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2129B1 - 자동차용 윈도우 전원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윈도우 전원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2129B1
KR102522129B1 KR1020210021145A KR20210021145A KR102522129B1 KR 102522129 B1 KR102522129 B1 KR 102522129B1 KR 1020210021145 A KR1020210021145 A KR 1020210021145A KR 20210021145 A KR20210021145 A KR 20210021145A KR 102522129 B1 KR102522129 B1 KR 1025221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al connection
window
guide rail
power supply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11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17599A (ko
Inventor
용경중
조재훈
Original Assignee
(주)광진기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광진기계 filed Critical (주)광진기계
Priority to KR10202100211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2129B1/ko
Priority to US18/277,534 priority patent/US20240044198A1/en
Priority to PCT/KR2021/003571 priority patent/WO2022177062A1/ko
Publication of KR202201175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7599A/ko
Priority to KR1020230031084A priority patent/KR202300416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21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21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8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 B60J1/12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 B60J1/16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slidable
    • B60J1/17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slidable vert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7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between relatively movable parts of the vehicle, e.g. between steering wheel and colum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6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 E05F15/689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6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 E05F15/689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windows
    • E05F15/6907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windows operated by cords or chains or other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tapes
    • E05F15/6909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windows operated by cords or chains or other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tapes by cables
    • E05F15/6914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windows operated by cords or chains or other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tapes by cables with one cable connection to the window glas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2Disposition of insul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4Flexible cables, conductors, or cords, e.g. trailing cab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06Detail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4Carri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44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54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4Rails;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65Power or signal transmission
    • E05Y2400/654Power or signal transmission by electrical 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60Mounting or coupling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600/626Plates or bracke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5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Cable Arrangement Between Relatively Moving Parts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전원공급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 도어의 내부에 마련된 가이드 레일을 따라서 승하강하는 윈도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자동차용 윈도우 전원공급장치에 있어서, 가이드 레일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며, 윈도우가 고정결합되어 윈도우와 함께 도어 내부에서 승하강하고 상기 윈도우에 전원이 전달될 수 있도록 제1전기접속부가 마련된 캐리어 플레이트; 상기 가이드 레일의 상단과 하단 사이의 가이드 레일 또는 가이드 레일의 주변부에 고정설치되며 외부의 전원이 접속되는 제2전기접속부가 마련된 브라켓; 및 일측은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의 제1전기접속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타측은 상기 브라켓의 제2전기접속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제2전기접속부를 통하여 전원으로 공급된 전기적 신호를 상기 제1전기접속부로 전달하는 플렉시블 연결수단를 포함하되, 상기 플렉시블 연결수단의 일측은, 상기 제1전기접속부에 피벗식으로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제2전기접속부에 피벗식으로 연결되며,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가 승하강하는 과정에서, 상기 플레시블 연결수단은 상기 제1전기접속부와 제2전기접속부의 사이에서 펴지거나 만곡되면서 전원의 전기적 신호를 캐리어 플레이트에 전달시키는 자동차용 윈도우 전원공급장치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윈도우 전원공급장치{Power supply apparatus for windows of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윈도우 전원공급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윈도우에 전원을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는 자동차용 윈도우 전원공급장치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도어에는 윈도우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윈도우가 승하강하면서 도어의 개방부를 개폐하도록 구성되어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자동차의 도어에는, 도어 내에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가이드 레일과, 상기 가이드 레일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연결되는 캐리어 플레이트와, 구동수단과 연결되어 순환괘적 운동을 하고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에 연결되어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를 승하강시키는 와이어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가 설치되어 있게 된다. 이때 윈도우는 윈도우 레귤레이터의 캐리어 플레이*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와 함께 상승 또는 하강하도록 구성된다.
최근 자동차 윈도우에는 다양한 정보를 담을 수 있게 하는 기술이 연구되고 있다. 즉, 윈도우에 투명한 디스플레이를 설치한 후에 평상시에는 투명하지만 정보를 나타내거나 영상을 재상할 때에는 밝고 선명한 그래픽이 구현되도록 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또한 기존의 선팅과는 달리 외부의 빛에 따라서 차광성을 달리하는 기술들도 개발되고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윈도우에 열선을 내장시키는 기술등이 연구되고 있다.
이러한 기술들을 개발하는데 있어서 어려운 점은 도어 내에 윈도우가 고정설치된 것이 아니라 빈번하게 상승과 하강을 하도록 구성되어 있게 되고 이에 따라서 가동체인 윈도우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이 쉽지 않다는 데에 있다.
유선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경우 승하강하는 윈도우와 전선이 함께 이동하면서 전선이 단락되거나 주변 구성품과 접촉되어 소음을 유발하는 경우가 있으며, 무선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경우 비용이 과도하게 소요되어 바람직하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게 된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한 자동차용 윈도우 전원공급장치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들은, 제1전기접속부가 마련된 캐리어 플레이트와, 전원이 접속되는 제2전기접속부가 마련되고 가이드 레일 또는 그 주변부에 고정되는 브라켓과, 상기 제1전기접속부와 제2전기접속부를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플렉시블 연결수단를 포함하는 윈도우 전원공급장치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자동차 도어의 내부에 마련된 가이드 레일을 따라서 승하강하는 윈도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자동차용 윈도우 전원공급장치에 있어서,
자동차 도어의 내부에 마련된 가이드 레일을 따라서 승하강하는 윈도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자동차용 윈도우 전원공급장치에 있어서,
가이드 레일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며, 윈도우가 고정결합되어 윈도우와 함께 도어 내부에서 승하강하고 상기 윈도우에 전원이 전달될 수 있도록 제1전기접속부가 마련된 캐리어 플레이트;
상기 가이드 레일의 상단과 하단 사이의 가이드 레일 또는 가이드 레일의 주변부에 고정설치되며 외부의 전원이 접속되는 제2전기접속부가 마련된 브라켓; 및
일측은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의 제1전기접속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타측은 상기 브라켓의 제2전기접속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제2전기접속부를 통하여 전원으로부터 공급된 전기적 신호를 상기 제1전기접속부로 전달하는 플렉시블 연결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플렉시블 연결수단의 일측은, 상기 제1전기접속부에 피벗식으로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제2전기접속부에 피벗식으로 연결되며,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가 승하강하는 과정에서, 상기 플레시블 연결수단은 상기 제1전기접속부와 제2전기접속부의 사이에서 펴지거나 만곡되면서 전원의 전기적 신호를 캐리어 플레이트에 전달시킬 수 있다.
자동차용 윈도우 전원공급장치에서,
상기 플렉시블 연결수단은,
기둥형태를 가지며 제1전기접속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접속부재와,
기둥형태를 가지면서 제2전기접속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접속부재와,
상기 제1접속부재와 상기 제2접속부재를 상호 연결하는 케이블을 포함할 수 있다.
자동차용 윈도우 전원공급장치에서,
상기 케이블은, 기둥형태의 제1접속부재의 측면에서 연장되는 측부면과, 상기 측부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위치하고 측부면보다 길이가 짧은 두께면을 포함하는 직사각형 단면의 바로 구성되며,
상기 케이블은 측면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는 구부러지는 것이 허용되고,
두께면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 구부러지는 것이 억제될 수 있다.
자동차용 윈도우 전원공급장치에서,
상기 케이블의 내부에는 복수의 전선이 길이방향을 따라서 길게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전선은 상기 제1접속부재를 통하여 상기 제1전기접속부에 접속될 수 있다.
자동차용 윈도우 전원공급장치에서,
상기 케이블은,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며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1, 2 연결바와,
제1연결바의 일면과 제2연결바의 일면을 서로 연결하며 길이방향을 따라서 서로 이격된 제1연결부재와, 제1연결바의 타면과 제2연결바의 타면을 서로 연결하며 상기 제1연결부재와 교대로 배치된 제2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연결부재와 제2연결부재 사이를 전선이 통과할 수 있다.
자동차용 윈도우 전원공급장치에서,
상기 케이블은, 복수의 전선과, 상기 전선을 감싸며 원형단면을 가지는 피복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윈도우와 전원을 연결하는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플렉시블 연결수단이 캐리어 플레이트의 승하강에 따라서 펴지거나 만곡될 수 있어서 떨림이나 늘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플렉시블 연결수단이 캐리어 플레이트의 승하강에 따라서 피벗식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캐리어 플레이트의 승하강을 방해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장치를 나타내는 전면사시도.
도 2는 도 2의 후면사시도.
도 3은 도 1의 전원공급장치의 주요부품의 상세도.
도 4는 도 1의 전원공급장치의 작동모습을 나타내는 작동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장치의 사시도.
도 6은 도 5의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장치의 사시도.
도 8은 도 7의 Ⅷ-Ⅷ 단면도.
도 9는 도 1의 전원공급장치가 모듈플레이트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이다. 본 개시에 따른 권리범위가 이하에 제시되는 실시예들이나 이들 실시예들에 대한 구체적 설명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용어들 및 과학적 용어들은,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를 갖는다. 본 개시에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개시를 더욱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선택된 것이며 본 개시에 따른 권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선택된 것이 아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 "구비하는", "갖는" 등과 같은 표현은, 해당 표현이 포함되는 어구 또는 문장에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다른 실시예를 포함할 가능성을 내포하는 개방형 용어(open-ended terms)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기술된 단수형의 표현은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단수형의 표현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의 표현들은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상호 구분하기 위해 사용되며, 해당 구성요소들의 순서 또는 중요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경우,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거나 접속될 수 있는 것으로, 또는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로 하여 연결될 수 있거나 접속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상방"의 방향지시어는 승하강 레일의 상단이 위치하는 방향을 위미하고, "하방"의 방향은 승하강 레일의 하단이 위치하는 방향으로서 상방의 반대 방향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부호가 부여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를 중복하여 기술하는 것이 생략될 수 있다. 그러나, 구성요소에 관한 기술이 생략되어도, 그러한 구성요소가 어떤 실시예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의도되지는 않는다.
이하에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예들은, 자동차의 도어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윈도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선과, 윈도우의 승하강 과정에서 전선의 늘어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전선이 항상 일정한 장력을 가지도록 팽팽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슬라이더에 관련된다.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전원공급장치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도어의 패널과 별개로 구성된 가이드 레일에 설치되는 것이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구성품이 포함되어 있는 모듈형 패널에 레일이 설치된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게 된다. 본 개시에서 레일은 가이드 레일만이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가이드 레일이 각종 구성품과 일체화된 모듈형 패널에 적용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으나, 모듈형 패널에 전원공급장치가 설치된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윈도우 전원공급장치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자동차용 윈도우 전원공급장치(100)는, 자동차 도어의 내부에 마련된 가이드 레일(140)을 따라서 승하강하는 윈도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전원공급장치(100)는, 윈도우를 승하강시키는 레귤레이터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자동차의 도어 내부에 마련되는 가이드 레일(140)과, 상기 가이드 레일(140)의 상하단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풀리(150)와, 상기 풀리(150)에 감기며 가이드 레일(140)을 따라서 순환괘적이동하는 와이어(160)와, 상기 와이어(160)를 동작시키는 위한 구동수단(170)을 포함한다.
이때 가이드 레일(140)은, 도어 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사각판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일측에는 직각으로 절곡된 절곡부가 가이드 레일(14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어서 캐리어 플레이트(110)가 승하강용 레일의 절곡부에 결합하여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안내되고 있다.
이러한 자동차용 윈도우 전원공급장치(100)는, 캐리어 플레이트(110), 브라켓(120), 플렉시블 연결수단(130)을 포함한다.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110)는, 전체적으로 사각판형태로 이루어지고 상부 양쪽에서는 윈도우(미도시)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111)가 형성되고, 중앙에는 가이드 레일(140)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연결되는 걸림부(112)가 형성되어 있게 된다.
상기 걸림부(112)의 주변에는 캐리어 플레이트(110)를 승하강시키기 위한 와이어(160)가 결합되는 와이어 결합부(113)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와이어 결합부(113)에는 와이어(160)의 단부가 삽입되어 있게 된다.
윈도우는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110)의 지지체에 고정설치되는 클램프(미도시)에 의하여 지지되어 캐리어 플레이트(110)와 함께 승하강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110)의 배면에는 제1전기접속부(114)가 마련된다.
상기 제1전기접속부(114)는, 전원에 의하여 공급된 전기적 신호를 윈도우에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서, 캐리어 플레이트(110)가 분리가능하게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제1전기접속부(114)는, 윈도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배선(123)이 분리가능하게 끼워지는 제1커넥터(1141)와, 상기 제1커넥터(1141)에 연결되고 원통형태를 가지는 원통형 제1원통부(1142)와, 상기 제1원통부(1142)를 캐리어 플레이트(110)에 끼워결합하기 위한 본체플레이트(114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커넥터(1141)는, 제1원통부(1142)의 측면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개구된 것으로서 상기 제1커넥터(1141)에는, 배선(123)이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배선(123)의 일측은 제1커넥터(1141)에 끼워지고, 타측은 원도우에 연결되어 윈도우와 제1전기접속부(114)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킬 수 있게 된다.
제1원통부(1142)는, 캐리어 플레이트(110)의 배면에서 세워져서 설치되며 전체적으로 원통형태를 가지게 된다. 이러한 제1원통부(1142)는, 플렉시블 연결수단(130)이 회전가능하게 피벗식으로 연결되는 것으로서, 원통형 본체(1142a)의 중앙에는 플렉시블 연결수단(130)을 회동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제1중심축(1142b)이 돌출형성되어 있게 된다.
원통형 본체(1142a)와 제1중심축(1142b) 사이에 플렉시블 연결수단(130)으로부터 연장된 전선(134)이 삽입되어 상기 제1커넥터(1141)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한다.
상기 본체 플레이트(1143)는, 상기 제1원통부(1142)를 지지하는 것으로서, 캐리어 플레이트(110)에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본체 플레이트(1143)는 사각판의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캐리어 플레이트(110)의 걸림턱에 걸리도록 구성되어 있게 된다.
상기 브라켓(120)은, 상기 가이드 레일(140)의 상단과 하단 사이의 가이드 레일(140)에 고정되는 것이다. 이러한 브라켓(120)은 가이드 레일(140)의 중앙에 설치되어 있어서 캐리어 플레이트(110)가 최상단과 최하단에 위치하는 경우에도 플레시블 연결수단의 길이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브라켓(120)은, 지지판(121)과, 상기 지지판(121)에 세워지는 원통형의 제2전기접속부(122)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판(121)은, 가이드 레일(140)의 중앙에 고정설치된 것으로서, 탈부착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좋다. 이를 위하여 지지판(121)에는 금속소재의 가이드 레일(140)에 끼워걸리기 위한 후크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2전기접속부(122)는 상기 지지판(121)에서 원통형상으로 세워져 설치되는 것으로서 일측에는 전원(141)에 연결되는 배선(123)이 접속되며, 그 중앙에는 플렉시블 연결수단(130)이 피벗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게 된다. 제2전기접속부(122)에는 전원으로부터 연결된 전선(134)이 플렉시블 연결수단(130)에 이어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플렉시블 연결수단(130)은, 일측은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110)의 제1전기접속부(114)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타측은 상기 브라켓(120)의 제2전기접속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제2전기접속부를 통하여 전원으로부터 공급된 전기적 신호를 상기 제1전기접속부(114)로 전달하는 것이다.
상기 플렉시블 연결수단(130)의 일측은, 상기 제1전기접속부(114)에 피벗식으로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제2전기접속부에 피벗식으로 연결되며,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110)가 승하강하는 과정에서, 상기 플레시블 연결수단은 상기 제1전기접속부(114)와 제2전기접속부의 사이에서 펴지거나 만곡되면서 전원의 전기적 신호를 캐리어 플레이트(110)에 전달시킨다.
이러한 플렉시블 연결수단(130)은, 제1접속부재(131), 제2접속부재(132) 및 케이블(133)을 포함한다.
상기 제1접속부재(131)는, 기둥형태를 가지면서 제1전기접속부(114)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이다. 이러한 제1접속부재(131)는 원기둥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제1전기접속부(114)의 제1원통부(1142)에 끼워져 결합된다.
상기 제1접속부재(131)가 상기 원통부에 끼워진 상태에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캐리어 플레이트(110)가 승하강하는 것을 방해하지 않고 케이블(133)이 꼬이지 않게 한다.
상기 제1접속부재(131)를 통과한 전선(134)은 상기 제1원통부(1142)를 통하여 제1커넥터(1141)에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서, 전기적 연결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제2접속부재(132)는, 기둥형태를 가지면서 제2전기접속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이다. 이러한 제2접속부재(132)는 원기둥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제2전기접속부의 원통부에 끼워져 결합된다.
상기 제1접속부재(131)가 상기 제1원통부(1142)에 끼워진 상태에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캐리어 플레이트(110)가 승하강하는 것을 방해하지 않고 케이블(133)이 꼬이지 않게 한다.
상기 제1접속부재(131)를 통과한 전선(134)은 상기 제1원통부(1142)를 통하여 제1커넥터(1141)에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서, 전기적 연결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케이블(133)은, 제1접속부재(131)와 제2접속부재(132)를 상호 연결하는 것으로서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직사각형 형태의 바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케이블(133)은 내부에 복수의 전선(134)이 통과하는 것으로서 유연하면서도 처지지 않는 강성을 가지는 합성수지소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케이블(133)은, 기둥형태의 제1접속부재(131)의 측면에서 연장되는 측부면(1331)과, 상기 측부면(1331)에 대하여 수직으로 위치하고 측부면(1331)보다 길이가 짧은 두께면(1332)을 포함한다. 측부면(1331)은 가이드 레일(140)에 대하여 수직하게 세워진 면으로서, 측부면(1331)의 수직한 방향으로 케이블(133)이 만곡될 수 있게 구성된다.
또한, 두께면(1332)에 수직한 방향으로는 휘어지지 않도록 구성되어 케이블(133)이 도어 내부의 주변 고정물과 충돌하면서 소음이 발생하는 것이 방지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윈도우 전원공급장치(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하게 된다.
먼저, 캐리플레이트가 가이드 레일(140)의 중간에 위치한 상태에서는, 도 4의 실선에 나타난 바와 같이, 케이블(133)은 "U"자 형태로 만곡되어 있게 된다. 전원이 인가되면 그 전기적 신호는 가이드 레일(140)에 고정된 브라켓(120)을 통하여, 제2전기접속부(122)로 이동하게 되며, 이후 케이블(133), 제1전기접속부(114)를 거쳐서 캐리어 플레이트(110)의 제1전기접속부(114)로 전달된다. 이후에, 제1전기접속부(114)를 통하여 이동된 전기적 신호는 배선(123)을 통하여 윈도우에 전달됨으로서 윈도우에 소정의 이미지를 나타내게 한다.
이 상태에서, 캐리어 플레이트(110)가 상승하여 윈도우가 상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제1접속부재(131)는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제2접속부재(132)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캐리어 플레이트(110)가 최상단까지 상승하게 된 후에는, 만곡된 케이블(133)이 거의 펴지게 된다. 전원으로부터 인가된 전기적 신호는 가이드 레일(140)에 고정된 브라켓(120)을 통하여, 제2전기접속부(122)로 이동하게 되며, 이후 케이블(133), 제1전기접속부(114)를 거쳐서 캐리어 플레이트(110)의 제1전기접속부(114)로 전달되고, 이후에, 제1전기접속부(114)를 통하여 이동된 전기적 신호는 배선(123)을 통하여 윈도우에 전달됨으로서 윈도우에 소정의 이미지를 나타내게 한다.
이 상태에서, 윈도우를 하강시키기 위하여 캐리어 플레이트(110)가 하강하게 되면 제1접속부재(131)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제2접속부재(132)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캐리어 플레이트(110)가 가이드 레일(140)의 중앙을 지날 때에는 케이블(133)이 활처럼 만곡되다가 중간을 지난 후에는 서서히 펴지게 되고 캐리어 플레이트(110)가 최하단에 위치하게 되면 케이블(133)이 거의 완전하게 펴지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윈도우 전원공급장치(100)는, 플렉시블 연결수단(130)이 캐리어 플레이트(110)와 브라켓(120)에 피봇되게 연결된 상태에서 윈도우에 전기적 신호를 인가하게 됨으로서 간단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정확한 동작이 가능하게 한다.
이때, 플렉시블 연결수단(130)은, 가이드 레일(140)의 면방향과 수평한 방향 내에서는 유연하게 구부러지나, 가이드 레일(140)의 면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는 굽혀지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동작과정에서 케이블(133)이 불필요하게 이동함으로서 주변 고정물에 접촉되어 소음을 유발하는 일이 없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자동차용 윈도우 전원공급장치(100)는, 4핀 이상의 케이블(133)을 적용할 수 있어서 윈도우의 기능확정성 면에서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자동차용 윈도우 전원공급수단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음과 같이 변형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 5 및 도 6에서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전원공급수단을 개시하고 있게 된다. 이때, 캐리어 플레이트는 도 1 내지 도 4에 개시된 자동차용 전원공급수단과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때, 플렉시블 연결수단(230)은, 기둥형태를 가지며 제1전기접속부(214)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접속부재(231)와, 기둥형태를 가지면서 제2전기접속부(222)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접속부재(132)와, 상기 제1접속부재(131)와 상기 제2접속부재(132)를 상호 연결하는 케이블(133)을 포함한다.
상기 케이블(133)은,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며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1, 2 연결바(2331, 2332)와, 제1연결바(2331)의 일면과 제2연결바(2332)의 일면을 서로 연결하며 길이방향을 따라서 서로 이격된 제1연결부재(2333)와, 제1연결바(2331)의 타면과 제2연결바(2332)의 타면을 서로 연결하며 상기 제1연결부재(2333)와 교대로 배치된 제2연결부재(2334)를 포함한다.
이때,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전선(234)은 제1연결부재(2333)와 제2연결부재(2334)를 통과하면서 제1연결부재(2333)와 제2연결부재(2334)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제1연결부재(2333)와 제2연결부재(2334)가 서로 교대로 배치되어 있어서, 가이드 레일(140)의 면방향과 수평한 면 상에서는 용이하게 구부러지게 하면서도, 가이드 레일(140)의 면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는 구부어지지 않게 할 수 있게 된다.
도 7 및 도 8에서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전원공급수단을 개시하고 있게 된다.
이때, 캐리어 플레이트(110)는 도 1 내지 도 4에 개시된 자동차용 전원공급수단과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7 및 도 8에 나타난 플렉시블 연결수단(330)은, 기둥형태를 가지며 제1전기접속부(314)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접속부재(331)와, 기둥형태를 가지면서 제2전기접속부(322)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접속부재(132)와, 상기 제1접속부재(131)와 상기 제2접속부재(132)를 상호 연결하는 케이블(133)을 포함한다.
이때, 케이블(133)은, 원형 단면을 가지면서 길게 연장되어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케이블(133)은 복수의 전선(134)과, 상기 전선(134)들을 감싸는 피복체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케이블(133)이 원형구조를 가지고 있어서 구부러지는 것이 용이한 장점이 있게 된다.
도 9에서는, 자동차용 윈도우 전원공급장치(400)가 모듈형 판넬(480)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4에서는 자동차용 윈도우 전원공급장치(100)가 도어 내부에 별도로 부착되는 가이드 레일(140)에 설치되는 예를 나타내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모듈형 판넬(480)에 가이드 레일(440)이 일체화된 모듈형 구조에 적용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브라켓(120)도 도어 모듈에 일체화되어 설치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다양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의 자동차용 윈도우 전원공급장치를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로부터 합리적으로 해석될 수 있는 것이라면 무엇이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0...전원공급장치 110...캐리어 플레이트
111...지지부 112...걸림부
113...와이어 결합부 114...제1전기접속부
1141...제1커넥터 1142...제1원통부
1142a...원통형 본체 1142b...제1중심축
1143...본체 플레이트 120...브라켓
121...지지판 122...제2전기접속부
123...배선 130...플렉시블 연결수단
131...제1접속부재 132...제2접속부재
133...케이블 1331...측부면
1332...두께면 134...전선
135...전원 1351...배선
140...가이드 레일 150...풀리
160...와이어 170...구동수단

Claims (6)

  1. 자동차 도어의 내부에서 승하강하는 윈도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자동차용 윈도우 전원공급장치에 있어서,
    가이드 레일에 접촉되어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 레일에 이격된 윈도우가 고정결합되어 윈도우와 함께 도어 내부에서 승하강하고 상기 윈도우에 전원이 전달될 수 있도록 제1전기접속부가 마련된 캐리어 플레이트;
    상기 가이드 레일의 상단과 하단 사이의 가이드 레일 또는 가이드 레일의 주변부에 고정설치되며 외부의 전원이 접속되는 제2전기접속부가 마련된 브라켓; 및
    일측은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의 제1전기접속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타측은 상기 브라켓의 제2전기접속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제2전기접속부를 통하여 전원으로부터 공급된 전기적 신호를 상기 제1전기접속부로 전달하는 플렉시블 연결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제1전기접속부는, 캐리어 플레이트에 고정설치되는 제1중심축을 가지는 제1원통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전기접속부는 가이드 레일 또는 가이드 레일의 주변부에 고정설치되며,
    상기 플렉시블 연결수단은,
    기둥형태를 가지며 제1중심축을 중심으로 360도 회전가능하게 제1원통부에 결합되는 제1접속부재와, 기둥형태를 가지면서 상기 제2전기접속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접속부재와, 상기 제1접속부재와 상기 제2접속부재를 상호 연결하며 제1접속부재와 제2접속부재에 고정연결되는 케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가 승하강하는 과정에서, 제1접속부재와 제2접속부재가 각각 제1원통부 및 제2전기접속부에 시계방향 또는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함과 동시에, 상기 제1전기접속부와 제2전기접속부의 사이의 케이블이 펴지거나 만곡되면서 전원의 전기적 신호를 캐리어 플레이트에 전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윈도우 전원공급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은, 기둥형태의 제1접속부재의 측면에서 연장되는 측부면과, 상기 측부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위치하고 측부면보다 길이가 짧은 두께면을 포함하는 직사각형 단면의 바로 구성되며,
    상기 케이블은 측면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는 구부러지는 것이 허용되고,
    두께면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 구부러지는 것이 억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윈도우 전원공급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의 내부에는 복수의 전선이 길이방향을 따라서 길게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전선은 상기 제1접속부재를 통하여 상기 제1전기접속부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윈도우 전원공급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은,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며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1, 2 연결바와,
    제1연결바의 일면과 제2연결바의 일면을 서로 연결하며 길이방향을 따라서 서로 이격된 제1연결부재와, 제1연결바의 타면과 제2연결바의 타면을 서로 연결하며 상기 제1연결부재와 교대로 배치된 제2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연결부재와 제2연결부재 사이를 전선이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윈도우 전원공급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은, 복수의 전선과, 상기 전선을 감싸며 원형단면을 가지는 피복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윈도우 전원공급장치.
KR1020210021145A 2021-02-17 2021-02-17 자동차용 윈도우 전원공급장치 KR1025221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1145A KR102522129B1 (ko) 2021-02-17 2021-02-17 자동차용 윈도우 전원공급장치
US18/277,534 US20240044198A1 (en) 2021-02-17 2021-03-23 Power supply device for vehicle window
PCT/KR2021/003571 WO2022177062A1 (ko) 2021-02-17 2021-03-23 자동차용 윈도우 전원공급장치
KR1020230031084A KR20230041669A (ko) 2021-02-17 2023-03-09 자동차용 윈도우 전원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1145A KR102522129B1 (ko) 2021-02-17 2021-02-17 자동차용 윈도우 전원공급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31084A Division KR20230041669A (ko) 2021-02-17 2023-03-09 자동차용 윈도우 전원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7599A KR20220117599A (ko) 2022-08-24
KR102522129B1 true KR102522129B1 (ko) 2023-04-17

Family

ID=8293076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1145A KR102522129B1 (ko) 2021-02-17 2021-02-17 자동차용 윈도우 전원공급장치
KR1020230031084A KR20230041669A (ko) 2021-02-17 2023-03-09 자동차용 윈도우 전원공급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31084A KR20230041669A (ko) 2021-02-17 2023-03-09 자동차용 윈도우 전원공급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40044198A1 (ko)
KR (2) KR102522129B1 (ko)
WO (1) WO2022177062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44876A (ja) 2000-11-10 2002-05-22 Nissan Shatai Co Ltd スライドドアのドアハーネス配索構造
JP2008247086A (ja) * 2007-03-29 2008-10-16 Yazaki Corp 給電装置
JP2014068419A (ja) * 2012-09-24 2014-04-17 Sumitomo Wiring Syst Ltd 電線ガイド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68201B2 (ja) * 2008-03-12 2012-11-07 矢崎総業株式会社 給電構造
JP6285845B2 (ja) * 2013-11-27 2018-02-28 矢崎総業株式会社 ワイヤハーネス
JP6558312B2 (ja) * 2016-06-24 2019-08-14 住友電装株式会社 ケーブルガイドのガイド端、ケーブルガイド及びワイヤハーネス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44876A (ja) 2000-11-10 2002-05-22 Nissan Shatai Co Ltd スライドドアのドアハーネス配索構造
JP2008247086A (ja) * 2007-03-29 2008-10-16 Yazaki Corp 給電装置
JP2014068419A (ja) * 2012-09-24 2014-04-17 Sumitomo Wiring Syst Ltd 電線ガイ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7599A (ko) 2022-08-24
KR20230041669A (ko) 2023-03-24
US20240044198A1 (en) 2024-02-08
WO2022177062A1 (ko) 2022-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890300B (zh) 窗户调节器
US4970827A (en) Cable window regulator
JP4728938B2 (ja) スライドドア用給電装置
US20030140562A1 (en) Integrated roller cable assembly
US7424788B2 (en) Universal cable window regulator assembly for vehicles
JP4921221B2 (ja) 給電装置
KR102522129B1 (ko) 자동차용 윈도우 전원공급장치
CN101388532B (zh) 电力输送结构
KR20220024352A (ko) 자동차용 윈도우 전원공급장치
JP2005238932A (ja) ハーネスの支持構造
CN102792537A (zh) 供电布线结构
KR102335174B1 (ko) 자동차용 윈도우 전원공급장치
JPH11122791A (ja) 開閉部材構造
JP2005170360A (ja) スライドドア用給電装置
KR102509095B1 (ko) 자동차용 윈도우 전원공급장치
KR102444913B1 (ko) 자동차용 윈도우 전원공급장치
JP4020568B2 (ja) ケーブル式のウインドレギュレータ
JP6175332B2 (ja) ワイヤ式ウインドウレギュレータ
JP2018071235A (ja) 対象物移動装置
CN114423923A (zh) 驱动装置及窗玻璃升降装置
CN101388533A (zh) 电力输送结构
AU2008212082A1 (en) Electric power-feeding structure
JP6739476B2 (ja) ケーブル配索構造およびこれを用いた窓ガラス昇降装置
KR102431768B1 (ko) 자동차용 원도우 전기공급장치
JP2007151316A (ja) ハーネス配索構造とそれを備えた給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