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8375A - 배선 기판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배선 기판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8375A
KR20090038375A KR1020080100736A KR20080100736A KR20090038375A KR 20090038375 A KR20090038375 A KR 20090038375A KR 1020080100736 A KR1020080100736 A KR 1020080100736A KR 20080100736 A KR20080100736 A KR 20080100736A KR 20090038375 A KR20090038375 A KR 200900383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ing layer
opening
pad
film
la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07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77211B1 (ko
Inventor
유지 유키이리
이즈미 다나카
Original Assignee
신꼬오덴기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꼬오덴기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신꼬오덴기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383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83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72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72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0011Working of insulating substrates or insulating layers
    • H05K3/0017Etching of the substrate by chemical or physical means
    • H05K3/0026Etching of the substrate by chemical or physical means by laser ablation
    • H05K3/0032Etching of the substrate by chemical or physical means by laser ablation of organic insulating material
    • H05K3/0035Etching of the substrate by chemical or physical means by laser ablation of organic insulating material of blind holes, i.e. having a metal layer at the bottom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40Forming printed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printed circuits
    • H05K3/42Plated through-holes or plated via connections
    • H05K3/421Blind plated via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46Manufacturing multilayer circuits
    • H05K3/4644Manufacturing multilayer circuits by building the multilayer layer by layer, i.e. build-up multilayer circu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3Use of materials for the substrate
    • H05K1/0313Organic insulating material
    • H05K1/0353Organic insulating material consisting of two or more materials, e.g. two or more polymers, polymer + filler, + reinforcement
    • H05K1/0366Organic insulating material consisting of two or more materials, e.g. two or more polymers, polymer + filler, + reinforcement reinforced, e.g. by fibres, fabric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2Fillers; Particles; Fibers; Reinforcement materials
    • H05K2201/0203Fillers and particles
    • H05K2201/0206Materials
    • H05K2201/0209Inorganic, non-metallic particl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9Shape and layout
    • H05K2201/09209Shape and layout details of conductors
    • H05K2201/095Conductive through-holes or vias
    • H05K2201/09563Metal filled via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3/00
    • H05K2203/01Tools for processing; Objects used during processing
    • H05K2203/0191Using tape or non-metallic foil in a process, e.g. during filling of a hole with conductive past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3/00
    • H05K2203/02Details related to mechanical or acoustic processing, e.g. drilling, punching, cutting, using ultrasound
    • H05K2203/0264Peeling insulating layer, e.g. foil, or separating mask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3/00
    • H05K2203/06Lamination
    • H05K2203/066Transfer laminating of insulating material, e.g. resist as a whole layer, not as a patter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3/00
    • H05K2203/13Moulding and encapsulation; Deposition techniques; Protective layers
    • H05K2203/1377Protective layers
    • H05K2203/1383Temporary protective insulating lay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17Conductor or circuit manufactur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17Conductor or circuit manufacturing
    • Y10T29/49124On flat or curved insulated base, e.g., printed circuit, etc.
    • Y10T29/49126Assembling ba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17Conductor or circuit manufacturing
    • Y10T29/49124On flat or curved insulated base, e.g., printed circuit, etc.
    • Y10T29/49128Assembling formed circuit to bas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17Conductor or circuit manufacturing
    • Y10T29/49124On flat or curved insulated base, e.g., printed circuit, etc.
    • Y10T29/49155Manufacturing circuit on or in bas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17Conductor or circuit manufacturing
    • Y10T29/49124On flat or curved insulated base, e.g., printed circuit, etc.
    • Y10T29/49155Manufacturing circuit on or in base
    • Y10T29/49156Manufacturing circuit on or in base with selective destruction of conductive path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17Conductor or circuit manufacturing
    • Y10T29/49124On flat or curved insulated base, e.g., printed circuit, etc.
    • Y10T29/49155Manufacturing circuit on or in base
    • Y10T29/49158Manufacturing circuit on or in base with molding of insulated bas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17Conductor or circuit manufacturing
    • Y10T29/49124On flat or curved insulated base, e.g., printed circuit, etc.
    • Y10T29/49155Manufacturing circuit on or in base
    • Y10T29/49165Manufacturing circuit on or in base by forming conductive walled aperture in bas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227Insulator ma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roduction Of Multi-Layered Print Wiring Board (AREA)

Abstract

지지 필름과 상기 지지 필름의 표면 상에 형성된 반경화 절연층을 갖는 절연층 생성 부재를 준비한다. 이어서, 패드가 반경화 절연층에 접촉하도록, 절연층 생성 부재를 패드에 부착한다. 반경화 절연층을 경화함으로써 절연층을 생성한다. 이어서, 상기 지지 필름을 통하여 절연층을 레이저에 노출함으로써, 절연층에 개구를 형성한다.
Figure P1020080100736
배선 기판, 지지 필름, 반경화 절연층, 배선 패턴, 코어 기판

Description

배선 기판의 제조 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WIRING BOARD}
본 발명은 절연층 커버 패드, 레이저에 의해 절연층에 형성되고 패드의 일부를 노출하는 개구, 및 개구에 형성되고 패드에 접촉하는 비어를 갖는 배선 기판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배선 기판은 코어 기판(도 1 참조)과 코어 기판을 갖지 않는 코어리스 기판(도 2 참조)을 갖는 빌드업 배선 기판을 포함한다.
도 1은 종래 배선 기판의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종래 배선 기판(200)은 코어 기판을 갖는 빌드업 배선 기판이다. 배선 기판(200)은 코어 기판(201), 관통 전극(202), 패드(203, 217), 절연층(204, 208, 218, 223), 비어(206, 209, 219, 224), 배선 패턴(207, 221), 전자 부품 접속 패드(211), 솔더 레지스트(212, 227), 확산 방지막(213, 228), 외부 접속 패드(226)를 갖는다.
관통 전극(202)은 코어 기판(201)을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관통 전극(202)의 상단은 패드(203)에 접속되고, 그 하단은 패드(217)에 접속된다.
패드(203)는 관통 전극(202)의 상단 외에 코어 기판(201)의 상면(201A)에 형 성된다. 절연층(204)은 패드(203)의 일부를 덮도록, 코어 기판(201)의 상면(201A) 상에 형성된다. 절연층(204)은 패드(203)의 상면이 부분적으로 노출되는 개구(231)를 갖는다. 개구(231)는 절연층(204)을 레이저광에 직접 노출함으로써 형성된다. 비어(206)는 각 개구(231)에 형성된다. 비어(206)의 하단은 각 패드(203)에 접속된다. 비어(206)는 배선 패턴(207)과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각각의 배선 패턴(207)은 패드(233)와 배선(234)을 갖는다. 패드(233)는 절연층(204)의 상면(204A) 상에 형성된다. 패드(233)는 배선(234)과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배선(234)은 절연층(204)의 상면(204A) 외에 비어(206)의 상단에 형성된다. 배선(234)은 비어(206)와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배선(234)은 비어(206)를 패드(233)에 전기적으로 접속시킨다.
절연층(208)은 배선(234)을 덮도록, 절연층(204)의 상면(204A) 상에 형성된다. 절연층(208)은 패드(233)의 상면이 부분적으로 노출되는 개구(236)를 갖는다. 개구(236)는 절연층(208)을 레이저광에 직접 노출함으로써 형성된다.
비어(209)는 각 개구(236)에 형성된다. 비어(209)의 하단은 각 패드(233)에 접속된다. 전자 부품 접속 패드(211)는 비어(209)의 상단 외에 절연층(208)의 상면(208A) 상에 형성된다. 전자 부품 접속 패드(211)는 비어(209)와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각각의 전자 부품 접속 패드(211)는 확산 방지막(213)이 생성되는 확산 방지막 생성 영역(211A)을 갖는다. 전자 부품 접속 패드(211)는 확산 방지막(213)을 통하여 전자 부품(예를 들면, 반도체칩)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패드이다.
솔더 레지스트(212)는 확산 방지막 생성 영역(211A)을 제외한 전자 부품 접 속 패드(211)의 영역을 덮도록 절연층(208)의 상면(208A) 상에 형성된다. 솔더 레지스트(212)는 확산 방지막 생성 영역(211A)이 노출되는 개구(202A)를 갖는다. 확산 방지막(213)은 확산 방지막 생성 영역(211A)을 덮기 위해 형성된다. 확산 방지막(213)은 도시하지 않은 전자 부품(예를 들면, 반도체칩)에 접속된다.
패드(217)는 관통 전극(202)의 하단 외에 코어 기판(201)의 하면(201B) 상에 형성된다. 패드(217)는 관통 전극(202)을 통하여 패드(203)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절연층(218)은 패드(217)의 일부를 덮도록, 코어 기판(201)의 하면(201B) 상에 형성된다. 절연층(218)은 패드(217)의 하면이 부분적으로 노출되는 개구(241)를 갖는다. 개구(241)는 레이저광에 절연층(218)을 직접 노출함으로써 형성된다. 비어(219)는 각 개구(241)에 형성된다. 비어(219)의 상단은 각 패드(217)에 접속된다. 비어(219)는 배선 패턴(221)과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각각의 배선 패턴(221)은 패드(242)와 배선(243)을 갖는다. 패드(242)는 절연층(218)의 하면(218A) 상에 형성된다. 패드(242)는 배선(243)과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배선(243)은 절연층(218)의 하면(218A) 외에 비어(219)의 각 하단에 형성된다. 각각의 배선(243)은 비어(219)와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각각의 배선(243)은 비어(219)를 패드(242)에 전기적으로 접속시킨다.
절연층(223)은 배선(243)을 덮도록, 절연층(218)의 하면(218A) 상에 형성된다. 절연층(223)은 패드(242)의 상면이 부분적으로 노출되는 개구(245)를 갖는다. 개구(245)는 절연층(223)을 레이저광에 직접 노출함으로써 형성된다.
비어(224)는 각 개구(245)에 형성된다. 비어(224)의 상단은 각 패드(242)에 접속된다. 외부 접속 패드(226)는 비어(224)와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각각의 외부 접속 패드(226)는 확산 방지막(228)이 생성되는 확산 방지막 생성 영역(226A)을 갖는다. 외부 접속 패드(226)는 실장 기판(도시 생략), 예를 들면 확산 방지막(228)을 통하여 마더 보드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패드이다.
솔더 레지스트(227)는 확산 방지막 생성 영역(226A)을 제외한 외부 접속 패드(226)의 영역을 덮도록, 절연층(223)의 하면(223A) 상에 형성된다. 솔더 레지스트(227)는 확산 방지막 생성 영역(226A)이 노출되는 개구(227A)를 갖는다. 확산 방지막(228)은 확산 방지막 생성 영역(226A)에 형성된다. 마더 기판과 같은 실장 기판(도시 생략)에 전지적으로 접속되는 외부 접속 단자(도시 생략)가 확산 방지막(228) 상에 형성된다.
상술한 구조를 갖는 배선 기판(200)에서, 실리카 입자를 포함하지 않는 수지층, 실리카 입자를 포함하는 수지층 등이 절연층(204, 208, 218, 223)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실리카 입자를 포함하지 않는 수지층이 사용되는 경우와 비교할 때, 절연층(204, 208, 218, 223)으로서 실리카 입자를 포함하는 수지층을 사용하는 경우는 절연층(204, 208, 218, 223)의 열팽창 계수와, 전자 부품 접속 패드(211) 상에 실장되는 전자 부품(구체적으로, 반도체칩)의 열팽창 계수 간의 차이를 줄일 수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도 2는 다른 종래 배선 기판의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다른 종래 배선 기판(250)은 코어리스 기판이다. 배선 기판(250)은 전자 부품 접속 패드(251), 절연층(253, 257), 비어(254, 259), 배선 패 턴(255), 외부 접속 패드(261), 솔더 레지스트(263)를 갖는다.
각각의 전자 부품 접속 패드(251)는 도시하지 않은 전자 부품(예를 들면, 반도체칩)이 접속되는 접속면(251A)을 갖는다. 전자 부품 접속 패드(251)는 접속면(251A)이 노출되는 동시에 절연층(253)에 매립된다. 접속면(251A)은 절연층 (253)의 표면(253A)(즉, 절연층(257)에 접촉하는 표면(253B)에 대향하는 절연층(253)의 표면)과 동일 평면이 된다.
전자 부품 접속 패드(251)는 접속면(251A)이 노출되는 동시에 절연층(253)에 매립된다. 절연층(253)은 각 접속면(251A)의 대향측 상에 전자 부품 접속 패드(251)의 표면(251B)이 부분적으로 노출되는 개구(265)를 갖는다. 개구(265)는 절연층(253)을 레이저광에 직접 노출함으로써 형성된다.
비어(254)는 각 개구(265)에 형성된다. 비어(254)는 그 일단에서 전자 부품 접속 패드(251)에 접속된다. 비어(254)는 배선 패턴(255)과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각각의 배선 패턴(255)은 패드(271)와 배선(272)을 갖는다. 패드(271)는 절연층(253)의 표면(253B) 상에 형성된다. 패드(271)는 배선(272)과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배선(272)은 절연층(253)의 표면(253B) 외에 각 비어(254)의 타단에 형성된다. 각각의 배선(272)은 비어(254) 및 패드(271)와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각각의 배선(272)은 비어(254)를 패드(271)에 전기적으로 접속시킨다.
절연층(257)은 배선(272)을 덮기 위해 절연층(253)의 표면(253B) 상에 형성된다. 절연층(257)은 패드(271)가 부분적으로 노출되는 개구(267)를 갖는다. 개구(267)는 절연층(257)을 레이저광에 직접 노출함으로써 형성된다.
비어(259)는 각 개구(267)에 형성된다. 비어(259)는 각 패드(271)의 일단에 접속된다. 비어(259)는 외부 접속 패드(261)와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외부 접속 패드(261)는 절연층(257)의 표면(257A) 상에 형성된다. 각각의 외부 접속 패드(261)는 외부 접속 단자(도시 생략)가 형성되는 단자 공급 영역(261A)을 갖는다. 외부 접속 패드(261)는 예를 들면 외부 접속 단자(도시 생략)를 통하여, 마더 보드와 같은 실장 기판(도시 생략)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패드이다. 외부 접속 패드(261)는 비어(259)와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솔더 레지스트(263)는 절연층(257)의 표면(257A) 상에 형성된다. 솔더 레지스트(263)는 단자 공급 영역(261A)이 노출되는 개구(263A)를 갖는다.
상술한 구조의 배선 기판(250)은 어떠한 코어 기판도 갖고 있지 않기 때문에, 두께 방향(즉, 배선 기판의 두께 감소)으로 배선 기판의 소형화가 가능하지만, 배선 기판(250)이 휘어질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배선 기판(250)에서는, 코어 재료로 기능하는 유리 섬유에 수지를 주입함으로써 이루어진 수지층, 코어 재료로서 기능하는 유리 섬유에 실리카 입자와 같은 필러를 포함하는 수지를 주입함으로써 이루어진 수지층, 기타 수지층을 절연층(253, 257)으로서 사용함으로써, 배선 기판(250)의 휘어짐을 줄이는 방법을 시도하였다.
도 3은 절연층에 개구를 형성할 때, 사용되는 레이저(레이저광)의 단면 프로파일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절연층(204, 208, 218, 223, 253, 257)에 개구(231, 236, 241, 245, 265, 267)를 형성할 때 사용되는 레이저(271)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여, 레이저(271)는 고에너지 영역(272), 저에너지 영역(273), 중간 에너지 영역(274)을 갖는다.
고에너지 영역(272)은 레이저(271)의 중앙에 위치하고, 에너지 강도에 대하여 저에너지 영역(273)과 중간 에너지 영역(274)보다 높다. 고에너지 영역(272)의 가장자리면(272A)이 레이저(271)의 중앙 라인(J)과 함께 형성하는 각도 θ1은, 저에너지 영역(273)의 가장자리면(273A)이 레이저(271)의 중앙 라인(J)과 함께 형성하는 각도 θ3과 중간 에너지 영역(274)의 가장자리면(274A)이 레이저(271)의 중앙 라인(J)과 함께 형성하는 각도 θ2보다 작다.
저에너지 영역(273)은 레이저(271)의 외부 영역에 위치하고, 에너지 강도에 대하여 고에너지 영역(272)과 중간 에너지 영역(274)보다 낮다. 저에너지 영역(273)의 가장자리면(273A)이 레이저(271)의 중앙 라인(J)과 함께 형성하는 각도 θ3은, 고에너지 영역(272)의 가장자리면(272A)이 레이저(271)의 중앙 라인(J)과 함께 형성하는 각도 θ1과 중간 에너지 영역(274)의 가장자리면(274A)이 레이저(271)의 중앙 라인(J)과 함께 형성하는 각도 θ2보다 크다.
중간 에너지 영역(274)은 고에너지 영역(272)과 저에너지 영역(273) 사이에 위치한다. 중간 에너지 영역(274)은 에너지 강도에 대하여, 저에너지 영역(273)보다 높지만, 고에너지 영역(272)보다 낮다. 중간 에너지 영역(274)의 가장자리면(274A)이 레이저(271)의 중앙 라인(J)과 함께 형성하는 각도 θ2는, 고에너지 영 역(272)의 가장자리면(272A)이 레이저(271)의 중앙 라인(J)과 함께 형성하는 각도 θ1보다 크지만, 저에너지 영역(273)의 가장자리면(273A)이 레이저(271)의 중앙 라인(J)과 함께 형성하는 각도 θ3보다 작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허 공개 2000-244115호 공보
도 4는 종래 배선 기판의 제조 방법에서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에서, 종래 배선 기판(200)과 같은 구성 요소에는 같은 참조 번호를 붙인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연층(204)을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된 레이저(271)에 직접적으로 노출할 때, 고에너지 영역(272)에 대응하는 레이저(271)의 부분, 저에너지 영역(273)에 대응하는 레이저의 부분, 중간 에너지 영역(274)에 대응하는 레이저의 부분이 절연층(204) 상에 조사되기 때문에, 레이저(271)의 외부 영역에 위치하는 저에너지 영역(273)의 가장자리면(273A)의 기하학적 구조가 개구(231)의 측면으로 전이된다. 따라서, 개구(231)의 측면이 현저하게 테이퍼 형상으로 된다. 개구(231)의 하단의 직경(K2)은 개구(231)의 상단의 직경(K1)(레이저(271)에 노출되는 개구(231) 부분의 직경)보다 상당히 작아진다.
이 때문에, 개구(231)의 직경을 줄이는 것과 동시에, 개구(231)에 형성되는 비어(206)와 패드(203) 간의 전기 접속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하기가 곤란해진다.
도 4에서, 절연층(204)에 개구(231)를 형성하는 경우를 참조하여,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설명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은 개구(236, 241, 245, 265, 267)를 절연층(208, 218, 223, 253, 257)에 형성하는 경우에도 일어난다.
레이저(271)에 가공되기 어려운 유리 섬유와 실리카 입자와 같은 필러를 갖는 수지층이 절연층(204, 208, 218, 223, 253, 257)으로서 사용되는 경우, 상술한 문제점은 더욱 현저해진다. 예를 들면, 유리 섬유는 저에너지 영역(273)에 대응되는 레이저의 부분과 중간 에너지 영역(274)에 대응하는 레이저의 부분에 의해 가공되기 어렵다. 따라서, 유리 섬유는 절연층(204, 208, 218, 223, 253, 257)의 개구(231, 236, 241, 245, 265, 267)로 돌출한다. 따라서, 예를 들면 도금에 의해 비어를 생성하는 경우에, 충분한 양의 도금액이 개구의 내측으로 공급될 수 없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레이저에 의해 절연층에 형성되는 개구의 직경을 줄일 수 있는 배선 기판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지지 필름과 상기 지지 필름의 표면 상에 형성되는 반경화 절연층을 갖는 절연층 생성 부재를 준비하는 절연층 생성 부재 준비 단계; 패드가 상기 반경화 절연층에 접촉하도록, 상기 절연층 생성 부재를 패드에 부착하는 절연층 생성 부재 부착 단계; 상기 절연층 생성 부재 부착 단계 후에, 상기 반경화 절연층을 경화하는 절연층 경화 단계; 및 상기 지지 필름을 통하여 경화된 절연층을 레이저에 노출함으로써, 상기 경화된 절연층에 개구를 형성하는 개구 생성 단계를 포함하는 배선 기판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지 필름과 지지 필름의 표면 상에 형성되는 반경화 절연층을 갖는 절연층 생성 부재를 준비한다. 이어서, 패드가 반경화 절연층에 접촉하도록 절연층 생성 부재를 패드에 부착한다. 반경화 절연층이 경화된 후에, 경화된 반경화 절연층을 지지 필름을 통하여 레이저에 노출함으로써, 절연층에 개구를 형성한다. 따라서, 지지 필름은, 레이저의 외부 영역에 위치하고 낮은 에너지 강 도를 갖는 저에너지 영역과, 저에너지 영역 내부에 위치하고, 에너지 강도에 대하여 저에너지 영역보다 높고 고에너지 영역보다 낮은 중간 에너지 영역으로, 절연층의 노출을 방지한다. 따라서, 저에너지 영역의 가장자리면의 테이퍼 형상과 중간 에너지 영역의 가장자리면의 테이퍼 형상보다 수직 기하학적 구조에 가까운 형상의 가장자리면을 갖는 고에너지 영역에 대응하는 레이저의 부분만을 사용함으로써, 측면이 수직 기하학 형상에 가까운 개구를 절연층에 형성할 수 있고(즉, 각 개구 양단의 직경 간의 차이를 줄일 수 있음), 따라서 개구의 직경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레이저(레이저광)에 의해 절연층에 형성된 개구의 직경을 줄일 수 있다.
다른 특징 및 이점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된 도면과 청구범위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레이저(레이저광)에 의해 절연층에 형성된 개구의 직경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 1 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배선 기판의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 1 실시예의 배선 기판(10)은 코어 기판을 갖는 빌드업 배선 기판이다. 배선 기판(10)은 코어 기판(21), 관통 전극(22), 패드(23, 37), 절연층(24, 28, 38, 43), 비어(26, 29, 39, 44), 배선 패턴(27, 41), 전자 부품 접속 패드(31), 솔더 레지스트(32, 47), 확산 방지막(33, 48), 및 외부 접속 패드(46)를 갖는다.
코어 기판(21)은 평판 형상이며, 관통 홀(49)을 갖는다. 코어 기판(21)은 코어 기판(21)의 양면(21A, 21B)에 제조되는 빌드업 구조체를 지지하기 위한 기판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빌드업 구조체가 패드(23), 절연층(24, 28), 비어(26, 29), 배선 패턴(27), 전자 부품 접속 패드(31), 솔더 레지스트(32), 및 확산 방지막(33)으로 구성되고, 빌드업 구조체가 패드(37), 절연층(38, 43), 비어(39, 44), 및 배선 패턴(41), 솔더 레지스트(47), 확산 방지막(48) 및 외부 접속 패드(46)로 구성된다. 이를 테면, 유리 섬유에 에폭시 수지를 주입하여 만들어진 유리 에폭시 수지 기판을 코어 기판(21)으로 사용할 수 있다. 유리 에폭시 수지 기판을 코어 기판(21)으로 사용할 때, 코어 기판(21)의 두께는 예를 들면 800㎛로 설정할 수 있다.
관통 홀(49)의 각각에는 관통 전극(22)이 제공된다. 각 관통 전극(22)의 상단은 패드(23)로 접속되고, 그 하단은 패드(37)에 접속된다. 따라서, 각각의 관통 전극(22)은 패드(23)와 패드(37)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예를 들면, 관통 전극(22)용 재료로서 Cu를 사용할 수 있다.
각각의 패드(23)는 관통 전극(22)의 상단뿐만 아니라 코어 기판(21)의 상면(21A) 상에도 형성된다. 패드(23)는 관통 전극(22)에 의해 코어 기판(21)의 하면(21B)에 형성되는 패드(37)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예를 들면, 패드(23)용 재 료로서 Cu를 사용할 수 있다. 패드(23)의 두께는 예를 들면 25㎛로 설정할 수 있다.
절연층(24)은 패드(23) 부분을 덮기 위해 코어 기판(21)의 상면(21A) 상에 형성된다. 절연층(24)은 패드(23)의 상면(23A)을 부분적으로 노출하는 개구(51)를 갖는다. 개구(51)는 상술한 레이저(271)에 의해 형성된다(도 3 참조). 개구(51)는 개구의 일단의 직경과 그 타단의 직경 간의 차이가, 종래의 배선 기판에 형성된 개구(231)의 일단의 직경(도 1 참조)과 그 타단의 직경 간의 차이보다 작아지도록 개구된다. 즉, 개구(51)의 측면에 대응하는 절연층(24)의 표면(24B)이 패드(23)의 표면(23A)과 함께 형성하는 각도 θ4가 90도의 각도에 근접하도록 개구(51)가 형성된다.
예를 들면, 실리카 입자와 같은 필러(filler)를 포함하지 않는 수지층, 실리카 입자와 같은 필러를 포함하는 수지층 등이, 상술한 바와 같이 형성된 절연층(24)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실리카 입자를 포함하지 않는 수지층이 사용되는 경우와 비교할 때, 예를 들어 실리카 입자를 포함하는 수지층을 절연층(24)으로서 사용하는 경우는, 절연층(24)의 열팽창 계수와 전자 부품 접속 패드(31) 상에 실장된 전자 부품(11)(예를 들면, 반도체 칩)의 열팽창 계수 간의 차이를 줄일 수 있다. 실리카 입자에 더하여, 알루미나 입자, 탄화규소 입자 등이 절연층(24)을 구성하는 필러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열경화성 특성을 갖는 에폭시 수지, 열경화성 폴리올레핀계 수지 등도 절연층(24)을 구성하는 수지층용 재료로서 사용될 수 있 다. 상술한 것 이외의 수지도 절연층(24)을 구성하는 수지층용 재료로서 사용될 수 있다.
패드(23)의 상면(23A) 상에 생성되는 절연층(24) 영역의 두께는 예를 들면 55㎛로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개구(51)의 깊이는 30㎛로 설정될 수 있다. 개구(51)의 깊이가 30㎛이고, 레이저(271)로 노출되는 개구(51) 단부의 직경이 60㎛일 경우, 패드(23)가 위치하는 측에 위치하는 개구(51)의 단부의 직경은 예를 들면 50㎛로 설정될 수 있다.
비어(26)는 각각의 개구(51)에 형성된다. 비어(26)의 하단은 패드(23)에 접속된다. 비어(26)의 상단은 배선 패턴(27)과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각각의 배선 패턴(27)은 패드(53)와 배선(54)을 갖는다. 패드(53)는 절연층(24)의 상면(24A)에 형성된다. 패드(53)는 배선(54)과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패드(53)는 배선(54)을 경유하여 비어(26)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배선(54)은 비어(26)의 상단과 절연층(24)의 상면(24A) 상에 형성된다. 배선(54)은 비어(26) 및 패드(53)와 일체적으로 생성된다. 예를 들면, Cu가 비어(26)와 배선 패턴(27)용 재료로서 사용될 수 있다.
절연층(28)은 배선(54)을 덮기 위해 절연층(24)의 상면(24A) 상에 형성된다. 절연층(28)은 패드(53)의 상면(53A)이 부분적으로 노출되는 개구(56)를 갖는다. 개구(56)는 상술한 레이저(271)에 의해 형성된다(도 3 참조). 각각의 개구(56)는 개구의 양단의 직경 간의 차이가 종래 배선 기판(200)에 형성된 개구(236)(도 1 참조)의 양단의 직경 간의 차이보다 작아지도록 형성된다. 즉, 개구(56)의 측면에 대응하는 절연층(28)의 표면(28B)이 패드(53)의 상면(53A)과 함께 형성하는 각도 θ5가 90도의 각도에 근접하도록 개구(56)가 형성된다.
예를 들면, 실리카 입자와 같은 필러를 포함하지 않는 수지층, 실리카 입자와 같은 필러를 포함하는 수지층 등이, 상술한 바와 같이 형성된 절연층(28)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실리카 입자를 포함하지 않는 수지층이 사용되는 경우와 비교할 때, 예를 들어 실리카 입자를 포함하는 수지층을 절연층(28)으로서 사용하는 경우는, 절연층(28)의 열팽창 계수와 전자 부품 접속 패드(31) 상에 실장된 전자 부품(11)(예를 들면, 반도체 칩)의 열팽창 계수 간의 차이를 줄일 수 있다. 실리카 입자에 더하여, 알루미나 입자, 탄화규소 입자 등이 절연층(28)을 구성하는 필러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열경화성 특성을 갖는 에폭시 수지, 열경화성 폴리올레핀계 수지 등도 절연층(28)을 구성하는 수지층용 재료로서 사용될 수 있다. 상술한 것 이외의 수지도 절연층(28)을 구성하는 수지층용 재료로서 사용될 수 있다.
패드(53)의 표면(53A) 상에 생성되는 절연층(28) 영역의 두께는 예를 들면 45㎛로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개구(56)의 깊이는 30㎛로 설정될 수 있다. 개구(56)의 깊이가 30㎛이고, 레이저로 노출되는 개구(56) 단부의 직경이 60㎛일 경우, 패드(53)가 위치하는 측에 위치하는 개구(56)의 단부의 직경은 예를 들면 50㎛로 설정될 수 있다.
비어(29)는 각각의 개구(56)에 형성된다. 비어(29)의 하단은 패드(53)에 접속된다. 비어(29)의 상단은 전자 부품 접속 패드(31)와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전자 부품 접속 패드(31)는 절연층(28)의 상면(28A)과 비어(29)의 상단에 형성된다. 각각의 전자 부품 접속 패드(31)는 확산 방지막(33)이 생성되는 접속면(31A)을 갖는다. 전자 부품 접속 패드(31)는 비어(29)와 일체적으로 생성된다. 전자 부품 접속 패드(31)는 비어(29)를 경유하여 패드(53)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예를 들면, Cu는 비어(29)와 전자 부품 접속 패드(31)용 재료로서 사용될 수 있다.
솔더 레지스트(32)는 접속면(31A)을 제외한 전자 부품 접속 패드(31)를 덮기 위해 절연층(28)의 상면(28A) 상에 형성된다. 솔더 레지스트(32)는 전자 부품 접속 패드(31)의 접속면(31A)이 노출되는 개구(32A)를 갖는다.
확산 방지막(33)은 전자 부품 접속 패드(31)의 접속면(31A)을 덮기 위해 형성된다. 확산 방지막(33)은 전자 부품(11)(예를 들면, 반도체칩)이 실장되는 막이다. 예를 들면, 접속면(31A) 상에 Ni층과 Au층을 순서대로 적층하여 이루어진 Ni/Au 다층막, 접속면(31A) 상에 Ni층, Pd층, Au층을 순서대로 적층하여 이루어진 Ni/Pd/Au 다층막, 접속면(31A) 상에 Pd층과 Au층을 순서대로 적층하여 이루어진 Pd/Au 다층막, Au층 등이 확산 방지막(33)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확산 방지막(33)으로서 Ni/Pd/Au 다층막이 사용되는 경우, Ni/Pd/Au 다층막은 예를 들면 무전해 도금에 의해, Ni층(두께가 예를 들면 3㎛ 이상), Pd층(두께가 예를 들면 0.1㎛ 이하), Au층(두께가 예를 들면 0.01㎛∼0.5㎛)을 순서대로 적층함으로써 생성된다.
패드(37)는 코어 기판(21)의 하면(21B)과 관통 전극(21)의 하단에 형성된다. 패드(37)는 관통 전극(22)을 경유하여 코어 기판(21)의 상면(21A)에 형성된 패 드(37)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예를 들면, Cu가 패드(37)용 재료로서 사용될 수 있다. 패드(37)의 두께는 예를 들면 25㎛로 설정될 수 있다.
절연층(38)은 패드(37)의 부분을 덮기 위해 코어 기판(21)의 하면(21B) 상에 형성된다. 절연층(38)은 패드(23)의 하면(37A)이 부분적으로 노출되는 개구(61)를 갖는다. 개구(61)는 상술한 레이저(271)에 의해 형성된다(도 3 참조). 개구(61)는 개구의 일단의 직경과 그 타단의 직경 간의 차이가, 종래의 배선 기판(200)에 형성된 개구(241)의 일단의 직경(도 1 참조)과 그 타단의 직경 간의 차이보다 작아지도록 형성된다. 즉, 개구(61)의 측면에 대응하는 절연층(38)의 표면(38B)이 패드(37)의 하면(37A)과 함께 형성하는 각도 θ6이 90도의 각도에 근접하도록 개구(61)가 형성된다.
예를 들면, 실리카 입자와 같은 필러를 포함하지 않는 수지층, 실리카 입자와 같은 필러를 포함하는 수지층 등이, 상술한 바와 같이 형성된 절연층(38)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실리카 입자를 포함하지 않는 수지층이 사용되는 경우와 비교할 때, 예를 들어 실리카 입자를 포함하는 수지층을 절연층(38)으로서 사용하는 경우는, 절연층(38)의 열팽창 계수와 확산 방지막(33)을 경유하여 전자 부품 접속 패드(31) 상에 실장된 전자 부품(11)(예를 들면, 반도체 칩)의 열팽창 계수 간의 차이를 줄일 수 있다. 실리카 입자에 더하여, 알루미나 입자, 탄화규소 입자 등이 절연층(38)을 구성하는 필러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열경화성 특성을 갖는 에폭시 수지, 열경화성 폴리올레핀계 수지 등도 절연층(38)을 구성하는 수지층용 재료로서 사용될 수 있다. 상술한 것 이외의 수지도 절연층(38)을 구성하는 수지층용 재료로서 사용될 수 있다.
패드(37)의 하면(37A) 상에 생성되는 절연층(38) 영역의 두께는 예를 들면 55㎛로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개구(61)의 깊이는 30㎛로 설정될 수 있다. 개구(61)의 깊이가 30㎛이고, 레이저로 노출되는 개구(61) 단부의 직경이 60㎛일 경우, 패드(37)가 위치하는 측에 위치하는 개구(51)의 단부의 직경은 예를 들면 50㎛로 설정될 수 있다.
비어(39)는 각각의 개구(61)에 형성된다. 비어(39)의 상단은 패드(37)에 접속된다. 비어(39)의 하단은 배선 패턴(41)과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각각의 배선 패턴(41)은 패드(62)와 배선(63)을 갖는다. 패드(62)는 절연층(38)의 하면(38A)에 형성된다. 패드(62)는 배선(63)과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패드(62)는 배선(63)을 경유하여 비어(39)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배선(63)은 비어(39)의 하단과 절연층(38)의 하면(38A) 상에 형성된다. 배선(63)은 비어(39) 및 패드(62)와 일체적으로 생성된다. 예를 들면, Cu가 비어(39)와 배선 패턴(41)용 재료로서 사용될 수 있다.
절연층(43)은 배선(63)을 덮기 위해 절연층(38)의 하면(38A) 상에 형성된다. 절연층(43)은 패드(62)의 하면(62A)이 부분적으로 노출되는 개구(65)를 갖는다. 개구(65)는 상술한 레이저(271)에 의해 형성된다(도 3 참조). 각각의 개구(65)는 개구의 양단의 직경 간의 차이가 종래 배선 기판(200)에 형성된 개구(245)(도 1 참조)의 양단의 직경 간의 차이보다 작아지도록 형성된다. 즉, 개구(65)의 측면에 대응하는 절연층(43)의 표면(43B)이 패드(62)의 하면(62A)과 함께 형성하는 각도 θ7가 90도의 각도에 근접하도록 개구(65)가 형성된다.
예를 들면, 실리카 입자와 같은 필러를 포함하지 않는 수지층, 실리카 입자와 같은 필러를 포함하는 수지층 등이, 상술한 바와 같이 형성된 절연층(43)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실리카 입자를 포함하지 않는 수지층이 사용되는 경우와 비교할 때, 예를 들어 실리카 입자를 포함하는 수지층을 절연층(43)으로서 사용하는 경우는, 절연층(43)의 열팽창 계수와 확산 방지막(33)을 경유하여 전자 부품 접속 패드(31) 상에 실장된 전자 부품(11)(예를 들면, 반도체 칩)의 열팽창 계수 간의 차이를 줄일 수 있다. 실리카 입자에 더하여, 알루미나 입자, 탄화규소 입자 등이 절연층(43)을 구성하는 필러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열경화성 특성을 갖는 에폭시 수지, 열경화성 폴리올레핀계 수지 등도 절연층(43)을 구성하는 수지층용 재료로서 사용될 수 있다. 상술한 것 이외의 수지도 절연층(43)을 구성하는 수지층용 재료로서 사용될 수 있다.
패드(62)의 하면(62A) 상에 생성되는 절연층(43) 영역의 두께는 예를 들면 45㎛로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개구(65)의 깊이는 30㎛로 설정될 수 있다. 개구(65)의 깊이가 30㎛이고, 레이저로 노출되는 개구(65) 단부의 직경이 60㎛일 경우, 패드(62)가 위치하는 측에 위치하는 개구(65)의 단부의 직경은 예를 들면 50㎛로 설정될 수 있다.
비어(44)는 각각의 개구(65)에 형성된다. 비어(44)의 상단은 패드(62)에 접 속된다. 비어(44)는 외부 접속 패드(46)와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외부 접속 패드(46)는 절연층(43)의 하면(43A)과 비어(44)의 하단에 형성된다. 각각의 외부 접속 패드(46)는 확산 방지막(48)이 생성되는 접속면(46A)을 갖는다. 외부 접속 패드(46)는 확산 방지막(48)을 경유하여, 마더 보드와 같은 실장 기판(13)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외부 접속 패드(46)는 비어(44)와 일체적으로 생성된다. 예를 들면, Cu는 비어(44)와 외부 접속 패드(46)용 재료로서 사용될 수 있다.
솔더 레지스트(47)는 접속면(46A)을 제외한 외부 접속 패드(46)를 덮기 위해 절연층(43)의 하면(43A) 상에 형성된다. 솔더 레지스트(47)는 외부 접속 패드(46)의 접속면(46A)이 노출되는 개구(47A)를 갖는다.
확산 방지막(48)은 외부 접속 패드(46)의 접속면(46A)을 덮기 위해 형성된다. 확산 방지막(48)은 외부 접속 단자(15)(예를 들면, 솔더 볼)가 형성되는 막이다. 예를 들면, 접속면(46A) 상에 Ni층과 Au층을 순서대로 적층하여 이루어진 Ni/Au 다층막, 접속면(46A) 상에 Ni층, Pd층, Au층을 순서대로 적층하여 이루어진 Ni/Pd/Au 다층막, 접속면(46A) 상에 Pd층과 Au층을 순서대로 적층하여 이루어진 Pd/Au 다층막, Au층 등이 확산 방지막(48)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확산 방지막(48)으로서 Ni/Pd/Au 다층막이 사용되는 경우, Ni/Pd/Au 다층막은 예를 들면 무전해 도금에 의해, Ni층(두께가 예를 들면 3㎛ 이상), Pd층(두께가 예를 들면 0.1㎛ 이하), Au층(두께가 예를 들면 0.01㎛∼0.5㎛)을 순서대로 적층함으로써 생성된다.
도 6∼1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배선 기판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16에서, 제 1 실시예의 배선 기판(10)과 같은 구성요소에는 같은 참조 번호를 붙인다.
도 6∼16을 참조하여, 제 1 실시예의 배선 기판(10)의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도 6에 도시한 공정에서는 배선 기판(10)이 제조되는 복수의 배선 기판 생성 영역(A)을 갖는 코어 기판(71)에, 주지의 방법에 의해 관통 홀(49), 관통 전극(22), 및 패드(23, 37)를 형성한다. 코어 기판(71)은 절단 위치(B)를 따라 복수의 코어 기판(21)(도 5에 도시된 배선 기판(10)의 구성 요소 중 하나)으로 잘리는 기판이다. 예를 들면, 유리 섬유에 에폭시 수지를 주입하여 이루어진 유리 에폭시 수지 기판이 코어 기판(71)에 사용될 수 있다. 유리 에폭시 수지 기판이 코어 기판(71)에 사용되는 경우, 코어 기판(71)의 두께는 예를 들면 800㎛로 설정될 수 있다.
관통홀(49)은 예를 들면 드릴을 사용하여 개구될 수 있다. 관통 전극(22)과 패드(23, 37)는 예를 들면 도금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이 경우, Cu가 관통 전극(22)과 패드(23, 37)용 재료로서 사용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한 공정에서, 지지 필름(74)의 표면(74A)(일면) 상에 형성되고 반경화 상태인 절연층(75) 및 지지 필름(74)을 갖는 절연층 생성 부재(73)를 준비한다(절연층 생성 부재 준비 단계). 이 공정에서 2개의 절연층 생성 부재(73)를 준비한다. 지지 필름(74)은 절연층(75)을 지지하기 위한 필름이다. 예를 들면,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폴리에틸렌과 같은 폴리에스테르, 폴리비닐클로 라이드, 폴리카보네이트와 같은 폴리올레핀 등이 지지 필름(74)용 재료로서 사용될 수 있다. 지지 필름(74)의 두께는 예를 들면 30㎛∼40㎛로 설정될 수 있다.
반경화 상태에서의 절연층(75)은 후술하는 도 9에 도시한 공정에서 경화되어서 절연층(24, 38)으로 된다. 예를 들면, 실리카 입자와 같은 필러를 포함하지 않는 반경화 수지층, 실리카 입자와 같은 필러를 포함하는 반경화 수지층 등이 반경화 절연층(75)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실리카 입자에 더하여, 알루미나 입자, 탄화규소 입자 등이 절연층(75)을 구성하는 필러로서 사용될 수 있다. 열경화성 특성을 갖는 에폭시 수지, 열경화성 폴리올레핀계 수지 등이 절연층(75)을 구성하는 반경화 수지층용 재료로서 사용될 수 있다. 상술한 것 이외의 수지가 절연층(75)을 구성하는 반경화 수지층용 재료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반경화 절연층(75)의 두께는 예를 들면 30㎛∼40㎛로 설정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한 공정에서, 도 6에 도시한 구조의 양면(구체적으로, 패드(23)가 형성되는 코어 기판(71)의 상면(71A)과, 패드(37)가 형성되는 코어 기판(71)의 하면(71B))이 반경화 절연층(75)과 접촉하도록, 절연층 생성 부재(73)를 도 6에 도시한 구조의 양면에 부착한다(절연층 생성 부재 부착 단계). 구체적으로, 절연층 생성 부재(73)를 도 6에 도시한 구조의 양면에, 예를 들면 진공 열압착 접합에 의해 부착한다. 코어 기판(71)의 상면(71A)에 부착된 절연층(75)은 후술하는 도 9에 도시한 공정에서 경화됨으로써 절연층(24)으로 될 층이다(도 5 참조). 코어 기판(71)의 하면(71B)에 부착된 절연층(75)은 후술하는 도 9에 도시한 공정에서 경화됨으로써 절연층(38)으로 될 층이다(도 5 참조).
다음으로, 도 8에 도시한 반경화인 절연층(75)을 도 9에 도시한 공정에서 경화함으로써, 코어 기판(71)의 상면(71A)에 절연층(24)(경화된 절연층)과 코어 기판(71)의 하면(71B)에 절연층(38)(경화된 절연층)을 동시에 생성한다(절연층 경화 단계).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베이스 재료로서 기능하는 열경화성 수지로부터 절연층(75)이 형성될 경우, 도 8에 도시한 구조를 가열하여(가열 온도는 예를 들면 180℃) 경화된 절연층(24, 38)을 생성한다.
이어서, 도 10에 도시한 공정에서, 지지 필름(74)을 통하여 경화된 절연층(24, 38)을 레이저(271)에 노출시킨다(도 3 참조). 환언하면, 지지 필름(74)의 표면(74B)(절연층(24, 38)과 접촉하지 않는 지지 필름(74)의 표면)을 레이저(271)에 노출함으로써, 절연층(24)에는 패드(23)의 상면(23A)이 부분적으로 노출되는 개구(51)를, 절연층(38)에는 패드(37)의 하면(37A)이 부분적으로 노출되는 개구(61)를 생성한다(개구 생성 단계).
도 17은 개구 생성 단계에서 절연층 상에 조사되는 레이저의 단면 프로파일과 지지필름의 단면 프로파일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에서는 상술한 도 3에 도시한 레이저(271) 및 도 10에 도시한 구조와 같은 구성 요소에는 같은 참조 번호를 붙인다.
지지 필름(74)이 절연층(24, 38)에 부착되어 있는 동안, 지지 필름(74)을 통하여 절연층(24, 38) 상에 레이저(271)(도 3 참조)를 조사함으로써 개구(51, 61)를 형성하는 경우에 이루어지는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이저(271)를 지지 필름(74)을 통하여 경화된 절연층(24, 38)에 조사함으로써 절연층(24, 38)에 개구(51, 61)를 형성한다. 따라서, 지지 필름(74)은, 레이저(271)의 외부 영역에 위치하고 낮은 에너지 강도를 갖는 저에너지 영역(273)에 대응하는 레이저(271) 부분과, 저에너지 영역의 안쪽에 위치하고, 에너지 강도에 대하여 저에너지 영역(273)보다는 높고, 레이저의 중앙에 위치하고 높은 에너지 강도를 갖는 고에너지 영역(272)보다 낮은 중간 에너지 영역(274)에 대응하는 레이저(271)의 부분으로, 절연층(24, 38)의 노출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개구(51, 61)를, 저에너지 영역(273)의 가장자리면(273A)의 테이퍼 형상과 중간 에너지 영역(274)의 가장자리면(274A)의 테이퍼 형상보다 수직 기하학(vertical geometry) 형상에 가까운 가장자리면(272A)을 갖는 고에너지 영역(272)에 대응하는 레이저(271)의 부분만을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환언하면, 각도 θ4와 θ6은 90도에 근접한다).
따라서, 측면이 수직 기하학적 구조에 가까운 형상을 갖는 개구(51, 61)를 절연층(24, 38)에 형성할 수 있고(즉, 각 개구(51) 양단의 직경 간의 차이와, 각 개구(61)의 양단의 직경 간의 차이를 줄일 수 있음), 따라서 개구(51, 61)의 직경을 줄일 수 있다.
개구(51, 61)는 지지 필름(74)이 절연층(24, 38)에 부착되어 있는 동안에, 지지 필름(74)을 통하여 절연층(24, 38)을 레이저(271)(도 3 참조)에 노출함으로써 생성되기 때문에, 레이저 공정 동안 발생할 수 있는 잔해물이 절연층(24, 38)의 표 면(24A, 38A)에 부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예를 들면, 절연층(24, 38)의 칩). 따라서, 배선 패턴(27, 41)을 절연층(24, 38)의 표면(24A, 38A) 상에 고정밀도로 생성할 수 있다.
개구(51, 61)의 깊이가 30㎛이고, 레이저(271)에 노출되는 개구(51, 61)의 일단의 직경이 60㎛일 때, 각 개구(51, 61)의 타단의 직경은 예를 들면 55㎛로 설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0에 도시한 구조 상에 형성된 2개의 지지 필름(74)을 도 11에 도시한 공정에서 제거한다(지지 필름 제거 단계). 구체적으로, 지지 필름(24)을 도 10에 도시한 구조 상에 형성된 절연층(24, 38)으로부터 떼어냄으로써, 지지 필름(74)을 제거한다.
도 12에 도시한 공정에서 비어(26, 39)와 배선 패턴(27, 41)을 주지의 방법으로 형성한다. 비어(26, 39)와 배선 패턴(27, 41)은 예를 들면 세미 에디티브 공정(semi-additive process)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 경우에는 절연층(24)의 표면(24B)과 상면(24A), 및 절연층(38)의 표면(38B)과 하면(38A)을 러프닝 공정(roughening process)에 의해 조대화한다. 다음으로, 거칠어진 절연층(24)의 표면(24B)과 상면(24A), 거칠어진 절연층(38)의 표면(38B)과 하면(38A), 개구(51)를 통해 노출된 패드(23)의 상면(23A), 및 개구(61)를 통해 노출된 패드(37)의 하면(37A)을 덮기 위해 시드층(도시 생략)을 생성한다. 배선 패턴(27)이 생성되는 영역에 대응하는 개구를 갖는 레지스트 필름(도시 생략)을 절연층(24)의 상면(24A) 상에 형성한다. 배선 패턴(41)이 생성 되는 영역에 대응하는 개구를 갖는 레지스트 필름(도시 생략)을 절연층(38)의 하면(38A) 상에 형성한다.
공급층으로서 시드층을 사용하는 전해 도금법에 의해, 레지스트 필름의 개구 부분을 통해 노출된 시드층 영역 상에, 증착 성장(depositon growth)을 통하여, 도금 필름(예를 들면, Cu 도금 필름(두께가 예를 들면 15㎛))을 생성한다. 이어서, 레지스트 필름과 레지스트 필름으로 덮인 불필요한 시드층을 제거함으로써, 비어(26, 39)와 배선 패턴(27, 41)을 동시에 생성한다. 예를 들면, 디스미어링(desmearing)을 러프닝 공정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전해 도금 또는 스퍼터링에 의해 생성된 Cu층(두께가 예를 들면 0.1㎛)이 시드층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비어(26, 39)의 생성 직전에 지지 필름(74)을 제거하는 것이 좋다. 상술한 바와 같이, 비어(26, 39)의 형성 직전에 지지 필름(74)을 제거함으로써, 절연층(24)의 상면(24A)과 절연층(38)의 하면(38A)에 이물질의 부착, 또는 절연층(24, 38)에서 취급(운반) 시에 야기될 수 있는 결함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배선 기판(10)의 제조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도 7∼10에 도시한 상술한 공정에 속하는 유사한 공정을 도 13에 도시한 공정에서 수행함으로써, 도 12에 도시한 구조 상에 개구(56)를 갖는 절연층(28)과 개구(65)를 갖는 절연층(43)을 형성한다.
따라서, 레이저(271)를 지지 필름(74)을 통하여 경화된 절연층(28, 43)에 조사함으로써, 절연층(28, 43)에 개구(56, 65)를 형성한다. 따라서, 지지 필름(74) 은, 레이저(271)의 외부 영역에 위치하고 낮은 에너지 강도를 갖는 저에너지 영역(273)에 대응하는 레이저(271) 부분과, 에너지 강도에 대하여 저에너지 영역(273)보다는 높고, 고에너지 영역(272)보다는 낮은 중간 에너지 영역(274)에 대응하는 레이저(271) 부분에 대하여, 절연층(28, 43)의 노출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프로파일이 수직 기하학적 구조에 가까운 측면을 갖는 개구(56, 65)를, 저에너지 영역(273)의 가장자리면(273A)의 테이퍼 형상과 중간 에너지 영역(274)의 가장자리면(274A)의 테이퍼 형상보다 수직 기하학 형상에 가까운 가장자리면(272A)을 갖는 고에너지 영역(272)에 대응하는 레이저(271)의 부분만을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고(환언하면, 각도 θ5와 θ7은 90도에 근접한다)(즉, 각 개구(56) 양단의 직경 간의 차이와, 각 개구(65)의 양단의 직경 간의 차이를 줄일 수 있음), 따라서 개구(56, 65)의 직경을 줄일 수 있다.
개구(56, 65)는 지지 필름(74)이 절연층(28, 43)에 부착되어 있는 동안에, 지지 필름(74)을 통하여 절연층(28, 43)을 레이저(271)(도 3 참조)에 노출함으로써 생성되기 때문에, 레이저 공정 동안 발생할 수 있는 잔해물이 절연층(28, 43)의 표면(28A, 43A)에 부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예를 들면, 절연층(28, 43)의 칩). 따라서, 전자 부품 접속 패드(31) 또는 외부 접속 패드(46)를 절연층(28, 43)의 표면(28A, 43A) 상에 고정밀도로 생성할 수 있다.
개구(56, 65)의 깊이가 30㎛이고, 레이저(271)에 노출되는 개구(56, 65)의 일단의 직경이 60㎛일 때, 각 개구(56, 65)의 타단의 직경은 예를 들면 55㎛로 설 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2에 도시한 상술한 공정에 속하는 유사한 공정을 도 14에 도시한 공정에서 수행함으로써, 비어(29, 44), 전자 부품 접속 패드(31), 및 외부 접속 패드(46)를 동시에 생성한다.
도 15에 도시한 공정에서 개구(32A)를 갖는 솔더 레지스트(32), 개구(47A)를 갖는 솔더 레지스트(47), 및 확산 방지막(33, 48)을 주지의 방법으로 생성한다. 따라서, 배선 기판(10)에 대응하는 구조가 복수의 배선 기판 생성 영역(A)에 각각 생성된다. 예를 들면, Ni층과 Au층을 순서대로 적층하여 이루어진 Ni/Au 다층막, Ni층, Pd층, Au층을 순서대로 적층하여 이루어진 Ni/Pd/Au 다층막, Pd층과 Au층을 순서대로 적층하여 이루어진 Pd/Au 다층막, Au층 등이 확산 방지막(33, 48)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확산 방지막(33, 48)으로서 Ni/Pd/Au 다층막이 사용되는 경우, Ni/Pd/Au 다층막은 예를 들면 무전해 도금에 의해, Ni층(두께가 예를 들면 3㎛ 이상), Pd층(두께가 예를 들면 0.1㎛ 이하), Au층(두께가 예를 들면 0.01㎛∼0.5㎛)을 순서대로 적층함으로써 생성된다.
도 16에 도시한 공정에서, 도 15에 도시한 구조를 절단 라인(B)을 따라 절단함으로써 복수의 배선 기판(10)을 개별화한다.
본 실시예의 배선 기판의 제조 방법에 따르면, 각 지지 필름(74)의 표면(74A) 상에 형성되고 반경화인 절연층(75)과 지지 필름(74)을 갖는 절연층 생성 부재(73)를 준비한다. 패드(23, 37, 53, 62)가 반경화 절연막(75)에 접촉하도록 절연층 생성 부재(73)를 패드(23, 37, 53, 62)에 부착한다. 다음으로, 반경화 절 연층(75)을 경화하여 절연층(25, 28, 38, 43)을 생성한다. 이어서, 경화된 절연층(24, 28, 38, 43)을 지지 필름(74)을 통하여 레이저(271)에 노출함으로써, 개구(51, 56, 61, 65)를 생성한다. 따라서, 지지 필름(74)은 레이저(271)의 외부 영역에 위치하고 낮은 에너지 강도를 갖는 저에너지 영역(273)에 대응하는 레이저(271)의 부분과, 에너지 강도에 대하여 저에너지 영역(273)보다 높고 고에너지 영역(272)보다 낮은 중간 에너지 영역(274)에 대응하는 레이저(271)의 부분을 차단한다. 따라서, 저에너지 영역(273)과 중간 에너지 영역(274)에 대응하는 레이저(271)의 부분으로 절연층(24, 28, 38, 43)의 노출을 방지한다. 그 결과, 저에너지 영역(273)의 가장자리면(273A)의 테이퍼 형상과 중간 에너지 영역(274)의 가장자리면(274A)의 테이퍼 형상보다 수직 기하학 형상에 가까운 가장자리면(272A)을 갖는 고에너지 영역(272)에 대응하는 레이저(271)의 부분을 사용함으로써, 측면이 수직 기하학 형상에 가까운 개구(51, 56, 61, 65)를 절연층(24, 28, 38, 43)에 형성하고(환언하면, 각도 θ4, θ5, θ6, θ7은 90도에 근접한다)(각 개구(51) 양단의 직경 간의 차이, 각 개구(56) 양단의 직경 간의 차이, 각 개구(61) 양단의 직경 간의 차이, 각 개구(65) 양단의 직경 간의 차이를 줄일 수 있음), 따라서 개구(51, 56, 61, 65)의 직경을 줄일 수 있다.
(제 2 실시예)
도 1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배선 기판의 단면도이다. 도 18에서 제 1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는 도 5에 도시한 구조와 같은 구성 요소에는 같은 참조 번호를 붙인다.
도 18을 참조하여, 제 2 실시예의 배선 기판(80)은 코어리스 기판(coreless substrate)이다. 배선 기판(80)은 전자 부품 접속 패드(81), 절연층(82, 87), 비어(84, 88), 배선 패턴(85), 외부 접속 패드(91), 및 솔더 레지스트(92)를 갖는다.
각각의 전자 부품 접속 패드(81)는 전자 부품(11)이 실장(접속)되는 접속면(81A)을 갖는다. 전자 부품 접속 패드(81)는 접속면(81A)이 절연층(82)의 표면(82A)과 동일 평면이 되도록 절연층(82)에 매립된다(절연층(87)에 접촉하는 표면(82B)의 대향면). 예를 들면, Au층(막두께가 예를 들면 0.05㎛), Pd층(막두께가 예를 들면 0.05㎛), Ni층(막두께가 예를 들면 5㎛)을 접속면(81A)으로부터 순서대로 적층함으로써 이루어진 Au/Pd/Ni 다층막을 전자 부품 접속 패드(81)로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부품(11)은 Au층 상에 실장된다.
절연층(82)은 코어 재료(95)와 코어 재료(95)를 덮는 경화된 수지층(96)을 갖는다, 절연층(82)의 표면(82A)은 전자 부품 접속 패드(81)의 접속면(81A)과 동일 평면이다. 절연층(82)은 전자 부품 접속 패드(81)의 표면(81B)(접속면(81A)의 반대 측 상의 전자 부품 접속 패드(81)의 표면)이 노출되는 개구(100)를 갖는다. 개구(100)는 전자 부품 접속 패드(81)의 표면(81B)에 대향하는 절연층(82)의 영역을 관통하도록 개구된다. 개구(100)는 절연층(82)의 표면(82B)을 레이저에 노출함으로써 형성된다. 개구(100)는 개구의 일단의 직경과 그 타단의 직경 간의 차이가, 종래의 배선 기판(250)에 형성된 개구(256)(도 2 참조)의 일단의 직경과 그 타단의 직경 간의 차이보다 작아지도록 형성된다. 즉, 개구(100)의 측면에 대응하는 수지층(96)의 표면(96A)이 전자 부품 접속 패드(81)의 표면(81B)과 함께 형성하는 각도 θ8가 90도의 각도에 근접하도록 형성된다. 전자 부품 접속 패드(81)의 표면(81B)에 대응하는 절연층(82) 영역의 두께는 예를 들면 55㎛로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개구(100)의 깊이는 40㎛로 설정될 수 있다. 개구(100)의 깊이가 40㎛이고, 레이저에 노출되는 개구(100)의 단부의 직경이 60㎛일 때, 전자 부품 접속 패드(81)가 위치하는 측에 위치하는 개구(100)의 단부의 직경은 예를 들면 35㎛로 설정될 수 있다.
코어 재료(95)는 경화된 수지층(96)으로 덮인다. 수지층(96)과 비교할 때, 코어 재료(95)가 레이저로 가공하기 어렵기 때문에, 각각의 개구(100)의 안쪽으로 돌출한다. 코어 재료(95)는 절연층(82)의 강도를 강화함으로써 코어리스 기판으로 기능하는 배선 기판(80)의 휘어짐(warpage)을 줄이기 위한 부재이다. 예를 들면, 직조 직물(woven fabric) 또는 비직조 직물(unwoven fabric)의 유리 섬유, 직조 도는 비직조 직물의 아라미드 섬유 등이 코어 재료(95)로서 사용될 수 있다. 상술한 직물 외의 섬유도 코어 재료(95)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수지층(96)은 전자 부품 접속 패드(81)의 표면(81B)과 측면 부분을 덮는다, 예를 들면, 실리카 입자와 같은 필러를 포함하지 않는 수지층, 실리카 입자와 같은 필러를 포함하는 수지층 등이, 수지층(96)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실리카 입자를 포함하지 않는 수지층이 사용되는 경우와 비교할 때, 예를 들어 실리카 입자를 포함하는 수지층을 수지층(96)으로서 사용하는 경우는, 절연층(82)의 열팽창 계수와 전자 부품 접속 패드(81) 상에 실장된 전자 부품(11)(예를 들면, 반도체 칩)의 열팽창 계수 간의 차이를 줄일 수 있다.
실리카 입자에 더하여, 알루미나 입자, 탄화규소 입자 등이 절연층(82)을 구성하는 필러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열경화성 특성을 갖는 에폭시 수지, 열경화성 폴리올레핀계 수지 등도 수지층(96)용 재료로서 사용될 수 있다. 상술한 것 이외의 수지도 수지층(96)용 재료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비어(84)는 절연층(82)에 개구된 각 개구(100)에 형성된다. 비어(84)는 전자 부품 접속 패드(81)에 그 일단이 접속되고, 비어의 타단은 배선 패턴(85)과 일체적으로 생성된다. 따라서, 비어(84)는 전자 부품 접속 패드(81)를 배선 패턴(85)에 전기적으로 접속시킨다.
각각의 배선 패턴(85)은 패드(98)와 배선(99)을 갖는다. 패드(98)는 절연층(82)의 표면(82B)에 형성된다. 패드(98)는 배선(99)과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패드(99)는 배선(99)을 경유하여 비어(84)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각 배선(99)은 비어(84)의 타단과 절연층(82)의 표면(82B) 상에 형성된다. 배선(99)은 비어(84) 및 패드(98)와 일체적으로 생성된다. 예를 들면, Cu가 비어(84)와 배선 패턴(85)용 재료로서 사용될 수 있다. 비어(84)와 배선 패턴(85)은 예를 들면 세미 에디티브 공정(semi-additive process)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절연층(87)은 코어 재료(95)와 코어 재료(95)를 덮는 경화된 수지층(96)을 갖는다. 절연층(87)은 배선(99)을 덮도록 절연층(82)의 표면(82B) 상에 형성된다. 절연층(87)은 패드(98)의 표면(98A)이 노출되는 개구(102)를 갖는다. 개구(102)는 패드(98)의 표면(98A)에 대향하는 절연층(87)의 영역을 관통하도록 개구된다(구체적으로, 코어 재료(95)와 수지층(96)). 개구(102)는 절연층(87)의 표면(87A)을 레이저에 노출함으로써 개구된다(절연층(82)에 접촉하는 표면의 반대 측 상의 절연층(87)의 표면). 개구(102)는 개구의 일단의 직경과 그 타단의 직경 간의 차이가, 종래의 배선 기판(250)에 형성된 개구(267)(도 2 참조)의 일단의 직경과 그 타단의 직경 간의 차이보다 작아지도록 형성된다. 즉, 개구(102)의 측면에 대응하는 수지층(96)의 표면(96B)이 패드(98)의 표면(98A)과 함께 형성하는 각도 θ9가 90도의 각도에 근접하도록 형성된다. 패드(98)의 표면(98A)에 대응하는 절연층(87) 영역의 두께는 예를 들면 55㎛로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개구(102)의 깊이는 40㎛로 설정될 수 있다. 개구(102)의 깊이가 40㎛이고, 레이저에 노출되는 개구(102)의 단부의 직경이 60㎛일 때, 외부 접속 패드(91)가 위치하는 측에 위치하는 개구(102)의 단부의 직경은 예를 들면 35㎛로 설정될 수 있다.
코어 재료(95)는 경화된 수지층(96)으로 덮인다. 수지층(96)과 비교할 때, 코어 재료(95)가 레이저로 가공하기 어렵기 때문에, 각각의 개구(102)의 안쪽으로 돌출한다. 코어 재료(95)는 절연층(97)의 강도를 강화함으로써 코어리스 기판으로 기능하는 배선 기판(80)의 휘어짐(warpage)을 줄이기 위한 부재이다. 예를 들면, 직조 직물 또는 비직조 직물의 유리 섬유, 직조 도는 비직조 직물의 아라미드 섬유 등이 코어 재료(95)로서 사용될 수 있다. 상술한 직물 외의 섬유도 코어 재료(95)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수지층(96)은 배선(99)을 덮도록 절연층(82)의 표면(82B) 상에 형성된다. 예를 들면, 실리카 입자와 같은 필러를 포함하지 않는 수지층, 실리카 입자와 같은 필러를 포함하는 수지층 등이, 수지층(96)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실리카 입자를 포함하지 않는 수지층이 사용되는 경우와 비교할 때, 예를 들어 실리카 입자를 포함하는 수지층을 수지층(96)으로서 사용하는 경우는, 절연층(87)의 열팽창 계수와 전자 부품 접속 패드(81) 상에 실장된 전자 부품(11)(예를 들면, 반도체 칩)의 열팽창 계수 간의 차이를 줄일 수 있다.
실리카 입자에 더하여, 알루미나 입자, 탄화규소 입자 등이 절연층(87)을 구성하는 필러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열경화성 특성을 갖는 에폭시 수지, 열경화성 폴리올레핀계 수지 등이 수지층(96)용 재료로서 사용될 수 있다. 상술한 것 이외의 수지도 수지층(96)용 재료로서 사용될 수 있다.
비어(88)는 절연층(87)에 개구된 각 개구(102)에 형성된다. 비어(88)는 패드(98)에 그 일단이 접속되고, 비어의 타단은 외부 접속 패드(91)와 일체적으로 생성된다. 따라서, 비어(88)는 패드(98)를 외부 접속 패드(91)에 전기적으로 접속시킨다.
외부 접속 패드(91)는 절연층(87)의 표면(87A) 상에 형성되고(절연층(82)에 접촉하는 표면의 반대 측 상의 절연층(87)의 표면), 비어(88)와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각각의 외부 접속 패드(91)는 외부 접속 단자(15)가 배열되는 단자 배열면(91A)을 갖는다. 외부 접속 패드(91)는 외부 접속 단자(15)를 경유하여 마더 보드와 같은 실장 기판(13)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패드이다. 예를 들면, Cu가 비 어(88)와 외부 접속 패드(91)용 재료로서 사용될 수 있다. 비어(88)와 외부 접속 패드(91)는 예를 들면 세미 에디티브 공정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솔더 레지스트(92)는 단자 배열면(91A)을 제외한 외부 접속 패드(91)를 덮도록 절연층(87)의 표면(87A) 상에 형성된다. 솔더 레지스트(92)는 외부 접속 패드(91)의 단자 배열면(91A)이 노출되는 개구(92A)를 갖는다.
도 19∼3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배선 기판의 제조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30에서는 제 2 실시예의 배선 기판(80)과 같은 구성 요소에는 같은 참조 번호를 붙인다.
도 19∼30을 참조하여, 제 2 실시예의 배선 기판(80)의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도 19에 도시한 공정에서, 개구(112A)를 갖는 레지스트 필름(112)을 지지체(111)의 표면(111A) 상에 형성하고, 여기서 전자 부품 접속 패드(81)가 생성되는 영역에 대응하는 도전성 지지체(111)의 표면(111A)의 부분은 개구(112A)를 통하여 노출된다. 다음으로, 피드층으로서 지지체(111)를 사용하여, 전해 도금 공정에 의해, 개구(112A)를 통해 노출되는 지지체(111)의 표면(111A)의 영역 상에 전자 부품 접속 패드(81)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Au/Pd/Ni 다층막이 전자 부품 접속 패드(81)로서 사용될 때, 개구(112A)를 갖는 레지스트 필름(112)을 형성한 후, 전해 도금 공정에 의한 Au층(막두께가 예를 들면 0.05㎛), Pd층(막두께가 예를 들면 005㎛), Ni층(막두께가 예를 들면 5㎛)의 일련의 증착 성장을 통해, 전자 부품 접속 패드(81)를 생성한다. 예를 들면, 금속 박편(metal foil)(예를 들면 Cu 박편), 금속 판금(metal plate)(예를 들면 Cu 판금) 등이 도전성을 갖는 지지 체(111)로서 사용될 수 있다. 도 20에 도시한 이어지는 공정에서, 레지스트 필름(112)을 제거한다.
도 21에 도시한 공정에서, 지지 필름(74)을 갖는 절연층 생성 부재(113)와, 지지 필름(74)의 표면(74A)(일면) 상에 형성되고 반경화 상태인 절연층(114)을 준비한다(절연층 생성 부재 준비 단계). 지지 필름(74)은 절연층(114)을 지지하기 위한 필름이다. 예를 들면,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폴리에틸렌과 같은 폴리에스테르, 폴리비닐클로라이드, 폴리카보네이트와 같은 폴리올레핀 등이 지지 필름(74)용 재료로서 사용될 수 있다. 지지 필름(74)의 두께는 예를 들면 30㎛∼40㎛로 설정될 수 있다.
절연층(114)은 코어 재료(95)와 코어 재료(95)를 덮는 반경화 수지층(115)을 갖는다. 예를 들면, 직조 직물 또는 비직조 직물의 유리 섬유, 직조 또는 비직조 직물의 아라미드 섬유 등이 코어 재료(95)로서 사용될 수 있다. 상술한 직물 외의 섬유도 코어 재료(95)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실리카 입자와 같은 필러를 포함하지 않는 반경화 수지층, 실리카 입자와 같은 필러를 포함하는 반경화 수지층 등이 반경화 절연층(115)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실리카 입자에 더하여, 알루미나 입자, 탄화규소 입자 등이 절연층(114)을 구성하는 필러로서 사용될 수 있다. 열경화성 특성을 갖는 에폭시 수지, 열경화성 폴리올레핀계 수지 등이 반경화 수지층(115)용 재료로서 사용될 수 있다. 상술한 것 이외의 수지가 반경화 수지층(115)용 재료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절연층(114)의 두께는 예를 들면 30㎛∼50㎛로 설정될 수 있다.
도 22의 공정에서, 지지체(111) 상에 형성된 전자 부품 접속 패드(81)가 반경화 수지층(115)에 접촉하도록 절연층 생성 부재(113)를 지지체(111)의 표면(111A)에 부착한다(절연층 생성 부재 부착 단계). 구체적으로, 절연층 생성 부재(113)를 예를 들면 진공 열압착 접합에 의해 지지체(111)의 표면(111A)에 부착한다. 지지체(11)의 표면(111A)에 부착된 반경화 절연층(114)은, 후술할 도 23에 도시한 공정에서 경화됨으로써 절연층(82)으로 될 층이다(도 18 참조).
다음으로, 도 22에 도시한 반경화인 수지층(115)을 도 23의 공정에서 경화함으로써, 수지층(96)을 생성한다(절연층 경화 단계). 따라서, 지지체(111)의 표면(111A) 상에 경화된 수지층(96)을 갖는 절연층(82)이 생성된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반경화 수지층(115)이 베이스 재료로서 기능하는 열경화성 수지로부터 형성될 때, 도 22에 도시한 구조를 가열함으로써(가열 온도는 예를 들면 180℃), 경화된 수지층(96)을 갖는 절연층(82)이 생성된다.
이어서, 도 24에 도시한 공정에서, 경화된 절연층(82)을 지지 필름(74)을 통하여 도 3에 도시한 레이저(271)에 노출시킨다. 환언하면, 지지 필름(74)의 표면(74B)(절연층(82)에 접촉하지 않는 지지 필름(74)의 표면)을 레이저(271)에 노출함으로써, 전자 부품 접속 패드(81)의 표면(81B)이 부분적으로 노출되는 개구(100)를 절연층(82)에 생성한다(개구 생성 단계).
도 31은 개구 생성 공정에서, 절연층 상에 조사된 레이저의 단면 프로파일과 지지 필름의 단면 프로파일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1에서, 상술한 도 3에서 도시한 레이저(271)와 도 18에서 도시한 구조와 같은 구성요소에는 같은 참 조 번호를 붙인다.
레이저(271)(도 3 참조)를 지지 필름(74)을 통하여 절연층(82) 상에 조사함으로써 개구(100)를 생성하는 경우에 이루어지는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이저(271)를 지지 필름(74)을 통하여 경화된 절연층(82)에 조사함으로써 절연층(82)에 개구(100)를 형성한다. 따라서, 지지 필름(74)은, 레이저(271)의 외부 영역에 위치하고 낮은 에너지 강도를 갖는 저에너지 영역(273)에 대응하는 레이저(271) 부분과, 저에너지 영역(273)의 안쪽에 위치하고, 에너지 강도에 대하여 저에너지 영역(273)보다는 높고, 레이저의 중앙에 위치하고 높은 에너지 강도를 갖는 고에너지 영역(272)보다는 낮은 중간 에너지 영역(274)에 대응하는 레이저(271)의 부분을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수직 기하학 형상에 가까운 측면을 갖는 개구(100)를, 저에너지 영역(273)의 가장자리면(273A)의 테이퍼 형상과 중간 에너지 영역(274)의 가장자리면(274A)의 테이퍼 형상보다 수직 기하학 형상에 가까운 가장자리면(272A)을 갖는 고에너지 영역(272)에 대응하는 레이저(271)의 부분만을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고(환언하면, 각도 θ8은 90도에 근접한다)(즉, 각 개구(100) 양단의 직경 간의 차이를 줄일 수 있음), 따라서 개구(100)의 직경을 줄일 수 있다.
개구(100)는 고에너지 영역(272)에 대응하는 레이저(271)의 부분만을 사용하여 형성되기 때문에, 종래 기술에 비하여 코어 재료(95)가 더 쉽게 가공된다. 따라서, 코어 재료(95)가 개(100)게 돌출하는 정도를 종래 기술에 비하여 줄일 수 있 다. 따라서, 예를 들면 도금에 의하여 비어(84)를 생성하는 경우에, 충분한 양의 도금액을 개구(100)의 내측으로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 부품 접속 패드(81)와 배선 패턴(85) 간의 전기 접속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개구(100)는 지지 필름(74)이 절연층(82)에 부착되어 있는 동안에, 지지 필름(74)을 통하여 절연층(82)을 레이저(271)(도 3 참조)에 노출함으로써 생성되기 때문에, 레이저 공정 동안 발생할 수 있는 잔해물이 절연층(82)의 표면(82B)에 부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예를 들면, 코어 재료(95)와 수지층(96)의 칩). 따라서, 배선 패턴(85)을 절연층(82)의 표면(82B) 상에 고정밀도로 생성할 수 있다.
개구(100)의 깊이가 40㎛이고, 레이저(271)에 노출되는 개구(100)의 일단의 직경이 60㎛일 때, 각 개구(100)의 타단의 직경은 예를 들면 45㎛로 설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5에 도시한 공정에서, 도 24에 도시한 구조 상에 형성된 지지 필름(74)을 제거한다(지지 필름 제거 단계). 구체적으로, 지지 필름(74)을 개구(100)가 형성된 절연층(82)으로부터 떼어냄으로써, 지지 필름(74)을 제거한다.
도 26에 도시한 공정에서, 비어(84)와 배선 패턴(85)을 주지의 방법으로 동시에 생성한다(비어 생성 공정). 비어(84)와 배선 패턴(85)은 예를 들면 세미 에디티브 공정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 경우에는 절연층(82)의 표면(82B)과, 수지층(96)의 표면(96A)을 러프닝 공정에 의해 조대화한다. 다음으로, 거칠어진 수지층(96)의 표면(96A)과 절연층(87)의 표면(87A), 및 개구(100)를 통하여 노출되는 전자 부품 접 속 패드(81)의 표면(81B)을 덮도록 시드층(도시 생략)을 생성한다. 다음으로, 배선 패턴(85)이 생성되는 영역에 대응하는 개구를 갖는 레지스트 필름(도시 생략)을 절연층(82)의 표면(82B) 상에 형성한다. 공급층으로서 시드층을 사용하는 전해 도금법에 의해, 레지스트 필름의 개구 부분을 통해 노출된 시드층 영역 상에, 증착 성장을 통하여, 도금 필름(예를 들면, Cu 도금 필름(두께가 예를 들면 15㎛))을 생성한다. 이어서, 레지스트 필름과 레지스트 필름으로 덮인 불필요한 시드층을 제거함으로써, 비어(84)와 배선 패턴(85)을 동시에 생성한다. 예를 들면, 디스미어링을 러프닝 공정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전해 도금 또는 스퍼터링에 의해 생성된 Cu층(두께가 예를 들면 0.1㎛)이 시드층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비어(84)의 생성 직전에 지지 필름(74)을 제거하는 것이 좋다. 상술한 바와 같이, 비어(84)의 형성 직전에 지지 필름(74)을 제거함으로써, 절연층(82)의 표면(82B)에 이물질의 부착, 또는 절연층(82)에 결함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배선 기판(80)의 제조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1∼25에 도시한 상술한 공정에 속하는 유사한 공정을 도 27에 도시한 공정에서 수행함으로써, 도 26에 도시한 구조 상에 개구(102)를 갖는 절연층(87)을 형성한다.
따라서, 레이저(271)를 지지 필름(74)을 통하여 경화된 절연층(87)에 조사함으로써, 경화된 절연층(87)에 개구(102)를 형성한다. 따라서, 지지 필름(74)은, 레이저(271)의 외부 영역에 위치하고 낮은 에너지 강도를 갖는 저에너지 영역(273)에 대응하는 레이저(271) 부분과, 에너지 강도에 대하여 저에너지 영역(273)보다는 높고, 고에너지 영역(272)보다는 낮은 중간 에너지 영역(274)에 대응하는 레이저(271) 부분을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수직 기하학 형상에 가까운 측면을 갖는 개구(102)를, 저에너지 영역(273)의 가장자리면(273A)의 테이퍼 형상과 중간 에너지 영역(274)의 가장자리면(274A)의 테이퍼 형상보다 수직 기하학 형상에 가까운 가장자리면(272A)을 갖는 고에너지 영역(272)에 대응하는 레이저(271)의 부분만을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고(환언하면, 각도 θ8와 θ9은 90도에 근접한다)(즉, 각 개구(102) 양단의 직경 간의 차이를 줄일 수 있음), 따라서 개구(102)의 직경을 줄일 수 있다.
개구(102)는 지지 필름(74)이 절연층(87)에 부착되어 있는 동안에, 지지 필름(74)을 통하여 절연층(87)을 레이저(271)(도 3 참조)에 노출함으로써 생성되기 때문에, 레이저 공정 동안 발생할 수 있는 잔해물이 절연층(87)의 표면(87A)에 부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예를 들면, 코어 재료(95)와 수지층(96)의 칩). 따라서, 외부 접속 패드(91)를 절연층(87)의 표면(87A) 상에 고정밀도로 생성할 수 있다.
개구(102)의 깊이가 40㎛이고, 레이저(271)에 노출되는 개구(102)의 일단의 직경이 60㎛일 때, 각 개구(102)의 타단의 직경은 예를 들면 45㎛로 설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6에 도시한 상술한 공정에 속하는 유사한 공정을 도 28에 도 시한 공정에서 수행함으로써, 비어(88)와 외부 접속 패드(91)를 동시에 생성한다. 단자 배열면(91A)이 노출되는 개구(92A)를 갖는 솔더 레지스트(92)를 도 29에 도시한 공정에서 절연층(87)의 표면(87A) 상에 주지의 방법으로 생성한다. 따라서, 배선 기판(80)에 대응하는 구조가 지지체(111) 상에 생성된다. 솔더 레지스트(92)의 생성 후에, 무전해 도금에 의해 단자 배열면(91A) 상에 Ni 도금막과 Au 도금막을 순차적으로 적층함으로써 Ni/Au 다층막을 생성한다.
도 30에 도시한 공정에서, 지지체(111)를 제거한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Cu 박편 또는 Cu 판금을 지지체(111)로서 사용할 경우, 지지체(111)는 에칭으로 제거한다. 따라서, 배선 기판(80)이 제조된다. 도 30은 지지체(111)가 제거된 도 29에 도시한 구조를 상하 반전하여 도시한다.
본 실시예의 배선 기판의 제조 방법에 따르면, 지지 필름(74)을 갖는 절연층 생성 부재(113)와 지지 필름(74)의 표면(74A) 상에 형성되고 반경화인 절연층(114)을 준비한다. 전자 부품 접속 패드(81) 또는 패드(98)가 반경화 절연층(114)에 접촉하도록, 절연층 생성 부재(113)를 전자 부품 접속 패드(81) 또는 패드(98)에 부착한다. 다음으로, 반경화 절연층(114)을 경화하여 절연층(82, 87)을 생성한다. 이어서, 절연층(82, 87)을 지지 필름(74)을 통하여 레이저(271)에 노출함으로써, 개구(100, 102)를 생성한다. 따라서, 지지체(74)는 레이저(271)의 외부 영역에 위치하고 낮은 에너지 강도를 갖는 저에너지 영역(273)에 대응하는 레이저(271)의 부분과, 에너지 강도에 대하여 저에너지 영역(273)보다 높고 고에너지 영역(272)보다 낮은 중간 에너지 영역(274)에 대응하는 레이저(271)의 부분을 차단할 수 있다.
그 결과, 저에너지 영역(273)의 가장자리면(273A)의 테이퍼 형상과 중간 에너지 영역(274)의 가장자리면(274A)의 테이퍼 형상보다 수직 기하학 형상에 가까운 가장자리면(272A)을 갖는 고에너지 영역(272)에 대응하는 레이저(271)의 부분만을 사용함으로써, 측면이 수직 기하학 형상에 가까운 개구(100, 102)를 절연층(82, 87)에 형성할 수 있고, (환언하면, 각도 θ8와 θ9은 90도에 근접한다)(각 개구(100) 양단의 직경 간의 차이와 각 개구(102) 양단의 직경 간의 차이를 줄일 수 있음), 따라서 개구(100, 102)의 직경을 줄일 수 있다.
개구(100, 102)는 고에너지 영역(272)에 대응하는 레이저(271)의 부분만을 사용하여 절연층(82, 87)에 형성되기 때문에, 종래 기술에 비하여 코어 재료(95)가 더 쉽게 가공된다. 따라서, 코어 재료(95)가 개구(100)로 돌출하는 정도를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도금에 의하여 비어(84, 88)를 생성하는 경우에, 충분한 양의 도금액을 개구(100, 102)의 내측으로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 부품 접속 패드(81)와 배선 패턴(85) 간의 전기 접속의 신뢰성과, 외부 접속 패드(91)와 패드(98) 간의 전기 접속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배선 기판(80)을 지지체(111) 상에 제조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복수의 배선 기판(80)에 대응하는 구조는 배선 기판(80)이 제조되는 복수의 영역을 갖는 지지체(111) 상에 형성될 수도 있고, 지지체(111)는 이후에 제거될 수 있다. 이어서, 복수의 배선 기판(80)에 대응하는 구조를 절단하여 개별화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되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취지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이나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절연층(25, 28, 38, 43)은 제 1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한 절연층 생성 부재(73) 대신에, 제 2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한 절연층 생성 부재(113)를 사용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즉, 코어 재료(95)를 절연층(24, 28, 38, 43)에 형성할 수도 있음). 또한, 절연층(82, 87)은 제 2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절연층 생성 부재(113) 대신에, 제 1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절연층 생성 부재(73)를 사용하여 생성할 수도 있다(즉, 코어 재료(95)를 갖지 않는 절연층(82, 87)을 사용할 수도 있음).
또한, 예를 들어 지지 필름(74)을 경화된 절연층(24, 28, 38, 43, 82, 87) 상에 형성할 수도 있다(즉, 반경화 절연층(75, 114)을 경화한 후에, 지지 필름(74)을 형성할 수 있음), 도 32∼38을 참조하여, 제 1 실시예의 변형예인 배선 기판(10)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2∼38에서, 제 1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한 도 5에 도시한 구조와 같은 구성요소에는 같은 참조 번호를 붙인다.
도 32에 도시한 공정에서, 코어 기판(71)(도 6 참조)과 지지 필름(174)을 갖는 절연층 생성 부재(173)와 지지 필름(174)의 표면(174A)(일면) 상에 형성되고 반경화 상태인 절연층(75)을 준비한다(절연층 생성 부재 준비 단계). 이 공정에서 2개의 절연층 생성 부재(773)를 준비한다. 지지 필름(174)은 절연층(75)을 지지하기 위한 필름이다. 절연층 생성 부재(173)는 절연층 생성 부재(73)와 같을 수 있 고,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폴리에틸렌과 같은 폴리에스테르, 폴리비닐클로라이드, 폴리카보네이트와 같은 폴리올레핀 등이 지지 필름(174)용 재료로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지지 필름(174)은 후술하는 레이저 공정 전에 제거되기 때문에, 레이저 공정을 지지 필름(174)의 재료에 대해 고려할 필요는 없다. 예를 들면, 레이저(271)에 의해 가공되기 어려운 재료를 지지 필름(174)용 재료로서 사용할 수 있다.
도 33에 도시한 공정에서, 도 6에 도시한 구조의 양면(구체적으로, 패드(23)가 형성되는 코어 기판(71)의 상면(71A)과, 패드(37)가 형성되는 코어 기판(71)의 하면(71B))이 반경화 절연층(75)과 접촉하도록, 절연층 생성 부재(173)를 도 6에 도시한 구조의 양면에 부착한다(절연층 생성 부재 부착 단계). 구체적으로, 절연층 생성 부재(173)를 도 6에 도시한 구조의 양면에, 예를 들면 진공 열압착 접합에 의해 부착한다. 코어 기판(71)의 상면(71A)에 부착된 절연층(75)은 후술하는 도 34에 도시한 공정에서 경화함으로써 절연층(24)으로 될 층이다(도 5 참조). 코어 기판(71)의 하면(71B)에 부착된 절연층(75)은 후술하는 도 34에 도시한 공정에서 경화함으로써 절연층(38)으로 될 층이다(도 5 참조).
다음으로, 도 33에 도시한 반경화인 절연층(75)을 도 34에 도시한 공정에서 경화함으로써, 코어 기판(71)의 상면(71A)에 절연층(24)(경화된 절연층)과, 코어 기판(71)의 하면(71B)에 절연층(38)(경화된 절연층)을 동시에 생성한다(절연층 경화 단계).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베이스 재료로서 기능하는 열경화성 수지로부터 절연층(75)이 형성될 경우, 도 33에 도시한 구조를 가열하여(가열 온도는 예를 들 면 180℃) 경화된 절연층(24, 38)을 생성한다. 또한, 도 33에 도시한 구조 상에 형성되는 2개의 지지 필름(174)을 도 34에 도시한 공정에서 제거한다(제 1 필름 제거 단계). 구체적으로, 도 33에 도시한 공정상에 형성된 절연층(24, 38)으로부터 지지 필름(174)을 떼어냄으로써, 지지 필름(174)을 제거한다.
다음으로, 도 35에 도시한 공정에서, 절연층(24, 38)에 대한 개구(51, 61)를 형성하기 위한 필름(74')을 준비한다. 제 1 실시예의 지지 필름(74)과 같은 재료가 필름(74')의 재료로 사용된다. 예를 들면,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폴리에틸렌과 같은 폴리에스테르, 폴리비닐클로라이드, 폴리카보네이트와 같은 폴리올레핀 등이 필름(74')용 재료로서 사용될 수 있다.
도 36에 도시한 공정에서, 도 34에 도시한 구조의 양면에, 구체적으로 절연층(24)의 상면(24A)과 절연층(38)의 하면(38A)에 각각 필름(74')을 부착한다(제 2 필름 형성 단계). 구체적으로, 필름(74')을 접착제(도시 생략)를 통하여 절연층(24, 38) 상에 부착한다. 예를 들면, 에폭시, 폴리이미드 등으로 이루어진 접착제가 사용될 수 있다.
이어서, 도 37에 도시한 공정에서, 필름(74')을 통하여 경화된 절연층(24, 38)을 레이저(271)에 노출시킨다. 환언하면, 필름(74')의 표면(74B')(절연층(24, 38)과 접촉하지 않는 필름(74')의 표면)을 레이저(271)에 노출함으로써, 절연층(24)에는 패드(23)의 상면(23A)이 부분적으로 노출되는 개구(51)를, 절연층(38)에는 패드(37)의 하면(37A)이 부분적으로 노출되는 개구(61)를 생성한다(개구 생성 단계).
다음으로, 도 37에 도시한 구조 상에 형성된 2개의 필름(74')을 도 38에 도시한 공정에서 제거한다(제 2 필름 제거 단계). 구체적으로, 필름(74')을 도 37에 도시한 구조 상에 형성된 절연층(24, 38)으로부터 떼어냄으로써, 필름(74')을 제거한다. 이후의 공정(예를 들면, 비어(26, 39)와 배선 패턴(27, 41)을 생성하는 공정, 절연층(28, 43)을 생성하는 공정 등)은 제 1 실시예에서 상술한 공정과 또한 도 32∼38에 속한 것과 유사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배선 개판의 제조 방법에 따르면, 제 1 실시예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지지 필름(174)과 개구 생성 필름(74')은 지지 필름(74) 대신에, 제 2 실시예에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절연층 커버 패드, 레이저에 의해 절연층에 형성되고, 패드가 부분적으로 노출되는 개구, 및 각각의 개구에 형성되고 패드에 접속되는 비어를 갖는 배선 기판의 제조 방법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 배선 기판의 단면도.
도 2는 다른 종래 배선 기판의 단면도.
도 3은 절연층에 개구를 생성할 때, 사용되는 레이저의 단면 프로파일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면.
도 4는 종래 배선 기판의 제조 방법에서 문제점을 설명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배선 기판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배선 기판의 제조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그 1).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배선 기판의 제조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그 2).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배선 기판의 제조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그 3).
도 9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배선 기판의 제조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그 4).
도 10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배선 기판의 제조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그 5).
도 1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배선 기판의 제조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그 6).
도 1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배선 기판의 제조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그 7).
도 1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배선 기판의 제조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그 8).
도 1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배선 기판의 제조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그 9).
도 1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배선 기판의 제조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그 10).
도 1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배선 기판의 제조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그 11).
도 17은 개구의 생성 공정에서, 지지 필름과 절연층 상에 조사되는 레이저의 단면 프로파일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면.
도 1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배선 기판의 단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배선 기판의 제조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그 1).
도 2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배선 기판의 제조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그 2).
도 2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배선 기판의 제조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그 3).
도 2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배선 기판의 제조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그 4).
도 2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배선 기판의 제조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그 5).
도 2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배선 기판의 제조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그 6).
도 2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배선 기판의 제조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그 7).
도 2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배선 기판의 제조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그 8).
도 2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배선 기판의 제조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그 9).
도 2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배선 기판의 제조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그 10).
도 2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배선 기판의 제조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그 11).
도 3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배선 기판의 제조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그 12).
도 31은 개구 생성 공정에서, 지지 필름과 절연층 상에 조사되는 레이저의 단면 프로파일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면.
도 3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변형예인 배선 기판의 제조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
도 3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변형예인 배선 기판의 제조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
도 3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변형예인 배선 기판의 제조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
도 3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변형예인 배선 기판의 제조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
도 3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변형예인 배선 기판의 제조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
도 3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변형예인 배선 기판의 제조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
도 3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변형예인 배선 기판의 제조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배선 기판
21 : 코어 기판
22 : 관통 전극
27, 41 : 배선 패턴
26, 29, 39 : 비어
23, 37 : 패드
51, 56, 61 : 개구
74 : 지지 필름
200 : 배선 기판
204, 208, 218, 223, 253, 257 : 절연층
207 : 레이저
231, 236, 241, 245, 265, 267 : 개구

Claims (9)

  1. 지지 필름과 상기 지지 필름의 표면 상에 형성되는 반경화 절연층을 갖는 절연층 생성 부재를 준비하는 절연층 생성 부재 준비 단계;
    패드가 상기 반경화 절연층에 접촉하도록, 상기 절연층 생성 부재를 패드에 부착하는 절연층 생성 부재 부착 단계;
    상기 절연층 생성 부재 부착 단계 후에, 상기 반경화 절연층을 경화하는 절연층 경화 단계; 및
    상기 지지 필름을 통하여 경화된 절연층을 레이저에 노출함으로써, 상기 경화된 절연층에 개구를 형성하는 개구 생성 단계를 포함하는 배선 기판의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 생성 단계 후에, 상기 경화된 절연층으로부터 상기 지지 필름을 제거하는 지지 필름 제거 단계; 및
    상기 지지 필름 제거 단계 후에, 개구에 비어를 생성하는 비어 생성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배선 기판의 제조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비어 생성 단계 직전에 상기 지지 필름 제거를 행하는 배선 기판의 제 조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경화 절연층은 실리카 입자를 포함하는 반경화 수지층인 배선 기판의 제조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경화 절연층은 코어 재료(core material)와 상기 코어 재료를 덮는 반경화 수지층을 갖는 배선 기판의 제조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반경화 수지층은 실리카 입자를 포함하는 배선 기판의 제조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재료는 유리 섬유(glass fiber)인 배선 기판의 제조 방법.
  8. 제 1 필름과 상기 제 1 필름의 표면 상에 형성되는 반경화 절연층을 갖는 절연층 생성 부재를 준비하는 절연층 생성 부재 준비 단계;
    패드가 상기 반경화 절연층에 접촉하도록, 상기 절연층 생성 부재를 패드에 부착하는 절연층 생성 부재 부착 단계;
    상기 절연층 생성 부재 부착 단계 후에, 상기 반경화 절연층을 경화하는 절연층 경화 단계;
    경화된 절연층으로부터 상기 제 1 필름을 제거하는 제 1 필름 제거 단계;
    상기 제 1 필름 제거 단계 후에, 상기 경화된 절연층 상에 제 2 필름을 형성하는 제 2 필름 형성 단계; 및
    상기 제 2 필름을 통하여, 상기 경화된 절연층을 레이저에 노출함으로써, 상기 경화된 절연층에 개구를 형성하는 개구 생성 단계를 포함하는 배선 기판의 제조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 생성 단계 후에, 상기 경화된 절연층으로부터 상기 제 2 필름을 제거하는 제 2 필름 제거 단계; 및
    상기 제 2 필름 제거 단계 후에, 상기 개구에 비어를 생성하는 비어 생성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배선 기판의 제조 방법.
KR1020080100736A 2007-10-15 2008-10-14 배선 기판의 제조 방법 KR1014772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00267562 2007-10-15
JP2007267562A JP5094323B2 (ja) 2007-10-15 2007-10-15 配線基板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8375A true KR20090038375A (ko) 2009-04-20
KR101477211B1 KR101477211B1 (ko) 2014-12-30

Family

ID=405619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0736A KR101477211B1 (ko) 2007-10-15 2008-10-14 배선 기판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3) US8196296B2 (ko)
JP (1) JP5094323B2 (ko)
KR (1) KR101477211B1 (ko)
TW (1) TWI435676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3301B1 (ko) * 2009-12-10 2012-01-1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다층인쇄회로기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349985B1 (ko) * 2005-11-30 2014-01-13 프리스케일 세미컨덕터, 인크. 반도체 소자를 패키징하기 위한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4919B1 (ko) * 2005-10-14 2007-04-09 삼성전기주식회사 코어층이 없는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US8541693B2 (en) 2010-03-31 2013-09-24 Ibiden Co., Ltd. Wiring boar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N102340927A (zh) * 2010-07-27 2012-02-01 南亚电路板股份有限公司 印刷电路板
US8745860B2 (en) * 2011-03-11 2014-06-10 Ibiden Co., Ltd. Method for manufacturing printed wiring board
JP5385967B2 (ja) * 2011-12-22 2014-01-08 イビデン株式会社 配線板及びその製造方法
US20130241058A1 (en) * 2012-03-16 2013-09-19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Wire Bonding Structures for Integrated Circuits
TWI504322B (zh) 2012-03-29 2015-10-11 Taiwan Green Point Entpr Co 雙面電路板及其製備方法
JP6208411B2 (ja) * 2012-06-15 2017-10-04 新光電気工業株式会社 配線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412225B1 (ko) * 2012-08-10 2014-06-25 이비덴 가부시키가이샤 배선판 및 그 제조 방법
JP2015035496A (ja) * 2013-08-09 2015-02-19 イビデン株式会社 電子部品内蔵配線板の製造方法
JP6761224B2 (ja) * 2014-02-19 2020-09-23 味の素株式会社 プリント配線板、半導体装置及び樹脂シートセット
CN106356355B (zh) * 2015-07-15 2020-06-26 恒劲科技股份有限公司 基板结构及其制作方法
WO2017130947A1 (ja) * 2016-01-26 2017-08-03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樹脂付き金属箔、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配線板
CN107978586B (zh) * 2016-10-25 2019-11-26 上海新昇半导体科技有限公司 校准晶片及其制造方法
JP6915659B2 (ja) * 2017-12-06 2021-08-04 味の素株式会社 樹脂シート
WO2022003819A1 (ja) * 2020-06-30 2022-01-06 ギガフォトン株式会社 レーザ加工方法及び回路基板製造方法
WO2022070389A1 (ja) * 2020-10-01 2022-04-07 昭和電工マテリアルズ株式会社 配線基板の製造方法、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及び樹脂シート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91087A (ja) 1986-06-10 1987-12-17 日立化成工業株式会社 配線板の製造方法
JPH06304774A (ja) * 1993-04-23 1994-11-01 Murata Mfg Co Ltd 積層型セラミック電子部品の製造方法
JP3395621B2 (ja) * 1997-02-03 2003-04-14 イビデン株式会社 プリント配線板及びその製造方法
EP0948247B1 (en) * 1998-04-01 2005-08-31 Mitsui Mining & Smelting Co., Ltd. Method For Making A Multi-Layer Printed Wiring Board
JP3670487B2 (ja) 1998-06-30 2005-07-13 京セラ株式会社 配線基板の製造方法
JP2000022337A (ja) * 1998-06-30 2000-01-2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多層配線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0244115A (ja) 1999-02-17 2000-09-08 Ibiden Co Ltd プリント配線板の製造方法
ATE222046T1 (de) * 1999-03-23 2002-08-15 Circuit Foil Luxembourg Trading Sarl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mehrschichtigen gedruckten leiterplatte und verbundfolie zur verwendung darin
JP2004241394A (ja) * 2000-02-08 2004-08-26 Ajinomoto Co Inc 接着フィルム及びこれを用いた積層板の製造法
JP2001308536A (ja) * 2000-04-27 2001-11-02 Kyocera Corp 多層配線基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2324974A (ja) * 2001-04-24 2002-11-08 Sony Corp 多層プリント配線基板及び多層プリント配線基板の製造方法
JP3992524B2 (ja) 2002-03-29 2007-10-17 住友ベークライト株式会社 多層配線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半導体装置
JP2006203074A (ja) * 2005-01-21 2006-08-03 Sumitomo Bakelite Co Ltd 回路基板の製造方法および回路基板
JP2007051225A (ja) * 2005-08-18 2007-03-01 Ajinomoto Co Inc 高誘電率樹脂組成物
JP4334005B2 (ja) 2005-12-07 2009-09-16 新光電気工業株式会社 配線基板の製造方法及び電子部品実装構造体の製造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9985B1 (ko) * 2005-11-30 2014-01-13 프리스케일 세미컨덕터, 인크. 반도체 소자를 패키징하기 위한 방법
KR101103301B1 (ko) * 2009-12-10 2012-01-1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다층인쇄회로기판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561293B2 (en) 2013-10-22
US20090100673A1 (en) 2009-04-23
JP5094323B2 (ja) 2012-12-12
TWI435676B (zh) 2014-04-21
US8196296B2 (en) 2012-06-12
KR101477211B1 (ko) 2014-12-30
US20120204424A1 (en) 2012-08-16
JP2009099649A (ja) 2009-05-07
US20120144666A1 (en) 2012-06-14
TW200938044A (en) 2009-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38375A (ko) 배선 기판의 제조 방법
KR101475109B1 (ko) 다층배선기판 및 그의 제조방법
JP5931547B2 (ja) 配線板及びその製造方法
US20100224397A1 (en) Wiring boar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20140102768A1 (en) Wiring boar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8859077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multilayer wiring substrate, and multilayer wiring substrate
US8945329B2 (en) Printed wiring boar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printed wiring board
JP2010135721A (ja) 金属バンプを持つプリント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9246358A (ja) 多層配線基板
TWI384925B (zh) 內埋式線路基板之結構及其製造方法
US20090250260A1 (en) High density circuit board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20120210576A1 (en) Printed circuit board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2010135720A (ja) 金属バンプを持つプリント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0129998A (ja) 金属バンプを持つプリント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
EP1635625B1 (en) Substrate manufacturing method and circuit board
JP2014049578A (ja) 配線板、及び、配線板の製造方法
US10779408B2 (en) Printed wiring board
US11363719B2 (en) Wiring substrate and component built-in wiring substrate
JP5479551B2 (ja) 配線基板の製造方法
JP4975664B2 (ja) 多数個取り配線基板の製造方法、及び多数個取り配線基板の中間製品
JP2001015912A (ja) 多層プリント配線板及び多層プリント配線板の製造方法
US20220375842A1 (en) Interconnect substrate and method of making interconnect substrate
JP2005244140A (ja) 配線基板の製造方法
JP2024061022A (ja) 配線基板の製造方法
JP2024002647A (ja) 配線基板及び配線基板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5

Year of fee payment: 5