 기준 전압(Vref)이 오차 증폭 회로(3)의 비반전 입력단에 부여된다. 또, 스위치(SW2)는 저항(R3)과 저항(R4)의 접속부와 접속되고, 분압 전압(Vb)이 스위치(SW2)를 통하여 오차 증폭 회로(3)의 비반전 입력단에 부여된다.
이 선택 회로(4)는 모드 제어 회로(7)로부터의 신호에 의하여 제어되고, 바이패스 스위치(M3)가 선택되어 있을 때에는 SW1이 오프 되고 SW2가 온 되며, 분압 전압(Vb)이 스위치(SW2)를 통하여 오차 증폭 회로(3)의 비반전 입력단에 부여된다.
한편, 모드 제어 회로(7)가 바이패스 스위치(M3)의 오프를 선택하였을 때에는, SW1이 온 되고, SW2가 오프 되며, 기준 전압 회로(2)의 기준 전압(Vref)이 스위치(SW1)를 통하여 오차 증폭 회로(3)의 비반전 입력단에 부여된다.
저항(R3)과 저항(R4)은 강압형 DC-DC 컨버터(10)의 설정 전압의 귀환율 이상의 분압비로 설정되어 있다. 예를 들면, R1과 R2가 3 대 1의 분압비인 경우, R3과 R4는 2.5 대 1의 분압비로 설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선택 회로(4)에 의하여 SW1이 오프 되고 SW2가 온 되도록 제어되어 오차 증폭 회로(3)의 반전 입력단에 분압 전압(Vfb)이 입력되고 비반전 입력단에 선택 회로(4)를 통하여 분압 전압(Vb)이 입력되면, 저항(R3)과 저항(R4)이 강압형 DC-DC 컨버터(10)의 설정 전압의 귀환율 이상의 분압비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이 오차 증폭 회로(3)의 출력은 반전 고정되게 된다. 즉, 바이패스 스위 치(M3)가 선택되어 있을 때에는, 오차 증폭 회로(3)의 출력은 고레벨로 고정된다.
또한, 스위칭 트랜지스터(M1)와 동기 정류용 스위치 트랜지스터(M2)의 접속부의 출력이 전류 제한 회로(9)에 부여되고, 전류 제한 회로(9)에 의하여 접속부(Lx)의 전류값을 측정하여 동기 정류용 스위치 트랜지스터(M2)의 접속부의 출력과는 역방향의 전류를 제한하는 회로로서 기능한다. 즉, 접속부(Lx)가 미리 정해진 값 이상이 되면, 전류 제한 회로(9)는 동기 정류용 트랜지스터(M2)를 오프 하도록 스위칭 구동 회로(6)에 신호를 보낸다. 이 전류 제한 회로(9)는 통상(강압 모드 시)은 트랜지스터의 파괴 방지 전압값으로 설정되고, 바이패스 스위치(M3)가 선택되는 바이패스 모드 시에는 오버슛 방지용 전압값으로 설정된다. 이 오버슛 방지용 전압은 파괴 방지 전압의 1/2~1/4의 범위로 설정되고, 콘덴서(C1)의 방전 시간에 따라 설정된다. 이 오버슛의 양은 요구되는 특성값에 따라 조정하면 된다.
또한, 강압형 DC-DC 컨버터(10)에 있어서, 인덕터(L1) 및 콘덴서(C1)를 제외한 각 회로를 1개의 IC에 집적하도록 하여도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전원 장치(1)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즉, 어느 시각에 강압 모드에서 바이패스 모드로 전환시키고, 재차 강압 모드로 전환시키는 경우에 대하여 도 3a~도 3e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a~도 3e는 도 1의 전원 장치(1)의 각 단자 전압의 시간 파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도 3e에서 시간축은 편의상 실제 시간축과는 스케일을 상이하게 표시한다.
도 3a는 모드 제어 회로(7)로부터 부여되는 모드 제어 신호의 시간 파형을 나타낸다.
시각 T0~T1에 있어서, 모드 제어 신호는 고레벨이 되어 출력된다. 이 때 바이패스 스위치(M3)는 오프 되고, 전원 장치(1)는 강압 모드로 동작한다.
도 3b는 기준 전압(Vref) 및 출력 전압(VOUT)을 나타낸다. 시각 T0~T1에서 강압 모드로 동작하는 기간 중에는, 기준 전압 회로(2)로부터의 기준 전압(Vref)이 부여되고, 바이패스 모드로 동작할 때에는, 강압형 DC-DC 컨버터(10)의 설정 전압의 귀환율 이상의 분압비로 설정된 저항(R3)과 저항( R4)의 접속부 전압(Vb)이 부여된다.
출력 전압(VOUT)과 기준 전압(Vref)은 VOUT = Vref×(R1+R2)/R2가 성립되도록 제어된다. 도 3b에서는 R1 대 R2가 3 대 1의 분압비로 설정되고, R3 대 R4가 2.5 대 1의 분압비로 설정된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3c는 오차 전압(Verr)의 시간 파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시각 T0~T1에서는 VOUT = Vref×(R1+R2)/R2가 성립되도록 그 값이 거의 일정하게 유지되어 있다.
도 3d는 오차 전압(Verr)과 삼각파 신호(TW)의 시간 파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e는 PWM 신호 발생 회로(5)의 출력 파형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출력 파형은 도 3d의 오차 전압(Verr)과 삼각파 전압(TW)에 의하여 결정된다.
도 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각 T1에서 모드 제어 신호 레벨이 하강하면, 바이패스 스위치(M3)가 온 하여 바이패스 모드로 이행한다. 동시에 모드 제어 신호에 의하여 스위칭 구동 회로(6)가 제어되어 메인 스위치 트랜지스터(M1) 및 동기 정류용 스위치 트랜지스터(M2)의 양쪽 모두가 오프 된다. 또한 모드 제어 신호가 선택 회로(4)에 부여되어 SW1이 오프 되고, SW2가 온 되며, 오차 증폭 회로(3)의 반전 입력단에는 분압 전압(Vb)이 입력된다.
바이패스 스위치(M3)가 온 되면,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원 장치(1)의 출력 전압(VOUT)은 입력 전압(VDD)과 거의 동일한 전압까지 상승한다. 또, 오차 증폭 회로(3)의 반전 입력단에 부여되는 기준 전압으로서 설정 전압의 귀환율 이상의 분압 전압(Vb)이 입력된다.
시각 T1~T2에서 오차 증폭 회로(3)의 반전 입력단에 분압 전압(Vfb)이 입력되고 비반전 입력단에 선택 회로(4)를 통하여 분압 전압(Vb)이 입력된다. 저항(R3)과 저항(R4)은 강압형 DC-DC 컨버터(10)의 설정 전압의 귀환율 이상의 분압비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이 오차 증폭 회로(3)의 출력은 반전 고정되게 된다. 즉, 바이패스 스위치(M3)가 선택되어 있는 시각 T1~T2에서 오차 증폭 회로(3)의 출력(Verr)은 고레벨로 고정된다. 따라서, 시각 T1~T2에서는 도 3e에 나타낸 바와 같이, PWM 신호(VPWM)는 저레벨이 된다.
시각 T2에서 모드 제어 신호가 재차 고레벨이 됨으로써 바이패스 스위치(M3)가 오프 되어 강압 모드로 복귀된다. 스위칭 구동 회로(6)는 모드 제어 신호가 고레벨이 되면, PWM 신호(VPWM)에 근거하여 메인 스위치 트랜지스터(M1) 및 동기 정류용 스위치 트랜지스터(M2)의 스위칭 동작을 재개한다. 또한, 오차 증폭 회로(3)의 반전 입력단에는 분압 전압(Vfb)이 입력되고 비반전 입력단에는 선택 회로(4)를 통하여 기준 전압 발생 회로(2)로부터의 기준 전압(Vref)이 입력된다.
시각 T2에서 PWM 신호(VPWM)는 저레벨이기 때문에, 스위칭 구동 회로(6)에 의하여 메인 스위치 트랜지스터(M1) 및 동기 정류용 스위치 트랜지스터(M2)의 스위칭이 재개되고, 이 때, 동기 정류용 스위치 트랜지스터(M2)는 완전히 오프 된 상태로부터 동작이 개시된다. 그 후, 도 3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오차 증폭 회로(3)가 고레벨인 상태로부터 동작하므로, 응답성이 우수하게 PWM 신호(VPWM)의 듀티가 커져 동기 정류용 스위치 트랜지스터(M2)가 온 하고, 출력 전압(VOUT)을 안정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전원 장치(1)에서는 바이패스 모드로 동작하고 있는 동안에는, 오차 증폭 회로(3)를 고레벨로 고정시킨다. 그 결과, 재차 강압 모드로 전환시킬 때, 동기 정류용 스위치 트랜지스터(M2)가 오프 상태로부터 동작을 개시하기 때문에, 전환 시에 출력 콘덴서(C1)에 저장된 전하가 과잉으로 유출되지 않아 출력 전압(VOUT)의 오버슛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오차 증폭 회로(3)가 고레벨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응답성이 우수하게 PWM 신호(VPWM)의 듀티가 커져 동기 정류용 스위치 트랜지스터(M2)가 온 하고, 출력 전압(VOUT)을 안정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오버슛을 고려하는 경우에는, 전류 제한 회로(9)에 의하여 출력측의 전류값에 따라 동기 정류용 스위치(M2)를 오프 하는 타이밍을 제어하여 대응하도록 하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개시된 실시예는 모든 점에서 예시적인 것으로 제한적인 것은 아니라고 생각되어야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실시예의 설명에 한정 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지며,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이 포함되는 것으로 의도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휴대전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ce) 등의 배터리로 동작하는 정보 단말에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 회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이용되는 PWM 신호 발생 회로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 회로도.
도 3a~도 3e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각 단자 전압의 시간 파형을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M1  메인 스위치 트랜지스터
M2 동기 정류용 스위치 트랜지스터
M3  바이패스 스위치
2 기준 전압 발생 회로
3 오차 증폭기
4 선택 회로
5 PWM 신호 발생 회로
6 스위칭 구동 회로
7 모드 제어 회로
8 구동 회로
9 전류 제한 회로
10 강압형 DC-DC 컨버터
100 출력 단자
101 입력 단자

Claims (5)

  1. 메인 스위치 소자,
    상기 메인 스위치 소자와 교대로 온 오프 하는 동기 정류용 스위치 소자,
    스위칭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메인 스위치 소자와 상기 동기 정류용 스위치 소자를 온 오프 제어하는 스위칭 구동 회로,
    상기 메인 스위치 소자와 상기 동기 정류용 스위치 소자의 접속부와 직렬로 접속된 인덕터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동기 정류 방식의 강압형 컨버터;
    상기 강압형 컨버터의 출력 전압이 미리 정해진 기준 전압에 가까워지도록 오차 전압을 출력하는 오차 증폭기;
    상기 오차 전압에 따라 상기 메인 스위치 소자와 상기 동기 정류용 스위치 소자를 온 오프 하는 타이밍을 제어하는 상기 스위칭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스위칭 구동 회로에 제공하는 PWM 신호 발생 회로;
    상기 강압형 컨버터의 출력 단자를 입력 단자에 단락시키는 바이패스 스위치;
    상기 바이패스 스위치를 제어하는 모드 제어 회로;
    를 구비하고,
    상기 바이패스 스위치가 선택된 기간에는, 상기 오차 증폭기의 기준 전압측 입력단의 전압값을 출력 전압의 미리 정해진 분압비로 설정하여 상기 오차 증폭기 의 출력을 반전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해진 분압비는 상기 강압형 컨버터의 설정 전압의 귀환율 이상의 분압비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압형 컨버터의 출력을 상기 미리 정해진 분압비로 분압한 출력과, 기준 전압 발생 회로의 출력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오차 증폭기의 기준 전압측의 입력단에 부여하는 선택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스위치 소자와 동기 정류용 스위치 소자의 접속부의 출력과는 역방향의 전류를 제한하는 전류 제한 회로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제한 회로는 상기 모드 제어 회로가 상기 강압형 컨버터에 의한 강압 모드와 상기 바이패스 스위치에 의한 바이패스 모드의 선택 전환을 수행하는 일정 시간에 상기 역방향의 전류를 제한하는 전류 제한값을 전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장치.
KR1020090023065A 2008-03-18 2009-03-18 전원 장치 KR1010124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069323 2008-03-18
JP2008069323A JP5332248B2 (ja) 2008-03-18 2008-03-18 電源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0299A true KR20090100299A (ko) 2009-09-23
KR101012443B1 KR101012443B1 (ko) 2011-02-08

Family

ID=410882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3065A KR101012443B1 (ko) 2008-03-18 2009-03-18 전원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044642B2 (ko)
JP (1) JP5332248B2 (ko)
KR (1) KR101012443B1 (ko)
CN (1) CN10154055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04284B1 (en) * 2007-10-12 2010-09-28 National Semiconductor Corporation PSRR regulator with output powered reference
DE102009052836A1 (de) 2009-11-13 2011-05-19 Schott Ag Schaltungsanordnung für eine LED-Lichtquelle
US8774739B2 (en) * 2010-02-10 2014-07-08 Skyworks Solutions, Inc. Multi-mode power supply regulator for power amplifier control
US8917067B2 (en) 2010-03-24 2014-12-23 R2 Semiconductor, Inc. Assisting an output current of a voltage converter
US8248044B2 (en) * 2010-03-24 2012-08-21 R2 Semiconductor, Inc. Voltage regulator bypass resistance control
DE102010032491A1 (de) * 2010-07-28 2012-02-02 Siemens Aktiengesellschaft Ladesystem für einen Energiespeicher
US9588529B2 (en) 2010-09-03 2017-03-07 Skyworks Solutions, Inc. High-voltage tolerant voltage regulator
JP5581971B2 (ja) * 2010-10-27 2014-09-03 ミツミ電機株式会社 スイッチングレギュレータ
TWI440292B (zh) * 2011-07-01 2014-06-01 Richtek Technology Corp 切換調節電路及其控制電路、及用於其中的輸入電壓偵測方法
CN102439832B (zh) * 2011-08-19 2015-01-07 华为技术有限公司 分块功率管电路及其实现方法
DE102011083763A1 (de) * 2011-09-29 2013-04-04 Robert Bosch Gmbh Ansteuer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Ansteuern eines Gleichspannungswandlers
JP2013186721A (ja) * 2012-03-08 2013-09-19 Toyota Motor Corp 電源回路とそれを用いた電子制御装置
JP2015012716A (ja) * 2013-06-28 2015-01-19 株式会社東芝 無線電力伝送システム、送電装置、および受電装置
CN105811757B (zh) * 2014-12-30 2018-11-16 展讯通信(上海)有限公司 防止旁路器件误开启的dc/dc变换器
US10587193B2 (en) * 2015-04-20 2020-03-10 Vitesco Technologies USA, LLC. Synchronous buck regulator with short circuit to voltage source protection
JP6539534B2 (ja) * 2015-07-31 2019-07-03 ローム株式会社 電源回路
CN105515387B (zh) * 2015-12-09 2018-11-27 深圳市英特源电子有限公司 一种超高频低纹波降压器及其降压控制方法
JP6769717B2 (ja) * 2016-03-08 2020-10-14 Necプラットフォームズ株式会社 電圧降下補償回路、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電圧降下補償方法、および、スイッチング電源制御方法
US10291124B2 (en) * 2017-07-06 2019-05-14 Active-Semi (BVI) Inc. Spread spectrum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US10965212B2 (en) * 2018-04-17 2021-03-30 STMicroelectronics (Alps) SAS Switched-mode power supply with bypass mode
JP7140699B2 (ja) * 2019-03-15 2022-09-21 株式会社東芝 電源回路、及び電源回路の制御方法
CN115454191B (zh) * 2022-10-08 2023-09-29 武汉杰开科技有限公司 一种过冲保护电路、方法及芯片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64975A (ja) * 2000-08-17 2002-02-28 Taiyo Yuden Co Ltd Dc/dcコンバータの駆動制御方法及びdc/dcコンバータ
JP2002242665A (ja) 2001-02-21 2002-08-28 Mazda Motor Corp エンジンの排気浄化装置
JP3894833B2 (ja) 2001-05-14 2007-03-22 株式会社リコー 抵抗回路並びにそれを用いた電圧検出回路及び定電圧発生回路
US6724174B1 (en) * 2002-09-12 2004-04-20 Linear Technology Corp. Adjustable minimum peak inductor current level for burst mode in current-mode DC-DC regulators
JP4414147B2 (ja) 2003-03-10 2010-02-10 ジーイー・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グローバル・テクノロジー・カンパニー・エルエルシー Rfコイルおよびそれを用いた磁気共鳴撮影装置
JP4263068B2 (ja) 2003-08-29 2009-05-13 株式会社リコー 定電圧回路
JP4150326B2 (ja) 2003-11-12 2008-09-17 株式会社リコー 定電圧回路
JP4176002B2 (ja) 2003-12-15 2008-11-05 株式会社リコー 定電圧電源装置
JP4266811B2 (ja) 2003-12-26 2009-05-20 株式会社リコー 定電圧回路
JP2005190381A (ja) 2003-12-26 2005-07-14 Ricoh Co Ltd 定電圧電源
JP4362382B2 (ja) 2004-01-23 2009-11-11 株式会社リコー 定電圧回路
JP4502657B2 (ja) 2004-02-17 2010-07-14 株式会社リコー 基準電圧発生回路
JP4607482B2 (ja) 2004-04-07 2011-01-05 株式会社リコー 定電流回路
JP4473627B2 (ja) 2004-04-07 2010-06-02 株式会社リコー 定電流源、その定電流源を使用した増幅回路及び定電圧回路
JP2006050888A (ja) * 2004-07-02 2006-02-16 Rohm Co Ltd 電源装置、それを用いた電力増幅装置、携帯電話端末
JP4555018B2 (ja) 2004-07-30 2010-09-29 株式会社リコー 定電圧電源回路
JP4667883B2 (ja) 2005-01-26 2011-04-13 株式会社リコー 定電圧回路及びその定電圧回路を有する半導体装置
JP2006260030A (ja) 2005-03-16 2006-09-28 Ricoh Co Ltd 定電圧電源回路及び定電圧電源回路の検査方法
JP4616067B2 (ja) 2005-04-28 2011-01-19 株式会社リコー 定電圧電源回路
JP4781732B2 (ja) 2005-06-24 2011-09-28 株式会社リコー 電源システム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7508183B2 (en) * 2005-07-21 2009-03-24 Semiconductor Components Industries, L.L.C. Power supply controller and method therefor
JP2007094540A (ja) 2005-09-27 2007-04-12 Ricoh Co Ltd 半導体装置
JP4804156B2 (ja) 2006-02-01 2011-11-02 株式会社リコー 定電圧回路
US8022682B2 (en) * 2006-05-01 2011-09-20 International Rectifier Corporation Method to reduce inrush voltage and current in a switching power converter
JP2008043086A (ja) * 2006-08-08 2008-02-21 Toshiba Corp 電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12443B1 (ko) 2011-02-08
US8044642B2 (en) 2011-10-25
JP2009225606A (ja) 2009-10-01
US20090237055A1 (en) 2009-09-24
CN101540552A (zh) 2009-09-23
JP5332248B2 (ja) 2013-11-06
CN101540552B (zh) 2012-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2443B1 (ko) 전원 장치
KR101131262B1 (ko) 전류 모드 제어형 스위칭 레귤레이터
US7348765B2 (en) DC-DC converter capable of performing for wide and dynamic voltage range
US7893667B2 (en) PWM power supply apparatus having a controlled duty ratio without causing overall system oscillation
US7276886B2 (en) Dual buck-boost converter with single inductor
US8004263B2 (en) Switching regulator
US7733068B2 (en) DC-DC converter
KR100971232B1 (ko) 승강압형 스위칭 레귤레이터
KR100967474B1 (ko) 스위칭 레귤레이터 및 이것을 구비한 전자 기기
KR101529974B1 (ko) 스위칭 가변 저항부를 구비한 반도체 집적회로
JP2006050888A (ja) 電源装置、それを用いた電力増幅装置、携帯電話端末
US11563378B2 (en) Seamless DCM-PFM transition for single pulse operation in DC-DC converters
US20100327833A1 (en) Buck-Boost Switching Regulator and Method Thereof
US9667144B2 (en) DC-DC converter with reverse current detecting circuit
JP2017085725A (ja) 降圧dc/dcコンバータおよびその制御回路、車載用電源装置
JP4487649B2 (ja) 昇降圧型dc−dcコンバータの制御装置
CN114944756A (zh) 控制电路、对应的电子转换器设备和方法
JP5160210B2 (ja) Dc−dcコンバータ駆動回路
JP4352319B2 (ja) 電源供給装置
JP2006166667A (ja) スイッチングレギュレータ
JP2011030391A (ja) 電源供給装置
JP2006238603A (ja) スイッチングレギュレータ装置
CN117277737A (zh) 用于开关电压调节器的控制装置和控制方法
JP2009055752A (ja) Dc/dcコンバータ及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