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6775A - 프린트 기판 유닛 및 프린트 기판 유닛의 고정구 - Google Patents

프린트 기판 유닛 및 프린트 기판 유닛의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6775A
KR20090076775A KR1020080127916A KR20080127916A KR20090076775A KR 20090076775 A KR20090076775 A KR 20090076775A KR 1020080127916 A KR1020080127916 A KR 1020080127916A KR 20080127916 A KR20080127916 A KR 20080127916A KR 20090076775 A KR20090076775 A KR 200900767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part
printed
printed board
fixing
printed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79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52807B1 (ko
Inventor
다카히데 무코우야마
Original Assignee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767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67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28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28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1Printed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printed circu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4Structural association of two or more printed circuits
    • H05K1/148Arrangements of two or more hingeably connected rigid printed circuit boards, i.e. connected by flexible mea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 H05K7/1417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having securing means for mounting boards, plates or wiring boards
    • H05K7/142Spacers not being card guid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4Assemblies of printed circuits
    • H05K2201/042Stacked spaced PCBs; Planar parts of folded flexible circuits having mounted components in between or spaced from each othe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227Other objects, e.g. metallic pieces
    • H05K2201/10409Screw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431Details of mounted components
    • H05K2201/1059Connections made by press-fit insert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20Details of printed circuits not provided for in H05K2201/01 - H05K2201/10
    • H05K2201/2036Permanent spacer or stand-off in a printed circuit or printed circuit assembl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6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other printed circuits
    • H05K3/368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other printed circuits parallel to each oth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30Trim molding fasten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42Independent, headed, aperture pass-through faste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binations Of Printed Boards (AREA)
  • Mounting Of Printed Circuit Board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린트 기판 유닛의 고정구에 따른 편리성을 향상하고 저비용화를 실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하나의 프린트 기판(3)과 다른 프린트 기판(2) 사이에 개재되고, 하나의 프린트 기판(2)과 다른 프린트 기판(3)을 소정 간격을 두고 중첩되도록 배치한 상태로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구(10)를 구비하며, 고정구(10)가 이러한 소정 간격을 변경할 수 있게 구성한다.

Description

프린트 기판 유닛 및 프린트 기판 유닛의 고정구{PRINTED BOARD UNIT AND FIXING PARTS THEREOF}
본 발명은, 프린트 기판이 소정 간격을 두고 고정된 프린트 기판 유닛에 있어서, 하나의 프린트 기판을 다른 프린트 기판에 대하여 소정 간격을 두고 고정하는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자기기의 고기능화·고속화가 진행됨에 따라, 하나의 프린트 기판 내에서 기능이 상이한 신호 패턴에 의한 간섭(노이즈)을 막기 위해 기능별로 프린트 기판을 나누고, 그 사이를 굴곡성이 있는 배선판으로 접속하는 복합 기판(이하, '프린트 기판 유닛'이라고 함)이 있다(예컨대, 하기 특허 문헌 1 참조).
또한, 전자기기의 고밀도화·소형화의 요구에 의해, 정해진 기판 영역에 탑재되는 부품의 개수가 많아지고 있다. 이 때문에, 하나의 기판에 모든 부품이 수용되지 않기 때문에, 스택 구조로 하고, 케이블이나 커넥터 등으로 프린트 기판 사이를 접속하는 프린트 기판 유닛도 많이 존재하고 있다.
그리고, 종래부터, 이와 같은 프린트 기판 유닛에 있어서, 복수의 프린트 기판을 고정구(스페이서)를 통해 소정 간격을 두고 중첩되도록 배치하는 기술이 있어 왔다(예컨대, 하기 특허 문헌 2, 3 참조).
예컨대, 도 24의 (a),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종래의 프린트 기판 유닛(100)은, 프린트 기판(101) 위에 스페이서(102)를 통해 프린트 기판(103)이 중첩되도록 고정된다. 또한, 도 24의 (a)는 프린트 기판 유닛(100)의 상면도이고, (b)는 프린트 기판 유닛의 정면도이다.
스페이서(102)는, 나사나 볼트와 너트에 의해 프린트 기판(101, 103)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프린트 기판(101, 103)은, 예컨대 굴곡성이 있는 배선판(FPC: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104)에 의해 신호 패턴을 접속하여, 협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컨대 프린트 기판(101)은 공통 회로부로서 기능하고, 프린트 기판(103)은 고속 신호부로서 기능한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2003-110210호
[특허문헌 2]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2003-283072호
[특허문헌 3] 일본 특허공개공보 평8-330699호
그런데, 종래는 스페이서(102)를 프린트 기판 유닛(100)마다 설계하고 있었다. 즉, 스페이서(102)의 높이 등은, 프린트 기판(101)이나 프린트 기판(103)에 탑재되는 부품이나, 그 프린트 기판 유닛(100)의 설치 공간(space)에 따라 프린트 기판 유닛(100)의 설계 단계에서 결정된다.
또한, 프린트 기판(101) 또는 프린트 기판(103)에 탑재하는 부품의 변경이나 추가에 따라 스페이서(102)를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재차 스페이서(102)의 높이를 결정하고, 다른 스페이서를 제조하는 등을 해야 하기 때문에 불편했다. 또한 이와 같이 다른 스페이서가 필요해지기 때문에 비용도 상승한다.
또한, 복수 종류에 걸치는 프린트 기판 유닛(100)을 제조하는 경우에는, 프린트 기판 유닛(100)의 종류마다 스페이서(102)를 설계하여 제조 등을 해야 하고, 노동력을 요하는 동시에, 비용도 상승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과제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프린트 기판 유닛의 고정구에 이러한 편리성을 향상시키고 저비용화를 실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 프린트 기판 유닛은, 복수의 프린트 기판 중 하나의 프린트 기판과 다른 프린트 기판 사이에 개재되고, 하나의 프린트 기판과 다른 프린트 기판을 소정 간격을 두고 중첩되도록 배치한 상태로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구를 포함하며, 그 고정구가, 이러한 소정 간격을 변경할 수 있게 구성 되어 있는 것을 요건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 고정구는, 제1 프린트 기판과 제2 프린트 기판 사이에 개재되고, 제1 프린트 기판과 제2 프린트 기판을 소정 간격을 두고 중첩되도록 배치한 상태로 고정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소정 간격을 변경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요건으로 한다.
이와 같이, 전술한 프린트 기판 유닛 및 그 고정구에 의하면, 하나의 프린트 기판과 다른 프린트 기판과의 간격을 변경해야 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새롭게 다른 고정구를 준비할 필요가 없어져, 고정구에 따른 편리성이 향상된다. 또한, 이미 제조한 프린트 기판 유닛과는 상이한 별도의 프린트 기판 유닛을 제조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그 별도의 프린트 기판 유닛을 위해 고정구를 새롭게 설계·제조할 필요가 없어지기 때문에, 편리성이 향상되고 저비용화를 실현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1〕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대해서
우선, 도 1a 내지 1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로서의 프린트 기판 유닛(이하, '본 프린트 기판 유닛'이라고 함)(1-1)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1a는 본 프린트 기판 유닛(1-1)의 상면도이고, 도 1b는 그 우측면도이며, 도 1c는 그 정면도이다.
도 1a 내지 1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프린트 기판 유닛(1-1)은, 프린트 기판(리지드 배선판)(2, 3), 굴곡성이 있는 배선판(FPC 등)(4), 및 2개의 고정구(10)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프린트 기판(2, 3)은, 전자 부품이나 전자 소자를 탑재하는 것이지만, 도 1a 내지 1c, 및 후술하는 도 2a, 2b, 도 3a, 3b, 도 6a, 6b에서는 도면의 간략화를 위해 탑재 부품은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배선판(4)은, 프린트 기판(2, 3)의 배선 패턴을 접속하는 것이며, 굴곡성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프린트 기판(2, 3)은 배선판(4)에 의해 접속됨으로써 협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컨대, 프린트 기판(2)은 공통 회로부로서 기능하고, 프린트 기판(3)은 고속 신호부로서 기능한다.
고정구(10)는, 프린트 기판(2)과 프린트 기판(3) 사이에 개재되고, 프린트 기판(2)과 프린트 기판(3)을, 이들이 소정 간격을 두고 중첩되도록 배치된 상태로 고정하는 것이다.
고정구(10)는, 프린트 기판(2, 3) 각각과 납땜에 의해 접합되어 있고, 도 1a 내지 1c에서 부호 10a는, 그 땜납을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고정구(10)는 분할 구조이며, 프린트 기판(3)과 고정된 제1 고정부(11)와, 프린트 기판(2)과 고정된 제2 고정부(12)와, 제1 고정부(11)와 제2 고정부(12) 사이에 개재된 제1 중간 고정부(13)를 구비하고 있다.
즉, 고정구(10)는, 프린트 기판(2, 3) 사이의 소정 간격의 확장 수축 방향으로 복수의 고정부(11∼13)를 접속하는 것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고정 구(10)는 후술하는 제2 중간 고정부(14)(후술하는 도 3, 도 4 등 참조)의 수를 증가 또는 감소시킴으로써, 프린트 기판(2, 3) 사이의 소정 간격을 변경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2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고정부(11)와 제1 중간 고정부(13) 및, 제2 고정부(12)와 제1 중간 고정부(13)는 스프링 와셔(10b)를 통해 접속되어 있다. 또한, 스프링 와셔(10b)는, 탄성력(반발력)을 갖는 와셔이고, 이 스프링 와셔(10b)를 개재함으로써, 제1 고정부(11)와 제1 중간 고정부(13), 및 제2 고정부(12)와 제1 중간 고정부(13)와의 나사 결합 상태가, 진동 등에 의해 느슨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1 고정부(11)는 프린트 기판(3)과 전기적으로 접속되기 위한 도전용 부재(리드)(11a)를 가지고 있고, 제2 고정부(12)는 프린트 기판(2)과 전기적으로 접속되기 위한 도전용 부재(12a)를 가지고 있다. 이들 제1 고정부(11)와 프린트 기판(3), 및 제2 고정부(12)와 프린트 기판(2)과의 접속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도 6 ,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제1 고정부(11), 제2 고정부(12), 제1 중간 고정부(13), 및 제2 중간 고정부(14)는, 각각 외형이 육각 기둥 형상을 하고 있다. 특히, 제1 중간 고정부(13) 및 제2 중간 고정부(14)는 손이나 스패너 등에 의해 회전하기 쉽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작업자는 손이나 스패너 등을 이용하여 이들 제1 중간 고정부(13) 및 제2 중간 고정부(14)의 제거나 부착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그리고, 고정구(10)는, 도 2a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도 2b에 도시하는 상태 로 분할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1 고정부(11)는 프린트 기판(2)을 향해 돌출 설치된 수나사(11b)를 가지고 있고, 그 수나사(11b)가 제1 중간 고정부(13)의 암나사[후술하는 도 5b의 암나사(13a) 참조]와 결합됨으로써, 제1 고정부(11)는 제1 중간 고정부(13)에 접속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1 고정부(11)와 제1 중간 고정부(13)는 착탈할 수 있게 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제2 고정부(12)도 프린트 기판(3)을 향해 돌출 설치된 수나사(12b)를 가지고 있고, 그 수나사(12b)가 제1 중간 고정부(13)의 수나사[후술하는 도 5b의 수나사(13b) 참조]와 결합됨으로써, 제2 고정부(12)는 제1 중간 고정부(13)에 접속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2 고정부(12)와 제1 중간 고정부(13)는 착탈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고정구(10)는, 도 3a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제2 중간 고정부(14)를 하나 추가한 도 3b에 도시하는 상태로 변경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도 3b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제1 고정부(11)와 제1 중간 고정부(13) 사이에, 제2 중간 고정부(14)가 추가되어 있다. 이에 의해, 도 3a에 도시하는 프린트 기판(2, 3) 사이의 소정 간격(W1)을, 도 3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간격(W1)보다 높은 간격(W2)으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배선판(4)은 굴곡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고정구(10)의 확장 수축(신축)에 따라 굽은 쪽이 변화한다. 따라서, 고정구(10)의 확장 수축에 의해 프린트 기판(2, 3) 사이의 소정 간격을 조정할 때에, 배선판(4)이 방해되지는 않는다.
여기서, 도 4a, 4b 및 도 5a, 5b를 참조하여, 고정구(10)의 제1 중간 고정 부(13) 및 제2 중간 고정부(14)의 보다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도 4a, 4b에 도시하는 예는, 제1 고정부(11)와 제1 중간 고정부(13) 사이, 및 제2 고정부(12)와 제1 중간 고정부(13) 사이에, 각각 제2 중간 고정부(14)가 개재되는 경우이다.
도 4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중간 고정부(14)는, 제1 고정부(11)의 수나사(11b) 또는 제2 고정부(12)의 수나사(12b)를 나사 결합하는 암나사(14a)를 가지고 있다. 또한, 제2 중간 고정부(14)는, 암나사(14a)의 반대면에, 프린트 기판(2) 또는 프린트 기판(3)을 향해 돌출 설치된 수나사(14b)를 가지고 있다. 또한, 도 4a에서 제2 고정부(12)와 접속되는 제2 중간 고정부(14)의 암나사(14a)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이 제2 중간 고정부(14)에도, 제1 고정부(11)에 접속되는 제2 중간 고정부(14)와 마찬가지로, 수나사(14b)의 반대면에 암나사(14a)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1 중간 고정부(13)는, 제1 고정부(11)의 수나사(11b) 또는 제2 중간 고정부(14)의 수나사(14b)를 나사 결합하는 암나사(13a)를 구비하고 있다.
즉, 도 4a, 4b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제1 중간 고정부(13)의 암나사(13a)에는 제2 중간 고정부(14)의 수나사(14b)가 결합되지만, 제2 중간 고정부(14)를 제거하는 경우에, 이 암나사(13a)에는 제1 고정부(11)의 수나사(11a)가 나사 결합된다.
여기서, 도 5a는 제1 중간 고정부(13)의 상면도이고, 도 5b는 도 5a의 A-A'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5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중간 고정부(13)는, 암나사(13a) 의 반대면에, 제2 고정부(12)의 수나사(12b) 또는 제2 중간 고정부(14)의 수나사(14b)를 나사 결합하는 암나사(13b)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도 4b에 도시하는 고정구(10)가 접속된 상태로, 제1 중간 고정부(13)를 좌측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1 고정부(11)측의 제2 중간 고정부(14)의 수나사(14b)가 암나사(13a)로부터 분리되는 동시에, 제2 고정부(12)측의 제2 중간 고정부(14)의 수나사(14b)가 암나사(13b)로부터 분리된다.
반대로, 제1 고정부(11)측의 제2 중간 고정부(14)와, 제2 고정부(12)측의 제2 중간 고정부(14)를 제1 중간 고정부(13)에 나사 결합시키는 경우에는, 양쪽의 제2 중간 고정부(14)의 수나사(14b) 각각을, 대응하는 암나사(13a, 13b)에 소정의 힘을 가하여 접촉시킨 상태로, 제1 중간 고정부(13)를 우측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에 의해, 2개의 제2 중간 고정부(14)의 수나사(14b) 각각이 동시에, 대응하는 암나사(13a, 13b)와 결합하여, 2개의 제2 중간 고정부(14)와 제1 중간 고정부(13)가 접속된다.
또한, 도 4a, 4b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제1 중간 고정부(13)의 암나사(13b)에는 제2 중간 고정부(14)의 수나사(14b)가 결합되지만, 제2 중간 고정부(14)를 제거하는 경우에는 이 암나사(13a)에는 제2 고정부(12)의 수나사(12a)가 나사 결합된다.
그리고, 도 4a에 도시하는 부재 모두를 적절히 접합함으로써, 도 4b에 도시하는 고정구(10)가 구성된다. 이 고정구(10)는 제2 중간 고정부(14)를 제거함으로써, 그 높이를 낮게 변경할 수 있다. 그 결과, 프린트 기판(2, 3) 사이의 간격이 줄어들도록 조정할 수 있다.
한편, 고정구(10)는, 예컨대 도 4b에 도시하는 상태에서, 한층 더하여, 제1 고정부(11)와 제2 중간 고정부(14) 사이, 또는 제2 중간 고정부(14)와 제1 중간 고정부(13) 사이, 또는 제2 중간 고정부(14)와 제2 고정부(12) 사이에, 하나 또는 복수의 제2 중간 고정부(14)를 추가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즉, 제2 중간 고정부(14)의 암나사(14a)와 다른 제2 중간 고정부(14)의 수나사(14b)도 대응하고 있어, 나사 결합할 수 있다.
고정구(10)에 제2 중간 고정부(14)를 추가함으로써, 고정구(10)는 그 높이를 높게 변경할 수 있다. 그 결과, 프린트 기판(2, 3) 사이의 간격을 높게 조정할 수 있다.
또한, 고정구(10)는 도전체로 구성되고, 프린트 기판(2)의 전원 배선에 접속되어 프린트 기판(3)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컨대, 스프링 와셔(10b), 제1 고정부(11), 제2 고정부(12), 제1 중간 고정부(13), 및 제2 중간 고정부(14)는, 도전체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경우, 고정구(10)의 외주면은 절연성 부재(예컨대, 절연성 수지)에 의해 덮여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고정구(10)에 의한 전원 공급에 기인하는 노이즈가 발생하고, 프린트 기판(2, 3) 상의 전자 부품(도시 생략)이나 프린트 기판(2, 3) 내의 신호 패턴(도시 생략)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사람이 감전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여기서, 도 6a, 6b 및 도 7을 참조하여, 고정구(10)와 프린트 기판(2, 3)과 의 구체적인 접속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린트 기판(3)에는 제1 고정부(11)의 도전성 부재(11a)를 삽입하는 삽입용 도금을 실시한 스루홀 랜드(이하, 간략히 '랜드'라고 함)(5)를 가지고 있다. 여기서, 제1 고정부(11)는 4개의 부재(11a)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프린트 기판(3)은, 각각의 부재(11a)에 대응하여 4개의 랜드(5)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도 6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랜드(5) 각각에 부재(11a)가 삽입된 상태로, 부재(11a)를 덮도록 납땜이 실시되며, 고정구(10)의 제1 고정부(11)는 프린트 기판(3)에 접속된다.
또한, 도 6b는 제1 고정부(11)가 삽입된 상태만을 도시하고 있지만, 제2 고정부(12)의 각 부재(12a)도 부재(11a)와 마찬가지로, 프린트 기판(2)이 대응하는 랜드(5)에 각각 삽입된다. 그리고, 그 상태로 부재(12a)를 덮도록 납땜이 실시되며, 고정구(10)의 제2 고정부(12)는 프린트 기판(2)에 접속된다.
여기서, 도 7은, 도 6a의 랜드(5)에 제1 고정부(11)의 부재(11a)가 삽입되고, 납땜이 된 경우의 도 6a의 B-B' 단면도이다. 또한, 전술한 도 1a 내지 1c의 땜납(10a)은, 4개의 부재(11a) 전부를 일괄하여 덮도록 납땜한 경우인 것에 대응하여, 도 7의 땜납(10a)은, 4개의 부재(11a) 각각의 지점에 납땜을 실시한 경우인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이들 납땜의 방법은 한정되지 않는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린트 기판(3)은 그 내층에 전원용 패턴(3a, 3b)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랜드(5)는 도전성의 부재로 구성되며, 전원용 패턴(3a, 3b)에 접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제1 고정부(11)의 부재(11a)가 랜드(5)에 삽입되어 납땜됨으로써, 부재(11a)와 랜드(5)는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따라서, 제1 고정부(11)의 부재(11a)가 랜드(5)를 통해 전원용 패턴(3a, 3b)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한편, 제2 고정부(12)의 부재(12a)도, 랜드(5)를 통해, 프린트 기판(2)의 전원 공급 패턴 등(전원 배선)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프린트 기판(2)도 내층에 전원 공급 패턴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1 고정부(11)가 프린트 기판(3)과 전기적으로 접속됨으로써, 고정구(10)를 통해, 프린트 기판(2)으로부터 프린트 기판(3)에 대하여 전원 공급이 행해진다.
예컨대, 도 4b의 고정구(10)가 프린트 기판(2, 3)에 접속된 경우, 프린트 기판(2)으로부터의 전력은, 적어도 도 4b의 아래쪽으로부터 제2 고정부(12), 제2 중간 고정부(14), 제1 중간 고정부(13), 제2 중간 고정부(14), 제1 고정부(11)의 순으로 통과하여, 부재(11a)에 의해 프린트 기판(3)에 공급된다. 또한, 이 때 전력은 스프링 와셔(10b)를 통해 공급되어도 좋다.
또한, 제2 고정부(12)의 부재(12a)와 프린트 기판(2)의 랜드(5)와의 접속 방법은, 제1 고정부(11)의 부재(11a)의 프린트 기판(3)의 랜드(5)와의 접속 방법과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제1 고정부(11)와 프린트 기판(3), 및 제2 고정부(12)와 프린트 기판(2)을 각각 납땜에 의해 접속함으로써, 이들을 나사 고정으로 접속하는 것보다 도전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런데, 종래에는,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린트 기판(101)에서 프린트 기판(103)으로의 전원 공급을 위한 전원 공급용 패턴(105)을, 굴곡성이 있는 배선판(104)에 형성하고 있었다.
그러나, 전원 공급용 패턴(105)은, 배선판(104)의 신호 패턴(106)에 노이즈 등의 악영향을 미친다. 이 때문에, 배선판(104)에 있어서, 전원 공급용 패턴(105)은 신호 패턴(106)에 대하여 소정 이상의 간격을 두고 배선해야 하며, 그 결과, 종래의 배선판(104)의 폭이 넓어져, 고밀도화 등에 방해가 되고 있었다.
또한, 배선판(104)을 적층 구조 신호 패턴(106)과 전원 공급용 패턴(105)을 각각 다른 층에 설치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배선판(104)의 두께가 두꺼워져 고밀도화 등에 방해가 되고, 고비용화로도 되어 버린다.
이에 대하여, 본 프린트 기판 유닛(1-1)은, 프린트 기판(2)으로부터 프린트 기판(3)에의 전원 공급을, 배선판(4) 등을 통하지 않고 고정구(10)를 통해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프린트 기판 유닛(1-1)을 구비하는 전자기기의 고비용화를 억제하면서도, 고밀도화를 실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로서의 프린트 기판 유닛(1-1)에 의하면, 프린트 기판(2, 3)을 소정 간격을 두고 중첩되도록 배치한 상태로 고정하는 고정구(10)가, 그 소정 간격을 변경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프린트 기판(2, 3) 사이의 간격을 변경할 필요가 생긴 경우에도, 새롭게 다른 고정구를 준비할 필요가 없어져, 스페이서로서의 고정구(10)에 따른 편리성이 향상되며 동시에, 새롭게 고정구를 준비하는 것보다 비용을 낮출 수 있다.
또한, 프린트 기판 유닛(1-1)과는 별도의 프린트 기판 유닛을 제조하는 경우에도, 그 별도의 프린트 기판 유닛을 위한 고정구(10)를 새롭게 설계·제조할 필요가 없어지기 때문에, 편리성이 향상되며 저비용화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프린트 기판 유닛(1-1)을 탑재하는 전자기기에 따라서 프린트 기판(2, 3) 사이의 간격을 변경해야 하게 되어도, 종래의 것이면 대응할 수 없었지만, 본 프린트 기판 유닛(1-1)이면 대응할 수 있다.
또한, 고정구(10)는, 프린트 기판(2, 3)의 소정 간격의 확장 수축 방향으로 복수의 부재를 접속하는 것에 의해 구성되고, 이들 부재의 수를 증가 또는 감소함으로써 소정 간격을 변경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즉, 고정구(10)는 분할 가능한 구조이고, 부재의 증감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프린트 기판(2, 3)의 소정 간격의 확장 수축을, 프린트 기판 유닛(1-1)을 일단 구성한 다음에도 자유롭게 몇 번이라도 행할 수 있어, 편리성이 보다 향상된다.
구체적으로는, 고정구(10)가, 제1 고정부(11), 제2 고정부(12) 및 제1 중간 고정부(13)를 구비하고, 제2 중간 고정부(14)를 추가 또는 제거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전술한 효과를 보다 확실하게 얻을 수 있으며, 프린트 기판 유닛(1-1)을 일단 구성한 다음에도 프린트 기판(2, 3) 사이의 간격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또한, 고정구(10)가 분할 구조이기 때문에, 제1 고정부(11) 및 제2 고정부(12)를 각각 프린트 기판(2, 3)에 고정한 상태인 채, 제2 중간 고정부(14)를 추 가 또는 제거하여 간격 조정을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고정부(11) 및 제2 고정부(12)를 각각 프린트 기판(2, 3)에 납땜에 의해 고정할 수 있고, 그 결과, 고정구(10)를 전원 공급에 이용한 경우에는, 종래 기술과 같이, 이들을 나사 고정하는 경우보다 제1 고정부(11)와 프린트 기판(2)과의 도전성, 및 제2 고정부(12)와 프린트 기판(3)과의 도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고정부(11)가 프린트 기판(2)을 향해 돌출 설치된 수나사(11b)를 가지며, 제2 고정부가 프린트 기판(3)을 향해 돌출 설치된 수나사(12b)를 가지며, 제2 중간 고정부(14)가 제1 고정부(11) 또는 제2 고정부(12)의 수나사(11b, 12b)가 결합되는 암나사(14a)와, 그 암나사(14a)의 반대면에 프린트 기판(2) 또는 프린트 기판(3)을 향해 돌출 설치된 수나사(14b)를 가지며, 제1 중간 고정부(13)가 제1 고정부(11) 또는 제2 중간 고정부(14)의 수나사(11b, 14b)가 결합되는 암나사(13a)와, 제2 고정부(12) 또는 제2 중간 고정부(14)의 수나사(12b, 14b)가 결합되는 암나사(13b)를 갖게 구성된다. 이 때문에, 제1 중간 고정부(13)나 제2 중간 고정부(14)를 소정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만으로 고정구(10)를 분해/결합할 수 있고, 고정구(10)의 확장 수축, 즉 프린트 기판(2, 3)의 간격 조정을 보다 용이하고 확실하게 행할 수 있어, 편리성이 더 향상된다.
또한, 고정구(10)가 도전체로 구성되며, 프린트 기판(2)에서 프린트 기판(3)으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본 프린트 기판 유닛(1-1)의 소형화 및 저비용화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고정구(10)의 외주면이 절연성 부재에 의해 덮여 있기 때문에, 고정 구(10)에 의해 프린트 기판(2)에서 프린트 기판(3)으로의 전원 공급을 행하는 것에 의하여, 프린트 기판(2, 3)의 배선 패턴 등에 대하여 노이즈 등의 악영향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고정구(10)가 도전용 부재(11a, 12a)를 가지며, 프린트 기판(2, 3) 각각이 부재(11a, 12a)가 삽입되는 랜드(5)를 가지며, 부재(11a, 12a)가, 프린트 기판(2, 3)의 랜드(5)에 각각 삽입된 상태로 납땜됨으로써, 고정구(10)가 프린트 기판(2, 3)에 각각 고정된다. 이 때문에, 고정구(10)와 프린트 기판(2, 3) 각각 사이의 도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랜드(5)에 프린트 기판(3)의 전원용 패턴(3a, 3b)이 접속되고, 고정구(10)의 부재(11a, 12a)가 랜드(5)를 통해 전원용 패턴(3a, 3b)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프린트 기판(2, 3) 표면의 신호 패턴에 대하여 노이즈 등의 악영향의 발생을 대폭 저감할 수 있다. 고정구(10)를 통해 프린트 기판(2)으로부터 프린트 기판(3)에 대하여 전원 공급을 행하면, 프린트 기판(2, 3)의 탑재 부품이나 배선 패턴 등에 대하여 노이즈에 의한 악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지만, 프린트 기판(2, 3)의 내층에 전원 공급용의 패턴(3a, 3b)을 설치하고, 이들 전원용 패턴(3a, 3b)에 고정구(10)를 전기적으로 접속함으로써, 배선 패턴 등으로의 악영향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2〕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대해서
다음에,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로서의 프린트 기판 유닛(1-2)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9a 내지 9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프린트 기판 유닛(1-2)은, 전술 한 제1 실시형태의 프린트 기판 유닛(1-1)에 대하여, 고정구(20)의 구조만이 상이하며, 그 외의 구성은 제1 실시형태의 프린트 기판 유닛(1-1)과 같다. 또한, 도 9a는 본 프린트 기판 유닛(1-2)의 상면도이고, 도 9b는 그 우측면도이며, 도 9c는 그 정면도이다. 또한 도 9a 내지 9c에서 기술한 부호와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부분 또는 거의 동일한 부분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이하 고정구(20)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9a 내지 9c 및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고정구(20)는, 직방체 형상이며, 제1 실시형태의 고정구(10)와 마찬가지로, 프린트 기판(3)에 고정되는 제1 고정부(21)와, 프린트 기판(2)에 고정되는 제2 고정부(22)와, 이들 고정부(21, 22) 사이에 개재되는 제1 중간 고정부(23)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고정구(20)는, 도 11a, 11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고정부(21)와 제1 중간 고정부(23) 사이, 및 제2 고정부(22)와 제1 중간 고정부(23) 사이에 개재될 수 있는 제2 중간 고정부(24)를 추가 또는 제거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고정부(21) 및 제2 고정부(22)는 각각 도전용 부재(21a, 22a)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제1 실시형태의 제1 고정부(11) 및 제2 고정부(12)와 마찬가지로, 상기 도 6a 및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들 부재(21a, 22a)가 프린트 기판(2, 3)의 랜드(5)에 삽입된 상태로 납땜되어, 제1 고정부(21)가 프린트 기판(3)의 전원용 패턴(3a, 3b)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제2 고정부(22)가 프린트 기판(2)의 전원용 패턴(3a, 3b)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도 11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고정부(21)는, 프린트 기판(2)을 향해 돌 출 설치된, 단면이 V자 형상인 돌기부(21b)를 가지고 있다.
또한, 제2 고정부(22)는, 프린트 기판(3)을 향해 돌출 설치된, 단면이 V자 형상인 돌기부(22b)를 가지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고정부(21) 및 제2 고정부(22)[이하, '고정부(21, 22)'라고도 함]는, 도 12a 내지 12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즉, 제1 고정부(21)와 제2 고정부(22)는 동일한 형상이고, 배치 방향만이 상이하다. 또한, 도 12a는 고정구(21, 22)의 정면도이고, 도 12b는 그 상면도 이며, 도 12c는 그 하면도이고, 도 12d는 그 우측면도이다.
고정부(21. 22)의 돌기부(21b, 22b)는, V자의 내각(α)이 작아지도록 탄성 변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돌기부(21b, 22b)는, 대응하는 감합부(嵌合部)(23a, 23b, 24a)를 향하는 방향에 대하여 직교 또는 대략 직교하는 방향(X1, X2)으로 탄성력을 갖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돌기부(21b, 22b)는, 그 탄성력에 의해 대응하는 감합부(23a, 23b, 24a) 내에서 걸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고정부(21, 22)의 돌기부(21b, 22b) 각각은, 감합부(23a, 23b, 24a) 내에서 걸리기 위한 걸림부(21c, 22c)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걸림부(21c, 22c)는, 돌기부(21b, 22b)에서의, 방향 X1, X2를 따라 각각 연장된 부분을 말한다.
또한, 도 11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중간 고정부(24)는, 제1 고정부(21)의 돌기부(21b) 또는 제2 고정부(22)의 돌기부(22b)와 착탈 가능하게 감합(嵌合)되는 감합부(24a)와, 그 감합부(24a)의 반대면에 프린트 기판(2) 또는 프린트 기판(3)을 향해 돌출 설치된 단면이 V자 형상인 돌기부(24b)를 가지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2 중간 고정부(24)는, 도 13a 내지 13e 및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13a는 제2 중간 고정부(24)의 정면도이고, 13b는 그 상면도이며, 13c는 그 하면도이고, 13d는 그 우측면도이며, 13e는 13b의 C-C' 단면도이다. 또한, 도 14는 제2 중간 고정부(24)의 조감도이다.
제2 중간 고정부(24)의 돌기부(24b)는, 고정부(21, 22)의 돌기부(21b, 22b)와 동일한 것이다.
또한, 제2 중간 고정부(24)의 감합부(24a)는, 돌기부(21b, 22b, 24b) 중 어느 하나가 감합되는 오목부이다. 그리고 감합부(24a)는, 돌기부(21b, 22b, 24b)의 걸림부(21c, 22c, 24c)에 걸리는 걸림 수용부(24d)를 가지고 있다. 걸림 수용부(24d)는, 걸림부(21c, 22c, 24c)의 형상에 대응하는 오목형의 형상을 하고 있다.
또한, 제2 중간 고정부(24)의 감합부(24a)는, 돌기부(21b, 22b, 24b)의 탄성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돌출부(24e)를 구비하고 있다. 즉, 오목부로서의 감합부(24a)는 그 중앙 부분이 돌출부(24e)에 의해 잘록해지도록 형성되어 있고, 그 잘록한 부분에 있어서, 돌기부(21b, 22b, 24b)가 탄성 변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돌출부(24e)는, 돌기부(21b, 22b, 24b)가 삽입될 때, 및 발취될 때의 돌기부(21b, 22b, 24b)에 대한 가이드로서도 기능한다.
여기서, 도 15a 내지 15g를 참조하여, 제2 고정부(22)의 돌기부(22b)가 제2 중간 고정부(24)의 감합부(24a)에 감합되고, 또한 돌기부(22b)가 감합부(24a)로부터 발취될 때의 이들의 상태 천이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제1 고정부(21)의 돌기부(21b)가 제2 중간 고정부(24)의 감합부(24a)에 감합/발취될 때의 상태 천이, 또는 제2 중간 고정부(24)의 돌기부(24b)가 다른 제2 중간 고정부(24)의 감합부(24a)에 감합/발취될 때의 상태 천이, 또는 제2 중간 고정부(24)의 돌기부(24b), 제1 고정부(21)의 돌기부(21b), 제2 고정부(22)의 돌기부(22b) 중 어느 하나가, 제1 중간 고정부(23)의 감합부(23a) 또는 감합부(23b)에 감합/발취될 때의 상태 천이도, 도 15a 내지 15g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행해진다.
도 15a의 상태로부터 제2 중간 고정부(24)의 감합부(24a)가 제2 고정부(22)의 돌기부(22b)를 끼워 맞추도록, 블록 화살표(Y1)에 도시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도 15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돌기부(22b)가 감합부(24a)의 입구 부분에서 감합부(24a)에 접촉된 상태로부터, 또한 Y1 방향으로 소정 이상의 힘을 가함으로써, 도 15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돌기부(22b)의 걸림부(24d)가 감합부(24a)의 오목부 내면, 즉 돌출부(24e)에 가이드되면서 내각(α)이 작아지도록 탄성 변형한다.
또한, Y1 방향으로 제2 중간 고정부(24)를 이동시킴으로써, 도 15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돌기부(22b)의 걸림부(22c)가, 감합부(24a)의 걸림 수용부(24d) 내에 끼워져 걸린다. 이것에 의해, 돌기부(22b)가 감합부(24a)에 감합되고, 제2 고정부(22)와 제2 중간 고정부(24)가 접합된다.
이 때, 도 15d의 범위(Z1, Z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돌기부(22b)와 감합부(24a)의 돌출부(24e)는 접촉된 상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돌기부(22b)가 감합부(24a) 내에서 탄성 변형하여 X1, X2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휘한 상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제2 고정부(22)와 제2 중간 고정부(24)와의 접합이 안정된다.
그리고, 도 15d의 감합 상태로부터, 블록 화살표(Y2)에 도시하는 방향으로, 소정 이상의 힘을 가함으로써, 감합부(24a)의 걸림 수용부(24d)로부터 돌기부(22b)의 걸림부(22c)가 발취되고, 도 15e, 15f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돌기부(22b)는, 돌출부(24e)에 안내되어 탄성 변형하면서, 도 15g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감합부(24a)로부터 발취된다.
또한, 제1 중간 고정부(23)는, 도 11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고정부(21)의 돌기부(24b) 또는 제1 고정부(21)측의 제2 중간 고정부(24)의 돌기부(24b)를 착탈 가능하게 감합하는 감합부(23a)와, 제2 고정부(22)의 돌기부(22b) 또는 제2 고정부(22)측의 제2 중간 고정부(24)의 돌기부(24b)를 착탈 가능하게 감합하는 감합부(23b)를 가지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 중간 고정부(23)는, 도 16a 내지 e 및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16a는 제1 중간 고정부(23)의 정면도이고, 16b는 그 상면도이며, 16c는 그 하면도이고, 16d는 그 우측면도이며, 16e는 16b의 D-D' 단면도이다. 또한, 도 17은 제1 중간 고정부(23)의 조감도이다.
제1 중간 고정부(23)의 감합부(23a, 23b)는, 각각 전술한 제2 중간 고정부(24)의 감합부(24a)와 동일한 것이며, 걸림 수용부(23c) 및 돌출부(23d)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도 11a의 예에서는, 제1 고정부(21)의 돌기부(21b)가 제2 중간 고정부(24a)의 감합부(24a)에 감합되고, 제2 고정부(22)의 돌기부(22b)가 제2 중간 고정부(24a)의 감합부(24a)에 감합되며, 2개의 제2 중간 고정부(24)의 돌기부(24b)가 각각 제1 중간 고정부(23)의 감합부(23a, 23b)에 감합됨으로써, 도 11b에 도시하는 고정구(20)가 구성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중간 고정부(24)는 제거할 수 있고, 제1 고정부(21)와 제2 중간 고정부(24) 사이, 또는 제2 중간 고정부(24)와 제1 중간 고정부(23) 사이, 또는 제2 중간 고정부(24)와 제2 고정부(22) 사이에 추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고정구(20)는 프린트 기판(2, 3) 사이의 소정 간격의 확장 수축 방향으로 길이를 변경할 수 있게 되어 있다.즉, 고정구(20)는 프린트 기판(2, 3) 사이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고정구(20)는 도전체로 구성되며, 프린트 기판(2)의 전원 배선에 접속되어 프린트 기판(3)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제1 고정부(21), 제2 고정부(22), 제1 중간 고정부(23), 및 제2 중간 고정부(24)는, 도전체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경우, 고정구(20)의 외주면은 절연성 부재에 의해 덮여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도 11의 (b)의 고정구(20)가 프린트 기판(2, 3)에 접속된 경우, 프린트 기판(2)으로부터의 전력은, 도 11의 (b)의 아래쪽으로부터 제2 고정부(22), 제2중간 고정부(24), 제1 중간 고정부(23), 제2 중간 고정부(24), 제1 고정부(21)의 순으로 통과하고, 부재(21a)를 통과하여 프린트 기판(3)으로 공급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로서의 프린트 기판 유닛(1-2)에 의하면, 전술한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돌기부(21b, 22b, 24b)는, 탄성력에 의해 대응하는 감합부(24a, 23a, 23b) 내에서 걸리기 때문에, 각 부재(21∼24)가 확실하게 감합되고, 각부재(21∼24) 사이의 도전성도 향상된다.
또한, 돌기부(21b, 22b, 24b)가 걸림부(21c, 22c, 24c)를 가지며, 감합부(24a, 23a, 23b)가 대응하는 걸림부(21c, 22c, 24c)에 걸리는 걸림 수용부(24d, 23c)를 갖기 때문에, 각 부재(21∼24)가 보다 확실하게 감합된다.
〔3〕 기타,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예컨대, 전술한 실시형태의 고정구(10, 20)의 형상, 즉 제1 고정부(11, 21),제2 고정부(12, 22), 제1 중간 고정부(13, 23), 및 제2 중간 고정부(14, 24)의 형상은, 전술한 실시형태의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특히, 제2 실시형태의 고정구(20)의 각 부재(21, 22, 24)가 가지는 돌기부(21b, 22b, 24b)의 형상이나, 그것에 대응하는 감합부(23a, 23b, 24a)의 형상은, 전술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돌기부(21b, 22b, 24b)는 감합부(23a, 23b, 24a)에 감합될 때에 탄성 변형하며, 탄성력을 갖도록 구성되어 있으면 좋다. 또한, 돌기부(21b, 22b, 24b)는 감합부(23a, 23b, 24a)에 걸리기 위한 걸림부를 구비하고 있으면 좋고, 이 때, 감합부(23a, 23b, 24a)는 그 걸림부를 수용하는 걸림 수용부를 구비하고 있으면 좋다.
또한, 고정구(20)는, 예컨대 도 18a, 18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성되어도 좋다. 즉, 제1 고정부(21')가 돌기부(21b)가 아니라, 감합부(21b')를 가지며, 제2 중간 고정부(24)가, 제1 고정부(21')의 감합부(21b')에 감합되도록 구성되어도 좋다.
즉, 제2 중간 고정부(24)가, 제1 고정부(21')와 제2 고정부(22) 사이에 개재되는 중간 고정부로서 기능하고, 고정구(20)가 제2 중간 고정부(24)를 증감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것에 의해, 전술한 제2 실시형태와 같은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고정구(20)는 예컨대 도 19의 (a),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성되어도 좋다. 즉, 제2 고정부(22')가 돌기부(22b)가 아니라, 감합부(22b')를 가지며, 제2 중간 고정부(24)가, 제2 고정부(22')의 감합부(22b')에 끼워 맞춰지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즉, 제2 중간 고정부(24)가, 제1 고정부(21)와 제2 고정부(22') 사이에 개재되는 중간 고정부로서 기능하고, 고정구(20)가 제2 중간 고정부(24)를 증감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것에 의해서도, 전술한 제2 실시형태와 같은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예컨대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프링판(31)을 고정구(30)로서 구성하고, 스프링판(31)의 일단을 프린트 기판(2)에 고착하며, 타단을 프린트 기판(3)에 고착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이 경우, 고정구(30)는, 예컨대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성된다. 즉, 고정구(30)는 탄성력을 갖는 스프링 판(31)과, 프린트 기판(3)에 고정하기 위한 볼 트(32), 너트(33), 스프링 와셔(34)를 구비하고, 프린트 기판(2)에 고정하기 위한 볼트(35), 네트(36), 스프링 와셔(37)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스프링 판(31)은 프린트 기판(2, 3)과의 고정 부분(31a, 31b)은 탄성력을 갖지 않는 재료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경우, 프린트 기판(2, 3)은, 도 2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볼트(32, 35)를 관통시키기 위한 나사 구멍(6)과, 동박(銅箔) 부착 랜드(7)와, 이 동박 부착 랜드(7)에 접속된 배선 패턴(8)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도 23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고정구(30)는 스프링 판(31)의 일단의 고정 부분(31a)이 볼트(32), 너트(33), 및 스프링 와셔(34)에 의해 고착(固着)되고, 타단의 고정 부분(32a)이 볼트(35), 너트(36), 및 스프링 와셔(37)에 의해 고착된다.
또한, 도 23a에 도시하는 상태로, 스프링 판(31)을 소성변형(塑性變形)시킴으로써, 도 23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린트 기판(2, 3) 사이의 간격(W3)을, 간격(W3)보다 좁은 간격(W4)으로 조정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것에 의해서도, 전술한 실시형태와 동일한은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고정구(30)는 도전체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전술한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프린트 기판(3)으로부터 프린트 기판(2)에 대하여 전력을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고정구(10, 20)를 납땜에 의해 프린트 기 판(2, 3)에 고정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고정구(10, 20)를, 예컨대 나사를 이용하여 프린트 기판(2, 3)에 고정하여도 좋다.
〔4〕 부기
(부기 1)
복수의 프린트 기판과,
이 복수의 프린트 기판 중 하나의 프린트 기판과 다른 프린트 기판 사이에 개재되고, 이 하나의 프린트 기판과 이 다른 프린트 기판을 소정 간격을 두고 중첩되도록 배치한 상태로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구를 포함하며,
이 고정구가, 이 소정 간격을 변경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트 기판 유닛.
(부기 2)
이 고정구가, 이 고정구의 이 소정 간격의 확장 수축 방향으로 복수의 부재를 접속하는 것에 의해 구성되고, 이 부재의 수를 증가 또는 감소함으로써 이 소정 간격을 변경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에 기재한 프린트 기판 유닛.
(부기 3)
이 고정구가,
이 하나의 프린트 기판에 고정된 제1 고정부와,
이 다른 프린트 기판에 고정된 제2 고정부와,
이 제1 고정부와 이 제2 고정부 사이에 개재된 제1 중간 고정부를 포함하고,
이 제1 고정부와 이 제1 중간 고정부 사이 및 이 제2 고정부와 이 제1 중간 고정부 사이에 개재될 수 있는 제2 중간 고정부를 추가 또는 제거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 또는 부기 2에 기재한 프린트 기판 유닛.
(부기 4)
이 제1 고정부가 이 다른 프린트 기판을 향해 돌출 설치된 수나사를 포함하고,
이 제2 고정부가 이 하나의 프린트 기판을 향해 돌출 설치된 수나사를 포함하며,
이 제2 중간 고정부가, 이 제1 고정부 또는 이 제2 고정부의 상기 수나사를 결합하는 암나사와, 이 암나사의 반대면에 이 하나의 프린트 기판 또는 이 다른 프린트 기판을 향해 돌출 설치된 수나사를 포함하고,
이 제1 중간 고정부가, 이 제1 고정부 또는 이 제2 중간 고정부의 이 수나사를 결합하는 암나사와, 이 제2 고정부 또는 이 제2 중간 고정부의 이 수나사를 결합하는 암나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3에 기재한 프린트 기판 유닛.
(부기 5)
이 제1 고정부가 이 다른 프린트 기판을 향해 돌출 설치된 돌기부를 포함하고,
이 제2 고정부가 이 하나의 프린트 기판을 향해 돌출 설치된 돌기부를 포함 하며, 이 제2 중간 고정부가, 이 제1 고정부 또는 이 제2 고정부의 이 돌기부와 착탈 가능하게 감합되는 감합부와, 이 감합부의 반대면에 이 하나의 프린트 기판 또는 이 다른 프린트 기판을 향해 돌출 설치된 돌기부를 포함하고,
이 제1 중간 고정부가, 이 제1 고정부 또는 이 제2 중간 고정부의 이 돌기부가 착탈 가능하게 감합되는 감합부와, 이 제2 고정부 또는 이 제2 중간 고정부의 이 돌기부가 착탈 가능하게 감합되는 감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3에 기재한 프린트 기판 유닛.
(부기 6)
이 돌기부가 대응하는 이 감합부를 향하는 방향에 대하여 직교 또는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갖도록 구성되고,
이 돌기부가, 이 탄성력에 의해 이 감합부 내에서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5에 기재한 프린트 기판 유닛.
(부기 7)
이 돌기부가 대응하는 이 감합부를 향하는 방향에 대하여 직교 또는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걸림부를 포함하고,
이 감합부가, 이 돌기부의 이 걸림부를 거는 걸림 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5 또는 부기 6에 기재한 프린트 기판 유닛.
(부기 8)
이 고정구가,
이 하나의 프린트 기판에 고정된 제1 고정부와,
이 다른 프린트 기판에 고정된 제2 고정부와,
이 제1 고정부와 이 제2 고정부 사이에 개재되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고정부를 포함하고,
이 중간 고정부를 증가 또는 감소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 또는 부기 2에 기재한 프린트 기판 유닛.
(부기 9)
이 제1 고정부가 이 다른 프린트 기판을 향해 돌출 설치된 돌기부를 포함하고,
이 중간 고정부가 이 제1 고정부측의 이 돌기부와 착탈 가능하게 감합되는 감합부와, 이 감합부의 반대면에 이 다른 프린트 기판을 향해 돌출 설치된 돌기부를 포함하며,
이 제2 고정부가 이 중간 고정부의 이 돌기부가 착탈 가능하게 감합되는 감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8에 기재한 프린트 기판 유닛.
(부기 10)
이 제2 고정부가 이 다른 프린트 기판을 향해 돌출 설치된 돌기부를 포함하고,
이 중간 고정부가, 이 제2 고정부측의 이 돌기부와 착탈 가능하게 감합되는 감합부와, 이 감합부의 반대면에 이 다른 프린트 기판을 향해 돌출 설치된 돌기부를 포함하며,
이 제1 고정부가 이 중간 고정부의 이 돌기부가 착탈 가능하게 감합되는 감 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8에 기재한 프린트 기판 유닛.
(부기 11)
이 돌기부가 대응하는 이 감합부를 향하는 방향에 대하여 직교 또는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갖도록 구성되고,
이 돌기부가, 이 탄성력에 의해 이 감합부 내에서 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0에 기재한 프린트 기판 유닛.
(부기 12)
이 돌기부가 대응하는 이 감합부를 향하는 방향에 대하여 직교 또는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걸림부를 포함하고,
이 감합부가, 이 돌기부의 이 걸림부를 거는 걸림 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0 또는 부기 11에 기재한 프린트 기판 유닛.
(부기 13)
이 고정구가 스프링 판이고, 일단이 이 하나의 프린트 기판에 고착되며, 타단이 이 다른 프린트 기판에 고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에 기재한 프린트 기판 유닛.
(부기 14)
이 고정구가, 도전체로 구성되고, 이 다른 프린트 기판의 전원 배선에 접속되며 이 하나의 프린트 기판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부기 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프린트 기판 유닛.
(부기 15)
이 고정구의 외주면이 절연성 부재에 의해 덮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4에 기재한 프린트 기판 유닛.
(부기 16)
이 고정구가 도전용 부재를 포함하고,
이 하나의 프린트 기판 및 이 다른 프린트 기판이 이 부재를 삽입하는 랜드를 포함하며,
이 고정구의 이 부재가, 이 하나의 프린트 기판 및 이 다른 프린트 기판의 이 랜드에 각각 삽입된 상태로 납땜됨으로써, 이 고정구가 이 하나의 프린트 기판 및 이 다른 프린트 기판에 각각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4 또는 부기 15에 기재한 프린트 기판 유닛.
(부기 17)
이 하나의 프린트 기판의 내층에 전원용 패턴이 설치되고,
이 하나의 프린트 기판의 이 랜드에 이 전원용 패턴이 접속되며, 이 고정구의 이 부재가 이 랜드를 통해 이 전원용 패턴에 전기으로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6에 기재한 프린트 기판 유닛.
(부기 18)
제1 프린트 기판과 제2 프린트 기판 사이에 개재되고, 이 제1 프린트 기판과 이 제2 프린트 기판을 소정 간격을 두고 중첩되도록 배치한 상태로 고정하며, 이 소정 간격을 변경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트 기판 유닛의 고정구.
(부기 19)
이 고정구의 이 소정 간격의 확장 수축 방향으로 복수의 부재를 접속하는 것에 의해 구성되고, 이 부재의 수를 증가 또는 감소함으로써 이 소정 간격을 변경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8에 기재한 프린트 기판 유닛의 고정구.
(부기 20)
이 제1 프린트 기판에 고정된 제1 고정부와,
이 제2 프린트 기판에 고정된 제2 고정부와,
이 제1 고정부와 이 제2 고정부 사이에 개재된 제1 중간 고정부를 포함하고,
이 제1 고정부와 이 제1 중간 고정부 사이 및 이 제2 고정부와 이 제1 중간 고정부 사이에 개재될 수 있는 제2 중간 고정부를 추가 또는 제거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8 또는 부기 19에 기재한 프린트 기판 유닛의 고정구.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로서의 프린트 기판 유닛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a)가 프린트 기판 유닛의 상면도, (b)가 그 우측면도, (c)가 그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로서의 프린트 기판 유닛의 고정구의 분할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a)는 고정구의 결합시의 프린트 기판 유닛의 정면도이며, (b)는 고정부 분해시의 프린트 기판 유닛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로서의 프린트 기판 유닛의 고정구의 확장 수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a)는 고정구가 제1 고정부, 제2 고정부, 및 제1 중간 고정부로 구성된 상태의 프린트 기판 유닛의 정면도이며, (b)는 (a)의 상태로부터 제2 중간 고정부를 추가한 상태의 프린트 기판 유닛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로서의 프린트 기판 유닛의 고정구의 구성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a)는 각 부재를 결합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b)는 (a)에 도시하는 각 부재를 모두 결합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로서의 프린트 기판 유닛의 고정구의 제1 중간 고정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a)가 그 상면도, (b)가 (a)의 A-A'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로서의 프린트 기판 유닛의 프린트 기판과 고정구와의 접속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a)가 프린트 기판의 상면도, (b)가 프린트 기판의 랜드에 고정구 부재가 삽입된 상태의 프린트 기판 유닛의 일 부의 조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2 실시형태로서의 프린트 기판 유닛의 고정구 부재가 프린트 기판의 랜드에 삽입되고, 납땜된 상태의 도 6의 (a)의 B-B' 단면도이다.
도 8은 종래의 프린트 기판 유닛의 리지드 배선판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로서의 프린트 기판 유닛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a)가 프린트 기판 유닛의 상면도, (b)가 그 우측면도, (c)가 그 정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로서의 프린트 기판 유닛의 고정구의 일례를 도시하는 조감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로서의 프린트 기판 유닛의 고정구의 구성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a)는 각 부재를 결합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b)는 (a)에 도시하는 각 부재를 모두 결합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로서의 프린트 기판 유닛의 고정구의 제1 고정부 및 제2 고정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a)는 제1 고정부 및 제2 고정부의 정면도, (b)는 그 상면도, (c)는 그 하면도, (d)는 그 우측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로서의 프린트 기판 유닛의 고정구의 제2 중간 고정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a)는 제2 중간 고정부의 정면도, (b)는 그 상면도, (c)는 그 하면도, (d)는 그 우측면도, (e)는 (b)의 C-C'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로서의 프린트 기판 유닛의 고정구의 제2 중간 고정부를 도시하는 조감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로서의 프린트 기판 유닛의 고정구의 제2 고정부와 제2 중간 고정부와의 결합시 및 제거시의 상태 천이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a)가 결합 전의 상태를 도시하고, (b)는 결합 개시시의 상태를 도시하며, (c)는 결합 도중의 상태를 도시하고, (d)는 결합 완료시의 상태를 도시하며, (e)는 제거 도중의 상태를 도시하고, (f)는 제거 종료시의 상태를 도시하며, (g)는 제거 완료시의 상태를 도시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로서의 프린트 기판 유닛의 고정구의 제1 중간 고정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a)는 제1 중간 고정부의 정면도, (b)는 그 상면도, (c)는 그 하면도, (d)는 그 우측면도, (e)는 (b)의 D-D'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로서의 프린트 기판 유닛의 고정구의 제1 중간 고정부를 도시하는 조감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변형예로서의 프린트 기판 유닛의 고정구의 구성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a)는 각 부재를 결합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b)는 (a)에 도시하는 각 부재를 모두 결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변형예로서의 프린트 기판 유닛의 고정구의 구성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a)는 각 부재를 결합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b)는 (a)에 도시하는 각 부재를 모두 결합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변형예로서의 프린트 기판 유닛의 고정구를 설명하기 위한 프린트 기판 유닛의 일부의 조감도이다.
도 21은 도 20에 도시하는 프린트 기판 유닛의 고정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2는 도 20에 도시하는 프린트 기판 유닛의 프린트 기판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3은 도 20에 도시하는 프린트 기판 유닛의 고정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a)가 프린트 기판 사이의 소정 간격의 조정 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b)는 (a)의 상태로부터 프린트 기판 사이의 소정 간격을 좁게 조정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4는 종래의 프린트 기판 유닛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a)는 프린트 기판 유닛의 상면도, (b)는 그 정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1, 1-2, 1-3: 프린트 기판 유닛
2, 3: 프린트 기판(리지드 배선판)
3a, 3b: 전원용 패턴
4: 배선판
5: 스루홀 랜드(랜드)
6: 나사 구멍
7: 동박이 부착된 랜드
8: 배선 패턴
10, 20, 30: 고정구
10a, 20a: 땜납
10b, 34, 37: 스프링 와셔
11, 21, 21': 제1 고정부
11a, 12a, 21a, 22a: 부재
11b, 12b, 14b: 수나사
12, 22, 22': 제2 고정부
13, 23: 제1 중간 고정부
13a, 13b, 14a: 암나사
14, 24: 제2 중간 고정부(중간 고정부)
21b, 22b, 24b: 돌기부
21c, 22c, 24c: 걸림부
21b', 22b', 23a, 23b, 24a: 감합부
23c, 24d: 걸림 수용부
23d, 24e: 돌출부
31: 스프링 판
31a, 31b: 고정 부분
32, 35: 볼트
33, 36: 너트
100: 프린트 기판 유닛
101, 103: 프린트 기판
102: 스페이서
104: 배선판
105: 전원 공급용 패턴
106: 신호 패턴

Claims (10)

  1. 복수의 프린트 기판과,
    상기 복수의 프린트 기판 중 하나의 프린트 기판과 다른 프린트 기판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하나의 프린트 기판과 상기 다른 프린트 기판을 소정 간격을 두고 중첩되도록 배치한 상태로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구가, 상기 소정 간격을 변경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트 기판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가, 상기 고정구의 상기 소정 간격의 확장 수축 방향으로 복수의 부재를 접속하는 것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부재의 수를 증가 또는 감소함으로써 상기 소정 간격을 변경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트 기판 유닛.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가,
    상기 하나의 프린트 기판에 고정된 제1 고정부와,
    상기 다른 프린트 기판에 고정된 제2 고정부와,
    상기 제1 고정부와 상기 제2 고정부 사이에 개재된 제1 중간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고정부와 상기 제1 중간 고정부 사이 및 상기 제2 고정부와 상기 제1 중간 고정부 사이에 개재될 수 있는 제2 중간 고정부를 추가 또는 제거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트 기판 유닛.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부가 상기 다른 프린트 기판을 향해 돌출 설치된 수나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고정부가 상기 하나의 프린트 기판을 향해 돌출 설치된 수나사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중간 고정부가, 상기 제1 고정부 또는 상기 제2 고정부의 상기 수나사를 결합하는 암나사와, 상기 암나사의 반대면에 상기 하나의 프린트 기판 또는 상기 다른 프린트 기판을 향해 돌출 설치된 수나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중간 고정부가, 상기 제1 고정부 또는 상기 제2 중간 고정부의 상기 수나사를 결합하는 암나사와, 상기 제2 고정부 또는 상기 제2 중간 고정부의 상기 수나사를 결합하는 암나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트 기판 유닛.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부가 상기 다른 프린트 기판을 향해 돌출 설치된 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고정부가 상기 하나의 프린트 기판을 향해 돌출 설치된 돌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중간 고정부가, 상기 제1 고정부 또는 상기 제2 고정부의 상기 돌기부와 착탈 가능하게 감합(嵌合)되는 감합부와, 상기 감합부의 반대면에 상기 하 나의 프린트 기판 또는 상기 다른 프린트 기판을 향해 돌출 설치된 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중간 고정부가, 상기 제1 고정부 또는 상기 제2 중간 고정부의 상기 돌기부가 착탈 가능하게 감합되는 감합부와, 상기 제2 고정부 또는 상기 제2 중간 고정부의 상기 돌기부가 착탈 가능하게 감합되는 감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트 기판 유닛.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가,
    상기 하나의 프린트 기판에 고정된 제1 고정부와,
    상기 다른 프린트 기판에 고정된 제2 고정부와,
    상기 제1 고정부와 상기 제2 고정부 사이에 개재되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중간 고정부를 증가 또는 감소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트 기판 유닛.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부가 상기 다른 프린트 기판을 향해 돌출 설치된 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중간 고정부가, 상기 제1 고정부측의 상기 돌기부와 착탈 가능하게 감합되는 감합부와, 상기 감합부의 반대면에 상기 다른 프린트 기판을 향해 돌출 설치된 돌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고정부가 상기 중간 고정부의 상기 돌기부가 착탈 가능하게 감합되는 감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트 기판 유닛.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가, 도전체로 구성되고, 상기 다른 프린트 기판의 전원 배선에 접속되어 상기 하나의 프린트 기판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고정구가 도전용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의 프린트 기판 및 상기 다른 프린트 기판이 상기 부재를 삽입하는 랜드(land)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구의 상기 부재가, 상기 하나의 프린트 기판 및 상기 다른 프린트 기판의 상기 랜드에 각각 삽입된 상태로 납땜되는 것에 의해, 상기 고정구가 상기 하나의 프린트 기판 및 상기 다른 프린트 기판에 각각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트 기판 유닛.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프린트 기판의 내층에 전원용 패턴이 설치되고,
    상기 하나의 프린트 기판의 상기 랜드에 상기 전원용 패턴이 접속되며, 상기 고정구의 상기 부재가 상기 랜드를 통해 상기 전원용 패턴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트 기판 유닛.
  10. 제1 프린트 기판과 제2 프린트 기판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제1 프린트 기판과 상기 제2 프린트 기판을 소정 간격을 두고 중첩되도록 배치한 상태로 고정하며, 상기 소정 간격을 변경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트 기판 유닛의 고정구.
KR1020080127916A 2008-01-08 2008-12-16 프린트 기판 유닛 및 프린트 기판 유닛의 고정구 KR1010528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001267A JP2009164387A (ja) 2008-01-08 2008-01-08 プリント基板ユニット及びプリント基板ユニットの固定具
JPJP-P-2008-001267 2008-01-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6775A true KR20090076775A (ko) 2009-07-13
KR101052807B1 KR101052807B1 (ko) 2011-07-29

Family

ID=408443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7916A KR101052807B1 (ko) 2008-01-08 2008-12-16 프린트 기판 유닛 및 프린트 기판 유닛의 고정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189347B2 (ko)
JP (1) JP2009164387A (ko)
KR (1) KR101052807B1 (ko)
CN (1) CN101483974B (ko)
TW (1) TW20093431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076168B (zh) * 2009-11-24 2013-10-09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双层柔性线路板
TWI394911B (zh) * 2010-03-02 2013-05-01 Univ Nat Formosa Multi-oriented light-emitting diode lamps
CN201774741U (zh) * 2010-06-30 2011-03-23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电路板结构
JP5879678B2 (ja) 2010-09-16 2016-03-08 日本電気株式会社 プリント基板固定装置
TW201228537A (en) * 2010-12-29 2012-07-01 Hon Hai Prec Ind Co Ltd Fixing structure for circuit board
US20120194990A1 (en) * 2011-01-31 2012-08-02 Martin Kuster Semiconductor Arrangements
CN202351786U (zh) * 2011-08-09 2012-07-25 善元科技股份有限公司 电源供应模块
KR20140117629A (ko) * 2012-01-30 2014-10-07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전도성 진동 감쇠 방진기
FR2992823B1 (fr) 2012-06-27 2014-06-20 Sagemcom Broadband Sas Entretoise a braser et module electronique comportant une telle entretoise
US9173304B2 (en) 2013-07-18 2015-10-27 Lenovo Enterprise Solutions (Singapore) Pte. Ltd. Vertical blindmate scaling of identical system boards
CN103974533B (zh) * 2014-04-30 2017-03-15 苏州倍辰莱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折叠式双层印刷电路板
JP2016149445A (ja) * 2015-02-12 2016-08-18 アンリツ株式会社 電源配線用部材および当該部材を用いたプリント基板配線構造
JP6537100B2 (ja) * 2015-04-15 2019-07-03 矢崎総業株式会社 多段基板接続構造、及び電気接続箱
CN105576428A (zh) * 2015-12-10 2016-05-11 中国航空工业集团公司西安航空计算技术研究所 同时实现底板及1394b总线接口功能的多层次刚柔板重叠结构
CN106304742B (zh) * 2016-08-27 2019-02-05 许继集团有限公司 一种防护件及使用该防护件的印制板插件及机箱
US10980120B2 (en) * 2017-06-15 2021-04-13 Rain Bird Corporation Compact printed circuit board
KR20190033014A (ko) * 2017-09-20 2019-03-28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
CN107920417A (zh) * 2017-12-18 2018-04-17 广州兴森快捷电路科技有限公司 线路板及其制造方法
CN109348615B (zh) * 2018-11-09 2020-02-28 惠州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显示模组
CN109683262B (zh) * 2019-01-25 2020-10-16 东莞市金厚田光电有限公司 一种用于宽带高速传输的并行光收发组件
US10733136B1 (en) * 2019-03-01 2020-08-04 Western Digital Technologies, Inc. Vertical surface mount type C USB connector
US11076485B2 (en) * 2019-11-05 2021-07-27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Component mounted board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the same
KR102622134B1 (ko) * 2020-03-16 2024-01-0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헤드라이닝에 장착되는 모듈 조립체
CN114750087A (zh) * 2022-03-21 2022-07-15 西安易朴通讯技术有限公司 一种定位装置
WO2023247219A1 (en) * 2022-06-20 2023-12-28 Biotronik Se & Co. Kg Circuit board arrangement comprising a standoff element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36015A (en) * 1957-03-19 1960-05-10 Illinois Tool Works Screw anchor with attached spacing sleeve
US3812381A (en) * 1973-06-04 1974-05-21 Gen Motors Corp Circuit board connector with screw fastener
US3836703A (en) * 1973-10-19 1974-09-17 Richco Plastic Co Circuit board spacer-support
US4149764A (en) * 1977-10-20 1979-04-17 International Telephone And Telegraph Corporation Stacked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 and contacts therefor
US4533200A (en) * 1982-06-23 1985-08-06 Thomas & Betts Corporation Stackable electrical connector
US4527312A (en) * 1983-08-19 1985-07-09 Illinois Tool Works Inc. Stackable hinging printed circuit board support
JPS60133684U (ja) * 1984-02-13 1985-09-06 北川工業株式会社 プリント基板保持具
JP2537812B2 (ja) 1986-10-01 1996-09-2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映像信号処理装置
JPS6387883U (ko) * 1986-11-26 1988-06-08
US4797113A (en) * 1987-02-05 1989-01-10 Lambert Roger T Board to board flexible pin
JPH0268490A (ja) 1988-09-02 1990-03-07 Daido Steel Co Ltd スクラップ予熱における脱臭装置の制御方法
US4969065A (en) * 1989-02-28 1990-11-06 Petri Hector D Spacer for circuit boards and circuit board assembly including same
JP2751469B2 (ja) * 1989-10-06 1998-05-18 富士通株式会社 プリント板装置
US5018982A (en) * 1990-07-25 1991-05-28 Ncr Corporation Adapter for stacking printed circuit boards
JP2500662B2 (ja) * 1993-12-13 1996-05-29 日本電気株式会社 積み重ね式スタッド
US5956835A (en) * 1994-10-03 1999-09-28 Aksu; Allen Test fixtures for testing of printed circuit boards
JPH08330699A (ja) 1995-05-30 1996-12-13 Nec Corp プリント配線基板及びその間の実装方式
US6280202B1 (en) * 1999-09-01 2001-08-28 Thomas & Betts International, Inc. Board-to-board alignment and securement device
US6399888B1 (en) * 2000-10-26 2002-06-04 Lite-On Electronics, Inc. Buffering and supporting device for a circuit board
JP2003110210A (ja) 2001-07-26 2003-04-11 Toshiba Corp フレキシブル配線基板及び折り畳み形電子機器
US6901646B2 (en) * 2002-01-16 2005-06-07 Avaya Technology Corp. Universal snap-fit spacer
JP2003283072A (ja) 2002-03-20 2003-10-03 Canon Inc プリント配線板ユニット
KR100625971B1 (ko) * 2003-10-10 2006-09-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회로기판의 결합구조 및 접지구조가 개선된 플라즈마디스플레이 장치
JP4556907B2 (ja) 2006-04-14 2010-10-06 村田機械株式会社 回路基板の取付け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52807B1 (ko) 2011-07-29
US8189347B2 (en) 2012-05-29
CN101483974A (zh) 2009-07-15
JP2009164387A (ja) 2009-07-23
TW200934313A (en) 2009-08-01
US20090175015A1 (en) 2009-07-09
CN101483974B (zh) 2011-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2807B1 (ko) 프린트 기판 유닛 및 프린트 기판 유닛의 고정구
US6609914B2 (en) High speed and density circular connector for board-to-board interconnection systems
US7602615B2 (en) In-grid decoupling for ball grid array (BGA) devices
US7878842B2 (en) Busbar device and circuit board having the same
US20090168386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substrate mounting method
US20190006777A1 (en) Printed Circuit Board Solder Joints
CN1918955A (zh) 具有叠层印刷电路板的rf电路
EP2635097B1 (en) An electric and/or electronic circuit including a printed circuit board, a separate circuit board and a power connector
US11652309B2 (en) Board coupling structure with separate power supply circuit board
CN105848415B (zh) 侧边具有表面黏着型接脚的电路模块以及电路板与系统
US10276954B2 (en) Board-to-board connectors and mounting structure
EP2555600B1 (en) A PCB arrangement
JP5445470B2 (ja) 基板間接続構造
KR20130029299A (ko) 자동차용 배터리 전원 분배 장치
US9549464B2 (en) Modules for increasing useable space on circuit boards
US7293999B2 (en) Housing of circuit boards
JP2011108719A (ja) 高周波装置
JP2001077577A (ja) 回路基板のシールド構造およびシールドケース
KR100912791B1 (ko) 인쇄회로기판의 접속구조
TW202114489A (zh) 條線邊緣快扣射頻連接
JP2002208773A (ja) 硬質プリント基板とフレキシブル配線板との接続方法及び接続構造
JPH04147588A (ja) プリント配線基板装置
JP2002368350A (ja) プリント基板構造
JP2018182033A (ja) 電子機器の実装構造
KR20090017358A (ko) 휴대용 전자 장치의 인쇄회로기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