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86901A - 슬라이드 도어용 급전장치 - Google Patents

슬라이드 도어용 급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86901A
KR20090086901A KR1020087027885A KR20087027885A KR20090086901A KR 20090086901 A KR20090086901 A KR 20090086901A KR 1020087027885 A KR1020087027885 A KR 1020087027885A KR 20087027885 A KR20087027885 A KR 20087027885A KR 20090086901 A KR20090086901 A KR 200900869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t cable
slide door
vehicle body
cable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278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97213B1 (ko
Inventor
노리쓰구 에노모토
마사토시 우시야마
야스히코 무카이
Original Assignee
후루카와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루카와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루카와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869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69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72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72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07Wire harnesses
    • B60R16/0215Protecting, fastening and routing mean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02G11/006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using extensible carrier for the cable, e.g. self-coiling spr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62Tubings, i.e. having a closed section
    • H02G3/0468Corrug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Cable Arrangement Between Relatively Moving Parts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플랫 케이블(130)의 굴곡부(131)가 차량(10)의 앞방향(도면 좌향)에 돌출하고 있고 플랫 케이블(130)이 도어측 고정부(120)으로부터 앞방향으로 나타나 있다. 이와 같이, 도어측 고정부(120)으로부터 플랫 케이블(130)을 인출하는 방향을, 플랫 케이블(130)을 굴곡 시키고 싶은 방향과 일치시키는 것으로, 굴곡부(131)를 소정의 방향으로 형성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슬라이드 도어용 급전장치{POWER SUPPLY DEVICE FOR SLIDE DOOR}
본 발명은, 자동차의 차체측으로부터 슬라이드 도어 내의 기기에 상시 급전을 행하기 위한 슬라이드 도어용 급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원 박스 카(One Box Car), 웨건차 등에 이용되고 있는 슬라이드 도어 내에는, 파워 윈도 모터, 스위치, 스피커 등의 전장품이 조립되어 내장되어 있다. 이들 전장품에 차체측으로부터 급전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차체측으로부터 슬라이드 도어측으로 배선체(와이어 하네스)를 배색(配索)함과 함께, 이 배선체가 슬라이드 도어의 개폐에 추종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배선체로서, 종래부터 고굴곡성의 둥근 선이 사용되고 있다.
종래, 이러한 종류의 슬라이드 도어용 급전장치로서는, 차체측에 전선 감기부를 설치하고, 슬라이드 도어의 개폐에 수반하는 전선의 남은 길이를, 전선을 감는 것에 의해서 흡수하는 방식이 공지이다(특허문헌 1 참조).
또 다른 방식의 슬라이드 도어용 급전장치로서는, 차체측의 소정 위치와 슬라이드 도어간에, 배선체를 수용한 콜 게이트 튜브를, 굴곡의 여유를 갖게 하여 배색하여, 이 콜 게이트 튜브의 한 쪽의 단부를 슬라이드 도어에 고정하고, 다른 쪽의 단부 부근을 차체에 부착된 쇠장식에 의해 가로방향으로 좌우로 돌리는 것이 가 능하게 지지한 것도 공지이다(특허문헌 2 참조).
또 다른 방식의 슬라이드 도어용 급전장치로서, 도 11에 나타내는 복수의 말부재(902)를 연결하여 형성된 케이블 가이드(901)를 이용하여, 배선체를 차체 본체(903)로부터 슬라이드 도어(904)측에 배색한 것이 있다(특허문헌 3 참조). 케이블 가이드(901)는, 느슨해짐이 생기고 있는 상태에서는, S자형 형상으로 굴곡하도록 배설되어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공개공보 평성11-93514호
특허문헌 2 : 일본 특허공개공보 2002-79892호
특허문헌 3 : 일본 특허공개공보 2004-34759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그러나, 종래의 슬라이드 도어용 급전장치에서는, 슬라이드 도어의 개폐중에 배선체가 차체 혹은 슬라이드 도어와 접촉하여 이상한 음을 발하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배선체를 손상시켜 버리는 문제가 있었다. 특허문헌 1 기재의 슬라이드 도어용 급전장치에서는, 전선이 감기부로부터 벗겨져서 풀어지는 구조이기 때문에, 전선이 다른 부재(슬라이드 레일 등)와 서로 스쳐 손상을 받기 쉽다. 또한 감기부는, 슬라이드 도어의 개폐 스트로크와 거의 같은 길이의 전선을 계속 풀어내거나 감거나 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장치가 대형화한다고 하는 문제도 있다.
또한 특허문헌 2 기재의 슬라이드 도어용 급전장치에서는, 와이어 하네스가 콜 게이트 튜브에 수용되어 있기 때문에 손상을 받을 우려는 적지만, 와이어 하네스가 들어간 콜 게이트 튜브는, 슬라이드 도어의 개폐 스트로크를 흡수할 만큼의 길이가 필요하다. 특히, 와이어 하네스로서 둥근 선을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콜 게이트 튜브를 작게 굴곡 시키지 못하여, 콜 게이트 튜브가 차체 혹은 슬라이드 도어와 접촉하여, 이상한 음을 발생시키거나 손상을 받거나 할 우려가 있었다. 배선체가 케이블 가이드에 수납되어 있는 특허문헌 3의 슬라이드 도어용 급전장치에서도, 케이블 가이드가 차체나 슬라이드 도어와 접촉할 우려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슬라이드 도어에의 급전을 실시하는 배선체가 차체 혹은 슬라이드 도어에 접촉하지 않도록 배색상태를 형성하는 슬라이드 도어용 급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의 슬라이드 도어용 급전장치의 제 1 형태는, 차체에 고정되는 차체측 고정부와, 슬라이드 도어에 고정되는 도어측 고정부와, 상기 차체측 고정부 및 상기 도어측 고정부에 있어서 파지되어 차체측으로부터 슬라이드 도어측으로의 급전을 실시하는 플랫 케이블을 구비하고,
상기 차체측 고정부 및 상기 도어측 고정부의 적어도 한 쪽으로부터 상기 플랫 케이블이 배색되는 방향이, 상기 슬라이드 도어의 개폐시에 상기 플랫 케이블에 형성되는 대략 볼록형상의 굴곡부의 돌출방향과 일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도어용 급전장치이다.
본 발명의 슬라이드 도어용 급전장치의 제 2 형태는, 상기 슬라이드 도어의 개폐 중에 생기는 상기 플랫 케이블의 남은 길이분을, 상기 대략 볼록형상의 굴곡부의 돌출방향으로 굴곡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도어용 급전장치이다.
본 발명의 슬라이드 도어용 급전장치의 제 3 형태는, 상기 굴곡부가, 상기 차체의 앞뒤방향과 대략 평행하게 돌출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도어용 급전장치이다.
본 발명의 슬라이드 도어용 급전장치의 제 4 형태는, 상기 굴곡부의 돌출측이, 상기 차체의 뒷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도어용 급전장치이다.
본 발명의 슬라이드 도어용 급전장치의 제 5 형태는, 상기 굴곡부의 돌출측이, 상기 차체의 앞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도어용 급전장치이다.
본 발명의 슬라이드용 급전장치의 제 6 형태는, 상기 플랫 케이블에 내포되는 도체는, 평각 도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도어용 급전장치이다.
본 발명의 슬라이드 도어용 급전장치의 제 7 형태는, 상기 플랫 케이블은, 적어도 상기 차체측 고정부와 상기 도어측 고정부와의 사이에서 보호부재에 내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도어용 급전장치이다.
본 발명의 슬라이드 도어용 급전장치의 제 8 형태는, 상기 도어측 고정부는, 케이블 인출구, 케이블 지지부, 및 케이블 되접어 꺾음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케이블 지지부는 플랫 케이블의 인출방향측의 부분이 차체의 앞뒤방향과 평행한 플랫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는 슬라이드 도어용 급전장치이다.
본 발명의 슬라이드 도어용 급전장치의 제 9 형태는, 상기 도어측 고정부는, 케이블 인출구, 케이블 지지부, 및 케이블 되접어 꺾음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케이블 지지부는 플랫 케이블의 인출방향측의 부분이 플랫 케이블을 차체측에 가까이 대도록 경사진 형상으로 되어 있는 슬라이드 도어용 급전장치이다.
본 발명의 슬라이드 도어용 급전장치의 제 10 형태는, 상기 도어측 고정부가 차체의 전방측으로 이동할 때, 상기 굴곡부가 앞을 향한 채 상기 도어측 고정부에 근접하여 이동하고, 상기 도어측 고정부가 최전방측으로 이동했을 때, 상기 굴곡부가 케이블 되접어 꺾음부로 이동하고, 플랫 케이블이 케이블 되접어 꺾음부에 감아 붙여지는 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도어용 급전장치이다.
본 발명의 슬라이드 도어용 급전장치의 제 11 형태는, 상기 도어측 고정부가 차체의 후방측으로 이동하고, 최후방으로 이동할 때, 플랫 케이블이 상기 차체 고정부와 도어측 고정부와의 사이에서 대체로 직선상태가 되어, 플랫 케이블이 케이블 지지부에 접하고, 상기 도어측 고정부가 차체의 전방측으로 이동하는 것에 따라, 상기 굴곡부가 서서히 형성되어 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도어용 급전장치이다.
상기 케이블 되접어 꺾음부의 곡률 반지름은, 상기 플랫 케이블을 접어 구부림 가능한 곡률 반지름 이상으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도어용 급전장치이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슬라이드 도어에 급전하기 위한 배선체에 플랫 케이블을 이용하여, 플랫 케이블이 차체측 고정부 또는 도어측 고정부의 적어도 어느 한 쪽으로부터 인출되는 방향을 차체의 전후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하여, 이것과 같은 방향에 플랫 케이블의 굴곡부가 형성되도록 하고 있으므로, 플랫 케이블이 슬라이드 도어의 개폐중에 차체 혹은 슬라이드 도어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슬라이드 도어용 급전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슬라이드 도어용 급전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는 제 1 실시형태의 차체측 고정부, 도어측 고정부, 및 플랫 케이블을 상세하게 설명하는 평면도이다.
도 3은 슬라이드 도어의 개폐에 수반하여 플랫 케이블이 그리는 궤적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슬라이드 도어용 급전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관한 슬라이드 도어용 급전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관한 슬라이드 도어용 급전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7은 제 4 실시형태의 차체측 고정부, 도어측 고정부, 및 플랫 케이블을 상세하게 설명하는 평면도이다.
도 8은 슬라이드 도어 주변의 차량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는 슬라이드 도어의 개폐에 수반하여 플랫 케이블이 그리는 궤적을 나타 내는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관한 슬라이드 도어용 급전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종래의 슬라이드 도어용 급전장치의 평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0, 30 : 차체 31 : 가이드 레일
32 : 스텝 33 : 가이드 레일 수납부
20, 40 : 슬라이드 도어 41 : 브래킷
100, 200, 300, 400, 500 : 슬라이드 도어용 급전장치
110, 210, 310, 410, 510 : 차체측 고정부 111 : 케이블 인출구
112 : 케이블 지지부 113, 423 : R부
120, 220, 320, 420, 520 : 도어측 고정부
121, 411 : 케이블 인출구 122, 412 : 케이블 지지부
123, 413 : 케이블 되접어 꺾음부
130, 230, 330, 430, 530 : 플랫 케이블 131, 231, 331, 431 : 굴곡부
224 : 남은 길이 수납부 232, 233 : 커넥터
340 : 콜 게이트 튜브 421 : 제1의 R부
422 : 제2의 R부 901 : 케이블 가이드
902 : 말부재 903 : 차체
904 : 슬라이드 도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슬라이드 도어용 급전장치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한편, 동일 기능을 갖는 각 구성부에 대해서는, 도시 및 설명 간략화를 위해, 동일 부호를 붙여 나타낸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슬라이드 도어용 급전장치를 도 1에 나타낸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의 슬라이드 도어용 급전장치(100)의 개략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슬라이드 도어용 급전장치(100)는, 차체(10)의 소정 위치에 고정된 차체측 고정부(110)와, 슬라이드 도어(20)의 소정 위치에 고정된 도어측 고정부(120)를 구비하고 있고, 차체측 고정부(110)와 도어측 고정부(120)와의 사이에는 플랫 케이블(130)이 배색되어 있다.
본 발명의 슬라이드 도어용 급전장치는, 슬라이드 도어의 개폐중에 생기는 플랫 케이블의 남은 길이분을, 미리 설정한 소정의 방향으로 굴곡시키도록 하고 있다. 이 굴곡부를 미리 설정한 방향으로 형성시키기 위해서, 플랫 케이블을 고정하고 있는 차체측 고정부와 도어측 고정부의 적어도 어느 한 쪽에 있어서, 상기의 굴곡부의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플랫 케이블을 인출하여(즉, 배색방향을 나타낸다) 고정하도록 하고 있다.
도 1에서는, 차체(10)의 앞뒤방향은, 도면의 좌우방향이 된다. 여기에서는, 도면 좌측방향을 차체(10)의 전방으로 하고, 슬라이드 도어(20)는 차체(10)의 전방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닫힘 구조가 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동 도면에는 도어측 고정부(120)의 플랫 케이블 인출부분의 형상이 다른 2종류를 나타내고 있 다.
도 1에 나타내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플랫 케이블(130)의 굴곡부(131)가 차량(10)의 앞방향(흰색 화살표로 나타낸다)으로 돌출하고 있고, 플랫 케이블(130)이 도어측 고정부(120)로부터 앞방향(사선 화살표로 나타낸다)에 인출되어 있다. 이와 같이, 도어측 고정부(120)로부터 플랫 케이블(130)을 인출하는 방향(즉, 배색방향)을, 플랫 케이블(130)을 굴곡시키고 싶은 방향과 일치시킴으로써, 굴곡부(131)를 소정의 방향으로 형성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굴곡부(131)가 차체(10)의 가로방향으로 굴곡하여 차체(10) 혹은 슬라이드 도어(20)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어측 고정부(120)로부터 플랫 케이블(130)을 인출하는 방향과 굴곡부(131)의 방향을 일치시키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차체측 고정부(110)로부터 인출하는 방향과 굴곡부(131)의 방향을 일치시키도록 해도 좋다. 혹은, 차체측 고정부(110)와 도어측 고정부(120)의 양쪽에 있어서, 플랫 케이블(130)이 인출하는 방향을 굴곡부(131)의 방향으로 일치시키도록 해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차체(10)측으로부터 슬라이드 도어(20)측으로의 급전용 배선체 플랫 케이블(130)을 이용하고 있다. 이 플랫 케이블(130)에는, 평각 도체를 내포하는 것을 이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평각 도체는, 면방향의 인장력에 대해서 높은 내력을 가지고 있고, 이것을 내포하는 플랫 케이블(130)은, 단면 장축방향에는 굴곡하기 어렵다고 하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평각 도체를 내포하는 플랫 케이블(130)의 단면 장축방향을 수직방향으로 했을 때에는, 자중(自重)에 의한 인장력에 저항하여 플랫 케이블(130)이 아래로 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슬라이드 도어(20)의 개폐시는 플랫 케이블(130)을 거의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대해, 플랫 케이블(130)의 단면 단축방향에는 용이하게 굴곡할 수 있고, 특히, 큰 곡률(작은 곡률 반지름)로 굴곡할 수 있다고 하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플랫 케이블(130)의 단면 장축방향이 수직방향이 되도록 배색한 경우에는, 슬라이드 도어(20)의 개폐 중에 생기는 플랫 케이블(130)의 남은 길이분을 작은 곡률 반지름에서 수평방향으로 굴곡시킬 수 있다.
또한, 플랫 케이블(130)의 굴곡부(131)를 차체(10)의 앞뒤방향과 대략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시킴으로써, 슬라이드 도어(20)의 개폐 중에 굴곡부(131)가 차체(10) 혹은 슬라이드 도어(20)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굴곡부(131)에 있어서 플랫 케이블(130)에 걸리는 자중이 좌우 양측으로 균등하게 분배 되어, 그 결과, 굴곡부(131)의 형상이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이와 같이, 굴곡부(131)를 차체(10)의 앞뒤방향과 대략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시키기 위해서는, 차체측 고정부(110) 및 도어측 고정부(120)로부터 플랫 케이블(130)을 인출하는 방향의 적어도 어느 한 쪽을, 굴곡부(131)의 방향과 일치시키는 것이 좋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어측 고정부(120)로부터 플랫 케이블(130)을 인출하는 방향을, 굴곡부(131)의 방향과 일치시켜 앞방향으로 인출하고 있다.
다음에, 차체측 고정부(110) 및 도어측 고정부(120)로부터 플랫 케이블(130) 을 인출하고 있는 인출부분의 구조를, 도 2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개략 구성도로부터 차체측 고정부(110), 도어측 고정부(120), 및 플랫 케이블(130)을 추출하여 간략화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어측 고정부(120)의 형상이 다른 도 1(a) 및 도 1(b)에 대응시켜서, 도 2(a) 및 도 2(b)를 나타내고 있다.
도 1(a) 및 도 2(a)에 나타내는 도어측 고정부(120a)는, 케이블 지지부(122a)가 차체(10)의 앞뒤방향에 평행한 플랫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대해, 도 1(b) 및 도 2(b)에 나타내는 도어측 고정부(120b)는, 케이블 지지부(122b)가 플랫 케이블(130)을 차체(10)측에 가까이 대도록 경사를 붙여 형성되어 있다. 케이블 지지부(122b)에 이러한 경사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 슬라이드 도어(20)의 개폐에 수반하여 굴곡부(131)가 케이블 지지부(122b)의 경사를 기는 것처럼 하여 전방측으로 이동하면서, 차체(10)와 슬라이드 도어(20)와의 사이에 유지되기 쉽게 하고 있다.
우선, 도어측 고정부(120)로부터 플랫 케이블(130)을 인출하고 있는 인출부분은, 케이블 인출구(121), 케이블 지지부(122), 및 케이블 되접어 꺾음부(123)를 구비하고 있다. 케이블 인출구(121)는, 플랫 케이블(130)을 차량(10)의 앞방향으로 인출하도록 형성되어 있고(인출방향을 사선 화살표로 나타낸다), 케이블 인출구(121)로부터 앞방향으로 인출된 플랫 케이블(130)은, 굴곡부(131)를 앞방향으로 형성하여(굴곡방향을 흰색 화살표로 나타낸다) 차체측 고정부(110)에 접속되어 있다.
도어측 고정부(120)가, 도 2에 나타내는 위치로부터, 도 1에 점선에서 나타 내는 바와 같이, 차량(10)의 전방(도면의 좌측)으로 더 이동한 경우에는, 굴곡부(131)는 앞을 향한 채 도어측 고정부(120)에 점차 접근해 가서, 도어측 고정부(120)가 최전방으로 이동했을 때에, 굴곡부(131)가 케이블 되접어 꺾음부(123)의 위치까지 이동하고, 플랫 케이블(130)이 케이블 되접어 꺾음부(123)의 바깥둘레에 감아 붙는 것과 같은 상태가 된다. 케이블 되접어 꺾음부(123)의 곡률 반지름은, 플랫 케이블(130)을 접어 구부림 가능한 곡률 반지름 이상으로 설정되어 있다.
한편, 도어측 고정부(120)가 최후방(우측)으로 이동했을 때에는, 플랫 케이블(130)이 차체측 고정부(110)와 도어측 고정부(120)의 사이에서 거의 직선상태가 된다. 이 때, 플랫 케이블(130)이 케이블 지지부(122)에 접하는 상태가 되어, 굴곡부(131)는 형성되지 않는다. 이 상태로부터 도어측 고정부(120)가 전방으로 이동해 가면, 굴곡부(131)가 서서히 형성되어 가지만, 이 때 굴곡부(131)가 슬라이드 도어(20)측(도면 아래쪽)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케이블 지지부(122)로 플랫 케이블(130)을 지지하고 있다.
차체측 고정부(110)에 대해서는, 플랫 케이블(130)을 인출하고 있는 인출부분에, 케이블 인출구(111), 케이블 지지부(112), 및 R부(113)가 구비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케이블 인출구(111)는, 플랫 케이블(130)을 차체(10)의 가로방향(도면 아래방향)으로 인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다만, 굴곡부(131)가 케이블 인출구(111)의 위치보다 전방(도면 좌측)에서 형성되기 쉽게 하기 위해서, 케이블 지지부(112)와 R부(113)에서 플랫 케이블(130)이 전방으로 굴곡하기 쉽게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어측 고정부(120)로부터 전방(도 1, 2의 사선 화살표의 방향)으로 플랫 케이블(130)을 인출함으로써 굴곡부(131)를 앞방향(도 1, 2의 흰색 화살표의 방향)에 형성시키도록 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슬라이드 도어(20)를 전부 닫힘으로부터 전부 열림까지 이동시켰을 때의 플랫 케이블(130)의 이동상태를 도 3에 나타낸다.
도 3에서는, 도어측 고정부(120)가 도 1, 도 2의 각각(b)에 나타내는 형상(120b)의 경우를 예로 나타내고 있다. 동 도면에 있어서, 슬라이드 도어(20)가 전부 닫힘일 때에는 플랫 케이블(130)에 남는 길이가 없어 굴곡부(131)는 형성되지 않는다. 플랫 케이블(130)은, 전부 닫힘일 때에 차체(10) 및 슬라이드 도어(20)에 가장 접근하고 있지만, 플랫 케이블(130)에 남은 길이가 없기 때문에, 플랫 케이블(130)이 차체(10) 및 슬라이드 도어(20)에 접촉할 우려는 없다.
슬라이드 도어(20)가 열려 가는 것에 따라서 플랫 케이블(130)에 남은 길이가 생기지만, 도어측 고정부(120b)로부터 플랫 케이블(130)이 앞방향으로 인출되어 있기 때문에, 케이블 되접어 꺾음부(123)를 기점으로 굴곡부(131)가 앞방향으로 형성되어 간다. 플랫 케이블(130)이 도어측 고정부(120b)에서 앞방향으로 파지되어 있기 때문에, 굴곡부(131)의 방향은 항상 앞방향으로 유지되고 있다.
슬라이드 도어(20)가 전부 열림에 가까워짐에 따라, 플랫 케이블(130)의 남은 길이는 다시 작아져 굴곡부(131)도 직선상태에 가까워져 간다. 그리고, 슬라이드 도어(20)가 전부 열렸을 때에 다시 플랫 케이블(130)의 남은 길이가 없어져 직선상태가 된다. 이 사이도, 굴곡부(131)와 차체(10) 및 슬라이드 도어(20)와의 간격은 충분히 확보되어, 플랫 케이블(130)이 차체(10) 혹은 슬라이드 도어(20)에 접 촉할 우려는 없다.
상기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플랫 케이블(130)이 도어측 고정부(120b)로부터 앞방향으로 인출됨으로써, 굴곡부(131)가 항상 앞방향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굴곡부(131)가 차체(10)측 혹은 슬라이드 도어(20)측에 치우쳐 버리는 일은 없고, 그 결과 굴곡부(131)가 차체(10) 혹은 슬라이드 도어(20)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슬라이드 도어용 급전장치를 도 4에 나타낸다. 도 4는 본 실시형태의 슬라이드 도어용 급전장치(200)의 사시도이다. 슬라이드 도어용 급전장치(200)에서는, 복수개의 케이블을 묶은 플랫 케이블묶음(230)이 사용되고 있고, 복수의 케이블을 일괄하여 차체(10)측의 소정의 커넥터에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232)와, 슬라이드 도어(20)측의 소정의 커넥터에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233)가 접속되어 있다.
케이블이 복수개 묶여진 플랫 케이블(230)에서는, 케이블 사이에 장력의 차가 없도록, 각각의 케이블에 다른 길이의 남은 길이를 갖게 하여 남은 길이 수납부(224)에 수납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복수의 케이블을 묶은 플랫 케이블(230)에 있어서도, 제 1 실시형태와 같이, 도어측 고정부(220)로부터 플랫 케이블(230)을 인출하는 방향으로 굴곡부(231)를 형성할 수 있어, 플랫 케이블(230)이 차체(10) 혹은 슬라이드 도어(20)에 접하지 않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관한 슬라이드 도어용 급전장치를 도 5에 나타낸다. 도 5는 본 실시형태의 슬라이드 도어용 급전장치(300)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 형태의 슬라이드 도어용 급전장치(300)는, 차체측 고정부(110)와 도어측 고정부(120)와의 사이에 배색되는 플랫 케이블(330)이, 보호부재의 콜 게이트 튜브(340)로 덮여 있다.
콜 게이트 튜브(340)는, 플랫 케이블과 같이 단면 단축방향으로 높은 가요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내포하는 플랫 케이블(330)과 함께 작은 곡률 반지름으로 구부려 굴곡부(331)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는 보호부재로서 콜 게이트 튜브(340)를 이용하고 있지만, 마찬가지로 단면 단축방향으로 높은 가요성을 갖는 것이면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보호부재이더라도 좋다.
본 실시형태와 같이 플랫 케이블(330)이 보호부재의 콜 게이트 튜브(340)에 내포되고 있는 경우에서도, 플랫 케이블(330)과 콜 게이트 튜브(340)를 일체로 도어측 고정부(320)로부터 차체(10)와 대략 평행하게 전방 혹은 후방으로 인출하는 것에 의해, 이것과 같은 방향으로 굴곡부(331)를 형성할 수 있다. 슬라이드 도어(20)의 개폐에 수반하여, 플랫 케이블(330)과 콜 게이트 튜브(340)가 일체로 도 3에 나타내는 이동을 실시하기 때문에, 콜 게이트 튜브(340)가 차체(10) 혹은 슬라이드 도어(20)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관한 슬라이드 도어용 급전장치의 평면도를 도 6에 나타낸다.
또한, 차체측 고정부(410) 및 도어측 고정부(420)로부터 플랫 케이블(430)을 인출하고 있는 인출부분의 구조를 도 7에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의 슬라이드 도어용 급전장치(400)는, 슬라이드 도어(40)가 브래킷(41)에서 차체(30)에 연결되고 있 는 차량에 적용되는 것이다. 슬라이드 도어(40)의 주변의 차량구조의 일례를 도 8에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가 대상으로 하는 차량에서는, 슬라이드 도어(40)의 전방 하부에 설치된 브래킷(41)과, 도시하지 않는 전방 상부에 설치된 다른 브래킷, 및 슬라이드 도어(40)의 후방에 설치된 또 다른 브래킷으로, 슬라이드 도어(40)가 지탱되어 있다.
차체(30)측에는, 슬라이드 도어 입구부에 스텝(32)이 설치되어 있고, 그 아래에 가이드 레일(31)이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 레일(31)이 설치되어 있는 가이드 레일 수납부(33)(도 8에 사선으로 나타낸다)는, 브래킷(41)을 통과시키는 것과 함께 플랫 케이블(430)을 이동시키기 위한 공간이 되어 있다. 브래킷(41)의 차체측 선단에 부착된 도시하지 않는 롤러가 가이드 레일(31)을 이동함으로써, 슬라이드 도어(40)가 개폐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슬라이드 도어용 급전장치(400)에서는, 차체(30)측으로부터 슬라이드 도어(40)측으로의 급전을 실시하는 배선체인 플랫 케이블(430)이, 브래킷(41)을 경유하여 슬라이드 도어(40)에 접속되어 있다.
가이들 레일(31)은, 슬라이드 도어(40)가 도 8에 나타내는 전부 열림의 상태로부터 반정도 닫힐 때까지는, 슬라이드 도어(40)를 차체(30)에 거의 평행하게 이동시키도록, 차체에 거의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다. 슬라이드 도어(40)를 전부 닫힘까지 더 이동시킬 때에는, 슬라이드 도어(40)를 차체(30)측으로 끌어들일 필요가 있기 때문에, 가이드 레일(31)은, 중앙부 부근으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차체(30)의 안쪽으로 구부러져 있다.
본 실시형태의 슬라이드 도어용 급전장치(400)는, 가이드 레일 수납부(33)에 설치된 차체측 고정부(410)와, 브래킷(41)에 설치된 도어측 고정부(420)와, 차체측 고정부(410)와 도어측 고정부(420)에서 파지된 플랫 케이블(430)을 구비하고 있다. 차체측 고정부(410)는, 가이드 레일(31)의 설치 위치 보다 더 차체(30)의 안쪽에 설치되어 있다. 이것은, 차체측 고정부(410)가 가이드 레일(31)을 이동하는 브래킷(41)과 간섭하는 것을 회피하는 것과 함께, 플랫 케이블(430)이 가이드 레일(31)의 설치 위치로부터 가능한 한 안쪽을 이동하도록 하기 때문이다.
또한, 슬라이드 도어(40)의 개폐방향에 있어서의 차체측 고정부(410)의 설치위치는, 가이드 레일(31)의 거의 중앙위치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는 것에 의해, 슬라이드 도어(40)를 전부 닫힘으로 했을 때와 전부 열림으로 했을 때에서, 차체측 고정부(410)로부터 도어측 고정부(420)까지의 거리를 거의 같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차체측 고정부(410)로부터 도어측 고정부(420)까지의 플랫 케이블(430)의 길이를, 슬라이드 도어(40)를 전부 닫힘 또는 전부 열림으로 했을 때에 느슨함이 없는 길이로 할 수 있다. 플랫 케이블(430)의 길이를 이와 같이 결정했을 때, 슬라이드 도어(40)가 전부 닫힘과 전부 열림의 도중의 상태에 있을 때, 플랫 케이블(430)에 굴곡부(431)가 형성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플랫 케이블(430)이 슬라이드 도어(40)의 개폐중에 가이드 레일 수납부(33)로부터 밀려나오는 것을 방지하는 것과 함께, 가이드 레일 수납부(33)의 벽면이나 슬라이드 도어(40)에 접하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랫 케이블(430)을 차체측 고정부(410)로부터 차량 후방측(사선 화살표의 방향)으로 인출하는 구조로 하고 있고, 이것에 의해 굴곡부(431)가 차량 뒤방향(흰색 화살표의 방향)에 형성되도록 하고 있다. 차체측 고정부(410)로부터 플랫 케이블(430)을 인출하고 있는 인출부분은, 제 1 실시형태의 도어측 고정부(120)와 같이, 케이블 인출구(411), 케이블 지지부(412), 및 케이블 되접어 꺾음부(413)를 구비하고 있다. 케이블 인출구(411)는, 플랫 케이블(430)를 차량 후방측(사선 화살표의 방향)으로 인출하도록 형성되고 있고, 케이블 인출구(411)로부터 차량 후방측으로 인출된 플랫 케이블(430)은, 굴곡부(431)를 차량 뒤방향(흰색 화살표의 방향)에 형성한 후 도어측 고정부(420)에 접속된다.
한편, 브래킷(41)에 설치된 도어측 고정부(420)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의 R부(421)와 제2의 R부(422)를 가지고 있고, 플랫 케이블(430)이 제1의 R부(421)와 제2의 R부(422)와의 사이에 배색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슬라이드 도어용 급전장치(400)에서는, 플랫 케이블(430)은, 슬라이드 도어(40)가 전부 열림일 때에 제1의 R부(421)에 감아 붙이고, 전부 닫힘일 때에는 제2의 R부(422)에 감아 붙인다.
본 실시형태의 슬라이드 도어용 급전장치(400)에서는, 플랫 케이블(430)이 느슨해졌을 때에도 상기와 같이 굴곡부(431)를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플랫 케이블(430)이 가이드 레일 수납부(33)로부터 외부로 밀려나오거나, 가이드 레일 수납부(33)의 벽면에 접촉하거나 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슬라이드 도어(40)를 전부 닫힘으로부터 전부 열림을 향해서 이동시켰을 때의 플랫 케이블(430)의 궤적의 예를 도 9에 나타낸다. 플랫 케이블(430)은, 케이블 인출구(411)로부터 차량 후방을 향해서 인출되어 있고, 슬라이드 도어(40)가 전부 닫힘일 때에는 케이블 되접어 꺾음부(413)에 감아 붙여 차량 전방으로 뻗어져 있다. 이 상태에서는, 플랫 케이블(430)에 느슨해짐이 없기 때문에, 굴곡부(431)는 형성되지 않는다.
다음에, 슬라이드 도어(40)를 전부 열림을 향하여 열어 가는 것에 따라, 플랫 케이블(430)의 남은 길이분으로 굴곡부(431)가 형성되어 간다. 이 굴곡부(431)는, 케이블 되접어 꺾음부(413)를 기점으로 차량 뒤방향에 형성되어 서서히 후방으로 이동해 간다. 플랫 케이블(430)의 남은 길이분은, 슬라이드 도어(40)가 반정도 개방되어 도어측 고정부(420)와 차량측 고정부가 가장 접근했을 때에 가장 긴 길이가 되고, 이후는 다시 짧게 되어 간다. 이 사이, 굴곡부(431)는, 서서히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항상 차량 뒤방향에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드 도어(40)가 전부 열림이 되었을 때에는, 플랫 케이블(430)의 남은 길이분이 다시 없어져, 굴곡부(431)는 제1의 R부(421)에 접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슬라이드 도어용 급전장치(400)에서는, 슬라이드 도어(40)를 전부 닫힘으로부터 전부 열림을 향해서 이동시키는 사이, 플랫 케이블(430)은, 케이블 되접어 꺾음부(413)를 기점으로 굴곡부(431)가 형성되어, 굴곡부(431)가 돌출하는 방향이 항상 차량 뒤방향에 유지된 상태로, 제1의 R부(421)까지 이동시켜 간다. 이것에 의해, 플랫 케이블(430)이 가이드 레일 수납부(33)로부터 외부로 밀려나오거나 가이드 레 일 수납부(33)의 벽면에 접촉하거나 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플랫 케이블(430)을 차체측 고정부(410)로부터 차체(30)의 뒤방향으로 인출하도록 했지만, 도어측 고정부(420)로부터 뒤방향으로 인출하도록 해도 좋다. 혹은, 차체측 고정부(410)와 도어측 고정부(420)의 양쪽으로부터 뒤방향으로 인출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차량측 고정부(410)와 도어측 고정부(420)와의 사이에 플랫 케이블(430)을 배색하도록 하고 있지만, 다른 실시형태로서, 플랫 케이블(430)을 예를 들면 콜 게이트 튜브와 같은 보호부재로 덮도록 해도 좋다. 이 보호부재는, 제 3 실시형태와 같이, 수평 방향으로 높은 가요성을 갖는 것을 이용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관한 슬라이드 도어용 급전장치를 도 10에 나타낸다. 도 10은 본 실시형태의 슬라이드 도어용 급전장치(500)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슬라이드 도어용 급전장치(500)는, 차체측 고정부(510)와 도어측 고정부(520)와의 사이에 플랫 케이블(530)이 배색되는 구조가 되어 있다. 동 도면에 있어서, 좌측이 슬라이드 도어를 닫는 방향이고, 우측이 여는 방향이다.
도 10에서는, 슬라이드 도어를 전부 닫힘으로 했을 때의 도어측 고정부(520)의 상태(520-1로 나타낸다), 전부 열림으로 했을 때의 상태(520-3으로 나타낸다), 및 도중까지 개방했을 때의 상태(520-2로 나타낸다)가 나타나 있다. 또한, 파선(520a)은 도어측 고정부(520)의 궤적을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의 슬라이드 도어용 급전장치(500)에서는, 슬라이드 도어를 전부 닫힘으로 하면 플랫 케이블(530)이 직선형상으로 다 뻗어진 상태가 된다(튜브측 고정부 520-1의 상태). 이러한 상태로 부터 슬라이드 도어를 개방해가면, 도어측 고정부(520)는 파선(520a)으로 나타나는 궤적을 따라서 이동하고, 플랫 케이블(530)은 흰색 화살표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굴곡부(531)가 형성되어 간다.
플랫 케이블(530)이, 상기와 같이 직선형상에 있는 상태로부터 굴곡부(531)가 형성되어 가는 것은, 도어측 고정부(520)로부터 플랫 케이블(530)을 인출하는 방향에 의한 것이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플랫 케이블(530)을 도어측 고정부(520)로부터 사선 화살표의 방향으로 인출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슬라이드 도어를 개방하여 도어측 고정부(520)가 이동함으로써 플랫 케이블(530)에 남은 길이분이 생기면, 플랫 케이블(530)을 도어측 고정부(520)로부터 인출하고 있는 방향(사선화살표의 방향)과 같은 방향(흰색 화살표로 나타낸다)으로 굴곡부(531)가 형성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슬라이드 도어가 전부 닫힘일 때에 플랫 케이블(530)이 직선형상이 되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플랫 케이블(530)을 인출하는 방향(사선 화살표의 방향)과 같은 방향(흰색 화살표로 나타낸다)으로 굴곡부(531)를 형성시키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본 실시의 각 형태에 있어서의 기술은, 본 발명에 관한 슬라이드 도어용 급전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의 각 형태에 있어서의 슬라이드 도어용 급전장치의 세부 구성 및 상세한 동작 등에 관해서는,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Claims (12)

  1. 차체에 고정되는 차체측 고정부와, 슬라이드 도어에 고정되는 도어측 고정부와, 상기 차체측 고정부 및 상기 도어측 고정부에 있어서 파지되어 차체측으로부터 슬라이드 도어측으로의 급전을 실시하는 플랫 케이블을 구비하고,
    상기 차체측 고정부 및 상기 도어측 고정부의 적어도 한 쪽으로부터 상기 플랫 케이블이 배색되는 방향이, 상기 슬라이드 도어의 개폐시에 상기 플랫 케이블에 형성되는 대략 볼록형상의 굴곡부의 돌출방향과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도어용 급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도어의 개폐중에 생기는 상기 플랫 케이블의 남은 길이분을, 상기 대략 볼록형상의 굴곡부의 돌출방향으로 굴곡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도어용 급전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굴곡부가, 상기 차체의 앞뒤방향과 대략 평행하게 돌출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도어용 급전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굴곡부의 돌출측이, 상기 차체의 뒷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도어용 급전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굴곡부의 돌출측이, 상기 차체의 앞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도어용 급전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 케이블에 내포되는 도체는, 평각 도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도어용 급전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 케이블은, 적어도 상기 차체측 고정부와 상기 도어측 고정부와의 사이에서 보호부재에 내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도어용 급전장치.
  8.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측 고정부는, 케이블 인출구, 케이블 지지부, 및 케이블 되접어 꺾음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케이블 지지부는 플랫 케이블의 인출방향측의 부분이 차체의 앞뒤방향과 평행한 플랫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는 슬라이드 도어용 급전장치.
  9.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측 고정부는, 케이블 인출구, 케이블 지지부, 및 케이블 되접어 꺾음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케이블 지지부는 플랫 케이블의 인출방향측의 부분이 플랫 케이블을 차체측에 가까이 대도록 경사진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는 슬라이드 도어용 급전장치.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측 고정부가 차체의 전방측으로 이동할 때, 상기 굴곡부가 앞을 향한 채 상기 도어측 고정부에 근접하여 이동하고, 상기 도어측 고정부가 최전방측으로 이동했을 때, 상기 굴곡부가 케이블 되접어 꺾음부로 이동하고, 플랫 케이블이 케이블 되접어 꺾음부에 감아 붙여지는 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도어용 급전장치.
  11.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측 고정부가 차체의 후방측으로 이동하고, 최후방으로 이동할 때, 플랫 케이블이 상기 차체 고정부와 도어측 고정부와의 사이에서 대체로 직선상태가 되고, 플랫 케이블이 케이블 지지부에 접하여, 상기 도어측 고정부가 차체의 전방측으로 이동하는 것에 따라, 상기 굴곡부가 서서히 형성되어 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도어용 급전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되접어 꺾음부의 곡률 반지름은, 상기 플랫 케이블을 접어 구부림 가능한 곡률 반지름 이상으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도어용 급전장치.
KR1020087027885A 2006-12-08 2007-12-07 슬라이드 도어용 급전장치 KR1013972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332209A JP4728938B2 (ja) 2006-12-08 2006-12-08 スライドドア用給電装置
JPJP-P-2006-332209 2006-12-08
PCT/JP2007/073716 WO2008069321A1 (ja) 2006-12-08 2007-12-07 スライドドア用給電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6901A true KR20090086901A (ko) 2009-08-14
KR101397213B1 KR101397213B1 (ko) 2014-05-20

Family

ID=394921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7885A KR101397213B1 (ko) 2006-12-08 2007-12-07 슬라이드 도어용 급전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980622B2 (ko)
EP (1) EP2100777B8 (ko)
JP (1) JP4728938B2 (ko)
KR (1) KR101397213B1 (ko)
CN (1) CN101522472B (ko)
AT (1) ATE519629T1 (ko)
WO (1) WO200806932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73774B2 (en) * 2018-06-26 2022-03-15 Sumitomo Wiring Systems, Ltd. Wire harness with short-long sides overlapping flat wire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15935A1 (fr) * 2006-07-31 2008-02-07 The Furukawa Electric Co., Ltd. Dispositif de fourniture d'électricité pour porte coulissante
JP2010083398A (ja) * 2008-10-01 2010-04-15 Furukawa Electric Co Ltd:The スライドドア用給電装置
JP5530690B2 (ja) * 2009-09-24 2014-06-25 矢崎総業株式会社 ワイヤハーネス
JP5356357B2 (ja) * 2010-11-02 2013-12-04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スライドドア用給電装置
JP6114642B2 (ja) * 2013-06-13 2017-04-12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開閉装置
JP6276161B2 (ja) * 2014-10-27 2018-02-07 矢崎総業株式会社 ワイヤハーネス
JP6430990B2 (ja) * 2016-04-15 2018-11-28 矢崎総業株式会社 給電装置
DE202016102599U1 (de) 2016-05-13 2017-08-16 Eds - Electric Drive Solution Gmbh & Co. Kg Kabelbrückenvorrichtung und Kabelbrückenanordnung
DE112017002492T5 (de) * 2016-05-16 2019-02-28 Yazaki Corporation Energieversorgungsvorrichtung
FR3058843A1 (fr) * 2016-11-14 2018-05-18 Hl2 Group Systeme de connexion de cable electrique de struture coulissante et procede d’installation
JP6836393B2 (ja) * 2016-12-28 2021-03-03 矢崎総業株式会社 スライドドア用の配索構造
JP6766718B2 (ja) * 2017-03-23 2020-10-14 株式会社デンソー センサ取付用ブラケット及びリード線配索構造
JP6896345B2 (ja) * 2017-09-29 2021-06-30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ハーネス配索構造
JP7019248B2 (ja) * 2018-02-01 2022-02-15 矢崎総業株式会社 スライドドア用の配索構造
WO2019177547A1 (en) 2018-03-13 2019-09-19 Pirnar D.O.O. Modular sliding member power mechanism and method for its operation
JP6781224B2 (ja) * 2018-09-25 2020-11-04 矢崎総業株式会社 ワイヤハーネス
JP6927953B2 (ja) * 2018-12-25 2021-09-01 矢崎総業株式会社 外装部材及びワイヤハーネス
US11318818B2 (en) * 2019-02-15 2022-05-03 Hi-Lex Controls, Inc. Window regulator with power supply connection for electrical device on movable glass
KR20220066583A (ko) * 2020-11-16 2022-05-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도어글래스용 전력 공급 장치
CN116368703A (zh) * 2020-11-30 2023-06-30 古河电气工业株式会社 滑动门供电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717490A1 (de) * 1997-04-25 1998-10-29 Kiekert Ag Kraftfahrzeug
JPH1193514A (ja) 1997-07-25 1999-04-06 Toyota Auto Body Co Ltd 車両用スライドドアの給電構造
JP3435688B2 (ja) * 1998-07-28 2003-08-11 矢崎総業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フラット・ケーブルの保護構造
DE19839258A1 (de) * 1998-08-28 2000-03-02 Delphi Automotive Systems Gmbh Elektrische Verbindung
JP4089059B2 (ja) * 1998-12-16 2008-05-21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スライドドア給電機構
US6161894A (en) 1999-05-28 2000-12-19 Delphi Technologies, Inc. Flexible electric cable for sliding vehicle door
JP3831198B2 (ja) 2000-06-30 2006-10-11 矢崎総業株式会社 スライドドアへのハーネス配索構造
JP3634259B2 (ja) * 2000-11-22 2005-03-30 トヨタ車体株式会社 車両用スライドドアの給電構造
ITTO20011100A1 (it) * 2001-11-23 2003-05-23 Framatome Connectors Italia Gruppo di connessione per il collegamento di un impianto elettrico diun autoveicolo a componenti elettrici di una portiera scorrevole dell'
JP2003189451A (ja) * 2001-12-11 2003-07-04 Yazaki Corp ハーネス弛み吸収装置
GB0203941D0 (en) * 2002-02-20 2002-04-03 Meritor Light Vehicle Sys Ltd A vehicle
JP2004034759A (ja) 2002-07-01 2004-02-05 Sumitomo Wiring Syst Ltd 車両用スライドドアの給電装置
JP2004114872A (ja) 2002-09-26 2004-04-15 Aisin Seiki Co Ltd 車両ドアの給電装置
JP4101168B2 (ja) 2003-12-24 2008-06-18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スライドドア用給電装置
JP4205611B2 (ja) 2004-02-25 2009-01-07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スライドドア用給電装置
JP4667844B2 (ja) * 2004-05-31 2011-04-13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スライドドア用給電装置
JP4444028B2 (ja) * 2004-07-09 2010-03-31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スライドドア用給電装置
JP4263684B2 (ja) * 2004-08-06 2009-05-13 矢崎総業株式会社 スライド用給電装置
JP2006327328A (ja) * 2005-05-24 2006-12-07 Honda Motor Co Ltd ハーネスの配索構造
JP4746965B2 (ja) * 2005-11-17 2011-08-10 矢崎総業株式会社 スライド構造体用の給電装置
JP4560478B2 (ja) * 2005-11-17 2010-10-13 矢崎総業株式会社 スライド構造体用の給電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73774B2 (en) * 2018-06-26 2022-03-15 Sumitomo Wiring Systems, Ltd. Wire harness with short-long sides overlapping flat wir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522472B (zh) 2012-05-30
EP2100777A1 (en) 2009-09-16
JP4728938B2 (ja) 2011-07-20
ATE519629T1 (de) 2011-08-15
US20090178340A1 (en) 2009-07-16
EP2100777B1 (en) 2011-08-10
KR101397213B1 (ko) 2014-05-20
US7980622B2 (en) 2011-07-19
JP2008143329A (ja) 2008-06-26
EP2100777A4 (en) 2010-08-04
EP2100777B8 (en) 2012-02-15
CN101522472A (zh) 2009-09-02
WO2008069321A1 (ja) 2008-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86901A (ko) 슬라이드 도어용 급전장치
JP4999102B2 (ja) スライドドア用給電装置
US20170125993A1 (en) Vehicle with a Storage Device That Can be Recharged by Way of a Charging Cable and an External Power Supply
US8624114B2 (en) Wiring harness
CN103119792B (zh) 连接器
JP2013018322A (ja) ワイヤーハーネス配索構造部
US7375281B2 (en) Power-supplying apparatus for sliding structure
JP2006273120A (ja) スライドドア用常時給電装置
JP2002067828A (ja) ハーネス出し入れ収容装置
US9343889B2 (en) Electric wire fixing device
JP5899588B2 (ja) プロテクタ
JP2008174036A (ja) 給電装置
CN100459346C (zh) 电线余长吸收装置
JP2008044490A (ja) スライドドア用給電装置
JP6056731B2 (ja) スライドシート用のワイヤハーネス配索装置
JP4949954B2 (ja) 給電装置のハーネス配索構造
JP2005178700A (ja) スライドドア用給電装置
JP4804988B2 (ja) スライドドア用給電装置の取付方法
JP2010083398A (ja) スライドドア用給電装置
US7307215B2 (en) Wiring harness slack absorbing device
JP2007116781A (ja) 配索装置
JP4215257B2 (ja) 光ファイバ余長収納部の構造
JP4199073B2 (ja) 電線余長吸収装置
JP2022152943A (ja) 配線体の配索構造、及びレールユニット
JP2008308069A (ja) プロテ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