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69223A - 안과장치 - Google Patents

안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69223A
KR20090069223A KR1020080127829A KR20080127829A KR20090069223A KR 20090069223 A KR20090069223 A KR 20090069223A KR 1020080127829 A KR1020080127829 A KR 1020080127829A KR 20080127829 A KR20080127829 A KR 20080127829A KR 20090069223 A KR20090069223 A KR 200900692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pection
unit
eye
distance
ophthalmic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78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시쓰구 다카하시
료우스케 이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토프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토프콘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토프콘
Publication of KR200900692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92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02Subjective types, i.e. testing apparatus requiring the active assistance of the patient
    • A61B3/028Subjective types, i.e. testing apparatus requiring the active assistance of the patient for testing visual acuity; for determination of refraction, e.g. phorop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 A61B3/103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for determining refraction, e.g. refractometers, skiascop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0083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provided with means for patient positio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 A61B3/16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for measuring intraocular pressure, e.g. tonometers
    • A61B3/165Non-contacting tonomet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ye Examination Apparatus (AREA)

Abstract

안과장치는, 피검안에 대해서 다른 검사를 실시하는 복수의 검사부를 포함한 검사 유닛과, 검사 유닛을 좌우 방향 및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가진다. 이 안과장치는, 검사 유닛에 의한 검사 대상을 한쪽 눈으로부터 다른 쪽 눈으로 전환할 때에, 한쪽 눈의 검사 위치에 위치하는 검사부의 작동 거리에 따른 후퇴 거리만큼 검사 유닛을 후퇴시키도록 구동부를 제어한다. 검사 유닛은, 작동 거리에 따른 거리만큼 후퇴한다. 따라서, 검사 시간의 단축과 피검자에게 검사부가 접촉하는 사태의 방지에 의한 안전성 향상을 양립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안과장치{OPHTHALMIC DEVICE}
이 발명은, 좌우의 각 눈에 대해서 복수의 검사를 행하는 안과장치에 관한 것이다.
복수의 검사를 한쪽눈씩 행하는 안과장치로서는,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공보 2007-282671호에 개시된 것이 알려져 있다. 이 안과장치에는, 작동 거리(Working distance)가 긴 제1 측정부와 짧은 제2 측정부를 포함한 측정 유닛이 설치되어 있다. 이들 측정부는 상하로 나열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 안과장치는, 제1 측정부에 의한 측정으로부터 제2 측정부에 의한 측정으로 전환할 때에, 제2 측정부를 작동 거리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안과장치는, 제2 측정부에 의한 측정에 있어서 좌우 눈을 전환할 때에, 측정 유닛을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도중에 제2 측정부를 작동 거리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안과장치에 의하면, 피검자의 얼굴이나 얼굴을 지지하는 유닛에 장치가 접촉하는 사태를 회피할 수 있다.
이러한 안과장치에서는, 좌우 눈의 전환에는 적어도 몇초 정도의 시간을 요한다. 또한, 복수의 검사를 한쪽눈씩 행할 때에는, 2회 이상의 전환 동작이 필요하 기도 하다. 이러한 이유에 의해 검사시간이 길어져 피검자의 부담이 늘어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눈 굴절력이나 안압 등의 실제의 측정이 단시간에 완료하는 한편, 좌우눈을 전환하는 동작에는 실측 시간을 크게 넘는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후자의 시간 단축이 검사 시간 전체의 단축에 미치는 영향은 크다.
한편, 좌우 눈의 전환 시간을 단축하기 위해서 측정 유닛을 고속으로 이동시킨다고 하는 아이디어도 고려할 수 있다. 그러나, 측정 유닛의 중량 등을 고려하면, 측정 유닛의 이동 동작의 정밀도가 악화되어 피검자에 대한 안전성이 저하하거나, 이동시의 발생음에 의해서 피검자가 불안을 느끼거나 놀라거나 할 우려도 있다.
이 발명은, 이상과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피검자의 안전을 확보하면서 검사 시간의 단축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한 안과장치를 제공한다.
이 발명에 관한 안과장치의 형태는, 피검안에 대해서 다른 검사를 실시하는 복수의 검사부를 포함한 검사 유닛과, 상기 검사 유닛을 좌우 방향 및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검사 유닛에 의한 검사 대상을 한쪽 눈으로부터 다른쪽 눈으로 전환할 때, 상기 한쪽 눈의 검사 위치에 위치하는 검사부의 작동 거리에 따른 후퇴 거리만큼 상기 검사 유닛을 후퇴시키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 어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발명에 관한 안과장치의 형태에 의하면, 작동 거리에 따른 거리만큼 검사 유닛을 후퇴시키기 때문에, 불필요하게 긴 거리를 후퇴시킬 필요가 없다. 따라서, 검사 시간의 단축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피검자에게 검사부가 접촉하는 사태를 방지하여 안전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발명에 관한 안과장치의 실시형태의 일례를 설명한다.
[구성]
도 1∼도 6은, 이 실시형태에 관한 안과장치의 구성예를 나타내고 있다. 안과장치(1)의 외관을 도 1에 나타낸다. 안과장치(1)는, 종래와 같이, 베이스(2), 측정 헤드(3), 디스플레이(4), 컨트롤 레버(5), 측정 스위치(6), 턱받이(Jaw rest, 7), 이마닿음부(Forehead rest, 8) 및 턱받이 이동 스위치(9)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피검자는, 턱을 턱받이(7)에 놓고 이마닿음부(8)에 이마를 붙인 상태로 검사를 행한다.
이 때, 피검자는, 측정 헤드(3)측에 얼굴 앞면을 향한 상태가 된다. 오퍼레이터는, 턱받이 이동 스위치(9)를 조작함으로써, 턱받이(7)를 상하 이동시켜 피검자의 얼굴의 위치를 조정한다. 오퍼레이터는, 디스플레이(4)나 컨트롤 레버(5)가 배치되어 있는 측에 위치하여 피검안을 검사한다.
한편, 이 명세서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을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1) 상하 방향은 수직 방향으로 한다. (2) 전후 방향은, 상하 방향으로 직교하고, 또한, 오퍼레이터측과 피검자측을 연결하는 방향으로 한다. 바꾸어 말하면, 전후 방향은, 상하 방향으로 직교하고, 디스플레이(4)측과 턱받이(7) 측을 연결하는 방향으로 한다. 여기서, 피검자측을 향하는 방향을 전방향으로 하고, 그 역방향을 후방향으로 한다. (3) 좌우 방향은, 상하 방향 및 전후 방향의 쌍방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한다. 여기서, 피검자의 우안측으로부터 좌안측을 향하는 방향을 좌방향으로 하고, 그 역방향을 우방향으로 한다.
베이스(2)에는, 종래와 마찬가지로, 연산제어회로, 기억장치, 전원회로 등이 격납되어 있다. 측정 헤드(3)는, 베이스(2)에 대해서 상하, 전후, 좌우, 즉 3차원적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측정 헤드(3)는, 후술하는 구동기구(10)에 의해 움직인다. 측정 헤드(3)는, 피검안에 대한 얼라이먼트 조정, 검사 방식의 전환, 검사 대상의 한쪽 눈으로부터 다른쪽 눈으로의 전환, 검사 방식에 따른 작동 거리를 향한 전진, 및 상기 각 전환시의 안전 거리를 향한 후퇴시에, 구동기구(10)에 의해서 움직인다.
디스플레이(4)에는, 피검안의 전안부(Anterior segment)상 등의 화상이 표시된다. 또한, 디스플레이(4)에는, 환자 정보, 검사 조건, 및 검사 결과 등의 각종의 검사 정보가 표시된다. 한편, 디스플레이(4)는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여도 좋다. 그 경우 각종의 소프트웨어 키가 디스플레이(4)에 표시되고, 오퍼레이터는 이들 소프트웨어 키를 누르는 것에 의해 안과장치(1)에 원하는 동작을 실행시킬 수 있다.
컨트롤 레버(5)는, 측정 헤드(3)를 수동으로 이동시킬 때 등에 조작된다. 측정 스위치(6)는, 피검안에 대한 측정을 실행시킬 때 등에 조작된다. 한편, 디스플레이(4)의 주위(도 1에서는 위쪽 및 아래쪽)에도 스위치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스위치는, 예를 들어 피검안에 대해 얼라이먼트할 때나, 디스플레이(4)를 조정할 때 등에 사용된다.
[구동기구]
도 2에 나타내는 구동기구(10)는, 측정 헤드(3)를 상하, 전후, 좌우의 각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성을 구비하고 있다. 이 구동기구(10)는, 베이스(2)내에 격납되어 있다. 저판(11)은 베이스(2)내에 고정된 상태로 부착되어 있다. 지지부(12)는 저판(11)의 윗면에 고정된 상태로 부착되어 있다. 지지부(12)는 중공부(Hollow part)를 가진다. 이 중공부에는 지지기둥(13)이 배치되어 있다. 저판(11)의 윗면에는 상하 구동 모터(14)가 고정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상하 구동 모터(14)는, 예를 들면 스테핑 모터(펄스 모터라고도 불린다) 등의 액츄에이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하 구동 모터(14)에 의해 발생된 구동력은, 기어 등을 포함한 도시하지 않은 구동력 전달기구에 의해서 전달되어 지지기둥(13)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지지기둥(13)의 상단에는 상하 이동 스테이지(15)가 고정된 상태로 부착되어 있다. 상하 이동 스테이지(15)는, 지지기둥(13)과 함께 상하 방향으로 이동한다.
상하 이동 스테이지(15)의 윗면의 좌우 방향의 단부 부근에는, 각각 전후 레일(16)이 설치되어 있다. 각 전후 레일(16)은, 그 긴 방향이 전후 방향을 따르도록 배치되어 있다. 각 전후 레일(16)상에는, 전후 이동 스테이지(18)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얹어 놓여져 있다.
또한, 상하 이동 스테이지(15)의 윗면에는, 전후 구동 모터(17)가 설치되어 있다. 전후 구동 모터(17)는, 예를 들어 스테핑 모터 등의 액츄에이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전후 구동 모터(17)에 의해 발생된 구동력은, 도시하지 않은 구동력 전달기구에 의해서 전달되어, 전후 이동 스테이지(18)를 전후 레일(16)을 따라서 이동시킨다. 그에 따라, 전후 이동 스테이지(18)는, 상하 이동 스테이지(15)에 대해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된다.
전후 이동 스테이지(18)의 윗면의 전후 방향의 단부 부근에는, 각각 좌우 레일(19)이 설치되어 있다. 각 좌우 레일(19)은, 그 긴 방향이 좌우 방향을 따르도록 배치되어 있다. 각 좌우 레일(19) 상에는, 좌우 이동 스테이지(21)가 좌우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얹어 놓여 있다.
또한, 전후 이동 스테이지(18)의 윗면에는, 좌우 구동 모터(20)가 설치되어 있다. 좌우 구동 모터(20)는, 예를 들어 스테핑 모터 등의 액츄에이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좌우 구동 모터(20)에 의해 발생된 구동력은, 도시하지 않은 구동력 전달기구에 의해서 전달되어, 좌우 이동 스테이지(21)를 좌우 레일(19)을 따라서 이동시킨다. 그에 따라, 좌우 이동 스테이지(21)는, 전후 이동 스테이지(18)에 대해서 좌우 방향으로 이동된다.
좌우 이동 스테이지(21)상에는 측정 헤드(3)가 탑재되어 있다. 이러한 구동기구(10)에 의하면, 측정 헤드(3)를 상하 방향,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각각 독립하여 이동시킬 수 있다.
[측정 헤드]
측정 헤드(3)에는, 피검안에 대해서 다른 안과 검사를 실시하는 복수의 검사부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발명의 「검사 유닛」의 일례에 상당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안과 검사로서 눈 굴절력 검사, 안압 검사 및 각막두께 검사를 채택한다. 이 발명에 관한 안과장치에 의해 실시할 수 있는 안과 검사는, 이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어 다음에 예시하는 임의의 검사(측정이나 촬영)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시력 검사, 각막곡률 검사, 색각 검사, 시야 검사, 전안부 촬영, 각막내피 촬영, 안저 촬영(Fundus oculi photography), OCT(Optical Coherence Tomography) 검사, SLO(Scanning Laser Ophthalmoscope) 검사, 초음파 검사, 방사선 검사 등. 또한, 이 발명에 관한 안과장치에 의해 실행할 수 있는 안과 검사의 수도 2 이상의 임의의 수이어도 좋다.
측정 헤드(3)에 격납되는 광학계의 구성을 도 3∼도 5에 나타낸다. 도 3에 나타내는 눈 굴절력 측정계(100)는, 피검안(E)의 눈 굴절력(구면 도수, 난시 도수, 난시축 각도 등)을 측정하기 위한 광학계이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안압 측정계(200)는, 피검안(E)의 안압을 측정하기 위한 광학계이다. 안압 측정계(200)는, 피검안(E)의 각막두께의 측정에도 이용된다. 각 측정계(100,200)에는, 도시된 광학 소자 등의 부재 이외에도, 부재를 구동시키는 기구나 전기회로 등이 설치되어 있다.
눈 굴절력 측정계(100)와 안압 측정계(200)는, 예를 들면, 각각 개별의 케이 스(도시하지 않음) 내에 격납되어 있다. 눈 굴절력 측정계(100)와 안압 측정계(200)는, 예를 들어 상하 방향으로 나열되어 배치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눈 굴절력 측정계(100)가 위쪽에, 안압 측정계(200)가 아래쪽에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눈 굴절력 측정계〕
눈 굴절력 측정계(100)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래의 눈 굴절력 측정 장치(Refractometer)와 동일한 구성을 구비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 제 2937373호 명세서를 참조). 눈 굴절력 측정계(100)는, 대물렌즈(105), 투영계(110), 결상계(120), 고시표 투영계(Fixation-target projecting system, 130) 및 전안부 관찰계(14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투영계(110)는, 구멍 개방 미러(Aperture mirror, 117)의 반사광축(111)을 따라서 배치된, 적외 LED(Light Emitting Diode)(112), 릴레이 렌즈(Relay lens, 113), 원추형 프리즘(114), 링형상 개구 조리개(Ring-shaped aperture diaphragm, 115) 및 릴레이 렌즈(11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적외 LED(112)와 구멍 개방 미러(117)는, 릴레이 렌즈(113,116)에 관해서 공역으로(Conjugate with) 배치되어 있다. 구멍 개방 미러(117)와 피검안(E)의 눈동자(Ep)는, 대물렌즈(105)에 관해서 공역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원추형상 프리즘(114)과 안저(Fundus oculi, Er)는, 릴레이 렌즈(116) 및 대물렌즈(105)에 관해서 공역으로 배치되어 있다.
결상계(120)는, 광축(121)상을 따라서 배치된 광학 소자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멍 개방 미러(117)의 후방의 광축(121)상에는, 릴레이 렌즈(122)와 CCD 이미 지 센서(123)가 설치되어 있다. 대물렌즈(105)에 관해서 안저(Er)에 공역인 위치를 A로 하면, 위치 A와 CCD 이미지 센서(123)의 수광면(124)은, 릴레이 렌즈(122)에 관해서 공역으로 되어 있다.
고시표 투영계(130)는, 위치 A와 구멍 개방 미러(117)의 사이의 광축(121)상의 위치에서 분기한 광축(131)을 따라서 배치된, 고시표 제시부(Fixation-target presenting part, 132), 릴레이 렌즈(133) 및 다이크로익 미러(Dichroic mirror, 13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다이크로익 미러(134)는, 광축(121)상에 경사설치되어 있으며, 적외광을 투과시키고, 가시광을 반사시킨다. 고시표 제시부(132)는, 광축(131)을 따라서 이동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고시표 제시부(132)는, 릴레이 렌즈(133)에 관해서 위치 A에 공역인 위치(Conjugate position)에 배치된다.
전안부 관찰계(140)는, 대물렌즈(105)와 위치 A의 사이의 광축(121)상의 위치에서 분기한 광축(141)을 따라서 배치된, 하프 미러(Half mirror, 142), 릴레이 렌즈(143) 및 촬상장치(14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프 미러(142)는, 광축(121)상에 경사설치되어 있다. 촬상장치(144)는, CCD 이미지 센서나 CMOS 이미지 센서 등의 고체 촬상 소자, 또는 (TV 카메라의) 촬상관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촬상장치(144)의 수광면(145)은, 대물렌즈(105) 및 릴레이 렌즈(143)에 관해서 전안부(Ef)에 공역으로 배치된다.
눈 굴절력 측정계(100)에 의한 눈 굴절력의 측정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한편, 피검안(E)에 대한 눈 굴절력 측정계(100)의 얼라이먼트는 완료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측정중에는 전안부 관찰계(140)에 의해 전안부(Ef)의 화상이 취득된다. 이 화상은 디스플레이(4)에 표시되어 전안부(Ef)가 적당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지 확인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고시표 투영계(130)에 의해 안저(Er)에 고시표가 투영되고, 그에 따라 피검안을 운무 상태(Foggy state)로 고시시킨다.
이 상태에서 적외 LED(112)를 점등시켜, 안저(Er)에 링상(Ring image, R1)을 결상시킨다. 링상(R1)의 안저 반사광은, CCD 이미지 센서(123)의 수광면(124)에 투영된다. CCD 이미지 센서(123)는, 이 투영상(링상(R2))을 검출한다. 안과장치(1)(도 6의 눈 굴절력 연산부(41))는, 종래와 같이, 링상(R2)의 형상을 해석함으로써 피검안(E)의 눈 굴절력을 구한다.
〔안압 측정계〕
안압 측정계(200)는,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래의 비접촉식 안압계와 동일한 구성을 구비하고 있다(예를 들어 일본 특허공개공보 2002-102170호를 참조). 안압 측정계(200)는, 전안부 관찰계(210), XY 얼라이먼트 시표 투영계(220), 고시표 투영계(230), XY얼라이먼트 검출계(240), 각막 변형 검출계(250), 슬릿 투영계(260), 수광계(270) 및 Z얼라이먼트 시표 투영계(2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X, Y, Z는, 3차원 좌표계의 좌표축을 나타내고, X방향은 좌우 방향, Y방향은 상하 방향, Z방향은 전후 방향에 각각 대응한다.
전안부 관찰계(210)는, 복수개의 전안부 조명 광원(211), 기류 분사 노즐(212), 전안부 창유리(213), 챔버 창유리(214), 하프 미러(215), 대물렌즈(216), 하프 미러(217,218), 및 CCD 이미지 센서(21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전안부 조명 광원(211) 이외의 부재(212∼219)는, 광축(O1)상에 배치되어 있다. 기류 분사 노 즐(212)은, 도시하지 않은 공기압축기구에 의해 생성되는 기류(Air puff)를 피검안(E)을 향해서 분사한다.
복수개의 전안부 조명 광원(211)은, 피검안(E)의 좌우 위치에 배치되어 전안부를 직접 조명한다. 전안부 조명 광원(211)으로부터 발해진 조명광은, 피검안(E)의 전안부로 반사되고, 기류 분사 노즐(212)의 내외를 통과하고, 전안부 창유리(213), 챔버 창유리(214) 및 하프 미러(215)를 통과하여, 대물렌즈(216)에 의해 집속된다. 이 집속광은, 하프 미러(217,218)를 투과하여 CCD 이미지 센서(219)의 수광면에 투영된다. CCD 이미지 센서(219)는, 이 투영상을 검출함으로써 피검안(E)의 전안부상을 촬영한다.
XY얼라이먼트 시표 투영계(220)는, 얼라이먼트용 광원(221), 집광렌즈(222), 개구 조리개(223), 핀홀판(Pinhole plate, 224), 다이크로익 미러(225), 투영 렌즈(22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들 부재(221∼226)는, 하프 미러(215)에 의해 광축(O1)으로부터 분기된 광축상에 배치되어 있다. 다이크로익 미러(225)는, 적외광을 반사시키고, 가시광을 투과시킨다.
얼라이먼트용 광원(221)은 적외광을 출력한다. 이 적외광은, 집광렌즈(222)에 의해 집광되면서 개구 조리개(223)를 통과하여 핀홀판(224)으로 유도된다. 핀홀판(224)을 통과한 광속은, 다이크로익 미러(225)에 의해 반사되어 투영 렌즈(226)에 의해 평행 광속이 된다. 이 평행 광속은, 하프 미러(215)에 의해 반사되어, 광축(O1)을 따라서 피검안(E)에 조사된다. 이 조사광은, XY방향의 얼라이먼트를 행하기 위한 XY얼라이먼트 시표광으로서 이용된다.
고시표 투영계(230)는, 하프 미러(215)에 의해 광축(O1)으로부터 분기된 광축상에 배치된, 고시표용 광원(231), 핀홀판(232) 및 투영 렌즈(22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고시표용 광원(231)으로부터 출력된 가시광은, 핀홀판(232)과 다이크로익 미러(225)를 통과하여, 투영 렌즈(226)에 의해 평행광속이 된다. 이 평행광속은, 하프 미러(215)에 의해 반사되어 광축(O1)에 따라서 피검안(E)의 안저에 투사된다. 이 투사광은 고시표로서 이용된다.
XY얼라이먼트 검출계(240)는, 하프 미러(218)와 광 센서(24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광 센서(241)는, 예를 들어 PSD(Position Sensitive Detector)와 같이 위치 검출이 가능한 센서에 의해 구성된다.
XY얼라이먼트 시표 투영계(220)에 의해 피검안(E)에 조사된 XY얼라이먼트 시표광은, 각막(Ec)(의 표면)에서 반사된다. 이 각막 반사광은, 기류 분사 노즐(212)의 내부, 전안부 창유리(213), 챔버 창유리(214), 하프 미러(215)를 통과하고, 대물렌즈(216)에 의해 집속광이 된다. 하프 미러(217)를 투과한 상기 집속광은, 하프 미러(218)에 의해 분할된다. 하프 미러(218)에 의해 반사된 성분은, 광센서(241)의 수광면에 휘점상(Bright-point image, T1)을 형성한다. 또한, 하프 미러(218)를 투과한 성분은, CCD 이미지 센서(219)의 수광면에 휘점상(T2)을 형성한다.
안과장치(1)(예를 들어 도 6의 연산부(40))는, 광 센서(241)에 의한 휘점상(T1)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각막(Ec)에 대한 안압 측정계(200)의 XY방향의 어긋남(Misalignment)을 연산한다. 한편, CCD 이미지 센서(219)에 의한 휘점상(T2)의 검출 결과는, 피검안(E)의 전안부상과 함께 디스플레이(4)에 표시된다. 그에 따라, XY방향의 얼라이먼트 상태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하프 미러(217)에 의해 반사된 광속은, 각막 변형 검출계(250)에 유도되고, 핀홀판(251)을 개재하여 광 센서(252)에 의해 검출된다. 광 센서(252)는 포토 다이오드 등의 광량 검출이 가능한 센서이다. 광 센서(252)는, 기류 분사 노즐(212)로부터의 에어 퍼프에 의해 압평된 상태(Aplanated)의 각막(Ec)에 의한 반사광의 광량을 검출한다. 안과장치(1)(안압 연산부(42))는, 이 검출 결과로부터 각막(Ec)의 변형량을 구하는 것에 의해 피검안(E)의 안압치를 구한다.
슬릿 투영계(260)는, 슬릿 광원(261), 집광렌즈(262), 슬릿(263), 구형 개구 조리개(264), 하프 미러(285) 및 투영 렌즈(26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들 부재는 광축(O2)상에 배치되어 있다. 슬릿(263)은, 투영 렌즈(265)에 관해서 각막(Ec)의 이면에 공역으로 배치된다.
슬릿 광원(261)은 적외광을 출력한다. 이 적외광은, 집광렌즈(262)에 의해 집광되어 슬릿(263)으로 유도된다. 슬릿(263)을 통과한 적외광(슬릿광속(L))은, 구형 개구 조리개(264), 하프 미러(285)를 통과하고, 투영 렌즈(265)에 의해 각막(Ec)에 투영된다. 각막(Ec)에 투영된 슬릿 광속(L)는 각막 표면이나 각막 이면으로 반사된다.
수광계(270)는, 결상 렌즈(271)와 라인 센서(Line sensor, 27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들 부재는 광축(O3)상에 배치되어 있다. 한편, 광축(O2,O3)은, 광축(O1)에 대해서 좌우 방향의 역방향으로 각도 θ를 이루도록 설치되어 있다.
슬릿 광속(L)의 각막 반사광(표면 반사, 이면 반사)은, 결상 렌즈(271)에 의해 집광되고, 라인 센서(272)의 수광면에 결상된다. 안과장치(1)(연산부(40))는, 라인 센서(272)로부터의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이 각막 반사광의 광량 분포를 구하고, 이 광량 분포에 기초하여 Z방향의 얼라이먼트를 실행한다. 또한, 안과장치(1)(각막두께 연산부(43))는, 이 각막 반사광의 광량 분포의 2개의 피크 위치에 기초하여 각막(Ec)의 두께를 구한다.
Z얼라이먼트 시표 투영계(280)는, 얼라이먼트용 광원(281), 집광렌즈(282), 개구 조리개(283), 핀홀판(284), 하프 미러(285) 및 투영 렌즈(26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핀홀판(284)은, 투영 렌즈(265)의 초점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개구 조리개(283)는, 투영 렌즈(265)에 관해서 각막 정점(P)에 공역으로 배치되어 있다.
얼라이먼트용 광원(281)으로부터 출력된 적외광은, 집광렌즈(282)에 의해 집광되어 개구 조리개(283)에 도달한다. 개구 조리개(283)를 통과한 적외광의 일부는, 핀홀판(284)을 통과하고, 하프 미러(285)에 의해 반사되어 투영 렌즈(265)에 의해 각막(Ec)에 투사된다. 이 적외광의 각막(Ec)(의 표면)에서의 반사광은, 결상 렌즈(271)에 의해 집광되어 라인 센서(272)의 수광면에 휘점상(Q)를 형성한다. 이 휘점상Q의 검출 결과는, Z방향의 얼라이먼트(개략 조정)에 이용된다.
[제어계]
안과장치(1)의 제어계의 구성예를 도 6에 나타낸다.
〔측정 헤드〕
측정 헤드(3)에는, 눈 굴절력 측정부(31)와 안압 측정부(32)가 설치되어 있 다. 눈 굴절력 측정부(31)는, 도 3에 나타내는 눈 굴절력 측정계(100) 등, 피검안(E)의 눈 굴절력을 측정하기 위한 구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안압 측정부(32)는, 도 4, 도 5에 나타내는 안압 측정계(200) 등, 피검안(E)의 안압을 측정하기 위한 구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이 실시형태에 관한 안압 측정부(32)는, 피검안(E)의 각막두께의 측정도 가능하다. 측정 헤드(3)의 각 부는, 제어부(60)에 의해 제어된다. 눈 굴절력 측정부(31)와 안압 측정부(32)는, 각각, 이 발명의 '검사부'의 일례에 상당한다.
〔구동기구〕
구동기구(10)에는, 도 2에 나타내는 상하 구동 모터(14), 전후 구동 모터(17) 및 좌우 구동 모터(20)가 설치되어 있다. 제어부(60)(구동 제어부(66))는, 이들 모터(14,17,20)를 개별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측정 헤드(3)를 상하 방향,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각각 독립하여 이동시킨다.
〔연산부〕
연산부(40)는, 측정 헤드(3)에 의해 얻어진 정보에 기초하여 소정의 측정 결과를 연산한다. 눈 굴절력 연산부(41)는, 눈 굴절력 측정부(31)에 의해 얻어진 정보에 기초하여, 피검안(E)의 구면 도수, 난시 도수, 난시축 각도 등을 연산한다. 안압 연산부(42)는, 안압 측정부(32)에 의해 얻어진 정보에 기초하여, 피검안(E)의 안압치를 연산한다. 각막두께 연산부(43)는, 안압 측정부(32)에 의해 얻어진 정보에 기초하여, 피검안(E)의 각막두께를 연산한다. 이들 연산 처리는, 종래와 같이 하여 실행된다.
〔유저 인터페이스〕
유저 인터페이스(UI)(50)는, 표시 디바이스, 조작 디바이스, 입력 디바이스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특히, 유저 인터페이스(50)에는, 디스플레이(4), 컨트롤 레버(5), 측정 스위치(6), 턱받이 이동 스위치(9) 등이 포함된다.
〔제어부〕
제어부(60)는, 안과장치(1)의 각 부를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60)는, 구동기구(10)의 제어, 즉 측정 헤드(3)의 이동 제어에 있어서 특징이 있다. 제어부(60)는, 예를 들어, CPU 등의 마이크로 프로세서, RAM, ROM,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및 모터 콘트롤러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어부(60)에는, 기억부(61), 검사 완료 검지부(62), 헤드 위치 취득부(63), 검사 내용 특정부(64), 이동거리 연산부(65) 및 구동 제어부(66)가 설치되어 있다.
(기억부)
기억부(61)는, 안과장치(1)의 제어에 관한 각종의 정보를 기억한다. 특히, 기억부(61)는, 예를 들어 후퇴 거리 정보(61a) 등, 구동기구(10)의 제어에 관한 정보를 기억한다. 기억부(61)는, 이 발명의 '기억부'의 일례에 상당한다.
후퇴 거리 정보(61a)는, 측정 헤드(3)에 설치된 각 검사부에 대응하는 기준 후퇴 거리를 기록한 정보이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눈 굴절력 측정부(31)와 안압 측정부(32)의 각각에 대응하는 기준 후퇴 거리가 후퇴 거리 정보(61a)에 기록되어 있다. 기준 후퇴 거리란, 코의 높이나 안와(Orbit)의 깊이나 이마의 높이 등의 개인차를 고려하지 않고, 검사부의 작동 거리에 따라 설정된 해당 검사부의 후퇴 거 리이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 관한 안과장치(1)에서는, 피검안(E)을 좌안으로부터 우안으로 또는 우안으로부터 좌안으로 전환할 때에는, 피검자의 눈앞에서 기계가 움직이는 것에 의해서 피검자에게 공포감이나 불안감을 주지 않도록, 전환전 또는 전환과 동시에 피검안(E)으로부터 일정한 안전 거리를 취하도록 측정 헤드(3)를 일시 후퇴시킨다. 즉, 후퇴 거리란, 피검안(E)을 전환할 때, 측정 헤드(3)(또는 각 측정부(31,32))를 후방(오퍼레이터측)으로 안전 거리까지 이동시킬 때의 이동거리를 의미한다.
피검안(E)과 측정 헤드(3)의 사이를 안전 거리분만큼 확보하기 위해서는, 안전 거리를 일정하게 하면, 이 안전 거리로부터 작동 거리를 뺀 그 차분만큼 후퇴시키면 충분하다. 작동 거리란, 검사부에 의해 피검안(E)을 검사할 때의 해당 검사부와 피검안(E)의 핀트가 맞는 거리이며, 검사부가 가진 광학계의 렌즈 배치에 의해 정해진다. 이 작동 거리는, 예를 들면, 눈 굴절력 측정부(31)(눈 굴절력 검사)의 작동 거리 Dr는 50mm로 설정되고, 안압 측정부(32)(안압 검사, 각막두께검사)의 작동 거리 Dt는 11mm로 설정되어 있다.
그렇게 하면, 기준 후퇴 거리는, 일정한 안전 거리로부터 검사부마다 미리 설정되어 있는 작동 거리를 뺀 차이에 상당하는 거리로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이 기준 후퇴 거리가 안전 확보를 위한 최단 이동거리가 된다. 후퇴 거리 정보(61a)에는, 이 기준 후퇴 거리를 나타내는 값이 기록되어 있다. 한편, 후퇴 거리는, 코의 높이 등의 표준치(예를 들어 다수의 피검자의 계측 결과) 등을 참조하여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기준 후퇴 거리에 기초한 후퇴 거리란, 기준 후퇴 거리 그 자체의 값 또는 기준 후퇴 거리를 코의 높이 등의 표준치를 참조하여 보정한 값을 가리킨다.
또한, 이러한 기준 후퇴 거리에 의하면, 다른 검사부의 사이의 기준 후퇴 거리의 차이는, 예를 들면, 그러한 작동 거리의 차이와 동일해지도록 설정된다. 구체적으로는 눈 굴절력 측정부(31)에 대응하는 기준 후퇴 거리와, 안압 측정부(32)에 대응하는 기준 후퇴 거리의 차이가, 이들 측정부(31,32)의 작동 거리의 차이(Dr-Dt=39mm)와 동일해지도록 설정된다.
한편, 작동 거리는, 검사부에 탑재된 광학계의 선단 위치와 피검안(E)의 사이의 거리로서 설정할 수도 있고, 검사부 자체의 선단 위치와 피검안(E)의 사이의 거리로서 설정할 수도 있다. 다만, 이 실시형태에서는, 각 검사부에 대하여, 작동거리의 차이를 고려하기 위해서, 작동 거리의 정의는 일관하여 이용되는 것으로 한다.
(검사 완료 검지부)
검사 완료 검지부(62)는, 눈 굴절력 측정부(31)이나 안압 측정부(32)에 의한 검사가 완료한 것을 검지한다. 특히, 검사 완료 검지부(62)는, 피검안(E)의 전환을 행하기 직전의 검사가 완료한 것을 검지한다.
안과장치(1)를 이용한 안과 검사에는, 소정의 검사 플로우에 따라서 복수의 검사를 좌우 눈에 대해서 실시한다. 검사 플로우의 일례로서 다음의 순서로 검사를 실시한다: (1)우안의 눈 굴절력 측정; (2) 좌안의 눈 굴절력 측정; (3) 좌안의 안 압 측정(각막두께측정); (4) 우안의 안압 측정. 이 검사 플로우가 적용되는 경우, 검사 완료 검지부(62)는, 적어도 (1)(3)이 완료한 것을 검지한다. 한편, 눈 굴절력 검사를 안압 검사보다 먼저 실시하는 것은, 안압 검사에 의해 각막 형상을 변형(압평)한 후에 눈 굴절력 검사를 행하면, 검사 결과에 오차가 생길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검사 완료 검지부(62)는, 예를 들어, 검사 결과가 취득된 것에 기초하여 검사의 완료를 검지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검사 완료 검지부(62)는, 검사가 실시되어 검사 결과가 얻어지고, 이 검사 결과가 기억부(61)에 보존된 것에 대응하여 해당 검사가 완료한 것이라고 판단한다. 한편, 좌우 눈에 대한 복수의 검사를 자동적으로 실시하도록 검사 플로우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즉 '피검안의 전환'의 스텝이 검사 플로우에 미리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검사의 완료를 검지할 필요는 없고, 따라서 검사 완료 검지부(62)에 대해서도 설치되지 않아도 좋다.
(헤드 위치 취득부)
헤드 위치 취득부(63)는, 현 시점에 있어서의 측정 헤드(3)의 위치를 취득한다. 한편, 눈 굴절력 측정부(31)와 안압 측정부(32)가 각각 독립하여 이동 가능한 경우에는, 헤드 위치 취득부(63)는, 각 측정부(31,32)의 현 시점에 있어서의 위치를 취득한다. 또한, 헤드 위치 취득부(63)는, 특히, 측정 헤드(3)의 상하 방향에서의 위치를 취득하도록 되어 있다(검사 내용 특정부(64)의 설명을 참조).
측정 헤드(3)의 위치의 취득 방법의 예를 설명한다. 제1의 예로서 구동 제어부(66)에 의한 구동기구(10)의 제어 내용에 기초하여 측정 헤드(3)의 위치를 취득 하는 방법이 있다. 구동기구(10)는, 구동 제어부(66)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받아 동작한다. 즉, 각 구동 모터(14,17,20)(스테핑 모터를 포함한다)는, 구동 제어부(66)로부터 펄스 신호를 받아 그 펄스수에 따른 거리만큼 측정 헤드(3)를 이동시킨다. 한편, 1펄스에 대응하는 이동거리는 미리 설정되어 있다. 또한, 예를 들어 검사 개시시에는, 측정 헤드(3)는 소정의 초기 위치에 배치되는 것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측정 헤드(3)가 초기 위치에 배치된 상태로부터 현 시점까지의 사이에 구동 제어부(66)가 송신한 제어 신호의 이력을 참조함으로써, 현 시점에 있어서의 측정 헤드(3)의 3차원적인 위치를 취득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측정 헤드(3)의 초기 위치는, 적당하게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저가 수동 조작으로 초기 위치를 설정할 수도 있고, 동공간 거리를 지정(입력, 선택 등)하여, 이 동공간 거리의 반의 값에 대응하는 위치를 초기 위치로서 설정할 수도 있다.
제2의 방법은, 측정 헤드(3)의 위치를 실제로 검출하는 것이다. 즉, 측정 헤드(3)의 위치를 검출하는 센서를 설치함으로써, 측정 헤드(3)의 위치를 취득하는 방법이다.
(검사 내용 특정부)
검사 내용 특정부(64)는, 피검안(E)에 대한 검사 내용을 특정한다. 검사 내용은, 피검안(E)에 대향 배치된 검사부에 응한다. 이 실시형태의 측정 헤드(3)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눈 굴절력 측정부(31)와 안압 측정부(32)가 상하 방향으로 나열되어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이 검사 내용 특정부(64)는, 헤드 위치 취득부(63)에 의해 취득된 측정 헤드(3)의 위치에 기초하여, 피검안(E)에 대향 배치되 어 있는 검사부를 특정하고, 이로써 검사 내용이 특정되게 된다. 눈 굴절력 측정부(31)와 안압 측정부(32)가 상하 방향으로 나열되어 배치되어 있는 경우, 측정 헤드(3)의 위치란, 측정 헤드(3)의 상하 방향의 위치로 충분하다. 검사 내용 특정부(64)는, 이 발명의 '특정부'의 일례를 구성하는 것이다.
한편, 검사 완료 검지부(62)에 의해 완료한 것으로 판단된 검사 내용에 기초하여, 검사 내용을 특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복수의 검사의 플로우가 미리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검사 내용의 특정 처리를 행할 필요가 없고, 따라서, 헤드 위치 취득부(63)나 검사 내용 특정부(64)도 불필요하다.
(이동거리 연산부)
이동거리 연산부(65)는, 우안의 검사 위치와 좌안의 검사 위치의 사이의 좌우 방향의 거리를 연산한다. 여기서, 검사 위치란, 피검안(E)에 대해서 검사를 행하는 위치, 즉, 피검안(E)에 대해서 X, Y, Z의 각 방향의 얼라이먼트가 이루어진 상태에서의 검사부의 위치를 의미한다. 검사 위치에 배치된 검사부와 피검안(E)의 사이의 거리는, 상기의 작동 거리에 상당한다. 이동거리 연산부(65)는, 이 발명의 '연산부'의 일례를 구성하는 것이다.
이동거리 연산부(65)가 실행하는 처리의 구체적인 예를 설명한다. 이동거리 연산부(65)가 동작하기 전에, 헤드 위치 취득부(63)는, 우안의 검사에 있어서의 검사 위치와 좌안의 검사에 있어서의 검사 위치를 취득한다. 이 때, 각 눈에 대하여 적어도 1개의 검사 위치가 취득되어 있으면 충분하다. 이동거리 연산부(65)는, 헤드 위치 취득부(63)에 의한 취득 결과를 받아, 우안의 검사 위치에 나타내는 좌우 방향의 위치와 좌안의 검사 위치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의 위치의 차이를 연산한다. 이 연산 결과(좌우 이동거리)는, 피검자의 동공간 거리에 상당하는 것이다. 상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후술하지만, 좌우 이동거리는, 측정 헤드(3)를 다음회에 이동시킬 때 이용된다.
(구동 제어부)
구동 제어부(66)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각 구동 모터(14,17,20)에 제어 신호(펄스 신호)를 송신하는 것에 의해서, 측정 헤드(3)의 이동을 제어한다.
[동작]
안과장치(1)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의 플로우차트는, 안과장치(1)의 동작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먼저, 검사 개시를 지시한다(S1). 이 지시는, 예를 들어 안과장치(1)의 전원을 투입하는 동작이어도 좋고, 피검자의 지정(환자 ID의 입력 등)하는 동작이어도 좋다. 또한, 검사 개시를 지시하기 위한 조작부(하드웨어 키나 소프트웨어 키)를 설치해도 좋다. 또한, 이 단계에서, 피검자의 코의 높이 등의 데이터를 입력해도 좋다.
검사 개시가 지시되면, 구동 제어부(66)는, 구동기구(10)를 제어하여 측정 헤드(3)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눈 굴절력 측정부(31)을 소정의 높이 위치까지 이동시킨다(S2). 이 높이 위치는, 예를 들어, 눈 굴절력 검사를 실시할 때의 표준적인 높이에 상당하는 것으로, 미리 설정되어 있다. 이 높이 위치는, 예를 들면, Y방향의 원점으로서 이용된다.
다음에, 구동 제어부(66)는, 구동기구(10)를 제어하여 측정 헤드(3)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켜, 측정 헤드(3)를 소정의 초기 위치에 배치시킨다(S3). 이 초기 위치는, 예를 들어, 미리 설정된 X, Y의 각 방향의 원점에 상당하는 위치가 된다. 이 원점은, 예를 들어, X, Y의 각 방향에의 가동 범위의 중심 위치로 설정된다.
다음에, 피검자의 우안의 눈 굴절력 검사의 검사 위치까지 측정 헤드(3)(눈 굴절력 측정부(31))를 이동시킨다(S4). 이 처리는,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하여 실행된다.
제1의 예로서 측정 헤드(3)를 자동적으로 이동시키는 방법이 있다. 이 방법은, 예를 들어, 구동 제어부(66)의 제어에 의해 측정 헤드(3)를 우안방향으로 소정 거리(예를 들어 동공간 거리의 반의 거리)만큼 이동시키고, 종래와 동일한 얼라이먼트를 실행하여 눈 굴절력 측정부(31)를 우안의 검사 위치에 배치시키는 것이다. 한편, 피검자의 화상을 촬영함으로써, 우안을 검출할 때까지 측정 헤드(3)를 이동시키도록 해도 좋다.
제2의 예로서 측정 헤드(3)를 반자동으로 이동시키는 방법이 있다. 이 방법은, 예를 들어, 오퍼레이터가 컨트롤 레버(5)를 조작함으로써 우안의 대향 위치까지 측정 헤드(3)를 이동시키고, 또한 종래와 동일한 얼라이먼트를 실행하여 눈 굴절력 측정부(31)를 우안의 검사 위치에 배치시키는 것이다.
다음에, 우안의 눈 굴절력 검사를 실시한다(S5). 이 처리는, 눈 굴절력 측정부(31)가 우안의 데이터를 취득하고, 눈 굴절력 연산부(41)가 이 데이터를 해석하여 우안의 눈 굴절력을 연산함으로써 실행된다. 한편, 눈 굴절력 검사는, 얼라이먼 트의 완료에 대응하여 자동적으로 개시하도록 해도 좋고, 오퍼레이터가 측정 스위치(6)를 조작하는 등 수작업으로 개시하도록 해도 좋다. 검사 완료 검지부(62)는, 우안의 눈 굴절력 검사의 완료를 검지한다.
헤드 위치 취득부(63)는, 우안의 눈 굴절력 검사를 실시할 때에 있어서의 측정 헤드(3)의 위치를 취득한다(S6). 또한, 검사 내용 특정부(64)는, 측정 헤드(3)의 위치(특히 상하 방향의 위치)에 기초하여, 우안에 대해서 실시된 검사 내용을 특정한다(S7). 이 때, 한편, 스텝 6, 7의 처리는, 스텝 5의 전이나 후 등의 임의의 타이밍으로 실행이 가능하다.
구동 제어부(66)는, 특정된 검사 내용(검사부)에 대응하는 기준 후퇴 거리를 후퇴 거리 정보(61a)로부터 선택하고(S8), 이 기준 후퇴 거리에 기초하여 측정 헤드(3)의 후퇴 거리를 산출한다(S9). 이 때, 산출시에는, 기준 후퇴 거리와 함께, 피검자의 코의 높이 등의 정보를 고려하여 후퇴 거리를 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피검자의 코의 높이 등의 정보를 고려하지 않는 경우에는, 후퇴 거리 정보(61a)가 나타내는 후퇴 거리 그 자체를 취득한다.
또한, 구동 제어부(66)는, 구동기구(10)를 제어하여, 취득 또는 산출한 후퇴 거리만큼 측정 헤드(3)를 피검자로부터 후퇴시키면서 좌안측으로 이동시킨다(S10).
측정 헤드(3)를 우안측으로부터 좌안측으로 이동시킬 때의 형태예를 도 8∼도 10에 나타낸다. 도 8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먼저 전후 구동 모터(17)를 제어하여, 우안의 검사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측정 헤드(3)를 후방향으로 이동시키고(궤적 a1), 다음에 좌우 구동 모터(20)를 제어하여, 측정 헤드(3)를 좌방향으로 좌안 측까지 이동시키고(궤적 a2), 다음에 전후 구동 모터(17)를 제어하여, 좌안의 눈앞까지 측정 헤드(3)를 전방향으로 이동시킨다(궤적 a3).
여기서, 궤적 a1을 따라서 후퇴 거리는, 스텝 9에서의 산출 결과에 상당하고, 특정된 검사 내용에 따른 작동 거리 Dw를 안전 거리 Ds로부터 뺀 차분, 또는 이것에 피검자의 코의 높이 등을 가미하여 산출한 값이다. 궤적 a2의 거리는, 해당 피검자의 동공간 거리의 과거의 측정 결과가 나타내는 거리이다. 미리, 기억부(61a)에 피검체를 나타내는 정보와 관련지어 이 거리를 기억시켜 두고, 구동 제어부(66)는, 궤적 a2을 따라서 이동시킬 때 읽어낸다. 궤적 a2의 거리는, 미리 기억부(61a)에 기억시킨 동공간 거리의 표준치여도 좋다. 또한 이 궤적 a2에 따른 이동은, 오퍼레이터가 수작업으로 이동시켜도 좋다. 궤적 a3을 따른 이동후에는, 좌안에 대한 얼라이먼트를 종래와 같이 실행하여, 측정 헤드(3)를 좌안의 검사 위치에 배치시킨다.
도 9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먼저 전후 구동 모터(17)와 좌우 구동 모터(20)를 동시에 제어하여, 우안의 검사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측정 헤드(3)를 후방향과 좌방향의 합성 방향(왼쪽 뒤방향)으로 직선적으로 이동시키고(궤적 b1), 다음에 전후 구동 모터(17)와 좌우 구동 모터(20)를 동시에 제어하여, 측정 헤드(3)를 좌안의 눈앞까지 전방향과 좌방향의 합성 방향(왼쪽 앞 방향)으로 직선적으로 이동시킨다(궤적 b2).
여기서, 궤적 b1을 따라서 이동시킬 때의 후퇴 거리, 즉 궤적 b1의 전후 방향 성분은, 스텝 9에서의 산출 결과에 상당하고, 도 8의 경우와 동일한 작동 거리 D2에 따른 거리이다. 또한, 각 궤적 b1, b2를 따라서 이동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 성분은, 예를 들어, 도 8의 경우와 동일한 소정 거리로 설정된다. 궤적 b2에 따른 이동후에는, 얼라이먼트를 실행하여 측정 헤드(3)를 좌안의 검사 위치에 배치시킨다.
도 10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전후 구동 모터(17)와 좌우 구동 모터(20)를 동시에 제어함으로써, 우안의 검사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측정 헤드(3)를 후방측을 볼록하게 하는 활모양의 궤적을 따라서 좌안의 눈앞까지 이동시킨다. 즉, 이 예에서는, 후방측을 볼록하게 하는 곡선상의 궤적을 따라서, 우안의 검사 위치에서 좌안의 눈앞까지 측정 헤드(3)를 이동시킨다.
여기서, 궤적(C)를 따라서 이동시킬 때의 후퇴 거리, 즉 후방향으로의 이동거리는, 스텝 9에서의 산출 결과에 상당하고, 도 8의 경우와 동일한 작동 거리 D2에 따른 거리이다. 또한, 궤적(C)를 따른 이동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으로의 이동거리는, 예를 들면, 도 8의 경우와 동일한 소정 거리로 설정된다. 궤적(C)에 따른 이동후에는, 얼라이먼트를 실행하여 측정 헤드(3)를 좌안의 검사 위치에 배치시킨다.
측정 헤드(3)가 좌안의 검사 위치에 배치되면, 헤드 위치 취득부(63)는 측정 헤드(3)의 위치를 취득한다(S11). 이동거리 연산부(65)는 스텝 6으로부터 스텝 11에서 각각 취득된 위치에 기초하여, 측정 헤드(3)의 좌우 방향으로의 이동거리를 연산한다(S12).
다음에, 스텝 5와 동일하게 하여, 좌안의 눈 굴절력 검사를 실시한다(S13). 좌안의 눈 굴절력 검사가 완료하면, 구동 제어부(66)는, 상하 구동 모터(14)를 제 어하여 측정 헤드(3)를 상하 방향(이 실시형태에서는 윗방향)으로 이동시켜 안압 측정부(32)를 좌안의 눈앞에 배치시키고, 또한, 종래와 같은 얼라이먼트를 실행하여 안압 측정부(32)를 좌안의 검사 위치에 배치시킨다(S14). 이 때, 구동 제어부(66)는, 측정 헤드(3)를 소정 거리만큼 후방으로 이동시킨다. 이것은, 안압 검사의 작동 거리가 눈 굴절력 검사의 작동 거리보다 짧은 것에 의한 것이다.
얼라이먼트가 완료하면, 안압 측정부(32)는, 좌안의 안압 검사를 실시한다(S15). 이 처리는, 안압 측정부(32)가 좌안의 데이터를 취득하고, 안압 연산부(42)가 이 데이터를 해석하여 좌안의 안압을 연산함으로써 실행된다. 한편, 안압 검사와 함께 각막두께검사를 실시해도 좋다. 또한, 안압 검사는, 얼라이먼트의 완료에 대응하여 자동적으로 개시하도록 해도 좋고, 오퍼레이터가 측정 스위치(6)를 조작하는 등 수작업으로 개시하도록 해도 좋다. 검사 완료 검지부(62)는, 좌안의 안압 검사의 완료를 검지한다.
검사 내용 특정부(64)는, 스텝 11에서 취득된 측정 헤드(3)의 위치(특히 상하 방향의 위치)에 기초하여, 좌안에 대해서 실시된 검사 내용(안압 검사)을 특정한다(S16). 구동 제어부(66)는, 특정된 검사 내용에 대응하는 기준 후퇴 거리를 후퇴 거리 정보(61a)로부터 선택하여(S17), 이 기준 후퇴 거리에 기초하여 측정 헤드(3)의 후퇴 거리를 산출한다(S18). 이 때, 기준 후퇴 거리와 함께, 피검자의 코의 높이 등의 정보를 고려하여 후퇴 거리를 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구동 제어부(66)는, 구동기구(10)를 제어하여, 측정 헤드(3)를 피검자로부터 후퇴시키면서 우안측으로 이동시킨다(S19). 이 때의 후퇴 거리는, 스텝 18 에서의 산출 결과에 상당하고, 또한, 우방향으로의 이동거리는, 스텝 12에서의 연산 결과에 상당한다. 또한, 이 때의 이동 형태는, 스텝 10과 마찬가지로 도 8∼도 10에 나타낸 것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우안에 대한 안압 측정부(32)의 얼라이먼트가 완료하면, 우안의 안압 검사(및 각막두께검사)를 실시한다(S20). 이상으로, 안과장치(1)에 의한 좌우 눈의 눈 굴절력 검사 및 안압 검사는 종료가 된다.
[작용·효과]
이와 같이, 안과장치(1)의 측정 헤드(3)에는, 피검안에 대해서 다른 검사를 실시하는 복수의 검사부(눈 굴절력 측정부(31), 안압 측정부(32))가 설치되어 있다. 안과장치(1)는, 측정 헤드(3)를 3차원적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에 따라, 안과장치(1)는, 측정 헤드(3)에 의한 검사 대상을 한쪽의 눈으로부터 다른쪽의 눈으로 전환하면서, 좌우의 각 눈에 대해서 복수의 검사를 실시한다. 또한, 안과장치(1)는, 검사 대상의 눈을 전환할 때, 한쪽의 눈의 검사 위치에 위치하는 검사부의 작동 거리에 따른 후퇴 거리만큼 측정 헤드(3)를 후퇴시키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작동 거리(검사시에 있어서의 피검안(E)과 검사부의 거리)에 따른 거리만큼 측정 헤드(3)를 후퇴시킴으로써, 불필요하게 긴 후퇴 거리를 확보할 필요가 없고, 검사 시간의 단축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작동 거리에 따른 후퇴 거리를 확보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피검자에게 검사구가 접촉하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어, 안전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안과장치(1)는, 각 검사부에 대응하는 기준 후퇴 거리를 기록한 후퇴 거리 정보(61a)를 미리 기억하고, 한쪽의 눈의 검사 위치에 위치하는 검사부에 대응하는 기준 후퇴 거리를 선택적으로 참조하여 측정 헤드(3)를 후퇴시키도록 되어 있다. 그에 따라, 검사부에 따른 후퇴 거리를 용이하고 확실하게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안과장치(1)에 의하면, 기준 후퇴 거리와 함께, 피검자의 코의 높이 등의 개별 데이터를 참조하여 후퇴 거리를 구할 수 있으므로, 검사 시간의 단축 및 안전성의 확보의 쌍방에 대해 적합하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 의하면, 다른 검사부의 후퇴 거리의 차이가, 그들 작동 거리의 차와 동일해지도록 설정할 수 있으므로, 좌우 눈의 전환을 행할 때 측정 헤드(3)를 불필요하게 길게 후퇴시키지 않고, 검사 시간의 단축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안과장치(1)에 의하면, 도 8∼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은 각종 궤적을 따라서 측정 헤드(3)를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어느 궤적을 적용하더라도, 적합한 후퇴 거리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도 9나 도 10에 나타내는 궤적을 적용하여 이동거리를 단축함으로써, 좌우 눈의 전환 시간의 단축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이들 이외의 임의의 궤적을 적절하게 채택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먼저 측정 헤드(3)를 기울기 후방으로 이동하고, 다음에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고, 기울기 전방으로 더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서, 검사 대상을 한쪽의 눈으로부터 다른 쪽의 눈으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안과장치(1)에 의하면, 양 눈의 검사 위치의 사이의 좌우 방향의 거리를 연산할 수 있다. 이 거리는, 피검자의 동공간 거리를 근사하는 것이다. 안과장 치(1)는, 좌우 눈의 전환을 재차 실시할 때, 상기 연산에 의해 얻어진 거리만큼 측정 헤드(3)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그에 따라, 해당 좌우 눈의 검사에 있어서의 측정 헤드(3)의 좌우 방향으로의 이동거리를 적합하게 구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좌우 눈의 전환 시간의 단축을 도모함으로써, 그 사이에 피검안의 위치가 이동할 가능성이 적어지기 때문에, 종래와 비교하여 동공간 거리를 높은 정확도로 구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얼라이먼트 시간의 단축, 나아가서는 검사 시간의 단축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안과장치(1)에 의하면, 검사의 완료를 검지하여 좌우 눈의 전환을 자동적으로 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에 따라, 검사 시간의 단축을 더 도모할 수 있다.
[변형예]
이상으로 상술한 내용은, 이 발명을 바람직하게 실시하기 위한 구성이나 동작의 일례에 지나지 않는다. 따라서, 이 발명의 요지의 범위내에서의 임의의 변형을 적절하게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2개의 검사부를 가진 안과장치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이 발명에 관한 안과장치에 탑재하는 검사부의 개수는 임의이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좌우 눈의 전환(스텝 10, 19)과, 검사부의 전환(스텝 14)을 다른 타이밍에 행하고 있지만, 이들 2개의 전환 동작을 한데 모아 실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 경우, 어느 쪽의 동작을 먼저 행하여도 좋다. 또한, 쌍방의 동작을 동시에 행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측정 헤드(3)의 이동 속도에 대해서는 특별히 언급하고 있지 않지만, 이동 속도에 대해서도 연구해보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측정 헤드(3)를 전방향으로 이동시킬 때의 속도보다, 후방향으로 이동시킬 때의 속도를 빠르게 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측정 헤드(3)를 비교적 고속으로 후퇴시키고, 비교적 고속으로 전진시키도록 제어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에 따라, 이동시간을 더 단축하고, 안전성을 더 향상하는 것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안과장치의 외관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안과장치의 구동기구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안과장치의 광학계의 제1의 구성예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안과장치의 광학계의 제2의 구성예를 해당 장치의 상하 방향으로부터 나타낸다.
도 5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안과장치의 광학계의 제2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해당 장치의 좌우 방향으로부터 나타낸다.
도 6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안과장치의 제어계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안과장치의 동작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8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안과장치의 측정 헤드의 제1의 이동 형태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9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안과장치의 측정 헤드의 제2의 이동 형태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0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안과장치의 측정 헤드의 제3의 이동 형태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안과장치 2 : 베이스
3 : 측정 헤드 4 : 디스플레이
5 : 컨트롤 레버 6 : 측정 스위치
7 : 턱받이 8 : 이마닿음부
10 : 구동기구 15 : 상하 이동 스테이지
16 : 전후 레일 18 : 전후 이동 스테이지
19 : 좌우 레일(19) 21 : 좌우 이동 스테이지
100 : 눈 굴절력 측정계 110 : 투영계
120 : 결상계 130 : 고시표 투영계
140 : 전안부 관찰계 200 : 안압 측정계
210 : 전안부 관찰계 220 : XY 얼라이먼트 시표 투영계
230 : 고시표 투영계 240 : XY얼라이먼트 검출계
250 : 각막 변형 검출계 260 : 슬릿 투영계
270 : 수광계 280 : Z얼라이먼트 시표 투영계

Claims (10)

  1. 피검안에 대해서 다른 검사를 실시하는 복수의 검사부를 포함한 검사 유닛과,
    상기 검사 유닛을 좌우 방향 및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검사 유닛에 의한 검사 대상을 한쪽 눈으로부터 다른쪽 눈으로 전환할 때에, 상기 한쪽 눈의 검사 위치에 위치하는 검사부의 작동 거리에 따른 후퇴 거리만큼 상기 검사 유닛을 후퇴시키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검사부의 각각에 대응하는 기준 후퇴 거리를 기록한 후퇴 거리 정보를 미리 기억하는 기억부를 포함하고,
    상기 검사 대상의 전환을 행할 때에, 상기 한쪽 눈의 검사 위치에 위치하는 검사부에 대응하는 기준 후퇴 거리를 상기 후퇴 거리 정보로부터 선택하고, 상기 기준 후퇴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검사 유닛을 상기 후퇴 거리만큼 후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사 대상을 한쪽 눈으로부터 다른쪽 눈으로 전환할 때 확보되어야 할 상기 피검안과 상기 검사부의 거리와 상기 작동 거리의 차이에 상당하는 후퇴거리만큼, 상기 검사 유닛을 후퇴시키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검사부는, 상하 방향으로 나열되어 배치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검사 유닛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사 유닛의 상하 방향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한쪽 눈의 검사 위치에 위치하는 검사부를 특정하는 특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검사부중 작동 거리가 다른 제1 검사부 및 제2 검사부에 대해서, 상기 제1 검사부에 대응하는 후퇴 거리와 상기 제2 검사부에 대응하는 후퇴 거리의 차이는, 상기 제1 검사부의 작동 거리와 상기 제2 검사부의 작동 거리의 차이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장치.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사 유닛을 상기 전후 방향을 따라서 상기 한쪽 눈의 검사 위치로부터 상기 후퇴 거리만큼 후퇴시키고, 이어서 상기 좌우 방향을 따라서 상기 다른쪽 눈까지 이동시키고, 이어서 상기 전후 방향을 따라서 상기 다른쪽 눈의 검사 위치를 향해서 이동시키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장치.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사 유닛을 상기 다른쪽 눈방향이고 후방향의 합성 방향을 따라서 상기 한쪽 눈의 검사 위치로부터 직선적으로 이동시키고, 계속해서, 상기 다른쪽 눈방향이고 전방향의 합성 방향을 따라서 상기 다른쪽 눈의 검사 위치를 향해서 직선적으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장치.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사 유닛을 후방측을 볼록하게 하는 활모양의 궤적을 따라서 상기 한쪽 눈의 검사 위치로부터 상기 다른쪽 눈의 검사 위치를 향해서 이동시키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장치.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한쪽눈의 검사 위치와 상기 다른쪽 눈의 검사 위치의 사이의 상기 좌우 방향의 거리를 연산하는 연산부를 구비하고,
    상기 검사 유닛에 의한 검사 대상을 재차 전환할 때에, 상기 연산부에 의해 과거에 연산된 거리만큼 상기 검사 유닛을 상기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장치.
  10. 피검안에 대해서 다른 검사를 실시하는 복수의 검사부가 상하 방향으로 나열되어 포함되는 검사 유닛과,
    상기 검사 유닛을 전후, 좌우, 및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검사 유닛의 상하 방향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한쪽눈의 검사 위치에 위치하는 검사부를 특정하는 특정부와,
    상기 검사부의 작동 거리에 따른 기준 후퇴 거리를 기록한 후퇴 거리 정보를 상기 검사부마다 미리 기억하는 기억부와,
    상기 검사 유닛에 의한 검사 대상을 한쪽 눈으로부터 다른쪽 눈으로 전환할 때에, 상기 특정부에서 특정된 검사부에 대응하는 기준 후퇴 거리를 상기 후퇴 거리 정보로부터 선택하고, 상기 기준 후퇴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검사 유닛을 후퇴시키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장치.
KR1020080127829A 2007-12-25 2008-12-16 안과장치 KR2009006922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332060 2007-12-25
JP2007332060A JP4995065B2 (ja) 2007-12-25 2007-12-25 眼科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9223A true KR20090069223A (ko) 2009-06-30

Family

ID=40406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7829A KR20090069223A (ko) 2007-12-25 2008-12-16 안과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909462B2 (ko)
EP (1) EP2074937B1 (ko)
JP (1) JP4995065B2 (ko)
KR (1) KR20090069223A (ko)
CN (1) CN10146787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39148A (ja) * 2011-08-11 2013-02-28 Topcon Corp 眼科手術用顕微鏡
JP2013046649A (ja) * 2011-08-29 2013-03-07 Topcon Corp 眼科手術用顕微鏡
EP2753229B1 (en) 2011-09-07 2016-08-31 Visionix Ltd. Double function tilting head ophthalmic instrument
US8800347B2 (en) * 2011-10-21 2014-08-12 Reichert, Inc. Tonometer calibration tool
TWI446892B (zh) * 2011-12-23 2014-08-01 Crystalvue Medical Corp Jet pressure detection device
JP6249755B2 (ja) * 2013-12-13 2017-12-20 株式会社トプコン 眼科装置
JP2015128482A (ja) * 2014-01-06 2015-07-16 株式会社トプコン 眼科装置
CN104545790B (zh) * 2014-12-17 2016-04-20 温州医科大学 活体监测角膜塑形镜塑形效果的oct成像系统和方法
JP7133995B2 (ja) * 2018-06-14 2022-09-09 株式会社トプコン 眼科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18167118A (ja) * 2018-08-10 2018-11-01 株式会社トプコン 眼科装置
JP7434729B2 (ja) * 2019-06-13 2024-02-21 株式会社ニデック 眼科装置、および眼科装置制御プログラム
WO2020250820A1 (ja) * 2019-06-13 2020-12-17 株式会社ニデック 眼科装置、および眼科装置制御プログラム
JP7423912B2 (ja) * 2019-06-13 2024-01-30 株式会社ニデック 眼科装置、および眼科装置制御プログラム
US11324400B2 (en) 2020-07-07 2022-05-10 Scintellite, Llc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ed non-contact eye examination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65937A (ja) * 1988-03-14 1989-10-24 Topcon Corp 眼科器械
JP2937373B2 (ja) 1989-12-28 1999-08-23 株式会社トプコン 眼科装置
JP3432005B2 (ja) * 1994-06-28 2003-07-28 キヤノン株式会社 眼科装置
JP3610133B2 (ja) 1995-09-29 2005-01-12 キヤノン株式会社 眼科装置
JP3628084B2 (ja) 1995-10-06 2005-03-09 株式会社トプコン 眼科装置
US6022108A (en) * 1996-06-28 2000-02-08 Nidek Co., Ltd. Opthalmic apparatus for judging alignment conditions based on target images
JP4338857B2 (ja) * 1999-12-28 2009-10-07 株式会社トプコン 眼科装置
JP4616453B2 (ja) 2000-10-03 2011-01-19 株式会社トプコン 眼科装置
JP4349934B2 (ja) * 2003-03-31 2009-10-21 株式会社ニデック 眼科装置
JP4907214B2 (ja) * 2006-04-12 2012-03-28 株式会社ニデック 眼科装置
JP5201852B2 (ja) * 2006-03-31 2013-06-05 株式会社ニデック 眼科装置
JP4879632B2 (ja) * 2006-04-12 2012-02-22 株式会社ニデック 眼科装置
JP4879633B2 (ja) 2006-04-12 2012-02-22 株式会社ニデック 眼科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995065B2 (ja) 2012-08-08
US20090168021A1 (en) 2009-07-02
EP2074937A1 (en) 2009-07-01
JP2009153569A (ja) 2009-07-16
US7909462B2 (en) 2011-03-22
EP2074937B1 (en) 2013-10-02
CN101467874A (zh) 2009-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69223A (ko) 안과장치
JP5179894B2 (ja) 眼科装置
JP4879632B2 (ja) 眼科装置
JP5954982B2 (ja) 眼科装置および制御方法並びに制御プログラム
JP5955193B2 (ja) 眼科装置および眼科装置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5201852B2 (ja) 眼科装置
JP6238551B2 (ja) 眼科装置、眼科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JP4916935B2 (ja) 眼科装置
JP5787292B2 (ja) 眼科装置
WO2019235148A1 (ja) 眼科測定装置
JP6134518B2 (ja) 眼科装置
JP4184368B2 (ja) 眼科装置
JP4907214B2 (ja) 眼科装置
JP2013022122A (ja) 眼特性の測定方法及び眼科装置
JP4136691B2 (ja) 眼科装置
JP2018038517A (ja) 眼科装置、及び眼科装置の制御方法
JP2012249809A (ja) 検眼装置
JP5046814B2 (ja) 眼科装置および眼科装置を用いたオートアライメント方法
JP5916333B2 (ja) Zアラインメント装置と眼科装置
JP2009066133A (ja) 眼科装置および眼科装置を用いたオートアライメント方法
JP6254311B2 (ja) 眼科装置
JP2005176971A (ja) 眼科検査装置
JP2020124350A (ja) 眼科装置
JP2019208855A (ja) 眼科測定装置
JP2020044281A (ja) 眼科装置及びその作動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