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44243A - 작업차 및 콤바인 - Google Patents
작업차 및 콤바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044243A KR20120044243A KR1020110096883A KR20110096883A KR20120044243A KR 20120044243 A KR20120044243 A KR 20120044243A KR 1020110096883 A KR1020110096883 A KR 1020110096883A KR 20110096883 A KR20110096883 A KR 20110096883A KR 20120044243 A KR20120044243 A KR 2012004424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ate
- clutch
- engine
- work
- uprigh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01D41/127—Control or measur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e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01D41/127—Control or measur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es
- A01D41/1274—Control or measur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es for drive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69/00—Driving mechanisms or parts thereof for harvesters or mowers
- A01D69/08—Clutche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18—Threshing devic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29/00—Controlling engines, such controlling being peculiar to the devices driven thereby, the devices being other than parts or accessories essential to engine operation, e.g. controlling of engines by signals external thereto
- F02D29/02—Controlling engines, such controlling being peculiar to the devices driven thereby, the devices being other than parts or accessories essential to engine operation, e.g. controlling of engines by signals external thereto peculiar to engines driving vehicles; peculiar to engines driving variable pitch propeller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06—Control or measuring arrangement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58—Control devices; Brakes; Bearing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 Combines (AREA)
- Outside Dividers And Delivering Mechanisms For Harves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작업을 행하기 위한 적정한 준비가 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운전자가 실수로 차체를 주행시켜 작업을 개시시키는 것을 회피시킬 수 있는 작업차를 제공하는 것이다.
엔진의 회전수를 검출하는 엔진 회전수 센서(53)와, 엔진의 출력이 작업 장치에 전달되고 있는 구동 상태인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조작체 위치 검출용 센서(43)와, 운전자에 대한 통지 작동을 행하는 표시 램프(54)와, 표시 램프(54)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42)가 구비되고, 제어부(42)가 엔진 회전수 센서(53)에 의해 검출되는 엔진 회전수가 정격 회전수이며 또한 조작체 위치 검출용 센서(43)에서 구동 상태인 것이 검출되면, 통지 작동을 실행하도록 표시 램프(54)를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엔진의 회전수를 검출하는 엔진 회전수 센서(53)와, 엔진의 출력이 작업 장치에 전달되고 있는 구동 상태인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조작체 위치 검출용 센서(43)와, 운전자에 대한 통지 작동을 행하는 표시 램프(54)와, 표시 램프(54)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42)가 구비되고, 제어부(42)가 엔진 회전수 센서(53)에 의해 검출되는 엔진 회전수가 정격 회전수이며 또한 조작체 위치 검출용 센서(43)에서 구동 상태인 것이 검출되면, 통지 작동을 실행하도록 표시 램프(54)를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엔진에 의해 구동되는 주행 장치와, 상기 엔진에 의해 구동되는 작업 장치와, 상기 엔진의 출력을 상기 작업 장치에 전달하는 온(ON) 상태와 전달을 차단하는 오프(OFF) 상태로 절환 가능한 작업 클러치와, 상기 엔진의 출력을 변경 조정 가능한 액셀러레이터 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주행 장치에 의해 차체를 주행시키면서 상기 작업 장치에 의해 작업을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작업차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2줄의 이식줄의 직립 곡물대의 도입이 가능한 횡폭을 갖는 1개의 일으켜 세움 경로와, 상기 일으켜 세움 경로의 횡폭 방향에서의 중심에 대해서 일으켜 세움 경로 횡 일단부측으로 치우친 상기 일으켜 세움 경로의 부위에서 상승 이동하는 일으켜 세움 갈고리를 구비하고, 상기 일으켜 세움 경로에 도입된 2줄의 직립 곡물대를 상기 일으켜 세움 갈고리에 의해 일으켜 세움 처리하는 일으켜 세움 장치와, 상기 일으켜 세움 장치에 의한 일으켜 세운 곡물대를 예취하는 예취 장치와, 반송 하류측만큼 주행 기체 횡측 및 주행 기체 후방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예취 장치에 대하여 경사진 반송 경로를 구비하고, 상기 일으켜 세움 장치에 의한 일으켜 세운 곡물대 및 상기 예취 장치에 의한 예취 곡물대의 밑동측을 상기 반송 경로를 따르게 하여 반송하는 밑동 반송 장치를 구비한 예취 전처리부가 장비된 콤바인에 관한 것이다.
상기 작업차의 일례로서의 콤바인에 있어서, 종래에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 것이 있었다.
즉, 상기 작업 장치로서의 탈곡 장치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작업 클러치로서 엔진의 출력을 탈곡 장치에 전달하는 온 상태와 전달을 차단하는 오프 상태로 절환 가능한 탈곡 클러치를 구비하고, 또한 작업 지령 수단으로서의 작업 개시 지령 스위치의 조작을 기초로 하여, 탈곡 클러치의 온 상태와 오프 상태의 절환 조작 및 액셀러레이터 수단의 정격 회전 상태와 아이들링 상태의 절환 조작을 1개의 전동 모터에 의해 행하도록 되어 있어, 램프가 달린 무로크 스위치에 의해 구성되는 작업 개시 지령 스위치가 온 조작되면, 그 작업 개시 지령 스위치에 구비된 램프를 점등하고, 액셀러레이터 수단을 정격 회전 상태로 절환하고 또한 탈곡 클러치를 온 상태로 절환하도록 전동 모터를 작동시키도록 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이하, 제1 종래예라고 함).
상기 구성은, 콤바인에 의해 예취 작업을 행할 경우에, 운전자가 작업 개시 지령 스위치를 조작하는 것만으로, 엔진이 정격 회전수로 회전하는 상태가 되고, 게다가 탈곡 클러치(작업 클러치)가 온 상태로 절환되므로, 수동 조작에 의해 엔진 회전수를 변경 조정하거나, 탈곡 클러치를 온 조작하는 등의 조작이 불필요해져, 조작의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 엔진이 정격 회전수로 회전하는 상태가 되어, 탈곡 클러치가 온 상태로 절환된 후, 예취 작업을 개시할 때는 예취 클러치를 온 상태로 하여 차체의 전방부에 설치된 예취 처리 장치를 작동시켜서 주행 장치에 의해 차체를 주행시키면서 예취 작업을 실행하게 된다.
종래의 작업차로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 외에, 작업 클러치의 온 상태와 오프 상태의 절환 조작 및 액셀러레이터 수단의 정격 회전 상태와 아이들링 상태의 절환 조작을 각각 다르게 수동 조작에 의해 행하도록 한 것도 있다(이하, 제2 종래예라고 함).
또한, 상기한 콤바인은, 2줄의 직립 곡물대를 1개의 일으켜 세움 경로에 도입해서 일으켜 세움 장치에 의해 한데 모아서 일으켜 세움 처리하도록 예취 전처리부의 구조를 간략화하는 것, 혹은 1개의 일으켜 세움 경로에 2줄의 직립 곡물대를 도입하는 예취 형태와 1개의 일으켜 세움 경로에 1줄의 직립 곡물대를 도입하는 예취 형태를 선택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콤바인으로서, 종래, 예를 들어 특허문헌 2에 기재된 것이 있었다.
특허문헌 2에 기재된 것에서는, 2줄의 직립 곡물대를 기체 우측의 분초구(分草具)와 중 분초구 사이로 도입해서 우측의 일으켜 세움 장치에 의해 일으켜 세움 처리하는 동시에 예취 장치에 의해 예취 처리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반송 하류측만큼 주행 기체 횡측 및 주행 기체 후방측에 위치하도록 예취 장치에 대하여 경사진 반송 경로를 구비하고, 일으켜 세움 장치에 의한 일으켜 세운 곡물대 및 예취 장치에 의한 예취 곡물대의 밑동측을 반송 경로를 따르게 하여 반송하는 밑동 반송 장치로서의 우측의 앞 반송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1 종래예에서는, 작업 개시 지령 스위치가 온하면, 액셀러레이터 수단을 정격 회전 상태로 절환하고 또한 탈곡 클러치(작업 클러치)를 온 상태로 절환하도록 전동 모터(절환 조작용 구동 수단)를 작동시키는 것이지만, 작업 개시 지령 스위치가 온하고나서 전동 모터에 의한 절환 조작이 종료될 때까지, 즉 작업 개시 지령 스위치가 온 조작되고나서, 실제로 엔진 회전수가 정격 회전수가 되고 또한 탈곡 클러치가 온 상태로 절환되기까지의 동안에는, 전동 모터에 의한 동작을 실행하기 위해 시간이 걸린다(예를 들어 몇 초간 정도).
그러나 운전자는, 작업 개시 지령 스위치를 조작하면, 그 작업 개시 지령 스위치에 구비된 램프가 점등하므로, 그 램프의 점등에 의해 작업 개시 지령 스위치의 지령에 수반하는 작동이 적절하게 행해진 것이라 착각하여, 차체를 주행시켜서 예취 작업을 개시하는 경우가 있다.
그 결과, 전동 모터에 의한 절환 조작이 종료되기 전에, 즉 엔진 회전수가 정격 회전수가 되어 있고 또한 탈곡 클러치가 완전히 온 상태로 절환되어 있는 상태가 되기 전에, 바꾸어 말하면, 예취 작업을 행하기 위한 적정한 준비가 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차체를 주행시켜 예취 작업을 개시해 버리게 되어, 차체 주행에 수반하여 발생하는 주행 부하에 의해 정격 회전수보다도 낮은 회전수로 회전하고 있는 엔진에 대하여 과대한 부하가 걸려 엔진이 고장나거나, 탈곡 장치(작업 장치)에서의 탈곡 작업을 양호하게 행할 수 없는 상태에서 예취 작업이 행해지는 등의 우려가 있었다.
또, 상기 제2 종래예에 있어서도, 탈곡 클러치의 온 상태와 오프 상태의 절환 조작 및 액셀러레이터 수단의 정격 회전 상태와 아이들링 상태의 절환 조작을 각각 별도로 수동 조작에 의해 행하는 구성이므로, 운전자가 실수로 탈곡 클러치의 온 상태로의 절환 조작이나 액셀러레이터 수단의 정격 회전 상태로의 절환 조작을 행하지 않은 채, 바꾸어 말하면, 예취 작업을 행하기 위한 적정한 준비가 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그것을 알아차리지 못하고 차체를 주행시켜 예취 작업을 개시할 우려가 있어, 마찬가지의 불리한 면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작업을 행하기 위한 적정한 준비가 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운전자가 실수로 차체를 주행시켜 작업을 개시시키는 것을 회피시킬 수 있는 작업차를 제공하는 점에 있다.
또한, 이러한 종류의 콤바인에서는, 일으켜 세움 경로에 도입된 2줄의 직립 곡물대 중 일으켜 세움 갈고리로부터 먼 측에 밑동이 위치하는 직립 곡물대는, 이삭 끝측이 밑동으로부터 일으켜 세움 경로의 횡 일단부측에 떨어져 위치하는 상태에서 일으켜 세움 갈고리에 의한 끌어당김을 받으면서 일으켜 세움 처리되고, 일으켜 세움 갈고리에 의한 끌어당김 상태에서 예취 장치에 공급되어 예취 처리되므로, 밑동 반송 장치에 의해 반송되는 예취 곡물대에, 밑동측이 밑동 반송 장치로부터 하방으로 길게 돌출된 것이 혼재한다. 밑동 반송 장치로부터 하방으로 길게 돌출한 밑동측이 예취 장치를 타지 않고, 예취 장치로부터 전방으로 벗어나는 경우가 있으면, 예취 장치로부터 벗어난 밑동측이 농지면에 접촉하여, 밑동 반송 장치에 의해 반송되어야 할 예취 곡물대가 밑동 반송 장치로부터 빠져 나가기 쉬워진다. 또한, 예취 곡물대의 반송 자세에 흐트러짐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반송 불량을 회피하기 쉬운 콤바인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작업차는, 엔진에 의해 구동되는 주행 장치와, 상기 엔진에 의해 구동되는 작업 장치와, 상기 엔진의 출력을 상기 작업 장치에 전달하는 온 상태와 전달을 차단하는 오프 상태로 절환 가능한 작업 클러치와, 상기 엔진의 출력을 변경 조정 가능한 액셀러레이터 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주행 장치에 의해 차체를 주행시키면서 상기 작업 장치에 의해 작업을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며, 그 제1 특징 구성은, 상기 작업 클러치가 수동 또는 자동으로 조작됨으로써, 상기 엔진의 출력이 상기 작업 장치에 전달되고 있는 구동 상태로 절환되도록 구성되고, 또한 상기 액셀러레이터 수단이 수동 또는 자동으로 조작됨으로써, 엔진 회전수가 정격 회전수가 되도록 상기 엔진의 출력을 변경 조정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엔진의 회전수를 검출하는 회전수 검출 수단과, 상기 엔진의 출력이 상기 작업 장치에 전달되고 있는 구동 상태인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구동 상태 검출 수단과, 운전자에 대한 통지 작동을 행하는 통지 수단과, 상기 통지 수단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제어 수단이 상기 회전수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되는 엔진 회전수가 정격 회전수이며 또한 상기 구동 상태 검출 수단에 의해 상기 구동 상태인 것이 검출되면, 통지 작동을 실행하도록 상기 통지 수단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점에 있다.
제1 특징 구성에 따르면, 작업 클러치가 수동 또는 자동으로 조작됨으로써 엔진의 출력이 작업 장치에 전달되고 있는 구동 상태로 절환되고, 액셀러레이터 수단이 수동 또는 자동으로 조작됨으로써, 엔진 회전수가 정격 회전수가 되도록 엔진의 출력을 변경 조정되게 되지만, 제어 수단은 회전수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되는 엔진 회전수가 정격 회전수이며, 또한 구동 상태 검출 수단에 의해 엔진의 출력이 작업 장치에 전달되고 있는 구동 상태인 것이 검출되면, 통지 작동을 실행하도록 통지 수단을 제어한다.
즉, 통지 수단에 의해 통지 작동이 행해짐으로써, 운전자는 엔진이 정격 회전수로 구동되고 있으며, 게다가, 작업 클러치가 온 상태로 절환되어 엔진의 출력이 작업 장치에 전달되고 있는 상태, 즉 작업을 행하기 위한 적정한 준비가 되어 있는 상태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통지 수단에 의해 통지 작동이 행해지지 않으면, 작업을 행하기 위한 적정한 준비가 되어 있지 않은 상태인 것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이 된다.
따라서, 작업을 행하기 위한 적정한 준비가 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운전자가 실수로 차체를 주행시켜 작업을 개시시키는 것을 회피시킬 수 있는 작업차를 제공할 수 있는 데 이르렀다.
본 발명의 제2 특징 구성은, 제1 특징 구성에다가, 상기 작업 클러치 및 상기 액셀러레이터 수단을 자동으로 절환 조작하는 절환 조작용 구동 수단과, 작업 개시 지령을 지령하는 수동 조작식의 작업 지령 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제어 수단이 상기 작업 지령 수단에 의해 상기 작업 개시 지령이 지령되면, 상기 액셀러레이터 수단을 정격 회전 상태로 하고 또한 상기 작업 클러치를 상기 온 상태로 하기 위해 상기 절환 조작용 구동 수단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되고, 또한 상기 작업 지령 수단에 의해 상기 작업 개시 지령이 지령된 후, 상기 회전수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되는 엔진 회전수가 정격 회전수이며 또한 상기 구동 상태 검출 수단에 의해 상기 구동 상태인 것이 검출되면, 통지 작동을 실행하도록 상기 통지 수단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점에 있다.
제2 특징 구성에 따르면, 통지 수단은 회전수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되는 엔진 회전수가 정격 회전수라고 하는 조건 및 구동 상태 검출 수단에 의해 상기 구동 상태인 것이 검출되고 있다고 하는 조건의 2개의 조건이 각각 성립되고 있다면 점등하지만, 작업 지령 수단에 의해 작업 개시 지령이 지령된 경우라도, 상기 2개의 조건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의 조건이 성립되지 않으면, 작동하지 않는 것이다.
즉, 운전자는 통지 수단의 작동에 의해, 엔진 회전수가 정격 회전수가 되어 있으며, 게다가 작업 클러치가 온 상태가 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이며, 운전자가 작업 지령 수단에 의해 작업 개시 지령이 지령된 후에, 통지 수단의 작동 상태를 확인하고나서, 차체를 주행시켜 작업을 개시시키도록 하면, 그때는 엔진 회전수가 정격 회전수가 되어 있고 또한 작업 클러치가 온 상태로 절환되어 있게 된다.
따라서, 작업 지령 수단에 의해 작업 개시 지령이 지령되었을 때부터, 엔진 회전수가 정격 회전수가 되고 또한 작업 클러치가 온 상태가 되기까지의 동안에, 바꾸어 말하면, 작업을 행하기 위한 적정한 준비가 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운전자가 실수로 차체를 주행시켜 작업을 개시시키는 것을 회피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제3 특징 구성은, 제2 특징 구성에다가, 상기 제어 수단이 상기 통지 수단에 의해 통지 작동을 실행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상기 엔진 회전수가 설정 회전수 이하가 되면 상기 통지 수단의 작동 형태를 변경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점에 있다.
제3 특징 구성에 따르면, 상기 통지 수단을 작동시키고 있는 상태, 즉 엔진 회전수가 정격 회전수이며, 게다가 엔진의 출력이 작업 장치에 전달되고 있는 구동 상태일 때에, 엔진 회전수가 설정 회전수 이하가 되면, 통지 수단의 작동 형태가 변경되게 된다.
이와 같이 통지 수단의 작동 형태가 변경됨으로써, 운전자는 엔진 회전수가 설정 회전수 이하가 되어 있으며, 엔진에 걸리는 부하가 커지고 있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운전자는 예를 들어 차속을 저하시켜 엔진에 걸리는 부하를 저감시키는 등의 대책을 취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제4 특징 구성은, 제3 특징 구성에다가, 상기 제어 수단이 상기 엔진 회전수가 상기 설정 회전수보다도 낮게 설정되어 있는 하한 회전수 이하가 되면 상기 통지 수단의 통지 작동을 정지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점에 있다.
제4 특징 구성에 따르면, 엔진 회전수가 하한 회전수 이하가 되면, 통지 수단의 작동이 정지하게 되므로, 운전자는 예를 들어 차속을 저하시키는 등의 대책을 취했음에도, 작업 장치에서 이상이 발생하는 등에 의해, 엔진에 걸리는 부하가 과대해져 있는 긴급 상태인 것을 인식할 수 있다.
작업 장치의 이상으로서는, 예를 들어 작업차의 일례로서 콤바인의 경우이면, 작업 장치로서의 탈곡 장치에 의해 볏짚 배출이 반송 경로 중에서 막히는 등의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운전자는 통지 수단의 작동이 정지함으로써, 엔진에 걸리는 부하가 과대해져 있는 긴급 상태인 것을 인식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차체의 주행을 정지시켜 이상 상태를 해소하는 등, 긴급 시에 있어서의 대책을 취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제5 특징 구성은, 제4 특징 구성에다가, 상기 엔진의 부하가 과대한 것을 통지하는 과부하 상태 통지 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제어 수단이 상기 엔진 회전수가 상기 하한 회전수를 하회함으로써 상기 통지 수단의 통지 작동을 정지시킬 때에, 상기 과부하 상태 통지 수단을 작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점에 있다.
제5 특징 구성에 따르면, 엔진 회전수가 하한 회전수 이하가 됨으로써 통지 수단의 작동을 정지시킬 때에, 과부하 상태 통지 수단을 작동시켜 엔진의 부하가 과대한 것을 통지하므로, 운전자가, 예를 들어 작업 장치에서 이상이 발생하는 등의 어떠한 이상에 의해 엔진에 걸리는 부하가 과대해져 있는 것을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6 특징 구성은, 제2 특징 구성 내지 제5 특징 구성 중 어느 하나에다가, 상기 제어 수단이 상기 작업 지령 수단에 의해 작업 정지 지령이 지령되면, 상기 작업 클러치를 상기 오프 상태로 조작하기 위해 상기 절환 조작용 구동 수단의 작동을 제어하고, 또한 상기 통지 수단의 통지 작동을 정지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점에 있다.
제6 특징 구성에 따르면, 작업 지령 수단에 의해 작업 정지 지령이 지령되면, 절환 조작용 구동 수단의 작동에 의해 작업 클러치가 오프 상태로 조작되고, 또한 통지 수단의 작동이 정지하게 되므로, 운전자는 작업 클러치가 오프 상태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 엔진 회전수에 대해서는, 작업 지령 수단에 의해 작업 정지 지령이 지령되면, 아이들링 회전수에까지 저하시키도록 해도 좋고, 또 정격 회전수로 유지하도록 해도 좋다.
본 발명의 제7 특징 구성은, 제2 특징 구성 내지 제6 특징 구성 중 어느 하나에다가, 상기 작업 장치가 탈곡 장치이며, 상기 작업 클러치가 상기 엔진의 출력을 상기 탈곡 장치에 전달하는 온 상태와 전달을 차단하는 오프 상태로 절환 가능한 탈곡 클러치이며, 예취 처리 장치와, 상기 엔진의 출력을 그 예취 처리 장치에 전달하는 온 상태와 전달을 차단하는 오프 상태로 절환 가능한 예취 클러치와, 예취 작업 개시 조건이 충족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운전 조작 상태를 검출하는 운전 조작 상태 검출 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절환 조작용 구동 수단이 예취 클러치를 절환 조작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어 수단이 상기 작업 지령 수단에 의해 상기 작업 개시 지령이 지령되어, 상기 액셀러레이터 수단이 정격 회전 상태이며 또한 상기 탈곡 클러치가 상기 온 상태일 때에, 상기 운전 조작 상태 검출 수단의 검출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예취 작업 개시 조건이 충족되어 있는 것을 판별하면 상기 예취 클러치를 온 상태로 하고, 또한 상기 예취 작업 개시 조건이 충족되어 있지 않은 것을 판별하면 상기 예취 클러치를 오프 상태로 하기 위해, 상기 절환 조작용 구동 수단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점에 있다.
탈곡 장치와 예취 처리 장치를 구비한 작업차의 일례로서의 콤바인에서는, 예를 들어 엔진을 시동시켜 작업을 행할 때에는, 우선 탈곡 클러치가 오프 상태이고 또한 액셀러레이터 수단이 아이들링 상태가 되는 상태에서 엔진을 시동시키고, 다음에, 그 엔진의 시동 상태에 있어서, 액셀러레이터 수단을 정격 회전 상태로 조작하고 또한 탈곡 클러치를 온 상태로 조작하게 되지만, 제7 특징 구성에 따르면, 엔진의 시동 상태에 있어서, 액셀러레이터 수단을 정격 회전 상태로 조작하고 또한 탈곡 클러치를 온 상태로 조작하는 것을, 작업 지령 수단에 의해 작업 개시 지령을 지령한다고 하는 간단한 조작으로 행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작업 지령 수단에 의해 작업 개시 지령이 지령되어, 액셀러레이터 수단이 정격 회전 상태이며 또한 탈곡 클러치가 온 상태일 때에, 운전 조작 상태 검출 수단에 의해 예취 작업 개시 조건이 충족되어 있는 것을 판별하면 예취 클러치를 온 상태로 하고, 또한 예취 작업 개시 조건이 충족되어 있지 않은 것을 판별하면 예취 클러치를 오프 상태로 하기 위해, 절환 조작용 구동 수단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이다. 예취 작업 개시 조건으로서는, 예를 들어 주행 변속 조작구가 뉴트럴 위치 이외의 위치로 조작되는 것, 바꾸어 말하면, 전진 또는 후진으로 주행하는 상태로 조작되는 것이나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예취 처리 장치가 작업용의 저 위치에까지 하강한 것, 혹은 예취 지령용의 스위치에 의해 예취 작업이 지령되는 것 등의 다양한 조건이 있다.
즉, 탈곡 클러치와 액셀러레이터 수단의 절환 조작뿐만 아니라, 예취 클러치의 절환 조작도 합해서 절환 조작용 구동 수단에 의해 행하도록 했으므로, 콤바인에 있어서의 조작의 간략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8 특징 구성은, 제7 특징 구성에다가, 상기 운전 조작 상태 검출 수단이 주행 변속 조작구의 변속 조작 위치를 검출하는 조작 위치 검출 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어 수단이 상기 주행 변속 조작구가 전진 주행용 조작 위치이고 또한 설정 속도 이상의 고속측으로 조작되면, 상기 예취 작업 개시 조건이 만족되었다고 판별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점에 있다.
제8 특징 구성에 따르면, 주행 변속 조작구가 전진 주행용 조작 위치이고 또한 설정 속도 이상의 고속측으로 조작되면, 바꾸어 말하면, 차체를 전진측으로 주행시키면, 예취 작업 개시 조건이 충족되었다고 판별함으로써, 예취 클러치를 온 상태로 하는 것이며, 운전자는 주행을 개시시키는 조작을 행하는 것만으로 예취 클러치를 온 상태로 절환해서 예취 작업을 개시할 수 있다. 또, 주행 정지 중에는 예취 클러치가 오프 상태로 유지되므로 예취 처리 장치를 뜻하지 않게 구동시키는 등의 문제가 없다.
본 발명의 제9 특징 구성은, 제1 특징 구성에다가, 상기 작업 클러치가 수동 조작을 기초로 하여 상기 온 상태와 상기 오프 상태로 절환 가능하게 구성되고, 또한 상기 액셀러레이터 수단이 수동 조작을 기초로 하여 상기 엔진의 출력을 변경 조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점에 있다.
제9 특징 구성에 따르면, 작업을 개시할 때에는 액셀러레이터 수단을 수동 조작하여 엔진 회전수가 정격 회전수가 되도록 엔진의 출력을 변경 조정하고, 작업 클러치를 수동 조작하여 온 상태로 절환하게 된다. 그리고 액셀러레이터 수단 및 작업 클러치의 조작이 적정하게 행해지면, 회전수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되는 엔진 회전수가 정격 회전수이며, 또한 구동 상태 검출 수단에 의해 엔진의 출력이 작업 장치에 전달되고 있는 구동 상태인 것이 검출되어, 통지 수단이 통지 작동을 실행한다. 이에 반해, 액셀러레이터 수단 및 작업 클러치의 조작이 적정하게 행해져 있지 않으면, 통지 수단이 통지 작동을 실행하지 않는 것이다.
따라서, 작업 클러치의 온 상태와 오프 상태의 절환 조작 및 액셀러레이터 수단의 정격 회전 상태와 아이들링 상태의 절환 조작을 각각 별도로 수동 조작에 의해 행하도록 한 경우라도, 작업을 행하기 위한 적정한 준비가 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운전자가 실수로 차체를 주행시켜 작업을 개시시키는 것을 회피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제10 특징 구성은, 제9 특징 구성에다가, 상기 작업 장치가 탈곡 장치이며, 상기 작업 클러치가 상기 엔진의 출력을 상기 탈곡 장치에 전달하는 온 상태와 전달을 차단하는 오프 상태로 절환 가능한 탈곡 클러치이며, 예취 처리 장치와, 수동 조작을 기초로 하여 상기 엔진의 출력을 상기 예취 처리 장치에 전달하는 온 상태와 전달을 차단하는 오프 상태로 절환 가능한 예취 클러치가 구비되고, 상기 구동 상태 검출 수단이 상기 엔진의 출력이 상기 탈곡 장치 및 상기 예취 처리 장치에 전달되고 있는 상태를 상기 구동 상태로서 검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점에 있다.
탈곡 장치와 예취 처리 장치를 구비한 작업차의 일례로서의 콤바인에서는, 예를 들어 엔진을 시동시켜 작업을 행할 때에는, 우선 탈곡 클러치가 오프 상태이고 또한 액셀러레이터 수단이 아이들링 상태가 되는 상태에서 엔진을 시동시키고, 다음에, 그 엔진의 시동 상태에 있어서, 액셀러레이터 수단을 정격 회전 상태로 조작하고 또한 탈곡 클러치를 온 상태로 조작하고, 또한 예취 클러치를 온 상태로 조작함으로써, 예취 작업이 가능한 상태가 되지만, 제10 특징 구성에 따르면, 구동 상태 검출 수단이 엔진의 출력이 탈곡 장치 및 예취 처리 장치에 전달되고 있는 상태를 구동 상태로서 검출하므로, 탈곡 클러치 및 예취부 클러치가 각각 온 상태가 되어 있는 것을 적절하게 검출할 수 있다.
따라서, 탈곡 클러치 및 예취 클러치가 각각 온 상태로 절환되고 있어, 엔진 회전수가 정격 회전수가 되어 있는 상태, 즉 예취 작업을 행하기 위한 적정한 준비가 되어 있는 상태인 것을, 통지 수단의 통지 작동에 의해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1 특징 구성은, 제1 특징 구성 내지 제10 특징 구성 중 어느 하나에다가, 차체 조종부의 운전 좌석의 횡측부에 설치된 측부 패널의 전단부에 위치하는 패널부에, 상기 통지 수단으로서의 표시 램프가 설치되어 있는 점에 있다.
제11 특징 구성에 따르면, 운전 좌석의 횡측부에 설치된 측부 패널의 전단부에 위치하는 패널부에 통지 수단으로서의 표시 램프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운전 좌석에 착석하고 있는 운전자에 대하여 차체 전방측의 하방측에 위치하는 부위에 표시 램프가 위치하게 된다.
그 결과, 운전 좌석에 착석해서 전방을 주시하면서 운전 조작하고 있는 운전자가 표시 램프의 표시 상태를 보기 쉬운 것이 되고, 실제로 엔진 회전수가 정격 회전수이며 또한 작업 클러치가 온 상태가 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기 쉬운 것이 된다.
또한, 본 제12 발명은, 2줄의 이식줄의 직립 곡물대의 도입이 가능한 횡폭을 갖는 1개의 일으켜 세움 경로와, 상기 일으켜 세움 경로의 횡폭 방향에서의 중심에 대해서 일으켜 세움 경로 횡 일단부측으로 치우친 상기 일으켜 세움 경로의 부위에서 상승 이동하는 일으켜 세움 갈고리를 구비하고, 상기 일으켜 세움 경로에 도입된 2줄의 직립 곡물대를 상기 일으켜 세움 갈고리에 의해 일으켜 세움 처리하는 일으켜 세움 장치와, 상기 일으켜 세움 장치에 의한 일으켜 세운 곡물대를 예취하는 예취 장치와, 반송 하류측만큼 주행 기체 횡측 및 주행 기체 후방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예취 장치에 대하여 경사진 반송 경로를 구비하고, 상기 일으켜 세움 장치에 의한 일으켜 세운 곡물대 및 상기 예취 장치에 의한 예취 곡물대의 밑동측을 상기 반송 경로를 따르게 하여 반송하는 밑동 반송 장치를 구비한 예취 전처리부가 장비된 콤바인에 있어서,
상기 예취 장치의 전방측에서 예취 곡물대의 밑동측에 지지 작용하는 받침체를 상기 일으켜 세움 장치의 후방에 주행 기체 전후 방향으로 설치하고, 상기 일으켜 세움 경로에 도입된 2줄의 직립 곡물대 중 일으켜 세움 경로 횡폭 방향에서 상기 일으켜 세움 갈고리로부터 먼 측에 밑동이 위치하는 직립 곡물대가 상기 예취 장치에 의해 예취되어 상기 밑동 반송 장치에 의해 반송될 때, 밑동측이 상기 받침체에 의해 하방으로부터 받침 지지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본 제12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일으켜 세움 경로에 2줄의 직립 곡물대가 도입되고, 도입된 2줄의 직립 곡물대 중 일으켜 세움 갈고리로부터 먼 측에 밑동이 위치하는 직립 곡물대가, 예취 곡물대에 처리되어 밑동 반송 장치에 의해 반송될 때, 일으켜 세움 장치에 의한 일으켜 세움 처리를 받았을 때의 끌어당김을 위해 밑동 반송 장치로부터 하방으로 길게 돌출한 상태가 된 밑동측이 예취 장치로부터 전방으로 벗어나게 되어도, 예취 장치로부터 벗어난 밑동측을 받침체에 의해 하방으로부터 받침 지지시킬 수 있어, 밑동측이 농지면에 아래로 드리워져 접촉하는 사태에 이르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따라서, 2줄의 직립 곡물대를 1개의 일으켜 세움 경로에 도입해서 일으켜 세움 장치에 의해 한데 모아서 일으켜 세움 처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2줄의 직립 곡물대의 도입에 관계없이, 예취 곡물대의 밑동측이 농지면에 아래로 드리워져 밑동 반송 장치로부터 예취 곡물대가 벗어나는 등의 반송 불량이 발생하기 어렵도록 예취 곡물대를 원활하게 반송시킬 수 있어, 구조면 및 기능면에서 유리하게 수확 작업을 행할 수 있다.
본 제13 발명은, 상기 예취 장치의 후방에 상기 받침체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설치하고, 상기 받침체를, 상기 지지부로부터 전방 방향으로 상기 예취 장치의 상방을 통과시켜 연장시키고 있다.
본 제13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지지부와 받침체의 연결 구조가 부피가 큰 구조가 되어도, 연결 구조를 예취 장치의 후방에 위치시켜 곡물대의 예취 장해나 반송 장해가 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예취 곡물대의 반송을 원활하게 행하게 하면서, 받침체를 견고하게 지지시킬 수 있다.
본 제14 발명은, 상기 받침체의 상기 예취 장치의 앞 부근에 위치하는 부위에, 상기 받침체로부터 하방 방향으로 상기 예취 장치의 전방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부를 설치하고 있다.
본 제14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예취 장치와 받침체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 앞에 돌출부를 위치시켜, 예취 장치의 앞 부근에서 받침체에 의해 받침 지지되는 곡물대의 대나 검불 등을 예취 장치와 받침체의 간극으로 인입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받침체를 예취 장치의 앞 부근에서 예취 곡물대에 작용시키는 것이면서, 예취 장치와 받침체의 간극에 대나 검불의 막힘이 발생하여 예취 장치의 구동이나 예취 곡물대의 반송에 지장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여, 예취 장치나 예취 곡물대의 구동이나 반송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본 제15 발명에서는, 상기 받침체의 선단부가 상기 일으켜 세움 장치의 배후에 위치하고 있다.
일으켜 세움 장치에 도입되는 2줄의 직립 곡물대 중 일으켜 세움 장치의 일으켜 세움 갈고리로부터 먼 측에 밑동이 위치하는 직립 곡물대는, 일으켜 세움 장치에 의한 끌어당김에 의해 대가 구부러진 상태가 되어 일으켜 세움 장치의 일으켜 세움 케이스의 하측을 빠져 나가게 된다. 본 제15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받침체는 대의 일으켜 세움 케이스의 빠져나감에 대한 장해가 되지 않아, 일으켜 세움 장치에 의한 직립 곡물대의 일으켜 세움을 원활하게 행하게 하면서, 곡물대의 밑동측에 대한 받침 작용을 발휘한다.
본 발명은 작업을 행하기 위한 적정한 준비가 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운전자가 실수로 차체를 주행시켜 작업을 개시시키는 것을 회피시킬 수 있는 작업차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일으켜 세움 경로에 2줄의 직립 곡물대가 도입되어도, 예취 곡물대가 밑동 반송 장치로부터 빠져 나가는 등의 반송 불량을 회피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도 1은 콤바인의 전체 측면도이다.
도 2는 동력 전달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3은 제어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4는 차체 조종부의 평면도이다.
도 5는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6은 측부 패널의 사시도이다.
도 7은 클러치 절환부의 탈곡 클러치와 예취 클러치를 오프 조작한 상태에서의 측면도이다.
도 8은 클러치 절환부의 탈곡 클러치를 온 조작하고, 예취 클러치를 오프 조작한 상태에서의 측면도이다.
도 9는 클러치 절환부의 탈곡 클러치와 예취 클러치를 온 조작한 상태에서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탈곡 클러치 조작체와 예취 클러치 조작체의 조작 영역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11은 액셀러레이터 조작부의 액셀러레이터 조작구가 설정 저속 위치로 조작된 상태에서의 측면도이다.
도 12는 액셀러레이터 조작부의 종단 정면도이다.
도 13은 액셀러레이터 조작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는 액셀러레이터 조작부의 요동 조작체의 조작 과정에서의 측면도이다.
도 15는 제어 작동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6은 제어 작동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7은 다른 실시 형태의 제어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8은 다른 실시 형태의 측부 패널의 사시도이다.
도 19는 콤바인의 전체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20은 콤바인의 전체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21은 예취 전처리부의 전체를 도시하는 개략 평면도이다.
도 22는 예취 전처리부의 전방부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23은 예취 전처리부의 전방부를 도시하는 좌측면도이다.
도 24는 예취 전처리부의 전방부를 도시하는 우측면도이다.
도 25는 예취부 및 우측 외측의 긁어 넣음부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26은 3줄 베기의 예취 형태에서의 예취 전처리부와 직립 곡물대의 관계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27은 받침체의 기단부측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28은 탄성 도입 가이드 레버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29는 받침체의 돌기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0의 (a)는 도입 가이드 레버의 작용을 도시하는 설명도, (b)는 밑동 반송 장치의 작용을 도시하는 설명도, (c)는 받침체의 작용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31은 제2 실시 구조를 구비한 예취 전처리부의 전방부를 도시하는 우측면도이다.
도 32는 제2 실시 구조를 구비한 예취 전처리부의 전방부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33은 제3 실시 구조를 구비한 예취 전처리부의 전방부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34는 제4 실시 구조를 구비한 예취 전처리부의 전방부를 도시하는 우측면도이다.
도 35는 제4 실시 구조를 구비한 예취 전처리부의 전방부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36은 제5 실시 구조를 구비한 예취 전처리부의 전방부를 도시하는 우측면도이다.
도 37은 제5 실시 구조를 구비한 예취 전처리부의 전방부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동력 전달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3은 제어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4는 차체 조종부의 평면도이다.
도 5는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6은 측부 패널의 사시도이다.
도 7은 클러치 절환부의 탈곡 클러치와 예취 클러치를 오프 조작한 상태에서의 측면도이다.
도 8은 클러치 절환부의 탈곡 클러치를 온 조작하고, 예취 클러치를 오프 조작한 상태에서의 측면도이다.
도 9는 클러치 절환부의 탈곡 클러치와 예취 클러치를 온 조작한 상태에서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탈곡 클러치 조작체와 예취 클러치 조작체의 조작 영역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11은 액셀러레이터 조작부의 액셀러레이터 조작구가 설정 저속 위치로 조작된 상태에서의 측면도이다.
도 12는 액셀러레이터 조작부의 종단 정면도이다.
도 13은 액셀러레이터 조작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는 액셀러레이터 조작부의 요동 조작체의 조작 과정에서의 측면도이다.
도 15는 제어 작동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6은 제어 작동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7은 다른 실시 형태의 제어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8은 다른 실시 형태의 측부 패널의 사시도이다.
도 19는 콤바인의 전체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20은 콤바인의 전체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21은 예취 전처리부의 전체를 도시하는 개략 평면도이다.
도 22는 예취 전처리부의 전방부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23은 예취 전처리부의 전방부를 도시하는 좌측면도이다.
도 24는 예취 전처리부의 전방부를 도시하는 우측면도이다.
도 25는 예취부 및 우측 외측의 긁어 넣음부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26은 3줄 베기의 예취 형태에서의 예취 전처리부와 직립 곡물대의 관계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27은 받침체의 기단부측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28은 탄성 도입 가이드 레버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29는 받침체의 돌기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0의 (a)는 도입 가이드 레버의 작용을 도시하는 설명도, (b)는 밑동 반송 장치의 작용을 도시하는 설명도, (c)는 받침체의 작용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31은 제2 실시 구조를 구비한 예취 전처리부의 전방부를 도시하는 우측면도이다.
도 32는 제2 실시 구조를 구비한 예취 전처리부의 전방부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33은 제3 실시 구조를 구비한 예취 전처리부의 전방부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34는 제4 실시 구조를 구비한 예취 전처리부의 전방부를 도시하는 우측면도이다.
도 35는 제4 실시 구조를 구비한 예취 전처리부의 전방부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36은 제5 실시 구조를 구비한 예취 전처리부의 전방부를 도시하는 우측면도이다.
도 37은 제5 실시 구조를 구비한 예취 전처리부의 전방부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작업차>>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 1 내지 도 18을 기초로 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차의 일례로서의 콤바인은 좌우 한 쌍의 크롤러식 주행 장치(1) 및 운전 좌석(2)을 구비하는 차체 조종부(A)를 장비한 주행 기체(B)의 전방부에 승강 조작 가능하게 예취 처리 장치(4)가 연결되고, 기체 프레임(3)의 후방부측 부위에 기체 횡폭 방향으로 일렬로 늘어놓은 상태에서 탈곡 장치(5)와 곡립 탱크(6)를 구비하여 포장을 주행하면서, 벼, 보리 등의 곡물대를 예취하고, 그 예취 곡물대를 탈곡 처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설명을 덧붙이면, 예취 처리 장치(4)는 예취부 프레임(4a)이 승강용의 유압 실린더(7)에 의해 기체 프레임(3)에 대하여 상하로 요동 조작됨으로써, 예취 처리 장치(4)의 전단부에 위치하는 복수의 분초구(分草具)(4b)가 지면 부근으로 하강한 하강 작업 상태와, 분초구(4b)가 지면으로부터 상승한 상승 비작업 상태로 승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예취 처리 장치(4)를 하강 작업 상태로 하여 주행 기체(B)를 주행시키면, 예취 처리 장치(4)가 예취 대상인 복수의 이식줄에 위치하는 직립 곡물대를 대응하는 분초구(4b)에 의해 인접하는 이식줄의 직립 곡물대와 분초하고, 각 분초구(4b)로부터의 직립 곡물대를 대응한 일으켜 세움 장치(4c)에 의해 일으켜 세움 처리하는 동시에 1개의 이발기형의 예취 장치(4d)에 의해 예취 처리하고, 예취 장치(4d)로부터의 예취 곡물대를 반송 장치(4e)에 의해 후방으로 반송해서 탈곡 장치(5)의 탈곡 피드 체인(5a)의 시단부에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취 처리 장치(4)의 기체 프레임(3)에 대한 요동 지지점 위치에는, 예취 처리 장치(4)의 주행 기체(B)에 대한 높이를 검출하는 높이 검출용 센서(51)가 설치되어 있다.
탈곡 장치(5)는 탈곡 피드 체인(5a)에 의해 예취 곡물대의 밑동측을 협지하여 후방으로 반송하면서 이삭 끝측을 급실(扱室)(도시하지 않음)에 공급하고, 예취 곡물대를 회전하는 급동(扱胴)(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탈곡 처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탈곡 장치(5)로부터 반송된 탈곡립을 곡립 탱크(6)에 의해 회수하여 저류하도록 구성되고, 곡립 탱크(6)에 의해 저류하는 탈곡립은 스크류 컨베이어식의 곡립 배출 장치(8)에 의해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상세한 서술은 하지 않지만, 반송 장치(4e)의 예취 곡물대의 밑동측의 협지 위치를 대 길이 방향으로 변경함으로써, 급실에 있어서의 예취 곡물대의 훑음 깊이를 변경 조정 가능한 훑음 깊이 조절 장치(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고, 훑음 깊이가 설정치가 되도록 예취 곡물대의 훑음 깊이를 자동 조절하는 훑음 깊이 조절을 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좌우의 롤링용의 유압 실린더(도시하지 않음)의 조작에 의해, 좌우의 크롤러식 주행 장치(1)의 접지부의 주행 기체(B)에 대한 높이를 각각 따로 변경 조절 가능하게 구성되고, 후술하는 제어부(42)가 주행 기체(B)의 수평 기준면으로부터의 좌우 경사각이 설정치가 되도록 롤링용의 유압 실린더를 제어하는 롤링 제어를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전 좌석(2)의 하방에 설치한 엔진(10)의 출력이 작업 클러치로서의 탈곡 클러치(14)를 통하여 작업 장치로서의 탈곡 장치(5)에 전달되고, 또한 엔진(10)의 출력이 벨트 텐션식의 동력 전달 장치(11)를 통하여 미션 케이스(12)의 입력축(13)에 전달되고, 입력축(13)의 동력이 예취 변속 장치(15)를 통하여 예취용 출력축(16) 및 예취 클러치(17)를 통하여 예취 처리 장치(4)에 전달된다. 또, 예취 변속 장치(15)는 예취 변속 레버(44)(도 4 참조)에 의해 표준 속도와 저속 상태로 절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입력축(13)에 전달되는 동력은, 정유압식의 무단 변속 장치(M) 및 부 변속 장치(19)에 의해 변속한 다음, 좌우의 다판 마찰식의 클러치 브레이크(26R, 26L)를 통하여 좌우의 크롤러식 주행 장치(1)의 구동 스프로킷(1a)에 전달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무단 변속 장치(M)는 전진 주행 속도 및 후진 주행 속도를 무단계로 변속하는 주행 변속 장치로서 기능하는 것이며, 중립 위치로부터 전진 조작 영역 및 후진 조작 영역의 각각에 조작 가능한 주행 변속 조작구로서의 주변속 레버(24)(도 4 참조)에 의해 조작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부 변속 장치(19)는 부변속 레버(20)에 의해 작업용 변속 상태, 이동용 변속 상태, 중립 상태로 절환 조작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좌우의 클러치 브레이크(26R, 26L)는 각각 유압 피스톤(27R, 27L)에 의해 조작되고, 좌우의 크롤러식 주행 장치(1)에 대하여 각각 따로 주행용 동력을 단속하고 또한 동력 차단 상태에서 브레이크로서 기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체 조종부(A)에 있어서의 운전 좌석(2)의 전방에 위치하는 전방 패널(35)에는,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요동 조작 가능한 조종 레버(18), 경보 경적을 작동시키는 경적 스위치(28), 예취 클러치(17)에 대한 자동 조작(이하, 예취 오토 클러치 조작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음)을 행하는 자동 조작 지령과 자동 조작을 행하지 않는 자동 정지 지령을 지령하는 자동 조작 스위치(52), 키(K)가 삽입되어 조작되는 메인 스위치(J)가 구비되어 있다.
운전 좌석(2)의 횡측에 위치하는 측부 패널(36)에는, 주변속 레버(24), 부변속 레버(20), 액셀러레이터 수단으로서의 조속 장치(거버너)(63)를 조작하기 위한 액셀러레이터 조작구(60), 예취 변속 레버(44)가 구비되고, 또 롤링 제어의 온 오프 등을 지령하는 롤링 제어용 조작부(45), 훑음 깊이 제어의 온 오프 등을 지령하는 훑음 깊이 제어용 조작부(46), 전조등(도시하지 않음)의 온 오프 및 방향 지시 램프의 온 오프를 지령하는 콤비네이션 스위치(47), 예취 클러치(17)의 온 조작 지령 및 오프 조작 지령을 지령하는 수동 조작식의 클러치 조작 지령 수단으로서의 긁어 넣음 지령 스위치(50)가 구비되어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부 패널(36)에는 롤링 제어용 조작부(45), 훑음 깊이 제어용 조작부(46), 콤비네이션 스위치(47), 긁어 넣음 지령 스위치(50)가 구비되는 부위는, 주변속 레버(24)나 부변속 레버(20) 등의 각 레버가 구비되는 부위보다도 운전 좌석측을 향해 튀어나온 기울기 자세로 형성되어, 조작하기 쉽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측부 패널(36)의 전방부에 위치하는 종 방향 패널부(36A)에는, 다양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 장치(F), 작업 개시 지령 및 작업 정지 지령을 지령하는 수동 조작식의 작업 지령 수단으로서의 작업 지령 스위치(25), 예취 작업을 실행하는 것이 가능한 상태인 것을 통지하는 통지 수단(표시부)으로서의 점등식의 표시 램프(54)가 구비되어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 지령 스위치(25)는 표시 장치(F)의 하방측에 위치하는 상태로 설치되고, 표시 램프(54)가 표시 장치(F)의 상방측에 있어서의 종 방향 패널(36A)의 전단부에 위치하는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예취 작업에 수반하여 기체 전방을 주시하는 운전자가 표시 램프(54)의 점등 상태를 주시하기 쉬워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 장치(F)는 엔진 회전수 및 엔진(10)의 가동 시간을 누적한 누적 가동 시간을 표시하는 액정 표시식의 정보 표시부(80)와, 각종 이상 상태를 통지하는 통지 표시부(81)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즉, 정보 표시부(80)는 좌측에 도시하지 않은 연료 탱크 내의 연료 저류량을 표시하는 연료 표시부(82)가 구비되고, 우측에 엔진(10)의 냉각수 온도를 표시하는 수온 표시부(83)가 구비되고, 좌우 중앙부에 엔진 회전수 및 누적 가동 시간을 표시하는 수치 표시부(84)가 구비되어 있다. 또, 수치 표시부(84)의 상측에는 수치 표시부(84)에서 표시하고 있는 것이 누적 가동 시간인 것을 모양으로 나타내는 시간 표시 식별부(85)와, 수치 표시부(84)에서 표시하고 있는 것이 엔진 회전수인 것을 모양으로 나타내는 회전수 표시 식별부(86)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수치 표시부(84)는 4자리의 숫자를 표시하는 4개의 숫자와 소수점을 표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통지 표시부(81)에는, 엔진(10)의 부하가 과대한 것을 통지하는 통지 수단으로서의 부하 이상 램프(87), 곡립 탱크(6)의 곡립의 저류량이 가득차 있는 것을 표시하는 저류량 만배 램프(88), 볏짚 배출 반송 경로 중에서 볏짚 배출 막힘이 발생한 것을 표시하는 볏짚 배출 이상 램프(89), 탈곡 장치(5) 내의 2번 회수부에서 반송 막힘이 발생한 것을 표시하는 2번 회수부 이상 램프(90), 엔진(10)의 윤활용으로 공급되는 오일의 압력이 저하되어 있는 상태인 것을 표시하는 유압 이상 램프(91), 배터리(V)(도 3 참조)의 충전량이 적은 상태인 것을 표시하는 배터리 이상 램프(92), 전조등(도시하지 않음)의 점등 작동이 지령되어 있는 것을 표시하는 전조등 표시 램프(93), 도시하지 않은 방향 지시기에 의해 좌우 어느 한 방향 지시 램프의 점등이 지령되어 있는 것을 표시하는 방향 지시 표시 램프(94)가 구비되어 있다.
도 2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탈곡 클러치(14)는 엔진(10)의 출력축(10a)과 탈곡 장치(5)의 입력축(5b)에 걸쳐 권회된 동력 전달 벨트(14a)와, 텐션 아암(14b)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예취 클러치(17)는 예취용 출력축(16)과 예취 처리 장치(4)의 입력축(4f)에 걸쳐 권회된 동력 전달 벨트(17a)와, 텐션 아암(17b)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탈곡 클러치(14)와 예취 클러치(17)는, 텐션 아암(14b, 17b)이 클러치 온 자세로 요동 조작되면, 이 텐션 아암(14b, 17b)이 이 자유단부에 설치하고 있는 텐션륜체(14c, 17c)에 의해 동력 전달 벨트(14a, 17a)를 긴장 상태로 압박 조작함으로써 온 상태로 절환되고, 텐션 아암(14b, 17b)이 클러치 오프 자세로 요동 조작되면, 이 텐션 아암(14b, 17b)이 동력 전달 벨트(14a, 17a)의 긴장 조작을 해제함으로써 오프 상태로 절환되는, 소위 벨트 텐션 클러치가 되어 있다.
도 7 내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취 클러치(17) 및 탈곡 클러치(14)의 절환 조작 및 조속 장치(63)의 절환 조작을 행하는 절환 조작용 구동 수단으로서의 절환 조작용의 전동 모터(22)가 설치되어 있다. 즉, 단일 전동 모터(22)에 의해, 탈곡 클러치(14), 예취 클러치(17) 및 조속 장치(63)를 자동으로 절환 조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설명을 덧붙이면, 절환 조작용의 전동 모터(22)의 회전 조작에 수반하여, 조속 장치(63)의 속도 조정 레버(64), 예취 클러치(17), 탈곡 클러치(14)의 각각을 연동 조작하기 위해, 전동 모터(22)와 탈곡 클러치(14) 및 예취 클러치(17)를 연동 연계하는 클러치 절환부(23) 및 전동 모터(22)와 조속 장치(63)를 연동 연계하는 액셀러레이터 조작부(G)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클러치 절환부(23)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러치 절환부(23)는 전동 모터(22)를 부착한 지지 프레임(30)이 구비하는 보스부(30a)(도 12 참조)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아암형의 탈곡 클러치 조작체(31)와, 이 탈곡 클러치 조작체(31)를 탈곡 클러치(14)의 텐션 아암(14b)에 연동시키고 있는 탈곡 클러치 연동 기구(32)와, 상기 보스부(30a)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아암형의 예취 클러치 조작체(33)와, 이 예취 클러치 조작체(33)를 예취 클러치(17)의 텐션 아암(17b)에 연동시키고 있는 예취 클러치 연동 기구(34)를 구비하고 있다. 탈곡 클러치 조작체(31)와 예취 클러치 조작체(33)는, 상기 보스부(30a)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1개의 회전 지지축(37)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지지 프레임(30)은 측부 패널(36)의 하방에 배치한 조종부 프레임(도시하지 않음)에 부착되어 있다.
전동 모터(22)는 전동 모터 본체(22a)와, 이 전동 모터 본체(22a)에 연결된 감속 출력 케이스(22b)와, 이 감속 출력 케이스(22b)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출력 기어(22c)를 구비하고 있다. 감속 출력 케이스(22b)는 전동 모터 본체(22a)의 출력을 케이스 내의 기어 감속 기구(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출력 기어(22c)에 전달한다.
탈곡 클러치 조작체(31)와 예취 클러치 조작체(33)를 구비한 회전 지지축(37)은, 이 일단부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설치한 부채형 기어(38)를 구비하고 있다. 부채형 기어(38)는 출력 기어(22c)에 맞물려 있으며, 전동 모터(22)에 의해 정회전 방향으로 회전 구동되어 회전 지지축(37)을 회전 조작함으로써, 탈곡 클러치 조작체(31)와 예취 클러치 조작체(33)를 회전 지지축(37)의 축심 주위로 일체로 정회전 방향으로 회전 조작한다. 부채형 기어(38)는 전동 모터(22)에 의해 역회전 방향으로 회전 구동되어 회전 지지축(37)을 회전 조작함으로써, 탈곡 클러치 조작체(31)와 예취 클러치 조작체(33)를 회전 지지축(37)의 축심 주위로 일체로 역회전 방향으로 회전 조작한다.
탈곡 클러치 연동 기구(32)는 탈곡 클러치 조작체(31)의 자유단부에 일단부측이 연결된 연동 레버(32a)와, 이 연동 레버(32a)의 타단부측을 텐션 아암(14a)에 일체 성형하여 설치한 조작용 아암부(14d)에 연결하는 연동 스프링(32b)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연동 레버(32a)와 탈곡 클러치 조작체(31)는, 연결 핀(31a)을 통하여 상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예취 클러치 연동 기구(34)는 예취 클러치 조작체(33)의 자유단부에 일단부측이 연결된 연동 레버(34a)와, 이 연동 레버(34a)의 타단부측을 상기 텐션 아암(17b)에 연결하고 있는 연동 스프링(34b)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연동 레버(34a)와 예취 클러치 조작체(33)는, 연결 핀(33a)을 통하여 상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이 예취 클러치 연동 기구(34)는 상기 연동 스프링(34b)과 텐션 아암(17b)에 걸쳐 설치한 융통이 구비된 연동부(39)를 구비하고 있다. 이 융통이 구비된 연동부(39)는 연동 스프링(34b)의 단부(34c)를 훅형으로 형성함으로써 연동 스프링(34b)에 설치한 긴 홈(34d)과, 이 긴 홈(34d)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걸린 상태에서 텐션 아암(17b)에 설치한 연동 핀(40)을 구비하여 구성하고 있으며, 그리고 예취 클러치 조작체(33)의 조작 위치에 의해, 연동 핀(40)이 긴 홈(34d)의 내부를 이동하여 연동 스프링(34b)과 연동 핀(40)을 상대 이동시키는 융통 상태와, 연동 핀(40)이 긴 홈(34d) 내의 단부에 위치하여 연동 스프링(34b)에 접촉함으로써 연동 스프링(34b)과 연동 핀(40)을 일체 이동시키는 융통 해제 상태로 절환되도록 되어 있다.
도 7은 클러치 절환부(23)의 탈곡 클러치(14)와 예취 클러치(17)를 오프 조작한 상태에서의 측면도이며, 도 8은 클러치 절환부(23)의 탈곡 클러치(14)를 온 조작하고, 예취 클러치(17)를 오프 조작한 상태에서의 측면도이며, 도 9는 클러치 절환부(23)의 탈곡 클러치(14)와 예취 클러치(17)를 온 조작한 상태에서의 측면도이며, 도 10은 탈곡 클러치 조작체(31)와 예취 클러치 조작체(33)와의 조작 영역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이들의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탈곡 클러치 조작체(31)와 예취 클러치 조작체(33)는, 전동 모터(22)에 의해 부채형 기어(38)가 회전 조작됨으로써, 정회전 방향 X와 역회전 방향 Y으로 회전 지지축(37)의 축심 주위로 일체적으로 회전 조작되게 되어, 이 회전 조작에 의해 탈곡 클러치(14)와 예취 클러치(17)가 모두 오프 상태가 되는 클러치 오프 위치(U1), 탈곡 클러치(14)가 온 상태가 되고 또한 예취 클러치(17)가 오프 상태가 되는 탈곡 클러치 온 위치(U2) 및 탈곡 클러치(14)와 예취 클러치(17)가 모두 온 상태가 되는 예취 클러치 온 위치(U3)로 회전되게 된다.
설명을 덧붙이면, 탈곡 클러치 온 위치(U2)는 탈곡 클러치 조작체(31)의 데드 포인트(D)에 대하여, 클러치 오프 위치(U1)가 존재하는 측에 가까운 위치에 있다. 탈곡 클러치 조작체(31)의 데드 포인트(D)는 탈곡 클러치 조작체(31)의 조작 위치 중, 탈곡 클러치 조작체(31)에 의한 탈곡 클러치 연동 기구(32)의 인장 조작 스트로크가 최대가 되는 조작 위치에 대응한다.
탈곡 클러치 조작체(31)가 클러치 오프 위치(U1)로 조작되면, 탈곡 클러치 연동 기구(32)는 탈곡 클러치 조작체(31)에 의한 인장 조작이 해제되어 텐션 아암(14b)을 클러치 오프 자세로 조작한다(도 7 참조). 이때, 예취 클러치 조작체(33)도 클러치 오프 위치(U1)에 위치하고, 예취 클러치 연동 기구(34)는 예취 클러치 조작체(33)에 의한 인장 조작이 해제되어 텐션 아암(17b)을 클러치 오프 자세로 조작한다.
탈곡 클러치 조작체(31)가 클러치 오프 위치(U1)로부터 정회전 방향 X로 회전 조작되면, 이에 수반하여 탈곡 클러치 조작체(31)는, 데드 포인트(D) 바로 앞의 탈곡 클러치 온 위치(U2)에 위치한다(도 8 참조). 이때, 탈곡 클러치 연동 기구(32)는 탈곡 클러치 조작체(31)에 의한 인장 조작을 위해 텐션 아암(14b)을 클러치 온 자세로 조작하고, 예취 클러치 연동 기구(34)는 텐션 아암(17b)을 클러치 오프 자세로 조작하고 있다.
탈곡 클러치 조작체(31)가 다시 정회전 방향으로 회전 조작되면, 탈곡 클러치 조작체(31)는 데드 포인트(D)를 초과한다(도 9 참조). 이때, 탈곡 클러치 연동 기구(32)는 탈곡 클러치 조작체(31)에 의한 인장 조작을 위해 텐션 아암(14b)을 클러치 온 자세로 유지하고, 예취 클러치 연동 기구(34)는 예취 클러치 조작체(33)에 의한 인장 조작을 위해 텐션 아암(17b)을 클러치 온 자세로 조작한다.
탈곡 클러치 조작체(31)와 예취 클러치 조작체(33)가 클러치 오프 위치(U1)로부터 탈곡 클러치 온 위치(U2)를 향해 정회전 방향 X로 회전 조작될 때, 융통이 구비된 연동부(39)가 융통 상태에 있으며, 탈곡 클러치 조작체(31)와 예취 클러치 조작체(33)가 탈곡 클러치 온 위치(U2)로부터 예취 클러치 온 위치(U3)로 회전 조작될 때에, 융통이 구비된 연동부(39)가 융통 해제 상태로 절환된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셀러레이터 조작부(G)는 측부 패널(36)에 배치된 액셀러레이터 조작구(60) 및 전동 모터(22)에 의해 조속 장치(63)를 조작하여, 엔진(10)의 회전 속도를 조속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설명을 덧붙이면, 도 12에도 도시한 바와 같이, 액셀러레이터 조작구(60)의 기부가 지지 프레임(30)에 지지된 지지축(61)에 회전 가능하게 외부 끼움 지지되고, 그 지지축(61)에 마찰판(68a)이 외부 끼움되고, 회전 지지축(37)의 일단부측에 요동 조작체(69)가 지지되어, 지지축(61)의 일단부에 조작부(70)가 설치되어 있다.
액셀러레이터 조작구(60)는 지지축(61)의 축심 주위로 요동 조작하도록 지지되어 있고, 그 기부에는 일체 형성한 출력 아암부(60a)를 구비하고 있다. 이 출력 아암부(60a)는 스프링(66)과 액셀러레이터 케이블(62)을 거쳐, 엔진(10)에 설치된 조속 장치(63)의 조속 아암(64)에 연동되어 있다.
마찰판(68a)은 부착 나사(71)에 의한 체결과 접시 스프링(68b)에 의해 액셀러레이터 조작구(60)의 기부에 압접되어, 액셀러레이터 조작구(60)에 마찰 저항을 부여한다.
요동 조작체(69)는 회전 지지축(37)에 설치한 엽전형부(37a)에 부착 통부(69a)에 의해 일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즉, 요동 조작체(69)는 회전 지지축(37)을 통하여 탈곡 클러치 조작체(31)에 일체 요동 가능하게 연동하고 있다.
조작부(70)는 액셀러레이터 조작구(60) 및 요동 조작체(69)와는 별개로 구성하여 지지축(61)에 공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판체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지지축(61)의 축심 주위로 액셀러레이터 조작구(60)와 상대 요동한다. 이 조작부(70)는, 이 자유단부에 지지축(72)을 통하여 공회전 가능하게 부착한 롤러(73)에 의해 형성된 수동부(70a)와 동력 전달부(70b)를 구비하고 있다. 롤러(73)는 지지 프레임(30)에 설치한 원호형의 긴 구멍(74)을 따라 이동하도록 긴 구멍(74)을 삽입 관통하고 있다.
상기 수동부(70a)는 상기 요동 조작체(69)의 단부(69b)에 접촉하여 상기 요동 조작체(69)에 의한 조작력을 받아, 조작부(70)를 지지축(61)의 축심 주위로 요동시킨다. 상기 동력 전달부(70b)는 상기 액셀러레이터 조작구(60)의 상기 출력 아암부(60a)에 접촉하고, 조작부(70)에 의한 액셀러레이터 조작구(60)의 증속 방향으로의 압박 요동 조작을 가능하게 한다.
도 13에도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조작부(70)는 이 기부에 일체 성형된 스프링 받침부(70c)를 구비하고 있다. 조작부(70)는 스프링 받침부(70c)에 작용하는 권취 스프링(75)에 의해, 도 14의 (c), (d)에 도시하는 대기 위치(T)에 요동 압박된다.
즉,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권취 스프링(75)은 상기 지지축(61)에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권취 스프링(75)의 한 쌍의 단부(75a, 75a)는, 상기 스프링 받침부(70c)와, 상기 지지 프레임(30)에 설치된 축 형상의 스프링 스토퍼(76)를 협지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 14의 (c), (d)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조작부(70)가 상기 대기 위치(T)에 위치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지만, 도 14의 (b)는 조작부(70)가 대기 위치(T)로부터 작용 방향(a1)으로 요동 조작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들의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부(70)가 대기 위치(T)로부터 작용 방향(a1)으로 요동 조작되면, 이에 수반하여, 조작부(70)의 스프링 받침부(70c)가 권취 스프링(75)의 한쪽 단부(75a)를 압박하도록 이동한다. 이때, 권취 스프링(75)의 다른 쪽 단부(75a)가 스프링 스토퍼(76)에 의해 받침 지지된다. 조작부(70)가 대기 위치(T)로부터 해제 방향(b1)으로 요동 조작되면, 이에 수반하여, 조작부(70)의 스프링 받침부(70c)가 권취 스프링(75)의 다른 쪽 단부(75a)를 압박하도록 이동한다. 이때, 권취 스프링(75)의 한쪽 단부(75a)가 스프링 스토퍼(76)에 의해 받침 지지된다. 이에 의해, 권취 스프링(75)은 조작부(70)가 작용 방향(a1)과 해제 방향(b1) 중 어떠한 방향으로 요동 조작된 경우도, 조작부(70)의 회전에 수반하여 탄성 변형되어, 조작부(70)를 대기 위치(T)로 복귀시키도록 압박한다.
즉, 상기 액셀러레이터 조작부(G)는 인위 조작에 의한 액셀러레이터 조작구(60)의 조작에 의해서도, 전동 모터(22)에 의한 액셀러레이터 조작구(60)의 조작에 의해서도 엔진(10)의 회전 속도를 조절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설명을 덧붙이면, 액셀러레이터 조작구(60)가 인위 조작되면, 출력 아암부(60a)가 지지축(61)의 축심 주위로 요동하여 액셀러레이터 케이블(62)을 인장 조작하거나 느슨하게 조작하거나 한다. 인장 조작된 액셀러레이터 케이블(62)은, 조속 아암(64)을 이 복원력에 저항해서 요동 조작하고, 엔진(10)을 회전수가 증가하도록 조속한다. 느슨하게 조작된 액셀러레이터 케이블(62)은, 조속 아암(64)을 이 상기 복원력에 의해 요동 조작하고, 엔진(10)을 회전 속도가 감소하도록 조속한다. 이와 같이 엔진(10)의 조속 조작이 행해진 경우, 액셀러레이터 조작구(60)는 마찰판(68a)과 접시 스프링(68b)에 의한 마찰 보유 지지력에 의해 조속 아암(64)의 복원력에 저항해서 임의의 조작 위치로 보유 지지되어, 엔진(10)의 회전수를 조속된 회전수로 유지한다.
도 11은 액셀러레이터 조작부(G)의 액셀러레이터 조작구(60)가 엔진(10)의 아이들링 회전수에 대응하는 설정 저속 위치(L)로 조작되고, 요동 조작체(69)가 클러치 오프 위치(U1)에 대응하는 위치로 조작된 상태에서의 측면도이다. 도 14의 (a), (b)는 요동 조작체(69)가 클러치 온 위치(U1)에 대응하는 위치로부터 탈곡 클러치 온 위치(U2)에 대응하는 위치로 조작되는 과정에서의 측면도이며, 도 14의 (c)는 액셀러레이터 조작부(G)의 요동 조작체(69)가 예취 클러치 온 위치(U3)에 대응하는 위치로 조작된 상태에서의 측면도이며, 또한 도 14의 (d)는 액셀러레이터 조작부(G)의 요동 조작체(69)가 클러치 오프 위치(U1)에 대응하는 위치로 복귀 조작된 상태에서의 측면도이다.
이들의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동 모터(22)가 탈곡 클러치(14)를 온 상태로 절환하도록 탈곡 클러치 조작체(31)를 요동 조작하면, 이 탈곡 클러치 조작체(31)가 회전 지지축(37)을 통하여 요동 조작체(69)를 클러치 오프 위치(U1)에 대응하는 위치로부터 정회전 방향(a2)으로 요동 조작한다. 요동 조작체(69)의 요동에 수반하여, 요동 조작체(69)의 단부(69b)가 대기 위치(T)에 위치하고 있는 조작부(70)의 수동부(70a)에 접촉한다. 그러면, 수동부(70a)가 요동 조작체(69)의 조작력을 받아, 조작부(70)가 대기 위치(T)로부터 작용 방향(a1)으로 요동한다. 이때, 액셀러레이터 조작구(60)가 정격 회전 상태에 대응하는 설정 고속 위치(H) 이외의 위치에 있으면, 예를 들어 엔진(10)의 회전수가 아이들링 회전수가 되어 있으면, 조작부(70)의 동력 전달부(70b)가 액셀러레이터 조작구(60)의 출력 아암부(60a)에 접촉한다. 그러면, 조작부(70)가 동력 전달부(70b)에 의해 액셀러레이터 조작구(60)를 압박해서 이동 조작한다. 이에 의해, 액셀러레이터 조작부(G)가 작동하여 엔진(10)을 증속측으로 조속한다.
요동 조작체(69)가 탈곡 클러치 온 위치(U2)에 대응하는 위치에 이르는 것에 수반하여, 조작부(70)가 액셀러레이터 조작구(60)를 엔진(10)이 정격 회전수로 회전하는 정격 회전 상태에 대응하는 설정 고속 위치(H)로 조작한다. 액셀러레이터 조작구(60)가 설정 고속 위치(H)에 이른 후, 조작부(70)의 수동부(70a)가 요동 조작체(69)의 단부(69b)로부터 이격하여 전동 모터(22)가 예취 클러치(17)를 온 조작하기 위해 다시 회전하여 요동 조작체(69)가 예취 클러치 온 위치(U3)에 대응하는 위치로 요동해도, 조작부(70)에 의한 액셀러레이터 조작구(60)의 이동 조작이 행해지지 않아, 액셀러레이터 조작구(60)는 설정 고속 위치(H)에 마찰판(68)에 의해 보유 지지되고, 엔진(10)은 액셀러레이터 조작구(60)의 설정 고속 위치(H)에 대응한 정격 회전수로 회전한다.
엔진(10)이 정격 회전수로 회전하는 상태가 된 후, 요동 조작체(69)의 단부(69b)가 조작부(70)의 수동부(70a)로부터 벗어나, 조작부(70)가 권취 스프링(75)에 의한 요동 압박에 의해 대기 위치(T)로 복귀한다. 그러면 액셀러레이터 조작구(60)는 조작부(70)와 요동 조작체(69)에 의한 요동 규제를 받지 않는 상태가 된다.
엔진(10)이 정격 회전수로 회전하는 상태로 조속된 후, 전동 모터(22)가 예취 클러치(17)를 오프 상태로 조작하도록 예취 클러치 조작체(33)를 요동 조작하면, 요동 조작체(69)가 탈곡 클러치 조작체(31)와 함께 역회전 방향(b2)으로 요동한다. 그러면 요동 조작체(69)의 단부(69b)가 조작부(70)의 수동부(70a)로부터 벗어나, 조작부(70)는 권취 스프링(75)에 의한 요동 압박에 의해 대기 위치(T)로 복귀하고, 다음에 요동 조작체(69)가 정회전 방향(a2)으로 요동 조작되었을 때, 요동 조작체(69)의 단부(69b)와 조작부(70)의 수동부(70a)가 접촉하게 된다. 즉, 조작부(70)가 요동 조작체(69)에 의해 작용 방향(a1)으로 요동 조작되게 된다.
전동 모터(22)가 탈곡 클러치(14)를 오프 상태로 절환하도록 탈곡 클러치 조작체(31)를 요동 조작하면, 요동 조작체(69)가 역회전 방향(b2)으로 다시 요동한다. 이때, 요동 조작체(69)의 단부(69b)가 대기 위치(T)에 위치하고 있는 조작부(70)의 수동부(70a)에 접촉하고, 조작부(70)가 대기 위치(T)로부터 해제 방향(b1)으로 요동해도, 조작부(70)가 액셀러레이터 조작구(60)에 압박 작용하지 않는다. 이에 의해, 액셀러레이터 조작구(60)는 설정 고속 위치(H)로 유지되어, 엔진(10)은 정격 회전수로 회전하는 상태를 유지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42)에는, 상기한 바와 같은 작업 지령 스위치(25), 긁어 넣음 지령 스위치(50), 높이 검출용 센서(51), 자동 조작 스위치(52) 외에, 주변속 레버(24)의 조작 위치를 검출하는 조작 위치 검출 수단으로서의 변속 검출용 센서(41), 탈곡 클러치 조작체(31)의 위치를 검출하는 구동 상태 검출 수단으로서의 조작체 위치 검출용 센서(43), 엔진 회전수를 검출하는 회전수 검출 수단으로서의 엔진 회전수 센서(53) 및 표시 램프(54)가 접속되어 있다.
제어부(42)는 키(K)에 의해 조작되는 메인 스위치(J)가 온 위치나 엔진(10)의 스타터(55)를 작동시키는 ST 위치로 조작되면 배터리(V)의 전원이 투입되어 기동되고, 메인 스위치(J)가 오프 위치로 조작되면 전원의 공급이 정지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메인 스위치(J)가 온 위치로 조작되어 전원이 공급되었을 때에는, 후술하는 각종 제어를 실행하고, 또한 메인 스위치(J)가 ST 위치로 조작되었을 때에는, 스타터 기동용 스위치(55a)를 온 조작하여, 스타터(55)를 작동시키게 된다. 또한, 제어부(42)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표시 램프(54)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어부(42)에는 차체 조종부(A)에 장비된 주차 브레이크 페달(56)이 브레이크 작동 상태로 답입된 것을 검출하는 브레이크 검출 센서(57)가 접속되어 있고, 메인 스위치(J)가 ST 위치로 조작되었을 때에, 브레이크 검출 센서(57)에 의해 브레이크 작동 상태인 것이 검출되고 있는 경우에는 스타터 기동용 스위치(55a)를 온 조작하고, 또한 브레이크 검출 센서(57)에 의해 브레이크 작동 상태인 것이 검출되지 않은 경우에는 스타터 기동용 스위치(55a)를 온 조작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상세한 서술은 하지 않지만, 주차 브레이크 페달(56)은 미션 케이스(12) 내에 장비한 주차 브레이크에 링크 기구를 개재하여 연계되는 것이며, 상술한 바와 같이, 답입되는 것에 의해 주차 브레이크를 작동 상태로 조작하도록 구성되고, 또한 주변속 레버(24)를 중립 위치(N)로 조작하는 조작 기구에 연계되어, 답입되는 것에 의해 주변속 레버(24)를 중립 위치(N)로 조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주차 브레이크 페달(56)은 답입 해제측으로 복귀 압박되는 동시에, 답입 위치를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구에 의해 답입 위치로 보유 지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어부(42)에는 예취 승강 지령용 센서(95) 및 조향 지령용 센서(96)가 접속되어 있다. 이들 예취 승강 지령용 센서(95) 및 조향 지령용 센서(96)는 차체 조종부(A)의 운전 좌석(2)의 전방에 설치한 조종 레버(18)에 의해 조작되는, 즉 조종 레버(18)의 조작 위치를 검출하도록 되어 있다.
설명을 덧붙이면, 조종 레버(18)가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요동 조작되도록 되어 있으며, 조종 레버(18)가 중립 조작 위치(n)로부터 전방으로 요동되면 예취 승강 지령용 센서(95)가 하강 지령을 지령하고, 조종 레버(18)가 중립 조작 위치(n)로부터 후방 전방으로 요동되면 예취 승강 지령용 센서(95)가 상승 지령을 지령하도록 구성되고, 그리고 조종 레버(18)가 중립 조작 위치(n)로부터 좌측으로 요동되면 조향 지령용 센서(96)가 좌선회 지령을 지령하고, 조종 레버(18)가 중립 조작 위치(n)로부터 우측으로 요동되면 조향 지령용 센서(96)가 우선회 지령을 지령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어부(42)는, 예취 승강 지령용 센서(95)로부터의 상승 지령 및 하강 지령을 기초로 하여 유압 실린더(7)의 제어 밸브(7A)를 조작하여 유압 실린더(7)를 작동시킴으로써, 예취 처리 장치(4)를 승강시키게 되고, 또한 조향 지령용 센서(18B)의 좌선회 지령 및 우선회 지령을 기초로 하여 제어 밸브(97R, 97L)를 조작하여 유압 피스톤(27R, 27L)을 작동시킴으로써, 좌선회나 우선회를 행하게 하도록 되어 있다.
제어부(42)는 작업 지령 스위치(25)의 지령, 긁어 넣음 지령 스위치(50)의 지령, 자동 조작 스위치(52)의 지령, 높이 검출용 센서(51)의 검출 정보, 변속 검출용 센서(41)의 검출 정보, 조작체 위치 검출용 센서(43)의 검출 정보, 엔진 회전수 센서(53)의 검출 정보를 기초로 하여, 후술하는 제어 작동을 실행하기 위해, 전동 모터(22)의 구동 회로(22A)에 정회전 지령 및 역회전 지령을 지령하여 전동 모터(22)를 작동시키고, 유압 실린더(7)의 제어 밸브(7A)에 상승 지령 및 하강 지령을 지령하여 유압 실린더(7)를 작동시키고, 또한 표시 램프(54)의 점등 구동 회로(54A)에 점등 지령 및 소등 지령을 지령하여 표시 램프(54)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작업 지령 스위치(25)의 지령에 대해서 설명을 덧붙이면, 이 작업 지령 스위치(25)는 램프가 달린 무로크 스위치에 의해 구성되고, 스위치 램프(25A)를 내장하고 있으며, 누름 조작될 때마다 작업 개시를 지령하는 온 상태와 작업 정지를 지령하는 오프 상태로 절환되고, 또한 온 상태로 절환되고 있을 때는 내장하는 스위치 램프(25A)가 점등하고, 오프 상태로 절환되고 있을 때는 내장하는 스위치 램프(25A)가 소등하도록, 제어부(42)에 의해 작동이 제어된다.
그리고 제어부(42)는, 작업 지령 스위치(25)에 의해 작업 개시 지령이 지령된 후, 엔진 회전수 센서(53)에 의해 검출되는 엔진 회전수가 정격 회전수이며 또한 조작체 위치 검출용 센서(43)에 의해 탈곡 장치(5)가 엔진(10)의 출력에 의해 구동되고 있는 구동 상태 즉, 탈곡 클러치(14)가 온 상태로 조작되고 있는 상태인 것이 검출되면, 표시 램프(54)를 점등 작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제어부(42)는 표시 램프(54)를 점등 작동시키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엔진 회전수가 설정 회전수를 하회하면 표시 램프(54)를 점멸 작동시키도록 구성되고, 엔진 회전수가 설정 회전수보다도 낮게 설정되어 있는 하한 회전수를 하회하면 표시 램프(54)를 소등시키도록 구성되고, 또한 엔진 회전수가 하한 회전수를 하회함으로써 표시 램프(54)를 소등시킬 때에, 통지 표시부(24)에 있어서의 엔진(10)의 부하 이상을 표시하는 부하 이상 램프(87)를 점멸 작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어부(42)는 작업 지령 스위치(25)에 의해 작업 개시 지령이 지령되어, 엔진(10)이 정격 회전 상태이고 또한 탈곡 클러치(14)가 온 상태일 때에, 운전 조작 상태 검출 수단에 상당하는 변속 검출용 센서(41)의 검출 정보를 기초로 하여, 주변속 레버(24)가 전진 주행용 조작 위치이고 또한 설정 속도 이상의 고속측으로 조작되면, 예취 작업 개시 조건이 충족되었다고 판별하여, 예취 클러치(17)를 온 상태로 하고, 또한 상기 예취 작업 개시 조건이 충족되어 있지 않은 것을 판별하면 예취 클러치(17)를 오프 상태로 하기 위해, 전동 모터(22)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제어부(42)의 제어 작동에 대해서 흐름도를 기초로 하여 설명한다.
도 15 및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 스위치(J)에 의해 전원이 투입되어 기동되면, 조작체 위치 검출용 센서(43)의 검출 정보를 기초로 하여, 탈곡 클러치(14)가 온 상태인지의 여부가 판단되어(#1), 온 상태일 때에는「탈곡 클러치 오프」의 제어를 실행한다(#2).
이「탈곡 클러치 오프」의 제어는, 조작체 위치 검출용 센서(43)의 검출 정보를 기초로 하여, 전동 모터(22)가 탈곡 클러치 조작체(31)를 클러치 오프 위치(U1)로 조작하고, 탈곡 클러치 연동 기구(32)를 통하여 탈곡 클러치(14)를 오프 상태로 조작하게 되어, 이와 동시에 전동 모터(22)가 예취 클러치 조작체(33)를 클러치 오프 위치(U1)로 조작하고, 예취 클러치 연동 기구(34)를 통하여 예취 클러치(17)를 오프 상태로 조작하게 된다.
다음에, 엔진(10)이 시동되었는지의 여부가 판단되어(#3), 시동되고 있지 않을 때에는 메인 스위치(J)가 오프 위치로 조작되었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4).
덧붙여서 말하면, 엔진(10)의 시동은 상술한 바와 같이, 메인 스위치(J)가 ST 위치로 조작되었을 때에, 브레이크 검출 센서(57)에 의해 브레이크 작동 상태인 것이 검출되고 있는 경우에, 제어부(42)가 스타터 기동용 스위치(55a)를 온 조작함으로써 행해지게 되어, 엔진 회전수 센서(53)에 의해 검출되는 설정 회전수 이상이 됨으로써, 엔진(10)이 시동되었다고 판단된다.
엔진(10)이 시동되고, 작업 지령 스위치(25)가 온 상태로 절환되어 작업 개시 지령이 지령되면(#5), 스위치 램프(25A)를 점등하여(#6),「탈곡 클러치 온」의 제어를 실행한다(#7). 이「탈곡 클러치 온」의 제어는 조작체 위치 검출용 센서(43)의 검출 정보를 기초로 하여, 탈곡 클러치(14)를 온 상태로 절환하도록, 탈곡 클러치 조작체(31)를 탈곡 클러치 온 위치(U2)로 요동 조작하기 위해 전동 모터(22)를 작동시킨다.
그런데, 이와 같은 탈곡 클러치 온 조작과 동시에, 전동 모터(22)가 예취 클러치 조작체(33)를 조작하고, 예취 클러치 연동 기구(34)를 통하여 예취 클러치(17)를 오프 상태이지만 온 상태에 가까워지는 상태로 조작하게 된다.
또한, 탈곡 클러치 조작체(31)가 탈곡 클러치 온 위치(U2)로 요동 조작될 때, 액셀러레이터 조작구(60)가 설정 저속 위치(L)에 위치하고 있으면, 액셀러레이터 조작부(G)의 조작에 의해 엔진(10)이 정격 회전수로 조작되게 된다. 즉, 탈곡 클러치 조작체(31)와 함께 요동하는 요동 조작체(69)의 단부(69b)가, 대기 위치(T)에 위치하는 조작부(70)의 수동부(70a)에 접촉하고, 요동 조작체(69)가 조작부(70)를 작용 방향(a1)으로 요동 조작한다. 그러면 조작부(70)의 동력 전달부(70b)가 액셀러레이터 조작구(60)의 출력 아암부(60a)에 접촉하고, 조작부(70)가 액셀러레이터 조작구(60)를 요동 조작한다. 이에 의해, 액셀러레이터 조작부(G)가 작동하여 조속 장치(63)를 증속측으로 조작한다. 액셀러레이터 조작구(60)가 설정 고속 위치(H)가 되면, 요동 조작체(69)가 조작부(70)로부터 벗어나, 마찰판(68)이 액셀러레이터 조작구(60)를 설정 고속 위치(H)로 보유 지지한다. 이에 의해, 엔진(10)이 액셀러레이터 조작구(60)의 설정 고속 위치(H)에 대응한 정격 회전수가 된다.
그리고 조작체 위치 검출용 센서(43)에 의해, 탈곡 클러치 조작체(31)가 탈곡 클러치 온 위치(U2)로 요동 조작된 것이 검출되고, 또한 엔진 회전수 센서(53)에 의해 검출되는 엔진 회전수가 정격 회전수가 되어 있는 것이 검출되면, 「탈곡 클러치 온」의 제어를 종료하여 표시 램프(54)를 점등 상태로 절환한다(#8, #9, #10). 또, 탈곡 클러치 온 조작이 종료할 때까지 작업 지령 스위치(25)가 오프 상태로 절환되면(#11), 스위치 램프(25A)를 소등하여(#28), 「탈곡 클러치 오프」의 제어를 실행하고(#29), 표시 램프(54)를 소등한다(#30).
덧붙여서 말하면, 조작부(70)가 액셀러레이터 조작구(60)를 설정 고속 위치(H)로 조작한 후, 요동 조작체(69)의 단부(69b)가 조작부(70)의 수동부(70a)로부터 벗어나, 조작부(70)가 대기 위치(T)로 복귀하여 액셀러레이터 조작구(60)의 출력 아암부(60a)와 이격하고, 또한 요동 조작체(69)가 조작부(70)와 이격하게 된다. 따라서, 액셀러레이터 조작구(60)는 조작부(70)와 요동 조작체(69)에 의한 요동 규제를 받지 않고, 설정 고속 위치(H)로부터 감속측으로 인위 조작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게다가, 엔진(10)이 정격 회전수로 조작된 후, 탈곡 장치(5)를 정지시켜도, 엔진 회전수는 정격 회전수로 유지되게 된다. 즉, 액셀러레이터 조작구(60)가 설정 고속 위치(H)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에서, 전동 모터(22)가 탈곡 클러치 조작체(31) 및 예취 클러치 조작체(33)를 클러치 오프 위치(U1)로 조작하면, 요동 조작체(69)가 탈곡 클러치 조작체(31)와 함께 요동하여 해제 방향(b2)으로 요동한다. 이에 수반하여 요동 조작체(69)의 단부(69b)가 대기 위치(T)에 위치하고 있는 조작부(70)의 수동부(70a)에 접촉하여 요동 조작체(69)가 조작부(70)를 요동 조작해도, 조작부(70)는 해제 방향(b1)으로 요동하여 액셀러레이터 조작구(60)에 압박 작용하지 않는다. 이에 의해, 액셀러레이터 조작구(60)가 마찰판(68)에 의해 설정 고속 위치(H)로 보유 지지되고, 엔진(10)은 액셀러레이터 조작구(60)의 설정 고속 위치(H)에 대응한 정격 회전수를 유지한다.
다음에, 변속 검출용 센서(41)의 검출 정보를 기초로 하여, 전진 조작 영역(F)에 있어서의 클러치 온 판별용 설정 위치(P1)보다도 고속측에 주변속 레버(24)가 위치하는 전진 주행 상태인지의 여부[주변속 레버(24)가 전진측이고 또한 설정 속도 이상의 고속측의 범위에 있는지 여부], 즉 예취 클러치 온 조작 영역으로 조작되어 있는지의 여부가 판단되고(#12), 주변속 레버(24)가 예취 클러치 온 조작 영역이 아닐 때에는, 전진 조작 영역(F)에 있어서의 클러치 온 판별용 설정 위치(P1)보다도 저속측으로 정한 클러치 오프 판별용 설정 위치(P2)에 대하여 상기 주변속 레버(24)가 저속측에 위치하는 주행 중립 상태인지 및 후진 조작 영역(R)에 주변속 레버(24)가 위치하는지, 즉 주변속 레버(24)가 예취 클러치 오프 조작 영역으로 조작되어 있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17).
주변속 레버(24)가 예취 클러치 온 조작 영역으로 조작되어 있는 경우, 자동 조작 스위치(52)에 의해 자동 조작 지령(예취 오토 클러치의 온)이 지령되어 있지 않으면, 즉시「예취 클러치 온」의 제어가 행해진다(#13, #14). 즉, 조작체 위치 검출용 센서(43)의 검출 정보를 기초로 하여, 전동 모터(22)에 의해 탈곡 클러치 조작체(31)를 예취 클러치 온 위치(U3)로 조작하고, 탈곡 클러치 연동 기구(32)를 통하여 탈곡 클러치(14)를 온 상태로 계속하여 조작하게 되어, 이와 동시에, 전동 모터(22)에 의해 예취 클러치 조작체(33)를 예취 클러치 온 위치(U3)로 조작하고, 예취 클러치 연동 기구(34)를 통하여 예취 클러치(17)를 온 상태로 조작하게 된다.
자동 조작 스위치(52)에 의해 자동 조작 지령(예취 오토 클러치의 온)이 지령되고 있을 때는, 높이 검출용 센서(51)의 검출 정보를 기초로 하여, 예취 처리 장치(4)의 높이가 설정 높이보다도 낮다고 판단되면, 상기「예취 클러치 온」의 제어를 실행하고, 예취 처리 장치(4)의 높이가 설정 높이 이상이면「예취 클러치 오프」의 제어를 실행한다(#13,#15, #16).
이 「예취 클러치 오프」의 제어는, 조작체 위치 검출용 센서(43)의 검출 정보를 기초로 하여, 전동 모터(22)가 탈곡 클러치 조작체(31)를 탈곡 클러치 온 위치(U2)로 조작하고, 탈곡 클러치 연동 기구(32)를 통하여 탈곡 클러치(14)를 온 상태로 유지하는 상태로 조작하게 되어, 이와 동시에 전동 모터(22)가 예취 클러치 조작체(33)를 탈곡 클러치 온 위치(U2)로 조작하고, 예취 클러치 연동 기구(34)를 통하여 예취 클러치(17)를 오프 상태로 조작하게 된다.
주변속 레버(24)가 예취 클러치 오프 조작 영역으로 조작되고 있을 때는, 변속 검출용 센서(41)의 검출 정보를 기초로 하여 주변속 레버(24)가 중립 위치(N)가 아닌 것이 판별되는(#18) 때나, 주변속 레버(24)가 중립 위치(N)라도 긁어 넣음 지령 스위치(50)가 예취 클러치(17)의 온 조작 지령을 지령하는 온 상태가 아닐 때는(#19), 「예취 클러치 오프」의 제어가 실행되고(#20), 주변속 레버(24)가 중립 위치(N)이며, 긁어 넣음 지령 스위치(50)가 온 상태이면,「예취 클러치 온」의 제어를 실행한다(#18, #19, #14).
「예취 클러치 온」의 제어가 행해져, 예취 작업이 행해지고 있을 때에, 엔진 회전수 검출 센서(53)에 의해 검출되는 엔진 회전수가 미리 설정되어 있는 설정 회전수 이하로 저하되고 있지만, 그 설정 회전수보다도 낮게 설정된 하한 회전수까지는 저하되고 있지 않을 때에는, 표시 램프(54)를 점멸 작동시킨다(#21 내지 #23).
상기 설정 회전수에 대해서 설명을 덧붙이면, 탈곡 장치(5) 내에 예취 곡물대가 존재하지 않는 상태에서 탈곡 장치(5)를 구동하면서 주행하고 있는 상태, 구체적으로는 예취 처리 장치(4)에 구비된 밑동 센서(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예취 곡물대가 검출되기 시작했을 때의 엔진 회전수를 무부하 회전수로서 설정해 두고, 그 무부하 회전수로부터 제1 설정량 낮은 회전수가 상기 설정 회전수로서 설정된다.
상기 하한 회전수는, 무부하 회전수로부터 제1 설정량보다도 큰 제2 설정량 낮은 회전수가 설정되지만, 엔진 회전수가 하한 회전수에까지 저하되는 상태에서는, 엔진(10)에 걸리는 부하가 과대하여, 이대로 예취 작업을 계속하면 엔진 고장을 일으킬 우려가 있다.
따라서, 엔진 회전수가 하한 회전수 이하에까지 저하되고 있을 때에는, 표시 램프(54)를 소등하여, 통지 표시부(81)에 있어서의 부하 이상 램프(87)를 점멸 작동시켜서 이상을 통지한다(#25, #26). 그리고 이러한 상태가 설정 시간 이상 계속되면, 더 이상 작업을 계속할 수 없으므로 처리를 종료해서 이상 경보 상태를 유지한다(#27).
작업 지령 스위치(25)가 오프 상태로 절환되면, 스위치 램프(25A)를 소등하여, 「탈곡 클러치 오프」의 제어를 실행한다(#24, #28, #29). 즉, 전동 모터(22)가 탈곡 클러치 조작체(31)를 클러치 오프 위치(U1)로 조작하여, 탈곡 클러치 연동 기구(32)를 통하여 탈곡 클러치(14)를 오프 상태로 조작하는 동시에, 전동 모터(22)가 예취 클러치 조작체(33)를 클러치 오프 위치(U1)로 조작하고, 예취 클러치 연동 기구(34)를 통하여 예취 클러치(17)를 오프 상태로 조작한다.
그리고 표시 램프(54)를 소등시켜(#30), 메인 스위치(J)가 오프 위치로 조작되면 처리를 종료한다(#31).
[다른 실시 형태]
(1)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예취 클러치(17) 및 탈곡 클러치(14)(작업 클러치)의 절환 조작에다가 조속 장치(63)(액셀러레이터 장치)의 절환 조작도 절환 조작용 구동 수단으로서의 1개의 절환 조작용 모터(22)에 의해 행하도록 했지만, 예취 클러치(17), 탈곡 클러치(14), 조속 장치(63)(액셀러레이터 장치)의 절환 조작을 각각 별도로 작동기(예를 들어 전동 모터 등)에 의해 행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2) 상기 절환 조작용 구동 수단으로서의 절환 조작용 모터(22)를 설치하지 않고,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취 클러치(17), 탈곡 클러치(14)(작업 클러치), 조속 장치(63)(액셀러레이터 장치)를 수동으로 절환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라도 좋다.
즉, 예취 클러치(17) 및 탈곡 클러치(14)(작업 클러치)가 수동 조작을 기초로 하여 상기 온 상태와 상기 오프 상태로 절환 가능하게 구성되고, 또한 조속 장치(63)(액셀러레이터 장치)가 수동 조작을 기초로 하여 엔진의 출력을 변경 조정 가능하게 구성된다. 즉, 수동 조작식의 예취 클러치 레버(17A)의 조작에 의해 예취 클러치(17)가 온 오프 조작되고, 수동 조작식의 탈곡 클러치 레버(14A)의 조작에 의해 탈곡 클러치(14)가 온 오프 조작되어, 수동 조작식의 액셀러레이터 조작구(60)의 조작에 의해 조속 장치(63)에 있어 엔진(10)의 출력을 변경 조정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이다.
또, 엔진(10)의 출력이 탈곡 장치(5)에 전달되고 있는 구동 상태인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구동 상태 검출 수단(43)으로서, 예취 클러치 레버(14A)가 클러치 온 위치로 조작된 것을 검출하는 예취 레버 센서(S1)와, 탈곡 클러치 레버(17A)가 클러치 온 위치로 조작된 것을 검출하는 탈곡 레버 센서(S2)를 구비하고, 또한 제어부(42)가 엔진 회전수검 센서(53)에 의해 검출되는 엔진 회전수가 정격 회전수이며 또한 예취 레버 센서(S1)와 탈곡 레버 센서(S2)가 각각 클러치 온 위치를 검출하면, 표시 램프(54)(통지 수단)를 작동시킨다.
즉, 구동 상태 검출 수단(43)이, 엔진(10)의 출력이 탈곡 장치(5) 및 예취 처리 장치(4)에 전달되고 있는 상태를 구동 상태로서 검출하는 구성이다.
또한, 다른 실시 형태로서, 예취 클러치(17), 탈곡 클러치(14)(작업 클러치), 조속 장치(63)(액셀러레이터 장치)를 수동으로 절환하는 것에 있어서, 구동 상태 검출 수단(43)이 탈곡 장치(5)에 대한 동력 전달만을 검출하는 구성으로서, 탈곡 클러치(14)가 온 상태이며 엔진 회전수가 정격 회전수이면, 표시 램프(54)(통지 수단)가 통지 작동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라도 좋다.
이와 같은 구성은, 예를 들어 포장 침지에서 수작업으로 예취한 곡물대를, 콤바인을 주행 정지시키고, 또한 예취 처리부(4)의 작동을 정지시키고 있는 상태에서, 탈곡 피드 체인(5a)의 시단부에 수작업으로 예취 곡물대를 투입하여 탈곡 처리를 행하는 훑는 작업을 행하는 경우에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3)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표시 램프(54)의 작동 형태의 변경으로서, 점등 작동으로부터 점멸 작동으로 변경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점멸 작동으로부터 점등 작동으로 변경하는 것이라도 좋고, 점멸 작동의 점멸 시간의 간격을 변경하는 것 등, 다양한 것을 채용할 수 있다.
(4)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표시 램프(54)를 점등 작동시키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엔진 회전수가 설정 회전수 이하가 되면 표시 램프(54)를 점멸 작동시키도록 했지만, 엔진 회전수가 설정 회전수 이하가 되어도 표시 램프(54)를 점등시키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5)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엔진 회전수가 하한 회전수 이하가 되면, 표시 램프(54)를 소등시키는 동시에, 과부하 상태 통지 수단으로서의 부하 이상 램프(87)를 점멸 작동시키도록 했지만, 엔진 회전수가 하한 회전수 이하가 되어도 표시 램프(54)를 점등시키거나 또는 점멸시키는 구성으로 해도 좋고, 또한 과부하 상태 통지 수단으로서, 부하 이상 램프(87) 대신에, 혹은 부하 이상 램프(87) 외에 버저로 통지시키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표시 램프(54)와 마찬가지로, 이 경우 과부하 상태 통지 수단의 작동 형태로서, 소리를 연속적으로 울리거나, 간헐적으로 울리거나, 음성의 내용(예를 들어,「엔진 부하가 과대합니다.」)을 변경하거나 하는 등의 다양한 것을 채용할 수 있다.
(6)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작업 지령 스위치(25)가 표시 장치(F)의 하방측에 위치하는 상태로 설치되고, 표시 램프(54)가 표시 장치(F)의 상방측에 위치하는 상태로 설치되는 구성으로 했지만, 이러한 구성 대신에, 예를 들어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 지령 스위치(25)와 표시 램프(54)를 모두 표시 장치(F)의 상방측에 위치하는 상태로 또한 좌우 양측에 늘어서는 상태로 설치하도록 해도 좋고, 그 배치 구성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해도 좋다.
(7)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통지 수단으로서 표시 램프를 채용한 예를 나타냈지만, 통지 수단으로서, 액정 표시 등에 문자 정보나 화상 정보 등을 사용하여 표시하는 것이나, 소리나 음성에 의해 통지하는 것이라도 좋다. 이 경우, 통지 수단의 작동 형태로서, 소리를 연속적으로 울리거나, 간헐적으로 울리거나, 음성의 내용(예를 들어, 「작업 개시 가능합니다.」)을 변경하거나 하는 등의 다양한 것을 채용할 수 있다.
(8)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조작체 위치 검출용 센서(43)의 검출 정보를 기초로 하여, 엔진(10)의 출력이 탈곡 장치(5)에 전달되고 있는 구동 상태인지의 여부를 검출하도록 하였지만, 이러한 구성 대신에, 탈곡 장치(5)에 있어서의 2번 물건 회수용 스크류 컨베이어(도시하지 않음)의 회전 속도를 검출하는 2번 회전 센서의 검출 정보를 기초로 하여, 엔진(10)의 출력이 탈곡 장치(5)에 전달하고 있는 구동 상태인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고, 또 클러치 아암(17a)의 위치를 직접 검출하는 센서를 이용하는 등, 다양한 검출 수단을 이용할 수 있다.
(9)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예취 작업 개시 조건으로서, 주변속 레버(24)가 전진 주행용 조작 위치이고 또한 설정 속도 이상의 고속측으로 조작되면, 예취 작업 개시 조건이 충족되었다고 판별하도록 했지만, 이러한 조건 대신에, 주변속 레버(24)의 위치에 관계없이, 긁어 넣음 지령 스위치(50)가 조작되면 예취 작업 개시 조건이 충족되었다고 판별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 주변속 레버(24)의 위치에 관계없이, 예취 처리 장치(4)의 대 기체 높이가 설정 높이 미만이면 예취 작업 개시 조건이 충족되었다고 판별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10)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작업차로서의 콤바인에 있어서 탈곡 클러치(14)를 작업차의 작업 클러치로서 조작하는 경우에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경우를 예시했지만, 예를 들어 경운 로터를 구비한 트랙터를 작업차로서, 경운 로터의 구동을 단속하는 구동 클러치를 작업 클러치로서 조작하는 데 적용하는 등, 본 발명은 다양한 작업차의 작업 클러치를 조작하는 데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콤바인>>
또한,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 19 내지 도 37을 기초로 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콤바인의 전체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콤바인의 전체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이들의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콤바인은, 좌우 한 쌍의 크롤러식의 주행 장치(101, 101)에 의해 스스로 주행하도록 구성되고, 또한 기체의 전단부측의 횡 일단부에 설치한 운전부(102)에 탑승하여 운전하도록 구성된 주행 기체와, 주행 기체의 전단부에 장비된 예취 전처리부(110)와, 주행 기체의 기체 프레임(103)의 후방부측에 예취 전처리부(110)의 후방에 배치하여 설치된 탈곡 장치(104)와, 기체 프레임(103)의 후방부측에 운전부(102)의 후방에 배치하여 설치된 곡립 탱크(105)를 구비하여 구성하고 있다.
콤바인은 벼, 보리 등의 수확 작업을 행한다.
즉, 예취 전처리부(110)는 기체 프레임(103)의 전단부로부터 전방 방향으로 상하 요동 가능하게 연장되는 전처리부 프레임(111)을 구비하여 구성되고, 이 전처리부 프레임(111)이 유압 실린더(106)에 의해 요동 조작됨으로써, 예취 전처리부(110)의 전단부에 주행 기체 횡 방향으로 나란히 설치하고 있는 4개의 분초구(112)가 농지면 부근으로 하강한 하강 작업 상태와 4개의 분초구(112)가 농지면으로부터 높게 상승한 상승 비작업 상태로 승강 조작된다.
예취 전처리부(110)를 하강 작업 상태에서 하강시켜 주행 기체를 주행시키면, 예취 전처리부(110)가 벼나 보리 등의 직립 곡물대의 예취 처리를 행하고, 탈곡 장치(104)가 예취 전처리부(110)에 의해 예취된 예취 곡물대의 밑동측을 탈곡 피드 체인(104a)에 의해 협지 반송하여, 예취 곡물대의 이삭 끝측을 급실(扱室)(도시하지 않음)에 공급하여 탈곡 처리하고, 곡립 탱크(105)가 탈곡 장치(104)로부터 반송된 탈곡립을 회수해서 저류한다. 곡립 탱크(105)는 스크류 컨베이어로 이루어지는 배출 오거(107)를 구비하고 있고, 저류한 탈곡립을 배출 오거(107)에 의해 배출한다.
예취 전처리부(110)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1은 예취 전처리부(110)의 전체를 도시하는 개략 평면도이다. 도 22는 예취 전처리부(110)의 전방부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23은 예취 전처리부(110)의 전방부를 도시하는 좌측면도이다. 도 24는 예취 전처리부(110)의 전방부를 도시하는 우측면도이다. 도 19, 도 20, 도 21, 도 22, 도 23,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취 전처리부(110)는 전처리부 프레임(111)의 전방부에 주행 기체 횡 방향으로 나란히 형성된 3개의 일으켜 세움 경로(113, 114, 115)와, 각 일으켜 세움 경로(113, 114, 115)에 1개씩 위치하는 배치로 주행 기체 횡 방향으로 일렬로 늘어서는 3개의 일으켜 세움 장치(116A, 116B)와, 일으켜 세움 장치(116A, 116B)의 하부 후방에 3개의 일으켜 세움 경로(113, 114, 115)의 종단부에 걸친 상태에서 위치하는 이발기형의 예취 장치(117)와, 예취 장치(117)의 상방에 각 일으켜 세움 장치(116A, 116B)의 후방에 1개씩 위치하는 배치로 주행 기체 횡 방향으로 늘어서는 3개의 긁어 넣음부(121, 122, 123)와, 3개의 긁어 넣음부(121, 122, 123) 중 우측 횡 외측에 위치하는 긁어 넣음부(121)의 반송 종단부로부터 탈곡 장치(104)의 전방부에 이르는 공급 장치(124)를 구비하여 구성하고 있다.
도 19, 도 22, 도 23,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처리부 프레임(111)은 기체 프레임(103)의 전단부로부터 상하 요동 가능하게 연장되는 동력 전달 케이스로 이루어지는 주 프레임(111a)과, 주 프레임(111a)의 주행 기체 횡 방향의 전단부(111b)를 구성하는 출력 케이스에 주행 기체 횡 방향으로 나란히 지지시킨 4개의 분초 프레임(118, 119)을 구비하여 구성하고 있다. 4개의 분초 프레임(118, 119) 중 주행 기체 횡 방향에서의 양쪽 횡 외측에 위치하는 외측의 분초 프레임(118)은, 주 프레임(111a)의 전단부(111b)로부터 주행 기체 횡 외측을 향해서 연장되는 연결 프레임부(118a)와, 이 연결 프레임부(118a)의 연장단부로부터 주행 기체 전방 방향으로 연장되는 분초 프레임부(118b)를 구비하여 구성하고 있다. 4개의 분초 프레임(118, 119) 중 한 쌍의 분초 프레임부(118b, 118b) 사이에 위치하는 2개의 내측 분초 프레임(119)은, 한 쌍의 분초 프레임부(118b, 118b)의 기단부측에 연결된 주행 기체 횡 방향의 지지 프레임(120)으로부터 주행 기체 전방 방향으로 연장하고 있다.
각 외측의 분초 프레임(118)의 분초 프레임부(118b) 및 각 내측의 분초 프레임(119)을 주행 기체 횡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늘어서도록 배치하여, 인접하는 분초 프레임부(118b)와 분초 프레임(119)에 의해 3개의 일으켜 세움 경로(113, 114, 115) 중 외측의 일으켜 세움 경로(113, 115)를 형성하고, 인접하는 한 쌍의 분초 프레임(119, 119)에 의해 3개의 일으켜 세움 경로(113, 114, 115) 중 내측의 일으켜 세움 경로(114)를 형성하고 있다. 3개의 일으켜 세움 경로(113, 114, 115) 중 좌측 외측에 위치하는 일으켜 세움 경로(115) 및 내측에 위치하는 일으켜 세움 경로(114)의 횡폭(W1)을, 1줄의 이식줄의 직립 곡물대(a)(도 21 참조)의 도입이 가능한 것으로 설정하고, 우측 외측에 위치하는 일으켜 세움 경로(113)의 횡폭(W2)을, 2줄의 이식줄의 직립 곡물대(a)의 도입이 가능하는 것으로 설정하고 있다. 도 20,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분초 프레임부(118b) 및 각 분초 프레임(119)의 전단부에 분초구(112) 및 도입 레버(112a)(도 20 참조)를 지지시키고 있다.
도 21은 4줄 베기의 예취 형태를 채용한 경우의 예취 전처리부(110)와 직립 곡물대(a)의 관계를 도시하고 있다. 이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4개의 분초구(112) 중 좌측 외측에 위치하는 분초구(112)와 우측 외측에 위치하는 분초구(112) 사이에 4줄의 이식줄의 직립 곡물대(a)가 위치하도록 예취 전처리부(110)의 직립 곡물대(a)에 대한 줄 맞춤을 행하면, 4줄 베기의 예취 형태가 되어, 좌측 외측의 일으켜 세움 경로(115) 및 내측의 일으켜 세움 경로(114)에는, 일으켜 세움 경로(115, 114)의 입구 횡측에 위치하는 분초구(112) 및 도입 레버(112a)에 의해 1줄의 이식줄의 직립 곡물대(a)가 도입되고, 우측 외측의 일으켜 세움 경로(113)에는 일으켜 세움 경로(113)의 입구 횡측에 위치하는 분초구(112) 및 도입 레버(112a)에 의해 2줄의 이식줄의 직립 곡물대(a)가 도입된다.
도 26은 3줄 베기의 예취 형태를 채용한 경우의 예취 전처리부(110)와 직립 곡물대(a)의 관계를 도시하고 있다. 이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 외측에 위치하는 분초구(112)와 우측 외측에 위치하는 분초구(112) 사이에 3줄의 이식줄의 직립 곡물대(a)가 위치하도록 예취 전처리부(110)의 직립 곡물대(a)에 대한 줄 맞춤을 행하면, 3줄 베기의 예취 형태가 되어, 3개의 일으켜 세움 경로(113, 114, 115)의 각각에 일으켜 세움 경로(113, 114, 115)의 입구에 위치하는 분초구(112) 및 도입 레버(112a)에 의해 1줄의 이식줄의 직립 곡물대(a)가 도입된다.
도 20, 도 21, 도 22,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측 외측의 일으켜 세움 경로(113)에 위치하는 일으켜 세움 장치(116A)는, 일으켜 세움 경로 횡폭 방향에서의 중앙부에 상단부측만큼 후방에 위치하는 약간 뒤로 쓰러진 경사 자세로 위치하는 일으켜 세움 케이스(116a)와, 일으켜 세움 케이스(116a)의 내부에 구동 회전 가능하게 설치한 무단부 회전 일으켜 세움 체인으로 이루어지는 일으켜 세움 무단부 회전체(116b)와, 일으켜 세움 무단부 회전체(116b)의 회전 방향에서의 복수 부위에 기복 요동 가능하게 지지시킨 일으켜 세움 갈고리(116c)를 구비하여 구성하고 있다. 일으켜 세움 케이스(116a)의 하단부측은, 우측 외측의 분초 프레임부(118b)로부터 연장되는 지지 아암(127)에 지지되고, 일으켜 세움 케이스(116a)의 상단부측은 전처리부 프레임(111)을 구성하는 일으켜 세움 구동 케이스(도시하지 않음)에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우측 외측의 일으켜 세움 경로(113)에 위치하는 일으켜 세움 장치(116A)는, 일으켜 세움 무단부 회전체(116b)에 의한 일으켜 세움 갈고리(116c)의 이송 조작 및 일으켜 세움 케이스(116a)의 내부에 설치한 기립 가이드(도시하지 않음)에 의한 일으켜 세움 갈고리(116c)의 기립 조작에 의해, 일으켜 세움 경로(113)의 횡폭 방향에서의 중심(113c)에 대하여 일으켜 세움 경로 횡 일단부측[내측의 일으켜 세움 경로(114)가 위치하는 측]으로 치우친 일으켜 세움 경로(113)의 부위에 있어서, 일으켜 세움 갈고리(116c)를 선단부측이 일으켜 세움 케이스(116a)로부터 돌출된 상태에서 상승 이동시켜, 3줄 베기 형태의 경우, 일으켜 세움 경로(113)에 도입된 1줄의 직립 곡물대(a)를 일으켜 세움 경로(113)의 횡 일단부측의 부위에서 상승 이동하는 일으켜 세움 갈고리(116c)에 의해 일으켜 세움 처리하고, 4줄 베기 형태의 경우, 일으켜 세움 경로(113)에 도입된 2줄의 직립 곡물대(a)를 일으켜 세움 경로(113)의 횡 일단부측의 부위에서 상승 이동하는 일으켜 세움 갈고리(116c)에 의해 일으켜 세움 처리한다. 도 30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측 외측의 일으켜 세움 경로(113)에 위치하는 일으켜 세움 장치(116A)는, 4줄 베기 형태의 경우, 일으켜 세움 경로(113)에 도입된 2줄의 직립 곡물대(a) 중 상승 이동하는 일으켜 세움 갈고리(116c)로부터 먼 측에 밑동이 위치하는 직립 곡물대(a1)를, 상승 이동하는 일으켜 세움 갈고리(116c)에 가까운 측에 밑동이 위치하는 직립 곡물대(a2)에 비해서 대폭으로, 일으켜 세움 갈고리(116c)가 상승 이동하는 부위로 일으켜 세움 경로 횡폭 방향으로 끌어당기면서 일으켜 세움 처리한다.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측 외측의 일으켜 세움 경로(113)에 위치하는 일으켜 세움 장치(116A)에 있어서, 일으켜 세움 케이스(116a)의 하방에서 일으켜 세움 갈고리(116c)가 기립 자세로 주행 기체 횡 방향으로 이동해서 일으켜 세움 작용하는 거리, 즉 일으켜 세움 장치(116A)에 있어서의 일으켜 세움 폭을, 내측의 일으켜 세움 경로(114) 및 좌측 외측에 일으켜 세움 경로(115)에 위치하는 일으켜 세움 장치(116B)에 있어서의 일으켜 세움 폭보다도 크게 설정하고 있다.
도 20, 도 21, 도 22,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측 및 좌측 외측의 일으켜 세움 경로(114, 115)에 위치하는 일으켜 세움 장치(116B)는, 일으켜 세움 갈고리(116c)가 일으켜 세움 케이스(116a)로부터 일으켜 세움 케이스(116a)의 우측 횡측으로 돌출한 상태에서 일으켜 세움 무단부 회전체(116a)에 의해 상승 이송되는 구조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일으켜 세움 경로(114, 115)에 도입된 1줄의 직립 곡물대(a)를 일으켜 세움 케이스(116a)의 우측 횡측에 위치하는 일으켜 세움 경로(114, 115)의 부위에서 상승 이동하는 일으켜 세움 갈고리(116c)에 의해 일으켜 세움 처리한다.
좌측 외측의 일으켜 세움 경로(115)에 위치하는 일으켜 세움 장치(116B)를 구성하는 일으켜 세움 케이스(116a)의 하단부측은, 좌측 외측의 분초 프레임부(118b)로부터 연장되는 지지 아암(128)에 지지되어 있다. 내측의 일으켜 세움 경로(114)에 위치하는 일으켜 세움 장치(116B)를 구성하는 일으켜 세움 케이스(116a)의 하단부측은, 내측의 일으켜 세움 경로(114)를 형성하는 분초 프레임(119)으로부터 연장되는 지지 아암(129)에 지지되어 있다. 좌측 외측의 일으켜 세움 경로(115)에 위치하는 일으켜 세움 장치(116B) 및 내측의 일으켜 세움 경로(114)에 위치하는 일으켜 세움 장치(116B)를 구성하는 일으켜 세움 케이스(116a)의 상단부측은, 전처리부 프레임(111)을 구성하는 일으켜 세움 구동 케이스(도시하지 않음)에 지지되어 있다.
도 21, 도 22, 도 24,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3개의 긁어 넣음부(121, 122, 123) 중 우측 외측의 일으켜 세움 장치(116A)의 후방에 위치하는 우측 외측의 긁어 넣음부(121)는, 반송 하류측만큼 주행 기체 횡측 및 주행 기체 후방측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예취 장치(117)에 대하여 경사진 반송 경로(131)를 가진 밑동 반송 장치(130)와, 이 밑동 반송 장치(130)의 반송 종단부측의 하방에 구동 회전 가능하게 설치한 긁어 넣음 회전체(137)를 구비하여 구성하고 있다.
밑동 반송 장치(130)는, 우측 외측의 일으켜 세움 경로(113)를 향하는 예취 장치(117)의 부분 전방으로부터 후방에 걸쳐 설치하고 있다. 밑동 반송 장치(130)는 밑동 반송 장치(130)의 반송 종단부측에 구동 회전 가능하게 설치한 구동륜체(132)와 밑동 반송 장치(130)의 반송 시단부측에 공회전 가능하게 설치한 종동륜체(133)에 권회된 무단부 회전 벨트로 이루어지는 무단부 회전 반송체(134)와, 무단부 회전 반송체(134)의 전방측에 반송 경로(131)의 반송 시단부측의 부위에 따르게 하여 설치한 반송 가이드 레버(135)를 구비하여 구성하고 있다. 무단부 회전 반송체(134)는, 무단부 회전 반송체(134)의 회전 방향에서의 복수 부위로부터 연장된 걸림 반송 아암(134a)을 구비하고 있다.
구동륜체(132)는 전처리부 프레임(111)에 연결된 지지 프레임(140)의 후단부측에 판금 부재를 부설해서 형성한 지지부(140a)에 회전 지지축(132a)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지지 프레임(140)은 전처리부 프레임(111)을 구성하는 동력 전달 케이스(111c)에 설치한 지지부(111d)와 우측 외측의 일으켜 세움 장치(116A)에 있어서의 일으켜 세움 케이스(116a)를 지지하는 지지 아암(127)에 설치한 지지부(127a)에 연결되어 있다. 구동륜체(132)는 공급 장치(124)에 있어서의 반송 상측의 밑동 협지 반송부(180)를 구성하는 무단부 회전 협지 반송 체인에 의해 회전축(132a)이 회전 구동됨으로써, 회전 구동되어 무단부 회전 반송체(134)을 회전 구동한다. 종동륜체(133)는 지지 프레임(140)의 전단부측에 판금 부재를 부설해서 형성한 지지부(140b)에 지지축(133a)을 거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지지 프레임(140)의 후방측의 지지부(140a)와 전방측의 지지부(140b)에 무단부 회전 반송체(134)의 상방을 덮는 반송체 커버(136)를 장착하고 있다.
긁어 넣음 회전체(137)는, 구동륜체(132)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공급 장치(124)를 구성하는 무단부 회전 협지 반송 체인에 의해 구동륜체(132)와 일체로 회전 구동된다.
도 21, 도 22, 도 24,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송 가이드 레버(135)의 반송 상측으로부터 도입 가이드 레버(141)가 주행 기체 전방 방향으로 연장되어, 도입 가이드 레버(141)의 연장단부가 우측 외측의 일으켜 세움 장치(116A)의 일으켜 세움 케이스(116a)의 후방에 주행 기체 전후 방향으로 설치한 환봉재로 이루어지는 받침체(142)의 전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받침체(142)는 지지 프레임(120)에 다이 부재를 부설함으로써, 예취 장치(117)의 후방에 위치하는 전처리부 프레임(111)의 부분에 형성한 지지부(143)로부터 전방 방향으로 예취 장치(117)의 상방을 통과시켜 일으켜 세움 장치(116A)의 후방으로 연장시키고 있으며, 반송 가이드 레버(135)는 전처리부 프레임(111)의 지지부(143)에 지지된 받침체(142)의 전단부에 도입 가이드 레버(141)를 거쳐 지지되어 있다.
반송 가이드 레버(135)는, 무단부 회전 반송체(134)보다도 높은 배치 높이로 배치하고 있다. 도입 가이드 레버(141)는 반송 가이드 레버(135)에 연결하는 부위로부터 받침체(142)에 연결하는 연결부(141a)의 상단부에 이르기까지 전방측만큼 낮은 배치 높이에 위치하는 전방 하향 자세로 하고 있다. 받침체(142)의 전단부에, 인상 가이드(144)를 설치하고 있다. 인상 가이드(144)는 전방 하향 경사의 상단부 테두리로 이루어지는 가이드 작용부(144a)를 구비하고, 우측 외측의 일으켜 세움 경로(113)에 도입되어 일으켜 세움 장치(116A)에 의해 일으켜 세움 처리되는 2줄의 직립 곡물대(a) 중, 상승 이동하는 일으켜 세움 갈고리(116c)로부터 먼 측에 밑동이 위치하는 직립 곡물대(a1)의 밑동측을 도입 가이드 레버(141)에 원활하게 올라 앉도록 가이드 작용부(144a)에 의해 인상 안내한다. 인상 가이드(144)는 받침체(142)의 선단부에 용접된 종판에 의해 구성하고 있다.
도 21, 도 22, 도 25, 도 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측 외측의 일으켜 세움 경로(113)를 형성하는 내측의 분초 프레임(119)의 분초구(112)의 후방에 위치하는 부위에 부착한 다이 부재에 의해, 반송 가이드 레버(135)에 대하여 우측 외측의 일으켜 세움 경로(113)의 입구측에 위치하고, 또한 반송 가이드 레버(135)에 대하여 상승 이동하는 일으켜 세움 갈고리(116c)가 위치하는 측에서의 일으켜 세움 경로 횡 일단부측에 위치하는 부위에 설치한 가이드 지지부(150)를 구성하고, 이 가이드 지지부(150)로부터 2개의 탄성 도입 가이드 레버(151, 152) 및 1개의 만곡 도입 가이드 레버(153)를 후방 방향으로 연장하고 있다.
2개의 탄성 도입 가이드 레버(151, 152) 및 만곡 도입 가이드 레버(153)는 전후 방향에서의 중간부에 정점(151a, 152a, 153a)이 위치하는 동시에 정점(151a, 152a, 153a)이 일으켜 세움 경로(113)의 내측으로 인입하는 상태에서 만곡한 형상으로 하고 있다. 2개의 탄성 도입 가이드 레버(151, 152) 및 만곡 도입 가이드 레버(153)는 상하 방향으로 분산되는 상태에서 상하 3단으로 늘어서 있다. 하단의 만곡 도입 가이드 레버(153)의 연장단부측은, 무단부 회전 반송체(134)에 대하여 하방에 위치하는 반송 경로(131)의 부위에 배치하고, 상단의 탄성 도입 가이드 레버(151) 및 중간단의 탄성 도입 가이드 레버(152)의 연장단부측은, 무단부 회전 반송체(134)에 대하여 상방에 위치하는 반송 경로(131)의 부위에 배치하고 있다.
상단의 탄성 도입 가이드 레버(151)의 정점(151a)의 일으켜 세움 경로 횡폭 방향에서의 위치는, 탄성 도입 가이드 레버(151)가 탄성 변형되지 않는 자유 상태에 있어서, 반송 가이드 레버(135)의 반송 하류측 단부(135a)의 일으켜 세움 경로 횡폭 방향에서의 위치에 대하여 무단부 회전 반송체(134)의 반송 종단부측에 위치하고 있다. 하단의 만곡 도입 가이드 레버(153)의 정점(153a)의 일으켜 세움 경로 횡폭 방향에서의 위치는, 반송 가이드 레버(135)의 반송 하류측 단부(135a)의 일으켜 세움 경로 횡폭 방향에서의 위치에 대하여 무단부 회전 반송체(134)의 반송 종단부측에 위치하고 있다.
중간단의 탄성 도입 가이드 레버(152)의 정점(152a)의 일으켜 세움 경로 횡폭 방향에서의 위치가, 탄성 도입 가이드 레버(152)가 탄성 변형되지 않는 자유 상태에 있어서, 반송 가이드 레버(135)의 반송 하류측 단부(135a)의 일으켜 세움 경로 횡폭 방향에서의 위치와 동일해지도록 중간단의 탄성 도입 가이드 레버(152a)를 구성하고 있다.
상단의 탄성 도입 가이드 레버(151) 및 중간단의 탄성 도입 가이드 레버(152)의 종단부측의 일으켜 세움 경로 횡폭 방향에서의 위치는, 탄성 도입 가이드 레버(151, 152)가 탄성 변형되지 않는 자유 상태에 있어서, 반송 가이드 레버(135)의 반송 하류측 단부(135a)의 일으켜 세움 경로 횡폭 방향에서의 위치에 대하여 무단부 회전 반송체(134)의 반송 종단부측에 위치하고 있다. 하단의 만곡 도입 가이드 레버(153)의 종단부측의 일으켜 세움 경로 횡폭 방향에서의 위치는, 반송 가이드 레버(135)의 반송 하류측 단부(135a)의 일으켜 세움 경로 횡폭 방향에서의 위치에 대하여 무단부 회전 반송체(134)의 반송 종단부측에 위치하고 있다.
상단의 탄성 도입 가이드 레버(151) 및 하단의 만곡 도입 가이드 레버(153)는 중간단의 탄성 도입 가이드 레버(152)의 상하측으로 나뉘어진 부위에서, 또한 중간단의 탄성 도입 가이드 레버(152)에 대하여 일으켜 세움 경로 횡 외측에 위치한 부위에서 대를 받침 지지하여, 중간단의 탄성 도입 가이드 레버(152)에 의해 지지되는 부위가 절곡점이 되어 대가 절곡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30의 (a),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측 외측의 일으켜 세움 경로(113)에 2줄의 직립 곡물대(a)가 도입된 경우, 도입된 2줄의 직립 곡물대(a)는 상승 이동하는 우측 외측의 일으켜 세움 장치(116A)의 일으켜 세움 갈고리(116c)에 의해 한데 모아서 일으켜 세움 처리되고, 우측 외측의 일으켜 세움 장치(116A)에 의해 한데 모아서 일으켜 세움 처리되는 2줄의 직립 곡물대(a) 중 일으켜 세움 갈고리(116c)로부터 밑동이 먼 측의 직립 곡물대(a1)의 밑동측은, 도입 가이드 레버(141)에 의해 반송 가이드 레버(135)에 대하여 반송 상측에 위치하는 무단부 회전 반송체(134)의 부위에 도입되고, 우측 외측의 일으켜 세움 장치(116A)에 의해 한데 모아서 일으켜 세움 처리되는 2줄의 직립 곡물대(a) 중 일으켜 세움 갈고리(116c)에 밑동이 가까운 측의 직립 곡물대(a2)의 밑동측은, 반송 가이드 레버(135) 및 탄성 도입 가이드 레버(151, 152) 및 만곡 도입 가이드 레버(153)에 의해 반송 가이드 레버(135)에 대하여 반송 하류측에 위치하는 무단부 회전 반송체(134)의 부위에 도입된다.
따라서, 우측 외측의 긁어 넣음부(121)는, 우측 외측의 일으켜 세움 장치(116A)에 의해 일으켜 세움 처리되는 2줄의 직립 곡물대(a) 중 일으켜 세움 갈고리(116c)로부터 밑동이 먼 측의 직립 곡물대(a1)의 밑동측을, 도입 가이드 레버(141)로부터 반송 가이드 레버(135)에 대하여 반송 상측에 위치하는 무단부 회전 반송체(134)의 부위에서 계승하고, 계승한 직립 곡물대(a1)의 밑동측을, 무단부 회전 반송체(134)의 걸림 반송 아암(134a)에 의한 걸림 반송 및 반송 가이드 레버(135)에 의한 반송 가이드에 의해 반송 경로(131)를 따르게 하여 주행 기체 횡측 및 주행 기체 후방측에 걸림 반송해서 예취 장치(117)에 공급하고, 예취 장치(117)에 의해 예취 처리된 예취 곡물대의 밑동측을 무단부 회전 반송체(134)의 걸림 반송 아암(134a)에 의한 걸림 반송, 반송 가이드 레버(135)에 의한 반송 가이드, 탄성 도입 가이드 레버(151, 152) 및 만곡 도입 가이드 레버(153)의 연장단부측에 의한 반송 가이드에 의해 반송 경로(131)를 따르게 하여 예취 장치(117)의 후방을 향해 반송한다. 이때, 도 30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측 외측의 긁어 넣음부(121)는 무단부 회전 반송체(134)에 의해 반송하는 예취 곡물대의 밑동측이 예취 장치(117)로부터 전방으로 밀려 나와도, 밀려 나온 밑동측을 농지면에 접촉하기 어렵도록 받침체(142)에 의해 하방으로부터 받침 지지시키면서 반송한다. 우측 외측의 긁어 넣음부(121)는 무단부 회전 반송체(134)의 반송 종단부측에 밑동측이 도달하면, 밑동측에 긁어 넣음 회전체(137)를 작용시켜, 무단부 회전 반송체(134)의 걸림 반송 아암(134a)에 의한 걸림 반송, 상하 3단의 탄성 반송 가이드 레버(151, 152, 153)의 연장단부측에 의한 반송 가이드 및 긁어 넣음 회전체(137)의 반송 돌기(137a)에 의한 긁어 넣음 반송에 의해 반송 경로(131)를 따르게 하여 예취 장치(117)의 후방으로 반송하고, 예취 장치(117)의 후방에서 공급 장치(124)의 반송 시단부에 공급한다.
우측 외측의 긁어 넣음부(121)는, 우측 외측의 일으켜 세움 장치(116A)에 의해 일으켜 세움 처리되는 2줄의 직립 곡물대(a) 중 일으켜 세움 갈고리(116c)에 밑동이 가까운 측의 직립 곡물대(a2)의 밑동측을, 반송 가이드 레버(135) 및 상하 2단의 탄성 도입 가이드 레버(151, 152) 및 만곡 도입 가이드 레버(153)로부터 반송 가이드 레버(135)에 대하여 반송 하류측에 위치하는 무단부 회전 반송체(134)의 부위에서 계승하고, 계승한 직립 곡물대(a2)의 밑동측을, 무단부 회전 반송체(134)의 반송 상측으로부터의 곡물대의 밑동측에 합류시켜, 무단부 회전 반송체(134)의 걸림 반송 아암(134a)에 의한 걸림 반송, 긁어 넣음 회전체(137)의 반송 돌기(137a)에 의한 긁어 넣음 반송, 탄성 도입 가이드 레버(151, 152) 및 만곡 도입 가이드 레버(153)의 연장단부측에 의한 반송 가이드에 의해 반송 경로(131)를 따르게 하여 주행 기체 횡측 및 주행 기체 후방측에 걸림 반송해서 예취 장치(117)에 공급하고, 예취 장치(117)에 의해 예취 처리된 예취 곡물대의 밑동측을 무단부 회전 반송체(134)에 의한 걸림 반송, 탄성 도입 가이드 레버(151, 152) 및 만곡 도입 가이드 레버(153)의 연장단부측에 의한 반송 가이드에 의해 반송 경로(131)를 따르게 하여 예취 장치(117)의 후방으로 반송하고, 예취 장치(117)의 후방에서 공급 장치(124)의 반송 시단부에 공급한다.
3개의 긁어 넣음부(121, 122, 123) 중 내측의 일으켜 세움 장치(116B)의 후방에 위치하는 내측의 긁어 넣음부(122)는, 내측의 일으켜 세움 장치(116B)에 의해 일으켜 세움 처리되는 1줄의 직립 곡물대(a)의 밑동측을, 무단부 회전 반송체(160)의 반송 상측의 부위에서 계승하고, 계승한 밑동측을 무단부 회전 반송체(160)의 걸림 반송 아암(160a)에 의한 걸림 반송 및 지지부(150)로부터 후방 방향으로 상하 3단으로 늘어서 연장되는 탄성 도입 가이드 레버(161, 162) 및 만곡 도입 가이드 레버(163)의 연장단부측에 의한 반송 가이드에 의해 예취 장치(117)에 공급하고, 예취 장치(117)에 의해 예취 처리된 예취 곡물대의 밑동측을, 무단부 회전 반송체(160)의 걸림 반송 아암(160a)에 의한 걸림 반송, 탄성 도입 가이드 레버(161, 162) 및 만곡 도입 가이드 레버(163)의 연장단부측에 의한 반송 가이드 및 긁어 넣음 회전체(164)의 반송 돌기(164a)에 의한 긁어 넣음 반송에 의해 예취 장치(117)의 후방으로 반송해서 예취 장치(117)의 후방에서 공급 장치(124)에 공급한다.
우측 외측의 일으켜 세움 경로(113)에 위치하는 만곡 도입 가이드 레버(153)와 내측의 일으켜 세움 경로(114)에 위치하는 만곡 도입 가이드 레버(163)는, 일체 형성되어 있다.
내측의 긁어 넣음부(122)를 구성하는 긁어 넣음 회전체(164)의 반송 돌기(164a)와, 우측 외측의 긁어 넣음부(121)를 구성하는 긁어 넣음 회전체(137)의 반송 돌기(137a)가 맞물려 있다. 내측의 긁어 넣음부(122)를 구성하는 긁어 넣음 회전체(164)와 무단부 회전 반송체(160)는, 일체 회전 가능하게 연동되고 있고, 내측의 긁어 넣음부(122)를 구성하는 긁어 넣음 회전체(164) 및 무단부 회전 반송체(160)는 우측 외측의 긁어 넣음부(121)를 구성하는 긁어 넣음 회전체(137)로부터의 동력 전달에 의해 구동된다.
3개의 긁어 넣음부(121, 122, 123) 중 좌측 외측의 일으켜 세움 장치(116B)의 후방에 위치하는 좌측 외측의 긁어 넣음부(123)는 좌측 외측의 일으켜 세움 장치(116B)에 의해 일으켜 세움 처리되는 1줄의 직립 곡물대(a)의 밑동측을, 무단부 회전 반송체(170)의 반송 상측의 부위에서 계승하고, 계승한 밑동측을 무단부 회전 반송체(170)가 구비하는 걸림 반송 아암(170a)에 의한 걸림 반송 및 분초 프레임(119)에 설치한 지지부로부터 후방 방향으로 상하 3단으로 나란히 연장되는 탄성 도입 가이드 레버(171, 172) 및 만곡 도입 가이드 레버(173)의 연장단부측에 의한 반송 가이드에 의해 예취 장치(117)에 공급하고, 예취 장치(117)에 의해 예취 처리된 예취 곡물대의 밑동측을, 무단부 회전 반송체(170)의 걸림 반송 아암(170a)에 의한 걸림 반송, 탄성 도입 가이드 레버(171, 172) 및 만곡 도입 가이드 레버(173)의 연장단부측에 의한 반송 가이드 및 긁어 넣음 회전체(174)의 반송 돌기(174a)에 의한 긁어 넣음 반송에 의해 예취 장치(117)의 후방으로 반송해서 예취 장치(117)의 후방에서 무단부 회전 협지 반송 체인(175)에 공급하고, 이 무단부 회전 체인(175)에 의해 다시 후방으로 협지 반송해서 공급 장치(124)에 공급한다.
좌측 외측의 긁어 넣음부(123)를 구성하는 무단부 회전 협지 반송 체인(175)은, 전처리부 프레임(111)을 구성하는 동력 전달 케이스(111e)로부터의 전동에 의해 구동되고, 좌측 외측의 긁어 넣음부(123)를 구성하는 무단부 회전 반송체(170) 및 긁어 넣음 회전체(174)는 무단부 회전 협지 반송 체인(175)로부터의 전동에 의해 구동된다.
공급 장치(124)는 우측 외측의 긁어 넣음부(121)를 구성하는 무단부 회전 반송체(134)의 반송 종단부측과 긁어 넣음 회전체(137) 사이에 반송 시단부측이 위치하는 무단부 회전 협지 반송 체인을 구비하여 구성된 반송 상측의 밑동 협지 반송부(180)와, 반송 상측의 밑동 협지 반송부(180)의 반송 종단부 부근으로부터 탈곡 장치(104)의 전단부에 이르는 무단부 회전 협지 반송 체인을 구비하여 구성된 반송 하류측의 밑동 협지 반송부(181)와, 우측 외측의 긁어 넣음부(121)의 반송 종단부 부근의 상방에 반송 시단부측이 위치하는 무단부 회전 걸림 반송 체인을 구비하여 구성된 이삭 끝 걸림 반송부(182)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공급 장치(124)는 우측 외측의 긁어 넣음부(121) 및 내측의 긁어 넣음부(122)로부터의 예취 곡물대를, 반송 상측의 밑동 협지 반송부(180) 및 이삭 끝 걸림 반송부(182)에 의해 계승해서 주행 기체 횡 외측 및 주행 기체 후방측을 향해서 반송하고, 이삭 끝 걸림 반송부(182)의 반송 중간 부위에 있어서, 반송 상측의 밑동 협지 반송부(180)로부터의 밑동측을 반송 하류측의 밑동 협지 반송부(181)에서 계승하고, 이 계승 부위로부터 이삭 끝 걸림 반송부(182) 및 반송 하류측의 밑동 협지 반송부(181)에 의해 다시 주행 기체 횡 외측 및 주행 기체 후방측을 향해서 반송하여 탈곡 장치(104)의 전방부에서 탈곡 피드 체인(104a)의 반송 시단부에 공급한다. 공급 장치(124)는 좌측 외측의 긁어 넣음부(123)로부터의 예취 곡물대를, 반송 상측의 밑동 협지 반송부(180)의 반송 종단부 부근 및 이삭 끝 걸림 반송 장치(182)의 반송 중간 부위에 두고 계승하여 우측 외측 및 내측의 긁어 넣음부(121, 122)로부터의 예취 곡물대에 합류시켜서 탈곡 장치(104)의 전방부로 반송하여 탈곡 피드 체인(104a)의 반송 시단부에 공급한다.
도 24, 도 27, 도 2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받침체(142)는 지지부(143)에 연결되는 기단부(142a)와, 기단부(142a)의 전방측에서 예취 장치(117)의 상방으로부터 예취 장치(117)의 전방으로 낮아지는 경사부(142b)와, 경사부(142b)의 전단부로부터 전방에 농지면에 대략 평행하게 연장되는 전단부 측부(142c)를 구비하여 구성하고 있다.
받침체(142)의 선단부(142f)는, 일으켜 세움 장치(116A)의 배후에 위치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받침체(142)의 선단부(142f)는 측면에서 보아 일으켜 세움 장치(116A)의 일으켜 세움 갈고리(116c)의 선단부 회전부의 직후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일으켜 세움 장치(116A)에 도입되는 2줄의 직립 곡물대 중 일으켜 세움 갈고리(116c)로부터 먼 측에 밑동이 위치하는 직립 곡물대는, 대가 만곡하면서 일으켜 세움 장치(116A)의 일으켜 세움 케이스(116a)의 하측을 빠져 나가서 일으켜 세움 장치(116A)에 도입되지만, 받침체(142)는 대의 일으켜 세움 케이스(116a)의 빠져 나감에 대한 장해가 되지 않는다. 받침체(142)로서는, 받침체(142)의 바 형상 본체보다도 기단부측이 큰 지름으로 형성되고, 선단부에 이를수록 가늘어지도록 형성되어 분초구(112)와 동일한 분초 기능을 구비한 부분을 선단부에 구비한 것을 채용해도 좋다.
받침체(142)의 경사부(142b) 중 예취 장치(117)의 앞 부근에 위치하는 부위(142A)에, 받침체(142)로부터 하방 방향으로 예취 장치(117)의 전방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142B)를 설치하고, 예취 장치(117)의 상측에 예취 장치(117)와 받침체(142)에 의해 형성되는 간극에 대 등이 인입하기 어렵도록 간극 앞에 돌출부(142B)를 위치시키고 있다. 돌출부(142B)는 예취 장치(117)를 구성하는 고정날(117a)과 가동날(117b) 중 고정날(117b)의 전방측에 위치하고 있다.
돌출부(142B)는 받침체(142)의 저부에 상단부를 부설한 종판에 의해 구성하고 있다. 돌출부(142B)는 받침체(142)의 저부에 부설한 종판에 의해 구성하는 외에, 받침체(142)의 측부에 상단부측을 부설하고, 하단부측이 받침체(142)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하도록 구성한 종판에 의해 구성해도 좋다. 돌출부(142B)를 종판형으로 하는 외에, 받침체(142)의 길이 방향을 따르는 방향에서 보아 하부 방향으로 돌출된 반원형 등, 판형 이외의 형상으로 해도 좋다.
[제2 실시예]
도 31은 제2 실시 구조를 구비한 예취 전처리부(110)의 전방부를 도시하는 우측면도이다. 도 32는 제2 실시 구조를 구비한 예취 전처리부(110)의 전방부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이들의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실시 구조를 구비한 예취 전처리부(110)에서는, 받침체(142)의 선단부에 설치한 인상 가이드(144)를, 받침체(142)를 구성하는 부재의 선단부를 끝이 가늘어지는 형상으로 절삭 가공함으로써 구성하고 있으며, 받침체(142)와의 일체 부재로 되어 있다.
[제3 실시예]
도 33은 제3 실시 구조를 구비한 예취 전처리부(110)의 전방부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 실시 구조를 구비한 예취 전처리부(110)에서는, 우측 외측의 일으켜 세움 경로(113)에 대응하는 상단의 탄성 도입 가이드 레버(151), 중간단의 탄성 도입 가이드 레버(152), 하단의 만곡 도입 가이드 레버(153) 중 중간단의 탄성 도입 가이드 레버(152)의 정점(152a)은 탄성 도입 가이드 레버(152)가 탄성 변형되지 않는 자유 상태에 있어서, 반송 가이드 레버(135)의 반송 하류측 단부(135a)의 일으켜 세움 경로 횡폭 방향에서의 위치에 대하여 무단부 회전 반송체(134)의 반송 시단부측에 위치하고 있다.
[제4 실시예]
도 34는 제4 실시 구조를 구비한 예취 전처리부(110)의 전방부를 도시하는 우측면도이다. 도 35는 제4 실시 구조를 구비한 예취 전처리부(110)의 전방부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제1 및 제2 실시예에 나타낸 예취 전처리부(110)에서는, 반송 가이드 레버(135) 및 도입 가이드 레버(141)를 설치한 예를 나타냈지만, 도 34, 도 3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4 실시 구조를 구비한 예취 전처리부(110)에서는, 반송 가이드 레버(135) 및 도입 가이드 레버(141)를 생략하고 있다. 또 다른 실시 구조를 구비한 예취 전처리부(110)에서는, 일으켜 세움 경로(113)에 도입된 2줄의 직립 곡물대(a1, a2) 중 일으켜 세움 갈고리(116c)로부터 먼 측에 밑동이 위치하는 직립 곡물대(a1)를 무단부 회전 반송체(134)의 반송 시단부측에 도입하는 기능을, 받침체(142)의 전단부 측부(142c)에 구비시키고 있다.
[제5 실시예]
도 36은 제5 실시 구조를 구비한 예취 전처리부(110)의 전방부를 도시하는 우측면도이다. 도 37은 제5 실시 구조를 구비한 예취 전처리부(110)의 전방부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제1 및 제2 실시예에 나타낸 예취 전처리부(110)에서는, 반송 가이드 레버(135) 및 도입 가이드 레버(141)를 설치한 예를 나타냈지만, 도 36, 도 3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5 실시 구조를 구비한 예취 전처리부(110)에서는 반송 가이드 레버(135) 및 도입 가이드 레버(141)를 생략하고 있다.
제5 실시 구조를 구비한 예취 전처리부(110)에서는, 받침체(142)를, 지지부(143)에 연결되는 기단부(142a)와, 기단부(142a)의 전방측에서 예취 장치(117)의 상방으로부터 예취 장치(117)의 전방으로 낮아지는 경사부(142b)와, 경사부(142b)의 전단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동시에 상부 방향으로 돌출한 산형으로 굴곡한 굴곡부(142d)와, 굴곡부(142d)의 전단부로부터 전방으로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는 전단부(142e)를 구비하여 구성하고 있다.
제5 실시 구조를 구비한 예취 전처리부(110)에서는, 일으켜 세움 경로(113)에 도입된 2줄의 직립 곡물대(a1, a2) 중 일으켜 세움 갈고리(116c)로부터 먼 측에 밑동이 위치하는 직립 곡물대(a1)를 무단부 회전 반송체(134)의 반송 시단부측에 도입하는 기능을, 받침체(142)의 전단부(142e) 및 굴곡부(142d)에 구비시키고 있다.
[다른 실시예]
(1)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3개의 일으켜 세움 경로 중 우단부의 일으켜 세움 경로를, 2줄의 이식줄의 직립 곡물대(a)의 도입이 가능한 일으켜 세움 경로(113)로 한 예를 나타냈지만, 좌단부의 일으켜 세움 경로 혹은 내측의 일으켜 세움 경로 혹은 3개 모두의 일으켜 세움 경로를, 2줄의 이식줄의 직립 곡물대(a)의 도입이 가능한 일으켜 세움 경로로서 실시해도 좋다. 또한, 2개의 일으켜 세움 경로 혹은 4개의 일으켜 세움 경로 등, 3개 이외의 복수의 일으켜 세움 경로를 설치하고, 복수의 일으켜 세움 경로의 일부 혹은 모두를 2줄의 이식줄의 직립 곡물대(a)의 도입이 가능한 일으켜 세움 경로로서 실시해도 좋다.
(2)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받침체(142)의 지지를 위한 지지부(143)를 예취 장치(117)의 후방에 설치한 예를 나타냈지만, 일으켜 세움 케이스(116a) 등 예취 장치(117)의 전방에 위치하는 부재에 지지부를 설치하고, 이 지지부에 받침체(142)를 지지시켜서 실시해도 좋다.
본 발명은 콤바인이나 트랙터 등, 주행 장치로 차체를 주행시키면서 작업 장치에 의해 작업을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작업차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곡립 탱크를 구비하는 콤바인 외에, 탈곡립을 포장하도록 구성한 곡립 회수부를 구비한 콤바인에도 이용할 수 있다.
1 : 주행 장치
2 : 운전 좌석
4 : 예취 처리 장치
5 : 작업 장치(탈곡 장치)
10 : 엔진
14 : 작업 클러치(탈곡 클러치)
17 : 예취 클러치
22 : 절환 조작용 구동 수단
24 : 주행 변속 조작구
25 : 작업 지령 수단
36 : 측부 패널
36A : 패널부
41 : 운전 조작 상태 검출 수단
42 : 제어 수단
43 : 구동 상태 검출 수단
53 : 회전수 검출 수단
54 : 통지 수단(표시 램프)
63 : 액셀러레이터 수단
87 : 과부하 상태 통지 수단
110 : 예취 전처리부
113 : 일으켜 세움 경로
113c : 일으켜 세움 경로의 중심
116A : 일으켜 세움 장치
116c : 일으켜 세움 갈고리
117 : 예취 장치
130 : 밑동 반송 장치
131 : 반송 경로
142 : 받침체
142A : 받침체의 부위
142B : 돌출부
142f : 받침체의 선단부
143 : 지지부
A : 차체 조종부
a1, a2 : 직립 곡물대
W2 : 횡폭
2 : 운전 좌석
4 : 예취 처리 장치
5 : 작업 장치(탈곡 장치)
10 : 엔진
14 : 작업 클러치(탈곡 클러치)
17 : 예취 클러치
22 : 절환 조작용 구동 수단
24 : 주행 변속 조작구
25 : 작업 지령 수단
36 : 측부 패널
36A : 패널부
41 : 운전 조작 상태 검출 수단
42 : 제어 수단
43 : 구동 상태 검출 수단
53 : 회전수 검출 수단
54 : 통지 수단(표시 램프)
63 : 액셀러레이터 수단
87 : 과부하 상태 통지 수단
110 : 예취 전처리부
113 : 일으켜 세움 경로
113c : 일으켜 세움 경로의 중심
116A : 일으켜 세움 장치
116c : 일으켜 세움 갈고리
117 : 예취 장치
130 : 밑동 반송 장치
131 : 반송 경로
142 : 받침체
142A : 받침체의 부위
142B : 돌출부
142f : 받침체의 선단부
143 : 지지부
A : 차체 조종부
a1, a2 : 직립 곡물대
W2 : 횡폭
Claims (15)
- 엔진에 의해 구동되는 주행 장치와, 상기 엔진에 의해 구동되는 작업 장치와, 상기 엔진의 출력을 상기 작업 장치에 전달하는 온 상태와 전달을 차단하는 오프 상태로 절환 가능한 작업 클러치와, 상기 엔진의 출력을 변경 조정 가능한 액셀러레이터 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주행 장치에 의해 차체를 주행시키면서 상기 작업 장치에 의해 작업을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작업차이며,
상기 작업 클러치가 수동 또는 자동으로 조작됨으로써, 상기 엔진의 출력이 상기 작업 장치에 전달되고 있는 구동 상태로 절환되도록 구성되고, 또한 상기 액셀러레이터 수단이 수동 또는 자동으로 조작됨으로써, 엔진 회전수가 정격 회전수가 되도록 상기 엔진의 출력을 변경 조정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엔진의 회전수를 검출하는 회전수 검출 수단과, 상기 엔진의 출력이 상기 작업 장치에 전달되고 있는 구동 상태인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구동 상태 검출 수단과, 운전자에 대한 통지 작동을 행하는 통지 수단과, 상기 통지 수단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제어 수단이 상기 회전수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되는 엔진 회전수가 정격 회전수이며 또한 상기 구동 상태 검출 수단에 의해 상기 구동 상태인 것이 검출되면, 통지 작동을 실행하도록 상기 통지 수단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작업차.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클러치 및 상기 액셀러레이터 수단을 자동으로 절환 조작하는 절환 조작용 구동 수단과, 작업 개시 지령을 지령하는 수동 조작식의 작업 지령 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제어 수단이 상기 작업 지령 수단에 의해 상기 작업 개시 지령이 지령되면, 상기 액셀러레이터 수단을 정격 회전 상태로 하고 또한 상기 작업 클러치를 상기 온 상태로 하기 위해 상기 절환 조작용 구동 수단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되고, 또한 상기 작업 지령 수단에 의해 상기 작업 개시 지령이 지령된 후, 상기 회전수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되는 엔진 회전수가 정격 회전수이며 또한 상기 구동 상태 검출 수단에 의해 상기 구동 상태인 것이 검출되면, 통지 작동을 실행하도록 상기 통지 수단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작업차.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이 상기 통지 수단에 의해 통지 작동을 실행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상기 엔진 회전수가 설정 회전수 이하가 되면 상기 통지 수단의 작동 형태를 변경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작업차.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이 상기 엔진 회전수가 상기 설정 회전수보다도 낮게 설정되어 있는 하한 회전수 이하가 되면 상기 통지 수단의 통지 작동을 정지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작업차.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의 부하가 과대한 것을 통지하는 과부하 상태 통지 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제어 수단이 상기 엔진 회전수가 상기 하한 회전수를 하회함으로써 상기 통지 수단의 통지 작동을 정지시킬 때에, 상기 과부하 상태 통지 수단을 작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작업차. -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이 상기 작업 지령 수단에 의해 작업 정지 지령이 지령되면, 상기 작업 클러치를 상기 오프 상태로 조작하기 위해 상기 절환 조작용 구동 수단의 작동을 제어하고, 또한 상기 통지 수단의 통지 작동을 정지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작업차.
- 제2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장치가 탈곡 장치이며,
상기 작업 클러치가 상기 엔진의 출력을 상기 탈곡 장치에 전달하는 온 상태와 전달을 차단하는 오프 상태로 절환 가능한 탈곡 클러치이며,
예취 처리 장치와, 상기 엔진의 출력을 그 예취 처리 장치에 전달하는 온 상태와 전달을 차단하는 오프 상태로 절환 가능한 예취 클러치와, 예취 작업 개시 조건이 충족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운전 조작 상태를 검출하는 운전 조작 상태 검출 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절환 조작용 구동 수단이 예취 클러치를 절환 조작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어 수단이 상기 작업 지령 수단에 의해 상기 작업 개시 지령이 지령되어, 상기 액셀러레이터 수단이 정격 회전 상태이며 또한 상기 탈곡 클러치가 상기 온 상태일 때에, 상기 운전 조작 상태 검출 수단의 검출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예취 작업 개시 조건이 충족되어 있는 것을 판별하면 상기 예취 클러치를 온 상태로 하고, 또한 상기 예취 작업 개시 조건이 충족되어 있지 않은 것을 판별하면 상기 예취 클러치를 오프 상태로 하기 위해, 상기 절환 조작용 구동 수단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작업차.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 조작 상태 검출 수단이 주행 변속 조작구의 변속 조작 위치를 검출하는 조작 위치 검출 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어 수단이 상기 주행 변속 조작구가 전진 주행용 조작 위치이고 또한 설정 속도 이상의 고속측으로 조작되면, 상기 예취 작업 개시 조건이 만족되었다고 판별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작업차.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클러치가 수동 조작을 기초로 하여 상기 온 상태와 상기 오프 상태로 절환 가능하게 구성되고, 또한 상기 액셀러레이터 수단이 수동 조작을 기초로 하여 상기 엔진의 출력을 변경 조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작업차.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장치가 탈곡 장치이며,
상기 작업 클러치가 상기 엔진의 출력을 상기 탈곡 장치에 전달하는 온 상태와 전달을 차단하는 오프 상태로 절환 가능한 탈곡 클러치이며,
예취 처리 장치와, 수동 조작을 기초로 하여 상기 엔진의 출력을 상기 예취 처리 장치에 전달하는 온 상태와 전달을 차단하는 오프 상태로 절환 가능한 예취 클러치가 구비되고,
상기 구동 상태 검출 수단이, 상기 엔진의 출력이 상기 탈곡 장치 및 상기 예취 처리 장치에 전달되고 있는 상태를 상기 구동 상태로서 검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작업차. -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차체 조종부의 운전 좌석의 횡측부에 설치된 측부 패널의 전단부에 위치하는 패널부에, 상기 통지 수단으로서의 표시 램프가 설치되어 있는, 작업차.
- 2줄의 이식줄의 직립 곡물대의 도입이 가능한 횡폭을 갖는 1개의 일으켜 세움 경로와, 상기 일으켜 세움 경로의 횡폭 방향에서의 중심에 대하여 일으켜 세움 경로 횡 일단부측으로 치우친 상기 일으켜 세움 경로의 부위에서 상승 이동하는 일으켜 세움 갈고리를 구비하고, 상기 일으켜 세움 경로에 도입된 2줄의 직립 곡물대를 상기 일으켜 세움 갈고리에 의해 일으켜 세움 처리하는 일으켜 세움 장치와, 상기 일으켜 세움 장치에 의한 일으켜 세운 곡물대를 예취하는 예취 장치와, 반송 하류측만큼 주행 기체 횡측 및 주행 기체 후방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예취 장치에 대하여 경사진 반송 경로를 구비하고, 상기 일으켜 세움 장치에 의한 일으켜 세운 곡물대 및 상기 예취 장치에 의한 예취 곡물대의 밑동측을 상기 반송 경로를 따르게 하여 반송하는 밑동 반송 장치를 구비한 예취 전처리부가 장비된 콤바인이며,
상기 예취 장치의 전방측에서 예취 곡물대의 밑동측에 지지 작용하는 받침체를 상기 일으켜 세움 장치의 후방에 주행 기체 전후 방향으로 설치하여, 상기 일으켜 세움 경로에 도입된 2줄의 직립 곡물대 중 일으켜 세움 경로 횡폭 방향에서 상기 일으켜 세움 갈고리로부터 먼 측에 밑동이 위치하는 직립 곡물대가 상기 예취 장치에 의해 예취되어 상기 밑동 반송 장치에 의해 반송될 때, 밑동측이 상기 받침체에 의해 하방으로부터 받침 지지되도록 구성하고 있는, 콤바인.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예취 장치의 후방에 상기 받침체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설치하고, 상기 받침체를, 상기 지지부로부터 전방 방향으로 상기 예취 장치의 상방을 통과시켜 연장시키고 있는, 콤바인.
-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체의 상기 예취 장치의 앞 부근에 위치하는 부위에, 상기 받침체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상기 예취 장치의 전방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부를 설치하고 있는, 콤바인.
- 제12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체의 선단부가 상기 일으켜 세움 장치의 배후에 위치하고 있는, 콤바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0-241120 | 2010-10-27 | ||
JP2010241120A JP5697946B2 (ja) | 2010-04-26 | 2010-10-27 | 作業車 |
JPJP-P-2010-283585 | 2010-12-20 | ||
JP2010283585A JP5781757B2 (ja) | 2010-12-20 | 2010-12-20 | コンバイン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75489A Division KR101886979B1 (ko) | 2010-10-27 | 2017-12-19 | 작업차 및 콤바인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44243A true KR20120044243A (ko) | 2012-05-07 |
KR101911953B1 KR101911953B1 (ko) | 2018-10-25 |
Family
ID=4626413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96883A KR101911953B1 (ko) | 2010-10-27 | 2011-09-26 | 작업차 및 콤바인 |
KR1020170175489A KR101886979B1 (ko) | 2010-10-27 | 2017-12-19 | 작업차 및 콤바인 |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75489A KR101886979B1 (ko) | 2010-10-27 | 2017-12-19 | 작업차 및 콤바인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JP (1) | JP5781757B2 (ko) |
KR (2) | KR101911953B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120088A (ko) * | 2017-04-26 | 2018-11-05 |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 조종부 구조 |
KR20190013295A (ko) * | 2017-08-01 | 2019-02-11 | 대동공업주식회사 | 전간 투입형 콤바인의 전자 제어식 엔진 회전수 제어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전자 제어식 엔진 회전수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전간 투입형 콤바인 |
KR20190074093A (ko) * | 2017-12-19 | 2019-06-27 |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 콤바인용 조작장치 |
CN112136478A (zh) * | 2019-06-27 | 2020-12-29 | 株式会社久保田 | 联合收割机 |
Family Cites Familie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01560Y2 (ja) * | 1978-02-16 | 1985-01-17 | 株式会社クボタ | コンバインの前処理装置 |
JPS59107826U (ja) * | 1983-01-10 | 1984-07-20 | 井関農機株式会社 | 刈取機の穀稈案内装置 |
JPH0646266Y2 (ja) * | 1988-03-10 | 1994-11-30 | 三菱農機株式会社 | 刈刃機構における分草ガイド |
JP3904917B2 (ja) | 2001-12-20 | 2007-04-11 | ヤンマー農機株式会社 | 作業機における制御装置 |
JP4737950B2 (ja) | 2004-06-11 | 2011-08-03 | 三菱農機株式会社 | 脱穀装置の負荷警報装置 |
JP4476235B2 (ja) | 2006-03-27 | 2010-06-09 | 株式会社クボタ | コンバインの駆動制御装置 |
JP4956303B2 (ja) | 2007-07-06 | 2012-06-20 | 株式会社クボタ | 自脱型コンバイン |
JP4944836B2 (ja) | 2008-05-26 | 2012-06-06 | 株式会社クボタ | 作業車の操作制御装置 |
JP2010263852A (ja) * | 2009-05-15 | 2010-11-25 | Kubota Corp | コンバイン |
DE102012223260A1 (de) * | 2012-12-14 | 2014-06-18 | Sgl Carbon Se | Hochmolekulares Polysilan und dessen Herstellungsverfahren zur Produktion präkeramischer Formkörper |
-
2010
- 2010-12-20 JP JP2010283585A patent/JP5781757B2/ja active Active
-
2011
- 2011-09-26 KR KR1020110096883A patent/KR101911953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7
- 2017-12-19 KR KR1020170175489A patent/KR101886979B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120088A (ko) * | 2017-04-26 | 2018-11-05 |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 조종부 구조 |
KR20190013295A (ko) * | 2017-08-01 | 2019-02-11 | 대동공업주식회사 | 전간 투입형 콤바인의 전자 제어식 엔진 회전수 제어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전자 제어식 엔진 회전수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전간 투입형 콤바인 |
KR20190074093A (ko) * | 2017-12-19 | 2019-06-27 |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 콤바인용 조작장치 |
CN112136478A (zh) * | 2019-06-27 | 2020-12-29 | 株式会社久保田 | 联合收割机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2012130267A (ja) | 2012-07-12 |
JP5781757B2 (ja) | 2015-09-24 |
KR101886979B1 (ko) | 2018-08-08 |
KR20180004043A (ko) | 2018-01-10 |
KR101911953B1 (ko) | 2018-10-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002042B2 (ja) | コンバイン | |
KR101886979B1 (ko) | 작업차 및 콤바인 | |
JP4944836B2 (ja) | 作業車の操作制御装置 | |
JP6108945B2 (ja) | コンバイン | |
JP2008263866A (ja) | コンバイン | |
JP5697946B2 (ja) | 作業車 | |
KR20100035595A (ko) | 예취 수확기, 크롤러 주행 장치 및 탈곡기 | |
JP5647487B2 (ja) | 作業車 | |
JP2004105021A (ja) | コンバインの操作構造 | |
JP4824988B2 (ja) | コンバインの分草装置 | |
JP2016021963A (ja) | コンバイン | |
JP2004344053A (ja) | コンバイン | |
JP6893158B2 (ja) | コンバイン | |
JP4816235B2 (ja) | コンバイン | |
JP5735385B2 (ja) | コンバイン | |
JP2008199909A (ja) | コンバインのクラッチ操作装置 | |
JP2015122977A (ja) | コンバイン | |
JP2002262643A (ja) | コンバイン | |
JP7154157B2 (ja) | 作物収穫機 | |
JP4101953B2 (ja) | コンバイン | |
JP2013090607A (ja) | 苗移植機 | |
JP4914395B2 (ja) | 作業車の操作制御装置 | |
JP4126396B2 (ja) | コンバイン | |
JP2004329168A (ja) | 汎用コンバイン | |
JP3601041B2 (ja) | コンバインの刈取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