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2134B1 - 차량의 헤드라이닝에 장착되는 모듈 조립체 - Google Patents

차량의 헤드라이닝에 장착되는 모듈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2134B1
KR102622134B1 KR1020200032143A KR20200032143A KR102622134B1 KR 102622134 B1 KR102622134 B1 KR 102622134B1 KR 1020200032143 A KR1020200032143 A KR 1020200032143A KR 20200032143 A KR20200032143 A KR 20200032143A KR 102622134 B1 KR102622134 B1 KR 1026221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ed circuit
circuit board
roa
antenna element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21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15820A (ko
Inventor
우명남
신언용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321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2134B1/ko
Priority to US17/201,531 priority patent/US11612058B2/en
Publication of KR202101158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58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21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213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26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 H05K5/004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having a two-part housing enclosing a PCB
    • H05K5/0052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having a two-part housing enclosing a PCB characterized by joining features of the housing par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4Structural association of two or more printed circuits
    • H05K1/144Stacked arrangements of planar printed circuit 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64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control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60R13/0212Roof or head l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60R13/0212Roof or head liners
    • B60R13/0218Roof or head liners supported by adhesion with the roof pan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60R21/01566Devices for warning or indicating mode of inhibit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26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 H05K5/004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having a two-part housing enclosing a PCB
    • H05K5/006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having a two-part housing enclosing a PCB characterized by features for holding the PCB within the hous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26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 H05K5/0065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wherein modules are associated together, e.g. electromechanical assemblies, modular structur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26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 H05K5/0069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having connector relating features for connecting the connector pins with the PCB or for mounting the connector body with the hou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28Ceiling, e.g. roof r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60R2013/0287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integrating other functions or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02Type of accident
    • B60R2021/0018Roll-ove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3Conductive materials
    • H05K2201/0302Properties and characteristics in general
    • H05K2201/0311Metallic part with specific elastic properties, e.g. bent piece of metal as electrical contac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4Assemblies of printed circuits
    • H05K2201/042Stacked spaced PCBs; Planar parts of folded flexible circuits having mounted components in between or spaced from each othe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007Types of components
    • H05K2201/10098Components for radio transmission, e.g.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tag, printed or non-printed antenna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007Types of components
    • H05K2201/10151Senso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007Types of components
    • H05K2201/10189Non-printed connecto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227Other objects, e.g. metallic pieces
    • H05K2201/10265Metallic coils or springs, e.g. as part of a connection el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inations Of Printed Boards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모듈 조립체는 차량의 헤드라이닝에 부착되고, 상부가 개방된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내측 바닥면으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안착 기둥에 순차적으로 적층되고, 플렉서블 케이블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및 제2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베이스와 조립되어, 상기 베이스 상에 적층된 상기 제1 및 제2 인쇄회로기판을 커버하는 커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의 헤드라이닝에 장착되는 모듈 조립체{MODULAR ASSEMBLY MOUNTED TO A HEADLINING OF A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헤드라이닝(차량 루프)에 장착되는 모듈 조립체에 관한 기술이다.
종래의 버전 1.0의 디지털 키 모듈(10)은 차량 샤시 혹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재 구조물인 브라켓(20), 볼트, 너트 등을 활용하여 차량 내의 특정 구조물(30, 예, HVAC)에 장착된다.
최근, 버전 2.0으로 업데이트된 디지털 키 모듈(이하, 디지털 키 2.0 모듈)은 디지털 키의 기본 성능을 적절히 발휘할 수 있도록 차량의 헤드라이닝(차량 루프)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디지털 키 2.0 모듈을 철재 구조물인 브라켓(20), 볼트, 너트 등을 활용하여 차량 루프에 장착하는 경우, 디지털 키 2.0의 패키지 구성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차량 전복 시, 구조물로부터 분리된 볼트, 너트 및 브라켓에 의해 2차 상해가 발생할 수 있다.
한편, 후석(뒷자석)의 승객을 감지하는 후석 승객 알림(Rear Occupant Alert: ROA) 시스템 또한 차량의 헤드라이닝(차량 루프)에 설치된다.
차량의 헤드라이닝과 루프(Roof) 사이의 공간은 매우 좁고 협소하기 때문에, ROA 시스템이 헤드라이닝에 설치된 상태에서는 디지털 키 2.0 모듈을 헤드라이닝에 마운팅할 수 있는 장소(Mounting place, 설치 장소)를 선정하는 것이 어렵다.
더욱이 파노라마 선루프 차량의 헤드라이닝에 리어 룸램프(Rear room lamp)와 ROA 시스템이 장착되는 경우, 그 헤드라이닝에서 디지털 키 2.0 모듈의 마운팅 장소(Mounting place, 설치 장소)를 선정하는 것을 더욱 어렵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디지털 키 2.0 모듈을 차량의 헤드라이닝에 설치하기 위해, 헤드라이닝에 설치되는 ROA 모듈에 디지털 키 모듈이 통합된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 옵션에 따라 ROA 모듈에 디지털 키 모듈을 손쉽게 삽입 및 탈거할 수 있는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통해, ① 작업성 향상, ② 한정된 패키지 극복, ③ 통합 수주를 통한 경쟁력 확보를 꾀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전술한 목적 및 그 이외의 목적과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에 다른 모듈 조립체는, 차량의 헤드라이닝에 부착되는 모듈 조립체로서, 상부가 개방된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내측 바닥면으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안착 기둥에 순차적으로 적층되고, 플렉서블 케이블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및 제2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베이스와 조립되어, 상기 베이스 상에 적층된 상기 제1 및 제2 인쇄회로기판을 커버하는 커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른 모듈 조립체는, 차량의 헤드라이닝에 부착되는 모듈 조립체로서, 상부가 개방된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내측 바닥면으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안착 기둥에 순차적으로 적층되고, 메일 커넥터(Male Connector)와 피메일 커넥터(Female Connector)의 도킹 구조로 연결되는 제1 및 제2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베이스와 조립되어, 상기 베이스 상에 적층된 상기 제1 및 제2 인쇄회로기판을 커버하는 커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 따른 모듈 조립체는, 차량의 헤드라이닝에 부착되는 모듈 조립체로서, 상부가 개방된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내측 바닥면으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안착 기둥에 순차적으로 적층되고, 스프링 단자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및 제2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베이스와 조립되어, 상기 베이스 상에 적층된 상기 제1 및 제2 인쇄회로기판을 커버하는 커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듈 조립체는 디지털 키 2.0 모듈과 ROA 시스템(이하, ROA 모듈)이 브라켓, 볼트, 너트 등과 같은 체결 수단 없이 통합됨으로써, 헤드라이닝에 설치되는 기존의 ROA 모듈에 의한 공간 제약없이, 디지털 키 2.0 모듈을 헤드라이닝에 설치할 수 있는 여견을 마련할 수 있다.
또한, 옵션에 따라 디지털 키 2.0 모듈의 안테나가 실장된 PCB를 본 발명에 따른 모듈 조립체로부터 쉽게 탈거하고 본 발명에 따른 모듈 조립체로 쉽게 삽입 가능하도록 설계함으로써, ① 작업성 향상, ② 한정된 패키지 극복, ③ 통합 수주를 통한 경쟁력 확보를 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디지털 키 모듈의 장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디지털 키 2.0 모듈(이하, 디지털 키 모듈)과 ROA(Rear Occupant Alert) 모듈이 통합된 모듈 조립체의 설치 장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한 A 부분의 확대도로서, 모듈 조립체의 전체 외관 형상을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도 3에 도시한 모듈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한 제2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되는 안테나 소자의 실장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도 4에 도시한 베이스의 확대도.
도 7은 도 4에 도시한 제1 및 제2 인쇄회로기판이 베이스 상에 적층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도 4에 도시한 커버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확대도.
도 9는 도 8에 도시한 제1 고정 보스가 제1 인쇄회로기판을 구속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부분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1 및 제2 인쇄회로기판 간의 연결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1 및 제2 인쇄회로기판 간의 연결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는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이하의 도면에서 각 구성은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된 것이며, 도면 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 는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한 형상들, 숫자, 단계,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 /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디지털 키 2.0 모듈(이하, 디지털 키 모듈)과 ROA(Rear Occupant Alert) 모듈이 통합된 모듈 조립체의 설치 장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한 A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디지털 키 모듈과 ROA 모듈이 통합된 모듈 조립체(100)는 헤드라이닝(70)에 장착된다. 도 2에서 헤드라이닝(70)의 중앙에 비어있는 영역은 썬루프 영역(40)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듈 조립체(100)를 헤드라이닝(70)에 장착하기 위해, 모듈 조립체(100)는 마운팅 플레이트(mounting plate)(200)를 매개체로 이용하여 헤드라이닝(70)에 부착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듈 조립체(100)를 마운팅 플레이트(200)에 안착시킨 후, 그 마운팅 플레이트(200)를 헤드라이닝(70)에 부착시킨다.
마운팅 플레이트(200)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며, 마운팅 플레이트(200)를 부직포 재질의 헤드라이닝(70)에 부착시키는 방법으로 핫멜트(Hot-Melt) 공법(핫멜트 접착체)이 이용될 수 있다.
모듈 조립체(100)가 안착되는 마운팅 플레이트(200)는 헤드라이닝(70)의 표면에 부착되는 플레이트 부재(210) 및 모듈 조립체(100)가 안착되는 4개의 안착 부재(230)들을 포함한다.
플레이트 부재(210)는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그 하면은, 예를 들면, 핫멜트(Hot-Melt) 공법(핫멜트 접착체)에 따라, 헤드라이닝(70)의 표면에 부착된다.
4개의 안착 부재들(232, 234)은 플레이트 부재(210)의 상면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장된다.
4개의 안착 부재들(232, 234) 중 2개의 안착 부재들(232)은 모듈 조립체(100)의 양측면을 지지하고, 나머지 2개의 안착 부재들(234)은 모듈 조립체(100)의 양쪽 모서리를 지지한다.
나머지 2개의 안착 부재들(234)은 모듈 조립체(100)의 양쪽 모서리를 지지하도록 직각으로 절곡된 단면 형상을 갖도록 성형된다.
각 안착 부재(232 또는 234)에는 고정홈(236)이 성형되고, 4개의 고정홈(236)들에는 상부에서 삽입되는 모듈 조립체(100)의 측면에 성형된 4개의 고정 돌기(112)들이 삽입된다.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겠지만, 모듈 조립체(100)는 베이스(110)와 상기 베이스(110)의 상부를 덮는 커버(150)를 포함하며, 각 고정홈(236)에 삽입되는 고정 돌기(112)는 커버(150)의 측면에 각각 구비(성형)된다.
이처럼 고정돌기(112)가 고정홈(236)에 삽입됨으로써, 모듈 조립체(100)는 마운팅 플레이트(200) 상에서 상하 좌우로 움직이지 않게 고정된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한 모듈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모듈 조립체(100)는 베이스(110), 제1 인쇄회로기판(120), 제2 인쇄회로기판(130), 플렉서블 케이블(140) 및 커버(150)를 포함한다.
커버(150)는 베이스(110)의 상부를 커버하도록 상기 베이스(110)와 조립된다. 베이스(110)와 커버(150)의 조립에 의해 내부 공간이 형성된다.
내부 공간에는 제1 인쇄회로기판(120), 제2 인쇄회로기판(130) 및 플렉서블(flexible) 케이블(140)이 수용된다.
제1 인쇄회로기판(120)은 디지털 키 2.0 모듈(이하, '디지털 키 모듈'이라 함) 또는 ROA(Rear Occupant Alert) 모듈일 수 있다.
제2 인쇄회로기판(130)은 제1 인쇄회로기판(120)의 상부에 적층되며, 제1 인쇄회로기판(120)이 디지털 키 모듈인 경우, 제2 인쇄회로기판(130)은 ROA 모듈이 된다. 반대로, 제1 인쇄회로기판(120)이 ROA모듈인 경우, 제2 인쇄회로기판(130)은 디지털 키 모듈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제1 인쇄회로기판(120)은 디지털 키 2.0 모듈이고, 제2 인쇄회로기판(130)은 ROA 모듈로 가정한다.
디지털 키 2.0 모듈을 구현하기 위해, 제1 인쇄회로기판(120)에는 BLE(Bluetooth Low Energy)용 안테나 소자와 상기 BLE용 안테나 소자를 통해 송수신된 신호를 처리하는 BLE용 회로 소자(들)가 실장된다. 이 경우, 제1 인쇄회로기판(120)은 'BLE용 인쇄회로기판'이란 용어로 대체될 수 있다.
ROA모듈을 구현하기 위해, 제2 인쇄회로기판(130)에는 ROA용 안테나 소자와 상기 ROA용 안테나 소자를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를 처리하는 ROA용 회로 소자(들)가 실장된다. 이 경우, 제2 인쇄회로기판(130)은 'ROA용 인쇄회로기판'이란 용어로 대체될 수 있다. ROA용 안테나 소자는, 예를 들면, 후석 승객의 탑승여부를 감지하는 초음파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 소자일 수 있다.
도면의 간략화를 위해, 도 4에서는 BLE용 안테나 소자, BLE용 회로 소자, ROA용 안테나 소자 및 ROA용 회로 소자 등은 도시하지 않았다.
플렉서블 케이블(140)은 디지털 키 모듈을 구현하기 위해 BLE용 안테나 소자와 BLE용 회로 소자가 실장된 제1 인쇄회로기판(120)과 ROA 모듈을 구현하기 위해 ROA용 안테나 소자와 ROA용 회로 소자가 실장된 제2 인쇄회로기판(130)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이처럼 플렉서블 케이블(140)을 이용하여 제1 인쇄회로기판(120)과 제2 인쇄회로기판(130)을 전기적으로 연결함으로써, 디지털 키 모듈과 ROA 모듈은 하나의 모듈 조립체(100) 내에 통합될 수 있다.
한편, 제1 인쇄회로기판(120)의 사이즈는 제2 인쇄회로기판(130)의 사이즈보다 작게 설계함으로써, 디지털 키 모듈을 구성하는 제1 인쇄회로기판(120)에 실장되는 소자들 중에서 BLE용 안테나 소자를 제외한 BLE용 회로 소자를 제2 인쇄회로기판(130) 상에 실장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인쇄회로기판(130)에는 ROA용 안테나 소자, ROA용 회로 소자 및 BLE용 회로 소자가 실장된다.
만일, 제1 인쇄회로기판(120)을 ROA 모듈을 구현하기 위한 기판으로 설계하고, 제2 인쇄회로기판(130)을 디지털 키 모듈을 구현하기 위한 기판으로 설계하는 경우, 제1 인쇄회로기판(120)에는 ROA용 안테나 소자만 실장되고, 나머지 ROA용 회로 소자는 제1 인쇄회로기판(120)보다 사이즈가 큰 제2 인쇄회로기판(130)에 실장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인쇄회로기판(130)에는 BLE용 안테나 소자, BLE용 회로 소자 및 ROA용 회로 소자가 실장된다.
이처럼 제1 인쇄회로기판(120)을 제2 인쇄회로기판(130)의 사이즈보다 작게 설계하여, 제1 인쇄회로기판(120)에 실장되어야 할 회로 소자(BLE용 회로 소자 또는 ROA용 회로 소자)를 제2 인쇄회로기판(130)로 이동시킴으로써, 제1 인쇄회로기판(120)의 제조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모듈 조립체(100)가 오동작(디지털 키 모듈의 오동작 또는 ROA 모듈의 오동작)을 일으키는 경우, 제1 인쇄회로기판(120)에는 안테나 소자(BLE 용 안테나 소자 또는 ROA용 안테나 소자)만이 실장되어 있기 때문에, 제1 인쇄회로기판(120)을 교체하는 방식으로 제1 인쇄회로기판(120)에 실장된 안테나 소자(BLE 용 안테나 소자 또는 ROA용 안테나 소자)의 불량 여부를 빠르고 쉽게 찾아 낼 수 있다.
한편, 제1 및 제2 인쇄회로기판(120, 130)에 실장되는 BLE 용 안테나 소자와 ROA용 안테나 소자는 차량 실내를 향하여야 한다. 그런데, 제1 및 제2 인쇄회로기판(120, 13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방향으로 적층된 구조로 모듈 조립체(100) 내에 수용되기 때문에, BLE 용 안테나 소자가 송수신하는 신호와 ROA용 안테나 소자가 송수신하는 신호 간의 간섭을 최소화하도록 각 인쇄회로기판에서의 안테나 소자의 실장 위치를 적절히 선정해야 한다.
예를 들면, ROA용 안테나 소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인쇄회로기판(130)의 전체 영역에서 제1 인쇄회로기판(120)과 중첩되지 않는 영역(50)에 실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ROA용 안테나 소자를 제2 인쇄회로기판(130)의 전체 영역에서 제1 인쇄회로기판(120)과 중첩되지 않는 영역(50)에 실장하면, ROA용 안테나 소자와 BLE 용 안테나 소자 간에 발생하는 신호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6은 도 4에 도시한 베이스의 확대도이고, 도 7은 도 4에 도시한 제1 및 제2 인쇄회로기판이 베이스 상에 적층된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베이스(110)는 상부가 개방된 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내측 바닥면(111)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안착부(112~117)를 구비한다.
다수의 안착부(112~117)는 제1 및 제2 인쇄회로기판(120 및 130)을 베이스(110) 상에 고정 안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각 안착부는 원기둥 형상을 가지며, '안착 기둥'이란 용어로 대체될 수 있다.
다수의 안착부(112~117) 중에서 베이스(110)의 내측 바닥면(111)의 모서리쪽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안착부들(112, 113, 118 및 119)의 끝단면에는 돌기(119)가 성형되어, 제2 인쇄회로기판(130)의 모서리쪽에 성형된 홈들(도 4 및 5의 132)에 각각 삽입된다.
이처럼 안착부들(112, 113, 118 및 119)의 각 끝단면에 성형된 돌기(119)가 제2 인쇄회로기판(130)의 모서리쪽에 성형된 홈(도 4 및 5의 132)에 삽입결합됨으로써, 제2 인쇄회로기판(130)은 Z축 방향을 제외한 나머지 방향들에 대한 5 자유도가 구속된다.
다수의 안착부(112~117) 중에서 베이스(110)의 내측 바닥면(111)의 양쪽 모서리 부근에 성형된 안착부들(112, 113)과 안착부들(118 및 119) 사이에 배치되는 안착부들(114, 115)의 각 끝단면은 제2 인쇄회로기판(130)의 하부면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동시에, 상기 안착부들(114, 115)은 인접한 안착부들(116, 117)과 함께 제2 인쇄회로기판(130)의 하부에 적층되는 제1 인쇄회로기판(120)을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10) 상에 안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안착부들(114, 115)과 상기 안착부들(116, 117) 각각의 원기둥 형상의 몸체에는 제1 인쇄회로기판(120)이 베이스(110)의 측면방향에서 삽입 가능하도록 성형된 슬라이딩 홈(118)이 구비된다.
이처럼 제1 인쇄회로기판(120)이 상기 안착부들(114~117)의 몸체에 성형된 슬라이딩 홈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됨으로써, 제1 인쇄회로기판(120)의 삽입 방향(Y축방향)을 제외한 나머지 방향들에 대한 5 자유도가 구속된다. 여기서, 제1 인쇄회로기판(120)의 삽입 방향(Y축방향)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 조립 방향'이란 용어로 대체될 수 있다.
도 8은 도 4에 도시한 커버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확대도이고, 도 9는 도 8에 도시한 제1 고정 보스가 제1 인쇄회로기판을 구속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부분 단면도이다.
먼저, 도 8을 참조하면, 커버(150)는 상기 베이스(110)의 상부를 커버하도록 상기 베이스(110)와 조립되어, 상기 베이스(110) 상에 적층된(안착된) 상기 제1 및 제2 인쇄회로기판(120, 130)을 커버한다.
커버(150)는 하부가 개방된 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그 한쪽 내측면(151a)에 성형된 적어도 2개의 제1 고정 보스(153)를 구비하며, 그 내측 바닥면(151b)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성형된 제2 고정 보스(155)를 구비한다.
제1 고정 보스(153)는 베이스(110) 상에서 구속되지 않는 제1 인쇄회로기판의 삽입 방향(Y축방향)의 자유도를 구속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제1 고정 보스(153)의 모서리 부분은 경사면(153a)을 갖도록 성형된다. 커버(150)가 베이스(110)의 상부를 커버하도록 조립하는 과정에서, 상기 경사면(153a)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인쇄회로기판(130)과 중첩되지 않는 제1 인쇄회로기판(120)의 한쪽 단부(도 5 및 7의 60)를 압박함으로써, 제1 인쇄회로기판(120)의 삽입 방향(Y축방향)의 자유도를 구속할 있게 된다.
이처럼 제1 고정 보스(153)의 경사면(153a)이 제1 인쇄회로기판(120)의 한쪽 단부(도 5 및 7의 60)를 압박함으로써, 제1 인쇄회로기판(120)의 6 자유도를 모두 구속할 수 있게 된다.
커버(150)의 내측 바닥면(151b)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고정 보스(155)는 제1 인쇄회로기판(120)의 상부에 적층되는 제2 인쇄회로기판(130)의 상부면을 압박함으로써, 제2 인쇄회로기판(130)의 상하 방향(Z축 방향)에 대한 자유도를 구속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제2 고정 보스(155)가 제2 인쇄회로기판(130)의 상부면을 압박함으로써, 제2 인쇄회로기판(130)의 6 자유도를 모두 구속할 있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1 및 제2 인쇄회로기판 간의 연결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1 및 제2 인쇄회로기판 간의 연결 구조는 제1 인쇄회로기판(120) 상에 실장된 메일 커넥터(122, Male Connector)와 그 상부에 배치되는 제2 인쇄회로기판(130) 상에 실장된 피메일 커넥터(134, Female Connector) 간의 도킹 구조인 점에서 도 4의 실시 예에서 제1 및 제2 인쇄회로기판(120, 130)이 플렉서블 케이블(140)로 연결된 구조와 차이가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1 및 제2 인쇄회로기판 간의 연결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1 및 제2 인쇄회로기판(120, 130) 간의 연결 구조는 스프링 단자(145)에 의해 제1 및 제2 인쇄회로기판(120, 130)이 연결되는 점에서 도 4 및 도 10의 실시 예에 따른 연결 구조와 차이가 있다.
예를 들면, 제1 인쇄회로기판(120)에 스프링 단자(145)를 실장하고, 제2 인쇄회로기판(130)에 상기 스프링 단자(145)가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동막 패턴을 패터닝 하여, 제1 인쇄회로기판(120)이 슬라이딩 조립 방향으로 베이스(110)의 안착부들(114 ~ 117)의 기둥 형상의 몸체에 성형된 슬라이딩 홈(118)에 삽입하는 과정에서 제1 인쇄회로기판(120)의 스프링 단자(145)가 자연스럽게 제2 인쇄회로기판(130)에 패터닝된 동막 패턴에 접촉된다.
스프링 단자(145)는 제2 인쇄회로기판(130)에 실장될 수 있고, 이 경우, 동막 패턴은 제1 인쇄회로기판(120)에 패터닝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디지털 키 모듈과 RROA 모듈이 브라켓, 볼트, 너트 등과 같은 체결 수단 없이 통합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모듈 조립체를 제안함으로써, 헤드라이닝에 설치되는 기존의 ROA 모듈에 의한 공간 제약없이, 디지털 키 모듈과 ROA 모듈을 하나의 모듈 조립체로 통합하여 이를 헤드라이닝에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옵션에 따라 디지털 키 모듈의 안테나가 실장된 PCB를 본 발명에 따른 모듈 조립체로부터 쉽게 탈거하고 본 발명에 따른 모듈 조립체로 쉽게 삽입 가능하도록 도 10 및 11의 실시 예에 따른 연결구조를 제안함으로써, ① 작업성 향상, ② 한정된 패키지 극복, ③ 통합 수주를 통한 경쟁력 확보를 꾀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을 위한 예시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7)

  1. 차량의 헤드라이닝에 부착되는 모듈 조립체로서,
    상부가 개방된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내측 바닥면으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안착 기둥에 순차적으로 적층되고, 플렉서블 케이블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및 제2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베이스와 조립되어, 상기 베이스 상에 적층된 상기 제1 및 제2 인쇄회로기판을 커버하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인쇄회로기판에는,
    디지털 키 모듈의 BLE용 안테나 소자가 실장되고,
    상기 제2 인쇄회로기판에는,
    ROA용 안테나 소자와 상기 ROA용 안테나 소자를 통해 송수신된 신호를 처리하는 ROA용 회로 소자 및 상기 BLE용 안테나 소자를 통해 송수신된 신호를 처리하는 BLE용 회로 소자가 실장되는 것인 모듈 조립체.
  2. 제1항에서,
    상기 제1 인쇄회로기판에는,
    BLE(Bluetooth Low Energy)용 안테나 소자와 상기 BLE용 안테나 소자를 통해 송수신된 신호를 처리하는 BLE용 회로 소자가 실장되고,
    상기 제1 인쇄회로기판의 상부에 적층되는 상기 제2 인쇄회로기판 상에는,
    ROA(Rear Occupant Alert)용 안테나 소자와 상기 ROA용 안테나 소자를 통해 송수신된 신호를 처리하는 ROA용 회로 소자가 실장되는 것인 모듈 조립체.
  3. 삭제
  4. 제2항에서,
    상기 제1 인쇄회로기판은 그 상부에 적층되는 상기 제2 인쇄회로기판의 사이즈보다 작으며,
    상기 ROA용 안테나 소자는 상기 제2 인쇄회로기판의 전체 영역에서 제1 인쇄회로기판과 중첩되지 않는 영역에 실장되는 것인 모듈 조립체.
  5. 제1항에서,
    상기 다수의 안착 기둥 중에서 일부 안착 기둥들의 각 끝단면에는 상기 제2 인쇄회로기판의 모서리쪽에 성형된 홈들에 각각 삽입되는 돌기가 형성된 것인 모듈 조립체.
  6. 제1항에서,
    상기 다수의 안착 기둥 중에서 일부 안착 기둥들의 몸체에는 상기 제1 인쇄회로기판이 상기 베이스의 측면방향에서 삽입 가능하도록 성형된 슬라이딩 홈이 구비된 것인 모듈 조립체.
  7. 제1항에서,
    상기 커버는,
    한쪽 내측면에 성형되고, 상기 제1 인쇄회로기판이 다수의 안착 기둥 중 일부 안착 기둥들에 성형된 슬라이딩 홈으로 삽입되는 방향의 자유도를 구속하는 적어도 2개의 제1 고정 보스; 및
    내측 바닥면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 인쇄회로기판의 상부면을 압박하여, 상기 제2 인쇄회로기판의 상하 방향에 대한 자유도를 구속하는 제2 고정 보스
    를 구비하는 것인 모듈 조립체.
  8. 제7항에서,
    상기 제1 고정 보스는,
    모서리 부분이 성형된 경사면을 가지며,
    상기 경사면은,
    상기 제2 인쇄회로기판과 중첩되지 않는 제1 인쇄회로기판의 한쪽 단부를 압박하여, 상기 제1 인쇄회로기판이 상기 슬라이딩 홈으로 삽입되는 방향의 자유도를 구속하는 것인 모듈 조립체.
  9. 차량의 헤드라이닝에 부착되는 모듈 조립체로서,
    상부가 개방된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내측 바닥면으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안착 기둥에 순차적으로 적층되고, 메일 커넥터(Male Connector)와 피메일 커넥터(Female Connector)의 도킹 구조로 연결되는 제1 및 제2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베이스와 조립되어, 상기 베이스 상에 적층된 상기 제1 및 제2 인쇄회로기판을 커버하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인쇄회로기판에는,
    상기 메일 커넥터 및 BLE(Bluetooth Low Energy)용 안테나 소자가 실장되고,
    상기 제1 인쇄회로기판의 상부에 적층되는 상기 제2 인쇄회로기판에는,
    상기 메일 커넥터와 도킹하는 상기 피메일 커넥터, 상기 BLE용 안테나 소자를 통해 송수신된 신호를 처리하는 BLE용 회로 소자, ROA(Rear Occupant Alert: 후석 승객 알림)용 안테나 소자 및 상기 ROA용 안테나 소자를 통해 송수신된 신호를 처리하는 ROA용 회로 소자가 실장되는 것인 모듈 조립체.
  10. 삭제
  11. 제9항에서,
    상기 제1 인쇄회로기판에는,
    상기 메일 커넥터 및 ROA용 안테나 소자가 실장되고,
    상기 제1 인쇄회로기판의 상부에 적층되는 상기 제2 인쇄회로기판에는,
    상기 메일 커넥터와 도킹하는 상기 피메일 커넥터, 상기 ROA용 안테나 소자를 통해 송수신된 신호를 처리하는 ROA용 회로 소자, BLE용 안테나 소자 및 상기 BLE용 안테나 소자를 통해 송수신된 신호를 처리하는 BLE용 회로 소자가 실장되는 것인 모듈 조립체.
  12. 제9항에서,
    상기 다수의 안착 기둥 중에서 일부 안착 기둥들의 각 끝단면에는 상기 제2 인쇄회로기판의 모서리쪽에 성형된 홈들에 각각 삽입되는 돌기가 형성된 것인 모듈 조립체.
  13. 제9항에서,
    상기 다수의 안착 기둥 중에서 일부 안착 기둥들의 몸체에는 상기 제1 인쇄회로기판이 상기 베이스의 측면방향에서 삽입 가능하도록 성형된 슬라이딩 홈이 구비된 것인 모듈 조립체.
  14. 제9항에서,
    상기 커버는,
    한쪽 내측면에 성형되고, 상기 제1 인쇄회로기판이 다수의 안착 기둥 중 일부 안착 기둥들에 성형된 슬라이딩 홈으로 삽입되는 방향의 자유도를 구속하는 적어도 2개의 제1 고정 보스; 및
    내측 바닥면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 인쇄회로기판의 상부면을 압박하여, 상기 제2 인쇄회로기판의 상하 방향에 대한 자유도를 구속하는 제2 고정 보스
    를 구비하는 것인 모듈 조립체.
  15. 차량의 헤드라이닝에 부착되는 모듈 조립체로서,
    상부가 개방된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내측 바닥면으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안착 기둥에 순차적으로 적층되고, 스프링 단자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및 제2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베이스와 조립되어, 상기 베이스 상에 적층된 상기 제1 및 제2 인쇄회로기판을 커버하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인쇄회로기판에는,
    상기 스프링 단자 및 BLE용 안테나 소자가 실장되고,
    상기 제1 인쇄회로기판의 상부에 적층되는 상기 제2 인쇄회로기판에는,
    상기 스프링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동막 패턴이 패터닝되고, ROA용 안테나 소자와 상기 ROA용 안테나 소자를 통해 송수신된 신호를 처리하는 ROA용 회로 소자 및 상기 BLE용 안테나 소자를 통해 송수신된 신호를 처리하는 BLE용 회로 소자가 실장되는 것인 모듈 조립체.
  16. 삭제
  17. 제15항에서,
    상기 다수의 안착 기둥 중에서 일부 안착 기둥들의 각 끝단면에는 상기 제2 인쇄회로기판의 모서리쪽에 성형된 홈들에 각각 삽입되는 돌기가 성형되고,
    상기 다수의 안착 기둥 중에서 일부 안착 기둥들의 몸체에는 상기 제1 인쇄회로기판이 상기 베이스의 측면방향에서 삽입 가능하도록 성형된 슬라이딩 홈이 구비된 것인 모듈 조립체.
KR1020200032143A 2020-03-16 2020-03-16 차량의 헤드라이닝에 장착되는 모듈 조립체 KR1026221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2143A KR102622134B1 (ko) 2020-03-16 2020-03-16 차량의 헤드라이닝에 장착되는 모듈 조립체
US17/201,531 US11612058B2 (en) 2020-03-16 2021-03-15 Module assembly mounted on headlining of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2143A KR102622134B1 (ko) 2020-03-16 2020-03-16 차량의 헤드라이닝에 장착되는 모듈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5820A KR20210115820A (ko) 2021-09-27
KR102622134B1 true KR102622134B1 (ko) 2024-01-08

Family

ID=776638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2143A KR102622134B1 (ko) 2020-03-16 2020-03-16 차량의 헤드라이닝에 장착되는 모듈 조립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1612058B2 (ko)
KR (1) KR10262213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43393A (ko) 2022-09-27 2024-04-03 (주)대한솔루션 자동차용 헤드 라이너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75015A1 (en) * 2008-01-08 2009-07-09 Fujitsu Limited Printed board unit and fixing parts thereof
US20180242469A1 (en) * 2017-02-22 2018-08-23 Toshiba Memory Corporation Electronic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0550B1 (ko) 2018-06-28 2019-11-06 주식회사 이엠따블유 안테나를 위한 어셈블리 장치
JP2020119980A (ja) * 2019-01-23 2020-08-06 キオクシア株式会社 電子機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75015A1 (en) * 2008-01-08 2009-07-09 Fujitsu Limited Printed board unit and fixing parts thereof
US20180242469A1 (en) * 2017-02-22 2018-08-23 Toshiba Memory Corporation Electronic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289627A1 (en) 2021-09-16
US11612058B2 (en) 2023-03-21
KR20210115820A (ko) 2021-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25262B2 (en) Electrical connector box
JP6990194B2 (ja) カメラモジュール用回路基板固定装置及びカメラモジュール
CN101730435B (zh) 电连接盒及其组装方法
JP4097392B2 (ja) ジャンクションボックスおよびジャンクションボックスの組立方法
US9124081B2 (en) Power distribution box having interlocking support modules
CN103796456B (zh) 车载用电子控制单元
KR102622134B1 (ko) 차량의 헤드라이닝에 장착되는 모듈 조립체
CN107852814B (zh) 基板单元和基板组件以及使用其的摄像头模块
US6390841B1 (en) Self-aligning electrical connector
CN101494365A (zh) 用于机动车辆的电接线盒
JP4097388B2 (ja) ジャンクションボックスの組立方法および該方法で組み立てられたジャンクションボックス
US8864218B2 (en) Vehicular ceiling assembly and vehicular roof assembly
US20020126495A1 (en) Room lamp for vehicle
KR20220116161A (ko) 카메라 모듈, 스페이서 부품 및 카메라 모듈의 제조 방법
WO2012141127A1 (ja) コネクタ
JP3698030B2 (ja) ジャンクションボックスおよびジャンクションボックスの組立方法
JP4588655B2 (ja) 電気接続箱
CN116325386A (zh) 可旋转安装并电连接机动车辆行李箱盖板的系统
JP2554076Y2 (ja) 電気接続箱
KR102270727B1 (ko) 차량용 전기 분배박스
KR102270726B1 (ko) 차량용 전기 분배박스
CN216861398U (zh) 电子控制单元
CN218160641U (zh) 模组固定支架及电池包
CN216805288U (zh) 一种汽车全景摄像头安装结构及汽车
CN217037695U (zh) Bms安装结构及电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