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84702A - 유체압 완충기 - Google Patents

유체압 완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84702A
KR20090084702A KR1020090006770A KR20090006770A KR20090084702A KR 20090084702 A KR20090084702 A KR 20090084702A KR 1020090006770 A KR1020090006770 A KR 1020090006770A KR 20090006770 A KR20090006770 A KR 20090006770A KR 20090084702 A KR20090084702 A KR 200900847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bump
outer cylinder
fluid pressure
cap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67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16824B1 (ko
Inventor
아츠시 마에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치 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치 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치 세이사꾸쇼
Publication of KR200900847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47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68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68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58Stroke limiting stops, e.g. arranged on the piston rod outside the cylin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3/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vibration dampers
    • B60G13/0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vibration dampers having dampers dissipating energy, e.g. frictionally
    • B60G13/06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vibration dampers having dampers dissipating energy, e.g. frictionally of fluid type
    • B60G13/08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vibration dampers having dampers dissipating energy, e.g. frictionally of fluid type hydraul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207Constructional features
    • F16F9/3235Constructional features of cylinders
    • F16F9/3242Constructional features of cylinders of cylinder ends, e.g. ca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4Special valve constructions; Shape or construction of throttling passa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50Special means providing automatic damping adjustment, i.e. self-adjustment of damping by particular sliding movements of a valve element, other than flexions or displacement of valve discs; Special means providing self-adjustment of spring characteristics

Abstract

본 발명은 외통(外筒)의 개구부가 코킹 가공되는 경우라도, 범프 캡의 외부 직경이 외통의 외부 직경을 초과하는 일이 없는 유체압 완충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캡 홀더(5)의 외측 플랜지부(37)를 로드 가이드(3)와 외통(2)의 컬부(35) 사이에 끼우고 캡 홀더(5)의 유지부(34)를 외통(2)의 외부로 돌출시키며, 이 캡 홀더(5)의 유지부(34)에 범프 캡(25)의 내부 직경부(28)를 압입시켜, 범프 캡(25)의 단부면(32)을 외통(2)의 컬부에 밀착시켰다. 이에 따라, 외통(2)의 개구부가 컬 가공되어 폐색되는 유체압 완충기(1)라도, 외통(2)의 외부 직경과 동등하거나 또는 그보다 작은 외부 직경을 갖는 범프 캡(25)을 외통(2)의 개구부에 배치할 수 있다.

Description

유체압 완충기{HYDRAULIC DAMPER}
본 발명은 범프 캡을 구비하는 유체압 완충기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자동차의 서스펜션 장치에 사용되는 유체압 완충기에는, 외통(外筒)의 개구부에 범프 캡이 배치되는 것이 있다(예컨대, 특허 문헌 1 참조). 코일 스프링이 동축 배치되는 유체압 완충기에서는, 그 외부 직경이 외통의 외부 직경 D0 이하로 규제되는 경우가 많으며, 당연히, 범프 캡에 있어서도, 외부 직경 D1이 외통의 외부 직경 D0 이하로 설정될 필요가 있다[D0≥D1]. 그래서, 외통의 개구부에, 외부 직경 D2[D0≥D1>D2]의 소직경부를 형성하고, 이 소직경부에 외부 직경(D1)이 외통의 외부 직경(D0) 이하인 범프 캡을 압입한 유체압 완충기도 있으나, 외통의 개구부를 코킹 가공, 예컨대 컬 가공하여 폐색시키는 유체압 완충기에서는, 외통의 개구부에 소직경부를 형성하는 것이 곤란하다. 또한, 소직경부를 형성하면 내부에 부품을 삽입하는 것이 불가능해지는 경우도 있었다. 그 때문에, 외통의 개구부를 코킹 가공하여 폐색시키는 유체압 완충기에 있어서는, 외부 직경이 외통의 외부 직경(D0)을 초과하지 않고, 범프 캡을 유지하는 구조가 요망되고 있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7-57088호 공보
그래서 본 발명은, 외통의 개구부가 코킹 가공되는 경우라도, 범프 캡의 외부 직경이 외통의 외부 직경을 크게 초과하는 일이 없는 유체압 완충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외통에 대하여 동축 배치되는 범프 캡과, 이 범프 캡을 유지하는 캡 홀더를 구비하고, 이 캡 홀더는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코킹 받침부와 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범프 캡의 축 방향으로의 상대 이동을 규제하는 결합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외통의 개구부가 코킹 가공되는 경우라도, 범프 캡의 외부 직경이 외통의 외부 직경을 크게 초과하는 일이 없는 유체압 완충기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 기재된 실시형태에서는 제품으로서 바람직한 여러 가지 관점의 개선이 이루지고 있으며, 전술한 외통의 개구부가 코킹 가공되는 경우라도 범프 캡의 외부 직경이 외통의 외부 직경을 크게 초과하는 일이 없다고 하는 특화된 과제 뿐만 아니라, 다른 여러 가지 과제의 해결이 이루어지고 있다. 예컨대 외통의 개구부와 범프 캡의 고정 구조가 개시된 유체압 완충기로서는, 특허 문헌 2(일본 특허 공 개 평성 제6-58358호 공보)가 있다.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유체압 완충기에서는, 외통의 개구부 내주측에 상부 캡을 용접 등에 의해 고정하고, 상부 캡에 범프 캡이 압입 등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그러나, 외통의 개구부를 코킹 가공, 예컨대 컬 가공하는 것을 검토할 경우, 상부 캡을 외통의 내주측에 고정하는 것이 어렵고, 또한 외통으로 범프 하중이 전달되는 것을 검토하지 않으면 안 되어, 혹시 외통에 범프 하중이 전달될 수 없는 경우에는, 유체압 완충기의 바닥 밸브(6)나 내측 튜브(7) 등의 내부 기능 부품에 모든 범프 하중이 가해지는 것으로 생각되어, 구조를 검토할 필요가 있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외통의 개구부를 코킹 가공에 의해 폐색하는 구성에 있어서도, 외통의 외부 직경(D0)을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범프 하중을 외통에 전달하는 것이 가능한 범프 캡을 구비하는 유체압 완충기를 도시하고 설명한다(제1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를 도 1 내지 도 4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또한, 제1 실시형태의 유체압 완충기(1)는, 자동차의 차륜과 차체 사이에 배치되는 서스펜션 장치의 트윈 튜브식 댐퍼[복통식(複筒式) 유체압 완충기]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형태의 유체압 완충기(1)는, 오일액(유체의 일종)이 봉입된 내측 튜브(7)의 내부에 피스톤(9)이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끼워진다. 내측 튜브(7)는 내부의 오일실(8)이 피스톤(9)에 의해 실린더 상부실(8A)과 실린더 하부실(8B)로 구획된다. 피스톤(9)은 피스톤 로드(10)의 하단부에 너트(11)에 의해 고정된다. 피스톤 로드(10)는 선단측(도 1에서의 상측)이, 내측 튜브(7) 상단부에 부착된 로드 가이드(3), 시일 케이스(4) 및 캡 홀더(5)에 격납된 시 일(12)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고 또한 기밀 및 액밀식으로 삽입 관통되어 내측 튜브(7) 및 외통(2)의 외부로 연장된다. 또한, 실린더 하부실(8B)은, 바닥 밸브(6)를 통해 리저버실(17)에 접속된다. 또한, 리저버실(17)의 내부에는, 오일액 및 가스가 봉입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시일 수단으로서의 시일(12)은, 통 형상이며, 내주측에서 피스톤 로드(10)와의 사이를 시일하고, 외주측에서 캡 홀더(5)와의 사이를 시일함으로써, 외통(2)의 일단측을 밀폐하고 있다.
피스톤(9)은, 실린더 상부실(8A)과 실린더 하부실(8B)을 연통시키는 신장측 통로(13) 및 수축측 통로(14)를 갖는다. 피스톤(9)의 하단면(도 1에서의 하측 단부면)에는, 신장측 통로(13)의 오일액의 흐름을 제어하는 신장측 감쇠력 발생 기구(15A)가 설치되고, 피스톤(9)의 상단면(도 1에서의 상측 단부면)에는, 수축측 통로(14)의 오일액의 흐름을 제어하는 수축측 감쇠력 발생 기구(16A)가 설치된다. 또한, 신장측 감쇠력 발생 기구(15A) 및 수축측 감쇠력 발생 기구(16A)는, 오리피스 및 디스크 밸브군(디스크, 개구 디스크, 노치 디스크 등)을 포함한다.
바닥 밸브(6)는, 실린더 하부실(8B)과 리저버실(17)을 연통시키는 신장측 통로(18) 및 수축측 통로(19)를 갖는다. 또한, 바닥 밸브(6)는, 피스톤(9)과 마찬가지로, 신장측 통로(18)로의 오일액의 흐름을 제어하는 신장측 감쇠력 발생 기구(15B)가 설치되고, 수축측 통로(19)에는 수축측 감쇠력 발생 기구(16B)가 설치된다. 또한, 신장측 감쇠력 발생 기구(15B) 및 수축측 감쇠력 발생 기구(16B)에 있어서도, 오리피스 및 디스크 밸브군(디스크, 개구 디스크, 노치 디스크 등)을 포함한 다.
이러한 유체압 완충기(1)에서는, 피스톤 로드(10)의 신장 행정에는, 리저버실(17)의 오일액이 신장측 통로(18)를 통해 실린더 하부실(8B)로 유동하고, 실린더 상부실(8A)의 오일액이 신장측 통로(13)를 통해 실린더 하부실(8B)로 유동한다. 이에 따라, 신장측 감쇠력 발생 기구(15A 및 15B)는, 신장측의 감쇠력을 발생시킨다. 또한, 피스톤 로드(10)의 수축 행정에는, 실린더 하부실(8B)의 오일액이 수축측 통로(19)를 통해 리저버실(17)로 유동하고, 실린더 하부실(8B)의 오일액이 수축측 통로(14)를 통해 실린더 상부실(8A)로 유동한다. 이에 따라, 수축측 감쇠력 발생 기구(16A 및 16B)는, 수축측의 감쇠력을 발생시킨다. 또한, 오일실(8)에 대한 피스톤 로드(10)의 진입 또는 퇴피에 의한 오일실(8)의 용적 변화에 따르는 상기 오일실(8)의 오일액의 과부족은, 리저버실(17)과 오일실(8)[특히, 실린더 하부실(8B)] 사이의 오일액의 교환에 의해 보상된다.
유체압 완충기(1)는, 외통(2)의 저부(개구부와 반대측의 단부)에, 서스펜션 아암에 연결하기 위한 부착 아이(20)[차륜측 부착부]가 설치되고, 피스톤 로드(10)의 선단에는, 차체에 연결하기 위한 부착부(도시 생략)가 설치된다. 이 부착부측에는, 피스톤 로드가 단축되었을 때의 충격을 후술하는 범프 캡(25)과 충돌함으로써 흡수하는 우레탄이나 고무 등의 탄성을 갖는 수지로 이루어지는 범브 러버(bump rubber)[도시생략]가 설치되어 있다. 이 범브 러버는, 유체압 완충기(1)에 고정되어 설치되어도 좋고, 유체압 완충기(1)가 부착되는 자동차측에 고정되어도 좋다. 외통(2)의 외측면에는, 서스펜션 스프링을 받치기 위한 스프링 시트(22)가 설치된 다. 또한, 피스톤 로드(10)의 기단측(도 1에서의 하측), 보다 상세하게는, 기단측에 있어서의 피스톤(9)보다도 선단측(도 1에서의 상측)에는, 리바운드 스토퍼(23)와 쿠션(24)이 설치된다. 그리고, 유체압 완충기(1)는, 외통(2)의 개구부[후술하는 컬부(35)를 포함하는 도 1에 있어서의 상단 부분] 바로 위에, 범프 캡(25)이 배치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범프 캡(25)은, 바닥이 있는 원통 형상의 합성 수지 부품이며, 저부(26)에는 피스톤 로드(10)를 삽입 관통시키기 위한 로드 삽입 관통 구멍(27)이 형성된다. 범프 캡(25)의 내부 직경부(28)에는, 축 방향(도 3에서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제1 실시형태에서는 6개)의 제1 리브(29)가 축(O) 주위에 등간격으로, 즉 축(O) 주위에 60°의 간격으로 배치된다. 각 제1 리브(29)는, 일단부(도 3에서의 상단부)가 저부(26)에 도달하고, 타단부(도 3에서의 하단부)에는, 단부면(32)[로드 가이드(3)측의 단부]을 향해서 내부 직경부(28)에 대한 높이가 점진적으로 감소하게 형성한 사면(29a)이 형성된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범프 캡(25)은, 저면(31)[저부(26)의 내측면]에, 로드 삽입 관통 구멍(27)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제1 실시형태에서는 6개)의 제2 리브(30)가 축(O) 주위에 60°의 등간격으로 배치된다. 또한, 단부면(32)에는, 내부 직경부(28)의 개구 둘레 가장자리로부터 외부 직경부(39)에 걸쳐서 반경 방향으로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제1 실시형태에서는 6개)의 홈(33)이 축(O) 주위에 60°의 등간격으로 배치된다. 내부 직경부(28)와 후술하는 외부 직경부(39) 사이가 본 발명의 통부에 해당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 홀더(5)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유지부(34)와, 이 유지부(34)의 상단부 둘레 가장자리(도 4에서의 상측 단부 내측 둘레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내측 플랜지부(36)와, 유지부(34)의 하단부 둘레 가장자리(도 4에서의 하측 단부 외측 둘레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외측 플랜지부(37)[플랜지부]를 갖는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 홀더(5)는, 시일 케이스(4) 바로 위에 배치되고 피스톤 로드(10)에 대하여 동축 배치된다. 또한, 외통(2)의 개구부(도 1에서의 상단부)를 컬 가공(코킹 가공)하여 상기 개구부에 내측 플랜지 형상의 플랫 컬부(35)[코킹부]가 형성됨으로써, 캡 홀더(5)의 외측 플랜지부(37)가, 컬부(35)와 시일 케이스(4) 사이에서 끼워져 지지된다. 이에 따라, 캡 홀더(5)는, 유지부(34)를 외통(2)의 외부로 돌출시킨 상태에서, 외통(2)의 개구부에 고정된다. 또한, 전술한 시일(12)은, 캡 홀더(5)의 내측 플랜지부(36)에 의해 유지된다. 여기서, 유지부(34)는 범프 캡(25)이 압입되는 범프 캡 압입부이고, 외측 플랜지부(37)는 코킹 받침부이다.
그리고, 유체압 완충기(1)는, 캡 홀더(5)의 유지부(34)의 외부 직경부(외측 원통면)에 범프 캡(25)의 내부 직경부(28)를 압입시켜 범프 캡(25)의 내부 직경부(28)의 각 제1 리브(29)를 캡 홀더(5)의 유지부(34)의 외부 직경부(외측 원통면)에 의해 반경 방향으로 압축함으로써, 범프 캡(25)과 캡 홀더(5) 사이에 결합력, 즉 축 방향 및 회전 방향의 상대 이동을 규제하는 힘을 발생시킨다. 이에 따라, 범프 캡(25)은, 캡 홀더(5)에 의해 상대 이동 불가능하게 유지된다. 그리고, 유체압 완충기(1)에서는, 범프 캡(25)을 캡 홀더(5)의 상단부에 접근시켰을 때, 범프 캡(25)의 각 제1 리브(29)의 하단부의 각 사면(29a)이 캡 홀더(5)의 유지부(34)의 상단부에 접촉되고, 이에 따라, 범프 캡(25)이 캡 홀더(5)에 대하여 센터링(centering)된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압 완충기(1)는, 범프 캡(25)의 캡 홀더(5)로의 압입이 완료된 시점, 즉, 범프 캡(25)의 단부면(32)이 외통(2)의 컬부(35)의 외측면에 접촉한 시점에서, 캡 홀더(5)의 유지부(34)의 상단면(34a)[도 4 참조]과 범프 캡(25)의 저면(31) 사이에, 축 방향(도 1에서의 상하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갖는 간극(38)이 형성된다.
제1 실시형태에 따르면, 캡 홀더(5)는, 외측 플랜지부(37)[플랜지부]가 시일 케이스(4)와 외통(2)의 컬부(35)[코킹부] 사이에 끼워져 지지됨으로써, 유지부(34)를 외통(2)의 외부로 돌출시킨 상태에서, 외통(2)의 개구부에 유지된다. 이에 따라,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외측 플랜지부(37)는 코킹 받침부가 된다. 그리고, 이 캡 홀더(5)의 유지부(34)의 외부 직경부(외측 원통면)에 범프 캡(25)의 내부 직경부(28)를 압입시켜, 범프 캡(25)의 단부면(32)[로드 가이드(3)측의 단부]을 외통(2)의 개구부에 형성한 컬부(35)에 밀착시켰다. 이에 따라, 외통(2)의 개구부가 컬 가공(코킹 가공)되어 폐색되는 유체압 완충기(1)라도, 외통(2)의 외부 직경과 동등하거나 또는 그보다 작은 외부 직경의 외부 직경부(39)를 갖는 범프 캡(25)을 외통(2)의 개구부에 배치(유지)할 수 있다.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부 캡과 외통을 용접 등에 의해 고정하는 구조인 경우에는, 범프 하중을 범프 캡→상부 캡→외통으로 전달할 수 있으나, 본 실시형태의 구조에서는 캡 홀더를 축 방향으로 고정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범프 하중을 외통으로 전달하는 고안이 필요하였다.
제1 실시형태에 따르면, 범프 캡(25)의 단부면(32)이 외통(2)의 컬부(35)에 접촉한 상태에서, 캡 홀더(5)의 유지부(34)의 상단면(34a)과 범프 캡(25)의 저면(31) 사이에, 축 방향으로 간격을 갖는 간극(38)이 형성되기 때문에, 범프 캡(25)에 비교적 큰 범프 하중이 입력된 경우라도, 이 범프 하중을 외통(2)으로 보냄으로써, 유체압 완충기(1)의 내부 기능 부품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범프 캡(25)의 저부(26)의 내측면[저면(31)]에 제2 리브(30)를 배치함으로써, 범프 캡(25) 자체의 강성도 확보된다.
제1 실시형태에 따르면, 범프 캡(25)을 캡 홀더(5)에 압입시킴으로써, 범프 캡(25)의 내부 직경부(28)에 배치한 각 제1 리브(29)가 캡 홀더(5)의 유지부(34)의 외부 직경부(외측 원통면)에 의해 반경 방향으로 압축된다. 이에 따라, 범프 캡(25)과 캡 홀더(5) 사이에 결합력, 즉 축 방향 및 회전 방향의 상대 이동을 규제하는 힘이 발생하기 때문에, 범프 캡(25)을 캡 홀더(5)에 의해 상대 이동 불가능하게 유지할 수 있다.
제1 실시형태에 따르면, 범프 캡(25)을 캡 홀더(5)에 압입시킬 때에, 범프 캡(25)을 캡 홀더(5)에 접근시키면, 범프 캡(25)의 각 제1 리브(29)의 쐐기 형상의 하단부에 형성된 사면(29a)이 캡 홀더(5)의 유지부(34)의 상단부에 접촉된다. 이에 따라, 범프 캡(25)이 캡 홀더(5)에 대하여 센터링되어, 범프 캡(25)을 캡 홀더(5)에 용이하게 압입할 수 있다. 따라서, 범프 캡(25)의 조립 작업을 효율화할 수 있 다.
제1 실시형태에 따르면, 범프 캡(25)의 단부면(32)[로드 가이드(3)측의 단부]에, 내부 직경부(28)와 외부 직경부(39)를 연통시키는 복수 개의 홈(33)을 형성하였기 때문에, 범프 캡(25)의 내측에 고이는 빗물, 더스트 등의 침입물을 이들 홈(33)에 의해 범프 캡(25)의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형태에서는 외통의 개구부를 코킹 가공하는 유체압 완충기이며, 범프 캡이 받은 범프 하중을 외통에 전달하고, 또한 외통 직경이 가장 커지는 구조를 나타내었으나, 2가지 과제를 모두 해결할 필요는 없으며, 예컨대 범프 캡 직경이 외통보다도 대직경이어도 좋다.
(제2 실시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를 도 5 내지 도 7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여기서는, 제1 실시형태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있어서는, 동일한 명칭 및 부호를 부여하고, 명세서의 기재를 간결하게 하기 위해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제2 실시형태에서는, 범프 캡(41)의 구조만이 제1 실시형태[범프 캡(25)]와 다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범프 캡(41)은, 바닥이 있는 원통 형상의 프레스 성형품의 저부(42)에 마운트 러버(도시 생략)를 받치기 위한 플레이트(43)가 접합(예컨대, 용접)되어 형성되고, 저부(42) 및 플레이트(43)에는 피스톤 로드(10)를 삽입 관통시키기 위한 로드 삽입 관통 구멍(44)이 형성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범프 캡(41)은, 통부(45)에, 축 방향(도 7에서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본 실시형태에서는 5개)의 제3 리브(46)가 축(O) 주위에 60°의 등간격으로 배치되고, 이에 따라, 통부(45)의 축 직각 단면은 꽃잎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범프 캡(41)은, 통부(45)의 하단부 둘레 가장자리에 플랜지부(47)가 형성된다. 그리고, 각 제3 리브(46)는, 통부(45)에서 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통부(45)와 플랜지부(47)의 경계 부분에서 굴곡되고, 플랜지부(47)에서 반경 방향으로 방사상으로 연장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실시형태에서는, 캡 홀더(5)의 유지부(34)[도 4 참조]에 범프 캡(41)을 씌우도록 압입함으로써, 범프 캡(41)의 통부(45)와 캡 홀더(5)의 유지부(34) 사이에 결합력, 즉, 축 방향 및 회전 방향의 상대 이동을 규제하는 힘을 발생시킨다. 이에 따라, 범프 캡(41)은, 캡 홀더(5)에 의해 상대 이동 불가능하게 유지된다. 또한, 제2 실시형태에서는, 범프 캡(41)을 캡 홀더(5)의 상단부에 접근시켰을 때에, 범프 캡(41)의 통부(45)와 플랜지부(47) 사이의 만곡된(R) 형상이 캡 홀더(5)의 상단부에 접촉되고, 캡 홀더(5)의 유지부(34)가 범프 캡(41)의 통부(45)의 내측으로 안내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실시형태에서는, 범프 캡(41)의 플랜지부(47)가 외통(2)의 컬부(35)의 외측면에 접촉하여 범프 캡(41)의 캡 홀더(5)로의 압입이 완료된 시점에서, 캡 홀더(5)의 유지부(34)의 상단면(34a)[도 4 참조]과 범프 캡(41)의 저부(42) 사이에, 축 방향(도 5에서의 상하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갖는 간극(38)이 형성된다.
제2 실시형태에 따르면, 전술한 제1 실시형태와 동등한 효과를 얻을 수 있 다. 또한, 범프 캡(41)의 내측에 고이는 빗물, 더스트 등의 침입물은, 플랜지부(47)에 형성된 각 제3 리브(46)에 의해 범프 캡(41)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제3 실시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를 도 8 내지 도 10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여기서도, 제1 실시형태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있어서는, 동일한 명칭 및 부호를 부여하고, 명세서의 기재를 간결하게 하기 위해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범프 캡(51)은, 각 제1 리브(29)의 하단부에 걸림면(52a)을 갖는 훅 형상의 결합부(52)가 형성된다. 각 결합부(52)는, 각 제1 리브(29)의 사면(29a)을 축(O)에 접근시키는 방향으로 연장시킴으로써 형성되며, 사면(29a)과 걸림면(52a)은 모서리부가 챔퍼링(chamfering)되어 예각을 이루도록 배치된다.
제3 실시형태에서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 홀더(5)의 유지부(34)의 외부 직경부(외측 원통면)에 범프 캡(51)의 내부 직경부(28)를 압입하여 범프 캡(51)의 내부 직경부(28)의 각 제1 리브(29)를 캡 홀더(5)의 유지부(34)의 외부 직경부(외측 원통면)에 의해 반경 방향으로 압축함으로써, 범프 캡(51)과 캡 홀더(5) 사이에 결합력, 즉 축 방향 및 회전 방향의 상대 이동을 규제하는 힘을 발생시킨다. 이에 따라, 범프 캡(51)은, 캡 홀더(5)에 의해 상대 이동 불가능하게 유지된다. 그리고, 제3 실시형태에서는, 범프 캡(51)의 단부면(32)이 외통(2)의 컬부(35)의 외측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범프 캡(51)의 각 제1 리브(29)의 각 결합부(52)[결합 수단]가, 캡 홀더(5)의 유지부(34)의 외주면에 형성된 환형의 결합 홈(53)[결합 수단]에 결합된다. 이 결합부(52)와 결합홈(53)은, 요철에 의해 결합되는 것이면 되고, 범프 캡(51)측에 홈을, 캡 홀더(5)에 돌기부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실시형태와 반대의 요철 결합으로 해도 좋다.
또한, 제3 실시형태에서도 전술한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범프 캡(51)의 단부면(32)이 외통(2)의 컬부(35)의 외측면에 접촉한 상태에서는, 캡 홀더(5)의 유지부(34)의 상단면(34a)[도 4 참조]과 범프 캡(51)의 저면(31) 사이에, 축 방향(도 5에서의 상하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갖는 간극(38)이 형성된다.
제3 실시형태에 따르면, 전술한 제1 실시형태와 동등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제3 실시형태에 따르면, 예컨대, 범프 캡(51)의 각 제1 리브(29)의 축 방향 길이에 제한이 있어서, 각 제1 리브(29)를 압축시킨 것만으로는 규정의 이탈 하중을 확보할 수 없는 경우라도, 범프 캡(51)의 각 결합부(52)[결합 수단]를 캡 홀더(5)의 결합홈(53)[결합 수단]에 결합시킴으로써, 규정의 이탈 하중을 확보할 수 있다.
여기서, 범프 캡(51)과 캡 홀더(5)의 결합부에서, 범프 캡(51)에 입력된 범프 하중이 캡 홀더(5)를 통해 내부 기능 부품에 가해지지만, 수지제의 범프 캡(51)의 작은 결합부이기 때문에 변형 가능하며, 대부분의 힘은 외통의 단부에서 받게 된다.
또한, 제3 실시형태에 따르면, 범프 캡(51)을 캡 홀더(5)에 압입하는 유지력과, 범프 캡(51)의 각 결합부(52)[결합 수단]를 캡 홀더(5)의 결합홈(53)[결합 수단]에 결합함으로 인한 유지력으로 규정의 이탈 하중을 확보하는 것을 나타내었으 나, 범프 캡(51)의 각 결합부(52)[결합 수단]를 캡 홀더(5)의 결합홈(53)[결합 수단]에 결합함으로 인한 유지력만으로 이탈 하중을 확보할 수 있으면, 범프 캡(51)을 캡 홀더(5)에 압입할 필요는 없다.
(제4 실시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를 도 11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여기서도, 제1 및 제2 실시형태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있어서는, 동일한 명칭 및 부호를 부여하고, 명세서의 기재를 간결하게 하기 위해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제4 실시형태는, 제2 실시형태에 대하여, 그 플랜지부(47)의 외주단을 축 방향 외통측으로 구부린 통 형상의 연장부(60)를 갖는 점이 다르다. 이 연장부(60)에 의해, 범프 캡(41)과 캡 홀더(5) 사이에 플랜지부(47)로부터 더스트 등의 침입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전술한 각 실시형태는 이상의 설명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컨대 다음과 같이 구성해도 좋다.
전술한 각 실시형태는, 복통식 유체압 완충기를 대상으로 하였으나, 예컨대, 단통식 유체압 완충기, 셀프 펌핑식 유체압 완충기 등, 임의의 유체압 완충기를 대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각 실시형태에서는, 범프 캡을 원환형으로 하였으나, 예컨대, 다각환형이어도 좋다. 또한, 캡 홀더가 밀봉 구조이면 범프 캡은 C자 형상이어도 좋다.
또한,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외통(2)의 일단측의 코킹부로서의 전체 둘레 를 컬 가공하는 컬부(35)를 예로 설명하였으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 부위에 부분적으로 내부 직경측에 코킹하는 부분 코킹이어도 좋다. 이 경우, 범프 캡은 부분 코킹되어 있지 않은 부분과 접촉한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의 유체압 완충기의 축단면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형태의 범프 캡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있어서의 P-O-Q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형태의 캡 홀더의 축단면도이다.
도 5는 제2 실시형태의 유체압 완충기의 주요부의 축단면도이다.
도 6은 제2 실시형태의 범프 캡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있어서의 P-O-Q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8은 제3 실시형태의 유체압 완충기의 주요부의 축단면도이다.
도 9는 제3 실시형태의 범프 캡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9에 있어서의 P-O-Q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1은 제4 실시형태의 유체압 완충기의 주요부의 축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유체압 완충기 2: 외통
3: 로드 가이드 5: 캡 홀더
10: 피스톤 로드 25: 범프 캡
32: 단부면(범프 캡의 로드 가이드측의 단부)
34: 유지부 35: 컬부(코킹부)
37: 외측 플랜지부(플랜지부) 38: 간극

Claims (11)

  1. 일단에 개구부를 갖는 외통(外筒)과, 선단이 상기 외통의 개구부로부터 이 외통의 외부로 돌출하는 피스톤 로드와, 상기 외통의 개구부에 배치되는 로드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외통의 개구부를 코킹 가공한 코킹부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외통의 개구부가 폐색되는 유체압 완충기로서,
    상기 외통에 대하여 동축 배치되는 통부와 저부를 갖는 범프 캡과, 상기 범프 캡을 유지하는 캡 홀더를 구비하며, 상기 캡 홀더는,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코킹 받침부와 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범프 캡의 축 방향으로의 상대 이동을 규제하는 유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범프 캡의 통부를 상기 외통의 일단에 접촉시키며, 상기 피스톤 로드의 선단측에 있는 상기 캡 홀더의 단부와 상기 범프 캡의 저부 사이에, 축 방향으로 간격을 갖는 간극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압 완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범프 캡은 상기 외통과 동일 직경 이하의 통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압 완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 홀더의 유지부에 상기 범프 캡이 압입됨으로써 유지되도록 상기 캡 홀더와 상기 범프 캡을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압 완충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캡 홀더의 유지부에 상기 범프 캡이 압입됨으로써 유지되도록 상기 캡 홀더와 상기 범프 캡을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압 완충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범프 캡과 상기 캡 홀더를 상호 요철 결합시켜 상기 범프 캡과 상기 캡 홀더의 축 방향으로의 상대 이동을 규제하는 결합 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압 완충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범프 캡과 상기 캡 홀더를 상호 요철 결합시켜 상기 범프 캡과 상기 캡 홀더의 축 방향으로의 상대 이동을 규제하는 결합 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압 완충기.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범프 캡과 상기 캡 홀더를 상호 요철 결합시켜 상기 범프 캡과 상기 캡 홀더의 축 방향으로의 상대 이동을 규제하는 결합 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압 완충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 홀더 내에 상기 외통의 일단측을 시일하는 시일 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압 완충기.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캡 홀더 내에 상기 외통의 일단측을 시일하는 시일 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압 완충기.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캡 홀더 내에 상기 외통의 일단측을 시일하는 시일 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압 완충기.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캡 홀더 내에 상기 외통의 일단측을 시일하는 시일 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압 완충기.
KR1020090006770A 2008-01-31 2009-01-29 유체압 완충기 KR1015168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021500 2008-01-31
JP2008021500 2008-01-31
JP2008330336A JP5206965B2 (ja) 2008-01-31 2008-12-25 流体圧緩衝器
JPJP-P-2008-330336 2008-12-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4702A true KR20090084702A (ko) 2009-08-05
KR101516824B1 KR101516824B1 (ko) 2015-04-30

Family

ID=409305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6770A KR101516824B1 (ko) 2008-01-31 2009-01-29 유체압 완충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810619B2 (ko)
JP (1) JP5206965B2 (ko)
KR (1) KR101516824B1 (ko)
CN (1) CN101514733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0986A (ko) * 2014-01-03 2015-07-13 주식회사 만도 쇽업소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73805B2 (ja) * 2011-08-30 2015-09-02 株式会社東芝 洗濯機
KR101337583B1 (ko) * 2011-12-12 2013-12-06 주식회사 만도 쇽업소버의 더스트 씰 구조
DE112014003044T5 (de) * 2013-06-28 2016-03-31 Smc Corporation Staubarmer/ staubresistenter Stoßdämpfer
JP5799069B2 (ja) * 2013-10-08 2015-10-21 カヤバ工業株式会社 緩衝器
DE102014224636A1 (de) * 2014-12-02 2016-06-02 Zf Friedrichshafen Ag Endkappe für ein Kolben-Zylinderaggregat
CN104494388A (zh) * 2014-12-12 2015-04-08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前支柱总成的防尘卡帽
KR101662225B1 (ko) * 2015-03-06 2016-10-04 주식회사 만도 쇽업소버
US10072723B2 (en) * 2015-04-24 2018-09-11 Beijingwest Industries Co., Ltd. Closing assembly for a magneto-rheological damper
JP6616672B2 (ja) * 2015-11-20 2019-12-04 Kyb株式会社 バンプストッパ、及び緩衝器
JP6817731B2 (ja) * 2016-06-30 2021-01-20 Kyb株式会社 筒部材及び緩衝器
US11383571B2 (en) * 2017-01-09 2022-07-1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hock absorbers having internal jounce control
GB2566332B (en) 2017-09-12 2019-12-11 Metrol Springs Ltd Seal housing
US10816055B2 (en) 2018-04-27 2020-10-27 Tenneco Automotive Operating Company Inc. Damper bumper cap with labyrinth air passageway
US11009095B2 (en) * 2018-11-06 2021-05-18 Tenneco Automotive Operating Company Inc. Damper with monolithic base
CN110005746B (zh) * 2019-04-18 2020-12-15 嘉兴宸轩管件制造科技有限公司 一种汽车减震器液压连接板
US11566679B2 (en) * 2020-11-03 2023-01-31 DRiV Automotive Inc. Bumper cap for damper
KR102309703B1 (ko) 2021-01-11 2021-10-07 장요한 차량용 쇽업소버
KR102566882B1 (ko) 2022-03-10 2023-08-16 부성테크 주식회사 레이저 용접을 적용한 홀더 조립체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11859Y1 (ko) * 1964-01-29 1966-02-10
US5115892A (en) * 1988-09-27 1992-05-26 Atsugi Unisia Corporation Hydraulic shock absorber with piston seal structure for enhancement of initial response
JP2588470Y2 (ja) * 1990-06-27 1999-01-13 株式会社ユニシアジェックス 液圧緩衝器
JPH0482442U (ko) * 1990-11-28 1992-07-17
JPH0658358A (ja) * 1992-08-05 1994-03-01 Tokico Ltd 油圧緩衝器
DE4345116C2 (de) * 1993-12-18 1995-11-16 Bilstein August Gmbh Co Kg Hydraulischer Schwingungsdämpfer für Kraftfahrzeuge
JP3000694U (ja) * 1994-02-02 1994-08-09 株式会社荒井製作所 油圧緩衝器用オイルシール装置
JP3886064B2 (ja) * 1996-11-05 2007-02-28 カヤバ工業株式会社 バンプストッパ構造
JP4455728B2 (ja) * 2000-04-28 2010-04-21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油圧緩衝器
JP2003049887A (ja) * 2001-08-02 2003-02-21 Showa Corp 油圧緩衝器の軸封部構造及びその組立方法
US20060219506A1 (en) * 2005-03-31 2006-10-05 Zdeb David T Shock absorber including supplemental friction generating device
JP2007057088A (ja) 2005-07-29 2007-03-08 Hitachi Ltd シリンダ装置
CN200978909Y (zh) * 2006-11-23 2007-11-21 柳平波 内置缓冲弹簧结构的减振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0986A (ko) * 2014-01-03 2015-07-13 주식회사 만도 쇽업소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6824B1 (ko) 2015-04-30
CN101514733B (zh) 2013-01-02
US20090194379A1 (en) 2009-08-06
US7810619B2 (en) 2010-10-12
JP5206965B2 (ja) 2013-06-12
CN101514733A (zh) 2009-08-26
JP2009204158A (ja) 2009-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84702A (ko) 유체압 완충기
JP5863566B2 (ja) 油圧緩衝器
US8240642B2 (en) Fluid damper with internal compression spring
EP2242939A1 (en) Shock absorber with dual piston
US9995361B2 (en) Damper
CN106233026B (zh) 缓冲器
US6209691B1 (en) Suspension damper with self-aligning rebound cut-off
WO2015178287A1 (ja) 緩衝器
US8342303B2 (en) Valve apparatus
JP3392261B2 (ja) 変化可能な緩衝力を有する振動ダンパのための中間管
US7048099B2 (en) Bottom valve apparatus of hydraulic shock absorber
JP2013155841A (ja) 懸架装置およびカバー部材
US10253840B2 (en) Cylinder apparatus
US7559272B2 (en) Cylinder apparatus
CN109983250B (zh) 减震器
US6357734B1 (en) Suspension damper with vehicle spring preload
WO2015119156A1 (ja) 緩衝器
JPH0642567A (ja) 油圧緩衝器
US20230341022A1 (en) Method of assembling a bellows accumulator for suspension dampers
CN219492918U (zh) 减振器和车辆
US20230339278A1 (en) Bellows accumulator fixation apparatus for suspension dampers
JP2014029175A (ja) 流体圧緩衝器
WO2021006087A1 (ja) 緩衝器
JP2024051645A (ja) 懸架装置
JP2023173970A (ja) シリンダ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