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5174B1 - 자동차용 윈도우 전원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윈도우 전원공급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35174B1 KR102335174B1 KR1020200034060A KR20200034060A KR102335174B1 KR 102335174 B1 KR102335174 B1 KR 102335174B1 KR 1020200034060 A KR1020200034060 A KR 1020200034060A KR 20200034060 A KR20200034060 A KR 20200034060A KR 102335174 B1 KR102335174 B1 KR 10233517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indow
- wire
- electric wire
- rail
- winding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3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0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665 sag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74 ascend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52 intercep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355 oscil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18—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 B60J1/1838—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movable for non-convertible vehicles, including vehicles with versatile load area
- B60J1/1846—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movable for non-convertible vehicles, including vehicles with versatile load area where the window can slide
- B60J1/1853—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movable for non-convertible vehicles, including vehicles with versatile load area where the window can slide horizontally in direction transverse to vehicle longitudinal axi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07—Wire harnesses
- B60R16/0215—Protecting, fastening and routing means therefor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6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 E05F15/689—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window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4—Rails; Track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5—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Cable Arrangement Between Relatively Moving Par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전원공급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도어 내부에 마련되는 승하강용 레일을 따라서 슬라이드 이동하고 와이어에 의하여 견인되는 캐리어 플레이트와,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에 장착되어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와 함께 상기 승하강용 레일의 상단과 하단 사이에서 상승 또는 하강하는 윈도우를 포함하는 윈도우 레귤레이터에 사용되고, 상기 윈도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자동차용 윈도우 전원공급장치에 있어서, 일단은 윈도우 측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타단은 승하강용 레일의 하측에 고정되며, 타단을 통해서 외부로부터 공급된 전원을 윈도우 측으로 공급하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전선; 및 윈도우와 상기 승하강용 레일의 하단 사이에 배치되며 전선이 입출입하는 개방구가 형성되며 내부에 수용공간을 가지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수용공간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고, 외주면에 상기 개방부를 통하여 인입되는 전선이 감겨지며, 회전하면서 전선을 감아주거나 풀어주는 권취롤과, 상기 권취롤이 전선을 감는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게 탄성력을 부여하는 스파이럴 스프링을 포함하는 슬라이더;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윈도우 전원공급장치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자동차용 윈도우 전원공급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윈도우에 전원을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는 자동차용 윈도우 전원공급장치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도어에는 윈도우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윈도우가 승하강하면서 도어의 개방부를 개폐하도록 구성되어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자동차의 도어에는, 도어 내에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가이드 레일과, 상기 가이드 레일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연결되는 캐리어 플레이트와, 구동수단과 연결되어 순환괘적 운동을 하고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에 연결되어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를 승하강시키는 와이어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가 설치되어 있게 된다. 이때 윈도우는 윈도우 레귤레이터의 캐리어 플레이트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와 함께 상승 또는 하강하도록 구성된다.
최근 자동차 윈도우에는 다양한 정보를 담을 수 있게 하는 기술이 연구되고 있다. 즉, 윈도우에 투명한 디스플레이를 설치한 후에 평상시에는 투명하지만 정보를 나타내거나 영상을 재상할 때에는 밝고 선명한 그래픽이 구현되도록 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또한 기존의 선팅과는 달리 외부의 빛에 따라서 차광성을 달리하는 기술들도 개발되고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윈도우에 열선을 내장시키는 기술등이 연구되고 있다.
이러한 기술들을 개발하는데 있어서 어려운 점은 도어 내에 윈도우가 고정설치된 것이 아니라 빈번하게 상승과 하강을 하도록 구성되어 있게 되고 이에 따라서 가동체인 윈도우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이 쉽지 않다는 데에 있다.
유선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경우 윈도우와 함께 전선이 함께 이동하면서 전선이 단락되거나 주변 구성품과 접촉되어 소음을 유발하는 경우가 있으며, 무선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경우 비용이 과도하게 소요되어 바람직하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게 된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한 자동차용 윈도우 전원공급장치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는 전선과, 상기 전선에 연결되어 윈도우의 승하강에 따라서 전선을 감거나 푸는 슬라이더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윈도우 전원공급장치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자동차의 도어 내부에 마련되는 승하강용 레일을 따라서 슬라이드 이동하고 와이어에 의하여 견인되는 캐리어 플레이트와,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에 장착되어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와 함께 상기 승하강용 레일의 상단과 하단 사이에서 상승 또는 하강하는 윈도우를 포함하는 윈도우 레귤레이터에 사용되고, 상기 윈도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자동차용 윈도우 전원공급장치와 관련된다. 이때 전원공급장치는, 일단은 윈도우 측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타단은 승하강용 레일의 하측에 고정되며, 타단을 통해서 외부로부터 공급된 전원을 윈도우 측으로 공급하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전선; 및 윈도우와 상기 승하강용 레일의 하단 사이에 배치되며 전선이 입출입하는 개방구가 형성되며 내부에 수용공간을 가지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수용공간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고, 외주면에 상기 개방부를 통하여 인입되는 전선이 감겨지며, 회전하면서 전선을 감아주거나 풀어주는 권취롤과, 상기 권취롤이 전선을 감는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게 탄성력을 부여하는 스파이럴 스프링을 포함하는 슬라이더;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윈도우의 상승시에는 전선을 풀어주면서 윈도우와 함께 상승하고, 윈도우가 하강시에는 전선을 감으면서 윈도우와 함께 하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승하강용 레일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촉하여 상기 레일을 따라서 안내되어 상승 또는 하강이동하고, 상기 윈도우의 상승시에는 전선을 풀어주면서 윈도우와 함께 상승하고, 윈도우가 하강시에는 전선을 감으면서 윈도우와 함께 하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권취롤은,
중간 분리벽에 의하여 제1권취부와, 제2권취부로 구분되며, 상기 중간 분리벽은 제1권취부에 감긴 전선이 제2권취부로 통하도록 전선 연결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선은, 상기 제1권취부로부터 상기 윈도우까지 연장되는 제1전선부와, 제2권취부로부터 가이드 레일의 하측까지 연장되는 제2전선으로 구분되며,
윈도우의 상승과 하강에 따라서 제1전선부와, 제2전선부가 동일한 길이로 감기거나 풀리면서, 상기 슬라이더는 윈도우와 가이드 레일의 하단의 중간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 레일에서는 절곡부가 길이방향을 따라서 연장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외측면에서, 상기 승하강 레일과 마주보는 면에는 상기 승하강 레일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레일 결합부와, 상기 와이어가 지나는 위치와 마주보는 면에는 와이어를 따라서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와이어 결합부를 포함하되,
상기 슬라이더는 승하강용 레일과, 와이어에 지지되어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윈도우와 전원을 연결하는 전선에 윈도우의 승하강에 따라서 전선을 감거나 푸는 슬라이더가 마련되어 있어서 전선이 늘어져서 떨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하나의 전선으로 윈도우와 전원을 연결할 수 있어서 수밀성 및 전기적 안정성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구조가 간단하고 단순하여 전체적인 도어 내부의 설계를 쉽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슬라이더가 레일을 따라서 안내되어 슬라이드 이동하므로 이동과정에서 위치를 벗어나는 일도 없고 슬라이더의 떨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슬라이더가 레일과 와이어에 의하여 지지되어 슬라이드 이동하고 있으므로 안정적인 승하강 동작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장치는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의 일부 확대도.
도 3은 도 1에서 전선과 슬라이더를 분해하여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1의 슬라이더에서 커버가 제거된 내부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도 3의 전선과 슬라이더의 배면 사시도.
도 6은 도 1의 슬라이더의 작동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도 1의 슬라이더가 와이어가 지지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도 1의 슬라이더가 승하강용 레일에 지지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윈도우가 하강하였을 때 도 1의 전원공급장치의 모습을 나타내는 작동도.
도 2는 도 1의 일부 확대도.
도 3은 도 1에서 전선과 슬라이더를 분해하여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1의 슬라이더에서 커버가 제거된 내부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도 3의 전선과 슬라이더의 배면 사시도.
도 6은 도 1의 슬라이더의 작동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도 1의 슬라이더가 와이어가 지지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도 1의 슬라이더가 승하강용 레일에 지지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윈도우가 하강하였을 때 도 1의 전원공급장치의 모습을 나타내는 작동도.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이다. 본 개시에 따른 권리범위가 이하에 제시되는 실시예들이나 이들 실시예들에 대한 구체적 설명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용어들 및 과학적 용어들은,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를 갖는다. 본 개시에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개시를 더욱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선택된 것이며 본 개시에 따른 권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선택된 것이 아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 "구비하는", "갖는" 등과 같은 표현은, 해당 표현이 포함되는 어구 또는 문장에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다른 실시예를 포함할 가능성을 내포하는 개방형 용어(open-ended terms)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기술된 단수형의 표현은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단수형의 표현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의 표현들은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상호 구분하기 위해 사용되며, 해당 구성요소들의 순서 또는 중요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경우,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거나 접속될 수 있는 것으로, 또는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로 하여 연결될 수 있거나 접속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상방"의 방향지시어는 승하강 레일의 상단이 위치하는 방향을 위미하고, "하방"의 방향은 승하강 레일의 하단이 위치하는 방향으로서 상방의 반대 방향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부호가 부여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를 중복하여 기술하는 것이 생략될 수 있다. 그러나, 구성요소에 관한 기술이 생략되어도, 그러한 구성요소가 어떤 실시예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의도되지는 않는다.
이하에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예들은, 자동차의 도어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윈도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선과, 윈도우의 승하강 과정에서 전선의 늘어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전선이 항상 일정한 장력을 가지도록 팽팽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슬라이더에 관련된다.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전원공급장치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도어의 패널과 별개로 구성된 가이드 레일에 설치되는 것이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구성품이 포함되어 있는 모듈형 패널에 레일이 설치된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게 된다. 본 개시에서 레일은 가이드 레일만이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가이드 레일이 각종 구성품과 일체화된 모듈형 패널에 적용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으나, 모듈형 패널에 전원공급장치가 설치된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윈도우 전원공급장치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자동차용 윈도우 전원공급장치(10)는, 자동차의 도어 내부에 마련되는 승하강용 레일(50)을 따라서 슬라이드 이동하고 와이어(60)에 의하여 견인되는 캐리어 플레이트(40)와,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40)에 장착되어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40)와 함께 상기 승하강용 레일(50)의 상단과 하단 사이에서 상승 또는 하강하는 윈도우(70)를 포함하는 윈도우 레귤레이터에 사용되고, 상기 윈도우(7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승하강용 레일(50)은, 도어 내에 설치되는 가이드 레일로서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사각판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일측에는 직각으로 절곡된 절곡부(51)가 가이드 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어서 캐리어 플레이트(40)가 상기 가이드 레일의 절곡부(51)에 결합하여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안내되고 있다.
이러한 자동차용 윈도우 전원공급장치(10)는, 전선(20)과, 슬라이더(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전선(20)은, 일단이 윈도우(70) 측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타단은 승하강용 레일(50)의 하측에 고정되며, 타단을 통해서 외부로부터 공급된 전원 또는 신호를 윈도우(70) 측으로 공급할 수 있는 것으로서,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것이다.
이러한 전선(20)의 일단은 캐리어 플레이트(40)에 고정설치된 윈도우(70)의 하단측에 배치된 커넥터(71)에 접속되고, 전선(20)은 하측으로 연장되고 그 타단이 승하강용 레일(50)의 승하강용 레일(50)의 하단 쪽에 외부의 전원과 접속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전선(20)의 길이는 승하강용 레일(50)의 하단측에 고정된 상태에서 윈도우(70)가 최대 상승해도 윈도우(70)의 커넥터에서 전원연결이 끊어지지 않도록 충분한 길이를 가지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승하강용 레일(50)의 상단과 하단 사이의 거리보다는 다소 긴 길이를 가지고 있어서 윈도우(70)의 최대 상승상태에서도 전원이 용이하게 공급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전선(20)은 상기 제1권취부(321)로부터 상기 윈도우(70)까지 연장되는 제1전선부(21)와, 제2권취부(322)로부터 승하강용 레일(50)의 하측까지 연장되는 제2전선부(22)로 이루어진다.
상기 슬라이더(30)는 전선(20)이 윈도우(70)의 상승과 하강에 관계없이 늘어지지 않고 일정한 장력을 가지게 하고 팽팽한 상태를 유지하게 함으로서 전선(20)의 꼬임이나 엉킴이 발생하지 않고 도어 내부의 주변구성품들과 간섭이 발생하지 않게 한다.
상기 슬라이더(30)는 상기 승하강용 레일(50)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촉하여 상기 레일(50)을 따라서 안내되어 상승 또는 하강이동하고, 상기 윈도우(70)의 상승시에는 전선(20)을 풀어주면서 윈도우(70)와 함께 상승하고, 윈도우(70)가 하강시에는 전선(20)을 감으면서 윈도우(70)와 함께 하강한다.
이러한 슬라이더(30)는 본체(31)와, 권취롤(32)과, 스파이럴 스프링(33)을 포함한다.
상기 본체(31)는 윈도우(70)와 상기 승하강용 레일(50)의 하단 사이에 배치되고 전선(20)이 입출입하는 개방구가 형성되며 내부에 수용공간(311a)을 가지는 것으로서, 몸통부(311)와 커버(312)를 포함한다.
상기 몸통부(311)는 일측이 개구된 박스형태를 가지는 것으로서, 내부에 권취롤(32)을 수용할 수 있도록 권취롤(32)과 대응되는 원기둥상을 가지는 오목한 수용공간(311a)이 마련된다.
상기 오목한 수용공간(311a)에서 상측을 향하여 전선(20)이 통과하기 위한 제1전선 통과공(311b)이 마련되며, 오목한 수용공간(311a)에서 하측을 향하여 전선(20)이 통과하기 위한 제2전선 통과공(311c)이 마련되어 있게 된다. 제1전선 통과공(311b)과 제2전선 통과공(311c)은 절개된 슬릿을 형태를 가지고 있게 된다.
상기 오목한 수용공간(311a)의 바닥면 중앙에는 권취롤(32)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함과 동시에 스파이럴 스프링(33)의 내측 단부를 고정시키기 위한 롤 지지부(311d)가 마련되어 있게 된다. 롤 지지부(311d)는 원기둥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단부에 절개된 절개부가 마련되어 있어서 절개부에 스파이럴 스프링(33)의 내측 단부가 끼워걸리 수 있게 한다.
상기 몸통부(311)의 외측면에는 승하강용 레일(50)의 절곡부를 감쌀 수 있는 형상을 가지는 레일 결합부(311e)가 마련된다. 이러한 레일 결합부(311e)는 승하강 레일의 절곡부와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게 된다. 상기 레일 결합부(311e)는 상기 승하강용 레일(50)의 절곡부가 대응되는 홈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레일의 절곡부가 레일 결합부(311e)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슬라이더(30)는 상기 승하강용 레일(50)을 따라서 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상승 또는 하강이동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몸통부(311)의 외측면으로서 상기 레일 결합부(311e)의 주변에는 상기 몸통부(311)에서 돌출되는 후크 형태의 와이어 결합부(311f)가 마련되어 있게 된다. 상기 와이어 결합부(311f)는 팽팽하게 장력이 유지되어 있는 와이어(60)에 지지될 수 있는 부분이다.
이러한 와이어 결합부(311f)는 와이어(60)가 지나는 위치와 마주보는 몸통부(311)의 외측면에 형성되어 있어서 슬라이더(30)가 승하강용 레일(50)의 절곡부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상기 와이어(60)가 후크에 걸릴 수 있게 한다. 와이어 결합부(311f)는 승하강용 레일(50)을 따라서 슬라이드 이동하는 슬라이더(30)가 흔들림이 없이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도록 슬라이더(30)의 이동방향을 안내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커버(312)는 몸통부(311)의 개방된 일측은 폐쇄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수용공간(311a) 내에 배치된 권취롤(32)과 스파이럴 스프링(33)이 본체(31) 내에 유지되도록 한다.
상기 권취롤(32)은, 상기 본체(31)의 수용공간(311a)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고, 외주면에 상기 개방부를 통하여 인입되는 전선(20)이 감겨지며, 회전하면서 전선(20)을 감아주거나 풀어주는 것이다.
이러한 권취롤(32)은, 대략 원판형태로 이루어지되, 외주면에 전선(20)을 감을 수 있는 것으로서 두개의 권취부로 이루어진다. 두 개의 권취부는 중간 분리벽(323)에 의하여 물리적으로 구분되며 제1전선부(21)가 권취되는 제1권취부(321)와, 제2전선부(22)가 권취되는 제2권취부(322)로 이루어진다. 상기 중간 분리벽(323)에는 제1권취부(321)와 제2권취부(322)를 상호 연결하는 전선 삽입홈(324)이 형성되어 있어서 제1권취부(321)를 통하여 인입된 전선(20)이 전선 삽입홈(324)을 통해서 제2권취부(322)로 감아걸리게 된다. 이때 전선(20)은 제1권취부(321)를 통해서 권취된 후에 전선 삽입홈(324)을 통해서 제2권취부(322)로 넘어와 감기게 되는데, 제1권취부(321)에서 권선되는 방향과 제2권취부(322)에서 권선되는 방향을 서로 다르게 된다. 도 3에서는 제1권취부(321)에서 시계방향으로 권선된 전선(20)이 전선 삽입홈(324)을 통해서 제2권취부(322)로 넘어간 후에는 반시계방향으로 감기게 된다.
이와 같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전선(20)이 감기는 권취롤(32)이 중간 분리벽(323)에 의하여 두 개의 권취부로 분리됨에 따라서 전선(20)이 감기거나 풀리는 과정에서 서로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원판형태의 권취롤(32)의 일측에서는 스파이럴 스프링(33)과 대응되는 형상의 오목한 스프링 수용홈(325)이 수용되어 있으며, 바닥면 중앙에는 롤 지지부(311d)가 삽입될 수 있는 관통공(325a)이 마련되어 있게 된다. 롤 지지부(311d)는 상기 관통공을 통과한 후에는 스파이럴 스프링(33)의 내측 단부에 끼워걸리게 된다.
상기 스프링 수용홈(325)를 둘러싸는 주변벽에는 스파이럴 스프링(33)의 외측 단부가 끼워걸리 수 있게 하는 걸림턱(326)이 마련되어 있어서 스파이럴 스프링(33)의 내측 단부는 롤 지지부(311d)에 고정된 상태에서 외측단부는 걸림턱(326)에 걸리도록 구성된다.
상기 스파이럴 스프링(33)은, 상기 권취롤(32)이 전선(20)을 감는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게 탄성력을 부여하는 것이다. 이러한 스파이럴 스프링(33)은, 얇고 긴 띠 모양의 고탄력 강판을 나선형으로 감아서 형성한 것으로서, 내측 단부에는 몸통부(311)의 롤 지지부(311d)에 끼워걸려서 몸통부(311)에 고정된다. 또한, 외측 단부는 권취롤(32)에 끼워걸림으로서 권취롤(32)이 일방향으로 회전시 탄성력을 축적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스파이럴 스프링(33)은 전선(20)에 항상 일정한 장력이 걸리게 함으로서 전선(20)이 늘어지지 않고 항상 팽팽한 상태를 유지하게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전원공급장치(10)는 다음과 같은 작용효과를 가진다.
먼저, 일단이 윈도우(7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타단이 전원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에서 전원이 인가되면 이는 전선(20)을 통해서 윈도우(70) 측에 전달되어 윈도우(70)의 디스플레이트나 열선등을 전기적으로 동작시키게 한다.
도 1에서는 윈도우(70)가 최대 상승된 상태를 도시하는데, 이때 슬라이더(30) 내부에 권선된 전선(20)은 팽팽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슬라이더(30) 내부의 스파이럴 스프링(33)의 탄성력에 의하여 일정한 장력이 유지되는 전선(20)은 윈도우(70)가 최대 상승위치에서 윈도우(70)의 레일의 하단 사이에 중앙부분에 위치하면서 전선(20)이 늘어지지 않게 팽팽한 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서 자동차가 주행중이라도 도어 내부에서 전선(20)이 떨리면서 소음을 유발하거나 주변 구성품에 접촉되어 구성품에 엉키는 일이 없게 된다.
한편, 자동차의 탑승자가 윈도우(70)를 하강시키는 경우에는 전선(20)의 상단이 고정설치된 캐리어 플레이트(40)와 윈도우(70)가 승하강 레일을 따라서 하측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윈도우(70)가 하강함에 따라서 전선(20)이 스파이럴 스프링(33)의 복원력에 의하여 권취롤(32)의 외주면에 감기게 된다. 윈도우(70)에 접속된 제1전선부(21)는 제1권취부(321)에 감기게 되고, 전원에 접속된 제2전선부(22)는 제2권취부(322)에 서로 다른 방향으로 감기게 된다. 이때 제1전선부(21)와 제2전선부(22)는 동일한 길이만큼 권선되므로 슬라이더(30)는 윈도우(70)와 승하강 레일의 하단 사이의 중앙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윈도우(70)가 하강하는 경우에도 전선(20)이 늘어지지 않고 스파이럴 스프링(33)의 탄성력에 의하여 팽팽한 상태를 유지하게 됨으로서 자동차가 주행중이라도 도어 내부에서 전선(20)이 떨리면서 소음을 유발하거나 주변 구성품에 접촉되어 구성품에 엉키는 일이 없게 된다.
한편, 슬라이더는 윈도우의 하강에 따라서 같이 승하강 레일의 하단을 향하여 하강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슬라이더는 레일 결합부는 승하강 레일의 절곡부에 끼워걸려서 안정적으로 슬라이드 이동하고, 또한 레일 결합부에서 상하방향과 직각인 수평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는 와이어에 걸리는 와이어 결합부가 마련되어 있어서, 슬라이드는 안정적으로 요동이 없이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다.
즉,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더는 수평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한 쌍의 레일 결합부와, 와이어 결합부가 레일의 절곡부와 와이어에 의하여 이동방향이 안내되고 있으므로 슬라이더의 이동과정에서 슬라이더가 떨려서 소음이 유발되는 일이 없게 되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다양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의 치과용 드릴을 위한 스토퍼를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로부터 합리적으로 해석될 수 있는 것이라면 무엇이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전원공급장치 20...전선
21...제1전선부 22...제2전선부
30...슬라이더 31...본체
311...몸통부 311a...수용공간
311b...제1통과공 311c...제2통과공
311d...롤 지지부 311e...레일 결합부
311f...와이어 결합부 312...커버
32...권취롤 321...제1권취부
322...제2권취부 323...분리벽
324...삽입홈 325...스프링 수용홈
326...걸림턱 33...스파이럴 스프링
40...캐리어 플레이트 50...승하강용 레일
51...절곡부 60...와이어
70...윈도우
21...제1전선부 22...제2전선부
30...슬라이더 31...본체
311...몸통부 311a...수용공간
311b...제1통과공 311c...제2통과공
311d...롤 지지부 311e...레일 결합부
311f...와이어 결합부 312...커버
32...권취롤 321...제1권취부
322...제2권취부 323...분리벽
324...삽입홈 325...스프링 수용홈
326...걸림턱 33...스파이럴 스프링
40...캐리어 플레이트 50...승하강용 레일
51...절곡부 60...와이어
70...윈도우
Claims (5)
- 자동차의 도어 내부에 마련되는 승하강용 레일을 따라서 슬라이드 이동하고 와이어에 의하여 견인되는 캐리어 플레이트와,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에 장착되어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와 함께 상기 승하강용 레일의 상단과 하단 사이에서 상승 또는 하강하는 윈도우를 포함하는 윈도우 레귤레이터에 사용되고, 상기 윈도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자동차용 윈도우 전원공급장치에 있어서,
일단은 윈도우 측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타단은 승하강용 레일의 하측에 고정되며, 타단을 통해서 외부로부터 공급된 전원을 윈도우 측으로 공급하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전선; 및
윈도우와 상기 승하강용 레일의 하단 사이에 배치되고 전선이 입출입하는 개방구가 형성되며 내부에 수용공간을 가지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수용공간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고, 외주면에 상기 개방구를 통하여 인입되는 전선이 감겨지며, 회전하면서 전선을 감아주거나 풀어주는 권취롤과,
상기 권취롤이 전선을 감는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게 탄성력을 부여하는 스파이럴 스프링을 포함하는 슬라이더;를 포함하되,
상기 권취롤은,
중간 분리벽에 의하여 제1권취부와, 제2권취부로 구분되고,
상기 전선은, 상기 제1권취부로부터 상기 윈도우까지 연장되는 제1전선부와, 제2권취부로부터 가이드 레일의 하측까지 연장되는 제2전선으로 구분되며,
윈도우의 상승과 하강에 따라서 제1전선부와, 제2전선부가 동일한 길이로 감기거나 풀리면서, 상기 슬라이더는 윈도우의 하단과 가이드 레일의 하단의 중간 위치를 유지하도록 가이드 레일을 따라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윈도우 전원공급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승하강용 레일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촉하여 상기 레일을 따라서 안내되어 상승 또는 하강이동하고, 상기 윈도우의 상승시에는 전선을 풀어주면서 윈도우와 함께 상승하고, 윈도우가 하강시에는 전선을 감으면서 윈도우와 함께 하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윈도우 전원공급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용 레일에서는 절곡부가 길이방향을 따라서 연장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외측면에서, 상기 승하강용 레일의 절곡부과 마주보는 면에는 상기 승하강용 레일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레일 결합부와, 상기 와이어가 지나는 위치와 마주보는 면에는 와이어를 따라서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와이어 결합부를 포함하되,
상기 슬라이더는 승하강용 레일과, 와이어에 지지되어 슬라이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윈도우 전원공급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분리벽은 제1권취부에 감긴 전선이 제2권취부로 통하도록 전선 연결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윈도우 전원공급장치.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34060A KR102335174B1 (ko) | 2020-03-19 | 2020-03-19 | 자동차용 윈도우 전원공급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34060A KR102335174B1 (ko) | 2020-03-19 | 2020-03-19 | 자동차용 윈도우 전원공급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17624A KR20210117624A (ko) | 2021-09-29 |
KR102335174B1 true KR102335174B1 (ko) | 2021-12-07 |
Family
ID=779247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34060A KR102335174B1 (ko) | 2020-03-19 | 2020-03-19 | 자동차용 윈도우 전원공급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35174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85488B1 (ko) * | 2022-11-21 | 2024-07-16 | 대동하이렉스 주식회사 | 자동차용 스마트 글라스의 전원공급장치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121961A (ja) | 2000-10-13 | 2002-04-26 | Shiroki Corp | スライドドア |
KR101438832B1 (ko) | 2008-09-24 | 2014-09-05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도어글래스 레귤레이터 구조 |
JP2019124103A (ja) * | 2018-01-19 | 2019-07-25 | 株式会社城南製作所 | ウインドレギュレータ |
JP6644495B2 (ja) * | 2015-08-19 | 2020-02-12 | 株式会社城南製作所 | ウインドレギュレータ及びウインドレギュレータの製造方法 |
-
2020
- 2020-03-19 KR KR1020200034060A patent/KR10233517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121961A (ja) | 2000-10-13 | 2002-04-26 | Shiroki Corp | スライドドア |
KR101438832B1 (ko) | 2008-09-24 | 2014-09-05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도어글래스 레귤레이터 구조 |
JP6644495B2 (ja) * | 2015-08-19 | 2020-02-12 | 株式会社城南製作所 | ウインドレギュレータ及びウインドレギュレータの製造方法 |
JP2019124103A (ja) * | 2018-01-19 | 2019-07-25 | 株式会社城南製作所 | ウインドレギュレータ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17624A (ko) | 2021-09-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728938B2 (ja) | スライドドア用給電装置 | |
JP5281832B2 (ja) | 給電装置とそれを用いたハーネス配索構造 | |
CN102917898B (zh) | 车辆用窗户遮帘装置 | |
US9925852B2 (en) | Wire harness winding device | |
KR102335174B1 (ko) | 자동차용 윈도우 전원공급장치 | |
US9698587B2 (en) | Flat cable reeling device | |
JP2009029313A (ja) | スライドドア用給電装置 | |
KR20220024352A (ko) | 자동차용 윈도우 전원공급장치 | |
WO2008053938A1 (en) | Power supply unit for slide structure | |
JPH0790692B2 (ja) | 自動車用サンシエ−ド装置 | |
US20200256111A1 (en) | Window regulator | |
US20020003030A1 (en) | Cord-driven drum | |
KR102675882B1 (ko) | 자동차용 윈도우 전원공급장치 | |
KR102444913B1 (ko) | 자동차용 윈도우 전원공급장치 | |
EP0176201A1 (en) | A winding device for cables | |
JP2018071235A (ja) | 対象物移動装置 | |
JP2007253701A (ja) | ハーネススプールおよびドア用給電装置 | |
JP4956236B2 (ja) | スクリーン装置 | |
JP3558566B2 (ja) | 配索済みワイヤハーネス巻取方法および巻取装置 | |
KR102509095B1 (ko) | 자동차용 윈도우 전원공급장치 | |
JP2008030716A (ja) | スライドドア用給電装置 | |
KR102722351B1 (ko) | 자동차 도어용 전원공급장치 | |
KR102408881B1 (ko) | 무접점 방식의 스피커 승하강 장치 | |
JP2019082033A (ja) | 移動装置及び窓ガラス昇降装置 | |
JP2004345598A (ja) | スライドドア用給電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