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1649A - 콤바인 - Google Patents

콤바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1649A
KR20090071649A KR1020097010216A KR20097010216A KR20090071649A KR 20090071649 A KR20090071649 A KR 20090071649A KR 1020097010216 A KR1020097010216 A KR 1020097010216A KR 20097010216 A KR20097010216 A KR 20097010216A KR 20090071649 A KR20090071649 A KR 200900716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lever
combine
pulley
col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02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오야 이케다
시게키 무라타
쇼이치 사토우
Original Assignee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716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16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02Self-propelled comb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69/00Driving mechanisms or parts thereof for harvesters or mowers
    • A01D69/08Clutch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 Combines (AREA)
  • Outside Dividers And Delivering Mechanisms For Harvesters (AREA)

Abstract

시트의 좌측에 설치되는 사이드 칼럼 상에 각 조작 레버 등을 배치한 사이드 패널을 구비하는 콤바인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칼럼 상면의 진행 방향 좌측 및 앞측에 측벽부를 형성하고, 상기 측벽부의 전후 중도부 상에 측면에서 볼 때 및 정면에서 볼 때 오목부를 형성하고, 조작 레버를 주행 시스템과 작업 시스템에서 색분류하고, 메인터넌스 작업 순서에 따라 부재를 색분류한다. 주행 변속 시스템의 조작 레버와 작업 조작 시스템의 조작 레버에서 색분류하고, 주행 변속 시스템을 오렌지색으로 작업 조작 시스템을 황색으로 하며, 시각에 의해, 직감적으로 조작 레버의 인식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메인터넌스 부재에 있어서도 색분류를 하여 메인터넌스성을 향상시킨다.
사이드 칼럼, 조작 레버, 사이드 패널, 주행 시스템, 작업 시스템

Description

콤바인{COMBINE}
본 발명은 콤바인의 조작성 향상을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조작부의 형상 및 배색을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종래, 벼의 예취·탈곡·배출 지푸라기의 처리(재단 등)의 작업을 동시에 행하는 농업기계로서, 콤바인은 공지이다. 이들 일련의 작업은, 콤바인 본체에서 행하여진다. 오퍼레이터는 콤바인을 타고 운전을 한 채로 이들 작업을 조작할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예취·탈곡·배출 지푸라기 처리의 각 조작부는 운전석 주위에 설치되는 스티어링 칼럼 상이나 사이드 칼럼 상에 배치되어 있다.
최근, 콤바인은 고효율화, 콤팩트화되고 있다. 또한, 동시에, 운전부에 있어서의 거주성 및 조작성의 향상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배경을 근거로 하여, 사이드 칼럼 상의 각 조작부의 구성 및 사이드 칼럼 형상은 다양한 연구가 실시되고 있다. 또한, 콤바인의 기능 향상에 의해, 레버 등의 조작 수단이 증가하는 동시에 콤바인에 탑재되는 기능도 복잡화되고 있다.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은 사이드 칼럼의 외측에 설치되는 방진벽(사이드 칼럼 측벽부)의 운전석측 꼭대기부에 경사를 두고 조작 패널을 배치한 콤바인을 개시하고 있다.
또한, 특허 문헌 2는 사이드 칼럼의 운전석측의 측벽 앞부분에 패드를 설치한 콤바인을 개시하고 있다. 또한, 콤바인의 조작 레버의 조작성을 향상시키는 기술은 특허 문헌 3에 공지되어 있다. 또한, 농업 기계의 메인터넌스에 대해서도 작업이 용이하다는 관점에서의 개량이 요청되고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국 특허 제3435021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국 공개특허 제2006-230285호 공보
[특허 문헌 3] 일본국 특허 제3662189호 공보
[특허 문헌 4] 일본국 공개특허 제2004-105196호 공보
그러나, 상기 특허 문헌 또는 공지 기술에 있어서, 조작성 향상의 한가지 원인인 운전석으로부터 좌전하방의 시인성 향상은 고려되고 있지 않다. 특히, 2조식 등 소형 콤바인의 운전석으로부터 좌전 하방은 예취부의 오른쪽 끝의 분초판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방향이다. 콤바인 운전에 있어서, 예취부의 오른쪽 끝의 분초판 선단이 소정 위치(조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지의 여부는 예취 위치가 정확하게 소정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지 아닌지의 기준이 된다.
따라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콤바인에 있어서 운전석으로부터의 좌전하방향의 시인성을 향상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과 같고, 다음에 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을 설명한다.
즉, 본 발명에 있어서는, 운전석의 좌측에 설치되는 사이드 칼럼 상에 조작 레버 등을 배치한 사이드 패널을 구비하는 콤바인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칼럼 상면의 진행 방향 좌측 및 앞측에 측벽부를 형성하고, 상기 측벽부의 전후 중도부 상에 측면에서 볼 때 및 정면에서 볼 때 오목부를 형성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청구항 1에 기재된 콤바인에 있어서, 상기 벽부 앞부분의 운전석측 면을, 운전석측을 향하여 내려가는 경사면에 형성하고, 상기 경사면에 표시 패널을 배치하는 동시에, 앞측 운전석측 끝의 벽부를, 사이드 칼럼보다 우전방으로 돌출하여 장출부를 형성하고, 상기 장출부 하방에 발밑 공간을 형성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청구항 1에 기재된 콤바인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에 있어서, 측면에서 봤을 때 거의 후반부를 적어도 거의 전반부보다도 높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청구항 1에 기재된 콤바인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에 있어서, 측면에서 봤을 때 거의 중앙부에 파지부를 일체 성형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청구항 1에 기재된 콤바인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의 하방이며, 상기 측벽부의 시트측 면에 조작 스위치를 배치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조작 레버 내, 주행 변속 시스템의 조작 레버와 작업 조작 시스템의 조작 레버에서 색분류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구동 풀리와 종동 풀리 간의 텐션 풀리를 배치하고, 상기 텐션 풀리에 의해 구동 풀리와 종동 풀리 간에 두루 감은 벨트를 긴장·이완하여 동력 전달을 온·오프하는 농업 기계의 벨트 텐션 클러치 기구를 갖는 콤바인에 있어서, 상기 벨트를 이완했을 때, 구동 풀리 및 종동 풀리의 적어도 한쪽과 벨트와의 틈을 적정하게 유지하는 벨트 누름 부재를, 구동 풀리와 종동 풀리 근방에 배치하고, 상기 벨트 누름 부재를 다른 떼어낼 필요가 없는 부품과는 다른 배색으로 한다.
본 발명의 효과로서, 이하에 개시하는 바와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콤바인의 운전석으로부터의 사이드 칼럼 좌전하방향의 시인성을 향상할 수 있다. 즉, 오퍼레이터는 예취 작업중에 예취부 전우단의 분초판이 소망하는 조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지를 오목부로부터 항상 눈으로 확인할 수 있고, 예취 정밀도를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청구항 1의 효과에 더하여, 사이드 칼럼 측벽부의 운전석측에 표시 패널을 배치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오퍼레이터의 발밑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즉, 오퍼레이터의 거주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청구항 1의 효과에 더하여, 콤바인의 예취부로부터의 먼지가 운전석 내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오퍼레이터의 거주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측벽부의 좌측은 예취부만 있을 뿐, 시인성은 문제가 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청구항 1의 효과에 더하여, 별도의 부품으로서의 파지부를 제작할 필요가 없다. 즉, 콤바인의 부품 가격 및 제조 공수를 삭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청구항 4의 효과에 더하여, 조작 스위치가 파지부의 하방에 있기 때문에, 오퍼레이터는 파지부에 의해 몸을 지탱하면서 조작 스위치를 조작할 수 있다. 즉, 콤바인의 조종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작업 조작 시스템 마다 색분류함으로써, 시각에 의해 조작 레버의 차이를 직감적이고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고, 조작 시스템도 색으로 판단하는 것이 가능해지며 조작 레버의 조작 실수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텐션 클러치의 벨트 교환 작업시에 있어서, 떼어내는 부품을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고, 실수로 불필요한 부품까지 떼어내는 일이 없으며, 확실하게 신속하게 벨트 교환이 가능해진다. 부착하는 경우에도, 작업자는 잘못 부착하는 일이 없어 작업 효율을 향상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콤바인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사이드 칼럼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다른 각도로부터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콤바인의 조절 시스템 레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탈곡부의 텐션 클러치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측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 : 콤바인 4 : 예취부
16 : 분초판 17 : 분초로드
19 : 운전석 20 : 사이드 칼럼
21 : 사이드 패널 22 : 사이드 칼럼 측벽부
25 : 오목부 26 : 장출부
27 : 발밑 공간 31 : 분초로드 조작 레버
50 : 표시 패널
다음에,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콤바인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2는 도 1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사이드 칼럼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사시도, 도 5는 도 3의 다른 각도로부터의 사시도이다.
우선, 도 1 및 도 2를 이용하여, 콤바인의 전체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설명을 이해하기 쉽게 하기 위하여, 이후 콤바인(1)의 진행 방향을 앞측으로 하여 설명한다.
도 1,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콤바인(1)은 기체 프레임(2)을 좌우의 크롤러식 주행 장치(3)로 지지하고, 양쪽 크롤러식 주행 장치(3)를 기체 프레임(2) 상에 탑재한 엔진으로 구동시킴으로써, 전진 또는 후진 주행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기체 프레임(2)의 앞부분에는 벼를 예취하여 기체 후방으로 반송하는 예취 부(4)가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기체 프레임(2)의 좌측부 상에는 예취부(4)로부터 예취된 벼를 탈곡하는 탈곡부(5)와, 상기 탈곡부(5)에서 탈곡된 곡물 낟알을 선별하는 선별부(6)가 상하에 배열 설치되어 있다. 탈곡부(5)의 후방에는, 탈곡부(5)에서 탈곡된 벼를 짚으로서 기체 밖으로 배출하는 배출 지푸라기 처리부(7)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기체 프레임(2)의 우측 후부 상에는 선별부(6)로부터 양곡통에서 반송되는 곡물 낟알을 저장하는 그레인 탱크(8)가 설치되고, 상기 그레인 탱크(8)의 후방에서 상방에 걸쳐 그레인 탱크(8) 내의 곡물 낟알을 기체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 오거(9)가 배열 설치되어 있다. 그레인 탱크(8) 전방에서 기체 프레임(2)의 우측 전부 상에는 조향 핸들(11)이나 후술하는 배출 클러치 레버를 포함하는 여러 가지 조작 레버 등으로 이루어지는 조작 장치나 시트(19)를 구비하는 운전 조작부(15)가 설치되고, 상기 운전 조작부(15)의 하방에 엔진이나 트랜스미션이 배열 설치되어 있다.
다음에, 도 3 내지 도 5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사이드 칼럼(2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이드 칼럼(20)은 시트(19)의 좌측에 배치되어 있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이드 칼럼(20)은 크게는, 사이드 패널(21)과 사이드 칼럼 측벽부(22)를 일체 성형한 합성 수지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사이드 패널(21)은 평면으로, 사이드 칼럼 측벽부(22)는 중공 산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사이드 패널(21)은 사이드 칼럼(20) 상면의 우측, 즉 시트(19) 좌측 근방에 위치하는 평탄한 패널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이드 패널(21) 상에는, 주변속 레버(35)·부변속 레버(36)·작업 전환 클러치 레버(37)·예취 변속 레버(38)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3 내지 도 5에 있어서는, 이후에 설명하는 사이드 칼럼 측벽부(22)를 이해하기 쉽게 하기 위하여, 각 조작 레버(35·36·37·38)의 가이드 구멍(35a ·36a ·37a ·38a)만 나타내고 있다.
주변속 레버(35)는 콤바인(1) 본체의 전진 속도와 후진 속도를 변속 조작하는 레버이다. 부변속 레버(36)는 작업 속도와 노상 주행 속도를 전환하는 레버이다. 작업 전환 클러치 레버(37)는 예취부(4) 또는 탈곡부(5)의 구동 전달을 ON/OFF 전환 조작하는 레버이다. 예취 변속 레버(38)는 예취부(4)의 긁어 모음·반송 속도를 변속 조작하는 레버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오퍼레이터는 왼쪽 손으로 용이하게 각 조작 레버(35·36·37·38)를 조작할 수 있다. 또한, 이들 각 조작 레버(35·36·37·38)는 콤바인(1) 운전 중에 있어서, 특히 사용 빈도가 높은 레버이다.
사이드 칼럼 측벽부(22)는, 사이드 칼럼(20)의 좌측 및 앞측에 있어서, 평면에서 볼 때 거의 「く」형상 (또는 L 형상)으로 연속하여 형성되는 측벽이다. 또한, 사이드 칼럼 측벽부(22)는 조작 스위치(23), 표시 패널(50), 분초로드 조작 레버(31)가 배치되고, 파지부(24)가 형성되어 있다. 이하에, 사이드 칼럼 측벽부(22)의 형상에 대하여, 뒤에서 설명한다.
우선, 사이드 칼럼 측벽부(22)에 설치되는 분초로드 조작 레버(31)에 대하여 설명한다.
사이드 칼럼 측벽부(22)의 후부 상면에는, 분초로드 조작 레버(31)가 배치되어 있다. 분초로드 조작 레버(31)는, 예취부(4)의 좌측 하부에 전후 방향으로 배치한 분초로드(17)를 외측방으로의 장출·수납을 원격 조작하는 레버이다.
상기 분초로드(17)는 예취부(4)의 좌우 양측의 전단에 배치하는 분초판의 하측부에서 각각 경사 외후방으로 연장 돌출되고, 좌측만 장출·수납 가능하게 되어 있다. 분초로드(17)는 예취한 벼와 미예취 벼를 분리하고, 미예취 벼가 콤바인(1) 본체에 말려드는 것을 방지하는 장치이다.
또한, 사이드 칼럼 측벽부(22)는 후부 상면에 수평면부를 형성하여 분초로드 가이드 구멍(32)이 개구되어 있다. 분초로드 조작 가이드 구멍(32)은, 분초로드 조작 레버(31)의 조작시에 가이드하여 소망하는 위치에 거는 가이드 구멍이다. 또한, 분초로드 조작 가이드 구멍(32)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 걸기 위해 3단의 노치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분초로드 조작 가이드 구멍(32)은 분초로드(17)의 수납 위치와 작업 위치(a) 및 작업 위치(b)의 3단계의 조작 위치를 나타내는 노치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작업 위치(a) 및 작업 위치(b)는 분초로드(17)의 장출량이 다른 조작 상태이다.
분초로드 조작 가이드 구멍(32)은 사이드 칼럼 측벽부(22) 자체가 합성 수지이기 때문에 강성이 낮다. 그 때문에, 분초로드 조작 레버(31)를 고정 또는 조작시킬 경우에는 파손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분초로드 조작 가이드(33)가 사이드 칼럼 측벽부(22) 내부에 설치되어 있다(도 4 및 도 5 참조). 분초로드 조작 가이드(33)는, 사이드 칼럼 측벽 부(22)는 중공 산형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그 내부에 설치할 수 있다. 이 분초로드 조작 가이드(33)는 금속 등의 강성이 높은 재질로 되어 있다. 분초로드 조작 가이드(33)는 분초로드 조작 레버(31)를 확실하게 고정 또는 조작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분초로드 조작 레버(31) 조작시에 있어서, 분초로드 조작 가이드 구멍(32)에 대하여 분초로드 조작 레버(31)의 무리한 부담이 회피된다.
종래, 콤바인에 있어서는, 각 장치의 조작 레버는 사이드 패널(21) 상에 배치되어 있었다. 최근, 콤바인 본체는 콤팩트화되고 있다. 그러나, 동시에, 운전석 거주성 및 조작성의 향상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운전 중에 항상 조작을 필요로 하는 장치도 있지만, 운전 중이어도 거의 조작을 필요로 하지 않는 장치도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분초로드는 통상 작업 시작과 종료시에만 조작되는 장치다.
본 발명은, 분초로드 조작 레버(31)를 사이드 패널(21)에 비교하여 손이 닿기 어려운 위치인 사이드 칼럼 측벽부(22) 상면에 배치하고 있다. 그러나, 손이 닿기 어려운 위치에 있어도, 분초로드 조작 레버(31)는 운전 중의 사용 빈도가 낮아 오퍼레이터의 조작성을 방해하는 경우는 없다.
또한, 오퍼레이터는 왼쪽 분초로드(17)를 눈으로 보았을 때, 자연히 분초로드 조작 레버(31)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분초로드 조작 레버(31)만을 높은 위치로 함으로써, 분초로드 조작 레버(31)와 그 밖의 각 조작 레버(35·36·37·38)의 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방향 분초로드(17)의 조작성을 향상할 수 있다.
다른 한편,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그 밖의 각 조작 레버(35·36·37·38)를 여유를 가지고 사이드 패널(21) 상에 배치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오퍼레이터는 운전 중에 사용 빈도가 높은 각 조작 레버(35·36·37·38)를 오인식하는 경우가 없다. 이와 같이 하여, 콤바인(1)의 조작성을 향상하고 있다.
다음에, 사이드 칼럼 측벽부(22)에 형성되는 조작 패널(40) 및 파지부(24)에 대하여 설명한다.
사이드 칼럼 측벽부(22)의 전후 중도부의 상부에 전후로 긴 관통 구멍(24a)이 좌우 방향으로 개구되고, 그 상부를 파지부(24)로 하며, 관통 구멍(24a)의 상부의 파지부(24)에는 완만한 홈부(24b)를 전후로 복수 형성하고, 쥐기 쉽고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고 있다. 관통 구멍(24a)의 하방 측면을 시트(19)측으로 내려가는 경사면으로 하여, 평면에서 볼 때 소정 범위에 걸쳐 가로 방향으로 오목 형상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형상으로 함으로써, 콤바인(1) 운전시 등 몸을 지탱할 때, 오퍼레이터는 사이드 칼럼 측벽부(22)의 외측에서 관통 구멍(24a)으로 손을 집어 넣어 파지부(24)의 홈부(24b)를 파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오퍼레이터의 조작성, 거주성을 향상하고 있다. 또한, 별도의 부품으로서의 파지부를 제작할 필요가 없다. 이와 같이 하여, 콤바인(1)의 부품 가격 및 제조 공수를 삭감할 수 있다.
한편, 오목 형상의 시트(19)측의 경사면 상에는, 자동 스위치(41)·조정 스 위치(42)·점멸 스위치(43)·작업등 스위치(44) 등이 배치되는 조작 패널(40)이 설치되어 있다. 조작 패널(40)은 오퍼레이터가 시트(19)에 착석한 상태에서 눈으로 인식하기 쉽도록, 비스듬한 상향에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오퍼레이터는 파지부(24)로 몸을 지탱하면서 각 조작 스위치(41·42·43·44)를 조작할 수 있다. 즉, 콤바인(1)의 조종성을 향상할 수 있다.
다른 한편, 상기 사이드 칼럼 측벽부(22)의 거의 후반부(좌측) 및 후술하는 장출부(26)는 후술하는 오목부(25)에 비하여 높게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콤바인의 예취부(4)로부터의 먼지가 운전 조작부(15)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오퍼레이터의 거주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사이드 칼럼 측벽부(22)의 좌측은 예취부(4)만 있을 뿐, 시인성은 문제가 되지 않는다.
또한, 장출부(26)에는 표시 패널(50)을 배치하기 위하여, 사이드 칼럼 측벽부(22)를 높게 형성함으로써, 표시 패널(50)의 배치 면적을 크게 취할 수 있다. 즉, 면적이 큰 표시 패널(50)을 배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콤바인(1)의 조작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장출부(26)의 전면은 기립 케이스(도시 생략)의 배면으로, 시인성은 문제가 되지 않는다.
다음에, 사이드 칼럼 측벽부(22)의 평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의 굴곡부(좌측 상부 또는 앞상부 각부)에 형성되는 오목부(25)에 대하여 설명한다.
사이드 칼럼 측벽부(22)에 있어서의, 사이드 칼럼(20) 앞좌측에 있어서, 사 이드 칼럼 측벽부(22)의 높이를 다른 것보다도 낮은 높이 형상으로 하여, 정면에서 볼 때 및 측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 오목부(25)를 설치하고 있다. 사이드 칼럼 측벽부(22)는 합성 수지를 단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 중공 산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오목부(25)는 완만한 곡선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파지부(24)와 사이드 칼럼 측벽부(22)의 앞부분에 배치되는 표시 패널(50)과의 사이의 상면이 낮게 거의 U형상으로 개방되는 오목부(25)를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오퍼레이터가 시트(19)에 착석한 상태에 있어서, 좌전하방향의 시인성을 향상하고 있다.
즉, 오퍼레이터가 시트(19)에 착석한 상태에서는, 좌전하방향에는 예취부(4)의 오른쪽 끝의 분초판(16)이 위치하여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콤바인(1)에 의한 작업시에 있어서, 예취 위치가 정확한지의 여부는 예취부(4)의 오른쪽 끝의 분초판(16)이 소망하는 조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지의 여부에 의해 확인한다. 이 때문에, 분초판(16)의 시인성은 콤바인(1)의 작업성에 영향을 준다.
즉, 오퍼레이터는 예취 작업 중에 항상 예취부(4)의 오른쪽 끝의 분초판(16)과 예취된 벼의 줄기를 확인할 수 있어, 정확한 예취 작업을 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콤바인(1)의 조작성을 향상하고 있다.
다음에, 사이드 칼럼 측벽부(22) 앞우측 끝에 있어서의 장출부(26)에 대하여 설명한다.
사이드 칼럼 측벽부(22)의 앞부분은 시트(19)측을 향하여 내려가는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사이드 칼럼(20)은 운전 조작부(15)에 있어서의 시트(19) 및 그 앞부분의 스텝 좌측에 세워 설치되고, 사이드 칼럼 측벽부(22) 앞우측 끝은 사이드 칼럼(20)의 우측판(28)보다도 우측으로 돌출하여 장출부(26)가 형성되어 있다. 즉, 장출부(26)는 사이드 칼럼 측벽부(22)가 사이드 칼럼(20)에서 연장 돌출되는 부분이다. 표시 패널(50)은 장출부(26)까지 포함한 사이드 칼럼 측벽부(22)의 앞측 전체의 앞 경사면에 배치되어 있다. 장출부(26)의 우전 하방은 노치된 형상으로 되어 있다. 즉, 장출부(26)의 하방은 공간이다. 그 때문에, 사이드 패널(21)의 우전측은 오퍼레이터에게 있어 발밑 공간(27)이 확보됨으로써 왼발이 사이드 칼럼 측벽부(22)에 닿는 경우가 없다.
또한, 상기 장출부(26)의 후면은 사이드 패널(21)로부터 우전방으로 연장되는 경사면으로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볼 때 스티어링 칼럼 커버(29)(도 2 참조) 후면의 연장 상에 위치하도록 배열 설치하고, 장출부(26)와 스티어링 칼럼 커버(29)가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구성으로서, 의장성을 높이고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이하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우선, 표시 패널(50)의 배치에 대하여, 장출부(26)까지 포함한 사이드 칼럼 측벽부(22)에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큰 면적을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콤바인(1)의 조작성을 향상하고 있다.
다음에, 사이드 칼럼 측벽부(22)는 장출부(26)를 형성하면서도 우전 하방을 노치하고 있기 때문에, 오퍼레이터가 시트(19)에 착석한 상태에 있어서, 충분한 발밑 공간(27)을 얻을 수 있다. 이 때문에, 오퍼레이터는 충분한 거주 공간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콤바인(1)의 선회시에 있어서 오퍼레이터의 몸이 불안정하게 되는 경우가 있어도, 발밑 공간(27)에 의해 왼쪽 무릎을 지탱할 수 있다. 또한, 오퍼레이터가 시트(19)에서 일어선 상태에 있어서, 발밑 공간(27)에 의해 왼쪽 무릎을 지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운전석의 안전성 및 거주성을 향상하고 있다.
그 다음에, 작업 조작 시스템마다의 색분류에 대하여 설명한다.
작업 조작 시스템마다 색분류함으로써, 색각에 의해 조작 레버의 차이를 직감적이고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고, 조작 시스템도 색으로 판단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조작 레버의 조작 실수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작업 조작 시스템마다의 색분류로는, 콤바인의 조작 수단에 있어서, 파지부를 착색하고, 해당하는 조작 수단에 관련된 주행 변속 시스템이나 작업 조작 시스템 마다 색분류하는 것이다.
또한, 조작 수단의 파지부의 색과 조작 수단의 지시 명판의 색을 동일색으로 착색하고, 주행 변속 시스템이나 작업 조작 시스템 마다 색분류하는 것이다.
주변속 레버와 부변속 레버 등의 주행 변속 시스템 조작 수단의 파지부와 지시 명판의 색을 동일색으로 착색한다. 또한, 액셀레이터 레버의 파지부의 색을 주변속 레버의 파지부를 동일색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고, 액셀레이터 레버의 지시 명판도 동일색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주차 레버의 파지부를 주행 변속 시스템 조작 수단의 파지부의 색과 동일색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더 나아가서는, 주차 레버를 주행 변속 시스템 조작 수단의 파지부의 색과 다른 색으로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작업 전환 클러치 레버와 예취 변속 레버 등의 작업 조작 시스템 조작 수단의 파지부와 지시 명판의 색을 동일색으로 착색한다.
또한, 선별 조정 레버와 송진 밸브 각도 변경 레버 등의 조정 조작 시스템 조작 수단의 파지부와 지시 명판의 색을 동일색으로 착색하는 것이다.
조작 수단마다의 색분류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사이드 패널(21) 상에는, 주행 변속 시스템의 조작 수단인 주변속 레버(35)·부변속 레버(36)와, 작업 조작 시스템의 조작 수단인 작업 전환 클러치 레버(37)·예취 변속 레버(38)가 배치되어 있다. 각 레버는 사이드 패널(21)에 설치한 각각의 레버 가이드를 따라 조작된다. 레버 가이드는 가이드 구멍과 그 측부 상면 또는 주위 상면에 배치되는 명판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가이드 구멍에는 각각, 레버명 및 조작 위치를 나타내는 지시 명판이 가이드 구멍을 따라 평행하게 설치된다. 이와 같이 하여, 레버의 현재 위치를 눈으로 보아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조향 핸들(11)을 상부에 배치하는 프론트 칼럼의 측쪽에는, 도시하지 않은 액셀레이터 레버가 배치되고 있고, 이 액셀레이터 레버의 선단부에는 파지부가 설치되어 있다.
주행 시스템 레버의 배색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주변속 레버(35) 및 부변속 레버(36)의 상부에는 각각, 도시하지 않은 파지부가 설치되고, 상기 주변속 레버(35)의 파지부는 부변속 레버(36)의 파지부보다도 크고, 또한 높은 위치에 배치하여, 조작 빈도가 높은 주변속 레버(35)가 눈에 띄어 조작하기 쉽게 구성하고 있다.
또한, 주변속 레버(35)의 파지부와 주변속 레버(35)의 지시 명판은 동일색으로 착색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오렌지색으로 하고 있다. 또한, 부변속 레버(36)의 파지부와 지시 명판도 동일색으로 착색되고, 상기 주변속 레버(35)의 파지부와 지시 명판의 색과 동일색으로 되어 있다. 또한, 액셀레이터 레버의 파지부도 주변속 레버(35)의 파지부와 동일색으로 되어 있다. 또한, 주변속 레버(35)의 파지부에 있어서의 착색을 파지부의 운전석측(후반부)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주차 레버의 파지부는 주행 시스템 레버의 색과는 다른 색으로 하는 것이고, 주차 레버의 파지부를 적색으로 착색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주행 시스템에 포함되지만, 제동 역할을 하는 주차 레버를 인식하기 쉽게 하고 있다.
또한, 작업 조작 시스템 레버의 배색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작업 전환 클러치 레버(37)의 레버 가이드에는 레버명 및 조작 위치를 나타내는 지시 명판이 가이드 구멍을 따라 설치되고, 예취 변속 레버(38)의 레버명 및 조작 위치를 나타내는 지시 명판 가이드 구멍을 따라 설치되어 있다. 단, 이들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쪽을 운전석의 앞부분, 예를 들면 대시 보드 상에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렇게 하여, 작업 전환 클러치 레버(37) 및 예취 변속 레버(38)의 현재 조작 위치를 눈으로 보아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작업 전환 클러치 레버(37) 및 예취 변속 레버(38)의 상부에는 각각 도시하지 않은 파지부가 설치되어 있다. 작업 전환 클러치 레버(37)의 파지부와 지시 명판에는 동일색을 착색하고 있고, 본 실시예에서는 황색으로 하고 있다. 또한, 예취 변속 레버(38)의 파지부와 지시 명판도 동일색으로 착색하고, 작업 전환 클러치 레버(37)의 파지부와 지시 명판의 색과 동일색으로 하고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절 시스템의 레버인, 배출 지푸라기 전환 레버(150), 오거 클러치 레버(151) 및 선별 조정 레버(152)를 설치한 구성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구성을 취할 수 있다.
배출 지푸라기 전환 레버(150)의 가이드 구멍(160)과, 오거 클러치 레버(151)의 가이드 구멍(161), 선별 조정 레버(152)의 가이드 구멍(162)이 개구되고, 상기 배출 지푸라기 전환 가이드 구멍(161)과 오거 클러치 가이드 구멍(161)과 선별 조정 가이드 구멍(162)은 긴 구멍으로 구성하여 좌우 평행하게 배치하고, 외측부터 순서대로 배출 지푸라기 전환 가이드 구멍(160), 오거 클러치 가이드 구멍(161), 선별 조정 가이드 구멍(162)으로 배치하고, 전단 위치를 맞추고 있다. 그리고, 배출 지푸라기 전환 가이드 구멍(160)의 내측에 레버명 및 조작 위치를 나타내는 지시 명판(106e)이 상기 배출 지푸라기 전환 가이드 구멍(160)을 따라 평행하게 설치되고, 오거 클러치 가이드 구멍(161)의 외측에 레버명 및 조작 위치를 나타내는 지시 명판(106f)이 오거 클러치 가이드 구멍(161)을 따라 평행하게 설치되며, 선별 조정 가이드 구멍(162)의 내측에 레버명 및 조작 위치를 나타내는 지시 명판(106g)이 선별 조정 가이드 구멍(162)을 따라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배출 지푸라기 전환 레버(150), 오거 클러치 레버(151) 및 선별 조정 레버(152)의 현재 위치를 눈으로 보아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배출 지푸라기 전환 레버(150), 오거 클러치 레버(151) 및 선별 조정 레버(152)의 상부에는 각각 파지부(146·147·148)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배출 지푸라기 전환 레버(150)의 파지부(146)와 지시 명판(106e)에는 동일색을 착색하고 있고, 본 실시예에서는 녹색으로 하고 있다. 또한, 선별 조정 레버(152)의 파지부(148)와 지시 명판(106g)도 동일색으로 착색하고, 상기 배출 지푸라기 레버(150)의 파지부(146)와 지시 명판(106e)의 색과 동일색으로 하고 있다. 상기 오거 클러치 레버(151)의 파지부(147)와 지시 명판(106f)은 황색으로 착색하고 있다.
이와 같이, 주행 변속 시스템에 관련된 레버의 파지부와 지시 명판을 오렌지색으로 하고, 작업 조작 시스템에 관련된 레버의 파지부와 지시 명판을 황색으로 하고, 배출 지푸라기 전환 레버(150) 및 별도 조정 레버(152)와 같은 조정 조작 시스템에 관련된 레버의 파지부와 지시 명판을 녹색으로 하여, 조작 시스템마다 다른 색으로 착색함으로써, 복수로 나란한 레버의 제어 시스템을 직감적이고도 용이하게 식별하여 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다.
단, 주행 시스템의 레버는 운전 조작부의 앞부분 또는 측부에 배치되어 있으면 그 위치는 한정되지 않으며, 또한, 작업 시스템의 레버는 운전 조작부의 좌측 또는 앞부분에 배치되어 있으면 그 위치는 한정되지 않으며, 또한, 조절 시스템의 레버는 운전 조작부의 좌측이며 작업 시스템의 레버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으면 그 배치 위치는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조작 레버의 파지부 및 지시 명판의 색은 본 실시예에 따르지 않고, 조종자가 식별할 수 있으면 색은 한정되지 않는다.
다음에, 메인터넌스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배색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것은, 작업에 있어서, 떼어내는 부품을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고, 실수로 불필요한 부품까지 떼어내는 일이 없도록 하는 것이다. 그래서, 이하와 같은 구성을 취할 수 있다.
구동 풀리와 종동 풀리 사이에 텐션 풀리를 배치하고, 상기 텐션 풀리에 의해 구동 풀리와 종동 풀리 사이에 두루 감은 벨트를 긴장·이완하여 동력 전달을 온·오프하는 농업 기계의 벨트 텐션 클러치 기구에 있어서, 상기 벨트를 이완했을 때, 구동 풀리 및 종동 풀리의 적어도 한쪽과 벨트와의 틈을 적정하게 유지하는 벨트 누름 부재를, 구동 풀리와 종동 풀리의 근방에 배치하고, 상기 벨트 누름 부재를 다른 떼어낼 필요가 없는 부품과는 다른 배색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벨트 누름 부재는 텐션 클러치 마다 다른 배색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구동 풀리, 상기 종동 풀리, 텐션 암 또는 텐션 풀리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벨트 누름 부재에 대응하는 배색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벨트를 상기 벨트 누름 부재에 대응하는 배색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텐션 클러치의 벨트 교환 작업시에 있어서, 떼어내는 부품을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고, 실수로 불필요한 부품까지 떼어내지 않고도 확실하게 신속하게 벨트 교환이 가능해진다. 또한, 부착하는 경우에도 작업자는 실수로 부착하는 일이 없이 작업 효율을 향상할 수 있다.
즉, 벨트 누름 부재가 주위의 부품과는 다른 배색이기 때문에, 벨트의 통과 방향을 오인식하지 않고, 풀리와 벨트의 틈이 확인하기 쉬워진다.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벨트 텐션 클러치 기구를 탈곡 클러치(242)의 텐션 클러치 기구를 예로서 설명한다. 탈곡 클러치(242)는 엔진으로부터 탈곡부로의 동력 전달 경로 상에 설치되는 것이다.
텐션 클러치는 구동 풀리(251)와 종동 풀리(252) 사이에 두루 감긴 동력 전달용 벨트(253)와, 텐션 풀리(254)와, 상기 텐션 풀리(254)를 회동 자유롭게 지지하는 텐션 암(260)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구동 풀리(251)와 종동 풀리(252) 사이에 벨트(253)가 두루 감기고, 상기 구동 풀리(251)와 종동 풀리(252) 사이에 텐션 풀리(254)를 배치하고, 상기 텐션 풀리(254)는 텐션 암(260)의 일단에 회전 자유롭게 지지되고, 상기 텐션 암(260)의 타단은 기체측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암이나 링크 등의 링크 기구를 통하여 탈곡 클러치 레버(211)와 연동 연결되어 있다. 즉, 상기 텐션 암(260)의 중도부에 연결 암(261)의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연결 암(261)의 타단에 스프링(262), 로드(263), 암(264), 지지축(265)을 통하여 탈곡 클러치 레버(211)과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탈곡 클러치 레버(211)를 「온」측으로 회동하면, 링크 기구를 통하여 텐션 암(260)이 상방으로 회동되고, 텐션 풀리(254)가 벨트(253)를 긴장하여, 구동 풀리(251)로부터 종동 풀리(252)에 동력을 전동한다. 반대로, 탈곡 클러치 레버(211)를 「오프」측으로 회동하면, 링크 기구를 통하여 텐션 암(260)은 하방으로 회동되고, 텐션 풀리(254)에 의한 벨트(253)의 긴장이 개방되어, 구동 풀리(251)로부터는 종동 풀리(252)에 동력이 전달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하여 온·오프를 전환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탈곡 클러치(242)를 「오프」로 했을 때 벨트(253)는 이완되기 때문에, 지지 부재가 되는 벨트 누름 로드(255) 및 벨트 누름틀(256)을 구동 풀리(251)와 종동 풀리(252)의 근방에 배치하고, 상기 벨트 누름 부재(255·256)에 의해, 클러치가 오프됐을 때 이완된 벨트(253)가 구동 풀리(251) 또는 종동 풀리(252)로부터 적정한 틈을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벨트 누름 로드(255)는 구동 풀리(251) 측에 배치되고, 벨트 누름틀(256)이 종동 구동 풀리(252) 측에 배치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벨트 누름 로드(255)는 전면에서 보았을 때 こ형상으로 구성하고, 지지판(259)의 내면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지지판(259)은 본 기체 구조(290)에 스페이서를 통하여 벨트(257·257)로 고정된다. 그리고, 벨트 누름 로드(255)의 こ형상 개방측 사이에 벨트(253)가 위치하도록 고정된다. 즉, 벨트 누름 로드(255)는 측면에서 보아 구동 풀리(251)의 현방향으로 배치되고, 벨트 누름 로드(255)의 직각방향으로 절곡된 양단부가 클러치 「온」일 때 벨트(253)의 상면 및 하면으로부터 소정 거리 떨어져 그 양측에 위치하도록 배열 설치하고 있다. 이 소정 거리는 벨트(253)의 높이보다도 짧은 길이로 하여 벨트(253)가 풀리의 홈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거리이다.
이와 같이 하여, 벨트(253)가 구동 풀리(251)와 종동 풀리(252)에 두루 감긴 상태에서, 클러치 오프의 상태로서 벨트(253)가 이완했을 때, 벨트 누름 로드(255)에 의해 구동 풀리(251)의 홈으로부터 벨트(253)가 균등하게 부상하도록 하고 있다.
벨트 누름틀(256)은 측면에서 봤을 때 거의 역 C형상으로 구성한 누름 부(256a)와 거의 こ형상으로 구성한 지지부(56b)로 이루어지고, 누름부(563)의 내면이 종동 풀리(52)의 외주 형상보다 약간 크게 한 형상으로 하고, 지지부(56b)는 누름부(56a)의 배면측에 고정하고, 본 기체 구조(91)에 볼트(258·258)에 의해 부착하도록 하고 있다. 이렇게 하여, 종동 풀리(252)에 두루 감긴 벨트(253)의 종동 풀리(252) 측의 외측에 벨트 누름틀(256)이 배치되고, 벨트의 원호를 따른 틀로 이완시의 벨트(253)가 종동 풀리(252) 측에서 과다하게 휘는 것을 억지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여기서, 벨트(253) 교환 작업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벨트(253)는 장시간의 사용으로 인해 마모나 재질 열화가 발생하기 때문에, 정기적으로 교환하지 않으면 안된다. 통상, 텐션 클러치는 콤바인의 엔진룸 등의 내부에 배치된다.
벨트(253)의 교환 시에는 우선 벨트 누름 로드(255) 및 벨트 누름틀(256)(이하, 벨트 누름 부재(255·256)라고 함)을 부착하고 있는 볼트(257·258)를 풀고, 각각의 벨트 누름 부재(255·256)를 떼어낸다. 다음에 이완하고 있는(통상, 교환 작업은 엔진 정지시에 행하여지고, 클러치는 오프가 되어 있음) 벨트(253)를 풀고, 새로운 벨트(253)를 부착하고, 벨트 누름 부재(255·256)를 볼트(257·258)로 부착한다.
교환 작업 자체는 단순하지만, 텐션 클러치(250)의 주변 구조는 복잡하고, 작업자는 교환시 벨트 누름 부재(255·256)와 착각하여 다른 부품을 떼어내는 일도 있다. 또한, 교환 후 벨트(253) 외주와 벨트 누름 부재(255·256) 사이의 틈이 적정하지 않은 일도 있다. 또한, 실수로 벨트 누름 부재(255)를 벨트(253)의 내측에 부착해 버려, 벨트(53)를 손상하는 경우도 있다.
여기서, 일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통상, 풀리(251·252)나 벨트(253)를 포함한 콤바인의 내부 기기는 흑색에 가까운 색으로 도장하여 눈에 띄지 않도록 하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벨트(253) 교환 작업시에 잘못 떼어내거나, 또는 설치 실수를 일으키기 쉬운 벨트 누름 부재(255·256)를 다른 색과 다르게 눈에 띄는 백색으로 배색하고 있다. 전술한 벨트 누름 부재로서, 대표적인 벨트 누름 로드(255) 및 벨트 누름틀(256)을 나타냈지만, 그 밖에 벨트 교환 작업시에 떼어낼 필요가 있는 부품은 백색으로 배색하는 것으로 한다.
도 7에서는 탈곡 클러치(242)의 예를 나타내고 있지만 본 실시예는 콤바인의 그 밖의 모든 텐션 클러치(배출 클러치(241), 예취 클러치(243))에도 적용한다.
이와 같이, 벨트 누름 부재(255·256)를 주위보다 간단하게 식별할 수 있는 배색으로 함으로써, 벨트(253) 교환 작업시에는 실수로 떼어내거나 또는 부착 오류를 방지할 수 있고, 작업 효율을 향상할 수 있다. 즉, 작업자는 명칭이나 부착 위치로 분리 대상 부품을 인식하는 것이 아니라 색으로 인식하기 때문에 간단하게 식별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벨트 누름 부재(255·256)의 백색과 벨트(253)의 흑색의 대비는 벨트 누름 부재(255·256)에 대한 벨트(253)의 틈 공차의 확인이 쉽고, 벨트(253)의 교환 작업 또는 일상의 메인터넌스 작업의 작업 효율을 향상하고 있다.
또한, 벨트 누름 부재(255·256)의 백색과 벨트(253)의 흑색의 대비는 벨 트(253)가 벨트 누름 부재(255·256)에 간섭한 경우는 백색 로드나 틀에 벨트(253)의 검은 마모 흠집이 생기기 때문에 간섭을 발견하기 쉬운 이점이 있다.
또한, 벨트 누름 부재(255)를 벨트(253)의 내측에 실수로 부착해도 양쪽이 흑색에서는 부착 실수를 알기 어렵지만 벨트 누름 부재(255)가 백색이면 눈치채기 쉽다.
본 실시예에서는 벨트 누름 부재(255·256)를 백색으로 했지만 주위 부품으로 식별할 수 있는 색이면 백색에 한정하지 않는다.
여기서, 볼트(257·258)를 동시에 백색으로 배색해도 좋다. 떼어내는 부품을 모두 백색으로 배색하여 통일함으로써 더욱 교환 작업이 간단해진다.
또한, 볼트(257·258)만을 백색으로 배색해도 좋다. 이 경우, 효과는 동일하지만, 도장 가격이 대폭 삭감할 수 있다.
또한, 제 2 예에서는 배출 클러치(241)의 벨트 누름 부재(255·256)를 백색으로, 탈곡 클러치(242)의 벨트 누름 부재(도시하지 않음)를 라이트 블루색으로·예취 클러치(243)의 벨트 누름 부재(도시하지 않음)를 라이트 그린색으로 배색한다. 즉, 벨트 누름 부재의 색을 밝은 색으로 배색하여 주위보다 식별하기 쉽게 함과 동시에 각각의 텐션 클러치에 대해서도 색분류하는 것이다. 여기서, 배색에 대해서는 각각이 내부 기기와 대비할 수 있는 색이고, 텐션 클러치 마다 식별할 수 있으면 본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는 것으로 한다
이와 같이, 각각의 텐션 클러치의 떼어내는 부품을 텐션 클러치 마다 색분류함으로써 동시에 복수 개소의 벨트 교환 작업시는 떼어낸 상태에서도 떼어낸 부품 이 어느 텐션 클러치에 대응하고 있는지를 순식간에 식별할 수 있고, 벨트 교환 작업의 작업 효율을 향상하고 있다.
또한, 제 3 예에서는 제 2 예에 추가하여 배출 클러치(241)의 구동 풀리(도시하지 않음) 및 종동 풀리(도시하지 않음)를 백색으로, 탈곡 클러치(242)의 구동 풀리 및 종동 풀리(도시하지 않음)를 라이트 블루색으로·예취 클러치(243)의 구동 풀리 및 종동 풀리(도시하지 않음)를 라이트 그린색으로 배색한다.
이와 같이, 복수의 텐션 클러치의 벨트를 교환할 때는 떼어내는 부품이 어디 개소의 부품인지가 색의 차이에 의해 순식간에 식별할 수 있고, 작업자의 부착 실수를 방지할 수 있다. 즉, 작업자는 벨트 누름 부재를 동일색의 구동 풀리 또는 종동 풀리가 구비되어 있는 텐션 클러치에 부착하는 것만으로 편하게 교환 작업을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실시예 2에서 소개한 각 클러치의 벨트 누름 부재의 색분류에 대하여, 텐션 암 또는 또는 텐션 풀리를 각 벨트 누름 부재에 대응하여 색분류해도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제 4 예에서는 제 3 예에 더하여, 배출 클러치(241)의 벨트(253)를 백색으로, 탈곡 클러치(242)의 벨트(도시하지 않음)를 라이트 블루색으로, 예취 클러치(43) 벨트(도시하지 않음)를 라이트 그린색으로 배색한다.
이와 같이, 복수의 텐션 클러치의 벨트를 교환할 때는 교환 벨트가 어디 개소의 벨트인지가 색에 의해 순식간에 식별할 수 있고, 작업자의 부탁 실수를 방지할 수 있다. 즉, 작업자는 벨트를 동일색의 구동 풀리 또는 종동 풀리가 구비되어 있는 텐션 클러치에 교환하는 것만으로 편하게 교환 작업을 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교환 부품이 정리되어 수납되어 있는 경우에도 각각의 벨트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다.
본 예는 누구라도 사용하기 쉬운 기계의 사고 방식을 농업 기계의 메인터넌스 시에 반영한 것이다. 종래, 실수가 많고, 시간이 걸리는 벨트의 교환 작업에 있어서, 여성·고령자·신규 취농자, 즉, 폭넓은 층의 사람이 작업할 수 있도록, 색에 의한 분리 대상 부품 또는 분리 개소의 식별을 행하고, 벨트 교환 작업시의 작업 효율을 향상했다.
또한, 상술한 본 실시예는 텐션 클러치에 적용했지만, 텐션 클러치가 없는 벨트 전동부에 대해서도 적용할 수 있고, 벨트 교환 작업시의 작업 효율을 향상할 수 있다.
콤바인을 포함하는 작업 기계의 조작성 향상에 이용 가능하다.

Claims (7)

  1. 운전석의 좌측에 설치되는 사이드 칼럼 상에 조작 레버 등을 배치한 사이드 패널을 구비하는 콤바인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칼럼 상면의 진행 방향 좌측 및 앞측에 측벽부를 형성하고, 상기 측벽부의 전후 중도부 상에 측면에서 볼 때 및 정면에서 볼 때 오목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벽부 앞부분의 운전석측 면을, 운전석측을 향하여 내려가는 경사면에 형성하고, 상기 경사면에 표시 패널을 배치하는 동시에, 앞측 운전석측 끝의 벽부를, 사이드 칼럼보다 우전방으로 돌출하여 장출부를 형성하고, 상기 장출부 하방에 발밑 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에 있어서, 측면에서 봤을 때 거의 후반부를 적어도 거의 전반부보바도 높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에 있어서, 측면에서 봤을 때 거의 중앙부에 파지부를 일체 성형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의 하방이며, 상기 측벽부의 시트측 면에 조작 스위치를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레버 내, 주행 변속 시스템의 조작 레버와 작업 조작 시스템의 조작 레버에서 색분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7. 제 1 항에 기재한 콤바인으로서,
    구동 풀리와 종동 풀리 간의 텐션 풀리를 배치하고, 상기 텐션 풀리에 의해 구동 풀리와 종동 풀리 간에 두루 감은 벨트를 긴장·이완하여 동력 전달을 온·오프하는 농업 기계의 벨트 텐션 클러치 기구를 갖는 콤바인에 있어서,
    상기 벨트를 이완했을 때, 구동 풀리 및 종동 풀리의 적어도 한쪽과 벨트와의 틈을 적정하게 유지하는 벨트 누름 부재를 구동 풀리와 종동 풀리 근방에 배치하고, 상기 벨트 누름 부재를 다른 떼어낼 필요가 없는 부품과는 다른 배색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KR1020097010216A 2006-10-24 2007-03-09 콤바인 KR2009007164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289279A JP4917405B2 (ja) 2006-10-24 2006-10-24 コンバイン
JPJP-P-2006-289279 2006-10-2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1649A true KR20090071649A (ko) 2009-07-01

Family

ID=393243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0216A KR20090071649A (ko) 2006-10-24 2007-03-09 콤바인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917405B2 (ko)
KR (1) KR20090071649A (ko)
CN (1) CN101528023B (ko)
WO (1) WO200805049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4369B1 (ko) * 2009-08-20 2014-04-14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콤바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11687B2 (ja) * 2017-06-29 2021-01-13 株式会社クボタ コンバイン
JP7223348B1 (ja) 2021-09-29 2023-02-16 井関農機株式会社 コンバイン
JP7223349B1 (ja) 2021-09-29 2023-02-16 井関農機株式会社 コンバイン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55851U (ko) * 1978-04-22 1979-10-30
JPS54155851A (en) * 1978-05-30 1979-12-08 Ricoh Co Ltd Optical transmission method and device for said method
JP3226430B2 (ja) * 1994-11-21 2001-11-05 三菱農機株式会社 コンバインの分草装置
JP3435021B2 (ja) * 1997-06-13 2003-08-11 株式会社クボタ コンバインの操縦部構造
JP3612052B2 (ja) * 2001-11-09 2005-01-19 ヤンマー農機株式会社 コンバイン
JP2003284422A (ja) * 2002-03-28 2003-10-07 Kubota Corp 収穫機の運転部構造
JP2006166860A (ja) * 2004-12-20 2006-06-29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コンバインのナローガイド切換操作構造
JP4613107B2 (ja) * 2005-06-28 2011-01-12 株式会社Ihiシバウラ 作業車の操作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4369B1 (ko) * 2009-08-20 2014-04-14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콤바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8104387A (ja) 2008-05-08
JP4917405B2 (ja) 2012-04-18
CN101528023B (zh) 2012-03-21
CN101528023A (zh) 2009-09-09
WO2008050497A1 (fr) 2008-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71649A (ko) 콤바인
JP5697946B2 (ja) 作業車
JP5647487B2 (ja) 作業車
JP2007117019A (ja) 収穫作業車
KR100336905B1 (ko) 수확기의 운전부 구조
JP4880254B2 (ja) 収穫機
KR20120044243A (ko) 작업차 및 콤바인
JP6056750B2 (ja) 苗移植機
JP7101591B2 (ja) コンバイン
JP4880770B2 (ja) 収穫機
JP2007111008A (ja) コンバイン
JP4935142B2 (ja) コンバイン
JP2008104388A (ja) コンバイン
JP2007116986A (ja) コンバインの運転操作部
JP2008237086A (ja) 農業機械用の制御装置
JP4203032B2 (ja) コンバインのレバー装置
WO2011030900A1 (ja) 田植機
JP4880253B2 (ja) 収穫機の照明構造
JP2007143508A (ja) コンバイン
CN110637610B (zh) 联合收割机
JP2017042177A (ja) 苗移植機
JP2011019454A (ja) コンバインの操縦部構造
JP2007143508A5 (ko)
JPS6227053Y2 (ko)
JPH09322637A (ja) 刈取クラッチの操作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