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96686A - 수세식 대변기 - Google Patents

수세식 대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96686A
KR20090096686A KR1020097006490A KR20097006490A KR20090096686A KR 20090096686 A KR20090096686 A KR 20090096686A KR 1020097006490 A KR1020097006490 A KR 1020097006490A KR 20097006490 A KR20097006490 A KR 20097006490A KR 20090096686 A KR20090096686 A KR 200900966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jet
flow rate
rim
washing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64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74369B1 (ko
Inventor
마유 오쿠보
요시카즈 우시지마
유이치 사토
요시노부 카토
료스케 하야시
신지 시바타
Original Assignee
토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토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토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966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66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43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43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02Water-closet bowls ; Bowls with a double odour seal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good siphonic action; siphons as part of the bowl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02Water-closet bowls ; Bowls with a double odour seal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good siphonic action; siphons as part of the bowl
    • E03D11/08Bowls with means producing a flushing water swirl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01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using flushing pump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2201/00Details and methods of use for water closets and urin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3D2201/30Water injection in siphon for enhancing flush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수세식 대변기는, 볼부(12), 림토수구(18), 제트토수구(16), 배수트랩관로(14)를 구비한 변기본체(2)와, 저수탱크(32)와, 이 저수탱크에 저장된 세정수를 가압하여 제트토수구에 공급하는 가압펌프(34)와, 가압펌프의 작동과 회전수를 제어하여 제트토수구로부터 토수되는 세정수의 유속 및 유량을 제어하는 펌프 제어수단(40)을 가지고, 펌프 제어수단은, 제트토수구로부터 사이펀 작용을 발생시키기 위한 제1 유량을 토수하고, 이어서 이 제1 유량에 의해 발생한 사이펀 작용의 종료전에 오물반출이 가능한 유속으로, 배수트랩관로의 어느 부위의 단면을 밀봉하여 사이펀 작용을 지속시키는 제2 유량을 토수하도록 가압펌프의 회전수를 제어한다.
Figure P1020097006490
수세식 대변기, 사이펀 작용

Description

수세식 대변기{FLUSH TOILET DEVICE}
본 발명은 수세식 대변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압한 세정수에 의해 세정되는 수세식 대변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일본특허 제2953002호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탱크를 이용하지 않고 수돗물에 직접 연결되어, 수돗물의 압력에 의해, 변기 볼부의 림에 설치된 림토수구와, 볼부의 바닥부에 설치되고 배수트랩관로를 향하여 토수하는 제트토수구로부터 세정수를 공급하여 볼부를 세정하도록 한 수세식 대변기가 알려져 있다.
또한, 일본특허공개 2005-264469호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림토수는 림토수구로부터 수돗물을 직접 공급하는 한편, 제트토수는 탱크에 저장된 세정수를 펌프로 가압하고, 그 가압된 세정수를 제트토수구로부터 토출시켜서, 볼부를 세정하도록 한 수세식 대변기도 알려져 있다.
한편, 일본특허공개 2005-264469호 공보의 수세식 대변기에서는, 먼저 림토수구로부터 세정수를 토수하고(전기 림세정), 이 림토수구로부터의 토수가 종료한 후에 제트토수구로부터 세정수를 토수하며, 더욱이 이 제트토수구로부터의 토수가 종료한 후에 다시 림토수구로부터 세정수를 토수(후기 림세정)하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일본특허 제2953002호에 기재된 수세식 대변기는, 세정수를 수돗물의 압력에 의해서만 변기의 볼부에 공급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수도압이 저압인 지역이나 수압이 낮아지는 건물의 2층 또는 3층과 같이, 저수압 지역이나 장소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 수세식 대변기에서는, 사이펀 작용(siphonage)의 발생후에 비교적 큰 용적의 공기가 트랩관로 입구로부터 흡인되어 사이펀 작용이 종료하고, 이 때 '꾸룩꾸룩'하는 사이펀 끊김음이 발생하여 소음이 되었다.
또한, 일본특허공개 2005-264469호에 기재된 수세식 대변기에서는, 탱크에 저장된 세정수를 펌프로 가압하여 제트토수구로부터 토출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저수압 지역이나 장소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는 해결되었지만, 소음 문제는 여전히 해결되지 않았다.
더욱이, 수세식 대변기는 종래부터 물절약에 대한 요청이 있어, 절수(節水)형 수세식 대변기가 요구되고 있다.
한편, 일본특허공개 2005-264469호의 수세식 대변기는, 상술한 바와 같이, 림토수구로부터의 세정수의 토수가 종료한 후에 제트토수구로부터 세정수를 토수하는 것인데, 제트토수량이 적기 때문에, 사이펀 현상 발생(사이펀 기동)까지의 시간이 길어지고, 그 만큼 세정수량이 늘어나서 절수 요청을 만족시킬 수 없었다.
더욱이, 일본특허 제2953002호에 기재된 수세식 대변기는, 상술한 바와 같이, 림토수구와 제트토수구가 모두 수도에 직결되어 있다. 그 때문에, 이 수세식 대변기에서는, 림토수구로부터 토수하는 중에 제트토수구로부터 세정수를 토수하는 경우(일본특허 제2953002호의 도 29 참조), 수도로부터 공급되는 세정수의 양이 일정하기 때문에 림토수량을 감소시켜서 제트토수구로부터 세정수를 토수하여야 하고, 그 때문에 제트토수량이 적어지고, 그 결과 일본특허공개 2005-264469호와 마찬가지로 사이펀 현상 발생(사이펀 기동)까지의 시간이 길어져서, 그 만큼 세정수량이 늘어나 절수 요청을 만족시킬 수 없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수돗물 압력의 영향을 잘 받지 않고, 사이펀 작용 종료시에 발생하는 사이펀 끊김음(소음)을 줄이며, 절수 요청을 만족시킬 수 있는 수세식 대변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이펀 작용 발생까지의 시간을 줄여서 세정수의 절수 요청을 만족할 수 있는 수세식 대변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발명은, 가압한 세정수에 의해 세정되는 수세식 대변기로서, 볼부, 세정수를 토출하는 림토수구 및 제트토수구, 그리고 배수트랩관로를 구비한 변기본체; 세정수를 저장하는 저수탱크; 세정수를 림토수구로 소정의 타이밍에 공급하는 림토수 공급수단; 세정수를 저수탱크로 소정의 타이밍에 보급하는 저수공급수단; 상기 저수탱크에 저장된 세정수를 가압하여 제트토수구에 공급하는 가압펌프; 및 이 가압펌프의 작동을 제어하는 동시에 회전수를 제어하여 제트토수구로부터 토수되는 세정수의 유속 및 유량을 제어하는 펌프 제어수단;을 가지고, 배수트랩관로는, 입구부와, 이 입구부로부터 상승하는 트랩상승관과, 이 트랩상승관으로부터 하강하는 트랩하강관으로 이루어지고, 제트토수구는, 배수트랩관로의 입구부를 향하여 대략 수평으로 배치되며, 펌프 제어수단은, 제트토수구로부터 사이펀 작용을 발생시키기 위한 제1 유량을 토수하고, 이어서 이 제1 유량에 의해 발생한 사이펀 작용의 종료전에 오물반출이 가능한 유속으로, 배수트랩관로의 어느 부위의 단면을 밀봉(seal)하여 사이펀 작용을 지속시키는 제2 유량을 토수하도록 상기 가압펌프의 회전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1 발명에서는, 제트토수구가 상기 배수트랩관로의 입구부를 향하여 대략 수평으로 배치되고, 제트토수시에는 펌프 제어수단에 의해 가압펌프의 회전수를 제어하며, 먼저 제1 유량(대유량)을 토수함으로써 사이펀 현상(작용)을 급속하게 일으켜서, 이에 의해 볼부 안에 고인 물 및 오물을 빠르게 배출하고, 사이펀 작용의 종료전에 계속해서 제2 유량(대유량)을 토출하여, 이에 의해 배수트랩관로의 어느 부위의 단면을 밀봉하고 이 배수트랩관로 안을 거의 만수(滿水)상태로 함으로써, 사이펀 현상(작용)을 계속 유지하고(압출작용), 이에 의해 볼부에 떠 있는 오물을 배수트랩관로로부터 빠르게 배출할 수 있다.
그 결과, 본 발명의 제1 발명에 따르면, 가압펌프를 사용하여 제트토수를 하기 때문에 수돗물 압력의 영향을 잘 받지 않고, 대유량(제1 유량 및 제2 유량의 합계유량)을 제트토수하여 사이펀 작용을 급격하게 발생시킴으로써 제트토수의 세정수 양을 줄여서 절수 요청을 만족시키며, 압출작용에 의해 사이펀 작용을 지속시키기 때문에 초기의 사이펀 작용에 의해 볼부 안에 고인 물이 배출된 시점에서 배수트랩관로의 입구부로부터 대량의 공기를 흡인함으로써 발생하는 사이펀 작용 종료시의 사이펀 끊김음을 없앨 수 있고, 더욱이 압출작용에 의해 초기의 사이펀보다 약한 사이펀 작용이 되어서 그 약한 사이펀 작용의 종료시에는 약한 사이펀 끊김음 밖에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사이펀 끊김음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발명에서 바람직하게는, 펌프 제어수단은 제2 유량이 제1 유량보다 작아지도록 가압펌프의 회전수를 제어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1 발명에서는, 사이펀 현상(작용)을 일으키는 제1 유량보다 제2 유량이 줄어들도록 하였기 때문에, 발생한 사이펀 현상을 적은 유량으로 계속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발명에서 바람직하게는, 펌프 제어수단은 제2 유량의 토수 종료시에 제트토수구로부터의 토수가 점점 줄어들도록 가압펌프의 회전수를 제어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1 발명에서는, 제2 유량의 토수 종료시에 제트토수구로부터의 토수가 점점 줄어들기 때문에, 압출작용에 의해 사이펀 작용이 급격하게 중단되어 발생하는 사이펀 끊김음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발명에서 바람직하게는, 제1 유량은 75~120ℓ/min이다.
본 발명의 제1 발명에서 바람직하게는, 펌프 제어수단에 의해 제어되는 가압펌프에 의해 상기 제트토수구로부터 토수되는 세정수의 유속은 3.0~6.2m/sec이다.
본 발명의 제2 발명은, 가압한 세정수에 의해 세정되는 수세식 대변기로서, 볼부, 세정수를 토출하는 림토수구 및 제트토수구, 그리고 배수트랩관로를 구비한 변기본체; 세정수를 저장하는 저수탱크; 세정수를 림토수구로 소정의 타이밍에 공급하는 림토수 공급수단; 세정수를 상기 저수탱크로 소정의 타이밍에 보급하는 저수공급수단; 상기 저수탱크에 저장된 세정수를 가압하여 상기 제트토수구에 공급하는 가압수단; 및 이 가압수단의 작동을 제어하는 동시에 이 가압수단에 의한 가압량을 제어하여 제트토수구로부터 토수된 세정수의 유속 및 유량을 제어하는 가압수단 제어수단;을 가지고, 배수트랩관로는, 입구부와, 이 입구부로부터 상승하는 트랩상승관과, 이 트랩상승관으로부터 하강하는 트랩하강관으로 이루어지고, 제트토수구는, 배수트랩관로의 입구부를 향하여 대략 수평으로 배치되며, 가압수단 제어수단은, 제트토수구로부터 사이펀 작용을 발생시키는 제1 유량을 토수하고, 이어서 이 제1 유량에 의해 발생한 사이펀 작용의 종료전에 제1 유량보다 작고 적어도 오물반출이 가능한 유속을 발생시키는 제2 유량을 토수하도록 가압수단에 의한 가압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서는, 제트토수구가 상기 배수트랩관로의 입구부를 향하여 대략 수평으로 배치되고, 제트토수시에는 가압수단 제어수단에 의해 가압수단에 의한 가압량을 제어하며, 먼저 제1 유량(대유량)을 토수함으로써 사이펀 현상(작용)을 급속하게 일으켜서, 이에 의해 볼부 안에 고인 물 및 오물을 빠르게 배출하고, 이어서 사이펀 작용의 종료전에 계속해서 제2 유량(대유량)을 토출함으로써, 볼부에 떠 있는 오물을 배수트랩관로로부터 빠르게 배출할 수 있다.
그 결과, 본 발명의 제2 발명에 따르면, 가압수단을 사용하여 제트토수를 하기 때문에 수돗물 압력의 영향을 잘 받지 않고, 대유량(제1 유량)을 제트토수하여 사이펀 작용을 급격하게 발생시킴으로써 사이펀 발생에 필요한 제트토수의 세정수 양을 줄여서 절수에 대한 요청을 만족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유량을 제1 유량보다 줄이고, 그 적은 유량으로 떠 있는 오물을 배출하기 때문에, 절수를 더욱 꾀할 수 있고, 더욱이 제트토수구로부터의 토수음을 낮추어 정음화(靜音化)를 달성한다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발명에서 바람직하게는, 가압수단 제어수단은, 사이펀 작용의 종료전에 오물반출이 가능한 유속을 발생시키고, 배수트랩관로의 어느 부위의 단면을 밀봉하여 배수트랩관로 안을 거의 만수상태로 함으로써 사이펀 작용을 지속시키는 제2 유량을 토수하도록 가압수단에 의한 가압량을 제어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2 발명에 따르면, 제1 유량(대유량)에 의해 발생한 사이펀 작용의 종료전에 계속해서 제2 유량(대유량)을 토출하고, 이에 의해 배수트랩관로의 어느 부위의 단면을 밀봉하여 이 배수트랩관로 안을 거의 만수상태로 함으로써 사이펀 현상(작용)을 계속 유지하여(압출작용), 이에 의해 초기의 사이펀 작용에 의해 볼부 안에 고인 물이 배출되었을 때 배수트랩관로의 입구부로부터 대량의 공기를 흡인함으로써 발생하는 사이펀 작용 종료시의 사이펀 끊김음을 없앨 수 있고, 더욱이 압출작용에 의한 초기의 사이펀보다 약한 사이펀 작용이 되어, 이 약한 사이펀 작용 종료시에는 약한 사이펀 끊김음밖에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사이펀 끊김음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발명에서 바람직하게는, 가압수단 제어수단은, 사이펀 작용의 종료전에 오물반출이 가능한 유속을 발생시키고, 또한 배수트랩관로의 어느 부위의 단면을 밀봉하는 제2 유량을 토수하도록 가압수단에 의한 가압량을 제어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2 발명에서는, 제1 유량(대유량)에 의해 발생한 사이펀 작용의 종료전에 계속해서 제2 유량을 토출하고, 이에 의해 배수트랩관로의 어느 부위의 단면을 밀봉하기 때문에, 배수트랩관로의 입구부로부터 대량의 공기가 한꺼번에 빨려들어오지 않고, 그 결과 사이펀 작용에 의해 볼부 안에 고인 물이 배출되었을 때 배수트랩관로의 입구부로부터 대량의 공기를 흡인함으로써 발생하는 사이펀 작용 종료시의 사이펀 끊김음을 억제할 수 있으며, 게다가 하류측으로부터 배수트랩관로 입구부로 악취가 올라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발명에서 바람직하게는, 펌프수단 제어수단은, 사이펀 작용의 종료전에 오물반출이 가능한 유속을 발생시키고, 또한 배수트랩관로의 단면을 밀봉하지 않는 제2 유량을 토수하도록 가압수단에 의한 가압량을 제어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2 발명에서는, 제1 유량(대유량)에 의해 발생한 사이펀 작용의 종료전에 계속해서 제2 유량을 토출하기 때문에, 그 세정수의 흐름에 의해 배수트랩관로의 입구부의 개구단면을 줄일 수 있고, 그곳으로부터 대량의 공기가 빨려들어가지 않으며, 그 결과 사이펀 작용에 의해 볼부 안에 고인 물이 배출되었을 때 배수트랩관로의 입구부로부터 대량의 공기를 흡인함으로써 발생하는 사이펀 작용 종료시의 사이펀 끊김음을 억제할 수 있고, 게다가 하류측으로부터 배수트랩관로의 입구부로 악취가 올라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발명에서 바람직하게는, 가압수단 제어수단은, 제트토수구로부터 상기 제2 유량을 위한 유량의 토수를 종료할 때, 제트토수구로부터의 토수가 점점 줄어들도록 가압펌프의 회전수를 제어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2 발명에서는, 제2 유량을 위한 유량의 토수를 종료할 때 제트토수구로부터의 토수가 점점 줄어들기 때문에, 사이펀 작용이 급격하게 중단되어 발생하는 사이펀 끊김음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발명에서 바람직하게는, 제1 유량은 75~120ℓ/min이다.
본 발명의 제2 발명에서 바람직하게는, 가압수단 제어수단에 의해 제어되는 가압수단에 의해 상기 제트토수구로부터 토수되는 세정수의 유속은 3.0~6.2m/sec이다.
본 발명의 제3 발명은, 가압한 세정수에 의해 세정되는 수세식 대변기로서, 볼부, 세정수를 토출하는 림토수구 및 제트토수구, 그리고 배수트랩관로를 구비한 변기본체; 세정수를 저장하는 저수탱크; 세정수를 림토수구로 소정의 타이밍에 공급하는 림토수 공급수단; 상기 저수탱크에 저장된 세정수를 가압하는 가압펌프; 이 가압펌프로 가압된 세정수를 소정의 타이밍에 제트토수구로 공급하는 제트토수 공급수단; 림토수 공급수단, 가압펌프 및 제트토수 공급수단을 제어하여 변기본체의 볼부로 세정수를 토수시키는 제어수단;을 가지고, 제어수단은, 먼저 림토수구로부터 세정수를 토수하고, 이어서 림토수구로부터의 세정수 토수를 계속한 상태에서 제트토수구로부터 사이펀 작용을 발생시키는 제1 유량을 토수하도록 림토수 공급수단, 가압펌프 및 제트토수 공급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서는, 제트토수시에는, 림토수구로부터의 세정수 토수를 계속한 상태에서 제트토수구로부터 사이펀 작용을 발생시키는 제1 유량을 토수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림토수에 의해 볼부 안 및 배수트랩관로 안에 고인 물의 수위가 상승한 상태에서 제트토수를 실시함으로써 단시간에 사이펀 작용을 기동시키고, 강한 사이펀 작용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이펀 작용 기동을 위한 제트토수의 세정수량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절수화를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발명에서 바람직하게는, 제트토수구는 배수트랩관로의 입구부를 향하여 대략 수평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3 발명에서는, 제트토수구가 배수트랩관로의 입구부를 향하여 대략 수평하게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제트토수구로부터 토수된 세정수가 배수트랩관로 안으로 매끄럽게 유입하여, 사이펀 작용을 조기에 발생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발명에서 바람직하게는, 제어수단은, 제트토수구로부터 사이펀 작용을 발생시키는 제1 유량을 토수한 후, 이 제1 유량에 의해 발생한 사이펀 작용의 종료전에 제1 유량보다 작고 적어도 오물반출이 가능한 유속을 발생시키는 제2 유량을 토수하도록 림토수 공급수단, 가압펌프 및 제트토수 공급수단을 제어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3 발명에서는, 제1 유량에 의해 발생한 사이펀 작용의 종료전에 제1 유량보다 작고 적어도 오물반출이 가능한 유속을 발생시키는 제2 유량을 토수함으로써, 볼부에 떠 있는 오물을 배수트랩관로로부터 빠르게 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발명에서 바람직하게는, 림토수 공급수단은 수도의 급수압력에 의해 세정수를 림토수구로부터 토수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3 발명에서는, 가압펌프는 제트토수구에 필요한 세정수 양을 공급할 능력을 구비하고 있으면 되고, 가압펌프를 소형화할 수 있으며, 또한 저수탱크의 용량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발명에서 바람직하게는, 제어수단은, 제1 유량의 세정수를 제트토수구로부터 토수하기 전에, 가압펌프를 소정의 저속으로 회전시켜서 가압펌프와 제트토수구를 접속하는 급수로 안에 잔존하는 공기를 제트토수구로부터 배출하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3 발명에서는, 가압펌프를 저속으로 회전시켜서 가압펌프와 제트토수구를 접속하는 급수로 안에 잔존하는 공기를 제트토수구로부터 배출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제트토수구에서 발생하는 공기의 배출음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 때, 림토수에 의한 배수트랩관로로의 흐름이 발생하기 때문에, 급수로로부터 제트토수구로 배출된 공기가 배수트랩관로 안으로 매끄럽게 유입하여, 볼부 안으로 배출되었을 때 발생하는 공기의 파열음도 억제할 수 있다.
더욱이, 가압펌프를 저속으로 회전시키기 때문에, 림토수에 의한 고인 물의 수위를 높은 위치에 유지한 채로 다음 제1 유량에 의한 제트토수로 이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발명에서 바람직하게는, 제어수단은, 제트토수구로부터 토수되고 있을 때 림토수구로부터의 토수를 계속해서 실시하도록 림토수 공급수단을 제어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3 발명에서는, 제트토수구로부터 토수되고 있을 때 림토수구로부터의 토수도 계속해서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이에 의해 배수트랩관로의 입구부에 공기가 유입하기 어려워지고 사이펀 끊김음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부유계(浮遊系) 오물을 고인 물의 중심으로 모으면서 제트토수함으로써, 부유계 오물이 볼면으로 달라붙는 것을 방지하여 부유계 오물도 확실하게 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발명에서 바람직하게는, 제어수단은, 림토수구로부터 토수되는 유량과 제트토수구로부터 토수되는 제1 유량의 합계가 75~120ℓ/min이 되도록 림토수 공급수단, 가압펌프 및 제트토수 공급수단을 제어한다.
본 발명의 제3 발명에서 바람직하게는, 가압펌프에 의해 제트토수구로부터 토수되는 세정수의 유속은 3.0~6.2m/sec이다.
본 발명의 제4 발명은, 가압한 세정수에 의해 세정되는 수세식 대변기로서, 볼부, 세정수를 토출하는 림토수구 및 제트토수구, 그리고 배수트랩관로를 구비한 변기본체; 세정수를 저장하는 저수탱크; 이 저수탱크에 저장된 세정수를 가압하는 가압펌프; 이 가압펌프로 가압된 세정수를 소정의 타이밍에 림토수구로 공급하는 림토수 공급수단; 이 가압펌프로 가압된 세정수를 소정의 타이밍에 제트토수구로 공급하는 제트토수 공급수단; 림토수 공급수단, 가압펌프 및 제트토수 공급수단을 제어하여 변기본체의 볼부로 세정수를 토수시키는 제어수단;을 가지고, 제어수단은, 먼저 림토수구로부터 세정수를 토수하고, 이어서 림토수구로부터의 세정수의 토수를 계속한 상태에서 제트토수구로부터 사이펀 작용을 발생시키는 제1 유량을 토수하도록 림토수 공급수단, 가압펌프 및 제트토수 공급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서는, 제트토수시에는, 림토수구로부터의 세정수 토수를 계속한 상태에서 제트토수구로부터 사이펀 작용을 발생시키는 제1 유량을 토수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림토수에 의해 볼부 안 및 배수트랩관로 안에 고인 물의 수위가 상승한 상태에서 제트토수를 실시함으로써 단시간에 사이펀 작용을 기동시키고, 강한 사이펀 작용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이펀 작용 기동을 위한 제트토수의 세정수량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절수화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저수탱크에 저장된 세정수를 가압펌프에 의해 가압하고 림토수구 및 제트토수구로부터 토수하기 때문에, 변기본체 세정시에 수돗물 압력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본 발명의 수세식 대변기에 따르면, 수돗물 압력의 영향을 잘 받지 않고, 사이펀 작용 종료시에 발생하는 사이펀 끊김음(소음)을 줄이며, 절수에 대한 요청을 만족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수세식 대변기에 따르면, 사이펀 작용 발생까지의 시간을 줄여서 세정수 절약에 대한 요청을 만족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세식 대변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수세식 대변기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세식 대변기를 나타내는 전체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세식 대변기의 기본동작을 나타내는 타임챠트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세식 대변기에 의한 사이펀 작용 및 압출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e)의 확대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수세식 대변기를 나타내는 전체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및/또는 제2 실시예에 적용할 수 있는 림토수(전기 림세정 및 후기 림세정), 제트토수(제트세정), 및 탱크급수 타이밍의 예(제1 예에서 제5 예까지)를 나타내는 타임챠트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수세식 대변기의 기본동작을 나타내는 타임챠트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수세식 대변기에 의한 사이펀 작용 및 압출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수세식 대변기에 의한 사이펀 작용 및 압출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수세식 대변기에서의 가압펌프의 회전수 변화를 나타내는 타임챠트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수세식 대변기를 나타내는 전체구성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수세식 대변기의 기본동작을 나타내는 타임챠트이다.
**부호의 설명**
1: 수세식 대변기 2: 변기본체
10: 기능부 12: 볼부
14: 배수트랩관로 14a: 입구부
14b: 트랩상승관 14c: 트랩하강관
14d: 꼭대기부 16: 제트토수구
18: 림토수구 18a, 138: 림측 급수로
20, 132: 정류량밸브 22, 134: 전자밸브(전자개폐밸브)
23: 림토수용 전자밸브 25: 탱크급수용 전자밸브
28, 136: 전환밸브(급수로 전환밸브) 32, 120: 저수탱크
32a: 탱크급수로 32b, 164a: 상단 플로우트 스위치
32c, 164b: 하단 플로우트 스위치 34, 122: 가압펌프
34a, 145: 세정수관로(펌프측 급수로)
34b, 146: 세정수관로(제트측 급수로)
40, 162: 컨트롤러
이어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세식 대변기를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에 따라,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세식 대변기의 구조를 설명한다. 여기서,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세식 대변기 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수세식 대변기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세식 대변기를 나타내는 전체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세식 대변기(1)는, 변기본체(2)와, 이 변기본체(2)의 윗면에 배치된 변좌(toilet seat; 4)와, 변좌(4)를 덮도록 배치된 커버(6)와, 변기본체(2)의 후방 상부에 배치된 국부세정장치(8)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변기본체(2)의 후방에는 기능부(10)가 배치되어 있고, 이 기능부(10)는 사이드 패널(10a)에 의해 덮여져 있다.
변기본체(2)는 도기제이며, 변기본체(2)에는, 오물을 받는 볼부(12)와, 이 볼부(12)의 바닥부로부터 뻗은 배수트랩관로(14)와, 제트토수를 하는 제트토수구(16)와, 림토수를 하는 림토수구(18)가 형성되어 있다.
제트토수구(16)는 볼부(12)의 바닥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배수트랩관로(14)의 입구를 향하여 대략 수평하게 배치되어 세정수를 배수트랩관로(14)를 향하여 토출하도록 되어 있다.
림토수구(18)는 볼부(12)의 좌측상부 후방에 형성되어 있으며, 볼부(12)의 가장자리에 따라 세정수를 토출하도록 되어 있다.
배수트랩관로(14)는, 입구부(14a)와, 이 입구부(14a)로부터 상승하는 트랩상승관(14b)과, 이 트랩상승관(14b)으로부터 하강하는 트랩하강관(14c)으로 이루어지고, 트랩상승관(14b)과 트랩하강관(14c) 사이가 꼭대기부(14d)로 되어 있다.
제1 실시예에 따른 수세식 대변기(1)는, 세정수를 공급하는 수도에 직접 연결되어 있으며, 수도의 급수압력에 의해 림토수구(18)로부터 세정수가 토출된다. 또한, 제트토수에 관해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기능부(10)에 내장된 저수탱크(32)에 저장된 세정수를 가압펌프(34)에 의해 가압하여, 대유량으로 제트토수구(16)로부터 토출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어서, 도 3에 따라, 제1 실시예에 따른 수세식 대변기(1)의 기능부(10)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능부(10)에는, 정류량 밸브(20)와, 전자밸브(22)와, 림토수용 진공 브레이커(vacuum breaker; 24)와, 림토수용 플래퍼 밸브(flapper valve; 26)가 설치되어 있다. 더욱이, 급수로(19)에는 탱크에 대한 급수와 림토수를 전환하는 전환밸브(28)와, 저수탱크(32)와, 가압펌프(34)와, 제트토수용 진공 브레이커(36)와, 제트토수용 플래퍼 밸브(38)와, 물빼기마개(39)가 내장되어 있다. 또한, 기능부(10)에는, 전자밸브(22)의 개폐조작, 전환밸브(28)의 전환조작, 및 가압펌프(34)의 회전수나 작동시간 등을 제어하는 컨트롤러(40)가 내장되어 있다.
정류량 밸브(20)는, 지수전(stop cock; 42a), 스트레이너(strainer; 42b) 및 분기금구(42c)를 통하여 입수구(20a)로부터 유입한 세정수를 소정의 유량 이하로 조이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이 정류량 밸브(20)는, 세정수의 유량을 16ℓ/min 이하로 제한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정류량 밸브(20)를 통과한 세정수는 전자밸브(22)로 유입하고, 전자밸브(22)를 통과한 세정수는 전환밸브(28)에 의해 림토수구(18) 또는 저수탱크(32)에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이 전환밸브(28)는, 림측인 림측 급수로(18a)와 탱크측인 탱크측 급수로(32a) 양쪽으로 같은 타이밍에 세정 수를 공급할 수 있고, 림측과 탱크측으로의 급수량 비율을 임의로 변경할 수 있는 전환밸브이다.
전자밸브(22)는 컨트롤러(40)의 제어신호에 의해 개폐되며, 공급된 세정수를 전환밸브(28)에 유입시키거나 또는 정지시키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전환밸브(28)는 컨트롤러(40)의 제어신호에 의해 전환되며, 전자밸브(22)를 통하여 유입한 세정수를 림토수구(18)로부터 토출시키거나 또는 저수탱크(32)에 유입시키도록 되어 있다.
림토수용 진공 브레이커(24)는 전환밸브(28)를 통과한 세정수를 림토수구(18)로 보내는 림측 급수로(18a)의 도중에 배치되어, 세정수의 림토수구(18)로부터의 역류를 방지하고 있다. 또한, 림토수용 진공 브레이커(24)는 볼부(12)의 상단면보다 위쪽에 배치되어, 이에 의해 역류를 확실하게 방지하고 있다. 더욱이, 림토수용 진공 브레이커(24)의 대기개방부로부터 넘친 세정수는, 리턴관로(24a)를 통과하여 저수탱크(32)에 유입하도록 되어 있다.
림토수용 플래퍼 밸브(26)는 림토수용 진공 브레이커(24) 하류측의 림측 급수로(18a)에 배치되어, 세정수의 림토수구(18)로부터의 역류를 방지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림측 급수로(18a)에 림토수용 진공 브레이커(24)와 림토수용 플래퍼 밸브(26)를 직렬로 배치함으로써, 보다 확실하게 세정수의 역류를 방지하고 있다.
저수탱크(32)는 제트토수구(16)로부터 토수할 세정수를 저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저수탱크(32)는 약 2.5ℓ의 내용적을 가진다.
더욱이, 본 실시예에서 탱크급수로(32a)의 선단(하단)은 저수탱크(32)보다 위쪽으로 개구되어 있어, 저수탱크(32)로부터 탱크급수로(32a)로의 역류를 방지하고 있다. 또한, 저수탱크(32)의 내부에는 상단 플로우트 스위치(32b) 및 하단 플로우트 스위치(32c)가 배치되어 있어, 저수탱크(32) 안의 수위를 검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단 플로우트 스위치(32b)는 저수탱크(32) 안의 수위가 소정의 저수수위에 도달하면 온으로 전환되고, 컨트롤러(40)는 이것을 검지하여 전자밸브(22)를 폐쇄시킨다. 한편, 하단 플로우트 스위치(32c)는 저수탱크(32) 안의 수위가 소정의 수위까지 떨어지면 온으로 전환되고, 컨트롤러(40)는 이것을 검지하여 가압펌프(34)를 정지시킨다.
또한, 저수탱크(32)의 상부에는 그 상단의 개구부를 덮도록 덮개부재(32d)가 설치되어 있고, 덮개부재(32d)의 외주와 저수탱크(32) 상부의 내벽면의 사이는 수밀(水密)적으로 접합되어 있다. 더욱이, 덮개부재(32d)에는 원형 구멍이 형성되고, 이 구성을 감싸도록 통부재(32e)가 위쪽을 향하여 뻗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저수탱크(32)의 벽면(32g)은 덮개부재(32d)보다 위쪽까지 뻗어 있으며, 저수탱크(32)의 통부재(32e)로부터 넘친 세정수는 덮개부재(32d) 위에 모이도록 되어 있다.
더욱이, 저수탱크(32)의 덮개부재(32d)보다 위쪽 벽면(32g)에는 배수통로(32f)가 접속되어 있어서, 덮개부재(32d) 위에 모인 세정수를 볼부(12)에 배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가압펌프(34)는, 저수탱크(32)에 저장된 세정수를 가압하여 제트토수구(16)로부터 토출시키기 위한 것이다. 가압펌프(34)는 저수탱크(32)의 하부로부터 뻗은 세정수 관로(34a)에 의해 접속되고, 저수탱크(32) 안에 저장된 세정수를 가압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가압펌프(34)는, 저수탱크(32) 안의 세정수를 가압하여 세정수를 최대 약 120ℓ/min의 유량으로 제트토수구(16)로부터 토출시키도록 되어 있다.
또한, 세정수 관로(34a)의 도중에는, 역지밸브(nonreturn valve)인 제트토수용 플래퍼 밸브(38) 및 물빼기마개(39)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제트토수용 플래퍼 밸브(38) 및 물빼기마개(39)는, 가압펌프(34)보다 아래쪽의 저수탱크(32)의 하단부 부근의 높이에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물빼기마개(39)를 개방함으로써, 보수유지시 등에 저수탱크(32)와 가압펌프(34) 안의 세정수를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저수탱크(32)와 가압펌프(34) 사이에 제트토수용 플래퍼 밸브(38)를 배치함으로써, 저수탱크(32) 안의 수위가 가압펌프(34)의 높이보다 낮아졌을 경우에 세정수가 가압펌프(34)로부터 저수탱크(32)로 역류하고 가압펌프(34) 안의 세정수가 빠지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한편, 가압펌프(34)의 유출구는 세정수 관로(34b)를 통하여 볼부(12) 바닥부의 제트토수구(16)에 접속되어 있다. 이 세정수 관로(34b)의 도중은 위쪽을 향하여 볼록한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 볼록한 형태 부분의 가장 높은 부분인 세정수 관로 꼭대기부(44)가 저수탱크(32)로부터 제트토수구(16)에 이르는 세정수 관로 안에서 가장 높은 부분으로 되어 있다.
제트토수용 진공 브레이커(36)는 가압펌프(34) 및 세정수 관로 꼭대기부(44)의 하류측으로부터 분기한 분기관로(36a)에 접속되어 있고, 볼부(12) 안에 고인 물 이 저수탱크(32)측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이들 사이를 차단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제트토수용 진공 브레이커(36)의 대기개방부로부터 넘친 세정수는, 리턴관로(36b)를 통하여 저수탱크(32)에 유입하도록 되어 있다.
컨트롤러(40)는, 사용자가 변기세정 스위치(도시하지 않음)를 조작함으로써 전자밸브(22), 전환밸브(28), 가압펌프(34)를 차례로 작동시켜서, 림토수구(18) 및 제트토수구(16)로부터의 토수를 차례로 시작하게 하여, 볼부(12)를 세정한다. 더욱이, 컨트롤러(40)는, 세정 종료후에 전자밸브(22)를 개방하고 전환밸브(28)를 저수탱크(32)측으로 전환하여 세정수를 저수탱크(32)에 보급한다. 저수탱크(32) 안의 수위가 상승하고 상단 플로우트 스위치(32b)가 규정의 저수량을 검출하면, 컨트롤러(40)가 전자밸브(22)를 폐쇄하여 급수를 정지한다.
이어서, 상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세식 대변기(1)의 작용(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도 4에 따라 수세식 대변기(1)에 의한 기본동작을 설명한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기상태(시각 t0~t1)에서 변기세정 스위치(도시하지 않음)가 조작되면, 첫번째 림토수(전기 림세정)가 시작된다(시각 t1). 즉, 사용자가 변기세정 스위치(도시하지 않음)를 조작하면, 컨트롤러(40)는 전자밸브(22)에 신호를 보내어 개방시키는 동시에, 전환밸브(28)를 림토수구(18)측으로 전환하고, 수도의 급수압력에 의해 림토수구(18)로부터 세정수를 토출시킨다. 전자밸브(22)가 개방되면, 수도로부터 공급된 세정수가 지수전(42a), 스트레이너(42b), 분기금구(42c)를 거쳐 입수구(20a)로부터 정류량 밸브(20)에 유입한다. 정류량 밸브(20)에서는, 수도의 급수압력이 높은 경우에는 통과하는 세정수의 유량이 소정 유량으로 제한되고, 급수압력이 낮은 경우에는 세정수의 흐름이 제한되지 않고 그대로 통과된다. 정류량 밸브(20)를 통과한 세정수는 전자밸브(22), 전환밸브(28)를 통과하고, 림토수용 진공 브레이커(24), 림토수용 플래퍼 밸브(26), 림측 급수로(18a)를 통하여, 볼부(12) 상부의 후방 좌측으로 개구한 림토수구(18)로부터 토출된다. 림토수구(18)로부터 토출된 세정수는 볼부(12) 안을 선회하면서 아래쪽으로 흘러내리고, 볼부(12)의 내벽면이 세정된다.
그 후(시각 t2), 제트토수가 시작되고, 더욱이 동시에 저수탱크(32)로의 세정수의 보급도 시작된다.
먼저, 컨트롤러(40)는, 가압펌프(34)에 신호를 보내어 이것을 기동시키고, 펌프회전수를 N1으로 유지한다. 가압펌프(34)가 기동되면, 저수탱크(32) 내에 저장되어 있던 세정수는 제트토수용 플래퍼 밸브(38), 물빼기마개(39)를 통하여 가압펌프(34)로 유입하고 가압된다. 가압펌프(34)에 의해 가압된 세정수는 세정수 관로(34b)의 세정수 관로 꼭대기부(44)를 통과하여, 볼부(12) 바닥부에 개구한 제트토수구(16)로부터 토출된다.
이 때, 세정수로관(34b)의 세정수 관로 꼭대기부(44) 부근에 체류하고 있던 공기는, 분기관로(36a)를 통하여 제트토수용 진공 브레이커(36)에 도달하고, 그 대기개방부로부터 방출된다.
제트토수구(16)로부터 토출된 세정수는 배수트랩관로(14) 안으로 유입하고, 배수트랩관로(14)를 만수시켜서 사이펀 현상을 일으킨다. 이 사이펀 현상에 의해 볼부(12) 안에 고인 물 및 오물이 배수트랩관로(14)에 흡인되고, 배수관(D)으로부터 배출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 가압펌프(34)는 맨처음에 펌프회전수 N1으로 회전하기 때문에(시각 t2~t3), 가압력이 커지고, 세정수를 75ℓ/min~120ℓ/min의 대유량으로 제트토수구(16)로부터 토출시킬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배수트랩관로(14) 안의 사이펀 현상이 급속히 일어나서 볼부(12) 안에 고인 물 및 오물이 빠르게 배출된다.
그 후(시각 t3), 펌프의 회전수를 N2까지 떨어뜨림으로써 가압력을 조금 떨어뜨리고, 세정수를 60ℓ/min~120ℓ/min 미만의 대유량(후술하는 제3 실시예에서의 '제2 유량'에 의한 '제1 패턴'에 상당함)으로 계속해서 제트토수구(16)로부터 토출시킨다. 이에 의해, 후술하는 '압출작용'에 의해 펌프의 회전수 N2에 의해 토출된 대유량의 세정수에 의해 발생한 사이펀 작용을 더욱 지속시킬 수 있으며, 볼부에 남은 부유계 오물을 빠르게 배출할 수 있다.
더욱이, 펌프의 회전수 N2는 제트토수가 오물을 배수트랩관로(14)의 꼭대기부(14d)까지 반송하기 위하여 필요한 유속(3.0m/sec~6.2m/sec)이 되는 값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도 4에 파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펌프회전수를 N2로 줄이지 않고 회전수 N1을 그대로 유지하여도 된다(시각 t3~t4).
더욱이, 본 실시예에서는, 펌프의 회전수 N2에 의한 제트토수의 종료시(시각 t4~t5)에, 제트토수구로부터의 토수가 점점 줄어들도록 가압펌프의 회전수를 제어하고 있다.
이에 의해, 사이펀 작용이 급격히 중단됨으로써 발생하는 커다란 사이펀 끊김음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가압펌프(34)를 소정 시간(시각 t2~t5) 작동시킴으로써, 세정이 제트토수구(16)로부터 토출되어, 저수탱크(32) 안의 저수량은 거의 제로가 된다. 가압펌프(34)가 정지됨으로써 제트토수구(16)로부터의 토수는 정지된다(시각 t5). 이에 의해, 제트토수용 진공 브레이커(36)로부터 세정수 관로 안으로 대기가 도입되어, 볼부(12) 안에 고인 물과 저수탱크(32) 안의 세정수가 차단되다.
제1 실시예에서는 제트토수 동안(시각 t2~t5), 그와 동시에 저수탱크(32)로 세정수가 보급되도록 되어 있다. 이 때, 컨트롤러(40)는 전자밸브(22)를 개방상태로 유지하면서 전환밸브(28)에 신호를 보내어 이것을 탱크측으로 전환한다. 전자밸브(22)가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입수구(20a)로부터 유입한 세정수는 정류량 밸브(20), 전자밸브(22), 전환밸브(28), 탱크급수로(32a)를 통과하여 탱크급수로(32a)의 선단으로부터 저수탱크(32) 안으로 유입한다.
이어서, 제트토수가 종료했을 때(시각 t5), 컨트롤러(40)는 전자밸브(22)에 신호를 보내어 이것을 다시 개방시키고, 림토수구(18)로부터의 두번째 토수(후기 림세정)를 시작한다. 림토수구(18)로부터의 두번째 토수에 의해 볼부(12) 안에 고인 물의 수위가 상승하고, 소정의 림토수 시간이 경과한 후(시각 t6), 볼부(12) 안은 소정의 수위에 도달한다.
두번째 림토수 종료후(시각 t6), 다시 저수탱크(32)의 세정수가 보급된다.
이 때, 상술한 바와 같이, 컨트롤러(40)는 전자밸브(22)를 개방상태로 유지 한 상태에서 전환밸브(28)에 신호를 보내어 이것을 탱크측으로 전환하고 저수탱크(32) 안으로 유입한다.
저수탱크(32) 안에 세정수가 보급되어 저수탱크(32) 안의 수위가 규정의 저수수위에 도달하면, 플로우트 스위치(32b)가 온된다. 플로우트 스위치(32b)가 온되면, 컨트롤러(40)는 전자밸브(22)에 신호를 보내어 이것을 폐쇄시킨다.
여기서, 도 4에 나타낸 시각 t1~t7의 값은, 후술하는 도 8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t1=0초, t1~t2=8초, t2~t5=2.9초, t5~t6=5.5초, t6~t7=13.1초가 바람직하다.
이어서, 도 5 및 도 6에 의해, 본 실시예에 따른 수세식 대변기에서의 사이펀 작용 및 압출작용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제트토수시의 세정의 메커니즘 즉, 사이펀 작용 및 압출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6은 도 5의 (e)의 확대도이다.
도 5의 (a)는 대기상태를 나타내고(도 4의 시각 t0~t1), 볼부에 물이 모여있는 상태로 되어 있다. 이어서, 림토수를 거쳐, 도 5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트토수가 시작되면(도 4의 시각 t2), 펌프가 회전수 N1로 회전하고, 대유량의 제트류에 의해 배수트랩관로 안이 만수가 된다. 이어서, 도 5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수트랩관로의 입구부로부터 공기가 흡인되어 사이펀 작용이 종료되는 계기가 된다(도 4의 시각 t3~t4).
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그 후(도 4의 t3~t4)에도 대유량의 제트토수가 계속해서 공급되기 때문에, 도 5의 (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수트랩관로의 입구 부로부터 흡인되는 공기의 양은 적다. 더욱이, 배수트랩관로 안에 공기가 흡인된 후에도 대유량의 제트토수가 계속해서 공급되기 때문에(도 4의 시각 t3~t4), 도 5의 (e)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트토수가 배수트랩관로(14)의 입구부(14a)의 하벽면에 충돌하고, 이에 의해 트랩상승관(14b) 안에서 선회류가 발생하여, 그 선회류에 의해 입구부(14a)의 단면이 밀봉되고, 또한 입구부(14a) 및 트랩상승관(14b) 안이 거의 만수상태로 된다. 이에 의해, 사이펀 작용이 지속되게 된다. 즉, 도 5의 (e) 및 도 6에 나타내는 상태에서는(도 4의 시각 t3~t4), 앞서 발생한 사이펀 작용이 유지된 상태에서 계속해서 공급되는 대유량의 제트토수에 의해 압출작용이 발생하고 있는 것이다. 이 압출작용에 의해 볼부에 떠 있는 오물이 배수트랩관로로부터 빠르게 배출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수트랩관로(14)의 입구부(14a)의 단면을 밀봉하고 있는데, 배수트랩관로(14)의 다른 어느 부위의 단면을 밀봉하여 배수트랩관로 안을 거의 만수상태로 하고 사이펀 작용을 지속시켜도 된다.
그 후, 도 5의 (f)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트토수의 세정수의 양이 점점 줄어들어(도 4의 시각 t4~t5), 그에 의해 사이펀 끊김음의 발생을 방지하고, 조용히 오물 배출동작이 완료된다.
이어서, 도 5의 (g)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림토수(후기 림세정)가 시작되고(도 4의 시각 t5), 이어서 도 5의 (h)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래의 대기상태가 된다(도 4의 시각 t6 이후).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제트토수구(16)가 배수트랩관로(14)의 입구를 향하여 대략 수평하게 배치되어 있다. 제트토수시에는, 먼저 가압펌프(34)를 회전수 N1으로 회전하여 대유량의 제트토수를 배수트랩관로에 공급함으로써 사이펀 현상(작용)을 급속하게 일으키고, 이에 의해 볼부(12) 안에 고인 물 및 오물을 빠르게 배출한다. 이어서, 가압펌프(34)를 회전수 N2로 회전시켜서 계속해서 대유량의 제트토수를 공급하며, 이 때 제트토수가 배수트랩관로(14)의 입구부(14a)의 하벽면에 충돌하여 트랩상승관(14b) 안에서 선회류가 발생하고, 이에 의해 입구부(14a) 및 트랩상승관(14b) 안은 거의 만수상태가 되고, 그 어느 부위의 단면을 밀봉하도록 되어 있다(압출작용). 이와 같이, 가압펌프(34)를 회전수 N2로 회전시켜서 계속해서 대유량의 제트토수를 공급함으로써(압출작용), 사이펀 현상(작용)을 지속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이 압출작용에 의해 볼부에 떠 있는 오물을 배수트랩관로(14)로부터 빠르게 배출할 수 있다.
그 결과,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가압펌프(34)를 이용하여 제트토수를 하고 있기 때문에 수돗물 압력의 영향을 잘 받지 않고, 대유량(N1 및 N2 회전수의 가압펌프에 의한 유량)의 제트토수하여 사이펀 작용을 급격하게 발생시킴으로써 제트토수의 세정수 양을 줄이고 절수에 대한 요청을 만족시키며, 압출작용에 의해 사이펀 작용을 지속시키기 때문에, 초기 사이펀 작용에 의해 볼부(12) 안에 고인 물이 배출된 시점에서 배수트랩관로(14)의 입구부(14a)로부터 대량의 공기를 흡인함으로써 발생하는 사이펀 작용 종료시의 사이펀 끊김음을 없앨 수 있고, 더욱이 압출작용에 의해 초기 사이펀보다 약한 사이펀 작용이 되어, 이 약한 사이펀 종료 시에는 약한 사이펀 끊김음밖에 발생하지 않으므로 사이펀 끊김음을 줄일 수 있다.
이어서, 도 7에 의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수세식 대변기를 설명한다. 이 제2 실시예에서는 제1 실시예와 다른 부분만을 설명한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제2 실시예에서는, 제1 실시예의 전자밸브(22) 및 전환밸브(28) 대신, 림토수용 전자밸브(23) 및 탱크급수용 전자밸브(25)를 설치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림토수용 전자밸브(23)는 정류량 밸브(20)의 하류측에 설치되고, 림측 급수로(18a)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탱크급수용 전자밸브(25)는 정류량 밸브(20)의 하류측에 설치되고, 탱크급수로(32a)에 접속되어 있다.
이 림토수용 전자밸브(23) 및 탱크급수용 전자밸브(25)의 개폐조작(온 및 오프 조작)은, 컨트롤러(40)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이 제2 실시예에 따른 수세식 대변기에서는, 림토수용 전자밸브(23) 및 탱크급수용 전자밸브(25)를 독립적으로 개폐조작할 수 있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후술하는 바와 같이, 림토수와 탱크급수를 같은 타이밍에 실시할 수 있다.
이어서, 도 8에 따라,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및/또는 제2 실시예에 적용가능한 림토수(전기 림세정 및 후기 림세정), 제트토수(제트세정) 및 탱크급수의 타이밍의 예(제1 예부터 제5 예까지)를 설명한다.
도 8에는 도 8의 (a)에 제1 예, 도 8의 (b)에 제2 예, 도 8의 (c)에 제3 예, 도 8의 (d)에 제4 예, 도 8의 (e)에 제5 예가 각각 나타나 있다.
먼저, 도 8의 (a)의 제1 예는, 도 4에 나타내는 것과 같다. 이 제1 예에서는 먼저 전기 림세정을 8초 실시하고, 이어서 제트세정을 2.9초 실시하는 동시에 탱크 급수를 2.9초 실시한다. 그 후, 후기 림세정을 5.5초 실시한다. 마지막으로 탱크급수를 13.1초 실시한다. 이 제1 예에 따르면, 가압펌프 구동중에 탱크급수(바로 물을 넣음)를 실시하기 때문에, 제트토수의 유량을 최대화할 수 있다. 또한, 후기 림세정과 탱크급수를 독립적으로 실시하고 있기 때문에, 후기 림세정에서 세정수가 볼부를 일주하여 세정효과를 높일 수 있다.
이어서, 도 8의 (b)의 제2 예에서는, 먼저 전기 림세정을 8초 실시한 후에 연속하여 후기 림세정을 5.5초 실시한다. 또한, 전기 림세정 종료직전에 제트세정을 2.9초 실시하는 동시에 탱크급수를 2.9초 실시한다. 그 후, 후기 림세정후에 탱크급수를 13.1초 실시한다.
이 제2 예에 따르면, 전기 림세정후에 연속하여 후기 림세정을 실시하기 때문에, 림세정의 제어가 용이해진다. 또한, 가압펌프 구동중에 탱크급수(바로 물을 넣음)를 실시하기 때문에, 제트토수의 유량을 최대화할 수 있다.
이어서, 도 8의 (c)의 제3 예에서는, 먼저 전기 림세정을 8초 실시한 후에 연속하여 후기 림세정을 24초 실시한다. 또한, 전기 림세정 종료 직전에 제트세정을 2.9초 실시한다. 그 후, 후기 림세정의 개시후에 탱크급수를 21초 실시하고, 후기 림세정과 탱크급수는 동시에 종료한다.
이 제3 예에 따르면, 후기 림세정과 탱크급수가 동시에 종료되기 때문에, 세정수를 볼부에 리필하는 중에 탱크급수를 실시하고 있는 것을 인식시킬 수 있다.
이어서, 도 8의 (d)의 제4 예에서는, 먼저 전기 림세정을 8초 실시하고, 이어서 제트세정을 2.9초 실시하며, 이어서 후기 림세정을 24초 실시한다. 한편, 탱 크급수는 제트세정과 동시에 시작하여 21초 실시하고, 후기 림세정보다 빨리 종료한다.
이 제4 예에 따르면, 후기 림세정보다 탱크급수 쪽을 우선하고 있기 때문에, 탱크급수를 확실하게 실시할 수 있다.
이어서, 도 8의 (e)의 제5 예에서는, 먼저 전기 림세정을 8초 실시한 후에 연속하여 후기 림세정을 24초 실시한다. 또한, 전기 림세정의 종료 직전에 제트세정을 2초 실시하고, 그 후 바로 탱크급수를 21초 실시한다.
이 제5 예에 따르면, 전기 림세정후에 연속하여 후기 림세정을 하기 때문에, 림세정의 제어가 용이해진다. 후기 림세정보다 탱크급수 쪽을 우선하고 있기 때문에, 탱크급수를 확실하게 실시할 수 있다.
이어서, 도 9 내지 도 11에 따라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수세식 대변기를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수세식 대변기의 기본동작을 나타내는 타임챠트이고,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수세식 대변기에 의한 사이펀 작용과 제트토수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 제3 실시예에서의 수세식 대변기의 구조는 도 3 및 도 7에 나타내는 수세식 대변기과 같기 때문에, 여기서는 편의상 도 3의 구조를 가지는 수세식 대변기의 기본동작을 도 9에 따라 설명한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먼저 대기상태(시각 t0~t1)에서 전환밸브(28)는 림측 급수로(18a)와 탱크측 급수로(32a) 양쪽에 연결되는 중립위치로 되어 있다. 이어서, 이 대기상태(시각 t0~t1)에서 변기세정 스위치(도시하지 않음)를 조작하 면(시각 t1), 전기 림토수(시각 t1~t11)가 시작된다. 이 때, 먼저 전환밸브(28)는 시각 t2~t3 동안에 탱크측 급수로(32a)를 전부개방상태(탱크측 전부개방 위치)로 한다.
동시에(시각 t2), 전자밸브(22)를 온으로 하여 세정수를 급수로(19)에 유입시킨다. 이에 의해, 전환밸브(28)의 상류측에 있는 급수로(19) 안에 잔류하는 공기를 저수탱크(32) 안으로 배출할 수 있다. 그 결과, 전환밸브(28)를 갑자기 림측인 림측 급수로(18a)로 전환하였을 경우에 발생하는 림토수구(18)로부터의 공기 배출음을 방지할 수 있다.
이어서, 시각 t3~t4 동안에 전환밸브(28)를 탱크측 전부개방위치로부터 림측 전부개방위치로 전환하여, 세정수를 림토수구(18)로 공급하고 림토수구(18)로부터 토수시킨다.
이어서, 시각 t2로부터 소정 시간(예를 들어, 5초)이 경과한 후, 시각 t5~t11 동안 제트토수를 하기 위하여 가압펌프(34)를 온으로 하며, 가압펌프(34)가 저수탱크(32) 안의 세정수를 제트토수구(16)에 공급하여 세정수를 제트토수구(16)로부터 토수시킨다.
여기서, 시각 t5에 가압펌프(34)에 의해 제트토수를 개시할 때, 림토수는 계속해서 이루어지고 있다. 더욱이, 이 림토수는 제트토수가 시작되어 종료할 때까지(시각 t5~t11 동안) 중단되지 않고 계속해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트토수를 시작할 때 림토수가 계속해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즉, 림토수에 의해 볼부(12) 안 및 배수트랩관로(14) 안에 고인 물의 수위가 상승한 상태에서 제트토수를 하기 때문에, 단시간에 사이펀 작용을 기동시키고, 게다가 강한 사이펀 작용을 발생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사이펀 작용 기동을 위한 제트토수의 세정수량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절수화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제트토수가 시작되고 나서 종료할 때까지(시각 t5~t11 동안), 림토수가 중단되지 않고 계속해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에 의해 배수트랩관로의 입구부에 공기가 유입하기 어려워져서 사이펀 끊김음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부유계 오물을 고인 물의 중심으로 모으면서 제트토수를 함으로써, 부유계 오물이 볼면으로 달라붙는 것을 방지하여 부유계 오물도 확실하게 배출할 수 있다.
이어서, 이 제트토수시에 가압펌프(34)의 회전수를 컨트롤러(40)가 아래와 같이 제어한다.
먼저, 가압펌프(34)는 시각 t6~t7에 비교적 저속(예를 들어, 1000rpm)으로 유지되고, 이에 의해 세정수 관로(34b)의 꼭대기부(44) 근방(즉, 볼부(12)에 고인 물의 수면보다 위쪽에 위치하는 부분)에 체류하는 공기를 천천히 제트토수구(16)로부터 배출한다. 그 결과, 가압펌프(34)를 갑자기 본래의 고속회전으로 시동하였을 경우에 발생하는 제트토수구(16)로부터의 공기의 배출음을 방지할 수 있다.
이어서, 시각 t8~t9에 가압펌프(34)를 고속회전(예를 들어, 3500rpm)시킨다. 이에 의해, 가압펌프(34)에 의한 가압력이 커지고, 제트토수구(16)로부터 대유량의 세정수가 토수된다. 이 때, 림토수구(18)로부터 계속해서 림토수가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림토수구(18)로부터 토수되는 세정수의 유량이 더해져서 대유량의 세정 수가 배수트랩관로(14)의 입구부(14a)에 유입하고, 사이펀 현상이 급속하게 일어나서 볼부(12) 안에 고인 물 및 오물이 빠르게 배출된다. 이 때, 배수트랩관로(14)의 입구부(14a)에 유입하는 유량은, 림토수에 의한 유량(10ℓ/min~15ℓ/min)과 제트토수에 의한 유량(제1 유량)의 합계가 75ℓ/min~120ℓ/min 미만으로서 종래와 비교하여 대유량이 된다.
이어서, 시각 t9~t11에, 배수트랩관로(14)의 입구부(14a)에 유입하는 세정수의 유량(제2 유량)을 상기 유량(제1 유량)보다 적은 유량으로 하기 위하여, 가압펌프(34)의 회전수를 조금 줄인다. 이 도 9의 예에서는, 제2 유량을 배수트랩관로(14)의 입구부(14a)에 유입시키기 위하여, 가압펌프(34)의 회전수를 2단계(예를 들어, 3300rpm과 3200rpm)로 감속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 때, 가압펌프(34)의 회전수는 변하지 않고 1단계이어도 되고, 또한 3단계 이상으로 감속시켜도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유량에 의해 발생한 사이펀 현상이 종료하기 직전(시각 t9)에 배수트랩관로(14)의 입구부(14a)에 제1 유량보다 적은 제2 유량의 세정수를 유입시키고 있다.
제3 실시예에서는, 제2 유량은 적어도 볼부(12)의 오물을 배수트랩관로(14)의 꼭대기부(14d)를 넘어 반출가능한 유속을 일으키기 위하여 필요한 유량이며, 이 볼부(12)로부터 오물반출이 가능한 범위에서 유량을 조정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제2 유량을 제1 유량보다 작게 함으로써, 적은 유량으로 볼부(12) 안에 떠 있는 오물을 배출하기 때문에 절수를 보다 꾀할 수 있고, 게다가 제트토수구(16)로부터의 토수음을 낮추어 정음화가 꾀해지는 효과도 있다. 더욱이, 가압펌프(34)의 펌프회전 수를 낮춤으로써 가압펌프(34)의 관성력을 떨어뜨리고 있으며, 가압펌프(34)의 관성력에 의해 저수탱크(32)로부터 흡인되는 세정수가 적어도 되기 때문에, 저수탱크(32)를 소형화하여도 가압펌프(34)가 공기를 빨아들여, 소위 공기유입 운전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3 실시예에서는 제2 유량을 여러가지 값으로 조정함으로써 제1 패턴, 제2 패턴 및/또는 제3 패턴을 실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먼저 제1 패턴은, 상술한 제1 실시예에서 나타낸 도 5의 (e) 및 도 6과 같은 상태가 되고, 배수트랩관로(14)에 유입하는 세정수의 유량(제2 유량)이 오물반송이 가능한 유속을 일으키고, 또한 배수트랩관로(14)의 어느 부위의 단면을 밀봉하여 배수트랩관로(14) 안을 거의 만수상태로 함으로써 사이펀 작용을 지속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때, 도 9에서의 시각 t9~t11에 제2 유량을 발생시키기 위한 가압펌프(34)의 회전수는 1단계의 3300rpm(시각 t9~t11)이다. 한편,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각 t9~t11에 2단계의 3300rpm(시각 t9~t10)(제1 패턴의 상태에 대응) 및 3200rpm(시각 t10~t11)(후술하는 제2 패턴에 대응)으로 하여도 된다.
이어서, 제2 패턴에서는, 후술하는 도 10의 (e)에 나타내는 상태가 되어, 배수트랩관로(14)에 유입하는 세정수의 유량(제2 유량)이 오물반송이 가능한 유속을 일으키고, 또한 사이펀 작용은 소멸되고 있는데, 배수트랩관로(14)의 어느 부위의 단면을 밀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때, 도 9에서의 시각 t9~t11에 제2 유량을 발생시키기 위한 가압펌프(34)의 회전수는, 1단계의 2800rpm(시각 t9~t11)이다. 한편,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각 t9~t11에 2단계의 2800rpm(시각 t9~t10)(제2 패턴의 상태에 대응) 및 2600rpm(시각 t10~t11)(후술하는 제3 패턴에 대응)으로 하여도 된다.
한편, 제2 패턴에 있어서, 도 9에서의 시각 t8~t9에 사이펀 현상을 일으키기 위한 제1 유량을 발생시키기 위한 가압펌프(34)의 회전수를 예를 들어 2800rpm으로 낮추고, 사용하는 세정수의 양을 줄일 수도 있다. 이 경우, 시각 t9 이후에는, 배수트랩관로(14)의 어느 부위의 단면을 밀봉할 정도의 유량(제2 패턴)이 되는데, 볼부(12)에 물이 고여 있기 때문에, 이와 같은 낮은 회전수로도 사이펀 현상을 일으킬 수 있다. 단, 사이펀에 의한 오물의 흡인력이 약하기 때문에, 소변후의 세정용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제3 패턴에서는, 후술하는 도 11의 (e)에 나타내는 상태가 되어, 배수트랩관로(14)에 유입하는 세정수의 유량(제2 유량)이 오물반송이 가능한 유속을 일으키고, 또한 배수트랩관로(14)의 단면을 밀봉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이 때, 도 9에서의 시각 t9~t11에 제2 유량을 일으키기 위한 가압펌프(34)의 회전수는 1단계의 2600rpm(시각 t9~t11)이다.
이어서, 시각 t11에 저수탱크(32) 안의 세정수의 수위가 떨어지고, 하단 플로우트 스위치(32c)가 온이 되면, 가압펌프(34)의 작동을 정지한다. 이 때, 가압펌프(34)의 회전수를 제트토수구(16)로부터의 토수가 점점 줄어들도록 시각 t11~t12 동안 천천히 저감시킨다. 이에 의해, 사이펀 작용이 급격히 중단됨으로써 발생하는 사이펀 끊김음을 방지할 수 있다(특히, 제1 패턴).
시각 t11에 제트토수는 종료하였지만, 이 때 림토수는 여전히 계속되고 있으 며, 시각 t11부터 시각 t13까지의 소정 시간(예를 들어, 4초) 동안, 림토수(후기 림토수)만 계속된다.
그 후, 시각 t13~t14에 전환밸브(28)를 림측 전부개방으로부터 탱크측 전부개방으로 전환한다. 이에 의해, 저수탱크(32) 안에 세정수가 저장된다.
이어서, 시각 t15에 저수탱크(32) 안의 수위가 상승함으로써 상단 플로우트 스위치(32b)가 온되고, 이에 의해 전자밸브(22)가 오프(폐쇄조작)되어, 세정수의 저수탱크(32) 안으로의 유입이 정지된다.
이어서, 시각 t16에 전환밸브(28)가 림측과 탱크측 양쪽에 연결되는 중립위치로 돌아가고, 대기상태(시각 t0과 같은 상태)로 복귀한다.
이어서, 도 10에 따라, 상술한 제2 유량을 배수트랩관로(14)의 유입구(14a)에 유입시켰을 경우의 제2 패턴을 설명한다.
이 제2 패턴에서는, 도 9의 시각 t9~t11 동안의 가압펌프(34)의 회전수를 제1 패턴보다 줄여서 세정수를 제트토수구(16)로부터 제트토수하고, 이것에 림토수에 의한 유량이 더해져서, 배수트랩관로(14)의 입구부(14a)에 제2 유량을 유입시키도록 한 것이다.
이 제2 패턴에서의 도 10의 (a)~(h)의 상태 중, 도 10의 (e), (f) 상태만이 제1 패턴에서의 도 5의 (e), (f)의 상태와 다르고, 나머지는 같다.
즉, 제2 패턴에서는, 도 9의 시각 t9~t10에 도 10의 (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수트랩관로(14) 안으로 공기가 흡입되어도, 제트토수구(16)로부터 비교적 대유량의 세정수가 계속해서 토출되기 때문에, 이 제트토수가 배수트랩관로(14)의 입 구부(14a)의 단면을 밀봉한다. 한편, 제2 패턴에서는 제1 패턴보다 공급유량이 조금 줄어들었기 때문에, 배수트랩관로(14) 안에 배수관(D)측으로부터 공기가 들어가고, 이 때 사이펀 작용은 종료된다.
이와 같이, 제2 패턴에서는, 배수트랩관로(14)의 어느 부위(입구부(14a) 등)가 밀봉되어 있기 때문에, 사이펀 작용은 종료하여도 배수트랩관로(14)의 입구부(14a)로부터 대량의 공기가 한꺼번에 흡입되지 않고, 그 결과, 사이펀 작용에 의해 볼부(12) 안에 고인 물이 배출되었을 때, 배수트랩관로(14)의 입구부(14a)로부터 대량의 공기를 흡인함으로써 발생하는 사이펀 작용 종료시의 사이펀 끊김음을 억제할 수 있으며, 게다가 배수관(D)으로부터 악취가 올라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제트토수구(16)로부터 비교적 대유량의 제트토수가 이루어짐으로써, 세정수가 배수트랩관로(14)의 꼭대기부(14d)를 타고 넘을 수 있고, 그 결과 볼부에 떠 있는 오물을 배수트랩관로(14)로부터 배출할 수 있다.
이어서, 도 11에 따라, 상술한 제2 유량을 배수트랩관로(14)의 입구부(14a)에 유입시켰을 경우의 제3 패턴을 설명한다.
이 제3 패턴에서는, 도 9의 시각 t9~t11 동안의 가압펌프(34)의 회전수를 제2 패턴보다 더 줄여서 세정수를 제트토수구(16)로부터 제트토수하고, 이것에 림토수에 의한 유량이 더해져서 배수트랩관로(14)의 입구부(14a)에 제2 유량을 유입시키도록 한 것이다.
이 제3 패턴에서의 도 11의 (a)~(h)의 상태 중, 도 11의 (e), (f) 상태만이 제1 패턴에서의 도 5의 (e), (f)의 상태와 다르고, 나머지는 같다.
즉, 제3 패턴에서는, 도 9의 시각 t9~t10에 도 11의 (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수트랩관로 안으로 공기가 흡입되고 사이펀 작용은 종료하지만, 여전히 제트토수구(16)로부터 비교적 대유량의 세정수가 토수되기 때문에, 그 세정수의 흐름에 의해 배수트랩관로(14)의 입구부(14a)의 개구면적을 줄일 수 있고, 그곳으로부터 대량의 공기가 흡인되지 않으며, 그 결과, 사이펀 작용에 의해 볼부(12) 안에 고인 물이 배출되었을 때, 배수트랩관로(14)의 입구부(14a)로부터 대량의 공기를 흡인함으로써 발생하는 사이펀 작용 종료시의 사이펀 끊김음을 억제할 수 있고, 게다가 배수관(D)으로부터의 배수트랩관로(14)의 입구부(14a)로 악취가 올라오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더욱이, 세정수가 배수트랩관로(14)의 꼭대기부(14d)를 타고넘을 수 있어, 그 결과 볼부에 떠 있는 오물을 배수트랩관로(14)로부터 배출할 수 있다.
이어서, 도 12에 따라,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수세식 대변기를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수세식 대변기에서의 가압펌프의 회전수 변화를 나타내는 타임챠트이다. 이 제4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제3 실시예에 관한 도 9의 t9~t11에서의 가압펌프(34)의 회전수가 다를 뿐, 다른 부분은 제3 실시예와 같다.
이 제4 실시예에서는,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각 t7에 가압펌프(34)의 회전수를 3500rpm까지 증가시켜서 사이펀 작용을 급격히 발생시키며, 이어서 시각 t9에 가압펌프(34)의 회전수를 3500rpm에서 2800rpm까지 떨어뜨린다(시각 t9~t10에서의 제트토수 상태는 상술한 제3 패턴과 같다). 이와 같이 회전수를 떨어뜨림으로써 순간 토수량을 낮추어 절수를 도모할 수 있다. 그리고, 이어서 시각 t10에 가압펌프(34)의 회전수를 3300rpm까지 상승시킨다(시각 t10~t11에서의 제트토수 상태는 상술한 제1 패턴과 같다). 이와 같이 제트토수량을 늘려서 강력한 블로우 영역으로 함으로써, 오물(특히 사이펀 발생후에도 남아 있는 고인 물에 떠 있는 오물)을 트랩상승관(14b)으로부터 배출하여 세정능력을 높일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그 회전수를 바꿈으로써 유량을 조정하는 가압펌프(34)를 사용하였는데, 이 가압펌프 이외의 가압수단으로서, 예를 들어 축압탱크와 유량제어밸브를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 예에서는, 저수탱크를 축압탱크에 의해 구성하고, 그 축압탱크에 의해 가압공급된 세정수의 유량을 비례전자밸브식 유량제어밸브에 의해 제어하여 제트토수구로부터 토수시킬 수 있다.
이어서, 도 13 및 도 14에 따라,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수세식 대변기를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수세식 대변기를 나타내는 전체구성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수세식 대변기의 기본동작을 나타내는 타임챠트이다.
한편, 제5 실시예의 수세식 대변기의 기본구조는 도 1 및 도 3에 나타내는 것과 같기 때문에 그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는, 도 13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수세식 대변기(1)의 기능부(10)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능부(10)에는, 수도로부터 세정수가 공급되는 급수로(124)가 설치되고, 이 급수로(124)에는 상류측으로부터 지수전(126), 스 트레이너(128), 분기금구(130), 정류량 밸브(132), 다이어프램(diaphragm)식 전자개폐밸브(134)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 정류량 밸브(132), 전자개폐밸브(134) 및 후술하는 진공 브레이커(142, 148)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밸브유닛(137)으로서 일체로 조립되어 있다.
또한, 급수로(124)의 하류측(124a)은 저수탱크(120)에 접속되어, 저수탱크(120)에 세정수를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정류량 밸브(132)는, 지수전(126), 스트레이너(128), 분기금구(130)를 통하여 유입한 세정수를 소정의 유량 이하로 조이기 위한 것이다. 또한, 정류량 밸브(132)를 통과한 세정수는 전자개폐밸브(134)에 유입하고, 전자개폐밸브(134)를 통과한 세정수는 급수로(124)에 의해 저수탱크(120)에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저수탱크(120)의 하부에는 펌프측 급수로(145)가 접속되어 있으며, 이 펌프측 급수로(145)의 하류단에는 펌프실(122a)을 구비한 가압펌프(122)가 접속되어 있다. 더욱이, 가압펌프(122)와 제트토수구(16)는 제트측 급수로(146)에 의해 접속되어 있으며, 가압펌프(122)가 저수탱크(120)에 저장된 세정수를 가압하여 제트토수구(16)까지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제트측 급수로(146)는,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위쪽을 향하여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 볼록한 형상 부분의 꼭대기부(146a)가 가장 높은 위치로 되어 있다.
이 제트측 급수로(146)에는 급수로 전환밸브(136)가 설치되어 있다. 더욱이, 이 급수로 전환밸브(136)에는 림토수구(18)에 세정수를 공급하기 위한 림측 급수 로(138)가 제트측 급수로(146)로부터 분기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 급수로 전환밸브(136)는 림측 급수로(138)와 제트측 급수로(146)의 양쪽으로 같은 타이밍에 세정수를 공급할 수 있으며, 림측과 탱크측으로의 급수량의 비율을 임의로 변경할 수 있는 전환밸브이다.
이어서, 상술한 림측 급수로(138)에는 림토수용 진공 브레이커(148)가 설치되어 있어, 급수로 전환밸브(136)의 상류측에서 부압(負壓)이 발생하였을 때 세정수가 림토수구(18)로부터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림토수용 진공 브레이커(148)는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볼부(12)의 상단면보다 위쪽에 배치되고, 이에 의해 역류를 확실하게 방지하고 있다. 더욱이, 림토수용 진공 브레이커(148)의 대기개방부로부터 넘친 세정수는 리턴관로(150)를 통하여 저수탱크(120)에 유입하도록 되어 있다.
급수로(124)에도 역지밸브인 진공 브레이커(142)가 설치되어 있어, 세정수가 저수탱크(120)로부터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여기서, 저수탱크(120)는 밀폐타입의 저수탱크이며, 급수로(124)의 하류측(124a)과 저수탱크(120)의 접속부에는 볼(ball)식 역지밸브(143)가 설치되어 있다. 이 볼식 역지밸브(143)에 의해, 저수탱크(120)가 후술하는 오버플로우 유로(170)의 상단(170a) 위치를 넘어 만수상태가 되었을 경우에도 볼(143a)이 떠올라서 급수로(124)와의 접속부를 폐쇄하기 때문에, 세정수가 급수로(124)로 역류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리턴관로(150)와 저수탱크(120)의 접속부에도 볼식 역지밸 브(144)가 설치되어 있어, 저수탱크(120)가 후술하는 오버플로우 유로(170)의 상단(170a) 위치를 넘어 만수상태가 된 경우에도, 세정수가 리턴관로(150)로 역류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더욱이, 펌프측 급수로(145)에는 역지밸브인 제트토수용 플래퍼 밸브(156) 및 물빼기마개(158)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제트토수용 플래퍼 밸브(156) 및 물빼기마개(158)는 가압펌프(122)보다 아래쪽의 저수탱크(120) 하단부 부근의 높이에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물빼기마개(158)를 개방함으로써, 보수유지시 등에 저수탱크(120)와 가압펌프(122) 안의 세정수를 배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저수탱크(120)와 가압펌프(122) 사이에 제트토수용 플래퍼 밸브(156)를 배치함으로써, 저수탱크(120) 안의 수위가 가압펌프(122)의 높이보다 낮아졌을 경우, 세정수가 가압펌프(122)로부터 저수탱크(120)로 역류하여 가압펌프(122) 안의 세정수가 빠지고 가압펌프(122)가 공운전해버리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가압펌프(122)의 아래쪽에는 물받이 트레이(160)가 배치되어 있어, 결로한 물방울이나 누수를 받도록 되어 있다.
기능부(10)에는 전자개폐밸브(134)의 개폐조작, 급수로 전환밸브(136)의 전환조작, 및 가압펌프(122)의 회전수나 작동시간 등을 제어하는 컨트롤러(162)가 내장되어 있다.
저수탱크(120)의 내부에는 상단 플로우트 스위치(164a) 및 하단 플로우트 스위치(164b)가 배치되어 있다.
상단 플로우트 스위치(164a)는 저수탱크(120) 안의 수위가 통상 사용시의 최 고수위(L1)보다 조금 낮은 소정의 수위(L2)에 도달하면 온으로 전환되고, 컨트롤러(162)는 이것을 검지하여 전자개폐밸브(134)를 폐쇄시킨다.
하단 플로우트 스위치(164b)는 저수탱크(120) 안의 수위가 통상 사용시의 최저수위(L2)보다 조금 높은 소정의 수위(L3)까지 떨어지면 온으로 전환되고, 컨트롤러(162)는 이것을 검지하여 가압펌프(122)를 정지시킨다.
또한, 오버플로우 유로(170)가 설치되며, 이 오버플로우 유로(170)의 상단(170a)은 저수탱크(120) 안으로 개구하고, 그 하단(170b)은 제트측 급수로(146)에 접속되어 있다.
이 오버플로우 유로(170)에는 역지밸브인 플래퍼 밸브(172)가 설치되어 있다. 이 오버플로우 유로(170) 및 플래퍼 밸브(172)에 의해 세정수의 제트토수구(16)로부터의 역류를 방지하는 동시에, 이들 사이를 차단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컨트롤러(162)는, 사용자가 세정 스위치(도시하지 않음)를 온조작함으로써, 전자개폐밸브(134), 가압펌프(122), 급수로 전환밸브(136)를 차례로 작동시켜서, 먼저 림토수구(18)로부터 토수하고, 이 림토수를 계속하면서, 이어서 제트토수구(16)로부터의 토수를 시작하여 볼부(12)를 세정한다. 더욱이, 컨트롤러(162)는, 세정 종료후에도 전자개폐밸브(134)를 계속 개방하여 세정수를 저수탱크(120)에 보급한다. 저수탱크(120) 안의 수위가 상승하여 상단 플로우트 스우치(164a)가 규정의 저수량을 검출하면, 컨트롤러(162)는 전자개폐밸브(134)를 폐쇄하여 급수를 정지한다.
이어서, 도 14에 따라, 제5 실시예의 수세식 대변기의 기본동작을 설명한다.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먼저 대기상태(시각 t0~t1)에서 급수로 전환밸브(136)는, 림측 급수로(138)로만 연결되는 림측 전부개방 위치(림측 100%, 제트측 0%인 위치)로 되어 있다. 이어서, 이 대기상태(시각 t0~t1)에서 변기세정 스위치(도시하지 않음)를 온조작하면(시각 t1), 전자개폐밸브(134)를 개방(온)조작하여 세정수를 저수탱크(120)로 공급하는 동시에, 가압펌프(122)를 시동하여(온조작하여) 회전수를 저속인 1000rpm까지 상승시킨다. 동시에, 급수로 전환밸브(136)를 림측 전부개방위치로부터 제트측 전부개방위치(림측 0%, 제트측 100%인 위치)까지 전환한다.
이어서, 시각 t2~t3 동안, 급수로 전환밸브(136)를 제트측 전부개방위치에 유지시키고, 그 후 시각 t3~t4 동안, 서서히 급수로 전환밸브(136)를 제트측 전부개방위치로부터 림측 전부개방위치로 전환하여 림토수구(18)로부터 세정수를 토수한다.
이와 같이, 급수로 전환밸브(136)를 림측 전부개방위치로부터 일단 제트측 전부개방위치로 전환하고, 그 후 림측 전부개방위치로 전환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탱크측 급수로(145) 안에 잔류하였던 공기를 제트토수구(16)로부터 배출할 수 있다. 그 결과, 탱크측 급수로(145) 안의 공기를 갑자기 림측으로부터 배출하였을 때 림토수구(18)에서 발생하는 배출음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시각 t1~t5 동안(예를 들어, 5초 동안) 림세정이 이루어진다. 이어서, 시각 t5~t6 동안 급수로 전환밸브(136)를 림측 전부개방위치로부터 림 측과 제트측 양쪽으로 연결되는 양측 개방위치로 서서히 전환한다. 그 후, 시각 t6에 가압펌프(122)를 고속회전시켜서(예를 들어, 3500rpm) 제트토수를 시작한다.
여기서, 시각 t6에 가압펌프(122)에 의해 제트토수를 시작할 때, 림토수는 계속해서 이루어지고 있다. 더욱이, 이 림토수는 제트토수가 시작되고 나서 종료할 때까지(시각 t5~t10 동안), 중단되지 않고 계속해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트토수를 시작할 때, 림토수가 계속해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즉 림토수에 의해 볼부(12)와 배수트랩관로(14) 안에 고인 물의 수위가 상승한 상태에서 제트토수를 하고 있기 때문에, 단시간에 사이펀 작용을 기동시키고, 게다가 강한 사이펀 작용을 발생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사이펀 작용 기동을 위한 제트토수의 세정수량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절수화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제트토수를 시작하고 나서 종료할 때까지(시각 t6~t10 동안) 림토수가 중단되지 않고 계속해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에 의해 배수트랩관로의 입구부에 공기가 유입하기 어려워지고, 사이펀 끊김음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부유계 오물을 고인 물의 중심으로 모으면서 제트토수함으로써, 부유계 오물이 볼면으로 달라붙는 것을 방지하여 부유계 오물도 확실하게 배출할 수 있다.
이어서, 이 제트토수시에 컨트롤러(162)가 가압펌프(122)의 회전수를 아래와 같이 제어한다.
먼저, 제트토수전의 시각 t5~t6 동안, 급수로 전환밸브(136)가 림측 전부개방위치로부터 양측 개방위치로 전환할 때, 가압펌프(122)를 비교적 저속(예를 들 어, 1000rpm)으로 유지한다. 이에 의해, 제트측 급수로(146)의 꼭대기부(146a) 근방(즉, 볼부(12)에 고인 물의 수면보다 위쪽에 위치하는 부분)에 체류하는 공기를 천천히 제트토수구(16)로부터 배출한다. 그 결과, 가압펌프(122)를 갑자기 본래의 고속회전으로 시동하였을 경우에 발생하는 제트토수구(16)로부터의 공기 배출음을 방지할 수 있다.
이어서, 시각 t7~t8에 가압펌프(122)를 고속회전(예를 들어, 3500rpm)시킨다. 이에 의해, 가압펌프(122)에 의한 가압력이 커지고, 제트토수구(16)로부터 대유량의 세정수가 토수된다. 이 때, 림토수구(18)로부터 계속해서 림토수가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림토수구(18)로부터 토수되는 세정수의 유량이 더해져서 대유량의 세정수가 배수트랩관로(14)의 입구부(14a)에 유입하고, 사이펀 현상이 급속히 일어나서 볼부(12) 안에 고인 물 및 오물이 빠르게 배출된다. 이 때, 배수트랩관로(14)의 입구부(14a)에 유입하는 유량(제1 유량)은, 림토수에 의한 유량과 제트토수에 의한 유량의 합계로 75ℓ/min~120ℓ/min이고, 종래와 비교하여 대유량으로 되어 있다.
이어서, 시각 t8~t9에, 배수트랩관로(14)의 입구부(14a)에 유입하는 세정수의 유량(제2 유량)을 상기 유량(제1 유량)보다 적은 유량으로 하기 위하여, 가압펌프(112)의 회전수를 조금 줄인다. 이 도 14의 예에서는, 제2 유량을 배수트랩관로(14)의 입구부(14a)에 유입시키기 위하여, 가압펌프(122)의 회전수를 2단계(예를 들어, 3300rpm과 3200rpm)로 감속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 때, 가압펌프(122)의 회전수는 변하지 않고 1단계이어도 되고, 또한 3단계 이상으로 감속시켜도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유량에 의해 발생한 사이펀 현상이 종료하기 직전(시각 t8)에 배수트랩관로(14)의 입구부(14a)에 제1 유량보다 적은 제2 유량의 세정수를 유입시키고 있다.
제5 실시예에서도, 제2 유량은 적어도 볼부(12)의 오물을 배수트랩관로(14)의 꼭대기부(14d)를 넘어 반출가능한 유속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필요한 유량이며, 상술한 제3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이 볼부(12)로부터 오물반출이 가능한 범위에서 유량을 조정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제2 유량을 제1 유량보다 작게 함으로써, 적은 유량으로 볼부(12) 안에 떠 있는 오물을 배출하기 때문에, 절수가 더욱 꾀해지고, 더구나 제트토수구(16)로부터의 토수음을 낮추어 정음화를 도모할 수 있다는 효과도 있다. 더욱이, 가압펌프(122)의 펌프회전수를 낮춤으로써 가압펌프(122)의 관성력이 떨어져 있으며, 가압펌프(122)의 관성력에 의해 저수탱크(120)로부터 흡인되는 세정수가 적어도 되기 때문에, 저수탱크(120)를 소형화하여도 가압펌프(122)가 공기를 흡인하여 소위 공기유입 운전을 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5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제3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2 유량을 여러 값으로 조정함으로써 마찬가지의 제1 패턴, 제2 패턴 및/또는 제3 패턴을 실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어서, 시각 t5로부터 소정 시간(예를 들어, 3초)이 경과한 시각 t10에, 가압펌프(122)를 저속 회전(예를 들어, 1000rpm)으로 한다. 또한, 동시에 급수로 전환밸브(136)를 양측 개방위치로부터 림측 전부개방위치로 전환한다. 가압펌프(122)의 회전수를 제트토수구(16)로부터의 토수가 점점 줄어들도록 시각 t10~t11 동안 천천히 저감시킨다. 이에 의해, 사이펀 작용이 급격하게 중단됨으로써 발생하는 사이펀 끊김음을 방지할 수 있다(특히, 제1 패턴).
시각 t11에 제트토수는 종료하였지만, 이 때 림토수는 여전히 계속되고 있다.
이어서, 시각 t12에 저수탱크(120) 안의 세정수의 수위가 L3으로 떨어지고, 하단 플로우트 스위치(164b)가 온이 되면, 가압펌프(122)의 작동을 정지시킨다. 이 시각 t12 이후에 가압펌프(122)는 정지한 상태인데, 전자개폐밸브(134)는 여전히 개방상태이기 때문에, 시각 t12 이후에 저수탱크(120) 안에 세정수가 보급(탱크급수)되게 되어 있다.
이어서, 시각 t14에 저수탱크(120) 안의 수위가 상승함으로써 상단 플로우트 스위치(164a)가 온되고, 그 후 시각 t15에 전자개폐밸브(134)가 오프(폐쇄조작)되어 세정수의 저수탱크(120) 안으로의 유입이 정지된다.
이 시각 t15에, 급수로 전환밸브(136)는 림측 전부개방위치로 되어 있으며, 대기상태(시각 t0와 같은 상태)로 복귀한다.
본 명세서 내에 기재되어 있음.

Claims (21)

  1. 가압한 세정수에 의해 세정되는 수세식 대변기로서,
    볼부, 세정수를 토출하는 림토수구 및 제트토수구, 그리고 배수트랩관로를 구비한 변기본체;
    세정수를 저장하는 저수탱크;
    세정수를 림토수구로 소정의 타이밍에 공급하는 림토수 공급수단;
    세정수를 상기 저수탱크로 소정의 타이밍에 보급하는 저수공급수단;
    상기 저수탱크에 저장된 세정수를 가압하여 상기 제트토수구에 공급하는 가압펌프; 및
    상기 가압펌프의 작동을 제어하는 동시에 회전수를 제어하여, 상기 제트토수구로부터 토수되는 세정수의 유속 및 유량을 제어하는 가압펌프 제어수단;을 가지고,
    상기 배수트랩관로는, 입구부와, 상기 입구부로부터 상승하는 트랩상승관과, 상기 트랩상승관으로부터 하강하는 트랩하강관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트토수구는, 상기 배수트랩관로의 입구부를 향하여 대략 수평으로 배치되며,
    상기 가압펌프 제어수단은, 제트토수구로부터 사이펀 작용을 발생시키기 위한 제1 유량을 토수하고, 이어서 상기 제1 유량에 의해 발생한 사이펀 작용의 종료전에 오물반출이 가능한 유속으로, 상기 배수트랩관로의 어느 부위의 단면을 밀봉 하여 사이펀 작용을 지속시키는 제2 유량을 토수하도록 상기 가압펌프의 회전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세식 대변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펌프 제어수단은 제2 유량이 제1 유량보다 작아지도록 상기 가압펌프의 회전수를 제어하는 수세식 대변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펌프 제어수단은, 제2 유량의 토수 종료시에 상기 제트토수구로부터의 토수가 점점 줄어들도록 상기 가압펌프의 회전수를 제어하는 수세식 대변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량은 75~120ℓ/min인 수세식 대변기.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펌프 제어수단에 의해 제어되는 가압펌프에 의해 상기 제트토수구로부터 토수되는 세정수의 유속은 3.0~6.2m/sec인 수세식 대변기.
  6. 가압한 세정수에 의해 세정되는 수세식 대변기로서,
    볼부, 세정수를 토출하는 림토수구 및 제트토수구, 그리고 배수트랩관로를 구비한 변기본체;
    세정수를 저장하는 저수탱크;
    세정수를 림토수구로 소정의 타이밍에 공급하는 림토수 공급수단;
    세정수를 상기 저수탱크로 소정의 타이밍에 보급하는 저수공급수단;
    상기 저수탱크에 저장된 세정수를 가압하여 상기 제트토수구에 공급하는 가압수단; 및
    상기 가압수단의 작동을 제어하는 동시에 상기 가압수단에 의한 가압량을 제어하여, 상기 제트토수구로부터 토수된 세정수의 유속 및 유량을 제어하는 가압수단 제어수단;을 가지고,
    상기 배수트랩관로는, 입구부와, 상기 입구부로부터 상승하는 트랩상승관과, 상기 트랩상승관으로부터 하강하는 트랩하강관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트토수구는, 상기 배수트랩관로의 입구부를 향하여 대략 수평으로 배치되며,
    상기 가압수단 제어수단은, 제트토수구로부터 사이펀 작용을 발생시키는 제1 유량을 토수하고, 이어서 상기 제1 유량에 의해 발생한 사이펀 작용의 종료전에 상기 제1 유량보다 작고 적어도 오물반출이 가능한 유속을 발생시키는 제2 유량을 토수하도록 상기 가압수단에 의한 가압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세식 대변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수단 제어수단은, 상기 사이펀 작용의 종료전에 오물반출이 가능한 유속을 발생시키고, 상기 배수트랩관로의 어느 부위의 단면을 밀봉하여 배수트랩관로 안을 거의 만수상태로 함으로써 사이펀 작용을 지속시키는 제2 유량을 토수하도록 상기 가압수단에 의한 가압량을 제어하는 수세식 대변기.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수단 제어수단은, 상기 사이펀 작용의 종료전에 오물반출이 가능한 유속을 발생시키고, 또한 상기 배수트랩관로의 어느 부위의 단면을 밀봉하는 제2 유량을 토수하도록 상기 가압수단에 의한 가압량을 제어하는 수세식 대변기.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수단 제어수단은, 상기 사이펀 작용의 종료전에 오물반출이 가능한 유속을 발생시키고, 또한 상기 배수트랩관로의 단면을 밀봉하지 않는 제2 유량을 토수하도록 상기 가압수단에 의한 가압량을 제어하는 수세식 대변기.
  10. 제 6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수단 제어수단은, 제트토수구로부터의 상기 제2 유량의 토수를 종료할 때, 상기 제트토수구로부터의 토수가 점점 줄어들도록 상기 가압수단에 의한 가압량을 제어하는 수세식 대변기.
  11. 제 6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량은 75~120ℓ/min인 수세식 대변기.
  12. 제 6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수단 제어수단에 의해 제어되는 가압수단에 의해 상기 제트토수구로부터 토수되는 세정수의 유속은 3.0~6.2m/sec인 수세식 대변기.
  13. 가압한 세정수에 의해 세정되는 수세식 대변기로서,
    볼부, 세정수를 토출하는 림토수구 및 제트토수구, 그리고 배수트랩관로를 구비한 변기본체;
    세정수를 저장하는 저수탱크;
    세정수를 림토수구로 소정의 타이밍에 공급하는 림토수 공급수단;
    상기 저수탱크에 저장된 세정수를 가압하는 가압펌프;
    상기 가압펌프로 가압된 세정수를 소정의 타이밍에 제트토수구로 공급하는 제트토수 공급수단;
    상기 림토수 공급수단, 가압펌프 및 제트토수 공급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변기본체의 볼부로 세정수를 토수시키는 제어수단;을 가지고,
    상기 제어수단은, 먼저 림토수구로부터 세정수를 토수하고, 이어서 림토수구로부터의 세정수 토수를 계속한 상태에서 제트토수구로부터 사이펀 작용을 발생시키는 제1 유량을 토수하도록 상기 림토수 공급수단, 가압펌프 및 제트토수 공급수 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세식 대변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트토수구는 상기 배수트랩관로의 입구부를 향하여 대략 수평하게 배치되어 있는 수세식 대변기.
  15. 제 13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제트토수구로부터 사이펀 작용을 발생시키는 제1 유량을 토수한 후, 상기 제1 유량에 의해 발생한 사이펀 작용의 종료전에 상기 제1 유량보다 작고 적어도 오물반출이 가능한 유속을 발생시키는 제2 유량을 토수하도록 상기 림토수 공급수단, 가압펌프 및 제트토수 공급수단을 제어하는 수세식 대변기.
  16. 제 13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림토수 공급수단은 수도의 급수압력에 의해 세정수를 림토수구로부터 토수하는 수세식 대변기.
  17. 제 13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제1 유량의 세정수를 제트토수구로부터 토수하기 전에, 상기 가압펌프를 소정의 저속으로 회전시켜서 상기 가압펌프와 제트토수구를 접속하는 급수로 안에 잔존하는 공기를 상기 제트토수구로부터 배출하도록 한 수세식 대변기.
  18. 제 13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제트토수구로부터 토수되고 있을 때 상기 림토수구로부터의 토수를 계속 실시하도록 상기 림토수 공급수단을 제어하는 수세식 대변기.
  19.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림토수구로부터 토수되는 유량과 제트토수구로부터 토수되는 상기 제1 유량의 합계가 75~120ℓ/min이 되도록 상기 림토수 공급수단, 가압펌프 및 제트토수 공급수단을 제어하는 수세식 대변기.
  20. 제 13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펌프에 의해 상기 제트토수구로부터 토수되는 세정수의 유속은 3.0~6.2m/sec인 수세식 대변기.
  21. 가압한 세정수에 의해 세정되는 수세식 대변기로서,
    볼부, 세정수를 토출하는 림토수구 및 제트토수구, 그리고 배수트랩관로를 구비한 변기본체;
    세정수를 저장하는 저수탱크;
    상기 저수탱크에 저장된 세정수를 가압하는 가압펌프;
    상기 가압펌프로 가압된 세정수를 소정의 타이밍에 림토수구로 공급하는 림토수 공급수단;
    상기 가압펌프로 가압된 세정수를 소정의 타이밍에 제트토수구로 공급하는 제트토수 공급수단;
    상기 림토수 공급수단, 가압펌프 및 제트토수 공급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변기본체의 볼부로 세정수를 토수시키는 제어수단;을 가지고,
    상기 제어수단은, 먼저 림토수구로부터 세정수를 토수하고, 이어서 림토수구로부터의 세정수 토수를 계속한 상태에서 제트토수구로부터 사이펀 작용을 발생시키는 제1 유량을 토수하도록 상기 림토수 공급수단, 가압펌프 및 제트토수 공급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세식 대변기.
KR1020097006490A 2006-12-28 2007-12-25 수세식 대변기 KR1014743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354726 2006-12-28
JP2006354726 2006-12-28
JP2007170796 2007-06-28
JPJP-P-2007-170796 2007-06-28
JP2007197557A JP4110578B1 (ja) 2006-12-28 2007-07-30 水洗大便器
JPJP-P-2007-197557 2007-07-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6686A true KR20090096686A (ko) 2009-09-14
KR101474369B1 KR101474369B1 (ko) 2014-12-18

Family

ID=39588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6490A KR101474369B1 (ko) 2006-12-28 2007-12-25 수세식 대변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544123B2 (ko)
EP (1) EP2065522B1 (ko)
JP (1) JP4110578B1 (ko)
KR (1) KR101474369B1 (ko)
CN (1) CN101506439B (ko)
CA (2) CA2935853C (ko)
TW (1) TWI381083B (ko)
WO (1) WO200808177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0346B1 (ko) * 2007-06-28 2014-06-20 토토 가부시키가이샤 수세식 대변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10578B1 (ja) 2006-12-28 2008-07-02 Toto株式会社 水洗大便器
JP4497210B2 (ja) * 2006-12-28 2010-07-07 Toto株式会社 水洗大便器
JP5040391B2 (ja) * 2007-03-23 2012-10-03 Toto株式会社 便器装置
US8615822B2 (en) * 2009-05-31 2013-12-31 Fluidmaster, Inc. Air pressure activated toilet flushing system
JP5815242B2 (ja) * 2011-01-05 2015-11-17 株式会社Lixil 便器洗浄装置
CN103104019A (zh) * 2011-11-10 2013-05-15 郭志刚 强吸管
US8709890B2 (en) 2011-12-12 2014-04-2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structure for forming ETSOI capacitors, diodes, resistors and back gate contacts
CN102653952B (zh) * 2012-04-27 2015-04-08 科勒(中国)投资有限公司 虹吸抽水马桶
CN203200865U (zh) * 2013-01-28 2013-09-18 杜拉维特卫浴科技(上海)有限公司 座便器自动冲水系统及电子座便器
US9783975B2 (en) 2013-07-15 2017-10-10 As Ip Holdco, Llc Self-cleaning toilet assembly and system
US10760255B2 (en) * 2013-07-15 2020-09-01 As America, Inc. Self cleaning toilet assembly and system
EP2843142B1 (de) * 2013-08-29 2016-06-29 Dometic GmbH Verfahren zur Spülung einer Toilette, Toilettensystem und Freizeitmobil mit einem Toilettensystem
JP6079968B2 (ja) * 2013-09-30 2017-02-15 Toto株式会社 トイレ装置
PE20170857A1 (es) 2014-09-12 2017-07-05 As Ip Holdco Llc Inodoro con sistema de chorro cebado
CN106013362B (zh) * 2015-03-24 2018-07-27 Toto株式会社 冲水大便器
JP6029725B2 (ja) * 2015-09-24 2016-11-24 株式会社Lixil 便器洗浄装置
JP6868204B2 (ja) * 2016-05-02 2021-05-12 Toto株式会社 排水トラップ洗浄装置
JP6908871B2 (ja) * 2016-06-27 2021-07-28 Toto株式会社 水洗大便器
CN106801458A (zh) * 2017-03-17 2017-06-06 科勒(中国)投资有限公司 马桶冲洗方法及系统
CN107090886B (zh) * 2017-06-02 2024-01-23 厦门佳普乐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自来水直冲马桶
CN108130944A (zh) * 2018-01-23 2018-06-08 厦门精中模具有限公司 一种基于虹吸原理的低水位坐便器及其运行方式
CN109752081B (zh) * 2018-05-18 2020-12-29 李文杰 有效感觉噪声级室外测量法检测坐便器冲洗噪声的方法
CN109752075B (zh) * 2018-05-18 2021-02-12 李文杰 有效感觉噪声级脉冲测量法检测坐便器冲洗噪声的方法
CN109752082B (zh) * 2018-05-18 2020-12-29 李文杰 有效感觉噪声级测量法检测便器水箱进水噪声的方法
CN110160636B (zh) * 2018-05-18 2021-06-15 李文杰 A计权声功率级测量法检测壁挂式坐便器冲洗噪声的方法
CN109752083B (zh) * 2018-05-18 2021-02-12 李文杰 声功率级平行六面体测量面法检测坐便器冲洗噪声的方法
CN109752079B (zh) * 2018-05-18 2020-12-29 李文杰 有效感觉噪声级测量法检测落地式坐便器冲洗噪声的方法
CN109752080B (zh) * 2018-05-18 2020-12-29 李文杰 有效感觉噪声级室外测量法检测便器水箱进水噪声的方法
CN109764955B (zh) * 2018-05-18 2021-02-12 李文杰 有效感觉噪声级脉冲测量法检测便器水箱进水噪声的方法
CN109752084B (zh) * 2018-05-18 2021-02-12 李文杰 声能量级测量法检测壁挂式陶瓷坐便器冲洗噪声的方法
US11111658B2 (en) 2018-09-28 2021-09-07 Toto Ltd. Flush toilet
EP3674491B1 (en) * 2018-12-28 2021-09-01 Shanghai Kohler Electronics, Ltd. Water supply assembly of a toilet
CN109972716A (zh) * 2019-03-19 2019-07-05 惠达卫浴股份有限公司 一种坐便器
JP7012947B2 (ja) * 2019-09-27 2022-01-31 Toto株式会社 水洗大便器
CN112779958A (zh) * 2019-11-05 2021-05-11 厦门松霖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带水箱的马桶冲刷系统和马桶
JP6970392B2 (ja) 2020-02-04 2021-11-24 Toto株式会社 水洗大便器
JP7049589B2 (ja) 2020-02-25 2022-04-07 Toto株式会社 水洗大便器
JP7205805B2 (ja) 2020-08-28 2023-01-17 Toto株式会社 水洗大便器
JP7237285B2 (ja) * 2020-08-28 2023-03-13 Toto株式会社 水洗大便器
JP7191292B2 (ja) * 2020-09-18 2022-12-19 Toto株式会社 タンク装置
CN112459188A (zh) * 2020-11-04 2021-03-09 厦门宸星汇通科技有限公司 一种节水便器
CN113529891B (zh) * 2021-08-02 2023-02-17 谷力(厦门)科技有限公司 一种马桶排水装置
CN113529890B (zh) * 2021-08-02 2023-04-14 谷力(厦门)科技有限公司 一种改善噪音的马桶装置
WO2023192641A1 (en) * 2022-04-01 2023-10-05 As America, Inc. Plumbing fixture boost system
CN114687423A (zh) * 2022-04-27 2022-07-01 深圳市恒致云科技有限公司 智能马桶的双泵冲水方法、装置、系统、智能马桶
CN114893417A (zh) * 2022-05-10 2022-08-12 深圳麦格米特电气股份有限公司 水泵控制方法与坐便器、可读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8910600T2 (de) * 1988-07-25 1994-06-01 Toto Ltd Wasserklosettspülvorrichtung.
JP2690529B2 (ja) 1988-11-14 1997-12-10 東陶機器株式会社 大便器洗浄方法および洗浄装置
US5204999A (en) * 1989-03-30 1993-04-27 Toto Ltd. Flush water supply system for toilet stool
JPH0390750A (ja) 1989-09-01 1991-04-16 Toto Ltd 水洗式便器
JP2774605B2 (ja) 1989-09-01 1998-07-09 東陶機器株式会社 便器の洗浄給水装置
JP2953002B2 (ja) 1989-09-01 1999-09-27 東陶機器株式会社 便器の洗浄給水装置
US5502845A (en) * 1991-06-10 1996-04-02 Toto Ltd. Siphon-jet flush water supply system for toilet stool
US5305475A (en) 1992-11-13 1994-04-26 Kohler Co. Pump operated plumbing fixture
WO1996020316A1 (fr) * 1994-12-28 1996-07-04 Toto Ltd. Water closet
CN1175150C (zh) * 1996-08-06 2004-11-10 东陶机器株式会社 抽水马桶
JPH1161949A (ja) * 1997-08-20 1999-03-05 Toto Ltd サイホン式便器の洗浄方法
PL347742A1 (en) * 1999-09-27 2002-04-22 Toto Ltd Water closet and flushing water feed device
US20030213055A1 (en) * 1999-10-29 2003-11-20 Toto Ltd. Drainage device for siphon action toilet
JP2002266411A (ja) * 2001-03-06 2002-09-18 Toto Ltd 大便器装置
JP4721026B2 (ja) 2001-03-28 2011-07-13 Toto株式会社 大便器装置
JP2003193539A (ja) 2001-12-27 2003-07-09 Toto Ltd 水洗便器
JP4207428B2 (ja) 2002-01-24 2009-01-14 Toto株式会社 便器装置
JP4110853B2 (ja) 2002-06-21 2008-07-02 Toto株式会社 便器装置
JP4465704B2 (ja) * 2003-03-05 2010-05-19 Toto株式会社 サイホンジェット式便器
JP4315029B2 (ja) 2004-03-16 2009-08-19 Toto株式会社 水洗便器
JP2005336796A (ja) 2004-05-26 2005-12-08 Toto Ltd 水道直圧式大便器
JP2006028757A (ja) * 2004-07-12 2006-02-02 Toto Ltd 水道直圧式大便器
JP4432114B2 (ja) 2004-09-30 2010-03-17 Toto株式会社 洋風水洗式便器用ポンプユニット
JP4517394B2 (ja) 2005-02-28 2010-08-04 Toto株式会社 蓄圧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水洗大便器、昇降装置、及びソープディスペンサ
JP2006241698A (ja) * 2005-02-28 2006-09-14 Toto Ltd 水洗大便器
US8032956B2 (en) * 2005-11-21 2011-10-11 Ideal Standard International Bvba Multi-phase, high energy flushing system
JP4110578B1 (ja) 2006-12-28 2008-07-02 Toto株式会社 水洗大便器
JP5130797B2 (ja) * 2007-06-21 2013-01-30 Toto株式会社 水洗大便器
JP5633267B2 (ja) 2009-09-30 2014-12-03 Toto株式会社 衛生洗浄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0346B1 (ko) * 2007-06-28 2014-06-20 토토 가부시키가이샤 수세식 대변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065522A4 (en) 2014-07-30
JP4110578B1 (ja) 2008-07-02
CN101506439A (zh) 2009-08-12
US20090313750A1 (en) 2009-12-24
WO2008081778A1 (ja) 2008-07-10
CA2935853C (en) 2018-06-05
EP2065522B1 (en) 2021-03-03
CA2663799A1 (en) 2008-07-10
EP2065522A1 (en) 2009-06-03
KR101474369B1 (ko) 2014-12-18
CA2663799C (en) 2016-10-11
CN101506439B (zh) 2011-12-07
US8544123B2 (en) 2013-10-01
CA2935853A1 (en) 2008-07-10
TW200831747A (en) 2008-08-01
JP2009030405A (ja) 2009-02-12
TWI381083B (zh) 2013-0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96686A (ko) 수세식 대변기
JP5223880B2 (ja) 水洗大便器
KR101410346B1 (ko) 수세식 대변기
CN101688389B (zh) 具有用于防止溢出的辅助水箱的坐便器
JPH08277568A (ja) 水洗トイレ及びトイレ水洗方法
JP5051611B2 (ja) 水洗大便器
JP5299832B2 (ja) 水洗大便器
JP2007046307A (ja) 便器洗浄装置
JP4958070B2 (ja) 水洗便器
JP5412779B2 (ja) 洋風大便器
JP5263704B2 (ja) 水洗大便器
JP2010236202A (ja) 水洗大便器
JP5007943B2 (ja) 水洗大便器
JP2020186595A (ja) 水洗大便器
JP2020186596A (ja) 水洗大便器
JP2024004218A (ja) 水洗大便器
JP5040391B2 (ja) 便器装置
CN115726443A (zh) 水洗大便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