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6905B1 - 수확기의 운전부 구조 - Google Patents

수확기의 운전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6905B1
KR100336905B1 KR1020000011281A KR20000011281A KR100336905B1 KR 100336905 B1 KR100336905 B1 KR 100336905B1 KR 1020000011281 A KR1020000011281 A KR 1020000011281A KR 20000011281 A KR20000011281 A KR 20000011281A KR 100336905 B1 KR100336905 B1 KR 1003369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r
seat
control panel
panel
harves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12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06745A (ko
Inventor
후쿠시마마사토모
Original Assignee
미쯔이 고오헤이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쯔이 고오헤이,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filed Critical 미쯔이 고오헤이
Publication of KR200100067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67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69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6905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5Arrangements of devices on wash-basins, baths, sinks, or the like for remote control of taps
    • E03C1/052Mechanical devices not being part of the tap, e.g. foot ped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 Combines (AREA)

Abstract

주행기체(2) 앞부분에 설치되는 운전좌석(40)과, 이 운전좌석(40) 전방에 세워설치된 전면패널설치부(F)를 구비한 수확기의 운전부 구조로서, 상기 전면패널설치부(F)가 풋커버(41)와 풋커버(41)의 상부에 얹어놓이는 주 조종반(42)을 갖는 것에 있어서, 상기 운전좌석(40)과 상기 전면패널설치부(F) 사이에 상기 운전좌석(40)에 착좌한 작업자의 무릎이 들어가기 가능하게 되는 공간(S)이 형성되고, 상기 전면패널설치부(F)가 이 공간(S)에 오버행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양호한 조작성능을 확보하면서도 착좌한 운전자의 무릎 및 발목부분의 갑갑함이 완화된 운전부 구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수확기의 운전부 구조{STRUCTURE OF DRIVER'S PART FOR HARVESTER}
본 발명은 콤바인 등의 수확기의 운전부 구조에 관한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주행기체의 앞부분에 설치되는 운전좌석과, 이 운전좌석의 전방에 세워설치된 전면(前面)패널설치부를 구비하고, 또 상기 전면패널설치부가 풋커버와, 이 풋커버 상부에 얹어놓이는 주 조종반을 갖는 수확기 운전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콤바인 등의 수확기 운전부 구조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 특개평 8-172869호 공보에 개시된 바와 같이, 주행기체의 앞부분 또한 운전좌석의 전방에 전면패널설치부를 세워설치하고, 이 전면패널설치부 상면을 운전좌석의 좌면높이보다 낮게 구성함과 동시에, 전면패널설치부의 주 조종반의 상면에 주행기체를 조향조작하는 조향레버 및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패널부와 스위치류를 구비한 것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 운전부 구조로는 전면패널설치부의 전후폭이 크고, 게다가 전면패널설치부 상면이 운전좌석의 좌면높이 보다 낮기 때문에 운전좌석에 착좌한 작업자의 무릎이나 발목부분이 갑갑해지기 쉬운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운전좌석에 착좌한 작업자의 갑갑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운전좌석을 후방으로 비키어 위치시키는 것이 고려된다. 그러나, 운전좌석을 후방으로 비키면 작업자의 눈과 표시패널부의 패널면과의 간격이 커져서, 패널면에 표시된 각종 정보를 보기 어렵게 된다. 게다가, 전면패널설치부 상면에 배열구비된 조향레버나 스위치류 조작도 행하기 어려워진다. 그 결과, 조종성능의 저하를 초래하는 결점이 있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해결책이라고는 말할 수 없다.
그래서, 본 발명의 주 목적은, 양호한 조작성능을 확보하면서도 운전좌석에 착좌한 작업자의 갑갑함을 경감할 수 있는 수확기의 운전부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콤바인을 도시하는 전체 우측면도,
도 2는 주행장치를 도시하는 우측면도,
도 3은 각각의 제어장치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4는 탑승운전부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5는 탑승운전부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6은 도 5의 Ⅵ-Ⅵ 단면도,
도 7은 탑승운전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8은 제 2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주요부 평면도,
도 9는 제 3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주요부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주행기체 40: 운전좌석
40a: 좌면(座面) 41: 풋커버(프론트풋커버)
42: 주 조종반 43: 조향조작부
44: 조종패널부 45: 표시패널부
F: 전면 패널설치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확기의 운전부 구조는 청구항 1에 기재한 바와 같이, 운전좌석과 전면패널설치부 사이에, 운전좌석에 착좌한 작업자의 무릎이 들어갈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전면패널설치부가 이 공간에 오버행(overhang)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운전좌석을 후방으로 비키지 않고, 종래의 전면패널설치부를 설치한 운전부 구조에 비교하여 운전좌석의 전방공간을 넓힐 수 있다. 그 넓어진 전방공간에 운전좌석에 착좌한 작업자의 무릎이나 발목부분이 들어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운전좌석에 착좌한 작업자의 갑갑함을 경감할 수 있다. 게다가 작업자의 눈과 표시패널부의 패널면과의 간격이 과대해지는 일은 없기 때문에 패널면에 표시된 각종 정보가 보기 좋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또, 전면패널설치부의 상면에 배열구비된 조향레버나 스위치류 조작에도 지장은 없다.
또, 청구항 2에 기재한 바와 같이, 풋커버가 얇은 벽으로 구성되면 운전좌석의 전방공간이 한층 커지기 때문에 작업자 무릎 등이 한층 들어가기 쉬운 구성으로된다.
또, 청구항 3에 기재한 바와 같이, 풋커버가 그 상하방향의 중간위치에서 굴곡되고, 그 중간위치보다 하부가 수직자세로 세워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중간위치보다 상부가 상단측일수록 상기 운전좌석측에 접근하는 경사자세로 형성되어 있으면 작업자의 무릎이 들어가기 쉬울 뿐더러 주 조종반을 운전좌석에 착좌한 작업자에 가깝게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표시패널부에 표시된 각종 정보가 보기 쉬워짐과 함께 조향조작용 조작구에 대한 조작성 및 조종패널부에 대한 보기 쉽게 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청구항 4에 기재한 바와 같이, 상기 주 조종반의 상면이 운전좌석의 좌면보다 상위레벨에 설치되어 있으면 이 주 조종반 하방에 운전좌석에 착좌한 작업자 무릎이 들어가기 가능해진다. 또한, 주 조종반을 운전좌석에 착좌한 작업자에 가깝게 할 수 있으므로, 표시패널부에 표시된 각종 정보를 보기 쉬움과 함께 조향조작용 조작구에 대한 조작성 및 조종패널부에 대한 보기 쉬움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청구항 5에 기재한 바와 같이, 주 조종반 하면에 운전좌석에 착좌한 작업자의 무릎이 들어가기 가능한 공간으로 개구한 부상부(浮上部)가 형성되어 있으면 작업자의 갑갑함을 완화할 수 있음과 동시에 주 조종반을 운전좌석에 착좌한 작업자에 가깝게 하는 구성으로서 유리하다.
또, 청구항 6에 기재한 바와 같이, 상기 주 조종반이 그 좌우방향에 있어서, 일단부측에 상기 주행기체를 조향조작하는 조작구를 갖는 조향조작부를 구비하고,타단부측에 조종패널부를 구비하고, 좌우방향 중간부에 표시패널부를 구비하고, 상기 조종패널부 패널면이 기체 후부를 향하여 경사져 있으면 이 패널면이 수평일 경우에 비교하여 운전좌석에 착좌한 작업자에 있어서의 조종패널부의 패널면에 대한 보기 쉬움을 향상할 수 있다. 따라서, 조작성능을 한층 향상할 수 있다.
또, 상기 주 조종반의 상기 조종패널부를 구비한 개소의 후부에서 상기 운전좌석의 옆쪽 곁에 걸쳐 부 조종반이 설치됨과 동시에 이 부 조종반 상면이 상기 조종패널부의 패널면 후단가장자리 근방에서 운전좌석의 옆쪽 곁에 걸쳐 설치되어 있으면 다음 점에서 유리하다. 즉, 조종패널부 패널면이 부 조종반의 상면보다 상방에 위치하게 되므로 조종패널부의 패널면에 대한 시야가 부 조종반에 의해 차단되는 일이 없다. 따라서, 부 조종반을 설치하여도 조종패널부의 패널면에 대한 보기 쉬움을 확보할 수 있다. 또 상기 조종패널부와 상기 부 조종반에 복수의 조작구가 배열구비되는 경우는 이들 조작구중 가장 사용빈도가 높은 조작구가 조종패널부에 설치됨과 동시에, 사용빈도가 낮은 조작구일수록 상기 부 조종반의 후부측에 설치되는 것도 유리한 구성이다. 이같이 구성할 경우는, 사용빈도가 높은 조작구일수록 전방에 위치하므로 조종패널부와 부 조종반에 배열구비된 각종 조작구를 조작하기 위하여 작업자의 시선을 주행기체의 전방에서 조작구측으로 이동하면 가장 사용빈도가 높은 조작구에서 순차로 작업자의 시선에 들어오기 쉽다. 따라서, 사용빈도가 높은 조작구일수록 신속하게 발견하여 조작할 수 있고, 더 한층 조작성능 향상을 촉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특징, 작용효과 및 유리한 점은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이하설명을 읽으면 분명해질 것이다.
(발명의 실시형태)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각각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콤바인을 본 발명의 수확기의 1예로서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
도 1∼도 7에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가 예시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수확기의 1예인 콤바인의 우측면도를 나타낸다. 이 콤바인은 크롤러식의 좌우한쌍의 주행장치(1,1)를 구비한 주행기체(2), 주행기체(2)의 앞부분에 승강조작 자유로이 연결되고, 심어진 곡간(穀稈)을 예취하여 후방으로 이송하는 예취(刈取)부(3), 주행기체(2)의 좌측상부에 탑재되고 예취부(3)로부터의 예취곡간을 탈곡처리하는 탈곡부(4) 및 주행기체(2)의 우측상부에 탑재된 탑승운전부(5), 엔진(6), 및 탈곡낱알을 저장하는 곡물탱크(7)로 구성되어 있다.
또, 상기 곡물탱크(7)에는 이 곡물탱크(7)에 저장된 탈곡낟알을 운반차 등의 하대나 다른 저장용기 등에 배출하기 위한 낟알배출장치로서, 언로더(8)가 장비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콤바인에는 주행기체(2)의 좌우방향에서의 자세를 수평자세로 조절하는 수평조절기구(9)와, 예취된 예취곡간의 볏짚길이에 관계없이 탈곡부(4)에서의 훑는 깊이량이 대략 일정하게 되도록 예취곡간을 탈곡부(4)의 피드체인에 인도하는 훑는 깊이 조절기구(10) 및 탈곡부(4) 선별부를 구성하는 차프시브(chaff sieve(왕겨체); 도시생략)상에 퇴적하는 탈곡처리물의 볼륨(양)에 응하여 적정한 낟알선별성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차프시브의 차프립(chaff lip) 판(板) 사이의 체눈의 정도를 조절하는 개방정도 조절기구(11) 등이 설치되어 있다.
크롤러식의 좌우 주행장치(1,1)는 각각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주행기체(2)에 고정된 고정 트럭트레임(12)에는 긴장전륜(緊張轉輪)(14)이 지지되어 있다. 이 고정 트럭프레임(12)에 대하여 복수의 공회전륜(13)이 지지된 가동 트럭프레임(15)이 승강링크기구(16)를 통하여 지지되어 있다. 또한 변속기케이스(17)에 지지되고 또 주행기체(2)측에 고정된 구동스프로킷(18)이 구비됨과 동시에, 크롤러벨트(19)가 상기 복수의 공회전륜(13) 및 긴장전륜(14)에 걸쳐 감겨서 있다.
상기 승강링크기구(16)는 상부전방암(20a)과 하부전방암(20b)으로 이루어지는 전(前)링크부재(20)와, 상부후방암(21a)과 하부후방암(21b)으로 이루어지는 후방링크부재(21)와, 연결로드(22)와 승강실린더(23)로 구성되어 있다.
전후방의 링크부재(20,21)는 고정트럭프레임(12)에 축지지되어 있다. 하부전방암(20b) 및 하부후방암(21b)의 선단은, 가동트럭프레임(15)에 피벗지지되어 있다. 또, 상부전방암(20a) 및 상부후방암(21a)의 선단은, 연결로드(22)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상부후방암(21a)의 선단에는, 승강실린더(23)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승강실린더(23)를 신장시킬 경우는 전후의 링크부재(20,21)가 도 2에 있어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운동하고, 하부전방암(20b) 및 하부후방암(21b)이 하방을 향하여 요동하고, 거기에 따라 가동트럭프레임(15)이 하강한다. 이에 따라크롤러벨트(19) 접지면이 하강한다. 한편, 승강실린더(23)를 단축시킨 경우에는 전후의 링크부재(20,21)가 도 2에 있어서 시계방향으로 회전운동하고, 하부전방암(20b) 및 하부후방암(21b)이 상방을 향하여 요동하고, 그것에 따라 가동트럭프레임(15)이 상승하고, 이에 따라 크롤러벨트(19)의 접지면이 상승한다.
예를 들면, 우측의 주행장치(1)가 주행하는 주행면과 좌측의 주행장치(1)가 주행하는 주행면에 고저차가 발생되어 있을 경우, 또는 상기 곡물탱크(7)에 탈곡낟알이 대량으로 저장되고, 주행기체(2)의 좌우하중밸런스가 무너져서 우측의 주행장치(1)가 그 주행면에 가라앉을 경우에는 좌우의 주행장치(1,1)의 크롤러벨트(19)의 접지면이 주행기체(2)에 대하여 동일한 이격거리에 있으면 주행기체(2)에 좌우방향에서의 경사가 생길 우려가 있다. 그대로는 주행기체(2)의 진행방향이 변화되거나 또는 탈곡부(4)내에 배열설치되어 있는 선별부의 좌우방향 일단측에 탈곡처리물이 기울어져서 적정한 선별처리를 행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그러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롤러식 좌우 주행장치(1,1)를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좌우 주행장치(1,1)의 승강실린더(23)를 각각 별도로 구동하고, 주행기체(2)가 좌우방향으로 수평자세가 되기 까지 좌우의 크롤러벨트(19)의 접지면 각각을 주행기체(2)에 대하여 적정한 이격위치까지 변동시킴으로써, 주행기체(2)의 좌우방향에서의 자세가 수평상태를 유지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좌우의 주행장치(1,1)로 도 3에 도시된 수평조절기구(9)가 구성되어 있다.
또, 도시 생략되어 있으나 엔진(6)에서 좌우의 주행장치(1,1)의 구동스프로킷(18,18)으로의 동력전달계에는, 무단변속장치와 전후진 전환장치 및 좌우 주행장치(1,1)의 주행속도에 속도차를 주어 주행기체(2)를 선회시키는 선회장치 등이 사이에 장치되어 있다.
전후전환장치는 변속기케이스(17)내에 배열구비되고, 무단변속장치로부터의 출력을 전진원동력으로 하여 좌우의 주행장치(1,1)의 구동 스프로킷(18,18)에 전달하는 전진상태와, 무단변속장치의 출력을 후진원동력으로 하여 좌우 주행장치(1,1)의 구동스프로킷(18,18)에 전달하는 후진상태와, 무단변속장치의 출력을 좌우 주행장치(1,1)의 구동스프로킷(18,18)에 전달하지 않는 중립상태를 출현하는 것이다. 전후진 전환장치는 후술하는 주 변속레버(24)의 전후요동조작에 의거하여 전진상태와 중립상태와 후진상태로 전환조작되는 것으로, 주 변속레버(24)를 전방으로 요동조작한 상태가 전진상태로 되고, 주 변속레버(24)를 후방으로 요동조작한 상태가 후진상태가 되며, 주 변속레버(24)를 전후방향 중앙부에 기립시킨 상태가 중립상태로 된다. 또한, 주 변속레버(24)는 무단변속장치에 연계되어 있어 주 변속레버(24)를 중립상태에서 전방으로 요동조작하면 할수록, 또, 주 변속레버(24)를 중립상태에서 후방으로 요동조작하면 할수록 좌우주행장치(1,1)의 주행속도가 고속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선회장치는 변속기케이스(17)내에 배열설치되고, 후술하는 조향조작레버(25)의 좌우요동조작에 의거하여 좌측 주행장치(1)의 구동스프로킷(18)의 회전속도와 우측 주행장치(1)의 구동스프로킷(18)의 회전속도에게 속도차를 발생시킨다. 환언하면, 선회장치는 좌우 주행장치(1,1)의 주행속도에 속도차를 일으키는 기구를 구비하고 있으며, 조향조작레버(25)를 중립상태가 되는 기립자세로 유지하면 좌우 주행장치(1,1)의 주행속도가 동일하게 되어 주행기체(2)가 직진하는 직진상태로 된다. 조항조작레버(25)를 중립상태에서 좌측으로 요동조작하면 우측의 주행장치(1)측의 주행속도가 빠른 상태로 좌우 주행장치(1,1)에 속도차가 생겨서 주행기체(2)가 좌측으로 선회하는 좌선회상태로 된다. 반대로, 조향조작레버(25)를 중립상태에서 우측으로 요동조작하면, 좌측 주행장치(1)측 주행속도가 빠른 상태로 좌우의 주행장치(1,1)에 속도차를 발생시켜서, 주행기체(2)가 우측으로 선회하는 우선회상태로 된다. 조향조작레버(25)는 요동조작하면 할수록 좌우 주행장치(1,1)의 주행속도의 속도차가 커지고, 그 만큼 선회반경이 작아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콤바인에는 적어도 주행기체(1)의 좌우방향에서의 수평자세를 자동적으로 조절하는 수평제어장치(26)와, 탈곡부(4)에서의 예취곡간의 훑는 깊이량이 대략 일정하게 되도록 자동적으로 조절하는 훑는 깊이제어장치(27)와, 차프시브상에 퇴적하는 탈곡처리물의 볼륨에 따라 적정한 낟알선별성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차프시브의 차프립판 사이의 체의 눈의 정도를 자동적으로 조절하는 탈곡제어장치(28)가 구비되어 있다. 이들 각각의 제어장치(26,27,28)는 마이크로컴퓨터로 이루어지는 제어부(29)로 제어되고 있다.
이하, 수평제어장치(26), 훑는 깊이 제어장치(27) 및 탈곡제어장치(28)에 대하여 설명한다. 수평제어장치(26)는 주행기체(2)에 구비된 수평센서(30)와, 상기 수평조절기구(9)를 주요부로서 구비하고, 수평센서(30)로부터 경사정보에 의거하여 제어부(29)가 수평조절기구(9)를 구동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훑는 깊이 제어장치(27)는 예취부(3)에 구비된 예취곡간의 볏짚길이를 검출하는 볏짚길이검출센서(31)와, 상기 훑는 깊이 조절기구(10)를 주요부로서 구비하고, 볏짚길이 검출센서(31)로부터의 볏짚길이 정보에 의거하여, 제어부(29)가 훑는 깊이 조절기구(10)를 구동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탈곡제어장치(28)는 탈곡부(4)에 구비된 차프시브상에 퇴적하는 탈곡처리물의 볼륨을 검출하는 볼륨센서(32)와, 상기 개방도 조절기구(11)를 주요부로서 구비하고, 볼륨센서(32)로부터의 볼륨정보에 의거하여, 제어부(29)가 개방도조절기구(11)를 구동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수평제어장치(26), 훑는 깊이 제어장치(27) 및 탈곡 제어장치(28)의 각각은 후술하는 조작구(33,34,35)에 의해 보다 구체적으로는 각각의 조작구의 전환스위치(33a,34a,35a)에 의해 자동제어상태와 자동제어해제상태로 전환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자동제어해제상태에서는 각각의 조작구의 수동조절구(33b,34b,35b)의 조작에 의거하여 수평조절기구(9), 훑는 깊이 조절기구(10), 개방도조절기구(11) 각각이 수동조절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도 1과 도 4∼도 7을 참조하면서 상기 탑승운전부(5)에 대하여 설명한다. 탑승운전부(5)는 주행기체(2)의 우측상부 또한 전측에 탑재되어 있다. 이 탑승운전부(5)에는 운전작업자(조종작업자)가 착좌하기 위한 운전좌석(40)이 배열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주행기체(2)의 우측전부 또한 운전좌석(40) 전방에는 전면패널설치부(F)가 세워 설치되어 있다. 이 전면패널설치부(F)는 얇은 벽구성의 풋커버(41)와, 이 프론트풋커버(41)의 상방에 얹어놓인 주 조종반(42)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주행기체(2)의 우측전부 또한 운전좌석(40) 전방에 얇은 벽구성으로 되는 판벽형상의 프론트 풋커버(41)가 주행기체(2)의 전단가장자리를 따라서 세워설치되어 있다.
운전좌석(40)과 전면패널설치부(F) 사이에는 운전좌석(40)에 착좌한 작업자의 무릎이 들어갈 수 있는 공간(S)이 형성되고, 이 공간(S)에 전면패널설치부(F)가 오버행하고 있다. 즉, 전면패널설치부(F)는 운전좌석에 착좌한 작업자의 무릎이 들어갈 수 있도록 작업자의 무릎 위에 오버행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프론트 풋커버(41)가 그 상하방향의 중간위치(41M)에서 굴곡형성되고, 중간위치보다도 하부(41L)가 수직자세로 세워 설치되고, 상부(41U)가 상단측만큼 약간 운전좌석(40)측으로 접근하는 경사자세로 형성된다. 또, 주 조종반(42)의 상면(42U)이 운전좌석(40)의 좌면(40a) 높이보다도 상위레벨에 위치되어 있다. 주 조종반(42)은 그 하면측으로 돌출형성된 다리부(42a)를 통하여 프론트 풋커버(41) 상면에 대하여 얹어놓여 고정되어 있다.
또, 이 실시형태에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 조종반(42)의 하면(42L)에 하방 즉, 상기 공간(S)으로 개구한 오목형상의 부상부(42a,42a)가 형성되어 있다. 부상부(42a,42a)는 운전좌석(40)에 착좌한 작업자의 양무릎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고, 무릎이 들어가기 쉽도록 되어 있다. 부상부(42a,42a)는 주 조종반(42)의 하면(42L)에서 후측부(운전자석(40)에 대향하는 측부)(42R)에 걸쳐 연속적으로 뻗어 설치되어도 좋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 조종반(42)에는 그 좌우방향의 일단부측과 타단부측에 주행기체(2)를 조향조작하는 조향조작레버(조작구의 일예)(25)를 구비한 조향조작부(43)와 주행기체(2)의 좌우방향에서 수평자세를 제어하기 위한 수평제어장치(26)에 대응하는 조종패널부(44)가 각각 배열구비되어 있다. 주 조종반(42)의 좌우방향 중간부에는 표시패널부(45)가 배열설치되어 있다. 또한, 주 조종반(42)의 후단가장자리중, 표시패널부(45)와 조향조작부(43) 사이 및 표시패널부(45)와 조종패널부(44) 사이의 각각은 전방을 향하여 오목형성되어 있다.
보다 더 상세하게는, 조향조작부(43)는 주 조종반(42)의 우단부측에 배열설치되어 있다. 이 조향조작부(43)에는 상기 조향조작레버(25)가 세워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조향조작레버(25)를 중립상태가 되는 기립자세로 유지하면, 주행기체(2)를 직진시킬 수 있고, 또 상기 조향조작레버(25)를 중립상태에서 좌측으로 요동조작하면 주행기체(2)를 좌선회시킬 수 있고, 또, 상기 조향조작레버(25)를 중립상태에서 우측으로 요동조작하면 주행기체(2)를 우선회시킬 수 있다.
이 조향조작레버(25)는 열십자 요동 자유로이 구성되어 있어, 중립상태에서 전후방향으로 요동조작할 수 있다. 조향조작레버(25)를 중립상태가 되는 기립자세로 유지함으로써 예취부(3)의 승강을 정지시킬 수 있다. 또, 조향조작레버(25)를 중립상태에서 전방으로 요동조작하면 예취부(3)를 하강시킬 수 있다. 반대로 조향조작레버(25)를 중립상태에서 후방으로 요동조작하면 예취부(3)를 상승시킬 수 있다. 즉, 조향조작레버(25)는 예취부(3)를 승강조작하는 조작구로서의 승강조작레버로도 겸용되고 있다.
상기 조향조작부(43)에는 또한 조향조작레버(25)의 바로 앞에 위치하는 상태로 이 조향조작레버(25)를 조작하는 손의 손목부분을 지지해 놓기 위한 지지대(46)가 배열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하는 바와 같이 탑승운전부(5)를 구성함으로써 운전좌석(40) 전방의 전면패널설치부(F) 까지의 공간(S)을 확대할 수 있다. 게다가, 주 조종반(42)의 하방에 운전좌석(40)에 착좌한 운전작업자의 무릎이 들어가기 때문에 착좌한 운전작업자의 갑갑함을 경감할 수 있다. 또, 주 조종반(42)을 운전좌석(40)에 착좌한 운전작업자에 가깝게 할 수 있으므로 표시패널부(45)의 패널면(45a)에 표시된 각종 정보를 보기 쉽게 됨과 동시에, 조향조작레버(25)에 대한 조작성 및 조종패널부에 대한 보기 쉬움을 향상시킬 수도 있고, 양호한 조작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표시패널부(45)의 패널면(45a)은 운전좌석(40)에 착좌한 운전작업자 바로 전방에 위치한다. 따라서, 운전작업자는 시선을 상하로 움직이는 것만으로 기체전방과 표시패널부(45)의 패널면(45a)을 택일적으로 볼 수 있다. 이 패널면(45a)에는 예를 들면 연료잔량, 엔진회전수, 엔진부하, 훑는 깊이, 차프막힘, 겉겨만재와 같은 각종 정보가 표시된다.
조종패널부(44)는 주 조종반(42)의 좌단부측에 배열구비되어 있다. 즉, 조종패널부(44)의 패널면(44a)은 운전좌석(40)에 착좌한 운전작업자의 좌측경사 전방에 위치한다. 따라서, 운전작업자는 시선을 직전방과 좌측경사 전방으로 움직임으로써 기체전방과 조종패널부(44)의 패널면(44a)을 택일적으로 볼 수 있다. 조종패널부(44)의 패널면(44a)에는 상기 수평제어장치(26)에 대응하는 조작부(33)로서 전환스위치(33a)와 수동조절구(33b) 등이 배열구비됨과 동시에 주행기체(2)의 좌우방향에서의 기울기를 표시하는 자세표시부(36)가 배열구비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패널부(45)의 패널면(45a)과 조종패널부(44)의 패널면(44a)은 모두 기체후부측만큼 하방에 위치하는 경사면에 구성되어 있다. 또, 조종패널부(44)의 패널면(44a)의 경사각도 쪽이 표시패널부(45)의 패널면(45a)의 경사각도 보다도 급경사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운전좌석(40)에 착좌한 운전작업자로서는, 표시패널부(45)의 패널면(45a) 및 조종패널부(44)의 패널면(44a)이 한층 보기 쉬운 것으로 된다. 즉, 운전좌석(40)에 착좌한 운전작업자가 그대로의 착좌자세로 조종패널부(44)의 패널면(44a)을 정면으로 보기 쉽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4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론트 풋커버(41)의 좌측 측면가장자리부에서 운전좌석(40)의 좌측 옆쪽곁을 지나 운전좌석(40)의 좌측후부에 이르는 부위에는 사이드 풋커버(47)가 세워설치되어 있다. 이 사이드 풋커버(47) 상면에는 부 조종반(48)이 설치되고, 부 조종반(48)은 주 조종반(42)중 조종패널부(44) 상당개소 후부에서 운전좌석(40)의 좌측 옆쪽 곁에 걸쳐 뻗어 설치되어 있다. 더 상세하게는 부 조종반(48)의 상면이 조종패널부(44)의 패널면(44a) 후단가장자리 근방에서 운전좌석(40)의 좌측 옆쪽곁에 걸쳐 뻗어 설치되고, 부 조종반(48)의 상면에는 각종 조작구가 배열구비되어 있다.
부 조종반(48)의 상면에 배열구비되어 있는 각종 조작구로서는, 훑는 깊이 제어장치(27)용 조작구(34)로서 전환스위치(34a)와 수동조절구(34b)가 있고, 탈곡제어장치(28)용 조작구(35)로서 전환스위치(35a)와 수동조절구(35b)가 있다. 또, 주 변속레버(24), 탈곡클러치(도시생략)를 접속차단하는 탈곡클러치레버(49), 예취클러치(도시생략)를 온 오프하는 예취클러치레버(50) 등도 부 조종반(48)의 상면에 배열구비된 조작구이다. 부 조종반(48)의 우상면에는 앞에서 순차로 탈곡제어장치(28)용 전환스위치(35a)와 수동조절구(35b), 훑는 깊이 제어장치(27)용의 전환스위치(34a)와 수동조절구(34b)가 배열설치되어 있다. 부 조종반(48)의 좌상면에는 앞에서 순차로 주 변속레버(24), 탈곡클러치레버(49), 예취클러치레버(50)가 배치되어 있다.
그런데, 도 3에 도시한 각각의 제어장치중에는 일반적으로 수평제어장치의 사용빈도가 가장 높고, 이어서 탈곡제어장치, 훑는 깊이 제어장치의 순이다.
이 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에서는, 가장 사용빈도가 높은 수평제어장치(26)용 조작구(33)가 주 조작반(42)의 조종패널부(44)에 위치되어 있다. 탈곡제어장치(28)용 조작구(35)와 훑는 깊이 제어장치(27)용 조작구(34)는 부 조작반(48)에 배치되고, 또, 훑는 깊이 제어장치(27)용 조작구(34)를 탈곡제어장치(28)용 조작구(35)보다 부 조종반(48) 후부측에 위치시키고 있다. 또, 부 조종반(48) 상면에는 훑는 깊이 제어장치(27)에 대응하는 조작구(34)보다도 후부측에, 조작구(34)보다도 사용빈도가 낮은 다른 제어장치용 조작구(37)가 배치되어 있다. 즉, 사용빈도가 낮은 조작구일수록 부 조종반(48)에 있어서 후부측으로 위치되어 있다.
따라서, 주 조작반(42)의 조종패널부(44)와, 부 조종반(48)에 배열구비된 각종 제어장치용 조작구중에는 가장 사용빈도가 높은 수평제어장치(26)용 조작구(33)가 조작패널부(44)에 위치되고, 이 이외의 제어장치용 조작구(34,35,37)에 대하여는 사용빈도가 낮은 제어장치용 조작구일수록 부 조종반(48)의 후부측에 배치되어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좌석(40)의 우측 곁에는 언로더 조종탑(51)이 세워설치되어 있다. 이 언로더조종탑(51)에는 곡물탱크(7)에 저장된 탈곡낟알을 운반차 등의 하대나 다른 저장용기 등에 배출하기 위하여 상기 언로더(8)를 구동조작하는 조작레버(52)와, 언로더(8)의 승강 및 세로축심 주위에서의 회전운동을 행하는 수동조작구(53) 등이 배열구비되어 있다.
(제 2 실시형태)
도 8은, 주 조종반(42)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주 조종반(42)의 후단 가장자리가 좌우방향으로 연속하는 직선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기타 구성은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고, 제 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구성부분과 동일 구성 또는 동일기능을 갖는 구성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부기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제 3 실시형태)
도 9는 주 조종반(42)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주 조종반(42) 후단 가장자리가 표시패널부(45)측만큼 전방에 위치하는 만곡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기타 구성은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고, 제 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구성부분과 동일 구성 또는 동일기능을 갖는 구성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부기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기타의 실시형태)
(1)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수확기로서 콤바인을 예시했는데 이것에 한정되는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구성은 야채수확 등에도 적용된다.
(2)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탑승운전부(5)가 주행기체(2)의 우측상부 전측에 탑재되어 있는데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탑승운전부가(5) 주행기체(2)의 좌측상부 전측에 탑재되어 있는 수확기에 본 발명의 구성을 적용하여도 좋다. 이 경우, 부 조종반(48)은 주 조종반(42)의 우단부측에서 운전좌석(40)의 우측 옆쪽 곁에 걸친 상태로 설치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운전좌석을 후방으로 비키지 않고, 종래의 전면패널설치부를 설치한 운전부 구조에 비교하여 운전좌석의 전방공간을 넓힐 수 있다. 그 넓어진 전방공간에 운전좌석에 착좌한 작업자의 무릎이나 발목부분이 들어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운전좌석에 착좌한 작업자의 갑갑함을 경감할 수 있다. 게다가 작업자의 눈과 표시패널부의 패널면과의 간격이 과대해지는 일은 없기 때문에 패널면에 표시된 각종 정보가 보기 좋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또, 전면패널설치부의 상면에 배열구비된 조향레버나 스위치류 조작에도 지장은 없다.
또한, 풋커버가 얇은 벽으로 구성되면 운전좌석의 전방공간이 한층 커지기 때문에 작업자 무릎 등이 한층 들어가기 쉬운 구성으로 된다.
또한, 풋커버가 그 상하방향의 중간위치에서 굴곡되고, 그 중간위치보다 하부가 수직자세로 세워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중간위치보다 상부가 상단측일수록 상기 운전좌석측에 접근하는 경사자세로 형성되어 있으면 작업자의 무릎이 들어가기 쉬울 뿐더러 주 조종반을 운전좌석에 착좌한 작업자에 가깝게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표시패널부에 표시된 각종 정보가 보기 쉬워짐과 함께 조향조작용 조작구에 대한 조작성 및 조종패널부에 대한 보기 쉽게 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주 조종반의 상면이 운전좌석의 좌면보다 상위레벨에 설치되어 있으면 이 주 조종반 하방에 운전좌석에 착좌한 작업자 무릎이 들어가기 가능해진다. 또한, 주 조종반을 운전좌석에 착좌한 작업자에 가깝게 할 수 있으므로, 표시패널부에 표시된 각종 정보를 보기 쉬움과 함께 조향조작용 조작구에 대한 조작성 및 조종패널부에 대한 보기 쉬움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주 조종반 하면에 운전좌석에 착좌한 작업자의 무릎이 들어가기 가능한 공간으로 개구한 부상부(浮上部)가 형성되어 있으면 작업자의 갑갑함을 완화할 수 있음과 동시에 주 조종반을 운전좌석에 착좌한 작업자에 가깝게 하는 구성으로서 유리하다.
또한, 상기 주 조종반이 그 좌우방향에 있어서, 일단부측에 상기 주행기체를 조향조작하는 조작구를 갖는 조향조작부를 구비하고, 타단부측에 조종패널부를 구비하고, 좌우방향 중간부에 표시패널부를 구비하고, 상기 조종패널부 패널면이 기체 후부를 향하여 경사져 있으면 이 패널면이 수평일 경우에 비교하여 운전좌석에 착좌한 작업자에 있어서의 조종패널부의 패널면에 대한 보기 쉬움을 향상할 수 있다. 따라서, 조작성능을 한층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주 조종반의 상기 조종패널부를 구비한 개소의 후부에서 상기 운전좌석의 옆쪽 곁에 걸쳐 부 조종반이 설치됨과 동시에 이 부 조종반 상면이 상기 조종패널부의 패널면 후단가장자리 근방에서 운전좌석의 옆쪽 곁에 걸쳐 설치되어 있으면 다음 점에서 유리하다. 즉, 조종패널부 패널면이 부 조종반의 상면보다 상방에 위치하게 되므로 조종패널부의 패널면에 대한 시야가 부 조종반에 의해 차단되는 일이 없다. 따라서, 부 조종반을 설치하여도 조종패널부의 패널면에 대한 보기 쉬움을 확보할 수 있다. 또 상기 조종패널부와 상기 부 조종반에 복수의 조작구가 배열구비되는 경우는 이들 조작구중 가장 사용빈도가 높은 조작구가 조종패널부에 설치됨과 동시에, 사용빈도가 낮은 조작구일수록 상기 부 조종반의 후부측에 설치되는 것도 유리한 구성이다. 이같이 구성할 경우는, 사용빈도가 높은 조작구일수록 전방에 위치하므로 조종패널부와 부 조종반에 배열구비된 각종 조작구를 조작하기 위하여 작업자의 시선을 주행기체의 전방에서 조작구측으로 이동하면 가장 사용빈도가 높은 조작구에서 순차로 작업자의 시선에 들어오기 쉽다. 따라서, 사용빈도가 높은 조작구일수록 신속하게 발견하여 조작할 수 있고, 더 한층 조작성능 향상을 촉진할 수 있다.

Claims (6)

  1. 주행기체(2)의 앞부분에 설치되는 운전좌석(40)과, 이 운전좌석(40)의 전방에 세워설치되는 전면패널설치부(F)를 구비한 수확기의 운전부 구조로서, 상기 전면패널설치부(F)가 풋커버(41)와, 이 풋커버(41)의 상부에 얹어 놓이는 주 조종반(42)을 갖는 수확기의 운전부 구조에 있어서,
    상기 운전좌석(40)과 상기 전면패널설치부(F) 사이에 상기 운전좌석(40)에 착좌한 작업자의 무릎이 들어갈 수 있게 되는 공간(S)이 형성되고, 상기 전면패널설치부(F)가 이 공간(S)에 오버행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확기의 운전부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풋커버(41)가 얇은 벽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확기의 운전부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풋커버(41)가 그 상하방향의 중간위치(41M)에서 굴곡되고, 이 중간위치(41M)보다도 하부(41L)가 수직자세로 세워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부(41U)가 상단측만큼 상기 운전좌석(40)측으로 가까워지는 경사자세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확기의 운전부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 조종반(42)의 상면(42U)이 상기 운전좌석(40)의좌면(40a)보다 상위레벨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확기의 운전부구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 조종반(42)의 하면(42L)에, 상기 공간(S)으로 개구되는 부상부(42a)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확기의 운전부구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 조종반(42)이 그 좌우일단부에, 상기 주행기체(2)를 조향조작하는 조작구(25)를 갖는 조향조작부(43)를 구비하고, 타단부에 조종패널부(44)를 구비하고, 좌우방향 중간부에 표시패널부(45)를 구비하며, 상기 조종패널부(44)의 패널면(44a)이 기체후부를 향하여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확기의 운전부구조.
KR1020000011281A 1999-05-19 2000-03-07 수확기의 운전부 구조 KR1003369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9-138518 1999-05-19
JP13851899A JP3919382B2 (ja) 1999-05-19 1999-05-19 コンバインの運転部構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6745A KR20010006745A (ko) 2001-01-26
KR100336905B1 true KR100336905B1 (ko) 2002-05-15

Family

ID=152240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1281A KR100336905B1 (ko) 1999-05-19 2000-03-07 수확기의 운전부 구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3919382B2 (ko)
KR (1) KR100336905B1 (ko)
CN (1) CN1230064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2507B1 (ko) * 2005-02-28 2007-06-27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콤바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31878B2 (ja) * 2001-03-30 2011-12-07 株式会社クボタ 収穫作業機のフロントパネル構造
JP2003009633A (ja) * 2001-06-27 2003-01-14 Kubota Corp 収穫作業機のフロントパネル構造
JP2003047321A (ja) * 2001-08-07 2003-02-18 Seirei Ind Co Ltd コンバイン
JP4834439B2 (ja) * 2006-03-30 2011-12-14 キヤノン株式会社 ステージ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露光装置及びデバイス製造方法
JP4838344B2 (ja) * 2009-11-16 2011-12-14 株式会社クボタ 収穫作業機のフロントパネル構造
JP5559741B2 (ja) * 2011-05-24 2014-07-23 株式会社クボタ 収穫作業機のフロントパネル構造
CN102696334B (zh) * 2012-06-20 2014-10-22 中国农业大学 一种自走式方草捆压捆机
JP5940030B2 (ja) * 2013-07-29 2016-06-29 株式会社クボタ 収穫作業機のフロントパネル構造
JP6811687B2 (ja) * 2017-06-29 2021-01-13 株式会社クボタ コンバイン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2507B1 (ko) * 2005-02-28 2007-06-27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콤바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0324934A (ja) 2000-11-28
JP3919382B2 (ja) 2007-05-23
CN1274520A (zh) 2000-11-29
KR20010006745A (ko) 2001-01-26
CN1230064C (zh) 2005-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36905B1 (ko) 수확기의 운전부 구조
KR102064096B1 (ko) 콤바인
JP4935142B2 (ja) コンバイン
JP4250606B2 (ja) 刈取収穫機の姿勢制御装置
JP3828417B2 (ja) コンバイン
CN110959368B (zh) 联合收割机
JP2011087532A (ja) 作業車
JP3652264B2 (ja) 刈取収穫機の姿勢制御装置
JP4904790B2 (ja) コンバイン
JP3652266B2 (ja) 作業車
JP3652261B2 (ja) 作業車の姿勢制御装置
JP3699204B2 (ja) コンバインの姿勢制御装置
JP3719943B2 (ja) 刈取収穫機の姿勢制御装置
JP3652253B2 (ja) 作業車の姿勢制御装置
JP3719942B2 (ja) 刈取収穫機の姿勢制御装置
JP2000139184A (ja) コンバイン
JP2024005506A (ja) コンバイン
JP2002272243A (ja) 作業車
JP2024005504A (ja) コンバイン
JP2861145B2 (ja) コンバイン等の姿勢制御装置
JP2024005505A (ja) コンバイン
JPH09154376A (ja) コンバイン
JPH074110B2 (ja) コンバインにおける穀粒排出用オーガの操作装置
JP2002262641A (ja) 作業車
JPH04349817A (ja) コンバインの車体水平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6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9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30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7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7

Year of fee payment: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